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B32B4DC5D31352D3320BEF0BEEEC3BBB0A22DC6EDC1FD28C3D6C1BE292E687770>

Similar documents
歯제7권1호(최종편집).PDF

<28C3D6C1BE295FBEF0BEEEC3BBB0A D325F5F32B4DC2E687770>

09-김선영.hwp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Ac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An Exploratory Stud

초등학교 5 학년의이야기능력발달에관한연구 * 5) 유동엽 ** < 次例 > Ⅰ. Ⅱ. Ⅲ. Ⅳ. Ⅴ. Ⅵ. Ⅰ. 서론 (story).,,., (White & Epston, 1990; Winslade & Monk, 1999).,. Bruner(2002), (, 2006;

CC 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Àå¾Ö¿Í°í¿ë ³»Áö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 Early Childhood T

230 한국교육학연구 제20권 제3호 I. 서 론 청소년의 언어가 거칠어지고 있다. 개ㅅㄲ, ㅆㅂ놈(년), 미친ㅆㄲ, 닥쳐, 엠창, 뒤져 등과 같은 말은 주위에서 쉽게 들을 수 있다. 말과 글이 점차 된소리나 거센소리로 바뀌고, 외 국어 남용과 사이버 문화의 익명성 등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 The Effect of Pare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Pe

- 2 -

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NCS) Method of Con

DBPIA-NURIMEDIA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 이논문은제 1 저자의진주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초등특수교육전공석사학위논문임. ** 주저자 : 진주장재초등학교교사 *** 교신저자 : 진주교육대학교교수

특수교육논총 * ,,,,..,..,, 76.7%.,,,.,,.. * 1. **

Abstract Background : Most hospitalized children will experience physical pain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ress. Painful procedure can increase anxi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view of Research

27 2, * ** 3, 3,. B ,.,,,. 3,.,,,,..,. :,, : 2009/09/03 : 2009/09/21 : 2009/09/30 * ICAD (Institute for Children Ability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Jkafm093.hwp

<5BBEF0BEEE33332D335D20312EB1E8B4EBC0CD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A Study on Teache

서론 34 2

118 김정민 송신철 심규철 을 미치기 때문이다(강석진 등, 2000; 심규철 등, 2001; 윤치원 등, 2005; 하태경 등, 2004; Schibeci, 1983). 모둠 내에서 구성원들이 공동으 로 추구하는 학습 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각자 맡은 역할에 따라 함께

석사

. 45 1,258 ( 601, 657; 1,111, 147). Cronbach α=.67.95, 95.1%, Kappa.95.,,,,,,.,...,.,,,,.,,,,,.. :,, ( )

<312E20C0CCC8F1B6F52E687770>

레이아웃 1

도약종합 강의목표 -토익 700점이상의점수를목표로합니다. -토익점수 500점정도의학생들이 6주동안의수업으로 점향상시킵니다. 강의대상다음과같은분들에게가장적합합니다. -현재토익점수 500점에서 600점대이신분들에게가장좋습니다. -정기토익을 2-3번본적이있으신분

hwp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DBPIA-NURIMEDIA

Research subject change trend analysis of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Studies : Network text analysis of the last 20 years * The obje

YI Ggodme : The Lives and Diseases of Females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as Reconstructed with Cases in Yeoksi Manpil (Stray Notes w

歯14.양돈규.hwp

<30382E20B1C7BCF8C0E720C6EDC1FD5FC3D6C1BEBABB2E687770>

<C1DF3320BCF6BEF7B0E8C8B9BCAD2E687770>

*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 Research Subject


의사소통장애(1~7)

.....hwp

DBPIA-NURIMEDIA

untitled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3131B1C732C8A320C1F8C2A520C3D6C1BE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S

08학술프로그램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A Study on the Opti

09È«¼®¿µ 5~152s

b77¹¼úÁ¤º¸š

Lumbar spine

<353420B1C7B9CCB6F52DC1F5B0ADC7F6BDC7C0BB20C0CCBFEBC7D120BEC6B5BFB1B3C0B0C7C1B7CEB1D7B7A5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Experiences of Af

2011년 제 9회 최우수상.hwp

<C7A5C1D8BFF8B0ED20BCF6BDC328C3D6C1BEBABB292E687770>

03-박선희(53-70)10.13.hwp

3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한국발달심리학회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The Mediating Eff

레이아웃 1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The Effect of Boa

05_최운선_53~67,68.hwp

피해자식별PDF용 0502

다문화 가정의 부모

<C5D8BDBAC6AEBEF0BEEEC7D C1FD2E687770>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2014_ pdf

<C7D1B9CEC1B7BEEEB9AEC7D03631C1FD28C3D6C1BE292E687770>


Rheu-suppl hwp

<B1B3B9DFBFF83330B1C7C1A631C8A35FC6EDC1FDBABB5FC7D5BABB362E687770>

54 한국교육문제연구제 27 권 2 호, I. 1.,,,,,,, (, 1998). 14.2% 16.2% (, ), OECD (, ) % (, )., 2, 3. 3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A Study on Organizi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BFCFBCBA30362DC0B1BFECC3B62E687770>

歯7권2호.PDF

KD hwp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Nov.; 26(11),

- 최원희ㆍ 김명희: 중년후기 여성의 집단회상 경험과 효과에 대한 연구 - 에 직면하며 심리 사회적인 역할갈등, 고립, 위축, 상실 감 등을 경험하게 된다. 이 시기동안 위기에 잘 대처하 지 못하면 자신에 대하여 실망하며 두려움과 슬픔 등 을 겪으면서 자아존중감이 낮아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 - Qualitative Met

서운초 신문

KCC2011 우수발표논문 휴먼오피니언자동분류시스템구현을위한비결정오피니언형용사구문에대한연구 1) Study on Domain-dependent Keywords Co-occurring with the Adjectives of Non-deterministic Opinion

γ

Transcription:

학령 전 아동의 담화결속장치 발달에 관한 종단 연구 이희란 a 이승복 b, a 부산가톨릭대학교 언어청각치료학과, b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교신저자 이승복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충북 청주시 흥덕구 성봉로 410 충북대학교 e-mail: lsbok@chungbuk.ac.kr tel.: 043-261-219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학령전 아동의 다양한 담화결속장치의 발달을 아동의 자발적인 표현언어 관찰을 통해 분석을 시도하였다. 방법: 3;10세 6;4세 5명 아동의 1년간의 자발적 산출 자료에서 담화의 응집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접속사, 연결어미, 대용어 등의 담화결 속장치의 표현을 수집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첫째, 아동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담화 결속장치 의 표현이 증가하였고, 그 유형이 다양해졌다. 둘째, 개인차를 고려하여야 하지만 연령에 따라 다른 결속장치와 비교하여 접속부사의 증가가 비교적 현저하게 나타나, 발달지표로서의 작용 가능성을 논의할 수 있었다. 셋째, 연결어미의 경우 비교적 개인차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세 가지의 담화 결속장치 가운데 특히 접속부사의 사용빈도가 학령전 시기 아동 의 자발적 산출자료의 분석에서 언어발달의 유용한 분석지표가 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언 어청각장애연구, 2010;15;298-306. 핵심어: 종단연구, 발화분석, 담화 결속장치, 언어발달 Ⅰ. 서 론 유치원 시기가 되는 5세경이면 아동은 성인과의 의 사소통에 전혀 어려움이 없을 정도의 언어적 성취를 이루게 된다. 특히 아동이 사용하는 말은 점점 더 문 법적으로 복잡해지며 다양해지는데, 복문구조를 좀더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게 되면서, 명사구와 부사구, 종 속절 등을 확대하여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이 시기에 이르러서는 이야기 기술도 함께 발달하게 된다. 학령 전 아동의 경우, 몇몇 연결어미와 접속 부사 등을 사 용하여 이야기의 결속을 표현하려는 시도를 하지만 조직화된 구조로 긴 이야기를 혼자 만들어가는 능력 은 학령기 직전 또는, 학령기 이후에 보다 적극적으로 학습이 이뤄진다. 예를 들어, 만 5세까지는 이야기를 해도 단일한 문장들이 엮어지다가, 이후 학령기에 접 어들면서 다양한 결속장치를 사용하여 보다 응집성있 는 이야기를 엮어낼 수 있게 된다(Owens, 2008). 다 양한 담화 형식 내에서 문장들이 의미있게 통합되려 면 문장과 문장 그리고 단어와 문장 간을 의미적으로 결속시켜주는 장치가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앞에서 이미 언급한 적이 있는 단어를 뒤이은 문장에서 다시 반복하거나 대명사 등으로 지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렇지 않으면 오히려 생략을 통해 두 문장이 서로 관련 되어 있음을 암시할 수 있고, 새로운 내용의 문장이나 단어는 연결부사나 접속사를 이용해 연결지을 수 있 다. 이러한 장치들을 결속장치(cohesion devices)라 한다. Halliday & Hasan (1976)은 문법적 결속, 어휘적 결속, 그리고 논리적 결속으로 담화상황에서의 결속 장치를 분류하였다. 이 가운데 문법적 결속에는 대명 사나 한정사 같은 지시어와 대용어가 포함되며 이밖 에 생략과 비교도 포함된다. 특히 통사적 구조를 통해 절과 문장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능의 어휘적 결속 에는 반복과 동의어 사용, 상위어와 하위어 등도 포함 된다. 마지막으로 논리적 결속은 문장 간 시간, 인과, 대조, 부가적 정보 등의 논리적 관계로 결합되는 장치 인데 주로 접속사로 연결된다. 이처럼 대화 상황에서 화자와 청자 간의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성공적인 이 게재 신청일: 2010년 7월 19일 최종 수정일: 2010년 8월 25일 게재 확정일: 2010년 9월 3일 c 2010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http://www.kasa1986.or.kr 298

이희란 이승복 / 학령 전 아동의 담화결속장치 발달에 관한 종단 연구 해를 위해서는 결속표지가 중요하게 작용한다. 국내 에서도 학령전과 학령기 아동의 이야기 발달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이러한 결속표지의 발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양수진, 2000; 이승희, 2007). 연결어미 와 접속사, 다양한 대용어를 포함하는 결속장치는 학 령기 아동의 이야기 발달을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측 정치로 기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결속장치는 학습장 애 아동이나 청각장애 아동과 같이 언어장애가 있는 아동의 표현언어 분석에도 아주 유용한 장치로 이용 되고 있으며(변선영, 2003; 이승희, 2007), 학령기로 나아가며 언어표현력 학업성취와 직접적으로 연결되 는 과정에서 아동의 보다 발전된 언어수준을 평가하 기 위한 유용한 측정치로 작용한다(Nippold, 1998; Nippold & Undlin, 1992; Nippold, Duthie & Larsen, 2005; Paul, 2007; Westby, 2005). 학령기 아동의 언어 발달에 관한 평가에서는 공식 검사 이외에도 담화분석이나 구문 분석, 화용적 측정 치에 대한 분석 등이 이뤄진다. 예를 들어, 구조화된 이야기 과제 제시 후 다시 말하기 과제를 통하여 종속 절 표현이나 C-unit 길이 등으로 아동의 구문능력을 측정할 수 있으며(권유진, 2010; 배소영, 2005; Losh & Capps, 2003), 같은 자료를 이용하여 접속사와 대 용어 등 담화 차원의 분석도 가능하다. 하지만 아동의 발화량이 많아지고 표현의 길이가 길어지는 4세 전후 의 자연발화 상황에서의 측정치 분석은 비교적 많이 시도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부모-아동 간의 자연스런 상호작용 과정에서 산출되는 아동의 발화에 서 언어발달 수준을 변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분석 치들의 빈도와 발달 등을 분석하여 볼 필요가 있을 것 이다. 특히, 1년 정도의 종단적 관찰자료를 이용하여 발달의 추이를 살펴본다면, 학령전 정상아동의 발달 지표로서뿐 아니라 언어장애 아동의 언어중재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으로서 의의도 클 것이다. 이희란(2010)은 4세 이후 평균형태소길이(Mean Length of Utterance-morpheme: MLU)가 표현언 어력 지표로서 변별력이 거의 없음을 4 5세 아동의 발화분석 자료를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이야기 다시 말하기와 같은 담화형식이 아니더라도 자발적 발화자 료를 통해서도 복문표현이 활발해지는 4세 이후부터 학령전기에 이르는 아동언어를 분석하여 통사적 발달 을 살펴볼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특히 통사적 측정치 로서 복문내 접속문과 내포문의 비율, 종속절의 유형 을 5명 아동의 종단적 발화자료로 분석하여, 1회기에 해당하는 평균을 연령별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는 접속문과 내포문을 구성하는 연결어미나 접속부사 의 발달과 같은 심층적인 내용분석을 통하여 이 시기 다양한 담화적 결속장치의 발달을 종단적으로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 아동의 이와 같은 접속문과 내포문의 발달과 관련하여 배소영(2002)은 6세 정도 가 되어야 복잡한 이야기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되며, 연결어미 및 접속부사의 표현이 다양해진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문출현이 시작 되는 3세 후반부터 6세 정도에 이르는 아동의 자발적 발화 자료에서 결속장치 발달에 대한 종단적 관찰과 분석을 시도하여, 이를 통해 이 시기 언어발달 수준의 평가에 대한 임상적 의의를 시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령전 아동의 담화 결속장치의 발 달을 이 시기 아동의 종단적인 자발적 발화자료에서 그 산출 빈도와 발달적 추이를 분석하였다. 담화 결속 장치의 개별적 분석에서는 이 시기를 3세 후반에서 4 세까지의 전기와 4세 후반에서 5세까지의 후기 두 시 기로 나누어 그 발달 추세를 분석하였다. 1. 연구 대상 Ⅱ. 연구 방법 본 연구는 5명 아동을 대상으로 관찰 시작 연령은 각기 다르지만 각각 24회기에 걸쳐 수집된 종단적 관 찰자료인 말뭉치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본 말뭉치 는 본 연구자와 언어발달 관련 연구자들이 함께 수집 하여 공유하는 자료로, 관찰대상 아동과 관찰자료에 대한 정보는 <표 -1>과 같다. <표 - 1> 관찰대상 아동과 관찰자료의 정보 아동명 성별 관찰회기 수 아동 연령 회기 당 관찰 시간 아동 1 여 24 3; 9 4; 8 30분 아동 2 남 24 3;10 4;10 30분 아동 3 여 24 4; 1 5; 1 30분 아동 4 여 24 4;11 5;10 30분 아동 5 남 24 5; 4 6; 4 30분 분석자료 수집을 위한 관찰대상 아동들은 한국의 중류층 가정에서 대학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진 부모 299

언어청각장애연구 2010;15;298-306 에게서 양육되었으며, 관찰자료의 수집 당시 부모와 관찰자였던 언어발달 연구자에 의해 언어적, 인지적 장애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2. 연구 내용 및 분석 방법 가. 연구 내용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를 말하는 다섯 아동의 종단 적인 발화 자료를 토대로 아동이 표현하는 담화적 결 속장치의 발달을 분석하였으며, 발달이 진행됨에 따 라 각 측정치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나. 분석 방법 (1) 자료수집 본 연구의 관찰 자료인 말뭉치의 모든 자료는 관찰 대상 아동의 집에서 주 양육자인 어머니와 아동 간의 대화과정을 약 2주에 한 차례 각 30분씩 녹화하였으 며, 각 발화상황은 대체로 놀이, 먹기, 책보기 상황이 었다. 비디오 녹화를 진행하는 동안, 아동과 어머니가 일상적인 대화를 하도록 어머니에게 지시하였으며, 특별히 의도적인 발화유도를 하지 않도록 알려주었 다. 자료 수집은 발달심리학 박사인 관찰자들이 한 달 에 2회 직접 아동의 집을 방문하여 녹화하였다.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가장 어린 아동이 3;9 세에 관찰이 시작되어 1년 동안 관찰수집이 진행되었 고, 가장 나이가 많았던 아동이 5;4세에 시작하여 6:4 세 관찰이 종료되었다. 1회기 당 관찰시간은 30분 정 도로, 월 평균 2회 실시하였고, 분석을 위한 발화수집 회기는 각 아동마다 24회기로 제한하였다. 아동 1의 1회기 평균 발화수는 70.75였고 가장 나이가 많았던 아동 5의 1회기 평균 발화수는 327.42였다. 5 명 아동을 초기 단어조합 단계 이상의 발화산출 이 가능한 아동으로 선정하기 위하여, 첫 1회기 관찰 발화의 MLC-m(Mean Length of Communication Unit-morpheme)이 2.0 이상인 아동으로 선정하였 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초기 발화에서부터 담화결 속력의 발달적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므로, 발화 산출 기준을 비교적 낮게 정하였다. C-unit(Communication unit)은 주절과 주절에 안긴 종속절을 포함한 단위로(Strong, 1998), 예를 들 어 하나의 주어에 여러 개의 서술어구가 나열 또는 대 조로 연결된 경우는 하나의 단위로 분석하는 구문표 현의 분석치 가운데 하나이다. C-unit의 구분 지침은 권유진 배소영(2006)을 참조하였다. (2) 자료 풀어쓰기 및 풀어쓰기 신뢰도 아동들의 모든 말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촬영 한 내용 모두를 아동의 발화와 부모 발화로 나누어 모 두 자료를 풀어쓰기하였다. 풀어쓰기란, 아동의 어머 니인 연구자 또는 녹화를 주관한 연구자가 녹음 당시 상황을 고려하여 아동이 말하는 단어의 의미를 해석 하는 과정을 거치는 작업이었다. 특히, 풀어쓰기 시작 단계에서 분석자료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다섯 아 동의 1회기(30분 분량) 풀어쓰기 내용에 대해 두 전사 자가 교환하여 이중전사를 진행하며 확인하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3) 자료 분석 방법 풀어쓰기가 이뤄진 모든 발화에서 첫째, 전체 발화 수에 따른 분석 발화수의 비율을 먼저 산출하였다. 둘 째, 담화적 결속장치는 대용어와 연결어미 그리고 접 속부사의 산출 빈도를 월령별, 아동별로 분석하여 발 달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먼저 대용어의 경우 지시대 명사, 인칭대명사, 그리고 지시관형사에 어휘가 결합 된 경우를 모두 분석에 포함하였다. 대용어는 문법 용 어가 아니지만, 우리말에 적용할 경우 대명사적인 성 격으로 해석될 수 있어 이와 같은 표현들을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접속부사를 연결해서 표현의 결속 을 높이는 경우 또는 문두에 접속 부사가 사용되는 경 우를 접속 부사 분석에 포함하였다. 연결어미는 -서, -가지고, -는데, -고, -려고, -더니, -니까, -다가, - 어도/-아도 등을 분석에 포함하였다. 분석 대상 발화의 선정 과정에서는 첫째, 발음이 불 명료하여 내용 파악이 어렵거나 대화에서 부모의 발 화 전체를 모방한 발화를 제외하였다. 둘째, 노래나 광 고문구, 만화 등에 등장하는 인물의 반복적 대사를 외 워서 말하는 등의 자동구어도 분석대상 발화 선정에 서 제외하였다. (4) 자료 분석 신뢰도 자료 분석은 본 연구자가 수행한 분석자료의 10% 에 해당하는 분석자료를 언어병리학 박사 1인에게 의 뢰하여 분석자간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담화적 결속 장치 구분에서 94%의 일치도를 얻을 수 있었다. 300

이희란 이승복 / 학령 전 아동의 담화결속장치 발달에 관한 종단 연구 Ⅲ. 연구 결과 1. 담화적 결속장치의 산출 특성 분석 대상 아동들의 전체 발화에서 대용어 표지(지 시대명사, 인칭 대명사, 지시관형사 + 어휘), 접속부사 의 사용, 연결어미의 사용과 같은 담화적 결속장치의 산출과 발달 과정을 분석하여 24회기 총 분석발화의 평균을 <표 -2>에 제시하였다. <표 - 2> 전체 아동의 결속장치 표현 결속장치 아동 아동1 (3;9~4;8) 아동2 (3;10~4;10) 아동3 (4;1~5;1) 아동4 (4;11~5;10) 아동5 (5;4~6;4) a) 평균(표준편차) 대용어 3.92 2.7 (24.47) a) (2.8) 44.37 (26.55) 73.45 (25.29) 70.25 (37.85) 77.6 (33.24) 접속부사 연결어미 합계 5.29 (4.70) 3.33 (2.27) 5.79 (3.81) 27.2 (19.39) 21.87 (14.59) 25.33 (12.09) 11.83 (8.24) 14.83 (11.52) 24.7 (20.4) 28.49 74.99 88.61 90.87 129.5 아동 개인별 전체적 평균 비교이기는 하지만 아동 의 연령 증가에 따라 특히 대용어와 접속부사에서 연 령에 따른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그림 -1>참조). 가. 대용어 발달 대용어의 발달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아동의 연령별 분류를 시도하였다. 학령전 전기에 해당되는 아동 1과 2, 3의 4;0 4;11세까지의 대용어 산출 수를 각기 <표 -3>에 제시하였으며, 학령전 후기에 해당 되는 아동 4와 5의 5;0 5;11세까지의 대용어 산출 수 는 <표 -4>에 제시하였다. 아동별로 각 회기에 따른 산출 수를 비교해 볼 때 아동 개인 내에서도 평균 차 이가 두드러지는 경우가 있지만, 아동 3과 4, 5의 경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산출 수가 비교적 증가하고 있 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아동 3의 경우 다른 결속장치 보다 대용어 산출에서 비교적 사용이 많음을 알 수 있 었다. <표 - 3> 월령별 대용어 산출 수(평균) (4;0 4;11세)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4;10 4;11 아동1 24 8 20.5 39 20 15.5 13 7 24 아동2 25.5 54 49 38.5 40 25 31 42 55 83 29 아동3 27 33 67.7 56 78.5 116 68.5 95.5 70.5 73.5 96.5 <표 - 4> 월령별 대용어 산출 수(평균) (5;0 5;11세)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5;10 5;11 아동4 79.5 55 68 25.5 51 52.8 50 105.7 71 아동5 33 56.5 44.5 30.5 59.5 88.5 71 87.5 나. 접속부사 발달 <그림 - 1> 전체 아동의 결속장치의 표현 분석 대상 아동들의 개인 간 연령 증가에 따른 발달 적 추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담화 결속장치 세 가지를 따로 나누어 각 회기별 대용어와 접속사, 연결어미의 산출을 분석하였다. 대용어의 발달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아동의 연령별로 분류를 시도하였다. 아동 1과 2, 3의 4;0 4;11세까지의 접속부사 산출수 각각을 <표 -5>에 제 시하였으며, 아동 4와 5의 5;0 5;11세까지의 접속부 사 산출수 각각을 <표 -6>에 제시하였다. 접속 부사 의 경우 학령전 전기에 해당되는 4세 초반에는 산출 수가 상당히 적었으며, 학령전 후기에 해당되는 4세 후반부터 5세경에 이르러서야 비교적 활발한 산출이 이뤄짐을 관찰할 수 있다. 301

언어청각장애연구 2010;15;298-306 <표 - 5> 월령별 접속부사 산출 수(평균) (4;0 4;11세)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4;10 4;11 아동1 2 0 3 3.25 0.5 1 1 1 1.5 아동2 0.5 5 3.25 2 4 3 3.5 6 13 13.7 4 아동3 2 8 1 6 1.5 4.1 6 2.5 2.5 5.5 4 <표 - 6> 월령별 접속부사 산출 수(평균) (5;0 5;11세)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5;10 5;11 아동4 4 4.5 5.8 5 7 5 5 9 10 아동5 4 9.5 34 13 15 13 23.5 38.5 다. 연결어미 발달 연결어미의 발달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아동 의 연령별로 분류를 시도하였다. 학령전 전기에 해당 되는 아동 1과 2, 3의 4;0 4;11세까지의 연결어미 산 출수 각각을 <표 -7>에 제시하였으며, 학령전 후기 에 해당되는 아동 4와 5의 5;0 5;11세까지의 연결어 미 산출 수 각각은 <표 -8>에 제시하였다. 특히 연결 어미의 경우에는 아동 개인별, 월령별 산출 특성이 두 드러짐을 알 수 있었다. 아동 2의 경우 4세 초반이지 만 월령대 전체에서 비교적 많은 연결어미 산출이 이 뤄짐을 관찰할 수 있었다. <표 - 7> 월령별 연결어미 산출 수(평균) (4;0 4;11세)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4;104;11 아동1 14 18 17 22.25 17.5 11 11 10 12.5 아동2 14.5 31 22.75 42.5 17 22 30 23 46 26 9 아동3 3 4 9 26 7.5 12 13.5 4 12 16 12 <표 - 8> 월령별 연결어미 산출 수(평균) (5;0 5;11세)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5;10 5;11 아동4 22 15.5 18.8 6.5 6.1 7 5 17.7 2.5 아동5 4 3.5 15 5.5 16.5 10 18.5 50.5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초기 문법습득 단계를 넘어 세련된 문법 능력을 익혀가는 3세부터 학령기시기를 앞둔 6 세까지 5명 아동의 담화 결속장치의 발달을 분석하였 다. 다섯 아동의 발화를 전반적으로 분석해보면, 이 시 기에 결속장치를 사용한 발화수가 급증하고 있어, 담 화 결속장치의 분석에 적당한 연령임을 알 수 있었다. 대용어, 접속부사, 연결어미라는 세 가지의 담화 결속 장치에서의 발달적 추이를 분석하고자, 학령전 연령 을 전기와 후기 두 시기로 나누어 비교해보았다. 이를 위해 3세 후반과 4세 후반까지 전기에 해당되는 세 아동과 4세 후반에서 5세 후반까지의 두 아동의 발화 자료를 비교 분석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대용어의 경우 연령에 따른 차이가 고르지 않은 점이 관찰되었지만, 비교적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전기와 후기를 비교해보면, 전기에 비해 후기에 대용어의 산출이 비 교적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 아동을 함 께 보면, 4세 이후에 산출 증가가 두드러지게 나타나 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둘째, 접속부사의 경우, 연 령이 증가할수록 평균 산출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대용어와는 달리 접속부사의 경우 에는 연령에 따른 차이가 비교적 고르게 증가하는 것 으로 나타나며, 전기와 후기 집단의 차이도 분명해 보 였다. 셋째, 연결어미의 경우, 개인차가 두드러지며, 한 아동 내에서도 월별에 따른 차이가 관찰되어, 발달 지표로는 부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전반적으로 학령전 전기에 해당되는 3 4세 아동 1 3과 학령전 후기에 해당되는 4 5세 아동 4와 5의 자연적 발화자 료에서 지시대명사가 포함된 대용어와 연결어미, 접 속사로 나누어 담화 결속장치를 분석한 결과, 아동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대용어와 접속부사 표현이 증가하 는 발달 양상을 보이며, 특히 접속부사의 산출빈도가 계속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 과는 접속부사의 표현이 이 시기 아동의 담화적 결속 장치에 대한 발달적 지표로 기능하고 있는지에 대한 논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대용어 결속장치에는 지시대 명사와 인칭대명사, 그리고 특정 어휘 앞에 사용되는 지시관형사가 포함되어 있었다. 실제로 대용어라는 표현은 우리말 문법 용어가 아니어서 Halliday & Hasan (1976)의 분석틀을 참조하여 문법적 결속에 해당하는 측정치들을 포함시킨 것이었다. 사실상, 대 용어에 포함되는 지시대명사와 지시형용사의 경우에 는 대화의 주제나 말하는 이와 듣는 이와의 거리, 대 화 맥락이나 시점 등에 의해 상당한 영향을 받게 되므 로 자연 발화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연 302

이희란 이승복 / 학령 전 아동의 담화결속장치 발달에 관한 종단 연구 령에 따른 차이가 일정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특히 대용어의 경우에는 성인언어와 아동 언어와의 차이가 존재할 것으로 보이며, 대용어 표현이 실제 아동의 언 어수준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인지에 대한 분석도 필 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자연발화를 이용한 분 석에서 대용어의 사용이 언어발달의 수준을 측정하는 분석치로서 기능하기에는 제한이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접속부사에는 복문 구성을 위 한 다양한 접속사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부사 의 경우 다른 결속장치와 비교할 때 비교적 그 정의와 구분이 명확한 면이 있었다. 하지만 연결어미는 본 연 구에서 분석한 측정치 가운데 비교적 어린 연령에서 출현하는 측정치이면서 동시에 아동들이 어렵게 습득 하는 통사적 장치에 포함되기도 한다. 실제로 아동의 연결어미 발달을 살펴본 서희선 이승환(1999)의 연 구에서는 나열의 연결어미 -고 와 이유의 연결어미 -서 가 2;0 2;5세에 출현하였으며, 대립이나 동시 연결어미들은 2세 후반에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여러 다양한 연결어미 를 각각 구별하여 분석하지 않고 월령별로 합하여 분 석하였으므로, 개인차가 두드러지며 월령별 산출 수 에서도 비교적 큰 편차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 서 출현 순서에서 차이가 큰 연결어미의 다양한 유형 별 분석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학령전 아동의 표현언어 분석을 위해서는 구조화 된 환경에서의 발화보다는 실제로 어린이가 자연스런 상황에서 산출하는 발화자료를 분석하는 것이 적절하 다. 일상생활에서 부모와 함께 상호작용하는 과정에 서 자연스럽게 아동이 사용하는 언어표현들에서 발달 적 추적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련된 문법 능력을 익혀가는 3세부터 학령기시기를 앞둔 6세까지 아동의 표현 언어의 발달을 다양한 담화 결속장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이전 시기까지는 유용하 였던 평균형태소길이의 측정이 더 이상 변별력을 갖 기 어려워지는 4세 이후 아동의 자발적 발화에서 아동 의 전반적인 언어발달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측정치를 찾고자 아동의 담화적 결속장치의 발달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결속장치의 경우 아동의 표 현언어가 더 세련된 표현 형식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도구이면서, 학령전 시기 아동의 자발적 산출을 위한 비교적 유용한 분석치가 될 수 있음을 논의할 수 있었 다. 특히 접속부사의 경우 관찰 대상 아동의 5세 이후 에 산출이 급증하며 연령 변화에 비교적 민감하게 작 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관찰 대상 아동 수가 매우 적었으며, 또한 이러한 분 석치에 대한 검증을 위해서는 보다 구조화된 상황에 서의 발달적 변화와의 비교 연구 또는 연령에 따른 발 화수 증가와의 상관 등에 관한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 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 아동별로 각 회기별 30분씩 24 회기에 걸친 방대한 관찰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였으 며, 아동별로 상이한 관찰 시작 연령과 다양한 발화 주제로 인해 전체 평균만을 비교하는데 그쳤다. 따라 서 분석대상 발화자료에 대해 좀 더 명확한 분석 기준 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분석대상 발화를 일정 C-unit 이상으로 한정하거나 대화적 차례 주고 받기의 수를 일정하게 제한하여 분석을 시도해보는 것도 분석치의 타당도를 높여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발화자료 수집을 위해 비디 오 녹화를 진행하는 동안, 아동과 어머니가 일상적인 대화를 진행하도록 어머니에게 지시하였으며, 특별히 의도적인 발화유도를 하지 않도록 알려주었다. 대화 의 유지/변경 능력이나 어머니가 아동에게 반응해주 는 정도 등이 아동의 발화 길이에 비교적 영향을 미치 겠지만 전체 24회기에 걸친 자료 수집이었으므로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어머니들에게 굳이 아동의 발화를 통제하도록 지시하지 않았다. 하지만 자연발화의 분 석일지라도 이러한 부분에서 보다 적극적인 통제가 이뤄졌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분석에 포함한 결속장치의 분석기준에서 문두에 사용되는 접속부사 (예: 근데 )의 경우 무의한 습관적 발화일 수도 있다. 또한 결속장치가 부적절하게 사용된 경우 오히려 담 화적 결속력을 낮출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요인들이 결속장치의 분석과 해석에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 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이러한 점들을 고려한다면 연 결어미나 접속부사, 대용어 사용과 더불어 어휘반복 과 같은 보다 내용분석이 필요한 분석치로서의 접근 이 요구되며, 특히 여러 결속장치의 발달과 표현이 아 동의 전반적인 화용능력과 언어발달수준과 어떠한 상 관이 있는지의 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현재까지 이뤄진 결속장치 분석 연구는 영어를 기 초로 이뤄진 연구의 분석방법과 정의를 우리말에 비 추어 분석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분석에 사용되는 문법 용어 역시 우리말에 그대 로 적용하기에는 비교적 상이한 용어들이 존재하며, 생략 과 같은 분석치는 우리말의 주요 논항 생략 특성 303

언어청각장애연구 2010;15;298-306 과 관련해 아동언어나 장애아동의 언어연구에서는 비 교적 연구가 활발하지 않았던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우리말의 자연발화를 대상으로 결속장치의 특성과 관 련한 보다 심층적인 분석과 명확한 정의에 대한 구분 이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야기 다시 말하기 과제를 이용하여 3세 아동의 담화결속장치 산출을 살 펴본 양수진(2000)의 연구에서는 4세 아동의 경우 생 략의 결속장치를 대용어나 어휘반복보다 더 많이 사 용했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중요한 결속장치로 역 할을 하는 생략과 첨가의 분석치는 우리말의 특성과 연결지어 아동 언어 자료를 통해 추후 연구에서 그 분 석이 명확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참 고 문 헌 권유진(2010). 초등 저학년 아스퍼거증후군 아동의 구문표현 능력. 언어청각장애연구, 15(2), 135-270. 권유진 배소영(2006). 이야기 다시말하기(story-retelling) 과제를 통한 초등 저학년 아동의 이야기 능력. 언어 청각장애연구, 11(2), 72-89. 배소영(2002). 한국어 발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겨울 연수회: 아동언어장애,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배소영(2005). 학령기 언어장애의 평가. 2005 겨울연수회 발표자료집. 대구대학교, 대구. 변선영(2003). 이야기 쓰기에 나타난 건청아동과 청각장애 아동의 결속표지 비교.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희선 이승환(1999). 2 5세 정상 아동의 연결어미 발달. 언어청각장애연구, 4, 167-185. 양수진(2000). 이야기 결속표지 발달: 4세, 6세, 8세 및 성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승희(2007). 학습부진아동과 일반아동의 쓰기에 나타난 담화응집성 비교분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희란(2010). 학령전 아동의 구문표현력 발달에 관한 종단 연구. 언어치료연구, 19(1), 179-192. Halliday, M. K., & Hasan, R. (1976). Cohesion in English. London: Longman. Losh, M., & Capps, L. (2003). Narrative ability in highfunctioning children with autism or Asperger s syndrome.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3(3), 239-250. Nippold, M., & Undlin, R. (1992). Use and understanding of adverbial conjunctions: A developmental study of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5, 18-118. Nippold, M., Duthie, J. K., & Larsen, J. (2005). Literacy as a leisure activity: Free-time preferences of older children and young adolescents.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 36(2), 93-102. Nippold, M. (1998). Later language development: The schoolage and adolescent years. Austin, TX: Pro-Ed. Owens. R. (2008). Language development: An introduction. Boston, MA: Allyn & Bacon.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St. Louis, MO: Mosby. Strong, C. J. (1998). The Strong Narrative Assessment Procedure. Eau Claire, WI: Thinking Publication. Westby, C. (2005). Assessing and facilitating text comprehension problem. In H. Catts & A. Kahmi (Eds.). Language and reading disabilities (2nd ed.) (pp. 157-232). Boston, MA: Allyn & Bacon. 304

Lee & Lee / Development of Cohesive Devices in Preschool Korean Children ABSTRACT Development of Cohesive Devices in Preschool Korean Children Hee Ran Lee a Seungbok Lee b, a Department of Speech and Hearing Therapy,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Busan, Korea b Department of psycholog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ungju, Korea Correspondence to Prof. Seungbok Lee, PhD, Department of Psycholog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Sungbong-lo 410, Heungduk-gu, Chungju, Korea e-mail: lsbok@chungbuk.ac.kr tel.: + 82 43 261 2193 Background & Objectives: In the present study,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cohesion devices in children aged 3 to 6 years were examined using longitudinal data from five Korean preschool children.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twice a week for 12 months and were transcribed from video recordings recorded in natural situations in the children s homes with their mothers present from the ages of 3;9-6;4 years. Cohesion devices including conjunctives, connective endings, and anaphors were analyzed using the longitudinal data. Results: First, the number of utterances for analysis increased with age. Second, the use of conjunctions increased with the age, which appeared to be the developmental index for this age group. Third, the use of connective endings var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age of each child. Discussion & Conclusion: The use of conjunctions is suggested to be the best developmental index in preschool aged children among the three cohesion devices tested in this study.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0;15;298-306) Key Words: longitudinal study, language sample analysis, cohesion devices, language development REFERENCES Byun, S. (2003). A comparison of cohesion in the written stories of hearing impaired and normally hearing children. Unpublished master 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Halliday, M. K., & Hasan, R. (1976). Cohesion in English. London: Longman. Kwon, E. (2010). The ability to use syntax in school-aged Asperger s syndrome children in a story-retelling task.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5(2), 135-270. Kwon, E., & Pae, S. (2006). Three measures of narrative discourse ability for Korean school-aged children in a story-retelling task.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1(2), 72-89. Lee, H. R. (2010). Development of sentence structures in Korean children age of 3-6 Years. Korea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9(1), 179-192. Lee, S. (2007). An analysis of discourse cohesion devices in written language of underachieved and normal elementary school children. Unpublished master 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Losh, M., & Capps, L. (2003). Narrative ability in highfunctioning children with autism or Asperger s syndrome.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3(3), 239-250. Nippold, M. (1998). Later language development: The schoolage and adolescent years. Austin, TX: Pro-Ed. Nippold, M., & Undlin, R. (1992). Use and understanding of adverbial conjunctions: A developmental study of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5, 18-118. Nippold, M., Duthie, J. K., & Larsen, J. (2005). Literacy as a leisure activity: Free-time preferences of older children and young adolescents.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 36(2), 93-102. Owens. R. (2008). Language development: An introduction. Boston, MA: Allyn & Bacon. Pae, S. (2002). Korean development. Proceedings of the Korean Academy of Speech Language Pathology and Received, July 19, 2010 Final revision received, August 25, 2010 Accepted, September, 3, 2010. c 2010 The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http://www.kasa1986.or.kr 305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0;15;298-306 Audiology 2002 Winter workshop. Seoul. Pae, S. (2005). The assessment of school-age children. Proceedings of the Korean Academy of Speech 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2005 Winter workshop. Seoul.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St, Louis, MO: Mosby. Strong, C. J. (1998). The Strong Narrative Assessment Procedure. Eau Claire, WI: Thinking Publication. Suh, H., & Lee, S. (1999). The development of connective endings of Korean-speaking children age 2-5. Korea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4, 167-185. Westby, C. (2005). Assessing and facilitating text comprehension problem. In H. Catts & A. Kahmi (Eds.). Language and reading disabilities (2nd ed.) (pp. 157-232). Boston, MA: Allyn & Bacon. Yang, S. (2000). The development of cohesion in the narrative of Korean-speaking children aged 4,6,8, and adults. Unpublished master s thesis. Ewha Woman s University, Seoul. 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