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dx.doi.org/10.16885/jktc.2016.06.19.2.85 ISSN 1598-8295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Vol. 19, No. 2 (2016) pp.85-98 모바일메신저이모티콘에대한소비자사용특성및활용분야 - 카카오프렌즈를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 Usage and Analysis of Applicable Fashion Fields of Mobile Messenger s Emoticon - Focused on Kakao Friends - 유지헌 이상인 + 상명대학교의류학과교수 상명대학교대학원생활환경학과석사 + Yu, Ji-Hun Lee Sang-In+ Professor, Dept. of Clothing and Textile, Sangmyung University Master s, Dept. of Human Environmental Science, Graduate school of Sangmyung University+ ( 투고일 : 2016.03.18 / 심사일 : 2016.05.23 / 게재확정일 : 2016.06.15) ABSTRACT 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ffering the development of fashion goods and base data of marketing strategies by analyzing Kakao Friends, the national mobile character. 'Kakao Friends' was selected and took it as the subject of analysis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of this study were developed by referring to proceeding research and reference literature. For collecting data, 120 questionnaires were circulated to students, workers and house wives separately. And among the questionnaires, 300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study.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SPSS 21 was used and descriptive analysis, multiple component analysis,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paired samples T-test and F-test (ANOVA) were performed. The result was deduced that the mainly used emoticon was different by genders. The most used emoticons of men were Apeach and Jay-G and women s result were Tube and Apeach'. Frodo was less used emoticon of men and Jay-G was less selected by women. When examining the differences of using ratio depending on the gender and status, it was reveal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s was existed. In sum, the result was found that usually men use emoticon were less than women. The result of the difference between status, it was found that the most using ratio was not existed in all status. When investigating the most suitable item that application of emoticon, cell phone cases and accessories were selected. Also fashion item s visibility of emoticon was influenced on the consumer's preference. The result of consumer preference was that they preferred fashion items which had small visibility of emoticon rather than had huge visibility. So, when grafting emoticon on to the fashion goods, it is better to use in the small part of items. According to the expanded emoticon market, it need to develop continuous story telling to further up as Korea cultural industry so as to beside off the promotion. Keywords: consumer sensibility( 소비자감성 ), Emoticon( 이모티콘 ), Kakao Talk( 카카오톡 ), mobile messenger( 모바일메신저 ) * 2016. Corresponding author: Lee Sang-In E-mail: joann0311@naver.com
86 한복문화제 19 권 2 호 (2016. 6) Ⅰ. 서론 Ⅱ. 이론적배경 1. 모바일메신저내이모티콘
모바일메신저이모티콘에대한소비자사용특성및활용분야 87 2. 카카오프렌즈이모티콘의의미 3. 이모티콘관련선행연구고찰
88 한복문화제 19 권 2 호 (2016. 6) Ⅲ. 연구방법 1. 연구문제 연구문제 1-1. 연구문제 1-1. 연구문제 1-2. 연구문제 2-1. 연구문제 2-1. 연구문제 2-2. 연구문제 3-0. 연구문제 3-1. 연구문제 3-2.
모바일메신저이모티콘에대한소비자사용특성및활용분야 89 연구문제 4-0. 연구문제 4-1. 연구문제 4-2. 2. 연구방법및절차 Ⅳ. 연구결과및논의 1. 조사대상자의인구통계적특성 < 표 1> 성별 신분별인구통계학적특성 빈도 % 유효 % 누적 % 2. 성별 신분별주사용이모티콘유형
한복문화 제19권 2호 (2016. 6) 90 이었으며 Jay G 는 가장 적게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로부터 남성들은 자신의 시급한 상황, 또는 분노/ 만족 등의 감정을 이모티콘을 통해 표현하고 있는 반 면, 여성들은 만족, 반함, 사랑 등의 감성을 이모티콘 으로 표현하고 있는 흥미로운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 었다. <표 2> 성별 주사용 이모티콘 유형 (중복응답) 어피치 JAY-G 튜브 무지&콘 네오 프로도 17/100 12/100 10/100 10/100 10/100 8/100 튜브 어피치 프로도 무지&콘 네오 JAY-G 49/200 42/200 35/200 31/200 26/200 20/200 남성 여성 - 안민희(2014), 모바일 이모티콘의 비언어적 시각유희에 대한 사용자 의미해석, 60-68 신분에 따른 주사용 이모티콘에 대해 알아본 결과 <표 3>에서와 같이, 학생들은 주로 어피치(26) 와 네 오(24) 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프로도, 무지 & 콘, 튜브, Jay G 순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반면 직장인은 네오(15), 프로도/어피치(14), 무지 & 콘(13), 튜브(12), Jay G (11) 순으로 사용하 고 있었으나 특정 이모티콘에 치우치기 보다는 여러 유형의 이모티콘을 골고루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부의 경우, 튜브(42), 어피치(35) 를 주로 많이 사용 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을 프로도(28), 무지 & 콘(26) 이 차지하였고, 가장 적게 사용한 이모티콘은 네오와 Jay G 로 나타났다. 주부는 튜브(42) 를 가장 많이 사 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어피치(35), 프 로도(28) 와 무지 & 콘(26) 이 자주 사용되었으며, 네 오 와 Jay G 가 가장 적게 사용되었다. 즉, 학생들은 자 신의 외로움, 아픔, 분노, 도피의 심정을 이모티콘으로 나타내고 있었으며, 직장인은 자신들의 희노애락 감정 을 이모티콘으로 골고루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주부 집단은 만족과 사랑의 감성을 주로 표 현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홍장선 이종윤(2014)의 연구 결과에 서 나타난 카카오톡의 사용자들은 이모티콘을 이용하 여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다양화되고 있는 이모티콘을 이용하여 자신의 기본 감성인 희 노 애 락 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있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에 대한 소비자 사용특성 및 활용분야 91 <표 3> 성별 주사용 이모티콘 유형 (중복응답) 어피치 네오 프로도 무지&콘 튜브 JAY-G 26/100 24/100 18/100 13/100 12/100 7/100 네오 어피치 프로도 무지&콘 튜브 JAY-G 15/100 14/100 14/100 13/100 12/100 11/100 튜브 어피치 프로도 무지&콘 네오 JAY-G 42/100 35/100 28/100 26/100 19/100 19/100 학생 직장인 주부 - 안민희(2014), 모바일 이모티콘의 비언어적 시각유희에 대한 사용자 의미해석, 60-68 3. 성별 신분별 주사용 이모티콘의 감성표현 성별 신분별 주로 사용하는 이모티콘의 감성표현을 파악하기 위해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일원분산분석 을 실시하여 표현감성 정도를 알아보았다. 먼저 10가지 의 감성표현에 대한 문항을 요인분석한 결과, <표 4> 에서와 같이 3가지 감성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분류 는 메시지 해석에 이모티콘이 미치는 정서적 효과를 연구한 안원미 김종완 한광희(2010)의 연구에서와 유 사한 감성 분류라 볼 수 있다. 첫 번째 요인은, 화남과 슬픔, 삐침, 공포관련 문항 으로 이를 부정적 감성 이라 명하였고, 그 다음으로 희망, 승인, 기쁨, 사랑관련 감성을 긍정적 감성 이라 명명하였다. 마지막으로 고민, 거절 관련 문항을 중성 적 감성 이라 명명한 후 신뢰도 분석을 하였다. 부정적 감성은.871, 긍정적 감성은.854, 중성적 감성은.770 이라는 Cronbach 값이 나와 신뢰도가 높음을 수 있 었다.
92 한복문화제 19 권 2 호 (2016. 6) < 표 4> 주사용이모티콘표현감성요인 Factor Measurement item Factor loading Eigen value % of variance explained Cumulative Reliability ( ) < 표 5> 성별긍정적감성의이모티콘사용정도 성별 N 평균 표준편차 T P < 표 6> 신분별긍정적감성의이모티콘사용정도 신분 N 평균 표준편차 F P Duncan
모바일메신저이모티콘에대한소비자사용특성및활용분야 93 < 표 7> 신분별부정적감성의이모티콘사용정도신분 N 평균표준편차 F P Duncan 4. 성별 신분별이모티콘의사용비중및사용이유 < 표 8> 성별 신분별이모티콘사용비중 구분 전혀사용하지않는다 약 10~20% 이모티콘사용비중 약 30~50% 약 50~80% 80% 이상 전체 Pearson 카이제곱 = 12.414, df = 4, p-value =.015 Pearson 카이제곱 = 59.548, df = 8, p-value =.000
94 한복문화제 19 권 2 호 (2016. 6) < 표 9> 성별 신분별이모티콘사용이유 구분 기분, 감정전달의명확함 이모티콘사용이유 재미 시각적효과 문자로쓰기번거로움 기타 전체 Pearson 카이제곱 = 19.405, df = 5, p-value =.002 Pearson 카이제곱 = 69.832, df = 8, P-value =.000 5. 성별 신분별이모티콘결제비용
모바일메신저이모티콘에대한소비자사용특성및활용분야 95 < 표 10> 성별 신분별이모티콘결제비용 구분 무료만사용 1,000~3,000 원미만 이모티콘결제비용 3,000~5,000 원미만 5,000~10,000 원미만 10,000 원이상 전체 Pearson 카이제곱 = 34.234, df = 10, p-value =.000 Pearson 카이제곱 = 32.184, df = 8, P-value =.000 6. 이모티콘활용적합패션아이템
96 한복문화제 19 권 2 호 (2016. 6) < 표 11> 성별 신분별이모티콘과가장어울리는패션관련제품유형응답결과 구분 티셔츠 모자 가장어울리는패션관련상품 가방 패션액세서리 핸드폰케이스및액세서리 양말 기타 전체 Pearson 카이제곱 = 12.465, df = 6, p-value =.05 Pearson 카이제곱 = 21.897, df = 12, p-value =.039 Ⅴ. 결론및제언
모바일메신저이모티콘에대한소비자사용특성및활용분야 97
98 한복문화제 19 권 2 호 (2016. 6)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