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요약 1. 서론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 교육정책의 바람직한 방향을 설정하고, 미래지향적인 정책과제와 전략, 그리고 비전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지 난 15년간의 청소년 교육 환경 및 정책의 변화를 분석하고, 향후 15년간 의 청소년 교육 환경



Similar documents
untitled

<3036C7E2BCF6C3D6C1BEBABB2E687770>

°æÁ¦Àü¸Á-µ¼º¸.PDF

<BFDCB1B9C0CE20C5F5C0DAB1E2BEF7C0C720B3EBBBE7B0FCB0E82E687770>

<C1A4C3A5BFACB1B D3420C1A4BDC5C1FAC8AFC0DAC0C720C6EDB0DFC7D8BCD220B9D720C0CEBDC4B0B3BCB1C0BB20C0A7C7D120B4EBBBF3BAB020C0CEB1C720B1B3C0B020C7C1B7CEB1D7B7A520B0B3B9DF20BAB8B0EDBCAD28C7A5C1F6C0AF292E687770>

2005 중소기업 컨설팅 산업 백서

09 강제근로의 금지 폭행의 금지 공민권 행사의 보장 중간착취의 금지 41 - 대판 , 2006도7660 [근로기준법위반] (쌍용자동차 취업알선 사례) 11 균등대우의 원칙 43 - 대판 , 2002도3883 [남녀고용평등법위

<5BC6EDC1FD5DBEEEBEF7C0CCC1D6B3EBB5BFC0DAC0CEB1C7BBF3C8B2BDC7C5C2C1B6BBE7C3D6C1BEBAB8B0EDBCAD28BAB8C0CCBDBABEC6C0CC292E687770>

< BACFC7D1B1B3C0B0C1A4C3A5B5BFC7E228B1E2BCFABAB8B0ED D D20C6EDC1FD2035B1B32E687770>

INDUS-8.HWP


CONTENTS.HWP

13Åë°è¹é¼Ł

제 출 문 중소기업청장 귀하 본 보고서를 중소기업 원부자재 구매패턴 조사를 통한 구매방식 개선 방안 연구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단 장 최 정 훈 연구책임자 : 이재광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부교수) 공동연구자 : 노성호

<5B33B9F8B0FAC1A65D20B9E6BCDBBDC9C0C7BDC3BDBAC5DB20B0B3BCB1B9E6BEC8BFACB1B82DC3D6C3D6C1BE2E687770>

세계 비지니스 정보

정책연구개발사업 2010-위탁 대학 등록금의 합리적 책정을 위한 실행방안 연구 연 구 책 임 자 공 동 연 구 자 송동섭(단국대학교) 이동규(충남대학교) 이창세(재능대학) 한창근(인하공업전문대학) 연 구 협 력 관 장미란(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이 연구는 201


영암군 관광종합개발계획 제6장 관광(단)지 개발계획 제7장 관광브랜드 강화사업 1. 월출산 기( 氣 )체험촌 조성사업 167 (바둑테마파크 기본 계획 변경) 2. 성기동 관광지 명소화 사업 마한문화공원 명소화 사업 기찬랜드 명소화 사업 240

< B3E22032BAD0B1E220C4DCC5D9C3F7BBEABEF7B5BFC7E2BAD0BCAEBAB8B0EDBCAD28C3D6C1BE292E687770>

<BEC6BFF4BCD2BDCCBAB8B0EDBCAD28C3D6C1BE E687770>

DBPIA-NURIMEDIA

<BBE7B8B3B4EBC7D0B0A8BBE7B9E9BCAD28C1F8C2A5C3D6C1BE E687770>

입장


iOS ÇÁ·Î±×·¡¹Ö 1205.PDF

<BAD2B9FDBAB9C1A620BAB8B0EDBCAD5FC5EBC7D55F FB9DFB0A3BBE7C6F7C7D45F33C2F720B1B3C1A428B1D7B8B22020C3DFC3E2292E687770>



00-1표지

경제통상 내지.PS

°æÁ¦Åë»ó³»Áö.PDF

우루과이 내지-1


<3130BAB9BDC428BCF6C1A4292E687770>

장애인통계-0110-최종.hwp

<C7D0B1B3C7F5BDC520BBE7B7CAB9DFB1BCB0FA20C8AEBBEAC0BB20C0A7C7D120B3D7C6AEBFF720B1B8C3E0B9E6BEC8BFACB1B D30362C20C0CEBCE2BABB292E687770>




[96_RE11]LMOs(......).HWP

< B3E220C7CFB9DDB1E2BACEC5CD20C0CCB7B8B0D420B4DEB6F3C1FDB4CFB4D E687770>

직업편-1(16일)

교육정책연구 2005-지정-52 공무원 채용시험이 대학교육,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공무원 채용제도 개선방안 연구책임자 : 오 호 영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부연구위원) 이 정책연구는 2005년도 교육인적자원부 인적자원개발 정책연구비 지원에 의 한

<C3D6C1BEBAB8B0EDBCAD28C1A4C3A55F B315D2E687770>

PDF

xviii EBS 수능강의 서비스를 활용하는 이유는 수능시험에 연계되기 때문이라는 응답 이 학생 61.7%, 학부모 73.2%로 가장 많았고, EBS 수능강의 서비스를 활용하 지 않는 이유는 학생의 경우 사교육 때문이라는 응답이 26.9%, 혼자 공부하는 것으로 충분하

<C0CEC5CDB3DDC1DFB5B6BDC7C5C2C1B6BBE75FC0CEBCE2C5EBC7D5BABB5F E687770>



3232 편집본(5.15).hwp

Ⅰ. 머리말 각종 기록에 따르면 백제의 초기 도읍은 위례성( 慰 禮 城 )이다. 위례성에 관한 기록은 삼국사기, 삼국유사, 고려사, 세종실록, 동국여지승람 등 많은 책에 실려 있는데, 대부분 조선시대에 편 찬된 것이다. 가장 오래된 사서인 삼국사기 도 백제가 멸망한지

untitled

<5BB1E2BABB5D5FB0F8B0F8BACEB9AE5FBDC3B0A3C1A6B1D9B9ABBFCD5FC0B0BEC6C8DEC1F7BFA15FB5FBB8A55FB4EBC3BCC0CEB7C25FC8B0BFEBB0FAC0C75FBFACB0E8B9E6BEC85F2D5FB9AEB9CCB0E62E687770>

99-18.hwp

Àç°¡ »êÀçÀå¾ÖÀÎÀÇ ÀçÈ°ÇÁ·Î±×·¥¿¡ °üÇÑ¿¬±¸.HWP

À̶õ°³È²³»Áö.PDF

제 출 문 노동부 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노동부 수탁연구과제 문화 예술산업 근로실태 조사 및 근로 자 보호방안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한국노동연구원 원장 박 기 성

< C7D0B3E2B5B520B9FDC7D0C0FBBCBABDC3C7E820C3DFB8AEB3EDC1F528C8A6BCF6C7FC292E687770>

<28BCF6BDC D B0E6B1E2B5B520C1F6BFAABAB020BFA9BCBAC0CFC0DAB8AE20C1A4C3A520C3DFC1F8C0FCB7AB5FC3D6C1BE E E687770>

도큐-표지


<BFBEBEC6C0CCB5E9C0C720B3EEC0CC2E20B3EBB7A120C0CCBEDFB1E220C7D0B1B3202D20C0DAB7E1322E687770>

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0429bodo.hwp

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cls46-06(심우영).hwp

최우석.hwp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E1-정답및풀이(1~24)ok

< 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 D2E687770>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untitled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6±Ç¸ñÂ÷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 C3D6C1BEBABB292E687770>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177

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01Report_210-4.hwp

<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 D352D32315FC5E4292E687770>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시험지 출제 양식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상품 전단지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2

DBPIA-NURIMEDIA

화이련(華以戀) hwp

ÆòÈ�´©¸® 94È£ ³»Áö_ÃÖÁ¾

歯1##01.PDF

<5BC1F8C7E0C1DF2D31B1C75D2DBCF6C1A4BABB2E687770>

120229(00)(1~3).indd

Transcription:

발간등록번호 국가청소년 www.youth.go.kr 청소년 희망세상 비전 2030 연구 (교육 분야) 책임연구원 : 임천순 (세종대학교 교수) 공동연구원 : 채재은 (경원대학교 부교수) 우명숙 (한양대학교 초빙교수) 국 가 청 소 년 위 원 회

연구요약 1. 서론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 교육정책의 바람직한 방향을 설정하고, 미래지향적인 정책과제와 전략, 그리고 비전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지 난 15년간의 청소년 교육 환경 및 정책의 변화를 분석하고, 향후 15년간 의 청소년 교육 환경을 예측하고 이에 부합하는 교육정책의 장기적 비전과 핵심과제를 도출하고 청소년 미래교육의 전망과 이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 전략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국가비전 2030과 연계된 청소년 희망세상 비전 2030 의 청소 년 교육비전과 구체적인 정책과제를 도출한다. 둘째, 과학적인 예측기법을 활용하여 청소년교육 미래상을 담은 다양한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시나리 오별로 장단기 교육정책 목표와 추진과제를 제시한다. 셋째, 청소년교육 관 계자, 학생, 교사 등에 의해 실제 검증된 미래 교육 시나리오와 정책과제를 도출하여 청소년 희망세상 비전 2030의 실현가능성을 제고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우선 사회변동과 교육환경 변화를 보 여주는 교육환경 변화 관련 통계 지표와 국내 청소년 교육 정책 문헌, 청 소년 교육에 관한 국내외 분석 자료들을 검토하였다. 그 외 시나리오 기법, 델파이 조사,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청소년 교육 분야의 청소년 정책의 비전과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시나리오 기법은 1차년도(2006) SWOT 분석결과를 통해 도출된 핵심 i

트렌드 중에서 가장 영향력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중요한 트랜드와 불확실 한 트렌드를 중심으로 미래 시나리오를 도출하였다. 1차년도 연구에서 규명된 핵심 트랜드를 중심으로 청소년 영역별 전문 가를 대상으로 청소년 교육 분야에 대한 의견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전문가 패널 30명을 대상으로 핵심 트렌드에 대한 미래 예측과 정 책과제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청소년 교육의 현 실태 및 미래 청소년 교육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의 견을 파악하기 위하여 5개 교육청(서울, 경기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 북도)의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들과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2. 청소년 교육 실태에 대한 청소년 및 학부모 인식 청소년 교육 실태와 문제점을 진단하고 미래 청소년 교육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한 학생과 학부모 대상 설문조사 결과 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학교교육에 대한 만족도 학교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살펴보면 학부모의 만족도가 학생들의 만족도에 비하여 높게 나타나고 있다. 학생의 경우 남학생의 비해 여학생 이 학교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았으며, 지역적으로 살펴보면 전라도, 서울, 경북, 경기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교육의 국제화 학생과 학부모 모두 해외 유학에 대한 강한 선호를 나타냈다. 또한 국제 결혼, 이주 노동 등으로 인해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이 초중등학교에 늘어 나는 현상에 대해 학생과 학부모 모두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다문 화 가정의 증가에 대하여 긍정적인데도 불구하고 다문화 가정 자녀의 증가 ii

에 대하여 별관심이 없는 응답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대부분의 다문화 가 정 자녀들이 도시의 특정 지역(수도권 제조업체 집중 지역)나 농어촌 등을 중심으로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전국을 표집대상으로 한 본 설문조사에 참여한 학생과 학부모들에게는 실제로 느껴지는 현상이기 아닌 것 때문이 아닌가 한다. 한편, 영어교육 역시 종전의 문법 중심의 교육에서 실질적인 영어 의사 소통능력을 함양하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 교에서 이루어지는 영어교육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만족도는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학생들은 주로 학원, 방과후 학교,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영어공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과 학업부담 인문계 학생 중 사교육을 받지 않는 학생이 4%인 반면 실업계 학생의 경우 약 50%의 학생이 사교육을 받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 참여 실태를 시도별로 살펴보면, 사교육을 받는 비율이서울, 경기도, 전라 도, 경상북도 순으로 높으며, 경기도의 사교육을 받지 않는 비율이 받는 경 우에 비해 다른 시도보다 더 높았다. 가계가 지출하는 월 평균 사교육비는 16.1만원정도이며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더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별로 볼 때 서울이 평균 24.5만원, 경기도가 10.8만원, 전라도가 10.7만원, 경상북도가 15.8만원이 었다. 사교육을 받는 경우에 한정하여 사교육비의 분포를 살펴보면, 사교육 을 받는 학생의 하위 1/4은 월 평균 13만원을, 하위 2/4는 30만원, 3/4는 50만원을 지출하였다. 학업 부담에 있어 학교성적과 수능준비 등으로 학생 들이 느끼는 스트레스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업계 학생들에 비 하여 인문계의 학생, 남학생에 비하여 여학생이 학교성적 또는 수능준비 등 학업부담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각각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iii

향후교육 및 진로계획 학생이나 학부모 모두 대학교 이상의 최종 학력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래에 희망하는 직업으로 학생은 전문직 기술직, 공무원, 대기 업 직원, 교사인 반면 학부모는 전문직 기술직, 공무원, 교사, 대기업 직원 의 순으로 선호도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과 학부모 모두 안정성 과 평균 이상의 월급을 보장하는 전문직종과 공무원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특히 학생에 비하여 학부모들이 자녀들이 안정적인 수입과 정년이 보장된 공무원이 되기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청년 실업이 장 기적인 사회문제화가 되면서 학부모들이 고수익 고위험율의 특성을 가진 직업 보다는 평균 정도의 임금 수준을 보장하면서 안정성이 높은 직장을 선호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2030 청소년 교육 예측에 대한 시사점 청소년 교육의 실태 및 향후 진로 준비에 대한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청소년들을 둘러싼 환경이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응답자들 은 인식하고 있다. 둘째, 현재의 학교 교육에 대해서 학생과 학부모의 만족 도가 낮다는 것은 학교 교육에 개선할 여지가 많다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청소년들에게 가장 큰 고통이 되고 있는 학업부담 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넷째, 사교육으로 인해 심화되고 있는 교육 양극화에 대한 보다 적극적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 다섯째, 학생들의 진로 준비를 보다 체계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3. 청소년 교육 환경 변화에 대한 예측 청소년 교육 분야의 미래 예측을 위하여 교육환경 변화, 교육투입 요소 변화, 교육과정 변화, 교육산출 변화의 핵심 트렌드를 중심으로 청소년 교 육환경 변화를 살펴보았다. iv

청소년 교육 환경의 변화 청소년 교육환경 변화의 핵심 트랜드를 살펴보면 최근 출산율(합계출산 율)의 현저한 감소가 계속되면서 학령인구의 급속한 감소와 고령 인구의 증가하는 저출산,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고 있다. 또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로 지구촌 이 형성 되면서 우리 사회 전반에 개방화, 국제화가 진전되고, 인구 구성이 급격히 다양화가 되고 있다. 교육 분야에서는 국경을 넘는 교육(cross border education) 체제가 구축되고, 국가 간 유학생의 이동 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사회적으로는 양극화 현상이 급격히 심화되 어 소득, 고용, 소비 등에 있어서 현저한 차이가 발생하고, 이는 교육 기 회의 양극화 로 이어지게 될 것이다. 교육 투입 요소 변화의 핵심 트랜드 사회 전반의 저출산 고령화의 영향으로 인해 청소년 인구는 급격히 감소 하고, 다양한 인구 구성은 청소년 인구의 다양화로 연결되어 진다. 저출산, 정보화, 국제화 등에 따라 청소년을 교육시키는 교원과 청소년 지도사 및 상담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학교교육에 있어 교육의 다양화, 개별화에 대한 요구가 확대됨에 따라 교육과정의 다양화도 촉진되고 있다. 전국 모든 학교에 컴퓨터와 인터넷 통신망이 보급되어 정보화 여건이 향상 되었으며 학교 시설 및 학습 환경도 변화될 것이다. 교육과정 변화의 핵심 트랜드 2006년 12월에 지방교육자치법률이 개정되면서 교육 의사결정체제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동안 간선으로 선출되던 교육감과 교육위원들이 주민 직선으로 선출될 예정이며 시 도 교육위원회가 향후 시 도의회의 특별상임위로 일원화되며, 시 도의원과 교육의원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교 사 자격증이 없는 전문경영인이나, 교직 경력이 적은 젊은 교사들이 교장 이 될 수 있는 교장공모제 의 시범적 도입과 시장주의(marketism) 에 기반한 교육정책이 더욱 확대될 것이다. 최근에는 개방형 자율학교, 차터 v

스쿨(charter school), 영국의 아카데미 학교(academy school)등 다양한 학교유형이 나타나고, 저소득층 학생들의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도 입될 것이다. 교육 산출 변화의 핵심 트랜드 우리나라 청소년의 진학률은 OECD 회원국들에 비하여 높은 편이며 학 업 중단률은 매우 낮은 편이다. 우리나라 학생들의 전반적인 학업성취도는 세계적으로 매우 높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으나 학업에서의 흥미, 자아 효 능감, 동기 등 이른바 '정의적 태도'의 측면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 있다. 학생들의 학교 폭력 외에도 인터넷 중독과 인터넷을 활용한 사이버 범죄 의 계속 증가하고 있다. 핵심 트랜드를 활용한 청소년 교육 분야 미래 예측 전문가 의견조사 결과 청소년교육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트렌 드는 청소년 인구의 지속적 감소, 가족구조의 다양화, 다문화 가족의 증가 를 들 수 있다. 또 청소년교육의 미래를 형성하는 데에 있어서 불확실하지 만 중요한 트렌드는 교육양극화 현상, 글로벌 역량의 필요성 증가, 학습공 간의 다원화, 교육제도의 다양화, 산학협력 활동이 증가 등을 들 수 있다. 전문가 패널 델파이 조사 결과 살펴보면 입시경쟁에 따른 청소년들의 학 업 부담에 대하여 계속 부담이 늘어날 것이며, 양극화 현상이 심화될 것이 라고 응답했다. 학생의 미래의견 조사 결과 초중등학생들은 미래 교육의 모습을 사이버교육, 컴퓨터교육, 화상수업, 영상에 의한 수업, 로봇에 의한 수업 등을 제시하였다. 특히, 중학생은 미래의 사회의 주요 트랜드로서 국제화 를 지적했으며, 고등학생들은 학교운영에 대한 학생 참여의 기 회가 증가 되어 공교육의 질이 향상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대학생의 경우 도 첨단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이 구축된 교실에 서 학습할 수 있고, 온라인학교, 홈스쿨링 등을 제시하고 있다. vi

청소년 교육분야 미래 시나리오 예측 본 연구진이 도출한 청소년의 교육분야 미래 시나리오 예측은 다음과 같 다. 청소년 교육환경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트렌드 중 가장 확실하면서 도 중요한 환경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은 청소년 인구의 감소, 정보통신 기 술의 발전에 따른 이러닝 확대, 글로벌 역량의 강화, 다문화 가족 증가 등 을 들 수 있다. 핵심 트렌드 중 동인( 動 因 )으로서 작용하는 트렌드는 양극 화 심화, 교육수요자의 영향력 강화 등을 들 수 있다. 사회 양극화와 교육수요자의 영향력이란 두 가지 트렌드에 의해 제시할 수 있는 시나리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미래의 모습은 우선 인구의 전 반적인 감소에 따라 학생 수가 줄어들어 교육여건이 개선되고, 정보통신기 술을 활용한 교육의 활성화로 인해 학교에 갈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감소할 것이다. 국제화가 더욱 진전되어 외국어 교육이 강화되고, 국제학교가 늘어 나며, 학생들의 국제교류가 온라인/오프라인에서 모두 활발해질 것이다. 이 주 노동자의 자녀, 국제결혼가정의 자녀, 새터민 자녀 등 청소년 인구가 다 양화되고 그 수도 급격히 증가하여 교육과정이나 학교운영이 학생 인구의 다양성을 반영하는 방향으로 변화할 것이다. 이러한 변화를 기본 전제로 하되, 미래의 청소년교육의 모습은 변화의 방향이 불확실하나 중요한 두 가지 트렌드, 즉 사회 양극화와 교육수요자 의 영향력 강화에 따른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다. 시나리오 1>은 교육수요자의 영향력이 별로 인정되지 않으며, 사회 양 극화도 약하게 나타나는 시나리오이다. 시나리오 2 는 교육수요자의 영 향력이 강화되지만 양극화는 약하게 나타나는 모델이다. 시나리오 3 은 교육수요자의 영향력이 강화되고, 사회 양극화는 심각하게 나타나는 경우 이다. 시나리오 4 는 교육수요자의 영향력은 강화되고, 양극화도 심화 되는 경우이다. vii

4. 교육분야 청소년 정책의 비전과 정책 과제 선행문헌과 전문가 조사, 그리고 학생과 학부모 대상 실증조사 등의 분 석결과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이 청소년의 교육분야 미래비전과 정책목표를 제시한다. 교육분야 청소년 비전과 정책 목표 청소년교육의 미래 비전은 청소년 누구나 경제적 능력에 상관없이 자 신이 원하는 교육을 선택하여 잠재역량을 최대한 계발할 수 있는 사회 이다. 교육 분야의 청소년 미래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인구는 전반적으로 감소하지만, 그 구성이 다양화될 것이 다. 이에 따른 교육적 요구도 다양화되어 모두가 더불어 살아가는 데에 필 요한 인성 및 사회성의 함양을 위한 교육이 중시될 것이다. 둘째, 교원의 역할이 크게 변화하여 지식전달자, 학생에 대한 감독자의 모습에서 탈피하여 학습촉진자, 멘토(mentor)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교원의 충원방식도 다양한 전문직이 수시로 교원으로 충원될 수 있도록 개방화될 것이다. 교원 이외에도 청소년들의 학습을 지원할 다양한 교육전문가가 늘어날 것이다. 셋째, 청소년 스스로 자신의 능력과 적성 개발을 위해 필요한 교육과정 을 교사의 도움을 받아 구성하고, 이를 교사 및 학교가 인증하는 시스템이 갖추어져서 청소년별 맞춤형 학습, 개별학습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청소년 들이 국제화 및 다원화된 미래시대에서 맞춰 국제이해교육, 이중언어교육, 외국어교육, 다문화이해교육, 인성 및 사회성 함양을 위한 교육이 중시될 것이며, 모든 청소년이 생애기초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교육과정이 재구조 화될 것이다. 넷째, 교육시설은 언제 어디서나 청소년들이 학습할 수 있도록 유비쿼터 스 학습 환경을 구축할 것이다. 학교시설은 청소년수가 감소함에 따라 지 viii

역사회 전체를 위해서 활용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며, 동시에 지역사회 시설도 청소년들에게 개방될 것이다. 학교시설은 학생과 교원 이외에도 지 역주민이 학습하고 활동할 수 있는 친화적인 공간으로 변화될 것이다. 다섯째, 학교의 운영 또한 기존의 교원 중심에서 학생, 학부모, 지역주민 의 의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개방체제로 변화될 것이다. 학교의 유형도 다양화해지고 학교 이외의 교육기관도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 미래에는 교 육수요자가 학교 또는 교육기관을 선택하기 때문에 이러한 선택권의 행사 가 교육기관들의 운영에서 수요자의 의견을 실질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구제척인 교육 정책과제들을 다음과 같이 권고한다. 교육분야 비전 실현을 위한 정책과제 청소년교육 미래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정책과제로서 우선적으로 변화의 방향이 확실하며 중요한 트렌드, 즉 청소년인구 감소, 세계화, 다문화, 정 보통신기술 이 미래에 가져올 이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과제를 선정 하였다. 과제: 교육선택권의 강화 학생/학부모/지역사회의 교육 참여 강화를 위해 기존의 공급자 위주의 관료제적 교육 체제를 학생과 학부모의 요구에 반응하는 교육 수요자 중심 체제로 혁신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고등학교의 경우 학교 유형은 특수목적 고, 특성화고, 전문계고, 자립형사립고, 개방형 자율학교, 대안학교 등으로 다양화되어 있으나, 다양한 청소년의 교육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초등 학교와 중학교를 포함한 모든 학교의 유형이 다양화될 필요가 있다. 공급자 중심의 교육체제에서는 교육행정기관, 학교, 교사들이 교육체제 운영에서 주도적이 역할을 하였다. 하지만 앞으로는 사회적 기대와 요구 및 학습자 등의 수요자에 민감한 교육체제로 전환될 전망이다. 이를 위해 서는 중앙정부의 권한이 분권화 되어 지역에서의 교육정책결정 권한이 확 ix

대되어야 하며, 학교단위의 책임경영제가 정착되어 학교가 독자적으로 경 영목표를 설정하고 교육계획을 수립하여 자체발전을 하기 위한 평가를 실 시하는 교육의 분권화가 실시 되어야 한다. 과제 : 교육양극화 해소를 위한 교육 교육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취약 위기 청소년의 교육복 지를 확대하여야 한다. 취약 위기 청소년들의 교육에 대한 접근 기회를 실 질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교육바우처 제도를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취약 위기 청소년을 위한 교육안전망을 갖추는 것도 교육복지의 중요한 정 책과제가 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 하에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을 통하여 청소년들 의 생활을 지원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방과후 학교를 통한 청소년생활지원 (9~18세 대상)은 방과 후 아동보육(0~8세)의 정책적 효과와 발달상의 지 속적 연계를 도모하는 동시에, 궁극적으로 방과 후 청소년에 대한 공적 서 비스의 비중을 높여 사교육 경감 효과를 가져다줄 수 있을 것이다. 교육격 차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교육 불평등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초 등학교의 저학년 단계에서부터 기초학습능력이 부족한 학생들에 대해서 보 상교육을 실시하여 출발점 평등을 위한 초기 기본학습 능력을 보장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과제 : 글로벌 다문화 역량 함양 세계화, 국제화의 물결이 가속화에 따라 글로벌 역량을 지닌 청소년 육 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민간 기관과 정부기구의 혁신과 개편 그리 고, 협력을 통해 국제화 및 국제이해교육을 강화해나갈 필요가 있다. 또 청 소년들이 국제적인 감각과 지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취약한 위치에 있는 국내외 외국인들을 위한 봉사활동 기회를 확대하고,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 인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봉사활동 등을 통해 타문화 체험 기회를 경험하게 하는 것도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x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 학생들을 위한 교육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은 한국어를 제대로 구사하기 못하고, 학습능력 이 뒤떨어져 상급학교 진학률도 낮으며, 문화적 이질감으로 학교생활에 적 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들 학 생들을 위한 보충교육 프로그램(remedial program), 멘토링(mentoring) 프로그램, 이중언어 교육(bilingual education)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학 생, 학부모 대상의 다문화 교육을 통한 다문화 이해가 필요하다. 과제 : E-learning 활용의 최대화 학습자 개인의 적성과 요구에 따라 학습이 이루어지는 개별 학습, 맞춤 형 학습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대하는 추세를 고려할 때, 청소년들이 언 제 어디서나 원하는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학습 환 경을 하드웨어적으로나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축할 필요가 있다. 오늘날의 청소년들은 온라인을 통한 간접 경험을 선호하고, 개인주의적 성향이 강해서 정보 획득과 행동이 순간적이고 즉각적인 편이며, 깊이 있 는 사고력이 결여되고, 타인에 대한 배려도 부족한 편이다. 이러한 특성으 로 인해서 청소년 세대와 기성세대간의 인식 차는 날로 커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디지털세대의 세대간 격차 해소를 위한 인성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정보통신 기술이 발달한 미래의 유비쿼터스 시대에는 교육장소의 변화,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 지식전달 체계의 전환, 다양한 학습공동체가 나타 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교육체제의 개방화에 따라 미래의 학제는 교육수 요자의 요구에 민감하게 대처 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시대의 알맞은 개방 적인 학제로 운영될 필요가 있다. xi

xii

목 차 I.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3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6 3. 분석틀 13 Ⅱ.청소년 교육 실태에 대한 청소년 및 학부모의 인식 17 1. 청소년 교육 실태와 향후 진로 준비에 대한 인식 19 2. 2030 청소년 교육 예측에 대한 시사점 48 I.청소년 교육 환경 변화에 대한 예측 53 1. 청소년 교육환경 변화의 핵심 트랜드 56 2. 핵심 트랜드를 활용한 청소년 교육 분야 미래 예측 117 Ⅳ.교육 분야 청소년 정책의 비전과 정책 과제 143 1. 교육분야 청소년 비전과 정책 목표 145 2. 교육분야 비전 실현을 위한 정책과제 149 참 고 문 헌 163 xiii

xiv

표 목차 표 Ⅰ-1 청소년 교육 분야 전문가용 설문 문항 9 표 Ⅰ-2 지역별 학교유형별 조사지 회수율 11 표 Ⅰ-3 학생용 설문 조사 항목 11 표 Ⅰ-4 학부모용 설문 조사 항목 12 <표 II-1> 학생 및 학부모의 성별, 학교계열별, 시도별 현황 19 <표 II-2> 부모와 동거 여부 20 <표 II-3> 학부모의 학력 20 <표 II-4> 학부모의 직업 분포 21 <표 II-5> 학부모의 월 평균 수입 분포 22 <표 II-6> 학생의 학교 및 모의고사 성적 분포 23 <표 II-7> 학생 및 학부모의 학교만족도 24 <표 II-8> 학생과 학부모의 학교 만족도 차이 24 <표 II-9> 성별, 시도별, 학교계열별 학생 및 학부모의 만족도 25 <표 II-10> 학생과 학부모의 학교 관련 세부 만족도 차이 27 <표 II-11> 학생과 학부모의 학교 관련 세부 만족도 차이 28 <표 II-12> 학교성적, 수능 준비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29 <표 II-13> 성별 시도별 학교계열별 학생 스트레스 30 <표 II-14> 사교육(사설학원, 가정방문 과외, 방과후 프로그램, 학습지 등)참여 30 <표 II-15>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 및 EBS 수능강의 시청 참여 학생 31 <표 II-16> 성별 구분에 의한 사교육 현황 31 <표 II-17> 시도별 사교육 현황 32 <표 II-18> 학교계열별 사교육 현황 33 <표 II-19> 월 평균 사교육비 현황 34 <표 II-20> 사교육을 받는 경우 월평균 사교육비 34 <표 II-21> 사교육을 받는 경우 사교육비 사분위수 35 xv

<표 II-22> 월평균 수입에 따른 월평균 사교육비 지출 차이 35 <표 II-23> 사교육비의 가계부담 정도 36 <표 II-24> 학부모의 사교육비 마련을 위한 방법 36 <표 II-25> 학생 및 학부모의 외국 유학 희망도 37 <표 II-26> 학생과 학부모의 외국 유학 희망도 차이 37 <표 II-27> 다문화 학생 증가에 대한 학생 및 학부모의 인식 38 <표 II-28> 다문화 학생 증가에 대한 학생 및 학부모의 인식 차이 38 <표 II-29> 외국인 친구와 가능한 관계에 대한 학생 및 학부모의 인식 39 <표 II-30> 외국인 친구와 가능한 관계에 대한 학생 및 학부모의 인식차 40 <표 II-31> 학생 및 학부모의 영어교육 만족도 41 <표 II-32> 학생과 학부모의 영어교육 만족도 차이 41 <표 II-33> 성별, 시도별, 계열별 학생 및 학부모의 영어교육 만족도 42 <표 II-34> 학교 수업 외의 영어 능력 향상을 위한 노력 42 <표 II-35> 최종학벌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자녀의 학벌)의 기대 43 <표 II-36> 희망하는 학생의 장래 직업 44 표 II-37 장래 직업 선택 준거 45 표 II-38 취업에 필요한 능력 47 표 II-39 취업에 필요한 능력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차이 48 표 Ⅲ-1 등록 외국인 현황 61 표 Ⅲ-2 2005학년도 원인별 조기 유학 현황 64 표 Ⅲ-3 2005학년도 국가별 조기 유학 현황 64 표 Ⅲ-4 주요 정보화지표 국내 이용자 수 66 <표 Ⅲ-5> 가구당 월평균 교육비 지출 규모 현황 69 <표 Ⅲ-6> 중등학생 수 변화 추이 71 <표 Ⅲ-7> 출생순위별 출생성비 72 <표 Ⅲ-8> 지역별 청소년 인구 추이 (9 24세) 72 xvi

표 Ⅲ-9 국제결혼가정 자녀 재학 현황 74 표 Ⅲ-10 외국인 근로자 자녀 재학 현황 74 표 Ⅲ-11 새터민 자녀 재학 현황 (2005년) 75 표 Ⅲ-12 여교원 비율 76 표 Ⅲ-13 청소년 지도사 양성 현황 77 표 Ⅲ-14 청소년 상담사 양성 현황 77 표 Ⅲ-15 고등학교 현황 (2006년) 78 표 Ⅲ-16 대안학교 현황 (2006년) 79 표 Ⅲ-17 특수목적고 현황 (2007년 3월 현재) 79 <표 Ⅲ-18> EPIK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국적별 현황 80 <표 Ⅲ-19> 방과후 아카데미 운영 현황 81 <표 Ⅲ-20> 컴퓨터 1대당 학생 수 83 표 Ⅲ-21 교단 선진화 영상장비 확보율(2004년 )84 표 Ⅲ-22 학급당 학생수 현황 85 표 Ⅲ-23 지역규모별 학급당 학생수 현황 (2006년) 86 표 Ⅲ-24 학급당 학생수 국제비교 88 표 Ⅲ-25 연도별 학생 1인당 건물, 교사대지 및 체육장 면적 90 표 Ⅲ-26 지역규모별 학생 1인당 건물, 교사대지 및 체육장 면적 (2005년) 91 표 Ⅲ-27 연도별 학교 급식 실시 학교 및 이용학생 비율 92 표 Ⅲ-28 연도별 정부 예산 대비 교육인적자원부 예산 92 표 Ⅲ-29 GDP 대비 교육재정 93 <표 Ⅲ-30 국가별 GDP대비 공교육비 비중 (2003년) 94 표 Ⅲ-31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주요 내용 비교 95 표 Ⅲ-32 초중고교 교장공모제 후보 선정 결과 (2007) 96 표 Ⅲ-33 교원노조 현황 99 표 Ⅲ-34 외국의 바우처 제도의 사례 101 xvii

표 Ⅲ-35 2020 2030년 교육방법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103 <표 Ⅲ-36> 진학률 추이 103 <표 Ⅲ-37> OECD 회원국의 취학자 비율 비교 (2004년 기준) 104 <표 Ⅲ-38> 학업 중단율 105 <표 Ⅲ-39> 우리나라 만 15세 학생의 소양수준 추이 비교 106 표 Ⅲ-40 가계소득 수준에 따른 학업성취도 평균 차이 검증 107 <표 Ⅲ-41 지역 간 수학교과 성취수준 비율(2005년) 108 표 Ⅲ-42 학교급별 사교육비 수강 비율 109 표 Ⅲ-43 전국 중 고등학생 학교생활 만족도 조사 110 표 Ⅲ-44 학교폭력 자진신고기간 운영 실적 110 표 Ⅲ-46 학교단계별 인터넷 중독 정도 분류 111 표 Ⅲ-47 인터넷 중독 상담 유형 실적 112 표 Ⅲ-48 사이버 범죄 연령별 발생 현황 113 표 Ⅲ-49 청소년 2030 교육 변화 예측 변인 116 표 Ⅲ-50 청소년교육 분야 핵심 트랜드 판별 기준 117 표 Ⅲ-51 미래 청소년교육 관련 핵심 트랜드 (저출산) 118 표 Ⅲ-52 미래 청소년교육 관련 핵심 트랜드 (가족의 다양화) 118 표 Ⅲ-53 미래 청소년교육 관련 핵심 트랜드 (다문화 가정 증가) 118 표 Ⅲ-54 미래 청소년교육 관련 핵심 트랜드 (학업 부담) 119 표 Ⅲ-55 미래 청소년교육 관련 핵심 트랜드 (교육 양극화) 119 표 Ⅲ-56 미래 청소년교육 관련 핵심 트랜드 (글로벌 역량) 120 표 Ⅲ-57 미래 청소년교육 관련 핵심 트랜드 (학습공간 다원화) 120 표 Ⅲ-58 미래 청소년교육 관련 핵심 트랜드 (교육제도 다양화) 121 표 Ⅲ-59 미래 청소년교육 관련 핵심 트랜드 (산학협력 증가) 121 표 Ⅲ-60 미래 청소년교육 관련 전문가 조사 결과 (학업부담) 122 표 Ⅲ-61 미래 청소년교육 관련 전문가 조사 결과 (교육 양극화) 123 표 Ⅲ-62 OECD CERI 미래 교육 시나리오 128 xviii

표 Ⅳ-1 교육 분야 청소년 2030 미래상 147 xix

그림 목차 [그림 Ⅰ-1] 불확실한 두 요인에 따른 네 가지 시나리오 8 [그림 Ⅰ-2] 연구 분석틀 15 [그림 Ⅲ-1] 저출산 현황 57 [그림 Ⅲ-2] 시 도별 합계출산율 변동 추이 57 [그림 Ⅲ-3] 청소년 인구 수 58 [그림 Ⅲ-4] 고령화 현황 59 [그림 Ⅲ-5] 한국인의 국제결혼 추이(단위: 명) 61 [그림 Ⅲ-6] 연도별 새터민 입국 현황 62 [그림 Ⅲ-7] 해외 유학생(대학, 대학원생) 현황 64 [그림 Ⅲ-8] 소득계층별 연간 사교육비 지출액 68 [그림 Ⅲ-9] 연령대별 청소년 인구비율의 변화 70 [그림 Ⅲ-10] 24시간 중 사교육 시간량의 변화(분) 108 [그림 Ⅲ-11] 청소년교육 비전 2030 관련 핵심트렌드간 인과관계 140 [그림 Ⅲ-12] 청소년비전 2030 관련 교육 분야 시나리오 140 xx

I. 서 론 1.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2.연구의 내용 및 방법 3.분석틀

2 청소년희망세상2030 연구 - 교육분야

1. 서 론 1.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가.연구의 배경 청소년을 둘러싼 사회 환경이 매우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청소년 교육의 환경 변화에 중대한 영향을 주는 주요 사회변화로는 인구 변화 및 가족구조의 변화, 고등교육의 대중화, 과학기술의 발달과 정보화, 정치/경 제/문화적 세계화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교육환경의 변화는 청소 년의 교육에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향후 저출산의 영향 과 고령화로 인한 인구 구성이 크게 변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경제의 세계화로 인한 동남아 이주민과 다문화 가정 아동의 증가는 그동안 단일한 청소년 집단을 대상으로 수립해왔던 교육 정책의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 고 있다. 이처럼 다변화하는 청소년 집단은 매우 다양한 교육적 요구를 지 니고 있으며, 국가와 사회는 이러한 근본적인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정책과 비전의 마련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입각하여 청소년 교육정책의 바람직한 방향 을 설정하고, 미래지향적인 정책과제와 전략, 그리고 비전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국가청소년위원회가 지난 2006년도에 수행한 제1단계 연구에 서는 급속한 사회 문화 환경의 변화에 따른 청소년 교육환경의 변화를 분 석하고 청소년 교육정책의 변화 및 현행 제도를 진단함으로써 향후의 청소 년 교육 비전 및 정책과제를 제안하였다. 2006년도 1단계 연구를 통해 도 출된 향후 교육 분야의 핵심적 환경변화의 트렌드와 정책변화 트렌드는 다 음과 같다. 첫째, 학령인구가 격감하고 있으며 교육인구 구조가 재편되고 있다. 저출 산 흐름 속에서 청소년들에 대한 교육의 질을 높이고 지속적인 재교육기회 를 제공하여 지식기반사회와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Ⅰ. 서론 3

세계화에 따른 지식생산 구조의 변동과 교육인구의 국제적 이동은 교육수 월성 제고를 위한 국가적 역량의 집중을 요구하고 있다. 미래사회에 대응 하고 미래사회를 선도하기 위한 청소년교육은 국가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 고 경쟁력을 강화하면서도 다인종화, 다문화화 되는 사회를 이해할 수 있 는 폭넓은 의미의 세계화 교육을 포함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셋째, 학생 구성의 다양화에 따라 다양한 교육수요자들의 특성에 맞는 교육의 형식과 내용이 적극적으로 도입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정보화의 추세에 따라 청소년 IT 학습자의 특성은 학교교육과 학습자의 요구간의 격차를 증대시 키는 요인이 될 것이다. 넷째, 사회의 민주화와 참여민주주의의 심화로 인 해 학습 주체 간 갈등이 유발될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망되며 이를 조정할 수 있는 제도의 마련이 필요하다. 여섯째, 지식정보화와 세계화로 인해 지 식과 교육 정도에 따른 임금과 소득 격차가 심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교육 분야 정책변화에서는 다음과 같은 핵심트렌드가 도출되었다. 첫째, 교육경쟁체제가 심화될 것이다. 공교육의 정상화를 강조하는 흐름이 지속적으로 존재하겠지만 현실적으로는 입시위주의 교육이 지속될 가능성 이 높으며, 이에 따라 공교육의 위기에 대한 우려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 다. 둘째, 교육 수요의 다양화와 분화에 따른 교육프로그램의 다양화가 추 구될 것이다. 이에 부응하여 학교의 재구조화가 가속화될 것이다. 종래의 공급자 중심 교육체제로부터 수요자 요구에 민감한 교육체제로의 전환이 예상되고 있다. 다양한 학교 형태를 인정하고 교육의 방법과 내용을 다양 화하려는 정책적 노력이 계속되어 왔으며, 이러한 다양화와 다변화 경향은 앞으로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셋째,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넷째, 교육 양극화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이를 위해 향후 교 육과 복지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교육복지정책이 강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다섯째, 1990년대 이후 본격화된 교육정보화가 더욱 촉진될 것이다. 지식 과 기술의 수명주기가 계속 짧아지고 평생직장과 평생직업의 개념이 퇴조 함에 따라 소득창출 능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평생학습의 중요 4 청소년희망세상2030 연구 - 교육분야

성이 증가할 것이다. 학교교육과 평생교육 영역에서 큰 진전을 이루어 온 교육정보화는 향후 평생교육과 학교교육의 효과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핵심 트렌드를 고려하여 총체적이면서도 구체적인 청소년 교육정 책 수립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사회변동과 청소년 집단도 변화하고 있으며, 국가와 사회가 청소년들의 교육 요구와 복지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교육정책과 비전을 마련해야 함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미래 사회의 환경 변화와 특성에 맞는 교육비전을 설정하고 청소년들의 다양한 교육적 수요에 부응하는 정책과제의 도출이 시급하다. 나.연구의 목적 2006년도에 수행된 제1단계 연구에서는 지난 15년간의 청소년 교육 환 경 및 정책의 변화를 분석하고, 향후 15년간의 청소년 교육 환경을 예측하 고 이에 부합하는 교육정책의 장기적 비전과 핵심과제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연속선상에 있는 본 연구에서는 국가청소년위원회에서 주관하는 <2030 미래사회와 청소년 연구>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청소년 미 래교육의 전망과 이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전략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세부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제1차년도 연구결과(청소년교육의 트렌드와 정책과제)를 기초로 국가비 전 2030과 연계된 청소년 희망세상 비전 2030 에 포함될 청소년 교 육비전과 구체적인 정책과제를 도출한다. - 과학적인 예측기법을 활용하여 청소년교육 미래상을 담은 다양한 시나 리오를 개발하고, 시나리오별로 장단기 교육정책 목표와 추진과제를 제 시한다. - 청소년교육 관계자, 학생, 교사 등에 의해 실제 검증된 미래 교육 시나 리오와 정책과제를 도출하여 청소년 희망세상 비전 2030의 실현가능성 Ⅰ. 서론 5

을 제고한다. 2.연구의 내용 및 방법 가.연구의 내용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청소년 교육 실태 및 미래 교육에 대한 청소년(만5-19세)들과 학부모 들의 인식 - 청소년 교육 환경 변화의 핵심 트랜드 - 핵심 트랜드를 활용한 청소년 교육분야 미래 예측 - 교육 분야의 청소년 정책의 비전과 정책과제 등 나.연구방법 본 연구는 국가청소년위원회에서 청소년 희망세상 비전 2030 을 수립 하기 위해서 4개 청소년 정책 분야(교육, 가족, 직업 진로, 문화 여가, 환경 분야)로 나누어 2년(2006년~2007년)에 걸쳐 이 단계 연구로 나누 어 추진하는 대규모의 연구의 청소년 교육 분야 연구로써의 성격을 지 닌다. 다른 하위 분야와 마찬가지로, 교육 분야 연구도 2006년도에 2020 미래 사회와 청소년 연구Ⅰ(교육 분야): 청소년 교육의 트랜드와 정책과 제 라는 제하에 1차 연구가 수행되었다. 동 연구는 청소년 교육에 대한 미래 예측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의 성격을 지니며, 이에 따라 과거 십여년 간의 청소년 교육 동향에 대한 분석과 주요 청소년 정책에 대한 심층적인 진단이 이루어졌다. 이를 토대로, 미래 청소년 교육정책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에 필요한 핵심 트렌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1차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2차 연구로서의 성격을 지니는 본 연 6 청소년희망세상2030 연구 - 교육분야

구에서는 2030년도의 바람직한 미래 청소년 교육의 모습을 예측하고, 이 에 필요한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청 소년 희망세상 비전 2030 을 마련하기 위해서 기타 하위 분과에서 모두 채택하고 있는 미래 예측을 위한 시나리오 분석법 을 기본 연구 방법으 로 채택하였다. 아울러, 이에 근거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전문가 설문조사, 델파이 조사 결과 등을 활용하였다. 또한 청소년 교육의 현재와 미래를 보다 심층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과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07년 4월 23일부터 5 월 25일까지 초 중 고 학생을 대상으로 미래상에 대하여 미래의견을 공모했 다. 이를 각각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미래 예측을 위한 시나리오 기법 2030 청소년 교육 비전을 도출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 기법 을 적용하였다. 첫째, 1차년도 SWOT 분석결과를 통해 도출된 핵심 트렌 드와 정책 과제 및 국가비전 2030과의 관련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둘째, 핵심 트렌드 간의 관계 분석과 미래 변화에 있어서 확실한 트렌드와 불확 실한 트렌드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트렌드 중 불확실한 트랜드는 자체적으 로 불확실한 트랜드와 정부의 정책 개입으로 변화 가능한 불확실한 트랜드 로 나누었다. 셋째, 가장 영향력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중요한 트랜드와 불 확실한 트렌드를 중심으로 미래 시나리오를 도출하고 난후, 청소년 미래상 의 여러 가지 시나리오 중 최상의 시나리오를 선별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최상의 시나리오를 토대로, 현재의 청소년 교육 상태에서 최상의 시나리오 가 제시하는 청소년 교육 이상향을 실현하기 위한 청소년 비전과 정책과제 들을 제시하였다. Ⅰ. 서론 7

불확실성 A 불 확 실 성 B 시나리오 1 시나리오 2 시나리오 3 시나리오 4 자료:LindgrenandBandhold(2003) [그림 Ⅰ-1]불확실한 두 요인에 따른 네 가지 시나리오 (2) 청소년 영역별 전문가 설문조사 및 델파이 조사 2006년도에 수행된 1단계 연구에서 규명된 핵심 트랜드에 대해서 한국 청소년정책연구원의 주관으로 2007년 3월 26일부터 4월 18일까지 청소 년 영역별 전문가 162명을 대상으로 의견 조사(응답율: 61.7%)가 실시되 었다. 조사 영역은 청소년 희망세상 비전 2030 의 수립을 위한 전 영역 이 포함되었고, 교육 분야와 밀접히 관련되는 질문은 다음과 같다. 8 청소년희망세상2030 연구 - 교육분야

표 Ⅰ-1 청소년 교육 분야 전문가용 설문 문항 설문 내용 불확실성 중요성 저출산으로 인해 청소년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이다 한부모, 재혼부모, 미혼모 등 가족구조의 다양화가 가속화될 것이다 결혼이민자, 외국인근로자, 새터민 등 다문화 가족이 증가할 것이다 입시경쟁에 따른 청소년들의 학업부담은 강화될 것이 다 사교육 확대, 해외유학 등에 따라 교육 양극화 현상 은 심화될 것이다 세계화에 따라 글로벌 역량의 필요성이 증가할 것이 다 교육방송, 이러닝(e-learning) 등 학습공간이 다원화될 것이다 대안학교, 자율학교 증가 등으로 교육제도가 다양화될 것이다 1.760 2.090 1.300 3.120 1.380 0.980 2.310 1.232 1.820 1.949 1.410 1.707 1.700 0.354 1.980 0.566 현장체험 학습 등 산학협력 활동이 증가할 것이다 2.090 0.100 주:1)확실성 :응답을 5점 척도로 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불확실성이 높도 록 구성됨 2)중요성 :1순위는 5점,2순위는 3점,3순위는 1점을 부여하여 값이 높을수록 중요성이 높음 이외에도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청소년 희망세상 비 전 2030 을 마련하기 위해서 2007년 5월과 6월에 걸쳐 전문가 패널 30명 을 대상으로 핵심 트렌드에 대한 미래예측과 정책과제에 대하여 두 차례 걸쳐 실시한 델파이 조사의 결과 등을 활용하였다. Ⅰ. 서론 9

(3) 학생과 학부모 대상 설문조사 실시 청소년 교육의 현 실태 및 미래 청소년 교육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의 견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가) 조사 대상 서울시 교육청, 경기도 교육청, 전라북도 교육청, 전라남도 교육청, 경상북도 교육청 소속의 일반계 고등학교 24개교 및 실업계 고등학교 8개교(총 32개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과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선택한 이 유는 고등학교 1학년에 비해 지적 정신적으로 성숙하여 학교 교육에 대해 비판적 의식을 가질 가능성이 높고, 자신의 진로에 대해서도 진 지하게 고민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아울러, 고 2학생들이 고 3학 생에 비하여 설문조사에 여유를 가지고 응할 가능성이 많다고 판단되 었기 때문이다. 나) 조사 실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협조를 얻어 2007년 6월말에 위의 5개 시 도교육청을 통해 해당 학교로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학교들이 설문지 를 작성한 후 다시 연구책임자에게 발송하도록 하였다. 전남의 경우 회수율이 40.0%로 낮아서 전북의 인문계 4개교, 실업계 1개교를 추가 로 선정하였다. 그 결과, 전라도 지역에 소재한 고등학교는 모두 9개교 로, 경상북도에 소재한 고등학교 수 9개교와 균형을 맞추었다. 다) 회수율 및 응답자 분포 조사지의 회수율은 65.3%였다. 설문에 응한 학교들의 지역별, 학교 유형별 회수율과 분포는 다음과 같다 10 청소년희망세상2030 연구 - 교육분야

표 Ⅰ-2 지역별 학교유형별 조사지 회수율 구분 일반계고 실업계고 전체 배부 회수 % 배부 회수 % 배부 회수 % 서 울 8 5 62.5 4 3 75.0 12 8 66.7 경 기 8 4 50.0 4 2 50.0 12 6 50.0 전 북 4 4 100.0 1 1 100.0 5 5 100.0 전 남 8 4 50.0 2 0 0.0 10 4 40.0 경 북 8 7 87.5 2 2 100.0 10 9 90.0 총 계 36 24 66.7 13 8 61.5 49 32 65.3 라) 조사 내용 설문지는 학부모용과 학생용으로 각각 구분하여 구성하였으며, 청소년 교육의 현 실태 및 미래 청소년 교육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을 비 교 분석하기 위해서 동일한 항목들을 일부 포함하였다(부록: 학생용과 학부모용 설문지). 표 Ⅰ-3 학생용 설문 조사 항목 영역 사회경제적 배경 학업 국제화 사교육 학업부담 향후 교육 및 진로 계획 조사항목 성별, 가족사항, 보호자 학력 및 직업, 월 평균 소득 학생성적, 학교에 대한 만족도, 학교 영역별 만족도 영어교육 만족도 및 영역별 만족도, 영어능력 증진 전 략, 유학 희망 여부, 다문화 학생 증가에 대한 견해 다문화 학생과의 교류 정도 방과후 교육프로그램 참여 여부와 그 효과 EBS 수능 강의 참여도, 효과 및 시간, 불참 이유 교과 관련 사교육 참여도, 사교육 영역별 지불 비용 주요 교과별 과외 효과 학업 관련 스트레스 정도 희망하는 교육수준, 대학 진학, 직업 직업선택 기준, 향후 필요한 직업능력 Ⅰ. 서론 11

표 Ⅰ-4 학부모용 설문 조사 항목 영역 사회경제적 배경 자녀의 학교 국제화 사교육 학업부담 향후 교육 및 진로 계획 조사항목 성별, 연령, 학생과의 관계, 학생 가족 현황, 학력 및 직업, 월 평균 소득 학교에 대한 만족도, 학교 영역별 만족도 영어교육 전반적 만족도 및 영역별 만족도 자녀의 영어능력 증진 전략, 조기유학 자녀 유무 유학 희망 여부, 다문화 학생 증가에 대한 견해 자녀가 다문화 학생과의 교류할 수 있는 정도 방과후 교육프로그램 참여 여부와 그 효과 EBS 수능 강의 참여도, 불참 이유 교과 관련 사교육 참여도, 사교육 영역별 지불 비용 주요 교과별 과외 효과, 사교육비가 가계에 주는 부담 학비 마련 방법 학업 관련 스트레스 정도 희망하는 자녀 교육수준, 대학 진학, 직업 직업선택 기준, 향후 필요한 직업능력 마) 분석방법 SPSS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조사 영역의 각 부문별로 기술적 통계치 (descriptive statistics)에 기초하여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학생과 학 부모의 청소년 교육에 대한 인식 차가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대응표 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학생과 학부모간의 인식차가 성별, 지역 별, 학교유형별로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교차분석, 분산 분석 (ANOVA)과 비모수 검정을 실시하였다. (4) 문헌 연구 이외에도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 사회변동과 교육환경 변화를 보여주 12 청소년희망세상2030 연구 - 교육분야

는 각종 지표와 청소년교육에 관한 국내외 분석 자료들을 검토하였다. - 국내 청소년 교육 정책 문헌 - 교육환경 변화 관련 통계 지표: 교육통계연보(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 개발원), 사회통계조사보고서(통계청), 청소년백서 - 청소년 교육 관련 연구 문헌: 청소년 교육 환경 변화 추세를 보여주는 평생교육, 청소년 사회학, 청소년 정체성, 청소년 정보화 등과 관련된 연구논문 등 3.분석틀 청소년 교육 2030 비전과 이의 실현을 위한 정책 과제를 제안하는 본 연구의 목적을 고려하여 환경 변화와의 연계 하에 교육 체제 전반을 분석 하는 데에 적합한 체제 분석 기법(system analysis method)"을 분석틀 로서 적용하였다. 체제 분석 기법은 1940년대 이래 사회과학과 자연과학 의 연구방법으로 광범위하게 도입되고 있으며, 1950년대 이후부터는 교육 조직을 이해하기 위한 기법으로서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윤정일 외, 2007). 체제 이론에 따르면, 체제(system)에는 주변 환경과 비교적 자유롭게 상호 작용을 하는 개방 체제(open system)와 그렇지 못한 폐쇄 체제 (closed system)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교육 체제는 국가 사회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과 같은 다른 체제와 긴밀한 관계 속에서 활동이 이루 어지므로 개방 체제 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개방 체제의 속성으로서 Griffiths(1956, 윤정일 외[2007]에서 재인용, pp. 61-62)는 다음과 같 이 8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1) 체제 환경과 상호 작용한다. 즉, 투입과 산출이 있다. 2) 균형 상태를 스스로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다. Ⅰ. 서론 13

3) 자기 통제력을 가지고 있다. 즉, 자기에게 영향을 미치는 모든 힘 을 조절하고 통제할 수 있다. 4) 최종 결과를 동일하게 하려는 경향(equifinality)을 가지고 있다. 상이한 조건하에서도 다른 과정을 밟아 동일한 결과를 달성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5) 하위체제간의 역동적인 기능적 상호 작용을 통해 자신을 유지한다. 6) 재투입 과정을 통해 과정과 산출을 효율화한다. 7) 규모가 확장되면 새로운 기능적 하위체제들을 계층적으로 만들어 나가는 발전적 분화(progressive segregation)를 한다. 8) 체제는 스스로를 효율화하기 위해 그 과정과 절차들을 간소화하는 발전적 단순화(progressive mechanization)를 한다 이와 같은 특성을 지닌 개방체제론의 기본 모형은 투입-산출 모형 이 다. 이 모형을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트랜드를 도출하고, 시나리오를 구안하는 과정에 적용되는 분석틀로써 삼았다. 투입 -산출 모형이 청소년 교육체제에 영향을 미치는 제 요소들, 환경과 교육 을 위한 투입요소, 교육과정, 산출 간의 상호 작용을 가장 유기적으로 분 석할 수 있게 하는 접근법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개방체제론에서 투입(input) 은 체제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체제의 밖에서 안으로 들어가는 모든 요소를 말한다. 본 연구의 경 우에는 청소년 교육을 위해서 투자되는 모든 요소 즉, 학생, 교원, 청소년 지도사, 교육과정, 정보기술, 예산, 교육시설 등을 투입 요소로 보았다. 한편, 과정(process) 은 특정 체제가 목적 달성을 위해서 여러 자원 과 정보를 활용하여 산출로 만들고 가치를 창조하는 과정이다. 본 연구에 서는 앞서의 투입요소를 교육 목적 달성을 위해서 활용하는 의사결정 메커 니즘에 영향을 미치는 제 요소들, 즉 교육의 지배구조, 교육감과 교육위원 선출 방법, 교장 선출 방법, 교원과 학부모의 영향력, 교육수요자의 영향력 강화, 교육방법의 변화 등을 과정 요소로써 고려하였다. 14 청소년희망세상2030 연구 - 교육분야

산출(output)"은 체제가 환경이나 인접한 체제로 내보내는 자원과 정 보로서, 체제가 의도적으로 또는 무의도적으로 생산해내는 것을 의미한다. 청소년 교육의 경우에는 취학 및 진학률, 중도 탈락율, 교육격차, 청소년 학교 비행, 학업 부담 등을 산출요소로써 고려하였다. 마지막 요소인 환경(environment)"은 체제와 일정한 접촉을 유지하고, 그것에 일정한 영향을 주는 경계 밖의 주변 조건이나 상태를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체제에 영향을 주는 주요 환경 변인으로써 국제화 개 방화, 저출산, 정보화, 인구의 다양화, 사회 양극화 등을 포함하였다. 이상 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연구의 분석 대상에는 청소년을 위한 학교 교육만 이 아니라, 학교를 넘어선 거시적인 청소년 교육 체제도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틀을 개략적으로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다. [투 입] 청소년, 교원, 청소년 지도사 교육과정, 정보기술, 학교시설, 예산 [과 정] 교육 관련 의사결정방법 교육정책방향 교육방법 변화 [산 출] 진학,학업중단 율, 학업성취도 학업부담/만족 도, 청소년비행 [환 경] 저출산, 다양화, 국제화, 개방화, 정보화, 양극화 [그림 Ⅰ-2] 연구 분석틀 Ⅰ. 서론 15

II. 청소년 교육 실태에 대한 청소년 및 학부모의 인식 1.청소년 교육 실태와 향후 진로 준비에 대한 인식 2.2030년 청소년 교육 예측에 대한 시사점

Ⅰ. 서론 17

18 청소년희망세상2030 연구 - 교육분야

Ⅱ. 청소년 교육 실태에 대한 청소년 및 학부모의 인식 1.청소년 교육 실태와 향후 진로 준비에 대한 인식 가.설문 대상 학생 및 학부모의 배경 청소년 교육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5개 시 도교육청(서울, 경기, 전남, 전북, 경북)의 32개교의 1,106명의 학생과 해 당 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아래 표는 설문조사 의 대상인 학생과 학부모를 성별, 학교계열, 시도별로 구분한 것이다. 전체 학생 1,106명 중 남학생은 50.5%인 492명, 여학생은 49.2%인 482명이 었으며, 인문계 고등학생은 전체의 75.9%인 839명, 실업계 고등학생은 24.1%인 267명이었다. 시도별로 살펴보면, 서울이 315명(28.5%), 경기 도가 175명(15.8%), 전라남도와 전라북도가 307명(27.8%), 경상북도가 309명(27.9%)이었다. <표 I-1>학생 및 학부모의 성별,학교계열별,시도별 현황 성별 학교계열 시도별 (단위 : 명[응답수], %) 구 분 남 여 계 실업 계 인문 계 계 서울 경기 전라 경북 계 학생 492 482 974 267 839 1106 315 175 307 309 1106 (50.5) (49.5) (100.0) (24.1) (75.9) (100.0) (28.5) (15.8) (27.8) (27.9) (100.0) 학부모 284 654 938 267 839 1106 315 175 307 309 1106 (30.3) (69.7) (100.0) (24.1) (75.9) (100.0) (28.5) (15.8) (27.8) (27.9) (100.0) 주:문항별로 응답수를 기준으로 통계를 산출했기 때문에 성별,학교계열별 합계가 다름 Ⅱ. 청소년 교육 실태에 대한 청소년 및 학부모의 인식 19

설문대상 학생의 가족 형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부모와의 동거 여부 를 조사했다. 설문에 응답한 학생 975명 중에 부모님 모두와 같이 살고 있지 않은 경우가 24명(2.5%), 어머니하고만 같이 사는 경우 62명(6.4%), 아 버지하고만 같이 사는 경우 29(3.0%)로 전체의 11.9%가 부모 어느 한쪽 과 살거나, 양쪽 부모가 모두 없는 경우에 해당하였다. 구 분 응답수 (%) <표 I-2>부모와 동거 여부 부모 모두 부모 모두 편부 편모 동거 비동거 860 29 62 24 (88.2) (3.0) (6.4) (2.5) (단위 : 명) 계 975 (100.0) 설문대상 학생이 응답한 학부모의 학력을 살펴보면, 아버지의 경우 전체 56.5%가 고졸 이하, 43.5%가 전문대졸 또는 대졸 이상이었다. 어머니의 경우는 73.7%가 고졸 이하, 22.3%가 전문대졸 또는 대졸 이상으로, 평균 적으로 아버지 보다 학력이 낮은 편이었다. <표 I-3>학부모의 학력 (단위 : 명, %) 구 분 중졸 이하 고졸 전문대졸 대졸 석사 (과정이 수포함) 박사 (과정이 수포함) 계 부 82 (8.9) 439 (47.6) 40 (4.3) 304 (33.0) 35 (3.8) 22 (2.4) 922 (100.0) 모 122 (13.0) 569 (60.7) 35 (3.7) 185 (19.7) 16 (1.7) 10 (1.1) 937 (100.0) 학생이 제시한 자신의 학부모 직업은 아버지의 경우는 대자본가 또는 대 기업 소유자 3명(0.3%), 기업체 부장급 이상 78명(8.6%), 기업체 과장급 이하 78명(8.6%), 정부 고위관리(3급이상) 1명(0.1%), 공무원 4급 이하 20 청소년희망세상2030 연구 - 교육분야

56명(6.2%), 교수 14명(1.5%), 교사 29명(3.2%), 전문직 또는 기술직 195명(21.5%), 자영업 336명(37.1%), 기타 103명(11.4%), 전업주부 또 는 무직은 12명(1.3%)이었다. 어머니의 경우 전업주부 385명(42.1%), 자 영업 243명(26.6), 기타 89명(9.7%), 전문직 또는 기술직 70명(7.7), 교 사 35명(3.8%), 기업체 과장급 이하 33명(3.6%), 공무원 4급 이하 16명 (1.8), 교수 7명(0.8%), 대자본가 또는 대기업 소유자 3명(0.3%), 기업체 부장급 이상 1명(0.1%), 정부 고위 관리(3급 이상) 1명(0.1%) 순으로 나 타났다. <표 I-4>학부모의 직업 분포 (단위 : 명, %) 구분 부 모 응답수 % 응답수 % 대자본가 및 대기업소유자 3 0.3 3 0.3 기업체 부장급이상 78 8.6 1 0.1 기업체 과장급 이하 78 8.6 33 3.6 정부 고위관리(3급이상) 1 0.1 1 0.1 공무원(4급이하) 56 6.2 16 1.8 교수 14 1.5 7 0.8 교사 29 3.2 35 3.8 전문직 기술직 195 21.5 70 7.7 자영업 336 37.1 243 26.6 전업주부 1 0.1 385 42.1 기타 103 11.4 89 9.7 무직 11 1.2 31 3.4 계 905 100.0 914 100.0 설문대상 학생이 응답한 부모님의 월 평균 수입(조세 납입전)은 아래 표 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300만원 미만이 전체의 39.6%(359명)를 차지하 였고, 300만원 이상-399만원 미만이 23.5%(213명), 400만원 이상-499 Ⅱ. 청소년 교육 실태에 대한 청소년 및 학부모의 인식 21

만원 미만이 12.5%(113명), 500만원 이상-599만원 미만이 9.9%(90 명), 600만원 이상-699만원 미만이 5.1%(46명), 700만원 이상이 9.4%(86명)이었다. <표 I-5>학부모의 월 평균 수입 분포 구분 응답수 (명, %) 300 미만 359 (39.6) 300-399 213 (23.5) 400-499 113 (12.5) 500-599 90 (9.9) 600-699 46 (5.1) 700-799 29 (3.2) 800-899 12 (1.3) 900-999 11 (1.2) 1,000 이상 34 (3.7) 계 907 (100.0) (단위 : 만원) 설문에 응답한 학생의 학교성적을 살펴보면, 중간 수준인 4, 5, 6등급이 응답자 전체 945명 중 517명(54.7%)이었다. 하위 수준인 7, 8, 9등급은 248명(26.2%)인데 비하여 상위 수준은 180명(19.1%)이었다. 2007년 6 월에 실시된 모의고사에서 과목별로 성적의 등급을 묻는 질문에 대하여, 국어의 경우 응답한 학생 937명 중 141명(15.1%)이 상위 수준인 1, 2, 3등급, 중간 수준은 495명(52.8%), 하위 수준은 301명(32.1%)이었다. 영어는 상위 수준 16명(23.2%), 중간 수준 428명(46.0%), 하위 수준 286명(30.8%)이었다. 수학의 경우 상위 수준 235명(25.3%), 중간 수준 413명(44.4%), 하위 수준은 282명(37.5%)이었다. 22 청소년희망세상2030 연구 - 교육분야

<표 I-6>학생의 학교 및 모의고사 성적 분포 (단위 : 명, %) 구 분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6등급 7등급 8등급 9등급 계 학교 성적 29 (3.1) 57 (6.0) 94 (9.9) 148 (15.7) 197 (20.8) 172 (18.2) 111 (11.7) 90 (9.5) 47 (5.0) 945 (100.0) 국어 모의고사 14 (1.5) 39 (4.2) 88 (9.4) 132 (14.1) 200 (21.3) 163 (17.4) 132 (14.1) 108 (11.5) 61 (6.5) 937 (100.0) 영어 모의고사 26 (2.8) 58 (6.2) 132 (14.2) 127 (13.7) 172 (18.5) 129 (13.9) 120 (12.9) 90 (9.7) 76 (8.2) 930 (100.0) 수학 모의고사 49 (5.3) 68 (7.3) 118 (12.7) 117 (12.6) 154 (16.6) 142 (15.3) 126 (13.5) 81 (8.7) 75 (8.1) 930 (100.0) 나.학생 및 학부모의 학교에 대한 만족도 1) 학교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학생이 다니는 학교만족도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1,106명 중 84.8%인 971명이 응답했다. 자신이 다니는 학교가 아주 불만 족하다고 응답한 학생은 전체의 8.0%인 78명, 다소 불만족스럽다는 26.3%인 255명, 보통은 40.6%인 394명, 다소 만족스럽다는 21.4%인 208명, 매우 만족한다는 3.7%인 36명이었다. 불만족스럽다 고 응답한 학생은 전체의 34.3%인데 비하여, 만족스럽다 는 학생은 25.1%로 불 만족스럽다는 응답이 9.2% 포인트 더 높았다. 한편, 학부모의 경우 자녀가 다니는 학교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 아주 불만족스럽다라는 응답이 전체의 3.0%, 다소 불만족스럽다는 응답이 13.3%, 보통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46.3%, 다소 만족스럽다고 응답한 경 우가 31.7%, 매우 만족스럽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5.6%로 나타났다. 학부 모는 만족한다는 응답이 37.3%로 불만족하다는 응답 16.3%에 비해 21.0% 높았으며, 학생에 비해 만족도가 높았다. Ⅱ. 청소년 교육 실태에 대한 청소년 및 학부모의 인식 23

구 분 학생 학부모 아주 불만족 78 (8.0) 28 (3.0) <표 I-7>학생 및 학부모의 학교만족도 다소 불만족 255 (26.3) 125 (13.3) (단위 : 명, %) 보통 다소만족 매우만족 계 394 (40.6) 435 (46.3) 208 (21.4) 298 (31.7) 36 (3.7) 53 (5.6) 971 (100.0) 939 (100.0) 학생과 해당 학생의 학부모가 응답한 학교 만족도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학생의 만족도는 평균 2.88인데 비하여 학부모의 만족도는 3.24로 학부모가 평균 0.36 정도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학생과 학생 의 학부모의 학교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는 통계적(대응표본 T 검정)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I-8>학생과 학부모의 학교 만족도 차이 구분 응답수 평균 표준편차 평균차 t값 학생 919 2.88.967 학부모 919 3.24.863-0.36-10.850*** *<.10,*<.05, *<.001 학생들의 학교만족도를 성별로 구분하여 분산 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 학생의 평균값 2.77에 비해 여학생은 2.96으로 여학생의 평균 만족도가 더 높았으며, 유의수준 5%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학생들의 학교만족도를 시도별로 살펴보면, 전라도 고등학교의 학생들의 학교 만족 도가 2.91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서울 2.89, 경북 2.87, 경기 2.71이 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학교 계열별로 학생 의 학교만족도를 보면, 실업계 학생이 평균 2.94, 인문계 학생이 2.84로 응답하여 실업계 학생의 만족도가 0.10 높게 나타 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학부모의 경우도 24 청소년희망세상2030 연구 - 교육분야

학부모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시도별로는 전라도 지역이 3.37로 가장 높았고 경상북도가 3.21, 서울이 3.16, 경기도가 3.15 순으로 나타 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교 계 열별로 학부모 의 만족도를 살펴보면, 실업계가 3.30, 인문계는 3.22로 실업계 학교를 다니는 학생을 둔 학부모가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으나,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지 않다. <표 I-9>성별,시도별,학교계열별 학생 및 학부모의 학교만족도 성별 학생 학부모 사례수 평균 표준 표준 F 사례수 평균 편차 편차 남자 489 2.77 0.98 9.149* 282 3.23 0.93 * 여자 480 2.96 0.93 (χ 2 ) 646 3.23 0.83 계 969 2.87 0.96 928 3.23 0.86 F 1.988 (χ 2 ) 서울 257 2.89 1.02 1.584 246 3.16 0.90 3.545** 경기 149 2.71 0.97 146 3.15 0.82 시도별 전라 282 2.91 0.88 275 3.37 0.79 학교 계열 경북 283 2.87 0.98 272 3.21 0.90 계 971 2.87 0.96 939 3.24 0.86 실업계 243 2.94 1.05 1.870 238 3.30 0.87 인문계 728 2.84 0.93 701 3.22 0.86 계 971 2.87 0.96 939 3.24 0.86 1.595 *<.10,*<.05, *<.001 주:Levene 통계량 조사 결과 분산분석을 실시할 수 없는 경우 비모수 검 정을 실시함(χ 2 ) Ⅱ. 청소년 교육 실태에 대한 청소년 및 학부모의 인식 25

2) 학교 관련 세부 지표 만족도 설문에 응답한 학생이 현재 다니고 있는 학교에 대하여 느끼는 만족도를 구체적인 항목별로 조사한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학교건물과 시설에 대 해서는 아주 불만족이 12.1%, 다소 불만족이 23.8%, 보통이 37.3%, 매우 만족이 6.1%, 다소 만족이 20.7%로, 전체적으로 만족한다는 응답(26.8%) 보다 불만족스럽다는 응답(35.9%)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교사의 전문성 과 자질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아주 불만족이 5.0%, 다소 불만족이 17.4%, 보통이 45.1%, 다소 만족이 28.6%, 매우 만족이 3.9%로, 만족한 다는 응답이 32.5%로 불만족하다는 응답 22.4%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두발 등 학교규율과 관련한 생활지도에 대한 학생들의 불만족 정도는 매 우 높게 나타났다. 아주 불만족하다는 응답이 26.6%, 다소 불만족이 24.5%로, 불만족한다는 응답이 51.1%로 과반수를 넘었다. 학교폭력, 유해 한 학교주변 환경 등 학교안전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 불만족하다고 응답한 경우가 17.8%, 보통이 49.6%, 만족이 32.6%로, 비교적 만족하다는 응답 이 불만족하다는 응답보다 많았다. 다른 학생들의 학업수준 및 태도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불만족하다는 응답이 25.3%, 보통이 54.6%, 만족이 20.1%로, 불만족 하다는 응답이 보다 많았다. 대학 진학률에 관한 질문에 대해서는 불만족이 25.3%, 보통 이 47.7%, 만족이 27.0%로, 만족한다는 응답이 약간 많았다. 선후배 관계 에 대한 질문에 대하여 불만족하다는 응답이 22.9%, 보통이 52.2% 만족 이 24.9%로 만족한 경우가 약간 더 많았다.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취업 준비에 대해서는 불만족하다는 응답이 21.3%, 보통이 58.4%, 만족이 13.3%로, 불만족하다는 응답이 보다 많았 다. 설문조사 대상 학생의 75.9%가 인문계 학생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불 만족하다는 응답이 많은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닐 것이다. 학생에 비해 학부 모들이 학교 관련 세부 지표에 대한 만족도가 보다 높게 나타났다. 26 청소년희망세상2030 연구 - 교육분야

<표 I-10>학생과 학부모의 학교 관련 세부 만족도 차이 구 분 학교건물과 시설 교사의 전문성 및자질 생활지도 학교안전 다른 학생들의 학업수준 및 태도 대학진학률 선후배관계 취업준비 학생 학부모 학생 학부모 학생 학부모 학생 학부모 학생 학부모 학생 학부모 학생 학부모 학생 학부모 아주 불만족 118 (12.1) 60 (6.4) 48 (5.0) 2 7(2.9) 258 (26.6) 85 (9.1) 47 (4.8) 32 (3.4) 64 (6.6) 36 (3.9) 68 (7.0) 36 (3.9) 77 (8.0) 26 (2.8) 88 (9.2) 47 (5.2) 다소 불만족 232 (23.8) 150 (15.9) 169 (17.4) 113 (12.1) 238 (24.5) 155 (16.5) 126 (13.0) 95 (10.2) 180 (18.7) 141 (15.1) 177 (18.3) 166 (17.8) 144 (14.9) 93 (10.0) 183 (19.1) 154 (17.1) 보통 363 (37.3) 426 (45.3) 437 (45.1) 479 (51.3) 318 (32.8) 413 (44.0) 481 (49.6) 457 (48.9) 527 (54.6) 504 (54.0) 462 (47.7) 476 (51.1) 504 (52.2) 552 (59.2) 561 (58.4) 53 (58.9) 다소 만족 202 (20.7) 244 (25.9) 277 (28.6) 278 (29.8) 119 (12.3) 238 (25.3) 228 (23.5) 287 (30.7) 151 (15.6) 206 (22.1) 214 (22.1) 212 (22.8) 183 (18.9) 208 (22.3) 96 (10.0) 151 (16.8) 매우 만족 59 (6.1) 61 (6.5) 38 (3.9) 36 (3.9) 37 (3.8) 48 (5.1) 88 (9.1) 64 (6.8) 43 (4.5) 46 (4.9) 47 (4.9) 41 (4.4) 58 (6.0) 53 (5.7) 32 (3.3) 18 (2.0) (단위 : 명, %) 계 974 (100.0) 941 (100.0) 969 (100.0) 933 (100.0) 970 (100.0) 939 (100.0) 970 (100.0) 935 (100.0) 965 (100.0) 933 (100.0) 968 (100.0) 931 (100.0) 966 (100.0) 932 (100.0) 960 (100.0) 900 (100.0) 학생과 학부모의 학교 관련 세부영역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를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아래 표에 제시되어 있다. 그 내용을 살펴보 면, 학생과 학부모의 학교 관련 각 항목에 대한 만족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학교 건물과 시설에 대하여 학생이 평균 2.85의 만족도를 보인데 비해, 학부모는 3.10으로 응답해 학부모의 만족도 가 평균.25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전문성 및 자질에 대하여 학생 Ⅱ. 청소년 교육 실태에 대한 청소년 및 학부모의 인식 27

은 평균 3.09, 학부모는 3.19로, 학부모의 만족도는 학생보다 0.10 높았 다. 두발 등 학교규율에 관한 생활지도에 대하여 학생과 학부모의 만족도 차 이는 가장 크게 나타났다. 학생의 생활지도에 대한 만족도는 2.43인데 비 하여, 학부모는 3.01로 평균 0.58의 차이를 보였다. 이는 학생과 학부모가 두발 등 학교 교육에 대하여 각각 다른 입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학교 안전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만족도는 각각 3.20과 3.27로 큰 차 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유의수준 5% 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고 있다. 다른 학생들의 학업수준 및 태도에 대하여 학생은 평균 만족도 2.94, 학부모는 3.09로 학부모의 만족도가 0.15 더 높았다. 대학진학률, 선후배관계에서도 학부모가 학생보다 각각 0.05, 0.18로 보다 높은 만족도 를 보이고 있다. 취업 준비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만족도는 각각 2.80, 2.94로 모두 낮았으나, 학부모의 만족도가 학생보다 높았다. <표 I-11>학생과 학부모의 학교 관련 세부 만족도 차이 표준 구분 응답수 평균 편차 학생 930 2.85 1.07 학교건물과 시설 학부모 930 3.10 0.96 평균차 t값 -.25-7.841*** 교사의 전문성 및 자질 생활지도 학교안전 다른 학생들의 학업수준 및 태도 대학진학률 선후배관계 학생 919 3.09 0.90 학부모 919 3.19 0.81 학생 925 2.43 1.11 학부모 925 3.01 1.00 학생 921 3.20 0.93 학부모 921 3.27 0.86 학생 914 2.94 0.88 학부모 914 3.09 0.85 학생 916 3.01 0.93 학부모 916 3.06 0.86 학생 915 3.00 0.95 학부모 915 3.18 0.79 -.10-3.432*** -.58-14.478*** -.07-2.199** -.15-5.065*** -.05-1.851* -.18-5.827*** 28 청소년희망세상2030 연구 - 교육분야

취업준비 학생 882 2.80 0.86 학부모 882 2.94 0.78 -.14-4.729*** 다.학업부담 학교성적과 수능준비 등으로 학생들이 느끼는 스트레스는 매우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4.6%만이 스트레스를 전혀 또는 거의 못 느낀다고 했으며, 보통으로 스트레스를 느끼는 경우는 12.8%인데 비해 스트레스를 다소 느끼는 경우는 44.1%, 스트레스를 아주 많이 느끼는 경우는 38.5% 에 달했다. 학생의 82.6%가 학교성적 또는 수능준비 등 학업부담으로 인 하여 스트레스를 다소 또는 아주 많이 느끼고 있었다. 구 분 응답수 (%) <표 I-12>학교성적,수능 준비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전혀 못 느낌 12 (1.2) 거의 못 느낌 33 (3.4) 보통 124 (12.8) 다소 느낌 427 (44.1) 아주 많이 느낌 373 (38.5) (단위 : 명) 계 969 (100.0) 학생이 학교성적 또는 수능준비로 느끼는 스트레스를 성별로 분석한 결 과, 여학생은 평균 4.26으로 남학생의 4.05보다 스트레스를 보다 많이 받 고 있었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였다. 시도별로 학생들이 느끼는 스트레스를 분석한 결과, 서울 4.16, 경기 4.04, 전라 4.21, 경북 4.14로 시도별 차이는 크지 않았다. 실업계와 인문계의 학생들이 느끼는 학업부담은 실업계는 3.85인데 비해, 인문계는 4.25로 인문계 학생들의 스 트레스가 더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Ⅱ. 청소년 교육 실태에 대한 청소년 및 학부모의 인식 29

<표 I-13>성별 시도별 학교계열별 학생 스트레스 학생 성별 시도별 학교 계열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남자 487 4.05 0.92 14.821*** 여자 480 4.26 0.78 계 967 4.15 0.86 서울 254 4.16 0.84 2.222(χ 2 ) 경기 149 4.04 1.03 전라 283 4.21 0.82 경북 283 4.14 0.81 계 969 4.15 0.86 실업계 242 3.85 0.99 34.030***(χ 2 ) 인문계 727 4.25 0.79 계 969 4.15 0.86 *<.10, *<.05, *<.001 *Levene통계량 조사 결과 분산분석을 실시할 수 없는 경우 비모수 검정을 실시함(χ 2 ) 라.사교육 현황 1) 사교육 참여 수준 설문 조사에 응답한 학생들의 46.9%(452명)가 사설학원, 과외, 방과후 프로그램, 학습지 등을 통해서 사교육을 받고 있었다. 한편, 사교육을 전혀 받지 않는 학생들도 전체의 53.1%(511명)에 달했다. <표 I-14>사교육(사설학원,가정방문 과외,방과후 프로그램,학습지 등)참여 구 분 사교육을 받는 경우 사교육을 받지 않는 경우 계 응답수(%) 452(46.9) 511(53.1) 963(100.0) 30 청소년희망세상2030 연구 - 교육분야

방과후 학습 활동 중 EBS 수능강의와 학교 방과후 프로그램 시청률을 질문하였다. 조사 결과,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은 응답자 전체의 46.3%(446명)였고, EBS 수능강의를 시청하는 학생은 전체의 22.5%(218명) 였다. <표 I-15>방과후 학교 프로그램 및 EBS 수능강의 시청 참여 학생 (단위 : 명, %) 구 분 참여 비참여 계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 446(46.3) 517(53.7) 963(100.0) EBS 수능강의 시청 218(22.5) 751(77.5) 969(100.0) 사교육을 받는 경우와 받지 않는 경우를 성별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남학생의 경우 전체 23.2%인 223명이 사교육을 받고 있었으며, 27.3%가 사교육을 받지 않고 있었다. 여학생은 23.8%가 사교육을 받고 있는 반면, 25.7%는 사교육을 전혀 받고 있지 않 았다. <표 I-16>성별 구분에 의한 사교육 현황 (단위 : 명, %) 학생 성별 사교육을 받는 사교육을 받지 계 χ 2 경우 않는 경우.437 남자 223(23.2) 262(27.3) 485(50.5) 성별 여자 229(23.8) 247(25.7) 476(49.5) 계 452(47.0) 509(53.0) 961(100.0) *<.10,*<.05, *<.001 주:Levene 통계량 조사 결과 분산분석을 실시할 수 없는 경우 비모수 검 정을 실시함(χ 2 ) Ⅱ. 청소년 교육 실태에 대한 청소년 및 학부모의 인식 31

시도별로 사교육 현황을 살펴보면, 사교육을 받는 것으로 응답한 경우가 서울 14.1%, 경기도 4.9%, 전라도 13.0%, 경상북도 순으로 나타났다. 사 교육을 전혀 받지 않는다는 응답은 서울이 11.9%, 경기도 10.4%, 전라도 16.4%, 경상북가 14.3%순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의 경우 사교육을 받는 경우가 4.9%인데 비해 사교육을 받지 않는 경우가 10.4%로, 사교육을 받 지 않는 비율이 받는 경우에 비해 다른 시도보다 더 높았다. 시도별 사교 육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표 I-17>시도별 사교육 현황 (단위 : 명, %) 학생 시도별 사교육을 사교육을 받는 경우 받지 않는 경우 계 χ 2 서울 136(14.1) 115(11.9) 251(26.1) 21.307*** 경기 47(4.9) 100(10.4) 147(15.3) 전라 125(13.0) 158(16.4) 283(29.4) 경북 144(15.0) 138(14.3) 282(29.3) 계 452(46.9) 511(53.1) 963(100.0) *<.10,*<.05, *<.001 주:Levene 통계량 조사 결과 분산분석을 실시할 수 없는 경우 비모수 검 정을 실시함(χ 2 ) 학교 계열별로 사교육에 참여하는 정도를 분석한 결과, 실업계는 전체의 4.6%만이 사교육을 받고 있었으나, 인문계의 경우 사교육을 받는 학생은 전체의 42.4%에 달했다. 실업계에 비하여 인문계 학생들이 사교육을 더 많이 받게 되는 이유는 대학입시로 인한 영향으로 볼 수 있다. 사교육을 받는 정도에 있어서 학교 계열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32 청소년희망세상2030 연구 - 교육분야

<표 I-18>학교계열별 사교육 현황 (단위 : 명, %) 학생 학교계열 사교육을 사교육을 받는 경우 받지 않는 경우 계 χ 2 실업계 44(4.6) 195(20.2) 239(24.8) 103.867*** 인문계 408(42.4) 316(32.8) 724(75.2) 계 452(46.9) 511(53.1) 963(100.0) *<.10, *<.05, *<.001 *Levene통계량 조사 결과 분산분석을 실시할 수 없는 경우 비모수 검정을 실시함(χ 2 ) 2) 사교육비 지출과 가정의 경제적 배경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예체능, 기타 과목에서 학생들의 가정이 지출하는 월 평균 사교육비를 살펴보면, 전체 응답 학생의 월평균 사교육 비는 16.1만원로 나타났다. 성별로 월 평균 사교육비를 분석한 결과, 남학 생은 평균 19.7만원, 여학생은 평균 16.7만원으로 남녀간 차이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했다. 시도별로 월평균 사교육비를 살펴보면, 서울이 평균 24.5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경기도가 10.8만원, 전라도가 10.7만원, 경상북도가 15.8만원이 었다. 이러한 시도간 사교육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한편, 실업계와 인문계 학생들의 사교육비 차이는 매우 크게 나타났다. 실업계 학생의 경우 월 평균 사교육비는 5.4만원인데 비해, 인문계 학생의 월 평 균 사교육비는 31.6만원에 달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 였다. Ⅱ. 청소년 교육 실태에 대한 청소년 및 학부모의 인식 33

<표 II-19> 월 평균 사교육비 현황 구 분 학생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전체 16.1 29.1 남자 492 19.7 34.4.144(χ 2 ) 성별 여자 482 16.7 25.4 계 974 18.3 30.3 서울 315 24.5 41.1 23.828***(χ 2 ) 경기 175 10.8 23.9 시도별 전라 307 10.7 18.2 경북 309 15.8 23.3 계 1106 16.1 29.1 실업계 267 5.4 14.5 67.637***(χ 2 ) 학교 인문계 839 19.5 31.6 계열 계 1106 16.1 29.1 *<.10,*<.05, *<.001 주:Levene 통계량 조사 결과 분산분석을 실시할 수 없는 경우 비모수 검 정을 실시함(χ 2 ) 사교육을 받는 경우에 한정하여 사교육비를 조사한 결과, 사교육을 받는 학생은 월평균 36.3만원을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편차도 35.2만원 으로 학생간 사교육비 지출에서 차이도 크게 나타났다. <표 I-20>사교육을 받는 경우 월평균 사교육비 구분 응답수 평균(만원) 표준편차(만원) 사교육을 받는 경우 452 36.3 35.2 사교육을 받는 경우에 한정하여 사교육비의 분포를 살펴보면, 사교육을 받는 학생의 하위 1/4분위는 월 평균 13만원을, 하위 2/4분위는 30만원, 3/4분위는 50만원을 지출하였다. 월평균 최대로 많은 사교육비를 지출한 경우는 240만원으로 조사되었다. 34 청소년희망세상2030 연구 - 교육분야

<표 I-21>사교육을 받는 경우 사교육비 사분위수 (단위 : 만원) 구분 응답수 1/4분위 2/4분위 3/4분위 최대값 사교육을 받는 경우 452 13 30 50 240 학부모의 월평균 수입에 따른 사교육비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고 있었다. 가장 낮은 300만원 미만의 수입을 가진 가정의 학생들은 사 교육을 위해 월 평균 7.4만원을 지출한데 비해 수입이 높아질수록 높은 지 출을 보이고 있다. 300만원대 수입을 가진 가정에서는 사교육비로 월 평균 17.1만원을 지출하고 있었고, 400만원대 수입을 가진 가정은 20.8만원, 500만원대 수입을 가진 가정은 28.6만원, 600만원대 수입을 가진 가정은 41.0만원, 700만원대 수입을 가진 가정은 37.6만원, 800만원대 수입을 가 진 가정은 51.1만원, 900만원대 수입을 가진 가정은 26.4만원, 1,000만원 이상의 수입을 가진 가정은 45만원을 지출하고 있었다. <표 I-22>월평균 수입에 따른 월평균 사교육비 지출 차이 (단위 : 만원) 월평균 수입 구 분 학생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300 미만 359 7.4 15.2 116.762*** 300 이상 - 399 미만 213 17.1 27.2 400 이상 - 499 미만 113 20.8 26.3 500 이상 - 599 미만 90 28.6 30.6 600 이상 - 699 미만 46 41.0 49.2 700 이상 - 799 미만 29 37.6 50.4 800 이상 - 899 미만 12 51.1 38.9 900 이상 - 999 미만 11 26.4 30.6 1,000 이상 34 45.0 54.2 계 907 18.3 30.2 (χ 2 ) *<.10,*<.05, *<.001 주:Levene 통계량 조사 결과 분산분석을 실시할 수 없는 경우 비모수 검 정을 실시함(χ 2 ) Ⅱ. 청소년 교육 실태에 대한 청소년 및 학부모의 인식 35

사교육비가 가계에 어느 정도 부담이 되는가라는 설문에 대하여 학부모 의 18.1%가 부담이 안된다고 응답하였고, 보통이라고 응답한 경우는 31.3%인데 비하여, 과반수가 넘는 50.6%는 부담스럽다고 응답하였다. 구 분 학부모 전혀 부담 안 됨 52 (6.4) <표 I-23>사교육비의 가계부담 정도 별로 부담 안 됨 95 (11.7) 보통 254 (31.3) 조금 부담됨 288 (35.5) (단위 :명, %) 매우 부담됨 123 (15.1) 계 812 (100.0) 사교육비 마련 방법에 대한 질문에 대하여, 다른 생활비를 절약하여 사교육비를 마련한다는 응답 이 전체의 49.9%로 가장 많았다. 부업, 연장 근무 등을 통하여 추가 수입을 확보하는 경우는 전체의 15.%였고, 기존 재산을 처분하거나 저축한 돈을 활용하는 경우는 12.9%, 대출이나 빚을 내어 사교육비를 지출하는 경우는 4.1%였다. <표 I-24>학부모의 사교육비 마련을 위한 방법 구분 노력함 노력하지 않음 계 (단위 : 명, %) 부업, 연장 근무 등을 통한 추가수입 확보 143(15.9) 756(84.1) 899(100.0) 다른 생활비 절약 449(49.9) 450(50.1) 899(100.0) 기존 재산의 처분이나 저축한 돈 활용 116(12.9) 783(87.1) 899(100.0) 대출이나 빚을 냄 37(4.1) 862(95.9) 899(100.0) 기타 56(6.2) 844(93.8) 900(100.0) 36 청소년희망세상2030 연구 - 교육분야

마.다문화 국제화에 대한 인식 및 준비 1) 다문화 국제화에 대한 정도 설문에 참여한 학생과 학부모 모두 해외 유학에 대한 강한 선호를 나타 냈다. 설문에 응답한 학생의 69.8%가 유학경비 문제 등이 해결된다면 외 국 유학을 희망한다고 응답하였고, 학부모의 57.7%가 가정 형편 등이 허 락하면 자녀를 해외로 유학 보내고 싶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응답률 차이는 유의수준 α=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I-25>학생 및 학부모의 외국 유학 희망도 (단위 : 명, %) 구 분 희망함 희망안함 모르겠음 계 학생 학부모 676 (69.8) 540 (57.7) 128 (13.2) 242 (25.9) 164 (16.9) 154 (16.5) 968 (100.0) 936 (100.O) <표 I-26>학생과 학부모의 외국 유학 희망도 차이 구분 응답수 평균 표준편차 평균차 t값 학생 923 1.46.763 학부모 923 1.59.759-1.27-4.230*** *<.10,*<.05, *<.001 국제결혼, 이주 노동 등으로 인해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이 초중등학교에 늘어나는 데에 대해서 설문에 응답한 학생의 40.7%, 학부모의 40.2%가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반면에, 학생의 13.0%, 학부모의 14.4%가 다문화 가정의 자녀가 늘어나는 데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으 며, 학생의 46.3%, 학부모의 45.0%가 특별한 의견을 표시하지 않았다. 이 와 같은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Ⅱ. 청소년 교육 실태에 대한 청소년 및 학부모의 인식 37

한편, 다문화 가정 자녀의 증가에 대해서 학생과 학부모 모두 특별한 생각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 이 45%를 넘는 이유는 아직도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이 도시의 특정 지역(수도권 제조업체 집중 지역)나 농어촌 등을 중 심으로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설문에 응답한 학생과 학부모들에게는 다소 현실감이 떨어지는 현상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표 I-27>다문화 학생 증가에 대한 학생 및 학부모의 인식 구 분 매우 걱정됨 걱정됨 특별한 생각 없음 다소 긍정적임 매우 긍정적임 계 학생 33 (3.4) 92 (9.6) 445 (46.3) 284 (29.5) 108 (11.2) 962 (100) 학부모 23 (2.4) 113 (12.0) 423 (45.0) 312 (33.2) 66 (7.0) 941 (100) <표 I-28>다문화 학생 증가에 대한 학생 및 학부모의 인식 차이 구분 응답수 평균 표준편차 평균차 t값 학생 923 3.36.92 학부모 923 3.30.88.061 1.804* *<.10,*<.05, *<.001 부모 중 한 사람 이상이 외국인 이 학생과 어느 정도의 관계를 가질 수 있느냐라는 설문에 대하여, 응답한 학생들의 20~30%만이 결혼 이 나 이성교제 와 같이 매우 친밀한 관계를 가질 수 있다고 응답한 반면 에, 대부분의 학생이 친한 친구나, 반 친구, 동네 친구 는 될 수 있다고 응답하였다. 반면에, 학부모들은 자녀가 부모 중 한 명 이상이 외국인 학생 과 친한 친구, 반 친구, 또는 동네 친구 가 되는 데에 대해서는 자녀들과 비슷한 수준에서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으나, 자녀가 이들 다문화 가정의 자녀와 장래에 결혼, 이성교제 과 같은 친밀한 관계를 맺는 데에 대해서 38 청소년희망세상2030 연구 - 교육분야

는 학생들보다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학부모와 자녀간의 견해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가는 관 계 유형 에 따라 달랐다. 결혼, 이성교제 가능 여부 면에서 학부모와 그 자녀와의 인식 차이는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한 결과, 유의수준 α=0.01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네 친구 관계 면에서 인식 차이도 유의수준 α=0.05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친한 친구, 반 친구 관계 면에서 학부모와 그 자녀와 인식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I-29>외국인 친구와 가능한 관계에 대한 학생 및 학부모의 인식 (단위 : 명, %) 구 분 결혼 이성 교제 친한 친구 반 친구 동네 친구 학생 가능 불가능 256 (26.5) 711 (73.5) 344 (35.6) 623 (64.4) 699 (72.3) 268 (27.7) 475 (49.1) 492 (50.9) 433 (44.8) 534 (55.2) 소 계 967 (100) 967 (100) 967 (100) 967 (100) 967 (100) 학부 모 가능 불가능 135 (14.2) 814 (85.8) 212 (22.3) 737 (77.7) 681 (71.8) 268 (28.2) 479 (50.5) 470 (49.5) 378 (39.8) 571 (60.2) 소 계 949 (100) 949 (100) 949 (100) 949 (100) 949 (100) Ⅱ. 청소년 교육 실태에 대한 청소년 및 학부모의 인식 39

<표 I-30>외국인 친구와 가능한 관계에 대한 학생 및 학부모의 인식차 결혼 이성교제 친한 친구 반친구 동네 친구 구분 응답수 평균 표준편차 평균차 t값 학생 933.26.44 학부모 933.14.35.115 7.785*** 학생 933.35.48 학부모 933 23.42.124 7.368*** 학생 933.73.45 학부모 933.72.45.005.326 학생 933.49.50 학부모 933.51.50-0.17-1.016 학생 933.45.50 학부모 933.40.50.046 2.828* *<.10,*<.05, *<.001 (2) 국제화 다문화 능력 함양을 위한 준비 청소년들이 국제화 다문화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회적 지 원이 이루어지고 있는 데, 그 대표적인 방안으로서 학교에서의 영어교육 의 강화 를 들 수 있다. 학생들의 생활 영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각 학교마다 원어민 교사를 채용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으며, 영어교육 역시 종전의 문법 중심의 교육에서 실질적인 영어 의사소통능력을 함양하는 방 향으로 선회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학교에 서 이루어지는 영어교육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만족도는 다소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설문에 응답한 학생 중에 학교의 영어교육에 대해 만족(다소 만족, 매우 만족)한다고 응답한 학생은 18.6%에 불과하였고, 학부모의 경 우에는 15.7%에 불과하였다. 학생과 학부모의 만족도의 차이는 유의수준 α=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40 청소년희망세상2030 연구 - 교육분야

<표 I-31>학생 및 학부모의 영어교육 만족도 (단위 : 명, %) 구 분 아주 불만족 다소 불만족 보통 다소만족 매우만족 계 학생 97 (10.0) 250 (25.8) 442 (45.6) 146 (15.1) 34 (3.5) 969 (100.0) 학부모 52 (5.6) 214 (22.9) 521 (55.8) 134 (14.4) 12 (1.3) 933 (100.0) <표 I-32>학생과 학부모의 영어교육 만족도 차이 구분 응답수 평균 표준편차 평균차 t값 학생 919 2.76.945 학부모 919 2.83.787-0.61-1.819* *<.10,*<.05, *<.001 또한, 학생의 경우 영어교육 만족도는 성별, 시도별, 학교 계열별로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학부모의 경우는 성 별, 학교계열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지만, 시도별로는 유의 수준 α=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라도와 경상북도 지역에 소재한 학교에 자녀 를 재학시키는 학부모들이 서울이나 경기지역에 소재한 학교에 자녀를 재 학시키는 학부모들보다 학교 영어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방으로 갈수록 영어학원 등과 같이 학교 영어교육 을 대체할 수 있는 영어학원이 적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Ⅱ. 청소년 교육 실태에 대한 청소년 및 학부모의 인식 41

<표 I-33>성별,시도별,계열별 학생 및 학부모의 영어교육 만족도 학생 학부 응답수 평균 표준 표준 F 응답수 평균 편차 편차 F 남자 486 2.73.91.958 281 2.84.77.177 성별 여자 481 2.79 9.8 642 2.82.79 계 967 2.76.95 923 2.82.79 서울 256 2.72.97 2.05 243 2.76.89 경기 149 2.86.92 2 147 2.73.72 4* 시도별 전라 282 2.68.90 272 2.88.73 (χ 2 ) 경북 282 2.84.97 270 2.89.77 계 969 933 2.83.79 실업계 244 2.94.97 0.04 235 2.83.76.004 학교 인문계 725 2.70.93 (χ 2 ) 698 2.83.80 계열 계 969 2.76.95 933 2.83.79 *<.10,*<.05, *<.001 주:Levene 통계량 조사 결과 분산분석을 실시할 수 없는 경우 비모수 검 정을 실시함(χ 2 ) 한편, 학생들은 자신의 영어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 학교에서 제공하는 영어 수업에 참여하는 것 외에도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응답한 학생 중에 영어 능력 향상을 위해서 학원 에 다니는 학생들의 비율이 27.7%였고, 학교에서 제공하는 영어 방과후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 도 18.3%가 되었다. 이외에도 학생들은 영어테이프나 비디오를 청취하거 나(14.6%), 외국인과의 회화 연습 등을 통해서 영어 학습을 하고 있었다. 구 분 하고 있음 안함 소 계 <표 I-34>학교 수업 외의 영어 능력 향상을 위한 노력 학원 이용 270 (27.7) 704 (72,3) 974 (100) 방과후 프로그램 178 (18.3) 796 (81.7) 974 (100) 영어테이프/ 비디오 청취 142 (14.6) 832 (85,4) 974 (100) 외국인과 회화 연습 17 (1.7) 957 (98.3) 974 (100) 국내 영어 캠프 9 (0.9) 965 (99.1) 974 (100) (단위 : 명, %) 해외 영어연수 11 (1.1) 959 (98.9) 974 (100) 42 청소년희망세상2030 연구 - 교육분야

바. 진로에 대한 인식 및 준비 (1) 진로에 대한 인식 희망하는 최종 학벌에 대하여 학생들의 62.5%가 대학교라고 응답하였 고, 석사와 박사라고 응답한 학생들도 각각 8.3%와 10.7%에 이르렀다. 그 리고, 학부모들의 경우, 자녀가 취득하기를 희망하는 최종 학벌로서 대학교 를 63.3%가 답하였고, 석사의 경우 13.2%, 박사의 15.1%를 응답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학생과 학부모 모두 대학교 이상의 학력을 희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교육 졸업자의 대학 진학률이 80%를 넘는 현재의 상황을 고려할 때 당연한 결과라고 볼 수 있 을 것이다. <표 I-35>최종학벌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자녀의 학벌)의 기대 (단위 : 명, %) 대학원 대학원 구 분 고등학교 전문대학 대학교 잘모르겠음 계 (석사) (박사) 학생 33 (3.4) 60 (6.2) 605 (62.5) 80 (8.3) 104 (10.7) 86 (8.9) 968 (100) 학부모 6 (0.6) 48 (5.1) 594 (63.3) 124 (13.2) 142 (15.1) 25 (2.7) 939 (100) 장래에 희망하는 직업과 관련해서는 학생의 경우에는 전문직 기술직 (28%)이 가장 선호되었고, 그 다음으로 공무원(18.7%), 대기업 직원 (12.2%), 교사(11.8%)가 뒤따랐다. 반면에, 학부모의 경우, 자녀의 장래 직업으로써 전문직 기술직(31.5%)을 가장 선호하였고, 그 다음으로 공무 원(29.0%), 교사(16.4%), 대기업 직원(6.4%)의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학생과 학부모 모두 안정성과 평 균 이상의 월급을 보장하는 전문직종과 공무원을 선호하였고, 특히 학생에 비하여 학부모들이 자녀들이 안정적인 수입과 정년이 보장된 공무원이 되 Ⅱ. 청소년 교육 실태에 대한 청소년 및 학부모의 인식 43

기를 보다 선호하였다. 이는 청년 실업이 장기적인 사회문제화가 되면서 학 부모들이 고수익 고위험율 조기퇴직의 특성을 가진 직업 보다는 어느 정 도의 수입을 보장하면서 안정성이 높은 직장을 선호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표 I-36>희망하는 학생의 장래 직업 구 분 학생 학부모 응답수 % 응답수 % 교사 114 11.8 152 16.4 교수 19 2.0 28 3.0 공무원 180 18.7 269 29.0 대기업 직원 118 12.2 59 6.4 개인 사업 창업 77 8.0 45 4.8 전문직, 기술직 270 28.0 293 31.5 연예인 44 4.6 15 1.6 스포츠계 20 2.1 10 1.1 기타 122 12.7 58 6.2 합계 964 100.0 929 100.0 희망 직업 문항에 대해 기타 에 적은 내용을 살펴보면, 학생들의 경 우 응답자의 12.7%(122명)가 기타에 표시했는데, 예체능계 종사(17명)가 가장 선호되었다. 이외에도 간호사 (6명), 항공 승무원(5명), 의사(5명)가 선호되었고, 응답자 중에 2명 정도가 답한 직업에는 경찰, 군인, 디자이너, 만화가, 사회복지사, 서비스업, 아나운서, 예능 미술, 예술계 직업, 요리사, 은행원, 중소기업직원, 호텔리어 등이 있었다. 반면에, 학부모의 전체 응답 자 중에 6.2%(58명)가 기타로 표시했으며, 그 내용을 살펴보면 가장 다수 인 대답은 자녀가 원하는 직업 (8명) 이었다. 그 다음으로, 간호사, 디 자이너, 의사 (각각 3명씩 응답), 그리고 목사, 한의사 (각각 2명씩 응 44 청소년희망세상2030 연구 - 교육분야

답)가 뒤따랐다. 이와 같이 학생과 학부모 대부분이 기타 에서 선호하 는 직업으로써 제시한 직종 역시 대부분이 전문직 기술직 으로 분류가 가능한 점을 고려할 때, 앞서 통계로 제시된 수보다 많은 학생과 학부모가 전문직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 진로 선택 기준 및 준비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를 선택하는 중요한 준거로써 자신의 적성과 소질 에 맞는 직업 (33.5%)을 가장 많이 제시했고, 그 다음으로 안정성이 있 는 직업(18.4%), 수입이 많은 직업(16.3%)을 제시하였다. 반면에, 학부모 의 경우에는 자녀의 직업 선택 기준으로써 자녀 자신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직업 (34.1%)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고, 그 다음으로 안정성이 있는 직업(31.7%), 보람과 자아성취를 이룰 수 있는 직업(9.8%) 등을 제시하 였다. 표 I-37 장래 직업 선택 준거 구 분 학생 학부모 응답수 % 응답수 % 명예와 명성을 가져다 주는 직업 22 2.3 29 3.1 안정성이 있는 직업 178 18.4 297 31.7 수입이 많은 직업 158 16.3 70 7.5 일하면서도 개인시간을 많이 가질 수 있는 직업 138 14.3 55 5.9 자신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직업 324 33.5 320 34.1 보람과 자아성취를 이룰 수 있는 직업 90 9.3 92 9.8 발전성, 장래성이 있는 직업 48 5.0 72 7.7 기타 9 0.9 3 0.3 합계 967 100.0 938 100.0 Ⅱ. 청소년 교육 실태에 대한 청소년 및 학부모의 인식 45

한편, 취업에 필요한 능력에 대해서 묻는 설문 문항들에 대해서 학생과 학부모들은 항목별로 다양한 견해를 제시하였다. 전공 지식과 능력 에 대해서 응답 학생들의 82.5%가 다소 또는 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학부모들은 82.1%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정보화 능력 에 대해서는 학생의 73%, 학부모의 79.7%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영어 외국어 능 력에 대해서는 학생의 69.6%, 학부모의 81.4%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우리말 의사소통능력에 대해서는 학생의 73.7%, 학부모의 76.1% 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력에 대해서는 학생의 53%, 학부모의 57%가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아울러, 인간관계기술에 대해서는 학생의 81.3%, 학부모의 84%가 필요 하다고 응답하였고, 예절, 기본품성 교육에 대해서는 학생의 80.8%, 학부 모의 84.3%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마지막으로, 수리능력에 대해서는 학생의 32.6%, 학부모의 44.7%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이 학 생과 학부모 대부분이 수리 능력 을 제외하고는 취업을 위해서는 앞서 제시된 능력들이 필요(매우 필요 포함)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수리 능력 의 경우에는 응답자 대부분이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수학 교육이 난이 도에 비하여 실제 생활에서 활용될 가능성이 낮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보 인다. 한편, 취업에 필요한 능력에 대해서 학생과 학부모 대부분이 그 중요성 에 대해서 공감을 하지만 학부모 가 학생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는 대응표본 T 검정 결과로 확인되었다. 전공지식과 능력 필 요성 을 제외하고, 기타 능력에 있어서 학부모가 학생 보다 그 필요성을 높이 인정하고 있었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46 청소년희망세상2030 연구 - 교육분야

구 분 전공 지식과 능력 정보화 능력 영어. 외국어능력 우리말 의사소통력 다른 문화 이해력 인간 관계 기술 예절/ 기본품성 수리능력 학생 학부모 학생 학부모 학생 학부모 학생 학부모 학생 학부모 학생 학부모 학생 학부모 학생 학부모 표 I-38 취업에 필요한 능력 전혀 불필요 9 (0.9) 4 (0.4) 8 (0.8) 5 (0.5) 14 (1.5) 1 (0.1) 9 (0.9) 8 (0.9) 17 (1.8) 5 (0.6) 5 (0.5) 3 (0.3) 11 (1.1) 5 (0.5) 75 (7.8) 42 (4.6) 거의 불필요 14 (1.5) 11 (1.2) 23 (2.4) 11 (1.2) 48 (5.0) 18 (2.0) 14 (1.5) 14 (1.5) 77 (8.0) 53 (5.8) 12 (1.3) 13 (1.4) 15 (1.6) 15 (1.6) 193 (20.1) 109 (11.9) 보통 다소 필요 매우 필요 계 145 (15.0) 151 (16.3) 229 (23.9) 171 (18.5) 231 (24.0) 152 (16.5) 230 (23.9) 197 (21.5) 357 (37.2) 333 (36.6) 162 (16.9) 131 (14.3) 158 (16.5) 125 (13.6) 378 (39.5) 354 (38.8) 386 (40.0) 364 (39.3) 471 (49.1) 440 (47.6) 337 (35.0) 356 (38.6) 394 (40.9) 357 (39.0) 343 (35.8) 365 (40.2) 342 (35.6) 309 (33.7) 322 (33.5) 303 (32.9) 197 (20.6) 274 (30.0) (단위 : 명, %) 410 (42.5) 396 (42.8) 229 (23.9) 297 (32.1) 334 (34.6) 395 (42.8) 316 (32.8) 340 (37.1) 165 (17.2) 153 (16.8) 439 (45.7) 462 (50.3) 454 (47.3) 474 (51.4) 115 (12.0) 134 (14.7) 964 (100.0) 926 (100.0) 960 (100.0) 924 (100.0) 964 (100.0) 922 (100.0) 963 (100.0) 916 (100.0) 959 (100.0) 909 (100.0) 960 (100.0) 918 (100.0) 960 (100.0) 922 (100.0) 958 (100.0) 913 (100.0) Ⅱ. 청소년 교육 실태에 대한 청소년 및 학부모의 인식 47

표 I-39 취업에 필요한 능력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차이 전공 지식과 능력 정보화 능력 영어. 외국어능력 우리말 의사소통능력 다른 문화 이해력 인간관계 기술 예절/기본품성 수리능력 구 분 응답수 평균 *<.10,*<.05, *<.001 표준 편차 학생 911 4.22.81 학부모 911 4.23.79 학생 904 3.93.81 학부모 904 4.10.77 학생 906 3.99.95 학부모 906 4.23.80 학생 901 4.04.84 학부모 901 4.11.85 학생 890 3.59.91 학부모 890 3.67.84 학생 899 4.25.81 학부모 899 4.33.80 학생 902 4.25.86 학부모 902 4.33.81 학생 893 3.10 1.10 학부모 893 3.39 1.02 평균차 t값 -0.011 -.381 -.167-5.594*** -.238-7.537*** -.062-1.954* -.081-2.420** -.076-2.461** -.080-2.547** -.290-7.701*** 2.2030청소년 교육 예측에 대한 시사점 앞서 논의한 청소년 교육의 실태 및 향후 진로 준비에 대한 조사 결과는 청소년 교육정책 수립과 2030 청소년 교육 예측을 위해서 의미 있는 시사 점을 제공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을 둘러싼 환경이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 다. 조사 결과에서도 잘 나타나듯이, 무엇보다 이혼이나 가정 파탄의 증가 등으로 인해 한부모만을 가지고 있거나, 부모가 없는 청소년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가족 해체 현상을 청소년 교육의 중요한 변수로써 향후 48 청소년희망세상2030 연구 - 교육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