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체계적 온실가스 감축(GHGR) Framework 개발 연구 김영진 *, 김태성 ** 금오공과대학교 그린에너지소재연계전공 교수 * 금오공과대학교 산업공학부 교수 ** A Study on Development of Systematic Greenhouse Gas Reduction(GHGR) Framework for Low-Carbon Green Growth Youngjin Kim *, Tae-Sung Kim **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초록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는 지속가능 경영의 핵심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각국의 정부는 이산화탄소 배출 감축, 배출권 거래, 탄소 및 에너지 세금, 에너지 효율화 등의 다양한 수단들의 도입과 이와 관련한 여러 가지 정책 및 규제들의 등장으로 인하여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에너지를 다소비하는 산업분야의 비중이 높아 환경규제나 온실가스 감축 요구 및 탄소배출권 거래가 본격 시행될 경우 심각한 타격이 우려된다. 따라서 기업 및 조직의 효율적인 환경경영이나 온실가 스 감축을 위한 에너지경영 및 탄소경영의 노력이 요구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체계적인 전략과 방법들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매우 미흡한 형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글로벌 선진 국가나 기업들의 환경규제 대응이나 온실가스 감축 전략 및 탄소배출권 추진동향에 대하여 살펴보고, 1단계로 환경경영 및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Framework의 범위 및 각 단계별 세부 Activity에 대해 정의한 후,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체계 적인 Framework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Framework에 국내기업 사례를 적용하여 유효성을 검증하였 다. 본 Framework의 개발로 인해 기업의 환경경영의 체계화 및 배출 감축 잠재량의 체계적 분석, 배출 감 축 과제의 효율적 선정 및 투자를 위한 가이드 제공으로 다양한 분야에 대한 환경규제 대응 및 온실가스 감축 Framework 개발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Abstract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have come to the key of sustainable business issue. Many governments are taking steps to try low-carbon green growth through national policies that include the introduction of emissions trading programs, carbon dioxide offset, voluntary programs, carbon or energy taxes, and regulations and standards on energy efficiency and emissions. Korean industry is expected to get severe impacts such as, environmental regulation, GHG reduction, and carbon emission exchange due to its dependence on large volume of energy consumption. A well-designed environment management and corporate GHG reduction strategy by systematic framework is required for fundamentals of its green and energy business. However, developments of these kinds of frameworks have not been reported in the community yet. This study describes state of the arts of GHG Reduction(GHGR), to respond environmental regulation, and carbon offset by global leading countries and companies. Also a systematic framework is developed for an environment management and GHG reduction of enterprise operation processes. In addition, a case study is provided to prove suitability of the framework. The framework is expected to serve firms with several benefits such as, systematization of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atic analysis of GHG reduction potential with respect to their company, as well as selection of effective investments regarding GHG reduction projects. Furthermore, the framework can be expanded to diverse areas with modest extra efforts and to respond environmental regulation. Keywords: Greenhouse Gas Reduction(GHGR), Low-carbon Green Growth, Energy Efficiency, Carbon Offset 1-000672 -
1. 서론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홍수나 태풍 등의 기상이변이나 자연재해 등 자연 생태적 변화 및 환경위기가 초래되고 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이 2007년 2월 발표한 기후변화에 관한 제 4차 보고서(AR4)에 따르면, 지난 100년간 지구 평균온도가 이미 0.74 상승하였고 화석에너지 의존적인 산업구조를 유지하는 최악의 경우에는 21세기말에 최고 6.4 (평균 4.0 ) 상승할 것으로 예측하였다[3]. 이러한 지구온난화는 국가, 산업, 기업의 활동에 의한 온실가스 (GHG: Greenhouse Gas) 배출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UN을 비롯한 국제 기구, 각국정부, 학계 및 사회단체들은 환경규제 강화 및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환경규제의 대상은 기업 내부를 벗어나서 산업, 국가로 확장되고 있어서 관리해야하는 범위가 증가되고 있으며, 글로벌 환경규제의 패러다임도 사후관리보다는 사전관리 및 예방으로 전환되고 있어서 생산과정이나 제품관련 정보들의 관리수준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11]. 온실가스 배출은 2005년 총 배출량이 591.1백만 CO 2 톤으로 90년 대비 약 2배 증가하였으며, 향후 연평균 2.2% 증가하여 2020년에는 813백만 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세계 9위 수준으로 GDP당 배출량, 1인당 배출량 면에서도 비교적 높은 배출량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1]. 기후변화와 에너지의 심각한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고, 기후변화에 따른 국가적 위기를 성장 동력으로 삼기 위하여 대한민국 정부는 녹색산업 및 녹색기술을 통하여 경제성장을 이끌고자 하는 저탄소 녹색성장 을 국가주요전략으로 채택하여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05년 대비 4% 감축 (BAU 대비 30% 감축)하려는 목표를 세우고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8]. 우리나라는 에너지 다소비 산업 비중이 높아 국내 제조 기업들이 배출하는 온실가스는 총 배출량의 12%로 에너지 부문 다음으로 많은 배출량을 보이고 있으며, 90년부터 03년의 배출량 증가율은 10%로 전체 배출량 증가율의 배가 넘는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산업공정 부문의 에너지 효율이 선진국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기후변화 협력체제에 취약하여 온실가스 감축추진이 본격 시행될 경우 심각한 타격이 우려되고 있다. 최근 국내 일부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 활동이 보고되고 있으나 체계적인 전략과 계획에 따른 감축활동이라기 보다는 단편적인 기술의 적용에 그치고 있다. 최근에는 온실가스 배출권을 거래하는 탄소시장도 급부상하고 있으며 탄소시장규모도 커질 전망이여서 산업이나 기업들도 이에 대한 준비를 해야 하며 CO 2 배출이 비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는 환경에서 에너지 다소비 산업이나 기업들은 온실가스 감축환경 조성을 위한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12, 13]. 산업 및 기업의 효율적인 저탄소 녹색성장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외부환경분석, 조직 내부의 운영 프로세스의 분석을 통한 탄소발자국 평가와 분석, 감축대안의 파악/평가 및 선정된 감축대안의 우선순위 결정 등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절차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방법론의 적용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산업 및 기업들 내부의 환경경영, 에너지경영, 탄소경영 인프라 구축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온실가스 감축운영 프로세스에서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 Framework을 연구하고자 한다. 우선 2장 연구방법에서는 본 논문에서 다루는 GHGR(Greenhouse Gas Reduction) Framework의 범위를 정의하고, 각 단계별 세부 Step에 대해서 정리한다. 3장에서는 개발된 Framework을 적용하는 사례 연구에 대해 다룬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본 Framework의 기대효과 및 향후 계획에 대해 2-000673 -
기술하고자 한다. 2. 연구방법 2.1 GHGR Framework의 범위 및 개요 환경규제 대응을 위한 환경경영 수준을 진단하고 개선과제와 이행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서는 먼저 현재의 정확한 탄소배출량을 파악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개발하는 과정 그리고 이를 기초로 탄소발자국을 계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현재의 탄소 배출량이 파악되었다면 다음은 감축 대안을 선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감축 목표량을 설정하고, 설정된 목표에 따라 기술적, 경제적으로 최적의 대안을 선정한다. 마지막으로 선정된 대안으로 탄소 감축을 실행 / 모니터링하고 보고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온실가스 감축을 통한 배출권의 탄소경영을 위한 수준진단 단계는 제외하고 환경경영의 수준진단과 탄소배출량의 분석(Analysis) 단계와 감축대안의 선정(Advise) 단계에 초점을 맞추어 Framework을 개발하였다[그림 1]. [그림 1] Framework의 범위 [그림 2]에서는 본 논문에서 개발하려고 하는 GHGR Framework의 개요를 보여주고 있다. 본 Framework은 다음의 5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본 2장에서 각 단계의 자세한 세부 Step의 내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단계 I: 외부 환경분석 단계 II: 환경경영 수준 진단 단계 III: 내부 현황 진단 단계 IV: GHGR 기회평가 단계 V: GHGR Roadmap 작성 [그림 2] GHGR Framework 개요 3-000674 -
2.2 외부 환경분석 단계 I 외부 환경분석은 3개의 하위 Step, 즉 시장 환경 분석, 이해관계자 분석 그리고 온실가스 감축동인 파악으로 구성되어 있다. Step I.1 시장환경분석 시장 환경분석의 Step에서는 온실가스 감축과 관련된 다양한 시장의 요소들을 분석한다. 국가적, 지역적, 산업부문별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분석하고, 관련된 정치적 논의 및 국내 국제적인 온실가스 배출규제 등을 파악한다. 아울러 배출량 감축과 관련된 신기술의 개발 현황을 분석한다. 경제 상황의 분석과 세제의 변화 등에 따른 이익 잠재력 또한 분석한다. 또한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의 변화 트렌드를 분석한다. 이러한 정보들은 광범위한 문헌 분석, 인터뷰 또는 설문조사 등에 의해 파악이 가능하다. Step I.2 이해관계자 분석 본 Step에서는 시장 환경분석을 통해 나온 결과물들을 기초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필요한 이해관계자들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과 관련된 이해관계자들은 정부, 이익단체, NGO, 협력업체, 원료/부품공급자, 경쟁기업, 투자자, 고객 및 자사 임직원들이 될 수 있다. 모든 기업은 비즈니스의 성공을 담보하기 위해서 그 기업이 상호작용하는 이해관계자들을 정확하게 이해하여야 한다. 온실가스와 관련된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와 필요를 분석함으로써 위험 및 기회요인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해 관계자들의 잠재적인 이익이나 예상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후 전략 수립의 중요한 자료로 활용 가능하다. 이해관계자 분석에 필요한 정보들 역시 광범위한 회사 내외의 문헌 분석, 인터뷰 또는 설문조사 등에 의해 파악이 가능하다. Step I.3 온실가스 감축동인 파악 시장분석과 이해관계자분석을 통해 나온 결과를 기초로 온실가스 감축동인을 파악할 수 있다. 이 감축동인은 매출증대, 비용감소, 위험완화 그리 고 무형가치의 창조의 4가지 요인으로 분류 가 능하다. 매출증대 요인에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 한 녹색기술을 확보하여 성장을 위한 새로운 시 장분야를 창출하는 것이 하나의 예가 될 수 있 다. 비용감소 요인에는 가치 사슬의 생산성 향상 (예, 자원생산성 향상, 폐기물 감축)등이 있을 수 있고, 위험완화 요인에는 예를 들어 온실가스 규 제 등이 해당된다. 무형가치창조 요인에는 기업 이미지 제고와 이를 통한 더 나은 협력업체와의 파트너십과 임직원의 리크루팅 등이 있을 수 있 다. 기업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동인은 판이하게 달라질 수 있다. 각 기업의 주된 감축동인에 따 라 온실가스 감축 전략은 달라져야 한다. 사용 자 인터페이스 (User Interface) 단말기는 냉장고 및 에어컨 등과 같은 각 전기기기에 직접 설치하여 전기기기 자체를 제어할 수 도 있고 가정, 건물, 상가, 공장 등과 같이 일정단위의 그룹단지로 묶어서 제어할 수도 있다. 2.3 환경경영 수준 진단 단계 II 환경경영 수준 진단은 3개의 하위 Step, 즉 As-Is 분석, To-Be 설계, 이행계획 수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업장 환경/안전/보건(ESH: Environment Safety Health) 성숙도를 4개 분야 18개 영역(350문항)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개선안을 도출한다. Step II.1 As-Is 분석 우선 ESH정책과 운영체계에서는 외부 이해자관리, 위험대응체계, ESH 계약자 관리 및 제품개발 시설/장비 투자 ESH 검토가 4-000675 -
이루어진다. 사업장 안전관리에서는 유해성 화학물질, 에너지, 추락방지, 화재/폭팔 예방, 기계설비/전기/전동차 안전 및 안전 제한 구역에 대하여 분석하게 된다. 사업장 환경관리에서는 공해, 수질/오폐수, 폐기물관리, 및 저장탱크관리를 분석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사업장 보건관리에서는 산업보건 및 소음/청각보호 측면에서 분석하게 된다. Step II.2 To-Be 설계 To-Be 설계에서는 주요현안 및 개선방안을 정리하게 된다. 우선 과제 주요 현안 정의에서는 글로벌 ESH 업무 수준 제고를 위한 통합서비스 제공 체계를 설계하게 되며 과제 개선 방안 정의에서는 사업장 ESH 운영관리 영역의 통합 및 시스템 아키텍쳐 수립, 표준기능 설계 및 사업장 적용방안을 수립하게 된다. Step II.3 이행계획 수립 이행계획 수립에서는 이행 Roadmap 수립과 이행 비용/효과 분석으로 진행되는데, 과제 우선 순위를 도출하고 녹색경영 IT 이행 Roadmap을 수립하며, 과제이행 비용을 산정하고 투자가치 분석을 통해 효용성을 검증하고 최종적으로 과제 이행여부를 의사결정하는 단계이다. 2.4 내부 현황 진단 단계 III 내부 현황 진단은 3개의 하위 Step, 즉 온실가스 감축 성숙도 진단, 탄소발자국 계산 및 온실가스 탄소발자국 분석으로 구성되어 있어, 현재 기업 운영 프로세스를 통해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분석하고 평가한다. Step III.1 온실가스 감축 성숙도 진단 온실가스 감축 성숙도 진단에서는 조직이나 기업 운영 프로세스가 온실가스 감축과 관련하여 얼마나 성숙되어 있는지를 9가지 영역 즉 업무 개선, 커뮤니케이션, 거버넌스, 진단, 인력, 정책, 전략, 공급망, 통합 비용 관리 (TCM: Total Cost Management)로 나누어 평가하는 GRMM (GHG Reduction Maturity Model)에 의하여 수행된다[4]. 이 모델은 목표 대비 현재 수준을 비교함으로써 조직에서 개선이 필요한 영역을 제시하고, 선진사의 벤치마킹 결과와 비교하여 상대적인 성숙도를 제시한다. [그림 3]에서 GRMM의 핵심영역과 성숙도 평가의 예를 도시한다. GRMM focuses on 9 key areas: Business Improvement: driving continuous improvement into the organisation Communication: ability to communicate to internal and external stakeholders regularly Governance: clear owner and management of sustainability within organisation Measurement: measurement and monitoring practices People: training and empowerment of employees Policy: clear policies on how to manage climate change Strategy: mid and long term vision / targets for the organisation Supply chain: management of product inputs to ensure compliance to organisations standards / expectations Total cost management: including climate change in investments decision making process Goals / Ambition Total Cost Management Supply Chain Strategy Business Improvement 5.0 Policy 4.0 3.0 2.0 1.0 0.0 People Client score Communication Governance Measurement [그림 3] GRMM의 핵심영역과 성숙도 예시 5-000676 -
Step III.2 탄소발자국 계산 계산한다. 탄소발자국 계산은 대상이 되는 기업 운영 프로세스의 탄소발자국을 계산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하여 세계자원연구소(WRI: World Resource Institute), 지속가능 발전기업 협의회가 발간한 온실가스 프로토콜(Corporate Accounting and Reporting Standard) 2008년 판을 참고하였다[5,6]. 계산 적용 범위는 WRI가 제시한 3개의 범위로 정의 한다[7]: Scope 1: 직접 배출 Scope 2: 간접 배출 (전기) Scope 3: 그 밖의 간접 배출, 예 물류 및 출장 아울러 온실가스 계산 프레임은 현재 전세계적으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방법론중의 하나인 WRI의 GHG Protocol과 공공기관 및 대상기업을 통해 Database 형태로 제공되는 온실가스 배출계수를 기초자료로 사용 한다[7]. 이후 고려대상의 경계를 정의하고 적절한 데이터를 수집, 가공하여 탄소발자국을 Step III.3 탄소발자국 분석 본 Step은 Step III.2에서 계산된 탄소발자국 데이터와 기업 운영 프로세스를 통해 측정된 데이터를 기초로 온실가스의 배출원을 규명하고 하부 단위 조직 또는 세부 공정 별 배출량을 산정하는 단계이다. 이 같은 미세관리를 통하여 전체 온실가스 배출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특정 조직 및 공정에 집중한 상세한 측정 및 분석도 가능하다. 2.5 GHGR 기회 평가 단계 IV GHGR 기회평가에서는 [그림 4]에서와 같이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여러 대안들 중에서 해당 기업에 적용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대안들을 타당성과 경제성을 기준으로 평가하여 파악하는 단계이다. 사내 외 전문가그룹을 대상으로 인터뷰, 설문조사, 워크숍 및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대안 그룹을 도출하게 된다. [그림 4] 온실가스 감축대안 선정의 단계 Step IV.1 감축 대안 발굴 감축대안 발굴은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할 수 있는 대안을 파악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대안은 이전 단계에서 수행한 시장분석, 경쟁사 벤치마 킹 또는 기업 내부환경 분석의 결과물들을 입력 6-000677 -
자료로 사용한다. 산업계의 성공사례들도 집중적 으로 연구한다. 무엇보다도 자사 온실가스 배출 및 에너지 사용 특성과 향후 사업계획 등을 고려 하여 감축 정책과 감축 기술을 발굴한다. 또한 이미 계획 중이거나 실행된 대안들을 우선 고려 하고 기술적 타당성 또는 경제성 검토에 의해 타 사에서 배제된 대안들까지 고려할 수 있다. 이밖 에 전문가 워크숍을 통해 대안을 개발할 수 있 다. 파악된 대안들은 크게 에너지 효율 향상 (Efficiency), 신재생에너지 (Renewables Energy), 탄소 상쇄(Offset)의 세 가지의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공정 효율 향상 영역에는 불요 불급한 공정 설비의 운전을 제한하는 등의 수요 제한, 공정 최적화 또는 신기술 대체에 의한 공 정 내의 에너지 및 온실가스의 감축, 건물 설비 의 에너지 감축, 그리고 연료 및 소재의 효율적 인 사용 및 폐기물 감축 등이 있다. 신재생에너 지 영역에서는 풍력, 태양광, 바이오 연료 등 다 양한 신 재생에너지 중에서 어떤 에너지를 구입 할 것인지 또는 자체 생산할 것인지에 관한 것이 해당한다. 탄소 상쇄 영역에서는 탄소 포집 및 저장(CCS: Carbon Capture & Storage), 기업 간 배출권 거래, Clean Development Mechanism(CDM) / Voluntarily Carbon Standard(VCS) 프로젝트 등이 있다. Step IV.2 타당성 점검 타당성 점검에서는 감축대안 발굴에서 파악된 대안들을 대상으로 기술적 타당성을 점검하는 단 계이다. 먼저 해당 영역에 대한 경험을 보유한 기업 내외의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인터뷰 또 는 워크숍을 실시하고 복잡한 레벨에서 해당 대 안의 장단점을 분석하는 내부 타당성 조사 그리 고, 잠재 기술개발 측면에서 타당성 조사도 수행 된다. 또한 도출된 대안의 타당성을 공유하고 검 증하기 위한 워크숍도 수행된다. 일련의 과정 후 특정기업의 요구에 좀 더 부합하는 후보 대안들 의 리스트가 생성된다. Step IV.3의 경제적 타당 성 분석 후 최종적인 대안이 도출 가능하다. Step IV.3 경제성 분석 본 Step에서는 타당성 점검에서 도출된 후보 대안을 바탕으로 경제적으로 타당한 감축 대안을 선정하는 단계이다. 특정 대안의 현금흐름 파악 을 위한 기초데이터를 수집하고, 순현재가치법 (NPV: Net Present Value), 투자회수기간 (PBT: Payback Time), 투자수익률 (ROI: Return On Investment) 등의 다양한 분석방법 으로 감축 대안의 투자가치를 평가한다. 수집하 기 어려운 데이터에 관해서는 적절한 가정을 적 용한다. 이와 아울러 감축 대안 적용의 무형의 가치, 예를 들면 이해관계자 가치 (Stakeholder Values), 브랜드 가치, 혁신 가치 등을 함께 정 성적으로 평가한다. 2.6 GHGR Roadmap 작성 단계 V GHGR Roadmap 작성에서는 선정된 대안의 투자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먼 저 비용 감축 곡선 (CAC: Cost Abatement Curve) 분석을 통해 투자 대비 잠재 감축량을 산정하여 투자효용가치를 평가하고 다음 Step에 서 각 감축대안 별 실행의 난이도를 평가한다. 마지막으로 이 두 가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실 행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Step V.1 비용 감축 분석표 작성 본 Step에서는 GHGR 기회평가를 거쳐 파악된 감축 대안들을 대상으로 투자별 온실가스 잠재감 축량을 계산하여 비교하는 비용 감축 곡선(CAC) 을 작성한다. 이 곡선은 McKinsey에서 2007년 발표한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한다[4]. 베이스라 인 시나리오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고, 가장 적 절한 변수와 가정을 선택하여 시나리오를 개발한 다. 이 Curve는 다양한 시나리오를 적용 가능하 도록 개발한다. 그래프의 가로축은 감축량으로 정의하고 세로축은 톤당 감축 비용으로 정의한 다. 감축 비용 추정 시에는 감축 대안별로 연차 7-000678 -
별 한계저감비용을 분석하고, 배출원 별로 감축 대안을 비교 분석하며, 각 대안별 Life Cycle에 따른 비용 및 수익을 고려한다. 또한 잠재량 추 정 시에는 사업장별, 배출원별, 연차별, 대안별로 추정한다. Step V.2 GHGR 대안 선정 GHGR 대안 선정에서는 각 대안의 실행난이도 를 평가하여 Step V.1에서 파악한 사업가치 분 석의 자료와 비교 검토하여 투자가치가 있는 대 안을 파악하는 단계이다. 실행의 난이도를 평가 하기 위하여 각 대안을 개발하는 인력과의 인터 뷰, 그리고 재무적 판단기준을 평가하기 위해 의 사결정권자와의 인터뷰가 요구된다. 이러한 인터 뷰를 기초로 난이도 평가의 기준을 마련할 수 있 다. 특히, 각 배출원 별로 다수의 감축 옵션이 있을 경우 한계저감비용에 따라 전략적으로 선택 해야 한다. 감축 대안 선정을 위한 Qualification Matrix로 표시 할 수 있다. Qualification Matrix 의 가로축은 실행의 난이도로 정의하고 세로축은 잠재 감축량 기대효과로 정의한다. Step V.3 GHGR Roadmap 확정 GHGR Roadmap 확정은 이전의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실행의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단계이다. Step V.2에서 도출한 Qualification Matrix 결과를 기초로 감축 대안의 종류별로 로드맵의 초안을 작성하고, 워크숍을 통해 이해관계자의 피드백을 받아 최종안을 선정하는 과정을 거친다. 3. 적용 사례 국내 S사를 대상으로 환경경영 수준에 대한 전반적인 운영체계와 정책, 안전 및 보건관리 등에 대한 진단을 하였다. [그림 5]는 분석의 결과인데 S사는 상대적으로 운영관리체계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에너지 경영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림 6]에서 글로벌 선진사 대비 분석대상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역량을 평가하는 성숙도 분석의 결과이다. S사는 상대적으로 통합비용관리와 전략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림 5] S사의 환경경영 수준진단 결과 8-000679 -
[그림 6] S사의 성숙도 분석결과 통합비용관리(TCM: Total Cost Management) 에서는 선진사가 4.0/5.0인 반면 S사는 2.9/5.0 으로 분석 되었다. 그 이유는 S사의 비즈니스 전 략이 단기 수익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장기적인 대규모 투자가 불가 하였다. 또한 대규모 투자뿐 만 아니라 모든 재무적인 활동 및 의사결정에 있 어서 지속 가능성을 고려하지 못했다. 또한 전략에서는 선진사가 4.5/5.0 인 반면 S사 는 4.0/5.0으로 S사는 현재 경쟁사 및 그들의 목 표만 벤치마킹하고 있고, 어떻게 다른 조직을 벤 치마킹해야 하는지에 대한 인식이 없었다. 향후 종합적인 벤치마킹 개발을 통해 지속가능성 향상 을 올릴 수 있는 중요한 기회를 삼아야 한다. 그리고 S사의 중장기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위 한 시나리오를 도출한다. 첫 번째 시나리오는 S 사 감축목표 최소치로 2020년 정부 온실가스 감 축 목표를 설정한다. 두 번째 시나리오는 2008 년 12월 EU ETS가 전체 EU 산업 내 배출량 상한을 2005년 대비 21% 감축으로 수정한 사실 에 근거하여 일정량을 감축하는 것으로 수립한 다. 이는 온실가스 감축에 선도적으로 나서는 경 우를 상정한 시나리오이다. 세 번째 시나리오는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3]가 제시하는 감축 목표인 CO 2 농도 450ppm를 유지하기 위해 제시하는 기준을 따른 것이다. 이 경우 2005년 대비 28% 감축이 필요 하다. 두 번째 시나리오와 세 번째 시나리오에 따를 경우 에너지 효율화만으로는 감축목표 달성 이 불가능하므로 신재생에너지 및 탄소 상쇄 프 로그램의 참여가 필요하다. 4. 결론 본 논문에서는 글로벌 선진사의 환경규제 동 향이나 온실가스 감축 전략 사례에 대해서 살펴 보고, 체계적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Framework 의 범위 및 각 단계별 세부 Step에 대해 정의한 후, 산업이나 기업들의 운영 프로세스에서의 체 계적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Framework을 개발 하였다. 이와 아울러 개발된 Framework에 사례 를 적용하여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경영 및 운영 프로세스에서의 온실가스 감축(GHGR)을 위한 체계적 Framework의 개발로 예상되는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환경규제 관련하여 경영 및 운영프로세스를 점검하고 진단하여 개선과제를 도출하고 이행계획을 수립하여 실질적으로 환경규제도 고려하고 온실가스 배출 감축이 가능하다. 둘째 온실가스 배출 감축 잠재량의 체계적 분석은 시장분석, 경쟁자분석을 포함한 이해관계자 분석을 기초로 한 체계적인 Framework의 가이드에 의해 검토 가능한 감축 9-000680 -
대안 및 배출 감축 잠재량이 일목요연하게 파악 가능하다. 셋째 온실가스 배출 감축 프로젝트의 효율적 선정 및 투자를 위한 가이드제공은 투자 대비 감축 잠재량 및 실행의 용이성 평가를 기초로 한 Roadmap 제공으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배출 감축을 추진하여 장기적으로 추진해야 할 온실가스 감축을 일관되고 지속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환경규제 대응을 위한 환경경영 및 온실가스 감축을 통한 에너지 경영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Framework이 개발되었다. 향후에는 본 Framework에 온실가스 감축을 통해 얻어지는 탄소배출권을 관리하는 단계를 추가하여 저탄소 녹색성장을 성공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종합적인 Framework이 완성되어 국가나 기업들이 저탄소 녹색성장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참고문헌 [1]유동헌 외, 산업공정부문 온실가스 배출전망 최종보고서, 에너지 경제연구원, 4(21), 2004 [2]A.J. Hoffman, Getting Ahead of the Curve: Corporate Strategies That Address Climate Change, PEW Center on Global Climate Change, pp.111-138, 2006 [3]B. Metz, O.R. Davidson, P.R. Bosch, R. Dave, L.A. Meyer (ed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2007 [4]P.A. Enkvist, T. Nauclér, J. Rosander, A Cost Curve for Greenhouse Gas Reduction, The McKinsey Quarterly No.1, 2007 [5]World Business Counci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Nokia: Reducing mobile phone no-load energy Demand, 2008 [6]World Business Counci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General Electric, Energy efficiency as strategy, 2008 [7]World Resource Institute, Greenhouse Gas Protocol. www.ghgprotocol.org [8]녹색성장위원회, http://www.greengrowth.go.kr/www/policy/ skill/skill.cms [9]Philips website, www.philips.com/about/sustainability [10] Unilever website, www.unilever.com/sustainability/ [11]blog.naver.com/jnhlee/50111979953 중소기업의 국제환경규제 대응. KOTITI와 함께 하세요 [12]http://www.lg-sl.net/product/scilab/scienc estorylist/iqex/readsciencestorylist.mvc?sciencestorylistid=iqex2011040012 온실가스 배출권, 시장에서 거래한다, 2011 [13]http://www.seri.org 탄소시장의부상과비즈니스모델, 2007 10-0006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