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DBAC5D7C7C72DC1B6C7F6B4EB28C3D6C1BE292E687770>



Similar documents
목 차 요 약 1 제1부 국가과학기술비전 Ⅰ. 과학기술기본계획 수립의 배경과 의의 25 Ⅱ. 국내외 과학기술 환경 변화와 과제 27 Ⅲ. 국가과학기술 비전 및 정책방향 40 제2부 국가전략과학기술의 개발 Ⅰ. 지식-정보-지능화 사회구현을 위한 기술 개발 49 Ⅱ. 건강

미디어펜 기고문

15_3oracle

슬라이드 1

歯특집1.PDF

개정판 서문 Prologue 21세기 한국경제를 이끌어갈 후배들에게 드립니다 1부 인생의 목표로써 CEO라는 비전을 확고히 하자 2부 인생의 비전을 장기 전략으로 구체화하라 1장 미래 경영환경 이해하기 20p 4장 장기 실행 전략 수립하기 108p 1) 미래 환경분석이

< B3E2C1B6BBE7BAD0BCAEBAB8B0EDBCAD2DBFCFBCBABABB28BEF6C0CDC3B5292E687770>

untitled


논단 : 제조업 고부가가치화를 통한 산업 경쟁력 강화방안 입지동향 정책동향 <그림 1> ICT융합 시장 전망 , 년 2015년 2020년 <세계 ICT융합 시장(조 달러)> 2010년 2015년 2020년 <국내 ICT

0929 °úÇбâ¼úÁ¤Ã¥-¿©¸§

유호현

03¼ºÅ°æ_2

00-1표지

<31302E204D43545F47535FC3D6C1BEBAB8B0EDBCAD2E687770>

<C1DFB1DE2842C7FC292E687770>

<3035C0CEB9AEC1A4C3A5BFACB1B8C3D1BCAD E687770>


??

광운소식-68호F

歯CRM개괄_허순영.PDF

< B3E220B3EBBCF7C0CE20B5EEC0C720BAB9C1F6BBE7BEF720BEC8B3BB28C3D6C1BE292E687770>

<C1A4C3A5BFACB1B D3420C1A4BDC5C1FAC8AFC0DAC0C720C6EDB0DFC7D8BCD220B9D720C0CEBDC4B0B3BCB1C0BB20C0A7C7D120B4EBBBF3BAB020C0CEB1C720B1B3C0B020C7C1B7CEB1D7B7A520B0B3B9DF20BAB8B0EDBCAD28C7A5C1F6C0AF292E687770>

경제통상 내지.PS

°æÁ¦Åë»ó³»Áö.PDF

2013년 산업통상자원부 업무보고 창조경제 생태계 기반 조성 글로벌 전문기업 육성


요 약 제품혁신은 기업 생존의 열쇠이지만, 그 노력에 비해 성과는 미흡하다. 기업의 제품혁 신 노력을 나타내는 R&D 집약도는 한국기업의 경우 2005년 3.2%로 OECD 30개국 중 4위이 지만, 제품혁신 활동을 수행하거나 높은 차원의 혁신제품을 개발하는 기업 비율

[96_RE11]LMOs(......).HWP

<B0FAC7D0B1E2BCFAC1A4C3A5BFACB1B8BFF82D B3E2B0FAC7D0B1E2BCFAC1A4C3A53130B4EBB0FAC1A62DC6EDC1FD2E687770>

울산(전체본).hwp

Microsoft PowerPoint - 3.공영DBM_최동욱_본부장-중소기업의_실용주의_CRM

<C1F6BFAA5357BBEABEF7C0B0BCBAC1A4C3A5BFACB1B E616C292E687770>

SW¹é¼Ł-³¯°³Æ÷ÇÔÇ¥Áö2013

<443A5CB1E8BFC144425CBAB8B0EDBCAD5CB4EBC7D0C7F5BDC5B0FAB0E6C0EFB7C228C3D6C1BE295F E2E2E>

untitled

untitled

2005 중소기업 컨설팅 산업 백서

KRG. IT Research & Consulting... Providing INSIGHT Into IT Market.. Developing Business STRATEGY.. Supporting Marketing ACTIVITY 주요 수행 프로젝트 IT기업 성장성 평

2013년 중소기업 플러스 제5호_최종본.hwp

< BB0E6C1A65DB0F8B0B32DC1F6BDC4C0E7BBEAC0CEB7C220BCF6B1DEC0FCB8C120BFACB1B85FC0CCC1D6BFAC28C3D6C1BE292E687770>

F13-08.hwp

untitled

14 경영관리연구 제6권 제1호 ( ) Ⅰ. 서론 2013년 1월 11일 미국의 유명한 경영전문 월간지 패스트 컴퍼니 가 2013년 글로벌 혁신 기업 50 을 발표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2년 연속 혁신기업 1위를 차지했던 애플의 추락 이었다. 음성 인식


며 오스본을 중심으로 한 작은 정부, 시장 개혁정책을 밀고 나갔다. 이에 대응 하여 노동당은 보수당과 극명히 반대되는 정강 정책을 내세웠다. 영국의 정치 상황은 새누리당과 더불어 민주당, 국민의당이 서로 경제 민주화 와 무차별적 복지공약을 앞세우며 표를 구걸하기 위한

00내지1번2번

2013<C724><B9AC><ACBD><C601><C2E4><CC9C><C0AC><B840><C9D1>(<C6F9><C6A9>).pdf

LG Business Insight 1241

LG Business Insight 1118호

인 사 청 문 요 청 사 유 서

2011 복지국가정책 아카데미

<B5B6BCADC7C1B7CEB1D7B7A52DC0DBBEF7C1DF E687770>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214호 내지_최종.indd

<BDBAB8B6C6AE20BAF2B9F0C0C720BDC3B4EB20BEDBB0E6BFB5C0CC20BFC2B4D95FB1E8C1BEBDC22E687770>


歯4Q01_실적

-


<C1B6BBE7BFACB1B85F D30385F5BC3D6C1BEBAB8B0EDBCAD2D D2DBCDBC4A1BFF5B9DABBE72DBCF6C1A4BABB2E687770>

최우석.hwp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0429bodo.hwp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E1-정답및풀이(1~24)ok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 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 D2E687770>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untitled

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cls46-06(심우영).hwp

6±Ç¸ñÂ÷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 C3D6C1BEBABB292E687770>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177

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01Report_210-4.hwp

<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 D352D32315FC5E4292E687770>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시험지 출제 양식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상품 전단지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2

DBPIA-NURIMEDIA

화이련(華以戀) hwp

ÆòÈ�´©¸® 94È£ ³»Áö_ÃÖÁ¾

歯1##01.PDF

<5BC1F8C7E0C1DF2D31B1C75D2DBCF6C1A4BABB2E687770>

120229(00)(1~3).indd

목 차 Ⅰ. 조사개요 1 Ⅱ. 용어해설 13 Ⅲ. 조사결과 과학기술인력 양성 및 활용에 관한 거시통계 분석 결과 9 1 가. 과학기술인의 양성 현황 19 나. 과학기술인의 취업 현황 24 다. 과학기술인의 경제활동 현황 27 라. 과학기술인의 고용 현황 28

분 기 보 고 서 (제34기 1분기) 사업연도 부터 까지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귀중 2016년 5월 16일 제출대상법인 유형 : 면제사유발생 : 주권상장법인 해당사항 없음 회 사 명 : (주)웅진 대 표 이 사 : 이 재 진 본

전자업종.hwp

Transcription:

서 문 지난 40여 년간 우리나라는 급격한 경제성장을 이루었고, 우리나라의 성장경험은 후발 개도국들의 주요한 벤치마킹 모델로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국가기술혁신체제와 기업들의 기술학습 혁신전략은 우리나라가 현 재의 경제적 위상을 점하는데 주요한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서면서 우리나라 산업 기술의 발전단계(모방 혁신) 및 세계적 기술혁신 패러다임이 변화되고 있고, 우리나라가 직면 한 대내외 환경도 변화가 뚜렷해지면서 지금까지의 국가혁신체제 및 기 업의 기술혁신전략이 한계에 다다른 것이 아닌가 하는 반성이 시작되었 고, 미래의 성장동력이 될 산업의 발전전략과 함께 새롭게 직면하는 환 경변화 하에서 요구되는 기술혁신체제와 기술혁신전략을 모색할 필요성 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현재 우리에게 요구되고 있는 기술혁신체제와 기업의 기술혁신전략은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 다. 즉, 우리나라의 차세대 성장동력이 될 수 있는 산업들이 어떤 기술학 습 혁신 과정을 거쳐 왔으며, 어떤 산업적 특성을 지니고 진화 발전하 고 있는지?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산업들에 있어 기술혁신 방식 변화에 영향을 주는 환경(시장, 기술, 제도)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이러한 환경적 변화에 따라 기술혁신을 위한 게임의 룰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 는지? 변화하는 게임의 룰 하에서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들의 성공적인 기술혁신 방식은 무엇인지? 등이 그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문제에 대해 답을 찾으려는 노력의 일환이며, 2 만불 국민소득을 바라보는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시기적으로 적절한 연 구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미래성장동력이며 새로운 기술혁신 방식이 요구되는 IT, BT 분야에 대한 기술혁신방식의 분석 및 제안이라 는 측면에서 정책적 실효성도 높을 것으로 기대되다.

본 연구는 IT, BT 분야 국내 선도기업들과의 인터뷰, 많은 전문가들과 의 논의를 통해서 정책적으로 유용한 결과들을 도출하려는 노력들을 기 울였으며, 그 결과 IT, BT 분야의 차세대 기술혁신방식의 윤곽이 나름대 로 도출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기업 기술혁신방식의 변화 방향성에 기반하여 정부의 역할변화도 제언하고 있다. 예를 들면, 기술혁신시스템을 개선하고 시스 템의 실패를 보완하는 역할과 개방체제 하에 놓여 있는 여러 주체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부의 역할이 강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산발적인 여러 관련 논의들을 차세대 기술혁신방식 이라는 틀 안에서 통합했다는데 큰 의의를 둘 수 있으며, 이후 이를 바 탕으로 한국형 차세대 기술혁신방식을 본격적으로 확립하는 연구 및 정 책개발이 더욱 활발히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2005년 12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원 장 정 성 철

i 목 차 요 약 1 제1장 서 론 25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5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7 제3절 보고서의 구성 30 제2장 관련연구 고찰 및 연구의 틀 32 제1절 선진국의 기술혁신모형 연구 32 1. 세대별 R&D방식 기술혁신모형 이론 32 2. Rothwell의 세대별 기술혁신 모형론 40 3. 기타 주요 기술혁신 모형 43 제2절 기술추격국의 기술학습 혁신 연구 47 1. Kim(1997, 1999)의 연구 47 2. Lee et al.(1988)의 연구 50 3. Lee and Lim(2001)의 연구 53 4. Cho and Lee(2003)의 연구 55 5. 최영락 외(2005)의 연구 58 6. 기술 추격국관련 기존 연구의 한계 59 제3절 새로운 추세의 기술혁신 방식 이론 61 1. 개방형 기술혁신(open innovation) 이론 61 2. 혁신과 지식경영이론 65 3. 새로운 협력방식: 디지털 협력, R&D 아웃소싱, 네트워크 68 4. 인재경영 및 연구인프라 78 제4절 분석의 틀 82

ii 제3장 IT 산업의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반도체를 중심으로 86 제1절 IT 산업의 진화와 특징 88 제2절 반도체 산업의 현황 및 특징 93 1. 기술적 산업적 특성 93 2. 연구개발 및 기술혁신적 특성 97 3. 국내 반도체 산업의 현황과 특성 103 제3절 반도체 산업의 세대 구분 및 기술혁신 방식 107 1. 기술혁신 세대 구분 107 2. 지금까지의 기술학습 혁신의 양상과 방식 109 제4절 반도체 산업의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116 1. 전환 필요성 116 2. 분석요소 117 3. 기술 시장특성 변화 및 새로운 기술혁신 방식의 주요 내용 119 4. 정부의 역할 130 제5절 소결 132 제4장 BT 산업의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134 제1절 BT의 진화 및 특징 136 1. BT의 진화과정 136 2. BT의 체계 137 3. BT의 주요 특징들 138 제2절 BT 산업의 현황 및 특징 141 1. BT 산업의 일반적 특징 142 2. 국내 BT 산업의 외부적 환경요인 145 3. 국내 BT 산업의 능력: 우리의 위치, 약점 및 강점 149 제3절 BT산업의 세대구분 및 기술학습 혁신 방식 155 1. 기술학습 혁신 세대 구분 155 2. 지금까지의 기술학습 혁신 양상 및 방식 157 3. 1990년대 후반~2010년대 후반 세대 161

iii 제4절 BT의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162 1. 차세대 혁신방식 162 2. BT 혁신 양상의 주요 특징들 166 3. 기업전략 및 조직 측면 169 4. 정부의 역할 178 제5절 소결 181 제5장 국내외 기업들의 미래지향적 기술혁신 방식 184 제1절 국내기업 인터뷰조사 분석 184 1. 인터뷰조사 개요 184 2. 주요 결과 188 3. 종합분석 및 시사점 197 제2절 선진국기업 사례 분석 200 1. 기업사례 200 2. 시사점 및 우리의 과제 213 제6장 요약 및 결론 215 제1절 기술혁신 방식: 전반적인 모습 216 제2절 테크노 프로듀서 역할 217 제3절 기업의 기술혁신 방식 변화 방향 218 제4절 정부정책에 대한 시사점 219 참 고 문 헌 221 <부록> 기업의 미래기술혁신 수행방식에 관한 인터뷰 조사 234 SUMMARY 241 CONTENTS 245

iv 표 목 차 <표 2-1-1> R&D방식의 발전단계 (제1세대~제3세대) 35 <표 2-1-2> 제3세대, 제4세대 R&D방식의 차이 37 <표 2-1-3> 각 세대별 R&D 활동 및 관리방식의 특징 39 <표 2-2-4> 개발도상국의 기술발전 모형 50 <표 2-2-5> 총체적 모형의 각 단계별 특성 52 <표 2-2-3> 기술 추격주체들의 기술 역량 단계 56 <표 2-3-1> 개방형혁신과 폐쇄형혁신의 차이점 64 <표 2-3-2> 분석수준별 혁신과 지식경영에 관한 기존 연구 65 <표 2-3-3> 분석수준별 학습이론과 지식경영에 관한 기존 연구 67 <표 3-1-1> 미래 유망 신기술분야 91 <표 2-2-1> SoC의 특성 96 <표 3-2-2> 통합형 제품구조와 모듈형 제품구조의 비교 97 <표 3-2-3> DRAM 제품군과 SoC 제품군의 혁신체제 비교 103 <표 3-3-1> 한국과 선진국의 DRAM 개발 및 양산 시점의 격차 108 <표 3-3-2> 제품세대별 기술 구성 추이 115 <표 3-4-1> 분석요소 118 <표 3-4-2> 핸드폰 사례 120 <표 3-4-3> 새로운 조직문화의 구성요소(예시) 129 <표 4-1-1> BT의 분야 및 기술목록 138 <표 4-2-1> 주체별 BT분야 R&D활동 비교(미국과 EU) 144 <표 4-2-2> BT산업의 가치사슬변화 147 <표 4-2-3> 우리나라 분야별 주요 혁신 BT기업 151 <표 4-2-4> 선진국 대비 우리나라 BT 수준 152 <표 4-2-5> 우리나라 지역별 바이오기업 분포현황 154 <표 4-3-1> 국내 신약 허가 현황 159 <표 4-4-1> 시장과 제도에 따른 기업조직 형태 예측 176 <표 5-1-1> 환경변화에 따른 기술개발 상의 고려사항들 186

v 그 림 목 차 [그림 1-2-1] STEPI 1차년도 2차년도 연구와의 연계성 및 차별성 29 [그림 2-1-1] 제3세대, 제4세대 R&D방식 관리의 차이 37 [그림 2-1-2] 단계별 3세대, 4세대 R&D방식 관리 38 [그림 2-1-3] 제1세대 기술혁신모형 40 [그림 2-1-4] 제2세대 기술혁신모형 40 [그림 2-1-5] 제3세대 기술혁신모형 41 [그림 2-1-6] 제4세대 기술혁신모형 41 [그림 2-1-7] 제3, 4, 5세대 프로세스 42 [그림 2-1-8] 세대별 R&D방식 및 기술혁신모형 43 [그림 2-1-9] 체인링크(Chain-Linked) 모형 44 [그림 2-1-10] 총체적 과정 모형 45 [그림 2-1-11] Henderson and Clark의 혁신 유형 46 [그림 2-2-1] 기술추격 모델 48 [그림 2-2-2] 기술이전의 틀 49 [그림 2-2-3] 통합 모형 49 [그림 2-2-4] 기술추격의 세 가지 패턴 54 [그림 2-2-5] 동태적 결합모형 의 개념도 59 [그림 2-2-6] 기술추격과 미래신산업 육성 60 [그림 2-2-1] 선순환 과정 62 [그림 2-2-2] 기업 R&D 관리를 위한 폐쇄형 패러다임 62 [그림 2-3-3] 선순환의 붕괴 62 [그림 2-3-4] 기업 R&D관리를 위한 개방형 패러다임 63 [그림 2-3-5] 외부 환경변화에 따른 R&D 방식의 변화 63 [그림 2-4-1] 분석의 틀과 요소 84

vi [그림 2-4-2] 기술혁신 방식 변화의 이해 85 [그림 3-1-1] IT 산업의 진화과정 89 [그림 3-1-2] IT 산업의 세대 구분 92 [그림 3-2-1] SoC의 구성 사례 94 [그림 3-2-2] SoC 제품군의 기술기반 95 [그림 3-2-3] DRAM 제품군의 혁신체제 99 [그림 3-2-4] 반도체 산업내 기업활동의 분화 및 핵심능력 101 [그림 3-2-5] SoC 제품군의 혁신체제 102 [그림 3-2-6] 국내 SoC 산업의 혁신체제 106 [그림 3-3-1] DRAM 산업의 세대 구분 107 [그림 3-3-2] DRAM 산업의 세대 구분상의 특징 109 [그림 3-4-1] 기존과 차세대의 기술혁신방식 비교: 기술특성면 119 [그림 3-4-2] 기존과 차세대의 기술혁신방식 비교: 시장특성면 122 [그림 3-4-3] 기존과 차세대의 기술혁신방식 비교: 경쟁환경, 능력, 연계성면 124 [그림 3-4-4] 기존과 차세대의 기술혁신방식 비교: R&D 기획 관리면 125 [그림 3-4-5] R&D 기획 및 수행: 예시 126 [그림 3-4-6] 기존과 차세대의 기술혁신방식 비교: 개방성면 127 [그림 3-4-7] 기존과 차세대의 기술혁신방식 비교: 조직문화면 129 [그림 4-1] BT 부문의 범위 135 [그림 4-1-1] BT의 진화과정 137 [그림 4-1-2] BT와 IT의 결합: 신약개발의 경우 139 [그림 4-2-1] BT산업의 개념 및 범위 142 [그림 4-2-2] BT분야 기술 및 제품 수명주기 143 [그림 4-2-3] BT산업의 가치사슬(바이오제약 중심) 145

vii [그림 4-2-4] 바이오시장의 분야별 세계시장 전망 146 [그림 4-2-5] BT 제품화 과정에서 식품안전청의 역할 149 [그림 4-2-6] 미국과 한국의 바이오산업 발전단계 (기업 설립과 신약 승인 기준) 150 [그림 4-3-1] 제약산업의 기술혁신 세대구분 156 [그림 4-3-2] 제 1세대(모방기)의 기술혁신과정 158 [그림 4-3-3] 제 2세대(개량기)의 기술학습 혁신과정 160 [그림 4-3-4] 추격 선도기의 기술혁신 과정 162 [그림 4-4-1] BT 부문의 차세대 혁신모형 164 [그림 4-4-2] 산업조직 관점에서 본 BT 혁신시스템 165 [그림 4-4-3] 산업조직 내의 사회적 그룹들 165 [그림 4-4-4] 바이로메드와 팬제노믹스의 기술혁신과정 171 [그림 4-4-5] 팩티브 정의 개발과정 173 [그림 5-1-1] 기술개발의 발전단계 186 [그림 5-1-2] 미래 기술혁신환경의 특성과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변화방향 198 [그림 5-1-3] 시기별 우리나라 선도기업들의 주요 기술혁신 방식 변화방향 199 [그림 5-2-1] IBM의 기술혁신 발전과정 202 [그림 5-2-2] DuPont의 APEX 프로세스 205 [그림 5-2-3] 3M Accelerlation 207 [그림 5-2-4] Aikzo Novel의 Promising R&D Pipeline 210 [그림 5-2-5] The Drug Discovery Process at NIBR 212 [그림 5-2-6] Degussa의 The Routes to New Business 213

요 약 1 요 약 제 1 장 연구의 목적, 범위 및 접근법 기술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되고 있고, 한국경제 산업이 추격단계를 지나, 도약의 단계로 접어듦에 따라 새로운 미래국가전략산업의 기술 혁신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차세대 산업, 특히 IT, BT산업 에 초점을 두어 이 산업들에 있어 차세대 기술혁신방식의 개략적인 모습을 그려보고, 이에 대응하는 기업전략과 정부정책의 대략적인 방 향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기존 문헌 및 국내 IT BT산업에 대한 사례분석, 그리고 국내 IT BT 기업에 대한 인터뷰 조사, 선진국 기업들의 미래지향적 기술혁신방식 사례분석을 토대로 추진되고 있다. - 특히 본 연구는 IT와 BT 분야에 속한 국내기업들(구체적으로 R&D 관리자 등)을 대상으로 이메일 및 방문 인터뷰 조사를 시행함으로써, 국내 IT와 BT산업에 대한 사례분석 결과를 확인 보완하고 있다. 제 2 장 관련연구 및 분석의 틀 1. 관련연구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술혁신방식 모형의 세대를 구별하고 있는 이 론 연구로는 Roussel et al. (1991)의 제3세대 R&D 모형 과 Miller and Morris (1999)의 제4세대 R&D, 그리고 Rothwell (1992)의 연 구가 있다.

2 미래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이들 연구들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선진국 기업들의 기술혁신방식의 best practice들을 개념화하여 이를 세대별로 분류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러한 세대별 연구개발 기술혁신 연구들, 특히 제4세대 연구개발론 과 같은 이론은 우리나라의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에 중요한 시사점 을 주고 있으나 한국과 같은 기술추격국의 기술학습 혁신의 방식을 직접적인 연구 설명 대상으로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우리의 차세 대 기술혁신 방식으로 그대로 차용할 수는 없다. 한편 우리나라의 기술학습 혁신 방식을 설명하는 여러 연구들이 이 루어져 왔다(Kim 1997, 1999; Lee, et al., 1988; Lee and Lim, 2001; Cho and Lee, 2003; 최영락 외, 2005) 이러한 연구들은 우리나라 산업 기업을 직접적인 대상으로 하여 기 술학습 혁신 방식을 분석,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을 세계적 관 점에서 볼 때, 기술추격국 혹은 기업이 기존산업 추격 영역에서 어떻 게 기술학습 혁신을 하는지를 설명 개념화하고 있지만 미래신산업 육성 영역(즉, 유동기 이전)에 대해서는 기술혁신을 어떤 방식으로 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설명이 없다. - 즉, 상기의 기존 관련연구들은 우리의 미래 신산업 육성에 있어 기 술혁신 방식을 어떻게 가져가야 하는지 등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 하고 있지 않다. - 따라서 이 영역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관점 에서 본 연구는 이에 대한 분석과 규명작업을 시도한다. 우리나라의 미래성장동력산업 분야에서 차세대 기술혁신방식을 모색 함에 있어 참고로 삼을 수 있는 기존 이론들에는 상기에서 살펴본 이 론 연구들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이론 연구들도 있다. 우선 새로운 기술혁신 방식으로써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요 약 3 - 개방형 혁신 패러다임 하에서는 회사 외부 자원이 중요한 요인으로 고 려되고 있으며, 비즈니스 모델이 가지는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 개방형 혁신에서는 핵심역량만을 자체개발하고 나머지는 외부조달 하는 경향이 강화되고 있으며,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하는 혁신체제 로 변화되고 있다. 또한 조직 경쟁력 강화의 수단으로서 지식을 생성, 축적, 활용, 공유 하여 끊임없는 혁신을 통해 기업의 경쟁력과 성과를 증진시키기 위 한 지식경영이 새로운 경영 혁신 패러다임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 지식경영에서는 명시적 지식보다는 암묵적 지식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러한 암묵적 지식은 주로 사람에게 체화되어 있다는 점에서 지식 경영의 핵심으로 인재관리가 중요해 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새로운 협력방식으로 디지털 협력, R&D 아웃소싱, 네트 워크 이론, 그리고 글로벌 R&D, 인재경영 등이 중요한 혁신방식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외 새로운 기술혁신을 촉진함에 있어 창조적인 조 직문화, 첨단 연구시설 및 장비의 보유 및 효율적 활용 등이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2. 분석의 틀 본 연구는 상기와 같은 관련 문헌 연구들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하여 [그림 1]과 [그림 2]의 두 가지를 분석의 틀로 설정하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우선 [그림 1]의 경우 기존의 기술혁신 혹은 연구개발 방식을 설명하 는 기술혁신모형 이론들이 크게 1 기술적 변화 발전, 2 시장적 변화와 니즈 반영, 3 제도적 요소(규제, 표준, 정부의 정책 등)에 대 한 대응 등 세 가지 외부적 요소들의 변화를 활용하거나 대응하면서 새로운 기술 지식 제품을 개발하는 과정과 상호작용들을 설명하고 있는데 이를 반영하고 있다.

4 미래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 또한 새로운 기술 지식 제품을 개발함에 있어 지식경영, R&D 아 웃소싱, 글로벌 R&D, e-r&d, 네트워킹, 창의적 연구문화, 첨단 연구 장비 시설 등이 중요해 지는 것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실제 분석을 함에 있어서는 [그림 1]을 적용하되 산업에 따라 가지는 산업적 특성(산업구조, 생산자 및 사용자 관계, 경쟁 구조, 하 부구조)이 다르고 이로 인해 산업별로 기술혁신방식이 다를 수 있다 는 점을 고려한다. - 그리고 [그림 1]에서 제시되고 있는 기술혁신방식의 다양한 요소들 에 대해 사레별로 모두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사례에 따라 중요하다 고 판단되는 요소들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그림 1] 분석의 구조와 요소 환경적 제도적 패러다임 제도적 요소 기술혁신방식(*) 지적자산 관리 등 지식경영, 신기술 신제품개 발 프로세스 관리, 글로벌 R&D, e-r&d, 네트 워킹, R&D 아웃소싱, 기업 연구문화, 인센티 브 평가제도 등 소프트웨어, 연구장비 시설 등 하드웨어 등 기술 산업적 요소 시장적 요소 또한 우리가 분석하고자 하는 바가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이 어떻게 변화해야 한다는 것이기 때문에 분석에서 동태적인 변화 모습이 나 타날 수 있어야 한다. - 즉 시간의 흐름에 따라 환경적 요소들(기술 산업적 요소, 시장적 요소, 제도적 요소)이 변하면서 서로 영향을 미치고, 미치는 관계나

요 약 5 정도가 시간의 흐름(과거, 현재, 미래)에 따라 다를 것이다. - 이러한 변화에 따라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기술혁신을 이루기 위한 게임의 룰(지적재산권의 중요성 증대 등)이 변화할 것이고 변화하는 게임의 룰 하에서 성공적인 기술혁신을 하기 위한 방식이 시간의 흐 름(과거, 현재, 차세대)에 따라 다를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점들이 나타날 수 있도록 [그림 2]와 같은 기술혁신방식의 변화 구조를 분석의 틀의 하나로 설정한다. [ 그림 2] 기술혁신 방식 변화의 이해 환경 변화 게임의 룰 변화 기술혁신 방식 변화 기술 시장 제도의 변화 이들간의 상호관계 변화 연구개발 신제품 개발주기 단축 네트워킹, 아웃소싱 확대 지적재산권 창출 관리 중요성 증대 등 * 주) 주) *는 [그림2]의 (*)의 내용 참조 제 3 장 IT 산업의 차세대 기술혁신방식: 반도체를 중심으로 IT 산업은 세계 산업성장의 동력으로서, 다른 산업의 생산성 증대와 고도화를 주도하고 있다. - IT 산업의 진화과정은 1980 1990년대의 IT에 대한 기본욕구 충족 (basic IT service) 단계를 거쳐, 2000년대 초에는 IT의 고도화 (enriching service) 단계에 접어들었다. - 나아가, 2010년 이후에는 IT의 생활화(IT everywhere) 단계에 접어 들 것으로 전망되며,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커뮤니케이션을 수행 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6 미래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IT 산업의 미래 변화의 흐름을 뒷받침하고 추동하는 기반적인 핵심기 술 중의 하나는 반도체라 할 수 있다. 반도체는 각종 첨단기기의 통합 화, 지능화, 디지털화 등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부품이기 때문이다. - 이러한 반도체 중에서 미래 유무선 통신, 차세대 정보가전제품 등의 구현과 관련된 SoC 기술이 미래의 반도체 산업을 이끌어 나갈 것으 로 전망된다. 또한, 이러한 SoC 기술이 개발되기 위해서는 초미세 공정기술과 집적회 로 기술의 개발이 병행 개발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DRAM 기술 역시, 미래 IT 산업의 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한다고 할 수 있다. 국내 반도체 산업, 특히 DRAM 부문은 1980년대 초 세계시장에 진입 한 이후 선진기술의 모방, 추격을 거쳐 1990년대 후반에는 선진국을 추월하여 최첨단 신제품을 개발하는 단계에 진입하였다. - 특히, 우리나라는 꿈의 반도체 인 1G DRAM 개발에 성공하고, 최근 에는 낸드플래시 메모리에서도 세계 선두주자로 도약함으로써, 글로 벌 기술혁신을 견인하는 단계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앞으로 우리나라가 새롭게 도전해야 할 SoC 분야는 DRAM 과 전혀 다른 혁신능력과 혁신체제가 요구된다. - DRAM에서는 설계 난이도가 낮고 마케팅 능력이 상대적으로 적게 요구되며, 자원의 집중을 통해 경쟁우위 확보가 가능한 반면, SoC에 서는 설계 난이도가 매우 높고 수요 기반이 중요하며, 전문화된 혁 신참여자간 조정과 통합이 경쟁우위 확보의 주요한 원천이 된다. 따라서, SoC 분야의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은 지금까지 성공적으로 구동되었던 DRAM 분야의 기술혁신 방식과 달라야 한다. - 이와 더불어, 우리나라의 기술패라다임이 지금까지의 추격형(catch-up) 에서 창조형으로 전환이 요구됨에 부응하여, 전반적인 연구관리 방식 이나 조직문화 등에 있어서도 새로운 혁신방식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요 약 7 새로운 기술혁신 방식을 탐색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로는 불확실성 (uncertainty), 다양성(diversity), 동태성(dynamic), 개방성(openness) 등을 반영하면서, 기술적 산업적 요소, 시장적 요소, 제도적 요소에 서 글로벌 혁신역량과 혁신체제를 갖추는 것이 긴요하다. 우선 기술 특성적 측면에서 볼 때, 통합형 통합형 저설계 난이도 모듈형 고설계 난이도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SoC는 모듈형 (module) 제품설계구조, 특히 여러 개별소자가 하나의 칩에 적층된 다기능 복합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설계 난이도가 높을 뿐 아니 라 설계가 매우 중요한 (design-oriented) 기술적 특성을 갖고 있다. - 따라서, 새로운 기술혁신 방식에서는 설계 능력의 확보, 이중에서도 설계전문 기업군과 IP(Intellectual Property) 제공업체의 풀(pool)을 확충하는데 역점을 두어야 한다. 또한, SoC에서 세계적 혁신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불확실 성, 이 중에서도 개별소자들의 단일 칩 집적과 관련하여 획기적 기술 돌파(breakthrough)가 이루어져야 한다. - 이상적인 SoC의 실현을 위해서는, 공정이 서로 상이한 개별소자들 을 하나의 공정을 사용하여 단일 칩에 집적(embedding)해야 한다. 이는 현재 기술적으로 큰 어려움이 있으며, 현재 개별소자들을 별도 제조한 뒤, 이를 적층하는 중간단계(hybrid)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따라서, 이상적인 SoC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SoC 자체의 획기적 기 술돌파(breakthrough)를 창출하기 위한 새로운 관점의 R&D가 요구된다. - 특히, 학문적 배경이 서로 다른 연구자간 융 복합연구, 기존의 사고 틀에서 벗어나는 기각학습(unlearning) 등을 통해 지금까지의 기술 적 한계를 넘어서는 창의적 아이디어를 탐색 개발해야 한다. 시장특성적 측면에서 볼 때, 수요자 독립형에서 전략적 수요 창출형 으로 나아가야 한다. SoC는 사용자 주문형(user order-made) 특성을 지니고 있어, 수요가 전제되어야 존재할 수 있다.

8 미래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따라서, 새로운 혁신방식에서는 매우 다양한 제품 분야 중 전략 품목 선정, 특히 시장적 불확실성에 대처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특히, 최종 시스템 제품의 기술돌파(breakthrough)를 미리 예측하고, 이의 구현에 필요한 특정 SoC 기술을 탐색 개발하는 것이 긴요하다. - 아울러, 미래의 시스템 제품의 선정과 관련하여, 제품 변화의 방향이 나 내용 뿐 아니라, 시장규모를 적절히 예측하여 경제성 있는 수요 기반을 확보하는 것이 성공적인 기술혁신에 있어 중요하다. - 이와 함께, 탐색 마케팅(expeditionary marketing), 가치곡선(value curve) 등을 사용하여 새로운 수요나 숨겨진 수요(hidden demand) 를 체계적으로 발굴하는 것도 글로벌 혁신을 위한 전략적 목표 시장 의 탐색에 있어 긴요하다. 경쟁환경, 핵심능력, 혁신고리 측면에서는 대기업 중심에서 차세대에 는 전문업체간 네트워크형으로 발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oC 분야 에서는 다양하게 분화된 전문기업들간의 통합 및 조정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새로운 기술혁신 방식에서는 개별 혁신주체의 핵심능력의 배 양과 함께, 각 혁신주체들간의 지식창출을 위한 네트워크의 형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 이와 관련하여, 시스템업체, 전문설계업체, 시스템 IC 공급업체간의 기업간 관계 모델을 개발하고, 관계 형성을 촉진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 아울러, SoC 분야에서 글로벌 혁신을 주도하는 차세대 제품의 선행 개발을 위해서는, 다양한 혁신참여자간 통합과 조정을 촉진하여 기 술혁신의 속도(speed)를 높이고 연구의 질(quality)을 제고하는 것 역시 매우 중요하다. R&D 기획 관리 측면에서는 전사적 통합형에서 가치창출형으로 발 전해야 한다. 새로운 기술혁신 방식에서는 기존의 조직 내부의 기술 전략과 경영전략을 통합하는 차원에서 더 나아가, 조직 외부와의 네트

요 약 9 워킹 강화, 공급자와의 전략적 통합, 선도적 고객과의 연계 등을 통해 가치를 창출하는 R&D 기획 및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R&D의 기획과 관리는 기술이 복잡해지고 자원투입 규모가 커짐에 따라, 미래 기술개발의 방향과 전략을 명확히 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 특히, 미래의 다양한 플랫폼(platform)과 제품 중에서 어떠한 영역에 초점을 맞추어 시장을 공략할 것인지, 핵심기술은 어떻게 확보할 것 인지 등을 결정하기 위한 R&D 기획과 기술전략은 글로벌 혁신을 달성하는데 있어 중요한 방향타 역할을 할 것이다. 네트워킹 측면에서는 기술협력선 위주에서 글로벌 네트워크로 나아 가야 한다. 새로운 기술혁신 방식에서는 차세대 유망 신기술 트랜드 (trend)의 조사 분석, 미래 씨앗(seeds) 기술의 탐색 등을 위해 해외 네트워킹이 크게 강화되어야 한다. 아울러, Global Cyber Forum, Cyber Research Center 등을 통해 최 신의 기술을 신속히 탐색, 개발하는 것도 필요하다. - 특히, Global Cyber Forum은 외부 전문가, 고객 등과 지식채널, 네 트워크를 구축한다는 측면에서, Cyber Research Center는 해외 기술 협력선과 사이버 공간에서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연구를 추진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닐 수 있다. 정부의 역할 면에서는 새로운 기술혁신 체제로의 이행(transformation) 을 위한 대응과 지원이라는 측면에서 정부의 역할도 중요하다. - 이중에서도 전문 설계역량의 확보, 기업간 지식창출 네트워크 및 기 술하부구조의 구축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10 미래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제 4 장 BT산업의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생명공학기술(Bio Technology: BT) 및 산업은 제4세대, 즉 차세대 기 술혁신 대상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도 이를 추진하여 성과를 거둘 수 있는 분야이다. 현재 BT 분야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은 각 영역 간 혹은 영 역 내에서의 발생하는 기술수렴(technological convergence)의 정도가 매우 높아졌고, IT, NT, ET 등과 융합하면서 또 다른 산업군을 창출 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BT산업의 정의, 범위 등을 비롯한 전반적인 게임의 규칙을 재 정립해야 하며, 이에 따라 기존과 다른 새로운 R&D 및 기술하부구 조, 새로운 규제시스템, 새로운 기업전략 및 조직을 고안해야 한다. - BT 기술 및 산업의 복잡한 기술혁신과정 혹은 동태적 변화의 측면 을 단순히 기반기술(generic technology), 산업분야, 또는 경제적 섹 터 등의 기존 개념으로는 분석하기 어렵다. - 본 연구에서는 정의된 산업이나 분야에서 출발하지 않고, 기술적 체 계를 동태화 시킨 기술시스템(technological system: TS)의 개념을 활용하여, BT 산업에서의 차세대 기술혁신방식을 모색한다. 우선 본 연구는 BT 분야의 제4세대 기술혁신은 이른바 글로벌 혁신 이 이루어지는 시기로 2000년대 후반부터 시작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를 기준으로 과거의 기술혁신 패턴을 기술하고, 앞으로 전개될 차 세대에 있어서 기술혁신의 양상 혹은 방식을 전망한다. BT 분야에서의 차세대 기술혁신방식과 관련해서 우선 지금까지 BT 시스템 범위 내의 모든 활동주체와 지식 간의 연계성(connectivity)이 증대되어 왔고, 앞으로도 이러한 연계성의 유지 및 발전이 혁신의 관 건이 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요 약 11 - 또한 차세대 BT분야 기술혁신시스템은 다양성 창출할 뿐만 아니라 동태적인 진화과정이 포함되고, 지역이나 국가에 제약을 받지 않는 개방적인 것이 될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 특히 기술하부구조가 혁신과정에서 핵심구성요소가 될 것이며, 한국적 인 상황에서는 정부가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BT 분야에서의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확립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이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첫째, 혁신시스템의 작동엔진 으로서 기업가적 과학자들과 그들 간의 협력이 중요하며, 오케스트라 지휘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테크노 프로듀서의 역할이 요구된다. 둘째, 지역혁신시스템의 개념이 BT에서는 매우 중요하다. 대학과 공 공연구소의 역할이 차세대에도 계속 중요하겠지만 민간부문의 R&D 주체들과의 상호교류 및 협력이 R&D시스템의 근간이 될 것이다. 셋째, 지적재산권제도, 즉 특허제도가 BT 기술혁신의 범위와 속도에 크게 영향을 미칠 것이고, 따라서 중요하다. 또한 BT 산업조직 내 다양한 형태의 기업들은 전통적인 혁신패턴인 Schumpeter Mark I 혹은 II의 과정이 아닌 상생(symbiosis)의 길을 밟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본 연구는 BT분야에서 차세대 기술혁신의 첨병으로 생각되는 (주)바이로메드와 이미 글로벌 혁신을 달성한 (주)LG생명과학의 사례 를 기반으로 차세대 기업기술혁신방식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전략 적 시사점들을 얻었다. - 우선 차세대에서는 국제적 관점에서 사업 및 연구개발 전개가 필요 하고 중요하다. R&D, 생산, 임상시험, 판매 등 여러 활동분야에서 제휴 및 아웃소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그리고 창의성과 유 연성을 추구하는 조직문화를 추구해야 한다. - 환경변화, 즉 시장과 제도의 변화에 따른 효율적인 기업조직 형태를

12 미래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감안해야 하며, 지식경영의 일환으로 효과적인 특허전략을 수립해 한다. 또한 필요할 경우 다각화 전략을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BT 기업 나름대로 사회문화적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 이러한 기업 차원에서의 전략적 시사점들을 본 연구에서 수행한 BT 관련 설문조사에서도 그 현실성이 확인되었다. 정부역할과 관련해서는 정부는 BT 시스템의 창안자 혹은 고안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일단 시스템이 작동되면 연계기관으로서 구 성요소 간 혹은 활동주체 간 연계를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BT 분야에서의 차세대 기술혁신과정은 시스템 내에서의 상호작용 혹은 연계성이 증대하면서 진행될 것이고, 이러한 연계성의 방향과 정도가 기술혁신의 성패를 좌우할 것이다. 차세대 BT 시스템은 좁은 범위의 다양한 BT 시스템들이 창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들이 진화 발전되면서 더 넓은 범위의 BT 시 스템으로 통합될 수 있을 것이다. - 이러한 과정에서 일부 기술 및 제품들은 선형모형의 기술혁신방식에 의해서도 진행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요컨대 차세대에는 기술혁 신의 패턴과 방식이 다양하게 전개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제 5 장 국내외 기업들의 미래지향적 기술혁신 방식 1. 국내기업 인터뷰 조사 분석 인터뷰 조사 분석은 우리나라 IT 및 BT분야 국내 선도기업들의 차세 대 기술혁신 수행방식에 대하여 심도깊게 알아보고, 앞서 분석한 IT 산업 및 BT산업에 대한 사례분석 결과와 그 내용이 합치하는지 확인 하는데 목적이 있다.

요 약 13 이를 위하여 우선, 해당 기업들의 기술혁신의 발전단계 및 미래 전략 방향을 조사하였고, 둘째 기술 시장 제도 등의 외부 환경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셋째 차세대 기술혁신방식의 변화 방향에 대하여 심층 적으로 인터뷰하였다. 9월 중순부터 인터뷰를 준비하여 설문조사 및 인터뷰가 수행된 기간 은 10월 초부터 12월 초까지 2개월간 실시되었으며, 조사방법은 일차 로 이메일로 인터뷰 조사내용을 담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보내고 전 화로 설명하거나 직접 방문하여 설명하고 응답을 받는 방식으로 진 행하였다. 조사 분석결과, 우리나라 기업들 특히 선도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는 조사 대상 기업들은 지난 5년간 내부적 학습 등을 통한 자체 기술역 량개발을 토대로 선도그룹을 추격하는 단계에 이르렀거나 일부 기업 들은 세계적인 신기술을 선도하는 단계로 발전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 향후 미래에는 각 영역에서 세계적인 선도기업이 될 것으로 전망되 고 있으며, 이를 위해 중장기적 계획에 입각하여 기술혁신을 추진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직면하게 될 기술혁신환경을 기술요소, 시장요소, 정책 및 규제요소라는 관점에서 살펴보면, 향후 차세대에는 모든 측면에서 고 민해야할 대안들이 증가하고 불확실성이 확대되어 미래에 대한 예측 이 한층 어려운 상황이 전개될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내 IT산업과 BT산업의 기업들이 향후 구축해야 할 한국적 차세대 기술혁신방식은 지금보다 다양한 시장환경과 다원화된 규제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내부적 조직체계를 갖추고, 이러한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지속적으로 기술적 우위성을 가질 수 있는 혁 신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조사대상 IT기업의 경우 향후 5년 이후 기술개발에 있어서 주요하게

14 미래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고려해야 할 사항(즉 차세대 기술혁신방식)으로 글로벌 R&D, 국적불 문 우수연구인력 채용 및 활용, 기업 연구문화 강화, 창의적 연구개 발 및 지식창출 강화, 기술기획 및 전략의 고도화, 연구조직구조 운 영의 선진화 등의 순위로 중요도가 높게 나왔다. 이러한 인터뷰 조사결과는 앞의 제3장(IT산업 사례분석)에서 논의된 새로운 기술혁신 방식의 내용과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 즉, 미래에 국내기업이 글로벌 선두주자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기존 의 틀을 뛰어넘는 독창적 연구, 체계적인 R&D 기획과 수행, 글로벌 연구자원의 활용을 위한 네트워킹, 창의적 연구문화의 형성 등이 중 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 또한,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차세대에는 경쟁환경, 핵심능력, 혁 신고리 등이 변화됨을 반영하여, 혁신주체간 지식창출 네트워크 구 축, 핵심역량의 강화를 위한 국가 R&D 지원, 창업 지원을 포함한 기술하부구조의 구축 등과 같은 정부의 정책적 지원 노력이 필요함 을 알 수 있다. 조사대상 BT기업의 경우 향후 5년 이후 기술개발에 있어서 주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즉 차세대 기술혁신방식)으로 글로벌 R&D, R&D 아웃소싱, 경영층의 관심과 지원이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 고, 이 외 연구조직의 구조 및 운영의 선진화, 자체 연구개발 지식 창출, 신제품 신기술 개발 프로세스 개선, 창의적 연구강화, 기술의 기획 및 전략 등이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인터뷰 조사결과는 역시 앞의 4장에서 논의된 새로운 기술혁 신 방식의 내용과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 즉 향후 국내기업이 글로벌 선두주자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국제적 관점에서 사업전개, 여러 활동분야에서 제휴 및 아웃소싱을 적극적으 로 활용, 현금 확보를 위한 다각화 전략, 시장과 제도의 변화에 따른 (효율적인) 기업조직 형태를 예측, 창의성과 유연성을 추구하는 조직 문화를 추구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기업 나름대로

요 약 15 사회문화적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는 점 등이 확인되었다. 2. 선진국 기업 사례 분석 우리나라 차세대 기술혁신방식을 모색함에 있어 선진국 선도기업들 의 미래지향적인 기술혁신방식을 살펴보는 것이 유용한다. 이러한 점 에서 본 연구는 선진국 선도기업들에 대한 사례분석을 실시하여 다 음과 같은 결과 및 시사점들을 얻었다. 우리나라의 기업들이 글로벌 혁신기업으로의 성장하려면 기술적, 시 장적 그리고 제도적 불확실성이 증대되는 기술혁신 환경 하에서, 차 세대에 맞는 기술하부구조를 구축하고, 창의적 원천기술 개발을 통한 차세대 시장을 선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선진국의 잘 나가는 기업들은 자사만이 갖는 문화적 공감대 위에 기 술 산업적, 시장적인 요소에 적극 대응해 왔으며, 제도 또는 사회적 여건에 의한 환경에 대하여는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향후의 불 확실성에 대비하는 기술혁신을 해왔다. 세계적인 IT기업인 IBM은 시장지향적인 고객 맞춤형 연구개발을 하 고 있다. ODIS(On Demand Innovation Service), FOAK(First Of A Kind), ISL(Industry Solution Lab)' 라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고객의 비전과 요구조건을 수행하는 맞춤형 고객서비스 연구 개발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일련의 전략은 결국 차세대 수요서비스에 대한 밀접 한 사전 연구개발로 시장을 선점하는 전략이 된다. Dupont의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는 수천 개의 아이디어에서 10개 미 만의 대형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하는 선택과 집중을 조화시킨 시스 템으로 PACE, APEX등의 시스템을 통해 연구개발기간의 획기적 단 축과 5배 이상의 개발 효과를 보았다.

16 미래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3M의 창의적인 연구문화는 McKnight Principles 에 근거를 두면서, 새로운 회장인 McNerney의 사업부 전진형 R&D로 고객에게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면서 그동안 창의적이었지만 방만한 연구개발을 집 중화 하여 최대의 효과를 얻고자 하는 혁신전략 McNerney Challenge 2 3 로 변화하고 있다. Sun Microsysytems의 내부협력 체제는, R&D관련 혁신활동이 의사교 환, 컨설팅, 협력의 3가지 키워드로 진행되고 있어 자율적인 내부 네 트워킹 커뮤니케이션을 강조하는 것에서 출발하고 있다. Xilinx는 제조는 아웃소싱하고, 연구개발과 마케팅만 주력하는 R&D 기업으로, R&D 혁신 중의 하나인 "Green Process"는 모든 연구 인력 의 아이디어 중에서 채택된 것을 인큐베이팅 할 수 있도록 자금지원 을 하며 그 분야를 키워 나간다. Akzo Nobel은 대표적인 분권형 R&D를 하고 있어, 지원은 본사에서 하지만 R&D 전략을 수립하는 권한과 연구개발예산, 연구 인프라, 인 력관리 및 모든 연구개발은 개별적 사업부에서 독립적으로 결정하고 실시한다. Novartis는 NIBR(The Novartis Institutes for BioMedical Research)이 라는 글로벌 연구조직과 외부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NIBR strategic alliances라는 그룹을 만들어 16개의 국가, 250여 기관과 협력을 가지 고 있고, 동일한 목표, 동일한 책임을 갖는 글로벌 R&D를 하고 있다. Degussa는 Creavis Technologies & Innovation 라는 조직을 통해 전략적 미래시장, 연구개발 성과물등 관련 지식을 총 집결시키며, 연 구개발의 방향 설정에 이러한 지식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점들을 볼 때, 향후 불확실한 미래의 시장, 기술, 제도를 극복 하면서 차세대 기술혁신을 촉진해야 하는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시 사점 및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요 약 17 첫째, 대부분의 선진국 기업이 그러하듯이 우리도 창의적 연구문화를 바탕으로, 스피디하고 효과적인 연구개발 성과를 낼 수 있는 전략적 혁신이 필요하다. 둘째, IBM 사례에서 보았듯이 불확실한 미래시장에서의 기술혁신의 열쇠는 시장변화에 따른 고객에게서 찾아야 한다. 시장은 변화해도 그 변화의 중심은 고객이기 때문이다. 셋째, Novartis의 사례에서처럼, 글로벌 R&D와 네트워킹에 의한 연 구개발 협업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넷째, 파급효과가 매우 큰 연구개발을 위하여 Dupont과 같이 기술 제품 개발 프로세스는 공격적이고 치밀하게 구축되어야 한다. 다섯째, 지식경영은 모여진 지식을 이용하여 경영에 직접 유용하게 사용하여야 한다. 여섯째, R&D 조직은 기업 문화와 연관이 되어있으므로, 국내 기업도 자사의 경영철학과 문화에 가장 적합한 조직을 만들어야 한다. 제 6 장 결론 본 연구는 아직 우리가 경험해 보지 못한 미래, 즉 차세대에 있어서 기술혁신방식의 전반적인 모습을 그려보고, 이에 대응하는 기업전략 및 정부정책의 대략적인 방향 내지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주요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기술혁신방식: 전반적인 모습 IT와 BT 분야에서 제1세대부터 제3세대까지의 기술혁신과정을 살펴 보는 과정에서 차세대 혁신방식의 윤곽이 나름대로 도출되었다.

18 미래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 우선 한 가지 큰 흐름은 선형모형에서 점차 상호작용모형 및 시스템 통합모형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즉 시스템 내에서 하부구조 간, 경제활동 주체 간, 그리고 기술 및 지식 간 서로 영향을 주고받 는 연계성(connectivity)이 증대한다는 것이다. - IT분야, 즉 SoC 분야에서 기업 간, 특히 전문설계업체, 사용자 기업, 그리고 제조업체 간의 지식창출 네트워크의 구축이 필수적인 것으 로 지적되었다. - BT 분야에서도 기술, 시장, 그리고 사회적 수용여부 등이 극히 불확 실하고, 기술혁신의 과정이 길고도 험난할 경우에는 협력이 필수적 이며, 기업 간에는 단순한 경쟁 혹은 협력보다는 경쟁적 협력 '(coopetition이라는 신조어로 표현)이 중요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기술혁신과정은 다양성(diversity)을 창출하는 양상을 가지게 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 시스템 내에서 새로운 다양 한 지식 기술 제품이 창출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형의 활동주체들 이 출현하게 될 것이며, 더 나아가서 다양한 하위 기술시스템들이 진 화되어 나갈 것이다. - 특히 다양한 기술들이 하나로 통합되고, 다시 다양화되는 BT 분야에 서는 매우 중요한 측면이 될 것이다. IT 분야에서도 SoC 개발에 있 어서 경쟁우위 확보의 핵심요소인 설계 환경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 술혁신주체 간 연계와 통합능력이 중요한 것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기술혁신과정의 동태적인 측면도 매우 중요해질 것이다. 하나의 산업 혹은 기술시스템이 탄생하면, 생물이 진화하는 것처럼 변화하기 때문이다. - 즉 기술시스템은 정체 되어있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구성부문의 내용과 질이 변화하고, 경제활동의 주체와 제도들 간의 관계가 달라지며, 궁극적으로는 시스템 전체적으로도 진화되어 나아 갈 것이다.

요 약 19 - 따라서 차세대 기술혁신과정에서는 하나의 시스템이 형성되어 나가 는 순차적인 모습을 포착하는 과정은 물론 전체적으로 진화되어 나 가는 모습도 포착해야할 것이다. 마지막 고려될 요소는 개방성이다. 앞의 연계성과 및 동태성과도 관 련되는 요소이나, 시스템의 범위가 계속 변하며, 한 국가나 지역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BT 분야에서 극명하게 나타났으며, IT 분야의 기술혁신방식에서도 해외와의 네트워킹 강화, 창의적인 조 직문화의 형성이 중요함을 지적되었다. 요컨대, IT분야이든 BT 분야이든지 간에 차세대 기술혁신과정은 기 술 혹은 산업시스템 내에서의 상호작용 혹은 연계성이 증대하면서 진행될 것이고, 이러한 연계성의 방향과 정도가 기술혁신의 성패를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 그런데 각 시스템은 하나의 정형화된 틀과 범위를 갖지 않을 것이 다. 좁은 범위의 다양한 시스템들이 창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시스 템들이 진화 발전되면서 더 넓은 범위의 시스템으로 통합되어질 수 있다. - 이러한 과정에서 일부 차세대 기술 및 제품들은 과학적 지식 혹은 발견이 바로 시장으로 이어지는 단순한 선형모형에 의해서도 그 혁 신과정이 진행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차세대에는 기술혁신의 패 턴조차도 다양하게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2. 테크노 프로듀서 역할 차세대 기술혁신시스템은 이를 작동하게 하는 그 누구 혹은 그 무엇 이 있어야 한다. 이는 산업, 제품, 혹은 기술의 특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 차세대 BT분야에서는 기업가적인 과학자(entrepreneurial scientist)들 과 그들 간의 협력이 이러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반면

20 미래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에 반도체(구체적으로 SoC) 분야에서는 일부 선도적인 기업들이 이 러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보인다. - 그러나 어떠한 경우에도 한국적 상황 하에서는 정부의 정책적 지원 과 능력의 발휘가 공히 필요할 것이다. 심지어 정부의 기업가적인 역할(entrepreneurial role)도 기대된다. 차세대 경영자들의 역할과 관련하여서는 BT 사례연구에서 지적된 테 크노 프로듀서(techno-producer)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 테크노 프로듀서란 새로운 산업을 창출하는데 필요한 전략적이고 창 의적인 목표를 수립하는 그 누군가로써 새로운 전략과 개념을 창출 할 뿐만 아니라 기술혁신의 과정을 지도한다는 의미에서 오케스트 라의 작곡자 및 지휘자의 역할을 수행한다. - 이들은 기업 내부적인 구조뿐만 아니라 국내 및 해외에서 산업계, 학 계, 그리고 정부들과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역할 은 단지 과거의 기업가들이 위험감수자, 기회포착자, 기술혁신가, 혹은 의사결정자로서 수행했던 역할과는 차별화되는 기업가 유형이다. - 테크노 프로듀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에는 경영학 전공한 사람이 유리한지 아니면 엔지니어 출신이 유리한지는 판단할 수 없다. 다만 양자가 적절히 결합된 자질을 가진 사람이면 될 것이다. 3. 기업의 기술혁신방식 변화 방향 차세대에 있어서 R&D는 불확실한 시장을 고려하는, 더 나아가서는 기존에는 없는 시장의 창출을 염두에 둔 R&D과정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최근 흔히 강조되는 R&BD(Research & Business Development)의 과정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기업의 기술혁신전략에 대한 시사점은 IT와 BT의 사례연구, 그리고 전문가그룹과의 인터뷰 분석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그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요 약 21 첫째, 사업 전개 시 초기부터 국제적 관점에서 혁신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예를 들어 국적불문 우수인력의 채용 및 활용, 체계적인 R&D 기획 및 전략의 고도화 등은 미래에 국내기업이 글로벌 선두주자로 도약하기 위해 밀도있게 추진해야 할 과제라 할 수 있다. 둘째, R&D를 포함한 모든 분야에서 아웃소싱이 필요하다. 특히, 기 술경쟁의 심화, 속도경쟁의 격화 추세에 대응하여, 글로벌 R&D 자원 을 활용하고, 미래 유망기술의 탐색 및 확보를 가속화하는 것이 필요 하다. 셋째, 차세대 기술혁신분야는 매우 불확실하므로 기업 차원에서는 재 무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다각적인 수단을 동원해야 한다. 이와 더불 어, 혁신참여 주체간 지식채널의 구축, 잠재 고객과의 상호작용 (interaction)과 네트워킹(networking) 등을 통해 미래 시장의 니즈 (needs)를 만족시키는 혁신적 기술을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다. 넷째, 기업내부의 지식흐름을 효율화하고, 외부로부터 지식을 효과적 으로 확보할 수 있는 지식경영(knowledge management)을 실천해야 한다. 특히, 글로벌 혁신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학문적 배경이 서 로 다른 연구자간 융 복합 연구, 기존의 사고의 틀을 벗어나는 기각 학습(unlearning) 등을 통해 창의적 기술지식의 개발, 공유, 확산이 필요하다. 다섯째, 기업 내부의 연구문화 개선이 필요하다. 특히, 기존의 수직적 이고 위계적인 연구문화에서 자율과 창의, 수평적 협력, 끊임없는 학 습 등을 장려하는 방향으로 변모해야 한다. 요컨대 기업의 구체적인 차세대 기술혁신방식 전략은 개별 기업의 위치, 역량, 특성 등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기업의 차세대 기술혁신방 식 전략은 과거 세대와는 많이 다르게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22 미래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4. 정부정책에 대한 시사점 정부는 기술혁신시스템의 창출자 혹은 고안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부는 단순히 R&D 보조금의 지급 등 시장실 패를 보정하는 정책을 펼 수 있다. - 그러나 기술 및 시장이 매우 불확실하고, 특히 장기간에 걸쳐 막대 한 자금이 투입되는 IT나 BT의 차세대 기술혁신에서는 단순히 시장 실패를 보정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기술혁신 시스템을 창출하고 시 스템이 실패하지 않도록 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 현재 정부는 국가혁신체제(NIS) 혹은 지역혁신체제(RIS)의 구축을 정 책 목표로 삼고 있으나, 이는 장기적으로 추구해야하는 과제이다. 이 에 비해 IT나 BT와 같은 특정분야에서는 정부가 기존 기술시스템들 의 기능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기술시스템들의 창출을 촉진할 수 있다. 둘째는 연계기관으로서의 정부의 역할이다. IT이든 BT이든 기술혁신 시스템이 진화하게 되면 다양한 형태의 활동주체와 제도들이 시스템 에 들어오거나 생성되므로, 이들을 연계시켜주는 연계기관(bridging institution)이 발전되어야 한다. - 협력문화의 정도가 미흡한 한국적 상황에서는 이러한 역할을 정부가 수행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능력과 자금이 공히 필요하다. - 우선 정부 자체가 차세대 기술에 대한 이해와 인식이 있어야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신기술조류에 대해 모니터링 하는 능력을 갖추어 야 한다. - 재정지원도 필수적인데, 경제적 인센티브만이 시스템내의 연계성과 다양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 특히 BT 분야에서는 사회 문화적 네트워크가 중요하므로 이를 구축 하는 일도 연계기관으로서 정부가 담당해야 할 몫이다. IT분야에서 는 기업 간 지식창출 네트워크를 정부가 정책적인 수단을 통해서 구 축할 것을 제안한다.

제1장 연구의 목적과 방법 23 셋째는 정부의 정책 초점이 기술체계(IT에서는 기술하부구조, BT에서 는 기술적 디자인 공간 혹은 기술하부구조로 표현)에 맞추어져야 한 다. 특히 IT 분야에서는 전문설계업체의 혁신능력 육성을 위한 설계 장비의 공동 활용, IP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적절한 지적재산권제도의 확립이다. BT 산업의 사례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적재산권 제도가 기술혁신 및 기업조직의 형태 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올바른 방향에서 기술혁신을 촉진하 는 특허제도의 구축은 필수적이다. 이는 IT 산업을 비롯한 여타 차세 대 혁신분야에서도 예외가 아닐 것이다.

25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지난 40여 년간 우리나라의 고도성장은 급격한 산업구조의 변화를 통 하여 이룩되어 왔다. 즉 섬유, 의복, 신발 등 노동집약적 산업에서 출발 하여 가전, 자동차 등 조립가공 산업을 거쳐, 최근에는 반도체, LCD 등 첨단기술 산업이 경제성장을 주도하고 있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정보 화, 글로벌화, 급속한 기술변화 등 환경변화가 뚜렷해지면서 정부와 국 내 선도기업들은 기존 산업의 토대 하에서는 더 이상 성장에 한계가 있 음을 인식하고,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 및 기술의 육성을 통해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정부는 이미 10대 차세대 동력산업 1) 을 선정하여 이들을 집중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공공정책연구소 및 민 간경제연구소들은 이의 성공조건들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왔다. 그러나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 및 기술의 발전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 은 점들이 규명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첫째, 우리나라의 차세대 성장동 력이 될 수 있는 산업들이 어떤 기술학습 혁신 과정을 거쳐 왔으며, 어 떤 산업적 특성을 지니고 진화 발전하고 있는지? 둘째,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산업들에 있어 기술혁신 방식 변화에 영향을 주는 환경(시장, 기 술, 제도)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셋째, 이러한 환경적 변화에 따라 기술혁신을 위한 게임의 룰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넷째, 변화하는 게임의 룰 하에서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들의 성공적인 기술혁신 방식은 무엇인지? 사실 그간 우리는 이러한 네 가지 연구과제에 대한 질문(research 1) 10대 차세대 성장산업은 디지털 TV 방송, 디스플레이, 지능형 로봇, 미래형 자동 차, 차세대 반도체, 차세대 이동통신, 지능형 홈 네트워크, 바이오신약 장기, 디 지털 콘텐츠 SW 솔루션, 차세대전지이다.

26 미래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questions)에 답하지 않아도 큰 문제가 없었다. 이는 과거 우리나라 기술 발전 단계가 주로 자체적인 창의적 기술혁신보다 선진국 기술의 모방 개량 위주로 기술개발을 추진하여, 이러한 점들에 대한 연구필요성이 높 지 않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모방기에는 시장 해외기술도입 제 품생산으로 이어지는 기술혁신과정이 우리나라에 적합한 방식으로 이해 되기도 하였다. 즉 국내 및 해외시장에서의 기회를 포착한 기업가들이 해외에서 기술을 도입하여 사업화를 추진하는 과정이 기술학습 혁신의 일반적 유형이었다. 또 다른 이유는 이러한 점들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여도 선진국의 기술혁신처럼 우리의 경우 세계적 관점에 서의 신기술 신제품개발 사례가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국경제는 이제 발전단계상 일부 영역에 있어서는 선진국 기 술의 추격(catching-up) 단계를 지나, 도약(leapfrogging) 혹은 선도 (leadership)의 단계로 접어들면서 과거의 기술학습 혁신방식(제2장 제2 절 참조)으로는 현실을 설명하거나 기업전략이나 정책수립의 근거로 삼 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더 나아가서 우리가 차세대 기술혁신, 즉 세계적 차원에서 최초의 기술혁신을 의미하는 글로 벌 혁신(global innovation)을 추구해야 하는 상황 속에서는 상기에서 지 적한 바와 같은 점들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물론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연구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이미 과학 기술정책연구원(STEPI)에서 수행된 두 차례의 연구(이정원 외, 2003; 조 현대 외, 2004)는 미래국가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중장기 기술혁신전략을 연구하였다. Lee and Lim (2001)은 우리나라 자동차, DRAM, CDMA 셀 룰러 폰, PC, 소비자가전, 공작기계 등의 제품을 대상으로 기술도약 (leapfrogging)의 존재 여부와 조건을 밝히고 있고, Hobday et al. (2004) 은 한국이 혁신 프론티어, 즉 기술선도적인 단계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기업이 직면하는 문제와 대응방식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이들 연구들은 앞서 제기한 네 가지 연구문제에 대해 명확한 답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 는 것으로 여겨진다 2). 2) 본 연구는 STEPI에서 수행한 두 차례의 연구들의 후속 연구로 이들이 다루지 못 한 부분을 보완하는 연구로 볼 수 있다.

제1장 서 론 2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앞에서 제기한 연구문제에 대한 답을 찾아봄으 로써, 우리나라의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의 육성을 위한 기술혁신 방식을 모색, 규명하고자 한다. 특히, 기존의 연구가 과거의 기술혁신과정을 설 명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가 미래 신기술분 야에서 글로벌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은 어떠 해야 하는지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아직 경험하지 못 한 미래, 즉 차세대에 있어서 기술혁신 방식의 전반적인 모습을 그려보 고, 이에 대응하는 기업전략 및 정부정책의 대략적인 방향 내지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앞에서 제기된 차세대 (next generation)의 의미를 암묵적으로 단순히 다가오는 다음 세대 로 볼 수 있으나, 우선 이 개념을 명확히 하고자 한 다. 본 연구에서 차세대는 제4세대를 말한다. 제1세대는 모방단계에 해 당하는 기간으로 기술과 시장이 확실하게 존재하는 상황 하에서 제품을 공급하기 위해 선진국의 기술을 소화 흡수하는 단계를 말한다. 제2세대 는 추격단계로 역시 시장이 어느정도 확실한 상황 하에서 제품을 공급 하기 위해 선진국 기술을 개량하는 단계이다. 제3세대는 기술과 시장이 어느 정도 불확실한 상황 하에서 기술, 제품, 그리고 시장이 상호작용 하 는 기술혁신과정을 통하여 개발한 기술과 제품이 세계시장을 선도하는 단계이다. 제4세대, 즉 차세대는 제품과 시장이 불확실한 상황 하에서 세계적 제품과 시장을 창출하는 기술혁신이다 3). 이 경우에도 기술, 제품, 그리고 시장은 서로 연관되어 상호작용 한다. 본 연구에서는 편의상 제1 세대, 제2세대, 그리고 제3세대를 공히 과거 세대로 지칭하고, 제4세대를 차세대로 지칭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우리나라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들에 적용 될 수 있는 기술혁신방식을 모색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쉬운 작업이 3) 최근 회자되는 블루오션(blue ocean)의 개념과도 연관성이 있다고 하겠다.

28 미래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아니다. 왜냐하면 기술혁신이 산업간 혹은 기술 부문 간에 따라 다르게 진행되기 때문이다(Malerba, 2004). 즉 상이한 산업들은 기술적 기회, 전유성, 기술지식의 누적정도, 그리고 관련 기술지식의 특성 등으로 요 약되는 기술적 체계(technological regimes)에 따라서 기술혁신의 과정이 다르게 진행된다. 예를 들어 바이오산업에서는 획기적인 기술혁신이 빈 번히 발생하며, 대기업에서부터 소규모 벤처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업들이 혁신활동을 수행하고, 대학과 벤처기업간의 교류가 활발하다. 반면에, 화학산업에서는 일부 대기업 중심으로 기술혁신이 진행될 뿐만 아니라 사내 대규모 R&D 프로젝트가 혁신의 원천이 된다. 기계산업에 서는 획기적인 혁신보다는 점진적인 혁신이 일어나며, 공급자-사용자 간 의 연계가 혁신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모든 산업 제품 기술에 적용할 수 있는 일반형 차세대 기술혁신방식을 개발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이 될 가능성 이 큰 특정 산업 및 기술에 초점을 맞춘다. 즉 IT(Information Technology)산업과 BT(Bio Technology)산업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앞에 서 정의한 바와 같이 제4세대, 즉 차세대 기술혁신이란 어느 정도의 기 술능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제품과 시장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글로벌 혁 신(global innovation)을 달성함을 의미한다고 하면, 이를 잘 설명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도 이를 추진하여 성과를 거둘 수 있는 분야가 IT와 BT분야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연구 대상 범위를 한정하면, 주어진 연구자원과 시간 내에서 좀 더 엄밀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장 점도 가진다. 비록 본 연구가 이와 같이 IT산업과 BT산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 하지만, 우리나라가 앞으로 지향해야 할 새로운 기술혁신 방식을 탐색 제시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내용과 결과는 다른 산업 제품 기술들의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에도 여러 시사점과 유용성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도 기대된다. 본 연구는 기존 문헌 및 IT, BT 산업의 사례분석, 그리고 인터뷰 조사 를 토대로 추진된다. 기본적으로 본 연구는 아직 경험하지 못한 미래, 즉

제1장 서 론 29 차세대에 있어서 기술혁신과정이 진행되는 전반적인 모습을 그려보는 것이 주요 과제이기 때문에 연구자들의 직관이 어느 정도 활용될 것이 다. 이와 병행하여, 본 연구는 IT와 BT 분야에 속한 기업(구체적으로 R&D 관리자 등)을 대상으로 이메일 및 방문 인터뷰 조사를 시행함으로 써, IT와 BT산업에 대한 사례조사 결과를 확인 보완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그동안 STEPI에서 수행된 1차년도 연구(이정원 외, 2003) 와 2차년도 연구(조현대 외, 2004)의 후속 연구로 다음과 같은 연계성 및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 [그림 1-2-1]에 그 내용이 요약되어 있 다. 그 중 본 연구의 가장 특징적인 점은 종전의 연구와는 달리 산업 수 준에서 기술혁신의 과정을 다루면서도, 혁신의 핵심주체로서 기업의 역 할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분석의 수준을 보다 구체화 시켰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또한 본연구가 우리나라의 선도적인 IT, BT 기업들에 대한 인터뷰 조사 분석을 실시하고 있다는 점도 1차 2차년도 연구와 구별 되는 큰 차이점이다. [ 그림 1-2-1] STEPI 1차년도 2차년도 연구와의 연계성 및 차별성 <1차년도 연구> 미래 유망 산업 기술들 도출 산업 수준에서 디스플레이 산업에 대한 시범적 사례분석, 전략제시 <2차년도 연구> STEPI 1차년도 연구를 포함하여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미래유망 세부산 업 기술 중 사례 분석 대상 선별 혁신이론을 접목하여 미래 유망사업 기술의 혁신전략 마련에 필요한 이 론적 배경을 구축하고, 미래 유망 산업 기술에 적합한 기술혁신 전략의 분석틀 고안 개발된 기술혁신전략의 분석틀에 따른 사례 분석, 전략제시 - 선행 연구의 시범적 사례분석의 틀을 보다 발전시킴 - 선행연구보다 장기적 관점에서 기술혁신 대상 선정, 기술혁신전략 분석 - 사례분석의 대상을 산업 단위에서 세부산업 기술 단위로 심층화

30 미래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3차년도 연구: 본 연구> STEPI 1차년도 2차년도 연구의 목적을 함께 공유하면서 진전된 연구 목 표설정 - 3차년도 연구는 1차 2차년도 연구의 목적인 국가 미래전략산업의 중장 기 기술혁신전략 보다 한국적 차세대 기술혁신방식 이 무엇인지를 둘러 싸고 있는 문제의식에 대해, 그리고 차세대 기술혁신 촉진을 위한 기술혁 신방식의 규범적인 업그레이드 관점에서 연구 수행 연구 대상을 선정함에 있어 기술혁신방식이 미래에 과거 현재의 기술혁 신방식 보다 많이 달라져야 할 산업들을 선정 기존의 선진국형 추격국형 기술혁신 기술학습 모형 이론들을 고찰, 분 석하여 연구의 틀을 확립 선진국 기업의 기술혁신 방식 변화 양상 추세 및 시사점 분석하여 우리 의 차세대 기술혁신방식 설정에 참고 개발된 연구의 틀에 따라 선정된 IT BT산업에 대해 사례 분석을 실시하 고, 산업별(IT BT산업)로 차세대 기술혁신 촉진을 위해서는 기술혁신방 식이 어떻게 변해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 제시: 기업의 역할에 초점 IT BT 기업 R&D 관리자 등을 대상으로 차세대 기술혁신방식 등에 대한 이메일 인터뷰 조사 및 결과 분석 사례분석 및 인터뷰 조사결과, 그리고 선진국 기술혁신방식 변화 및 시사 점들을 종합하여 한국적 차세대 기술혁신방식의 변화 방향 및 구체적 내 용 등 결론 제시 제 3 절 보고서의 구성 본 보고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우리나라 IT산업 및 BT 산업의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을 분석할 수 있는 이론적인 분석의 틀을 구축하기 위해 관련연구들을 고찰한다. 제3장과 제4장에서는 이러한 분 석 틀에 의거하여 우리나라의 차세대 성장동력이 될 수 있는 IT산업(특 히 반도체산업)과 BT산업을 분석하고, 과거 세대와 비교하여 차세대 기 술혁신은 어떤 방식으로 변화, 발전되어 갈 것인지 혹은 가야 할 것인지 를 제시한다. 제5장에서는 이메일 및 방문 인터뷰를 통하여 이러한 차세 대 기술혁신방식에 대한 예측이 현실과 어느 정도 맞는지 확인하는 작 업을 수행한다. 아울러, 선진국 기업들의 기술혁신 방식의 변화 양상과

제1장 서 론 31 추세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을 알아본다. 마지막 제6장에서 는 연구결과를 종합하고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 있는 산업분야에서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이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를 제언한다.

32 미래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제 2 장 관련연구 고찰 및 연구의 틀 본 장에서는 연구의 분석 틀을 마련하기 위해서 관련 선행연구들을 고찰한다. 먼저 선진 외국에서 행해진 기술혁신연구를 혁신모형 중심으 로 정리하고, 최근에 중요시되고 있는 이론 연구들(예: 지식경영, e-r&d 등)에 대한 논의를 소개한다. 그간 국내에서도 기술추격국의 입 장에서 제시된 기술학습 혁신이론들이 연구되어 왔으므로 이에 대해서 도 정리하고 한계점을 지적한다. 제 1 절 선진국의 기술혁신모형 연구 1. 세대별 R&D방식 기술혁신모형 이론 기존 이론 및 문헌에서는 연구개발(이하 R&D)의 발전단계를 기술전 략과 사업전략간의 연계, 연구관리방식의 특징 등을 기준으로 세대별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대별로 R&D를 구분한 Roussel et al. (1991)의 3세대 R&D 이론과 Miller & Morris (1999)의 4세 대 R&D 이론을 중심으로 각 세대의 특징을 설명하고, 이를 Rothwell (1991, 1992, 1993) 연구와 비교한다. 또한 기타 기술혁신 모형으로서 체 인-링크 모형, 총체적 과정 모형, 핸더슨-클락의 혁신 유형 등에 관하여 정리한다. 가. 제1세대 R&D방식 제1세대 R&D는 과학자들이 연구과제를 스스로 선정하여, 중요하고 수익성 있는 제품들을 개발했던 R&D 관리 방식이다. 제1세대 R&D는

제2장 관련연구 고찰 및 연구의 틀 33 연구개발과 기술관리에 대한 전략적 체계의 결여로 특징지을 수 있으며, 사업과 연구개발에 대한 전체적인 통찰력이 부족하였다. 또한 기업의 미 래기술은 오직 연구개발부문에 의해 독자적으로 결정되었다. 제1세대 R&D에서 창의성은 자연스럽게 발휘되어야 하며, 연구결과는 예측할 수 없다고 인식되었기 때문에 매출액의 고정 비율이 연구 개발 에 투자되었다. 이 때의 기업이 당면한 문제는 나이론이나 트랜지스터 등 신기술 혹은 신제품이 나올 때까지 각 기업은 새로운 사업에 뛰어들 수 없다는 점이다. 제1세대 R&D의 대표적인 예로는 DuPont 연구소를 들 수 있다. DuPont은 1939년에 나일론을 발명하여 향후 50년간 200~ 250억 달러의 이익을 창출하는 큰 성과를 올렸다. 그러나 제1세대 R&D 에서는 일부의 아이디어만 사업화되는 한계가 있었다. 나. 제2세대 R&D방식 제2세대 R&D는 직관적 R&D에서 목적지향적 R&D 체계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단계이다. 이러한 변화는 조직기능 상호간의 연결관계를 강화시 키고, 조직을 보다 질서있게 관리하려는 기업들에 의해 수행되었다. 제2세 대 R&D는 프로젝트 수준에서 연구개발에 대한 전략적 관리체계를 갖추 기 시작한다. 그리고 사업부문이나 기업 전체를 연구개발부문에 대한 외 부고객 또는 내부고객 으로 만듦으로써 사업부서와 연구개발관리부서 사 이의 의사소통을 촉진시킨다. 제2세대 R&D에서 경영층과 연구개발의 관 계를 권행민 이정훈(1994)은 재판장과 변호사의 관계로 표현하고 있다. 또한 제2세대 R&D는 소비자가 지불할 의지가 없다면 그에 대한 연구 개발은 존재 가치가 없다는 고객 견인형(customer-pull)의 개념으로 설 명할 수 있다. 제2세대와 제1세대 사이의 가장 뚜렷한 차이점은 개별 프 로젝트의 비용, 사업에 대한 영향, 불확실성, 관리방법, 그리고 실행측면 등에 대한 결정을 내릴 때 사업부서와 연구개발관리부서의 상호협조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시기의 R&D는 매우 단기적인 투자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새로운 영역을 개발하거나 장기적인 문제에 대한 대 처가 충분하지 못하였으며, 전략적인 측면이 결여되어 있다.

34 미래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다. 제3세대 R&D방식 제3세대 R&D는 사업단위와 부서, 그리고 기업 전체를 통하여 전략적 으로 균형잡힌 연구개발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내기 위해 노력하는 것으 로서 일반관리자와 연구개발관리자가 동반자 의식으로 함께 창출해 낸 다. 연구개발부문은 기존 사업부문의 요구와 전사적으로 필요한 요구에 부응하려고 노력한다. 동시에 기존사업과 신규사업 내에 존재하는 기술 적 기회들을 확인하고 개발하는 데에 기여하기도 한다. 제3세대에 속한 일반관리자는 연구개발부문과 기타 핵심적인 기능 사이에 전략적이고 조직적인 동반자 관계를 구축하며, 연구개발이 현재와 미래에 있어서 기 업에게 실제로 필요한 기술을 규정하도록 도와주며 또한 그러한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만든다. 제3세대 연구관리 경영방식의 가장 중요한 임무 중의 하나는 연구원 을 기업문화에 동화시켜서 사업부문 및 타부문과 완전한 동반자관계가 되도록 하는 일이다. 연구개발부문의 고립화를 타파해야 하는 이유는 다 음의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권행민 이정훈, 1994). 우선 지식, 경험, 직관을 공유함으로써 자사 혹은 기업 외부의 연구개발부문에서 진행되 는 과학기술의 진보로 인한 충격을 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둘째, 연구원을 상위의 목표 설정에 참여시켜 사업 목표 및 목적에 일체화시 킴으로서 더욱 목적 지향적이고 고객욕구에 즉각 대응하도록 하기 위함 이다. 셋째, 연구원에게 사업전략을 수립하게 함으로써 그들의 지위와 공헌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넷째, 연구개발부문과 타부문과의 상호계발 을 통하여 전반적인 기업경영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연구개발부문의 고립화를 타파하기 위해서는 조화롭고 상호연관된 수 단들이 필요하다. 첫 번째 수단은 연구개발, 기술전략, 사업전략을 연결시 킬 수 있는 공통언어와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다. 두 번째 수단은 연구개 발계획의 전략성을 강화하는 것이다. 세 번째 수단은 연구개발 자원에 맞 춰 과제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 요구에 부응하여 자원을 배분한다. 네 번째 수단은 연구원의 전문성과 기술적 능력만이 아니라 인간관계기 술과 특성도 중시한다. 다섯째 연구원에게 동기부여를 하기 위해서는 보 상보다도 동반자의식을 중시한다. 이러한 특징들이 모여 3세대 R&D 방

제2장 관련연구 고찰 및 연구의 틀 35 식을 구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제3세대 R&D 관리는 고객이나 사업부서 의 명시적인 니즈(형식지 형태)를 R&D 활동 및 프로세스에 반영하는 데 는 탁월했지만, 급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고객이나 사업부의 잠재적인 니즈(암묵지 형태)를 파악하여 R&D 활동에 반영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요약해 보면, 제1세대 R&D는 R&D 투자를 통한 기술적 성과를 추구 하는 연구형 특징을 보인다. 제2세대 R&D는 R&D 프로젝트 관리로 효 율화를 지향하며 관리형 특징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제3세대 R&D는 전사적 전략을 통합한 기술개발, 즉 기술전략과 경영전략을 통합적으로 추진하는 전략형 이라는 특징을 보인다([그림 2-1-1] 참조). <표 2-1-1> R&D방식의 발전단계 (제1세대~제3세대) 구 분 특 징 제1세대 R&D (~1940년대) 제2세대 R&D (1940~1970년대) 제3세대 R&D (1980~1990년대 중반) 과제들을 선정하여 중요하고 수익성 있는 제품들을 개 발했던 과학자들에 의한 R&D 관리 일부의 아이디어만 사업화되는 한계 DuPont연구소: 나일론을 발명(1939)하여 50년간 200~ 250억 달러의 이익 창출 기업의 단기적인 사업 니즈를 충족시키는 과제에 좀더 집중하는 R&D 관리체계 확립 1~2차 세계 대전 중 개발되었던 프로젝트 방법의 적용 확대 수익과 위험 문제의 양면을 조절하기 위한 R&D 투자의 평가 중요성 대두 사업 전략과 연계된 R&D 관리 강조, 예를들어 포트폴 리오 관리, 전략적 기획, 기술 로드맵 등 명료하게 나타낼 수 있는 고객의 니즈만이 3세대 R&D 프로세스에 적용 가능, 고객의 잠재 니즈 등 나머지 큰 부분에 대한 반영은 거의 불가능 라. 제4세대 R&D 방식 제3세대 R&D에서 논의되는 전통적 혁신시스템은 지식획득의 책임소 재를 둘로 나누는데(권행민 이정훈, 1994), 하나는 조사를 통하여 고객 의 니즈를 파악하는 마케팅이고, 다른 하나는 기술을 제공하는 연구개발

36 미래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이다. 매우 명료하게 나타낼 수 있는 고객의 니즈만이 제3세대 프로세스 에 적용될 수 있다. 형식적 니즈라고도 하는 이 니즈는 단지 인식의 표 면 위에 있는 한 부분의 니즈만을 나타낸다. 니즈의 나머지 큰 부분 즉, 수면 아래의 부분은 잠재적 니즈로서 중요 한 지식을 단편적으로 얻으려는 노력 정도로는 발견되지도 않고 충족되 지도 않을 것이다. 따라서 고객들이 미래에 가능할 수 있는 제품과 서비 스와 인프라에 관하여 예측해야만 할 것인데 미래에 개발하고자 하거나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투자와 역량에 대한 자신들의 계획은 계속해서 부 정확해진다. 반면에 공급자는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시장수요를 예측해야만 한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비연속적 혁신을 지원한 잠재적 니 즈를 표출시켜 준다. 왜냐하면 많은 다른 종류의 집단과 조직에서 참여 한 사람들이 어떠한 것이 가능하며 어떠한 것이 유용한가에 대한 학습 프로세스에 함께 참여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고객의 니즈와 기술적 역 량은 상호의존적 학습이라고 하는 4세대 R&D 프로세스 안에서 서로 연 계되면서 발전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는 진정한 니즈에 의해 기술적 역량과 개념들이 평가되고 정제된다. 어떻게 시장이 발전되어나갈 것인가와 이러한 발전에서 경쟁력을 유 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역량이 무엇인가에 대한 신중한 결정을 통해 그 연관성이 도출된다. 시장의 광범위한 구조와 발전을 경쟁력 있는 아키 텍처(competitive architecture) 라고 하며, 이 시장 안에서 제품과 서비스 의 개발은 어떤 특정 기업이 전략적 목표를 추구하면서 전개하는 조직 역량(organizational capability)'에 전적으로 달려 있다. 제4세대 R&D 관리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시장의 구조와 흐름을 파악하는 경쟁 아키텍처 와 제품 서비스 개발의 기본이 되는 조직 역 량 의 확보이다. 경쟁 아키텍처는 경쟁의 외부 패턴이 시간이 지남에 따 라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지를 보여주며, 또한 기업의 미래 투자를 위한 환경(context)을 정의하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조직 역량을 어 떻게 응용, 개발해야 하는 지를 명확하게 가이드 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 다. 그리고 조직 역량은 구성원들이 보유하고 있거나 체계적으로 관리될 수 있는 지식, 관리도구 및 프로세스, 기술 등을 통합할 수 있는 시스템 적 사고 체계 (마케팅 능력, 지식 경영, 기술 관리 능력 등)이다.

제2장 관련연구 고찰 및 연구의 틀 37 [ 그림 2-1-1] 제3세대, 제4세대 R&D방식 관리의 차이 자료 : 손욱(2000). 조직 역량 확보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정보, 지식, 학습의 의미를 정 확히 파악해야 한다. 지식에 있어서는 암묵지의 관리가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지식 공동체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제4세대와 제3세대 R&D의 가장 큰 차이점은 상호 의존적 학습, 아키 텍처 조직 역량 개발, 제품 플랫폼 개발, 지식 채널 구축 유무 등 4가지 이다. 이를 간략하게 정리하면 아래 <표 2-1-2>와 같다. <표 2-1-2> 제3세대, 제4세대 R&D방식의 차이 구 분 특 징 제3세대 R&D 제4세대 R&D - 고객 피드백이 시장 조사 형태로 마케팅 스탭에 의해 수집됨 - 경영층이 전략을 수립하고 R&D 부문은 기술 로드맵에 의거하 여 신기술 개발에 집중함 - 명시적인 고객 피드백, 전략수립, 기술개발 등 이 3가지가 신제 품 개발의 기초가 됨 - 고객 등 이해관계자들이 R&D 활동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함. 즉, 일상적인 제품 사용 결과에 대한 피드백은 지식 채널을 통 해 이루어지며, 리딩 이해 관계자들은 연구활동에 직접 참여하 여 자신의 잠재적인 니즈를 전달 공유함 - 암묵적 명시적 피드백은 아키텍쳐 및 조직역량 개발, 제품 플 랫폼 개발의 기초가 됨 - 플랫폼에 기초하여 고객 니즈를 충족시키는 다양한 제품 개발 이 이루어짐

38 미래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조직 역량 개발의 유형은 현장 개선, 개선1, 개선2로 구분되며 제4세 대 R&D에서는 개선2 활동의 중요성을 크게 강조하고 있다. 현장개선 은 기존 지식을 활용하여 일상 업무 중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활동 으로 현 사업성과 개선을 위한 제품 개발, 유통시스템 개선 등을 가리킨 다. 개선1 은 단기 사업성과 개선을 위해 제품 개발이나 유통시스템 개 선에 적용되는 아키텍처와 역량을 개발하는 활동으로 인적 자원 관리, 정보체계 설계 및 해석, 작업공정 재설계 등을 가리킨다. 개선2 는 중장 기 사업성과 개선과 관련이 있으며, 개선1 활동을 효과적으로 만드는 새 로운 아키텍처와 역량을 개발하는 활동을 가리킨다. [그림 2-1-2] 단계별 3세대, 4세대 R&D방식 관리 자료 : 손욱(2000). 시장 개발을 위해서는 어떤 제품과 서비스를 원하는가(마케팅 1) 라는 관점에서 어떤 역량을 원하는가(마케팅 2) 라는 관점으로 시장 조사 방 법을 전환해야 하며, 원활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다양한 지식 채널 구축이 필요하다. 기존의 연구개발에서 더 나아가 기술혁신을 통한 고객가치 혁신(R&BD)으로까지 확대될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마케팅과 연계하면서 새로운 사업 분야로의 진출을 위한 역량을 높이고 가치 혁 신을 창출하고 선도하는 CInO(Chief Innovation Officer)의 역할이 중요 시된다. 그러나 제4세대 R&D는 새로운 시장 지식과 기술 지식의 합성체이기 때문에 각각의 축 만을 기준으로 해서는 예측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제4

제2장 관련연구 고찰 및 연구의 틀 39 세대 R&D는 전통적 R&D 영역을 넘어서기 때문에 이를 실행하기 위한 조건 창출을 위해서는 조직 전체에 걸친 대대적 변화를 필요로 하게 된 다.제1세대 R&D에서 제4세대 R&D까지의 특징을 전략적 측면과 운영적 측면으로 구체화하여 정리 요약하면 <표 2-1-3>과 같다. 전 략 측 면 운 영 측 면 구분 기술 전략 연계 체제 조직 제도 연구 관리 R&D 투자 개발 목표 <표 2-1-3> 각 세대별 R&D 활동 및 관리방식의 특징 제1세대 (~1940년대) 사업전략과의 연계결여 기술기반의 조직구조 (R&D부문은 cost center) 기술개발후 상품화 검토 설정된 예산 내에서 연구소 자체 배분 불명확 제2세대 (1940~1970년대) 전략연계체계는 부분적 존재, 연계 미흡 프로젝트 중심의 관리 개별 프로젝트 단위의 연구관리 프로젝트별 요구 위험 고려 제3세대 제4세대 (1980~1990년대 중반) (1990년대 후반 이후) 고객, 파트너가 사업부와 연구개발 참여하는 상호 부문이 파트너 관계 협력 학습에 의한 혁신 시스템 사업과 R&D활동의 일체화 전사적 전략적 기술경영 기술의 위상, 경쟁조건 등을 고려한 배분 프로젝트 기업전략 목표에의 단위로 사업부와 공헌도 중시 공동설정 우선 전략적 단위 사업부문과 전사 전략목표에의 순위 우선순위 결여 협의 결정 공헌도 고려 결정 진행 상황 평가 결과 평가 형식적 명확한 평가가 없음 프로젝트 단위로 공식화된 내부평가 프로젝트의 개별목표 중심 평가 자료 : 이승규 배종태 김정섭(2001) 재구성. 정기적, 외부 및 자사의 상황에 맞는 적시 평가 사업공헌, 기술목표 등의 관점에서 평가 공생하는 네트워크 조직 고객지향적 연구개발 (혁신경영) 불연속적 기술혁신과 역량 구조 강화 고려 기업역량과 경쟁구조, 시장 개발 기술혁신 기반의 조직역량 개발 피드백, 수평적 학습, 지식채널 강조 지적 역량 영향 강조

40 미래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2. Rothwell의 세대별 기술혁신 모형론 최근 혁신은 과거 전통적 선형(linear) 방식의 기술주도 또는 시장견인 형 모델에서 상호작용형 모델로 진화한 후 통합혁신 모델과 소위 제5세 대 혁신모델로 불리우는 시스템 통합 모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식으 로 진행되어 왔다. Rothwell(1991, 1992, 1993)은 시장적 요소의 반영 정 도, 그리고 시장적 요소와 다른 요소들 간의 상호작용 정도 등의 관점에 서 제5세대로 기술혁신모형의 세대를 구분하고 있는데, 각 세대별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세대 모형은 [그림 2-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술주도형 혁신모 델 로서 특징지을 수 있으며, 1950~1960년대 중반 사이를 주도한 모형 이다. 이 모델은 단순선형모형으로 시장은 단순히 R&D의 결과로서만 여겨지며, 단순하고 가변성의 정도가 작다고 할 수 있다. [ 그림 2-1-3] 제1세대 기술혁신모형 제2세대 모형은 시장견인형 혁신모델 로 특징지울 수 있으며, 1960년 대 중반~1970년대를 주도한 모형이다. 단순 선형적 과정의 기술혁신이 지만 시장이 기술혁신을 위한 아이디어 원천으로 연구개발 기술혁신에 많은 영향을 주는 모형이다([그림 2-1-4]). [ 그림 2-1-4] 제2세대 기술혁신모형 제3세대 모형은 커플링 혁신모델 로 특징지울 수 있으며, 1970년대 중 반에서 1980년대를 주도한 모형이다. 시장이 연구 초기단계로 피드백되는 루프(loop)를 가지는 모형이다. 제3세대 모형은 기술주도(technology-

제2장 관련연구 고찰 및 연구의 틀 41 push: 제1세대)와 시장 견인(market-pull: 제2세대)이 결합된 형태로서 R&D와 마케팅의 균형, 연계 등이 강조된다([그림 2-1-5]). [ 그림 2-1-5] 제3세대 기술혁신모형 제4세대 모형은 통합형 혁신모델 로서 1980년대 초반부터 1990년대를 주도한 모델이다. 조직 내부 기능들간의 높은 통합도와 더불어 공급자, 고객, 대학, 정부기관 등 외부 주체들과의 통합 역시 강조되는 모형이다. 시장의 개념과 범위가 확대(공급자, 고객, 대학, 정부, 전략적 파트너 등) 되면서 기술적 지식과 확대된 시장적 지식을 통합적으로 결합하면서 기 술혁신을 위한 지식을 창출, 전달한다. 조인트 벤처 및 전략적 제휴 등이 강화된다([그림 2-1-6]). [ 그림 2-1-6] 제4세대 기술혁신모형 1990년대 이후 나타난 제5세대 모형은 시스템통합 혁신모델로 특징지 울 수 있다. 제5세대 모형의 경우 제4세대 모형과 비슷하나, 속도경쟁 등 에 대처하기 위해 정보통신기술의 이용 및 내외의 네트워킹 강화 등을

42 미래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이용하여 보다 빠른 지식의 창출, 전달을 도모한다. 연구개발에 있어 전 문가시스템, 시뮬레이션 모델링의 사용, 공급자와의 전략적 통합, 선도적 고객과의 강력한 연계, 그리고 조인트벤처, 협력연구, 협력마케팅 등 수 평적 연계, 유연성과 개발속도, 질과 비가격 요소들을 강조한다. 제5세대 모형의 키워드는 시스템 통합, 광범위한 네트워킹, 유연하고 맞춤형의 대응, 지속적인 혁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5세대 혁신에서는 다양한 주 체간 연계 과정(multi-actor process)을 강조하는데 이는 IT 기반 네트워 킹에 의한 기업간, 기업내 수준에서의 통합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림 2-1-7] 제3, 4, 5세대 프로세스 이를 종합해 보면 MIiller & Morris (1999)의 세대별 R&D 기술혁신 방식 변화에 대한 이론과 Rothwell (1991, 1992, 1993)의 세대별 기술혁 신방식은 다음과 같이 대비해서 표현해 볼 수 있다. 이들 양자는 시장 적 요소와 다른 요소들간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그러나 MIiller & Morris의 새대별 모형은 기술혁신활동의 범위가 R&D활동에 국한되어 있지만, Rothwell 모형은 기술혁신방식의 전반적 인 활동, 즉 R&D뿐만 아니라 이의 상업화, 투자활동 등을 포함하는 광 범위한 영역을 대상으로 삼고 있다. Rothwell 모형은 이에 더 나아가 IT 기술과 네트워킹을 활용한 신속한 지식 창출, 유연성 강화 등을 강 조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2장 관련연구 고찰 및 연구의 틀 43 [ 그림 2-1-8] 세대별 R&D방식 및 기술혁신모형 Miller & Morris (1999) 1st R&D 2nd R&D 3rd R&D 4th R&D Rothwell (1993) 1st Innovation 2nd Innovation 3rd Innovation 4th Innovation 5th Innovation 3. 기타 주요 기술혁신 방식 가. 체인-링크(Chain-Linked) 모형 4) 전통적인 선형 모형에서 기술혁신 과정이 연구 개발 생산 마케팅의 단계를 거쳐 선형의 일방향으로 이루어진다고 지나치게 단순화하고 있어, 이의 대안으로 제시된 가장 대표적인 모형이 Kline and Rosenberg (1986)의 연쇄고리 모형이다. 지식 창조 획득 전달 결합 방식 관점에서 볼 때, 이 모형은 [그림 2-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술혁신이 선형모형과 같이 일방향으로 진 행되는 것이 아니라 각 단계들간, 그리고 연구, 기존과학기술지식 및 자 료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체인링크 모 델에서 연구(과학지식)는 초기 출발점으로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이 상호연계되는 등 기술혁신은 매우 복잡한 과정을 통하여 이루 어짐을 강조하고 있다. 환경적 패러다임 관점에서 볼 때, 이 모형은 시장적 요소를 명시적으 로 중요하게 고려 반영하고 있고 또한 외부의 과학기술적 지식 및 자료 등과의 상호 작용 등 선형모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존의 기술적 기반 4) 이 모형은 앞서 살펴본 Rothwell의 제3세대 모형과 연관되지만 이 모형의 이해를 위해 여기서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44 미래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요소들을 고려하고 있다. 기술혁신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기술 주도 요인 뿐만 아니라 시장요인을 모두 감안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그림 2-1-9] 체인링크(Chain-Linked) 모형 주 : C(혁신의 중심 연결고리), f(피드백 경로), F(특히 중요한 피트백 수직적 연계), K-R(지식을 통한 연구로의 연계와 반작용 경로, D(발명이나 설계와 관련된 문 제와 연구 사이의 직접적 연계, I(계기, 기계장치, 그리고 기술 과정과 관련된 제조업에 의한 과학적 연구의 지원), S (기업 제공 재정적 지원). 이 모델은 현실을 보다 잘 반영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전략적 으로 또는 정책적으로 한정된 자원을 어느 곳에 얼마나 배분해야 하는 지에 대한 의사결정을 함에 있어서는 그리 큰 도움이 되지 못하는 한계 를 지니고 있다. 나. 총체적 과정 모형(Myers & Rosenbloom, 1996) 이 모형은 Kline & Rosenberg (1986)의 체인-링크 모델을 확장한 모델 로서, 총체적 프로세스 관점에서 혁신을 설명하고 있다는 점이 이전 연

제2장 관련연구 고찰 및 연구의 틀 45 구와 다르다. 이 모델에서는 연구관리(research management)는 기술적 불확실성뿐만 아니라 시장의 불확실성 및 이들간의 상호작용 모두를 고 려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림 2-1-10] 총체적 과정 모형 자료 : Myers & Rosenbloom (1996) 지식 창출 획득 전달 결합 방식 관점에서 볼 때, 이 모형은 체 인-링크 모델에서 제시한 기존 과학기술지식 및 자료를 일반 지식 (general knowledge)과 기업 특유적 지식(firm-specific knowledge)으로 구분하여 제시하는 점과 기술 플랫폼(technology platform)을 모형 내에 명시화하여 신기술 개발이 이루어질 때 기회와 필요의 요소가 됨을 지 적하고 있다. 이 모형은 기술혁신의 과정 자체가 본질적으로 기술혁신 학습 과정이라고 주장한다. 환경적 패러다임 관점에서 볼 때, 이 모형은 혁신관리에 있어서 기술 의 불확실성, 시장의 불확실성 그리고 이들간의 상호작용 모두를 고려해 야 함을 강조하고 있으며 신기술의 출현은 신시장을 유도하기 때문에 혁신관리는 기술과 신시장 그리고 이들간의 상호작용 모두를 잘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46 미래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다. Hendson and Clark (1990)의 연구 혁신과정에서 시스템의 구성원리에서 나타나는 변화와 구성요소들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구분하여 분석을 수행한 대표적인 연구로 Henderson and Clark (1990)의 연구가 있다. 이 연구는 제품기술을 대상으로 기술 혁신의 유형을 점진적 혁신, 모듈라 혁신, 아키텍처 혁신, 급진적 혁신으 로 구분하고 있다. [그림 2-1-11] Henderson and Cl ar k의 혁신 유형 컴포넌트 지식 강화 컴포넌트 지식 전환 아키텍처 지식 강화 점진적 혁신 모듈라 혁신 아키텍처 지식 전환 아키텍처 혁신 급진적 혁신 자료 : Henderson and Clark (1990). 지식 창출 획득 전달 결합 방식 관점에서, 이 모형은 기술을 개별 컴포넌트와 관련된 지식(component knowledge)과 그 제품의 컴포넌트 들이 조직되는 원리(제품의 기본개념과 컴포넌트들간의 연계구조)인 아 키텍처지식(architectural knowledge)으로 구분하여, 컴포넌트와 관련된 지식이 변화하는가의 여부, 아키텍처지식이 변화하는가의 여부에 따라 기술혁신을 유형화하고 있다([그림 2-1-11]). 점진적 혁신은 기존의 컴포넌트 관련 지식이 강화되고 또 아키텍처도 강화되는 혁신, 즉 기존 아키텍처에서 기존 컴포넌트관련 지식의 개선을 의미하며 모듈라 혁신은 기존의 아키텍처는 유지 강화되지만 컴포넌트 와 관련된 기술이 새로운 기술로 대체되는 것을 의미한다. 아키텍처 혁 신은 컴포넌트와 관련된 기존의 기술은 유지되지만 아키텍처와 관련된 기존 지식이 폐기되고 새로운 아키텍처 지식이 등장하는 혁신을 의미하 며, 급진적 혁신은 컴포넌트 및 아키텍처와 관련된 모든 지식이 새롭게 등장하는 혁신을 의미한다.

제2장 관련연구 고찰 및 연구의 틀 47 환경적 패러다임 관점에서 이 모형을 볼 때, 기술 산업적 요소나 시 장적 요소가 명시적으로 고려되어 있지는 않지만 이 모형의 출현은 정 보통신기술 및 산업의 발전 등 기술 산업적 요소 측면에서 모듈 및 아 키텍쳐의 형성 발전이 뚜렷해지는 것과 관련이 있다. 제 2 절 기술추격국의 기술학습 혁신 연구 기술추격국은 일반적으로 신제품 창출 능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기술 능력을 점진적으로 축적하여 태동기 수준의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단계 로 점차적으로 성장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기술추격국의 기술발전 과정 은 선진국의 기술발전을 역으로 추격하는 형태로 나타난다(Kim, 1997; Lee et al, 1988; Hobday, 1994). 본 절에서는 기술추격국의 기술혁신 모 형으로서 Kim (1997, 1999), Lee et al. (1988), Lee and Lim (2001), Cho and Lee (2003), 최영락 외(2005)의 연구에 대해 고찰한다. 1. Kim(1997, 1999)의 연구 Kim(1997)은 한국과 같은 후발국의 기술발전은 선진국과는 반대로 혁 신의 과정이 성숙단계에서 초기단계로 진행된다고 주장한다. 즉, 기술역 량이 거의 없는 추격국의 경우 공기업 또는 해외 기업의 투자를 유치하 여 성숙기 기술에 대한 지식을 획득하고, 이 지식이 확산되는 가운데 해 외 기업들과의 협력 등을 통해 기술역량이 자라난다는 것이다. Kim(1999)은 기술혁신의 과정을 아이디어 창출단계, 채택단계, 연구개 발 단계 그리고 실행단계 등 4단계로 구분하였다. 아이디어 창출 단계란 혁신의 첫 단계로 시장이나 사회의 필요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아이디 어를 창출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채택 단계란 창출된 아이디어가 조직 내의 최고경영층에 의해 프로젝트로 선정되는 단계를 말하며, 이후 연구 개발 단계를 지나 실행단계에서는 창의적인 연구개발 활동을 통해 최초 의 아이디어가 제품이나 서비스로 개발되면 그것이 생산이나 제도의 실 천으로 옮겨지는 과정을 말한다. Kim(1997)은 개발도상국의 기술발전을

48 미래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단순실용화기 소화 및 모방기 개량 및 자체개발기 로 파악하고 있으 며, 모방에서 혁신으로 의 도약이라는 관점에서 급속한 기술학습이 있음 을 강조한다. 지식 창출 획득 전달 결합 관점에서 볼 때 이는 외부 특히, 선진국 으로부터의 지식을 획득 흡수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러한 지식의 흡수 능력은 [그림 2-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력의 정도와 기존 지식기반의 정도에 의해 결정된다. 이 모형에서는 학습 시스템으로서의 조직을 제시 하고, 기술 이전되어 온 지식이 내부의 지식 및 노력의 정도로서 흡수되 며, 창조적 모방과 혁신을 통해 학습된다고 제시한다. [그림 2-2-1] 기술추격 모델 Industrially Advanced Countries Product innovation Process innovation Architecture & capability innovation Time Catching-up Countries rate of major innovation Fluid (emergence) Technology Transfer secondary innovation Transitional (consolidation) Technology Transfer Specific (maturity) Technology Transfer Generation technological capability Improvement Assimilation Acquisition Improvement A ssim ilation Acquisition 자료 : Kim, 1997; Lee et al., 1988. Kim(1997, 1999)은 선진국으로부터의 기술 지식 이전은 선진국 공급 자의 역할(적극적 소극적) 및 시장의 매개 유무에 따라 [그림 2-2-2]와 같은 채널들이 존재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제2장 관련연구 고찰 및 연구의 틀 49 [그림 2-2-2] 기술이전의 틀 The role of foreign suppliers Active Passive Market mediated Foreign direct investm ent, foreign licensing, turnkey plants, technical consultancy, m ade-order m achinery Standard (serial) machinery (Cell 1) (C ell 2) Non-market mediated Technical assistance by foreign buyers, technical assistance by foreign venders (Cell 4) Im itation, (reverse engineering) observation, trade journals, technological inform ation service (Cell 3) 자료 : Kim (1997). [그림 2-2-3] 통합 모형 Technology Transfer Tacit knowledge Explicit knowledge Organization as a learning system Absorptive Capacity Learning Orientation Prior Knowledge base Intensity of efforts Duplicative Imitation Creative Imitation Innovation Externally Explicit Knowledge Evoked Crisis Market Technology Government Proactively Constructed Crisis E T Tacit Knowledge Expeditious Learning Individual Organization Organization boundary 자료 : Kim (1999). 지식의 흡수 창출, 기술혁신을 함에 있어 외부적으로 야기된 구조화 된 위기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설명하고 있으며 상기의 요소들을 결 합한 통합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그림 2-2-3 참조]). Kim(1999)은 기존의

50 미래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환경적 패러다임 관점에서 볼 때, 김인수의 통합 모형은 외부(선진국)에 서의 기술이전과 구조화된 위기가 조성됨에 있어 외부의 시장적 요소와 기술적 요소가 개입될 수 있는 여지를 내포한다. 2. Lee, et al.(1988)의 연구 Lee, et al.(1988)의 연구는 개발도상국의 기술혁신과정을 설명하는 개 념적 틀을 제시하고 있는데 그들은 기술발전과정을 세 단계 즉, 도입단 계, 내재화단계, 창출단계로 나누고 있으며 각 단계에 있어서 이전되는 도입기술의 수준, 기술획득방법, 학습되는 기술요소 및 기술개발에 있어 서 중요한 인자들을 설명하고 있다. 도입 단계에서는 채택기술을 단순 생산하거나 기존제품의 개선 개량 을 주로 하며, 내재화단계에서는 신제품개발 및 성장기 기술의 자체연구 개발을 하며, 창출단계에서는 완전히 새로운 기술혁신을 수행한다. 이 모형은 기술추격국이 선진국으로부터 쉬운 지식 기술을 획득하여, 내재 화 학습과정을 거치면서 지식기반을 축적 발전시킨 다음 새로운 지 식 기술을 창출하는 높은 단계로 나아가는 과정을 거친다고 설명한다. 기존의 관련 연구들에서는 선진국으로부터 개발도상국으로 이전되는 기술도입경로를 공식경로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있으나, 여기서는 비공식 경로의 활용도 중요한 형태로 다루고 있으며, 기술획득방법에 있어서 모 방개발도 개발도상국 기술발전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것으로 보고 있다. <표 2-2-4> 개발도상국의 기술발전 모형 기술개발모형 모방학습형 자주개발형 기술종속형 자유방임형 해당국가 한국 대만 (60년대 일본) 인도 중국 라틴아메리카 홍콩 싱가포르 태국 말레이시아 천연자원 풍부한 개발도상국 주된 기술획득방법 모방 자체개발 합작 특정한 방법이 없음

제2장 관련연구 고찰 및 연구의 틀 51 <표 2-2-4> 개발도상국의 기술발전 모형(계속) 기술개발모형 모방학습형 자주개발형 기술종속형 자유방임형 기술적 노력의 초점 획득된 기술의 내재화를 위한 명시적 노력 학습 독자적인 기술 능력의 축적 기술능력 및 기술자립도의 점진적 향상 특정한 방침이 없음 개발의 동기 수입대체 및 수출 증가, 높은 학습 의욕 동기 자체수요 충족, 자주성이 강한 민족성 외국기술의 활용 특정 동기가 없음 정부의 역할 수입규제, 활발한 산업정책 및 정부 개입 기초 응용연구 활성화 유도 관료적인 산업규제 자유방임 당면문제 원재료 및 핵심기술 부족 발전초기의 발전속도 느림 고급두뇌 해외유출 및 심각한 대외의존도 경쟁력이 없음 자료 : Lee, et al. (1988). 선진국의 경우 기술 산업발전은 Utterback(1994)의 유동기, 변화기, 경화기로 진행하고, 기술 추격국에서는 이를 역행적으로 따라가면서 도 입(시작)단계, 내재화단계, 창출 단계를 따라 발전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 모형에서 시장적 요소에 대한 명시적 고려는 나타나 있지 않으며, 또 한 상기 연구는 개발도상국간의 기술발전 유형이 국가간의 차이에서도 비롯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기술발전 전략에 국가간의 유형을 결 정짓는 주된 요소로써 정부의 기술정책과 사회문화적인 차이가 포함된 다고 주장한다.

52 미래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단계특성 주된활동 이전기술의 수준 산업유형별 기술 이전경로 <표 2-2-5> 총체적 모형의 각 단계별 특성 제품중 심형산 업 연속공 정형산 업 획득기술요소 도입단계 내재화단계 전기 후기 전기 후기 채택기술의 단순생산 성숙기술 (경화기) 기존제품의 개선 개량 성숙기술 (경화기) 신제품개발 (성장기 기술) 높은수준 기술 (과도기) 성장기 기술의 자체연구개 발 신기술 (과도기) 창출단계 완전히 새로운 기술혁신 출현신기술 (유동기) 비공식 비공식 공식 공식 자체 R&D 공식 공식 공식 공식 자체 R&D 생산조업 기술 생산조업 기술 설비 공정 기술 설계기술 기술의 주요원천 외부 외부 내부 외부 내부 내부 외부 내부 R&D 혁신 능력 내부 내부의존도 매우낮음 다소낮음 낮음 높음 매우높음 설계기술의 정도 불필요 낮은수준 중위수준 높은수준 높은수준 기술적노력의 초점 안정적생산 제품개발 공정관리 신제품설계 R&D 국가발전단계 후진국 후진국 신 흥공업국 신흥공업국 후진국 신흥공업국 선진국 기술발전의 중요역할자 국내기술자 기술도입선 합작투자 국내기술자 기술도입선 합작투자 기술도입선 은퇴기술자 국내기술자 국내기술자 기술도입선 연구인력 R&D인력 과학자 국내기술자 기술개발에 있어 CEO의 역할 중소 기업 아이디어 제안자 문제해결자 대기업 기술선택자 아이디어 제안자 문제해결자 기술개발 지원자 아이디어 제안자 기술개발 참여자 아이디어 제안자 기술선택자 기술개발 지원자 기술개발 지원자 기술개발 지원자

제2장 관련연구 고찰 및 연구의 틀 53 단계특성 <표 2-2-5> 총체적 모형의 각 단계별 특성(계속) 도입단계 공정의 효율성 비효율적 상대적으로 비효율적 내재화단계 전기 후기 전기 후기 상대적으로 효율적 효율적 시장지배 판매자 판매자 수요자 수요자 창출단계 매우효율적 혁신적 수요자 경쟁정도 낮음 중위 높음 높음 높음 자료 : Lee et al. (1988). 한편 개도국에서의 기술발전단계는 분석단계에 따라 다르게 표현된다. 산업 및 기술수준에서는 도입 또는 시작 단계, 내재화 단계, 창출단계를 따라 발전하며, 기업 내의 단위기술차원에서 보면 개도국의 기술 획득 기, 소화 파급기, 개량기를 따라 발전한다. 또한 국가발전 차원에서 본 다면 후진국, 중진국 또는 신흥공업국, 선진국으로 나누어볼 수 있으며, 이는 기술발전의 도입단계, 내재화 단계, 창출단계와 대응된다. 요약하면, 이 모형은 첫째, 기술발전과정을 세계적인 관점에서 파악하 고 있다는 점과 둘째, 기술이전의 공식적 경로 뿐만 아니라 비공식적 경 로도 기술획득방법으로써 마찬가지로 중요하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셋째, 개도국에서 기술발전과정의 동태적 특성을 설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 의가 있다. 3. Lee and Lim(2001)의 연구 Lee and Lim(2001)의 연구에서는 기술진보의 누적성과 기술궤적의 예 측 가능성을 추격과 관련되는 기술체제의 중요한 측면으로 본다. 또 외 부지식기반에 대한 접근 가능성(기술이전) 역시 후발자의 연구개발기회 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한다. Breschi, Malerba and Orsenigo(1998)와 같이 혁신의 빈도로 누적성을 측정하면 주어진 기간동안 혁신이 많이 일어날수록 후발기업들에 요구 되는 연구개발 노력은 더 커진다고 말할 수 있다. 또 기술궤적이 가변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