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 장 음운론 1 음운과음성 2 국어의음운체계 3 음절과제약 4 음운변동
제1장 권규호의 공무원 국어 제2장 제3장 제4장 음운론 1 음운과 음성 1. 음운의 개념과 종류 (1) 음성과 음운 ① 음성 : 의사소통을 위해 사람의 발음기관을 통하여 나오는 물리적 말소리 음성이란 사람의 입에서 나오는 소리를 말하는 것이다. 그렇다고 휘파람 소리 같은 것도 음성으로 볼 수는 없다. 왜냐하면 음성이란 의사소통할 때 사용되는 말소리이기 때문이다. 음성은 실제 발음되는 물리적 소 리이기 때문에 사람마다 조금씩 차이가 난다. 남성과 여성이 [아빠]라는 같은 단어를 발음하더라도 일반적 으로 남성의 목소리가 여성보다 좀 더 낮고, 묵직하다. ② 음운 : 말의 뜻을 구별하여 주는 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자음, 모음, 장단을 일컬음) / 사람들이 같은 음이라 고 생각하는 심리적 추상적 사회적 소리 음운이란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소리의 최소 단위이다. 대표적 음운으로 자음과 모음을 들 수 있다. 어떤 소 리에 자음이 달라지면 의미가 서로 달라진다. 가령 [뿔]이라는 말과 [불]이라는 말소리를 보자. 전자는 소나 염소의 머리에 난 뿔을 의미하는 것이고, 후자는 어떤 물질이 연소될 때 발생되는 열과 빛을 의미하는 것이 다. 이때의 [ㅃ]과 [ㅂ]은 서로 의미를 구별해주므로 각각이 하나의 음운이 된다. [자다]라는 말과 [주다]라는 말도 서로 뜻이 다르다. 이 차이는 [ㅏ]와 [ㅜ]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므로 이 역시 각각 하나의 음운이 된다. 음성이 물리적 소리인데 반해, 음운은 심리적 추상적 사회적 소리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음성적으로 [f]와 [p]는 서로 다른 소리이다. 실제 발음했을 때 다른 소리로 들리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국어에서 [f]와 [p]는 같은 음운이다. [풀]을 발음하는 데 있어, ㅍ 을 [f]로 발음하든 [p]로 발음하든 동일한 의미로 인식되 기 때문이다. 즉 [f]와 [p]는 음성적으로는 분명 차이나지만 한국인의 인식으로는 뜻을 분화하지 않는 동일 한 말소리(=음운)로 인식된다. (2) 음운의 종류 ① 분절 음운(음소) : 마디로 나눌 수 있는 음운을 분절 음운(=음소)이라고 한다. 쉽게 말해 글자로 표현할 수 있 는 음운으로 자음과 모음이 있다. 자음 : 조음 시 발음 기관의 장애를 받으면서 나는 소리 [풀], [뿔]의 경우처럼 ㅍ 에서 ㅃ 으로 바꾸어 발음할 경우, 말소리의 의미가 달라진다. 즉 ㅍ, ㅃ 같은 자음은 글자로 표시할 수 있는 분절 음운이다. 모음 : 조음 시 발음 기관의 장애를 받지 않고 나는 소리 [자다], [주다]의 경우처럼 ㅏ 에서 ㅜ 로 바꾸어 발음할 경우, 말소리의 의미가 달라진다. 즉 ㅏ, ㅜ 같은 모음은 글자로 표시할 수 있는 분절 음운이다. ② 비분절 음운(운소) : 마디로 나눌 수 없는 음운을 비분절 음운(=운소)이라고 한다. 쉽게 말해 글자로 표현할 수 없는 음운으로 장단이 있으며, 학자에 따라서 억양도 운소로 인정하기도 한다. 장단 : 소리의 길이 016 권규호 공무원 국어 01 문법 (1123) 2019 공무원 문법-본교재.indb 16 2018-06-19 오후 4:38:13
제1장 먹는 밤(栗) 의 밤 은 길게 발음하지만 어두운 밤(夜) 의 밤 은 짧게 발음한다. 이처럼 소리의 길이도 뜻을 구별하지만 글자로 표현하지 못하는 비분절 음운이다. 억양 : 말소리의 높낮이 문법 학자들에 따라서 억양을 음운으로 인정하는 사람도 있고,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다. 물음의 의미일 때에는 문장의 끝을 올려 집에 가? 라고 말하고, 명령의 의미일 때에는 높낮이 변화 없이 집에 가 라고 말한다. 이처럼 억양 역시 의미를 달라지게 하지만 글자로 표현하는 못하는 비분절 음운이다. 문제 2 01 음성은 의미를 다르게 하는 소리의 최소 단위이다. 02 음운은 추상적인 말소리로 언어권에 따라서 그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국어의 음운 체계 1. 자음 : 발음 기관의 장애를 받으면서 나는 소리 모음과 달리 자음은 목, 입, 혀 등의 장애를 받으면서 나는 소리이다. 이때 장애란 발음할 때 공기의 기류가 흘 러가는 통로를 막거나 좁아지게 하는 것 등을 말한다. 자음은 조음 방법과 조음 위치에 따라서 그 종류를 분류할 수 있다. P POINT 조음 위치 안울림 소리 (무성음) 파찰음 윗 잇몸, 센입천장, 여린입천장, 혀끝 혓바닥 혀뒤 목청 사이 입술소리 잇몸소리 센입천장 여린입천장 목청소리 (양순음) (치조음, 설단음) 소리(경구개음) 소리(연구개음) (후음) 사소리 ㅂ ㄷ ㄱ 된소리 ㅃ ㄸ ㄲ 거센소리 ㅍ ㅌ ㅋ 조음 방법 파열음 두 입술 사소리 ㅈ 된소리 ㅉ 거센소리 ㅊ 사소리 ㅅ 된소리 ㅆ 5회 이상 출제되었다. 이를 해결 하기 위해서는 최소 아래 자음 표 를 정확하게 숙지하여야한다. ㅎ 마찰음 울림소리 비음 (유성음) 유음 ㅁ ㄴ ㅇ ㄹ <조음위치와 조음방식에 따라 분류한 자음 체계> (1) 조음 위치 : 자음이 장애를 받는 위치 ① 입술소리(양순음) : 두 입술에서 나는 소리. ㅂ, ㅃ, ㅍ, ㅁ ② 잇몸소리/혀끝소리(설단음, 치조음) : 혀끝과 윗잇몸이 닿거나 서로 근접하여 나는 소리. ㄷ, ㄸ, ㅌ, ㅅ, ㅆ, ㄴ, ㄹ 이 있다. ③ 센입천장소리(경구개음) : 혀와 센입천장(=경구개, 딱딱한 입천장)의 작용으로 인해 나는 소리. ㅈ, ㅉ, ㅊ 이 있다. ④ 여린입천장소리(연구개음) : 혀와 여린입천장(=연구개)의 작용으로 인해 나는 소리. ㄱ, ㄲ, ㅋ, ㅇ 이 있다. ⑤ 목청소리(후음) : 목청에서 나는 소리. ㅎ 이 있다. 문제 답 01 02 제 1 장 음운론 (1123) 2019 공무원 문법-본교재.indb 17 017 2018-06-19 오후 4:38:13
(2) 조음 방법 : 소리를 내는 방법적 특성 ① 울림소리 : 성대의 진동을 동반한 소리 울림이란 성대의 진동으로 인해 소리가 공명되는 것을 말한다. 모음은 모두 울림소리이고, 자음 중에서는 비음, 유음 이 울림소리에 해당한다. 비음(=ㅁ, ㄴ, ㅇ) : 코로 기류를 내보내면서 나는 소리. 코를 막고 마, 나, 앙 등을 발음해 보면 코맹맹이 소리가 난다. 이는 ㅁ, ㄴ, ㅇ 등이 코로 기류가 통과되기 때문이다. 유음(=ㄹ) : 혀의 양 옆으로 기류가 통과되는 소리. 유음은 비음이 아니기 때문에 코로 기류가 통과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코를 막고 라 를 발음해도 코맹맹이 소리가 나지 않는다. 즉 ㄹ 은 비음이 아니라 유음 인 것이다. ② 안울림소리 : 성대의 진동을 동반하지 않은 소리 안울림소리 : 성대의 진동을 동반하지 않는 소리를 말한다. 자음 중에서는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이 안울림 소리에 해당한다. 파열음(=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 기류를 일단 막았다가 터뜨리며 내는 소리 파찰음(=ㅈ, ㅉ, ㅊ) : 파열음과 마찰음의 성격을 함께 갖는 소리. 일단 막았다가 터뜨릴 때 지연 마찰이 일어 나는 소리 마찰음(=ㅅ, ㅆ, ㅎ) : 입안 또는 목청 사이의 좁은 통로를 지나면서 마찰하는 소리 ③ 삼지적 상관속 : 사소리(=평음) - 된소리(=경음) - 거센소리(=격음) 삼지적 상관속 : 우리나라의 자음 체계 중 특이할 만한 것이 삼지적 상관속이다. 삼지적 상관속이란 사 소리-된소리-거센소리로 이루어진 것을 의미하는데, ㄱ-ㄲ-ㅋ, ㄷ-ㄸ-ㅌ, ㅂ-ㅃ-ㅍ, ㅈ-ㅉ-ㅊ 등이 그러하다. 한편 ㅅ-ㅆ 은 이에 대응하는 거센소리가 없기 때문에 삼지적 상관속에 속하진 않는 다. 국어의 음운론적 특질 : 서구 언어권과 비교해 봤을 때, 삼지적 상관속은 한국어가 지닌 특질이 된다. 컨대 영어권에서는 ㄷ-ㄸ-ㅌ 의 체계가 없다. d-t 처럼 ㄷ-ㅌ 정도의 체계만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 어 화자가 [달], [딸], [탈]을 명료하게 구별하지만 영어권 화자들은 이 세 소리를 정확하게 구별하지 못 한다. 특히 [딸]을 [탈]로 오인해서 듣기도 하고, [딸]을 발음하고 싶어도 실제로는 [탈]로 발음하기도 한 다. 그래서 외국인의 경우 공 과 콩 의 소리를 잘 구별해서 발음하지 못한다. 문제 03 /ㄷ/, /ㄸ/, /ㅌ/ 는 공기가 코를 통과하면서 나오는 소리이다. 04 /ㄷ/, /ㄸ/, /ㅌ/ 는 폐에서 나오는 공기를 일단 막았다가 그 막은 자리를 터뜨리면서 내는 소리 05 고사리, 개나리 에는 조음 기관이 좁혀진 사이로 공기가 마찰하여 나는 소리가 들어 있지 않다. 06 자음(子音)을 소리 내는 방법으로 나누면 파열음(破裂音)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파찰음(破擦音) / ㅈ, ㅉ, ㅊ/, 마찰음(摩擦音) /ㅅ, ㅆ, ㅎ/, 유음(流音) /ㄹ/, 비음(鼻音) /ㅁ, ㄴ, ㅇ/이 된다. 07 국어에 익숙하지 못한 외국인이 공 과 콩 을 잘 구별해서 발음하지 못하는 것은 국어에는 다른 언어에서도 사용되는 음운이 있는가 하면 국어에서만 독특하게 사용되는 음운이 있기도 하기 때문이다. 문제 답 03 04 05 06 07 018 권규호 공무원 국어 01 문법 (1123) 2019 공무원 문법-본교재.indb 18 2018-06-19 오후 4:38:13
제1장 2. 모음 : 성대의 진동을 동반한 장애 없이 나는 소리 자음과 달리 모음은 발음 과정에 장애가 일어나지 않는 소리를 의미한다. 비음이나 유음이 그러하듯이 모음 역 시 성대의 진동을 동반한 유성음이다. 크게 발음하는 방법에 따라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나누어진다. (1) 단모음 : 혀나 입술이 고정되어 한 번에 발음되는 모음 단모음은 혀나 입술이 고정된 채로 한 번에 발음할 수 있는 모음이다. 국어의 단모음은 총 10개이다. 혀의 위 치, 혀의 높낮이, 입술 모양에 따라서 아래와 같이 구분할 수 있다. 혀의 위치 전설 모음 후설 모음 입술 모양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ㅣ ㅟ ㅡ ㅜ 중모음 ㅔ ㅚ ㅓ ㅗ 저모음 ㅐ 혀의 높이 ㅏ ① 고-중-저모음 : 혀의 높이에 따른 분류. 혀의 높이는 느끼기 쉽지 않으니 턱의 높이를 통해서 파악해 보자. 고모음인 ㅣ 를 발음할 때보다 중모음인 ㅔ 나 저모음인 ㅐ 를 발음할 때 턱의 높이(=혀의 높이)가 낮아지고, 입이 더 크게 벌어진다. ② 전설-후설 모음 : 혀의 위치에 따른 분류. 전설 모음은 후설 모음에 비해 발음할 때 상대적으로 혀가 앞쪽에 위치하게 된다. ③ 평순-원순 모음 : 입술 모양, 즉 입술 돌출 여부에 따른 분류. 평순 모음과 달리 원순 모음은 입술이 앞쪽으로 돌출되면서 발음된다. ㅡ 를 발음하는 가운데 입술을 앞으 로 내밀면 자연스럽게 ㅜ 로 발음이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ㅚ, ㅟ 문제 : ㅚ 와 ㅟ 는 단모음으로 발음할 수도 있고, 이중모음으로 발음할 수도 있다. 분류상으로는 ㅚ, ㅟ 는 단모음이다. 단 이중모음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한다. 이중모음으로 발음할 때 ㅚ 의 발음은 [ㅞ]가 된다. (2) 이중모음 : 혀나 입술이 고정되지 않고 발음되는 모음 이중모음은 발음 중에 혀나 입술이 움직이는 모음이다. 국어의 이중모음은 총 11개이다. 이중모음은 반모음 (=반자음)과 단모음이 결합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가령 ㅑ 의 경우 반모음 ㅣ 와 단모음 ㅏ 가 결합된 것인데, ㅣ 를 순간적으로 발음한 후 ㅏ 를 길게 발음하는 식으로 발음이 이루어진다. 우리나라의 반모음 은 ㅣ, ㅗ/ㅜ, ㅡ 세 가지이며, 이것과 단모음이 결합해서 ㅑ, ㅕ, ㅛ, ㅠ, ㅒ, ㅖ, ㅘ, ㅙ, ㅝ, ㅞ, ㅢ 등 총 11개의 이중모음을 발음할 수 있다. ㅣ ㅔ ㅚ ㅐ j계 ㅖ ㅒ w계 ㅞ ㅙ ɱ계 문제 ㅟ ㅡ ㅜ ㅓ ㅗ ㅏ ㅠ ㅕ ㅛ ㅑ ㅝ ㅘ ㅢ 08 이, 베, 가 는 모음을 발음할 때 혀의 위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만 묶인 것이다. 09 혀의 높이에 따라 양성 모음과 음성 모음으로 구분된다. 10 모음은 단모음 10개와 이중모음 11개로 모두 21개이다. 문제 답 08 09 10 제 1 장 음운론 (1123) 2019 공무원 문법-본교재.indb 19 019 2018-06-19 오후 4:38:13
3. 장단 : 소리의 길이(=운소) 소리의 길이는 단어의 의미를 차이 나게 하는 비분절 음운이다. (1) 소리의 길이와 관련된 규칙 긴소리는 단어(=자립성을 지닌 단위)의 첫 음절에서만 나타나며, 두 번째 음절부터는 긴소리도 짧게 발음한 다. 를 들어 타는 말(馬) 은 짧게 발음하여 [말]이라고 하고, 의사소통에 쓰이는 말(言) 은 길게 발음하여 [말:]이라고 한다. 하지만 참말 의 말(言) 은 두 번째 음절에 위치하기 때문에 길게 발음하지 않고, 짧게 발 음해야 한다. 말(馬)[말] - 말(言)[말:] - 참말[참말] (2) 소리의 길이에 따라서 의미가 달라지는 단어들 020 경운기의 부품을 갈고 나서 시험 삼아 논을 갈ː러 갔다. 영화를 감상한 후에 느낀 감ː상으로 인해 눈물이 날 정도로 감ː상에 빠졌다. 유물을 감정하기 위해서는 사사로운 감ː정이 없어야 한다. 학교에서 로데오 거리까지의 거ː리가 멀다. 이번에 걷은 회비를 들고 길을 걷ː는 총무를 만났다. 건물의 운영 경비 상승으로 경ː비의 수를 줄였다. 무척 고적한 분위기의 고ː적지였다. 팔이 안으로 곱아서 그런지 나는 내 딸이 제일 곱ː다. 금주에 수술이 정되어 있어 금ː주했다. 김이 서린 안경을 김ː 씨가 꼈다. 두 눈에 눈ː 내리는 아침을 담았다. 단 고구마를 시뻘겋게 단ː 화로에 구워 먹었다. 돌잔치에 가다가 돌ː에 걸려 넘어졌다. 말이 말ː을 하는 이상한 나라 전선을 아무렇게나 말아서 처박아두지 말ː라고 하셨다. 똑같은 모자를 쓴 모ː자가 사진을 찍었다. 무력한 자는 무ː력 앞에 속수무책이다. 땅에 묻는 것이 무엇이냐고 묻ː는다. 두 발을 내딛으며 늘어뜨린 발ː을 걷었다. 늦은 밤에 밤ː을 구워 먹었다. 방문을 활짝 열어 집에 방ː문한 부모님을 환영했다. 배 안에서 배를 배가 부를 정도로 평소보다 몇 배ː 먹었다. 아이가 벌을 받은 이유는 벌ː을 가지고 장난쳐서다. 병에 든 약을 병ː을 치료하기 위해 먹었다. 김 씨 부자는 모두 엄청난 부ː자였다. 권규호 공무원 국어 01 문법 (1123) 2019 공무원 문법-본교재.indb 20 2018-06-19 오후 4:38:13
그가 부정을 저질렀을지라도 그의 아들에 대한 부정은 부ː정할 수 없다. 빨간 사과를 사ː과의 뜻으로 주었다. 도서 대출 신청을 위해 서명과 저자명을 적고 이름을 서ː명했다. 벼 여러 섬을 부모님이 사는 섬ː으로 보냈다. 나이를 먹고 성인이 되었다면 성ː인의 지혜를 본받아야 한다. 나의 손을 잡은 그는 손ː이 귀한 집안에 태어난 독자였다. 바로 앞에 있는 시계도 시ː계가 흐려져서 보이지 않았다. 여권 신장을 위한 자리에 여ː권의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그가 고급 주택으로 이사한 이유는 이ː사로 승진해서이다. 마을에 있는 사람들 중에는 힘들게 끼니를 잇ː는 집이 많았다. 장이 아픈 상태로 장에 가서 장ː에 있는 옷을 산 후에 장ː을 한 통 사다가 쓰러졌다. 글을 열심히 적어도 기준에 비해 내용이 너무 적ː다. 두 개국을 대표하는 정상이 만나, 양국 관계 정ː상화를 도모하였다. 그는 자신의 직업을 천직으로 여겼지만 남들에게는 천ː직이라고 무시당했다. 과한 화장을 하고 화ː장터에 가는 것은 적절하지 않아. 그녀는 그에게 한눈에 반했지만 그는 한ː눈만 팔고 있었다. 제1장 (3) 기출된 긴 소리 ① 명사 긴소리 짧은소리 간식(間食) [간ː식] 간격(間隔) [간격] 담력(膽力) [담ː녁] 사고(思考) [사고] 대팻밥 [대ː패빱/대ː팯빱] 상견례(相見禮) [상견녜] 동원령(動員令) [동ː원녕] 심문(審問) [심문] 들녘 [들ː력] 종군(從軍) [종군] 면허증(免許證) [면ː허쯩] 종속(從屬) [종속] 반신반의(半信半疑) [반ː신바ː늬/반ː신바ː니] 토벌(討伐) [토벌] 사상(思想) [사ː상] 송별연(送別宴) [송ː벼련] 심판(審判) [심ː판] 의견란(意見欄) [의ː견난] 의의(意義) [의ː의/의ː이] 이원론(二元論) [이ː원논] 임진란(壬辰亂) [임ː진난] 제 1 장 음운론 (1123) 2019 공무원 문법-본교재.indb 21 021 2018-06-19 오후 4:38:13
최근 ( 最近 ) [ 최ː근 / 췌ː근 ] 토론 ( 討論 ) [ 토ː론 ] 한국 ( 韓國 ) [ 한ː국 ] 혜택 ( 惠澤 ) [ 혜ː택 / 헤ː택 ] 2 동사 긴소리 발음 짧은소리 발음 감다 [ 감ː따 ] 밟히다 [ 발피다 ] 계시다 [ 계ː시다 / 게ː시다 ] 떫다 [ 떨ː따 ] 많다 [ 만ː타 ] 밟다 [ 밥ː따 ] 신다 [ 신ː따 ] 얇다 [ 얄ː따 ] 없애다 [ 업ː쌔다 ] 엷다 [ 열ː따 ] 웃기다 [ 욷ː끼다 ] 022 권규호공무원국어 01 문법
3 음절과제약 (1) 음절 : 발음의최소단위 제 1 장 (2) 음절구조와제약 음절은초성, 중성, 종성으로구성돼있으며, 각각의위치에특정음운만올수있다는제약이따른다. 초성 중성 종성 1 초성 : 초성에는자음이오며, 최대 1개까지올수있다. 단 19개의자음중 ㅇ 은올수가없다. 끝 [ 끋 ], 앙 [ 앙 ] 2 중성 : 중성은음절이성립되기위해서반드시있어야한다. 그래서중성을음절의핵이라고한다. 중성에는모음이오며, 최대 1개까지올수있다. 워 [ 워 ], 원 [ 원 ], 권 [ 권 ] 3 종성 : 종성에는자음이오며, 최대 1개까지올수있다. 19개의자음중 ㄱ, ㄴ, ㄷ, ㄹ, ㅁ, ㅂ, ㅇ 등총 7개의자음만이올수있다. 닭 [ 닥 ] (3) 음운, 음절의개수세기 1 음운의개수를셀때유의할사항ᄀ음운의개수는표기를기준으로삼지않고, 발음을기준으로삼는다. 이때, 축약이나탈락에주의한다. 길이 [ 기리 ] 4개의음운맏형 [ 마텽 ] 5개의음운낳아 [ 나아 ] 3개의음운ᄂ발음상에서초성의 ㅇ 은 zero 음가이므로없는것으로인정한다. 알 [ 알 ] 2개의음운ᄃ된소리는 1개의음운으로인정된다. 꿈 [ 꿈 ] 3개의음운ᄅ이중모음은 1개의음운으로인정된다. 원 [ 원 ] 2개의음운 2 음절의개수세기ᄀ음절의수는모음의개수에달려있다. 미나리 ㅣ, ㅏ, ㅣ = 3음절ᄂ음절의구조는발음을기준으로따진다. 따라서종성이연음되어초성이될수있음에주의한다. 옷이 [ 오시 ] ㅅ 은종성이아니라초성이다! 문제 11 국화 와 다리 의음운개수는다르다. 12 날아갔다 의음운개수는 9 개이다. 문제답 11 12 제 1 장 음운론 023
4 음운 변동 1. 음절 끝소리 현상 국어의 종성(=음절 끝)에는 두 가지 제약이 있다. 첫째, 19개의 자음 중 7개의 자음(=ㄱ, ㄴ, ㄷ, ㄹ, ㅁ, ㅂ, ㅇ)만이 올 수 있다는 것과 둘째, 자음 1개만 올 수 있다는 것이다. 전자의 제약 때문에 7개의 자음이 아닌 다른 자음이 종성에 위치하게 되면 반드시 ㄱ, ㄷ, ㅂ 중 하나로 바뀌게 된다. 한편 후자의 제약 때문에 겹받침이 종성에 위치하게 되면 둘 중 하나만 발음된다. (1) 홑받침의 끝소리 규칙(=교체 현상) ① 종성(=음절 끝)에 ㄱ, ㄴ, ㄷ, ㄹ, ㅁ, ㅂ, ㅇ 이 아닌 자음이 위치하게 되면 ㄱ, ㄷ, ㅂ 중 하나로 교체된다. 이를 불파음 이라고 한다. 한 국어 음절 말의 /ㄱ/([k ]), /ㄷ/([t ]), /ㅂ/([p ])이 바로 그것이다. 국어의 경우, 음절 끝 위치에서의 파열음은 모두가 파열되지 않기 때문이다. 1 1 2 평폐쇄음 이란 파열음 사 소리 를 의미한다. 따라서 평폐쇄 음화 란 파열음 사소리가 아닌 것이 파열음 사소리가 되었음 을 뜻한다. 3 서로 다른 요소가 특정한 조건 에서 변별 기능을 잃고 구별되지 아니함. 또는 그런 현상. 를 들 어, 낟, 낫, 낯, 낱 따위에 쓰 인 받침소리는 모두 ㄷ 으로 중 화된다. 교체 전 교체 후 ㅍ, ㅃ ㅂ 잎[입] ㄷ 옷[옫],있고[읻꼬],낮[낟],꽃[꼳], 바깥[바깓],히읗[히읃] ㄱ 밖[박], 부엌[부억] ㅅ, ㅆ, ㅈ, ㅊ, ㅌ, ㅎ ㄲ, ㅋ ② 이상의 변동이 일어날 때에는 동일 또는 인접 조음위치의 파열음 사소리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이를 평 폐쇄음화 2 라고 한다. 조음위치 조음방식 사소리 파열음 된소리 (폐쇄음) 거센소리 입술 잇몸 센입천장 여린 목청 소리 소리 소리 입천장소리 소리 ㅂ ㄷ ㄱ ㅍ ㅌ ㅋ ㅃ ㄸ 사소리 안울림소리 파찰음 거센소리 ㅅ 사소리 마찰음 ㅆ 된소리 비음 ㅈ ㅉ 된소리 울림소리 ㄲ ㅁ ㄴ ㄹ 유음 ㅊ ㅎ ㅇ ③ 여러 가지 소리들이 각기 개성을 잃어버리고 ㄱ, ㄷ, ㅂ 등의 대표음으로 바뀌어 발음되기 때문에 이를 중 화(中和) 현상 3 이라고도 한다. (2) 겹받침의 끝소리 규칙(= 탈락 현상, 자음군 단순화) ① 종성에는 자음 한 개밖에 올 수 없기 겹받침이 올 경우 둘 중 하나는 탈락한다. 그래서 이를 자음군 단순화라 고도 한다. 이때 자음군(子音群)이란 자음 두 개 이상을 의미하고, 단순화란 하나만 남게 되었다는 의미이 다. POINT 이때의 ㄱ, ㅁ, ㅍ 을 암기하기 위해서 퍼머거 또는 포기마 라 고 외우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024 ② ㄱ, ㅁ, ㅍ 가 뒤에 올 때를 제외하고는 앞의 것을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즉 ㄹㄱ, ㄹㅁ, ㄹㅍ 처 럼 ㄱ, ㅁ, ㅍ 이 겹받침 중 두 번째 오는 것은 뒤 자음인 ㄱ, ㅁ, ㅍ 을 발음하고, 나머지 ㄱㅅ, ㄴㅈ, ㄹ ㅂ, ㄹㅅ, ㄹㅌ, ㅂㅅ 등은 앞 자음을 발음한다. P 권규호 공무원 국어 01 문법 (1123) 2019 공무원 문법-본교재.indb 24 2018-06-19 오후 4:38:13
탈락 후 ㄱㅅ ㄱ 몫[목] ㄴㅈ ㄴ ㄹㅂ 앉고[안꼬] ㄹ ㄹㅅ 넓다[널따] ㄹ ㄹㅌ ㅂㅅ 외곬[외골] ㄹ 핥고[할꼬] ㅂ ㄹㄱ 값도[갑또] ㄱ ㄹㅁ 닭[닥] ㅁ ㄹㅍ 제1장 탈락 전 삶고[삼꼬] ㅂ 읊다[읍따] ③ 음절끝소리 규칙이 모두 다 적용되는 도 있다. 읊다 의 경우 홑받침 규칙이 적용되어 을ㅂ다 가 되고 된 소리되기 규칙이 적용되어 을ㅂ따 가 된다. 그 후 겹받침 규칙이 적용되면 실제 발음인 [읍따]가 된다. (3) 음절 끝소리 규칙의 적용 조건 ①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 앞에서는 음절 끝소리 규칙이 적용되지 않고, 연음 4 된다. 4 연음이란 종성이 모음으로 시 작하는 음절을 만나 다음 음절의 초성으로 자리를 옮기는 것을 말 한다. 를 들어 밖+에 의 경우 1 음절 종성인 ㄲ 이 2음절의 초성 으로 자리를 이동하여 [바께]로 발 음되는 것이다. 옷+이 [오시], 닭이 [달기] ② 모음으로 시작하는 실질 형태소 앞에서는 음절 끝소리 규칙이 적용된다. 겉+옷 [거돋] 문제 13 짙푸르다 와 짓밟다 의 첫음절은 음절끝소리 현상으로 모두 [짓]으로 발음된다. 14 웃음 과 웃어른 이 [우슴]과 [우더른]으로 발음되는 것은 음절끝소리 현상이 적용된 이다. 2. 된소리되기 현상(=경음화) 된소리되기란 된소리가 아닌 것이 된소리로 교체되는 현상을 말한다. 된소리되기가 나타나는 경우는 다음의 4가지이다. (1) 안울림소리가 연달아 나타났을 때 뒤의 사소리가 된소리로 교체된다. 교체 전 ㄱㄷㅂㅅㅈ 교체 후 ㄲㄸㅃㅆㅉ 작다[작따], 덮개[덥깨], 넓다[널따] ① 작다 의 경우 ㄱㄷ 처럼 안울림소리가 연달아 나타난다. 이럴 경우 뒤의 ㄷ 이 된소리로 교체되어 ㄸ 으 로 발음된다. ② 넓다 처럼 겹받침의 경우에도 ㅂㄷ 이 연달아 나타나기 때문에 뒤 자음이 ㄷ 이 된소리로 교체되어 ㄸ 으로 발음된다. 단 이러한 현상은 용언의 활용형에서만 일어난다. 그렇기 때문에 여덟+과 의 경우, 이상의 규정이 적용되지 않아, [여덜과]로 발음되지, [여덜꽈]로 발음되진 아니한다. 문제 답 13 14 제 1 장 음운론 (1123) 2019 공무원 문법-본교재.indb 25 025 2018-06-19 오후 4:38:13
(2) 어간 말 자음이 ㄴ(ㄴㅈ) 또는 ㅁ(ㄹㅁ) 뒤의 사소리가 된소리로 교체된다. 교체 전 ㄱㄷㅂㅅㅈ 교체 후 ㄲㄸㅃㅆㅉ 감다[감따], 신지[신찌], 굶다[굼:따] ① 감다 의 경우 어간의 마지막 자음이 ㅁ 으로 발음된다. 따라서 뒤의 ㄷ 은 된소리로 교체되어 ㄸ 으로 발 음된다. 신지 의 경우 어간 말 자음이 ㄴ 으로 발음된다. 따라서 뒤의 ㅈ 은 ㅉ 으로 교체되어 발음된다. ② 굶다 의 경우 겹받침이 있지만 결국 어간의 끝은 ㅁ 으로 발음된다. 이 같은 경우에도 그 뒤 사소리는 된소리로 교체돼 발음된다. ③ 안기다 의 경우, [안끼다]로 발음되진 않는다. 안기다 의 어간 말 자음이 ㄴ 이 아니기 때문이다. 안기고, 안기니, 안기어 처럼 어간은 안기- 까지이고, 어간 말이 자음이 아닌 모음 ㅣ 로 끝난 것이다. (3) 어미 -ㄹ 뒤에 사소리가 오면 된소리로 교체된다. 교체 전 ㄱㄷㅂㅅㅈ 교체 후 ㄲㄸㅃㅆㅉ 할 게 없다[할께업따], 좋을지라도[조을찌라도] ① 할 게 없다 의 경우 할 은 어간 하- 에 관형격 어미 -ㄹ 이 결합된 구조이다. 이렇게 관형격 -ㄹ 다음 에 ㄱ 은 된소리로 교체되어 ㄲ 으로 발음된다. ② 좋을지라도 의 경우 어미 -을지라도 에 ㄹ 이 존재한다. 이렇게 어미에 있는 ㄹ 다음에는 된소리로 교 체되어 [조을찌라도]로 발음된다. (4) 한자어 ㄹ 받침 다음에 ㄷ, ㅅ, ㅈ 은 된소리로 발음된다. 교체 전 ㄱㄷㅂㅅㅈ 교체 후 ㄲㄸㅃㅆㅉ 갈등(葛藤) [갈뜽], 몰살(沒殺) [몰쌀] ① 갈등 의 경우 ㄹ 받침 다음의 ㄷ 은 된소리로 교체되어 발음된다. ② 이 규칙은 ㄹ 다음에 ㄷ, ㅅ, ㅈ 일 때에만 적용된다. ㄱ, ㅂ 의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가령 발각(發 覺) 의 경우 [발각]으로 발음되지, [발깍]으로 발음되진 않는다. 문제 15 직격탄 은 된소리되기에 따라 [직껵탄]으로 발음된다. 16 잠기다 는 어간 말 자음이 ㄴ, ㅁ 일 때 뒤따르는 어미의 자음이 된소리로 나타나는 된소리되기에 따라 [잠끼 다]로 발음한다. 문제 답 15 026 16 권규호 공무원 국어 01 문법 (1123) 2019 공무원 문법-본교재.indb 26 2018-06-19 오후 4:38:13
제1장 3. 동화 현상 동화 현상이란 인접한 두 음운이 서로 닮는 경우를 말한다. 이때 닮는다는 것은 조음 위치가 비슷해지거나 조 음 방법이 비슷해지는 것을 말한다.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발음의 편의성 때문이다. 동화 현상 중에는 표 준 발음으로 인정되는 경우, 그렇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를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1) 자음 동화 ① 비음화 : 유성 자음(=비음, 유음)의 영향으로 비음이 아닌 것이 비음으로 교체되는 현상 동화 전 동화 후 ㄱ ㅇ 국민[궁민], 속내[송내] ㄴ 얻는[언는], 종로[종노] ㅁ 잡일[잠닐], 밥물[밤물] ㄷ, ㄹ ㅂ 국민 의 경우, 비음이 아닌 ㄱ 이 비음(=유성자음)인 ㅁ 의 영향을 받아 비음인 ㅇ 으로 교체되어 [궁 민]으로 발음된다. 종로 의 경우, 비음이 아닌 ㄹ 이 비음(=유성자음)인 ㅇ 의 영향을 받아 비음인 ㄴ 으로 교체되어 [종 노]로 발음된다. 섭리 의 경우, 비음이 아닌 ㅂ 이 유음(=유성자음)인 ㄹ 의 영향을 받아 비음인 ㅁ 으로 교체되어 섬 리 가 된다. 이후 비음이 아닌 ㄹ 이 비음인 ㅁ 의 영향을 받아 비음인 ㄴ 으로 교체되어 최종적으로 [섬니]로 발음된다. ② 유음화 : ㄴ 이 ㄹ (=유음)의 영향을 받아 ㄹ (=유음)로 교체되는 현상 동화 전 ㄴ 동화 후 ㄹ 찰나[찰라], 천리[철리] 앓는[알른] 찰나 의 경우, ㄴ 이 ㄹ 의 영향을 받아 유음인 ㄹ 로 교체되어 [찰라]로 발음된다. 앓는 의 경우, ㅎ 이 먼저 탈락하여 알는 이 된 후, ㄴ 이 ㄹ 의 영향을 받아 ㄹ 로 교체되어 최종적 으로 [알른]으로 발음된다. (2) 모음 동화 : ㅣ 모음 역행 동화 ㅣ 모음 역행 동화란 후설 모음(=ㅏ, ㅓ, ㅗ, ㅜ)이 전설 모음 ㅣ 를 만나 전설 모음(=ㅐ, ㅔ, ㅚ, ㅟ)으로 교체 되는 현상이다. 움라우트(Umlaut)라고 부르기도 한다. 동화 전 동화 후 ㅏ ㅐ 아기[애기] ㅔ 어미[에미] ㅚ 고기[괴기] ㅟ 죽이다[쥐기다] ㅓ ㅗ ㅜ ① 아기 의 경우, 기 의 ㅣ 가 후설모음 ㅏ 에 영향을 줘 전설모음 ㅏ 가 ㅐ 로 교체되었다. ② 애기, 에미, 괴기, 쥑이다 대부분 비표준어이며, 이를 따른 발음 역시 비표준 발음이다. 다만 다음 단어만 어원에서 멀어져 굳어진 형태이기에 표준어로 인정된다. P 냄비, 서울내기, 시골내기, 신출내기, 풋내기, 동댕이치다, 소금쟁이, 담쟁이덩굴, 멋쟁이, 골목쟁이, 발목쟁이 POINT ㅣ 모음 역행 동화가 일어날 때 에는 표기상 ㅣ 를 하나 더 추가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가령 아 기 의 ㅏ 에 ㅣ 를 추가하면 ㅐ 가 되어 애기 가 되고, 고기 의 ㅗ 에 ㅣ 를 추가하면 괴기 가 된다. 제 1 장 음운론 (1123) 2019 공무원 문법-본교재.indb 27 027 2018-06-19 오후 4:38:14
(3) 모음 조화 ① 정의 : 양성 모음(ㅏ, ㅗ)은 양성 모음끼리, 음성 모음(ㅓ, ㅜ)은 음성 모음끼리 어울리는 현상 ② 모음 조화 양상 의성어 의태어 : 퐁당퐁당 - 풍덩풍덩, 사각사각 - 서걱서걱, 졸졸 - 줄줄 용언의 활용 연결 어미(=-아/-어) 명령형 어미(=-아라/-어라) 막다 막아 막아라 먹다 먹어 먹어라 꽂다 꽂아 꽂아라 주다 줘 주어라 ③ 중세 때에는 양성 모음(=ㅏ, ㅗ, ㆍ)와 음성 모음(=ㅓ, ㅜ, ㅡ)의 대립으로 모음 조화가 잘 지켜졌으나 ㆍ 의 소실로 현대에 와서는 둘의 대립이 약해져 모음 조화가 깨어지는 양상이 많아지게 되었다. 표준어 규정에 서도 이를 반영하여 모음 조화가 깨어진 것을 표준어 삼기도 한다. 오뚝이, 깡충깡충 (4) 구개음화 동화 전 ㄷ ㅌ 동화 후 ㅈ 굳이[구지] ㅊ 같이[가치] ① 정의 : 구개음이 아닌 것(=ㄷ, ㅌ)이 ㅣ 또는 반모음 ㅣ 의 영향을 받아 구개음(=ㅈ, ㅊ)으로 교체되는 현상 ② 구개음화 조건 : 형식형태소 -이, -히- 가 결합할 때에 구개음화가 일어날 수 있다. 굳+이 구디 [구지], 같+이 가티 [가치], 굳히다 구티다 [구치다] 같이 의 경우, 같- 에다 형식 형태소인 접미사 -이 가 결합하였기 때문에 구개음화가 일어났다. 굳히다 의 경우, 굳- 에다 형식 형태소 -히- 가 결합한 후, 먼저 축약이 이루어져 구티다 가 되었다. 그 후 구개음화가 이루어져 최종적으로 [구치다]로 발음된다. ③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는 경우 : 한 형태소 내 또는 합성어처럼 실질 형태소가 결합될 때 느티나무 [느티나무], [느치나무] 이때의 이랑 은 갈아 놓은 밭 의 한 두둑과 한 고랑을 아울러 이 르는 말로 실질 형태소이다. 저기 있는 논이랑 밭은 다 내 거야! 에 서의 이랑 과 다름에 주의한다. 5 밭이랑 5 [반니랑], [바치랑] 느티나무 의 경우, ㅌ 다음에 형식 형태소가 결합한 것이 아니라 하나의 형태소 내부에 ㅌ 과 ㅣ 이 결 합한 구조이다. 따라서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아니한다. 밭이랑 의 경우, 실질 형태소 밭 과 실질 형태소 이랑 이 결합한 구조이다. 이 같은 경우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기에 [바치랑]이라고 말하지 않는다. 밭이랑 은 ㄴ첨가, 음절끝소리 규칙이 적용되어 받니 랑 이 된 후, 비음화가 이루어져 [반니랑]으로 발음된다. 028 권규호 공무원 국어 01 문법 (1123) 2019 공무원 문법-본교재.indb 28 2018-06-19 오후 4:38:14
제1장 (5) 동화의 종류 ① 동화의 방향에 따라 정의 시 순행 동화 앞 자음이 뒤 자음에 영향을 줌 종로 [종노] 역행 동화 뒤 자음이 앞 자음에 영향을 줌 밥물 [밤물] 상호 동화 앞뒤가 서로 영향을 줌 섭리 [섬니] ② 동화의 정도에 따라 정의 시 완전 동화 두 자음이 같아짐 신라 [실라] 불완전 동화 두 자음이 같아지진 않고 비슷해짐 국물 [궁물] (6) 표준 발음으로 인정되지 않는 동화 다음 2가지는 조음 위치 동화이기 때문에 표준 발음으로 인정되지 않는 동화이다. ① 연구개음화 : 연구개음이 아닌 것이 연구개음으로 교체되는 현상 숟가락 [숙까락], 밥그릇 [박끄륻], 건강 [겅강], 감기 [강기] ② 양순음화 : 양순음이 아닌 것이 양순음으로 교체되는 현상 꽃바구니 [꼽빠구니], 꽃말 [꼼말] 문제 17 국물, 줄넘기 에 나타나는 음운 규칙은 다르다. 18 저녁노을 은 ㄱ 이 ㄴ 에 동화되므로 [저녕노을]로 발음된다. 19 순리(順理) 를 [술리]로 발음하는 것은 비음이 아닌 것이 비음으로 바뀌는 현상 때문이다. 20 분리 가 [불리]로 발음되는 것은 유음화 현상 때문이다. 21 훑이다 가 [훌치다]로 발음되는 것은 치조음 ㅌ 이 ㅣ 모음 앞에서 구개음 ㅊ 으로 바뀐 시이다. 22 윷이, 빛이 가 [유치], [비치]로 발음되는 것은 구개음이 아닌 것이 구개음으로 변한 사례이다. 4. 음운의 축약 두 개의 음운이 합쳐져 하나의 음운으로 줄어드는 현상. 하나로 축약되지만 본래의 음운적 특성이 그대로 살아 남게 된다. (1) 자음 축약(=거센소리되기, 유기음화) ㅎ ㄱㄷㅂㅈ + ㄱㄷㅂㅈ ㅎ = ㅋㅌㅍㅊ 놓고[노코], 맏형[마텽] 잡히다[자피다], 앉히고[안치고] ① 정의 : ㅎ 이 ㄱ, ㄷ, ㅂ, ㅈ 과 만나 ㅋ, ㅌ, ㅍ, ㅊ 으로 합쳐지는 현상. ㅎ 과 ㄱ, ㄷ, ㅂ, ㅈ 의 순서를 바 꾸어도 동일하다. ② 특징 : 거센소리가 아닌 것이 거센소리가 되기 때문에 거센소리되기라고 지칭되기도 한다. 문제 답 17 18 21 22 19 제 1 장 음운론 (1123) 2019 공무원 문법-본교재.indb 29 20 029 2018-06-19 오후 4:38:14
(2) 모음 축약(=음절 축약) ㅡ ㅣ ㅢ 뜨+이다 - 띄다 ㅗ ㅣ ㅚ 보+이다 - 뵈다 ㅟ 누+이다 - 뉘다 ㅜ ㅣ + = ㅗ ㅏ ㅘ 오+아서 - 와서 ㅜ ㅓ ㅝ 맞추+어 - 맞춰 ㅣ ㅓ ㅕ 먹이+어 - 먹여 ① 정의 : 두 모음(=두 단모음)이 만나 하나의 모음(=이중모음)으로 합쳐지는 현상. ② 특징 : 모음의 수는 음절의 수와 동일하기 때문에 모음의 수가 줄어들면 음절의 수도 줄어든다. 그래서 음절 축약이라고도 한다. 5. 음운의 탈락 두 개의 음운 중 하나가 탈락하고 하나가 남게 되는 현상. 축약과 혼동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축약은 두 개의 음운이 만나 둘 모두 살아남지 못하고 새로운 음운으로 합쳐지지만 탈락은 두 개의 음운이 만나 하나는 남고, 다른 하나는 사라진다. (1) 자음 탈락 ① 자음군 단순화 탈락 전 탈락 후 ㄱㅅ ㄱ 몫[목] ㄴ 앉고[안꼬] ㄹ 넓다[널따] ㄹ 외곬[외골] ㄹ 핥고[할꼬] ㅂ 값도[갑또] ㄱ 닭[닥] ㅁ 삶고[삼꼬] ㅂ 읊다[읍따] ㄴㅈ ㄹㅂ ㄹㅅ ㄹㅌ ㅂㅅ ㄹㄱ ㄹㅁ ㄹㅍ 정의 : 음절 끝에 자음이 두 개가 위치할 경우, 하나가 탈락하는 현상 ② ㄹ 탈락 용언 어간에서의 ㄹ 탈락 : 매개모음 으 를 요구할 수 있는 어미 -ㄴ, -ㄹ, -ㅂ-, -ㅅ-, -오 앞에서 ㄹ 이 탈락한다. 이는 표기로 반영된다. 어미 030 정상 표기 잘못된 표기 거칠다 -ㄴ 거친 수단 거칠은 수단 날다 -는 나는 비행기 날으는 비행기 놀다 -ㄹ 나와 놀 사람 나와 놀을 사람 놀다 -ㅂ시다 같이 놉시다 같이 놀읍시다 알다 -시- 이건 아시죠? 이건 알으시죠? 권규호 공무원 국어 01 문법 (1123) 2019 공무원 문법-본교재.indb 30 2018-06-19 오후 4:38:14
이 없다. 자세한 내용은 불규칙 활용에 대한 설명을 참고하라. 제1장 라면이 불으면 에서 불으면 은 성립되는데, 이는 불으면 의 기본형이 붇다 이기 때문이다. 즉 본래 기본형에는 ㄹ 암기 필수 파생어 또는 합성어에서의 ㄹ 탈락 : ㄴ, ㄷ, ㅅ, ㅈ 앞에서 ㄹ 이 탈락한다. 이는 표기로 반영된다. 환경! 용례 불+나비 부나비 6, 딸+님 따님, 솔+나무 소나무, 물+논 무논 7, ㄴ 날+날이 나날이, 불+넘기 부넘기 8, 아들+님 아드님, 줄+낚시 주낙, 하늘+님 하느님 7 달+달이 다달이, 말+되 마되, 열+닫이 여닫이, ㄷ ㄹ 밀+닫이 미닫이, 찰+돌 차돌[石英] ㅅ 말+소 마소, 불+삽 부삽 9, 불+손 부손, 활+살 화살, 물+수리 무수리 10 바늘+질 바느질, 물+자위 무자위 11, 쌀+전 싸전 12, 울+짖다 우짖다, ㅈ 찰+조 차조 13, 찰+지다 차지다 한자어 불(不) 의 ㄹ 탈락 : 한자어 불(不) 의 ㄹ 은 ㄷ, ㅈ 앞에서 탈락한다. 환경 불(不)+당(當) 부당(不當) ㅈ 물이 괴어 있는 논 8 방고래가 시작되는 어귀에 조 금 높게 쌓아 불길이 아궁이로부 터 골고루 방고래로 넘어가게 만 든 언덕 9 아궁이나 화로의 재를 치거나, 숯불이나 불을 담아 옮기는 데 쓰 는 조그마한 삽 10 황샛과의 물새 11 물을 높은 곳으로 퍼 올리는 기 계 용례 ㄷ 불 6 국립국어원에서는 불나비 도 표준어로 인정하고 있다. 불(不)+정(正) 부정(不正) 12 쌀과 그 밖의 곡식을 파는 가게 13 찰기가 있는 조 ③ ㅅ 탈락 탈락 전 탈락 후 ㅅ 긋다: 그어, 그으니, 그었다 짓다: 지어, 지으니, 지었다 정의 : 불규칙 활용을 하는 용언 어간에 ㅅ 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를 만나서 탈락하는 현상. 자세한 내용은 불규칙 활용을 참고하라. ④ ㅎ 탈락 음절 끝 ㅎ 뒤에 모음이 올 때 탈락 전 ㅎ 탈락 후 낳은[나은] 놓아[노아] 음절 끝에 겹자음 ㄴㅎ, ㄹㅎ 뒤에 모음이 올 때 탈락 전 탈락 후 ㄴㅎ, ㄹㅎ ㄴ, ㄹ 많아[마:나], 싫어도[시러도] 앓은[아른], 닳아[다라] ㅎ 탈락은 용언의 활용에서만 인정되며, 명사의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전화 : [전:화], [저:놔] 철학 : [철학], [처락] 제 1 장 음운론 (1123) 2019 공무원 문법-본교재.indb 31 031 2018-06-19 오후 4:38:14
(2) 모음 탈락 ① ㅡ 탈락 탈락 전 탈락 후 ㅡ 끄다 : 꺼. 껐다. 쓰- + -어라 : 써라 정의 : ㅡ 는 아, 어 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탈락한다. ② 동모음 탈락 탈락 전 탈락 후 ㅏ, ㅓ 가+아가 건너+어서건너서 정의 : 동일 모음이 연속될 때 하나가 탈락한다. 시험에서 묻는 축약 과 탈락 문제 14 수의적인 현상이란 규칙성을 지녀서 법칙대로 나타나는 현상 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난다는 의미이다. 한자어에서는 ㄴ 첨가 잘 일 어나지 않는 경향이 있다고는 하 나, 휘발유(揮發油)[휘발류] 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외가 많다. 15 여기에 써라 쓰+어라 써라 ㅡ 탈락 바느질 바늘+질 바느질 ㄹ 탈락 소나무 솔+나무 소나무 ㄹ 탈락 들러 들르+어 들러 ㅡ 탈락 갔다 가+았+다 갔다 동모음(=ㅏ) 탈락 네가 와서 오+아서 와서 축약 구멍이 막혀 막혀[마켜] 축약 거기 둬 두+어 둬 축약 23 맏형, 미닫이 에는 두 음운이 합쳐져서 하나의 음운으로 줄여 소리 나는 현상이 나타난다. 24 둬, 써라, 막혀 에 나타나는 음운 변동의 성격은 같다. 25 소나무, 바느질, 들러 에 나타나는 음운 변동의 성격은 같다. 6. 사잇소리 현상과 사이시옷 (1) 사잇소리 현상 ① 정의 : 두 개의 형태소가 결합되는 상황에서 ㅅ 이나 ㄴ 이 첨가되는 경우. ② ㄴ 첨가 : 뒷말이 ㅣ 나 반모음 ㅣ 로 시작할 때 ㄴ 이 첨가될 수 있다. 솜-이불[솜니불], 휘발-유[휘발류], 콩-엿[콩녇] ㄴ 첨가는 수의적인 현상 14 으로 규칙성이 없으므로 필수적으로 암기해야 한다. 15 간염[가:념], 금요일[그묘일], 월요일[워료일] 다음 단어들은 ㄴ 첨가가 나타난 것과 나타나지 않은 것 모두를 표준발음으로 삼기도 한다. 이죽-이죽[이중니죽/이주기죽] 야금-야금[야금냐금/야그먀금] 이글이글[이글리글/이그리글] 욜랑-욜랑[욜랑뇰랑/욜랑욜랑] 금융[금늉/그뮹] 녈/거ː멸] 검열[검ː 문제 답 23 032 24 25 권규호 공무원 국어 01 문법 (1123) 2019 공무원 문법-본교재.indb 32 2018-06-19 오후 4:38:14
제1장 밭이랑 의 발음 : 밭이랑 의 경우 이랑 이 갈아 놓은 밭의 한 두둑과 한 고랑을 아울러 이르는 말 이라면 실질 형태소이므로 ㄴ 첨가가 나타나 [반니랑]이 된다. 그러나 이랑 이 접속 조사라면 형식형태소이므 로 구개음화가 일어나 [바치랑]이 된다. 밭+이랑 밭+이랑 밭+니랑 ㄴ 첨가 바티랑 연음 받+니랑 음끝(홑받침) 바치랑 구개음화 반+니랑 비음화 [바치랑] [반니랑] ③ ㅅ 첨가 : 합성어가 만들어질 때 선행 어근은 유성음으로 끝나고, 후행 자음은 된소리나 거센소리가 아닐 때, ㅅ 이 첨가될 수 있으며, 조건에 부합할 때 ㅅ 을 표기하기도 한다. 손-등[손뜽] : 손 과 등 사이에 ㅅ 이 첨가되었기 때문에 된소리되기가 나타난다. 그러나 ㅅ 이 표기로 나타낼 자리가 없으므로 표기로는 반영하지 않는다. 부싯-돌[부싣똘/부시똘] : 부시 와 돌 사이에 ㅅ 이 첨가되었기 때문에 된소리되기가 나타난다. 또한 ㅅ 을 표 기할 자리가 있기 때문에 ㅅ 을 표기한다. 표준 발음에서는 ㅅ 으로 인해 나타나는 선행 어근의 받침소리 ㄷ 은 발음하지 않아도 된다고 본다. 따라서 부싯돌 은 [부싣똘/부시똘] 모두 발음할 수 있다. 손+등 부시+돌 손+ㅅ+등 ㅅ 첨가 부싯+돌 ㅅ 첨가 손+ㄷ+등 음끝(홑받침) 부싣+돌 음끝(홑받침) 손+ㄷ+뜽 된소리되기 부싣+똘 된소리되기 [손뜽] [부싣똘] or [부시똘] ㅅ 첨가 역시 수의적인 현상으로 동일한 조건에서 일어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반창고[반창고] ㅅ 첨가 현상이 반영된 발음과 반영되지 않은 발음을 모두 허용하는 경우도 있다. 관건[관건/관껀], 교과[교ː과/교ː꽈], 김밥[김ː밥/김ː빱], 반값[반ː갑/반ː깝], 불법[불법/불뻡], 효과[효ː과/효ː꽈], 분수[분쑤/분수], 점수[점쑤/점수], 함수[함ː쑤/함ː수], 안간힘[안깐힘/안간힘] ㅅ 첨가와 ㄴ 첨가가 함께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사+일 삿+일 ㅅ 첨가 삿+닐 ㄴ 첨가 삳+닐 음끝(홑받침) 산+닐 비음화 [산닐] 제 1 장 음운론 (1123) 2019 공무원 문법-본교재.indb 33 033 2018-06-19 오후 4:38:14
④ 주의해야 할 사잇소리 현상 사잇소리가 일어나지 않는 경우 개정으로 인해 [관건/관껀] 모 두 가능해 졌다. 16 17 개정으로 인해 [김:밥/김:빱] 모두 가능해 졌다. 18 개정으로 인해 [불법/불뻡] 모 두 가능해 졌다. ㅅ 첨가가 나타나지 않는 것 ㄴ 첨가가 일어나지 않는 것 암기 필수! 간단, 관건 16, 김밥[김:밥] 17, 고가도로, 고래기름, 교과서, 농사일, 등기, 동아줄, 머리말, 모래 집, 반대말, 반창고, 방법, 불법 18, 불장난, 사말, 유리잔, 인사말, 창고, 창구, 치수 간염, 강요, 굴욕, 금연, 금요일, 담임, 밀약, 분열, 선열, 송별연, 육이오, 월요일, 촬영, 함유 ⑤ 사잇소리와 의미 분화 : 사잇소리 유무에 따라 의미가 분화되기도 한다. 나무집[나무집] : 나무를 재료로 만든 집 나무+집 나뭇집[나무찝/나묻찝] 머리방[머리방] : 나무를 판매하는 집 : 미용실 머리+방 머릿방[머리빵/머릳빵] : 안방 뒤에 딸린 작은 방 잠자리[잠자리] : 곤충 잠자리[잠짜리] : 잠을 자기 위한 자리 잠+자리 발음 양상 유형 된소리되기 (뒷말의 첫소리가 안울림 사소리) 19 이 같은 경우 사이시옷을 집어 넣어 부싯돌 로 적는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되는 사이시옷 단원 에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경우 ㄴ 이 덧나는 경우 (모음+ㅁ, ㄴ/ 뒷말이 ㅣ ㄴ 이 첨가되는 ㄴㄴ 이 ㅅ, ㄴ 이 (뒷말이 ㅣ 경우 모두 또는 반모음 ㅣ ) 손+등 [손뜽] 부시+돌(부싯돌) 첨가되는 설명 : 앞말 손 이 유성 자음 ㄴ 으로 끝났기에 뒷말 등 의 첫소리 ㄷ 이 된소리 ㄸ 으로 변했다. [부시똘] 19 : 앞말 부시 가 유성음인 ㅣ 로 끝났기에 뒷말 돌 의 첫소리 ㄷ 이 된소리 ㄸ 으로 변했다. 코+날(콧날) : 앞말 코 가 유성음인 ㅗ 로 끝났기에 ㅅ 이 첨가되어 코날 [콘날] 또는 반모음 ㅣ ) 덧나는 경우 한글 맞춤법에서 다시 한 번 자 세히 다루도록 한다. 내용이 중복 되지만 그만큼 중요한 내용이기 때문에 2번 배우는 것이 좋다. ㅅ 이 첨가되는 양상 이 아닌 [콘날]로 발음된다. 솜+이불(솜이불) [솜니불] : 앞말 솜 이 유성음인 ㅁ 로 끝났기에 ㄴ 이 첨가되어 솜이 사+일(삿일) [산닐] : 앞말 사 가 유성음인 ㅏ 로 끝났기에 ㄴㄴ 이 첨가되어 사일 이 아닌 [산닐]로 발음된다. 불 이 아닌 [솜니불]로 발음된다. 경우 (2) 사이시옷 20 표기 20 ① 정의 : 사잇소리 현상이 나타났을 때 표기하는 ㅅ, 앞말의 받침에 표기한다. ② 조건 결합상 조건 : 합성어여야 하고, 우리말이 최소 하나 이상이어야 하고,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야 한다. 또한 뒷말이 된소리거나 거센소리로 시작해서는 안 된다. 외래어는 무조건 안된다. 시가(市價)[시:까] : 시가 는 사잇소리 ㅅ 이 첨가되었지만 우리말이 없고 한자어로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표기하지 않는다. 즉 싯가 로 적으면 잘못이다. 피자집[피자찝] : 피자 가 외래어이므로 사이시옷 없이 피자집 으로 쓴다. 뒤뜰[뒤뜰] : 뒤뜰 은 사잇소리가 나타나지도 않고 또한 뒷말이 된소리로 시작하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표기하지 않는다. 개펄[개펄] : 개펄 역시 사잇소리가 나타나지도 않고, 또한 뒷말이 거센소리로 시작하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표 기하지 않는다. 발음상의 조건 :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거나, ㄴ 이 덧나거나, ㄴㄴ 이 덧나야 한다. 034 권규호 공무원 국어 01 문법 (1123) 2019 공무원 문법-본교재.indb 34 2018-06-19 오후 4:38:14
제1장 ③ 사이시옷 양상 제30항 사이시옷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받치어 적는다. 1. 순 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고랫재 21 귓밥 나룻배 나뭇가지 (2)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멧나물 22 아랫니 텃마당 아랫마을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도리깻열 23 뒷윷 두렛일 뒷일 21 방고래에 모여 쌓인 재 22 산나물 23 도리깨의 한 부분 24 개인의 사사로운 일 25 안둘렛간 밖에다 딴 기둥을 세 워 만든 칸살 2.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귓병 머릿방 뱃병 봇둑 곗날 제삿날 훗날 툇마루 (2)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사삿일 24 가욋일 삿일 훗일 3. 두 음절로 된 다음 한자어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25 횟수(回數) ④ 사이시옷을 적지 않는 경우 P POINT 분류 사례 고깃국, 골칫거리, 귓밥, 끗발, 나룻배, 나뭇잎, 냇가, 냇물, 댓가지, 두렛일, 뒷 1 고유어+고유어 머리, 뒷일, 머릿기름, 멧나물, 모깃불, 못자리, 바닷가, 뱃길, 베갯잇, 부싯돌, 위의 표를 통해 먼저 이해하자. 반 드시 암기해야 할 내용들은 표준 발음법 및 한글 맞춤법에 기재돼 있다. 빨랫줄, 선짓국, 아랫니, 아랫마을, 얘깃거리, 잇몸, 장맛비, 주쳇덩어리, 콧등, 킷값, 허드렛일, 헛소리, 혓바늘 가욋-일(加外-), 곗-날(契-), 귓-병(-病), 대푯-값(代表-), 뒷-간(-間), 사이시옷 표기 뒷-수습(-收拾), 등굣-길(登校-), 머릿-방(--房), 사잣-밥(使者-), 샛-강 2 한자어+고유어 (-江), 아랫-방(--房), 삿-일(例事-), 우윳-빛(牛乳-), 자릿-세(--貰), 장밋-빛(薔薇-), 전셋-집(傳貰-), 제삿-날(祭祀-), 찻-집(茶-), 최댓-값(最 大-), 칫-솔(齒-), 텃-세(-勢) 3 한자어+한자어 외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횟수(回數) 개수(個數), 내과(內科), 마구-간(馬廏間), 맥주잔(麥酒盞), 백지장(白紙張), 4 한자어끼리의 결합 소주잔(燒酒盞), 소주병(燒酒甁), 수라-간(水刺間), 시가(市價), 시구(詩句), 이과(理科), 이점(利點), 장미과(薔薇科), 전세-방(傳貰房), 제상(祭床), 초점 (焦點), 화병(火病), 화증(火症), 허점(虛點), 호수(號數) 우리말이 하나 이상 5 사이시옷 들어가 있지만 사잇소리가 나지 않는 것 구레-나룻, 농-지거리(弄---), 머리-글, 머리-글자, 머리-말, 반대-말(反 對-), 소리-글자, 인사-말(人事-), 치수(-數), 편지-글 미표기 6 사이시옷이 결합되지 않는 헷갈리는 것 귓대기 귀때기, 콧배기 코빼기, 판잣대기 판자때기 개펄(갯펄 cf)갯벌), 귀때기(귓대기 ), 나루터(나룻터 ), 뒤꽁무니(뒷꽁무니 7 뒷말 처음이 ), 뒤꿈치(뒷꿈치 ), 뒤뜰(뒷뜰 ), 뒤편(뒷편 ) 발뒤축(발뒷축 ), 아래층 거센소리나 된소리 (아랫층 ), 위쪽(윗쪽 ), 위층(윗층 ), 코빼기(콧빼기, 콧배기 ), 판자때 기(판잣때기 ) 제 1 장 음운론 (1123) 2019 공무원 문법-본교재.indb 35 035 2018-06-19 오후 4:38:14
7. 교체 축약 탈락 첨가 그리고 동화 음운 변동은 교체 축약 탈락 첨가로 구분이 가능하다. 학자들에 따라 동화 현상을 교체 현상과 분리하여 보 기도 한다. 그래서 교체 동화 축약 탈락 첨가로 나눌 수도 있다. (1) 교체 축약 탈락 첨가 교체 26 학자들에 따라서 된소리되기 를 동화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그 러나 일반적인 것은 아니다. 교체 음절 끝소리 현상 중 홑받침 규칙, (대치) 비음화, 유음화, 구개음화, 된소리되기 축약 자음 축약(=거센소리되기), 모음 축약 탈락 동화 음절 끝소리 현상 중 홑받침 규칙, 된소리되기 비음화, 유음화, 구개음화, 모음조화, (된소리되기?) 26 축약 자음 축약, 모음 축약 ㄹ, ㅎ, ㅅ, ㅡ 탈락, 동모음 탈락 탈락 자음군 단순화, ㄹ, ㅎ, ㅅ, ㅡ 탈락, 사잇소리 현상 첨가 사잇소리 현상 음절 끝소리 현상 중 겹받침 규칙(=자음군 단순화), 첨가 동모음 탈락 ① 교체 : 교체란 하나의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것을 말한다. 가령 음절 끝소리 현상 중 홑받침 규칙의 경우, ㅅ, ㅆ 등이 음절 종성에 위치하게 되면 ㄷ 으로 교체된다. 이를 대치 현상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넓은 관점에서는 동화 역시 교체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비음화의 경우, 비음이 아닌 것이 비음으로 교체되 기 때문이다. ② 동화 : 음운 변동 중 동화 현상이 일어나면 영향을 주고받은 음끼리 서로 닮아간다. 하지만 음절 끝소리 현 상 중 홑받침 규칙이 적용된 것은 그렇지 않다. 이 차이점에 주목하여 동화를 교체와 달리 두는 학자들도 있다. ③ 축약 : 축약은 두 음운이 새로운 음운으로 합쳐지는 것이다. 축약의 결과로 생겨난 음운은 두 음운의 자질 을 모두 가지게 된다. ㅎ 이 ㄱ, ㄷ, ㅂ, ㅈ 등과 합쳐지는 자음 축약이나 모음이 합쳐져 이중 모음이 되 는 모음 축약이 이에 속한다. ④ 탈락 : 탈락은 두 음운이 만나 둘 중 하나가 없어지는 것이다. 음절 끝소리 현상 중 자음군 단순화가 대표적 인 탈락 현상이다. ⑤ 첨가 : 첨가는 새로운 음운이 하나 첨가된 것이다. 사잇소리 현상은 모두 특정 음운이 첨가로 볼 수 있다. 도치 : 한 단어 안에 있는 두 음소나 두 음절이 서로 자리를 바꾸는 현상을 뜻한다. 도치에는 복[臍] 이 곱 을 거 쳐서 배꼽 가 된 현상이 속하는 음소 도치나, 시혹[或] 이 혹시 가 된 현상이 속하는 음절 도치 등이 있다. (2) 주의해야 하는 현상 ① 자음군 단순화와 연음 : 겹받침으로 끝나는 단어 다음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가 오게 되면 겹받침 중 하나가 자연스럽게 연음된다. 닭+이 의 경우 겹받침 ㄹㄱ 중 ㄱ 이 연음되어 두 번째 음절의 첫소리로 이동된다. 이 같은 경우는 자음군 단순화가 아니다. 자음군 단순화는 탈락 현상이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처럼 연음이 나타날 경우, 음운이 위치 이동을 할 뿐, 탈락되는 것이 아니다. 닭+이 [달기] ② 비음화와 ㄴ 첨가 : 비음화와 ㄴ 첨가를 혼동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ㄴ 첨가를 비음화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은데 ㄴ 첨가는 음운이 없는 데서 새로운 음운이 추가된 첨가 현상이다. 가령 솜이불 의 경우, ㄴ 이 첨 가되어 [솜니불]이 되는데, 이는 ㅇ 이 ㄴ 으로 교체된 것이 아니다. ㅇ 은 표기상 존재할 뿐, 실제로는 발 음이 되지 않는다. 이와 달리 비음화는 비음이 아닌 음운이 비음으로 교체된 현상이다. 가령 국물 의 ㄱ 036 권규호 공무원 국어 01 문법 (1123) 2019 공무원 문법-본교재.indb 36 2018-06-19 오후 4:38:14
제1장 은 비음이 아니지만 ㅁ 의 영향을 받아 ㅇ 으로 바뀌게 된다. 이렇게 특정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교체될 때 비음화가 될 수 있다. 문제 26 앞만 에는 음절 끝소리 규칙과 비음화가 모두 나타난다. 27 몇 해 는 음절의 끝소리 규칙 에 의해 [멷해]가 되고, 다시 축약에 의해 [며태]로 소리 난다. 28 교체의 로 부엌[부억], 탈락의 로 굳이[구지] 를 들 수 있다. 8. 음운 변동의 순서 주요 규칙의 순서 도출 /깻+잎/ /앞+만/ /옷#한#벌/ /훑+고/ /옷#로비/ 압만 옫한벌 훌ㄷ고 옫 로비 / /몇+해/ 구개음화 사잇소리 현상 깻닙 음절의 끝소리 깯닙 (ㅅ 27, ㄴ 첨가) 27 멷해 ㄷ 으로 보는 학자도 있음 규칙(교체) 며태 오탄벌 자음축약 훌ㄷ꼬 된소리되기 훌꼬 자음군 단순화 장애음의 비음화 깬닙 온 로비 암만 올로비, 온노비 유음화, /ㄹ/의 비음화 [깬닙] [암만] [오탄벌] [훌꼬] [올로비], [온노비] [며태] 여덟도 는 외적인 현상으로 자음군 단순화 를 먼저 적용시킨 후에 된소리되기 를 적용시킨다. (1) 주의해야 할 ㅎ 발음 ① 않던[ ], 닳지[ ], 낮 한때[ 않는[ ], 쌓다[ ] ], 닿소[ ], 놓는[ ], 놓아[ ], 문제 답 26 27 28 제 1 장 음운론 (1123) 2019 공무원 문법-본교재.indb 37 037 2018-06-19 오후 4:38:14
꽂히다[ ] : 음절끝소리? 축약? 꽂히다 는 ㅈ 과 ㅎ 이 축약돼 [꼬치다]로 발음되는 것으로 본다. 다음처럼 음절 끝소리 규칙(교체) 축약 구개음화의 과정을 겪지 않는다. 도출 /꽂히다/ /꽂히다/ 구개음화 사잇소리 현상 (ㅅ, ㄴ 첨가) 꼳히다 음절의 끝소리 규칙(교체) 자음축약 꼬치다 꼬티다 된소리되기 자음군 단순화 장애음의 비음화 (구개음화) 유음화, 꼬치다 /ㄹ/의 비음화 (2) 숨어 있는 음절 끝소리 현상(교체) 겉모양[건모양] 의 경우, 음절 끝소리 현상(교체)이 적용되어 걷모양 으로 바뀐 후, 비음화가 적용되어 [건 모양]으로 최종 발음된다. 그러나 음운 변동의 순서를 지키지 않으면 자칫 ㅌ 이 곧장 동화되어 ㄴ 으로 나 타났다고 착각할 수도 있다. 다른 음운 변동은 순서를 지키지 않더라도 발음과 비교해 보면 직관적으로 파 악되지만, 음절 끝소리 현상(교체)은 음운 변동의 순서를 따르지 않으면 자칫 놓치는 경우 많으니 주의해야 한다. (3) 기어[기어/기여] 는 첨가일까? 교체일까? 기어 는 [기여]로 발음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 경우 첨가로 봐야 할까 교체로 봐야 할까? 전자는 반모음 ㅣ 가 첨가되어 ㅓ 가 ㅕ 가 되었다는 입장이고, 후자는 ㅓ 가 ㅕ 로 교체되거나, 기 의 ㅣ 에 동화되어 ㅕ 로 동화되었다고 보는 입장이다. 최근 시험에서는 이를 첨가로 보았지만 교체나 동화로 보는 입장도 있으니 주의해야 되겠다. 문제 29 교체 의 로는 안팎[안팍] 을 들 수 있다. 30 물엿 의 경우, 교체 현상이 나타난다. 31 색연필 은 첨가, 교체 현상이 나타나 [생년필]로 발음된다. 문제 답 29 038 30 31 권규호 공무원 국어 01 문법 (1123) 2019 공무원 문법-본교재.indb 38 2018-06-19 오후 4:38:14
mem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