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PIA-NURIMEDIA

Similar documents
CR hwp

2),, 312, , 59. 3),, 7, 1996, 30.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152*220

4) 5) 6) 7)

* pb61۲õðÀÚÀ̳ʸ

120~151역사지도서3

5 291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LiD) - - * Way to

<3635B1E8C1F8C7D02E485750>

allinpdf.com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3231C3A4C8F1C5C22E687770>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The Participant Expe

2003report hwp

* 이논문은제 1 저자의진주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초등특수교육전공석사학위논문임. ** 주저자 : 진주장재초등학교교사 *** 교신저자 : 진주교육대학교교수


학교교과교습학원 ( 예능계열 ) 및평생직업교육학원의시설 설비및교구기준적정성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 Facilities, and Equipment Analysis in Private Academy and It's Developmental Ta

2002report hwp

교육학석사학위논문 윤리적입장에따른학교상담자의 비밀보장예외판단차이분석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구승영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view of Research

- 4 -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DBPIA-NURIMEDIA

세미나자료 전국초 중 고성교육담당교사워크숍 일시 ( 목 ) 10:00~17:00 장소 : 한국교원대학교교원문화관

에듀데이터_자료집_완성본.hwp

<B3EDB4DC28B1E8BCAEC7F6292E687770>

나하나로 5호

< C0DAC0B2C5BDB1B820BFEEBFB520B8DEB4BABEF32D33C2F720C6EDC1FD2E687770>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CC hwp

완벽한개념정립 _ 행렬의참, 거짓 수학전문가 NAMU 선생 1. 행렬의참, 거짓개념정리 1. 교환법칙과관련한내용, 는항상성립하지만 는항상성립하지는않는다. < 참인명제 > (1),, (2) ( ) 인경우에는 가성립한다.,,, (3) 다음과같은관계식을만족하는두행렬 A,B에

<30315FC0CCB5BFC1D65FC7D1B1B9BCBAB8C5B8C52E687770>

A 목차

82-대한신경학0201

<C0FCB9AEB1E2BCFA20BFDCB1B9C0CEB7C220B3EBB5BFBDC3C0E520BAD0BCAE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2002report hwp

80 경찰학연구제 13 권제 2 호 ( 통권제 34 호 ) Ⅱ. 이론적논의와선행연구검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Awareness, Support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 A basic research

<5B DB1B3C0B0C0DAB8A65FC0A7C7D15FB5F0C0DAC0CEBBE7B0ED5FC5F8C5B62E706466>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Suggestions of Ways

목차 C O N T E N T S

장깨표지65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The Grounds and Cons

(중등용1)1~27

The mission minded church - Strategies in building a multicultural ministry – Die missions-bereite Kirche - Strategien zum Aufbau multikultureller Ge


hwp

210 법학논고제 50 집 ( )

???德嶠짚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Strenghening the Cap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27 2, * ** 3, 3,. B ,.,,,. 3,.,,,,..,. :,, : 2009/09/03 : 2009/09/21 : 2009/09/30 * ICAD (Institute for Children Ability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C# Programming Guide - Types

230 한국교육학연구 제20권 제3호 I. 서 론 청소년의 언어가 거칠어지고 있다. 개ㅅㄲ, ㅆㅂ놈(년), 미친ㅆㄲ, 닥쳐, 엠창, 뒤져 등과 같은 말은 주위에서 쉽게 들을 수 있다. 말과 글이 점차 된소리나 거센소리로 바뀌고, 외 국어 남용과 사이버 문화의 익명성 등

»êÇÐ-150È£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C7D1B1B9C7FC20B3EBBBE7B0FCB0E82DC3D6C1BE612E687770>

= Fisher, I. (1930), ``The Theory of Interest,'' Macmillan ,

과제번호 RR [ 연구결과보고서 ] 대학교양기초교육에대한 종합적분석연구 연구책임자 : 손동현 ( 한국교양기초교육원 )

<303038C0AFC8A3C1BE5B315D2DB1B3C1A42E687770>

ITFGc03ÖÁ¾š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 ( 황수경 ) ꌙ 127 노동정책연구 제 4 권제 2 호 pp.127~148 c 한국노동연구원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황수경 *, (disabi

178È£pdf

ad hwp

.....hwp

행정학박사학위논문 목표모호성과조직행태 - 조직몰입, 직무만족, 공직봉사동기에미치는 영향을중심으로 -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송성화

핵 심 교 양 1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 문학과예술 역사와철학 사회와이념 선택 교양학점계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비고 14 (15) 13 (

°¡À̵åºÏ 3Â÷-1

2015 간호학과 D ept. of N ursing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Experiences of Af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A Study on Teache

트렌드29호가제본용.hwp

유니티 변수-함수.key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1, pp.1-19 DOI: *,..,,,.,.,,,,.,,,,, ( )

ok.

= Fisher, I. (1930), ``The Theory of Interest,'' Macmillan ,

저작자표시 - 비영리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이차적저작물을작성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

- 89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A Study on Organizi

3. 다음은카르노맵의표이다. 논리식을간략화한것은? < 나 > 4. 다음카르노맵을간략화시킨결과는? <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 FB1B9BEEEB1B3C0B0BFACB1B C1FD5FC3D6C1BE2E687770>

¼øâÁö¿ª°úÇÐÀÚ¿ø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An Exploratory Stud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Ac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1-16 DOI: * A Study on Good School


기본소득문답2

Transcription:

교육사회학연구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제17권제3호, 2007, pp.79-99. 부르디외의장 아비투스이론의적용가능성과난점 : 학교와교사의성향을중심으로 * 김천기 ( 전북대 ) < 요약 > 본연구에서는장과아비투스란무엇이고그것이어떻게학교의장에적용될수있는지, 그적용가능성을탐색하고자하였다. 부르디외의장과아비투스이론과관련하여특히세가지측면에서살펴보았다. 첫째, 재생산이론적관점과교육내적관점의대립을넘어서장의관점에서학교의장을본다면어떻게볼수있는가? 둘째, 학교의장에서교원들의위치와대립관계를어떻게설정할수있으며, 이들이추구하는투쟁의내기물은무엇인가? 셋째, 경제적이해관계나계급적이해관계를넘어선교원들의이해관계의특수성 ( 일뤼지오 ) 이란것이있다면그것은무엇인가? 이과정에서고찰, 논의되어야할많은사례들이있음이분명하다. 하지만, 본연구에서는몇가지사례를들어간략하게고찰하였다. 이연구의의도는우리에게잘포착되지않거나알고있어도별로중요하게취급하지않았던학교의장의고유한특성과교원들의암묵적인의식과성향을드러내는데있어장과아비투스이론의시사점과그적용가능성을탐색하는데있다. 주제어 : 학교의장, 교육적인아비투스, 상징자본, 투쟁의내기물, 이해관계의특수성 Ⅰ. 서론 부르디외 (P. Bourdieu) 사회학이론을활용한교육사회학연구는, 문화자본 (cultural capital) 개념에기초하여지배계급의아이들이왜학교에서 성공 할수밖에없는가를밝히는데치중되어있었다 ( * 본연구는 2005 년도전북대학교연구기반조성지원연구비에의해이루어졌음. 교신저자 : 김천기 (561-191 전북전주시덕진구덕진동 1 가, 전북대학교교육학과, agape-kcgi@hanmail.net)

80 교육사회학연구제 17 권제 3 호 DiMaggio, 1982; Kalmijin and Kraaykamp, 1996; Dumais, 2002). 지배계급의아이들은문화자본을풍부하게가지고있고, 학교또한지배계급의문화를전수하는곳이기에자연스럽게지배계급의문화자본을가진아이들에게유리하게작용할수밖에없다는것이다. 국내에서도이와관련된연구 ( 김경근, 2005; 김경근, 변수용, 2006) 가이루어졌다. 그러나우리나라의경우지배계급의문화가무엇인지, 그것이학교교육의내용에어떻게담겨있는지, 그것이구체적으로어떻게하위중간집단, 노동계급집단의아이들에게불리하게작용하는지밝혀진바가없다. 단지문화자본을몇개의지표로규정하여그것이학업성취에미치는영향력을실증적으로분석하는데그치고있을뿐이다. 부르디외이론에대한국내교육사회학연구에서크게부족한점은부르디외이론의다양한측면에관심을기울이지못했다는것이고, 그결과부르디외사회학에서얻어낼수있는중요한교육사회학적통찰을이끌어내지못했다는것이다. 물론국내연구중강창동 (1996), 이건만 (2006) 의연구는부르디외의문화적재생산이론을심도있게논의해주었다는점에서그의의가크다. 하지만, 구체적으로부르디외이론의다양한측면이교육영역에서어떤의의와가치를지니는지충분히보여주지는못하였다. 연구자는부르디외의이론에서단지교육의문화재생산기능측면에만주목하지말고, 학생뿐만아니라학교의장에서교육활동을하고있는교원들에게관심을기울이는것이매우필요함을역설하고자한다. 부르디외의장 (field) 과아비투스 (habitus) 와관련된저작들을살펴보면, 교육과연관하여얻을수있는시사점과통찰이많음을알게된다. 예를들어장의개념을보면, 학교를재생산의국가기구로서가아니라하나의사회적장으로이해할수있고, 아비투스개념을보면, 학교장의사회적행위자인교원들의성향과행동에대해새롭게인식할수있게된다. 본연구에서는장과아비투스의이론을학교의장과행위자인교원에게적용하여이해해보고자한다. 지금까지학교의특성에대한교육학적논의는주로교육행정적인논의가주류를이루어왔다. 그러나교육행정분야에서학교에대한관점은조직론적담론에그치고있으며, 교원들에대한것도조직구성원의동기, 사기에대한것이주를이루고있다. 교육정치학에서는교원들을이해관계에민감하며, 협상과타협을통해자신들의이득을취하는이해당사자로인식할뿐이다 ( 진미석, 1995). 예를들어일부보수언론이나신자유주의에서주장하듯이교원들의어떤투쟁이나반대를모두 밥그릇싸움 으로규정하거나, 경쟁과생존의이해관계로만돌리는것은부르디외 (Bourdieu, 2004) 가비판하는바로 환원주의적입장 에해당된다. 교사가교직에종사하는목적이오로지생계문제를해결하기위한수단인것마냥비하하는것은교사로서의존재의정당성을부정하는것일뿐만아니라학교의장의성격과아비투스를제대로이해하지못하는것이다. 본연구에서는장과아비투스란무엇이고그것이어떻게학교의장에적용될수있는지, 그적용가능성을탐색해보고자한다. 특히부르디외의장과아비투스이론과관련하여세가지측면에서교육에주는시사점을찾아보고자한다. 첫째, 재생산이론적관점과교육내적관점의대립을넘어서장의관점에서학교의장을어떻게볼수있는가? 둘째, 학교의장에서교원들의위치와대립관계를

부르디외의장 아비투스이론의적용가능성과난점 : 학교와교사의성향을중심으로 81 어떻게설정할수있으며, 이들이추구하는투쟁의내기물은무엇인가? 셋째, 경제적이해관계나계급적이해관계를넘어선교원들의이해관계의특수성이란것이있다면그것은무엇인가? 이과정에서고찰, 논의되어야할많은사례들이있음은분명하다. 하지만, 본연구에서는몇가지사례를들어간략하게고찰하고자한다. 이연구의의도는, 우리에게잘포착되지않거나알고있어도별로중요하게취급하지않았던학교의장의고유한특성과교원들의암묵적인의식과성향을드러내는데있어장과아비투스이론이주는시사점을밝히는데있다. II. 부르디외의장과아비투스이론 이장에서는부르디외의장과아비투스이론이무엇인가를살펴보고자하지만장과아비투스와관련된모든사회학적논의를정리하려는데목적이있는것이아니다. 여기서장과아비투스이론을연구목적에부합된정도로국한하여살펴보고자한다. 1. 장의개념과성격 사회적공간에서사회적장은어떻게생겨나게된것인가? 어떠한장들이있는가? 장의개념이중요한이유는무엇인가? 장은, 현대사회의사회적분업의증가에따른전문화된활동영역이라고볼수있다. 말하자면장은, 역사적으로사회가점진적으로진화, 분할, 차등화되는과정에서생겨난, 고유한법칙을가진자율적인소세계 ( 장, 예를들어과학의장, 예술의장 ) 이다. 고대사회들과자본주의이전의많은사회들은현재의분화된사회적세계들 ( 종교, 예술, 과학과같이 ) 에비해분화되지않았고, 따라서이들인간행동은다의성 ( 종교적인동시에경제적, 미학적인행동 ) 과다기능성을가졌었다는점에서현대의사회와는매우다르다. 현대사회의소세계들은역사적으로자율화과정이다다르고, 다른것으로환원될수없는근본법칙을지닌세계들, 이익 / 관심의특수한형태들의장소인세계들을형성하고있다 (Bourdieu, 2005a). 따라서경제적장의이익의법칙과는다른법칙, 또는이익의법칙을부정하거나거부하는법칙에토대를둔장들이존재하게된다. 부르디외가든예를들자면, 경제적법칙의전복을근본법칙으로삼으면서 19세기에형성된예술의장이다. 르네상스에서부터시작되고 19세기후반에완성되는과정은, 이른바예술을위한예술을통해예술세계의돈벌이목적들과특수한목적들 ( 예컨대상업예술과순수예술의대립에서나타남 ) 을완전히분리시키게된다. 예술장의특수한규범에따른유일한진정한예술은상업적인목적들을거부한다. 다시말해그것은예술가, 특히그의제작물을외부적요구에, 그리고경제적대가인이요구의필연적인대가에종속시키는것을거부한다. 그것은경제의

82 교육사회학연구제 17 권제 3 호 부정 ( 혹은거부 ) 이라는근본적인법칙을토대로형성된다. 그누구도상업적인집착이있다면예술의장에들어올수없는것이다 (Bourdieu, 2005a). 장이론은본래문화사회학의기획속에서성립되었는데, 부르디외는문화에대한새로운사회학적접근을모색하던가운데장개념을정교화하였고, 출판계, 문학계, 종교계그리고패션계와같은문화생산부문의실증적분석을통해장이론의실질적인기초를마련하였다 ( 이상길, 2002). 부르디외이론속에서장개념이전면적으로등장하게되는계기가되었던그의논문 지적장과창조적기획 에서, 부르디외는어떤작품이작가의창조적기획의산물이라면, 그기획은명백히사회적요구와제약속에서형성되었다는점을부각시키려하였다 ( 이상길, 2002에서재인용 ). 즉창작자가자신의작품과맺는관계는 지적장의구조내에서창작자의위치 에영향을받는다는것이다. 여기서창작자의위치에의해영향을받는다는말은얼핏지식사회학의주장을연상케한다. 하지만부르디외는단순히창작품의내용이작가의사회적위치에의해결정된다거나영향을받는다는말을하고있는것은아니다. 외적결정요인들은결코직접적으로적용되지않는다. 그것은장이자율적일수록, 즉장이자체역사의축적된산물인고유한논리를부과할능력이클수록더욱심하게일어나는재구조화를겪은이후에장의세력과특수한형식들을중개로해서만적용된다. 마찬가지로작품과그생산자를생산하거나소비하는계급사이에하나의사회세계가있다는사실을간과해버린채, 이둘사이에직접적인관계를구축하려고시도하는것은헛된일이다 ( 이상길, 2002: 213에서재인용 ). 부르디외가말하는장에대한이해를돕기위해예술에대한마르크스적관점과비교해서보자. 부르디외는예술가, 비평가, 철학자의작품이나글을분석함에있어마르크스적인이데올로기적분석을거부한다. 내용이나테마의측면에서예술작품을한사회집단에결부시키거나, 혹은 이데올로기 라는막연한용어를사용해서그렇게한다면, 예술작품으로부터아무것도이해할수없을것이다 (Bourdieu, 2004: 233-234). 부르디외는예술에대한사회학적분석은, 예술가를생산하는사회적조건 ( 예술가의형성이나선택에관여하는사회적결정인자 ) 을대상으로할뿐아니라예술작품을만들어내는생산장 ( 예술의공간 ) 을생산하는사회적조건을다루어야한다고말한다. 즉예술가를, 성스러운예술작품을만들어내는생산자로규정하고만들어내는공간, 예술작품을믿음과사랑, 미학적쾌락의대상으로만들어내는공간, 이러한공간 ( 생산장 ) 을만들어내는사회적조건을다루어야한다는것이다 (Bourdieu, 2004). 부르디외의장이론에서매우중요한것은장이마르크스의토대 / 상부구조, 사회구조 / 상징체계사이의관계를매개하는매개물이라는것이다. 그렇기에, 예를들어대학이나문화영역에서나오는지적인산물이나문화생산품이경제적이해나계급관계를거울처럼반영하지않는다. 그것은장의특성

부르디외의장 아비투스이론의적용가능성과난점 : 학교와교사의성향을중심으로 83 과관련되어설명된다. 장은 ( 프리즘처럼 ) 굴절효과 를가하기때문이다. 장은장외부의모든제약과영향력이 굴절 재구조화 또는 재번역 되는곳이다. 부르디외 (Bourdieu, 2004: 237) 는다음과같이말하고있다. 장속에서진행되는일이결코외적주문이나강제성의직접적인반영이아니라, 장의고유한논리에의해굴절된상징적표현으로만들어낸다. 역사는장의구조속에그리고행위자들의아비투스속에축적되어있으며, 한장의고유한역사는장의외부세계와예술작품사이에하나의프리즘으로기능하면서경제적위기나정치적반동, 과학적혁명같은일체의외적사건에대해굴절을보여준다. 부르디외에의하면장의매개적성격, 굴절을가능하게해주는것은장이가진상대적자율성이다. 장의자율성은, 자체적인법칙, 자신의고유한노모스 (nomos) 를가진다는것, 자기의고유한기능원리와규칙이자기안에있다는것 을의미한다. 말하자면장외부의모든제약과영향력을굴절시키고재해석하는것은장자체의역사, 고유한기능과규칙에의한것이다. 장의고유한법칙이란무엇일까? 부르디외 (Bourdieu, 2005a) 에따르면, 근본적법칙은흔히동의어반복으로나타난다. 예를들어 장사는장사다 라는경제장의법칙, 예술의목적은예술이며, 예술은예술이외의목적이없다 는예술장의법칙 ( 예술지상주의유파에의해명료화됨 ) 이라할수있는데, 교육의법칙으로는, 교육은교육이다, 교사의행동은교육적이어야한다 ( 교사의행동은상업적이어야한다 는법칙은학교에서절대통용될수없다 ) 하는것들이학교장의법칙이라할수있다. 장개념에서중요한것은, 사회적공간에서와마찬가지로장의공간에서하나의위치가정해지며, 위치간의대립과투쟁이존재한다는것이다. 위치간의투쟁이생기는것은장내부의행위자들이지위공간을지배하고, 자신들의정당성을보호하고자하기때문이다. 이에따라장내부에는장의공간을변형시킬수있는가능성의공간이존재하며, 이를통해행위자들은위치조정을할수있다. 강창동 (1996) 이지적한대로, 이러한장의개념은기계론적결정론을벗어나게하는것으로, 행위자가자신들의위치를조정할수있다는것을시사해준다. 장의공통된속성을제시하면다음과같다. 첫째, 장은위치들의구조화된공간이다. 위치는장안에불평등하게분포되어있는장의특수한자본의양과구조에의해결정된다. 그리고자본의불평등한분포는장의구조를결정한다. 부르디외 (Bourdieu, 2004: 126) 는이렇게설명한다. 장의구조는투쟁속에가담한제도들 ( 예를들어대학과중등학교간의 ) 사이의, 참여한행위자들사이의역학관계의한상태, 혹은과거의투쟁에서축적되어향후의전략방향을결정하는특수자본의한분포상태라고말할수있다. 둘째, 장은투쟁의공간이다. 부르디외 (Bourdieu, 2004: 125-126) 는 모든장에서는하나의투쟁을발견할수있으며, 독점권을주장하며경쟁을배제하려는지배자와장에의입장을금지하는빗장을터뜨리고자하는새로운신참자들사이의투쟁 이존재한다. 투쟁은장의구조자체를문제시하고

84 교육사회학연구제 17 권제 3 호 그것을변형시키려는전략속에서일어난다. 장의행위자들은그장을특징짓는합법적인폭력 ( 특수한권위 ) 의독점, 즉특수자본의분배구조의영속혹은전복을내기물로한다. 셋째, 장의행위자들은장의존재와관련된근본적인이해관계를공유하고있다. 장속에서대립하는진영은모두투쟁의내기물에대해서로동의하고있다는점에서공모관계라할수있다. 투쟁할만한가치가있는것, 그것은너무나도자명해서언어화되지못하는것, 억압된것이며, 그리하여독사 (doxa) 의상태로머물러있는것이다 (Bourdieu, 2004: 128). 투쟁에참여하는사람들은내기물들의가치에대한믿음을재생산하는데공헌함으로써유희 ( 내기물을건게임 ) 의재생산에기여한다. 이들은유희의근본자체, 근본적인공리, 유희전체가근거하고있는최종적인믿음에대해서는문제삼지않는다. 장의속성은앞으로학교의장을논의하는데매우중요하다. 기존의연구들 (Harker, 1990; 강창동, 1996; 이건만, 2006) 을살펴보면교육의장에대한논의를발견할수있지만, 그러한논의는학교의장과는매우다른측면에서전개된것이다. 교육의장에대한논의는, 장의행위자를가족과학생으로상정하고, 그들이장의특수한자본 ( 높은성적과학력 ) 의획득을위해어떻게경쟁하는가에초점을두고있다. 본연구에서는교육의장이아니라, 학교의공간내에장의행위자인교원, 교육관료, 학교관리자를위치시키고그들간의대립과투쟁을살펴보고자한다. 2. 아비투스 아비투스에대한부르디외의논의를보면아비투스는사회적공간의아비투스와장의아비투스로구분되고있다. 그럼에도아비투스에대한국내의선행연구들 ( 강창동, 1996; 이건만, 2006) 은사회적공간의계급아비투스 ( 취향 ) 논의에한정되어있을뿐장의아비투스에대해서는별다른언급이없다. 하지만사회적공간의아비투스로만은장의행위자들의아비투스를이해할수없다. 장의행위자의아비투스는사회공간에서의위치에따른아비투스와는연관되어있기는하나장이고유하게생성한아비투스의특성을가지고있다. 물론장은행위자 ( 또는생산자 ) 들의공간이자전체사회공간의일부이기때문에, 장에들어와있다고해서사회공간에서의아비투스가없어지는것은아니다. 달리말하면장의행위자들은장에진입하기이전에이미특정한계급조건속에서형성된사람들이기에지금장안에있다고해서전체사회안에서그들의계급위치가무의미해지는것은아니다. 교사들의경우를들어말하자면, 학교의장에진입하기이전교사들은특정한계급조건, 대개중간계급출신이거나민중계급출신으로서갖게된아비투스가있으며, 이러한아비투스는학교의장에들어왔다고해서없어지는것은아니라는뜻이다. 하지만, 학교의장에진입해서는이들의성향과행동이학교의장에의해구조화되기때문에교사의아비투스는계급적아비투스로만설명될수는없다. 이점은장안의행위자들사이에서일어나는투쟁의역학을설명하기위해서도중요하다. 장의

부르디외의장 아비투스이론의적용가능성과난점 : 학교와교사의성향을중심으로 85 행위자들은장에서의게임에똑같은내기패와성향체계를가지고참여하는것은아니다. 따라서행위자의사회적출신과장에서의생산활동사이의관계를정교화해야한다. 여기서등장하는것이바로장에서의행위자의아비투스다. 부르디외에따르면장에이어외부의요구를굴절시키는두번째매개구조가장의아비투스이다. 이렇듯아비투스의개념은기본적으로마르크스주의의경제환원론을극복하기위한개념이다 ( 이상길, 2002). 부르디외가장과행위자의아비투스의굴절의효과를강조하는것은장에서생산되는문화산물이단순히계급적산물이아님을말하기위한것이다. 부르디외에의하면, 각장은동일한아비투스를갖춘행위자들에의해그성격이표출된다. 예를들어학문의장은정치적장에포함되어있는개인들의아비투스와는다른학구적아비투스를지닌행위자들의삶을전제한다. 부르디외는다음과같이설명한다. 아비투스는장의내재적구조를체화한육체이며, 이세계에대한지각과이세계에서의행동을구조화하는육체이다 (Bourdieu, 2005a: 174). 부르디외의설명에서보듯이아비투스가장을떠나서단순히개인적인성향정도로이해된다면, 아비투스라는개념은생명력을상실하게된다. 아비투스개념을사용함에있어이점을유의해야한다. 장에서아비투스개념이사용되는목적은두가지이다. 하나는행동이외부원인들이가하는구속의기계적인결과라는주장의오류를벗어나자는것이고, 다른하나는행동이기회와이득을계산해서나온산물이며, 자유롭고의식적으로완전한이해를가지고행동한다는공리주의적관점의오류에서벗어나자는것이다 (Bourdieu, 2001). 부르디외는문화의장에서의행동은단순히공리주의적행동모델로설명될수없다는것을역설한다. 장의아비투스는행동의결정요인이단순히목적적이고타산적인경제적이익의추구가아니라는사실을함축하고있다. 명백한계산이나외부의결정에따르는것이아니라각자의아비투스에기원을둔실천에내재한합리가있는것이다 (Bonnewitz, 2000: 95에서재인용 ). 부르디외가말하는아비투스는의식적인이해타산과는거리가멀다. 장에서의행동은장의내재적구조를체화한성향의무의식적이고자동적인표현이다. 부르디외는왜의식적이고목적적인 ( 이해관계적인 ) 행동모델을거부하는것일까? 그대신에무의식적이고, 자동적인성향으로행동을설명하려하는것일까? 사람에게는장에서체화된성향이지속적으로존재하며, 그것이개인의행동을지시한다고보는것이다. 인간의행동이단순히자극에대한반응이아님을말한다. 이런점에서아비투스는듀이 (J. Dewey) 가말한습관의개념과는매우유사하다 (Bourdieu and Wacquant, 1992). 듀이 (Dewey, 1916) 에의하면, 습관이란행동의경제성, 효율성, 편함을증대시켜줄뿐만아니라, 지적정서적성향의형성을나타내는것이다. 말하자면, 장에서습득된아비투스는장에부합된어떤지적, 정서적성향을띠고있고, 적절한상황에서자연스럽게행동으로표출되는것이다. 아비투스개념에서중요한것은특히공리주의로설명할수없는, 장에서의사심없는행동을설명할수있다는점이다.

86 교육사회학연구제 17 권제 3 호 아비투스와아비투스를생산한사회세계 ( 또는장 ) 사이의관계속에편입된투자, 믿음, 정열, 운명적사랑은어떤상황속에서는어떤것은행할수없게만들고 ( 그럴수는없다 ), 또어떤것들은행하지않을수없게만든다.( 가장좋은예는귀족은귀족답게처신해야한다는 노블레스오블리즈 가강제하는모든것이다 ) 이모든것들가운데는공리주의적전통이이유를설명할수없는온갖종류의행위들이있다. 예를들어어떤인물들이나집단들에대한충성이나충실이며, 보다확대하면온갖사심없는행위들이다 (Bourdieu, 2001: 212). 장이론에서살펴본바와같이경제적인이익의추구가장의분명한규범들이나암묵적인명령들에의해좌절될수있는사회세계들이존재한다. 이러한사회세계들은이익을억제하게만드는아비투스를생산한다. 말하자면어떠한사회세계에서는이해타산적이지않는, 순수한사심없는행동을가능하게하는아비투스가존재할수있다. 여기서사심없음이란공리주의적이해타산, 경제적 계급적이해관계에서벗어난순수한성향을말한다. 그러한아비투스가가능한장은대부분문화적생산의장들로, 종교장, 예술장, 문학장등을들수있다 (Bourdieu, 2005a). 그렇다면, 학교의장에서도경제적, 계급적이해관계에서벗어난행위자들 ( 교사들 ) 의순수한아비투스가가능한가? 부르디외 (Bourdieu, 2005a) 의이론이시사하는바에따르면, 분명히그것은가능하다. 부르디외이론을공리주의적이론으로만해석한다면, 순수한아비투스는존재할수없을것이다. 부르디외의아비투스개념은비판을받을소지가있어보인다. 경제의장이외의장 ( 문화의장이나종교의장 ) 에는공리주의적인이해타산이없는가? 아무리종교의장이나문화의장이라해도의식적인이해타산적행동이없을수있는가? 특히현대자본주의사회에서공리주의적법칙이지배하는경제의장의영향을문화의장들이받고있지않는가. 그리고부르디외의이론자체에도공리주의적인요소가있다는비판을면하기어렵다. 예를들면, 부르디외는 이해관계를초월한이해관계, 상징적이익이발생한다는것을말한다. 그에의하면. 아무런내재적이익 ( 가령감지할수있는즐거움 ) 도제공하지못하기때문에이해와는무관하다고불리는활동이어떤이익을가져다주는지, 따라서이해관계로부터의초연함또는무사무욕성이어떤이익을주는지에대해질문하는것이필요하다 (Bourdieu, 1995). 상징적이익은물질적이익은아니지만, 공리주의적이익의범주에서벗어나는것은아니라는비판을받을수있다. Ⅲ. 장과아비투스이론의적용 부르디외의장과아비투스이론을통해우리가얻을수있는시사점은여러가지가있을것이다. 본연구에서는그중중요하다고생각되는다음세가지에한정하여논의를하고자한다. 첫째, 재생산이론과내재적교육논리를넘어선장으로서의학교, 둘째, 학교의장에서위치의대립과투쟁, 셋

부르디외의장 아비투스이론의적용가능성과난점 : 학교와교사의성향을중심으로 87 째, 교육에대한교원들의이해관계의특수성이다. 1. 재생산, 내재적교육논리를넘어선장으로서의학교 교육이란무엇인가에대해많은교육학적논의들이있었지만, 크게보면교육의내재적가치를주장하는교육내적관점과사회적재생산기능을강조하는재생산이론적 ( 외재적 ) 관점으로나누어볼수있다. 교육내적관점에서는교육을아동의내적인성장과인격도야를위한가치있는활동으로인식한다 ( 이홍우, 1992). 반면, 재생산이론 ( 예를들어 Althusser 이론 ) 의경우학교를이데올로기적국가기구로간주하고, 교육을정치경제학적요인과결부시켜그기능을설명한다. 여기서학교의장은고유한성격과자율성이없는것처럼취급되며, 교육의자율성이언급된다하더라도그것은명목상의허울좋은자율성에불과할뿐결국경제에의해결정되는기능으로전락된다. 이두가지입장중어떤쪽이맞는것인가? 교육내적관점은교육의내적가치를옹호하는이상론적인입장을취하고, 재생산이론적관점은교육외적인논리를펴는입장으로상호팽팽하게대립된다. 이러한대립을풀수있게해줄뿐만아니라교육을다른지평에서이해할수있게해주는것은부르디외의장이론이다. 앞장에서언급한바와같이장은마르크스의토대 / 상부구조, 사회구조 / 상징체계사이의관계를매개하는매개물로작용하여, 대학이나문화의장에서나오는지적인산물이나문화생산품이경제적이해나계급관계를거울처럼반영하지않도록한다. 장은 ( 프리즘처럼 ) 굴절효과 를만들기때문이다. 만일우리가학교를하나의사회적장으로본다면, 학교의장도고유성과자율성을가지고외부의모든제약이나영향력을굴절시키고재해석한다고말할수있다. 물론이것은하나의가정일뿐이지만, 학교를장으로본다는것은그만큼큰함의를지니고있다는것을말해준다. 기존의선행연구들 ( 강창동, 1996; 이건만, 2006) 에서는장이갖는이러한함의를충분히밝혀주지못하였다. 학교의장에서전수되는학교지식과관련하여시사해주는바를탐색해보면다음과같다 (Bourdieu, 2004). 학교지식과특정사회계급간의직접적관계를설정하는것은진정한학교지식사회학이아니다. 학교지식의사회학의진정한연구대상은학교지식생산자와다른일반지식생산자들사이의 ( 상호작용의형태로이루어진 ) 객관적관계의총체, 그리고학교지식의생산및학교지식의사회적가치의생산에관여한모든행위자들의총체가되어야한다. 이는학교의장에서전수되는지식이단순히정치경제적인외적요인이나지배이데올로기에의해서만설명되어서는안되며, 학교의장과장의외부가상호연관되어매우복잡한역동성을만들어내고있음을말해주는것이다. 물론학교를장으로본다고해서학교지식의사회적결정성을완전히부정해버리는것은아니다. 사회적결정성은한편으로학교지식의생산자의아비투스를통해행사된다 (Bourdieu, 2004). 즉사회적주체 ( 가족의구성원 ) 이자생산자로서의그의생산의사회적조건과결부되어있는것이다. 다른한편으로사회적결정성은다소간자율적인특정생산장속에서그가점하고있는위치속에새겨진

88 교육사회학연구제 17 권제 3 호 사회적강제와요구를통해서행사된다. 여기서말하고자하는것은, 학교지식의생산자의사회적특성 ( 사회적출신 ) 으로부터그의지식생산품의특성을직접적으로끌어낼수없다는것이다. 학교지식생산자가비록일련의가족적분위기 ( 사회적출신 ) 를간직하고있다할지라도사회적출신에결부된성향들은학교의장에서다양한형태로표현된다는것이다. 또한학교장의논리로보면, 교사들은교육의고유한논리와목적을가지고학생을가르치고있는것이된다. 장속에생산된생산물들은장의역사에대한실천적참고를내포 하고있다는부르디외 (Bourdieu, 2004: 237) 의말을고려해볼때, 교사들역시교육행위를함에있어학교의장의역사에서구축된실천적인사례에대한참고가있을것이다. 예를들어, 교사자신의교육행위를, 특별한교육방법 ( 예를들어생태주의적인협동적교육방법 ) 을사용한다거나위대한교육사상적전통, 예를들어유구한유교적교육사상또는휴머니즘적교육사상의역사가축적된학교의장속에위치시키거나, 혹은훌륭했던과거의선생님들이가르쳤던그공간속에위치시킴으로써자신의교육행위를교육자적행위로만들어낼수있다. 부르디외의장이론을통해또하나생각해볼수있는것은, 합법적이고 정통성 을지닌교육행위는학교의장과장의역사에의존하고있다는사실이다. 우선학교의장을떠나서는순수한교육적행위가성립되지않는다는것이다.( 학교의장을학원과비교해서생각해보라.) 그리고예술가를예술가로부를수있게하는예술공간 ( 장 ) 이있는것처럼, 교사를교육자로부를수있게하고, 교육자를성스러운가르침을베푸는스승으로만들어낼수있는공간, 그리고학교에서가르쳐지는바를학원교육과는다른인간교육이라고규정할수있는공간, 학원이라는상업적공간과는달리교육적활동의공간, 학교의장이라고규정하고만들어낼수있는사회적조건이있으며우리는그것에대해질문해볼필요가있다. 이러한해석은부르디외의문화적재생산이론과배치되는듯이보인다. 부르디외는교육이문화적재생산의기능을하고있음을주장한것은분명한데, 교사들의교육활동과교육내용을문화재생산과직접연관시킬수없다고말한다면, 모순으로보일수밖에없다. 하지만여기서말할수있는것은, 교육이문화재생산역할을한다고해서교사들이그역할을수동적으로수행한다고보기는어렵다는것이다. 만일재생산시스템속에서교사들이그저수동적인역할을할뿐이라면, 지루 (Giroux, 1988) 가말한바대로학교의장에서교사들이변혁적지식인으로어떻게역할을할수있겠는가. 부르디외의문화적재생산이론이비판받았던것을상기해보라 (Giroux, 1988). 문화적재생산이론의틀에서는, 학교의장에서의행위자에대해아무런변혁적역할을부여할수가없다. 그러기에연구자는교육의장이라는용어를쓰지않고학교의장의용어를쓰고있으며, 이둘을구분하고있다. 교육의장의개념은학생과학생에대한교육내용 ( 문화 ) 에초점을맞추고있는데비해학교의장의개념은장의행위자로교사에게초점을맞추고있다. 교육의장에대한논의에서는특별히교사가어떤역할을하는가는찾아보기어렵다. 학교를하나의장으로본다면, 교사는장의행위자로서어떻게역할을하는가? 그들의아비투스는무엇이며, 그들의아비투스는교육적아비투

부르디외의장 아비투스이론의적용가능성과난점 : 학교와교사의성향을중심으로 89 스로서어떻게계급적이해관계나공리주의적이해관계에서초탈할수있는가를탐구하는것이필요하다. 물론학교의장이어느정도자율성을가지고있다고해도, 실제적으로학교의장이외부의제약이나영향력을얼마나굴절시킬수있는가하는의문이들수있다. 대학의장, 예술의장은오랫동안자율성을구축해온긴역사를가지고있는반면, 학교의장은그렇지못하다. 특히학교의장이외부의영향에취약한한국사회에서장외부의영향에서얼마나자유로울수있는가하는것이다. 만약학교의장자체의노모스와기능이외부의영향력 ( 예컨대정치적권력 ) 에의해압도, 무력화된다면, 학교의장은외부의영향력을그대로반영하게될것이다. 부르디외에의하면이경우장은하나의 기구 가된다. 부르디외 (Bourdieu, 2004: 150) 는 장의최악의병리학적상태가기구 이며, 특정한조건하에서장은마치기구들처럼기능 한다고말한다. 장이자체의자율성을완전히박탈당한채장의지배효과에의해 장의변증법과투쟁 이불가능하게될때기구로기능하게되는것이다. 한가지더생각해볼점은, 학교의장의자율화의동력과그과정은무엇인가하는것이다. 이주제만으로도큰연구주제이기때문에, 여기서는한가지만언급하고지나가고자한다. 역사적으로보면, 교사들의교원노조중심의조직과결집, 그리고사회의민주화에따른합법화로인해학교의장에대한관료적지배가약화되었다고할수있다. 그와동시에학교의장의자율화는학부모의소비자주권주의의영향력에의해상당부분제약을받고있다고할수있다. 이런현상은, 학교의장의자율화란측면에서바람직한지안한지더욱많은논의와판단이있어야한다. 장이발전하고자율성이커질수록장이폐쇄성이강해질수있지만 ( 예를들면예술적인장이나, 과학적장처럼 ) 학교의장의경우는이런식의자율성이진화하기는어렵다. 학교의장내부에서일어나는상징투쟁에서마지막패를쥐고있는것은학부모와학생집단이라할수있다. 최근논란이되고있는교원평가제, 교장공모제등은학교의장의생산자인교원들만의문제가아니라, 학부모와학생, 지역주민등의요구가함께맞물려있는경우라할수있다. 교원평가제나공모제모두학부모의개입이담겨있기때문에, 학교의장은교원만의이해관계의차원을넘어서는것이며, 학교의장의힘의역동성을상당히변화시킬것으로보인다. 장이론을통해우리가교육학적논의를확장할수있는것은, 재생산이론이주장하는것처럼학교가이데올로기적국가기구로단순히기능하는것은아니라는점, 그리고교육이나름대로의전통과역사가있지만, 그것은교육내적관점에서주장하는것처럼장의속성과무관한순수성을말함이아니라학교장의고유한역사와그것의사회적형성조건에따라이루어지고있다는것이다. 2. 학교의장에서위치의대립과투쟁 장이론을통해또한생각해볼수있는것은, 학교의장에서교원들간의대립적인구조상의위치

90 교육사회학연구제 17 권제 3 호 를확인해봄으로써학교의장의역동성을파악할수있다는것이다. 장이론의관점에서, 학교의장도사회공간처럼자본의양과구조에따라지배자와피지배자로구분해볼수있다 (Bourdieu, 2004). 학교의장의지배자는누구인가? 피지배자는누구인가? 지배자와피지배자는공간속에서의위치에따라결정된다. 위치는장안에불평등하게분포되어있는장의특수한자본의양과구조에의해정해진다. 그렇다면학교의장의위치를정하는특수한자본은무엇인가? 이에대한답을충분히제공하기는어렵지만, 우리는몇가지논의를제공할수있다. 우선부르디외가대학의장을어떻게분석했는가를살펴보는것은학교의장을이해하는데도움이된다 (Bourdieu, 2005b). 부르디외는각계급과지배 / 피지배분파에대한분석을통해사회공간상에교수들을계급적으로위치시키면서, 사회공간상의배열원리가대학학부의사회적서열에서도나타나고있음을보여준다. 대학역시다른사회영역과마찬가지로정치 경제적축과문화의축사이에상이한학부들이배열되어있다. 경제적이고정치적인자본을보유하고있는세속적인축에위치한교수들과, 학문적권위와지적명성의자본축에있는교수의특성은그서열에따라대립된다 (Bourdieu, 2005b). 세속적권력의축에있는법학부나의학부교수들은여러지표에서학문적축에있는문학부나이학부교수들과는대립되는특성을보여준다. 대학의장과는달리학교의장에서교원들의대립적인구조상의위치를분석하는데는상당한난점이따른다. 우선교원들을대학교수처럼경제적, 정치적자본을많이보유하고있는세속적인축과학문적 ( 학교의경우교육적 ) 축으로확연하게구분하기가어렵다. 학교의장은대학처럼두가지경쟁이되는서열화의원리에따라조직된것이아니기때문이다. 학교의장에는경쟁이되는서열화의양축이없기때문에, 교원들은학교권력의서열화에따르는한가지축에종속되는경향이강하다. 이런이유로학교의장에서일어나는자본구조의변형을위한투쟁은, 결국학교권력자본의구조를바꾸기위한투쟁으로집중될수밖에없다. 학교장의자본구조를변형시키기위한투쟁은대학과는달리단일한서열화의축에구성원들이종속되기때문에어쩌면더격렬하게일어날수있다. 실제학교의장에서가장큰대립과투쟁은교육부 교육청 학교관리자와교원단체인전교조사이에서일어난다. 왜그러한가? 단일한서열화의축에따라형성된자본구조에서교육관료와학교관리자의지배력이강하기때문에, 그지배력을약화시키고자하는평교사들의저항과투쟁이일어날소지가크기때문이다. 만일학교의장에대학처럼 교육적권력 ( 교사로서위신과권위의상징자본을갖는것 ) 의축이형성되어있다면위치의대립형태는다양해지고분산될수있을것이다. 그러나학교의장에서교사들이갖는상징자본은사회적인정이미약할뿐더러승진으로연결되지않는상황, 말하자면상징자본이권력자본으로전환될수있는전환율이부재한상황이기때문에상징자본은내기물로써교사들의열정을지속적으로이끌어내지는못한다. 학교장에서일어나는자본구조변형투쟁은학교장에서의위치에맞는전략이뒤따른다. 부르디외 (Bourdieu, 2004) 에의하면, 자본을독점하고있는사람들은보전전략을지향하는경향이있으며,

부르디외의장 아비투스이론의적용가능성과난점 : 학교와교사의성향을중심으로 91 그들장에서의정통을방어하고자한다. 반면자본이가장결여된사람들은전복의전략, 이단의전략을추구하는경향이있다. 이들은장의구조 ( 자본의분포상태 ) 자체를문제시하고, 그것을변형시키려는전략을취한다 (Bourdieu, 2004). 이를학교장에적용하여해석해보면, 학교관리자는경영의독점권을주장하며, 경영참여를배제하려는지배자의위치에있으며, 전교조는독점권을깨뜨리고자하는새로운 신참자 의위치에놓여있다고볼수있다. 물론전교조교사들이모두신참자라는뜻은아니다. 학교경영에의장에입장하지못하는위치에있다는점에서신참자의위치에비유될수있다는것이다. 전교조는기존학교장의구조를전복하기위해종종이단의전략을사용한다. 이단의전략이란, 그간해오던교육의모습을정통으로보는사람들에대한대립적위치에서있는것을말한다. 학교라는장을구성하는교사라는위치를점하면서참교육을기치로교원노조를결성하여교육개혁을외침으로써이들전교조교사들은스스로의존재를각인시킬수있었다. 다시말해서전교조교사들은학교관리자, 교육청과교육부의관료등다른위치의점유자들에게여러가지교육문제를제기하게됨으로써자신의존재를국민들에게충분히각인시킬수있게되었던것이다. 예를들어과거군부독재시절전교조는스스로가교육계의진부함과타락에대립해있다고주장하며, 교육의본질, 진정한교육의정신으로돌아가야한다고역설하였다. 즉분단체제를고착화하는반공교육, 독재체제를정당화하는체제순응적인교육, 학생들을입시지옥으로몰아넣는입시교육을타파하는것이필요하며, 자신들은이러한것에대립하고있다고주장하면서, 교육의본질적정신, 순수성을회복해야한다고주장하였다. 전교조의참교육이란바로이것을나타낸다. 참교육은반공교육, 입시교육등에대해대립되는용어가되는투쟁의내기물이되었다고할수있다. 초창기전교조의 학교민주화 투쟁으로전교조는학교의장에대한교육관료와학교관리자의독단적인지배력을약화시키고, 교사들은그이전에비해학교의장에서상당한힘과영향력을가지게되었다. 그리고전교조합법화이후전교조는교육부 교육청과의단체협상상대자로서대등한협상의위치를확보함으로써학교장의권력자본의구조에상당한변화를가져왔다고할수있다. 최근전교조가벌여왔던 NEIS 반대투쟁, 7차교육과정반대투쟁, 반 FTA 투쟁등은전교조가정부의일방적인정책에대해제동을걸수있을뿐만아니라, 학교의장에서상당한권력자본을쟁취하였음을보여주는예라할수있다. 하지만전교조의투쟁으로학교장의자본구조가어느정도변형되었다할지라도, 학교의장의지배자는여전히학교관리자와교육관료라는점에서자본구조변형에있어한계가있다는것은분명하다. 권력자본구조의변화과정에서전교조가사용하는전략에주목할필요가있다. 그전략은부르디외 (Bourdieu, 2001) 가말하는 보편화전략 으로, 학교의장에서이러한전략이없이는권력자본구조에변화를가져오는일은쉽지않다. 보편화의전략은, 보편적이고공통적인가치와규범 ( 인권, 평등권, 생존권등 ) 을인정하는공익적행위를통해사회집단들, 즉학생과교사, 민중의편에과시적으로위치함으로써이들집단을자기편으로끌어들이는것이다 (Bourdieu, 2005a). 예를들어, NEIS 투

92 교육사회학연구제 17 권제 3 호 쟁은국가통제의효율성에대한학생인권의대립으로, 7차교육과정개편투쟁은신자유주의 ( 선택권 ) 에대한교육평등권의대립으로, FTA 공공부문개방저지투쟁 ( 교육개방저지를위한반 FTA 수업등 ) 은, 신자유주의에대한민족경제의지킴과민중생존권보장의대립으로, 성과급투쟁은신자유주의경제논리에대한교육논리의대립으로보편성을내세운다. 이처럼, 전교조가보편성의전략을가지고투쟁하는것은, 보편성을진전시키기위한것인동시에그것은보편성의투쟁을하는전교조집단 ( 교사집단 ) 의 이익 ( 자본구조의변형 ) 을동시에진전시키기때문이다. 여기서우리가지적할중요한점은, 전교조의투쟁을마냥파당적인이익을위한것이라고만규정하는것은중대한오류라는것이다. 부르디외가말하듯이인권, 평등권, 생존권등의보편이전진하는것은경제의장과일정한거리를둔학문의장과같은소세계가존재하기때문이다. 학교의장도물론이기주의와이해관계, 전문성의특권에갇혀있지만, 그럼에도불구하고학교의장은보편을목적으로하는투쟁의중요한공간이라는사실이다 (Bourdieu, 2001). 이또한우리가부르디외논의속에서얻을수있는중요한시사점이다. 3. 교육에대한교사들의이해관계의특수성 이절에서는학교의장에서교육에대해교사들이갖는이해관계의특수성에대해, 부르디외이론이시사해주는점을논의해보고자한다. 부르디외가말하는이해관계 (interest) 는공리주의적인이해나 ( 신자유주의적인 ) 경제적인이익을말하는것이아니라, 일뤼지오 (illusio) 라는의미로말하고있는것이다. 즉 사회적놀이에그것이중요하다고인정하고, 그속에서일어나는일이, 그것에참여하고그것에소속된사람들에게중요하다는것을인정하는현상 (Bourdieu, 2005a: 168) 이다. 다시말해서교사 ( 그리고학교행정가 ) 로서교육의장에소속되는것이고, 교육이란놀이에참여하는것이며, 따라서놀이 ( 교육적활동 ) 는놀만한가치가있으며, 놀이를하는현상에서, 그리고이현상에의해생성되는내기 ( 목적 ) 들이추구할만한가치가있음을인정하는것이다. 여기서얻을수있는시사점은학교의장이그안에서이루어지는유희를통해교사들에게존재감을제공해준다는점이다 ( 물론유희에대한일뤼지오를가지고있는교사들의경우임 ). 교사들은신자유주의자들이주장하듯단지임금 보상과같은이익만을얻고자가르치는것은아니다. 파스칼이말했듯이, 사냥이노획물보다더중요하지는않더라도그만큼은중요한것이다. 사냥, 그자체가사냥꾼에게는큰행복을안겨준다. 교사들에게는임금이나보상의차원을넘어서서교육한다는행복이있는것이다. 부르디외 (Bourdieu, 2001) 의표현을빌리자면, 이렇게말할수있다. 교사의행복이란, 자신이사람들의무관심에서벗어나서학생들의관심을받으며가르치는일에몰두하고목적을향해전념하고있다는사실에있으며, 또한객관적으로나주관적으로사회적사명을부여받았다고느낀다는사실에있다. 그것은다른사람들, 학생들에게내가소용이있으며, 그들에게본질적으로중요하다는감정을가장지속적으로구체적으로느끼는것이며, 학생들의인정과호의의표시속에서존재

부르디외의장 아비투스이론의적용가능성과난점 : 학교와교사의성향을중심으로 93 의지속적인정당화같은것이발견되는것이다. 신자유주의경쟁논리가공론장의소통에서유일하게확립되고보장된지배담론이되면서부터는이런교사들의행복, 사회적실존으로서갖는의미와중요감은아예존재하지않는것처럼무시되고있다. 신자유주의가끼친부정적영향가운데가장큰것은학교장에서갖는교사들의존재의의미를통째로허물어뜨리고있다는사실이다. 물론그이전에도학교의장의유희에대한일뤼지오 ( 이해관심 ) 가아예없었거나상실된경우의교사들을제외하고는말이다. 신자유주의개혁의주대상이라할수있는이들 해이한 교사들을경쟁구조속에몰아넣는다고해서교육에대한열정이살아날까? 또다른시사점은학교의장에서교육에대한비전과관련된투쟁이있는데, 그것을모두공리주의적이해관계로환원할수없다는것이다. 그러한투쟁은학교의장의아주특별한속성을전제한아비투스에근거하고있다. 여기서특별한속성이란, 종교적장과같이상징적재화를생산하는장이라는것이다. 교원들의아비투스는경제적인성공을부차적인것으로여기는학교의장과관련하여구축되는것이다. 학교의장은헌신, 봉사, 교육애에기초를두고있다. 교육의장에서행위자들인교원들은아이를교육하는일의속성상 이해관계에얽매이지않는다 는사실을전제한다. 말하자면교원들은아이의 신성한교육 을담당하는스승으로서타산적인이익을밝혀서는안되며, 무사무욕적인태도를가지고있어야한다는기능논리를가지고있다. 여기에는암묵적이거나명시적인교직사회화과정을통해후천적으로획득한성향체계인교사들의아비투스가작용한다. 물론교사들의출신계급에따른아비투스가존재하고, 사회적공간에서갖는자본주의적아비투스가존재한다. 그러나학교의장은장으로서의특수성과자율성을가지고있으며, 계급적이해관계를반영하는것이아니라굴절시키는것이다. 경험적인근거가필요하지만, 적어도장이론적관점에서볼때그러하다는것은분명하다. 그리고학교의장에의해구조화되는교사의아비투스가있으며, 교사의아비투스는계급적아비투스로만설명될수는없다. 이렇듯, 학교의장에서교사들의교육활동의자율성과특수성을설명하는데, 장과아비투스개념이사용될수있다는점을환기해야한다. 교육적아비투스와관련하여생각해볼수있는최근의한가지사례로교원평가제에대해반대하는교사들의경우를들수있다. 교원평가제를반대하는이유는교사들의입장에따라여러가지가있겠지만, 교사로서의존재감 을지키기위한상징투쟁의성격도있음을부인하기어렵다. 어느교사들은학생과학부모, 동료교사와의관계에서타산적이해에집착하는모습으로비쳐지기를원치않으며, 매사에공평하고무사무욕적인존재로인정받기를원한다. 하지만, 교원평가제로더이상교사들이자신들의자존감이라할수있는, 가르치는일의 순수함 을유지할수없게될것이라는우려가크다. 완전히이해관계에서초탈하기를바라는, 그러면서타인들이초탈했다고봐주기를바라는마음이이들교사들안에있는것이다. 교사들은높은평가를받기위해아이들인기에영합하지않고초탈했다고인정해주는것자체가그들에게는부가적인이익 ( 상징적이익 ) 을얻게해줄수있다. 교원평가제에서간과되고있는중요한것은, 교원평가제가이들교사들의교육적아비투스를학교

94 교육사회학연구제 17 권제 3 호 장에서더욱무력하게만들고, 그뿐만아니라학교의장이더이상교사들의성향을교육적아비투스로구조화하기어렵다는것이다. 현실적으로학교의장의속성에부합된교육적인순수한아비투스를가진교사들이많지않을지모른다. 그러한경우는특별한경우일수도있다. 그러나교육의장임을표명하는학교의장에서교사들이학생들을대상으로경제적이해관계를도모하거나의도적이고목적적인계산을가지고행동을하는것은아니다. 학생들을가르치는교육행위에있어단순히이해관계로는파악할수없는여러형태의행동들이많이있다는것을부정할수없다. 예를들어전교조초창기투쟁의과정에서전교조교사들은대량해직을당하기도하였는데, 이것은공리주의적이해관계로설명하기어렵다. 물론이러한해석에대해서여러이견이나올수있겠지만, 이들전교조교사들이해직의불이익을감수할수있었던것은단순히공리주의적이해타산이아니었음을부정하기는어렵다. 당시, 모든교사가다그런것은아니었다할지라도, 교육민주화의순수한정열을가졌던교사들은타산적인이해관계를초월할수도있음을행동으로보여주었다. 그들에게순수한교육애와열정이있었다면, 그것이어떻게가능했을까? 부르디외 (Bourdieu, 2001) 의말처럼, 그것이형성될수있었던사회적조건, 사회적궤적이있었을것이고, 학교장에서이루어지는교육의목적이지닌가치에대한믿음 ( 일뤼지오 ) 이있었을것이다. 그에대해서는별도의논의가필요하겠지만, 여기서중요하게지적하고싶은것은, 그들교사들이타산적이해관계를초월한행동을함으로써, 부르디외가말하는이른바 이해관계를초월한이해관계, 상징적이익을획득할수있었다는것이다. 이것이부르디외가말하고자하는이해관계의의미이다. 부르디외 (Bourdieu, 1995: 406) 는다음과같이말하고있다. 아무런내재적이익 ( 가령감지할수있는즐거움 ) 도제공하지못하기때문에이해와는무관하다 ( 무사무욕적 ) 고불리는활동이어떤이익을가져다주는지, 따라서이해관계로부터의초연함또는무사무욕성이어떤이익을주는지에대해질문하는것도마찬가지다. 즉이들전교조교사에게상징적이익은, 해직교사가됨으로써학교라는장에서스스로를어떤 바른 기준 ( 참교육, 참스승 ) 이되는위치의보유자가될수있다는것이다. 이러한위치를하나의기준으로해서다른교사들의서있는지점을위치시키고그위치의정의를내릴수있는위치의보유자로서인정을받는것이다. 앞에서초창기전교조교사의예를든것은교사의성향을학교장의아비투스로이해하기위한것일뿐, 그들교사모두가순수한교육적아비투스를가지고있었다는것을말하기위함은아니다. 아마당시순수한교육적아비투스를가지고조용히헌신하는교사들이많았을것이고, 현재에도순수한아비투스를가지고아이들을가르치는교사들이적지않게있을것이다. 하지만, 그들의사례를들어분석하기에는어려움이크다. 그것에관한경험적자료와연구결과가축적되어있지않기때문

부르디외의장 아비투스이론의적용가능성과난점 : 학교와교사의성향을중심으로 95 에그렇고, 실제교사들의아비투스가순수한교육적아비투스인가를확인하는것도상당히어렵기때문이다. Ⅳ. 결론 본연구에서는부르디외의장의개념을학교에적용하여학교의장의성격을논의하고, 아비투스의개념을교사에게적용, 여러가지사례를들어교사들의성향과행동을분석해보고자하였다. 물론부르디외이론의적용및분석은일부에국한된사례분석일뿐이다. 보다폭넓게적용 분석해볼수있겠지만, 본연구는다만그적용가능성을탐색하는데그칠뿐이다. 본연구는부르디외장이론의적용에있어다음과같은세가지가정에기초하고있다. 첫째, 장의개념은정치, 대학, 예술의장처럼학교의장을이해하는데유용할것이다. 둘째, 학교의장의구조 ( 자본의분포구조, 구조의유지와변형 ) 가교원들간의대립과투쟁을이해하는데유용할것이다. 셋째, 아비투스개념은학교의장의행위자인교원들의성향과행동을이해하는데유용할것이다. 본연구는이러한가정이타당하다는것을입증하기위한경험적연구를진행한것이아니라, 이러한가정을토대로몇가지논쟁적사례를들어분석을시도하였고이러한분석을통해부르디외이론의적용가능성을보여주고자한것이다. 그리하여첫째, 학교를장으로볼때, 우리가교육학적논의를확장할수있는것은재생산이론이주장하는것처럼학교가단순히국가기구로기능하는것은아니며, 장자체의고유한역사와자율성을가지고외부의제약과영향력을굴절시킬수있다는것이다. 하지만이와관련된경험적연구자료가부족하기때문에, 한국사회의맥락에서학교의장이어느정도의자율성을가지고있는지, 자율화의동력은무엇인지, 그리고학교장의고유한속성과그것의사회적형성조건이무엇인지는구체적으로밝히기는어려웠다. 그리고문화의장에서문화의산물이계급적위치의소산이아니듯, 학교장의교육적활동 ( 산물 ) 이교사의계급적위치의산물이아니라는것을충분히논증하는데까지는나아가지못하였다. 이것은앞으로의연구과제로남겨두고자한다. 둘째, 학교장의구조에서위치의대립을만들어내는축이단일하기에대학처럼학교권력과교육적권력으로구분하기가어렵다. 따라서학교의장에서투쟁의내기물은주로학교권력자본으로한정되며, 전교조중심의자본구조의변형투쟁 ( 그리고이단전략 ) 은학교권력자본의구조를바꾸기위한투쟁으로집중될수밖에없다. 하지만, 학교장의지배자는여전히학교관리자와교육관료라는점에서자본구조변형에있어한계가있다. 본연구에서는관련자료의부족때문에, 학교의장을특징짓는다양한특수자본이무엇인지, 그것의분배구조의영속또는전복을내기물로하는투쟁이어떻게일어나고있는지폭넓게분석하기어려웠다.

96 교육사회학연구제 17 권제 3 호 셋째, 학교의장에서교사들은공리주의적이해관계나계급적이해관계를넘어선교육에대한특수한이해관계 ( 일뤼지오 ) 를가지고있다. 특수한이해관계란학교장에소속되어있고, 교육이란유희에참여하는데서생기는이해관계로, 학교의장에서이루어지는교육목적이지닌가치에대한믿음과열정을만들어낸다. 또한학교의장에서교사들은타산적이해관계를초월한행동을함으로써 이해관계를초월한이해관계, 상징적이익을획득할수있게된다. 타산적이해관계를넘어선순수한교육적행위를설명하는데유용한개념이교사들의순수한아비투스이다. 이점에서아비투스개념의적용가능성은그어느것보다도크다. 학교의장에서일어나는교원들의갈등과대립을오로지집단의이해관계, 이전투구로만규정하는사회적시선이오히려교직사회를이전투구와적나라한이해관계의장으로몰아넣는위험이있다. 그러한부정적인귀속적판단이야말로부르디외가말하는 분류투쟁 ( 교사집단을이기주의적인천박한집단으로귀속판단케하는것 ) 의성격을띠고있음을간과할수없다. 이연구는학교의장에서일어나는일들을모조리공리주의적이해관계로만볼수없다는것을보여주는사례분석이고, 또한그러한분석을가능하게해주는것이부르디외의아비투스개념이라는것이다. 본연구에서사례중심으로아비투스를적용해보았지만, 교사의아비투스에대한보다많은경험적연구가필요하다. 교원들의아비투스가학교의장에서어떻게형성되고사회의변화에따라어떻게변화되고있는지에대한보다체계적인연구가필요하다. 이연구과정에서아비투스가교사들의출신계급, 즉어렸을적의사회적공간에서의위치와아비투스적취향, 그리고가문의사회적궤적에따라어떻게달리나타나는가를살펴볼필요가있다. 그에따라교원의아비투스와학교의장 ( 장의요구 ) 이일치할수도있고, 일치하지않을수도있다. 본연구에서후속연구로제안하고자하는주된연구과제는, 특히학교장에서교사의아비투스가신자유주의적개혁의영향으로어떻게변모되어가고있는가하는것이다. 학교의장에서성공하기위해서, 사심 이있어야하는놀이를해야하는현실이라면, 교사들의교육적아비투스는모순, 분열상태를겪게될것이다. 신자유주의의개혁이추구하는것처럼학교의장이경제의장처럼변화되어 ( 예를들어학교도기업조직식으로운영해야한다는식의변화 ) 교육적아비투스를인정하지않게되면, 교사들의아비투스는현실적상황과모순되어변모될가능성이생겨난다. 학교의장의아비투스는교육적이라는집단적 ( 사회적 ) 지지가점점와해되어가고있는현실이며, 자신의존재이유를상징적이익에서찾을수없기에교육적아비투스보다자본주의적아비투스를구축해가는교사들이많아지고있다는우려도크다. 또한학교의장은사회적변동속에서어떻게변화되고있는지, 그에따라학교장의일뤼지오는어떻게달라지고있는지를밝히는것이매우중요하다. 과연현재한국의학교의장은교사들의사심없는교육적아비투스를만들어내는사회적공간인가? 교사들에게사심없는순수한교육적아비투스가가능하다면, 그것은어떻게, 어떤조건하에서가능한가? 이에대한문제의식없이교육적아비투스를교사의개인적인교직적성의문제로환원시키고, 교사들에게윤리강령으로무조건강요하는것은비현실적일뿐더러학교장형성의사회적조건을완전히도외시하는것이다.

부르디외의장 아비투스이론의적용가능성과난점 : 학교와교사의성향을중심으로 97 참고문헌 강창동 (1996). Bourdieu의장과하비투스에관한교육학적논의. 교육학연구, 34(1), 1-22. 김경근 변수용 (2007). 한국사회에서의학업성취에대한문화자본의영향. 교육사회학연구, 17(1), 23-51. 김경근 (2005). 한국사회교육격차의실태및결정요인. 교육사회학연구, 15(3), 1-27. 이건만 (2006). 문화적계급지배와교육불평등 : Pierre Bourdieu 문화재생산이론의음미. 교육사회학연구, 16(2), 111-139. 이상길 (2002). 장이론- 구조, 문제틀, 그리고난점들. 문화와계급 : 부르디외와한국사회. 양은경 이상길 장미혜 조은 주형일 홍성민. 서울 : 동문선 ( 편 ), 185-244. 이홍우 (1992). 교육의개념. 서울 : 문음사. 진미석 (1995). 교육조직의이론과실제. 서울 : 길안사. Bourdieu, P.(1995). 구별짓기 : 문화와취향의사회학 [La distinction]. ( 최종철역 ). 서울 : 새물결. ( 원전은 1979에출판 ) Bourdieu, P.(2001). 파스칼적명상 [Meditations pascaliennes]. ( 김용권역 ). 서울 : 동문선. ( 원전은 1997 에출판 ) Bourdieu, P. (2004). 사회학의문제들 [Questions de sociologie]. ( 신미경역 ). 서울 : 동문선. ( 원전은 1984에출판 ) Bourdieu, P.(2005a). 실천이성 [Raisons pratiques]. ( 김용권역 ). 서울 : 동문선. ( 원전은1994에출판 ) Bourdieu, P.(2005b). 호모아카데미쿠스 [Homo academicus]. ( 김정권 임기대역 ). 서울 : 동문선. ( 원전은 1984에출판 ) Bourdieu, P., Wacquant, and J. Loic(1992). An invitation to reflexive sociolog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Dewey, J.(1916). Democracy & education. N.Y.: The Free Press. DiMaggio, P.(1982). Cultural capital and school success: The impact of status culture participation on the grades of U.S. high school student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7(2), 189-201. Dumais, S.A.(2002). Cultural capital, gender, and school success: The role of habitus. Sociology of Education, 75(1), 44-68. Giroux, H.(1988). Teachers as intellectuals: Toward a critical pedagogy of learning. N.Y.: Bergin & Garvey.

98 교육사회학연구제 17 권제 3 호 Harker, R.(1990). Bourdieu - education and reproduction. In R. Harker, et al. (eds.), An introduction to the work of Pierre Bourdieu, 86-108. N.Y.: St. Martins' Press. Kalmijin, M. and G. Kraaykamp(1996). Race, cultural capital, and schooling: An analysis of trends in the United States. Sociology of Education, 69(1), 22-34. Pinto, L.(2003). 부르디외사회학이론 [Pierre Bourdieu et la theorie du monde social]. ( 김용숙, 김은희역 ). 서울 : 동문선. ( 원전은 1998에출판 ) 논문접수 2007년 7월 30일 / 수정본접수 9월 17일 / 게재승인 9월 20일 김천기 : 전북대학교교육학과를졸업하고미국 Georgia State University에서교육사회학전공으로 Ph.D. 를취득하였음. 전북대학교교수로재직하고있음. 캐나다 University of Toronto, OISE, 교육사회학과에서 visiting scholar로연구활동. 주요관심분야는교육과사회불평등, 문화자본 / 사회자본론, 대안교육, 청소년문화등임.

부르디외의장 아비투스이론의적용가능성과난점 : 학교와교사의성향을중심으로 99 ABSTRACT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P. Bourdieu's field and habitus theory to the school and the teachers Kim, Cheon-gie(Chonbuk Nation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ow the concept of field and habitus in the theory of P. Bourdieu can be applied in the analysis of the field of the school and the habitus of the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s: first, in the perspective of the field, the school can be viewed as a social field, which is different from both the Marxist view on the school as a ideological state apparatus of the reproduction theory and the traditional view on the school as a neutral institution isolated from the society. Second, the positions of the teachers are placed according to the power capital in the field of the school and the teachers' struggles for the transform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power capital are observed. Third, there are the special(symbolic) interests of the teachers concerning education, which cannot be explained by the logics of utilitarian interests or class interests. Especially many teachers in the Korean Teachers' Union showed the disinterested sacrificing struggle for the democratization of education in the 1980's, which brought them the symbolic interests such as "true teacher". This cannot be properly understood without the concept of their educational habitus. However, it does not imply that the current teachers also have the educational habitus as before. It is not evident. One of the tasks for the further study is to exploring whether the school field is still the social space structuring the educational habitus for the teachers and what is the feature of the habitus of the current teachers. *Key words: educational habitus, field, symbolic interests, power capi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