特 殊 敎 育 再 活 科 學 硏 究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47, No. 3, pp. 179~199, 2008. 청각장애유아-어머니간의 책읽기 상호작용 유형 분석 The Analysis on Types of the Book-Reading Interaction between Hearing-Impaired Children and their Mothers 김 선 영 * 김 지 숙 ** Kim, Sun Young Kim, Ji Sook < 요 약 > 본 연구는 청각장애유아와 그들의 어머니간의 책읽기 과정에서 상호작용이 어떤 유 형으로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청각장애유아의 초기문해기술 수준에 따라 이 러한 책읽기 상호작용이 어떤 특성을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청각장애유아와 그들의 건청어머니 14쌍이었으며, 대상유아의 초기문해기술 수준에 따라 상위집단 7쌍 과 하위집단 7쌍으로 구성하였다. 대상유아의 평균생활연령은 54.21개월이었고, 인공 와우이식 유아로 주 의사소통 양식은 구화였다.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청각장 애유아와 그들의 어머니가 함께 동화책을 읽는 과제를 실시하였으며, 책읽기 과제 수행 중의 모든 과정을 녹화하여 전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청 각장애유아-건청어머니간의 책읽기 상호작용 유형 중에서 지시자 유형의 점수가 가장 높았고, 그다음은 촉진자 유형, 관찰자 유형 순이었다. 둘째, 상위집단은 촉진자 유형의 개시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이 지시자 유형, 관찰자 유형 순이었다. 하위집단은 지시자 유형의 개시 점수가 두드러지게 높았으며, 촉진자 유형은 중간 수준이었고, 관 찰자 유형의 점수가 가장 낮았다. 그러나 상하 두 집단 모두 지시자 유형의 피드백 점 수가 두드러지게 높았으며, 그다음이 촉진자 유형이었고, 관찰자 유형의 패드백 점수가 가장 취약하였다. 핵심어 : 청각장애, 책읽기, 상호작용, 초기문해기술 * 단국대학교 특수교육과 박사과정(교신저자 : cookie-sy@hanmail.net)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Dankook University ** 한국재활복지대학 수화통역과 교수 Department of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Korea National College of Rehabilitation & Welfare
特 殊 敎 育 再 活 科 學 硏 究 ( 第 47 卷 第 3 號 ) Ⅰ. 서 론 1.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형식적인 교육에 앞서 유아는 친숙한 인적ㆍ물리적 대상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연스럽게 문해경험을 축적해 나간다. 이러한 문해경험이 순환적으로 반복됨에 따라 처음에는 비관례적이었던 읽기쓰기행동이 점차 관례적인 형태로 전이된다. 일반적으로 일상맥락에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초기문해활동은 주 양육자 인 어머니와 함께 책을 읽는 것이며, 유아와 어머니가 함께 책읽기를 하는 것은 초기문해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예, Bus, et al., 1995; Snow, et al., 1998). 특히 유아와 어머니가 공동으로 문해활동에 참여하는 과정 중에 이루어 지는 양자간 상호작용은 문해발달에 매우 중요하다(예, Clay & Cazden, 1999; McNamee, 1990). Vygotsky(1987)는 근접발달영역내에서 개인발달을 촉진시 킬 수 있는 성인의 매개역할을 강조하였다. 매개자인 성인은 단서를 구조화시켜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말을 확장시켜주고 다른 사회적 매개를 통해 아동이 자 신의 학습을 점유해가거나 스스로 통제해 낼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 다(예, Moll & Greenberg, 1990). 따라서 어머니와 유아간의 상호작용에 바탕 을 둔 책읽기는 초심자인 유아가 능숙한 독자, 능숙한 저자로 성장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다. 건청유아의 초기문해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된 중재연구들(Justice & Ezell, 2000; Justice & Ezell, 2002; Otto, 1993; Smetana, 2005)과 청각장 애유아의 초기문해발달에 대해 조사한 특성연구들(Aram, et al., 2006; Aram, et al., 2008)은 모두 유아와 어머니간의 상호작용을 강조하였다. 건청유아와 그들의 어머니간의 책읽기 상호작용에 초점을 둔 중재프로그램들 은 건청유아의 초기문해기술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Justice와 Ezell (2000)은 초기문해기술을 증진시키기 위해 건청유아(평균생활연령 48개월)와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가정중심 책읽기중재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중재결 과, 촉진자극을 활용하는 것이 유아의 읽기반응유도에 효과적이었으며 단어인식, 인쇄물재인, 단어분절, 인쇄물개념 과제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또한 Justice 와 Ezell(2002)은 경제적 지위가 낮은 가정에서 양육 받고 있는 건청유아(평균 생활연령 53개월)와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Justice와 Ezell(2000)의 연구 를 반복ㆍ수행하였다. 인쇄물에 초점을 두고 어머니와 유아 간 책읽기 상호작용 을 강조한 중재집단의 사후점수가 전반적인 인쇄물인식, 단어인식, 인쇄물재인, - 180 -
청각장애유아-어머니간의 책읽기 상호작용 유형 분석 글자지식 과제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문해지체 위험군에 속하는 유치원생 28명 을 대상으로 가정과 교실맥락에서 이야기책 함께 읽기중재프로그램을 진행한 Otto(1993)의 연구에 따르면 대상유아 중 75%의 읽기출현수준이 향상되었다. 유아와 어머니 간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고 청각장애유아와 그들의 어머니가 함 께 읽고 함께 쓰는 초기문해활동은 청각장애유아의 문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밝혀졌다. Aram 등(2006)은 청각장애유아(평균생활연령 72개월) 30명과 그들의 어머니가 함께 읽고 함께 쓰는 과정에서 어머니의 매개역할이 청각장애유 아의 문해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유아의 배경요인을 통제시 켜 어머니의 문해매개형태 및 유아의 문해수행수준에 대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 과, 함께 읽기(상호작용적 읽기, 대화식 읽기, wh-질문)와 언어기술(음운인식, 일반지식, 수용어휘)간, 그리고 함께 쓰기(서기소매개, 인쇄물매개, 정확도 요구 수준, 과제지각정도)와 알파벳지식(단어쓰기, 단어재인, 글자지식)간 상관이 유의 하였다. 대상유아의 연령, 청력손실정도, 함께 쓰기 수행을 통제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했을 때 함께 읽기는 음운인식, 일반지식, 수용어휘를 설명해 주는 변인이었 으며, 대상유아의 연령, 청력손실정도, 이야기책말하기를 배제시킨 후 회귀분석을 실시했을 때 함께 쓰기는 단어쓰기, 단어재인, 글자지식을 설명해 주는 변인이었 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Aram 등(2006)은 함께 읽기뿐만 아니라 함께 쓰기에 초 점을 둔 초기문해중재가 청각장애유아에게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Aram 등(2008)은 Aram 등(2006)의 연구에서 획득한 원자료 중 함께 쓰기과정에서 나타난 수행결과를 인지적ㆍ정서적 측면에서 재분석하였다. 그 결 과, 특히 인지적 측면에서 어머니의 쓰기매개 역할은 대상유아의 단어쓰기, 단어 재인, 글자지식, 일반지식을 예언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Aram 등 (2008)은 청각장애유아와 그들의 어머니가 서로 공동으로 협력하여 쓰기를 해 나가는 상호작용과정에서 어머니의 매개역할이 초기문해발달에 중요하다고 보았 다. 이렇듯 어머니와 유아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문해과정 중에 이루어지는 양자 간 상호작용이 초기문해기술 향상에 중요하다는 견해가 힘을 얻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건청유아의 어머니들과 마찬가지로 청각장애유아의 어머니들도 일반적으로 어린 시기에 자녀와 함께 책을 읽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 그러나 청각장애유아는 건청유아와는 달리 주로 인공와우와 같은 청각채널을 통해 소리정보를 받아들이기 때문에 특히 청각장애유아의 어머니들은 어떤 방법 으로 자녀들과 함께 책을 읽는 것이 자녀의 문해기술을 향상시키는데 더 효과적 인가의 문제를 놓고 건청유아의 어머니들보다 더 많은 고민을 할 것이다. - 181 -
特 殊 敎 育 再 活 科 學 硏 究 ( 第 47 卷 第 3 號 ) 따라서 본 연구는 청각장애유아와 그들의 어머니간의 책읽기 상호작용이 어떤 유형으로 나타나는지, 그리고 청각장애유아의 초기문해기술 수준에 따라 이러한 책읽기 상호작용이 어떤 특성을 보이는지 알아봄으로써 청각장애유아의 가정 문 해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 문제 연구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청각장애유아-어머니간의 책읽기 상호작용 유형은 전반적으로 어떤 특성을 보이는가? 2. 청각장애유아의 초기문해기술 수준에 따라 유아-어머니간의 책읽기 상호 작용 유형은 어떤 특성을 보이는가?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청각장애유아-어머니 간 책읽기 과제에 참여한 대상자는 청각장애유아와 건 청어머니 14쌍으로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청각장애유아와 그들의 건청어머 니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최근 인공와우를 시술받은 청각장애유아가 많기 때 문에 인공와우 이식수술을 한 지 24개월 이상이 지난 청각장애유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들은 모두 시각적, 인지적, 행동적, 정서적 문제가 없었고, 구화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대상유아의 생활연령은 47 ~ 65개월, 그림어휘력검사(김영 태 등, 1995) 점수는 30 ~ 50이었다. 초기문해기술 수준에 따른 상호작용유형을 살펴보기 위해 인쇄물개념검사(김 선희, 2003), 글자이름말하기검사(김선옥, 2005) 및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 중 읽기검사와 쓰기검사(김남희, 2005) 점수를 합산한 종합점수(composite score) 를 준거로 연구대상자로 선정된 청각장애유아 14명을 각각 7명씩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대상유아의 집단별 특성은 <표 2-1>과 같다. 대상유아의 전반적인 특성은 <부록 1>에 제시하였다. - 182 -
청각장애유아-어머니간의 책읽기 상호작용 유형 분석 <표 2-1> 대상유아의 집단별 특성 집단 사례수 평균 보청청력(dB) 어휘력 (PPVT-R) 초기문해기술 종합점수 (남, 여) 생활연령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상위집단 7(2, 5) 54.29 28.57(4.76) 42.57(10.11) 27.57(19.16) 하위집단 7(4, 3) 54.14 31.43(3.78) 41.86(2.19) 2.43(1.72) 전체 14(6, 8) 54.21 30.00(4.39) 42.21(7.04) 15.00(18.46) 생활연령, 보청청력, 어휘력, 초기문해기술 종합점수에 대한 상하집단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은 생활연령(t=-.050, p=.961), 보청 청력(t=1.244, p=.237), 어휘력(t=-.183, p=.861)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 나, 초기문해기술 종합점수(t= -3.459, 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초기문해기술 수준에 따른 대상자별 어머니의 전반적인 특성은 유사하였다. 즉 대상어머니의 연령은 33 ~ 40세(상위집단 평균 세, 하위집단 평균 세)였고, 최종학력은 고졸 4명(상위집단 2명, 하위집단 2명), 대졸 10명(상위집단 5명, 하위집단 5명)이었으며, 월수입은 모두 200만원 이상이었다. 어머니의 문해태도는 어떤 특성을 갖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한찬희(2006) 가 고안한 질문지에 기초하여 어머니의 문해태도에 관련된 문항들을 추출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 설문에는 총 40문항이 포함되어 있고, 6영역으로 구성되 어 있으며, 모든 문항은 5점 척도였다. 즉 교육에 대한 효능감 9문항, 책읽기에 대한 긍정적 감정 11문항, 책읽기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7문항, 책읽기에 관한 교수지도 4문항, 읽기발달에 대한 부모지식 5문항, 책읽기와 관련된 문해자원 4 문항이었다. 대상어머니의 문해태도에 대한 집단별 평균점수는 <표 2-2>와 같 다. 대상어머니의 문해태도에 대한 영역별 총점은 <부록 2>에 제시하였다. - 183 -
特 殊 敎 育 再 活 科 學 硏 究 ( 第 47 卷 第 3 號 ) <표 2-2> 대상어머니의 문해태도에 대한 집단별 평균점수 집단 교육 책읽기 언어적 책읽기 읽기발달 책읽기 효능감 긍정감정 상호작용 교수지도 부모지식 문해자원 상위집단 35.86 (2.61) 40.43 (4.86) 28.29 (4.39) 17.14 (1.46) 21.86 (2.79) 14.00 (3.92) 하위집단 38.36 (3.53) 43.71 (4.27) 29.14 (1.95) 14.57 (2.70) 22.00 (1.53) 15.43 (2.15) 전체 37.36 (3.37) 42.07 (4.71) 28.71 (3.29) 15.86 (2.48) 21.93 (2.16) 14.71 (3.12) 교육 효능감 = 교육에 대한 효능감 책읽기 긍정감정 = 책읽기에 대한 긍정적 감정 언어적 상호작용 = 책읽기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책읽기 교수지도 = 책읽기에 관한 교수지도 읽기발달 부모지식 = 읽기발달에 대한 부모지식 책읽기 문해자원 = 책읽기와 관련된 문해자원 대상어머니의 문해태도가 대상유아의 초기문해기술 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지 알아보기 위해 두 집단의 문해태도 영역별 평균값에 대해 t검증을 실시하였 다. 그 결과, 두 집단은 교육에 대한 효능감(t=1.807, p=.096), 책읽기에 대한 긍정적 감정(t=1.344, p=.204), 책읽기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t=.472, p=.645), 읽기발달에 대한 부모지식(t=.119, p=.908), 책읽기 문해자원(t=.846, p=.414)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책읽기에 관한 교수지도(t=-2.216, 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하위집단에 속한 대상어머니보 다 상위집단의 대상어머니가 책읽기에 관한 교수지도에서 좀더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2. 도구 대상유아의 어휘력을 측정하기위해 그림어휘력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초기문 해기술 수준을 측정하기위해 인쇄물개념검사, 글자이름말하기검사 및 유아기초 학습기능검사를 사용하였다. 또한 대상유아-어머니간의 책읽기 과제를 실시하기 위해 동화책을 사용하였다. - 184 -
청각장애유아-어머니간의 책읽기 상호작용 유형 분석 1) 그림어휘력검사 그림어휘력검사(김영태, 장혜성, 임선숙, 백현정, 1995)는 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 Revised(PPVT-R)를 모체로 2세 ~ 8세 시기의 수용어휘 능 력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총 112문항으로 구성된 이 검사는 네 가지 그 림이 들어있는 카드를 제시하면 검사자가 말한 단어의 그림을 피검사자가 지적 하게 하는 방식으로 실시된다. 점수범위는 0 ~ 112점이다. 2) 인쇄물개념검사 인쇄물개념검사(CAP: Concepts About Print)는 책읽기 상황에서 인쇄물에 관한 이해정도를 측정하는 도구이다. Clay(2000a)가 개발한 것을 김선희(2003) 가 한국 상황에 맞게 수정ᆞ보완한 과제를 사용하였으며, 검사용 책은 Follow me, moon (Clay, 2000b)을 번안하여 수정한 나를 따라와요, 달님 이었다. 이 검사는 상급인쇄물 개념(쉼표, 조사의 띄어쓰기, 따옴표, 마침표, 받침, 물음표, 단어개념), 인쇄물 관례(읽는 방향, 왼쪽으로 돌아옴, 인쇄물이 내용을 반영함), 책에 대한 개념(책의 앞면, 글이 시작하는 곳), 인쇄물의 방향(뒤집힌 본문, 글자 하나씩 짚기, 시작과 끝 개념, 그림이 뒤집어짐, 왼쪽부터 읽기, 뒤집을 수 있는 단어, 글자개념, 단어의 시작과 끝), 인쇄물순서(단어순서 바뀜, 시작과 끝 글자 순서 바뀜, 중간 글자순서 바뀜, 줄 순서 바뀜)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 별로 정반응일 경우 1점이 부가되며 오반응일 경우 0점으로 처리한다. 총 문항수 가 24개이므로 모든 문항에서 정반응을 보일 경우 총점은 24점이 된다. 3) 글자이름말하기검사 글자이름 말하기 검사는 김선옥(2005)이 유아의 읽기에 대한 글자지식의 영 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Wagner 등(1994, 1997)의 연구에 기초하여 고안한 도 구이다. 이는 검은색 신명조체의 컴퓨터 글씨를 부착하여 만든 총 24장의 글자 카드(15 10cm)를 한 장씩 제시하여 자음 14자와 모음 10자의 이름을 말하게 하는 과제이다. 낱자이름을 맞게 말하면 1점, 틀리게 말하면 0점으로 처리하며 다 맞을 경우 총점은 24점이다. 4)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 유아기초학습능력검사는 취학가능 연령인 만5세, 6세 유아의 기초학습기능을 측정하는 도구이다(김남희, 2005). 이 검사 중 읽기영역검사는 총 25문항으로 글자변별 2문항, 단어읽기 12문항, 문장읽기 7문항, 이야기읽기 4문항이 포함되 - 185 -
特 殊 敎 育 再 活 科 學 硏 究 ( 第 47 卷 第 3 號 ) 어있으며, 쓰기영역검사는 총 18문항으로 쓰기이전 4문항, 단어만들기 5문항, 보고쓰기 2문항, 단어쓰기 7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대부분의 문항은 실패하면 0점, 성공하면 1점을 받게 되어 있으며 영역별로 가능한 점수는 읽기영역 0 ~ 25점, 쓰기영역 0 ~ 26점이다. 5) 동화책 책읽기 과제용 그림 동화책은 유아에게 적절한 그림책의 선정 기준(이경우 등, 1997)과 청각장애유아의 감각특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에서 사용한 그림 동화책 우리 엄마 어디 있어요? (서남희 역, 2003)는 그림 이 선명하고, 그림 한 장 당 5개 이하의 문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 문장의 길이는 문장 6어절을 넘지 않았다. 또한 전체 문장 속에 동일한 어휘가 반복적 으로 나타났으며, 뒤이어 나오는 내용을 예측할 수 있도록 순차적인 내용으로 구성된 것이었다. 3. 연구절차 본 실험에 앞서 대상유아와 그들의 어머니의 전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그림어휘력검사 및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대상유아의 초기문해기술 수준을 측정 하기 위해 인쇄물개념, 글자이름말하기, 읽기쓰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에 관한 기초정보를 수집한 다음, 책읽기 과제를 청각장애유아와 그 들의 어머니간의 책읽기 상호작용을 살펴보기 위해 그림 동화책을 활용하여 함 께 책읽기 과제를 실시하여 전사한 후, 책읽기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자유롭게 자녀와 어머니가 이야기를 나누면서 책을 함께 읽어 보게 하였고, 시간제한은 없었으며, 실험장소는 대상유아의 가정이었다. 책읽기 과제를 수행하는데 걸린 시간은 20-30분정도였으며, 모든 실험내용은 녹음과 동시에 비디오를 사용해 녹화하였다. 4. 채점 및 분석 청각장애유아-어머니간의 책읽기 상호작용이 어떤 유형으로 나타나는지 조사 하기 위해 어머니가 먼저 책읽기 상호작용을 시작하는 개시 형태와 유아의 읽기 행동에 대해 어머니가 반응해 주는 피드백 형태로 범주화한 다음, 어머니가 책 읽기에 참여하는 역할에 따라 지시자, 촉진자, 관찰자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즉 개시 및 피드백 측면에서 각 유형별 상호작용 특성을 구별하여 분석하였다. 이 - 186 -
청각장애유아-어머니간의 책읽기 상호작용 유형 분석 러한 분류는 치료사, 교사 등의 중재자 역할에 따른 중재특성(Fey, 1986; Justice & Kaderavek, 2004; Wolfgang, 1999)에 기초한 것이다. 책읽기 상호작용 유형별 개시 및 피드백 분석 준거는 <표 2-3>에 제시하였 다. 어머니 역할에 따른 세 가지 상호작용유형별 개시 및 피드백 형태는 다음과 같다: 지시자 유형의 경우 개시형태는 폐쇄형질문(I1), 설명하기(I2), 시범보이 기(I3)로 나누어지며, 피드백형태에는 정오답여부 알려주기(F1)가 있다. 촉진자 유형의 경우 개시형태는 개방형질문(I4)과 요구하기(I5)로 구분되며, 피드백형 태는 자발적 의도에 대한 칭찬(F2)과 촉진자극에 대한 반응(F3, F4, F5)으로 구별된다. 관찰자 유형의 경우 개시형태에는 의견을 묻는 질문(I6), 방향제시를 위한 간접언급(I7)이 있으며, 피드백형태에는 유아의 의도에 따른 간접언급(F6) 과 유아가 질문한 것에 대해 의견 되묻기(F7)가 있다. 각각의 개시(I1 ~ I7) 및 피드백(F1 ~ F7) 형태별 빈도수에 기초하여, 상호작 용 유형별 개시(I1 ~ I3, I4 ~ I5, I6 ~ I7) 및 피드백(F1, F2 ~ F5, F6 ~ F7) 형태에 대한 백분율을 산출하는 방식으로 채점하였다. - 187 -
特 殊 敎 育 再 活 科 學 硏 究 ( 第 47 卷 第 3 號 ) <표 2-3> 책읽기 상호작용 유형별 개시 및 피드백 분석 준거 상호작용특성 지시자 유형 촉진자 유형 관찰자 유형 개시 (I: Initiation) 피드백 (F: Feedback) ᆞ폐쇄형질문 (I1) 예, 아기 물고기는 이름은 하양이지? ᆞ설명하기 (I2) 예, 하양이가 엄마를 잃어 버려서 울고 있단다. ᆞ시범보이기 (I3) 예, 엄마는 어디 있을까 라고 먼저 읽어준다. ᆞ정오답여부 (F1) 예, 그래, 맞았어, 야 ᆞ개방형질문 (I4) 예, 하양이가 왜 울고 있을까? ᆞ요구하기 (I5) 예, 빨간색 게가 어디에 있는지 찾아보자, 야 ) ᆞ자발적 의도-칭찬 (F2) 예, 유아가 읽으려고 시도할 때마다 참, 잘 읽네. 라고 칭찬해 준다. ᆞ촉진자극에 대한 반응 -적절; 칭찬-확장 (F3) 예, 옳지, 잘 읽었어, 하양이가 바다 속에서 엄마를 찾다가 빨간 색 게를 만났어 -부적절; 수정-설명시범 -모방 (F4) 예, 어머니- 노란색 불가사리가 아니고, 주황색 불가사리지, 유아- 주황색 불가사리 -무반응; 설명시범-모방 (F5) 예, 어머니 - 하양이가 엄마를 찾아다녀. 어! 하양이의 엄마일까요?, 유아 - 하양이의 엄마일까요? ᆞ의견묻는 질문 (I6) 예, 누가 먼저 읽을까?, 어떤 색 물고기가 제일 좋니? ᆞ방향제시를 위한 간접언급 (I7) 예, 아기 물고기 어딜 가고 있는 그림이네 ᆞ의도-간접언급 (F6) 예, 는 하양이는 하얀색이야 하네 ᆞ질문-의견되묻기 (F7) 예, 유아- 문어는 무슨 색이야?. 어머니- 는 문어가 무슨 색이라고 생각하니? - 188 -
청각장애유아-어머니간의 책읽기 상호작용 유형 분석 5. 신뢰도 신뢰도는 전사자간 발화전사 신뢰도와 분석자간 분석신뢰도를 살펴보았다. 청각 언어장애아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대학원생 1명과 연구자 1인이 청각장애유아와 어머니가 책을 읽는 과정에 나타난 발화를 전사하였다. 총 전사자료 중 20%를 추출하여 신뢰도를 산출한 결과, 두 채점자 간 발화전사 신뢰도는 97.5%였다. 상호작용 유형 분석은 모두 세 명의 채점자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제 1채점자 는 박사과정에서 특수교육학을 전공하는 대학원생 1명이었으며, 제 2, 3채점자 는 연구자 2명이었다. 채점은 제 1채점자와 제 2채점자가 각각 독립적으로 하 였으며, 이 두 채점자간 일치도는 지시자 유형에서 98%, 촉진자 유형에서 96.5%, 관찰자 유형에서 97%이었다. 두 채점자의 채점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 제 3채점자에게 의뢰하였고, 3명중 2인이 동의한 분류로 채점하였다. 6. 자료처리 청각장애유아와 그들의 어머니간의 책읽기 상호작용 유형이 어떤 특성으로 나 타나는지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여 상호작용 유형별 개시 및 피 드백 형태에 대한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청각장애유아-어머니간의 전반적인 책읽기 상호작용 유형 분석 전반적인 청각장애유아-건청어머니간의 책읽기 상호작용 특성을 살펴보기 위 해 총 17가지 상호작용 형태가 나타난 빈도수에 기초하여 지시자, 촉진자, 관찰 자 유형별 전체 상호작용, 개시, 피드백에 대한 백분율 점수를 각각 산출하였다. 즉 폐쇄형질문(I1), 설명하기(I2), 시범보이기(I3), 정오답여부 알려주기(F1) 가 나타난 빈도수를 기준으로 지시자 유형의 전체 상호작용 평균점수를 백분율 로 산출하였고, 개방형질문(I4)과 요구하기(I5), 자발적 의도에 대한 칭찬(F2) 과 촉진자극에 대한 반응(F3, F4, F5)이 나타난 빈도에 기초하여 촉진자 유형 의 전체 상호작용 평균점수를 백분율로 산출하였으며, 의견을 묻는 질문(I6), 방 향제시를 위한 간접언급(I7), 유아의 의도에 따른 간접언급(F6)과 유아가 질문 한 것에 대해 의견 되묻기(F7)가 나타난 빈도수에 근거하여 관찰자 유형의 전 - 189 -
特 殊 敎 育 再 活 科 學 硏 究 ( 第 47 卷 第 3 號 ) 체 상호작용 평균점수를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각 유형별로 산출된 개시 백분율 평균점수는 지시자 유형의 경우 I1, I2, I3가 나타난 빈도수에 기초하였고, 촉진 자 유형의 경우 I4와 I5가 나타난 빈도점수에 기초하였으며, 관찰자 유형의 경 우 I6과 I7이 나타난 빈도수에 기초하였다. 그리고 각 유형별로 산출된 피드백 백분율 평균점수는 지시자 유형의 경우 F1이 나타난 빈도수에 기초하였고, 촉진 자 유형의 경우 F2, F3, F4, F5가 나타난 빈도점수에 기초하였으며, 관찰자 유 형의 경우 F6과 F7이 나타난 빈도수에 기초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상호작용 형태에서 지시자 유형은 61%, 촉진자 유형은 34%, 관찰자 유형은 5%였고, 개시 형태에서는 지시자 유형이 54%, 촉진자 유형이 40%, 관찰자 유형이 6%로 나타났으며, 피드백 형태에서는 지시자 유형이 78%, 촉진자 유형이 19%, 관찰자 유형이 3%였다. 전반적으로 청각장애유아-건청어머니간의 책읽기 상호작용 유형 중에서 지시 자 유형의 점수가 가장 높았고, 그다음은 촉진자 유형, 관찰자 유형은 순이었다 (그림 3-1). 또한 어머니가 상호작용을 개시하는 형태에서든 피드백을 주는 형 태에서든 모두 지시자 유형의 점수가 두드러지게 높았으며, 그다음이 촉진자 유 형이었고 마지막으로 관찰자 유형의 점수가 가장 낮았다(그림 3-2, 그림 3-3). 70% 60% 전체 평 균 점 수 50% 40% 30% 20% 10% 0% 지시자유형 촉진자유형 관찰자유형 <그림 3-1> 상호작용 유형별 전체 상호작용 백분율 평균점수 - 190 -
청각장애유아-어머니간의 책읽기 상호작용 유형 분석 60% 50% 개시 평 균 점 수 40% 30% 20% 10% 0% 지시자유형 촉진자유형 관찰자유형 <그림 3-2> 상호작용 유형별 개시 백분율 평균점수 평 균 점 수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지시자유형 촉진자유형 관찰자유형 피드백 <그림 3-3> 상호작용 유형별 피드백 백분율 평균점수 - 191 -
特 殊 敎 育 再 活 科 學 硏 究 ( 第 47 卷 第 3 號 ) 2. 청각장애유아의 초기문해기술 수준에 따른 유아-어머니간의 책읽기 상호작용 유형 분석 청각장애유아의 초기문해기술 수준에 따라 유아-어머니간의 책읽기 상호작용 유형은 어떤 특성을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지시자, 촉진자, 관찰자 유형별 개 시 형태, 피드백 형태에 대한 백분율 점수를 상하집단으로 구분하여 각각 산출 한 후,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의 상호작용 유형별 백분율 평균점수를 비교해 보았 다. 즉 지시자 유형의 경우 개시 백분율 평균점수는 I1, I2, I3가 나타난 빈도수 를 기준으로, 피드백 백분율 평균점수는 F1이 나타난 빈도수를 기준으로 산출하 였다. 촉진자 유형의 경우 I4와 I5가 나타난 빈도점수에 기초하여 개시 백분율 평균점수를 구했으며, F2, F3, F4, F5가 나타난 빈도점수에 기초하여 피드백 백분율 평균점수를 구했다. 관찰자 유형의 경우 개시 백분율 평균점수는 I6과 I7이 나타난 빈도수를 기준으로, 피드백 백분율 평균점수는 F6과 F7이 나타난 빈도수를 기준으로 산출하였다.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에서 산출된 상호작용 유형별 개시 백분율 평균점수를 비 교해 보면, 상위집단의 경우 지시자 유형이 36%, 촉진자 유형이 52%, 관찰자 유형이 12%로 나타났으며, 하위집단의 경우 지시자 유형이 71%, 촉진자 유형 이 29%, 관찰자 유형이 1%였다. 즉 상위집단은 촉진자 유형의 개시 점수가 다 른 두 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지시자 유형의 개시 점수는 촉진자 유 형보다는 낮았지만 관찰자 유형보다는 높았다. 이에 반해 하위집단은 지시자 유 형의 개시 점수가 탁월하게 우세하였으며, 촉진자 유형의 개시 점수는 중간 수 준이었고, 관찰자 유형의 개시 점수가 가장 낮았다.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에서 산출된 상호작용 유형별 피드백 백분율 평균점수를 비교해 보면, 상위집단의 경우 지시자 유형이 71%, 촉진자 유형이 23%, 관찰 자 유형이 6%로 나타났으며, 하위집단의 경우 지시자 유형은 86%, 촉진자 유 형은 14%, 관찰자 유형은 0%였다. 즉 상하 두 집단 모두 지시자 유형의 피드 백 점수가 두드러지게 높았으며, 그다음이 촉진자 유형이었고, 관찰자 유형의 패 드백 점수가 가장 낮았다. <그림 3-4>는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의 지시자, 촉진자, 관찰자 유형별 개시 백분율 평균점수를, 그리고 <그림 3-5>는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의 지시자, 촉진 자, 관찰자 유형별 피드백 백분율 평균점수를 나타낸 것이다. - 192 -
청각장애유아-어머니간의 책읽기 상호작용 유형 분석 개 시 평 균 점 수 80% 70% 60% 50% 40% 30% 20% 상집단 하집단 10% 0% 지시자유형 촉진자유형 관찰자유형 <그림 3-4>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의 상호작용 유형별 개시 백분율 평균점수 100% 90% 80% 상집단 하집단 피 드 백 평 균 점 수 70% 60% 50% 40% 30% 20% 10% 0% 지시자유형 촉진자유형 관찰자유형 <그림 3-5>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의 상호작용 유형별 피드백 백분율 평균점수 - 193 -
特 殊 敎 育 再 活 科 學 硏 究 ( 第 47 卷 第 3 號 ) Ⅳ.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청각장애유아와 그들의 어머니간의 책읽기 과정에서 상호작용이 어 떤 유형으로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청각장애유아의 초기문해기술 수 준에 따라 이러한 책읽기 상호작용이 어떤 특성을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 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청각장애유아-건청어머니간의 책읽기 상호작용 유형 중에서 지시자 유형의 점수가 가장 높았고, 그다음은 촉진자 유형, 관찰자 유형 순이었 다. 이를 통해 청각장애유아와 그들의 어머니가 함께 책을 읽을 때 청각장애유 아의 어머니들은 유아스스로 문해를 탐색하도록 의견을 묻는 질문이나 방향제시 를 위한 간접언급을 활용하기 보다는 지시자 입장에서 폐쇄형질문으로 대화를 시작하거나 설명과 시범을 직접적으로 먼저 보이면서 유아의 반응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책읽기에 참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촉진자 유형의 점수가 관찰자 유형보다는 높았지만 지시자 유형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유아가 문자를 터득해 나가면서 읽기가 숙달되기까지의 시기를 4 ~ 6세 시기동안 문자터득기로 볼 때(윤혜경, 1997), 이러한 결과는 문해발달 상 관례적인 문해능력을 갖추기 전 시기지만, 읽고 쓰는 행동이 발현되는 과도 기에 속하는 대상유아의 연령수준으로 인해 야기된 것으로 추론해 볼 수 있다. 실제적으로 2명을 제외한 모든 대상유아의 초기문해기술 수준이 독립적으로 완 전하고 정확하게 읽고 쓰진 못하더라도 비관례적인 형태와 관례적인 형태가 혼 합되어 나타나는 전이단계에 있었다. 둘째, 상위집단은 촉진자 유형의 개시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이 지시자 유형, 관찰자 유형 순이었다. 하위집단은 지시자 유형의 개시 점수가 두드러지게 높았으며 촉진자 유형은 중간 수준이었고, 관찰자 유형의 점수가 가장 낮았다. 이는 개시 형태에서 산출된 상호작용 유형이 두 집단간에 상이한 양상으로 나타 났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상하 두 집단 모두 지시자 유형의 피드 백 점수가 두드러지게 높았으며, 그다음이 촉진자 유형이었고, 관찰자 유형의 패 드백 점수가 가장 취약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개시 형태와 피드백 형태에 서 산출된 상호작용 유형의 특성은 상이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상위집단의 경우 촉진자 유형의 개시 점수가 지시자 유형과 관찰자 유형 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난 점과 하위집단의 경우 다른 두 유형보다 지시자 유형의 점수가 개시 및 피드백 형태에서 모두 더 우세하게 산출된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는 초기문해기술 수준이 낮은 청각장애유아의 어머니들은 주로 지시자 입장에 - 194 -
청각장애유아-어머니간의 책읽기 상호작용 유형 분석 서 책읽기 상호작용을 주도하는 반면, 초기문해기술 수준이 높은 청각장애유아 의 어머니들은 촉진자 입장에서 유아의 책읽기반응을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방식 으로 상호작용을 한다는 의미이다. 이처럼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의 책읽기 상호작용 유형별 특성이 서로 다르게 나타난 결과는 청각장애유아와 그들의 어머니가 함께 참여하는 책읽기 상호작용 에서 어머니의 매개역할이 청각장애유아의 초기문해성취에 영향을 준다는 견해 (Aram et al., 2006, Aram et al., 2008)를 지지한다. 또한 이는 의사소통 수 준이 낮은 유아의 어머니가 그렇지 않은 유아의 어머니에 비해 더 지시적으로 상호작용하였으며, 상호작용 시 어머니가 그들의 유아에게 요구하는 인지적 수 준 또한 낮게 나타났다는 Pellegrini 등(1985)의 결과에 부합된다. Pellegrini 등의 견해에 근거하면, 청각장애유아의 어머니들은 자녀의 초기문해기술 수준에 맞게 책읽기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어머니의 문해태도 조사 결과, 하위집단에 속한 대상어머니보다 상위집단의 대상어머니가 책읽기에 관한 교수지도에서 좀더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던 점이 이러한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청각장애유아와 그들의 어머니간의 책읽기 상호작 용 유형이 어떤 특성을 보이는지 살펴봄으로써 청각장애유아와 그들의 어머니간 의 책읽기 상호작용 과정에서 어머니가 자녀의 읽기를 어떻게 지원해 주고 있는 지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각장애유아의 어머니들이 책을 읽어 줄때 자녀의 초기문해기술 수준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상호작용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 사하며, 청각장애유아의 가정 문해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전반적인 책읽기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한 결과, 무엇보다도 지시자 유형이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 인해 청각장애유아의 부 모들이 가정에서 읽기쓰기를 지도할 때 다양한 개시 및 피드백 방법 중 특히 촉 진자 유형의 상호작용 특성에 초점을 둔 부모교육프로그램이 요구된다. - 195 -
特 殊 敎 育 再 活 科 學 硏 究 ( 第 47 卷 第 3 號 ) 참 고 문 헌 김남희 (2005).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 개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부산 대학교. 김선옥 (2005). 유아의 읽기에 대한 음운처리과정, 글자지식 및 언어능력의 영향력 분석.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부산대학교. 김선희 (2002). 한국 아동의 인쇄물 개념 습득과 언어능력의 관계. 미간행 석사 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김영태, 장혜성, 임선숙, 백현정 (1995). 그림어휘력검사. 서울: 서울장애인종합 복지관. 서남희 역 (2004). 우리 엄마 어디 있어요? 서울: 한울림 어린이. 윤혜경 (1997). 아동의 한글 읽기 발달에 관한 연구: 자소-음소 대응 규칙의 터득을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부산대학교. 한찬희 (2006). 만 2세 영아의 문해발달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와 가정문해환 경.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Aram, D., Most, T., & Mayafit, H. (2006). Contributions of mother-child storybook telling and joint writing to literacy development in kindergartners with hearing loss. Language, Speech & Hearing Services in Schools, 37(3), 209-223. Aram, D., Most, T., & Simon, A. B. (2008). Early literacy of kindergartners with hearing impairment: The role of mother-child collaborative writing.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28(1), 31-41. Bus, A. G., Van IJzendoorn, M. H., & Pellegrini, A.D. (1995). Storybook reading makes for success in learning to read. A meta-analysis on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literacy.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5(1), 1 21. Clay, M. M., & Cazden, C. B. (1999). A Vygotskian interpretation of reading recovery. In P. Lloyd & C. Fernyhough (Eds.), Lev Vygotsky: Critical assessments (Vol. 3, pp. 354-370). London : Routledge. Fey, M. E. (1986). Language intervention with young children. Newton, MA : Allyn & Bacon. - 196 -
청각장애유아-어머니간의 책읽기 상호작용 유형 분석 Justice, L. M., & Ezell, H. K. (2000). Enhancing children s print and word awareness through home-based parent interven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9(3), 257-269. Justice, L. M., & Ezell, H. K. (2002). Use of storybook reading to increase print awareness in at-risk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1(1), 17-29. Justice, L. M., & Kaderavek, J. N. (2004). Embedded-explicit emergent literacy intervention I: Background and description of approach. Language, Speech, and Hearning Services in Schools, 35(3), 201-211. McNamee, G. D. (1990). Learning to read and write in an inner-city setting: A longitudinal study of community change. In L. C. Moll (Ed.), Vygotsky and education: Instructional implications and applications of sociohistorical psychology (pp. 287-303). Ca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Moll, L. C., & Greenberg, J. B. (1990). Creating zones of possibilities: Combining social contexts for instruction. In L. C. Moll (Ed.), Vygotsky and education: Instructional implications and applications of sociohistorical psychology (pp. 89-111). Ca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Otto, B. W. (1993). Signs of emergent literacy among inner-city kindergartners in a storybook reading program. Reading and Writing Quarterly: Overcoming Learning Difficulties, 9(2), 151-162. Pellegrini, A. D., Brody, G. H., & Sigel, I. E. (1985). Parents book-reading habits with their childre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7(3), 332-340. Snow, C. E., Burns, M. S., & Griffin, P. (1998). Preventing Reading difficulties in young children. Washington, DC : National Academy Press. Vygotsky, L. S. (1987). Thinking and speech. In R. W. Rieber & A. S. Carton (Eds.), The collected works of L. S. Vygotsky (Vol. 1, pp. 39-285). New York: Plenum. Wolfgang, C. H. (1999). Solving discipline and classroom management problems: Methods and models for today s teachers (4th ed.). New York: John Wiley & Son. - 197 -
特 殊 敎 育 再 活 科 學 硏 究 ( 第 47 卷 第 3 號 ) <Abstract> The Analysis on Types of the Book-Reading Interaction between Hearing-Impaired Children and their Mothers Kim, Sun Young Kim, Ji Sook This study investigated types of interaction during storybook reading between hearing-impaired children and their mothers. The subjects were 14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and used oral speech. Their average chronological age was 54.21months. One child and its mother made up a pair. To analyze types of the book-reading interaction, each pair did joint book reading task. We recorded on video tape and transcribed the process of reading during doing the tasks.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ly, totally subjects mothers used more directive type than the other types in reading interaction. Secondly, it was found, when mothers whose children were with a high level on early literacy tasks initiated interaction, that facilitator type was scored the best and directive type was better than observer type. As mothers initiated interaction in a low level group, directive type was most frequently, then were followed by facilitator and observer type. Regardless of child's level of literacy skills, mothers showed more directive type than the other types in giving feedback to their children. Key Words : child with hearing impairment, book-reading interaction, early literacy skills 논문접수 : 2008. 8. 05 / 수정본 접수 : 2008. 9. 08 / 게재 승인 : 2008. 9. 17-198 -
청각장애유아-어머니간의 책읽기 상호작용 유형 분석 <부록 1> 대상유아의 전반적인 특성 대상 하위 성별 생활 보청청력 어휘력 초기문해기술 유아 집단 연령 (db) (PPVT-R) 종합점수 1 하 남 65 35 40 0 2 하 남 47 30 40 0 3 하 여 55 25 42 3 4 하 여 50 30 40 3 5 하 남 50 35 43 3 6 하 남 58 35 42 4 7 하 여 54 30 46 4 8 상 여 56 25 40 7 9 상 여 61 35 30 10 10 상 남 50 35 30 12 11 상 남 50 25 56 29 12 상 여 55 25 42 33 13 상 여 50 25 50 44 14 상 여 58 30 50 58 <부록 2> 대상어머니의 문해태도에 대한 영역별 점수 대상 하위 교육 책읽기 언어적 책읽기 읽기발달 책읽기 유아 집단 효능감 긍정감정 상호작용 교수지도 부모지식 문해자원 1 하 40 45 30 17 24 17 2 하 32 35 27 11 22 12 3 하 41 46 31 19 24 17 4 하 43 46 26 13 20 14 5 하 39 44 29 14 21 16 6 하 40 48 31 15 22 18 7 하 37 42 30 13 21 14 8 상 37 35 25 16 23 16 9 상 32 41 25 16 19 13 10 상 38 40 28 17 19 14 11 상 35 38 29 20 25 7 12 상 33 37 23 17 19 13 13 상 37 42 34 16 23 20 14 상 39 50 34 18 25 15 교육 효능감 = 교육에 대한 효능감 책읽기 긍정감정 =책읽기에 대한 긍정적 감정 언어적 상호작용 = 책읽기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책읽기 교수지도 = 책읽기에 관한 교수지도 읽기발달 부모지식 = 읽기발달에 대한 부모지식 책읽기 문해자원 = 책읽기와 관련된 문해자원 - 19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