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4 淨 土 學 硏 究 제22집 (2014. 12) 한글요약 석존의 정각에 의한 불교의 세계종교화는 이문화( 異 文 化 ) 사회에의 토 착을 의미한다. 그 대표적인 예의 하나가 효사상, 즉 부모은사상을 중심 한 부모은중경 의 성립이다. 이 경전은 불교의 동전과정에서



Similar documents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놀이. 스포츠의 관점에서 본 화랑과 기사의 신체활동


<C0A7B7C9B0F82E687770>

한류동향보고서 26호.indd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문식성 신장 내용

<3630C1FD28BCF6C1A4292E687770>

<3120B1E8B1D9BFEC2D31C2F7C6EDC1FD DB1B3C1A4BFCFB7E E292E687770>

<B0C5C1A620BFC1C6F7BCBA20B9DFB1BCC1B6BBE720BEE0BAB8B0EDBCAD2E687770>

8.김민희.hwp

Readings at Monitoring Post out of 20 Km Zone of Tokyo Electric Power Co., Inc. Fukushima Dai-ichi NPP(18:00 July 29, 2011)(Chinese/Korean)

目 次 第 1 章 總 則 第 1 條 ( 商 號 )... 1 第 2 條 ( 目 的 )... 2 第 3 條 ( 所 在 地 )... 2 第 4 條 ( 公 告 方 法 )... 2 第 2 章 株 式 第 5 條 ( 授 權 資 本 )... 2 第 6 條 ( 壹 株 의 金 額 )..

완치란 일반인들과 같이 식이조절과 생활관리를 하지 않아도 다시 통풍이 하지 않는 것입니다. 당신의 통풍이 몇 년이나 되었는지 지금까지 얼마나 많은 로릭과 진통 소염제로 버텼는지 이제 저한테 하소연 하시고 완치의 길로 가면 다. 어렵지 않습니다

國 史 館 論 叢 第 93 輯 法 의 실시, 良 役 變 通 의 논의 등 사회 경제적 변화가 추진되는 양상도 그같은 맥락에서 이해되는 것이라고 하겠다. 2) 그렇다면 조선왕조의 체제구축과 성리학의 이기심성론은 어 떠한 관계가 있는 것이며, 그것을 둘러싼 논쟁

한류동향보고서 16호.indd

< FBAD2B1B3C7D0BAB837302E687770>

1-조선선불교의 심성이해와 마음공부.hwp

<3035B1E8BFECC7FC2E687770>

3.염중섭(자현).hwp

16 經 學 研 究 集 刊 特 刊 一 墓 誌 銘 等 創 作 於 高 麗 時 代 與 朝 鮮 朝 時 代, 此 是 實 用 之 文 而 有 藝 術 上 之 美. 相 當 分 量 之 碑 誌 類 在 於 個 人 文 集. 夢 遊 錄 異 於 所 謂 << 九 雲 夢 >> 等 夢 字 類 小 說.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신계내과학(1).indd

[맹자] 맹자( 孟 子 )가 말하였다. 본심( 本 心 )을 기르는 데는 욕심을 적게 하는 것보다 더 좋은 방법이 없다. [맹자] 우산( 牛 山 )의 나무들이 아름다웠었는데, 큰 나라의 교외에 있어서 도끼로 남벌하였다. 그러니 그 산이 아름다울 수 있겠는가? 이것은 밤낮

DBPIA-NURIMEDIA

untitled

<4D F736F F D D B27BA6E6A6D2BBCDA8EEABD72DBEC7BEA7A558AAA9AAC02E646F63>


98 농업사연구 제 6권 1호, 한국농업사학회, 주요어 : 농업기술, 농서집요, 농상집요, 수도, 휴한법, 연작법 1. 머리말 한국사에서 14세기는 고려왕조에서 조선왕조로 국가 지배체제가 크게 격변한 시기였다. 고려말 고려 사회 내부와 외부에서 발생한 여

석촌동백제초기적석총 石 村 洞 百 濟 初 期 積 石 塚 이도학, (서울의 백제고분) 석촌동 고분, 송파문화원, 서울 特 別 市, 石 村 洞 古 墳 群 發 掘 調 査 報 告, 고창지석묘군 高 敞 支 石 墓 群 문화재관리국,

<C0BDBEC7B0FA2028BEC8B8EDB1E2292E687770>

<BBFDB8EDBFACB1B83232C1FD2D E687770>

untitled


그렇지만 여기서 朝 鮮 思 想 通 信 이 식민본국과 피식민지 사이에 놓여 있는 재조선일본인의 어떤 존재론적 위치를 대변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식민본국과 피식민지의 Contact Zone 에 위치한 재조선일본인들은 조선이라는 장소를 새로운 아이덴티티의 기

152*220

02양은용

Microsoft Word - 論文上傳最終版本(有書名頁但無頁碼)_ docx

hwp

<B0EDBCBA20C0B2B4EB20B3F3B0F8B4DCC1F620B9AEC8ADC0E720C1F6C7A5C1B6BBE720BAB8B0EDBCAD28C3DFB0A1BCF6C1A4BABB292E687770>

歷史通識-眺望中國

국악원 논문집 다. 거운고짧-의 統 對 的 年 代 )1댐의 分 類 는 樂 5앞에 年 代 가 明 記 되지 않은 것이 있어서 困 維 하지만, 그 樂 렘에 실린 짧 l111 의 內 容 에 依 히.0,1 相 對 的 年 代 JI\N의 分 쨌는 퍼 能 할 것드로 생 각한다. 年

대해서 대해 고맙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느덧 交 通 放 送 은 96 年 상반기도 한 달여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우리 交 通 專 門 放 送 으로서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고자 모든 일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委 員 해 주시기를 부탁드리겠습니다. 여러분께서 더욱더 사랑 그러면

DBPIA-NURIMEDIA

모두 언어와 상관없이 시국적 내용이다. 발표매체별 집필 수(K=조선어 N=일본어) 1939년 기사 등 K 文 章 3 三 千 里 2(좌담2포함) 女 性 1 作 品 1 東 亜 日 報 1 N 国 民 新 報 2 소설 K 文 章 년 기사 등 K 三 千 里 10(좌담4

토픽 31호( ).hwp

untitled

<C1A4C3A530302D31302DBFCFBCBABABB2E687770>

356 제2기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제5권 釜 山 口 設 海 底 電 線 條 欵 / 海 底 電 線 設 置 ニ 關 スル 日 韓 條 約 漢 日 在 朝 鮮 國 日 本 人 民 通 商 章 程 / 朝 鮮 國 ニ 於 テ 日 本 人 民 貿 易 ノ

What is Critical & Creative Thinking? (Definitions and Elements) CREATIVE Thinkng is the thinking we do when we generate ideas Pose questions Imagine

중국기본고적 데이타베이스 기능수첩

<30322DB1E8BDC2BFEC34345FBFACB1B8BCD2B1B3C1A4BFCFB7E12E687770>

Book2.hwp

<31312D3331BACFC1A4C0CFB1E22E687770>

CB hwp

º´¹«Ã»Ã¥-»ç³ªÀÌ·Î

표1 고려불화의 本 地 : 직조방식 場 160 本 地 3 平 織 A 奈 良 國 博 明 代 1 a 善 導 寺 14 變 化 平 織 B b 鏡 神 社 1310 本 地 畵 幅 奉 安 4 A B 1 2 A 5 Ⅱ. 고려불화의 本 地 : 絹 織 物 의 조직 160 zoom B A

* pb61۲õðÀÚÀ̳ʸ

101年度高年級聖誕節英語闖關遊戲活動計畫

<30382DC1A4B9AEBCAE2E687770>

지침

<40BBE7BBF3C3BCC1FAC0C7C7D0C8B8C1F6284A53434D D312DBABBB9AE34C2F7C6EDC1FD2E687770>



<B1E8BCF8BCAE2DC3D6C1BE312E687770>

<BCB1B9AEC8ADBFACB1B C1FD20BABBB9AE28C3D6C1BE2C C30312C E687770>

<4D F736F F D20B1E2C1B6B0ADBFACB9AE28B1B9B9AE29>

건강증진 시범보고서 운영을 위한 기술지원 연구

DBPIA-NURIMEDIA

untitled

....pdf..

CHO Sung-san : The Seongho ( 星 湖 ) School s Study of the Ancient Learning ( 古 學 ) and Its Influence on the Debate about Materia Medica in the Late Jos

<B1B3C8B8BBE7BFACB1B83432C1FD5F E687770>


제국주의로서의 근대일본자유주의

ÃÊ2)03È£³ëº§»óiÇؼ³ÇÊ

Journal of Gεography (Jirihak Nonchong) Monography Series 45 Apr.2002 Geographical Study on the Boundary and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the Capita

<B9FDBBE7C7D0BFACB1B BABBB9AE2C E687770>

ÃѼŁ1-ÃÖÁ¾Ãâ·Â¿ë2


빈면

<3429BFC0C1F8BCAE2E687770>



金 喜 甲 委 員 ; 金 喜 甲 委 員 입니다. 本 委 員 은 地 下 鐵 淸 掃 用 役 繼 續 締 結 要 望 에 대한 請 願 을 하 고자 합니다. 請 願 의 基 本 要 旨 는 1974 年, 즉 21年 前 부터 地 下 鐵 公 社 와 隨 意 契 約 으로 淸 掃 用 役 을


赤 城 山 トレイルランニンング レース 大 会 記 録 第 10 回 赤 城 山 選 手 権 保 持 者 男 子 須 賀 暁 記 録 2:35:14 女 子 桑 原 絵 理 記 録 3:22:28 M1 ミドル 男 子 18~44 歳, 距 離 32km 総 登 高 1510m ( 注 :DNF:

<C1F6C7A5C1B6BBE7BAB8B0EDBCAD3134C1FD2E687770>

<C3CAC1A DC1DFB1B92E687770>

AMR-0216-A改字型.indd

Microsoft Word - ITJRKHHAMHZT.doc

untitled

Microsoft Word - BRHCCMLSDNIQ.doc

¼øâÁö¿ª°úÇÐÀÚ¿ø

jc0inb001a.HWP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見 積 書

4최종-『食療纂要』에 나타난 消渴의 食治에 對한 小考_송지청, 김상운, 채송아, 엄동명.hwp

(012~031)223교과(교)2-1

권석환.hwp

<C1A4BDC537355F30365FDFEFD9A4EBECC0C720BBFDBED6BFCD20B1D4C0E5B0A220C8B0B5BF5FB1E8B9AEBDC42E485750>

Transcription:

불교 효사상의 본질 양은용 * 1) 목 차 Ⅰ. 서언 Ⅱ. 불교의 동전과 부모은중경 의 성립 1. 부모은중경 의 성립 2. 부모은중경 의 피은과 보은 III. 우란분경 류의 목련구모와 효사상 1. 우란분경 과 목련구모 2. 불교 효사상의 핵심 IV. 결어 * 원광대학교 명예교수, 한일문화연구원장.

114 淨 土 學 硏 究 제22집 (2014. 12) 한글요약 석존의 정각에 의한 불교의 세계종교화는 이문화( 異 文 化 ) 사회에의 토 착을 의미한다. 그 대표적인 예의 하나가 효사상, 즉 부모은사상을 중심 한 부모은중경 의 성립이다. 이 경전은 불교의 동전과정에서 이루어진 위경( 僞 經 )이지만, 현장성을 중심으로 보면 역동성을 상징한다. 본고에서 는 이러한 부모은중경 과 우란분경 을 중심으로 불교 효사상, 즉 부모 은사상의 본질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충효윤리를 중심한 중국사회에 출가윤리가 중심인 불교의 전래는 커다 란 문화적 충격을 안겨주었다. 유교에서는 불교를 무부무군( 無 父 無 君 의 호교( 胡 敎 ) 로 핍칭 하게 되었고, 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부모은사상이 발아되었고, 그 정점에 부모은중경 의 성립을 보게 된다. 유교의 효는 부모의 봉양에서부터 임금을 섬기고 마침내 자신을 올바로 간수하며, 선 인의 유지를 받드는 등의 단계가 있다. 그러나 그 가르침 자체가 현세 위주이다. 이에 대하여 불교의 효사상, 즉 부모은사상은 연기이법에 바탕하여, 한 편에서는 삼세부모사상으로 전개하고, 다른 한편에서는 봉양은 물론 이 고득락( 離 苦 得 樂 )하는 천도( 薦 度 )를 본질로 하고 있다. 따라서 불교의 효 사상 전개는 동토에 있어서 효사상의 새로운 차원을 열고 있는 것이다. 현대사회에 있어서도 부모은중경 을 성립시킨 역동성, 곧 현장성은 인 류의 커다란 복전이 될 것으로 본다. 주제어 불교의 효, 보은사상, 부모은중경, 우란분경, 위경, 효경, 충효 윤리, 목련구모, 유교, 도교.

불교 효사상의 본질 / 양은용 115 I. 서언 석존( 釋 尊, BC 463-383경)의 정각( 正 覺 )을 통해 이루어진 불교는 몇 단계를 거쳐 세계종교화, 보편종교화에 이른다. 그 과정은 교단의 역사나 경 율 론 삼장( 經 律 論 三 藏 )의 결집, 원시불교에서 부파불교 그리고 대승불교로의 전개, 그리고 남방불교와 북방불교 등에의 지역 적 전파 등 여러 가지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이 중에서 동토전래는 불교 세계화 내지 세계종교화의 대표적인 상징이라 할 것이다. 이른 바 대 소승의 불전이 한역( 漢 譯 )되면서 한문불전문화권( 漢 文 佛 典 文 化 圈 )을 형성하고 있으며, 유 도 2교와 함께 종교의 주맥을 형성하 는 특징을 보인다. 따라서 한문불전문화권의 형성은 이문명권( 異 文 明 圈 )에서의 토착을 뜻한다. 한역불전을 석존의 진설( 眞 說 )로 받들 뿐 아니라, 토착과정에서 이루어진 위경( 僞 經 )이 가지는 권위까지 이와 조금도 다름이 없다. 본고 1) 에서 다루고자 하는 불교의 효( 孝 )사상이 동토전래 및 토착화 과정에서 이루어진 대표적인 사례이다. 유교사회에서 근간을 이루는 효에 대해 부모은( 父 母 恩 ) 이라는 대응, 곧 부모은중경( 父 母 恩 重 經 ) 의 성립이 그러하기 때문이다. 불교의 토착화과정에서 보면 이는 역 동적인 가르침을 폈다는 뜻이 될 것이다. 이는 우란분경( 盂 蘭 盆 經 ) 류의 불교 근원경전에 사상적 연원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유교의 효개념에 유의하면서 몇 경전을 들어 불교 효사상의 본질을 다루어나가고자 한다. 1) 본고는 조상신앙 을 주제로 한 2014년도 흥륜사 한국정토학회 제17차 학술대회 (2014. 10. 11, 흥륜사)에서 발표한 원고이다. 이에 서성운스님의 논평( 불교 효사상의 본질 의 토폰 논평 )에서 불교 보은사상 등 본고의 미진한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지도를 받았다. 원고를 보정할 수 있게 해 주신데 감사드린다.

116 淨 土 學 硏 究 제22집 (2014. 12) 주지하는 바와 같이, 효( 孝 )는 충( 忠 )과 함께 유가윤리( 儒 家 倫 理 )의 근간을 이루어 왔다. 유가윤리는 수 제 치 평( 修 齊 治 平 )의 가르침 에서 보는 것처럼 가족윤리를 바탕으로 한 경세이념( 經 世 理 念 )을 전 개하고 있다. 춘추전국시대의 공자( 孔 子, BC 551-BC 479)와 맹자( 孟 子, BC 371경-BC 289경)에 의해 대성된 유교사상은 전한시대 동중서 ( 董 仲 舒, BC 179경-BC 104)의 주청에 의해 국학으로 격상된 이래 정 통적 지위를 확보해 왔다. 따라서 사서삼경( 四 書 三 經 )을 비롯한 유가의 경서에는 효에 대한 다양한 가르침이 설시되어 있다. 그 가운데 몇 가지 예를 들면 다음 과 같다. 1. 자유가 효에 대하여 여쭙자, 공자가 말씀하셨다. 근자에는 효도를 잘 부양하는 것만으로 생각하나, 개와 말에 이르기까지도 모두 부양하 고 있다. 공경하지 않는다면 무엇으로 구별하겠는가? 2) 2. 공자가 말씀하셨다. 효라는 것은 덕의 근본이며, 가르침이 생겨나 는 바탕인 것이다. 사람의 신체와 머리털과 피부는 모두 부모에게 서 받은 것이니, 감히 이것을 손상시키지 않는 일이야말로 효의 시작인 것이다. 몸을 올바로 간수 하고 도를 행하여 후세에까지 이름을 드날림 으로써 부모님도 드러나게 하는 것이 효의 끝맺음인 것이다. 효라는 것 은 어버이를 섬기는 데서 시작하여 다음으로 임금을 섬기고, 끝으로 자 신을 올바로 간수하는 것이다. 3) 3. 공자가 말씀하셨다. 무왕과 주공이야말로 온 천하가 인정하는 효자 였다. 효라는 것은 선인의 뜻을 잘 계승하여 선인의 일을 잘 발전시키 는 것이다. 봄, 가을로 그의 조상들의 묘당을 잘 손질하고 그곳에 조상 들로부터 내려오는 중요한 그릇들을 잘 진열하고, 조상들이 남긴 옷들 을 잘 펴놓으며, 제철의 음식을 차려 놓고 제사를 지내는 것이다. 4) 2) 論 語 爲 政, 子 游 問 孝, 子 曰 今 之 孝 者, 是 謂 能 養, 至 於 犬 馬, 皆 能 有 養. 不 敬 何 以 別 乎. 3) 孝 經 開 宗 明 義, 子 曰, 夫 孝 德 之 本 也. 敎 之 所 由 生 也. 復 坐 吾 語 汝. 身 體 髮 膚 受 之 父 母 不 敢 毁 傷 孝 之 始 也. 立 身 行 道 揚 名 於 後 世 以 顯 父 母 孝 之 終 也. 夫 孝 始 於 事 親 中 於 事 君 終 於 立 身.

불교 효사상의 본질 / 양은용 117 이들의 출전은 각각 다르지만 모두 공자의 가르침이다. 이렇게 강 조되는 효의 유가적 위치는 효경 5) 을 성립시켜 경전으로 받들고 있 는 것만으로도 알 수 있다. 윤리의 근원을 효에서 찾고 있는데, 효경 의 구조에서 드러나는 바와 같이, 충신( 忠 臣 )을 효자의 문에서 구한 다고 할 정도로 정치한 효사상의 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사고체계를 가진 중국사회에 출가윤리( 出 家 倫 理 )를 근간으 로 하는 불교가 전래되었으니 문화적 충격은 대단히 컸을 것이다. 유 가에서 토착과정의 불교에 대하여 무부무군( 無 父 無 君 )의 호교( 胡 敎 ) 6) 로 핍칭한 것이 이를 대변한다. 이에 대한 불교의 호교( 護 敎 ) 내지 포교( 布 敎 )의 가르침으로 등장한 것이 다름 아닌 부모은( 父 母 恩 )이다. 효사상을 불교적으로 풀면 부모보은사상( 父 母 報 恩 思 想 )이 되므로, 불 교에서는 새로운 차원의 효사상을 전개한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불교 효사상, 즉 부모은사상의 본질을 부모은중경 ( 父 母 恩 重 經 ) 의 성립과 전개, 우란분경( 盂 蘭 盆 經 ) 목련경( 木 連 經 ) 등의 가르침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미리 언급해 둘 것은, 필자 는 원불교의 효사상을 주제로 한 연구결과를 발표한 적이 있는데 7), 이 가운데 부모은중경 의 구조 등 일부를 다루었다. 따라서 내용상 본고와 겹치는 부분이 없지 않으나, 구고의 자세한 인용표시는 생략 하며, 주제에 맞추어 새로운 성과를 기하기로 한다. 4) 中 庸 章 句 제19장, 子 曰, 武 王 周 公, 其 達 孝 矣 乎, 夫 孝 者 善 繼 人 之 志, 善 述 人 之 事 者 也, 春 秋 修 其 祖 廟, 陳 其 宗 器, 設 技 裳 衣, 薦 其 時 食. 5) 전후 18장으로 구성된 孝 經 은 제1장 開 宗 名 義 를 총설로 하고, 제2-6장 天 子 諸 侯 卿 大 夫 士 庶 人 의 효행구분, 제7-8장 三 才 孝 治 聖 治 의 효행원리, 제10-14장 紀 孝 行 五 刑 廣 要 治 廣 至 德 廣 揚 名 의 효행기강, 제15-18장 諫 諍 感 應 事 君 喪 親 의 효행실천으로 구성되어 있다. 6) 南 北 朝 時 代 의 이 논조는 유가의 불교관을 상징하며, 麗 末 鮮 初 의 斥 佛 思 想 을 대표하는 三 峰 鄭 道 傳 (1342-1398)의 佛 氏 雜 辨 에서도 이 문제가 제7 장 佛 氏 毁 棄 人 倫 之 辨 에 주요사항으로 나타나고 있다. 7) 졸고, 효사상의 전통에서 본 원불교의 효, 국제원광문화학술논집 1-3 (원광보건대학교 원광문화연구원, 2011), pp.22-35 참조.

118 淨 土 學 硏 究 제22집 (2014. 12) II. 불교의 동전과 부모은중경 의 성립 1. 부모은중경 의 성립 불교 교단은 비구 비구니 청신사 청신녀의 4부대중으로 구성되 었으나, 불 법 승 삼보( 佛 法 僧 三 寶 )를 신앙하는 바에서 보는 것처 럼, 그 운영은 출가주의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출세간 위주라는 말이다. 이러한 불교가 동토에 전래된 것은 서력기원 전후인데, 이미 유가 의 경세이념이 국학의 지위를 확립한 다음이 된다. 그리고 후한시대 말경인 서기 150년경에 교단도교의 성립을 가져오므로, 양진남북조시 대에는 불 유 도 3교( 佛 儒 道 三 敎 )가 경세( 經 世 )를 중심으로 정족( 鼎 足 )의 체제를 유지한다. 그 사이에 많은 경전이 번역되고 서사되며, 그 갖추어진 형태를 흔히 팔만대장경( 八 萬 大 藏 經 ), 곧 일체경( 一 切 經 )을 이룬다. 그리고 동토에서 경 율 론에 이들을 해석한 소( 疏 )와 말소( 末 疏 )까지 다양한 해석이 이루어진다. 특히 남북조시대를 거치 면서 불 도 이교 내지 불 유 도 삼교 간에 격한 우열논쟁을 전개 하는데 8), 그 가운데 노자화호경( 老 子 化 胡 經 ), 청정법행경( 淸 淨 法 行 經 ) 등이 성립한다. 9) 불교에 대한 유 도 이교의 논박은 무부무군 ( 無 父 無 君 )의 되놈 가르침[ 胡 敎 ] 이라는 말로 집약되며, 우리나라에 있어서 여말선초의 불 유 이교의 논쟁 가운데 정도전( 三 峰 鄭 道 傳, 8) 불교의 중국 전래와 함께 불 유 이교 내지 불 유 도 삼교의 충돌과 논쟁에 대해서는 신규탁, 중국 불교의 효사상 형성, 동양고전연구 8 (동양고전학회, 1997), p.336 이하 참조. 9) 廣 弘 明 集 권8을 통해 보면 老 子 化 胡 經 은 노자가 인도로 가서 가르친 것이 불교라는 도교우위의 논리로 이루어진 경전이다. 이에 대응한 것이 淸 淨 法 行 經 으로 석존의 3제자가 중국에 와서 공자( 儒 童 菩 薩 ), 안자( 光 淨 보살), 노자( 摩 訶 迦 葉 )로 태어났다고 주장하고 있다.

불교 효사상의 본질 / 양은용 119?-1398) 불씨잡변( 佛 氏 雜 辨 ) 의 논지 10) 도 이것이 요점이 되어 있다. 이 가운데 이루어진 경전이 두 종류 있다. 하나는 부모은중경( 父 母 恩 重 經, 대정장 85) 부류이며, 다른 하나는 우란분경( 盂 蘭 盆 經, Ullambana sūtra, 대정장 16) 부류이다. 물론 후자에는 범어이름과 역자까지 밝혀져 있다. 그런데도 위경( 僞 經, 혹은 疑 經 ) 즉 중국에서 찬술된 경전으로 보는 입장이 없지 않다. 흥미로운 것은 불 도 이교 의 우열논쟁과 관련하여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불교에 불설부 모은중( 佛 說 父 母 恩 重 經 ) 이 이루어진데 대하여 도교에서도 태상노군 설부모은중경( 太 上 老 君 說 父 母 恩 重 經 ) 11) 이 찬술된다. 그리고 서로 논 박한다 12). 두 경전 성립의 선후는 알 수 없으나, 경전의 구조상에서 는 설자( 說 者 )만 다를 뿐 전혀 같은 내용을 전하고 있으므로, 이들이 어떤 관련을 가지고 있음은 분명하다. 그렇다면 위경은 거짓경전이며 의미가 없는 것인가? 결론부터 말 하면 그렇지는 않다. 종교 교의는 그 시대 사회의 인민을 구제할 때 생명력을 얻게 되는 것인데, 문화체계가 다른 교의가 이문화( 異 文 化 ) 세계를 만났을 때 원래의 교의에 의거하여 새로운 해석의 형태로 이 루어진 것이 위경이기 때문이다 13). 그런 의미에서 위경은 현장에서 10) 佛 氏 雜 辨 은 제1장 佛 氏 輪 廻 之 辨, 제2장 佛 氏 因 果 之 辨, 제3장 佛 氏 心 性 之 辨, 제4장 佛 氏 作 用 是 性 之 辨, 제5장 佛 氏 心 迹 之 辨, 제6장 佛 氏 昧 於 道 器 之 辨, 제7장 佛 氏 毁 棄 人 倫 之 辨, 제8장 佛 氏 慈 悲 之 辨, 제9장 佛 氏 眞 假 之 辨, 제10장 佛 氏 地 獄 之 辨, 제11장 佛 氏 禍 福 之 辨, 제12장 佛 氏 乞 食 之 辨, 제13장 佛 氏 禪 敎 之 辨, 제14장 佛 氏 儒 釋 同 異 之 辨, 제15장 佛 氏 佛 法 入 中 國, 제16장 佛 事 得 禍, 제17장 合 天 道 而 談 佛 果, 제18장 佛 事 甚 謹 年 代 尤 促, 제 19장 關 異 端 之 辨 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결국 忠 孝 등의 毁 棄 人 倫 에 입각 하여 異 端 으로 척결하는 결론에 이르고 있다. 11) 道 藏 洞 神 部 소수, 태상노군설부모은중경 외에 玄 天 上 帝 說 報 父 母 恩 重 經, 太 上 眞 一 報 父 母 恩 重 經 등 3종이 전한다. 12) 佛 道 이교의 父 母 恩 重 經 을 중심한 논란에 대해서는 秋 月 觀 瑛, 道 敎 と 佛 敎 の 父 母 恩 重 經 - 兩 經 の 成 立 をめぐる 諸 問 題 宗 敎 硏 究 39-4 ( 日 本 宗 敎 學 會, 1966), p.23 이하 참조. 13) 이를 本 地 垂 迹 說 의 입장에서 설명할 수도 있을 것이다. 불교교화를 위해 석존교설을 현지의 실정에 맞게 演 繹 하는 方 便 이 필요하며, 이는 觀 世 音

120 淨 土 學 硏 究 제22집 (2014. 12) 필요로 하는 역동성, 곧 커다란 생명력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중국 에 없는 것으로 고려에서 출간된 불설부모은중태골경( 佛 說 父 母 恩 重 胎 骨 經 ) (1278)이 그러한 예인데, 이는 부모은중경 과 대동소이한 내 용으로 부모의 깊은 은혜를 갚기를 원 하는 현장성이 드러난다. 14) 불교에 있어서 부모은을 설하고 있는 경전에는 이 밖에도 여러 가 지가 있다. 그것은 아함경( 阿 含 經 ) 에서부터 나타나며 15) 여러 분야의 경전에 걸쳐 있다. 부모은중경 등은 역대의 각 위경록( 僞 經 錄 )에 나타나는데 당나라 지승( 智 昇 )의 개원석교록( 開 元 釋 敎 錄 ) (730) 기 록 16) 등에 의해 중국에서 찬술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 부모은 중경 에는 34가지의 이본( 異 本 )이 있으며, 여러 가지 소( 疏 )가 찬술되 고 있다. 부모은근보경( 父 母 恩 勤 報 經 ), 부모은난보경( 父 母 恩 難 報 經 ), 불설부모은중태골경( 佛 說 父 母 恩 重 胎 骨 經 ), 불설효자경( 佛 說 孝 子 經 ) 등이 그것이다. 2. 부모은중경 의 피은과 보은 부모은중경 에는 자식을 회임 해산하는 모친의 고통에 대해 자세 하게 기록하고 있다. 석존과 아란의 대화로 이루어진 이 경전에서 석 존은 아들을 낳고 딸을 기르며 한번 아이를 낳을 때에 서 말이나 되 는 엉긴 피를 흘리며 너 말이나 되는 흰 젖을 먹이나니 라고 한다. 菩 薩 의 33 應 身 과 같은 현장성을 띄게 된다. 14) 牧 田 諦 亮 編, 疑 經 硏 究 ( 京 都 大 學 人 文 科 學 硏 究 所, 1976) p.52 이하 참 조. 중국의 諸 經 典 目 錄 에 이름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우왕 4년(1378) 간행된 刊 記 가 전한다. 15) 박기룡, 초기불교에서의 효사상 연구-아함경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논문, 2002) p.7; 장춘석, 목련설화 중 羅 卜 故 事 의 전변과 그 원형, 中 國 語 文 學 30 (한국중국어문학회, 1997), p.366 이하 참조. 16) 開 元 釋 敎 錄 의 父 母 恩 重 經 조항 細 註 에 經 人 丁 蘭 郭 巨 等 故 知 人 造 라 하였다. 정난 곽거 등은 중국에서 효자로 이름이 알려져 있어, 이런 사람들의 인연을 인용하고 있으므로 僞 經 이라는 것이다.

불교 효사상의 본질 / 양은용 121 그리고 모친의 회임 10개월에 태중에서 아이가 성장하는 것을 순서 대로 가르치고 있다. 그것은 다음과 같다. <4> 첫달 : 이른 새벽에는 피가 모여 있다가도 낮이 되면 흩어져 간다. 둘째달 : 뭉글뭉글한 소젓과 같다. 셋째달 : 엉킨 피와 같다. 넷째달 : 조금씩 사람의 모양이 된다. 다섯째달 : 오포(머리, 두 팔, 두 무릎)가 생겨난다. 여섯째달 : 육정( 眼 耳 鼻 舌 身 意 )이 열린다. 일곱째달 : 3백6십 골절과 8만4천 모공이 생긴다. 여덟째달 : 뜻과 꾀가 생기고 아홉 구멍이 열린다. 아홉째달 : 먹을 줄을 안다. 열째달 : 강생한다. 17) 이에는 또한 부모은 열 가지를 설하고 있다. 이른바 부모십중은( 父 母 十 重 恩 )이다. <5> 첫째, 잉태하여 지켜주신 은혜 둘째, 해산할 때 수고하신 은혜 셋째, 자식을 낳고 모든 근심을 잊은 은혜 넷째, 쓴 것을 삼키고 단 것은 뱉아서 먹인 은혜 다섯째, 진자리 마른자리 가려 뉘신 은혜 여섯째, 젖을 먹여 기르시는 은혜 일곱째, 깨끗하지 않은 것을 씻어 주신 은혜 여덟째, 멀리 나간 자식을 걱정하는 은혜 아홉째, 자식을 위해 고생을 무릅쓰는 은혜 열째, 끝까지 애처롭게 여기시는 은혜 18) 17) 父 母 恩 重 經 18) 父 母 恩 重 經, 一 懷 躭 守 護 恩, 二 臨 産 受 苦 恩, 三 生 子 忘 憂 恩, 四 咽 苦 吐 甘

122 淨 土 學 硏 究 제22집 (2014. 12) 이러한 부모은중경 을 분과( 分 科 )하면 다음의 <표1>와 같다. 이는 화산 용주사( 花 山 龍 珠 寺 )가 병자호란에 불탄 후 중건할 때인 1796년 개판한 것으로 표제는 대보부모은중경( 大 報 父 母 恩 重 經 ) 19), 내제는 불설대보부모은중경과판( 佛 說 大 報 父 母 恩 重 經 科 判 ) 이라 하였다. 이 는 머리에 14판의 변상도( 變 相 圖 )를 싣고, 내용에는 분과에 따른 경 문( 經 文 )과 주석( 註 釋 )을 수록하고 있다. 그런데 용성( 龍 城 震 鍾, 1864-1940)대종사의 총서( 叢 書 )인 용성대종사전집 20) 에 같은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이 총서 중에 왜 들어갔는지는 알 수 없으나, 대 종사가 이를 중시했을 것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正 宗 分 流 通 分 序 分 총설, 說 經 緣 起 如 來 頂 禮 석존의 枯 骨 예배 報 恩 因 緣 佛 認 宿 世 석존의 숙세설 二 分 問 答 석존과 아란의 문답 歷 陳 恩 愛 彌 月 劬 勞 태중 10개월 十 偈 讚 頌 10가지 부모은 廣 說 業 難 指 數 諸 愆 효 불효의 예 援 喩 八 種 難 報 恩 의 8가지 예 啓 發 懺 修 대중의 참회 서원 果 報 顯 應 阿 鼻 墮 苦 불효의 결과 上 界 快 樂 효의 결과 八 部 誓 願 대중의 보은 서원 佛 示 經 名 석존의 경이름 설시 人 天 奉 持 대중의 봉대 서원 <표1> 부모은중경 의 분과 恩, 五 回 乾 就 濕 恩, 六 乳 哺 養 育 恩, 七 洗 濯 不 淨 恩, 八 遊 行 憶 念 恩, 九 爲 造 惡 業 恩, 十 究 竟 憐 愍 恩. 19) 大 韓 佛 敎 曹 溪 宗 제2교구 본사인 龍 珠 寺 所 藏 으로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 17호이다. 정조가 부친 思 悼 世 子 의 명복을 비는 願 刹 로 중건하면서 이 경판을 마련하였다. 刊 記 에는 병진( 柔 兆 執 徐 ) 여름 각판으로 나타나 있 다. 이러한 연기에 따라 용주사는 孝 刹 本 山 으로 상징되고 있다. 20) 佛 心 道 文 편, 龍 城 大 宗 師 全 集 8 (대각사, 1991), p.21 이하. 이에는 변 상도는 없으며, 본문은 같은 판으로 보인다.

불교 효사상의 본질 / 양은용 123 이 <표1>의 삼분과에 의하면, 서분은 설법연기( 說 法 緣 起 )를 육성취 ( 六 成 就 )로 밝히고 있다. 정종분에서는 경전내용을 보은인연( 報 恩 因 緣 ) 역진은애( 歷 陳 恩 愛 ) 광설업난( 廣 說 業 難 ) 과보현응( 果 報 顯 應 )의 네 가지로 구분하여 밝히고, 유통분에서는 팔부서원( 八 部 誓 願 ) 불시 경명( 佛 示 經 名 ) 인천봉지( 人 天 奉 持 )로 설하였다. 대승 불전의 성격을 잘 담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부모은중경 에서 부모은을 강조하는 것은 보은을 위해서 이다. 부모는 물론 삼세로 확대한 개념인데, 우선 보은의 어려움을 다 음과 같이 말한다. <6> 첫째, 왼쪽 어깨에 아버지를, 오른쪽 어깨에 어머니를 태우고 살갗이 닳아서 뼈가 드러나고 뼈가 닳아서 골수가 드러나도록 수미산을 백 천 번 돌아도 부모의 깊은 은혜를 다 갚지 못하리라. 둘째, 흉년을 만나 부모를 위해 자신의 몸을 티끌처럼 잘게 다져서 공 양하기를 몇 천 겁 동안 한다 해도 깊은 부모의 은혜를 다 갚지 못하 리라. 셋째, 자신의 눈동자를 예리한 칼로 도려내서 부모님을 위해 부처님께 공양하기를 백 천 겁 동안을 한다 해도 깊은 부모의 은혜를 다 갚지 못하리라. 넷째, 부모를 위해 자신의 몸을 백천 자루의 칼로 찔러 좌우로 쑤시기 를 백천겁 동안을 거듭한다 해도 깊은 부모의 은혜는 다 갚지 못하리 라. 다섯째, 부모를 위해 자기 몸에 불을 붙여 등을 삼아 부처님께 공양하 기를 백천겁을 하더라도 깊은 부모의 은혜를 다 갚지 못하리라. 여섯째, 부모를 위해 뼈를 부수고 골수를 빼 내고, 백 천의 창으로 한꺼 번에 몸을 찌르기를 백 천 겁을 거듭한다 해도 깊은 부모의 은혜는 다 갚지 못하리라. 일곱째, 부모를 위해 뜨거운 무쇠 덩어리를 삼켜 온몸이 타고 지져지도 록 하기를 백 천겁 동안을 거듭한다 해도 깊은 부모의 은혜는 다 갚지

124 淨 土 學 硏 究 제22집 (2014. 12) 못하리라. 21) 이 몸을 받게 된 은혜로운 인연의 깊음을 거듭 강조하고 있는 것 이다. 이 은혜를 갚는 방법을 다시 석존은 다음과 같이 설한다. <7> 그대들이 부모님의 은혜에 보답하고자 하거든, 부모님을 위해 이 경을 쓰고, 부모님을 위해 이 경을 독송하고, 부모님을 위해 자신의 죄와 잘 못을 뉘우치고, 부모님을 위해 삼보에 공양하고, 부모님을 위해 재계를 지켜 받들고, 부모님을 위해 보시를 해서 복을 지어라. 이렇게 하면 곧 효도하고 순종하는 자식이라 일컬을 것이며, 이런 행을 지키지 못하면 지옥에나 갈 자식이니라. 22) <8> 그대들이 부모의 은덕에 보답코자 하거든, 부모를 위해 경전을 거듭 펴내라. 이것이 진정으로 부모의 은혜를 갚는 길이니라. 한 권의 경전을 펴면 한 부처님을 뵙고, 1백 권의 경전을 펴내면 1백 분의 부처님을 뵙 고, 1천 권의 경전을 펴면 1천 분의 부처님을 뵙고, 1만 권의 경전을 펴 면 1만 분의 부처님을 만나 뵙게 되리라. 이 사람은 경을 펴낸 공덕으 로 여러 부처님께서 오시어 늘 옹호해 주실 뿐 아니라, 그의 부모는 천 상에 태어나 온갖 즐거움을 누리며 영원히 지옥의 고통을 여의게 되리 라. 23) 21) 父 母 恩 重 經, 假 使 有 人. 肩 擔 父 右 肩 擔 母. 硏 皮 至 骨. 穿 骨 至 髓. 遶 須 彌 山. 經 百 千 劫. 血 流 決 踝. 猶 不 能 報 父 母 深 恩. 假 使 有 人. 遭 饑 饉 劫. 爲 於 爹 娘. 盡 其 己 身. 臠 割 碎 壞. 猶 如 微 塵. 經 百 千 劫. 猶 不 能 報 父 母 深 恩. 假 使 有 人. 爲 於 爹 娘. 手 執 利 刀. 刓 其 眼 睛. 獻 於 如 來. 經 百 千 劫. 猶 不 能 報 父 母 深 恩. 假 使 有 人. 爲 於 爹 娘. 亦 以 利 刀. 割 其 心 肝. 血 流 遍 地. 不 辭 痛 苦. 經 百 千 劫. 猶 不 能 報 父 母 深 恩. 假 使 有 人. 爲 於 爹 娘. 百 千 刀 戟. 一 時 刺 身. 於 自 身 中. 左 右 出 入. 經 百 千 劫. 猶 不 能 報 父 母 深 恩. 假 使 有 人. 爲 於 爹 娘. 打 骨 出 髓. 經 百 千 劫. 猶 不 能 報 父 母 深 恩. 假 使 有 人. 爲 於 爹 娘. 呑 熱 鐵 丸. 經 百 千 劫. 遍 身 焦 爛. 猶 不 能 報 父 母 深 恩. 22) 父 母 恩 重 經, 欲 得 報 恩. 爲 於 父 母 書 寫 此 經. 爲 於 父 母 讀 誦 此 經. 爲 於 父 母 懺 悔 罪 愆. 爲 於 父 母 供 養 三 寶. 爲 於 父 母 受 持 齋 戒. 爲 於 父 母 布 施 修 福. 若 能 如 是. 則 得 名 爲 孝 順 之 子. 不 做 此 行. 是 地 獄 人. 23) 父 母 恩 重 經, 欲 得 報 恩. 爲 於 父 母 書 寫 此 經. 爲 於 父 母 讀 誦 此 經. 爲 於 父

불교 효사상의 본질 / 양은용 125 중생이 고통을 받는 것은 바로 전생의 오역죄( 五 逆 罪 )와 불효를 저 지른 죄 때문이라 설하고, 이 난면( 難 免 )의 부모은을 힘써 갚는 길을 먼저 경전의 유포에서 찾고 있다. 경전의 유포에 의해 부모은을 널리 공감하고 지은보은의 길이 열리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Ⅲ. 우란분경 류의 목련구모와 효사상 1. 우란분경 과 목련구모 그러면 부모은중경 을 통해 드러내고자 하는 불교의 효사상, 즉 부모은의 본질은 무엇인가? 그 대답은 아마도 우란분경( 盂 蘭 盆 經 ) 류를 널리 살펴야 할 것이다. 이는 목련( 目 連, 大 目 健 連, Maudgalyāyana)이 지옥에 들어가 어머니를 구제해 내는 이른바 목련구모( 目 連 救 母 )를 주제로 한 경전이다. 축법호( 竺 法 護, 西 晉 266-313경) 역으로 나타나 는데, 우란분을 뜻하는 범어 우람바나(Ullambana)의 원형인 아바람바 나(Avalambana)는 도현( 倒 懸 )의 뜻이 있다. 따라서 경의 제목은 목련 망모( 亡 母 )의 아귀도( 餓 鬼 道 )에 있어서 도현고( 倒 懸 苦 )를 나타낸다. 24) 그리고 이와같은 부류의 경전에 정토우란분경( 淨 土 盂 蘭 盆 經 ) 대 목건련변문( 大 目 健 連 辨 文 ) 목련경( 目 連 經 ) 대목건련명간구모변 문( 大 目 健 連 冥 間 救 母 辨 文 ) 등이 다양하게 전한다. 우란분경 의 내용은 아귀도에 떨어진 망모를 구하려고 하는 석존 10대 제자 중의 신통제일( 神 通 第 一 ) 목련존자의 효행의 덕을 골자로 母 懺 悔 罪 愆. 爲 於 父 母 供 養 三 寶. 爲 於 父 母 受 持 齋 戒. 爲 於 父 母 布 施 修 福. 若 能 如 是. 則 得 名 爲 孝 順 之 子. 不 做 此 行. 是 地 獄 人. 24) 우란분재의 원류에 대해서는 사재동, 우란분재 목련전승 연구서설 ; 동편, 盂 蘭 盆 齋 와 目 連 傳 承 의 문화사 (중앙인문사, 2000), p.11 이하 참조.

126 淨 土 學 硏 究 제22집 (2014. 12) 하고 있다. 진효장려( 盡 孝 獎 勵 )하는 이야기이므로 한 편의 효경인 셈 이다. 즉 목련은 천안통에 의해 피골이 상접한 생모가 아귀도에 떨어 진 것을 보고 발우에 밥을 가득 담아 어머니께 가져다 드리자 악업 의 과보를 받고 있는 어머니 앞에서 그것은 곧 불꽃이 되어버렸다. 크게 비관한 목련은 세존에게 망모를 구제할 방법을 애원하게 되었 고, 그에 답하여 세존은 뭇 승려들에게 7월 15일로 칠세( 七 世 ) 및 현 세의 망부모를 위해서 백 가지 맛의 반식오과( 飯 食 五 果 ) 등을 갖추어 시방의 불승( 佛 僧 )에게 공양하면 칠세의 부모는 아귀도현의 고를 벗 어나 천도 인도 중에 나고 복락을 받게 된다는 뜻을 설한 것이다. 우 란분재( 盂 蘭 盆 齋 )를 7월 15일에 설하는 것은 하안거( 夏 安 居 )의 해제 일이기 때문이다. 중국에 있어서 이 우란분재가 설행된 것은 양 무제 때인 538년(대동 4) 이 첫 기록이다. 25) 우란분재가 불교의 세시풍속으로 이러한 기록부터 나타나는데, 우리나라에 있어서는 고려 중기인 1106년(예종 원)게 자리 잡았다면, 불교의 전파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일찍부터 설행되었을 것이다. 그것은 하안거를 마친 계율 청정한 성중( 聖 衆 )에게 공양을 올림으로써 부모의 아귀도현고를 벗어나는 상징으로 자리 잡고, 사회 적인 공감대를 가지고 조야( 朝 野 )에 널리 존숭되었을 것이다. 부모를 섬기는 일은 위로 왕과 공경대부와 아래로 상민초부에 이르기까지, 남녀노소와 선악귀천에게 모두 해당하므로 인심을 귀순시키는 데도 유용했을 것이다. 석존 정각의 요체는 연기( 緣 起 )법으로 설명되거니와 불교의 효, 즉 부모은사상도 이에 바탕 되어 있다. 우란분경 의 사상적 바탕이 되 고 있는 윤회사상이 그러하다. 따라서 불교 효사상의 지향점도 이 윤 회사상에 바탕 하여 바라볼 필요가 있다. 이는 불전문학( 佛 典 文 學 )을 25) 우란분재의 설행과 그 의미에 대해서는 김상영, 우란분재의 의미와 설 행 역사, 불교학연구 22 (불교학연구회, 2009), p.176 이하 참조.

불교 효사상의 본질 / 양은용 127 대표하는 자타카(Jataka, 本 生 經 ) 26) 에서 그 일단을 살펴보는 것이 효 과적일 것이다. 석존의 전생( 前 生 )을 주제로 하여 전해오는 이야기를 묶은 이 전적은 윤회를 전제하고 있기 때문에 인간은 물론 동식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례를 제공하고 있다. 자타카 의 많은 이야기들 가운데 225개에 이르는 것이 동물들을 주인공으로 삼고 있는 것이다. 그 동물들은 70종류, 319마리의 동물과 동물군이 등장한다. 횟수에 서 보면 원숭이 27회, 코끼리 24회, 자칼 20회, 사자 19회, 까마귀 17 회, 사슴 15회, 새 15회, 물고기 12회, 앵무새 11회이다. 또한 석존과 다른 인물들이 나무 정령의 모습을 취하는 경우도 10회에 이른다. 27) 우선 다음의 이야기에 주목해 보자. <9> 옛날 어떤 숲에 두 나무신( 神 )이 있었는데, 그곳에는 무서운 사자와 호랑이가 많이 살고 있었다. 숲에는 맹수들이 잡아먹고 남은 짐승의 시 체가 널려 있어 냄새가 진동하였고, 사람들은 이런 위험한 숲에 절대로 접근하지 않았다. 그 때 우둔한 나무신이 맹수들 때문에 부패한 냄새를 맡게 된다고 투정을 하자, 현명한 나무신은 인간들이 나무를 베어 마을 과 논밭을 일구어 우리들의 삶의 터전을 파괴했을 것인데 맹수들 덕택 에 숲이 지켜지고 있다고 일러주었다. 그러나 세상의 이치를 모르는 우 둔한 나무신은 마법의 힘을 행사하여 맹수들을 모조리 쫓아내버렸다. 맹수들이 다른 곳으로 이주한 것을 안 인간들은 숲을 허물기 시작하였 고, 사태를 파악한 우둔한 나무신은 고민한 끝에 현명한 나무신에게 도 움을 청하였다. 현명한 나무신이 시키는 대로 이주한 맹수들을 찾아가 26) 산스크리트 팔리어 서장어 漢 語 등으로 전하는 釋 尊 의 전생이야기는 총 900편을 넘는 것으로 헤아리며 중복을 피하여 정리하면 500여편에 이를 것으로 본다. 이는 팔리어 초기경전인 阿 含 經 의 小 部 經 典 (Khuddaka-nikaya) 에 수록되어 있으며, 로마나이즈화 된 판본에는 총 22부 547편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27) Christopher Key Chapplle, 이현옥 역, 하버드대학 세계종교연구센터 편,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편, 본생담에 나타난 동물들과 환경, 佛 敎 와 生 態 學 (동국대학교출판부, 2005), p.221 이하 참조.

128 淨 土 學 硏 究 제22집 (2014. 12) 서 다시 예전처럼 와서 살도록 애걸하였으나 허락을 얻지 못하였다. 우 둔한 나무신이 혼자 돌아온 지 얼마 지나지 않아서 숲의 나무는 모두 베어지고, 나무신이 살던 장소도 사라져 버렸다. 이 이야기를 전한 석존 은 그 때의 우둔한 나무신은 지금의 구가리(석존의 기원정사 주석 때 사리불 목건련을 자기나라로 모시려다 실패한 비구)요, 사자는 사리불, 호랑이는 목건련이었으며, 현명한 나무신은 바로 나였다 고 하였다. 28) 이밖에도 많은 석존의 전생담은 윤회사상의 바탕 위에 생명의 고 귀함과 함께 지혜로운 삶을 제시하고 있다. 생명의 고귀함이란 불살 생( 不 殺 生 )을 중시하는 교의에서부터 모든 생명 있는 존재가 서로 연 관되어 있는 원리를 전하고, 지혜로운 삶이란 깨달음을 통한 영성( 靈 性 )의 회복을 강조한다. 그 가운데 헌신과 자기희생, 평화의 소중함 등이 드러나고 있다. 석존의 전생은 인간인 경우도 있지만 말이거나 심지어는 나무였던 것으로도 기록되고 있다. 자유스럽게 전개되는 육 도세계( 六 途 世 界 )의 윤회는 사생( 四 生 )뿐 아니라 초목( 草 木 )에까지 이 르고 있어서 일체중생실유불성( 一 切 衆 生 悉 有 佛 性 ) 을 주장하는 불교 의 교의를 반영하고 있다. 특히 생명의 상호연관성과 인간의 자연파 괴의 예는 불교적 환경생태학( 環 境 生 態 學 )을 전개할 안목을 제시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이러한 석존의 전생담은 불교 대소승경전 ( 大 小 乘 經 典 )의 생명 영성관을 압축하는 성격을 지닌다. 이를 다시 불교의 효, 즉 부모은과 관련시켜 보면 다음의 가르침에 주목하게 된다. <10> 붓다는 어릴 적에, 자비의 마음을 가지고 살아있는 존재들을 자유롭게 하는 일을 실천했음이 틀림없다. 모든 남자는 우리의 아버지이다. 모든 여자는 우리의 어머니이다. 모든 존재는 그들로부터 태어났다. 그러므로 육도의 모든 살아있는 존재들은 우리의 부모이다. 만약 우리가 그들을 28) 불전간행회편, 이미령역, 본생담 2 (민족사, 1995), pp.325-329 참조.

불교 효사상의 본질 / 양은용 129 죽인다면, 우리는 우리의 부모들을 죽이는 것이고 또한 우리의 전생의 육신들을 죽이는 것이다. 왜냐하면 모든 대지와 물은 우리의 전생의 육 신이고, 모든 불과 바람은 우리의 근원적인 물질이기 때문이다. 그러므 로 당신은 항상 생명체의 해방을 실천해야 한다. 그리고 다른 이들도 그와 같이 하도록 해야만 한다. 만약 어떤 이가 세속의 한 사람이 동물 들을 죽이는 것을 본다면, 그는 적절한 방법으로 공포와 위험으로부터 동물들을 구하고 보호해 주어야 한다. 29) 과 현 미 삼제( 過 現 未 三 際 )에 걸쳐 보면 만물동격( 萬 物 同 格 )이 며 나와 너의 구분경계가 무너질 수밖에 없다. 사생이 일신( 一 身 )이 요 모든 존재가 나의 부모이며, 서로 생명의 끈을 잇고 있으니 이러 한 생명존중사상은 동체대비( 同 體 大 悲 )의 행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 동체대비의 행이 불교인이 이상으로 삼는 보살행( 菩 薩 行 )이다. 불교 의 부모은사상은 이와 같은 동체대비의 보살행이 실천될 때 완성되 는 것이라 할 수 있다. 2. 불교 효사상의 핵심 그러면 부모은, 즉 불교의 효사상의 핵심은 무엇인가? 이는 유교의 효와 대비해 보면 그 내용이 명확해진다. 즉 공자와 제자인 자로의 문답은 다음과 같다. <11> 자로가 귀신 섬기는 일을 여쭙자 공자 말씀하셨다. 사람을 섬기지 못 하고서야 어찌 귀신을 섬길 수 있겠느냐? 죽음에 관해서 여쭈어 보아 도 좋겠습니까? 말씀하시기를 삶을 모르고 서야 어찌 죽음을 알겠느냐? 30) 29) 梵 網 經, 若 佛 子. 以 慈 心 故 行 放 生 業. 一 切 男 子 是 我 父. 一 切 女 人 是 我 母. 我 生 生 無 不 從 之 受 生. 故 六 道 衆 生 皆 是 我 父 母. 而 殺 而 食 者. 卽 殺 我 父 母 亦 殺 我 故 身. 一 切 地 水 是 我 先 身. 一 切 火 風 是 我 本 體. 故 常 行 放 生. 生 生 受 生 常 住 之 法. 敎 人 放 生. 若 見 世 人 殺 畜 生 時. 應 方 便 救 護 解 其 苦 難.

130 淨 土 學 硏 究 제22집 (2014. 12) 이를 통해 보면, 유교의 가르침이 현생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음 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물론 유가에서 선조를 받드는 향례( 享 禮 )가 있으므로 그 가르침을 현생에 한정해서 보는 데는 문제가 있다. 그러 나 효와 관련해서 보면 부모는 현생의 부모이다. 이에 대하여 불교의 효 즉 부모은은 윤회와 연기이법, 즉 전생( 轉 生 )을 전제하게 된다. 그렇다고 해서 불교의 효, 즉 부모은이 현실의 문제를 가볍게 여기 는 것은 아니다. 중아함경( 中 阿 含 經 ) 에 수록되어 있는 선생경( 善 生 經 ) 이 이를 단적으로 드러낸다. 주인공 선생에 대한 석존의 가르침 은 다음과 같다. <12> 사람의 자식 된 자는 마땅히 다섯 가지 일로 부모를 공경하고 따라야 하느니라. 어떤 것이 다섯 가지인가? 첫째는 공양하여 받들어 모심에 부족함이 없어야 하는 것이다. 둘째는 할 일이 있으면 먼저 부모에게 알려야 하는 것이다. 셋째는 부모가 하는 일에 순종하여 거스르지 말아 야 하는 것이다. 넷째는 부모의 바를 말씀을 감히 어기지 않는 것이다. 다섯째는 부모의 바른 직업을 끊어지지 않게 하는 것이다. 31) 그러므로 불교에 있어서 효행은 윤회( 輪 廻 )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자신을 낳아준 부모와 삼세의 부모로 확대하면서도, 현실을 바탕하고 있음이 증명된다. 자식 된 자는 모름지기 부모를 잘 모셔야 되며, 정 진하고 득도( 得 道 )하여 부모를 비롯한 모든 중생을 득도( 得 度 )시키는 것이 구극의 대효이다. 물질이나 육체적인 효양( 孝 養 )과 함께 바른 천도( 薦 度 )로 이고득락( 離 苦 得 樂 )케 함이 본질이라는 말이다. 30) 論 語 先 進 第 十 一, 季 路 問 事 鬼 神. 子 曰. 未 能 事 人, 焉 能 事 鬼. 敢 問 死. 曰. 未 知 生, 焉 知 死. 31) 善 生 經, 夫 爲 人 子. 當 以 五 事. 敬 順 父 母. 云 何 爲 五. 一 者. 供 養 能 使 無 乏. 二 者. 凡 有 所 爲. 先 白 父 母. 三 者. 父 母 所 爲. 恭 順 不 逆. 四 者. 父 母 正 令. 不 敢 違 背. 五 者. 不 斷 父 母 所 爲 正 業.

불교 효사상의 본질 / 양은용 131 VI. 결어 불교의 효사상, 즉 보모은사상은 보은윤리이다. 사회적 당위성만이 아니라 없어서는 살 수 없는 연기이법에 바탕 되어 있다. 석존정각의 울림이 동토에 전해져 주류사상으로 토착하는 과정에는 많은 문화적 충격이 따를 수밖에 없었다. 특히 충효사상을 근간으로 하는 중국에 불교배척운동의 예봉을 꺾은 것이 부모은중경 류 이었다면, 불교적 효의 본질을 전하는 것이 우란분경 류 이었던 셈이다. 후자가 근원 경( 根 源 經 ) 이라면 전자는 현장경( 現 場 經 )에 해당한다. 현장에서 이루 어진 경전을 위경이라 부르지만 현장교화 즉 교화 상황성으로 본다 면 그것은 불교의 역동성을 상징하는 것이다. 어떻던 부모은사상이 유행하고, 우란분재 등의 세시풍속이 설행되면서 불교윤리는 사회적 인 힘을 가지게 된 것으로 본다. 다시 강조할 나위 없이 불교의 효사상, 즉 부모은사상은 한문불전 문화권에서 성장시킨 새로운 윤리이다. 바꾸어 말하면 유교윤리에 대 응한 보은윤리라는 말이다. 세간윤리를 강조하는 유교에서 효를 중심 으로 하는 효경 을 성립시킨 것은 당연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중심한 공자의 가르침이 현세의 부모봉양 만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효를 단계지어 어버이를 섬기는 데서부터 임금을 섬기고 마침내 자 신을 올바로 간수하는 것으로 본 효경 이나, 선인의 유지( 遺 志 )와 사업을 계승 발전시키는 것으로 본 중용 의 가르침이 그러하다. 그 러나 논어 에서 보는바와 같이 유교의 가르침은 어디까지나 현세가 중심이다. 삼세의 부모와 망부모의 천도를 논하는 것은 유교윤리에서 는 전혀 새로운 차원임이 드러난다. 이러한 불교의 효사상은 경세를 중심으로 불 유 도 삼교가 정립 의 형태를 띤 이래 동토윤리에 있어서 주류의 한 맥을 이루어왔다.

132 淨 土 學 硏 究 제22집 (2014. 12) 종교본령인 구세( 救 世 )의 측면에서 볼 때, 시대사회가 격변한 오늘에 있어서 새로운 경전을 형성시킨 역동성은 불교교화의 심폭( 深 幅 )으로 재해석 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홍일식 교수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13> 가장 한국적인 사상인 우리의 효사상, 그것은 그래서 가장 세계적인 사상이다. 실제로 효사상은 오늘의 세계가 상실한 가치, 그래서 가장 절 실히 요청되는 소중한 가치들을 그 안에 응축하고 있는 것이어서, 가장 세계적 이란 말이 단지 공허한 구호에 그치지 않는다. 어쩌면 현대문명 이 안고 있는 모든 고민이 여기서부터 풀려 나갈 수도 있을 것이다. 32) 그는 이어 효사상이 응축하고 있는 내용을 다음의 다섯 가지로 요 약하고 있다. 첫째 효는 지극한 인본주의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둘 째 효는 이타주의를 본질로 하며, 셋째 효는 인내주의를 필수로 하며, 넷째 효는 절충주의를 필수로 하며, 다섯째 효는 평화공존주의를 이 상으로 한다는 것이다. 현대문명의 위기상황을 효사상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고 본 것은 혜안이라 할 수 있다. 인간사회의 가장 근원적인 문제는 결국 인간을 통로로 하여 인간성을 발휘할 때 풀 수 있기 때문이다. 종교가 제시 하는 제도이념으로서의 교의사상은 사회 환경을 변화시키고, 변화된 사회 환경을 통해 새롭게 해석하는 과정을 거쳐 사회적 기능을 다하 게 된다. 그런 의미에 있어서 변화된 환경 속에서 맞이하는 새로운 구세이념은 공동체적 삶을 전제로 전개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인류 가 전개해 온 제도사( 濟 度 史 )의 총체적 총합적 파악이 요청된다는 말 이다. 아마도 그것을 가장 절실하게 체감한 사람들이 부모은중경 의 조성자들 이었을 것이다. 32) 홍일식 저, 한국인에게 무엇이 있는가 (정신세계사, 1996), p.182.

불교 효사상의 본질 / 양은용 133 이 경우 효사상, 즉 부모보은사상은 인간윤리 내지 제도이념( 濟 度 理 念 )의 시작이요 원론이면서 그것의 귀결이기도 하다. 용성대종사가 부모은중경 을 중시했던 연유도 이와 멀지 않을 것이다. 출가주의나 세간주의를 넘어서서 새로운 차원의 윤리를 형성했던 그 경험을 오 늘 세간과 출세간을 아우르는 큰 윤리로 살려나간다면, 물질문명의 이기( 利 器 )에 함몰되어 있는 현대 이후의 사회를 은혜가 넘치는 복전 으로 조성해 나갈 약방문이 될 것으로 본다.

134 淨 土 學 硏 究 제22집 (2014. 12) 참고문헌 <원전> 梵 網 經 開 元 釋 敎 錄 廣 弘 明 集 老 子 化 胡 經 論 語 大 目 健 連 辨 文 大 報 父 母 恩 重 經 目 連 經 父 母 恩 難 報 經 佛 說 父 母 恩 重 經 佛 說 父 母 恩 重 胎 骨 經 佛 說 孝 子 經 佛 氏 雜 辨 善 生 經 小 部 經 典 盂 蘭 盆 經 淨 土 盂 蘭 盆 經 中 庸 章 句 淸 淨 法 行 經 太 上 老 君 說 父 母 恩 重 經 太 上 眞 一 報 父 母 恩 重 經 玄 天 上 帝 說 報 父 母 恩 重 經 孝 經 <단행본> 권오석 역해, 부모은중경, 혼신문화사, 1993. 불전간행회 편, 이미령 역, 본생담 2, 민족사, 1995. 홍일식 저, 한국인에게 무엇이 있는가, 정신세계사, 1996.

불교 효사상의 본질 / 양은용 135 牧 田 諦 亮 編, 疑 經 硏 究, 京 都 大 學 人 文 科 學 硏 究 所, 1976. <논문> 구미래, 백중과 우란분재의 발생기원에 관한 연구, 비교민속학 25, 비 교민속학회, 2003. 김국진, 당말 효윤리와 효실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논문, 2013. 김상영, 우란분재의 의미와 설행 역사, 불교학연구 22, 불교학연구회, 2009. 박기룡, 초기불교에서의 효사상 연구-아함경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 사논문, 2002. 박문열 외, 고려본 불설대보부모은중경 의 校 勘 에 관한 연구, 서지학 연구 37, 서지학회, 2007. 사재동, 우란분재 목련전승 연구서설, 동 편, 盂 蘭 盆 齋 와 目 連 傳 承 의 문화사, 중앙인문사, 2000. 송일기, 父 母 恩 重 經 韓 中 板 本 考, 중한인문과학연구 5, 중한인문 과학연구회, 2000., 한국본 부모은중경 형성에 관한 연구- 西 夏 本 및 高 麗 本 의 판본 학적 접근,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37-1,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6. 신규탁, 중국 불교의 효사상 형성, 동양고전연구 8, 동양고전학회, 1997. 양은용, 효사상의 전통에서 본 원불교의 효, 국제원광문화학술논집 1-3, 원광보건대학교 원광문화연구원, 2011. 장춘석, 목련설화 중 羅 卜 故 事 의 전변과 그 원형, 중국어문학 30, 한국 중국어문학회, 1997. 조용길, 불교의 생명관에 바탕한 불교 효윤리의 근원적 이해, 호남문화 연구 32 33, 호남문화연구소, 2003. Christopher Key Chapplle 저, 이현옥 역, 본생담에 나타난 동물들과 환경,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편, 佛 敎 와 生 態 學, 동국대학교출 판부, 2005. 秋 月 觀 暎, 道 敎 と 佛 敎 の 父 母 恩 重 經, 宗 敎 硏 究 39-4, 日 本 宗 敎 學 會, 1966. 김영순, 近 世 初 期 の 父 母 恩 重 經 注 釋 書 について- 玄 貞 著 作 佛 說 父 母 恩 重 經 鼓 吹 を 中 心 として, 立 正 大 學 日 本 文 學 111, 立 正 大 學 日 本 文 學 會, 2014.

136 淨 土 學 硏 究 제22집 (2014. 12) Abstract The Essence of the Buddhist Filial Piety Yang, Eun-yong (An emeritus professor of Wonkwang University) Buddhism to a global religion by Buddha's enlightenment means the naturalization in different culture societies. A representative example is the establishment of the filial piety, that is, the sutra manifesting parent's kindness with the parent's kindness ideology. This sutra is an apocryphal sutra written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Buddhism to East though, it symbols dynamism from the outlook of present sense. In this dissertation, it is the purpose to reveal the essence of the buddhist filial piety, that is, the parent's kindness ideology, focusing on the sutra manifesting parent's kindness and Uranbungyeong. The import of Buddhism with Leaving home ethics gave a big cultural impact to Chinese society which considered Filial Piety Ethics as a significant factor. In Confucianism, Buddhism was called, 'barbaric religion without parents', in the process overcoming this negative flow, the parent's kindness ideology was germinated, and the sutra manifesting parent's kindness was established at the height of this phenomenon. The filial Piety of Confucianism has some steps of, serving from parents to King, in the end, taking care of oneself, and honoring ancestors' wishes etc. But its teaching itself is mainly with the present world. About this, the Buddhist Filial Piety, that is, the parent's kindness ideology is

불교 효사상의 본질 / 양은용 137 based on the law of cause and effect, on the one hand, it developed to parents' ideology of the three worlds, on the other hand, it considers Cheondo( 薦 度 ), the way to heaven, which leaves suffering and gains pleasure including serving parents, as the essence. Among them, there contains ethics of the mundane world. Therefore, it was the development of the Buddhist filial piety opening a new dimension of filial piety ideology in the eastern land. In a contemporary society, I think the dynamism which established the Sutra manifesting parent's kindness, that is, the present sense can be a big fortune farm of mankind. Key Words the Buddhist Filial Piety, Kindness Ideology, The Sutra manifesting parent's kindness, Uranbungyeong, Apocryphal Sutra, Filial Piety Sutra, Filial Piety Ethics. 논문투고일 : 14. 9. 30. 심사완료일 : 14. 11. 24. 게재확정일 : 14. 1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