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 KISEP Original Artic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Vol 45, No 5 한국판정신질환의내재화된낙인척도의신뢰도및타당도연구 용인정신병원세계보건기구협력기관 황태연 이우경 한은선 권의정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Internalized Stigma of Mental Illness Scale (K-ISMI) Tae-Yeon Hwang, MD, PhD, Woo-Kyung Lee, MA, Eun-Seun Han, MD and Eui-Jung Kwon, MD WHO Collaborating Center for Psychosocial Rehabilitation and Community Mental Health, Yongin Mental Hospital, Yongin, Korea Objectives:The Internalized Stigma of Mental Illness (ISMI) scale designed to measure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stigma with sub-scales measuring Alienation, Stereotype Endorsement, Perceived Discrimination, Stigma Resistance, and Social withdraw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ISMI. Methods:The subjects were 194 schizophrenic patients and 205 peoples with depressive disorder. K-ISMI, CES-D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and Self Esteem scale were performed. Results:Results showed that the ISMI had high internal consistence and split-half reliabilities.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s (Cronbach alpha) of each subscale ranged from.83 to.93. The validity of the ISMI was investigated by principal axis factoring analysis, yielding 5 factors of alienation, perceived discrimination, negative stereotype, stigma resistance, devaluation and social withdrawal. 5 subscales explained 60.67% of total variance. Concurrent validity was supported by comparisons against scales measuring related constructs. As expected, the ISMI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CES-D, and it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scale. Subsidiary analysis showed that schizophrenic patients showed higher internalized stigma than depressed patients. Conclusion:Overall, the findings support the utility of ISMI as a tool to evaluate internalized stigma of persons with mental illness. Interventions that can lessen internalized stigma may well hasten the recovery process in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6;45(5):418-426) KEY WORDS:Internalized stigma Alienation Perceived discrimination Stigma resistance. 서 고대그리스에서낙인 (stigma) 이란 표시 (sign) 혹은 자국 (mark) 을의미하는것으로도덕적으로결함있는사람들과노예혹은범죄자처럼피해야하는사람의몸을손상시키거나태워일반인들과식별하기위해고안된것이었다. 사회학자인 Goffman 1) 은현대적인의미에서 낙인 이란용어를재정립하면서, 마음속에완전히정상적 접수일자 :2006 년 7 월 5 일 / 심사완료 :2006 년 8 월 21 일 Address for correspondence Tae-Yeon Hwang, M.D,, Ph.D. WHO Collaborating Center for Psychosocial Rehabilitation and Community Mental Health, Yongin Mental Hospital, Sanghadong, Giheung-gu, Yongin 446-769, Korea Tel:+82.31-288-0206, Fax:+82.31-288-0363 E-mail:lilymh@dreamwiz.com 본연구는용인정신의학연구소의연구비지원으로이루어졌음. 론 인인간에서보잘것없는인간으로평가절하하여끌어내리는것 이라고제안하면서, 낙인찍힌사람은추방된느낌이나열등감을느낀다고보았다. 또한낙인을세가지종류, 즉신체적인낙인, 성격상의단점, 인종이나종족에대한낙인으로구분하였고각각은다른사람들과구분하는특징을개인에게부여하는것으로보았다. 사회심리학에서는성이나인종, 종교집단에관련된기존의차별이나고정관념에대한연구들이활발하게이루어져왔다. 2) 이러한연구들이정신과영역으로확장되면서, 정신질환자들이경험하는차별대우, 편견및낙인에대한연구들이이루어지게되었다. 낙인이정신질환을지닌사람들에게미치는고통스럽고파괴적인영향중의하나는자신이더이상사회의온전한구성원이아니라고여기게된다는것이다. 이러한현상에대해 Link 등 3) 은 418
수정된낙인이론 (modified labeling theory) 을제안하면서, 정신질환이발병하기이전부터사회화과정에서 정신질환자 에대한부정적인개념을형성하고, 정신과치료를받게될경우이러한부정적인개념을내면화하여자신에게적용하게된다고설명하였다. 뿐만아니라낙인은정신질환자의자기개념, 취업, 사회적지지망에부정적인영향을미치고, 질병을재발시키거나새로운질환을유발시킬수도있다고주장하고있다. 또한 Corrigan 4) 은내재화된낙인 (internalized stigma) 의개념을제시하면서정신질환자들이자기자신에게부정적인고정관념을적용시키고, 그결과로자신을평가절하하거나자신에대해수치심을느끼고사회적으로철수하게된다고보았다. 정신질환자가경험하는낙인에대한연구는크게일반대중들이정신질환자들을어떻게인식하고대우하는가에관한사회적낙인 (social-stigma) 에대한연구와정신질환자가스스로를어떻게지각하느냐 (self-stigma) 에관한연구로크게구분해볼수있다. 우선, Cohen과 Struening 5) 은정신질환자에대한일반대중의태도를평가하기위한선구적인연구를진행하였다. 일반인들이정신질환자를어떻게지각하고인식하는가에대한연구들은국내에서도꾸준히이루어져왔다. 예를들어농촌이나도서주민등일반인들을대상으로한연구 6) 의대생및간호학생들을대상으로한연구 7) 지역사회지도자 8) 및군인 9) 정신질환자의가족 10) 등다양한대상자들을대상으로하여이들이정신질환자에대해지니는편견에관한연구들을수행하였다. 일반대중들이정신질환자를어떻게지각하고행동하는가에관한연구에비해, 정신질환자가 정신질환을앓고있는자신 의모습을살펴보고자한연구는상대적으로부족한편이다. 제한적이긴하지만, 정신질환이있는사람이자신을인식하는정도를평가하기위한연구노력이있었다. 일례로, Link 등 3) 은다각적인노력을통하여정신질환자들이경험하는낙인관련경험들을평가하고자시도하였다. 이들은정신질환자들과일반인들을대상으로하여평가절하-차별척도를개발하면서, 정신질환자에대한응답자들의지각을평가하였다. 또한정신질환자들을대상으로낙인- 위축 (stigma-withdrawal) 척도를개발하여응답자들이사람들로부터받는차별대우를회피하기위해사회적관계로부터철회하는양상을평가하기도하였다. 또한 Wahl 11) 은정신질환자들이과거낙인과차별에대한경험에대해응답하도록한척도를개발하여연구에적용하였다. 앞서살펴보았듯이, 국내에서진행된연구들중환자 의낙인에영향을주고있는일반인들의정신질환자에대한태도조사는다양한집단들을대상으로다각적인연구가이루어져왔지만, 정작정신질환을앓고있는환자들스스로가자각하는낙인과이에영향을주는요인에관한연구는소수에불과하다. 12,13) 또한이런연구들조차도입원치료중인환자들을대상으로하여연구를실시한경우가많고, 14) 실제일반인들과접촉하는빈도가높은지역사회에서거주하는환자들을대상으로한연구는거의없는실정이다. 그러므로내재화된낙인척도에대한타당화작업은향후임상장면에서적용될사용될경우, 증상감소와더불어낙인감소를위한연구들을촉진시키는데도움을줄것이다. 본연구에서는정신질환자가스스로에대해서낙인을내재화하고있는지를평가할수있는도구인 Internalized Stigma of Mental Illness Scale(ISMI) 의한국어판개발을위한타당도연구를수행하고자하며, 이를임상현장에적용하여, 환자들의낙인현상에관한연구를촉진하고자한다. 방법 대상본연구는본병원 IRB 심사후허가를받아서 2004년 6월부터 9월까지시행하였고, 연구대상자는수도권인근에거주하면서정신보건센터에출석중이거나서비스를제공받고있거나입원치료중인정신분열병및우울장애환자, 대학병원에서외래치료를받고있는우울장애환자들이참가하였으며, 연구에동의하는경우동의서작성후시행하였다. 평가도구인구통계학적정보연구참가자의기초적인정보를수집하기위하여성별, 연령, 생년월일, 학력, 교육정도, 교육년수, 결혼상태, 수입, 진단명, 유병기간등총 9개항목에대해자료를수집하였다. ISMI(Internalized stigma of mental illness scale) Ritsher 등 15) 이개발한자기보고척도로써, 처음에는 55 문항으로구성되었으나요인분석을통하여문항간상관이낮은문항을제거하고총 29개항목으로이루어져있다. 리커트식 4점척도로되어있고, 전혀아니다 (1점), 아니다 (2점), 그렇다 (3점), 매우그렇다 (4점) 에표시하도 419
록되어있다. 이척도는사회의온전한구성원의일부가아니라는주관적경험혹은손상된정체감 (spoiled identity) 을평가하는소외 (Alienation) 6문항, 정신질환을지닌사람에관한보편적인고정관념에응답자들이동의하는정도를나타내는고정관념인정 (stereotype endorsement) 7문항, 타인들이응답자를어떻게대하는지에관한응답자의지각을평가하는차별경험 (discrimination experience) 5문항, 사회적으로위축되어있는정도를평가하는사회적위축 (social withdrawal) 6문항, 내재화된낙인에의해영향을받지않거나이에대한저항경험을평가하는낙인극복 (stigma resistance) 5문항으로구성되어있다. 얻어진하위요인들의점수들을합산하여점수를얻게되며, 이때낙인극복은역산하여점수를환산하게된다. 점수가높을수록정신질환에대한부정적인태도를내재화한정도가높으며, 자기자신에대한태도가부정적임을의미한다. 한국어판 CES-D(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20문항으로이루어진자기보고형우울평가도구로서지난일주일동안의우울증상에대해 4단계로평가하도록되어있다. 본연구에서는조맹제와김계희 16) 에의해타당화작업이이루어진한국어판 CES-D 를사용하였다. 자기존중감 (Rosenberg self-esteem scale) 개인의자아존중감, 자기존중정도와자아승인양상을측정하는도구로서, Rosenberg 17) 가개발한척도를사용하였다. 이척도는긍정적자아존중감 5문항과부정적자아존중감 5문항으로구성되어있으며, Likert 식척도로 거의그렇지않다 =1, 항상그렇다 =4 점에응답하게되어있으며, 점수범위는 10점에서 40점까지로점수가높을수록자아존중감이높은것이다. 자료분석전체 394명의혼자들에게서얻은자료를이용하여먼저각문항과해당되는하위척도간, 그리고전체척도와각하위척도간의상관분석을실시하였다. 그다음에각하위척도와전체척도의내적합치도 (Cronbach α) 와반분신뢰도를계산하였다. 다음으로구성타당도를구하기위해 ISMI 의요인분석을실시하여내적인구조를밝혔다. 결과 인구통계학적특성표 1에는조사대상자의인구통계학적특성이제시되어있다. 조사대상자는입원치료중인정신질환자가 97 명이었으며, 외래치료중인정신질환자가 302명이었다. Table 1. Demographic data Variabl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otal (n=399) Schizophrenia (n=194) Depression (n=205) Age (year) 046.12 (14.46) 037.96 (09.49) 53.5±14.5.000 Duration of disease 010.63 (08.73) 011.48 (07.36) 009.73 (09.93) NS Treatment setting Sex Education Marriage NS:Not significant Inpatient 097 (24.3) 097 (50) 105 (100%).000 Outpatient 302 (05.7) 097 (50) M 160 (40.1) 104 (53.6) 056 (27.4).004 F 239 (59.9) 090 (46.4) 149 (72.6) Middle school or lower 150 (37.5) 061 (31.5) 089 (43.4).004 High school 183 (45.9) 105 (54.1) 078 (38.0) College 059 (14.8) 027 (13.9) 032 (15.6) Graduate school 003 (00.8) - 003 (01.5) No response 004 (01) 001 (00.5) 003 (01.5) Unmarried 170 (42.6) 137 (70.6) 033 (16.1).000 Married 150 (37.6) 015 (07.7) 135 (65.9) Divorced 042 (10.5) 031 (16) 012 (05.9) Separation by death 018 (04.5) 002 (01) 016 (07.8) Others 019 (04.8) 009 (04.7) 009 (04.4) p 420
조사대상자의연령은 15세에서 63세까지의남녀각각 160명과 239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46.12세 (±14.46) 였으며, 교육연한은 12.16 년 (±9.32) 이었다. 평균발병연령은 34.98세 (±15.42) 였고, 유병기간은최저 1년에서최고 42년이었으며, 평균유병기간은 10.63 년 (±8.73) 이었다. 학력수준을살펴보면, 중졸이하가 150명 (37.5%), 고졸이 183명 (45.9%), 대졸이 59명 (14.8%) 이었으며, 무응답이 4명으로나타났다. 결혼상태는미혼이 170명 (42.6%), 기혼이 150명 (37.6%), 이혼이 42명 (10.5%), 기타가 37 명 (9.3%) 인것으로나타났다. 세부진단별기준은정신분열증이 194 명 (48.6%) 이었고, 우울장애가 205 명 (51.4%) 인것으로나타났다. 정신분열병집단과우울증집단간연령, 성별, 교육수준등의차이를검증한결과연령 (p<.000), 치료형태 (p<.000), 성별 (p<.004), 교육 (p<.004) 등에서두군간에차이가나타났다. 그러나유병기간에서는두군간에유의미한차이가나타나지않았다. 요인구조한국판 ISMI 의구성타당도를검증하기위해 29개문항에대해요인분석을실시하였다. 요인추출방법은주축분해법 (principal axis factoring) 을사용하였으며고유가 (eigenvalue) 가 1 이상인요인만을채택하였다. 최종요인구조를얻기위한회전방식은요인간상관이유의미할것으로가정하여사각회전방식을채택하였다. 요인분석결과표 2에서와같은 5가지요인이추출되었으며, 5가지요인의전체설명변량은 60.67% 로나타났다. 요인 1은총 7문항으로구성되어있으며, 정신질환때문에사람들과사회적으로어울리지못하고고립되어있는것을반영하는문항들을포함하고있기때문에 고립감 이라고명명하였다. 총 6문항으로구성된요인 2는정신질환으로인해다른사람으로부터차별을경험하는것을포함하고있어서 차별경험 하위차원으로명명하였다. 요인 3은총 6문항으로구성되었으며, 정신질환이없는사람들에비해자신을열등하다고지각하는것을포함하여부정적인고정관념을포함하고있는문항으로구성되어있어 부정적인고정관념 이라고명명하였다. 총 5문항이포함된요인 4는정신질환이있어도사회에큰기여를할수있고멋진삶을살수있다고생각하는등내재화된낙인에영향을받지않고저항하는것을나타내는문항들이므로 낙인극복 이라고명명하였다. 마지막으로요인 5는총 5문항으로구성되어있으며, 정신질환자인자신이실망스럽고사람들과잘어울리 Table 2. analysis of K-ISMI Items 1 2 3 4 5 01.54.21.51 - - 02.36.26.45 - - 03.74.25.30.15-04.23.38.25 - - 05 - - -.14.17.29 06.41.26.54.19-07.54.32.19.21 -.12 08.56.41.32.19-09.35.59.37.11-10 - -.15 -.63 11.21.30.62.19-12.19.20.11.46 -.14 13.71.29.24.15 -.12 14.41.52.33.26-15 - - - -.85 16.31.27.62.17 -.11 17.31.32.24.40-18.48.35.30.24-19.24.71.25.22-20 - - -.12.70 21.19.30.67.22-22.14.22.19.69.71 23.49.45.19.34-24.21.67.37.26-25 - - -.15 -.52 26.26.29.52.26-27 - - -.58.15 28.25.20.21.54.11 29.34.71.22.14 - 고유가 11.19 2.77 1.45 1.13 1.03 설명변량 38.59 9.58 5.02 3.89 3.57 Principal axis factor analysis, oblique rotation. ISMI-Internalized Stigma of Mental Illness Scale, 1:Alienation, 2: Perceived discrimination, 3:Negative stereotype, 4:Stigma resistance, 5:Devaluation and social withdrawal 지못하는것등이포함되어있어 평가절하와사회적위축 이라고명명하였다. 신뢰도 : 내적일관성 (Cronbach α계수 ) 과교정된문항- 총점간상관한국판 ISMI 의하위척도에속해있는문항별로산출된교정된문항-총점간상관계수가표 3에제시되어있다. 분석결과고립감 (alienation;factor 1) 하위척도문항들의교정된문항-총점간상관계수는.73에서.85 였고, 차별경험 (perceived discrimination;factor 2) 하위척도문항들의교정된문항총점간상관계수는.64 421
에서.83에걸쳐있었고, 부정적고정관념 (negative stereotype;factor 3) 하위척도는.71에서.81, 낙인극복 (stigma resistance ; factor 4) 하위척도는.64 에서.80, 평가절하와사회적위축 (devaluation and social withdrawal;factor 5) 하위척도문항들의교정된문항 - 총점간상관계수는.54에서.81의분포를나타내었다. 각하위척도간의상관한국판 ISMI 의각하위척도간의, 그리고각하위척도와전체척도간의상관분석을실시하였고, 그결과를표 4에제시하였다. 표 4에서와같이각하위척도간의상관계수범위는 -.11 에서.77로나타났고, 모든하위척도간의상관은요인 5를제외하고정적으로유의미하였다. 또한하위척도와전체척도간의상관계수는요인 6 하위척도 (.15) 가가장낮았고요인 2 하위척도 (.89) 가가장높았으며모두정적으로유의미한상관을나타냈다. 신뢰도 (Cronbach α) ISMI 의각하위척도와전체척도의신뢰도분석을실시하였다. 하위척도의내적합치도 (Cronbach α) 는 α=.83 (Devaluation and Social withdrawal) 에서 α=.93(alienation) 의신뢰도계수를보였으며, 전체척도의신뢰도계수는 α=.91 을나타냈다. 또한각하위척도의 Spearman-Brown 반분신뢰도는 α=.91에서 α=.95의범위를나타내었고, 전체척도의반분신뢰도는 α=.91로나타났다. Table 3. Correlation with subscale and item-total correlation of K-ISMI Subscale Number of items and contents Item-total correlation 1 01. 정신질환때문에세상으로부터소외감을느낀다.76 (alienation) 03. 정신질환이없는사람들은나를이해할수없을것이다.85 2 (perceived discrimination) 3 (negative stereotype) 4 (stigma resistance) 5 (devaluation and social withdrawal) 07. 정신질환자에대한편견은나에게도예외가아니다.73 08. 사람들은나를보면정신질환자라는것을알아차린다.82 13. 나는정신질환자이기때문에사회에어떤기여도할수없다.84 18 정신질환이있기때문에아무도나와친하고싶어하지않는다.77 23. 사람들과함께있는자리가내게어울리지않는것같고부적절하게느낀다.78 04. 정신질환이있다는사실이수치스럽고당혹스럽다.64 09. 정신질환자들은폭력적이다.82 14. 정신질환때문에사람들이날차별한다.80 19. 내가가지고있는정신질환이남들에게부담을줄까봐내이야기를많이하지않는다.83 24. 사람들이나를거부할까봐가까이하는것을피한다.83 29. 정신질환자로살아가다보니점점강해지는것같다.83 02. 정신질환때문에인생을망쳤다.71 06. 정신질환이없는사람들에비해나는열등하다.78 11. 정신질환자들은행복하고가치있는삶을살수없다.80 16. 정신질환자라고나를무시하거나별볼일없이여기는사람들이있다.81 21. 정신질환에대한부정적인인식때문에나는세상으로부터동떨어져지내고있다.81 26. 대체로나는내가원하는대로살아갈수있다..75 12. 정신질환자는결혼하면안된다.64 17. 사람들은정신질환자라는이유로나를보호하려들거나어린아이취급한다.70 22. 내가족이나친구가나때문에난처해하지않도록항상사람들과같이있는자리를피한다.80 27. 정신질환이있지만멋진인생을살수있다.70 28. 정신질환을가지고있어도사회에큰기여를할수있다..72 05. 정신질환자인나자신이실망스럽다.54 10. 정신질환때문에결정을내릴때다른사람의도움이필요하다.71 15. 사람들은내가정신질환때문에살아가면서큰일을이룰수없을거라고생각한다.81 20. 정신질환으로인해내가남들에게이상하게보이거나행동하게될까봐전처럼사람들과잘사귀지않는다 25. 나는정신질환이있는사람들과함께있어도편안하다.65.76 422
Table 4. Correlation among subscale of K-ISMI Subscale (n=394) Table 5. Correlations between ISMI subscale and related variables ISMI subscale 1 2 다른척도들과의상관분석 3 4 5 Total CES-D.40*.52*.45*.40*.20*.54* Self esteem -.41* -.46* -.46* -.36* -.26* -.54* *:p<.01 Table 6. Differences between schizophrenics and depressed patients Schizophrenia (n=194) M (SD) Depressive disorder (n=205) 1 14.79 (03.25) 11.83 (04.69) 10.22* 2 15.78 (03.22) 13.32 (03.78) 7.31* 3 11.45 (02.90) 08.49 (03.20) 7.67* 4 13.99 (03.17) 11.27 (04.15) 4.07* 5 11.90 (02.36) 13.31 (02.82) -5.38* Total score 39.23 (11.71) 36.28 (13.35) 7.37* *:p<.001 1 2 3 4 5 1 1.00 2.77 1.00 3.77.74 1.00 4.58.55*.54 1.00 5 -.08 -.03 -.11*.13 1.00 Total score Total score.88.89.87.75.15 1.00 *:p<.5, :p<.01 한국판 ISMI 척도의공존타당도를확인하기위해 ISMI 와우울척도, 자존감척도와의상관을살펴보았다. 표 5에는내재화된낙인을평가한 ISMI 와우울감, 자기존중감간의상관이제시되어있다. ISMI 의하위척도들과우울척도인 CES-D 간의상관분석결과, 요인 1 이.40의상관을보였고, 요인 2는.52, 요인 3은.45, 요인 4는.40, 요인 5는.20의상관을보여 ISMI 의하위척도와우울감은일관되게정적상관을나타내는것으로나타났다. 또한자존감척도와상관분석결과, 요인 1은 -.41, 요인 2는 -.46, 요인 3은 -.46, 요인 4 는 -.36, 요인 5는 -.26 의상관을보여 ISMI 와자존감은유의하게부적상관을나타내는것으로나타났다. 정신분열병집단과우울증집단간의차이표 6에는진단에따른변량분석결과가제시되어있다. 정신분열병집단과우울장애집단으로구분하여 t 검증을실시한결과, 요인 1은 t=10.22, p<.001, 요인 2는 t= t Tabel 7. The differences between outpatients and inpatients among schizophrenics Schizophrenia M (SD) Outpatients (n=97) 7.31, p<.001, 요인 3은 t=7.67, p<.001, 요인 4는 t= 4.07, p<.001로정신분열병환자집단이우울증집단에비해더높은것으로나타났다. 요인 5는 t=-5.38 로우울증집단이정신분열병집단에비해더높은것으로나타났다. 전체점수는 t=7.37, p<.001로정신분열병집단이우울증집단에비해더높은수준의내재화된낙인을경험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입원중인정신분열병환자와외래치료중인정신분열병환자비교표 7에는정신분열병환자들의치료형태에따른차이분석결과가제시되어있다. 정신분열병집단을외래환자군과입원환자군으로구분하여 t 검증을실시한결과, 요인 3에서 t=3.79, p<.05 로외래환자군이입원환자군에비해더높은것으로나타났다. 나머지요인들에서도외래환자군이입원환자군에비해내재화된낙인을더많이경험하는것으로나타났지만통계적으로유의미한차이는없었다. 고 본연구에서는 Link 3) 의수정된낙인이론을기반으로하여, 정신질환자들이사회화되는동안정신질환자들에대해가지는내재화된낙인을측정하는한국판 ISMI 의신뢰도와타당도를조사하였으며, 우울증환자집단과정신분열증환자집단간의차이를살펴보았다. 정신분열병환자 194명과우울증환자 205명을대상으로한척도의신뢰도와타당도를조사한결과, 신뢰도와타당도가비교적양호하게나타났다. 내적일관성신뢰도의경우, 소외, 차별, 부정적고정관념, 낙인저항, 평가절하와사회적철회척도의 Cronbach α계수가모두.80을넘어모두내적일관성이양호하였다. 교정된문항-총점간상관분석결과에서는소외, 차별경험, 부정적고정관념, 낙인 찰 Inpatients (n=97) 1 16.43 (04.07) 15.72 (03.61) 1.65 2 14.39 (02.90) 13.55 (03.32) 1.86 3 15.38 (02.94) 14.51 (03.24) 3.79* 4 11.05 (02.51) 10.85 (02.67) 0.27 5 11.94 (02.43) 11.82 (02.27) 0.13 Total score 39.23 (11.71) 36.28 (13.35) 1.78 *:p<.05 t 423
저항네척도는.50에서.88정도로높게나타났다. 하지만평가절하및사회적철회하위척도의경우다른하위척도들과의상관이낮게나타났다. 요인분석을통해구성타당도를알아본결과, 원척도의요인분석결과를토대로예상한것과는다르게문항이묶이기는하였으나모든척도에서요인부하량이높게나타났다. 요인 1( 고립감 ) 이고유치 11.19 에전체변량의 38.59% 를설명하고요인 2( 차별경험 ) 가고유치 2.77 에전체변량의 9.58% 를설명하였고, 요인 3( 부정적고정관념 ) 은고유치 1.45 에설명변량이 5.02% 였고, 요인 4( 낙인극복 ) 는고유치 1.13 에전체변량의 3.89% 를설명하였고, 요인 5( 평가절하와사회적위축 ) 는고유치 1.03 에전체변량의 3.57% 를설명하여총 60.67% 의설명변량을보였다. 본연구의요인분석결과가 Ritsher 등 15) 의요인분석과가장다르게나타난점으로는원척도에서는낙인극복하위척도가요인부하량이낮게나타났지만본연구에서낙인극복과관련된문항들은문항총점과도상관이높게나타났고다른하위척도들에묶인몇문항을제외하고구성타당도도높은것으로나타났다. 따라서원논문에서는낙인극복이내재화된낙인의소외, 고정관념시인, 차별경험, 사회적위축과는다른심리측정적속성을지닌것으로보았으나본연구결과를볼때, 낙인극복은다른하위척도들과도관련성이높은개념으로, 내재화된낙인을인식하고이를극복할수있을만한자원이나심리적변인으로앞으로더탐색해야할요인으로사료된다. 한국판 ISMI 와관련척도와의공존타당도를분석한결과, 본연구에서정신질환자가경험하는내재화된낙인의하위요인인소외, 차별경험, 부정적고정관념, 낙인극복, 평가절하와사회적위축은우울기분과는일관되게정적인상관을나타내고있으며, 자기존중감과는일관되게부적인상관을나타내고있어내재화된낙인이우울기분, 자기존중감과밀접한관련성이있는것으로나타났다. 두환자군의차이분석을위한변량분석에서나타난결과를살펴보면, 내재화된낙인의소외감, 차별경험, 부정적고정관념, 낙인극복하위척도에서는정신분열병으로진단받은응답자들이우울장애로진단받은응답자들보다더높은수준의낙인을경험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평가절하와사회적위축의경우에는정신분열병환자군에비해우울증환자군이높은것으로나타나고있다. 이는내재화된낙인이정신분열병환자들의사회적관계를비롯하여생활전반에더치명적인영향을미친다 424 고본 Ritsher 등 15) 의연구와비슷한결과이다. 정신분열병환자들을입원환자와외래환자로구분하여분석한결과에서는외래환자군이입원환자군에비해전반적으로내재화된낙인을더많이경험하는것으로나타났다. 이는외래환자군이입원환자군에비해일상생활에서사회적차별을더많이지각하고이로인해내재화된자기낙인을더많이경험하고있음을시사한다. 본연구의제한점으로는한국판정신질환의내재화된낙인척도의신뢰도검증시검사재검사신뢰도를구하지않은점을들수있다. 본연구의의의는우선정신분열병환자뿐만아니라우울증환자를포함하여좀더많은피험자를통해신뢰도와타당도를확인한데있다. 또한사회적낙인외에도내재화된자기낙인이환자들의자존감이나우울증과밀접한관련이있다는결과를통해내재화된낙인이지속적인질병과정이나다른해로운결과의위험요인이될수있다는것을밝힌것에있다. 이와관련하여내재화된낙인에서높은점수를얻은것이향후결과변인에서좋지못한예후를예측할수있을지예언타당도 (predictive validity) 를확인하는것이필요해보인다. 한편우울감이나낮은자기존중감은정신질환으로인해발생하는것으로볼수도있으나, 낙인과의관련성을살펴보면, 인과관계가불분명한측면이있으며, 이부분역시후속연구가필요할것으로보인다. 또한선행연구들에서는환경적인변인으로가족들의지지정도가낙인형성에큰영향을미치고 13) 사회적응에도기여하며질병에대한교육참가경험여부역시낙인에영향을미친다고제안하고있다. 정신분열병은사회적응을위한재활치료와지역사회의도움이매우필요한질환이며, 우리나라와같이사회문화적인편견이강한사회에서는낙인의영향을가장직접적으로받는질환이기도하다. 이로인하여조기에적절한치료적접근과재활의기회가차단될수있으므로정신질환자를대상으로한낙인극복프로그램의개발뿐만아니라정신질환자의가족들을대상으로한교육프로그램이필요할것으로여겨진다. 이러한교육프로그램은정신질환을가지고있는사람들의회복과정을촉진시켜줄수있을것이다. 중심단어 : 내재화된낙인 고립감 차별경험 낙인극복 REFERENCES 1) Goffman E. Stigma: Notes on the management of Spoiled Identity.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man;1963. p.123-133. 2) Crocke J, Major B, Steele C. Social stigma. In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Vol. 2 (4th ed). Boston. McGraw-Hill;1998. p.504-553. 3) Link BG, Cullen F, Struening E, Shrout P. Modified Labeling Theory Approach to Mental Disorder; An Empirical Assessment. Am Sociol
Rev 1989;54; 400-423. 4) Corrigan PW. The impact of stigma on severe mental illness. Cognitive and Behavioral Practice 1998;5:201-222. 5) Cohen J, Struening EL. Opinion about mental illness: hospital differences in attitude for eight occupation groups. Psychol Rep 1965;17: 25-26. 6) Won HT, Kim MJ, Kim KI.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mental illness in a Korean rural community. J Koream Neuropsychiatr Assoc 1977;16 :113-123. 7) Chai IY, Cho DY. Effect of psychiatric clerkship on the attitude toward mental illness. J Koream Neuropsychiatr Assoc 1986;25:167-180. 8) Ahn DH, Rhi BY. Community leaders reactions to mental disorders. Seoul Journal of Psychiatry 1986;11:281-297. 9) Kim HS. A study the cognition and attitude toward psychiatric disorders of the military leaders. J Koream Neuropsychiatr Assoc 1993; 32:85-95. 10) Choi YS. Family views about social stigma of mental illness patient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96;15:69-89. 11) Wahl OF. Mental heal consumers experience of stigma. Schizophr Bull 1999;25:467-478. 12) Seo MK. Measuring perceived stigma and coping by psychiatric patients. Mental Health & Social Work 1994;1:145-158. 13) Han KL, Kim SW, Lee MS. s affecting stigma of schizophrenic Patient. J Koream Neuropsychiatr Assoc 2002;41:1185-1196. 14) Sung JM. A study on the Perceived Stigma and Coping Orientations of Discharged Psychiatric Patients (dissertation). Seoul: Soong Sil Univ.;1996. 15) Ritsher JB, Phelan JC. Internalized stigma predicts erosion of morale among psychiatric outpatients. Psychiatry Res 2004;129:257-265. 16) Cho MJ, Kim KH.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 (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Ⅲ-R major depression. J Koream Neuropsychiatr Assoc 1993;32:381-399. 17)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1965. p.125-136. 425
부 록 한국판정신질환의내재화된낙인척도 (K-ISMI) 전혀매우아니다그렇다아니다그렇다 01 정신질환때문에세상으로부터소외감을느낀다 02 정신질환때문에인생을망쳤다 03 정신질환이없는사람들은나를이해할수없을것이다 04 정신질환이있다는사실이수치스럽고당혹스럽다 05 정신질환자인나자신이실망스럽다 06 정신질환이없는사람들에비해나는열등하다 07 정신질환자에대한편견은나에게도예외가아니다 08 사람들은나를보면정신질환자라는것을알아차린다 09 정신질환자들은폭력적이다 10 정신질환때문에결정을내릴때다른사람의도움이필요하다 11 정신질환자들은행복하고가치있는삶을살수없다 12 정신질환자는결혼하면안된다 13 나는정신질환자이기때문에사회에어떠한기여도할수없다 14 정신질환때문에사람들이날차별한다 사람들은내가정신질환때문에살아가면서큰일을이룰수없을거라고 15 생각한다 16 정신질환자라고나를무시하거나별볼일없게여기는사람들이있다 17 사람들은정신질환자라는이유로나를보호하려들거나어린아이취급을한다 18 정신질환이있기때문에아무도나와친하고싶어하지않는다 내가가지고있는정신질환이남들에게부담을줄까봐내이야기를많이 19 하지않는다 정신질환으로인해내가남들에게이상하게보이거나행동하게될까봐 20 전처럼사람들과잘사귀지않는다 정신질환에대한부정적인인식때문에나는세상으로부터동떨어져지내고 21 있다. 내가족이나친구가나때문에난처해하지않도록항상사람들과같이있는 22 자리를피한다. 23 사람들과함께있는자리가내게어울리지않는것같고부적절하게느껴진다 24 사람들이나를거부할까봐가까이하는것을피한다 25 나는정신질환이있는사람들과함께있어도편안하다 26 대체로나는내가원하는대로살아갈수있다 27 정신질환이있지만멋진인생을살수있다 28 정신질환을가지고있어도사회에큰기여를할수있다 29 정신질환자로살아가다보니점점강해지는것같다 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