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3330345FC0FAC0DABCF6C1A45FC1F6C1DFC7D8C1F6BFAABFACB1B82031362D3128B1B9B9AE292E687770>



Similar documents
*5£00̽ÅÈ�

< BBF3B9DDB1E228C6EDC1FD292E687770>

5-김재철

<3036C0CCBCB1BFEC2E687770>

<BED6C7C3BCD2BDBA5F4B5350BBFDBBEABCBA31C0E5312D32302E70312E504446>

03-28-여름-특집2

090209_weekly_027.hwp

_ _ Reading and Research in Archaeology. _ Reading and Research in Korean Historical Texts,,,,,. _Reading and Research in Historical Materials from Ko

04±èºÎ¼º

2

국제무역론-02장

DBPIA-NURIMEDIA

11. 일반 10 김린 지니 3(cwr).hwp

ÀÌÁÖÈñ.hwp

<30315FC0CCB5BFC1D65FC7D1B1B9BCBAB8C5B8C52E687770>

1-2-2하태수.hwp

<3133B1C732C8A328BCF6C1A4292E687770>

조재욱D)-63-88

<392EC0E5BAB4BFC12D32362D3228C3D6C1BE292E687770>

433대지05박창용

07_À±¿ø±æ3ÀüºÎ¼öÁ¤

01이정훈(113~127)ok

<33B1C720C1FDB4DCC8F1BBFD C3D6C1BEC6EDC1FD E687770>

에너지경제연구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4, Number 2, September 2015 : pp. 99~126 산유국의재생에너지정책결정요인분석 1) 99

<313120B9DABFB5B1B82E687770>



<B9DABCBCC1A45FBCB1B9CCBCF6C1A42E687770>

주류-비주류 프레임으로 본 19대 대선구도 예측 좌클릭-우클릭 논쟁 넘어 새로운 대선방정식 필요 단일대상 프레임의 넘어 듀얼 프레임 필요 본 보고서는 <데일리한국>에 기고한 2017 대선, 좌클릭-우클릭 논쟁 넘어 새로운 듀얼 전략 필요 의 원본 보고서이다(2015년

50-5대지05장후은.indd

¹Ì·¡¼¼´ë¿ÍÀǵ¿Çà-Ç¥Áö ¾ÕµÞ¸é ÇÕº» ¿Ï¼º.PDF

<30315FB3EDB4DC B0A1C0BBC8A3295FC0CCB8EDB9DAC1A4BACEC0C7B4EBBACFC1A4C3A57E2E687770>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에너지 포커스 (제2권 제2호 통권12호, ·4)

<312DBACFC7D1BBE7C0CCB9F6C0FCB7C22DC0D3C1BEC0CEBFDC2E687770>

ㅍㅍㅍㅍ통계지식과 경제적 상상의 구축

02Á¶ÇýÁø

DBPIA-NURIMEDIA

요 약 문 남북 종교교류의 역사는 짧지만, 그 성과와 영향력은 무시할 수 없을 만큼 크고, 갈 수록 그 현실적 의미와 결실이 증대하고 있다. 정치ㆍ경제ㆍ문화ㆍ학술ㆍ예술ㆍ종교 분 야 등에서 다양하게 남북한간의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분야에서의 교 류와 협

09구자용(489~500)

13.12 ①초점

1

연합학술대회(국민연금윤석명1008)ff.hwp

DBPIA-NURIMEDIA

:49 AM 페이지302 해외 및 기타 여건에 맞춘 주민중심의 도시재생 활성화 방안 마련 1. 조사개요 을 위해 일본의 주거지 정비정책 및 정비방안을 조 1.1 출장목적 사 분석함으로써 성남시에 적용 가능한 방안을 도출 하고 실질적인 사업 추진이

<3037C1A4BCB1BFED5FB1E8BCBABCF65FBBE72E687770>

09김정식.PDF

208 국가정보연구 제2권 1호

<302DC5EBC0CFB0FA20C6F2C8AD28BFCF292E687770>

歯주5일본문.PDF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1, pp.1-19 DOI: *,..,,,.,.,,,,.,,,,, ( )

Microsoft Word - NEW08_prof. Ma

DBPIA-NURIMEDIA

<30315FB1E2C8B9B3EDB4DC B0A1C0BBC8A3295FB1E8C1DFC8A32E687770>

2 KHU 글로벌 기업법무 리뷰 제2권 제1호 또 내용적으로 중대한 위기를 맞이하게 되었고, 개인은 흡사 어항 속의 금붕어 와 같은 신세로 전락할 운명에 처해있다. 현대정보화 사회에서 개인의 사적 영역이 얼마나 침해되고 있는지 는 양 비디오 사건 과 같은 연예인들의 사

한국무역협회

08최봉석ㆍ구지선.hwp

사우디 리야드의 대중교통 발전 현황 그림2 신규도로 지역별 비율(2003~2008) 북부 접경지대 4% 하일 11% 타부크 아시르 기타 19% 리야드 25% 동부 지역 카심 9% 메디나 8% 메카 자료 : 5개년 국가개발계획 (National Development Pl

Microsoft Word - 21KR_Proceeding_2009_

<BFACB1B8BAB8B0ED D313120B9CEB0A3BACEB9AE20C1F6C0DAC3BCC0C720BACFC7D120BBEAB8B2BAB9B1B8C1F6BFF820C8B0BCBAC8AD20B9E6BEC820BFACB1B85FB3BBC1F62E687770>

<C5EBC0CFB0FA20C6F2C8AD2E687770>

<3031C8ABB5E6C7A52E687770>

제목

00표지

Microsoft Word - 21KR_Proceeding_2009_

요 약 대한민국은 1948년 정부수립 이후 60년 만에 세계 13위의 경제대국으로 비약적인 성 장을 이루었다. 정부수립 2년 만에 북한의 전격 남침으로 전 국토가 초토화되었고, 휴 전 이후에도 안보에 대한 위협은 계속되었다. 그러나 대한민국 국민은 불리한 여건에 좌절하

2 ㆍ 大 韓 政 治 學 會 報 ( 第 20輯 1 號 ) 와 팀스피리트 훈련 재개문제 로 모든 합의가 무산되었다. 이후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서 북ㆍ미회담이 자리 잡게 되었고, 미국이 주요 행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왔다. 북핵문제는 우여곡절 끝에 1994년 10월 북미

10¿ÀÁ¤ÁØ

2 大 韓 政 治 學 會 報 ( 第 18 輯 1 號 ) 과의 소통부재 속에 여당과 국회도 무시한 일방적인 밀어붙이기식 국정운영을 보여주고 있다. 민주주의가 무엇인지 다양하게 논의될 수 있지만, 민주주의 운영에 필요한 최소한의 제도적 조건은 권력 행사에서 국가기관 사이의

새만금세미나-1101-이양재.hwp

???? 1

182 동북아역사논총 42호 금융정책이 조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제 대외금융 정책의 기본원칙은 각 식민지와 점령지마다 별도의 발권은행을 수립하여 일본 은행권이 아닌 각 지역 통화를 발행케 한 점에 있다. 이들 통화는 일본은행권 과 等 價 로 연

<B1E8BCF6C1A4BEC6BDC3BEC620BFA9BCBAC0C720B1B9C1A6B0E1C8A5BFA120B4EBC7D120B9CCB5F0BEEE20B4E3B7D02E687770>

홈페이지부록시안1

IDP www idp or kr IDP 정책연구 한국경제의구조적문제와개혁방향 민주정책연구원 The Institute for Democracy and Policies

PDF

< BFEEB5BFB9DFC7A52E687770>

03-서연옥.hwp

의정연구_36호_0828.hwp

<BFACB1B85F D30335FB0E6C1A6C0DAC0AFB1B8BFAA2E687770>

<BAF1BBF3B1E2C8B9BAB C8A3295F317E32B4DCB6F42E717864>

<36BFF9C8A32E687770>

<BCF6BDC D31385FB0EDBCD3B5B5B7CEC8DEB0D4C5B8BFEEB5B5C0D4B1B8BBF3BFACB1B85FB1C7BFB5C0CE2E687770>

< F D20C0C7B7E1B9E8BBF3B0F8C1A6C1B6C7D520C3DFC1F820B0FCB7C320BFACB1B85FBCF6C1A42E687770>

<C3D6C1BE2DBDC4C7B0C0AFC5EBC7D0C8B8C1F D32C8A3292E687770>

1-국가봄-박영준(5-37).hwp

UXJQXAAOAIYR.hwp

<28C3D6C1BE2939BFF931C0CFB1B9B0A1BEC8BAB8C0FCB7ABC0DAB7E1C1FD2E687770>

<5B31362E30332E31315D20C5EBC7D5B0C7B0ADC1F5C1F8BBE7BEF720BEC8B3BB2DB1DDBFAC2E687770>

< C7CFB9DDB1E22028C6EDC1FD292E687770>

?? 1990년대 중반부터 일부 지방에서 자체적인 정책 혁신 을 통해 시도된 대학생촌관 정책은 그 효과에 비자발적 확산 + 대한 긍정적 평가에 힘입어 조금씩 다른 지역으로 수평적 확산이 이루어졌다. 이? + 지방 A 지방 B 비자발적 확산 중앙 중앙정부 정부 비자발적


Xinhuanet Strenk

¿¬¼¼¼Ò½Ä476.PDF

¹ýÁ¶ 12¿ù ¼öÁ¤.PDF

<3033B9DABCF6B0E62E687770>

2016-국가봄-6-정은숙( ).hwp

264 축되어 있으나, 과거의 경우 결측치가 있거나 폐기물 발생 량 집계방법이 용적기준에서 중량기준으로 변경되어 자료 를 활용하는데 제한이 있었다. 또한 1995년부터 쓰레기 종 량제가 도입되어 생활폐기물 발생량이 이를 기점으로 크 게 줄어들었다. 그러므로 1996년부

10_윤성학_ hwp

Transcription:

지중해지역연구 제16권 제1호 [2014. 2] : 21~39 중동수자원 현황과 과제 -요르단을 중심으로- *6) 최 재 훈 **7) CHOI, Jae Hoon Conflicts and Cooperations in the Middle Eastern Society -in case of Jordanian Water Resources- This paper reviews the status of the water resources in the Hashemite Kingdom of Jordan in the context of the global pattern of increasing demand for water linked to population increase, a growing urban-based population and increasing economic progress. Jordan is currently one of the world s ten water poorest nations, a situation which is being exacerbated by a rapidly growing population. Jordan has a climate ranging from Mediterranean to Arid with approximately 80 per cent of the country receiving less than 100mm of precipitation annually. Evaporation ranges from around 2000mm per year in Zarqa in the north west of the country to over 5000mm per year in Ma an in the south. Renewable freshwater resources are of the order of 750-850 million cubic meters(mcm) with approximately 65 per cent derived from surface water and 35 per cent from groundwater sources. Current demands for water are of the order of 955 MCM. This shortfall is currently managed by controlling supply, but this is unsustainable. Treated waste water provides a possible additional source of water, but there are concerns and limitations over its use. Jordan must develop a strategy to manage its water resources sustainably, making full use of all available water resources. Some of the problems and possible solutions are discussed. * 이 논문은 2012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2012S1A5A8023009). **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지역원 초빙연구원, 국제관계학(중동정치) 전공, 한국외국어대학교 chlwogns@gmail.com, 010-6207-7303.

22 지중해지역연구 제16권 제1호 [2014. 2] [Key Words: Jordan, Water Security,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Water Crisis, Water Shortage, Climate Change, Water War, The Middle East] 1. 서 론 모든 생물의 생존에 필수적인 물은 인류역사 이후 모든 면에서 인류역사와 관계를 맺어 왔다. 세계 3대문명의 발상지는 모두 하천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이곳을 중심으로 사람들이 정착했으며 문명을 발전시켜 온 것이다. 근대 이후 급속한 인구의 증가와 물질문명의 발전 등으로 물은 무한하다는 개념 을 벗어나 수자원이라는 개념으로 정착되었다. 무분별한 수자원의 이용은 급기야 수 자원의 부족사태를 야기하였고 21세기에 들어서는 중요한 전략적인 자원이 되었다. 중동지역은 지역적, 기후적 특성상 기타지역에 비해 수자원의 의존도가 매 우 높은 지역이며 수자원이 부족한 지역이기도 하다. 수자원은 중동사회의 모 든 면을 구속하는 환경적 요인이 되었으며, 이들의 삶과 미래에 대한 주요변수 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부분 건조지역으로 이루어진 중동지역의 수자원의 분포 를 살펴보고, 국가정립과정에서 수반되는 국토개발문제, 특히 수자원개발문제 를 고찰함으로서 중동지역 수자원문제가 식량문제, 국경문제, 생존문제에 필수 적인 문제라는 점을 밝히고, 향후 예상되는 수자원분쟁과 아울러 수자원협력의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있다. 전 세계는 이미 물 부족 현상을 겪고 있다. 급격한 인구증가, 산업의 발전, 환경오염과 이에 따른 이상기후로 인해 수자원문제는 20세기 후반부터 대두되 어 왔다. 우리나라도 현재 물 부족 국가로 분류되고 있다. 수자원문제에 대한 세계적인 합의가 필요하며 대표적인 수자원부족 지역인 중동지역에 대한 합리 적인 해결 방안의 모색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최 재 훈 중동수자원 현황과 과제 23 2. 연구방법 및 범위 대부분 건조지역으로 이루어진 중동지역의 수자원의 분포를 살펴보고, 국가 정립과정에서 수반되는 국토개발문제, 특히 수자원개발문제와 이를 둘러싼 주 변국과의 마찰 대립관계를 고찰하는 것은 의미 있는 연구주제라 할 수 있다. 사막으로 둘러싸인 건조지형에서 오랜 기간 생활해 온 아랍인들에게 있어 물이 갖는 의미는 그 어느 지역보다도 특별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모든 중동지역의 수자원문제에 대한 연구는 한계가 있다. 지역적 범위의 문제와 수자원에 대한 구분, 즉 비교의 대상 선정이라는 제한 이 생기게 된다. 수자원의 구분문제에 있어 중동지역의 주요수자원은 크게 지 하수와 지표수로 나뉠 수 있다. 중동의 수자원에 대한 국내연구로는 수자원 분쟁에 대한 주제의 연구가 시 도되어 왔으며, 석유를 제외한 중동의 전반적인 자원에 주제의 연구가 진행되 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표수와 지하수의 상황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는 요르 단을 연구 대상 국가로 한정하고 요르단 강 주변국들의 갈등 환경을 정리한다. 또한 요르단의 수자원 현황과 정책을 정리하여 기타 중동 지역의 수자원 현황 과 정책비교 등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도록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요르 단 수자원국(The Ministry of Water and Irrigation; MWI)의 자료를 이용하여 수자 원 보존 및 개발정책과 그 한계를 예측한다. 3. 요르단의 수자원 현황 요르단은 지중해 지역의 동부에 자리 잡고 있으며, 약 90,000km2의 면적을 이 루고 있다. 요르단의 수자원은 크게 야르묵, 요르단 강의 지표수와 지하 대수층

24 지중해지역연구 제16권 제1호 [2014. 2] 에 위치한 지하수로 구성되어 있다. 요르단 강의 경우 수자원을 공유하는 주변국, 특히 이스라엘과의 갈등과 협 력이 모색되어 왔다. 요르단 강 유역의 수자원은 인접국인 요르단, 이스라엘, 레바논 등이 각각의 수자원 확보를 위한 노력으로 1960년대에 비해 수량이 감 소하였다. 수요의 증가와 오염으로 향후 공존을 위한 협력이 절실한 상태이다. 한편, 최근의 시리아 내전에 따른 난민의 유입과 전통적인 팔레스타인 난민 의 수용 등 수자원에 대한 수요증가로 물 부족 현상은 가속화 되고 있다. 3.1. 요르단의 수자원 현황 요르단의 수자원은 크게 지표수와 지하수로 나뉜다. 비는 지하수 대수층을 충전하는 요르단의 물 공급의 유일한 원천이다. 요르단의 연평균 강수량은 200mm 이하이며 겨울철 홍수로 인한 유수 량은 매년 변동이 있지만 연평균 255MCM(Million Cubic Meter) 정도로 추산된다. 요르단 강 유역의 수자원 요소로 는 크게 지표수(Surface Water)와 지하수 그리고 정화기술을 이용한 재생 수자 원인 비 전통적 수자원(Non Conventional Water Resources) 등을 들 수 있다. 3.1.1. 지표수(Surface Water) 요르단 강과 야르묵 강 등 약 14개의 지표수 유역이 요르단에 분포되어 있으 나 그 양은 한정적이다. 지표수의 확보를 위해 증발과 누수로 인한 손실을 줄 이며, 효율적인 관개용수의 이용 및 오염으로부터 수자원을 보호하기 위한 노 력이 추진되고 있다. 1) 요르단의 평균 지표수의 총 유량은 약 710MCM를 기록하 고 있으며, 최근 요르단의 댐 건설로 인한 취수량의 용적률은 254MCM가 되었 다(Al-Halasah & Ammary 2006:60). 1) http://www.mwi.gov.jo/sites/en-us/sitepages/water%20policies/ground%20water%20policy.aspx 참조

최 재 훈 중동수자원 현황과 과제 25 출처: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그림 1] 요르단 강우분포도 요르단의 지표수는 몇 개의 주요 수원으로 구성되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 는 요르단 강은 크게 상류와 하류로 구분된다. 상류지역은 헤르몬 산에서 발원 하여 갈릴리 호수까지 유입되는 곳을 지칭하며, 하류지역은 갈릴리 남단부터 시리아와 요르단의 국경을 따라 흐르는 야르묵 강(Yarmouk River)과 합류되는 지점을 통과하여 요르단 계곡을 따라 사해(Dead Sea)까지 유입되는 지점을 일 컫는다(박진이 2011 32). 기타 주요 지표수로는 북서부의 야르묵 강이 있으며, 이스라엘 관할의 갈릴리 호수, 리타 강이 있다. 3.1.2. 지하수 요르단 강 유역에는 크게 산악 대수층(mountain Aquifer), 해안 및 가자 대수 층(Coastal and Gaza Aquifer) 등 3개의 대수층이 형성되어 있다. 산악 대수층은

26 지중해지역연구 제16권 제1호 [2014. 2] 요르단,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의 주요 지하수자원으로 안정적 인 공급가능 수 량은 약 6억 7천만m3이고 이 중 1억 8천만m3 정도는 소금기 있는 염수이다. 대수층의 지하수는 다시 재생 가능한 화석수와 재생 불가능한 화석수로 구 분할 수 있다. 재생할 수 있는 안전 지하수량은 27억 5천만m3로 12개 유역에 분 포되어 있다(Al-Halasah & Ammary 2006:60). 급속한 인구와 산업의 발달로 인한 무분별한 지하수 추출은 지하수 고갈이라는 큰 문제를 야기했다. 요르단 수자원국은 지하수 남용 상황을 개선하고 사용가능 기간을 평가할 수 있는 통합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이와 함께 신흥개발지역 및 산업용 용수확 보를 위한 대용량의 지하수 개발을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으며, 지하수 데이터 분석 및 모니터링 실시, 관련 법률 및 규정 정비를 통해 지하수의 효율적인 관 리를 실시하고 있다(MWI 2010). 2) 출처: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그림 2] 요르단 지하수 분포 2) http://www.mwi.gov.jo/sites/ar-jo/default.aspx#

최 재 훈 중동수자원 현황과 과제 27 3.1.3. 비 전통적 수자원(Non Conventional Water Resources) 잠재적인 수자원으로는 비 전통적 수자원인, 정화된 오폐수의 재활용과 담 수화를 들 수 있다. 요르단은 폐수정화시설을 이용하여 공업용 냉각수로 사용 하는 등 재활용을 하고 있다. 2020년까지 약 245MCM정도의 재활용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염분이 포함된 지하수를 산업용수로 활용하는 계획도 세우고 있으나 경제성을 보장 할 수 없는 것이 한계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3.2. 요르단의 수자원 수요 요르단은 1992년 약 20%에서 2000년에 29%를 초과하는 급속한 물 소비의 증 가를 보이게 된다. 이는 도시의 인구증가와 삶의 질 향상이 그 원인으로 분석 된다. 향후 수자원의 수요량이 공급량을 넘어서게 될 것이라는 관측으로 안정 적인 수자원 확보를 위한 다각적인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표 1> 부분별 수자원사용현황(MCM) (MWI, 1997) 공공분야 산업분야 농업분야 합계 수자원 지표수 - 요르단 강 38.5 2.5 121.2 162.2 - 우물 14.9 0 38.0 52.9 - 표층수 0 0 56.5 56.5 지하수 - 재생가능 176.4 29.6 206.0 412.0 - 재생 불가능 9.4 4.6 47.7 61.7 오수 0 0 72.0 72.0 합계 239.2 36.7 541.4 백분율 29.3 4.4 66.3

28 지중해지역연구 제16권 제1호 [2014. 2] <표 1>에 나타난 요르단의 수자원 수요 및 사용량을 볼 때 요르단의 수자원 수요는 농업분야, 공공분야, 산업분야의 순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자원은 지하수의 의존도가 지표수의 의존도보다 크게 나타났다. <표 2>는 1985년부터의 수자원 수요량을 부분별로 나타내고 있다. 요르단의 수자원수요는 농업부문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공공용수와 산업 용수 그리고 농업용수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05년 이후 산업용수와 농업용수의 비율이 높게 증가하고 있다. <표 2> 요르단 부분별 수자원수요량(MCM) 연도 공공용 산업용 농업용 합계 1985 116 22 501 639 1986 135 23 461 619 1987 150 24 570 744 1988 165 39 613 817 1989 170 36 624 830 1990 176 37 657 870 1991 173 42 618 833 1992 207 35 709 951 1993 214 33 737 984 1994 216 24 669 909 1995 240 33 606 878 1996 236 36 610 882 1997 236 37 603 876 1998 236 38 561 835 1999 232 38 532 801 2000 239 37 541 817 2001 246 33 495 774 2005 281 76 750 1107 2010@ 380 93 746 1219 2015@ 463 112 704 1279 2020@ 517 130 665 1312 출처 Ministry of Water and Irrigation (MWI 2006)

최 재 훈 중동수자원 현황과 과제 29 요르단은 댐 건설, 개발가능한 지하수 탐사 등 다각적인 수자원개발 정책을 취하게 된다. 2005년부터 암만의 가정은 일주일회 1회 또는 2회 정도의 제한급 수를 받을 정도로 수자원의 사정이 좋지 못한 실정이다(Potter, 2007a, 52-54). 농 업분야의 수요와 생활용수, 산업화를 위한 공업용수의 수요는 급격하게 증가하 고 있으나 수자원의 공급은 이를 따르지 못하고 있다. 이는 물 값의 상승과 이 에 따른 요르단 경제 인플레의 하나의 요인이 될 수 있는 문제인 것이다. 4. 요르단의 수자원 정책 요르단은 절대적인 수자원 부족국가라는 인식을 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하 에 다양한 수자원정책을 수립하였고 이를 발전시키고 있다. 한편, 요르단과 주 변 국가들은 수자원에 대한 국가차원의 고강도 정책 사업을 추진 중이다. 수자 원의 안정된 확보는 국가경제와 안보에 필연적이라는 인식의 결과인 것이다. 수자원 확보를 위한 갈등과 함께 평화적인 공유를 위한 많은 시도가 있어왔다. 요르단의 경우 요르단 강과 요르단 강 유역의 지하수가 공유 수자원이기 때문 에 수자원의 가용성과 적합성,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통합적인 접근방식을 취하고 있다. 요르단 수자원국(The Ministry of Water and Irrigation; MWI)은 수자원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담수의 공급 및 폐수 시스템을 관리하는 정부기관으로 1988년 설 치되었다. 1997년 요르단 정부는 수자원의 확보를 위한 통합전략을 가동한다. 그 요지는 다음과 같다. - 지표수와 지하수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와 사용 - 생활용수와 관개수의 효율적인 관리개선 - 법적 프레임 워크에 의해 지원되는 수자원 관리제도 개발 - 수자원의 효율적 개발과 사용을 위한 민간부문의 참여와 기금조성

30 지중해지역연구 제16권 제1호 [2014. 2] 이 전략은 지표수와 지하수의 현황을 파악하고 염분이 함유된 지하수의 활 용을 모색하는 것이다. 또한 낭비되는 물, 오폐수를 정화하여 농업용수로 전환 하는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상기한 전략인식으로 요르단은 여러 가지 정책을 추진한다. 4.1. 국립 수자원 종합 계획 1997년 요르단 정부는 수자원의 확보를 위한 통합전략을 수립하였다. 2004년 부터 요르단은 독일의 Deutsche Gesellschaft für Technische Zusammenarbeit(GTZ) 의 지원을 받아 국립 수자원 종합계획(National Water Master Plan of Jordan; NWMP) 으로 발전시킨다. NWMP는 컴퓨터를 이용한 효율적인 시뮬레이션을 통 해 2005년부터 2020년까지의 요르단의 수자원에 대한 수요와 공급을 예측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낭비되는 수자원을 최소화하고, 요르단 국민의 절수를 홍보 하였다. 국립 수자원 종합계획(NWMP) 은 요르단 수자원국(MWI)에 의해 통합 적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국립수자원국은 민간부문과 유관 수자원 당국을 효율 적으로 조율하고 있다. 공공부문에서는 요르단 수자원국(Jordan Water Authority) 이 수도공급과 하수처리에 대한 책임을 지고, Jordan Vally Authority를 설치하여 수자원의 관리와 개발에 대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게 하였다. 한편, 암만지역 에서는 1997년부터 2007년까지, 민간부문의 투자회사인 LEMA(Lyonniase de Eaux Montgomery Arabtech)가 수자원에 대한 관리를 위탁받아 실행하였고, 아카바 지역에서는 2007년부터 Aqaba Water Company가 건립되어 물 공급과 하 수처리를 담당하고 있다. 국립 수자원 종합계획(NWMP) 은 크게 세 가지 전략을 모토로 하고 있다. 첫째, 수자원 확보전략으로 1) 지속적인 수자원의 개발을 도모하고 2) 국제 수자원에 대한 양자간, 다자간 협상으로 요르단의 수자원에 대한 권리를 보장 한다. 3) WHO와 FAO의 권장에 따라 농업용수에 대한 수자원을 재활용하고 지 하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최 재 훈 중동수자원 현황과 과제 31 둘째, 수자원 할당전략이다. 이 전략은 가정용 용수에 우선을 두고 생활하수 를 관리하여 농업용수로 활용하는 전략이다. 절수 유도를 통해 발생한 여분의 지하수를 농업용수로 활용하는 전략이다. 셋째, 수질관리전략이다. 각 용도에 맞는 적절한 수자원 공급에 그치지 않고 각 용도에 최대한 알맞은 수질을 맞추어 제공한다는 전략이다(MWI, 1997). 4.2. 요르단 수자원 전략 2008-2022 2009년 5월, NWMP에 이어 요르단은 2022년까지 충분하고 안전한 식수의 공 급 등 지표수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지하수 등의 개발을 도식한 로드맵(Water for Life: Jordan s Water Strategy 2008-2022)을 발표했다. 80억 달러 규모의 이 사 업은 23%의 지하수 의존도를 17%로 줄이고 농업용수의 재 활용도를 10%에서 13%로 향상시키고 1%의 담수화 비율을 31%까지 높인다는 전략이다. 이 계획은 적절하고 안전한 식수공급, 수자원에 대한 이해와 효율적인 관리, 수자원 생태계의 보존, 합리적인 비용으로 지속 가능한 수자원의 이용, 인구성 장을 감안한 수자원의 경제적인 개발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하수의 개발은 점차 그 한계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그간의 수자원 공급 인프라 개선에도 불구 하고 심각한 수급불균형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고 요르단 정부는 분석하였다. 이에 지속 가능한 수자원의 체계적인 공급과 수요의 균형을 이루겠다는 계획이 다. 새로운 수자원 공급 인프라를 구축하지 못한다면, 공급을 제한하고 소비량 을 줄일 수밖에 없다는 결론을 내린 것이다. 인구의 증가, 생활양식의 변화 등 으로 수자원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될 예정이다. 요르단 정부는 이 계획으로 2013년까지 Disi 지하수 프로젝트를 완공하고 2022년까지 홍해와 사해 수로 개발 프로젝트를 가동시키겠다고 밝혔다. 이 계 획은 고지대에서의 농사를 제한하는 수자원 관련법 입안 및 보수, 수자원 세 부 과, 국민의 수자원에 대한 인식변화 등을 담고 있다. 이를 통해 수자원의 수요 를 줄이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Water for Life: Jordan s Water Strategy 2008-2022).

32 지중해지역연구 제16권 제1호 [2014. 2] 수자원확보에 대한 계획으로는 담수화 사업, 오염으로부터의 식수원 보호, 지표수의 효율적 관리, 폐수관리 정책, 불법 지하수 개발 금지, 빗물활용을 위 해 건물에 집수설비를 설치하는 방안 등이 제시되었다. 지표수 개발에 대해 오 래된 댐의 퇴적물 제거하여 저장능력을 향상시키고, 개방된 수로에 수로관을 설치하여 자연유실을 최소화 하고자 하였다. 지하수 공급에 대해서는 관련 법 안을 정비하여 무분별한 개발을 점진적으로 제한하는 계획을 수립하였다. 지하 수 수질 개선을 위해 오염원의 배제와 통합관리를 위한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외에 담수설비 설치를 통한 산업용수, 농업용수 의 확보, 수자원 관련제도의 확충, 민간부문의 수자원 개발 유도 등의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계획에는 막대한 예산과 기술을 요구된다. 요르단 정부는 유럽국가와 기 술, 자본협력을 모색하는 동시에 증세의 움직임을 함께 보이고 있다. 부족한 수 자원, 급격한 인구 증가 등의 문제와 현재 요르단의 경제상황이 비용 대비 효과 를 거둘지는 현재로서 미지수다. 5. 요르단 강 유역 수자원 갈등환경 20세기 중동지역과 세계의 주요 분쟁의 원인 중의 하나가 석유문제였다면 21 세기는 물분쟁의 시대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있어왔다. 특히 아프리카와 아랍 은 물 문제로 인해 전쟁도 불사할 만큼 갈등의 원인으로 대두하고 있다. 현재, 인류 문명의 발상지인 나일 강을 둘러싸고 이집트와 수단 그리고 에티오피아가 잠재적인 갈등을 겪고 있다. 중동지역은 대표적인 수자원부족 지역이다. 수자 원 문제는 중동지역의 많은 분쟁사례의 원인중의 하나이고 향후 예상되는 분쟁 의 주요사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요르단 강을 둘러 싼 주변국의 수자원 부족 현상은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제한 된 자원을 둘러싼 국가 간의 수자원 확보 노력은 필연적으로 갈등을 수반하게 된다.

최 재 훈 중동수자원 현황과 과제 33 이스라엘의 건국과 함께 주변 아랍국가와의 수자원확보 갈등 역시 시작되었다. 이스라엘의 정착촌 건설정책은 특유의 집단농장으로 대규모 수자원이 요구되 었다. 이스라엘 정부의 수자원 통제는 또 다른 난민인구를 생산하게 되었고 이 렇게 만들어진 팔레스타인 난민은 요르단 레바논 등으로 유입되어 주변국의 수 자원부족현상을 가속시키게 되었다. 자연적인 수자원 부족현상 이외에 인위적 인 부족현상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 1950년대 이후 이스라엘과 요르단 그리고 시리아는 요르단 강의 수자원을 둘러싼 분쟁을 지속해 왔다. 이스라엘은 바니야스 강 주변과 갈릴리 북부 훌라 호수 주변 등에 국가수로 건설을 추진했다. 1964년 이스라엘의 국가 수로가 완성되자 아랍연맹의정상들 이 카이로에서 회담을 갖고 요르단 상류 강물이 이스라엘로 유입되는 것을 막 기 위해 요르단 강 상류 전환 계획을 만들었다. 이 계획은 아랍측이 요르단 강 과 야르묵 강의 77%를 사용하고 나머지 23%만을 이스라엘에게 분배하는 것이 었다. 시리아와 레바논은 1964년 공사에 착공하지만 이스라엘에 의한 공사장 폭격으로 착공과 중단을 반복하였다. 1966년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수로는 파괴 되고 시리아는 골란고원에서 반격에 나선다. 이러한 충돌은 1967년 6일 전쟁으 로 마무리 되어 이스라엘은 요르단 강 원류지역과 서안지구 및 골란고원과 가 자 지역을 획득하게 되었다(김덕주 2009: 20-21). 1967년 중동전쟁 이후 이스라엘과 요르단은 극단적인 대립구도를 이루게 되 었고, 이스라엘이 요르단 강 서안 지구와 시리아의 골란고원을 완전히 장악하 게 됨으로서 요르단 강 상류지역과 킹 압달라 운하 내수지역까지 관할하게 되 었다. 이로써 요르단은 요르단 강 및 야르묵 강에 대한 접근이 자유롭지 못하 게 되었고 이스라엘과 극심한 대립이 계속되었다(박진이 2011: 42). 자연적인 요인을 제외하고 요르단 강 수량 감소의 가장 큰 원인은 주변국들의 수량 확보 경쟁이다. 중동 수자원 분쟁의 핵심이 되고 있는 요르단 강 문제의 해당국인 이스라엘이 국제적인 비난에도 불구하고 요르단 강 서안의 정착촌 확대에 집착 하고 있는 것도 이 지역의 지하수 85%를 이스라엘로 끌어들여 사용했기 때문이 다. 이스라엘 수자원 위원회는 연 평균 13억 5천만m3의 물이 필요하지만 확보

34 지중해지역연구 제16권 제1호 [2014. 2] 가능한 수자원은 9억 5천만m3에 불과하다며 물 부족을 호소하고 있다. 이에 대 해 레바논 정부는 이스라엘의 1인당 물 소비량은 인근 아랍국가보다 2-3배가 많다고 주장하였다. 팔레스타인 자치지구의 물 부족 현상은 더욱 심각하다. 이스라엘의 1인당 연 간 물 사용량이 170m3인 반면 팔레스타인은 25m3에 불과했다. 주변 국가의 과 도한 수자원 소비로 현재 요르단 강은 수량이 감소하였다. 1960년대 13억m3이 었던 수량이 1억m3 정도로 90% 이상 감소했다. 이렇듯 부족한 수자원으로 갈등 의 폭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지만 정책적 협력을 위한 시도 역시 이루어졌다(박 진이 2011: 44). 1994년 7월 15일 이스라엘의 라빈 총리와 요르단의 후세인 국왕 은 워싱턴 선언을 통해 관계개선을 천명하였다. 이후 라빈 총리와 마잘리 요르 단 총리는 10월 17일 수자원 및 국경문제에 합의하고 평화 협정 안에 서명하게 된다. 이로 인해 양국 사이에 요르단 강을 비롯한 수자원과 관련된 사안에 대 한 협력이 합의 되었고 이것을 바탕으로 수자원에 대한 공동 협력 대응이 일단 가능해졌다. 6. 맺는 말 수자원은 자원으로서도 그 비중이 높으나 생존에 필요한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 문에 여타자원이 갖는 국가이익에 우선하게 된다. 즉 국가이익의 문제가 아닌 국 가생존의 중요성을 지니는 사안이기 때문에 이를 둘러싼 국가 간의 입장은 첨예 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요르단을 중심으로 수자원의 현황과 수자원에 대한 인식, 발전계획과 요르단 강 주변국들의 입장과 분쟁 환경을 정리하였다. 요 르단 강 상류에 위치한 국가들은 안정적인 수자원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고, 하 류에 위치한 국가들은 자국으로 유입되는 수량의 감소에 신경을 쓰고 있다. 이스라엘은 이미 상당수준의 공업기반이 조성되어 있어 안정적인 수자원 공 급이 필수적이며, 요르단 역시 국가발전의 근간으로 추가적인 수자원 확보를

최 재 훈 중동수자원 현황과 과제 35 위한 개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양국 간의 관계 역시 불편한 상태이며 잠재적인 갈등과 협력의 필요성이 상존하고 있다. 하천을 둘러싼 해당 국가들은 수자원확보를 위해 관개시설개선 및 증가, 유 실량 축소, 지하수 개발 수자원의 오염방지 등의 자체적인 노력을 하고 있으며, 인접국과의 협력 및 협상의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수자원이 유한자원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수자원의 공동사용이라는 협력의 의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국제 하천에 대한 국제법이 제정되어 왔고 기본적인 동의가 이루어져 왔지만 급격한 수요의 증가와 중동지역의 정치적 변동으로 이에 대한 합의의 준수여부가 불투 명해지고 있는 현실이다. 한편, 과학기술을 이용하여 수자원을 효과적으로 개발하고 관리하며, 예견되 는 분쟁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해당국들의 노력이 진행 중이다. 중동지역의 고위 정책 결정자들은 물 공급을 충분히 받을 수 있게 하라는 압 력에 시달리고 있다. 바닷물을 담수화하는 데 따른 예산 부담도 정책 결정자들을 괴롭히고 있다. 경제사정이 좋지 못한 국가일수록 이러한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한편, 팔레스타인에 대한 이스라엘의 수자원 판매, 이스라엘과 요르단의 공 동 운하 개발 계획 등 평화로운 물 사용에 대한 움직임이 진행돼 수자원을 둘 러싼 국가 간 협력의 긍정적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중동지역은 대표적인 수자원 부족 지역이다. 중동지역에서의 원만한 수자원 문제의 해결은 앞으로 전 세계적으로 파급될 수자원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 한 타산지석이 될 것이다. [주제어: 요르단 수자원개발, 수자원, 수자원원보, 수자원분쟁, 수자원협력]

36 지중해지역연구 제16권 제1호 [2014. 2] 참고문헌 김광묵, 박태선. 2002. 외국공유하천 분쟁 및 관리사례. 해외리포트. 국토연구원, 최동진. 2002. 국제 공유하천을 둘러싼 분쟁. 상하수도학회지 16권 1호. 김덕주. 2009. 국제공유하천의 분쟁 및 해결 사례. 외교안보연구원 박진이. 2011. 국제하천 수자원 갈등에 관한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석사학 위 논문. 소병천. 2009. 국제하천의 비항행적 사용에 관한 국제법적 소고. 국제법학회 논총 제54권, 제3호 국제법학회. 신연재. 2006. 물 문제와 국제하천분쟁. 국제정치연구 제9집 1. 이상돈. 2007. 이스라엘의 물 관리와 수법. 법학논문집 제31집, 제1호. 중앙 대학교 법학연구회. 이상면. 1986. 국제하천에 있어서 댐건설과 유로변경에 관한 국제관습법. 서 울대학교법학 제27권 4호. 이종택. 1997. 중동의 수자원 안보와 분쟁. 한국중동학회논총 제18호. 이희철. 1996. 유프라테스강과 티그리스강을 중심으로 한 수자원 분쟁연구. 한국중동학회논총 제15권, 제2호 홍성민. 2005. Water Resources in Middle East : Conflict and Management. 한국 중동학회논총 제25-2호. 2. 외국문헌 Abu Zeid, M. 1997. Intervention, stating that irrigation water re-use in Egypt was approximately 2.3 times, at the Nile 2002 meeting in Addis Ababa, February. Al-Kloub, B. and Shemmeri, T. A. T. 1995. Application of multicriteria decision-aid to rank the Jordan-Yarmouk Co-riparians according to the Helsinki and ILC Rules, in Allan, J. A. and Court, J. H. O., Water, peace and the Middle East: negotiating resources in the Jordan Basin, London: Tauris Academic Studies. Allan, J. A. 1983a. Some phases in extending the cultivated area in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Middle Eastern Studies, Vol. 19, No. 2. Allen, J. A. 1983b. Natural resources as national fantasies, Geoforum. Allan, J. A. 1994. Overall perspectives on counties and regions,in Rogers, P. and Lydon, P. (editors) Water in the Arab world: perspectives and prognoses,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최 재 훈 중동수자원 현황과 과제 37 Allan, J. A. 1996. The Israel-PLO Interim Agreement-September 1995, Appendixes 3 and 4, in Allan, J. A. and Court, J. H. O., Water, peace and the Middle East: negotiating resources in the Jordan Basin. London: Tauris Academic Studies. Allan, J. A. 2000. Contending environmental knowledge on water in the Middle East: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contexts, in Stott, P. A. and Sullivan, S., Political ecology. London: Edward Arnold. Amery, H. A. 2000. A popular theory of water diversion from Lebanon: toward public participation for peace, in Allan, J. A., Water in he Middle East: a geography of peace. Austin, Texas: University of Texas Press. Arab Research Centre. 1995. Water, food and trade in the Middle East, Proceedings of a conference in Cairo convened by the Arab Research Centre and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Land Reclamation. London: Arab Research Centre. Beaumont, P. 2000. Conflict, coexistence and cooperation: a study of water use in the Jordan basin, in Amery, H. A. and Wolf, A. T., 2000, Water in the Middle East: a geography of peace. Austin, Texas: University of Texas Press. Bilen, O. and Uksay, S. 1991. Background report on comprehensive water resources management policies- an analysis of Turkish experience. Washington: the World Bank, 24-28 June 1991 Biswas, A. 2000. The Dublin principles revisited. Water International, Vol. 24.4. Bulloch, J. and Darwish, A. 1993. Water wars, London: Gollancz. Buzan, B. and Waever, O., 2000. Security complexes and sub-complexes. London and Boulder: Lynne Rienner. Chesworth, P. 1995. History of water use in the Sudan and Egypt, in Howell, P. P. and Allan, J. A., The Nile: sharing a scarce resource. Cambridge: CUP. CIA. 1994. Satellite images showing the drainage of the Iraq marshes of southern Iraq. NASA Eros Data Center TM Imagery, Washington DC: Central Intelligence Agency. Collins, R. O. 1995. History, hydropolitics and the Nile: Nile control - myth or reality?, in Howell, P. P. and Allan, J. A., The Nile: sharing a scarce resour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Falkenmark, M. 1990. Global water issues confronting humanity. Journal of Peace Research, Vol. 27.2. FAO. 1997a. Water resources of the Near East region: a review. Rome: FAO, Land and Water Development Division, Aquistat Programme.

38 지중해지역연구 제16권 제1호 [2014. 2] FAO. 1997b. Irrigation in the Near East region in figures. Water Reports No. 9, Rome: FAO, Land and Water Development Division, Aquistat Programme. Fisher, F. M. 1994. The economic framework for water negotiation and management. The Harvard Middle East water project. Cambridge: Kennedy School of Government, Harvard University. Fisher, F. M. 1995a. Removing water as a source of conflict. Middle East International, 6 January 1995. Garrfinkle, A. 1994. War, water and negotiation in the Middle East: the case of the Palestine-Syrian border. Tel Aviv: Tel Aviv University Press. Güner, Serdar. 1997. Water alliances in the Euphrates-Tigris basin, Paper at the NATO Advanced Research Workshop, 9-12 October 1996, Budapest, Hungary. Available Department of International Relations, Bilkent University, Ankara. Haddad, M. and Mizyed, N. 1996. Water resources in the Middle East: conflict and solutions, in Allan, J. A. (editor), Water and the Middle East Peace Process: negotiating resources in the Jordan Basin, London: Tauris Academic Studies. Isaac, J., and Shuval, H. 1994. Water and peace in the Middle East, Amsterdam: Elsevier. Kinnersley, D., Coming clean. London: Penguin. Kolars, J. F. and Mitchell, W. A. 1991. The Euphrates River and the Southeast Anatolia Development Project. Carbonda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McCaffrey, S. 1997b. Middle East water problems: the Jordan River, in Brans, H. J. et al., The scarcity of water: emerging legal and policy issues. London-The Hague-Boston: Kluwer International,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ow and Policy Issues. Medzini, A. 2000a. The Euphrates River: an analysis of a shared river system in the Middle East. London: SOAS, University of London. Ministry of Water and Irrigation. 1995. Water resource data for Jordan. Amman: Ministry of Water and Irrigation.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National Strategy and Action Plan to Combat Desertification. Amman, Jordan. Morris, J. 1996. Water policy: economic theory and political reality, in Howsam, P. and Carter, R. C., Water policy: allocation and management in practice. London: E & FN Spon. Naff, T. and Matson, R. 1984. Water in the Middle East: conflict or cooperation. Boulder, Colorado: Westview. Potter, R.B., Darmame, K. and Nortcliff, S. 2007a. The provision of Urban water under Conditions of Water Stress, Privatization and Deprivatization in

최 재 훈 중동수자원 현황과 과제 39 Amman, Bulletin of the Council for British Research in the Levant, Volume 2. Shapland, G. 1997b. Rivers of conflict, London: Hurst Publishers. Sherman, M. 1999. The politics of water in the Middle East: an Israeli perspective on the hydro-political aspects of the conflict. London: Macmillan Press. Waldner, D. 1999. State building and late development,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Waterbury, J. 1979. The hydropolitics of the Nile, Syracuse: University of Syracuse Press. World Bank. 1998. National water plan of the Resources Authority of the Palestinian Authority, Jerusalem: World Bank/ WRA of the Palestinian Authority. Young, O, R. 1989. International cooperation: building regimes for natural resources and the environment, Ithaca: CornellUniversity Press. Starr, Joyce R. Water Wars. Foreign Policy. 1991. Waterbury, John. 1994. Transboundary Water and the Challenge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he Middle East.ed. Rogers Peter and Lydon Peter, Water in the Arab World. The American Univ. in Cairo Press. Zeitoun, Mark. 2012. Power and Water in the Middle East, London, I.B.Tauris. http://www.mwi.gov.jo http://www.mwi.gov.jo/sites/en-us/sitepages/water%20policies/ground%20water%20 Policy.aspx 논문접수일 : 2013년 12월 23일 심사완료일 : 2014년 01월 22일 게재확정일 : 2014년 01월 2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