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아동들의우리말범주규준조사 전덕임 * 강연욱 ** (* 연세필클리닉, ** 한림대학교심리학과 ) 전덕임 강연욱. 초등학교아동들의우리말범주규준조사. 언어청각장애연구, 2007, 제 12 권, 제 1 호, 90-104. 배경및목적 : 초등학교아동들의우리말범주규준 ( 본보기산출빈도와전형성 ) 을조사하여아동의언어및기억연구와아동용언어및기억검사의제작에이용될수있는기초자료로활용하도록한다. 방법 : 161 명 ( 남자 87 명, 여자 74 명 ) 의초등학교학생들을대상으로 8 개범주 ( 동물, 과일, 주방용품, 학용품, 옷, 꽃, 채소, 장난감 ) 에대한범주별본보기산출빈도와범주본보기의전형성규준을작성하였다. 결과및결론 : 본연구에서밝혀진초등학교아동들의범주규준과대학생들의범주규준 ( 이관용, 1991) 을비교한결과유의한차이가발견되었다. 이결과는아동에서노인에이르기까지전체연령층에대한우리말범주규준의연령별연구가필요함을시사한다. 핵심어 : 범주규준, 전형성, 본보기산출빈도 Ⅰ. 서론 사람들이지식을조직하고과제를단순화시킬수있는방법중하나는범주화 (categorization) 이다. 범주 (category) 는우리가어떤식으로든관련되어있다고느끼기때문에집단으로함께묶어놓은물건들이나사건들 (events) 로구성된다. 우리는범주화할수있는능력을가지고있기때문에현실세계가계속변화하는데도불구하고안정된지각과의사소통을할수있다. 따라서범주 ( 개념 ) 가어떤과정을거쳐서형성되고어떤구조를지니고있는지는자연언어의이해과정이나추론과정을밝히는데있어매우중요하다 ( 이관용, 1991). Rosch & Mervis (1975) 는범주의위계적수준을구분하였다. 예를들어우리는같은대상을놓고 사과 라고도부를수있고, 보다일반적인상위의범주인 과일 이라고부르거나 홍옥 이라는더구체적인하위범주로부를수도있다. Rosch & Mervis (1975) 는이세가지수준중에서기본사물수준 (basic object level) 이라불리는중간수준이가장흔히사용되며, 기본사물수준의범주를이루는구성원들은그상호간에는많은속성을공유하지만다른범주의구성원과는속성을많이공유하지않으므로가장쉽게범주상호간의구별이될수있게하며, 어휘습득과정에서도상위수준이나하위수준보다더일찍습득된다고주장하였다. 어떤항목이그범주를대표하는정도를전형성 (typicality) 이라칭한다. Rosch & Mervis (1975) 에따르면각항목은전형성의정도에따라범주내에서의위치가결정되는데, 자연범주에는가장전형적인항목 ( 원형 ) 이있으며다른항목들은범주원형과의유사성에따라서분포되어있다고한다. 즉, 그 90
전덕임 강연욱 / 초등학교아동들의우리말범주규준조사 범위가잘정의된인공범주와는달리범위가잘정의되어있지않은자연범주의경우, 어떤항목이그범주에포함될지의여부는논리적으로결정되기보다는그항목이범주의원형에얼마나가까운지, 즉전형성정도에따라서결정된다는것이다. 이러한전형성의정도는여러분야의심리학연구에서중요한변인으로연구되어왔다. 우선, 범주화과제에서전형적인본보기는비전형적인본보기에비해더빨리그범주 ( 개념 ) 의본보기로판단됨이밝혀졌다. 예를들어 키위가과일인가? 라는문장보다 사과가과일인가? 라는문장에서더빠른판단이이루어진다는것이다. 또한어떤개념의본보기를모두회상해보도록하였을때사람들은비전형적인본보기들보다는전형적인본보기들을더많이인출해내었다 (Rosch, 1978). 연역추리과제에서도문장이비전형적인본보기를포함할때보다전형적인본보기를포함할때문장의진위가더빠르게판단되었다 (Cherniak, 1984). 전형성이기억에미치는영향에대해서도일련의연구들이수행되었는데, Posner (1969) 는점으로구성된패턴 ( 인공범주 ) 을과제로사용한재인실험에서전형적인점패턴일수록실제로는제시되지않았음에도불구하고, 재인검사시에기억시행에서보았다고하는재인오류를더많이보였음을보고하면서장기기억의구조가전형성을중심으로구조화되어있다고주장하였다. 또한언어적기억력검사에서는기억하여야할단어목록이나문장속에포함된단어들의범주전형성이기억수행에상당한영향을미치는데 (Hasselhorn, 1992), 특히아동들은범주를학습할때비전형적인예보다전형적인예를먼저학습하고, 전형적인예에의해서범주의개념을파악한다고한다. 즉, 아동들에있어범주는추상적인기본속성에의해서가아니라그범주의전형적인예에의해서정의된다는것이다. 그러므로아동들의경우에범주전형성은성인들의경우보다기억수행에더큰영향을미칠것으로기대된다. 또한학습장애아동의어휘력향상을위한효과적인교육방법 ( 서선진, 2006) 과관련하여수많은한국어어휘중에어떤단어를먼저가르쳐야하는가를결정하는가장중요한결정기준은그단어의유용성일것이다. 즉, 그단어가실제로일상생활에서얼마나빈번히사용되는가또는또래집단에서해당단어가얼마나친숙한가가중요한결정기준이될수있다. 그러나이와더불어범주의위계적수준이나전형성에대한고려또한학습의효율성에지대한영향을미칠수있을것으로보인다. 즉, 개념간의관련성을파악하는데도움을주는전형성이높은단어를위주로학습을시작한다면서로관련있는개념이나단어를좀더쉽게이해하도록촉진시킬수있을것이기때문이다. 이처럼개념의범주수준과전형성이여러심리학적, 언어학적과제수행에중요한영향을미친다는사실이밝혀졌음에도불구하고국내에는대학생들을대상으로한 2편의연구 ( 신현정, 1978; 이관용, 1991) 를제외하고는우리말의범주규준에대한자료가전무한실정이다. 따라서본연구는아동용언어및기억검사의제작과언어치료나어휘학습의효율성을증진시키기위한기초자료로서사용할수있도록첫째, 초등학교아동들을대상으로우리말범주본보기의산출빈도를조사하여그규준을작성하였으며둘째, 초등학교아동들을대상으로한우리말범주의전형성규준을작성하는데그목적을두었다. 91
언어청각장애연구 2007;12;90-104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서울서대문구 A초등학교에재학중인학생들중에서 1학년에서 5학년까지한학년에한학급씩무작위로선정한후그학급에속한아동전부를조사하였다. 1학년 35명 ( 남자 18명, 여자 17명 ), 2학년 32명 ( 남자 16명, 여자 16명 ), 3학년 30명 ( 남자 18명, 여자 12명 ) 4학년 27명 ( 남자 16명, 여자 11명 ), 5학년 37명 ( 남자 19명, 여자 18명 ) 모두 161명 ( 남자 87명, 여자 74명 ) 이연구에참여하였으나, 어휘능력의저하가본검사에미치는영향을배제하기위하여이들중 KEDI-WISC ( 한국교육개발원, 1990) 의어휘문제환산점수가 7점이하인 8명의자료를제외한 153명 ( 남자 82명, 여자 71명 ) 의자료만이분석되었다. 2. 연구절차 대학생들을대상으로조사된 54개의개념범주중에서 ( 이관용, 1991) 예비조사를통해서아동들에게친숙한것으로밝혀진 7개범주를선정하였고, 일부범주를아동들에게적합하도록수정하여 ( 예 : 네발짐승 + 조류 동물, 필기도구 학용품 ) 8개의범주 ( 동물, 과일, 주방용품, 학용품, 옷, 꽃, 채소, 장난감 ) 를선정하였다. 초등학교저학년아동들의경우집단검사가불가능하여모든아동들에게개인검사를실시하였다. 아동으로하여금각범주에대하여그범주에속한다고생각하는항목 ( 범주본보기 ) 을 1분동안이야기하도록하고검사자는아동이말하는내용을순서대로기록하였다. 예컨대, 자, 지금부터 시작 하면동물의이름을아는대로모두가능한빨리말해보세요. 준비됐어요? 시작! 이라는지시와함께제한시간 1분동안피험자가하는모든반응을순서대로기록용지에기록하였다. 또한본검사후어휘능력의저하가본검사에미치는영향을배제하기위하여 KEDI-WISC ( 한국교육개발원, 1990) 의어휘문제소검사가실시되었다. 3. 자료분석 먼저, 범주별본보기산출빈도를구하기위하여반응한개를 1점으로채점하고범주별로총점을계산하였다. 하지만반응들중에서같은반응을반복할경우와해당범주에속하지않는반응은제외하고상위개념의단어와구체적인하위개념의단어를함께반응한경우 ( 예 : 새, 비둘기, 참새, 까마귀 ) 에는구체적인하위개념의단어들 ( 비둘기, 참새, 까마귀 ) 만을점수에포함시키고상위개념의단어 ( 새 ) 는채점에서제외하였다. 둘째, 전형성의조사는각범주의반응 ( 본보기 ) 들에대하여순위에따른가중치를주기위해서그범주에서회상된최대반응수를첫반응의점수로부여하고, 두번째반응부터는그수에서 1점씩빼내면서차례로점수를주었다. 예를들어동물범주에서가장많은반응을한피험자가 16개의반 92
전덕임 강연욱 / 초등학교아동들의우리말범주규준조사 응을하였을경우, 사자, 호랑이, 토끼, 여우, 원숭이, 곰 이라고반응한피험자의자료에대하여사자는 16점, 호랑이는 15점, 토끼는 14점, 여우는 13점, 원숭이는 12점, 곰은 11점으로채점하였다. 이런식으로각피험자의모든반응에대하여순위를고려한점수를부여한후각범주에서나온모든반응 ( 본보기 ) 종류에대하여순위가중치가주어진값의합계를구하였다. 그러나이렇게구한점수자체로는서로다른분포에서나온점수들과비교할수없으므로측정단위 (scale) 를통일하기위하여변수를표준화시켜표준정규분포에대응시킨값인 Z값을이용하기위하여범주별본보기들각각에대한 Z값을따로계산하고이를전형성의지표로삼았다. 모든통계적분석은 SPSS / PC 11.5를사용하여수행되었다. Ⅲ. 결과 1. 범주별본보기산출빈도 각범주별반응종류의총수, 피험자당평균반응수와표준편차는 < 표 -1> 과같다. < 표 - 1> 범주별전체반응종류수와피험자당평균반응수 ( 표준편차 ) * p <.05, *** p <.001 범주전체반응종류수피험자당평균반응수 ( 표준편차 ) 동물 148 13.00 (3.59) 과일 41 9.64 (2.97) 주방용품 * 98 남 7.79 (3.58) 여 9.10 (4.35) 학용품 83 8.36 (3.25) 옷 * 98 꽃 *** 79 남 7.28 (3.24) 여 8.51 (3.70) 남 5.88 (2.41) 여 7.65 (3.54) 채소 53 5.94 (3.02) 장난감 102 4.38 (2.35) < 표 - 1> 을살펴보면, 동물, 주방용품, 학용품, 옷, 장난감등의범주들의경우에는아동들이매우다양한본보기들을산출하였으나, 과일범주에대해서는총반응수가상대적으로매우적은것을알수있다. 특히, 동물범주의경우에는총반응수가 148개로매우많고, 평균반응수도 13개나되어서 93
언어청각장애연구 2007;12;90-104 아동들이동물범주에대해서많은지식을가지고있음을알수있으며, 과일의경우에는총반응수는 41개로적으나, 평균반응수는 10개내외로큰것으로미루어이범주는초등학교아동들에게매우잘정의되어있고, 아동들이이범주의본보기들에대해서비교적정확히알고있음을알수있다. 반면에장난감범주의경우에총반응수는 102개로매우많지만, 한아동당평균반응수는 9개범주중에서최하위인 4개로서이는아동들에게장난감범주가잘정의되어있지못하고범주의경계가불분명함을의미한다. < 표 -1> 에제시되어있듯이, 꽃, 옷및주방용품범주에서유의미한남녀차이가발견되었으며 ( 꽃 t (151) =-3.66, p <.001; 옷 t (151) = -2.19, p <.05; 주방용품 t (151) = -2.04, p <.05), 모든범주에서여자아동들이남자아동들보다많은반응을보이는것으로나타났다. 이결과는 3세에서 6;11세를대상으로한이경숙외 (2004) 의연구에서 동물 항목에서는남자아동이, 가게물건 항목에서는여자아동이더많은반응을보인것과는차이가있다. 모든범주들은 p <.001수준에서학년에따른차이를유의미하게나타내었다. 사후검증을실시한결과범주별로다소차이가있었으나, 대부분의범주에서 1학년과 2학년사이에서가장큰반응증가를보였고, 몇몇범주에서는 2학년과 3학년사이에서도유의한증가가관찰되었으나 3학년과상급학년들간에서는반응수의유의미한증가가관찰되지않았다. 따라서만 7세부터 8~9세사이에개념이나어휘력발달을포함한유의미한인지적성장이일어나고있는것으로보이며, 초등학교입학이라는이무렵의사회적경험이인지적성장에상당한영향을미치고있음이시사된다. < 표 -1> 에제시된초등학교아동들의과일, 주방용품, 옷, 꽃, 채소, 장난감범주 ( 동물과학용품범주는이관용 (1991) 의연구에서동일한범주가조사되지않았으므로제외됨 ) 각각에대한평균반응수는대학생들을대상으로한범주당 30초씩조사한이관용 (1991) 의연구결과인 8.32, 6.46, 6.43, 6.83, 5.83, 4.17과유사한수준을나타낸다. 각범주의본보기산출빈도는 < 부록 -1> 에제시되어있다. 2. 전형성 어떤개념의본보기들을모두회상하도록했을때비전형적인본보기들보다는전형적인본보기들을먼저인출해내는경향이있으므로회상순서가빠르면전형성이더높다고할수있다 (Rosch, 1978). 따라서본연구에서는각범주에대한반응 ( 본보기 ) 의산출빈도뿐아니라회상된순서가중요한의미를가짐을고려하여순위에따른가중치를주기위해서그범주에서회상된최대반응수를첫번째반응의점수로부여하고, 두번째반응부터는그수에서 1씩빼내면서차례로점수를주었다. 그러나이렇게구한점수를그자체로는서로다른분포에서나온점수들과비교할수없으므로각범주내의본보기들각각에대한 Z값을따로계산하고이값을전형성의지표로삼았다. 범주별본보기의전형성은 < 부록 -2> 에제시되어있다. 학년에따른범주별전형성의차이를검토하기위해서상위의본보기들을중심으로살펴보았다. 동물범주에대해서 1학년은호랑이, 사자, 코끼리, 원숭이, 토끼, 2학년은사자, 호랑이, 토끼, 기린, 코끼 94
전덕임 강연욱 / 초등학교아동들의우리말범주규준조사 리, 3학년은호랑이, 사자, 원숭이, 기린, 토끼, 4학년은사자, 호랑이, 토끼, 원숭이, 기린, 5학년은사자, 호랑이, 토끼, 고양이, 원숭이의순으로반응하는것으로나타났다. 학년이올라감에따라서범주별반응수가증가함에도불구하고전형성이높은범주본보기들은학년에관계없이상당히일치한다는흥미로운사실이발견되었고, 이는범주의위계적조직상기초수준의범주들이먼저학습되고점차하위범주에속하는본보기들이학습되어가는경향이있다는 Rosch (1978) 의견해를부분적으로지지하는결과로사료된다. 과일범주에대해서 1학년은사과, 참외, 수박, 귤, 배, 2학년은사과, 귤, 수박, 바나나, 포도, 3학년은사과, 귤, 배, 수박, 딸기, 4학년은사과, 딸기, 수박, 배, 귤, 5학년은사과, 귤, 수박, 배, 딸기의순으로반응하였고, 전체아동에있어서는사과, 귤, 수박, 배, 딸기의순서였다. 사과가가장전형성이높음은대학생들의결과 ( 이관용, 1991) 와일치하나, 대학생들은사과, 배, 귤, 딸기, 포도의순서였고, < 부록 > 에제시된바와같이초등학생들의경우에는외국산수입과일들이반응내용에더많이포함되어있었다. 이는과거와비교하여외국산수입과일을저렴한가격에손쉽게접할수있게된최근의환경적변화를반영하는결과로보이며, 사회적 / 환경적조건이개념의본보기를형성하는데영향을미칠수있음을시사한다. 주방용품, 학용품, 옷, 꽃, 채소및장난감범주들도앞서기술한동물이나과일범주와같이범주별전체반응수는학년이증가함에따라서점차증가하는양상을나타내었으나, 전형성이높은반응으로판단되는초기반응들은전학년에걸쳐서매우유사한양상을나타내었다. 범주별로전형성이높은항목을전체아동에대해서살펴보면주방용품범주에서는 냄비, 칼, 접시, 가스렌지, 프라이팬, 도마 학용품범주에서는 연필, 지우개, 필통, 공책, 색연필, 볼펜 옷범주에서는 바지, 잠바, 양말, 치마, 티셔츠, 장갑 꽃범주에서는 장미, 무궁화, 개나리, 민들레, 해바라기, 진달래 채소범주에서는 배추, 당근, 오이, 양파, 파, 무 마지막으로장난감범주에서는 로봇, 인형, 자동차, 레고, 블록, 총 등인것으로나타났다. 초등학생들의이러한결과를대학생집단의결과 ( 이관용, 1991) 와비교하여본결과, 몇몇범주를제외하고는각범주에대해서전형성이매우높은항목들은상당히유사하나 5위이하의전형성을나타내는항목들은두집단간에상당한차이가있음이발견되었다. 꽃 과 의복 같은상위항목들에서도차이가발견되었는데 꽃 범주에서장미는초등학생과대학생집단모두에서가장전형적인항목인것으로밝혀졌으나, 장미다음이무궁화, 개나리, 민들레, 해바라기, 진달래순인초등학생들과는달리대학생들에서는국화, 백합, 진달래, 튤립, 코스모스의순으로나타났다. 또한 의복 범주에서대학생들은양복, 바지, 치마, 청바지, 와이셔츠의순이었고, 초등학생들은바지, 잠바, 양말, 치마, 티셔츠의순으로차이를보였다. Ⅳ. 논의및결론 본연구는아동의언어및기억연구와아동용언어및기억검사의제작에이용될수있는초등학교아동들의우리말범주규준 ( 본보기산출빈도와전형성 ) 을조사하기위하여수행되었다. 먼저범 95
언어청각장애연구 2007;12;90-104 주규준조사에서얻은결과를범주별반응빈도순서대로정리하여 < 부록 -1> 에수록하였으며각범주에대해반응한피험자수, 반응종류의총수및피험자당평균반응수와표준편차는 < 표 -1> 과같다. 범주별본보기의산출빈도를대학생들의범주규준 ( 이관용, 1991) 과비교해보면 < 표 -1> 에나타나듯이초등학교아동들의과일, 주방용품, 옷, 꽃, 채소, 장난감범주 ( 동물과학용품범주는이관용의연구에서동일한범주가조사되지않았으므로제외됨 ) 각각에대한평균반응수는대학생들을대상으로한이관용 (1991) 의연구결과와유사한수준이었다. 본연구는아동의반응내용을검사자가그대로기록하는개인검사로실시되었으며제한시간이 1분이었던반면이관용 (1991) 의연구에서는검사자의지시에따라서개념범주가프린트되어있는검사지에대학생피험자가직접자신의반응을기록하는집단검사로수행되었고매개념범주당 30초의제한시간이주어졌다는절차상의차이가있으므로두연구결과를직접적으로비교하는것은무리가있겠으나, 수행수준을볼때초등학교아동들은대학생수준의반정도에해당하는범주본보기산출능력을지니고있을가능성이시사된다. 둘째, 전형성에대한조사를위하여이관용 (1991) 의연구에서는피험자가직접범주본보기 ( 항목 ) 들을읽고각본보기가그범주에얼마나좋은본보기인지를 1~7점사이의척도 ( 예 : 아주전형적인좋은본보기일때 1점, 보통인것은 4점, 아주비전형적인본보기일때 7점 ) 로전형성을평가하도록하는 Rosch & Mervis (1975) 의방법이사용된반면, 본연구대상인초등학생들의경우에는 Rosch & Mervis (1975) 의방법을실시하기가불가능하여회상순서를근거로전형성을산출해낸것이므로방법상의차이가있었다. 그러나이러한방법상의차이에도불구하고초등학생과대학생의범주전형성의차이의내용을살펴보면, 초등학교학생들과대학생들이각각일상생활에서그범주의본보기들을접하는빈도, 즉친숙성이범주전형성에영향을미침을추측할수있다. 또한대학생들의반응내용에비하여초등학생들의경우에는외국산수입과일들이반응내용에더많이포함되어있다는것을통해볼때과거와비교하여외국산수입과일을손쉽게접할수있게된최근의환경적변화즉, 사회적 / 환경적조건이개념의본보기를형성하는데영향을미침을추정해볼수있다. 이런점들을감안할때, 위에서기술된초등학생집단과대학생집단에서발견된차이의많은부분은나이 ( 세대, cohort) 의차이에서비롯된결과인것으로사료되지만, 같은나이집단에속한사람들이서로다른환경에서서로다른경험을한다면특정개념에대해서얼마나다른전형성을갖게될것인가에대해서는아직알려진바가없음을간과하지말아야할것으로보인다. 즉, 본연구에참여한아동들보다사회경제적수준이높은부모밑에서보다풍부한문화및교육경험을하고있을것이라고추측되는서울의다른지역아동들이나본연구에참여한아동들보다오히려더열악한환경에놓여있을수있는다른도시나농어촌지방의아동들로부터본연구결과와똑같은결과를얻을수있을지는의문이다. 그러므로다른사회적, 문화적환경에놓인아동들에대한후속연구가필요할것으로보인다. 또한아동들이대학생들과는다른범주본보기산출능력과범주별전형성을지니고있다는사실은특정연령층의피험자를위한언어실험자극이나언어검사를제작하기위해서는해당나이집단에대한우리말범주의규준연구가반드시선행되어야한다는점을시사한다. 96
전덕임 강연욱 / 초등학교아동들의우리말범주규준조사 참고문헌 서선진 (2006). 학습장애아동을위한효과적인어휘교수와교사의역할. 학습장애연구, 3(1), 53-76. 신현정 (1978). 기본사물범주와하위수준범주에서전형성차이가재인에미치는영향. 서울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이경숙 박창일 김향희 박은숙 (2004). 3, 4, 5 및 6세아동의생성이름대기능력의발달. 언어청각장애연구, 9(3), 1-21. 이관용 (1991). 우리말범주규준조사-본보기산출빈도, 전형성그리고세부특징조사. 한국심리학회지 : 실험및인지, 3, 131-160. 한국교육개발원 (1990). KEDI-WISC. 서울 : 도서출판특수교육. Cherniak, C. (1984). Prototypicality and deductive reasoning.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23, 625-642. Hasselhorn, M. (1992). Task dependency and the role of category typicality and metamemory in the development of an organizational strategy. Child Development, 63, 202-214. Posner, M. I. (1969). Abstraction and the process of recognition. In C. H. Bower & J. T. Spence (Eds.), The psychology of learning and motivation (vol. 3). New York, NY: Academic Press. Rosch, E.,&Mervis,C. B. (1975). Family resemblances: Studies in the natural structure of categories. Cognitive Psychology, 7, 573-605. Rosch, E. (1978). Principles of categorization. In E. Rosch & B. B. Lloyd (Eds.), Cognition and categorization. Hillsdale, NJ: Erlbaum. 97
언어청각장애연구 2007;12;90-104 < 부록 - 1> 범주의본보기산출빈도 (5 회이상인응답만제시함 ) [ 동물 ] 사자 (144); 호랑이 (142); 토끼 (101); 원숭이 (98); 코끼리 (88); 기린 (86); 고양이 (69); 강아지 (49); 여우 (48); 곰 (47); 치타, 표범, 돼지, 소 (44); 개, 닭 (42); 말 (41); 사슴 (40); 늑대 (39); 쥐 (37); 악어 (34); 다람쥐 (32); 뱀 (31); 거북이, 독수리, 양 (30); 코뿔소, 고릴라 (29); 캥거루 (27); 하마 (24); 얼룩말 (21); 타조, 낙타 (18); 새, 코알라, 오리 (17); 하이에나 (16); 꿩, 참새 (14); 물개, 염소 (13); 침팬지, 개구리 (11); 펭귄, 고래, 너구리, 비둘기, 용 (10); 앵무새, 노루 (9); 햄스터, 스컹크, 우랑우탄, 상어, 까마귀, 병아리 (7.00); 고슴도치, 재규어, 멧돼지, 부엉이 (6); 두더지, 공작새, 돌고래 (5). [ 과일 ] 사과 (157); 귤 (126); 수박 (116); 배 (114); 딸기 (113); 포도 (97); 바나나 (92); 메론 (79); 참외 (69); 오렌지 (63); 감 (62); 키위 (58); 파인애플, 토마토 (57); 복숭아 (50); 레몬 (37); 자두 (35); 앵두 (31); 코코넛 (16); 낑깡 (15); 체리 (13); 살구 (11); 자몽 (8); 산딸기 (5). [ 주방용품 ] 냄비 (91); 칼 (84); 가스렌지 (69); 프라이팬 (65); 젓가락 (62); 냉장고 (61); 그릇 (52); 씽크대 (50); 도마 (48); 숟가락, 접시 (46); 국자, 전자렌지 (44); 컵 (37); 가위, 수저 (36); 식탁 (31); 밥통 (23); 주걱 (20); 포크 (20); 수세미 (19); 쟁반 (17); 밥솥 (16); 주전자 (15); 오븐 (13); 뒤집개 (12); 밥그릇 (11); 식기세척기, 행주 (10); 고무장갑 (9); 집게 (8); 국그릇 (7); 세제 (6); 퐁퐁, 앞치마, 찬장, 커피잔, 체, 물통 (5). [ 학용품 ] 연필 (158); 지우개 (140); 필통 (128); 공책 (118); 색연필 (106); 볼펜 (59); 샤프 (56); 싸인펜 (41); 자 (40); 크레파스 (40); 스케치북 (36); 가위, 풀 (35); 물감, 색종이 (23); 붓 (19); 책받침 (17); 칼 (16); 수첩 (15); 연필깎기 (14); 테이프 (13); 화이트, 팔레트 (11); 책, 샤프심 (10); 펜 (9); 도화지 (8); 종이 (7); 물통 (6); 연필꽂이, 책가방 (5). [ 옷 ] 바지 (127); 잠바 (120); 양말 (77); 장갑 (68); 치마 (67); 티셔츠 (63); 목도리 (61); 모자 (51); 조끼 (48); 코트 (47); 내복 (34); 스웨터 (32); 팬티 (25); 속옷 (22); 양복 (21); 드레스 (19); 잠옷 (18); 츄리닝 (17); 와이셔츠 (16); 남방 (15); 윗도리 (13); 셔츠, 청바지 (12); 원피스, 반팔 (11); 털옷, 체육복, 벨트 (10); 메리야스 (9); 바바리, 재킷, 런닝, 넥타이, 블라우스 (8); 폴라티, 망토 (7); 스타킹, 내의 (6); 한복, 무스탕, 나시, 스키복, 정장 (5). 98
전덕임 강연욱 / 초등학교아동들의우리말범주규준조사 [ 꽃 ] 장미 (126); 무궁화 (75); 개나리 (63); 민들레 (60); 해바라기 (55); 진달래 (54); 튤립 (48); 국화 (47); 백합 (41); 코스모스 (34); 나팔꽃 (31); 채송화 (25); 호박꽃 (23); 할미꽃 (22); 아카시아, 카네이션, 벚꽃 (20); 봉숭아 (15); 제비꽃 (14); 데이지 (12); 봉선화, 안개꽃 (10); 목련 (9); 난초 (8); 수선화, 은방울꽃, 연꽃 (6); 분꽃, 사루비아, 모란, 팬지, 창포 (5). [ 채소 ] 배추 (108); 당근 (101); 양파 (76); 오이 (75); 파 (64); 무 (58); 시금치 (42); 상추 (41); 마늘 (40); 호박, 고추 (35); 토마토 (32); 콩나물 (26); 양배추 (25); 깻잎 (20); 피망 (19); 가지 (17); 버섯, 생강 (8); 미나리, 도라지 (7); 치커리 (6); 나물, 쑥, 부추 (5). [ 장난감 ] 로보트 (127); 인형 (116); 자동차 (90); 레고 (42); 블럭 (35); 공, 총, 퍼즐 (17); 롤러스케이트, 오락기 (15); 게임기 (11); 소꼽놀이 (9); 자전거, 칼 (8); 미니카, 비행기, 요요, 조립식 (7); 곰인형 (6); 기차, 풍선, 롤러블레이드 (5). 99
언어청각장애연구 2007;12;90-104 < 부록 - 2> 범주별본보기의전형성 [ 동물 ] 사자 (5.96); 호랑이 (5.79); 토끼 (3.69); 원숭이 (3.26); 코끼리 (2.94); 기린 (2.71); 고양이 (2.05); 강아지 (1.41); 여우 (1.18); 치타 (1.14); 표범 (1.11); 개, 곰 (1.07); 사슴 (.99); 소 (.94); 말 (.87); 늑대 (.80); 쥐 (.78); 돼지 (.77); 닭 (.67); 다람쥐 (.63); 캥거루 (.62); 악어 (.55); 고릴라 (.49); 거북이 (.48); 뱀 (.46); 독수리 (.45); 코뿔소 (.40); 양 (.35); 하마 (.30); 얼룩말 (.25); 타조, 낙타 (.14); 새 (.08); 코알라 (.07); 하이에나 (.00); 오리 (-.03); 물개 (-.05); 꿩 (-.09); 참새 (-.12); 침팬지 (-.13); 염소 (-.16); 펭귄 (-.17); 개구리, 고래 (-.18); 너구리 (-.19); 앵무새 (-.20); 노루 (-.21); 비둘기, 용 (-.22); 햄스터 (-.25); 스컹크, 우랑우탄 (-.27); 상어 (-.30); 고슴도치, 까마귀, 재규어 (-.31); 퓨마 (-.32); 멧돼지 (-.33); 두더지, 부엉이 (-.34); 돌고래, 병아리 ; 자라 (-.35); 공룡, 도마뱀 (-.36); 공작새 (-.37); 물소, 거위, 원앙 (-.38); 잉꼬, 꽃게, 잉어 (-.40); 물고기, 가재, 황소, 두루미, 바다사자, 박쥐, 수달, 학 (-.41); 갈매기, 백조, 매, 해달, 이구아나, 이리 (-.42); 까치, 살쾡이, 공작, 생쥐, 문어, 판다 (-.43); 송아지, 오소리, 당나귀, 바다표범, 족제비 (-.44); 카멜레온, 나무늘보 (-.45); 개미핥기, 지렁이, 거미, 붕어, 송어, 라이거, 성게, 젖소, 나비, 도룡뇽 (-.46); 메추리, 자칼, 코요테, 쥐, 살모사, 초롱새, 칠면조, 킹콩, 개미, 바다코끼리, 산양, 알바트로스, 올빼미, 제비, 주머니쥐, 구름표범, 금붕어, 순록, 오징어 (-.47); 목도리도마뱀, 무당벌레, 고니, 해파리, 황새, 기러기, 북극곰, 올챙이, 게, 일본원숭이, 청솔모 (-.48); 송사리, 두꺼비, 맘모스 (-.49); 진돗개 (-.50). [ 과일 ] 사과 (3.40); 귤 (1.91); 수박 (1.80); 배 (1.73); 딸기 (1.60); 바나나 (1.35); 포도 (1.24); 멜론 (.75); 참외 (.67); 파인애플 (.45); 키위 (.38); 오렌지 (.37); 감 (.31); 토마토 (.23); 복숭아 (.17); 레몬 (-.15); 자두 (-.16); 앵두 (-.27); 금귤 (-.49); 코코넛 (-.52); 체리 (-.58); 살구 (-.58); 자몽 (-.64); 산딸기 (-.68); 방울토마토 (-.68); 유자, 야자 (-.69); 망고 (-.70); 밤 (-.71); 모과, 석류 (-.72); 대추, 오디 (-.73); 호두, 곶감, 파파야 (-.74). [ 주방용품 ] 냄비 (3.72); 칼 (3.62); 접시 (2.98); 가스렌지 (2.66); 프라이팬 (2.49); 도마 (2.25); 냉장고 (2.13); 젓가락 (2.06); 그릇 (1.88); 씽크대 (1.65); 숟가락 (1.50); 국자 (1.47); 전자렌지 (1.33); 가위 (1.12); 컵 (.99); 수저 (.95); 식탁 (.67); 주걱 (.44); 밥통 (.39); 포크, 수세미 (.26); 밥솥 (.11); 쟁반 (.08); 주전자 (.03); 오븐 (-.05); 뒤집기 (-.08); 밥그릇 (-.15); 식기세척기 (-.16); 행주, 집게 (-.21); 고무장갑 (-.23); 세제 (-.32); 퐁퐁, 앞치마 (-.37); 찬장 (-.38); 커피잔, 물통 (-.40); 솥, 믹서기 (-.41); 체 (-.42); 정수기, 세척기 (-.43); 건조기 (-.44); 거품기, 물컵 (-.46); 대접 (-.47); 장갑, 국그릇, 상, 밥상 (-.48); 쌀통 (-.49); 설거지통, 토스터기, 수저통 (-.50); 전기밥솥, 병따개, 병, 반찬통, 식기건조기 (-.51); 나이프 (-.52); 비닐장갑, 티스푼 (-.53); 칼가는것, 바가지, 공기, 채칼, 뚝배기, 조리, 위생장갑, 수건, 압력밥솥 (-.54); 식탁보, 술잔, 바구니, 커피포트, 100
전덕임 강연욱 / 초등학교아동들의우리말범주규준조사 보온병, 머그잔, 차받침 (-.55); 찻잔, 전자밥솥, 버너, 환풍기, 스푼, 석쇠, 소독기, 계량컵, 냄비받침 (-.56); 그릇통, 찜통 (-.57); 김치보관통, 선반 (-.58). [ 학용품 ] 연필 (5.20); 지우개 (3.96); 필통 (3.46); 공책 (2.87); 색연필 (2.60); 볼펜 (1.14); 샤프 (1.06); 자 (.64); 크레파스 (.62); 싸인펜 (.58); 스케치북 (.45); 가위 (.43); 풀 (.42); 물감 (.22); 색종이 (.06); 붓 (.03); 책받침 (-.03); 연필깎기 (-.07); 수첩 (-.08); 가방 (-.08); 칼 (-.10); 테이프 (-.13); 책 (-.14); 펜 (-.18); 화이트 (-.19); 샤프심 (-.22); 팔레트, 도화지 (-.24); 교과서 (-.26); 종이 (-.31); 컴퍼스 (-.31); 연필꽂이, 책가방, 물통, 종합장 (-.32); 노트 (-.35); 알림장 (-.36); 다이어리, 만년필, 메모지, 매직 (-.37); 포스터칼라, 색도화지 (-.38); 삼각자, 붓펜, 수채화도구, 클립, 형광펜 (-.39); 벼루, 본드, 신발주머니, 먹, 파일, 하드보드지, 한지, 호치키스 (-.40); 각도기, 연습장 (-.41); 고무찰흙, 찰흙, 골판지, 만들기재료, 화선지, 모눈종이 (-.42); 고무판화, 책꺼풀, 펀치, 먹물, 문진, 지점토, 집게 (-.43); 조각칼, 편지지 (-.44). [ 옷 ] 바지 (5.24); 잠바 (4.99); 양말 (2.58); 치마 (2.38); 티셔츠 (2.26); 장갑 (2.12); 목도리 (1.76); 코트 (1.56); 조끼 (1.33); 모자 (1.28); 내복 (.76); 스웨터 (.73); 팬티 (.43); 속옷 (.35); 양복, 드레스 (.25); 잠옷 (.19); 츄리닝 (.13); 남방 (.12); 와이셔츠 (.10); 윗도리 (.09); 셔츠 (.05); 청바지 (-.03); 원피스 (-.04); 반팔 (-.08); 털옷 (-.10); 체육복 (-.12); 메리야스 (-.15); 바바리, 재킷 (-.17); 벨트, 런닝 (-.19); 넥타이, 블라우스 (-.22); 폴라티 (-.23); 망토 (-.25); 내의 (-.30); 한복 (-.31); 스타킹 (-.32); 무스탕, 나시 (-.33); 스키복 (-.34); 반바지, 외투, 수영복 (-.38); 비옷, 정장, 스카프 (-.39); 티, 투피스 (-.42); 귀마개, 머플러, 도복 (-.43); 가디건, 골덴바지, 긴팔 (-.44); 밍크코트, 털모자 (-.45); 파카, 겉옷, 가죽잠바, 우비, 목티, 면잠바, 겉잠바 (-.46); 힙합바지, 치마바지, 스포츠복, 속치마, 속내의, 방수잠바, 쫄티, 스판바지, 바지치마, 미니스커트 (-.47); 쫄바지, 교복, 가운, 혁대, 스커트, 점퍼, 모피, 긴바지 (-.48); 통바지, 목폴라, 모시옷, 모직바지, 털바지 (-.49). [ 꽃 ] 장미 (5.62); 무궁화 (3.06); 개나리 (2.20); 민들레 (2.12); 해바라기 (1.98); 진달래 (1.90); 튤립 (1.74); 국화 (1.65); 백합 (1.39); 코스모스 (1.01); 나팔꽃 (.83); 채송화 (.62); 할미꽃, 아카시아 (.40); 호박꽃 (.39); 카네이션 (.36); 벚꽃 (.31); 봉숭아 (.14); 제비꽃, 데이지 (.01); 봉선화 (-.08); 안개꽃 (-.11); 난초 (-.19); 목련 (-.21); 수선화 (-.26); 사루비아, 모란 (-.30); 팬지 (-.33); 은방울꽃, 연꽃 (-.34); 분꽃 (-.35); 철쭉, 후레지아, 라일락 (-.36); 창포 (-.37); 맨드라미 (-.41); 선인장 (-.42); 글라디올러스, 다알리아, 유채꽃 (-.43); 도라지꽃, 달맞이꽃 (-.44); 매화, 백일홍 (-.45); 토끼풀, 동백꽃, 수국 (-.46); 히야신스, 박꽃, 들국화, 며느리밥풀, 과꽃, 팽이꽃, 초롱꽃, 찔레꽃, 애기똥풀, 살구꽃, 목화꽃 (-.49); 사과꽃, 해당화, 페튜니아, 에델바 101
언어청각장애연구 2007;12;90-104 이스, 배꽃, 물망초 (-.50); 칸나 (-.51); 수련 (-.52). [ 채소 ] 배추 (3.53); 당근 (3.17); 오이 (2.20); 양파 (2.11); 파 (1.60); 무 (1.46); 시금치 (.84); 상추 (.79); 마늘 (.71); 호박 (.60); 토마토 (.57); 고추 (.54); 양배추 (.45); 콩나물 (.18); 깻잎 (.02); 피망 (.00); 가지 (-.07); 버섯, 생강, 미나리 (-.39); 도라지 (-.46); 나물 (-.47); 쑥, 치커리, 감자 (-.49); 부추 (-.51); 숙주나물 (-.52); 냉이 (-.54); 양상추, 달래, 고사리 (-.55); 옥수수 (-.56); 대파, 쑥갓 (-.57); 케일, 씀바귀 (-.58); 칡 (-.59); 취나물, 인삼 (-.60); 신선초, 우거지, 열무, 파슬리, 고구마줄기 (-.61); 샐러리, 연근, 우엉 (-.63). [ 장난감 ] 로봇 (6.48); 인형 (5.72); 자동차 (4.26); 레고 (1.64); 블록 (1.38); 총 (.50); 퍼즐 (.44); 공 (.41); 롤러스케이트 (.37); 오락기 (.33); 게임기 (.18); 소꿉놀이 (.04); 비행기 (.03); 칼, 미니카 (.02); 자전거, 곰인형 (.01); 요요 (-.02); 조립식 (-.04); 기차 (-.08); 풍선, 구슬 (-.14); 롤러블레이드 (-.16); 공기, 딸랑이 (-.17); 글러브, 야구방망이, 오뚝이 (-.18); 카드, 피아노 (-.19); 시계, 팽이 (-.20); 차 (-.21); 축구공, 농구대 (-.22); 오토바이, 배, 블루마블 (-.23); 스케이트, 고무찰흙, 인형집, 물총, 게임, 딱지, 스티커, 조종장난감 (-.24); 화살, 조립식장난감 (-.25); 게임팩, 모형비행기, 도미노, 야구공, 전투기, 트럭, 병원놀이, 니나인형, 텔레토비, 화약총 (-.26); 요술봉, 가면, 공룡, 당구게임, 방망이, 방울, 버스, 전화기, 찍찍이, 호루라기, 나팔, 농구공, 목마, 무선조종카, 무전기, 윷, 조종카, 지점토, 글라이더 (-.27); 방독면, 연, 지우개, 찰흙, 농구, 부메랑, 우주선, 다이아몬드게임 (-.29); 축구공, 롤러보드, 야구공, 인형옷 (-.29); 미식축구, 볼링핀, 체스 (-.30); 장기, 그림맞추기, 바둑 (-.31). 102
Jeun & Kang / Category Norms of Korean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BSTRACT Category Norms of Korean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Duk Im Jeun a, Yeonwook Kang b,c,* a Yonsei Feel Clinic, Kangnam-gu, Seoul, Korea b Department of Psychology, Hallym University, Chuncheon, Korea c Department of Neurology, Hallym Sacred Heart Hospital, Pyeongchon, Korea Background &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category norms (exemplar frequency and typicality) of Korean to be us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language and memory test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Methods: One hundred sixty-one children (87 boys and 74 girls) were given tests of eight categories: animals, fruits, kitchen utensils, school supplies, clothing, flowers, vegetables, and toys. Production frequency and typicality for each category were evaluated. Results & Conclusion: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is current norms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data reported on university students in the previous study. These results suggest that age-specific Korean category norms are needed.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07;12;90-104) Key Words: category norm, exemplar frequency, typicality References Cherniak, C. (1984). Prototypicality and deductive reasoning.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23, 625-642. Hasselhorn, M. (1992). Task dependency and the role of category typicality and metamemory in the development of an organizational strategy. Child Development, 63, 202-214.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990). Manual for KEDI-WISC. Seoul: Special Education Publishing Co. Lee, K. S., Park, C. I., Kim, H. H., & Park, E. S. (2004). Development of generative naming ability in 3, 4, 5, and 6-year-old children.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9(3), 1-21. Posner, M. I. (1969). Abstraction and the process of recognition. In C. H. Bower & J. T. Spence (Eds.), The psychology of learning and motivation (Vol. 3). New York, NY: Academic Press. Rhee, K. Y. (1991). Korean category norms: Survey on exemplar frequency norm, typicality and features. Korean Journal of Experi- Received January 18, 2007; final revision received March 12, 2007; accepted March 14, 2007. * Correspondence to Yeonwook Kang, PhD, Department of Psychology, Hallym University, Chuncheon, Korea, e-mail: ykang@hallym.ac.kr, tel.: +82 33 248 1724 c 2007 The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http://www.kasa1986.or.kr 103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07;12;90-104 mental and Cognitive Psychology, 3, 131-160. Rosch, E., & Mervis, C. B. (1975). Family resemblances: Studies in the natural structure of categories. Cognitive Psychology, 7, 573-605. Rosch, E. (1978). Principles of categorization. In E. Rosch & B. B. Lloyd (Eds.), Cognition and categorization. Hillsdale, NJ: Erlbaum. Seo, S. J. (2006). What teachers needs to know in effective vocabulary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Korean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3(1), 53-76. Shin, H. J. (1978). The effect of prototypicality on recognition at basic object level and subordinate level categories. Unpublished master 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