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장애 아동을 위한 언어치료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현황 분석

Similar documents
<353420B1C7B9CCB6F52DC1F5B0ADC7F6BDC7C0BB20C0CCBFEBC7D120BEC6B5BFB1B3C0B0C7C1B7CEB1D7B7A52E687770>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view of Research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Awareness, Supports

<332EC0E5B3B2B0E62E687770>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LiD) - - * Way to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The Mediating Eff

(5차 편집).hwp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A study on Charact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 The

230 한국교육학연구 제20권 제3호 I. 서 론 청소년의 언어가 거칠어지고 있다. 개ㅅㄲ, ㅆㅂ놈(년), 미친ㅆㄲ, 닥쳐, 엠창, 뒤져 등과 같은 말은 주위에서 쉽게 들을 수 있다. 말과 글이 점차 된소리나 거센소리로 바뀌고, 외 국어 남용과 사이버 문화의 익명성 등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 The Effect of Pare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S

다문화 가정의 부모

<31372DB9CCB7A1C1F6C7E2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A Study on the Opti

Research subject change trend analysis of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Studies : Network text analysis of the last 20 years * The obj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NCS) Method of Con


27송현진,최보아,이재익.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The Grounds and Con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 A basic research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IPA * Analysis of Perc

<32382DC3BBB0A2C0E5BED6C0DA2E687770>

Analyses the Contents of Points per a Game and the Difference among Weight Categories after the Revision of Greco-Roman Style Wrestling Rules Han-bong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Suggestions of Ways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歯1.PDF

27 2, * ** 3, 3,. B ,.,,,. 3,.,,,,..,. :,, : 2009/09/03 : 2009/09/21 : 2009/09/30 * ICAD (Institute for Children Ability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The Participant Exp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A Study on Organizi

278 경찰학연구제 12 권제 3 호 ( 통권제 31 호 )

04서종철fig.6(121~131)ok

ISSN 제 3 호 치안정책연구 The Journal of Police Policies ( 제29권제3호 ) 치안정책연구소 POLICE SCIENCE INSTITUT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èÇö¿í Ãâ·Â

서현수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Strenghening the Cap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A Study on Teach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Parents Perception

서론

Analysis of objective and error source of ski technical championship Jin Su Seok 1, Seoung ki Kang 1 *, Jae Hyung Lee 1, & Won Il Son 2 1 yong in Univ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The Effect of Boa

<31362DB1E8C7FDBFF82DC0FABFB9BBEA20B5B6B8B3BFB5C8ADC0C720B1B8C0FC20B8B6C4C9C6C32E687770>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Meta Analysis : T

2. 강의방법 (CourseResources) 세미나 Seminar 발표 Presentation 질의응답 Q&A 초청강의 Special Lecture 현장답사 Field Trip 유인물활용 Handouts Audio/Video/TV Team Teaching 토의 / 토

HTML5* Web Development to the next level HTML5 ~= HTML + CSS + JS API

歯5-2-13(전미희외).PDF

강의계획서 (Sylabus) 2013 학년도 2 학기 * 강의과목 교과목명 (CourseName) 한국문화를찾아서 INSEARCHOFKOREANCULTURE 언어 (Language) 영어 과목번호 - 분반 (CourseNo.-Class) 수강대상

Àå¾Ö¿Í°í¿ë ³»Áö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06_ÀÌÀçÈÆ¿Ü0926

특수교육논총 * ,,,,..,..,, 76.7%.,,,.,,.. * 1.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Experiences of Af

<31335FB1C7B0E6C7CABFDC2E687770>

Compass Online School Pack 1

54 한국교육문제연구제 27 권 2 호, I. 1.,,,,,,, (, 1998). 14.2% 16.2% (, ), OECD (, ) % (, )., 2, 3. 3


상담학연구,, SPSS 21.0., t,.,,,..,.,.. (Corresponding Author): / / / Tel: /

27 2, 1-16, * **,,,,. KS,,,., PC,.,,.,,. :,,, : 2009/08/12 : 2009/09/03 : 2009/09/30 *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 Research Subject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 Early Childhood T

<B1B3B9DFBFF83330B1C7C1A631C8A35FC6EDC1FDBABB5FC7D5BABB362E687770>

118 김정민 송신철 심규철 을 미치기 때문이다(강석진 등, 2000; 심규철 등, 2001; 윤치원 등, 2005; 하태경 등, 2004; Schibeci, 1983). 모둠 내에서 구성원들이 공동으 로 추구하는 학습 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각자 맡은 역할에 따라 함께

정보


歯3이화진


? : 6, 7 8 9, 10, ,, Adobe Marketing Cloud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Ac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NCS : * A Study on

untitled


Microsoft PowerPoint - XP Style


03-서연옥.hwp

歯제7권1호(최종편집).PDF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학습과목명유아특수교육학학점 3 교 강사명 강의시간 3 시간이론 / 실습이론전화번호 학습목표 - 특수아동에대한개념을설명할수있다. - 특수교육관련법의장애인과특수교육대상자를비교할수있다. - 통합교육의정의와목적및효과를구술할수있다. - 성공적인통합교육실행을위한협력방안을제시할수있

Lumbar spine

. 45 1,258 ( 601, 657; 1,111, 147). Cronbach α=.67.95, 95.1%, Kappa.95.,,,,,,.,...,.,,,,.,,,,,.. :,, ( )

디지털포렌식학회 논문양식

PowerPoint Presentation

???? 1

09-김선영.hwp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untitled

09오충원(613~623)

<B9ABBFEBB1B3C0B0C7D0C8B8C1F D32C8A32E706466>

Transcription:

153 말소리와음성과학제 7 권제 3 호 (2015.09.30) ISSN 2005-8063, pp. 153~163 ksss.jams.or.kr http://dx.doi.org/10.13064/ksss.2015.7.3.153 국내장애아동을위한언어치료용모바일어플리케이션현황분석 Analysis of Mobile Application Trends for Speech and Language Therap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Korea 이영미 1) 이수복 2) 성민경 3) Lee, Youngmee Lee, Soobok Sung, Minkyoung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ends of mobile applications which were developed for prompting speech and language skill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analyzed the function and contents of these applications as a tool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For this analysis, twenty applications among 71 on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exclusion criteria. These applications were classified by the 8 using types of contents and analyzed the function of mobile applications by the revised mobile contents evaluation standard (ease of use, value of education, interest level, and interactivity). As a results, applications fo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were developed much more than any other types. And the ease of use got the highest score whereas the interest level got the lowest score in whole evaluation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suggest way to evaluate applications for speech language therapy and to contribute to developing the contents and function of mobile applications aims to help children with disabilities improving their speech and language skills. Keywords: speech and language skills, children, application, trends 1. 서론 현대정보사회에서는다양한디지털기기의증가와스마트 폰의발달로스마트폰의사용자수가증가되었으며, 최근에는 스마트폰의무선인터넷사용량이늘어나면서다양한상황과 환경에서사용할수있는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 이하앱 ) 에 대한수요와공급이늘어나고있다 (Yim et al., 2014). 앱 (app) 은 컴퓨터응용프로그램 (computer application) 의약어로 어플 이 라고불리기도하며, 스마트기기에서실행되는응용프로그램 1) 우송대학교, ymlee@wsu.ac.kr 2) 우송대학교, nosamor1@gmail.com, 교신저자 3) 우송대학교, smk813@nate.com 본연구는중소기업청의기술혁신개발사업의일환으로수행하였음 [C0276689, 청각장애아동의의사소통능력향상을위한언어치료어플리케이션개발 ]. 접수일자 : 2015 년 8 월 4 일수정일자 : 2015 년 8 월 25 일게재일자 : 2015 년 9 월 1 일 을말한다 (Brady, 2015). 앱은학습자에게시공간의제약없이개별화된학습의기회를제공하며, 다양한자료제시와콘텐츠와상호작용을가능하게해준다 (Lee, 2010). 이러한장점으로인하여청소년과성인을위한교육용앱의사용량이증가하고있으며, 부모들이어린자녀의교육목적으로스마트폰을허용하고있는추세이다 (Lee & Lee, 2014). 2011년에교육과학기술부가스마트러닝추진안을발표하면서특수교육분야에서도장애학생의교육에스마트폰을활용한앱개발과교육효과에관심이증대되기시작하였다 (Lim & Park, 2012; Yang & Kang, 2011). 나아가의료영역에서도스마트폰을통해질병의진단을돕고치료가이드라인을제시하는등의스마트케어, 헬스케어측면에서앱의효용성이대두되고있다 (Choi, 2014; Im et al., 2013). 스마트폰을포함한스마트기기의활용이장애아동의말 언어발달에유용할것이라고보고, 최근에는국내외언어치료분야에서도태블릿 PC와스마트폰에서실행되는앱을개발하고배포하고자하는노력이시도되고있다. DeCurtis 와 Ferrer(2011) 는스마트폰을이용한앱은언어치료효과외에도

154 말소리와음성과학제 7 권제 3 호 (2015) 언어치료의업무효율성을높일수있으며, 장애자녀를둔부모와소통을하는데긍정적인역할을하게될것이라고언급하였다. Yim 외 (2014) 는스마트폰앱을통해서저렴한비용으로아동의언어환경에대한수집과분석을할수있다면의사소통장애의조기선별에도움을줄것이라고하였다. 언어치료분야에서는테크놀로지와관련성이높은보완대체의사소통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이하 AAC) 앱의개발과적용이먼저이루어졌으며, McNaughton 과 Light(2013) 는스마트기기를통한 AAC 앱의개발이다양한의사소통장애인에게 AAC 가보급, 적용되는가능성을열었다고강조하였다. 선행연구 (Cherney & van Vuuren, 2012; Constantinescu et al., 2010; Dechene et al., 2011; Kang et al., 2015) 에서후천성신경언어장애성인에게컴퓨터프로그램을이용하여말 언어평가, 언어치료를진행하여긍정적인효과에대해서보고한바있지만, 스마트기기를이용한앱을언어치료에적용한연구보고는미비하다. 국내에서는미약하나마연구수행을목적으로앱을개발하여장애아동의말, 언어, 듣기노력등의평가를진행한바는있지만 (Lee et al., 2014; Lee, 2013), 이는연구의편의성을위한것으로장애아동의말 언어촉진목적으로개발된앱으로볼수는없다. 장애아동의의사소통능력과관련하여앱을활용한사례와연구는주로 AAC 분야에서이루어지고있으며, 선행연구 (Clarke et al., 2013; Jeong, 2014; Pinto & Gardner, 2014) 에서는장애아동이또래나어머니와상호작용상황에서 AAC 앱을사용할경우에의사소통빈도가증가하고기능이다양해졌다고보고하였다. 국내에서일반아동을대상으로한언어교육, 게임앱의개발은활발하지만장애아동의말 언어발달을위한적합한앱은찾기가어렵다. 이는언어치료전문가들이앱에대한관심이적고언어치료콘텐츠가앱으로구현되는방법에대한지식이부족하여나타난결과로판단된다. 또한, 언어치료사가앱에관심을갖더라도현장에서사용할수있는앱에대한정보를파악하고있지못하여실제로앱을언어치료에적용하는데걸림돌이되고있다. 앱을언어치료에적용하려면우선개발된언어치료용앱에대한이해가선행될필요가있다. 그러므로현재보급된언어치료용앱에대한현황파악과기초적인분석을통해앱이언어치료에활용될가능성을탐색할수있다. 스마트기기는컴퓨터보다작고휴대성이높아시공간을초월하여사용할수있는장점과터치를통한간편한입력방식을제공하므로장애아동이사용하기편리한반면크기가작아조작이어려울수있다. 그밖에개인수준과성향에맞게개별화시켜사용할수있어맞춤형서비스가가능하며, 기술이발달하면서학습내용을그림, 음성, 애니메이션등의다양한표현양식 (modality) 으로제공하여장애아동의수용력을높여줄수있다. 이러한스마트기기의단점을보완하고장점을극 대화시키기위해서는언어치료앱의활용유형과기능성평가가필요하다. 기존의테크놀로지를활용한교육에서강조되던학습특징들은스마트폰의앱을통해서다양한학습유형으로구현되어효과적인학습효과를볼수있다. Alessi 와 Trollip(1985) 는컴퓨터를사용한교육프로그램들은교수와학습의목표, 학습전개특성에따라서개인교수형, 반복연습형, 시뮬레이션형, 게임형, 자료제시형, 문제해결형등과같은다양한콘텐츠로설계, 개발될수있다고하였다. Jeong 외 (2010) 는 Alessi 와 Trollop(1985) 가제시한컴퓨터기반의교육용콘텐츠유형분류에학습을촉진시키기위한도구적성격이강한앱을 도구형 으로추가하여스마트폰의교육용앱의유형을분석하였다. Yoo 외 (2012) 는유아용앱을놀이형, 서술형, 감상형, 문제풀이형으로분류하고, 유형별로사례를제시하여유아용앱의콘텐츠를분석하였다. 유아대상콘텐츠의기능성평가를위해서는사용의용이성, 교육성, 내용적합성, 흥미성, 상호작용성의요소가콘텐츠기능성평가에필요한것으로나타났다 (Yoo, 2006; Yoo et al., 2012). 국내 외유아용단어게임앱을대상으로기능성평가를수행한결과, 사용의용이성이가장높은점수를받았고, 게임요소가가장낮은점수를받았으며, 국내단어게임앱은외국앱에비해사용의용이성, 상호작용성, 게임요소에서유의미한차이를보여국내앱의전반적인수준이낮은것으로나타났다 (Hyun et al., 2013). 또한, 취약계층의스마트기기활용도를높이기위해서는편리한사용성과접근성, 다양한감각을활용한상호작용성, 즐거운경험을할수있는사용자경험디자인, 효용성높은부가기능등이필요함을제안하였다 (Jang, 2013). 본연구에서는국내에서장애아동의의사소통능력향상을위해서개발된언어치료용앱개발현황을활용유형에따라서살펴보고자하였으며, 언어치료용앱중에서아동과콘텐츠가상호작용하도록개발된앱을대상으로종합적인기능성분석을하고자하였다. 스마트기기가대중화되고장애아동의앱에관한관심이높아지고있는현시점에서장애아동의말 언어능력촉진을위해국내에서개발, 사용되고있는앱의개발현황을살펴보는것은향후장애아동을위한언어치료용앱개발을위한기초자료로활용될수있을것이다. 그리고무분별하게개발될수있는언어치료용앱을진단하고보완할수있는방안과발전방향을제시하는데도움이될것이다. 이에본연구의목적을위한구체적인연구문제는다음과같다. 첫째, 앱활용유형에따른국내언어치료용앱개발현황은어떠한가? 둘째, 언어치료용앱의기능성분석에서평가영역간에유의한차이가있는가?

국내장애아동을위한언어치료용모바일어플리케이션현황분석 155 2. 연구방법 게수정하였다. 2.1 분석대상본연구에서는국내에개발된장애아동의의사소통능력증진앱의동향을조사하기위해서 is 기반과안드로이드기반의앱을분석대상으로삼았다. 언어치료용앱의검색은현재가장대중적이면서압도적인점유율을차지하고있는핵심마켓인애플의앱스토어 (App store) 와구글의구글플레이 (Google Play) 의공식웹사이트에서진행하였다 (Kim & Lee, 2011; Kim et al., 2012). 언어치료용앱의경우앱마켓에서정식으로카테고리등록이되어있지않아서, 언어치료외에도관련된용어를사용하여검색하였다. 2015년 7월을기준으로 언어치료, 보완대체의사소통 (AAC), 장애진단명 ( 언어장애, 청각장애, 유창성장애 / 말더듬, 뇌성마비, 조음음운장애, 자폐 ) 등의용어를사용하여앱을검색하였다. 그결과, 앱스토어와구글플레이마켓에서복수검색된앱은하나의앱으로분류하여총 71개의언어치료용앱이검색되었다. 마켓에서소개된앱의정보만으로는장애아동의의사소통능력향상에도움이되는앱인지판단하기어려운측면이있어서, 본연구에서는언어치료용으로검색된앱을 is 기반의 iphone, ipad(apple Inc., Cupertino, CA) 와안드로이드기반의 GALAXY Note3(Samsung, SM-N900K) 에다운로드를받아서분석을진행하였다. 장애아동의언어치료와관련된실제적인앱분석을위해서, (1) 언어치료및재활기관의홍보를목적으로개발된앱, (2) 언어치료와관련된구인 구직과관련된앱, (3) 퍼즐, 미로찾기와같이언어자극없이진행되는앱, (4) 특정장애와관련된단순한정보를제공하는앱, (5) 수업 실습결과물로만들어진미완성앱, (6) 프로그램이오작동되거나기능이제대로구현되지않는앱은제외하였다. 이와같은선별작업으로최종적으로 20개의앱을분석대상으로선정하였다. 2.2 연구도구 2.2.1 앱활용유형본연구에서는언어치료용앱활용유형을분석하기위한기준을마련하기위해서교육용소프트웨어와앱유형에관한선행연구들을참고하였다. Alessi 와 Trollip(1985) 가정리한학습유형과 Jeong 외 (2010) 가제시한교육용앱의활용유형을토대로하였다. 언어치료용앱중에서는원활한의사소통을돕기위해서개발된 AAC와수화관련앱이있어서 의사소통도구형 이라는항목을추가하여, 개인교수형, 반복연습형, 시뮬레이션형, 게임형, 문제해결형, 자료제시형, 평가형, 의사소통도구형의 8 가지로구분하였다. 그리고선행연구에서앱의활용유형으로언급한개념을언어치료용앱의분류에적절하도록보완하였으며 (< 표 1>), 보다신뢰로운분석을위해서연구자 3인이모호한내용에대해서논의하고문장표현을명료하 표 1. 장애아동을위한언어치료용앱의활용유형 Table 1. Using types of the mobile applications for speech and language therapy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활용유형 개인교수형 반복연습형 시뮬레이션형 게임형 문제해결형 자료제시형 평가형 의사소통도구형 2.2.2 앱기능성 특성 새로운말 언어학습내용을가르치고자할때사용할수있는유형으로, 콘텐츠에서학습내용이나모델링을제시하여장애아동이말 언어를습득하는데도움을줌. 습득한말 언어학습내용을유지하고, 더욱빠르고정확하게처리할수있도록보충 심화하는유형으로, 대표적으로유창성유지, 어휘숙달등과같은앱이여기에속함. 일상적인의사소통상황에서장애아동이적절히반응하거나대처하는데어려움이있는실제상황을유사하게재현함으로써비용, 시간, 위험부담을줄이는콘텐츠유형임. 언어치료콘텐츠에목표, 규칙, 경쟁, 흥미, 도전, 호기심등의게임적인요소를첨가하여언어이해및표현, 말산출능력을향상시키도록설계된유형임. 습득한말 언어학습내용을토대로종합적인사고기능을활용하여콘텐츠가제공하는문제를분석하여해결안을마련하고수행해보도록하는유형임. 콘텐츠안에말 언어학습과관련된많은양의자료가저장되어있어서장애아동이언제든지찾아볼수있도록한유형임. 말 언어에지연혹은장애가있는지를선별하기위한평가, 언어치료과정에서목표성취여부를평가하거나언어치료의효과를평가하기위해서이용되는유형임. 학습내용을제공하기보다는의사소통을촉진하기위한의사소통도구적성격이강한유형으로, 대표적으로보완대체의사소통과수화통역등과같은앱이여기에속함. 앱의기능성분석을위한도구는 Choi(2003) 의모바일콘텐 츠평가준거, Yoo 외 (2012) 의앱인터페이스평가준거, Hyun 외 (2013) 의단어게임앱평가준거를참고하여, 언어치료용앱의 기능성분석에부합되는요소를반영하여평가기준표를마련 하였다 (< 부록 1>). 신뢰로운기능성분석을위해서마련한기 준이언어치료용기능성분석에적절한항목과세부내용으로 구성되어있는지앱개발경험이있는언어재활사 1 급소지자 2 명과앱개발자 1 명으로부터내용타당도를검증받았다. 신뢰 로운앱의기능성분석을위해서연구자 3 인이기능성분석항 목에대해충분히논의하는시간을가졌으며모호한부분에 대해서수정하였다. 언어치료용앱의기능성분석을위한최종 평가준거는사용자용이성, 교육적가치, 흥미성, 상호작용성의 4 개의항목과항목별 8 개의문항 ( 총 32 문항 ) 이포함되도록하였 으며, 각문항은 매우그렇지않다 (1 점 ), 그렇지않다 (2 점 ), 그렇다 (3 점 ), 매우그렇다 (4 점 ) 의 4 점척도로제시하였다.

156 말소리와음성과학제 7 권제 3 호 (2015) 3. 연구결과 3.1 언어치료용앱의활용유형분석결과 8가지활용유형에따라서언어치료용앱 20개를분석한결과, 의사소통도구형, 개인교수형, 반복연습형, 게임형, 자료제시형, 평가형, 시뮬레이션형, 문제해결형순으로빈도가높았다 (< 표 2>). 활용유형별앱의명칭과특징은 < 부록 2> 에제시하였다. 표 2. 언어치료용앱의활용유형결과 Table 2. Results of analyzing the mobile applications using types 그림 1. 언어치료용앱기능성분석기준선정절차 Figure 1. Process of developing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mobile applications function for speech and language therapy 2.3 연구절차 앱의활용유형은연구자 3 인이 < 표 1> 의내용을숙지한상 태에서두단계에걸쳐서진행하였다. 먼저제 3 저자가 is, 안 드로이드기기에분석대상앱을설치한후에활용유형에대 한예비분석한후, 연구자 3 인이예비분석결과를함께검토 하여앱활용유형을최종적으로분석하였다. 앱의기능성분석은연구자 3 인이 < 부록 1> 의내용을숙지 한상태에서독립적으로분석을진행하였다. 이때, 스마트기 기에서앱을실제로작동하고사용하면서기능성의세부문항 별평가를 4 점척도로평가하였다. 2.4 신뢰도및통계적처리 앱유형분류에대한평가자간신뢰도 (inter-rater reliability) 를산출하기위하여, 제 3 연구자와언어재활학과석사생 1 명이 분석에참여하였다. 앱유형분석전에평가자들은앱유형에 대한설명을들었으며, < 표 1> 에제시된앱유형의개념을숙 지하였다. 평가자들은본연구분석에사용한자료 20% 에해 당하는앱을무작위로선정하여정해진기준에따라서독립적 으로유형을분석하였다. 평가자간신뢰도는두평가자가평 가한앱유형에서일치한앱수를기준으로산출하였으며, 일 치도 (agreement) 는 100% 로나타났다. 수집된자료분석은 PASW 18.0 프로그램을사용하여통계 분석하였다. 앱유형분석은기술통계를사용하여빈도, 백분 율을산출하였다. 앱의기능성분석은연구자 3 인이앱의기능 성을평가한점수를평균으로산출하였으며, 앱의기능성영역 간차이를살펴보기위해서일원배치분산분석 (one-way ANVA) 를실시하였다. 활용유형빈도 ( 개 ) 비율 (%) 개인교수형 4 20 반복연습형 3 15 시뮬레이션형 0 0 게임형 3 15 문제해결형 0 0 자료제시형 1 5 평가형 1 5 의사소통도구형 8 40 합계 20 100 가장빈도가높은활용유형은의사소통도구형으로전체의 40% 를차지하였다. 의사소통도구형에해당하는앱에는심볼 ( 그림, 문자 ) 을사용하여의사소통을하도록하는 AAC 관련 앱과청각장애아동을위해서문자를음성으로변환시키거나 수화를문자로번역해주는앱이있었다. 두번째로많이활용 되는앱유형은개인교수형으로전체의 20% 를차지하고있었 다. 이글한글, 날마다 15 분구강운동, 한글, 수화기초낱말, 소 리노리 YA 와같은개인교수형앱에는장애아동에게새로운 말 언어개념이나촉진하는방법을가르쳐주는콘텐츠가포함 되어있었다. 그림 2. 국내언어치료용앱 Figure 2. Applications currently available in the field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in Korea

국내장애아동을위한언어치료용모바일어플리케이션현황분석 157 세번째로빈도가높은활용유형은반복연습형과게임형으로각각 15% 를차지하였다. 반복연습형에는청각장애아동이다양한소음제시조건에서반복적으로말지각을연습할수있도록하는앱, 유창성장애아동이지연된청각적자극으로유창성을유지할수있도록도와주는앱등이있었다. 게임형에는발성의강도, 유지를촉진하기위해서캐릭터, 게임적요소를활용한 sensory speak up 과같은앱이있었다. 다음으로자료제시형과평가형이각각전체의 5% 를차지하고있었다. 자료제시형에는 video touch 시리즈 ( 탈것, 야생동물, 새, 악기, 동물 ) 가있었으며, 주제별로어휘에해당하는동영상과소리와관련된자료를쉽게찾아봄으로써장애아동의어휘향상에도움이되도록제작되어있었다. 평가형에는아동의연령에맞게어휘이해와표현능력을평가할수있도록개발된 스피치케어 가있었다 (< 그림 2>). 마지막으로시뮬레이션형과문제해결형의앱이전체에서 0% 를차지하고있었으며, 해당유형은장애아동의언어치료를위해서개발되어있지않았다. 교육적가치, 흥미성의순이었으며, 통계적으로기능성영역간에유의한차이가있었다 [F(3, 57)=9.645, p<.001, partial η 2 =.337]. Bonferroni 사후검정을실시한결과, 사용의용이성과교육적가치 (p<.05), 사용의용이성과흥미성 (p<.01), 흥미성과상호작용성 (p<.05) 간평가점수에유의한차이가나타났다. 즉, 장애아동의언어치료용앱에서사용의용이성이교육적가치와흥미성보다유의하게높게평가되었으며, 상호작용성이흥미성보다유의하게높게평가되었다. 3.2 앱의기능성평가결과 활용유형에따른네가지기능성평가영역의평균과표준 편차는 < 표 3> 에제시하였다. 기술통계결과, 전반적으로앱의 사용의용이성, 교육적가치, 흥미성, 상호작용성의모든영역 에서 3 점이하로평가되어, 언어치료용앱의기능성이장애아 동의의사소통능력향상에도움을주기에는적절하지않은 수준으로나타났다 (< 표 3>). 활용유형별로평가형과자료제시 형앱의기능성평가점수가다른활용유형의앱보다높았으 며, 반복연습형과의사소통도구형앱의기능성평가점수가 다른앱보다낮았다 (< 그림 3>). 전체적으로앱의기능성점수는사용의용이성, 상호작용성, 표 3. 앱의기능성평가결과 Table 3. Mean ratings (SD) for the mobile applications function (four-point scale with a maximum score of four) 개인교수형반복연습형 게임형 자료제시형 평가형 의사소통도구형 평균 사용의용이성 2.40 (.46) 2.60 (.66) 3.03 (.21) 3.00 2.60 2.20 (.27) 2.48 (.46) 교육적가치 2.52 (.49) 1.67 (.23) 2.57 (.51) 2.70 2.80 1.78 (.44) 2.13 (.58) 흥미성 2.15 (.49) 1.50 (.10) 2.03 (.45) 2.70 2.90 1.80 (.44) 1.96 (.51) 상호작용성 2.18 (.79) 2.13 (.47) 2.70 (.46) 2.20 2.90 2.16 (.32) 2.28 (.49) 그림 3. 활용유형에따른앱의기능성평균점수 Figure 3. Mean ratings for the mobile applications function according to the using types 4. 논의및결론 본연구에서는국내에서장애아동의말 언어능력향상을 위해서개발된앱의활용유형과종합적인기능성분석을함 으로써, 장애아동의언어치료에적합한앱개발에필요한정 보를제시하는데목적이있다. 국내에서언어치료용으로출시 된앱중에서활용유형과기능성분석에적절한앱을선정하 여 8 가지활용유형 ( 개인교수형, 반복연습형, 시뮬레이션형, 게 임형, 문제해결형, 자료제시형, 평가형, 의사소통도구형 ) 으로 분석한결과, 의사소통도구형앱이가장높은비중을차지하 고있었으며, 시뮬레이션형과문제해결형앱은개발되어있지 않았다. 동일한앱의기능성을 4 가지영역 ( 사용의용이성, 교육 적가치, 흥미성, 상호작용성 ) 에서분석한결과, 사용의용이성 이교육적가치와흥미성보다유의하게높게평가되었다. 본 연구결과에따른몇가지논의및제언을살펴보면다음과같다. 첫째, 스마트기기에서구현되는앱은소프트웨어의개발보 다방법과접근성의편이성때문에활발하고다양하게개발되 어출시되고있으나, 국내에서장애아동의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위해서개발된앱의수는매우적은상태였다. 본 연구에서앱판매의핵심마켓인앱스토어와구글플레이의 공식웹사이트에서언어치료와관련된앱을검색하였을때, 총 71 개의언어치료용앱이검색되었으며, 이중에서장애아

158 말소리와음성과학제 7 권제 3 호 (2015) 동이앱콘텐츠와상호작용하여의사소통능력을증진할수있는앱은 20개에불과하였다. 이러한현황은일반유아의학습을위해서개발된특정유형의앱만을분석한선행연구 (Hyun et al., 2013; Kim et al., 2011) 에서앱마켓에유아의학습을위해서개발된앱의수가많아서다운로드랭킹이높은앱만을분석하는점과상반되는결과이다. 특수교육분야에서살펴보면, Lee와 Kim(2013) 이장애학생을위한특수교육용앱을분석하기위해서진행한연구에서는장애관련한앱이 2,269개검색되었으며특수교육과의적합도를고려하여최종분석한앱이 256개였다. 국내언어치료분야에서장애아동을위한앱개발의수가유아교육과특수교육분야에비해서현저하게적은것은연구용목적외에도스마트폰의기술을언어치료분야에접목하고자하는사회적컴퓨팅 (social computing) 에대한관심이최근들어서증대되기시작한것과관련이있을것으로사료된다. 또한, 언어치료사가장애아동의의사소통과관련된앱개발에관심을가지더라도본인의언어치료콘텐츠가앱으로구현되는방법에대한지식이부족하고앱개발자와협력하여실제로앱개발로까지이루어지는과정이쉽지않은이유도언어치료용앱개발이저조한것과연관되어있다고볼수있다. 둘째, 본연구에서가장높은비율을차지하고있는앱의활용유형은의사소통도구형으로전체의 40% 를차지하고있었다. 의사소통도구형은그림, 문자, 수화등의심볼을이용하여의사소통장애아동이의사소통을하여언어습득을도와주는 AAC 앱이었으며, 언어치료분야에서는 AAC 앱개발이가장활발하게이루어지고있었다. 다른활용유형에비해서의사소통도구형의앱이많은비중을차지하는것은과거부터테크놀로지와결합된 AAC 분야의특성과관련이있는것으로보여진다. 스마트기기가개발, 보급되기전부터 AAC 분야에서는장애인의원활한의사소통을위해서음성산출의사소통기기 (voice output communication aids) 와같이테크놀로지가결합한기기가개발되어연구와현장에서사용되어왔었다. 그리고스마트폰과태블릿 PC의확산과보급이보편화되면서 AAC 기기보다작아서휴대하기간편하고저렴한비용으로다양한기능을사용할수있는스마트기기의장점으로인해서, AAC 분야에서는자연스럽게스마트기기에서사용할수있는소프트웨어의형태인 AAC 앱을개발하고보급하는형태로변화하게된것이다 (McNaughton & Light, 2013). 이러한이유로국내외의사소통장애아동을위한앱개발과적용, 중재연구 (Jeong, 2014; Pinto & Gardner, 2014) 가 AAC 앱을통해서이루어진것으로생각된다. 셋째, 앱활용유형에서의사소통도구형 (40%), 개인교수형 (20%), 반복연습형과게임형 ( 각 15%), 자료제시형과평가형 ( 각 5%), 그리고시뮬레이션형과문제해결형 ( 각 0%) 의순서로비율을차지하고있었다. 여기서주목할것은언어치료분야에서 시뮬레이션형과문제해결형과같이탄탄한콘텐츠, 스마트폰의다양한기능을활용하여야하는기술력이요구되는앱의개발이전혀이루어지지않았다는점이다. Jeong 외 (2010) 가일반인을위한교육용앱의활용유형을분석한결과, 전체앱중에서시뮬레이션형은 4.7%, 문제해결형은 0% 를차지하고있었다. Lee와 Kim(2013) 는장애학생을특수교육용앱의분석에서는시뮬레이션형과문제해결형이각각 0% 를차지한다고언급하면서, 장애학생의스마트러닝을위한앱의다양성을위해서시뮬레이션형과문제해결형앱이많이개발, 보급되어야한다고하였다. 장애아동의경우는다양한환경, 상황, 사람들과의사소통할수있는기회가일반아동에비해서현저하게적기때문에시공간제약을극복하여간접적인의사소통경험을제공할수있는시뮬레이션형의앱개발이더절실하다고할수있다. 또한, 습득한말 언어학습내용을토대로종합적인사고기능을활용하는의사소통능력을향상시키기위한문제해결형앱의개발을통해서, 경도의언어문제를지니는아동들도앱을활용하여의사소통을원활히할수있도록할필요가있겠다. 넷째, 앱의기능성을분석한결과, 네가지영역 ( 사용의용이성, 교육적가치, 흥미성, 상호작용성 ) 에서언어치료용앱으로모두적절하지못한것으로나타났다. 이는현재개발된언어치료용앱이장애아동의의사소통능력을향상시키기에는콘텐츠와사용환경이미흡하다는것을의미한다. 네영역간의차이를살펴보면, 앱사용의용이성이교육적가치와흥미성보다유의하게높게평가되었다. 앱사용의용이성점수가다른영역에비해서높게평가된것은본연구에포함된안드로이드기반의앱이다수여서 뒤로가기 (back) 버튼을사용하여이전메뉴로이동이쉬운점과스마트기기에서제공하는기능들을활용하도록개발되었기때문으로보인다. 기존에개발된언어치료용앱이다른기능성영역보다사용의용이성에서높은점수를받았지만, 앱의손쉬운사용법, 도움말, 아동의누적기록등이제공되지않아장애아동이앱을효율적으로사용하기에는불편한것으로나타났다. 다섯째, 장애아동의언어치료앱은장애에대한이해를기반으로하여언어촉진콘텐츠에대한내용검증, 장애아동의주의를유지시킬수있는흥미성을고려할필요가있다. Yoo 외 (2012) 는스마트폰과태블릿 PC용콘텐츠가교육성검증이되지않은채유아들에게노출되고있어많은문제점들에노출될수있으므로지속적인콘텐츠선별이필요하다고제안한것처럼장애아동에게적합한수준별콘텐츠확보가필요하다. McNaughton 과 Light(2013) 도콘텐츠에대한검증없이무분별하게앱이개발되어유포되는것에대해우려하였으며, 앱개발에서전문가의참여, 개발된앱에대한전문가의평가에대해서강조하였다. 그리고장애아동의특성상주의집중시간이길지못하기때문에아동의주의를끌기위한캐릭터, 음향및

국내장애아동을위한언어치료용모바일어플리케이션현황분석 159 음성, 더나아가가상현실기법등다양한표현양식에흥미요소도가미가되어야한다. 그밖에도장애아동이앱을사용하는중에즉각적인피드백, 아동의아이디어가반영되는방법등을통해서앱콘텐츠와장애아동이상호작용할수있도록앱이개발되어야할것이다. 이상에서장애아동의의사소통능력향상을위한언어치료도구로서의앱의활용유형과기능성분석결과에대해서논의하였다. 앱을활용하면장애아동이시간과공간의제약을벗어나서말 언어를다양한방법으로수준에맞추어서학습할수있게되며, 장애자녀를둔부모는가정내에서언어촉진방법과진전에대한정보를실시간으로확인할수있게된다. 또한, 언어치료사는앱을활용한장애아동의의사소통문제를조기에발견하고모니터링하여질높은근거기반언어중재 (evidence-based language treatment) 를제공하여, 부모-언어치료사-아동 간의긴밀한협력으로언어치료서비스의효과를높일수있게된다. 초등교육분야에서는스마트기기를활용한이러닝, 스마트러닝, 교육정보화기자재개발등의다양한연구가진행되고있으며 (Yoo et al., 2013), 특수교육분야에서는언어치료분야보다는빠르게장애영역별앱의특성과교수법에대한이론적근거와필요성등에대한논의가이루어지고있다 (Lee & Kim, 2013). 본연구는언어치료용앱의활용유형에따른앱갯수의차이가커서활용유형에따른기능성차이에대해서는살펴보지못한제한점을지니고있다. 그러므로향후언어치료용앱의활발한개발로다양한앱이개발되는시점에서는활용유형에따른기능성분석이필요할것이다. 이후장애아동을위한언어치료용앱개발을위해서기존에개발된앱의특성과기능성평가이외에도장애영역별언어특성과교수법에대한이론적근거기반마련도필요하다. 언어치료현장에서앱으로구현될수있는요소의파악과기술발전을통합적으로이해하여콘텐츠와기술을접목시키고융합시킬수있는지식체계네트워킹구축이필요하다. 본연구를통한기대효과는국내에도다양한장애분야의언어치료용앱이개발되고임상현장에서적용과검증으로언어치료효과가증대되며, 국내의대중화된모바일기술의발달이언어치료분야에도파급되어장애아동이의사소통즐거움을느낄수있도록경험의증대를유도할수있는장이마련되기를기대한다. 감사의글본연구의데이터에대한신뢰도분석에도움을준우송대학교대학원언어청각재활학과이슬기에게감사드립니다 참고문헌 Alessi, S., & Trollip, S. (1985). Computer-based instruc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Inc. Brady, L. J. (2015). Apps for autism. Arlington, TX: Future Horizons Inc. Cherney, L. R., & van Vuuren, S. (2012). Telerehabilitation, virtual therapists and acquired neurologic speech and language disorders. Seminars in Speech and Language, Vol. 33, No. 3, 243-257. Choi, S. U. (2003). A study on mobile edutainment contents development for children. Master s degree, Kyungsung University. ( 최수의 (2003). 어린이를위한모바일에듀테인먼트컨텐츠개발에관한연구. 경성대학교디지털디자인대학원석사학위논문.) Choi, Y. S. (2014). Healthcare Innovation. Seoul: cloudnine. ( 최윤섭 (2014). 헬스케어이노베이션. 서울 : 클라우드나인.) Clarke, M. Bloch, L. S. & Wilkinson, R. (2013). Speaker transfer in children s peer conversation: Completing communication-aidmediated contributions.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Vol. 29, No. 1, 37 53. Constantinescu, G. Theodoros, D. Russell, T. Ward, E. Wilson, S. & Wooton, R. (2010). Assessing disordered speech and voice in Parkinson s disease: a telerehabilitation appli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Vol. 45, No. 6, 630-644. Dechene, L. Tousignant, M. Boissy, P. Macoir, J. Heroux, S. Hamel, M. Briere, S. & Pages, S. (2011). Simulated in-home teletreatment for anomia. International Journal of Telerehabilitation, Vol. 3, No. 2, 3-10. DeCurtis, L. L. & Ferrer, D. (2011). Maximizing mobile technology with toddlers and preschoolers. Retrieved from http://pampclub.org/site/2011/07/01/maximizing-mobile-technolo gy-with-toddlers-preschoolers/ Hyun, E. J. Yeon. H. M. Jang. J. Y. & Lee, E. Y. (2013). Contents analysis of vocabulary learning game application on smart-phone and tablet PC for young children's language learning.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3, No. 11, 551-561. ( 현은자, 연혜민, 장주연, 이은영 (2013). 유아언어학습용단어게임애플리케이션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551-561.) Im, H., Song, J. Y., Cho, Y. K., Kim, Y. J., Kim, H. J., & Kang, Y. J. (2013). The use of smartphone applications in stroke rehabilitation in Korea. Brain & NeuroRehabilitation, Vol. 6,

160 말소리와음성과학제 7 권제 3 호 (2015) No. 1, 33-40.. ( 임형준, 송제영, 조윤경, 김연준, 김현정, 강윤주 (2013). 국내뇌졸중재활분야에서스마트폰어플리케이션의적용및이용현황. 뇌신경재활, 제6권, 제1호, 33-40.) Jang, Y. B. (2013). A Study on mobile application design strategy for information alienated group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Vol. 19, No. 1, 410-417. ( 장영범 (2013). 정보취약계층을위한모바일애플리케이션디자인전략에관한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제19권, 제1 호, 410-417.) Jeong, P. Y. (2014). Speech-Language Therapy Using Apps for a Student with Cerebral Palsy. AAC Research & Practice, Vol. 2, No. 1, 119-126. ( 정필연 (2014). 학령기뇌성마비아동의언어치료를위한앱적용사례.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제2권, 제1호, 97-117.) Jeong, S. J. Lim, G. Ko, Y. J. Shin, H. E. & Kim, K. Y. (2010). The Analysis of trends in smart phone applications for education and suggestions for improved educational use.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ol. 11, No. 2, 203-216. ( 정수정, 임걸, 고유정, 신현애, 김경연 (2010). 스마트폰의교육용어플리케이션동향분석및발전방향연구,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2호, 203-216.) Kang, J. Y., Sung, J. E., & Lee, S. E. (2015). Effects of computerized language intervention on abilities of time-person-place orientation and naming for individuals with dementia of the alzheimer s type.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 20, No. 2, 237-254. ( 강지윤, 성지은, 이수은 (2015). 컴퓨터프로그램을활용한알츠하이머성치매환자의지남력및명사이름대기중재효과, 언어청각장애연구, 제20권, 제2호, 237-254.) Kim, E. J. Park, S. D. & Kim, K. (2011). The analysis of smart phone application for early childhood based on cognitive theory.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Vol. 11, No. 4, 163-173. ( 김은정, 박성덕, 김경철 (2011). 학습관련인지이론에기반한유아용스마트폰어플리케이션분석. 한국게임학회논문지, 제11권, 제4호, 163-173.) Kim, H. M. Park, J. H. Lee, S. C. & Seo, Y. H. (2012). Variables affecting end-user satisfaction in application market.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Vol. 40, No. 2, 211-218. ( 김현모, 박재홍, 이상철, 서영호 (2012). 최종사용자만족도구성요인에대한연구 : 어플리케이션마켓을중심으로. 품질경영학회지, 제40권, 제2호, 211-218.) Kim, W. G. & Lee, D. H. (2011). The analysis of trends in smart phone applications for market.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ol. 21, No. 1, 26-37. ( 김운규, 이동훈 (2011). 국내 외스마트폰어플리케이션마켓동향분석. 정보보호학회지, 제21권, 제1호. 26-37.) Lee, H. R. & Lee. S. B. (2014). Parent survey on the effects of digital instrument on the language development in Korean children.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 19, No. 2, 178-190. ( 이희란, 이승복 (2014). 아동의디지털기기사용과언어발달에관한부모의인식조사. 언어청각장애연구, 제19권, 제2호, 178-190.) Lee, S. B., Sim, H. S., Sung, J. E., & Kim, J. I. (2014). Interference and facilitation effects in school age-children stuttering. American Speech Language Hearing Association (ASHA) Annual Convention, rlando, FL, November 20-22, 2014. Lee, T. S. & Kim, J. S. (2013). The analysis of special educational applications for smart learning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Vol. 14, No. 1, 259-283. ( 이태수, 김정수 (2013). 장애학생의스마트러닝을위한특수교육용애플리케이션분석.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실천, 제14 권, 제1호. 259-283.) Lee, W. H. (2010).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nvigoration plan of education contents for smart TV. Master s degree, Yeungnam University. ( 이위현 (2010). 스마트 TV의교육콘텐츠현황과활성화방안에관한연구. 영남대학교생활대학원석사학위논문.) Lee, Y. M. (2013). Speech perception and listening effort in children with bilateral cochlear implants. Doctori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 이영미 (2013). 양측인공와우이식아동의말지각과듣기노력.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Lim, J. H., & Park, E. H. (2012). Development and research trends of application as the smart education media for AS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Autism, Vol. 12, No. 1, 93-117. ( 임장현, 박은혜 (2012). ASD인을위한스마트교육미디어로서의앱개발및연구현황분석. 자폐성장애연구, 제12권, 제 1호, 93-117.) McNaughton, D. & Light, J. (2013). The ipad and mobile technology revolution: Benefits and challenges for individuals who requir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Vol. 29, No. 2, 107-116. Pinto, M., & Gardner, H. (2014). Communicative interaction non-speaking child with cerebral palsy and her mother using an

국내장애아동을위한언어치료용모바일어플리케이션현황분석 161 ipad. Child Language Teaching and Therapy, Vol. 30, No. 2, 207-220. Yang, S. Y. & Kang, E. J. (2011). Development of serious mobile game improving social abilitie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The Korea Society For Children s Media, Vol. 10, No. 2, 23-43. ( 양심영, 강은진 (2011). 발달장애아동의사회성증진을위한기능성모바일게임개발어린이미디어연구, 제10권, 제2호, 23-43.) Yim, D. S. Kim, S. Y. Park, W. J. Cheon, S. H. & Lee, Y. J. (2014). Analysis on needs based survey of parents and speech-language pathologists for smartphone program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 19, No. 4, 486-500. ( 임동선, 김신영, 박원정, 천성혜, 이여진 (2014). 스마트폰프로그램개발을위한의사소통장애아동부모및전문가요구분석. 언어청각장애연구, 제19권, 제4호, 486-500.) Yoo, K. J. (2006). The development of internet contents evaluation criteria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26, No. 5, 287-306. ( 유구종 (2006). 유아교육용인터넷콘텐츠평가척도개발연구. 유아교육연구, 제26권, 제5호, 287-306.) Yoo, K. J. Kim, M. K. & Kim, E. A. (2012). An Analysis of Contents and Interactions for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n Smart-Phone and Tablet PC. The Journal of Korean 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7, No. 1, 169-194. ( 유구종, 김민경, 김은아 (2012). 유아교육용애플리케이션내용및인터페이스상호작용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제 17권, 제1호, 169-194.) Yoo, K. J. Kim, M. K. Lee, J. S. & Han, M.. (2013). An analysi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n digital equipment, smart equipment and e-book. The Journal of Korea 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8, No. 3, 43-70. ( 유구종, 김민경, 이정순, 한명옥 (2013). 디지털기기, 스마트기기, 스마트전자책에대한유아교사의인식및현황.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8권, 제3호, 43-70.) 이수복 (Lee, Soobok), 제 2 저자, 교신저자우송대학교언어치료 청각재활학부대전광역시동구자양동관심분야 : 유창성장애, 어플리케이션 Tel: +82-42-630-9222 E-mail: nosamor1@gmail.com 2014 현재언어치료 청각재활학부교수 성민경 (Sung, Minkyoung), 제 3 저자우송대학교대학원언어청각재활학과대전광역시동구자양동관심분야 : 청각장애, 인공와우, 말명료도 Tel: +82-42-630-9228 E-mail: smk813@nate.com 현재언어청각재활학과석사과정재학중 이영미 (Lee, Youngmee), 제 1 저자우송대학교언어치료 청각재활학부대전광역시동구자양동관심분야 : 청각장애, 인공와우, 말지각, 말명료도 Tel: +82-42-630-9248 E-mail: ymlee@wsu.ac.kr; ymlee3060@gmail.com 2013 현재언어치료 청각재활학부교수

162 말소리와음성과학제 7 권제 3 호 (2015) 부록 부록 1. 언어치료어플리케이션기능성분석평가준거표 Appendix 1. Evaluation criteria of the mobile applications function for speech and language therapy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평가영역평가내용평가기준세부요소 1 점 2 점 3 점 4 점 사용의용이성 교육적가치 ( 적합성 ) 흥미성 상호작용성 최소한의도움으로아동스스로사용할수있는가? 아동이배울점이있는가? 아동이재미있게몰입할수있는가? 상호작용기능이제공되는가? 어플리케이션사용에필요한기술이아동능력범위내에있다. 처음사용한후에독립적으로사용할수있다. 실행메뉴가이해하기쉽게아이콘화되어있거나간단하다문자를읽을수없어도사용할수있다. 초기메뉴로돌아가기가빠르고쉽다. 내용이나구조가일관성있게제작되었다. 사용방법에대한도움말이제공된다. 부모가보기쉽게아동의기록이누적되어제시된다. 학습목표가의사소통증진을위한교육적가치를지니고있다. 아동의상상력과호기심을자극한다. 아동이이해하기쉬운다양한예시, 그림을제공한다. 하나의개념을다양한방법으로경험할수있게한다. 내용이유용하고정확하고최신의것이다. 음성언어지원을통해학습을돕는다. 퀴즈, 게임등의상호작용기법을활용한다. 의미있는그림, 음성등의피드백이주어진다. 내용이성별에따른아동의흥미를고려한다. 내용이연령에따른아동의흥미를고려한다. 아동의주의를끌수있는캐릭터가등장한다. 아동이계속해서사용할수있다. 아동이다양하게사용하고수준을선택할수있다. 음향과음성이아동에게매력적이다. 사물이실제처럼구체적으로표현된다. 학습한내용이아동의직접적경험과연결된다. 아동의조작행동을유도한다. 아동의조작에정확하게반응한다. 필요시즉각적인피드백을제공한다. 피드백이아동의오류를교정해준다. 피드백이아동의능동적인학습활동을유도한다. 피드백이아동의흥미를증진시킨다. 아동의아이디어가내용에반영될수있다. 아이콘은터치에따라선택하기쉽고크게디자인되어있다.

국내장애아동을위한언어치료용모바일어플리케이션현황분석 163 부록 2. 활용유형에따른언어치료용어플리케이션 Appendix 2. Mobile applications for speech and language therapy according to the using types 활용유형 앱명칭 is 플랫폼 안드로이드 특징 개인교수형 반복연습형 게임형 이글한글 ( 폰, 패드 ) 청각장애부모를둔아동이한글과수화를배울수있음. 날마다 15 분구강운동 한글, 수화기초낱말 소리노리 YA 언어재활을위한환경소음 말더듬치료프리 smart DAF - free sensory speak up too sensory speak up ( 폰, 패드 ) 수화사격게임 자료제시형 video touch 시리즈 의사소통도구형 오케이톡톡 AAC 사람과소통 턱, 입술, 혀운동에대한정보를제공하며한운동당 6 개의운동프로그램이제공됨. 지문자, 낱말, 문장을수화로학습할수있도록관련콘텐츠를제공함. 일상생활, 사람 / 감정, 동물, 악기카테고리별로그림과함께소리학습을할수있고부모교육자료를제공함. 인공와우아동이가정에서말지각을훈련할수있도록환경소음을제공함. 휴대폰에대고말을하면지연된말소리를들으며말함으로써유창성을증진시킴. 말소리의지연시간과소음유형을설정하여대상자가지연된말소리를들으면서유창성을증진시킴. ( 폰, 패드 ) 말소리의강도에따라서설정된캐릭터의크기가변화됨. My first AAC ( 폰, 패드 ) AAC 굿커뮤니케이션 토크프렌드 청각장애보조앱 by KAIST ( 패드 ) 말소리의강도와유지에따라서여러시각화된도형의모양이변화됨. 정확히사격을하였을때수화동영상을제공하여수화를학습할수있음. 탈것, 야생동물, 새, 악기등다양하게제공되며해당하는그림의동영상과소리를제공함. 의사표현, 감정표현등여러카테고리안에상징들이제공되어의사소통을도와줌. 휴대폰에텍스트로하고자하는말을작성하면음성언어로변환하여산출해줌. 여러카테고리안에다양한상징들을제공하여의사소통을도와줌. 그림과문자를상징으로이용하여의사소통을하도록도와주며, 개인의사소통판을저장할수있음. 여러주제속에동사와명사별로상징을제공하며의사소통을촉진함. 들려오는소리를섬광이나진동으로표현하고, 텍스트로제시한언어를음성언어로변환하여산출함. 청각장애도우미 말소리를인식하여문자언어로변환시켜줌. 수화번역도우미 평가형스피치케어 텍스트로입력한언어를아바타의움직임을통해수화로알려줌. 주된기능은평가형으로수용, 표현학습이있으며철자따라쓰기기능과함께학습을제공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