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 ( 感染病, infectious disease) = contagious disease, communicable disease 세균, 스피로헤타, 리케챠,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과같은병원체에의해감염되어발병하는질환

Similar documents
@12호-end2

°Ç°�°úÁúº´6-2È£

제5호-9차

°Ç°�°úÁúº´5-44È£ÃÖÁ¾

768 PUBLIC HEALTH WEEKLY REPORT, KCDC 있으며, 국제적 정보 공유 및 국내 수행 임상시험과 임상연구의 우수성을 홍보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II. 몸 말 임상연구정보서비스시스템(CRIS)에는 임상연구의 종류 (중재연구,

15호-출력


제33호-7차


제3호-최종

도쿄도 감염증 주보

제17호

Lee DK Current status of infectious disease vectors Table 1. Reported cases of national infectious diseases from vectors in the Republic of Korea from

제7호 6차

°Ç°�°úÁúº´6-13È£ÀÛ¾÷

untitled

°Ç°�°úÁúº´6-24È£

Àü¿°º´ °¨½Ã¿¬º¸.PDF

예방접종관리과

제9호

Ⅰ Ⅱ Ⅲ. 1. (Life Cycle) 2. ( ) Ⅳ. Ⅴ

슬라이드 1

7권30호-웹.indd

<B1E2BBFDC3E6C7D02E687770>

Vol. 8 No. 16 PUBLIC HEALTH WEEKLY REPORT, KCDC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매개작은소피참진드기의특성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Haemaphysalis longicornis (Acari: Ixodidae), a

½Ç°ú¸Ó¸®¸»¸ñÂ÷ÆDZÇ(1-5)¿Ï

발간등록번호 : NIBR NO

ISSN: X PUBLIC HEALTH WEEKLY REPORT, PHWR Vol.10 No CONTENTS 0442 국내생물안전 3 등급연구시설설치 운영및안전관리현황 년의료기관종사자대상결핵역학조사결

untitled

pissn X eissn PUBLIC HEALTH WEEKLY REPORT, PHWR Vol.11, No.42, 2018 CONTENTS 년만 1-3 세어린이정기예방접종의완전접종률현황 1417

2010도통계표지도큐

추정되는국외유입감염병사례와현재대부분의여행객들이이용하는항공편중직항을통해국내에들어오는입국자수의비교를통해서주요지역별, 국가별감염병발생률을추정해보고자하였다. 이를통해어느국가여행객을대상으로감염병예방관련홍보를집중해야하는지, 의료기관에서해외여행력확인시어떠한국가들에주의를기울여야하는지

SARS 유입 및 전파 방지 대책

Special Issue

(1-5장)바이오백서8.6-최종

Vol.8 No ISSN: X PUBLIC HEALTH WEEKLY REPORT, PHWR CONTENTS 0870 신변종바이러스확인진단에서세포배양의중요성과의의 년감염병감시체계운영결과 0886 해외여

주간건강과질병 제 9 권제 11 호 국민건강영양조사구강검사질관리소개 질병관리본부질병예방센터건강영양조사과이혜린, 오경원 * * 교신저자 : / Abstract Quality control of oral health ex

관광정책-38호1부.indd



주간건강과질병 제 11 권제 15 호 연구논문, Research article 미세먼지의건강영향과건강보호수칙 질병관리본부기획조정부미래감염병대비과조현정, 박성우, 이희일, 이상원 * * 교신저자 : Health effec

주간건강과질병 제 12 권제 16 호 연구단신, Brief report 년국내표본감시기관의료관련감염병 ( 항생제내성균 6 종 ) 발생현황 질병관리본부감염병관리센터의료감염관리과이승재, 이은주, 박현정, 이상은, 김성남, 이형민 * * 교신저자 : s

수출입 동 식물 검역기술 동향 로 방제하고 있다. 종자 묘목 구근류 등의 종묘류는 각종 병해충의 부착 또는 잠복 가능성이 높고 부착되는 병해충은 활물기생이 많아 국내에 정착 및 확산될 가능성이 높아 식물검역에서는 이들 종묘류에 대해 철저한 검역을 실시하고 있다. 초기의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e01.PDF

주간건강과질병 제 12 권제 1 호 연구단신, Brief report 앙코르와트여행자에서발생한유비저감염사례 질병관리본부감염병관리센터감염병감시과이신영, 이지연, 조은희 * * 교신저자 : A case with melioi

pissn X eissn PUBLIC HEALTH WEEKLY REPORT, PHWR Vol.10 No CONTENTS 년공수병예방을위한국내동물교상환자감시현황 년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건강과질병4-42호-1

위장관기생충질환 필자가 삼성서울병원 건강의학센터에서 년부터 년까지 년간 수진자 평균 연령 ± 세 의 대변검사를 분석하였을 때 충란 양성률은 였다 연도별로 보면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로 지속적인 상승하였다 년에 평균 배씩 증가하는 추세였다 먼저 기생충에 대한 개념부터

pissn X eissn PUBLIC HEALTH WEEKLY REPORT, PHWR Vol.12, No. 10, 2019 CONTENTS 년예방접종이상반응신고및피해보상현황분석 0274 통계단신

<30322EC6AFC1FD30342DC1A4B9AEC7F62E687770>

pissn X eissn PUBLIC HEALTH WEEKLY REPORT, PHWR Vol.11, No CONTENTS 년국내일본뇌염실험실검사현황 0949 감염병실험실검

3

454 MD Oh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in Korea 환에 대해서 추가하였 쯔쯔가무시병 레지오넬라증 레지오넬라증은 1976년에 미국 필라델피아의 한 호텔에서 개최된 재 향군인대회(American Regio

∞«∞≠∞˙¡˙∫¥_4-5»£-3¬˜

예방접종

주간건강과질병 제 11 권제 1 호 연구논문, Research article 216 년국내급성설사질환원인바이러스실험실감시현황 질병관리본부감염병분석센터바이러스분석과조승례, 이덕용, 강춘 * * 교신저자 : Result

Vol. 3 No. 4 THE KOREAN SOCIETY OF INFECTIOUS DISEASES December 2016 NEWS LETTER 02 회원 공지 사항 04 학회지 소식 05 추계학술대회 스케치 06 해외 연수기 07 학회주관 연구과제 소개 08 회원 동

건강과질병4-42호-1

Microsoft PowerPoint - 9.윤나라

건강과질병-6권28호-color.indd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식품 위생학

pissn X eissn PUBLIC HEALTH WEEKLY REPORT, PHWR Vol.11 No CONTENTS 년국내엔테로바이러스실험실표본감시결과 0188 식이보충제복용및영

2017 경기도감염병관리지원단교육 행사 1 월 2 월 3 월 경기도감염병관리지원단사무실이전 주소 : 경기도성남시분당구돌마로 172 분당서울대학교병원헬스케어혁신파크 4층, 4206 호연락처 : , 0301, 0308 팩스 :


K O R E A C E N T E R S F O R D I S E A S E C O N T R O L & P R E V E N T I O N PHWR Vol. 5 No 년 2 월 24 일제 5 권 / 제 8 호 / IS

<4D F736F F F696E74202D20BEE0C7B0B9CCBBFDB9B0C7D05FC1A637B0AD5FC0CCC3E6C8A3205BC8A3C8AF20B8F0B5E55D>

건강과질병-6권27호.indd

* ** *** ****

101호_화분매개곤충.hwp

24 구연 4 OD 의료관련감염 Prevalence of chlorhexidine resistance in staphylococci isolated from central line-associated bloodstream infection 전강일 서울

슬라이드 1


슬라이드 1

pissn X eissn PUBLIC HEALTH WEEKLY REPORT, PHWR Vol.12, No. 20, 2019 CONTENTS 년온열질환응급실감시체계운영결과 0639 일개노인요양시설

pissn X eissn PUBLIC HEALTH WEEKLY REPORT, PHWR Vol.11 No CONTENTS 0488 차세대염기서열분석법을이용한 A 형인플루엔자바이러스전장유전자생산 049

<4D F736F F F696E74202D B8A620C0CCBFEBC7D120B8C5B0B3B8F0B1E220B9E6C1A620B0FCB8AE BC8A3C8AF20B8F0B5E55D>

<C8ADB7C220C5E4C3EBC0E52E687770>

2 제 8 권제 1 호 있는질환이다. 국내비만유병률에대한국민건강영양조사의결과보고서에따르면최근 3년간남녀각각 36% 및 26% 수준으로유지되고있으며, 이러한비만은단순한개인의신체적문제뿐아니라당뇨, 고혈압, 관상동맥등주요만성복합질환의위험요인이기때문에더욱위험한질환이라볼수있다.

기후변화에따른담수호수생태계변화조사 및보전에관한연구 (Ⅲ) - 기후변화에따른유해남조류발생특성연구 - 물환경연구부유역생태연구팀 Ⅲ 2012

주간건강과질병 제 8 권제 40 호 우리나라청소년손상입원환자의역학적특성 년퇴원손상환자조사결과를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Injured Inpatients among Adolescents in Korea: the Results of Kor

주간건강과질병 제 권제 호 국내에서수행중인 26 년도국제항생제내성감시체계 (WHO Global Antimicrobial Surveillance System) 소개 질병관리본부감염병센터약제내성과김일환, 김승현, 이광준, 박찬 * * 교신저자 :

해외질병동향 대상지역관련질병주의사항 KAIST 클리닉 / 2015 년 6 월 서아프리카 - 기니 - 시에라리온 - 라이베리아 네팔 중동및아시아 - 사우디아라비아 - 카타르 - 한국 미주 - 미국 에볼라 지진에따른각종질병의위험 중동호흡기증후군 (MERS) 라싸열 * (

pissn X eissn PUBLIC HEALTH WEEKLY REPORT, PHWR Vol.11, No CONTENTS 0564 국내에서분리된비브리오패혈증균의유전학적다양성 0570 국내소아천식의클

Continuing Education Column J Korean Med Assoc 2016 June; 59(6): pissn / eissn

NIE Issue Report 18-02호(통권5호).hwp

< B3E220BCF6C1B7B1B8BAB4C1F6C4A72D56312E687770>

주의내용 주 의 이보고서는질병관리본부에서시행한학술연구용역과제의최종결과보고서입니 다 이보고서내용을발표할때에는반드시질병관리본부에서시행한학술연구용 역과제의연구결과임을밝혀야합니다 국가과학기술기밀유지에필요한내용은대외적으로발표또는공개하여서는아 니됩니다

<B4E3B9E8B0A1B0DD DB9E8C6F7C0DAB7E12E687770>

ISSN: X PUBLIC HEALTH WEEKLY REPORT, PHWR Vol.10 No CONTENTS 년성매개감염진료지침개정 0212 국내 C 형간염의현황과대책 0220 주요통계환자감시 / 전수

목 차 Ⅰ. 감염병현황과기본전략 1 1. 기본계획수립배경 2 2. 감염병발생현황 3 3. 정책환경및문제점 4 4. 정책추진방향 6 5. 비전과목표, 주요과제 성과지표 15 Ⅱ. 감염병별맞춤형대응 수인성 식품매개및접촉전파감염병 예방접종대상

VI. 감염관리의일반적지침 : 격리, 표준주의 감염구성요소 : 미생물, 민감한숙주, 미생물의전파 용어정의 - 격리 isolation : 질병의전파를막기위해사용되는방법 - 주의 precaution : 감염자나보균자, 감염이의심되는환자로부터다른환자나직원이감염되거나미생물이전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untitled

Á¦190È£(0825).hwp

pissn X eissn PUBLIC HEALTH WEEKLY REPORT, PHWR Vol.11 No CONTENTS 년국내메르스의심환자감시및대응결과 0128 탄저균 poly-γ-

Transcription:

감염병매개체의분류및생태 국립보건연구원질병매개곤충과

감염병 ( 感染病, infectious disease) = contagious disease, communicable disease 세균, 스피로헤타, 리케챠,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과같은병원체에의해감염되어발병하는질환

한국의법정감염병 (75) Level Ⅰ (6) Level Ⅱ (10) Level Ⅲ (19) Level Ⅳ (17) Level Ⅴ (6) Designated Group (17) Cholera, Typhoid Fever, Paratyphoid Fever, Shigellosis,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Infections, Hepatitis A Diphtheria, Pertussis, Tetanus, Measles, Mumps, Rubella, Polio, Hepatitis B, Japanese Encephalitis, Chicken Pox Malaria, Tuberculosis, Leprosy, Scarlet Fever, Meningococcal Meningitis, Legionellosis, Vibrio Vulnificus Sepsis, Epidemic Typhus, Murine Typhus, Scrub Typhus, Leptospirosis, Brucellosis, Anthrax, Rabies, Epidemic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Influenza,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AIDS), Syphilis, Creutzfeldt-Jacob s Disease (CJD) and Variant Creutzfeldt-Jakob s Disease (vcjd) Plague, Yellow Fever, Dengue Fever, Viral Hemorrhagic Fevers(Marburg Fever, Lassa Fever, Ebola Fever etc.), Smallpox, Botulism,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Avian Influenza (AI), Novel Swineorigin Influenza A (H1N1), Tularemia, Query Fever (Q Fever), West Nile Fever, Emerging Infectious Disease Syndrome, Lyme Disease, Tick-Borne Encephalitis, Melioidosis, Chikungunya Fever Ascariasis, Trichocephaliasis, Oxyuriasis, Clonorchiasis, Paragonimiasis, Intestinal Trematodiasis Hepatitis C, Hand-foot-and-mouth Disease, Gonococcal Infection, Chlamydial Infection, Chancroid, Genital Herpes,Condyloma Acuminata,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 Infection,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 Infection,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nfection, Multi-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MRPA) Infection, Multi-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MRAB) Infection,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 Infection, Intestine Infection, Acute Respiratory Infection, Imported Parasitic Diseases, Enterovirus Infection

감염경로 ( 感染經路, route of infection) 병원체가생체내에침입하기까지의경로 Ø 직접감염 - 접촉감염 : 성병등 - 비말감염 : 결핵, 인플루엔자등 Ø 간접감염 - 전파체 ( 물, 음식물, 토양등 ) 로부터의감염 : 이질, 콜레라등 - 전파동물 ( 모기, 파리진드기등 ) 로부터의감염 : 일본뇌염, 말라리아등

매개체 ( 媒介體, vector) 매개체 : 둘사이의어떤것을맺어주는것 ( 어학사전, NAVER) Vector (epidemiology): In epidemiology, a vector is any agent (person, animal or microorganism) that carries and transmits an infectious pathogen in to another living organis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매개종 (vector species): 동일분류군에속하는여러종가운데서도병원체가증식또는발육할수있는생리적특성을가지고있어서질병을전파시킬수있는특별한종 ( 이한일, 위생곤충학 )

매개체전파질환의관리 치료투약 (chemotherapeutic measure) 예방투약 (chemorprophylatic measure) 예방접종 (vaccination) 숙주동물방제 (host control) 매개체방제 (vector control)

곤충에의한피해 직접적피해 기계적외상 : 곤충이물때입는피부조직의파괴 이차적감염 : 기계적외상이나승저증부위에세균감염 체내기생 : 인체조직기생 ( 파리유충, 옴진드기, 여드름진드기 ) 자교시주입된이물질에대한감수성 : 타액에대한면역학적감수성이생겨다시물릴때일어나는과민반응 독성물질의주입 : 지네, 벌, 전갈, 독거미, 독나방등에의함 알레르기성질환 : 알레르기체질을가진사람이알레르기원이체내에들어왔을때발생하는증상 ( 알레르기원 : 먼지진드기, 깔따구, 바퀴등 )

간접적피해 기계적전파 : 병원체가곤충에의해기계적으로운반 - 주둥이와다리등체표에묻혀운반 - 섭취한후토해내거나배설하여운반 - 질환 : 장티프스, 파라티프스, 살모넬라증, 이질, 결핵, 흑사병, 나병, 생물학적전파 : 병원체가곤충의체내에서발육이나증식등생물학적과정을거친후전파 1 증식형 : 곤충체내에서수적증식 ( 흑사병, 뇌염, 황열, 발진티프스, 유행성재귀열, 뎅기열, 발진열등 ) 2 발육형 : 곤충체내에서발육만하는경우 ( 사상충증 ) 3 발육증식형 : 곤충의체내에서발육과증식을모두하는경우 ( 말라리아, 수면병 ) 4 경란형 : 증식형이나병원체가난소에서증식하여알을통해다음세대도병원체를보유하는경우 ( 쯔쯔가무시증, 홍반열등 ) 기생충의중간숙주역할 : 개조충과축소조충의중간숙주인개벼룩을삼켜감염 ( 물벼룩 - 메디나충과광절열두조충의중간숙주 / 게와가재는폐흡충의중간숙주 )

매개체전파질환및전파경로

[ 매개모기종 ] 중국얼룩날개모기 클레인얼룩날개모기 벨렌얼룩날개모기 레스터얼룩날개모기 가중국얼룩날개모기 말라리아 ( 삼일열말라리아 )

[ 매개모기종 ] 작은빨간집모기 일본뇌염

[ 매개모기종 ] 토고숲모기 중국얼룩날개모기 사상충증 ( 말레이사상충증 )

쯔쯔가무시증 [ 매개진드기종 ] 대잎털진드기 활순털진드기 수염털진드기 동양털진드기 조선방망이털진드기 사륙털진드기

Ⅰ. 감염병매개체의분류

분류의목적및방법 1. 곤충분류의목적및방법 1) 곤충분류의목적 v 연구의기초 v 분류군으로정리 v 종및분류군간의유연관계와진화과정을연구 v 위생곤충분야 : 질병매개종을규명하여역학적양상이나방제대책수립 2) 곤충분류방법 v 외부및내부의형태적특징 v 생태학적인방법 v 유전학적방법 : 염색체관찰, 교배실험등 v 분자생물학적방법 : 효소의종류나단백질패턴비교, DNA 염기비교

분류의기본원칙 1) 분류의단위 : 종 (species)< 속 (Genus)< 과 (Family)< 목 (Order)< 강 (Class)< 문 (Phylum< 계 (Kingdom) 예 ) 중국얼룩날개모기 (Anopheles sinensis) 계 : 동물계 (Kingdom Animal) 문 : 절지동물문 (Phylum Arthropoda) 강 : 곤충강 (Class Insecta) 목 : 파리목 (Order Diptera) 과 : 모기과 (Family Culicidae) 속 : 얼룩날개모기속 (Genus Anopheles) 종 : 중국얼룩날개모기 (Anopheles sinensis) ü 필요에따라상 ( 上, Supper) 또는아 ( 亞, Sub), 족 (Tribe) 등으로세분하기도한다.

2) 종 ( 種, species) 과아종 ( 亞種, subspecies) 1 종의정의 일정한형태적, 생태적혹은생리적특성을갖고 특성이후손에유전되며 다른종의무리와교배불가한개체군 동일한집단에서는교배가자유로우나다른집단과는생식격리된집단의개체군 2 아종 ( 亞種 ) 의정의 한종이지리적기타요인에의해격리가원인이되어 2 개의종으로분화하는과정의두개체군 ü 격리요인이해소되면교배가다시이루어지나어떤형태로든생식기능의결손발생

위생곤충및분야 직접또는간접적으로인간의건강을해치는곤충 곤충류외에진드기류, 거미류, 전갈류, 갑각류, 지네류, 노래기류등의학상문제가되는절지동물포함 병원소및매개절지동물의숙주동물인 설치류도포함

생물계

위생곤충의분류 동물계 (Animal) 척색동물문포유강 : 설치류절지동물문거미강거미목 (Araneae) 전갈목 (Scorpiones) 진드기목 (Acari) 곤충강바퀴목 (Blattaria) 노린재목 (Hemiptera) 이목 (Anoplura) 벌목 (Hymenoptera) 벼룩목 (Siphonaptera) 나비목 (Lepidoptera): 나방파리목 (Diptera): 파리, 모기, 등에등

절지동물의분류 Ø 절지동물 : arth 개 ( 마디 )+poda( 다리 )- 마디있는 다리를가진동물 Ø 여러개의체절, 마디로된다리, 외골격으로덮여있어탈피하며자람 Ø 아가미 ( 수중생활을하는것 ). 기간, 폐서 ( 육상생활을하는것 ) Ø 순환계는개방혈관계, 배설기관은신관과말피기관으로되어있음 Ø 전체동물의종의약 70% Ø 11-13 개의강 ( 綱, Class) 으로분류

특징 주요절지동물의비교 종류 곤충류갑각류다지류거미류 몸의구분머리, 가슴, 배머리, 가슴머리, 몸통머리가슴, 배 눈겹눈, 홑눈겹눈홑눈홑눈 촉각 1 쌍 2 쌍 1 쌍없다 호흡기관기관아가미기관기관, 폐서 다리 3 쌍 5 쌍이상체절에 1-2 쌍 4 쌍 배설기말피기관촉각선말피기관말피기관 변태한다한다안한다안한다 종류모기, 바퀴, 이가재새우, 게지네, 노래기거미, 진드기

곤충강

Insecta 곤충강 Cockroach, louse, fleas, flies, mosquitoes 바퀴목 (Order Blattaria) 노린재목 (Order, Hemiptera) 이목 (Order Anoplura) 벌목 (Order Hymenoptera) 벼룩목 (Order Siphonaptera) 나비목 (Order Lepidoptera) 파리목 (Order Diptera) 등약 40 개의목 ( 目, Order) 으로분류

바퀴목 (Blattaria) 몸은폭이넓고등이납작한모양이며, 전흉배판이몹시커서머리의배면을거의덮는다. 촉각은길고실모양이며마디가많다. 다리는길고각마디에가시돌기가많고, 잘발달하여질주하기에적합하다. 복부의미모는뚜렷하다 Corydiidae. Blattidae, Phyllodromiidae 등 3과가있다.

바퀴 (Cockroaches) 생활사 : 불완전변태 ( 알-자충-성충 ) 식성 : 잡식성 서식처 : 부엌이나주방의벽틈, 가구의밑면, 서랍등 군서습성 주요종 : 이질바퀴, 먹바퀴, 집바퀴, 독일바퀴 ( 바퀴 ) 바퀴에의한피해 (1) 직접적피해 : 불쾌감, 자교에의한상처, 냄새, 알레르기등 (2) 간접적피해 : 병원체를몸에묻히거나다시토해내어오염시킴

노린재목 (Hemiptera) 몸은타원형이거나가느다랗고납작한모야이다. 식성은식식성이거나포식성이다. 입은앞으로나와있거나몸의뒤를향한다. 촉각은보통 2-10절이다. 날개는 2쌍이며앞날개를반시초 ( 半翅鞘, hemelytra) 라고하는데기부는두터운혁질이나끝부분은막질이어서매미목과구별된다. 날개가퇴화된종류도있다. 위생상중요한과는빈대과 (Cimicidae) 와침노린재과 (Reduviidae) 가있다.

빈대 (Bed bugs) 생활사 : 불완전변태 [ 알 ( 서캐 )-자충-성충)] 야간활동성 매개질병 : 없음 기타피해 : 알레르기성피부반응, 이차적감염, 냄새

이목 (Anoplura) 미소하고몸의배와등이납작하며날개가없다. 구기는찔러서빨아먹기에적합한육질로되어있다. 피부는탄력성을갖고있으며, 모리는작고눈은퇴화되었다. 다리는큰편이고 1절의부절과큰발톱이있다. Echinophthiriidae, Pediculidae, Haematopinidae 등 3 과가있다.

몸이, 머릿니, 사면발이 생활사 : 불완전변태 [ 알 ( 서캐 )- 자충 - 성충 ) 기생부위 : 머리 ( 머릿니 ), 몸 ( 몸이 ), 음모 ( 사면발이 ) 매개질병 : 발진티프스, 참호열, 재귀열

벌목 (Hymenoptera) 입의생김새는특이하며저작성과핥는기능을겸하고있다. 촉각은보통실모양, 염주모양, 곤봉모양, 부채꼴및고리모양이다. 2쌍의날개는잘발달되어있으나전혀갖고있지않는종류도있다. 다리는보통이고가는편으로세개의다리모양이거의같으나다른것도있으며, 부절은일반적으로 5절이나기생벌중에는 2-3절인것도있다. 복부는타원형이거나원통형인데기생성인것은가늘고긴것도있다. 전세계에 10 만여종이알려져있다. 개미, 벌등이여기에속한다.

[ 벌 ] 생활사 : 모두완전변태를하며, 종류에따라단독또는집단사회생활을함 독성물질및작용 : histamine, melittin, hyaluronidae, phospholidae A 등에의한직접적작용과면역학적과민증에의한쇼크 [ 개미 ] 생활사 : 생활사 : 모두완전변태를하며, 종류에따라단독또는집단사회생활을함 개미의독성물질 - iridomyrmecin(ddt 와유사한독작용 ) - 개미산

벼룩목 (Siphonaptera) fleas, chigoes, flohe 및 puces 라부르기도하는날개가없는아주작은곤충이며몸은옆으로매우납작한모양이다. 머리는작고입은찔러서빨아먹는데알맞은흡수형이다. 겹눈은있거나없고홑눈은없다. 촉각은짧고구간상 ( 球桿狀 ) 이며대개촉각홈에숨겨져있다. 다리는길고튼튼한모양이며특히뒷다리가길게발달하여뛰기에알맞다. 기절은크고, 부절은기며 5절이다. 끝부절에 2개의큰발톱이있다. 미모는없고모두가조류및포유동물의외부기생성이며흡혈한다. 유충은몸이가늘고긴편이며, 두개 ( 頭蓋 ) 는발달되었고, 입은씹는데적응된이빨이있는큰턱을갖고있다. 촉각은 1 절, 눈과다리가없는구데기형이다. 주로동식물의오물 ( 汚物 ) 을먹으며기생성은없다. 완전변태를하며성충은활동성이강하여잘뛰는데 10 cm 이상을뛰기도한다.

벼룩 (Fleas) 형태 : 좌우로납작하고, 날개가없으며, 도약에적합한다리의발달, 몸에즐치 (comb) 가종에따라특징 생활사 : 완전변태로알-유충 (3령기)-번데기( 고치 )- 성충 식성 : 흡혈성 매개질병 : 자교에의한직접적피해, 흑사병, 발진열, 기생충의중간숙주 주요종 사람벼룩 (Pulex irritans) 열대쥐벼룩 (Xenopsylla cheopis) 닭벼룩 (Echidnophaga gallinacea) 개벼룩 (Ctenocephalides canis) 고양이벼룩 (C. felis) 유럽쥐벼룩 (Nosopsyllus fasciatus) 생쥐벼룩 (Leptopsylla segnis)

나비목 (Lepidoptera) 나비목곤충은경제적으로중요한영항을미치는거들이많이있으며, 특히유충은식식성 ( 食植性 ) 으로농림작물에큰피해를주고있다. 육서생활을하며몸은날개, 다리및다른부속기관등이인편에덮여있으므로다른목의곤충과구별이쉽다. 입은흡수구이며둥글게말린주둥이가있다. 겹눈은큰편이고홑눈은 24개이거나없다. 촉각은종에따라여러모양이며대개곤봉모양, 톱니모양, 구간상 ( 球桿狀 ) 등이나, 수컷은깃털모양이다. 다리는정상이거나퇴화되어있다. 날개는보통이고발달되었으며어떤경오에는흔적만있거나전혀날개가없는암컷을볼수있다. 2 쌍의날개는앞날개가비교적큰편이며시맥 ( 翅脈 ) 은분기되어종맥 ( 縱脈 ) 과몇개의횡맥 ( 橫脈 ) 을갖고있다. 또한날개는막질이며여러모양의인편과털로덮여있다. 독나방등이위생상중요하다.

독나방 (Poisonous moths) 형태 : 중소형으로구기는퇴하되었고, 촉각은익모상, 체색은황색이고앞날개는중앙에자갈색의횡대가있다. 시정근처에 2개의암갈색반점이있음 생활사 : 완전변태를하며, 연 1회발생하고 7-8월에성충이발생. 유충은군서생활 독모 : 독모는유충기에갖는것으로성충이독작용을유발시키는것은이때생성된독모가성충에묻어서일어나는것임 독나방에의한피해 : 독모에의한독성물질로인한피부염

파리목 (Diptera) 파리목에속하는곤충은대개체장이 0.5~50mm 정도이고날개를편길이가 1~100mm 에이르며, 몸이가늘고짧거나약간납작한원통상이대부분이다. 입은흡수성구기이면서먹이를핥아먹기에알맞다. 한편퇴화한입만갖고있는종류가있는데성충의수명이길지못한파리류에서볼수있다 완전변태를하며번데기는위용 ( 圍蛹 ) 이다. 머리는하구식 ( 下口式 ) 임가느다란목에의해가슴에붙어있다. 촉각은하정형 ( 下定形 ) 등여러형인데끝부분에는촉각센털 (bristle) 이나단자 ( 端刺, arista) 가있는것과 6~39절이나되는마디가많은염주형인것도있다. 겹눈은크고좌우사이는접근해있거나떨어져있다. 식성 : 포식성, 기생성, 흡혈성및식초성등이다. 역사적으로볼때파리류와인간과의관계는매우깊었으며, 득히사람과가축에해로운질병을전파하는역할을이들이해왔으므로농작물의해충만이아닌위생해충으로도중요성을갖는다.

Diptera: Di(two)+pteron(wings) 파리목에는모기를비롯하여등에모기, 등에, 쉬파리등이포함된다. 모기 등에모기 등에 쉬파리

모기 (Mosquitoes) 세계적 : 3,120 여종 국내 : 54 종 날개의시맥중제 3 종맥이단선이고양쪽의경맥 (2) 과중맥 (4) 가분기 주둥이가현저하게앞을돌출 몸전체가인편으로덮혀있음 완전변태 ( 알 - 유층 - 번데기 - 성충 ) 유충을장구벌레라함 번데기가운동성임 주로야간활동성이나숲에서서식하는종류는낮에도활발하게활동 매개질병 : 말라리아, 사상충증, 황열, 뎅그열, 뇌염등

한국산주요종 Anopheles (Anopheles) sinensis Wiedemann, 1828 중국얼룩날개모기 Aedes (Aedimorphus) vexans nipponii (Theobald, 1907) 금빛숲모기 Aedes (Stegomyia) albopictus (Skuse, 1894) 흰줄숲모기 Ochlerotatus (Finlaya) koreicus (Edwords) 한국숲모기 Ochlerotatus (Finlaya) togoi (Theobald, 1907) 토고숲모기 Ochlerotatus (Ochlerotatus) dorsalis (Meigen, 1830) 등줄숲모기 Armigeres (Armigeres) subalbatus (Coquillett, 1898) 큰검정들모기 Culex (Culex) pipiens molestus Forskal, 1775 지하집모기 Culex (Culex) pipiens pallens Coquillett, 1898 빨간집모기 Culex (Culex) tritaeniorhynchus Giles, 1901 작은빨간집모기 Mansonia (Mansonioides) uniformis (Theobald, 1901) 반점날개늪모기 Tripteroides (Tripteroides) bambusa bambusa (Yamada, 1917) 긴얼룩다리모기 Toxorhynchites (Toxorhynchites) christophi (Portschinsky, 1884) 광릉왕모기

중국얼룩날개모기

국내서식얼룩날개모기류의날개형태비교

작은빨간모기

빨간집모기

토고숲모기

흰줄숲모기

작은빨간집모기와빨간집모기비교

깔따구 (Non-biting midges) 형태 : 모기와유사하나몸에비늘이없고. 구기 ( 口器 ) 는퇴화 생활사 : 완전변태를하며, 원주상의난괴로된알과유충그리고번데기는수서생활 깔따구에의한피해 : 뉴슨스, 알레르기 방제 (1) 환경개선 : 유충발생원의부유물질제거및수변정리 (2) 유충방제 : 생물학적방법이이상적으로저서성어종인잉어나미꾸라지이용 (3) 성충방제 : 수명이짧기때문성충구제를위한특별한작업은비효율적임 - 방충망설치및방충망잔류처리 - 대형유문등설치

깔따구의생활사

등에 (Horse flies) 형태 : 파리와매우유사하나촉각이 5-10마디로되어있음 구기가흡혈형임 생활사 : 완전변태, 유충은느리게움직이며수서동물을포식 옥외흡혈습성 매개질병 : 로아증, 튜라레미아증

파리류 (Flies) 형태 : 촉각의형태가곤봉상이며촉각극모가있어서등에와구별 생활사 : 완전변태로알 - 유충 (3 회탈피, 3 령기 )- 번데기 - 성충 식성 : 부식성, 필수적생체기생성, 흡혈성에이르기까지다양 침파리 체체파리 등에모기 모래파리나방파리곱추파리

주요종 집파리 (Musca domestica) 아기집파리 (Fannia canicularis) 왕큰집파리 (Muscina stabulans) 침파리 (Stomaxys calcitrans) 베지아띠금파리 (Chrysomyia bezziana) 큰검정파리 (Calliphora lata) 쉬파리 (Sarcophaga sp) 체체파리 (Glossian palpalis)

진드기목 (Acari) 거미강에서위생상가장중요한종류는진드기목 (Acarina) 으로현미경적인미세한종에서수 cm의대형까지크기도다양하고, 생활상태도자유생활을하는것, 동식물에기생하는것, 육서 ( 陸棲 ) 인것, 수서인것등다양하다. 진드기목의형태상의특징은두흉부와복부와의구별이불분명한것이다. 진드기목은 6개아목으로세분되는데그중이기문아목 ( 異氣門亞目, Heterostigmata) 과은기문아목 ( 隱氣門亞目, Cryptostigmata) 은자유생활을하고후기문아목 ( 後氣門亞目, Metastigmata), 중기문아목 ( 中氣門亞目, Mesostigmata) 및무기문아목 ( 無氣門亞目, Astigmata) 이사람과동물에기생흡혈한다. 이들진드기의분류는아직많은문제점이있어서완전히체계화되었다고볼수는없으나위생상중요한과를보면후기문아목에는참진드기과 (Ixodidae) 와공주진드기과 (Argasidae) 가있고중기문아목에는가죽진드기과 (Dermanyssidae), 가시진드기과 (Laelaptidae), 집진드기과 (Marconyssidae) 등이있다. 전기문아목에서는털진드기과 (Trombiculidae) 와여드름진드기과 (Demodicidae) 가있으며무기문아목에는옴진드기과 (Sarcoptidae) 와먼지진드기과 (Pyroglyphidae) 가있다.

진드기의 특징 요약 동물계, 절지동물문, 거미강, 진드기목에 속하는 절지동물 세계적으로 약 30,000종, 국내 535종 서식처는 물속에 사는 종류로부터 기생성인 것까지 다양하고 대부분 자유생활하나 일부 종이 흡혈 및 체액을 빨아먹으며 질병전파 식물과 관련하여서는 대부분 응애 라고 칭함 형태 - 머리와 가슴이 융합된 두흉부와 복부로 양분 - 다리는 유충시기에 3쌍, 자충과 성충은 4쌍 - 기문의 위치나 유무에 따라 분류의 기준

Ⅱ. 감염병매개체의생태 생태 : 살아있는생물이다른생물의상호관계, 생물의생활상태및환경과의관계 - 개체군 : 밀도, 출생, 사망, 연령, 분산, 분포, 상호작용등에의해결정 * 상호작용 : 포식, 기생, 공생등 - 생물군집 : 우점종, 다양성, 구기, 먹이사슬, 도태등에의해형성

1. 감염병매개체의생활사 완전변태 ( 完全變態, complete metamorphosis) - 모기, 등에모기, 모래파리, 깔따구, 등에, 파리, 벼룩, 나방, 벌, 개비, 딱정벌레등

2-3 일 ( 교미평균기간 ) 2-3 일 ( 난성숙기간 ) 집모기류 (Culex) 의생활사 온도 27±1, 상대습도 70±5% 3-4 일 ( 난성숙평균기간 ) 21-25 일 2-3 일 10 일 2 일 ( 부화기간 ) 4 회탈피 1 령기 2 일, 2 령기 2 일, 3 령기 3 일, 4 령기 3 일

불완전변태 ( 不完全變態, incomplete metamorphosis) - 바퀴, 이, 빈대, 노린재, 진드기등

털진드기의생활사 흡혈 자유생활 Deutovum Protonymph (moult) Egg Transstadial (TS) and transovarial (TO) transmission of Orientia tsutsugamushi in vector chiggers Deutonymph (active) Adult Tritonymph (moult) 털진드기 (Leptotormbidium sp.) 의생활사 (A.L. Dohany, USAMRU-M)

곤충의생활사와방제 불완전변태곤충 - 전생활사를통해인간에피해 - 약충과성충이같은장소에서식하여방제방법이모두에게적용되므로방제가비교적수월 완전변태곤충 - 생활사중어느시기에만인간에게피해 - 유충과성충의서식장소가다르고방제방법이완전히다르기때문에방제가복잡

2. 감염병매개체의교미습성 군무 ( 群舞, swarming) - 곤충이교미를하기위해공중에서춤을추듯무리지어행동하는것 - 군무의장소는나무, 굴뚝, 돌담, 서있는사람등돌 - 군무의장소는나무, 굴뚝, 돌담, 서있는사람등돌출부의상공 1~3m 높이

구애 ( 求愛, courtship) 곤충이교미를하기위해짝과함께하는행동

3. 모기의흡혈습성 모기의비상높이 - 지상에서약 1~2m 흡혈동물유인물질 - 체취 (15~20m), 탄산가스 (10~15m), 시각 (1~2m), 체온과습기 (1m이내) 흡혈시간 - 초저녁 : 흰줄숲모기, 금빛숲모기, 작은빨간집모기 - 늦은밤과새벽 : 얼룩날개모기류

모기가흡혈원을찾는요소 체취 (15~20m) 탄산가스 (10~15m) 시각 (1~2m) 체온과습기 (1m 이내 )

모기의흡혈기호성 흡혈동물기호성 [ 동물기호성 ] - 조류기호성 : 빨간집모기 - 대동물기호성 : 작은빨간집모기, 얼룩날개모기류 - 소동물기호성 : 흰줄숲모기? [ 인체기호성 ] - 말라리아, 사상충증, 뎅기열등의매개모기류 흡혈장소기호성 - 옥내흡혈성 : 빨간집모기, 얼룩날개모기류 - 옥외흡혈성 : 흰줄숲모기, 작은빨간집모기

중국얼룩날개모기의활동시간

흰줄숲모기의활동시간 450 120 400 350 100 No. of mosquito 300 250 200 150 100 50 80 60 40 20 Temperature( ( ) & R.H.(%) 0 0 12:00-13:00 13:00-14:00 14:00-15:00 15:00-16:00 16:00-17:00 17:00-18:00 18:00-19:00 19:00-20:00 20:00-21:00 21:00-22:00 22:00-23:00 23:00-24:00 24:00-01:00 01:00-02:00 02:00-03:00 03:00-04:00 04:00-05:00 05:00-06:00 06:00-07:00 07:00-08:00 08:00-09:00 09:00-10:00 10:00-11:00 11:00-12:00 Time Siite A Site B Site C C & R Temp.( ) R.H.(%)

4. 감염병매개체의휴식습성 난소의발육기간 (gonotrophic period) 옥내휴식습성 - 빨간집모기 : 약 28.4% 옥외휴식습성 - 중국얼룩날개모기 : 82% 이상옥외휴식 - 작은빨간집모기 : 84.5% 이상옥외휴식

5. 감염병매개체의발생장소 중국얼룩날개모기 : 논과관계수로, 미나리꽝, 호수, 연못, 웅덩이, 늪지, 강가등 작은빨간집모기 : 주로논과늪지, 논, 연못, 관계수로, 미나리꽝, 빗물고인웅덩이등 빨간집모기 : 민가주변의인공용기, 고인물, 웅덩이, 배수지, 하수도등 지하집모기 : 지하수역특히, 대형건물, 아파트지하실, 지하철등의지하구조물의관리실및하수관등 토고숲모기 : 바닷가물고인돌웅덩이및인공용기 ( 기수 ) 흰줄숲모기 : 폐타이어, 숲속이나풀숲의인공용기, 나무구멍등

집파리유충의발생장소 ( 두엄 )

6. 감염병매개체의발생밀도 중국얼룩날개모기 : 5 월에낮은밀도를유지하다가온도가올라가는 6 월말부터증가, 7 월초 ~ 중순에최고밀도, 8 월에감소 ( 장마 ) 다시증가하다가감소 작은빨간집모기 : 6 월초부터극소수채집되기시작하 작은빨간집모기 : 6 월초부터극소수채집되기시작하여, 8 월초순에급격히발생하여높은밀도를유지하다가 9 월중순에급격히감소하는경향을보이고, 남부지방에서는 5 월중순부터출현하기시작하여 7 월중순부터 9 월중순까지높은밀도를나타낸다

얼룩날개모기류의발생밀도

작은빨간집모기의발생밀도

빨간집모기류의발생밀도 ( 서울시 ) 25 30.0 20 25.0 15 20.0 15.0 10 10.0 5 5.0 0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Week number in Year 0.0 평균모기채집수 (2005) 평균모기채집수 (2006) 평균온도 (2005) 평균온도 (2006)

흰줄숲모기의발생밀도

털진드기류의발생밀도 ( 고령군 )

7. 활순털진드기의분포 (2008)

얼룩날개모기의 월동분포 N N N W E W An.spp-Site Si.shp Korea.shp An.belenrae 0 0-0.1 0.1-5 5-10 10-30 30-50 50-70 70-90 90-100 벨렌얼룩날개모기 An.spp-Site Si.shp Korea.shp An.kleini 0 0-0.1 0.1-5 5-10 10-30 30-50 50-70 70-90 90-100 클레인얼룩날개모기 S E W S E W S E S N An.spp-Site Si.shp Korea.shp An.pullus 0 0-0.1 0.1-5 5-10 10-30 30-50 50-70 70-90 90-100 잿빛얼룩날개모기 An.spp-Site Si.shp Korea.shp An.sinensis 0 0-0.1 0.1-5 5-10 10-30 30-50 50-70 70-90 90-100 중국얼룩날개모기

8. 감염병매개체의월동습성 성충월동 : 얼룩날개모기류, 작은빨간집모기등집모기류 유충 : 토고숲모기, 일본얼룩날개모기 번데기 : 토고숲모기 알 : 대부분의숲모기류

월동장소 작은빨간집모기 : 풀숲 중국얼룩날개모기 : 풀숲 빨간집모기 : 동굴 지하집모기 : 실내의정화조 ( 활동 ) 토고숲모기, 흰줄숲모기등대부분의숲모기 : 유츙의발생원과동일

야외의모기성충월동장소

야외의모기알월동장소

N N N W E W An.spp-Site Si.shp Korea.shp An.belenrae 0 0-0.1 0.1-5 5-10 10-30 30-50 50-70 70-90 90-100 벨렌얼룩날개모기 An.spp-Site Si.shp Korea.shp An.kleini 0 0-0.1 0.1-5 5-10 10-30 30-50 50-70 70-90 90-100 클레인얼룩날개모기 S E W S E W S E S N An.spp-Site Si.shp Korea.shp An.pullus 0 0-0.1 0.1-5 5-10 10-30 30-50 50-70 70-90 90-100 잿빛얼룩날개모기 An.spp-Site Si.shp Korea.shp An.sinensis 0 0-0.1 0.1-5 5-10 10-30 30-50 50-70 70-90 90-100 중국얼룩날개모기

9. 감염병매개체의분산 중국얼룩날개모기 - 방사지점으로부터 1km이내 (37.1%), 1-3km (29.4%), 3-6km (21.1%), 6-9km (10.3%), 9-12km (2.1%) 로재포획된모기중 66.5% 가방사지역으로부터 3km지점이내에서재포획 작은빨간집모기 - 1 일평균 1.0 km이고, 최고비상거리는 8.4 km ( 일본 ) - 방사지점으로부터 0~2 km (77.5%), 2~4 km (11.7%), 4~6 km (5%), 6~8 km (7 개체, 5.8%) 로 1 일평균 1.55 km, 최대 7.5 km까지 - 때때로낮은언덕 (210m) 을넘어가는개체도있는것으로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