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DIOLOGY 청능재활 RESEARCH PAPER 2015;11(4):348-365 ISSN 1738-9399 Copyright c 2015 Korean Academy of Audiology 우리나라영유아의발성발달연구 A Study for Development of Vocal Production in Korean Normal Hearing Infants 1 한림대학교자연과학대학언어청각학부, 2 한림대학교일반대학원언어병리청각학과 김진숙 1 조은빛 2 마선미 2 박연경 2 윤지은 2 Jin Sook Kim 1, Eun Bith Cho 2, Sun Mi Ma 2, Yeon Kyoung Vark 2, and Ji Eun Yoon 2 1 Division of Speech Pathology and Audiology, Research Institute of Audiology and Speech Path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s, Hallym University, Chuncheon 2 Department of Speech Pathology and Audiology, Graduate School, Hallym University, Chuncheon, Korea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1 18 months old pre-linguistic vocal development with production pattern, then,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systematical structured rehabilitation program to induce normal vocal development for Korean hearing impaired infants. Thirty normal hearing infants participated in study. At first, this study analyzed early vocal development of 1 ~ 18 months infants to analyze normal hearing normal Korean infants' vocal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SAEVD-R. They were divided into six age groups, 1 2, 3 5, 6 8, 9 12, 13 15, 16 18 months. The results showed that early vocal development of 1~18 month infants with normal hearing produced plenty of the lower level vocal productions, such as vegetative sound, crying, quasi-resonant nuclei decreased. But the higher level vocal productions, such as vowels, consonants, and monosyllables increased as they grow. Infants started to produce vowels, /a/(/ ㅏ /), /w/(/ ㅡ /), /e/(/ ㅔ /), from 3 month, /ʌ/(/ ㅓ /), /o/(/ ㅗ /), /ɛ/(/ ㅐ /), /i/(/ ㅣ /), /u/(/ ㅜ /) at 4 5 months, and /wi/(/ ㅟ /), /ɸ/(/ ㅚ /), /ju/(/ ㅠ /), /wʌ/(/ ㅝ /), /jo/(/ ㅛ /) diphthongs at 16 18 months. When the consonant production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lace of articulation, the bilabial sounds, such as /m/(/ ㅁ /) and /b/(/ ㅂ /) appeared first followed by velar sounds, such as /g/(/ ㄱ /), /m/(/ ㅁ /) and labiodental sounds, such as /n/(/ ㄴ /) and /d/(/ ㄷ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early vocal development pattern for normal Korean infants can be sorted. This study and other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SAEVD-R is inadequate to assess and analyze Korean infants' vocal development accurately because it is focused on English mother tongue babys' early vocal development. And it showed slight difference on the order and amount of production for early vocalization. Further, the Korean assessment tool for early vocal development for Korean infants should be developed. Key words: Pre-linguistic vocal development, Vowels, Consonants, SAEVD-R 논문접수일 : 2015 년 6 월 11 일논문수정일 : 2015 년 8 월 11 일게재확정일 : 2015 년 9 월 13 일교신저자 : 김진숙, 강원도춘천시한림대학길 1 한림대학교자연과학대학언어청각학부 Tel: (033) 248-2213, 전송 : (033) 256-3420 E-mail: jskim@hallym.ac.kr INTRODUCTION 생후 2주에서 15개월까지를영아 (infant) 라하며영아기 (infancy) 란말은라틴어의 infans, 말을하
J Kim et al. : Development of Vocal Production in Infants 349 지않는다 는뜻에서유래되었다. 이시기의아가들은과연용어에서의미하는대로아무말이없을까? 말은없다. 그러나울음과그들만의독특한의사소통방식인다양한발성등이있다. 만 1세미만은영아초기이며이시기에는울음, 가성적울음, 쿠잉, 옹알이와같은구어발달의단계를거친다. 자신의존재를이세상에처음으로알리는울음같은발성행위를시작으로다양한발성을통해타인과의사소통을하며무의미적발성에서의미적발성으로발달하게되며모국어의음운체계를듣고연습하게된다. 그러므로이러한언어이전기의발성은매우중요한언어의일부이며앞으로아동이사용할말의뿌리이다. 영아의발성이실질적의사소통의도구인말과연결된다는이론은여러연구에서증명되었다 (McCune et al., 2001; Oller et al., 1995; Piaget, 1952, 1962). 말은학습을통해배우는것이아니라선천적으로가지고태어난다는이론 (Chomsky, 1968, 1975) 과일반적인학습으로언어및의사소통이발달한다는이론 (Behme & Deacon, 2008) 은대립적이지만서로상호보완적으로작용하는것으로알려져있다. 영유아는태내에서이미초분절적인정보를습득하고태어나고 1 6개월시기에초분절적인정보와분절적인정보에대해인지학습을하는것으로생각된다. 이를이용하여태아는청각적정보뿐만아니라말소리의정보를기억으로암호화한다. 이러한영유아의능력은 Kisilevsky et al.(2003, 2009) 연구에서이시기의영유아는외국어보다모국어를선호하는능력을갖추고있으며엄마목소리를다른여성의목소리보다선호한다는내용으로증명되었다. 분절적정보는성인과같이음향-음소적정보를범주화하여지각한다 (Liberman et al., 1957). 또한, 음소목록에대한민감도는언어경험의효과로서, 모국어를음소의범주로조직화하고잘사용하지않는언어를주변소음으로간주하여모국어의언어경험을더욱풍부하게한다고연구자들은보고하고있다 (Tsushima et al, 1994; Werker & Lalonde, 1988; Werker & Tees, 1984). 이러한경험을바탕으로영유아의발성이나타 나는데초기언어발달의행위로울음, 가성적울음, 쿠잉 (cooing) 등단계적으로나타난다고연구자들은보고하고있다 (Elbers, 1982; Oller, 1980). 7 12개월의영유아는청각인지과정에서학습을통하여초분절적인정보를조직화하고의미있는분절적인정보를배우는데초점을두며네가지학습메커니즘, 인지기억, 연관학습, 통계적학습, 사회적상호작용과경험에대한동기유발을통하여학습한다 (Houston, 2011). 그중인지기억은영유아의듣기에가장기본적인요소로서청각장애영유아의경우청각인지보다는시각인지가우선되지만, 신생아의청각적반응은태내와신생아기의청각인지능력이우수함을증명하고있다. 연관학습은소리를무성음과유성음을성대진동시작시간 (Voice onset time, VOT) 등을이용하여범주화시켜언어습득을할수있도록도와준다. 4개월, 7개월, 10개월영유아를대상으로 VOT를이용한범주화로말소리를이해할수있는지확인한연구에서는 7개월부터소리를범주화하는능력을배우며 10개월에모든범주를이해하여세분화하는능력이향상된다고보고하여 (Younger & Cohen, 1986) 이시기에연관학습을하는것을증명하였다. 통계적학습은말소리를들으면시각적으로추정할수있는능력이생기면서공간-시각적패턴의인지능력을향상되게한다. 예를들어집은편안하지만다른공간은불안하여울음을터트리는등의현상은영유아가공간과직면한상황을판단하는능력이통계적학습을통하여생긴것으로분석할수있다. 사회적상호작용과경험에대한동기유발의학습은동기와필요성을느낄때언어를빨리배우며 (Bloom & Tinker, 2001), 성장을하면서인지적, 사회적, 언어적요소에따라말소리인지능력이달라진다는것을의미한다. 이렇게조직화한정보를바탕으로발성수준의운율과단어수준의운율을학습하고, 분절적정보를습득하여발성을발달시키게된다. 생후 12개월까지영유아는월령이증가함에따라인지언어적인측면과말산출기관의해부생리적인측면의발달이점진적으로이루어지면서, 생리적인소리가대부분인초기
350 AUDIOLOGY 청능재활 2015;11(4):348-365 발성을바탕으로여러가지자음과모음이포함된복잡한형태의옹알이로발전해나간다. 영유아의발성발달단계는초기발성인울음, 가성적울음, 쿠잉을거쳐옹알이로연결되는구어발달의단계를거친다. 이시기에는이러한다양한발성을통해타인과의사소통하며무의미적발성에서점차의미적발성으로발달하여모국어의음운체계를습득한다. 이와같은영유아의말소리인지단계에따른영유아의발성발달은청각장애영유아의경우도따라야하는과정으로청각장애영유아의청능재활에단계적이고체계적으로포함되어야할부분이다. 청각장애영유아도정상영유아와비슷한발성발달과정을거친다고생각할때청각장애영유아의재활에포함되어야할목록과단계로기준을정하여조기재활의계획을수립하여야한다. 따라서조기청능재활의자료로사용할수있는우리나라영유아의발성발달패턴과이를외국선행연구와비교하여모국어에따른언어전발성발달에차이를확인하고한국형발성발달도구를제작하는것이필요하다. 영유아의초기발성발달은의사소통뿐만아니라언어음생성과도밀접한관련있으며성장에따 라말산출과언어습득이연계되어있어영유아의발성과음소발달을촉진하는역할을한다 (Locke, 1983; Stoel-Gammon, 1992). 이러한초기발성발달을평가하고분석하는도구로 Nathani et al.(2006) 은 The Stark Assessment of Early Vocal Development-Revised (SAEVD-R) 라는평가도구를개발하였고전세계적으로꽤널리사용되고있다. 이는 Stark(1980) 와 Oller(1980) 에의해제안된유아의발성발달단계인 SAEVD 에서사용된정의와발성유형을수정한도구이다. SAEVD-R 은영유아의발성을분류하고특징짓기위해 23개의발성유형을사용하였다. 발성유형은이중모음과자곤 (jargon) 을포함한다섯단계로하위부터상위음절단계로체계적으로구성되어있다. 발성단계에따른발성종류는 Table 1과같고발성의정의는 Appendix 에제시하였다. 각발성종류의발성정의는 Nathani et al.(2006) 의자료를근거로각발성종류를분석하기쉽도록본연구팀에서재제작하였다. 특히 SAEVD-R 에서는우리나라영유아의독특한발성으로나타난긍정적대답의의미인 응 은분석되지않아, 본연구에서는이도발성정의에포함시켜함께분석하였다. Table 1. 발성단계에따른발성종류 단계 1 단계 1 2 개월반사적발성단계 2 단계 1 4 개월발성조절단계 3 단계 3 8 개월확장단계 4 단계 5 10 개월기본음절단계 5 단계 9 18 개월상위음절단계, 발전된음절단계 발성종류 생리적인소리 (vegetative, VEG), 울음 (crying Sound, CR), 불완전공명핵 (quasi-reconant nuclei, Q), Q2 완전공명핵 (fully resonant nucle, F), F2, 유사자모음 (cv), cv2, 웃음 (chuckle, CH) 모음 (vowel, V), V2 모음성활음 (vowel Glide, Vg), 흡기음 (ingressive sound, IN), 비명 (squeal, SQ), 유사옹알이 (marginal bablling, MB) 자모음단음절 (consonant-vowel, CV), 음절성옹알이 (canonical babbling, CB), 속삭임 (whisper, WH), 자모음음절과자음조합 (consonant-vowel combination, CV-C), 다음절 (disyllables, CVCV), 응 복합음절 (complex syllables, CMPX), 자곤 (jargon, JN), 이중모음 (diphongs, DIP) 모음은크게단모음과이중모음으로나뉜다. 단모음이란소리를낼때입술이나혀가움직이지않는모음을말하고, / ㅏ /, / ㅐ /, / ㅓ /, / ㅔ /, / ㅗ /, / ㅚ /, / ㅜ /, / ㅟ /, / ㅡ /, / ㅣ / 가이에속한다. 이중모음이란소리를낼때, 입술이나혀가움직이는모음을말하며, / ㅑ /, / ㅕ /, / ㅛ /, / ㅠ /, / ㅒ /, / ㅖ /, / ㅘ /, /
J Kim et al. : Development of Vocal Production in Infants 351 ㅝ /, / ㅙ /, / ㅞ /, / ㅢ / 가이에속한다. 단모음은다시, 발성이되는시점의혀의위치에따라전설모음인 / ㅐ /, / ㅔ /, / ㅚ /, / ㅟ /, / ㅣ / 와중설모음인 / ㅏ /, / ㅓ /, / ㅡ / 와후설모음인 / ㅗ /, / ㅜ / 로나뉘고, 입술모양에따라원순모음인 / ㅗ /, / ㅚ /, / ㅜ /, / ㅟ / 와평순모음인 / ㅏ /, / ㅐ /, / ㅓ /, / ㅔ /, / ㅡ /, / ㅣ / 로나뉘며, 혀의높이에따라고모음인 / ㅜ /, / ㅟ /, / ㅡ /, / ㅣ / 와, 중모음인 / ㅓ /, / ㅔ /, / ㅗ /, / ㅚ /, 저모음인 / ㅏ /, / ㅐ / 로나뉜다. 자음은조음방법과조음위치에따른분류로구분하여, 조음방법에따라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비음, 유음으로나뉘며, 파열음에는 / ㄱ /, / ㄲ /, / ㄷ /, / ㄸ /, / ㅂ /, / ㅃ /, / ㅋ /, / ㅌ /, / ㅍ /, 파찰음에는 / ㅈ /, / ㅉ /, / ㅊ /, 마찰음에는 / ㅅ /, / ㅆ /, / ㅎ /, 비음에는 / ㄴ /, / ㅁ /, / ㅇ /, 유음에는 / ㄹ / 이속한다. 또한, 조음위치에따라양순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후음으로나뉘는데, 양순음에는 / ㅁ /, / ㅂ /, / ㅃ /, / ㅍ /, 치조음에는 / ㄴ /, / ㄷ /, / ㄹ /, / ㄸ /, / ㅌ /, / ㅅ /, / ㅆ /, 경구개음에는 / ㅈ /, / ㅉ /, / ㅊ /, 연구개음에는 / ㄱ /, / ㄲ /, / ㅇ /, / ㅋ /, 후음에는 / ㅎ / 이속한다. 현재국내영유아의의사소통및발성에대한자료는아주오래전에수집되었거나 ( 조명한, 1982), 대부분의연구는말이산출된이후인 2세이후에집중되어있고 ( 최은희, 2000), 국내외대부분의발성발달평가도구들은발성이아닌다른발달혹은언어영역들을중점적으로포함하고있으며, 말소리의음운적인특성을연구한내용이많다. 배재연 & 고도흥 (2010) 은 1 18개월의영유아를대상으로발성발달을포함하였으나생리적인소리및자 모음이나음소의산출에대한자료를제외한음성발달 12개의유형으로정리하여보고하여영유아의발성을평가하는데어려움이있다. 문희원 & 하승희 (2012), 하승희외 (2014) 연구에서도 SAEVD-R 을사용하였으나, 5 개월이하의영유아는포함되지않아영유아의초기발성을평가하는데제한점이있다. 김진숙외 (2012) 연구에서는 1 ~ 18개월영유아의발성발달과정을 SAEVD-R 로분석하였는데, 연령이증가할수록하위단계발성인생리적소리, 울음등 은감소한반면상위단계인모음, 자음, 단음절등의발성들이산출되기시작한다고보고하였다. 음소산출빈도의경우, 모음은중설모음인 / ㅏ / 가가장먼저발달되며, 자음은조음위치에따른분류에서양순음, 치조음, 연구개음순으로산출되었고, 조음방법에따른분류에서파열음과비음이가장많이산출되었다. 그러나참여인원이적고개월별발화수의자료에차이가있어이를보완해야한다고연구자들은지적하고있다. 따라서본연구는좀더많은대상자의발성발달자료를이용하여우리나라영유아들의발성발달단계를체계적으로분석하고확인하고자한다. 우선영유아의대표적인발성발달평가도구인 SAEVD-R 의다섯단계의분석기준으로한국영유아의특징적인발성들을분석하고세부적인내용을정리하여 1 18 개월의발성발달패턴을분석하고자한다. 또한, 우리나라영유아의독특한발성발달과정과자음및모음의음소발달특성에대하여살펴보고이를 SAEVD-R 과비교하여우리나라정상영유아의발성발달과정을이해하고자한다. 이러한정상발성발달과정에대한이해와분석은청각장애영유아의정상적발성발달과음소발달을유도할수있는청능재활의기초자료를제시할수있을것이다. MATERIALS AND METHODS 1. 연구대상발성발달수집을위해 1 18개월정상영유아 30 명 ( 남 : 13명, 여 : 17명 ) 을대상으로하였다. 청각적결함이없는영유아를대상으로하였으며, 부모와의상담및동영상촬영시관찰을통하여, 발달상의문제가없음을확인하며촬영을진행하였다. 각개월별참여인원은 1 ~ 2개월 10명, 3 ~ 5개월 19명, 6 ~ 8 개월 15명, 9 ~ 12개월 20명. 13 ~ 15개월 12명, 16 ~ 18개월 16명이었으며, 영유아의성장에따라 30명의발성을해당월령에서분석하였다.
352 AUDIOLOGY 청능재활 2015;11(4):348-365 2. 자료수집정상영유아의발성을수집하기위해동영상촬영이진행되기전영유아의부모님들께연구의방법과목적에대한설명을한후부모님의동의와협조로촬영이진행되었다. 3대의캠코더 (Sony model SOC-HDR-XP100, SOC- HDR_XR150, SOC-HDR-XR300) 를이용하여 2009 년 11 월부터 2014 년 12월까지부모가직접촬영을하거나연구자가영유아의집을방문하여촬영을진행하였다. 촬영은다양한상황의발성을수집하고자 2012 년에발표한선행연구 ( 김진숙외, 2012) 와동일한 4 개의구조적인상황-부모와상호작용, 혼자놀기, 수유중, 기타-으로나누어진행하였다. 상황중기타는잠을잔후, 수유후, 목욕후등그외발성이잘되는상황들로구성하였다. 한종류의발성상황을한개의발화수로분류하였고각개월별로각상황당 5회촬영으로총 20회를기준으로하였다. 1회의총촬영분량은발화수가 40개에해당하는촬영분량으로구분하여 1개의세션 (session) 으로분류하였다. 40개의발화수를기준으로세션을구분하였기때문에촬영시간에대한기준을정하지않았고촬영후촬영일자, 촬영상황, 촬영자, 촬영시간을바로기록하도록하였다. 3. 자료분석수집된동영상을보면서영유아의발화를듣고 SAEVD-R 의다섯단계로분석하였다. 분석시모든음성자료는동영상편집프로그램 ( 다음팟인코더 v 2.0 BETA) 을이용하여편집하였다. 발성은 SAEVD- R을기준으로각발성단계의샘플을들을수있는사이트 (http://www.vocaldevelopment.com) 와수집된발성들사이의샘플음원을기준으로분석하였다. 또한, 신뢰도를위하여발성들의분석기준은청각학을전공하는대학원생중 2명이인정하고동의한경우해당발성으로인정하였다. 분석과정에서두평가자사이에의견이불일치할경우에는제 3 전문가의견을확인하여재분석하였다. 본연구는횡단적연구이 나, 영유아의성장에따라해당월령에서분석하였기때문에종단적연구의특징을보인다. 따라서통계분석은 SPSS 20.0 을이용하여단계의상관성을평가하기위해 Pearson 상관계수를확인하였다. 영유아의발성단계에따른월령사이에차이가있는지알아보기위해일원배치분산분석 (one-way ANOVA) 을이용하였고월령그룹을독립변수로발성단계에따른발화수를종속변수로분석하였다. RESULTS 1. 총발화수의분석 SAEVD-R 을이용한 1 18개월정상영유아의초기발성발달결과월령이증가할수록하위단계발성인생리적소리, 울음등은감소한반면상위단계인모음, 자음, 단음절등의발성들이산출하는것을확인하였다. 1) 단계별상관분석단계별상관성을확인하기위해 Pearson 상관계수를확인한결과.02에서.856 사이로요인간의상관은통계적으로유의하게나타났다. 상관의크기에대한명확한기준은없으나, 단계별상관행렬을분석한결과각요인사이에변별정도는 1과 2단계, 3과 4단계, 3과 5단계, 4와 5단계를제외하고단계에따른변별력의의미가없는것으로나타났다 (Table 2). Table 2. 단계별상관행렬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1단계 1 2단계.264* 1 3단계 -.073.070 1 4단계 -.088.021.856** 1 5단계 -.154 -.090.513**.531** 1 *: p <.05, **: p <.01
J Kim et al. : Development of Vocal Production in Infants 353 2) 월령구간에따른발성발달특성분석 월령구간 1 2, 3 5, 6 8, 9 12, 13 15, 16 18개월에따른발화수를확인한결과 1 단계의발성은 1 2개월이 73%, 2단계의발성은 3 5개월이 52%, 3단계의발성은 16 18개월이 47%, 4단계는 13 15개월이 39%, 5단계는 16 18개월이 8% 로나타났다. 10% 이상의발성비율이나타난월령구간은 3단계가 3 5개월, 4단계가 9 12개월이었다. 5단계의발성은 10% 이상의발성비율을보인월령구간은보이지않았으나 16 18 개월이가장많은산출량을보였다 (Table 3과 Figure 1). Table 3. 월령구간에따른발성단계의발화수와비율 ( 괄호는월령발화수중단계별발화비율로단위는 % 이며, 음영부분은단계별최대발성월령을의미함 ) 개월 단계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1 ~ 2개월 1021(73%) 357(26%) 14(1%) 1(0%) 0(0%) 3 ~ 5개월 428(24%) 921(52%) 400(22%) 32(2%) 1(0%) 6 ~ 8개월 334(21%) 744(48%) 380(24%) 99(6%) 7(0%) 9 ~ 12개월 172(10%) 410(23%) 638(37%) 462(26%) 63(4%) 13 ~ 15개월 86(8%) 152(13%) 395(35%) 443(38%) 54(5%) 16 ~ 18개월 53(2%) 325(11%) 1414(47%) 985(33%) 251(8%) Figure 1. 발성단계에따른각월령그룹의발성률 각발성단계가월령구간에따라차이가있는지확인하기위하여종속변수 (Dependent list) 를각발성단계로, 요인 (Factor) 를각월령구간으로설정하여일원배치분산분석 (one way ANOVA) 을실시한결과 2단계를제외하고는모든단계에서발성단계에따 른월령구간이유의미한차이가있었다. 단계별로분석하면, 1단계에서의월령구간발성수는유의미한차이가있었으며 [F(5, 91) = 10.485, p <.05], Bonferroni 사후분석결과 1 2개월월령구간의영유아는 3 5, 6 8, 9 12, 13 15, 16
354 AUDIOLOGY 청능재활 2015;11(4):348-365 18개월월령구간과유의미한차이가있었다. 그러나나머지월령구간사이에는유의미한차이가없었다. 이는 1 2개월월령구간의영유아가다른월령구간에비해 1단계의생리적소리 (VEG), 불완전공명핵 (Q) 등의발성을많이산출하였기때문이라고생각된다. 2단계에서는월령구간에따라유의미한차이가없었고 [F(5, 91) = 1.297, p >.05], 2단계의완전공명핵 (F), 유사자모음 (CV) 이 3 5, 6 8개월월령구간의영유아에서많이산출되었다. 3단계는월령구간에따라발성수에유의미한차이가있었고 [F(5, 91) = 2.809, p <.05], 모음 (V), 모음성활음 (Vg), 경계선급옹알이 (MB) 등의 3단계의발성은 16 18개월월령구간의영유아에게서많이산출되었으며 Bonferroni 사후분석결과 1 2개월, 16 18개월월령구간영유아의발성에유의미한차이를보였다. 4단계도월령구간에따라유의미한차이를 보였고 [F(5, 91) = 3.774, p <.05], Bonferroni 사후분석결과 16 18개월월령구간은 1 2, 3 5, 6 8개월과유의미한차이를보였으나나머지월령구간과는유의미한차이를보이지않았다. 4단계에서상위단계의발성을산출하므로월령구간이낮은영유아는 4단계의발성을산출하지않은것으로나타났다. 5단계에서도발성에유의미한차이가있었고 [F(5, 91) = 8.476, p <.05], Bonferroni 사후분석결과 16 18개월월령구간의영유아는 13 15개월월령구간의영유아를제외하고다른월령의발성산출과유의미한차이가나타났다. 3) 발성종류에따른분석월령구간에서단계에따라서가장많이산출된발성종류의비율은 Table 4와같다. Table 4. 월령구간에따른발성종류의비율 ( 괄호는각월령구간별해당단계별발성종류의산출비율로단위는 % 이며, 음영은월령에따른최대산출을의미함 ) 단계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발성종류 월령구간 1 ~ 2 3 ~ 5 6 ~ 8 9 ~ 12 13 ~ 15 16 ~ 18 VEG 11% 4% 2% 2% 2% 0% CR 16% 10% 10% 4% 4% 1% Q 32% 4% 4% 3% 1% 0% Q2 14% 6% 5% 1% 0% 0% F 15% 19% 20% 7% 2% 1% F2 9% 20% 12% 2% 0% 0% cv 1% 4% 8% 4% 1% 3% cv2 2% 5% 5% 3% 1% 2% CH 0% 3% 4% 8% 8% 4% V 0% 10% 9% 19% 16% 23% V2 0% 8% 7% 11% 11% 19% Vg 0% 0% 1% 0% 0% 1% IN 0% 0% 1% 1% 0% 0% SQ 0% 3% 3% 4% 2% 3% MB 0% 1% 4% 2% 2% 0% CV 0% 1% 2% 8% 8% 9% CB 0% 0% 1% 4% 4% 2% WH 0% 0% 0% 1% 0% 1% CV-C 0% 0% 1% 5% 11% 4% CVCV 0% 1% 3% 9% 13% 16% CMPX 0% 0% 0% 1% 4% 2% JN 0% 0% 0% 2% 3% 6% DIP 0% 0% 0% 1% 8% 1%
J Kim et al. : Development of Vocal Production in Infants 355 각월령구간별로가장많았던발성종류와비율을살펴보면, 1 2개월은 1단계의불완전공명핵 (Q) 이 32% 로 3 5개월은 2단계의 F2가 20% 로 6 8개월은 2단계의완전공명핵 (F) 이 20% 로 9 12 개월은 3단계의모음 (V) 이 19% 로 13 15개월은 4 단계의다음절 (CVCV) 이 13% 로, 16 18개월은 3단계의모음 (V) 이 23% 로나타났다. 2. 자 모음의발달특성 1) 모음초기언어발달의음소산출빈도를확인하여영유아들의모음과자음의음소산출과정과비율을분석하였다. 1 2개월의영유아는불완전공명핵 (Q), Q2, 완전공명핵 (F), F2를산출하였으나이것은모음처럼들리기는하지만완전한모음으로분류하기어려워 3 개월부터모음이산출되는것으로분석하였다. 월령구간에따른모음산출빈도수는 Table 5와같다. Table 5. 월령구간에따른모음산출빈도수와비율 ( 괄호는각월령구간별해당모음산출비율로단위는 % 이며, 음영은월령에따른최대모음산출을의미함 ) 모음월령구간종류 3 ~ 5 6 ~ 8 9 ~ 12 13 ~ 15 16 ~ 18 총 ㅏ 820(53.8) 597(41.2) 718(47.1) 412(45.8) 802(35.3) 3349(43.7) ㅐ 25(1.6) 2()(0.1) 11(0.7) 5(0.6) 7(0.3) 50(0.7) ㅑ 3(0.2) 2(0.1) 7(0.5) 19(2.1) 37(1.6) 68(0.9) ㅓ 30(2.0) 137(9.4) 24(1.6) 75(8.3) 328(14.4) 594(7.7) ㅔ 207(13.6) 140(9.7) 192(12.6) 32(3.6) 128(5.6) 699(9.1) ㅕ 0 1(0.1) 0 0 10(0.4) 11(0.1) ㅖ 0 2(0.1) 0 3(0.3) 0 5(0.1) ㅗ 15(1.0) 39(2.7) 7(0.5) 10(1.1) 64(2.8) 135(1.8) ㅘ 2(0.1) 0 1(0.1) 4(0.4) 5(0.2) 12(0.2) ㅚ 0 0 0 0 1(0.0) 1(0.0) ㅛ 1(0.1) 0 0 0 3(0.1) 4(0.1) ㅜ 27(1.8) 11(0.8) 52(3.4) 23(2.6) 106(4.7) 219(2.9) ㅝ 0 0 1(0.1) 0 2(0.1) 3(0.0) ㅟ 0 0 0 0 3(0.1) 3(0.0) ㅠ 0 0 4(0.3) 0 8(0.4) 12(0.2) ㅡ 358(23.5) 480(33.1) 383(25.1) 228(25.4) 517(22.8) 1966(25.6) ㅣ 35(2.3) 39(2.7) 125(8.2) 88(9.8) 249(11.0) 536(7.0) 총 1523(19.9) 1450(18.9) 1525(19.9) 899(11.7) 2270(29.6) 7667 모음의산출량을살펴보면, 단모음이며, 중설모음, 평순모음, 저모음에속하는 / ㅏ / 가전체모음발성중 43.7% 로가장많이산출되었으며, 단모음이며, 중설모음, 평순모음, 고모음에속하는 / ㅡ / 도 25.6% 로높은산출률을나타내었다. 단모음의경우, 혀의위치에따른분류에서전설모음은 1,289 회 (16.8%), 중설모음은 5,909 회 (77.1%), 후설모음은 354회 (4.6%) 로나타났으며, 입술모양에따른분류에서평순모음은 7,194 회 (95.3%) 와원순모음은 358회 (4.7%) 나타났다. 혀의높이에따른분류의경우, 고모음이 2724 회 (36.1%), 중모음이 1429 회 (18.9%), 저모음이 3399 회 (45%) 로나타났다. 이중모음의경우, 115회
356 AUDIOLOGY 청능재활 2015;11(4):348-365 (1.5%) 를산출하였다. 모음이산출시기를월령별로분석하면 3개월에 / ㅏ /, / ㅡ /, / ㅔ / 가산출되었고, 4개월에 / ㅐ /, / ㅣ /, / ㅜ / 가산출이되었다. 5개월에 / ㅓ /, 6개월에 / ㅗ / 가산출이되었으며 13개월에 / ㅑ / 가산출되었고 17 개월에 / ㅘ /, / ㅠ /, / ㅕ /, / ㅛ /, 18개월에 / ㅟ /, / ㅝ / 가낮은비율이지만산출이되기시작하였다. 따라서 단모음이먼저산출되고이중모음이 13개월이후산출되는것으로분석할수있다. 모음의산출시기와산출량을모음삼각도에월령구간 3 5, 6 8, 9 12, 13 15, 16 18개월을 A, B, C, D, E 로표기하였다 (Figure 2). 산출량과시기모두혀의위치에따른분류로, 중설모음, 전설모음, 후설모음순으로발달하는특성이나타나는것으로분석할수있다. Figure 2. 모음삼각도를기준으로모음의산출연령및빈도 2) 자음 초성및종성의자음산출을분석하여조음위치와 조음방법에따라분류하였다. 월령구간에따른초성자음빈도수는다음 Table 6과같다. Table 6. 월령구간에따른초성자음산출빈도수와비율 ( 괄호는각월령구간별자음산출비율로단위는 % 이며, 음영은월령에따른최대자음산출을의미함 ) 자음월령구간종류 4 5 6 8 9 12 13 15 16 18 총 ㄱ 41(12.9) 9(3.0) 26(3.8) 18(5.3) 50(6.2) 144(5.9) ㄲ 1(0.3) 0 1(0.1) 9(2.6) 32(4.0) 43(1.8) ㄴ 3(0.9) 0 27(3.9) 10(2.9) 55(6.9) 95(3.9) ㄷ 1(0.3) 3(1.0) 19(2.8) 21(6.2) 17(2.1) 61(2.5) ㄸ 0 5(1.7) 26(3.8) 27(7.9) 28(3.5) 86(3.5) ㄹ 3(0.9) 1(0.3) 0 0 8(1.0) 12(0.5) ㅁ 14(4.4) 61(20.2) 271(39.6) 85(25.0) 277(34.6) 708(28.9) ㅂ 8(2.5) 34(11.3) 87(12.7) 60(17.6) 63(7.9) 252(10.3) ㅃ 0 21(7.0) 110(16.1) 46(13.5) 105(13.1) 282(11.5) ㅅ 0 0 0 0 7(0.9) 7(0.3)
J Kim et al. : Development of Vocal Production in Infants 357 Table 6. (continued) 자음월령구간종류 4 5 6 8 9 12 13 15 16 18 총 ㅆ 0 0 0 0 0 0 ㅈ 0 0 6(0.9) 0 16(2.0) 22(0.9) ㅉ 0 0 0 0 3(0.4) 3(0.1) ㅊ 0 0 0 0 9(1.1) 9(0.4) ㅋ 8(2.5) 0 0 0 0 8(0.3) ㅌ 0 0 0 1(0.3) 1(0.1) 2(0.1) ㅍ 1(0.3) 0 0 1(0.3) 7(0.9) 9(0.4) ㅎ 55(17.2) 20(6.6) 17(2.5) 43(12.6) 36(4.5) 171(7.0) 총 319(13.0) 302(12.3) 684(28.0) 340(13.9) 801 2446 자음은 4개월부터산출되었으며, 자음의산출시기를월령구간별로살펴보면 4 ~ 5개월월령구간에서 / ㄱ /, / ㅁ /, / ㅂ /, / ㅎ /, 6 ~ 8개월월령구간에서 / ㄷ /, / ㄸ /, / ㅃ /, 9 12개월월령구간에서는 / ㄴ /, / ㅈ /, 13 15개월에 / ㄲ /, / ㅌ /, / ㅍ / 가나타났으며, 16 18개월월령구간에서는 / ㄹ /, / ㅅ /, / ㅆ /, / ㅊ /, / ㅋ / 과같은다양한자음들이산출되기시작하였다. 따라서산출시기는특정조음위치나조음방법의분류에국한되지않고, 초기부터다양한자음으로발성기관의발성방법을연습하는것으로분석된다. 자음의산출량을월령구간별로살펴보면 4 5 개월월령구간에서마찰음이자후음인 / ㅎ / 이 12.9%, 파열음이자연구개음인 / ㄱ / 이 11.5% 로그뒤를이었다. 6 8개월월령구간에서는비음이자양순음인 / ㅁ / 이 20% 로나타났다. 9 12개월월령구간에서는 / ㅁ / 이 37.5% 였으며, 파열음이자양순음인 / ㅃ / 이 13.3% 순으로나타났다. 13 15개월월령구간에서는 / ㅁ / 이 32.5%, / ㅎ / 이 21.6%, / ㅂ / 이 12.1% 순으로나타났다. 16 18개월월령구간에서는 / ㅁ / 이 33.7%, / ㅃ / 이 9.7% 순으로산출되었다. 전체자음산출량으로분석할때, / ㅁ / 이 29.5% 로가장높은비율로산출되어전체산출량으로는비음의산출량이많은것으로분석되었다. 자음산출시기와동일한 4개월에음절이산출되기시작되어초성과종성으로구분하여분석하였다. 초성자음산출을분석한결과, 조음위치에따른분류에서는 / ㅁ / 이 28.9%, / ㅂ / 이 10.3%, / ㅃ / 이 11.5%, / ㅍ / 이 9% 로양순음이총 51.2% 로, 가장높은산출률을보였다. 이후연구개음이 29.8%, 치조음이 10.8%, 후음이 7.0%, 경구개음이 1.4% 로그뒤를이었다. 연구개음은 4개월에 72.4%, 5개월에 74.6%, 6개월에 84.2% 로나타났으나 7개월부터 18개월까지양순음이지속적으로산출되어가장높은비율을차지하였다. 연구개음의산출률은 / ㄱ / 이 5.9%, / ㄲ / 이 1.8%, / ㅇ / 이 21.7%, / ㅋ / 이.3% 로나타났다. 치조음은 4 7개월에는 1 4% 로미비하게산출이되다가 9개월부터산출량이증가하여 15개월에는 30.2% 정도로나타났고, 산출빈도는 / ㄴ /, / ㄷ /, / ㄸ /, / ㄹ /, / ㅅ /, / ㅌ / 이.1 ~ 3.9% 로매우저조한산출빈도를보였으며, / ㅆ / 은관찰되지않았다. 경구개음은 / ㅈ /,, / ㅉ /, / ㅊ / 이.1 ~.9% 로더저조한산출빈도를보였으며, 9개월부터 18개월까지 2 6% 정도로조금씩산출되기시작하였다 (Figure 3). Figure 3. 조음위치에따른월령별초성자음산출량
358 AUDIOLOGY 청능재활 2015;11(4):348-365 조음방법에따른분류에서는모든월령구간에서비음이 20% 에서 83.2% 까지높은산출빈도를보였고, / ㄴ / 이 3.9%, / ㅁ / 이 28.9% 로나타났다. 파열음또한모든월령구간에서지속적으로산출되었는데 8 개월에 80% 로가장높은산출률을보였다. 파열음의산출률은 / ㄱ / 이 5.9%, / ㅂ / 이 10.3%, / ㅃ / 이 11.5% 이며, 그외 / ㄲ /, ㄷ /, / ㄸ /, / ㅋ /, / ㅌ /, / ㅍ / 은.1% ~ 3.5% 로저조한산출률을나타내었다. 마찰음은 4 7개월사이에 6 ~ 18% 정도산출이되기시작하였으나 9 ~ 12개월사이에는 5% 이내로미비한산출량을보였으나 15개월에 18.6% 로가장높은산출률을보였다. 마찰음의산출률은 / ㅅ / 이 0.3%, / ㅎ / 이 7% 로나타났고, / ㅆ / 은나타나지않았다. 파찰음과유음은 16 18개월에산출되기시작하였으며파찰음의산출률은 / ㅈ /, / ㅉ /, / ㅊ / 이.1 ~.9% 이었 고, 그외, 유음의산출률은 / ㄹ / 이 0.5% 로또한저조한산출률을보였다 (Figure 4). / ㅂ /, / ㄷ /, / ㄱ /, / ㅎ /, / ㅁ / 은모든월령구간에서나타났으며 / ㅁ / 이 29.5% 로가장많이산출하였으며 / ㅇ / 은 23.7%, / ㅎ / 은 9.8% 순으로산출되었다 (Table 7). Figure 4. 조음방법에따른월령별초성자음산출량 Table 7. 자음분류표를기준으로자음의산출월령구간및빈도 ( 음영은원령구간별가장많이산출한자음을의미 ) 조음위치조음방식 파열음 양순음치조음경구개음연구개음후음 < ㅂ >8.6% A,B,C,D,E < ㄷ >2.3% A,B,C,D,E < ㄱ > 5.5% A,B,C,D,E < ㅃ >9.2% B,C,D,B < ㄸ >2.9% B,C,D,E < ㄲ > 1.4% C,D,E 마찰음 파찰음 유음 < ㅍ >0.3% D,E < ㅌ >0.2% D,E < ㅋ > 0.4% D,E < ㅅ > 0.2% E < ㅆ > 0.1% E < ㅈ > 0.7% B,D < ㅉ > 0.1% E < ㅊ > 0.3% C,E < ㄹ >1.3% E < ㅎ >9.8% A,B,C,D,E 비음 < ㅁ >29.5% A,B,C,D,E < ㄴ > 3.6% A,C,D,E < ㅇ >23.7% A,B,C,D,E 종성의경우 7종성법에따라 / ㄱ /, / ㄴ /, / ㄷ /, / ㄹ /, / ㅁ /, / ㅂ /, / ㅇ / 의종성산출량을확인하였다. 월령구간에따른종성산출량은 Figure 5와같다. 종성의경우 4개월부터나타나기시작하였는데, 본연구분석중나타난한국어의독특한발성인 / ㅇ / 을 가장먼저, 많은양을산출하였다. 그다음으로 / ㅁ / 을하기시작하였다. 그외종성산출순서를살펴보면 9개월부터 / ㄹ /, / ㅂ / 이산출되기시작하였으며 16개월부터 / ㄱ /, / ㄴ /, / ㄷ / 이나타나기시작했다.
J Kim et al. : Development of Vocal Production in Infants 359 Figure 5. 월령구간에따른종성산출량 본연구에서는정상영유아의발성발달을평가하는도구를통하여발성발달과정에대한이해를높이고올바른평가를실시하기위하여 1 18개월의영유아의발성발달을 SAEVD-R 과비교하여분석하였다. 월령이점차증가할수록 SAEVD-R 에제시한하위발성은감소하며상위단계의발성들은순차적으로발달하는것으로나타났다. 이러한결과로정상영유아 10명을대상으로 1 18개월영유아의발성발달을확인한선행연구 ( 김진숙외, 2012) 와본연구는연구대상의수와발성수에는차이가있었지만, 월령에따른발성발달과정이비슷함을보여주었다. 그러나월령에따라가장많이산출된발성은조금달랐다. 1 2개월은 1단계의불완전공명핵 (Q) 을, 3 5개월은 2단계의완전공명핵 (F) 을산출하여동일한발성패턴을나타냈으나 6 8개월에서본연구는 2단계의 F2를, 선행연구는완전공명핵 (F) 을가장많이산출했다. 완전공명핵을발성하는것에대한차이는없으나두번연속발성하는 F2의산출이본연구에서는가장많이나타나서더욱발전된단계의발성을하는것으로나타냈다. 9 18개월은 3단계의모음 (V) 으로두연구모두일치하였다. 두연구모두 9 18개월에모음이가장많이산출되었다. 김민영 & 하승희 (2013) 도 6 18개월까지구개열영유아와일반영유아의초기발성발달에대한연구에서일반영유아 3명을대상으로 3개월의월령구간으로 SAEVD-R 의발성발달평가표를기준으로발성발달을살펴본결과 8 9개월까지 3단계의발성을선호하며월령이증가할수록다양한자 모음음절들과자곤, 옹알이등복잡한상위음절을산출한다고보고하였다. 하승희외 (2014) 연구에서는 SAEVD-R 을이용하여 5 ~ 20개월의영유아를 4개월단위로월령집단을나누어초기발성의발달과정을확인하였는데 1 ~ 2단계발성은월령이증가함에따라감소하는패턴을보였으며 4 ~ 5단계는월령이증가함에따라증가하는패턴을나타낸다고보고하였다. 또한, 3단계발성이모든월령구간에서활발하게나타나며 4단계발성비율이비교적낮게나타났다고보고하였다. 또한, 1 18개월영유아의음성특징을중심으로확인한배재연 & 고도흥 (2010) 은 Oller & Lynch(1992) 의음성발달 5단계를기준으로영유아의음성특징을살펴보았다. 연구에의하면 1개월에는반사적인발성, 떨림소리등을산출하며 2 18개월까지소리지름, 고성이나타났다고보고하였다. 4 5개월에는진동음등이나타났으며기본음절은 6개
360 AUDIOLOGY 청능재활 2015;11(4):348-365 월부터나타났고옹알이는 6 7개월, 자곤은 10개월부터 18개월까지나타난다고보고하였다. 단어는 12개월부터산출되기시작하였다고보고하였다. 그러나영유아의발성의일부인웃음소리, 울음소리, 재채기, 딸꾹질, 트림등은제외하였고음소의산출에대한자료를제외한음성발달 12개의유형으로정리한연구이다. 본연구는영유아의발성종류를 23개로세분화하여분석하였기때문에두연구를비교 분석하기는어려우나동일하게분석한발성만을비교할때, 발성산출월령에조금씩차이는있지만비슷한시기에비슷한발성이산출되는것으로나타났다. 예를들어본연구에서는비명으로표현한발성인고성의경우두연구모두 3 18개월까지산출이되었고기본음절 / 단음절은선행연구는 6개월부터, 본연구는 3 5개월부터산출이되었으며기본옹알이 / 음절성옹알이는각각 7개월과 6 8개월부터나타났고자곤은각각 12개월과 13 15개월로나타났다. SAEVD-R 의단계에따라영유아의발성을분석한 Nathani et al.(2006) 의연구와본연구의발성발달에대한차이가있는지비교할때, 두연구모두월령이증가할수록생리적인소리보다는어른과같은모음, 자음, 단어를산출하는점은공통점으로분석할수있다. 그러나월령구간에따른발성발달을비교한결과영어권의영유아는 1 2개월에 1단계에서 3단계까지다양한발성이나오는반면, 본연구의 1 2개월에는 1단계가많이산출되며 3단계는거의산출하지못했다. 3 5개월경우영어권의영유아는 3단계의발성을가장많이산출하였으나본연구의영유아는 2단계가가장많이산출되었다. 6 8 개월은영어권영유아와본연구의영유아는비슷한발달단계를나타냈으나본연구에서 2, 3, 4단계의발성비율이높게나타났다. 9 15개월에는영어권영유아는 3단계에집중되어있지만본연구의영유아는 4와 5단계의발성이점차증가하였다. 그러나 16 18개월의영어권영유아는 4단계, 5단계가산출이본연구의영유아보다많이산출되었다. 그러나이러한차이는영어권의영유아는 20개월까지발성발달 을확인하였으며본연구의영유아는 18개월까지발성발달을확인하였기때문에상위단계에차이가있었던것으로생각된다. 월령그룹에따라가장많이산출된발성에도차이가있었다. 1 2개월, 9 12개월, 13 15개월에가장많이산출한발성은일치하였으나 3 5, 6 8개월은본연구의영유아가더상위발성을산출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와비교한결과 SAEVD-R 의발성종류에는제시되지않은독특한발성으로 ' 응 ' 이나타났다. 응 은 4개월부터영유아에게산출되었고최대산출개월은 18개월이었으며, yes' 라는의미로긍정을표시할때쓰는발성으로우리나라영유아의독특한발성이라생각된다. 또한, / ㅇ / 의경우, 영어권에서는모음이나한국어에서는자음으로분류되고분석상오류가있을수있는음소이다. 발성빈도가높지는않았으나차후우리나라영유아의발성발달단계를확인할때이러한우리나라영유아의독특한발성도포함되어야할것으로생각된다. 또한, 우리나라영유아들이어떤순서로자 모음을산출하는지분석하였을때모음은 3개월부터산출이되었으며모든월령에서 / ㅏ / 를가장많이산출하였다. 3개월부터 / ㅏ /, / ㅡ /, / ㅔ / 가산출되었고 4 5개월에 / ㅓ /, / ㅗ /, / ㅐ /, / ㅣ /, / ㅜ / 가모두산출이되었다. 이중모음은 / ㅟ /. / ㅚ /, / ㅠ /, / ㅝ /, / ㅛ / 는다른모음들에비해산출이적었으나 16 18개월부터산출되었다. 이인섭 (1986) 은영유아 2명을대상으로말소리발달을연구하여 18개월이전에 / ㅏ /, / ㅓ / 가안정되며 / ㅜ /, / ㅡ /, / ㅗ /, / ㅣ /, / ㅔ / 순으로산출한다고하였으며한발표자료 ( 김태경, 2003) 에의하면 4 34개월의영유아 22명을대상으로 1세이전옹알이말소리출현양상을살펴본결과 6개월시점에 / ㅏ /, / ㅔ /, / ㅓ /, / ㅡ / 의네가지모음을산출하기시작하였으며월령이증가하면서 / ㅣ / 를발성하기시작하였다고보고하여본연구와유사한모음산출순서를나타내었다. 본연구와선행연구들을종합하면 / ㅏ /, / ㅔ /, / ㅣ /, / ㅗ /, / ㅜ / 와같은입술을평평하게하여발음을하는평순모음이 / ㅟ /, / ㅚ /, / ㅜ /, / ㅗ / 와같이입술을동그랗게
J Kim et al. : Development of Vocal Production in Infants 361 말아서발성해야하는원순모음에비해 18개월이하의월령에서더많이산출하는데이는아마근육의발달과조음방법을익히는과정의차이인것으로생각된다. 본연구에서자음은월령이증가할수록여러개의자음이중복적으로나타나기시작하였다. 전체적으로볼때초성자음은 / ㅁ / 을가장많이산출하였으며, 4 ~ 5개월월령구간에서 / ㄱ /, / ㅁ /, / ㅂ /, / ㅎ /, 6 ~ 8개월월령구간에서 / ㄷ /, / ㄸ /, / ㅃ /, 9 12개월월령구간에서는 / ㄴ /, / ㅈ /, 13 15개월에 / ㄲ /, / ㅌ /, / ㅍ / 가나타났으며, 16 18개월월령구간에서는 / ㄹ /, / ㅅ /, / ㅆ /, / ㅊ /, / ㅋ / 과같은다양한자음들이산출되기시작하였다. 이러한자음산출에대한국내연구는주로 12개월이후실시되어 12개월이전의산출량과시기를비교하기는쉽지않다. 한발표자료 ( 김태경, 2003) 에의하면 4 34개월의영유아 22명을대상으로확인한결과 6개월에 / ㅁ /, / ㅂ / 을산출하고 9개월에 / ㄱ /, / ㅁ /, / ㅂ /, / ㅈ / 순으로나타난다고보고하고있다. 또한, 조음위치는양순음, 연구개음, 치조음순으로산출하며조음방법은비음, 파열음, 파찰음, 유음순으로나타난다고보고하였다. 본연구와비교할때, 9개월이내에나타나는공통으로나타나는음소는 / ㄱ /, / ㅁ /, / ㅂ /, / ㅈ / 인것으로나타났다. 문희원 & 하승희 (2012) 연구에서는 12 24개월의구개열유아와정상유아 14명을대상으로음운발달을확인한결과정상영유아의조음위치에따라서는양순음치조음연구개음순으로높은산출을보이고조음방법에따라서는파열음, 비음, 마찰음순으로산출한다고보고하였다. 조음방법에따라서는비음과파열음이다른조음보다많이산출된다는것이일치하였고마찰음은어려운발성으로산출이매우불안정하다는일치된결과가나타났다. 12 24개월의영유아를대상으로한연구 ( 문희원 & 하승희, 2012) 에서는파열음을가장먼저많이산출하였고, 그이후, 비음, 마찰음순으로산출한다고보고하여, 연구대상의연령에따라차이가있다고생각된다. 본연구와선행연구를종합하면양순음이나비음이초기발성에많은산출량이나타 난다는공통점이있다. 그러나그외다양한연구결과로특정조음위치나방법분류의산출량은특히 12 개월이내의연령에서는공통된연구결과를찾기어려웠다. 본연구결과, 종성의경우 / ㅇ / 과 / ㅁ / 을가장많이산출하여초성과비슷한결과가나타났다. 종성 / ㅁ / 과 / ㅇ / 이먼저산출되는이유는 ' 엄마 ' 혹은 ' 멍멍 ' 이란친숙한단어를먼저습득하기때문이라고생각된다. 그러나본연구와유사한연령대의종성발성에대한선행자료가매우부족하여이에따른차후연구가필요할것으로생각된다. 본연구는우리나라정상영유아의초기발성발달을평가하기위하여 1 18개월영유아의발성발달을 SAEVD-R 을기준을토대로분석하였다. SAEVD-R 은영어권의훌륭한발성발달단계를구분하는도구이나우리나라영유아의발성발달단계를분석하는데정확한구분을짓는데무리가있는것으로본연구와다른선행연구에서나타났다. 따라서모국어가다른우리나라영유아의독특한발성발달단계를구분하는도구가필요할것으로생각된다. 본연구는 1 ~ 18 개월우리나라영유아의발성발달단계를구체적으로제시하고자하였고, 이는우리나라청각장애영유아의정상적발성발달을유도할수있는청능재활의기본구성자료가될것으로생각한다. 본연구의내용을바탕으로좀더많은대상자의발성발달을체계적으로정리하여현재우리나라영아의월별발성과의사소통행동기준에관한자료를제작하고있다. 더불어영아의조기청능재활자료를개발하고있는데, 이는해외의대표적인영유아청각언어재활프로그램인청각구어법 (auditory verabal therapy, AVT) 과인공와우수술을한아동의초기언어발달을촉진하기위해영유아의짧은집중력을고려하여짧은기간동안자극을반복하여아동의발성을이끌어내는방법인 short periods of prelinguistic input (SPPI) 의기법을응용하고, 한국의독특한육아법인애착육아법 (attachment parenting) 과 곤지곤지 ( 坤地坤地 ), 도리도리 ( 道理道理 ) 와같은놀이를포함한단동십훈 ( 檀童十訓 ) 에서제시하고있는다양한전통놀이를적
362 AUDIOLOGY 청능재활 2015;11(4):348-365 용하여한국적정서가반영된프로그램이될것으로생각한다. 이런창의적이고효율적인조기청능재활콘텐츠를개발하는데정상영유아의발성발달단계를분석한본논문의자료가기초를이룰것으로생각한다. 중심단어 : 영유아발성발달, 자음, 모음, SAEVD-R ACKNOWLEDGEMENTS 이논문은 2015 년대한민국교육부와한국연구재단의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인문사회 :H00159) 지원을받아수행된연구임 (NRF-2015S1A5A2A01011541). REFERENCES 김민영 & 하승희. (2013). 6 ~ 18개월구개열영유아와일반영유아의발성발달에관한종단연구. 언어청각장애연구, 18(2), 223-23. 김진숙, 지연숙, & 신현욱. (2012). 조기청능재활프로그램개발을위한영아의발성패턴연구. 청능재활, 8(1), 61-77. 김태경. (2003). 영유아단계의말소리출현양상. 한국인의의사소통능력발달단계연구중간발표회, pp. 83-123. 문희원 & 하승희. (2012). 12 24개월구개열유아와일반유아의음운발달. 언어청각장애연구, 17, 118-129. 배재연 & 고도흥. (2010). 음성발달모델에따른 1 ~ 18 개월영유아의음성특징. 말소리와음성과학, 2(2), 27-36. 이인섭. (1986). 한국아동의언어발달연구. 고려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서울. 조명한. (1982). 한국아동의언어획득연구 : 책략모형.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최은희. (2000). 한국아동의어휘발달연구. 연세대 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서울. 하승희, 설아영, & 배소영. (2014). 일반영유아의초기발성발달연구. 말소리와음성과학, 6(4), 161-169. Behme, C. & Deacon, S. H. (2008). Language learning in infancy: Does the empirical evidence support a domain specific language acquisition device? Philosophical Psychology, 21(5), 641-671. Bloom, L. & Tinker, E. (2001). The intentionality model and language acquisition: Engagement, effort, and the essential tension in development.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66(4), 1-91. Chomsky, N. (1968). Language and mind. New York, NY: Harcourt Brace Jovanovich. Chomsky, N. (1975). Reflections on language. In Kasher, E. Pragmatics clinical concepts: Communication, interaction, and discourse (pp. 21-36).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Elbers, L. (1982). Operating principles in repetitive babbling: A cognitive continuity approach. Cognition, 12(1), 45-63. Houston, D. (2011). Infant Speech Perception. In Seewald R., & Tharpe. A. M. (Eds.), Comprehensive Handbook of Pediatric Audiology (pp.47-62). San Diego, CA: Plural Publishing. Kisilevsky, B. S., Hains, S. M., Brown, C. A., Lee, C. T., Cowperthwaite, B., Stutzman, S. S., et al. (2009). Fetal sensitivity to properties of maternal speech and language.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32(1), 59 71. Kisilevsky, B. S., Hains, S. M., Lee, K., Xie, X., Huang, H., Ye, H. H., et al. (2003). Effects of experience on fetal voice recognition. Psychological Science, 14(3), 220-224. Liberman, A. M., Harris, K. S., Hoffman, H. S., & Griffith, B. C. (1957). The discrimination of speech sounds within and across phoneme boundarie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54(5), 358-368.
J Kim et al. : Development of Vocal Production in Infants 363 Locke, J. L. (1983). Phonological acquisition and change. Waltham, MA: Academic Press. McCune, L., Vihman, M. M., Roug-Hellichius, L., Delery, D. B., & Gogate, L. (2001). Grunt communication in human infant. Journal of Child Language, 8. 15-36. Nathani, S., Ertmer, D. J., & Stark, R. E. (2006). Assessing vocal development in infants and toddlers. Clinical Linguistics and Phonetics, 20(5), 351-369. Oller, D. K. (1980). The emergence of the sounds of speech in infancy. In G. Yeni-Komshian, J. Kavanagh, & C. A. Ferguson (Eds.), Child phonology, (pp. 93-112). New York, NY: Academic Press.. Oller, D. K. & Lynch, M. P. (1992). Infant vocalizations and innovations in infraphonology: Toward a broader theory of development and disorders, In C. F. Ferguson, L. Menn, & C. S. Gammon (Eds.), Phonological development: Models, research, implications (pp. 509-536). Timonium, MD: York. Oller. D. K., Eilers. R. E., Basinger. D., Steffins. M. L., & Urbano. R. (1995). Extreme poverty and the development of precursors to the speech capacity. First Language, 15, 167-187. Piaget, J. (1952). The origins of intelligence in children. New York, NY: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Piaget, J. (1962). Play, dreams and imitation. New York, NY: Norton. Stoel-Gammon, C. (1992). Prelinguistic vocal development: Measurement and predictions. In C. A. Ferguson. L. Menn. & C. Stoel-Gammon (Eds.), Phonological development: Models, research, implications (pp. 439-456). Timonium, MD: York Press. Tsushima, T., Takizawa, O., Sasaki, M., Siraki, S., Nishi, K., Kohno, M., et al. (1994). Discrimination of English /r-l/ and /w-y/ by Japanese infants at 6 ~ 12 months: Language specific developmental changes in speech perception abilities.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poken language processing. Yokohama, Japan: The Acoustical Society of Japan. Werker, J. F. & Lalonde, C. E. (1988). Cross-language speech perception: Initial capabilities and developmental change. Developmental Psychology, 24(5), 672-683. Werker, J. F. & Tees, R. C. (1984). Cross-Language speech perception: Evidence for perceptual reorganization during the first year of life.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7, 49 63. Younger, B. A. & Cohen, L. B. (1986). Developmental change in infants' perception of correlations among attributes. Child Development, 57(3), 803-815.
364 AUDIOLOGY 청능재활 2015;11(4):348-365 Appendix 1. 발성단계에따른발성종류의정의 단계발성종류정의 1 단계, 1 2 개월반사적발성단계 vegetative (VEG) 생리적인소리 crying sound (CR) 울음 quasi-reconant nuclei (Q) 불완전공명핵 - 생리적인소리로딸꾹질, 트림, 재채기, 기침등을포함한다. - 울음소리, 칭얼거리는소리, 짧게보채는소리의연속발성을가리킨다. ( 울면서내는흡기음, 울음을터뜨리며내는고음역대의크고긴소리, 생리적인소리는독립된소리로분류하지않는다 ) - 음절이들어있는울음소리는 CR 에포함한다. - 울면서산출하는소리중정확한음절들은해당발성종류로분류한다. - 유사한공명핵을가리킨다. - 모호한공명 ( 불완전한공명 ) 을동반한저주파수음역대 (2000Hz 이하 ) 의희미한신음같은소리로모음과유사할경우포함한다. - 고주파수음역을포함하지만 100ms 이하의매우짧은발성은 Q 에포함한다. - Q 는성인의모음으로설명할수없다. Q2 - 연속발성되는두개이상의유사한공명핵을의미한다. fully resonant nucle (F) 완전공명핵 - 완전공명유사모음이다. - Q 보다길고모음처럼들리지만성인모음으로분류하기는어려운발성을의미한다.( 저주파수대에국한되지않고넓은주파수대역의에너지를가지고있는발성이다. - 거친소리나높은음도등발성의질은나쁠수있다. - 성문음 [h] 소리로 Q 나 F 의발성을중단시키는경우, 그 Q 나 F 는하나의음절로분류하고 [h] 소리로중단되었음을표시한다.) 2 단계, 1 4 개월발성조절단계 F2 - 연속발성되는두개이상의완전공명유사모음을가리킨다. cv 유사자모음 - 유사자음 ( 자음같은소리 ) 이유사모음 ( 모음같은소리 ) 또는 F 와결합된소리를가리킨다. - 유사모음없이유사자음 ( 혀와입술로진동시키는소리, 입술터는소리, 혀차는소리등 ) 이나자음 (m, n, sh 등 ) 만산출한발성도 CV 에포함시킨다. - 성문폐쇄음이나 [h] 소리는유사자음에포함시키지않는다. cv2 chuckle (CH) 웃음 - 2 개의 CV 결합을가리킨다. - 모음없이두개이상의유사자음이연속되는소리는 CV2 에포함한다. - 적어도 2 번이상짧게소리내어웃거나계속웃는소리를가리킨다. - 웃음사이에들어가는흡기음은별도로분류하지않는다. 3 단계, 3 8 개월확장단계 vowel (V) 모음 - 단독산출된모음을의미한다. - V 는 Q 보다길고, 더완전하게공명하는더높은질의모음발성이며, F 보다더쉽게모음으로인지된다. - 성인의모음으로기록된다. V2 - 연속발성되는두개이상의모음을의미한다. vowel glide (Vg) 모음성활음 - 모음의변화가있는유사모음을가리킨다. - 두유사모음이단절됨없이이어지고, 음절시작에폐쇄음으로인한막힘이없어야한다. - 포만트전이가 200ms 이상으로느린것이특징이다. - 포만트전이가 200ms 이하인경우, 막히는소리를발성 - 하면 CV 로, 막히는소리가없으면이중모음으로분류한다.
J Kim et al. : Development of Vocal Production in Infants 365 ingressive sound (IN) 흡기음 squeal (SQ) 비명 - 하나의긴흡기음 (200ms 이상 ) 또는연속된짧은흡기음을가리킨다. - 높은음도로내지르는소리또는그러한소리의연속된발성을가리킨다. 4 단계, 5 10 개월기본음절단계 marginal bablling (MB) 유사옹알이 consonant-vowe (CV) 자모음단음절 canonical babbling (CB) 음절성옹알이 whisper (WH) 속삭임 consonant-vowel combination (CV-C) 자모음음절과자음조합 disyllables (CVCV) 다음절 - (3 개이상 ) 연속된유사자음과유사모음의결합, 또는연속된모음성활음을가리킨다. - MB 의특징적인성격은유사자음과유사모음의포만트전이가긴것으로, 유사자음이나유사모음의특성은관계없다. - 따라서실제자음과모음으로결합된음절을산출했어도만역그포만트전이가 120ms 이상이라면 MB 로분류한다. - 유사자음과유사모음이반드시결합되어있는음절만을가리키는것은아니며, 유사자음이나유사모음만발성할수도있다. - 잘조음된빠른활음이나다른반모음들은 MB 가아닌 CV 로분류한다. - 하나의자모음으로구성된음절의발성을가리킨다. - /h/ 소리나성문폐쇄음과결합한음절은포함시키지않는다. - 2 개이상의 CV 를연속으로발성하는것을가리킨다. - 자음과모음의특성에따라반복옹알이와비반복 ( 혼합성 ) 옹알이를포함한다. 반복옹알이 : 같은자모음순서를반복하는것. 예 : 마마마 비반복옹알이 : 서로다른자음이나모음으로된음절을반복하는것. 예 : 바비 비다디 - 소리없이산출되는 V, V2, Vg, MB, CB, CV 발성등을가리킨다. - 자모음결합에독립된자음이뒤따르는소리이다. CV 음절과뒤의자음 (C) 사이에분명하고조용한휴지가반드시관찰되어야한다. 예 : 음ㅍ - 두개의 CV 다음절군이나 CV 구조로된이음절의연속발화를가리킨다. 음절군사이에분명한휴지가있어야한다. 응 - 한국아동에게나타나는독특한발성이다. 5 단계, 9 18 개월상위음절단계, 발전된음절단계 complex syllables (CMPX) 복합음절 jargon (JN) 자곤 diphongs (DIP) 이중모음 - 여러음절이복합된발성을가리킨다. 1) CV 이외의음절 (VC, CCV, CCVC 등 ) 2) 복잡한이음절 (VCV, VCVC 등 ) 3) 강세, 억양패턴의변화가없이여러음절을포함한다양한음절의연속발화 4) 다양한강세와억양패턴으로자음과모음이바뀌지않는발화 - 뜻을알수없는말로서다양한강도와음도패턴으로최소한두개이상의자음과모음이포함된음절을연속발화한것을가리킨다. - 최소한 2 개이상의음절이포함되어야한다. - 요, 야, 와 등의이중모음을가리킨다. - 포만트가 200ms 이하로빠르게전이되고음절길이가대략 500ms 이하인것이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