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한국아동복지학 47 호 (2014) Ⅰ. 서론 현대사회에서다양한기능과편리성을갖춘스마트폰이보급되면서휴대폰사용이성인뿐아니라아동, 청소년에게서도증가하고있다. 예를들어, KTF( 한국이동통신사 ), GSMA( 유럽방식휴대전화서비스및제조업체단체 ), MSRA( 일본엔티티도꼬모에속한모바일관련조사기관 ) 의공동조사에의하면한국, 중국, 일본, 인도, 멕시코청소년 (12 18세기준 ) 6천명을대상으로휴대폰이용행태를조사한결과, 우리나라학령기아동의휴대폰보급률이 80.6% 로가장높았고, 일본은 77.3%, 멕시코 64%, 중국 48.9%, 인도 30.6% 로나타났다 ( 한겨레뉴스, 2009). 특히우리나라 12세학령기아동의휴대폰보급률은 87.7% 로다른나라 12세학령기아동의휴대폰사용률이 50% 미만인것에비해매우높은것으로나타났다 ( 한겨레뉴스, 2009). 이는우리나라학령기아동의휴대폰사용연령이다른나라에비해빠름을의미하며, 어린시절부터디지털기기를통한다양한정보습득과관계형성이가능해짐을의미한다. 학령기아동들의이른휴대폰보급및활용은신속한연락과사회적관계유지등의긍정적영향을미치지만, 과도한휴대폰사용, 휴대폰의존및중독과같은문제를야기하기도한다 ( 우수정, 2013). 실제로현재아동, 청소년들의스마트폰중독은심각한수준이다. 예를들어,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 에서실시한 2013년인터넷중독실태조사 에의하면만 10-54세까지의연령별스마트폰중독위험군은 10대가 25.5% 로성인에비해약 2.9배가높은것으로조사되었다. 학령기의휴대폰중독은학습능력저하, 학교적응저하, 신체건강저해등의문제를야기하지만이러한문제가성장이활발하게일어나는시기인학령기에발생하기에사회적인관심사가되고있다. 최근휴대폰중독의영향요인들을파악하고휴대폰중독예방을위한대책마련연구들이다양하게이루어져왔다. 휴대폰중독은 1) 충동성, 우울, 외로움, 공격성, 자기효능감, 자기통제력, 자기존중감, 스트레스등과같은개인심리적요인 (Çağan, Ünsal, & Çelik, 2014; Lu et al., 2011; Thomée, Härenstam, & Hagberg, 2011) 과 2) 부모-자녀관계, 양육태도, 의사소통양식등의부모요인 ( 김지혜, 2012; 김민경, 2012; 우수정, 2013; 이어리 이강이, 2012), 3) 친구관계, 학교적응, 학업성취도등과같은환경적요인 ( 김지혜, 2012) 등다양한요인과관계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또한휴대폰중독에는성차가있으며, 여성의휴대폰중독이남성보다높은것으로나타났다 ( 구현영, 2012; 배상률 김형주 성은모, 2013). 이는
부모의아동학대와방임이학령기아동의휴대폰중독에미치는영향 3 휴대폰이타인과의의사소통을목적으로하는매체이므로남성보다관계형성에대한욕구가높은여성에게중독위험이높기때문으로분석된다 ( 구현영, 2012). 부모의아동학대와방임은아동의우울, 공격성에영향을미치며 ( 김수정 정익중, 2013), 가족요인및부모의양육태도요인은휴대폰중독의원인임을밝히고있는연구들 ( 김민경, 2012; 우수정, 2013) 이진행되어왔지만, 부모의아동학대와방임으로인해학령기아동의심리상태인우울과공격성을통해휴대폰중독에미치는영향을통합적으로검증한연구는전무한상황이다. 현재아동들은방과후학원, 숙제등을제외하고스마트폰사용에가장많은시간을할애하고있다 ( 전국교직원노동조합, 2014). 이처럼어려서부터디지털기기를접하는현대아동은스마트폰을이용하여게임및인터넷접속, 또래관계형성및의사소통을하게되어이전세대와는다른놀이문화및대인관계를형성할것이라는점에서아동의건전한스마트폰활용을통한긍정적발달은촉진되어야한다. 즉, 아동이스마트폰으로유익한정보를접촉하고, 긍정적대인관계형성및의사소통의중요수단으로활용하는등학령기아동의발달을촉진할수있는긍정적측면이부각될필요가있다. 또한학령기아동에게나타날수있는부정적인스마트폰사용 ( 예 : SNS을이용한집단따돌림 ) 이나휴대폰중독과같은문제의발생가능성에대한조기예방도필요하다. 이러한측면에서학령기아동의휴대폰중독은청소년혹은성인의휴대폰중독과는다른조기개입및예방의필요성이더욱절실하다. 특히여성의휴대폰의존도가남성보다높다는선행연구결과를볼때아동학대및방임과휴대폰중독과의관계에서우울및공격성의매개효과에따른성차가있다면이에따른차별화된개입의필요성이제기된다. 이는곧휴대폰중독을유발하는부모의아동학대 방임에대한예방및조기개입방안을마련하고, 학대와방임이우울과공격성을통해휴대폰중독으로이어지는문제의발생경로를성별에따라파악한다면보다효과적인아동복지적개입방안을모색할수있을것이다. 이에본연구는학령기아동에대한부모의방임및학대와휴대폰중독과의관계에서우울과공격성변인이매개역할을하는지그리고이러한매개경로에성차가있는지살펴보고, 이에따른휴대폰중독완화개입방안을아동복지적차원에서모색하고자한다.
4 한국아동복지학 47 호 (2014) Ⅱ. 이론적배경 1. 학령기아동의휴대폰사용현황및휴대폰중독 1) 휴대폰중독에대한개념적논의학령기아동의휴대폰사용증가로인한부작용이늘어나면서아동 청소년의휴대폰중독및의존과관련된연구들 ( 예 : 김지혜, 2012; 송미령 김성영, 2012; 양심영 박선영, 2005; 장혜진 채규만, 2006; 한희진 윤미선, 2010) 이지속적으로진행되고있다. 그러나이들선행연구를살펴볼때휴대폰의문제적사용, 휴대폰의존혹은중독등과같이휴대폰중독에대한통일된정의를사용하고있지는않다. 즉기존연구에서는휴대폰의문제적사용에대해 휴대폰과다사용 ( 한희진 윤미선, 2010), 휴대전화의존 ( 김지혜, 2012; 장석진 송소원 조민아, 2012), 휴대폰중독 ( 양심영 박선영, 2005; 장혜진, 2002) 등으로혼용되고있다. 정신의학적중독기준을바탕으로 Young(1996) 은 DSM-IV의약물의존진단준거를사용하여과도한인터넷사용을조사하였으며, Goldberg(1996) 는의존, 내성, 초조, 불안, 금단등의현상을바탕으로한인터넷중독의진단기준을개발제시하였다 ( 양심영 박선영, 2005). 많은연구들이 ( 예 : 고충숙, 2012; 김혜수 배성만 현명호, 2007) 정신의학적인터넷중독개념을휴대폰중독에확대적용하고있다. 이는휴대폰사용이인터넷과같은매체를이용한정보통신서비스의일종이며, 상호작용을통한능동적행위가수반된다는점등의공통점이있기때문이다 ( 장혜진, 2002). Goldberg(1996) 의연구를기초로장혜진 (2002) 은 휴대폰중독 을휴대폰의지속적인사용으로사용자가통제력을상실하여일상생활또는기능수행에부정적인영향을미치는것으로정의하였다. 또한양심영 박선영 (2005) 은 휴대폰중독 을정보화사회의흐름에서사회구성원들이휴대폰의지속적인사용으로인해개인의통제력을잃어사용자의생활양식이나기능수행에부정적영향을미치는것으로정의하고있다. 반면, 한희진 윤미선 (2010) 은뚜렷한목적없이휴대폰을과도하게사용하고의존하고집착하는경향으로인해개인생활전반에지장을초래하는상태를 휴대폰과다사용 이라고정의하였다. 또한김지혜 (2012) 와장석진 송소원 조민아 (2012) 는 휴대전화의존 을휴대폰을가지고있지않을때불안해지거나고립된것같은느낌이드는심리적의존과초조, 불안등의정서적반응등에의해휴대폰을지나치게의지하는현상으로정의하고있다.
부모의아동학대와방임이학령기아동의휴대폰중독에미치는영향 5 이처럼휴대폰중독은과다사용, 의존, 중독등으로표현되어아직합의된정의가존재하지않는다. 이러한개념적혼용은행위중독의분류에서처럼의존, 중독, 과다사용혹은오남용등과같은명확한개념정립이휴대폰중독에적용되지못한상황이기때문에휴대폰중독관련분류기준을개발할필요가있다. 나아가휴대폰이인터넷검색및 SNS를통한의사소통과게임등의다기능스마트폰으로진화하면서휴대폰은더이상단순한대화및통신수단에그치지않기에휴대폰중독과스마트폰중독의미세한차이점을고려할필요가있다. 그럼에도불구하고, 휴대폰중독과관련된정의의공통점을살펴보면휴대폰의지속적인사용으로인하여통제력을상실하고사용자의생활에부정적영향을주는점에주목하고있다. 이는휴대폰중독을행위중독의한유형으로간주하여의존, 내성과금단등과같은부작용을가지고있음을전제하는것이다. 즉, 휴대폰중독에서의의존성심화, 내성혹은금단등의역기능은아동, 청소년의정신건강에부정적영향을줄수있다 ( 고충숙, 2012). 특히인터넷기능이가능한스마트폰의보급은휴대폰중독과미디어중독으로이어질수있으며, 이러한미디어중독은사이버언어폭력 ( 이정기, 2011), 인터넷왕따등사이버비행이라는또다른사회문제를야기한다는점 ( 김진희 김경신, 2003; 이정기, 2011) 에서그심각성을더해주고있다. 이상과같은논의를바탕으로본연구에서는 휴대폰중독 을사용자가휴대폰의지속적이고지나친사용으로인해개인의통제력을상실하여불안, 초조등의감정으로인해생활양식이나기능수행에부정적영향을미치는것으로정의하였다. 2) 학령기아동의휴대폰사용현황과남녀차이 2013년청소년매체이용실태조사 중휴대폰집착에대한설문을살펴보면전체응답자가운데 6.2% 는휴대폰이울린다는착각을자주하는편이며, 17.3% 는휴대폰이없으면불안하다고응답하였다. 또한전화가오지않았는데도지속적으로전화를확인한다는응답은 21.9% 에달하는등응답자 15% 가량이휴대폰에대한집착이강한것으로나타났다 ( 배상률 김형주 성은모, 2013). 또한한국정보화진흥원 (2014) 의 2013년인터넷중독실태조사 에따르면청소년스마트폰중독률은 25.5% 로 2011년이후매년급상승하는추세이며, 그중독률은성인 (8.9%) 의 2.9배에이른다. 이처럼사회적으로심각성이제기되고있는휴대폰중독은성차가있는것으로나타나고있다. 예를들어, 2013년청소년매체이용실태조사 에따르면휴대폰집착률은여학생이 18.7% 로남학생 (10.8%) 에비해 2배정도많은데 ( 배상률
6 한국아동복지학 47 호 (2014) 김형주 성은모, 2013), 이러한결과는타연구들 ( 예 : 양심영, 2002; 이연미 이선정 신효식, 2009; 이정기 황상재, 2009; 이정기, 2011; 이해경, 2008; 장혜진, 2002) 의결과와유사하다. 또한한주리 허경호 (2004) 는여성이남성에비해휴대폰중독증상중생활장애, 통제상실, 강박증상등에서더높았다고주장한다. 이처럼남성에비해여성의휴대폰중독이더높은것은휴대폰이타인과의의사소통을전제로하기때문에관계중심적인여성들에게더매력적으로작용했을가능성이있다 ( 구현영, 2012; 장혜진, 2002). 그리고여학생의경우주변의문제나관심사에대해타인들과더많이이야기를하는특성을가지고있으며, 특히여자의경우우호적인사회관계를유지하기위해의사소통의도구로서휴대폰을사용하는경향이훨씬높은데기인한것으로본다 (Rautiannen & Kaserniemi, 2000; 한상훈, 2008 p.416 재인용 ). 2. 학대와방임이학령기아동의우울및공격성, 휴대폰중독에미치는영향과성차 본연구에서는아동학대와방임에대한개념적논의는지면관계상생략하고자한다. 이전선행연구들을살펴볼때학대와방임을경험한아동은다각적인영역에서심리적어려움과부정적인문제를보이는것으로나타나는데학대와방임이우울및공격성, 그리고휴대폰중독에주는영향및성차를살펴보면다음과같다. 1) 학대와방임이우울에미치는영향과성차학대및방임을경험한아동은그렇지않은아동에비해서우울과같은내재화문제를겪게되거나공격성과같은외현화문제를갖는다 ( 김은경 이정숙, 2009; 김재엽 최권호, 2012; 정익중, 2008; Matsuura, Hashimoto, & Toichi 2009; Afifi et al., 2006). 즉, 학대는그자체만으로도아동에게신체적 정신적고통을줄뿐만아니라우울, 불안, 위축등과같은내재화문제와공격성, 과잉행동, 비행등과같은외현화문제까지심리사회적응상에전반적으로부정적영향을미친다 ( 김광혁, 2009; 정익중, 2008; Lamont, 2010). 여기서는먼저아동학대와방임이문제행동중에서내재화문제인우울에주는영향을살펴보고자한다. 부모의학대경험이많은아동일수록 ( 김재철 이정숙 성경주, 2012) 그리고아동학대저위험군아동보다고위험군에속한아동일수록우울이더높은것으로나타났다 ( 보건복지부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2011). 심
부모의아동학대와방임이학령기아동의휴대폰중독에미치는영향 7 지어훈육의수단으로행해지는체벌도우울을증가시킬수있다 (Afifi et al., 2006). 피학대아동들은우울이나불안을감소시킬수있는개인적대처기제가약하거나외적자원이부족하고, 정서적 지적으로미숙하여통제력도부족하기때문에우울 불안이더지속적으로나타날가능성이있다 ( 배주미, 2000). 또한방임은방임에의한장기적후유증으로인해정신병리현상을초래하여우울에영향을준다 ( 안동현, 2000). 이처럼학대와방임의경험은피해자가정신적, 신체적으로성장기에있는아동이라는점에서피해의영향이심각하다 ( 김세원 이봉주, 2010). 특히아동기에겪는우울은자살과같은극단적인선택을할가능성이높으며성인기의정신질환으로발전할수있다는점에서심각하게다루어져야한다 ( 최장원 김희진, 2011). 학대와방임의경험은우울에영향을주지만이에는성차가있다. 예를들어, 남아는부모의거부와무관심에서감정과욕구를억제하도록양육되는경향이있어부모의온정에덜민감한반면, 여아는가족지향적특성과부모를더지지적인대상으로인식함으로써 ( 김애경, 2002), 학대와방임에대한남아와여아의인식에차이가있다. 한편남아들은우울이높을수록또래관계문제, 충동과다행동, 섭식문제, 학업주의문제, 진로문제, 가족관계문제, 인터넷중독의문제가많아지며, 여아들은우울이높을수록또래관계문제, 진로문제, 섭식문제, 공격성, 학업주의문제, 충동과다행동, 인터넷중독의문제가많아진다 ( 이해경, 2013). 하지만우울이청소년들의성별에따른차이가없다는연구결과 ( 김정민 이정희, 2008) 도있어학대및방임이학령기아동의우울에미치는영향을통해휴대폰중독에어떻게영향을미치는지살펴볼필요가있다. 2) 학대와방임이공격성에미치는영향과성차아동학대및방임이공격성에영향을미치는선행연구들을살펴보면, 피학대아동은학대로인해부정적인심리상태인긴장을일으켜공격성을높인다 ( 김재엽 이지현 정윤경, 2008). 또한피학대아동은타인에게상해를가하려는공격욕구가더강하며 ( 이아영 유서구, 2011), 또래아동에비해더공격적인행동을보인다 ( 이명진 조주연 최문경, 2007). 특히신체학대를받은아동은또래에비해신체적 언어적으로보다공격적이었다 (Prino & Peyrot 1994). 정익중 (2008) 은성격발달이왕성한시기에아동은신체적 정서적학대경험으로인해공격적행동이무의식적으로학습되고, 아동의공격성욕구가누적됨에따라아동의공격성이증가한다고주장하였다. 또한방임과같이낮은애정및거부적 통제적태도와무관심한태도는자녀
8 한국아동복지학 47 호 (2014) 의공격성을높인다 ( 김재엽 최권호, 2012). 이는부모의방임으로인해부모-자녀간애착이형성되지못한아동들이적개심을갖게되고충동적이며공격적인행동을보이기때문이다 (Bowlby, 2008). 또한방임을경험한아동은행동을절제하지못하여공격적 파괴적인것으로나타났으며정서적방임을경험한아동은도전적 반항적인성향을나타내고그렇지않은아동에비교했을때더높은문제행동을보인다 (Baumrind, 1991). 아동의학대및방임경험은성별에따라공격성에차이가있다 ( 김은경 이정숙, 2009; Vranceanu, Hobfoll, & Johnson, 2007). 신체학대의경우남아는공격적이거나외현화문제로, 여아는내재화문제로발전되는경향을보이며전반적으로여자청소년이보다다양한부적응양상을보였다 (Arata et al., 2007). 반면에학대와방임을경험한자녀가공격성에서성별차이가없다는연구도있다 ( 서미정, 2011; Moretti et al., 2006). 이처럼일관되지않은연구결과를보임에따라학대와방임경험이공격성에주는영향이성차에따라휴대폰중독에달리나타나는지확인할필요가있다. 3) 학대와방임이휴대폰중독에미치는영향휴대폰중독의문제는아동의개인적특성에영향을받기도하지만, 부모와의부정적애착관계나학대및방임과같은부적절한부모-자녀관계에서비롯된다 ( 김민경, 2012; 우수정, 2013). 학령기아동의경우학교생활이나또래관계등의사회적활동이증가함에따라독립심이키워지는시기이기도하지만부모의바람직한양육태도가어느때보다도필요시되는시기이기도하다 ( 우수정, 2013). 그러므로이시기에학령기아동의부모와의부정적인관계는문제적행동을일으키는데직접적인영향을미친다 (Stavrinides, 2011). 학대와방임을경험한학령기아동들은좌절과심리적상처를쉽게받기때문에부모에대한의존이인터넷중독으로나타나는경향을보인다. 또한부모통제의결여, 부모-자녀간의갈등, 부모로부터의거절감과체벌에대한인지와같은부모와의부정적관계를맺는아동일수록인터넷중독에빠지는것으로나타났다 (Wu, et al., 2013). 지금까지의선행연구에서는부모의아동학대 방임이휴대폰중독에영향을미치는지에대한연구와인터넷중독과관련하여휴대폰중독을살펴보고있다 ( 김민경, 2012; 우수정, 2013). 이어리 이강이 (2012) 는초등학생이어머니의허용 방임적양육행동과거부 제재적양육행동을높게지각할수록중독적인휴대폰사용이증가한다고주장하였다. 또한우수정 (2013) 은부모가학대및방임적양육행동을보일수록아동의휴대폰의존이높아지기때문에
부모의아동학대와방임이학령기아동의휴대폰중독에미치는영향 9 아동은학대와방임과같은부정적인부모와의관계에서부적응적인방식으로휴대폰의존성이표출될수있다고하였다. 4) 학대와방임및휴대폰중독과의관계에서우울, 공격성의매개효과본연구에서는학대및방임과휴대폰중독과의관계에서매개변수로우울, 공격성을설정하고이들이두변수간에매개역할을한다면그효과는어떤지파악하고자한다. 이에휴대폰중독과우울의관계를살펴보면, 우울은휴대폰중독에영향을주는요인으로나타나고있다. 우울은매체중독과관련이있다는관점 (Young & Rogers, 1998) 에서우울과휴대폰의관계에대한선행연구를살펴보면다음과같다. 휴대폰사용은외로움과같은우울중상을해소하는수단이될수있는반면, 우울감이높게나타나는청소년들은휴대폰중독에취약할수있다 ( 송은주, 2006). 실제로휴대폰중독고위험군청소년들은저위험군청소년들에비해우울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 김혜수 배성만 현명호, 2007; 박지영 김귀애 홍창희, 2012; 양심영 박선영, 2005; Çağan, Ünsal, & Çelik, 2014; Lu et al., 2011; Thomée, Härenstam, & Hagberg, 2011). 또한청소년의우울정도가높을수록청소년의중독적인휴대폰사용은증가하는것으로나타났으며 ( 이어리 이강이, 2012), 우울이문제적휴대폰사용에영향을주는것으로나타났다 (Gámez-Guadix et al., 2013; Yen et al., 2009). 양심영 박선영 (2005) 은휴대폰중독적사용이우울의예측요인이라고하였다. 이처럼우울은휴대폰중독에중요한영향요인이며, 높은우울감은휴대폰사용을증가시키는원인요인으로작용함을알수있다. 우울은휴대폰중독의영향요인으로나타나는한편매개요인으로작용하기도한다. 최홍일 김진희 (2013) 은부모와의관계와휴대폰중독간에우울이완전매개효과를보였다고주장한다. 또한박지영 김귀애 홍창희 (2012) 는또래관계와휴대폰중독적사용간에는우울이매개요인으로작용하며, 이윤희 (2013) 는가족건강성과휴대폰과다사용의관계에서우울이완전매개효과를갖는다고주장한다. 휴대폰중독과유사한형태인인터넷중독과다른요인간에우울이매개요인으로나타나는선행연구를볼수있다. 예를들어, 안순영외 (2009) 는역기능가정은우울과낮은자아존중감을형성시키며, 우울은인터넷중독과의관계에서매개효과가있다고하였다. 또한이혜린외 (2009) 는어머니가비온정적이고, 거부 / 제재적일수록청소년은낮은자기통제력을보였고, 자기통제력이낮은청소년은우울 / 불안과같은매개요인을더많이경험하여궁극적으로인터넷중독에영향을미친다고하였다. 황윤원 이동훈 (2011) 은주의력결핍과잉행동성향과인터넷과다사용간의관계에서우울이매개변인으로역할을한다고주장하였다.
10 한국아동복지학 47 호 (2014) 또한학령기아동의휴대폰중독의영향요인중에서도공격성과휴대폰중독간의연관성과매개효과에대한연구가나타나고있다. 이중많은연구 ( 예 : 남영옥, 2005; 손신영, 2013) 들은휴대폰과공격성간의연관성연구에있어인터넷중독이나전자매체같은행위중독의관점을적용하고있다. 이는휴대폰중독과관련된개인의심리적특성을이해하는데있어인터넷중독관련연구가도움이되기때문이다 ( 김혜수 배성만 현명호, 2007). 정현웅 오세덕 (2008) 과오윤선 (2008) 은인터넷중독청소년이비중독청소년보다공격성점수가더높다고하였으며, 오윤선 (2008) 은인터넷게임중독에속한청소년남녀모두에게공격성수준이높게나왔다. 또한김혜수 배성만 현명호 (2007) 의연구에서도휴대폰중독고위험청소년은저위험청소년에비해공격성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이처럼공격성은우울과마찬가지로휴대폰중독에영향을미치는주요요인이며휴대폰중독과인터넷및매체중독에영향을미치는매개요인으로작용하기도한다. 배성만 박중규 고영삼 (2012) 은부모-자녀의사소통이인터넷중독경향성에영향을미치는데이때심리 행동적문제중하나인공격성이매개효과를갖는다고하였다. 또한김희지 (2010) 는공격성은가정폭력경험과인터넷게임중독의관계를부분매개하여영향을미친다고주장하였다. 그리고이연수 이상민 남숙경 (2010) 은초등학생의스트레스와인터넷중독간의관계에서공격성변인이주요매개변인이었다고주장하였다. 이는학령기아동의경우아직가상공간과현실공간과의불분명한인식으로인해다양한압력과공격적충동을표현하는데어려움을겪으므로공격성요인이휴대폰중독및매체중독에중요한영향요인임을시사하고있다. 이상과같은논의를바탕으로본연구에서는 우울과공격성은아동학대와방임이휴대폰중독에미치는영향을매개하는가? 있다면, 성차가있는가? 를연구문제로설정하고이를검증해보고자하며, 이를그림으로표현하면 < 그림 1> 과같다. 그림에서알수있는것처럼본연구에서는방임과학대가선행요인으로, 그리고우울과공격성이매개변인으로역할을한다고가정하고한국아동청소년패널자료의초5 자료를선행요인으로설정한반면우울과공격성은초6의자료를활용하여인과관계를설정하였다. 또한초5의휴대폰중독이주는영향을통제한상태에서이들변수들의관계를살펴보고자하였다.
부모의아동학대와방임이학령기아동의휴대폰중독에미치는영향 11 < 그림 1> 연구모형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연구는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Korea Children Youth Panel Survey: KCYPS) 의자료를활용한 2차자료분석방법을사용하였다. 본연구의대상자는초등학교 4학년패널 2차년도 2,264명 ( 남 : 1,180명, 여 : 1,084 명 ) 과 3차년도의 2,219명 ( 남 : 1,167명, 여 : 1,052명 ) 중에서 2차년도의학대 방임과 3차년도의우울 공격성및휴대폰중독문항에모두응답한 1,732명 ( 남 : 822 명, 여 : 910명 ) 을연구대상으로선정하였다. 2. 측정도구 본연구는한국아동청소년패널연구조사 2010 자료의 2 차 ( 초 5), 3 차 ( 초 6) 년도자 료분석으로원척도에대한설명은한국아동청소년패널연구조사를참고하기바란다. 본연구에서사용된척도및문항에대해간략하게살펴보면다음과같다.
12 한국아동복지학 47 호 (2014) 1) 종속변수본연구에서사용한휴대폰중독과관련문항은 휴대전화를가지고나가지않으면불안하다., 휴대전화로한참동안아무에게서도연락이오지않으면불안하다., 휴대전화가없으면고립된것같은느낌이든다. 등과같은 7문항으로이루어져있다. 휴대폰중독변수는한국아동청소년패널연구조사초등학교 4 학년 3차년도 ( 초 6) 패널자료를사용하였다. 각문항은 4점만점으로점수가높을수록휴대폰중독이높은것으로재코딩하였다. 휴대폰중독척도의신뢰도는.893으로나타났다. 2) 독립변수 : 학대와방임본연구의독립변수는학대와방임이다. 본연구에서는허묘연 (2000), 김세원 (2003) 이구성한아동학대문항중일부를참고로한한국아동청소년패널연구의방임과학대문항을사용하였다. 이에는 부모님께서는다른일보다나를더중요하게생각하신다., 부모님 ( 보호자 ) 께서는내가학교에서어떻게생활하는지관심을갖고물어보신다., 부모님 ( 보호자 ) 께서는내몸이나, 옷, 이불등이깨끗하도록항상신경쓰신다., 부모님 ( 보호자 ) 께서는내가많이아프면적절한치료를받게하신다. 등의문항으로이루어져있다. 이척도는 4점의 likert 척도로이루어져있는데, 1점은매우그러하다, 4점은전혀그렇지않은편이다로채점하게되어있다. 따라서점수가높을수록방임이높음을의미한다. 학대는 내가무언가잘못했을때부모님 ( 보호자 ) 께서는정도이상으로심하게혼내신다., 내가잘못하면부모님 ( 보호자 ) 께서는무조건때리려고하신다., 내몸에멍이들거나상처가남을정도로부모님 ( 보호자 ) 께서나를심하게대하신적이많다., 부모님 ( 보호자 ) 께서는나에게심한말이나욕을하신적이많다. 의문항으로이루어져있다. 독립변수로써의학대와방임척도는인과관계분석을위해한국아동청소년패널연구조사초등학교 4학년 2차년도 ( 초5) 패널자료를사용하였다. 각문항은 4점의 likert 척도로점수가높을수록학대가높은것을의미한다. 각각의신뢰도는방임의경우.749, 학대의경우.806으로나타났다.
부모의아동학대와방임이학령기아동의휴대폰중독에미치는영향 13 3) 매개변수 (1) 우울본연구에서학령기아동의우울은간이정신진단검사 (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 1984) 중우울척도 13문항에서 3문항을제외하고수정하여측정하였다. 우울변수는인과관계의설정을위해한국아동청소년패널연구조사초등학교 4학년 3차년도패널자료를사용하였다. 따라서초등학교 5학년당시연구대상자들이학대와방임을경험하고초등학교 6학년이되는 3차년도에우울을경험한다고가정한것이다. 본연구에서우울은 4점척도로이루어진 10문항에대한응답의점수가높을수록우울감이높은것을의미하도록재코딩하여분석, 활용하였으며신뢰도는.923 수준으로나타났다. (2) 공격성학령기아동의공격성은조붕환 임경희 (2003) 가개발한척도에서중복문항을제외하고공격성문항을수정하여사용하였다. 본변수도우울변수와같은이유에서한국아동청소년패널연구조사초등학교 4학년 3차년도패널자료를사용하였다. 본연구에서공격성은 4점척도로이루어진 6문항에대한응답의점수가높을수록공격성이높은것을의미하도록재코딩하여분석에사용하였으며신뢰도는.836 수준으로나타났다. 3. 자료분석방법 부모의아동학대와방임이우울과공격성을매개로휴대폰중독에미치는영향을분석하기위하여구조방정식모형으로분석하였다. 분석절차는주요변수에대해기술통계를구한후변수간의상관관계를분석하였다. 이후변수사이의예측관계를검증하기위한구조모형분석을수행하였다. 또한독립변수가매개변수를통해종속변수에이르는경로를파악하기위해직 간접효과로분해하여총효과를살펴보아구조경로별관계와유효성검증을하였다. 마지막으로매개효과를검증하기위해 Sobel 검증을실시하였다.
14 한국아동복지학 47 호 (2014) Ⅳ. 연구결과 1. 주요변수에대한기술통계 본연구에사용된주요변수는방임과학대, 우울, 공격성및휴대폰중독이며, 모든변수는잠재변수로구성하였다. 연구분석을실시하기전각변수의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에대한기술분석을실시한결과는 < 표 1> 과같다. 표에서알수있듯이, 전체의방임평균은 6.16, 남아는 6.16, 여아는 6.15였으며, 학대의평균은전체는 6.96, 남아는 7.47, 여아가 6.50으로나타났다. 또한우울의평균은전체는 17.05 남아는 16.07, 여아는 17.94였으며, 공격성의평균은전체는 12.13, 남아 12.18, 여아 12.09로나타났다. 휴대폰중독의평균은전체 14.44, 남아가 13.78, 여아가 15.03였다. 모든변수의왜도와첨도분석결과변수의분포가정규성을벗어나지않았다. 변수 평균 전체 (N=1732) 남아 (N=822) 여아 (N=910) SD 왜도 (SE) 첨도 (SE) 방임 6.16 2.13.852.766 (.059) (.118) 학대 6.96 2.53.992.934 (.059) (.118) 우울 17.05 6.05.727 (.059) 공격성 12.13 3.63.250 (.059) 휴대폰중독 < 표 1> 변수특성 평균 SD 왜도 (SE) 6.16 2.13.869 (.085) 7.47 2.66.824 (.085).243.908 16.075.72 (.118) (.085).096.376 12.18 3.73 (.118) (.085) 첨도 (SE).952 (.170).560 (.170) 평균 SD 왜도 (SE) 첨도 (SE) 6.15 2.14.839.614 (.081) (.162) 6.50 2.31 1.146 1.441 (.081) (.162).854.578 -.083 17.94 6.21 (.170) (.081) (.162).302.111 -.165 12.09 3.53 (.170) (.081) (.162).496 -.199.621 -.149.423 -.133 14.44 5.00 13.78 5.06 15.03 4.88 (.059) (.118) (.085) (.170) (.081) (.162) 주 ) 성별에따른방임, 학대, 우울, 공격성, 휴대폰중독의 t 검증결과, 학대 (t=-7.991, p<.001), 우울 (t= 6.500, p<.001) 및휴대폰중독 (t=5.254, p<.001) 에는성별에따라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부모의아동학대와방임이학령기아동의휴대폰중독에미치는영향 15 2. 상관관계분석 변수들간의상관관계를분석한결과는 < 표 2> 와같다. 남아의경우휴대폰중독과방임간의상관계수는.097(p<.01), 학대와는.190(p<.001), 우울과는.342(p<.001), 공격성과는.255(p<.001) 로나타났다. 방임과학대간의상관계수는.214(p<.001), 방임과우울은.144(p<.001), 방임과공격성은.178(p<.001) 로나타났다. 학대와우울의상관계수는.192(p<.001), 공격성은.230(p<.001) 으로나타났다. 또한우울과공격성의상관계수는.354(p<.001) 였다. 여아의경우휴대폰중독과방임간의상관계수는.058로상관관계가유의미하지않았다. 휴대폰중독과학대와의상관관계는.091(p<.001), 우울과는.255(p<.001), 공격성과는.225(p<.001) 로나타났다. 방임과학대간의상관계수는.312(p<.001) 였으며, 우울은.240(p<.001), 공격성은.160(p<.001) 였다. 학대와우울의상관계수는.222(p<.001), 공격성은.132(p<.001) 로나타났다. 또한우울과공격성의상관계수는.315(p<.001) 였다. < 표 2> 상관관계분석 휴대폰중독 방임 학대 우울 전체 남 여 전체 남 여 전체 남 여 전체 남 여 방임.076 **.097 **.058 학대.115 ***.190 ***.091 **.257 ***.214 ***.312 *** 우울.308 ***.342 ***.255 ***.194 ***.144 ***.240 ***.171 ***.192 ***.222 *** 공격성.221 ***.255 ***.225 ***.168 ***.178 ***.160 ***.181 ***.230 ***.132 ***.306 ***.354 ***.315 *** p<.10 * p<.05 ** p<.01 *** p<.001 3. 구조모형분석 본연구의모형적합도지수에대한분석결과는 < 표 3> 과같다. 연구모형적합도분석결과, 모든모형이적합한것으로분석되었다. 또한연구모형이남아, 여아에각각적용될수있는지의모형적합도를검증하고각성별집단에서구조방정식모형의측정동일성과구조동일성모형을검증하였다. 측정동일성을확인하기위하여각측정모형에서요인적제약을남아와여아각집단별로동일성제약후모형적합도를살펴보았으며, 구조동일성을확인하기위하여집단간회귀계수를동일하게제약을가한후경로에서차이가있는지를살펴보았다. 적합
16 한국아동복지학 47 호 (2014) 도검증결과모든모형에서좋은적합도를보였다. < 표 3> 연구모형의적합도 구분 RMSEA GFI NFI TLI CFI 전체연구모형.068.939.921.912.929 남아모형.067.932.917.917.933 여아모형.070.933.909.906.924 측정동일성모형.048.931.911.914.927 구조동일성모형.047.930.909.917.927 기준 <.080 >.900 >.900 >.900 >.900 모형에대한구조계수추정결과는각각 < 표 4>, < 그림 2>, < 그림 3> 과 < 그림 4> 에제시하였다. 전체아동의경로계수를살펴보면통제변수인휴대폰중독 ( 초5) 의영향을고려하여도방임과학대는모두우울과공격성에정적으로유의미한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 그리고우울과공격성도휴대폰중독에정적으로유의미한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 남아와여아간의차이를보이는경로를자세히살펴보면, 여아의경우방임이우울에영향을주는경로의추정치가.305(p<.01) 로큰영향을주는반면, 남아의경우에는.129(p<.05) 로나타나여아가남아의비해방임이우울에더큰영향을주는것으로나타났으며이차이는다중집단분석결과통계적으로유의하였다. 또한남아 (β=.248,p<.001) 의우울이여아 (β=.121,p<.001) 의우울에비해휴대폰중독에더큰영향을주는것으로나타났으며, 이차이는다중집단분석결과통계적으로유의하였다. 본연구분석의추정치를살펴본결과, 여아의경우전년도방임은휴대폰중독과상관관계가없으므로, 연구모형에서방임을제외하였다. 반면전년도 ( 초5) 의학대는여아의우울, 공격성에모두유의미한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 또한남아의경우전년도 ( 초5) 의학대와방임이당해연도 ( 초6) 의우울과공격성에영향을미쳐휴대폰중독에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 한편통제변수로활용한전년도 ( 초5) 의휴대폰중독은남녀아동의휴대폰중독그리고전체모형의휴대폰중독에가장큰영향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나, 휴대폰중독이장기간에걸쳐지속적인부정적영향을미칠수있음을암시하고있다.
부모의아동학대와방임이학령기아동의휴대폰중독에미치는영향 17 경로 < 표 4> 모형에대한구조계수추정치 전체남아여아 Est. S.E. β C.R Est. S.E. β C.R Est. S.E. β C.R 방임 우울.243.042.178*** 5.829.129.056.100* 2.321.305.060.219*** 5.110 학대 우울.173.034.154*** 5.148.207.042.210*** 4.911.252.056.191*** 4.462 학대 공격성.251.035.249*** 7.124.261.046.285*** 5.709.275.060.223*** 4.582 방임 공격성.183.041.150*** 4.429.147.057.123** 2.603.218.062.168*** 3.507 우울 휴대폰중독.207.026.201*** 7.830.248.039.237*** 6.377.121.037.118** 3.259 방임 휴대폰중독 -.064.041 -.045-1.557 -.022.055 -.017 -.405 -.104.059 -.073-1.774 학대 휴대폰중독 -.050.034 -.043-1.479.023.044.022.523 -.069.057 -.052-1.227 공격성 휴대폰중독.235.035.203*** 6.699.174.048.155*** 3.669.307.049.282*** 6.308 학대 방임.077.007.351*** 10.520.075.012.305*** 6.396.077.009.408*** 8.525 ( 통제 )2차 휴대폰중독.054.003.406*** 17.187.049.004.387*** 11.233.056.004.414*** 12.818 * p<.05 ** p<.01 *** p<.001 < 표 5> 는우울과공격성의매개효과를 Sobel 검증 1) 방식으로분석한결과이다. 검증결과, 전체모형에서는학대및방임과휴대폰중독과의관계에서우울과공격성이매개요인으로작용하는것으로나타났다. 또한성별로구분하여분석하였을때, 남아와여아모두학대와휴대폰중독간에우울과공격성이매개요인으로작용하여휴대폰중독에유의미한영향을미쳤다. 그러나여아의경우, 방임과휴대폰중독간에상관관계가없는것으로나타났기때문에매개관계의기본가정을충족시키지않기에분석에서제외하였다. 즉, 본연구의질문인방임과학대가아동의휴대폰중독에주는영향에있어우울과공격성은매개역할을하는가에대해우울과공격성모두아동전체에게는매개변인으로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으며, 성별에따라방임과휴대폰중독간의관계에는차이가있는것으로분석되었다. 1)
18 한국아동복지학 47 호 (2014) 매개경로성별 a Sa b Sb Z 방임 우울 휴대폰중독 학대 우울 휴대폰중독 방임 공격성 휴대폰중독 학대 공격성 휴대폰중독 * p<.05 ** p<.01 *** p<.001 < 표 5> Sobel 검증결과 전체.243.042.207.026 4.680 *** 남성.129.056.248.039 2.165 * 여성 - - - - - 전체.173.034.207.026 4.287 *** 남성.207.042.248.039 2.087 * 여성.215.056.121.037 2.490 ** 전체.183.041.235.035 3.717 *** 남성.147.057.174.048 2.101 * 여성 - - - - - 전체.251.035.235.035 3.066 *** 남성.261.046.174.048 3.055 *** 여성.275.060.307.049 3.699 *** < 그림 2> 전체아동의구조계수 ( ) 안의숫자는표준화계수임. * p<.05 ** p<.01 *** p<.001 < 그림 3> 남아의구조계수 ( ) 안의숫자는표준화계수임. * p<.05 ** p<.01 *** p<.001
부모의아동학대와방임이학령기아동의휴대폰중독에미치는영향 19 < 그림 4> 여아의구조계수 ( ) 안의숫자는표준화계수임. * p<.05 ** p<.01 *** p<.00 < 표 6> 은 < 표 3> 에서제시된변수들의직 간접및총효과를분해하기위해부트스트래핑방법을사용한결과이다. 전체아동의경우간접효과 (.066) 만유의하였고직접효과 (-.045) 와총효과 (.021) 는유의하지않았다. 학대가휴대폰중독에미치는영향에서도간접효과 (.081) 만유의하였고직접효과 (-.043) 및총효과 (.038) 는유의하지않은것으로나타났다. 남아의경우방임이휴대폰중독에미치는영향은간접효과 (.043) 만유의하였고직접효과 (-.017) 와총효과 (.026) 는유의하지않았다. 학대가휴대폰중독에미치는영향에서도간접효과 (.094), 총효과 (.116) 만유의하였고직접효과 (.022) 는유의하지않은것으로분석되었다. 반면여아의경우학대만휴대폰중독에미치는영향에서는간접효과 (.086) 는유의하였으나직접효과 (-.052) 와총효과 (.034) 는유의하지않았다. 구체적으로성별을살펴보면남아의경우방임이휴대폰중독에미치는총효과.026는직접효과 -.017와간접효과.043로구성된다. 방임이휴대폰중독에미치는효과가운데방임 우울 휴대폰중독경로를통해미치는간접효과는.024(.100 x.237) 이며, 방임 공격성 휴대폰중독경로를통해미치는간접효과는.019(.123 x.155) 이다. 남아의학대가휴대폰중독에미치는총효과.116는직접효과.022와간접효과.094로구성된다. 학대가휴대폰중독에미치는효과가운데학대 우울 휴대폰중독의경로를통해미치는간접효과는.050(.210 x.237) 이고, 학대 공격성 휴대폰중독의경로를통해미치는간접효과는.044(.285 x.214) 이다. 즉, 남아의경우방임과학대가휴대폰중독에미치는간접효과중학대 우울一휴대폰중독의경로가가장큰간접효과를가지는것으로나타났다. 여아의경우학대가휴대폰중독에미치는총효과.034는직접효과 -.052와간접효과.086로구성된다. 학대가휴대폰중독에미치는효과가운데학대 우울
20 한국아동복지학 47 호 (2014) 휴대폰중독의경로를통해미치는간접효과는.023(.191 x.118) 이고, 학대 공격성 휴대폰중독의경로를통해미치는간접효과는.063(.223 x.282) 이다. 즉, 여아의경우에도방임과학대가휴대폰중독에미치는간접효과중에서학대 공격성一휴대폰중독의경로가가장큰간접효과를가지는것으로조사되었다. < 표 6> 주요변인들의직접 간접및총효과 경로 전체남여직접간접총효과직접간접총효과직접간접총효과 방임 휴대폰중독 -.045.066 **.021 -.017.043 *.026 -.073 *.073 **.000 학대 휴대폰중독 -.043.081 *.038.022.094 **.116 ** -.052.086 *.034 방임 우울.178 * -.178 *.100 * -.100 *.219 *.219 * 학대 우울.154 ** -.154 **.210 ** -.210 **.191 *.191 * 방임 공격성.150 ** -.150 **.123 * -.123 *.168 *.168 * 학대 공격성.249 * -.249 *.285 * -.285 *.223 *.223 * 공격성 휴대폰중독.203 ** -.203 **.155 * -.155 *.282 *.282 * 우울 휴대폰중독.201 * -.201 *.237 * -.237 *.118 *.118 * * p<.05 ** p<.01 *** p<.001 Ⅴ. 결론및논의 본연구는학령기아동의휴대폰중독이사회적이슈로거론되고있는상황에서부모의아동학대와방임이우울과공격성이라는요인의매개경로를통해휴대폰중독에영향을미치는지를성별에따라살펴보고이에따른아동복지적개입방안을모색하고자하였다. 본연구의주요결과는다음과같다. 첫째, 본연구의구조모형에서전체아동에게는전년도 ( 초5) 의학대와방임은아동의휴대폰중독 ( 초6) 에직접적인영향을미치지는않지만우울과공격성이완전매개요인으로작용하여휴대폰중독에영향을주는것으로나타났다. 이러한결과는부모와의관계와휴대폰중독간에우울이완전매개효과를보이는것으로나타난선행연구결과 ( 최홍일 김진희, 2013) 와일치한다. 즉, 부모의아동학대와방임이아동의우울을증가시키고, 높아진우울은휴대폰중독을야기할가능성이높다고해석할수있다. 이는부모의아동학대와방임으로인해아동은우울과같은내재화된문제를경험하고, 내재화된우울문제를휴대폰사용을통
부모의아동학대와방임이학령기아동의휴대폰중독에미치는영향 21 해해결하려하지만이는휴대폰중독과같은부정적문제를야기할것이다. 둘째, 본연구에서는전년도 ( 초5) 에학대와방임이모두공존하고있으며휴대폰중독에영향을준다는점을가정하고있다. 이는아동학대의 43% 가방임과신체학대, 성학대, 정서학대등의중복학대라는점에서방임과학대가아동에게동시에존재함을전제 ( 여성가족부 통계청, 2014) 로분석을시도한것이다. 그결과남아의경우전년도 ( 초5) 의학대와방임이당해연도 ( 초6) 의휴대폰중독에당해연도 ( 초6) 의우울과공격성을매개로영향을주는것으로나타났다. 그러나여아의경우전년도 ( 초5) 의방임은당해연도 ( 초6) 휴대폰중독에유의미하지않은반면, 학대만휴대폰중독에우울과공격성을매개로영향을주는것으로나타났다. 특히남아의경우학대 우울 휴대폰중독의경로에서간접효과가크게나타난반면, 여아의경우학대 공격성 휴대폰중독의간접효과가크게나타나대조를이루었다. 이러한결과는흔히여아가남아에비해더우울하고 ( 공인숙 민하영, 2013), 남아가여아에비해더외현적공격성을가진다는선행연구 ( 김민정 도현심, 2011) 를볼때다소의외의결과이다. 또한남아및여아의학대, 우울, 공격성및휴대폰중독에대한 t 검증결과 (< 표 1> 참고 ), 남아가학대인식이높고, 우울및휴대폰중독은여아가더높은것으로나타났다는점에서더욱관심의대상이된다. 이러한통계적결과에대해서는다음에서자세히논의해보고자한다. 한편이러한결과에대해본연구의방임을측정한문항들이방임의본질적의미를측정하는데적절하였는가에대한문제를제기할수있다. 본연구는제 2 차자료인 2010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자료를이용하여방임을측정하였는데방임문항에는 부모님께서는다른일보다나를더중요하게생각하신다. 등이포함되어있고, 이를역코딩하여방임을측정하였다. 즉, 이러한문항들이아동학대의하나인방임에대해적절하게측정하지못하고있을가능성이있으며, 이로인해이전년도 ( 초5) 의방임이당해연도 ( 초6) 의휴대폰중독에영향을주지못하고있을수있다. 이에자료에제시하지는않았지만당해연도 ( 초6) 의방임과우울의상관관계를분석한결과, 남아는물론여아의경우에도두요인간에는통계적으로유의미한상관관계가있는것으로나타났으며, 학대와방임과휴대폰중독간에우울, 공격성이매개요인으로작용하는것으로나타났다. 즉, 종단연구로서의패널자료의장점을살리기위해학대및방임과휴대폰중독과의관계에서우울, 공격성의매개역할에대한인과관계를년차를달리설정하고분석하였지만, 여아의경우방임과휴대폰중독의관계에서우울및공격성의매개모형과관련한기본가정, 즉, 방임과휴대폰중독의상관관계가유의미하지않기에추가적인분
22 한국아동복지학 47 호 (2014) 석에서제외된반면, 횡단연구로서당해연도 ( 초6) 의방임및휴대폰중독은유의미한상관관계를보이고이를우울과공격성이완전매개하는것으로나타났다. 이러한결과를볼때학령기아동의학대와방임경험이시간이지남에따라그리고남녀에따라휴대폰중독과어떤연관성을갖는지보다자세히살펴보는연구가필요하다. 셋째, 다집단분석결과여아에비해남아의경우, 우울이휴대폰중독에더큰영향을주는것으로나타났다. 이러한결과는남아의경우여아와다르게방임과학대가동시에우울에영향을주기때문으로분석된다. 또한남아가지각하는방임이여아보다더큰것으로나타난연구결과 ( 김혜금, 2014) 를바탕으로남아가학대와방임으로인한우울감상승은휴대폰중독에빠질위험을높일수있다. 반면여아는남아에비해공격성이휴대폰중독에더큰영향을주는것으로나타났다. t 검증에서도남아의공격성이여아에비해통계적으로유의미하게높은것으로나타났지만, 여아의공격성은우울이라는또다른매개변인과의상호작용속에서남아보다더큰영향력을휴대폰중독에미치고있다. 이러한결과를볼때공격성중에서도여아의경우관계적공격성이남아에비해높은것 ( 이경희, 1998) 과연관하여생각할수있다. 즉, 휴대폰의이용행태에따른남녀간의차이를통해추측해볼때여아들은휴대폰을채팅등을위해사용하는빈도가남아에비해높고 ( 배상률 김형주 성은모, 2013), 휴대폰이관계적공격성이발현되는하나의공간으로이용될수있는점에서, 여아의경우보다세분화된공격성유형과휴대폰중독의관계를보다살펴볼필요가있다. 이러한결과를바탕으로아동복지와관련된함의를논의하면다음과같다. 첫째, 학령기전체아동의학대와방임경험은휴대폰중독과상관관계가있지만 (< 표 2> 참고 ) 학대와방임의직접적인영향은우울과공격성의두변인을통해완전매개되어그직접효과는사라지는반면우울과공격성의간접효과의영향이남아있게된다. 따라서사회복지사가학대와방임을경험하는아동을대상으로일할때 1차적으로는학대와방임의피해를최소화하고, 학대와방임이우울과공격성을통해휴대폰중독에미치는 2차적간접효과를최소화하는개입방안이고려될필요가있다. 특히학령기아동을사정하는과정에서학대와방임및우울과공격성의복합적인문제가있는지, 그리고이러한문제들이휴대폰중독과연관성을갖는지면밀히파악할필요가있다. 나아가사회복지사가학대와방임, 우울과공격성, 그리고휴대폰중독을모두갖고있는아동을대상으로일할때각각의문제를해결하는데도많은어려움이따르지만이들문제의복합성을충분히이해하여매우다차원적인개입을할필요성이있음을인식할필요가
부모의아동학대와방임이학령기아동의휴대폰중독에미치는영향 23 있다. 한편우울과공격성은학대와방임의부정적대처방식이될수있기에학대와방임에대한적절한개입이이루어지지못할때우울및공격성이그부정적영향을더욱가중시킬수있다. 이는부모의아동학대와방임과같은일차적인문제를겪는아동이라도학교및지역사회에서아동이경험하고있는우울및공격성등부정적심리적요인들을조기에발견하고적절한개입이이루어진다면휴대폰중독이라는이차적인문제를예방할수있을것이다. 따라서학교및지역사회에서학대와방임에노출된아동을대상으로정기적으로우울및공격성과같은부정적정서를모니터링할수있는체계를갖추어야할필요가있으며, 이를통해학대및방임의고위험군과우울및공격성의고위험군을파악하여이를해결하기위한개입방안을수립함과동시에휴대폰중독의문제를예방혹은완화할수있는방안을강구할필요가있다. 둘째, 부모의아동학대와방임이휴대폰중독에미치는경로가성별에따라다른결과를토대로휴대폰중독에대한차별화된개입방안을모색할필요가있다. 휴대폰이용행태및중독은성차가있다는선행연구의결과 ( 배상률 김형주 성은모, 2013) 와학대와남아및여아간에우울을매개로미치는영향이성별에따라통계적으로차이를보인다는점은학대와방임및우울을경험하는아동에게차별화된개입이필요함을암시한다. 앞서논의한것처럼, 학대와방임이남아와여아의휴대폰중독에미치는영향이다르며, 우울이휴대폰중독에미치는영향이성별에따라차이가있었다. 따라서사회복지사는학대를경험한학령기남녀아동이우울과공격의부정적인대처방식을통해휴대폰중독에이르는경로를이해하고이에따른복합적인개입방안을모색할필요가있다. 남녀아동의학대및방임각각에따른대처방식, 특히부정적인대처방식인우울및공격성의영향을면밀히검토한다음개입방안을마련할필요가있다. 예를들어, 남아의방임경험과인식및그영향, 그리고대처방식이여아와어떻게다른지파악하고이에따른차별적개입을모색할필요성이제기된다. 본연구가패널데이터를이용하여부모의전년도학대및방임이이후의휴대폰중독에주는우울과공격성의매개효과와남녀아동의성차및인과관계를파악한점에서의의가있지만다음과같은한계점을갖는다. 첫째, 휴대폰중독과같은아동의문제행동의원인은또래집단, 학교, 개인적기질등다양한요인으로부터야기될수있지만본연구에서는부모의부정적양육태도인학대와방임으로제한했을뿐아니라학대와방임, 그리고우울과공격성이공존한다는점을가정하였다는점에서보다다차원적인영향요인분석이요구된다. 특히학대및방임의유형이세분화되고있으며, 각유형이아동에게주는영향이다른
24 한국아동복지학 47 호 (2014) 점을감안할때세분화된학대및방임유형과휴대폰중독과의관계를살펴볼필요가있다. 나아가여아의공격성도신체적폭력, 언어적폭력, 사이버폭력, 관계적폭력등다양한형태로세분화가가능하기에공격유형에따른휴대폰중독과의관계도파악해볼필요가있다. 둘째, 본연구는대상을학령기아동인초등학생만으로한정했는데, 휴대폰중독은중, 고등학생및성인에이르기까지매우광범위하게문제가되고있다. 그리고각연령집단에따른휴대폰중독의원인요인은다양할수있으므로이에대한후속연구가진행되어야할것이며이때각세대별그리고모든세대를통합한연구가진행되어야할것이다. 셋째, 스마트폰의급격한보급증가로휴대폰의활용행태가달라지며, 휴대폰중독에서스마트폰중독이라는현상이나타나고있다. 그러나본연구는 2차자료의한계로인하여휴대폰중독이기존의휴대폰기능에국한한중독인지인터넷검색및게임기능이포함된스마트폰중독인지구분하여확인하지못하였다. 새로운스마트폰의기능이이전의단순한휴대폰기능을완전히바꾸어놓았다는점에서게임, 메신저등의활용으로확대되고, 이는휴대폰중독혹은심각한의존을야기할수밖에없는상황에놓인다. 따라서스마트폰의기능활용과관련된휴대폰중독을파악해볼필요도제기된다. 또한, 인터넷과게임등휴대폰의다기능으로인해게임, 인터넷, 휴대폰중독모두가가능하나, 이를구분하여분석하지못하였다. 스마트폰보급의확산으로휴대폰중독은전화기능의중독에한정되지않고다양한형태의중독으로세분화될수있다. 따라서앞으로의연구에서는휴대폰중독중에서도게임, 인터넷휴대폰의중독을세분화하여살펴볼필요가제기된다.
부모의아동학대와방임이학령기아동의휴대폰중독에미치는영향 25 참고문헌 12 살휴대전화보급률한국이세계최고수준 한겨레뉴스. 2009. 10. 13. 고충숙. 2012. 청소년의휴대폰중독적사용이정신건강에미치는영향. 청소년문화포럼 30: 8-36. 공인숙 민하영. 2013. 학령기아동의성별에따른자기지각과우울간관계. 한국아동학회 34(2): 121-138. 구현영. 2012. 성별에따른중학생의휴대전화중독의영향요인. 부모자녀건강학회 15(2): 60-70. 김광혁. 2009. 아동학대및방임이아동발달에미치는영향. 사회과학논총 24(2): 27-46. 김민경. 2012. 청소년의심리적요인, 부모애착이인터넷게임중독과휴대폰중독에미치는영향. 인간발달연구 19(4): 1-22. 김민정 도현심. 2001. 부모의양육태도, 부부갈등및아동의형제자매관계와아동의공격성간의관계. 아동학회지 224(2): 149-166. 김세원 이봉주. 2010. 아동기에서청소년기전환기동안아동의학대경험과비행행동에대한잠재계층간관계. 아동과권리 14(3): 327-353. 김수정 정익중. 2013. 아동학대가우울, 불안과공격성에미치는지속효과와최신효과에대한종단연구. 한국아동복지학 43: 1-28. 김애경. 2002. 지각된부모양육태도및사회적지원과초기청소년의우울및외현적문제와의관계. 敎育心理硏究 16(3): 31-50. 김은경 이정숙. 2009. 아동의학대경험이정서와인지적편향을매개로우울과공격성에미치는영향. 한국심리학회지발달 22(3): 1-18. 김재엽 이지현 정윤경. 2008. 청소년들의가정폭력노출경험이학교폭력가해행동에미치는영향. 한국아동복지학 26: 31-59. 김재엽 최권호. 2012. 중복학대피해청소년의우울, 공격성, 비행행동 - 신체학대와방임의중복을중심으로 -. 청소년복지연구 14(3): 193-213. 김재철 이정숙 성경주. 2012. 부모학대가청소년기자녀의부정적정서에미치는영향. 교육연구 20: 119-139. 김정민 이정희. 2008. 또래수용, 우정의질및학업수행이청소년의사회불안과우울증상에미치는영향. 상담학연구 9(4): 1747-1767. 김지혜. 2012. 부모요인, 친구요인, 개인요인이청소년의휴대전화사용용도를매개로휴대전화의존에미치는영향. 청소년복지연구 14(3): 97-120 김진희 김경신. 2003. 청소년의심리적변인과인터넷중독, 사이버관련비행의관계. 청소년복지연구 5(1): 85-97.
26 한국아동복지학 47 호 (2014) 김혜금. 2014. 성별에따라아동이지각한부모의방임학대와또래애착이학교생활적응에미치는영향. 대한가정학회지 52(1): 11-19. 김혜수 배성만 현명호. 2007. 휴대전화중독경향성청소년의심리, 사회환경적특성 - 공격성, 충동성, 우울, 부모 - 자녀관계, 주의집중문제를중심으로 -.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12(2): 383-393. 김희지. 2010. 청소년가정폭력경험과인터넷게임중독의관계 : 공격성의매개효과와자기조절능력의조절효과. 충북대학교대학원심리학과석사학위논문. 남영옥. 2005. 중학생의인터넷중독, 게임중독, 음란물중독의심리사회적특성비교. 청소년학연구 12(3): 363-388. 박지영 김귀애 홍창희. 2012. 청소년의휴대전화중독적사용과이용동기, 또래관계및정서적요인과의관계. 한국심리학회지 : 일상 31(1): 151-169 배상률 김형주 성은모. 2013. 2013 청소년매체이용실태조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서울. 배성만 박중규 고영삼. 2012. 부모 - 자녀의사소통과인터넷중독과의관계심리, 행동적문제와인터넷사용동기의이중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학교 9(3): 529-544. 배주미. 2000. 아동및청소년의우울증상과인지변인의지속성과상호예측. 연세대학교심리학과박사학위논문. 보건복지부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2011. 아동학대실태조사 서미정. 2011. 아동과청소년의외현적, 관계적공격성의성별차이및관련변인에대한메타분석. 兒童學會誌 32(3): 143-162. 손신영. 2013. 청소년의정서적특징이휴대폰중독에미치는영향.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14(1): 1-12. 송미령 김성영. 2012. 중학생의또래애착, 자아탄력성, 휴대폰의존과의관계. 청소년문화포럼 32: 66-89. 송은주. 2006. 고등학생의휴대폰사용실태와정신건강과의관계. 정신간호학회지 15(3): 325-333. 안동현. 2000. 아동방임의본질과사회적의미. 아동과권리 4(1): 7-26. 안순영외. 2009. 중학생이지각한역기능가정이인터넷중독에미치는영향 - 우울과자아존중감을매개로 한국동서정신과학회 12(2): 33 46. 양심영. 2002. 고등학교청소년의휴대폰중독에관한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서울. 양심영 박선영. 2005. 청소년의휴대폰중독성향의예측모형. 대한가정학회지 43(4): 1-16. 여성가족부 통계청. 2014. 2014 청소년통계 오윤선. 2008. 청소년의인터넷게임중독이우울, 공격성, 자아존중감에미치는영향.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3-15. 우수정. 2013. 부모의학대및방임과학령기아동의또래애착이휴대전화의존에미치는영향. 대한가정학회 51(6): 583 590. 이경희. 1998. 관계지향공격성및외현화공격성과심리사회적적응과의관계 : 초등학생
부모의아동학대와방임이학령기아동의휴대폰중독에미치는영향 27 과중학생을대상으로. 연세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이명진 조주연 최문경. 2007. 부모의아동학대가청소년비행에미치는영향 사회연구 14(2): 9-42. 이아영 유서구. 2011. 부부간폭력의노출정도와아동학대피해경험이자녀의공격성에미치는영향 : 한국청소년패널자료 (Kyps) 를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3(2): 225-245. 이어리 이강이. 2012. 부모요인, 친구요인, 심리적요인이초등학생의중독적인휴대전화사용에미치는영향 아동교육 21(2): 27-39. 이연미 이선정 신효식. 2009. 청소년의휴대폰중독성에영향을미치는개인, 가족, 학교환경변인.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1(3): 29-43. 이연수 이상민 남숙경. 2010. 초등학생의스트레스가인터넷중독에미치는영향 : 역기능적인지변인의매개효과. 교육방법연구 22(2): 1-17. 이윤희. 2013. 초등학생의가족건강성과휴대전화과다사용의관계에서우울의매개효과. 경인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이정기 황상재. 2009. 10 대의휴대폰이용동기와중독에관한연구 : 서울 경기지역초 중 고등학생을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3(5): 296-338. 이정기. 2011. 청소년의성향적휴대폰이용동기와중독, 언어폭력에관한탐색적연구 : 서울 경기지역중 고등학생을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1(2): 365-401. 이해경. 2013. 비행청소년들의내재화 / 외현화문제에미치는생활부적응문제들의영향력과성차. 청소년복지연구 15(3): 295-319.. 2008. 휴대폰의중독적사용을예측하는변인들의탐색.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및성격 21(1): 133-157. 이혜린외. 2009. 어머니의양육행동이청소년의인터넷중독에영향을미치는경로 : 청소년의자기통제력및우울 / 불안의매개적역할. 아동학회지 30(2): 97-112. 장석진 송소원 조민아.2012 긍정적부모양육태도가중학생의휴대전화의존에미치는영향 : 자존감과또래애착의매개효과검증. 청소년학연구 19(5): 161-187. 장혜진 채규만. 2006. 기술중독에빠진청소년들의심리적특성에대한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11(4): 839-852. 장혜진. 2002. 휴대폰중독적사용집단청소년의심리적특성. 성신여자대학교대학원심리학과석사학위논문전국교직원노동조합. 2014. 2014 어린이생활실태보고서. 정익중. 2008. 아동학대경험이또래집단으로부터의소외로이어지는발달경로. 兒童學會誌 29(4): 79-95. 정현웅 오세덕. 2008. 농촌지역실업계고등학생들의인터넷중독에따른충동성과공격성의차이. 한국심리학회지 12(2): 601-614. 최장원 김희진. 2011. 가정폭력이청소년의정신건강에미치는영향 : 자아개념의매개효과를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8(1): 73-103.
28 한국아동복지학 47 호 (2014) 최홍일 김진희. 2013. 아동 청소년기의방임적양육경험이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에미치는영향에있어우울의매개효과에관한연구. 한국아동복지학 44: 1-27.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 2013 년인터넷중독실태조사 한상훈. 2008. 중학생의휴대폰중독유형과정신건강과의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8(1): 403-420. 한주리 허경호. 2004. 이동전화중독척도개발및타당성검증. 한국언론학보 48(6): 138-165. 황윤원 이동훈. 2011. 아동의주의력결핍과잉행동성향이인터넷과다사용에미치는영향 : 우울을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및심리치료 23(4): 1117-1136. 한희진 윤미선. 2010. 청소년의휴대폰과다사용에대한스트레스와자아탄력성의영향력. 敎育問題硏究 34: 81-100. Afifi, T. O., Brownridge, D. A., Cox, B. J., & Sareen, J. 2006. Physical punishment, childhood abuse and psychiatric disorders. Child Abuse & Neglect, 30(10): 1093-1103. Arata, C. M., Langhinrichsen-Rohling, J., Bowers, D., & O Brien, N. 2007. Differential correlates of multi-type maltreatment among urban youth. Child Abuse & Neglect 31(4): 393-415. Baumrind, D. 1991. The influence of parenting style on adolescent competence and substance use.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11(1): 56-95. Bowlby, J. 2008. A secure base: Parent-child attachment and healthy human development Basic Books. Çağan, Ö., Ünsal, A., & Çelik, N. 2014. Evaluation of College Students the Level of Addiction to Cellular Phone and Investigation on the Relationsship between the Addiction and the Level of Depression. Procedia -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14: 831-839. Gámez-Guadix, M., Orue, I., Smith, P. K., & Calvete, E. 2013. Longitudinal and reciprocal relations of cyberbullying with depression, substance use, and problematic internet use among adolescents. The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 Official Publication of the Society for Adolescent Medicine 53(4): 446-452. Lamont, A. 2010. Effects of child abuse and neglec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ustralian Institute of Family Studies April 2010: 1-7. Lu, X., Watanabe, J., Liu, Q., Uji, M., Shono, M., & Kitamura, T. 2011. Internet and mobile phone text-messaging dependency: Factor structure and correlation with dysphoric mood among Japanese adul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7(5): 1702-1709.
부모의아동학대와방임이학령기아동의휴대폰중독에미치는영향 29 Matsuura, N., Hashimoto, T., & Toichi, M. 2009. Correlations among self-esteem, aggression,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nd depression in inmates of a female juvenile correctional facility in japan.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63(4): 478-485. Moretti, M. M., Obsuth, I., Odgers, C. L., & Reebye, P. (2006). Exposure to maternal vs. paternal partner violence, PTSD, and aggression in adolescent girls and boys. Aggressive Behavior, 32(4), 385-395. Prino, C. T., & Peyrot, M. 1994. The effect of child physical abuse and neglect on aggressive, withdrawn, and prosocial behavior. Child Abuse & Neglect 18(10): 871-884. Stavrinides. P.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Knowledge and Adolescent Delinquency: a Longitudinal Study. Parents in Education 5(1): 46-55. Thomée, S., Härenstam, A., & Hagberg, M. 2011. Mobile phone use and stress, sleep disturbances, and symptoms of depression among young adults-a prospective cohort study. BMC Public Health 11:66 1-11. Vranceanu, A., Hobfoll, S. E., &Johnson, R. J. 2007. Child multi-type maltreatment and associated depression and PTSD symptoms: The role of social support and stress. Child Abuse & Neglect 31(1): 71-84. Wu X, Chen X, Han J, Meng H, Luo J, et al. 2013. Prevalence and Factors of Addictive Internet Use among Adolescents in Wuhan, China: Interactions of Parental Relationship with Age and Hyperactivity-Impulsivity. PLoS ONE 8(4): 1-8. Yen, C.-F., Tang, T.-C., Yen, J.-Y., Lin, H.-C., Huang, C.-F., Liu, S.-C., & Ko, C.-H. 2009. Symptoms of problematic cellular phone use, functional impairment and its association with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in Southern Taiwan. Journal of Adolescence, 32(4): 863-873.
2) 3) 6) 4) 5 ) 30 한국아동복지학 47 호 (2014) Me d i a t i n g Ef f e c t s o f De p r e s s i o n a n d Ag g r e s s i o n o n t h e As s o c i a t i o n b e t we e n C h i l d Ab u s e a n d Ne g l e c t a n d C e l l P h o n e Ad d i c t i o n -Gender Comparison- Jung, Pyung Hwa * Nho, Choong Rai ** Lee, Kyeong Sun *** Sung, Min Hyeon **** Song, Jae Duck *****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on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 abuse and neglect and cell phone addiction in school aged children, and how these associations differ by gender. Using secondary data, this study employ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analyze the research hypothese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2 nd and 3 rd waves of 2010 KCYPS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in order to estimate a causal model, hypothesizing that child abuse and neglect in 5 th grade would affect depression, aggression, and cell phone addiction in 6 th grad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pression and aggression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 abuse and neglect and cell phone addiction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Second,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on child abuse and neglect and cell phone addiction. That is, the size of the indirect effect through the path of child abuse * MSW,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Ewha Womans University, First author (peacej27@gmail.com) ** Ph.D. MSW. Professor,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Ewha Womans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drno@ewha.ac.kr. *** MSW student, Ewha Womans University(kpeaces.lee@gmail.com) **** MSW, Ewha Womans University(platan23@hanmail.net) ***** MSW student, Ewha Womans University(cium000@naver.com)
부모의아동학대와방임이학령기아동의휴대폰중독에미치는영향 31 depression cell phone addiction was greater for male participants, whereas the size of the indirect effect through the path of child abuse aggression cell phone addiction was greater for females. Based on these results, authors discussed implications for child welfare. Key Word : Chi ld abuse, chi l d negl ect, depressi on, aggressi on, cel l phone addi ct i on [ 논문투고일 : 2014. 06. 30 심사일 : 2014. 09. 02 영문심사일 : 2014. 09. 23 게재완료일 : 2014. 09.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