한금선 박영희 임희수등 2004). 우리나라는정신질환유병률이매우높으며대부분 의정신질환자들은단기간에완치되는경우가드물고지속 적인증상과반복된재발을통해만성화과정을거치게된 다는점에서자살은더욱심각한문제로고려된다. 정신과 적병력과자살과의관계에서자살기도자의 95.0% 가정신 장애를진

Similar documents

구의 중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하였다(Kang & Lee, 2001). 이에 대한 결과로 1990 년대 이후 국내에서도 만성신부전환자의 혈액투석경험 (Shin, 1997), 신장이식 체험(Lee, 1998) 과 만성질환자의 강인성에 관한 연구 (Ko, 1999)등 만성질환


서론 34 2


untitled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특수교육논총 * ,,,,..,..,, 76.7%.,,,.,,.. * 1. **

1..

<BFCFBCBA30362DC0B1BFECC3B62E687770>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 The

歯14.양돈규.hwp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 45 1,258 ( 601, 657; 1,111, 147). Cronbach α=.67.95, 95.1%, Kappa.95.,,,,,,.,...,.,,,,.,,,,,..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The Effect of Caree

278 경찰학연구제 12 권제 3 호 ( 통권제 31 호 )

,......

노인정신의학회보14-1호

012임수진

:,,.,. 456, 253 ( 89, 164 ), 203 ( 44, 159 ). Cronbach α= ,.,,..,,,.,. :,, ( )

Àå¾Ö¿Í°í¿ë ³»Áö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서론

< D3920C1A4BDC5B0A3C8A320B3BBC1F62DC3D6C1BE2E687770>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DBPIA-NURIMEDIA

230 한국교육학연구 제20권 제3호 I. 서 론 청소년의 언어가 거칠어지고 있다. 개ㅅㄲ, ㅆㅂ놈(년), 미친ㅆㄲ, 닥쳐, 엠창, 뒤져 등과 같은 말은 주위에서 쉽게 들을 수 있다. 말과 글이 점차 된소리나 거센소리로 바뀌고, 외 국어 남용과 사이버 문화의 익명성 등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The Mediating Ef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IPA * Analysis of Perc

배진현 도은수 서영숙 보다 약 3배 더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우리사회의 중 요한 보건문제가 될 것이다(Clinical Research Center for Stroke [CRCS], 2013). 뇌졸중은 뇌의 혈액순환장애로 발생되며, 뇌의 국소적인 부위나 전반적인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Strenghening the Cap

13.12 ①초점

歯1.PDF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레이아웃 1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지난 2009년 11월 애플의 아이폰 출시로 대중화에 접어든 국내 스마트폰의 역사는 4년 만에 ‘1인 1스마트폰 시대’를 눈앞에 두면서 모바일 최강국의 꿈을 실현해 가고 있다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Lumbar spine

상담학연구,, SPSS 21.0., t,.,,,..,.,.. (Corresponding Author): / / / Tel: /

다문화 가정의 부모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Pe

歯5-2-13(전미희외).PDF

54 한국교육문제연구제 27 권 2 호, I. 1.,,,,,,, (, 1998). 14.2% 16.2% (, ), OECD (, ) % (, )., 2, 3. 3

27 2, 1-16, * **,,,,. KS,,,., PC,.,,.,,. :,,, : 2009/08/12 : 2009/09/03 : 2009/09/30 * ** (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Relationships a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 최원희ㆍ 김명희: 중년후기 여성의 집단회상 경험과 효과에 대한 연구 - 에 직면하며 심리 사회적인 역할갈등, 고립, 위축, 상실 감 등을 경험하게 된다. 이 시기동안 위기에 잘 대처하 지 못하면 자신에 대하여 실망하며 두려움과 슬픔 등 을 겪으면서 자아존중감이 낮아

:,,,. (,, ), (,,,, ),,. 559 ( 205, 203, 151; 132, 427).,,,.,.,,,,.,,,,..,. :,, ( )

16(1)-3(국문)(p.40-45).fm

878 Yu Kim, Dongjae Kim 지막 용량수준까지도 멈춤 규칙이 만족되지 않아 시행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MTD의 추정이 불가 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 SM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O Quigley 등 (1990)이 제안한 CRM(Continu

DBPIA-NURIMEDIA

<BAB8B0C7B1B3C0B0B0C7B0ADC1F5C1F8C7D0C8B8C1F632392D31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view of Research

03이경미(237~248)ok

상담학연구 * ,. SAS,,, Sobel test., (,, ), (, ), (, ) (,, ).,,,.,.. * (Corresponding Author): / / / Tel: / j

05_최운선_53~67,68.hwp

한 실정이다. 이에 직업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만성 정신질환자 를 대상으로 회복경험을 탐구하는 것은 간호의 핵심인 대상자의 경험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지역정신보건 사업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만성 정신질환자의 재활을

<30392EB9DAB0A1B6F72CC1A4B3B2BFEE2E687770>

< C1A4BDC5B0A3C8A320B3BBC1F62DC3D6C1BE2E687770>

.,,,,,,.,,,,.,,,,,, (, 2011)..,,, (, 2009)., (, 2000;, 1993;,,, 1994;, 1995), () 65, 4 51, (,, ). 33, 4 30, (, 201

<35BFCFBCBA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626BBBE7B7CAB0FCB8AEC1F6C4A7BCAD30332E687770>

<BFCFBCBA30382DC0AFC0E7BCF82E687770>

Abstract Background : Most hospitalized children will experience physical pain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ress. Painful procedure can increase anxie

,......

158 백선숙 하은호 류언나외 1 인 우울은슬픈감정, 외로움의정서적증상으로매사에의욕과흥미를잃게하고문제해결능력을저하시킨다. 또한대인관계나사회생활의적응을어렵게하며정서적, 행동 신체적증상등의다양한기능장애를가져온다 (Ross et al., 2005). 특히우리나라대학생이경험하

손정남 알수있다. 청소년기는신체적으로나정서적으로급격히변화하여 정서적으로불안하고행동이과격해지거나극단적으로흐 르기쉽다. 이러한심리적특성때문에다양한스트레스에 노출될경우효과적으로대응하는능력이성숙하지못하면 자살과같은극단적인행동을하게된다 (Kim, 2008). 스위스의전청소년기에

Rheu-suppl hwp

도비라

27 2, * ** 3, 3,. B ,.,,,. 3,.,,,,..,. :,, : 2009/09/03 : 2009/09/21 : 2009/09/30 * ICAD (Institute for Children Ability

DBPIA-NURIMEDIA

???? 1

DBPIA-NURIMEDIA

09구자용(489~50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 C1A4BDC5B0A3C8A320B3BBC1F62DC3D6C1BE2E687770>

( )Kjhps043.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09È«¼®¿µ 5~152s

hwp

., (, 2000;, 1993;,,, 1994), () 65, 4 51, (,, ). 33, 4 30, 23 3 (, ) () () 25, (),,,, (,,, 2015b). 1 5,

<352EC7E3C5C2BFB55FB1B3C5EBB5A5C0CCC5CD5FC0DABFACB0FAC7D0B4EBC7D02E687770>

<31372DB9CCB7A1C1F6C7E2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Relationship Betw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Ac

<353420B1C7B9CCB6F52DC1F5B0ADC7F6BDC7C0BB20C0CCBFEBC7D120BEC6B5BFB1B3C0B0C7C1B7CEB1D7B7A52E687770>

44-4대지.07이영희532~

<32302D3320C1F6BFAABBE7C8B8B0A3C8A3C7D0C8B8C1F620B8F1C2F72E687770>

歯4차학술대회원고(황수경이상호).PDF

Transcription:

정신건강간호학회지제19 권, 제2 호, 2010년 6월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Vol. 19, No. 2, 205-211, June, 2010 지역사회거주만성정신질환자의희망, 우울및 자살사고의관계 한금선 1 2 2 3 4 5 박영희 임희수 주기영 배문혜 강현철 고려대학교간호대학교수 1, 대학원박사과정 2, 안산시정신보건센터팀장 3, 두원공과대학간호과교수 호서대학교정보통계학과교수 5 4, Hope,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Chronic Mental Illness Patients Han, Kuem-Sun 1 Park, Young-Hee 2 Im, Hee-Su 2 Ju, Gi-Young 3 Bae, Moon-Hye 4 Kang, Hyun-Chul 5 1 Professor, 2 Doctoral Student, College of Nursing, Korea University, 3 Team Manager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4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Doowon Technical College, 5 Senior Lecturer, Department of Informational statistics, Hoseo University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hope,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patient with chronic mental illness pati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188 patient with chronic mental illness in a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27 2009 to August 21, 2009.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re was found significant and negative correlation among hope and suicidal ideation; significant and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 significant and negative correlation among hope,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Depression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suicidal ideation. Conclusion: Hope,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chronic mental illness patients, an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ir relationships. Based on the outcome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sign an intervention program that emphasizes increasing the hope and decreasing depress in order to decrease suicidal ideation. Key Words: Chronic mental illness, Hope, Depression, Suicide 1. 연구의필요성 서 론 통계청(2007) 의조사에따르면우리나라는 OECD 가입 국중자살률 1 위국가이다. 이러한통계자료가의미하듯 최근잇따른사회주요인사들의자살과이를모방한자살 이이어지면서자살은우리가당면한큰사회적문제라는 공감대를형성하고있다. 2007년국내자살률은인구 10만 명당 24.8명으로 1997년 13.1명과비교하면 52% 이상증가 하였으며, 국내전체사망자의사망원인순위에있어서도 자살은 4위로지난 10년동안자살로인한사망률은다른사 망원인에비해급속도로증가하고있다. 이와같이자살률 은매년증가하고있으며더큰문제는자살이가족과사회 에미치는충격과파급효과가크다는것이다. 특히자살은정신장애와밀접한관계를가지고있다. 자 살은정신장애를가진환자의높은사망률의중요한원인이 며, 거의모든정신장애는자살위험을증가시킨다(Jae, 주요어 : 만성정신질환자, 희망, 우울, 자살 Address reprint requests to: Park, Young Hee, College of Nursing Korea University, 136-1 Anam-dong, SungBuk-gu, Seoul 136-705, Korea. Tel: 82-2-3290-4910, Fax: 82-927-4676, E-mail: gml34@korea.ac.kr - 본연구는고려대학교간호대학연구비지원으로수행되었음. - This study was supported by the Korea University Research Fund. 투고일 2010년 3월 3 일 / 수정일 1 차: 2010년 6월 9 일, 2 차: 2010년 6월 14 일 / 게재확정일 2010년 6월 14일 Vol. 19, No. 2, 2010 205

한금선 박영희 임희수등 2004). 우리나라는정신질환유병률이매우높으며대부분 의정신질환자들은단기간에완치되는경우가드물고지속 적인증상과반복된재발을통해만성화과정을거치게된 다는점에서자살은더욱심각한문제로고려된다. 정신과 적병력과자살과의관계에서자살기도자의 95.0% 가정신 장애를진단받았으며정신과환자에서의자살위험도는일 반인에비해 3~12 배정도높다(Min, 2006). 자살은정신과 환자에게있어서최악의임상적인결과이므로자살위험을 예측하고예방하는것은매우중요한일이다. 따라서최근 에는자살사고로자살의위험성을예측하려하고있으며, 자살사고는자살시도, 자살행위로이어지는연속적인범위 로보았다 (Harwood & Jacoby, 2000). 자살행동과밀접한관련이있는정서적요인으로우울이 있으며, 자살은주요우울장애의핵심증상중의하나로, 자 살자의 60.0% 가우울증과연관이있는것으로보고되고있 다(Lang & Hensrud, 1996). 우울증이있다고해서반드시 자살을하는것은아니지만매년자살을시도하는 7만여명 중우울로인한자살시도가약 80.0% 에달하고있다(Korean Association for Suicide Prevention, 2006) 는점에서우울과 자살간의상호관련성에주목할필요가있다. 또한우울장 애환자의약 15.0%, 정신분열병환자의약 10.0%, 불안장 애환자의약 11.0%, 양극성장애환자의약19.0% 가자살로 생을마감하는것으로알려져있다(Jae, 2004). 이는정신질 환과자살간의관련성을시사하고있다. 정신질환의경험에대한환자들의자가보고 (Gallo, 1994) 와체험연구(Czuchta & Johnson, 1998) 는낙인, 소외, 정신 적아픔, 한계성의삶, 복합적상실, 만성적슬픔등으로표 현되는정신질환을가지고살아가야하는사람의고투를잘 보여주고있다. 이런가운데 Steen (1996) 의연구는정신질 환자들의삶의궤적에서희망으로향하는전환점을발견한 매우의미있는결과를제시하며, 정신질환자의회복은생 물학적 의학적접근뿐아니라인간에대한전인적인이 해를바탕으로상처를치유하고희망을북돋우어줄때극 복될수있다는것을시사한다. 정신건강분야에서희망은 정신요법을성공적으로이끄는열쇠로여겨졌고, 정신장애 에있어서매우중요한중재수단인정신사회재활과정에서 회복으로나아가기위해없어서는안될필수요건으로여 겨져왔으며(Anthony, Cohen, & Farkas, 1990), 희망이정 신질환을앓고있는환자와가족에게회복의필수적인요 소라는것은여러연구들에서거듭강조되고있다 (Ahern & Fisherm 2001). 따라서만성정신질환자의희망과우울정도는자살사고 와상관관계가있을것으로사료된다. 이에본연구는만성 정신질환자를대상으로희망, 우울, 자살사고의정도를확 인하고, 희망, 우울, 자살사고간의상관관계를규명함으로 써앞으로만성정신질환자의자살예방에대한간호중재전 략의기초자료를제공하고자시도되었다. 2. 연구목적 본연구의목적은만성정신질환자의희망, 우울, 자살사 고간의관계를파악하는데있으며구체적인목적은다음과 같다. 만성정신질환자의희망, 우울, 자살사고의정도를파 악한다. 만성정신질환자의희망, 우울, 자살사고간의관계를 파악한다. 만성정신질환자의자살사고정도에영향을미치는요 인을파악한다. 1. 연구설계 연구방법 본연구는만성정신질환자가지각한희망, 우울, 자살 사고간의관계를파악하기위한서술적상관관계연구 이다. 2. 연구대상및표집방법 본연구의대상자는만성정신질환자로서 DSM-IV의진 단기준에따라정신질환으로진단받은후경기도 A시에소 재하는정신보건센터에등록된회원들을편의추출하여 200명을대상으로 2009년 7월 27일부터 2009년 8월 21일까 지설문조사를시행하였다. 질문지회수율은 100% 였으며, 회수된질문지중질문지의완성도가낮은 12부를제외한 188 부를분석하였다. 본연구의대상자수는유의수준 는.05, 효과크기 1.00, 검정력.80로하였을때 43명의대상자 가필요하므로(Cohen, 1987), 본연구의대상자수는적정 한것으로확인되었다. 연구대상자의구체적인기준은다 음과같다. 만 18세이상 65세이하의성인 206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지역사회거주만성정신질환자의희망, 우울및자살사고의관계 만성정신질환으로진단받고유병기간이최소 2년을경 과하여치료중인자. 국문해독이가능하며질문지의내용을이해하고의사 소통이가능한자. 본연구의목적을이해하고연구에참여하기를수락 한자. 3. 연구도구 1) 희망 Snyder 등(1996) 에의해개발된상태희망척도는모두 6문항으로이루어져있으며경로사고요인 3 문항, 주도적 사고요인 3 문항으로구성되어있다. 본연구에서는 Kim (2004) 이수정하여사용한희망척도를사용하였다. 이희망 척도는일반적인자신의생각을질문한것으로 Kim (2004) 의연구에서희망척도의전체신뢰도는 Cronbach's =.86, 경로사고신뢰도가 도가 Cronbach's =.80, 주도적사고신뢰 Cronbach's =.77 로나타났다. 본연구에서사용된 희망척도는총 18 문항으로구성되었으며, Cronbach's =.81 이었다. 최고점수는 70 점, 최저점수는 38점이며점수 가높을수록희망이높음을의미한다. 2) 우울 Beck, Ward, Mendelson, Mock과 Erbaugh (1961) 가개 발한 Beck 의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를 Shin, Kim과 Park (1993) 이수정한것으로우울증의인 지적, 정서적, 신체적그리고행동적증상들을포함하는 21 문항으로이루어진자가보고형척도이다. 각문항은증상 의심한정도에따라 4점척도로점수가높을수록우울정도 가심한것을의미한다. Shin 등(1993) 의연구에서신뢰도 는 Cronbach's =.90이었으며본연구에서 Cronbach's =.78 이었다. 3) 자살사고 Beck, Kovacs와 Weissman (1979) 이개발한자살사고 척도(Scale for Suicidal Ideation, SSI) 는자살시도전의자 살에대한심각성을측정하는도구로자살에대한생각이 반드시자살시도를이끌지는않지만검사결과는이후에보 인자살행동의중요한예언지표가될수있고, 자살위험에 대한임상가의평가와높은상관관계가있음이보고되었다 (Beck et al., 1979). 본연구에서는 Beck 등(1979) 이개발한 SSI를 Shin, Park, Oh와 Kim (1990) 이자가보고형질문지 로변형시킨것으로 3점척도의 19문항으로구성된도구이 며점수가높을수록자살사고정도가높은것을의미한다. Shin 등(1990) 의연구에서신뢰도는 Cronbach's =.91이 었으며본연구에서 4. 자료분석 Cronbach's =.85 이었다. 수집된자료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통해전산처 리하였다. 만성정신질환자의일반적특성은빈도와백분율을구 하였다. 만성정신질환자가지각한희망, 우울, 자살사고의정 도는평균과표준편차를구하고, 범위를제시하였다. 만성정신질환자의자살과희망, 우울간의상관관계를 파악하기위하여 구하였다.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를 만성정신질환자의자살에영향을미치는요인은단계 적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 하였다. 1. 대상자의일반적특성 연구결과 대상자의인구학적특성으로성별, 연령, 경제상태, 동거 상태, 종교, 진단명, 입원횟수, 정신장애등급, 단순정신과 적평가척도(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 BPRS), 전반적 기능평가척도(Global Assessment Function, GAF) 등을 조사하였다. 성별은남자가 115 명(61.2%), 여자가 73명 (38.8%) 이었다. 연령은 10~19세가 5 명(2.7%), 20~29세가 22 명(11.7%), 30~39세가 54 명(28.7%), 40~49세가 63명 (33.5%), 50~59세가 35 명(18.6%), 60세이상이 9 명(4.8%) 으로나타났다. 경제상태는상위수준이 108 명(57.5%), 중 위수준이 70 명(37.2%), 하위수준이 10 명(5.3%) 이었다. 동 거가족은가족과동거하는경우가 151 명(80.3%), 독거인 경우가 22 명(11.7%), 기타 15 명(8.0%) 의순으로나타났으 며종교는기독교와무교가각 79 명(42.0%) 으로대다수를 차지하였고, 천주교가 15 명(8.0%), 불교가 8 명(4.3%) 로나 타났다. 진단명은정신분열병이 156 명(83.0%) 로가장많았 고, 양극성장애가 18 명(9.6%), 우울증이 14 명(7.4%) 의순 으로나타났다. 입원횟수는 1회가 56 명(29.8%), 2~5회입 Vol. 19, No. 2, 2010 207

한금선 박영희 임희수등 Table 4. Predictors of Suicidal ideation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N=188) Variable R R 2 β t p Depression.53.45.05 11.39 <.001 원이 93 명(49.5%), 6~10회입원이 31 명(16.5%), 11회이상 입원경험이 8 명(4.3%) 이었다. 장애등급을받은경우가 91 명(48.4%), 장애등급을받지않은경우가 97 명(51.6%) 이었 다. 대상자의정신병리평가척도인 BPRS는 36.3±13.02으 로정신병리적인증상이약간의심되는수준이었다. 대상 자의전반적기능평가척도인 GAF는 57.2±12.86 중간정 도수준으로사회적, 직업적, 학교기능에서의중간정도어 려움이있는것으로나타났다 (Table 1). 2. 연구변수의서술적통계 만성정신질환자의희망정도는평균 3.1±0.55 점( 범위 1~5) 으로나타났으며우울정도는평균 1.7±0.57 점( 범위 0~3) 이었다. 자살사고는평균 0.5±0.45 점( 범위 0~2) 로나 타났다 (Table 2). 3. 희망, 우울, 자살사고간의상관관계 만성정신질환자의희망, 우울이자살사고와상관관계가 있는지를알기위해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분 석한결과는 Table 3 과같다. 만성정신질환자의희망은자 살사고와역상관관계가있고 (r=-.17, p=.019), 우울은자살 사고와순상관관계가있었다 (r=.67, p<.001). 즉희망수준 이낮을수록우울정도가높을수록자살사고정도가높음을 의미한다. 4. 대상자의자살사고에영향을미치는요인 만성정신질환자의희망, 우울이자살사고에미치는영향 을알아보기위해단계적다중회귀분석을실시한결과는 Table 4 와같다. 만성정신질환자의자살사고에대한유의 한예측요인은우울 (β=.05, t=11.39, p<.001) 이었으며, 44.7% 의설명력을나타냈다. 논 의 Characteristics Categories n (%) or M±SD Gender Male Female Age 10~19 20~29 30~39 40~49 50~59 60 Economic status Residence with Religion DSM-IV diagnosis Number of admission Disorder grade Higher Middle Lower Family Alone Others Christian Buddhism Catholic Have not Schizophrenia Bipolar disorder Major depression disorder Once 2~5 6~10 11 Yes No 115 (61.2) 73 (38.8) 5 (2.7) 22 (11.7) 54 (28.7) 63 (33.5) 35 (18.6) 9 (4.8) 108 (57.5) 70 (37.2) 10 (5.3) 151 (80.3) 22 (11.7) 15 (8.0) 79 (42.0) 8 (4.3) 15 (8.0) 79 (42.0) 156 (80.3) 18 (9.6) 14 (7.4) 56 (29.8) 93 (49.5) 31 (16.5) 8 (4.3) 91 (48.4) 97 (51.6) BPRS 36.3±13.02 GAF 57.2±12.86 BPRS=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 GAF=global assessment function. Table 2. The Degree of Hope,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N=188) Variables M±SD Range Hope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Table 3. Correlation of Hope,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N=188) Variables Hope Depression SI SI=suicidal ideation. Hope Depression SI r (p) r (p) r (p) 1.00 -.27 ( <.001) -.17 (.019) 3.1±0.55 1.7±0.57 0.5±0.45 1.00 1~5 1~4 0~2.67 ( <.001) 1.00 208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지역사회거주만성정신질환자의희망, 우울및자살사고의관계 본연구에서는만성정신질환자들을대상으로희망, 우 울, 자살사고를조사하고희망과우울이자살사고에미치는 영향을파악하였다. 연구결과, 만성정신질환자의자살사고 는희망, 우울과높은상관성을보였다. 또한만성정신질환 자에게희망과우울이자살사고에미치는영향을알아보기 위해단계적다중회귀분석을실시한결과만성정신질환자 의자살사고에유의한예측요인은우울이었으며, 44.7% 의 설명력을나타냈다. 본연구에서나타난주요한결과들을 중심으로다음과같이논의하고자한다. 첫째, 본연구에서만성정신질환자들을대상으로희망 점수를조사한결과평균 3.1점으로자살사고혹은자살시 도등을연구한선행연구에서희망과관련하여보고한논문 이없으므로본연구에서나타난희망의점수와비교는어 려운실정이다. 본연구에서와같은희망측정도구를사용 한 Kim (2004) 의연구에서학교부적응청소년의평균희망 점수가 3.3 점으로보고되어, 본연구대상자인만성정신질 환자의희망정도가낮은편에속하는것을알수있다. 여러 연구자들은희망이정신요법을성공적으로이끄는주요요 소이며, 정신질환으로부터회복으로나아가는데없어서는 안될정신사회재활의필수요건으로여기고있다. 정신분 열병은불치병이아니라, 시간이지날수록호전될수있는 질병이며, 본질적으로장기적인질병과정을거친후에는 많은사례가상당수준혹은완전히회복된다는결과를보 여주어(Kruger, 2000), 정신분열병환자에게회복에대한 새로운희망을제시해주고있다. 본연구의결과만성정신 질환자의희망과자살사고간의상관성을조사한결과, 유 의한역상관관계가있는것으로나타나희망수준이높을수 록자살사고정도가낮음을의미하였다. 이는 Hyun, Lee와 Park (2003) 의연구에서청소년의희망과정신건강문제는 역상관관계가있어, 희망점수가높을수록정신건강점수가 높다고보고한것과그결과가일맥상통한다. 또한 Choe, Kim과 Noh (2005) 의연구에서정신분열병환자의희망개 념분석을통해희망없음으로인한사고의부정적결과로 서자살사고, 행동의부정적결과로인한자해및자살을보 고하였으며, 여러문헌에서우울이나자살과같은행위가 희망의부재와매우밀접한관련이있음을강조하여 (Cutcliffe & Herth, 2002) 본연구와일치된결과를보였다. 이와같이희망은정신장애를가진환자의높은사망률의 중요한원인인자살과밀접한관련을가지고있으며, 정신 질환자들의회복에없어서는안될중요한요건으로여겨지 고있지만, 정신질환자들을대상으로희망을연구한국내 연구들을살펴보면희망의영향요인분석(Hong, 2001), 희 망의개념분석 (Choe et al., 2005), 희망측정도구개발예 비연구(Choe et al,, 2006), 희망과사회적지지, 삶의질과 의관계연구(Jeong, 2008) 가있으며, 연구는활발하게진행 되고있는않은실정이다. 본연구에서만성정신질환들에 게희망과자살과의관계를규명함으로써희망의중요성이 더욱강조되는계기가되며, 만성정신질환자들이회복을향 한희망을고취시킬수있는프로그램을개발하여제공하는 것이필요하다고사료된다. 둘째, 우울은가장흔한정신과적문제로보고되고있으 며, 본연구에서만성정신질환자들을대상으로우울점수를 조사한결과우울정도는평균 1.7점으로 Beck 등(1961) 의 우울정도분류에따르면심한우울상태에속한다. 만성정 신질환자의우울과자살사고간의상관성을조사한결과, 두변인간에유의한수준의높은상관성을보여, 우울은자 살사고와순상관관계를보여우울수준이높을수록자살사 고의수준이높은것으로이해할수있다. 이는자살자의 90.0% 이상에서정신질환이있고주요우울증이 60.0~70.0% 이었다는보고(Roberts, Yeager, & Seigel, 2003) 와관련성 이있으며, 자살사고는자살시도, 자살행위로이어진다는 맥락에서살펴볼때많은선행연구에서정신질환자의우울 증상과자살행동은밀접한관련성이있다는연구결과 (Schwartz & Cohen, 2001; Lee, 2002) 와일치한다. 또한우 울이높을수록자살사고가높아진다는본연구의결과는 자살의예측인자를밝히기위해자살시도자를대상으로 진행된국내외의다양한연구들에서우울증, 조울증, 정신 분열병및성격장애등의정신질환병력을자살의가장큰 위험요인으로보고한연구들 (Oquendo, Malone, & Mann, 1997; Qin, Agerbo, Westergard-Nielsen, Eriksson, & Moertensen, 2000) 을뒷받침한다. 셋째, 본연구에서만성정신질환자의자살사고는평균 0.5 점으로보고되었다. 이는 Shin 등(1990) 의연구에서일 반인을대상으로자살사고를조사한결과보다높은점수 로서일반인과비교하여만성정신질환자의자살사고가더 높은것을알수있다. 만성정신질환자의자살사고에영향 을미치는요인을확인한결과, 만성정신질환자의우울이 44.7% 의설명력을갖고있는변수로나타났다. 이러한소견 은우울이만성정신질환자의자살사고에영향을미치는중 요한지표임을반영하고있다. 그러므로자살사고가자살 행동으로이어진다는맥락에서살펴볼때, 우울이만성정신 질환자의자살위험성을사정하는데있어일차적위험요소 Vol. 19, No. 2, 2010 209

한금선 박영희 임희수등 로규명할수있겠다. 본연구에서만성정신질환자의희망과우울이자살사고 와높은상관성을가질뿐만아니라우울이자살사고의유 의한예측요인이라는결과에비추어볼때, 간호사들은임상 이나지역사회에서만나는만성정신질환자들을간호함에 있어희망수준을높이는중재를시행하고, 우울을면밀히 사정함으로써대상자의자살사고를예측할수있으리라고 본다. 특히정신질환자들의경우자기표현이서투른경우 가많아우울은표현되어지지못하고, 정신질환증상의일 부로여겨지는경우가많아서정신질환자의우울사정은어 려운일이다. 따라서만성정신질환자의우울을민감하게 사정하고, 치료하는것은매우중요한일이라고하겠다. 그 러므로만성정신질환자를대상으로희망을증진시키고, 우 울을민감하게사정하여중재하는것은자살을예방하고통 제하는중요한수단이될수있을것이다. 또한우울을효과 적으로관리하여궁극적으로만성정신질환자의자살을방 지할수있는간호중재의개발이필요하며그효과에대한 추후연구가요구된다. 결 론 본연구는만성정신질환자의자살예방을위한간호중재 개발의지침을제공하기위해만성정신질환자의희망, 우울 과자살사고간의관계를규명하고자한서술적상관관계연 구이다. 본연구결과, 만성정신질환자의희망정도는평균 3.1 점, 우울정도는평균 1.7점으로중앙값보다약간높은편이었 으며, 자살사고정도는 0.5점으로중앙값보다낮게나타났 다. 또한만성정신질환자의희망과자살사고간에는유의 한수준의역상관관계가있고, 우울은자살사고와유의한 수준의강한순상관관계를보였다. 그리고만성정신질환자 의자살생각에영향을주는가장중요한예측요인은우울 (44.7%) 로나타났다. 결론적으로만성정신질환자의희망과우울자살사고는 중간수준에해당하는것으로나타났다. 이들의자살사고 는희망, 우울과높은상관성을보였으며특히우울은만성 정신질환자의자살사고에유의한예측요인으로나타났으 므로, 간호사들은만성정신질환자를간호함에있어우울을 주요간호문제로다루어면밀히사정해야하며, 희망과우 울등을자살사고와관련지어이해하는것이결과적으로자 살을예방할수있는중요한간호과정임을시사하고있다. REFERENCES Ahern, L., & Fisher, D. (2001). Recovery at your own pace. Journal of Psychosocial Nursing & Mental Health Services, 39(4), 22-31. Anthony, W., Cohen, M., & Farkas, M. (1990). Psychiatric rehabilitation journal. Boston: Center for Psychiatric Rehabilitation. Beck, A. T., Ward, C. H., Mendelson, M., Mock, J., & Erbaugh, J. (1961).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 561-571. Beck, A. T., Kovacs, M., & Weissman, A. (1979).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al ide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 343-32. Choe, K. S., Kim, H. J., & Noh, C. H. (2005). Hope in people with schizophrenia: Concept clarifi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4(4), 417-427. Cutcliffe, J., & Herth, K. (2002). The concept of hope in nursing 2: Hope and mental health nursing. British Journal of Nursing, 11(13), 885-893. Czuchta, D. M., & Johnson, B. A. (1998). Restructuring a sense of self in the patient with chronic mental illness. Perspectives in Psychiatric Care, 34(3), 31-36. Gallo, K. M. (1994). First person account: Self- stigmatization. Schizophrenia Bulletin, 20(2), 407-410. Harwood, D., & Jacoby, R. (2000). Suicidal behavior among the elderly. In Keith Hawton (Ed.), The international handbook of suicide and attempted suicide. John Wiley & Sons. Ltd. Hong, J. A. (2001). The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f psychiatric inpatients' hope.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Seoul. Hyun, M. Y., Lee, J. E., & Park, S. N. (2003). A study on the adolescents' hope and mental healt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2(2), 116-123. Jae, Y. M. (2004). Suicide and psychiatric disorder.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10(1), 3-10. Jeong, H. K. (2008). Relationships among schizophrenic patients' hope, social support, and the quality of 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Johnson, M. (1998). Being mentally ill: A phenomenological inquiry. Archives Psychiatric Nursing, 12(4), 195-201. Kim, T. H. (2004). The effects of hope and meaning of life on adolescent's resili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n association for suicide prevention. (2006, September). Release copy of Korean association for suicide prevention Web site: http://www.suicideprevention.or.kr/notice/notice_ 210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지역사회거주만성정신질환자의희망, 우울및자살사고의관계 02_view.htm?idx=16&article_num=12&bbs_id=notice_02 &bbs_kind=notice Kurger, A. (2000). Schizophrenia: Recovery and hope. Psychiatric Rehabilitation Journal, 24(1), 29-37. Lang, R. S., & Hensrud, D. D. (1996). Clinical preventive medicine (2nd ed.). Chicago: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Lee, E. S. (2002). Construction of structural model about adolescent's alienation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Min, S. G. (2006). Modern psychiatry. Seoul: Ilchokak. Oquendo, M. A., Malone, K. M., & Mann, J. J. (1997). Suicide: Risk factor and prevention refractory major depression. Depress Anxiety, 5, 202-211. Park, H. S., Koo, H. Y., & Schepp, K. G. (2005). Predictors of suicidal ide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by gender South Korea. Journal of School Health, 76 (5), 181-188. Qin, P., Agerbo, E., Westergard-Nielsen, N., Eriksson, T., & Moertensen, P. B. (2000). Gender differences in risk factors for suicide in Denmark.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77, 546-550. Roberts, A. R., Yeager, K., & Seigel, A. (2003).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comorbid depression, substance abuse, and suicide attempts: Clinical presentations, assessments, and treatment. Brief Treatment and Crisis Intervention, 3(2), 145-168. Schwartz, R. C., and Cohen, B. N. (2001). Psychosocial correlates of intent among patients with schizophrenia. Comprehensive Psychiatry, 42(2), 118-123. Shin, M. S., Kim, Z. S., & Park, K. B. (1993). The cut-off score for Korean version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2(1), 71-81. Shin, M. S., Park, K. B., Oh, K. J., & Kim, Z. S. (1990). A student of suicidal ide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 structural relation among depression, hopelessness, and suicidal ideation.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9(1), 1-19. Statistics Korea (2008). Statistics Annual Report. Unpublished manuscript. Steen, M. (1996). Essential structure and meaning of recovery from clinical depression for middle-adult women: Phenomenological study.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15, 359-371. Synder, C. R., Sympson, S. C., Ybasco, F. C., Border, T. F., Babyak, M. A., & Higgins, R. L. (199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tat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 321-335. Vol. 19, No. 2, 2010 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