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dx.doi.org/10.4306/jknpa.2015.54.3.291 ORIGINAL ARTICLE 조현병환자에서형식적사고장애의성별에따른차이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5;54(3):291-298 Print ISSN 1015-4817 Online ISSN 2289-0963 www.jknpa.org 용인정신병원정신건강의학과, 1 국립춘천병원정신건강의학과, 2 용인정신병원임상심리과, 3 성안드레아신경정신병원정신건강의학과, 4 강원대학교의학전문대학원정신건강의학교실, 5 한양대학교구리병원정신건강의학과, 6 한양대학교정신건강연구소 7 김보미 1 유정민 2 김성수 1 최선 3 이호선 4 이강욱 5 최준호 6 박선철 1,7 Gender Differences in the Formal Thought Disorder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Bomi Kim, MD 1, Jung Min Yu, MD 2, Seongsu Kim, MD 1, Sun Choi, MA 3, Ho Seon Lee, MD 4, Kang-Uk Lee, MD, PhD 5, Joonho Choi, MD, PhD 6, and Seon-Cheol Park, MD, PhD 1,7 1 Department of Psychiatry, Yong-In Mental Hospital, Yongin, Korea 2 Department of Psychiatry, Chuncheon National Hospital, Chuncheon, Korea 3 Department of Clinical Psychology, Yong-In Mental Hospital, Yongin, Korea 4 Department of Psychiatry, St. Andrew s Neuropsychiatric Hospital, Icheon, Korea 5 Department of Psychiatr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Chuncheon, Korea 6 Department of Psychiatry, Hanyang University Guri Hospital, Guri, Korea 7 Institute of Mental Health,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ObjectivesZZFormal thought disorder has been regarded as an essential symptom in the diagnostic criteria for schizophrenia. The aim of our study was to present gender differences in the formal thought disorder among patients with schizophrenia. MethodsZZWe tested for potential gender differences in the formal thought disorder among 167 inpatients with schizophrenia (86 men and 81 women). The Scale for the Assessment of Thought, Language and Communication (TLC scale), Clinical Language Disorder Rating Scale (CLANG),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 Young Mania Rating Scale, and Calgary Depression Scale for Schizophrenia were used for evaluation of thought disorder, language disorder, overall symptoms, manic symptoms, and depressive symptoms, respectively. Using the analysis of covariance for continuous variable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discrete variables, gender differences in the formal thought disorder were evaluated. Received May 22, 2015 Revised June 4, 2015 Accepted June 11, 2015 Address for correspondence Seon-Cheol Park, MD, PhD Department of Psychiatry, Yong-In Mental Hospital, 940 Jungbu-daero, Giheung-gu, Yongin 17089, Korea Tel +82-31-288-0203 Fax +82-31-288-0184 E-mail cogito-ergo-sum@hanmail.net ResultsZZAfter adjusting for the effects of marital status and religious affiliation, men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on the perseveration (TLC scale ; F=7.538, p=0.007), blocking (TLC scale ; F=8.956, p=0.003), stilted speech (TLC scale ; F=6.921, p=0.009), lack of details (CLANG ; F=7.375, p=0.007), dysfluency (CLANG ; F=21.250, p<0.0001), and dysarthria (CLANG ; F=31.198, p<0.0001) items than women. ConclusionZZOur study has a virtue of exploring gender differences in the formal thought disorder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Based on our findings, further study might enlighten regarding neural correlates (namely, cerebral asymmetry/lateralization) for gender-differed patterns of the formal thought disorder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5;54(3):291-298 KEY WORDSZZ Formal thought disorder Thought Language Gender Schizophrenia. 서론 조현병 환자에서 임상양상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다양한 영역에서 보고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여성은 남성에 비해 병의 경과나 예후가 비교적 양호한 편이며 폐경 전 시기까지는 약물 치료에 대한 반응이 남성에 비해 빠르고 양호한 양상을 띤다 또한 정신병리의 종류와 심각도도 성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나타낸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환청 불쾌감 우울감 자극과민성 적개심 부적절한 정동 충동성 등 정동증상 피해망상 성적으로 부적절하거나 기이한 행동 혹은 망상 및 대 Copyright 2015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91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5;54(3):291-298 인관계의 어려움을 더 많이 나타내는 경향이 있는 반면에 남성은 모든 연령대에서 여성에 비해 정서적 둔마 사회적 철퇴 언어의 빈곤 무의욕증 등 음성증상을 더욱 현저하게 나타내는 경향이 있었다 더불어 남성은 인지기능의 장애가 두드러지며 뇌의 구조적인 이상이나 신경생리학적 이상 또한 여성에 비해 더 많이 나타난다고 보고되어 왔다 이러한 차이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설명되지는 않았지만 성별에 따라서 사회적 역할의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이라는 사회문화적 가설 에스트로겐의 보호효과나 안드로겐의 영향으로 인한 것이라는 생물학적 가설 등 여러 이론이 제시되고 있다 조현병 환자들의 성별에 따른 뇌의 구조적 차이나 편측성이 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조현병의 성별에 따라 나타나는 다양한 임상양상의 차이점을 설명하기에는 아직까지 제한적인 수준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사고 및 언어장애는 다수의 조현병 환자들에게서 나타나며 오랜 기간 동안 조현병의 핵심 증상 중 하나로 제안되어 왔다 은 조발성 치매 의 임상양상의 핵심적인 특징을 사고 연상의 지리멸렬 - 착어증 신어조작증 등이라고 기술하였던 반면에 는 사고 및 언어의 장애를 연상의 이완 이라고 기술하였으며 이것을 조현병의 특징적인 증상으로 간주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형식적 사고장애 는 조현병의 진단적 체계 내에서 중요한 임상양상 중 하나로서 간주되어 왔는데 그간의 진단기준의 개정에도 불구하고 조현병의 진단에 있어 핵심적인 증상 중 하나로서 지속적으로 여겨져 왔다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 판 이하 은 형식적 사고장애에 상응하는 개념으로서 지리멸렬 - 또는 연상의 이완 을 조현병의 진단기준 중 하나로서 채택하였다 지속적으로 실증주의적 경향이 강화되면서 와 의 진단기준에서 형식적 사고장애의 개념은 와해된 언어 - 로 수정되어 기술되었다 한편 는 조현병의 진단기준을 충족시키려면 환청 망상 중 하나의 임상양상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는 단서조항이 진단기준 내에 포함되어 있었으나 는 환청 망상 와해된 언어 세 가지 중 한 가지는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수정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형식적 사고장애가 조현병의 진단기준 내에서 차지하는 그 비중이 다소 향상되었다고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조현병 調絃病 의 영문번역인 - 는 간주관성 을 토대로 개 념화되는 현상학적 게슈탈트 의 이상성을 반영한다 등 은 년 이상의 유병기간을 가진 조현병 환자 중에서 남성은 언어작업의 손상 언어의 빈곤 등이 더욱 빈번하게 나타난다고 보고되었다 이에 더불어 사고 및 언어장애의 임상양상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므로 포괄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은 형식적 사고장애 라는 용어가 실제 환자들이 보이는 장애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고 마치 환자들의 사고장애가 한 가지 형태로 나타나는 것처럼 왜곡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형식적 사고장애라는 표현보다는 사고 및 언어 의사소통의 장애 - 로 대체하도록 제안한 바 있다 그리고 사고 언어 및 의사소통의 평가를 위한 척도 이하 척도 를 개발하였다 더불어 등 은 조현병의 사고 및 언어장애는 여러 단계에서 복합적으로 이상이 나타나므로 언어학적인 관점에서 평가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에 비하여 기존의 척도들은 사고 및 언어장애의 임상양상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므로 새로운 척도인 임상적인 언어장애 평가척도 이하 를 개발하였다 이처럼 조현병을 개념적으로 정의함에 있어 형식적 사고장애가 지니는 임상적 의의에 비하여 형식적 사고장애나 와해된 언어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그 동안 제한적으로 보고되어왔던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척도와 을 사용하여 사고 및 언어장애를 평가하고 성별에 따라 나누어 각각의 항목에서 나타나는 차이점을 비교하고 그 의의를 고찰하고자 한다 방법 대상본 연구는 조현병 환자의 사고 및 언어장애에 대한 연구의 데이터 레지스트리 를 활용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과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기존의 논문에 기술되어 있다 연구대상은 년 월부터 년 월까지 용인과 춘천에 위치한 개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병원에서 등록되었다 본 연구의 포함기준은 로 조현병을 진단받은 환자 세 이상이며 세 이하인 환자 입원 기간이 주 이상인 경우이었다 제외기준은 기질적 정신장애 지적장애 알코올 등 기타 물질 사용장애를 갖고 있는 환자 뇌전증 또는 기타 신경과적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 심각한 내외과 질환이 있는 환자 교육 수준이 초등교육 이 292
FTD 의성별에따른차이 B Kim, et al. 하인 경우였다 최종적으로 명의 조현병 입원환자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용인정신병원 연구윤리 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았으며 모든 참여자들에게 연구의 시작 이전에 목적 및 방법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였고 참가동의서를 서면으로 작성한 후 진행하였다 표준화한 조건 하에서 충분한 언어표본을 얻기 위하여 임상적 언어장애 평가척도에서 제안된 기준을 본 연구에 적용하였다 중립적인 주제에 대하여 자발적으로 말하기 개방 질문에 대한 반응 혹은 중립적인 주제에 대한 짧은 이야기를 재구성하는 것 등이다 도구사고, 언어, 의사소통의평가를위한척도 (Scale for Assessment of Thought, Language, and Communication, TLC 척도 ) 사고 및 언어장애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척도를 사용하였다 척도는 총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항목은 환자와의 면담을 통해 증상의 정도를 평가자가 점에서 점 혹은 점에 이르는 척도로 평가한다 항목은 언어의 빈곤 언어 내용의 빈곤 언어압박 주의산만한 언어 사고이탈 탈선 - 지리멸렬 비논리성 음운연상 신어조작증 단어근사치 - 우원증 목표의 상실 보속증 반향언어증 사고차단 경직된 말하기 및 자기준거 로 구성된다 등 이 한글판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고하였는데 평가자 간 신뢰도 는 급내 상관계수 가 로서 중간 수준이었고 검사 재검사 신뢰도 는 피어슨 상관계수 - 는 로서 높은 수준이었다 그리고 내적 일관성 α 은 이었다 임상적언어장애평가척도 (Clinical Language Disorder Rating Scale, CLANG) 임상정 언어장애 평가를 위하여 을 사용하였다 은 총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항목은 과도한 음성적인 연상 비상적인 구문론적 구조 과도한 구문론적 제한 정상적인 어의론적 연상의 결여 지시적인 용법의 실패 담론 실패 세부적인 내용의 과도한 수준 세부적인 내용의 결여 운율이 없는 말하기 비정상적인 운율 어용론의 장애 말더듬 구음장애 - 언어의 빈곤 언어압박 신어조작증 및 착어증적인 오류 - 로 구성된다 각 항목은 참가자에게 해당하는 정도를 평가자가 점 척도로 평정하게 하였다 등 이 한글판 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보고하였는데 평가자 간 신뢰도는 급내 상관계수가 로서 중간 수준이었고 검사 재검사 신뢰도는 피어슨 상관계수는 로서 높은 수준이었다 한편 요인 구조를 보고하였는데 각 요인의 내적 일관성 α 은 의 범위 내에 있었다 간이정신진단검사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 BPRS) 전반적인 임상양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이하 을 사용하였다 는 총 개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항목은 증상의 심한 정도에 따라 점에서부터 점까지 평가하도록 되어 있다 는 국내에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보고되지 않았다 한편 등 이 양성 및 음성 증후군 척도 - 이하 와 의 연관성에 대해서 보고하였으며 의 개 항목은 의 개 항목 내에 모두 포함된다 국내에서는 등 이 를 번안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고하였다 Young 조증평가척도 (Young Mania Rating Scale, YMRS) 조증증상을 이하 을 이용하여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의 면담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총 개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항목에 따라서 증상의 정도는 점에서부터 점까지 혹은 점에서부터 점까지 평가하도록 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글판 를 사용하였으며 등 이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고하였는데 평가자 간 신뢰도는 피어슨 상관계수가 < 이었고 각각의 항목에서는 피어슨 상관계수가 의 범위 내에 있어 높은 수준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한글판 의 각 항목과 총점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병식 항목을 제외하고는 피어슨 상관계수가 범위 내의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더불어 내적 일관성 α 은 이었다 www.jknpa.org 293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5;54(3):291-298 조현병의캘거리우울증척도 (Calgary Depression Scale for Schizophrenia, CDSS) 우울증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이하 를 사용하였다 는 관찰자 평가 척도로 총 개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항목에 따라서 증상의 정도는 점에서부터 점까지로 평가하였다 국내에서는 등 이 한글판으로 번안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고하였는데 평가자 간 신뢰도는 개별 항목에 대해서는 급내 상관계수가 의 범위 내에 있었고 총점에서는 이었다 또한 한글판 는 선별기준값 점에서 의 민감도 의 특이도 - 의 양성 예측도 그리고 의 음성 예측도 를 보였다 내적 일관성 α 은 였다 통계분석성별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임상적인 특성 척도 및 의 점수 평가를 비교하기 위해 연속변인에 대하여 독립 검정 을 사용하였고 이산변인에 대하여 χ 검정을 시행하였다 또한 성별 이외의 변인들이 사고 및 언어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보정하기 위하여 해당변인을 공변량으로 정의한 이후에 연속변인에 대하여 공변량 분석 을 적용하였고 이산변인에 대하여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을 적용하였다 다중비교에 의한 제 형 오류 를 보정하기 위해 양측검정으로 통계적 유의수준은 < 로 정의하였다 모든 통계작업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결과 일반적특성총 명의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세 였으며 성별은 여성 명 남성 명 이었다 여성과 남성의 비교 시 결혼 상태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기혼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고 χ 종교를 가진 비율도 여성이 남성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서 χ 이후 통계에서는 결혼 및 종교상태를 공변량으로 상정하고 성별에 따른 차이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보정하였다 한편 직업유무 이하 최종학력 발병연령 항정신병약물의 클로르프로마진 등가량 및 단어 유창성 검사 점수 에서 점수의 차이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하지 않았다 표 형식적사고장애의성별에따른차이 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한 사고 언어 및 의사소통 장애의 심각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남성은 보속증 사고차단 경직된 말하기 항목의 심각도가 여성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으나 남 Table 1. Gender differences in the baseline variables and assessment scale score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Total sample (n=167) Men (n=86) Women (n=81) Statistical coefficients Unadjusted p value Adjusted p value* Age, mean (SD) years 46.5 (11.2) 47.9 (11.2) 45.3 (11.1) t=2.520 0.132 0.022 Unmarried, n (%) 129 (79.1) 73 (88.0) 56 (70.0) χ 2 =7.952 0.005 - Unemployed, n (%) 157 (95.2) 80 (95.2) 77 (95.1) χ 2 =0.003 0.958 0.904 Below high school graduate, n (%) 108 (73.0) 57 (76.0) 51 (69.9) χ 2 =0.706 0.401 0.518 Religious affiliation, n (%) 99 (61.5) 40 (49.4) 59 (73.8) χ 2 =10.092 0.001 - Hospital χ 2 =1.495 0.221 0.392 A, n (%) 145 (86.8) 72 (83.7) 73 (90.1) B, n (%) 22 (13.2) 14 (16.3) 8 (9.9) Age at onset, mean (SD) years 25.2 (7.0) 24.0 (6.4) 26.4 (7.4) t= 1.941 0.054 0.124 Chlorpromazine equivalent, mean (SD) 921.1 (952.0) 893.6 (774.8) 950.3 (1114.1) t= 0.384 0.701 0.300 Global Assessment Functioning, mean (SD) 42.3 (11.7) 41.6 (10.7) 43.0 (12.5) t= 0.755 0.452 0.924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 mean (SD) 40.1 (12.3) 40.6 (10.9) 39.5 (13.7) t=0.531 0.596 0.882 Young Mania Rating Scale, mean (SD) 7.3 (6.9) 7.1 (6.7) 7.6 (7.2) t= 0.450 0.653 0.472 Calgary Depression Scale, mean (SD) 1.5 (2.5) 1.9 (2.5) 1.6 (2.5) t=0.709 0.479 0.824 * : Adjusted for the effects of marital status and religious affiliation, : n=131. SD : Standard deviation 294
FTD 의성별에따른차이 B Kim, et al. 성은 언어의 빈곤 언어 내용의 빈곤 자기준거 항목의 심각도가 여성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 외의 나머지 항목 들인 언어 압박 주의산만한 언어 사고이탈 탈선 지리멸렬 비논리성 음운연상 신어조작증 단어근사치 우원증 목표의 상실 및 반향언어증 항목에서는 두 집단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표 을 이용하여 평가한 임상적인 언어장애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 보면 남성은 세부적인 내용의 결여 말더듬 < 구음장애 < 항목의 심각도가 여성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지만 남성은 운율이 없는 말하기 언어의 빈곤 항목의 심각도가 여성에 비해 높았다 그 외의 과도한 음성적인 연상 비정상적인 구문론적 구조 과도한 구문론적 제한 정상적인 어의론적 연상의 결여 지시적인 용법의 실패 담론 실패 세부적인 내용의 과도한 수준 비정상적인 운율 어용론의 장애 언어압박 신어조작증 및 착어증적인 오류 < 항목에서는 두 집단 간 차이는 유지하지 않았다 표 고찰 요약하면 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한 형식적 사고장애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남성은 여성에 비해서 보속증과 사고차단 경직된 말하기의 심각도가 유의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을 이용하여 평가한 임상적인 언어장애의 성별에 따른 차이점은 남성이 여성에 비해 세부적인 내용의 결여 말더듬 구음장애가 유의한 수준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은 사고의 장애는 화자와 청자 간의 의사소통에 문제를 유발하며 이것으로 인하여 의사소통 장애 가 나타난다고 하였다 언어 내용의 빈곤 언어 압박 산만한 언어 사고이탈 탈선 경직된 말하기 반향언어증 자기준거 우원증 목표의 상실 보속증 및 사고차단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본 연구에서 남성에서 높게 나타난 항목인 보속증 사고차단 경직된 말하기는 모두 위에서 언급한 의사소통의 장애에 포함된다 또한 은 지리멸렬 소리연상 신어조작증 단어근사치는 언어의 구문론적 의미론적 장애로 인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한편 사고의 빈곤이나 비논리성 Table 2. Gender differences in the formal thought disorder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i) Total sample Men Women Statistical Unadjusted Adjusted (n=167) (n=86) (n=81) coefficients p value p value Poverty of speech, mean (SD) 0.9 (1.0) 1.0 (1.0) 0.7 (0.8) t=2.520 0.013 0.043 Poverty of content of speech, mean (SD) 1.2 (1.2) 1.4 (1.2) 1.0 (1.1) t=2.291 0.023 0.017 Pressure of speech, mean (SD) 0.4 (0.7) 0.3 (0.6) 0.5 (0.8) t= 1.539 0.126 0.371 Distractible speech, mean (SD) 0.5 (1.0) 0.5 (1.0) 0.5 (1.0) t=0.032 0.975 0.643 Tangentiality, mean (SD) 1.0 (1.3) 1.1 (1.3) 1.0 (1.3) t=0.667 0.505 0.459 Derailment, mean (SD) 1.1 (1.3) 1.1 (1.3) 1.1 (1.3) t=0.265 0.791 0.622 Incoherence, mean (SD) 0.7 (1.2) 0.8 (1.3) 0.6 (1.1) t=1.269 0.206 0.263 Illogicality, mean (SD) 1.0 (1.3) 1.0 (1.3) 0.9 (1.2) t=0.494 0.622 0.697 Clanging, mean (SD) 0.2 (0.6) 0.2 (0.7) 0.1 (0.5) t=0.912 0.363 0.476 Neologisms, mean (SD) 0.1 (0.5) 0.1 (0.5) 0.1 (0.5) t= 0.102 0.919 0.968 Word approximations, mean (SD) 0.3 (0.6) 0.3 (0.7) 0.3 (0.6) t=0.089 0.929 0.842 Circumstiantiality, mean (SD) 0.8 (0.9) 0.8 (0.9) 0.8 (0.8) t= 0.163 0.871 0.951 Loss of goal, mean (SD) 1.0 (1.1) 1.1 (1.1) 0.9 (1.1) t=0.808 0.420 0.381 Perservation, mean (SD) 0.4 (0.8) 0.6 (0.9) 0.3 (0.7) t=2.492 0.014 0.007* Echolalia, mean (SD) 0.1 (0.1) 0.1 (0.1) 0.1 (0.1) t= 0.042 0.966 0.813 Blocking, mean (SD) 0.5 (0.9) 0.6 (1.0) 0.3 (0.7) t=2.507 0.013 0.003* Stilted speech, mean (SD) 0.5 (0.8) 0.7 (0.9) 0.4 (0.7) t=2.414 0.017 0.009* Self-reference, mean (SD) 0.6 (0.9) 0.7 (0.9) 0.5 (0.8) t=1.388 0.167 0.031 Total score, mean (SD) 11.3 (9.9) 12.6 (10.2) 9.9 (9.4) t=1.770 0.079 0.049 * : p<0.01, : Adjusted for the effects of marital status and religious affiliation. SD : Standard deviation www.jknpa.org 295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5;54(3):291-298 Table 3. Gender differences in the formal thought disorder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ii) Total sample (n=167) Men (n=86) Women (n=81) Statistical coefficients Unadjusted p value Adjusted p value Excessive phonetic association, mean (SD) 0.1 (0.3) 0.1 (0.4) 0.1 (0.3) t=1.361 0.175 0.316 Abnormal syntactic structure, mean (SD) 0.5 (0.9) 0.6 (0.9) 0.5 (0.9) t=0.554 0.580 0.848 Excessive syntactic constraints, mean (SD) 0.3 (0.6) 0.4 (0.6) 0.3 (0.6) t=1.173 0.242 0.255 Lack of normal semantic association, mean (SD) 0.7 (1.1) 0.7 (1.1) 0.8 (1.1) t= 0.261 0.794 0.763 Referential failures, mean (SD) 0.1 (0.5) 0.1 (0.3) 0.2 (0.6) t= 1.028 0.306 0.544 Disclosure failure, mean (SD) 1.0 (1.1) 1.0 (1.1) 1.0 (1.1) t=0.501 0.617 0.476 Excessive level of details, mean (SD) 0.6 (0.8) 0.6 (0.8) 0.7 (0.9) t= 1.159 0.248 0.240 Lack of details, mean (SD) 1.0 (1.0) 1.2 (1.1) 0.8 (0.9) t=2.921 0.004 0.007* Aprosodic speech, mean (SD) 0.6 (0.9) 0.8 (1.0) 0.4 (0.7) t=2.936 0.004 0.016 Abnormal prosody, mean (SD) 0.2 (0.5) 0.2 (0.6) 0.1 (0.5) t=1.156 0.252 0.316 Pragmatic disorder, mean (SD) 0.5 (0.8) 0.5 (0.9) 0.4 (0.8) t=0.919 0.360 0.331 Dysfluency, mean (SD) 0.4 (0.7) 0.6 (0.8) 0.2 (0.4) t=4.695 <0.0001 <0.0001* Dysarthria, mean (SD) 0.6 (1.0) 1.0 (1.1) 0.6 (0.9) t=5.732 <0.0001 <0.0001* Poverty of speech, mean (SD) 0.9 (1.1) 1.1 (1.2) 0.6 (0.9) t=2.819 0.005 0.016 Pressure of speech, mean (SD) 0.4 (0.7) 0.3 (0.6) 0.4 (0.7) t= 1.325 0.187 0.298 Neologisms, mean (SD) 0.1 (0.5) 0.1 (0.5) 0.1 (0.5) t= 0.262 0.794 0.769 Paraphasic error, mean (SD) 0.3 (0.7) 0.3 (0.7) 0.3 (0.7) t= 0.146 0.884 0.984 Total score, mean (SD) 9.0 (6.9) 9.6 (7.0) 6.9 (6.6) t=2.524 0.013 0.018 * : p<0.01, : Adjusted for the effects of marital status and religious affiliation. SD : Standard deviation 은 사고가 일탈 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 언어의 빈곤 언어 내용의 빈곤의 심각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으나 비교적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세부내용의 결여의 심각도는 의미있는 수준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지리멸렬 소리연상 신어조작증 단어근사치 등 언어의 구문론적 의미론적 장애에 속하는 항목에서는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것은 언어 사용에서의 구문론 의미론적 장애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지만 사고의 일탈에서는 남성에서 비교적 그 심각도가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추정된다 과 는 형식적 사고장애를 지리멸렬 특이한 단어 의 사용 주의산만한 언어 등으로 구성되는 양성 형식적 사고장애 - 와 언어의 감소 언어 내용의 감소 등으로 구성되는 음성 형식적 사고장애 로 분류하였다 그렇다면 본 연구결과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 음성 형식적 사고장애의 심각도가 높다고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등 은 연속적인 수행검사 - 를 시행하여 조현병 환자의 형식적 사고장애와 집중력의 손상 양상을 보고한 바 있다 이 연구에서 급성기에 보이는 사고장애인 정점 양성적인 형식적 사고장애 는 성별 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약물치료를 한 후에도 남아 있는 잔류 양 성적인 형식적 사고장애 의 심각도는 남성에게서 유의하게 높게 보고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조현병 환자들에게서 사고 및 언어장애의 전반적인 심각도가 남성에게서 더 현저한 양상을 띤다는 본 연구결과와 부합한다고 볼 수 있다 등 은 조현병 환자의 언어장애는 복합적인 단계에서 여러 요소들의 상호작용이 반영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이에 언어장애의 단계를 다음과 같이 세 영역이 독립적으로 서로 영향을 미쳐 언어의 이상을 발현할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생성론적 단계 언어의 빈곤 구문론적 단계 음성의 이상 부적절한 단어의 선택 착어증적 오류 신어조작증 및 의미론적 단계 연상의 이완 한편 등 이 초발 조현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집행기능과 형식적 사고장애의 상관관계를 밝히기 위해서 년 동안 추적관찰을 하였다 그 결과 구문론적 이상의 호전은 와해증상 의 감소와 연관되었으며 반면에 생성론적 이상의 호전은 음성증상의 감소와 연관되었다 본 연구결과의 임상적인 언어장애 영역에서 운율이 없는 말하기와 언어의 빈곤 항목의 심각도가 남성이 여성에 비해 그 차이가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세부적인 내용의 결여 말더듬 및 구음장애 항목의 심각도가 남성이 여성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언어장애의 발생에서 단계의 이상성을 구체적으로 특정할 수는 없지만 조현병 환자에서 임상적 언어장애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생성론적 단계와 구문론적 단 296
FTD 의성별에따른차이 B Kim, et al. 계의 이상성과 연관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향후 임상적 언어장애와 다양한 임상양상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조현병 환자에서 임상적 언어장애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정 신병리학적으로 보다 엄밀하게 개념화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만성화된 조현병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기 때문에 초기정신병이나 첫 삽화 조현병 환자에게 본 연구결과를 적용하는 것에 제한점 이 있다 둘째 조현병에서 인지기능은 사고 및 언어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인지기능 영역의 영향 을 평가하지는 못했다 셋째 연구대상이 사용하였던 항정신 병약물의 평균 클로르프로마진 등가량이 이었던 바 그 등가량이 성별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항정 신병약물이 언어장애의 양상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배 제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조현병에서 핵심적인 증상 임에도 그 동안 제한적으로만 이루어져 온 성별에 따른 사고 및 언어장애의 차이를 제시했다는 데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 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조현병에서 나타나는 성별에 따른 사고 및 언어장애 차이에 상응하는 신경생물학적 기전을 탐색하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특히 형식적 사고장애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대뇌 비대칭성 - 이나 대뇌 편측화 와 같은 신경 생물학적 연관자 를 통해 이해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결 론 본 연구는 조현병 환자에서 성별에 따른 사고 및 언어장애 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척도 및 을 사용하 여 환자들의 사고 및 언어장애를 평가하였다 연구의 결과 남성은 여성에 비해서 보속증과 사고차단 경직된 말하기의 심각도가 높으며 또한 세부적인 내용의 결여 말더듬 구음장 애를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성별 에 따라 조현병 환자들의 사고 및 언어장애에 경향성의 차이 가 존재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고 할 수 있다 향후 이러한 성별에 따른 차이점을 반영하는 신경생물학적 연관자를 탐 색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된다 중심단어 형식적 사고장애 사고 언어 성별 조현병 Acknowledgments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financial conflicts of interest. REFERENCES 1) Andia AM, Zisook S, Heaton RK, Hesselink J, Jernigan T, Kuck J, et al. Gender differences in schizophrenia. J Nerv Ment Dis 1995;183: 522-528. 2) Leung A, Chue P. Sex differences in schizophrenia, a review of the literature. Acta Psychiatr Scand Suppl 2000;401:3-38. 3) McGlashan TH, Bardenstein KK. Gender differences in affective, schizoaffective, and schizophrenic disorders. Schizophr Bull 1990; 16:319-329. 4) Häfner H. Gender differences in schizophrenia. Psychoneuroendocrinology 2003;28 Suppl 2:17-54. 5) Kraepelin E. Psychiatrie, 6th ed. Leipzig: Barth;1899. 6) Bleuler E. Dementia Praecox or the Group of Schizophrenias.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1958. 7)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3rd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1980. 8)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1994. 9)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13. 10) Park SC. Wittgensteinian philosophy and phenomenological psychopathology. Yong-In Psychiatry Bull 2012;19:45-54. 11) Lee YS, Kim JJ, Kwon JS. Renaming schizophrenia in South Korea. Lancet 2013;382:683-684. 12) Lee YS, Park IH, Park SC, Kim JJ, Kwon JS. Johyeonbyung (attunement disorder): renaming mind splitting disorder as a way to reduce stigma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in Korea. Asian J Psychiatr 2014;8:118-120. 13) Haas GL, Sweeney JA, Hien DA, Goldman D, Deck M. Gender differences in schizophrenia. Schizophr Res 1991;4:277. 14) Andreasen NC. Scale for the assessment of thought, language, and communication (TLC). Schizophr Bull 1986;12:473-482. 15) Andreasen NC. Scale for the assessment of thought,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I. Clinical assessment, definition of terms, and evaluation of their reliability. Arch Gen Psychiatry 1986;12:473-482. 16) Chen EYH, Lam LCW, Chan CKY, Kwok CL, Nguyen DGH, Chen RYL. Language disorganisation in schizophrenia: validation and assessment with a new clinical rating instrument. Hong Kong J Psychiatry 1966;6:4-13. 17) Park SC, Jang EY, Lee KU, Lee K, Lee HY, Choi J.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cale for the Assessment of Thought, Language, and Communication. Compr Psychiatry 2015; 61:122-130. 18) Park SC, Jang EY, Lee KU, Lee KS, Lee HY, Choi JH. Psychometric properties of Korean version of the clinical language rating scale. Clin Psychopharmacol Neurosci 2015 (in press). 19) Overall JE, Gorham DR. The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 Psychol Rep 1962;10:799-812. 20) Leucht S, Kane JM, Etschel E, Kissling W, Hamann J, Engel RR. Linking the PANSS, BPRS, and CGI: clinical implications. Neuropsychopharmacology 2006;31:2318-2325. 21) Yi JS, Ahn YM, Shin HK, An SK, Joo YH, Kim SH,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1;40:1090-1105. www.jknpa.org 297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5;54(3):291-298 22) Young RC, Biggs JT, Ziegler VE, Meyer DA. A rating scale for mania: reliability, validity and sensitivity. Br J Psychiatry 1978;133:429-435. 23) Jung HY, Cho HS, Joo YH, Shin HK, Yi JS, Hwang S, et al.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version of the Young Mania Rating Sca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3;42:263-269. 24) Addington D, Addington J, Schissel B. A depression rating scale for schizophrenics. Schizophr Res 1990;3:247-251. 25) Kim YK, Won SD, Lee KM, Choi HS, Jang HS, Lee BH, et al.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algary Depression Scale for Schizophrenia (K-CDS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5;44:446-455. 26) Andreasen NC, Grove WM. Thought, language, and communication in schizophrenia: diagnosis and prognosis. Schizophr Bull 1986;12: 348-359. 27) Pandurangi AK, Sax KW, Pelonero AL, Goldberg SC. Sustained attention and positive formal thought disorder in schizophrenia. Schizophr Res 1994;13:109-116. 28) Xu JQ, Hui CL, Longenecker J, Lee EH, Chang WC, Chan SK, et al. Executive function as predictors of persistent thought disorder in first-episode schizophrenia: a one-year follow-up study. Schizophr Res 2014;159:465-470. 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