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東 寶 大 伍 * 이승호, 김상현, 장현철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Review for proper decoction method of herbal medicine - focused on prescriptions combined with Rheum palmatum in Donguibogam Lee Seungho, Kim Sanghyun, Jang Hyunchul * Mibyeong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Republic of Korea Abstract Decoction is commonly used to extract herbal medicine in Korean Medicine. Not only composition of prescription but also decoction method affect the efficacy of decoction. Root of Rheum palmatum is typically used for purgative medicine but it could be used for different efficacy in different decoction method. This review is to survey decoction method in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most decoction methods in previous studies have been inadequately performed. 대황( 大 ) 은 여뀌과(Polygonaceae) 장엽대황 ( 掌 大. Rheum palmatum L.), 탕구트대황 (R. tanguticum Maxim. ex Balf.) 또는 약용대황 ( 用 大. R. officinale Baillon) 의 뿌리 및 뿌리줄기로서 주피를 제거한 것으로 동의보감 ( 東 寶 ) 에서 300여회 이상 응용될 정도로 다양하게 활용 되고 있 다. 한의학에서는 기본적으로 瀉 熱, 凉 毒, 瘀 의 효능으로 사용되지만, 수치 방법에 따라 生 用 하면 瀉 下 力 이 강하여 實 熱 에 적용되고, 火 毒 瘡 瘍 에 적용되며, 하면 目 咽 과 痛 에 적용되고, 炒 炭 하면 化 瘀 止 하여 熱 로 된 瘀 性 出 症 에 응용 1) 되어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는 하면 주성분인 anthaquinine 이 anthraquinone 으로 변하면서 瀉 下 力 이 감소되기 때문인데 便 하고자 하면 後 下 ( 不 宜 久 煎 ) 하거나 혹은 沸 水 에 浸 泡 하여 복용하도록 1) 한 것과 일맥상통한다. 이렇듯 한약처방은 처방의 구성 외에도 전탕시간에 따라 약력과 효능이 변할 수 있기에 이러한 부분들이 연구
이승호 외. 한약처방연구의 전탕의 적절성에 관한 조사 설계 단계에서 적절하게 고려되어야 하며, 실험의 재현성과 직결 될 수 있기에 구체적으로 명시되어야 한다. 또한 한약처방의 연구가 임상에서의 활용적 측면과 한약 처방의 근거 확립에 있어서도 이러한 부분들은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간과되어서는 안 될 부분이다. 그렇기에 김 2) 등의 연구에서 이에 대한 근거 마련을 위한 노력과 문제제기가 있어왔다. 이에 본 저자는 東 寶 에서 大 이 伍 된 처방을 중심으로 기존의 관련 된 연구가 전탕시간과 조건에 관한 부분들이 얼마나 적절하게 고려되었 으며 설계되었는지 과학기술정보통합서비스 (NDSL) 검색결과를 중심으로 간략하게 알아보고자 한다. 1. 방법 먼저 동의보감에서 大 을 사용하는 처방 중 중복되는 처방명을 제외한 283개를 검색 대상으로 하였 으며, 대표적으로 국내 논문 검색 사이트 과학기술정보통합서비스 (NDSL) 에서 국내 논문만을 대상 으로 국문명으로 검색하였다. 2. 결과 먼저 각 처방별 검색어와 검색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1 각 처방별 검색 결과 수( 단위: 건) 처방명 검색 결과 처방명 검색 결과 처방명 검색 결과 처방명 검색 결과 처방명 검색 결과 木 檳 榔 丸 0 七 宣 丸 1 當 歸 子 0 茵 大 湯 0 升 和 氣 0 當 歸 李 仁 湯 0 淸 心 滾 痰 丸 0 當 歸 潤 燥 湯 0 加 味 花 丸 0 中 湯 3 血 解 毒 丸 0 寬 腸 丸 0 丑 寶 丸 0 疎 潤 腸 丸 0 大 花 丸 1 五 瘟 丹 0 如 神 散 1 痔 藥 膏 子 0 當 歸 承 氣 湯 0 活 血 潤 燥 丸 0 淸 火 湯 4 茵 蔯 丸 0 石 脂 散 1 全 眞 丸 36 牛 瀉 心 湯 0 和 血 潤 腸 湯 0 三 湯 2 人 中 丸 0 保 生 救 苦 散 0 導 水 丸 7 生 地 湯 0 仁 丸 0 三 元 0 旣 濟 解 毒 湯 0 栢 散 0 神 芎 導 水 丸 0 葛 丸 0 搜 潤 腸 丸 1 膈 散 8 牛 蒡 芩 湯 0 四 散 1 舟 神 祐 丸 0 三 瀉 心 湯 9 磨 湯 1 煎 散 1 蘆 散 0 大 膏 1 大 聖 濬 川 散 0 十 灰 散 0 神 散 0 三 枳 朮 丸 0 二 湯 0 奪 命 散 4 四 生 丸 0 聲 破 笛 丸 0 大 仁 丸 0 枳 實 導 滯 丸 1 消 毒 丸 0 散 20 解 毒 丸 0 淸 火 痰 丸 0 疎 氣 元 6 膈 湯 0 殭 丸 0 導 滯 散 0 木 氣 丸 0 加 味 小 胃 丹 0 脾 約 丸 0 交 泰 丸 0 二 聖 救 苦 丸 1 元 活 血 湯 0 三 解 毒 丸 0 竹 瀝 痰 丸 0 大 子 0 枳 實 大 湯 0 加 味 殭 丸 0 導 散 1 結 枳 實 丸 0 小 胃 丹 0 推 氣 丸 0 人 膈 丸 0 淸 凉 救 苦 散 0 烏 散 0 膈 丸 0 滾 痰 丸 0 三 一 承 氣 湯 1 當 歸 10 屠 蘇 0 王 丹 0 宣 毒 丸 0 木 和 中 丸 0 倒 散 4 平 氣 散 0 神 聖 瘟 丹 0 五 散 0 瀉 肝 散 0 瀉 丸 2 倒 換 散 1 消 塊 丸 0 加 味 柴 胡 湯 1 化 瘀 散 0 明 目 流 氣 0 洗 肝 散 1 大 散 1 化 痞 0 內 疎 湯 1 備 急 丸 0 石 決 明 散 0 當 歸 薈 丸 2 荊 湯 1 木 枳 殼 丸 0 千 蘆 湯 0 神 仙 太 乙 膏 0 羊 角 散 1 人 蔘 瀉 肺 湯 2 散 1 桃 仁 煎 0 五 翹 湯 0 膽 湯 0 二 散 5 三 和 湯 3 滋 潤 湯 0 煮 三 丸 0 五 利 大 湯 0 膏 0 加 味 荊 湯 0 玉 燭 散 0 活 命 丹 0 三 煎 元 0 仙 方 活 命 9 肝 丸 0 芪 散 0 經 湯 2 祛 至 寶 4 三 化 積 丸 0 千 內 消 散 0 淸 凉 子 0 生 地 散 0 血 極 膏 0 聖 散 49 延 年 命 丹 0 甘 散 0 牛 奪 命 散 0 效 散 0 導 經 丸 6 小 聖 散 1 桃 溪 氣 寶 丸 0 打 膿 散 0 丸 0 五 膏 0 經 丸 0 川 窮 石 膏 散 0 三 聖 膏 3 解 毒 湯 28 松 蘂 丹 0 淸 咽 利 膈 散 0 無 極 丸 0 氷 丹 0 琥 珀 膏 2 萬 應 膏 1 枳 殼 丸 0 散 0 千 桃 仁 煎 0 大 芎 湯 0 五 仙 膏 0 太 乙 膏 0 百 合 丹 0 加 減 薈 丸 0 去 三 尸 蟲 元 0 茵 蒿 湯 18 痞 膏 0 善 應 膏 0 氷 散 0 聖 散 0 처방명 검색 결과 90
萬 應 丸 0 正 散 0 三 花 神 祐 丸 2 瀉 心 湯 12 手 捻 散 5 升 湯 0 蟲 取 積 散 0 解 散 1 桂 苓 湯 0 內 消 沃 湯 3 前 胡 枳 殼 湯 0 升 散 1 木 三 稜 散 0 小 承 氣 湯 1 矢 禮 散 0 東 垣 托 裏 散 0 當 歸 丸 0 瀉 胃 湯 0 下 蟲 散 0 大 承 氣 湯 8 己 椒 藶 丸 0 大 牧 丹 湯 1 地 散 0 玄 散 0 妙 應 丸 0 胃 承 氣 湯 4 七 物 厚 朴 湯 1 散 0 羌 菊 散 0 七 應 丹 0 大 柴 胡 湯 17 枳 殼 剉 散 0 蘇 方 散 20 華 散 1 蟲 丸 0 一 氣 湯 0 沈 交 泰 丸 0 牡 蠣 大 湯 0 效 散 1 五 仙 丸 5 氏 湯 0 外 敷 神 膏 0 消 毒 7 消 瘀 0 紫 河 丸 0 奴 丸 1 氣 散 1 神 奇 散 0 秦 艽 當 歸 湯 0 八 正 散 7 葛 根 湯 39 人 蔘 茯 苓 散 0 蘆 子 0 獨 活 湯 1 導 元 0 大 胸 湯 0 大 甘 草 子 1 內 消 升 湯 1 小 薈 丸 0 瀉 腎 湯 0 大 胸 丸 0 散 0 五 聖 湯 0 大 左 經 湯 0 丸 0 子 瀉 心 湯 1 氏 茵 湯 0 千 消 毒 散 0 加 味 敗 毒 散 1 海 沙 散 0 抵 當 湯 3 梔 子 大 湯 3 天 再 散 0 羌 活 導 滯 湯 0 厚 朴 枳 實 湯 0 抵 當 丸 0 茵 梔 子 湯 1 換 丸 0 搜 丸 1 芍 藥 湯 5 桃 仁 承 氣 湯 6 茵 湯 1 命 再 散 0 三 將 元 0 大 湯 1 梔 枳 湯 0 牛 散 子 0 化 毒 散 0 瘀 湯 7 導 氣 湯 1 柴 胡 子 0 瘴 疸 丸 0 含 化 丹 0 秦 艽 蒼 朮 湯 0 導 滯 湯 3 四 淸 凉 0 濟 生 茵 湯 0 化 瘤 膏 0 芍 藥 湯 0 木 導 氣 湯 0 淸 心 湯 0 苦 蔘 散 0 吳 茱 萸 散 0 斷 紅 元 0 大 牽 牛 散 0 洗 心 散 0 石 膏 茵 散 0 三 散 2 七 聖 丸 1 283개의 처방명으로 총 449 건의 논문이 검색되었으며, 중복논문을 제거하고, 제목과 초록을 검토하 여 유사 검색어 등으로 인한 관계없는 논문을 제외하였으며, 2000년 이후 발행 논문만을 대상으로 하는 과정을 거쳐 총 252건이 제외되고 197 건에 대하여 원문을 검토를 시도하였다. 원문 검토 대상 197건의 논문 중 원문을 제공하지 않거나 문헌리뷰 등 관계없는 논문 62건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135 건에 대한 원문을 검토하였으며, 물 이외의 용매로 추출한 경우를 포함한 결과는 표2 와 같다. 처방 검색 결과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방풍통성산 ( 散 ) 의 경우 49 건이 검색되었다. 두 번째로 많은 검색 결과를 보인 전진환의 경우 처방명이 아닌 동명의 저자 논문이 대다수를 차지해 조사 대상에 적합한 논문은 없었다. 1 물 10배 100 240 x o 2 에탄올 3 에탄올 4 메탄올 5 물 35g/0.6L 180 x x 6 물 10배 100 120 x o 7 전탕정보 없음 x 8 물 120 x x 9 물 240g/3L 180 x x 10 전탕정보 없음 o 11 물 120 x x 12 엑스제 13 물 1L 120 x o 14 물 5L 120 x x 15 알코올
이승호 외. 한약처방연구의 전탕의 적절성에 관한 조사 번호 용매 용량 온도 시간 선전후하 ( ) (min) 여부 대황 유무 16 물 10배 180 x o 17 전탕정보 없음 x 18 물 150g/1L 180 x o 19 물 100g/1L 180 x o 20 전탕정보 없음 o 21 물 10배 85 540*3회 x o 22 물 1배 85 180*3회 x o 23 물 1.2L 180 x x 24 물 1.2L 180 x x 25 물 2L 120 x x 26 물 2.5L x o 27 전탕정보 없음 o 28 물 200g/3L 120 x o 29 전탕정보 없음 o 30 물 10배 180 x x 31 물 1 첩/1L 180~240 x x 32 물 5 첩/3L 180 x o 33 물 1L 150 x o 34 전탕정보 없음 o 35 전탕정보 없음 o 36 엑스제 37 물 2 첩/0.5L 120 x o 38 물 2 첩/0.5L 120 x o 39 물 10배 180 x o 40 전탕정보 없음 o 41 에탄올 42 물 10배 180*3 x 43 전탕정보 없음 x 44 전탕정보 없음 x 45 에탄올 46 물 2L 90 x o 47 물 25g/1L 100 150 x o 48 전탕정보 없음 x 49 물 120g/1L 180 x x 50 물 10배 180 x o 51 물 10배 180 x o 52 물 4 첩/0.6L 180 x o 53 물 0.4L 100 반이 될 때까지 x o 54 물 4 첩/0.6L 180 x o 55 물 4 첩/0.6L 180 x o 56 전탕정보 없음 57 물 16.7L 180 x x 58 물 150 x x 59 물 2 첩/0.5L 180 x o 60 물 2L 180 x x 61 물 2L 180 x x 62 물 4 첩/1.2L 180 x x 63 30% 에탄올 1320 95 o 64 물 10 첩/3L 100 180 x o 65 살사라진 92
66 물 3배 100 120 x o 67 메탄올 68 물 3 첩/0.5L 180 x o 69 물 3 첩/1.5L 180 x o 70 물 2 첩/1L 150 x x 71 물 2 첩/0.5L 120 x o 72 물 25g/1L 100 150 x o 73 물 2 첩/0.5L 120 x o 74 물 4 첩/2.5L 180 x o 75 전탕정보 없음 o 76 물 2 첩/0.5L 120 x o 77 80% 메탄올 78 물 20 첩/4.5L 180 x x 79 물 2 첩/2L 180 x x 80 물 2 첩/1.5L 120 x x 81 물 25g/1L 100 150 x o 82 물 120 x o 83 전탕정보 없음 o 84 물 2 첩/1.3L 120 x o 85 물 5 첩/ 잠길정도 50 120+ 초음파 x o 86 물 10배 100 240 x o 87 물 10배 100 240 x o 88 물 10배 x o 89 물 2 첩/3L 180 x o 90 물 10 첩/4.2L 180 x o 91 물 10 첩/2L 180 x x 92 물 10 첩/4.76L 180 x x 93 전탕정보 없음 o 94 물 2 첩/1.5L 120 x o 95 물 2kg/10L 100 180 x x 96 전탕정보 없음 o 97 물 2 첩/2L 180 x o 98 물 10 첩/4L x o 99 전탕정보 없음 o 100 80% 메탄올 101 물 76g/2L 180 x x 102 물 288g/2L 180 x x 103 물 100g/1L 180 x o 104 물 75g/1L 85 180*3회 x o 105 물 2 첩/1.5L 100 120 x o 106 전탕정보 없음 o 107 물 10배 85 180*3회 x o 108 물 2kg/10L 100 180 x x 109 전탕정보 없음 x 110 전탕정보 없음 o 111 80% 메탄올 112 전탕정보 없음 o 113 물 2 첩/1.2L 120 x o 114 80% 메탄올 115 엑스제
이승호 외. 한약처방연구의 전탕의 적절성에 관한 조사 번호 용매 용량 온도 시간 선전후하 ( ) (min) 여부 대황 유무 116 전탕정보 없음 o 117 물 2 첩/1.5L 120 x o 118 전탕정보 없음 o 119 물 195g/1.2L 120 x x 120 물 8배-12배 180 x o 121 80% 메탄올 122 전탕정보 없음 o 123 80% 메탄올 o 124 물 2 첩/1L 120 x o 125 물 500g/3L 240 x o 126 전탕정보 없음 o 127 물 x 120 x x 128 물 2 첩/1L 120 x o 129 물 200g/1L - x o 130 물 5 첩/x 120*2 x o 131 전탕정보 없음 o 132 전탕정보 없음 x 133 물 2 첩/1L 120 x o 134 물 1.5L 120 x o 135 물 5 첩/1.2L 180 x x 표 3 각 번호별 원문 정보 번호 논문명 학술지명 저자 1 대시호탕( 大 柴 湯 ) 이 3T3-L1 지방전구세포와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쥐에 미치는 영향 발행 년도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민들레 외 2015 2 연교를 함유한 처방단 추출물의 항노화 효과 대한화장품학회지 김미진 외 2015 3 삼황사심탕 ( 三 瀉 心 湯 ) 이 수컷 생쥐의 비만( 滿 ) 관련 대사질환 ( 代 疾 患 ) 에 미 치는 영향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이주영 외 2014 4 탈명산( 奪 命 散 ) 의 항산화 및 항염증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조현진 외 2014 5 회춘양격산 ( 回 春 凉 散 ) 이 db/db 마우스의 고혈당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장수영 외 2014 6 방풍통성산의 동시분석 및 항산화 효능 연구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서창섭 외 2013 7 풍열형( 熱 型 ) 만성 두드러기에 대한 가미승마갈근탕 ( 加 味 升 根 湯 ) 의 치료효과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홍유진 외 2013 8 Human mast cell 에서 승마갈근탕 ( 升 根 湯 ) 의 항염증 효과에 대한 연구 대한본초학회지 금준호 외 2013 9 LPS로 유도된 RAW 264.7 cell의 염증반응에서 MAPK 조절에 의한 가감당귀음자 ( 加 減 當 歸 子 )의 항염증 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김태연 2013 10 봉와직염의 변연절제술시행환자에 대한 가미선방활명음 ( 加 味 仙 方 活 命 ) 의 치험1례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최용주 외 2013 11 황금작약탕 ( 湯 ) 의 RAW 264.7 대식 세포에서의 항염증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본초학회지 김마룡 외 2013 12 대황산( 大 ) 의 당뇨병쥐 신장조직섬유화 억제 효과에 관한 실험연구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조용걸 외 2013 13 도인승기탕에 의한 당뇨병성 혈관장애 개선효과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이윤정 외 2013 14 15 입효산( 立 效 散 ) 의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에 대한 항균활성에 관한 연구 삼황사심탕 ( 三 瀉 心 湯 ) 추출물의 lipopolysaccharide 유도에 의한 염증 조절과 대식 세포 활성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윤재홍 외 2013 대한본초학회지 강희 외 2012 16 랫드에서 방풍통성산의 안전성 연구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정고은 외 2012 17 당귀음자가감방 ( 當 歸 子 加 減 方 ) 과 외치법 ( 外 治 法 ) 을 병용한 소아 ( 小 兒 ) 건선 ( 乾 癬 ) 치험 1례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민들레 외 2012 18 광화학적 허혈성 뇌졸중 모델에서 사심탕( 瀉 心 湯 ) 의 뇌세포 손상 보호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강백규 외 2012 19 당귀용회환 ( 當 歸 丸 ) 의 glutamate 에 의한 청신경세포 ( 神 ) 손상 ( 損 傷 ) 보호효과( 保 效 果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유동희 외 2012 20 도체탕( 導 滯 湯 ) 위주의 한방치료로 호전된 활동성 궤양성 대장염 환자 치험 1례 대한암한의학회지 윤성우 2012 21 도인승기탕 및 그 구성약재의 화장품약리활성 대한본초학회지 이진영 외 2012 94
22 도인승기탕의 B16F10 세포주에서의 멜라닌 생성 및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 생명과학회지 황주영 외 2012 23 청화탕( 淸 湯 ) 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김진우 외 2012 24 아토피피부염 동물 병태 모델에서 청화탕( 淸 湯 ) 의 면역조절작용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유헌숙 외 2012 25 26 27 가감양격산 ( 加 減 凉 散 ) 이 RBL-2H3 비만세포와 OVA/alum 에 감작된 생쥐에 미치 는 항알레르기 효과 뇌졸중성 ( 卒 中 性 ) 본태성( 本 態 性 ) 고혈압( 壓 ) 백서( 白 ) 모델에서 삼황사심 탕( 三 瀉 心 湯 ), 사미강압탕 ( 四 味 壓 湯 ), 방탄탕( 癱 湯 ) 의 혈압( 壓 ) 에 미치는 영향( 影 ) 방풍통성산 ( 散 ) 의 급성 메스암페타민에 의한 보행성 행동량과 c-fos 발현 에 대한 효과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이윤실 외 2012 대한본초학회지 김은주 외 2011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신지섭 외 2011 28 대승기탕( 大 承 氣 湯 ) 의 사하작용이 중대뇌동맥 폐쇄 흰쥐의 뇌경색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이규식 외 2011 29 폐렴 치료 중 위증( 痿 ) 을 동반한 섬망 발생 환자 치험1례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김수정 외 2011 30 발효 갈근탕과 쌍화탕의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 연구 약학회지 손추영 외 2011 31 폴리페놀 및 DPPH 라디칼 소거활성 관점에서의 복합갈근탕 및 단미혼합갈근탕의 동등성 약학회지 김동선 외 2011 32 적석지산( 石 散 ) 과 탁리소독음 ( 托 消 毒 ) 의 화상치료 ( 火 傷 治 療 ) 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이대현 외 2011 33 여드름 환자에서 분리된 pseudomonas aeruginosa 38 에 대한 삼황사심탕 ( 三 瀉 心 湯 )의 효과 대한본초학회지 권도경 외 2010 34 특발성 동안신경 마비환자 치료 1례에 대한 증례 보고 대한침구학회지 이창희 외 2010 35 팔정산( 八 正 散 ) 으로 하부요로증상이 호전된 양성전립선비대증 환자 4례 대한한의학회지 송문구 외 2010 36 37 비만환자에 대한 방풍통성산 ( 散 ) 의 무작위배정, 이중맹검, 위약 - 대조군 임 상시험 가미방풍통성산 ( 加 味 散 ) 이 수은의 피하 주입으로 중독된 마우스의 간 및 신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방비만학회지 이지은 외 2010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양준형 외 2010 38 가미방풍통성산 ( 加 味 散 ) 이 수은 중독된 마우스의 피부 손상에 미치는 영향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양준형 외 2010 39 Spargue-Dawley 랫드를 이용한 방풍통성산의 급성독성 연구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신인식 외 2010 40 말초성 안면마비 입원환자 250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강나루 외 2010 41 갈근탕 추출물의 카드뮴 독성에 대한 세포 보호효과 약학회지 박소윤 외 2010 42 복합처방인 승마갈근탕 ( 升 摩 根 湯 ) 의 항산화 및 항균효과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이진영 외 2010 43 소염약침과 탁리소독음의 복합 치료를 이용한 4도 욕창 환자 치험 2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이대현 외 2010 44 가미통경탕 ( 加 味 湯 ) 으로 호전된 자궁선근증 환자 3례에 대한 임상보고 대한한의학회지 박경미 2010 45 소풍순기원 ( 疏 氣 元 ) 이 고지방식이 비만 대사증후군 병태 흰쥐에 미치는 효과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김보경 외 2010 46 뇌해마배양조직을 이용한 치매 뇌손상 모델에 대한 소풍순기원 ( 疏 氣 元 ) 과 황련 해독탕( 毒 湯 ) 처방약재의 신경보호효과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곡경내 외 2010 47 전도산( 倒 散 ) 의 추출용매에 따른 항염 및 항산화 비교 연구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서형식 2010 48 감모후유증 ( 感 冒 後 症 ) 으로 기허형 ( 氣 型 ) 호흡기 질환을 호소하는 환자의 한약치 료에 관한 임상연구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김현진 외 2010 49 Caerulein 으로 유발된 흰쥐의 급성 췌장염에 대한 수념산( 手 拈 散 ) 의 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박재석 외 2010 50 마우스에서 방풍통성산의 급성 독성 연구 한방비만학회지 이재훈 외 2009 51 ICR 마우스를 이용한 발효 방풍통성산의 급성독성 연구 한방비만학회지 이지혜 외 2009 52 인진호탕 추출액의 투여가 흰쥐의 간암 발생에 미치는 효과 한국현미경학회지 윤중식 외 2009 53 RBL-2H3 cells 에서의 인진호탕 ( 湯 ) 의 항 알레르기 효과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어경정 외 2009 54 55 N-Nitrosodiethylamine과 사염화탄소로 유발된 흰쥐의 간암발생에 대한 인진호탕 추출액의 효과 인진호탕( 湯 ) 추출액이 Diethylnitrosamine 과 CCl4 로 유발된 흰쥐의 간암( 癌 ) 형성과 간경변( 硬 ) 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윤중식 외 2009 대한약침학회지 이종범 외 2009 56 고방( 古 方 ) 으로 치료한 두드러기 환자 39 례의 임상보고 ( 床 報 告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탁명림 외 2009 57 갈근탕 추출물의 단회투여 독성 시험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이지혜 외 2009 58 59 60 61 LPS 로 활성화된 복강 대식세포에서 마황( ) 이 배오( 伍 ) 된 10 종( 種 ) 처방의 NO 억제 효과 선방활명음 ( 仙 方 活 命 ) 이 알레르기 비염을 동반한 급성 비부비동염 마우스에 미치 는 영향 아토피양 ( 樣 ) 피부염 NC/Nga 생쥐에서 가감소독음 ( 加 減 消 毒 ) 의 투여가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아토피양 ( 樣 ) 피부염 NC/Nga 생쥐에서 가감소독음 ( 加 減 消 毒 ) 과 아토피크림 - 자 운고( ) 의 병용투여가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배주연 외 2009 대한한의학회지 박민철 외 2009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송현지 외 2009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송현지 외 2009
이승호 외. 한약처방연구의 전탕의 적절성에 관한 조사 번호 논문명 학술지명 저자 발행 년도 62 下 瘀 湯 이 Diethylnitrosamine 과 CCl4로 유발된 흰쥐의 癌 形 成 과 損 傷 에 미 치는 영향 대한약침학회지 허래경 외 2009 63 소풍순기원 ( 疏 氣 元 ) 이 mouse의 NMu2Li 간세포와 C2C12 골격근세포에서 PPARs 조절의 분자기전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오영진 외 2009 64 추출방식에 따른 방풍통성산 ( 散 ) 이 지방세포 대사에 미치는 영향 대한약침학회지 이상민 외 2008 65 방풍통성산이 비만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신대희 외 2008 66 인진호탕 ( 湯 ) 과 오수목과탕 ( 吳 木 瓜 湯 ) 의 항산화 ( 抗 化 ) 및 간세포 ( ) 보호효과( 保 效 果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이상현 외 2008 67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에서 인진호탕 ( 湯 ) 의 항염증 효과 대한본초학회지 윤현정 외 2008 68 Mouse cell 에서 선방활명음 ( 仙 方 活 命 ) 의 항산화작용과 항알러지 및 항염증 효과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박민철 외 2008 69 내소옥설탕 ( 內 消 沃 湯 ) 이 항암 및 면역에 미치는 영향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정민영 외 2008 70 오미소독음 ( 五 味 消 毒 ) 의 항염효과 ( 抗 炎 效 果 ) 및 기전 ( 機 ) 에 관 ( ) 한 실험적연 구( 實 的 硏 究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서윤정 외 2008 71 DSS 으로 유발된 생쥐의 대장점막손상에 대한 도체탕( 導 滯 湯 ) 의 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이주아 외 2008 72 전도산( 倒 散 ) 의 항산화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약침학회지 최관호 외 2008 73 Indomethacin 으로 유발된 생쥐의 위점막 손상에 대한 지실도체환 ( 枳 實 導 滯 丸 ) 과 Misoprostol의 효과 비교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이슬희 외 2008 74 사청환( 瀉 丸 ) 이 thiaocetamide 에 의한 백서( 白 ) 간손상( 損 傷 ) 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채중원 2007 75 팔정산가미 ( 八 正 散 加 味 ) 로 호전된 여성요도증후군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김수민 외 2007 76 방풍통성산 ( 散 ) 이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동물모델의 피부 손상에 미치는 영향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손정민 외 2007 77 사람 간암 세포주인 HepG2 에 대한 인진호탕 ( 湯 ) 의 항암 효과 대한본초학회지 윤현정 외 2007 78 79 승마 ( 升 ) 및 승마갈근탕 ( 升 痲 根 湯 ) 이 streptozotocin 으로 유발된 고혈당 생쥐에 미치는 영향 가감선방활명음 ( 加 減 仙 方 活 命 ) 의 항염작용 ( 抗 炎 作 用 ) 에 대한 실험적 ( 實 的 ) 연 구( 硏 究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채중원 외 2007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신선미 외 2007 80 비방탈명산 ( 秘 方 奪 命 散 ) 의 항산화, 항암, 항균 효과 연구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한홍준 외 2007 81 전도산( 倒 散 ) 이 여드름 유발균과 염증에 미치는 영향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최관호 외 2007 82 83 84 가미대황고 ( 加 味 大 ) 의 멜라닌세포 활성억제가 자외선 조사로 인한 피부 손상 완 화에 미치는 영향 신경정신과 약물을 복용해 온 우울증 환자의 불면증에 삼황사심탕 ( 三 瀉 心 湯 ) 을 병 행 투여하여 호전된 1 례( 例 ) 방풍통성산 ( 散 ) 이 고지방사료 ( 料 ) 식이 ( ) 로 유발 ( 發 ) 된 비 만( 滿 ) 생쥐에서 비만유전자 ( 滿 傳 子 ) 및 관련인자 ( 因 子 ) 에 미치는 영향 ( 影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이현우 외 2007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석선희 외 2006 대한한의학회지 황상준 외 2006 85 알러지성 비염 병태 모델에 대한 방풍통성산 ( 散 ) 의 항알러지 효과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김희정 외 2006 86 방풍통성산가미방 ( 散 加 味 方 ) 이 비만유도 ( 滿 導 ) 백풍 ( 白 嵐 ) 와 지방세 포( ) 분화( 分 化 ) 에 미치는 영향( 影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이진용 외 2006 87 3T3-L1 cell에서 방풍통성산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연구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이진용 외 2006 88 89 90 비만유도 흰쥐에 대한 방풍통성산가미방 ( 散 加 味 方 ) 의 항고지혈 효과 및 항 산화 효과 고 cholesterol 식이 자발성 고혈압 백서 ( 白 ) 에서의 가미방풍통성산 ( 加 味 散 )이 고혈압에 미치는 영향 인진호탕( 湯 ) 과 한인진호탕 ( 湯 ) 이 알코올 투여( 投 ) 로 유발( 發 ) 된 흰쥐의 고지혈증( 症 ) 과 간( ) 손상( 損 傷 ) 의 예방( ) 에 미치는 영향 ( 影 ) 생약학회지 정승희 외 2006 대한한방내과학회지 김종원 외 2006 대한본초학회지 김유창 외 2006 91 升 根 湯 의 항히스타민 효과 및 IL-4와 GM-CSF 발현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김홍배 외 2006 92 93 신통축어탕 ( 痛 瘀 湯 ) 이 난소적출 ( 卵 巢 摘 出 ) 백서 ( 白 ) 의 골다공증 ( 多 孔 症 ) 에 미치는 영향( 影 ) 습열리 ( 濕 熱 痢 ) 로 변증한 궤양성 대장염 환자의 작약탕가미방 ( 湯 加 味 方 ) 치험 2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박재웅 외 2006 대한한방내과학회지 이형호 외 2006 94 내소승마탕 ( 內 消 升 湯 ) 의 항암효과 ( 抗 癌 效 果 ) 연구( 硏 究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심상희 외 2006 95 가미삼황산 ( 加 味 三 散 ) 분획물 (SH-21-B) 의 지표성분 정량과 구조활성상관 (QSAR) 예측 대한암한의학회지 유영법 2006 96 난치성 애역 환자를 팔정산으로 치료한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신원용 외 2005 97 가미방풍통성산의 항고혈압 작용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하여태 외 2005 98 가미방풍통성산 ( 加 味 散 ) 이 고지방식이 급여 흰쥐의 체지질구성과 항산화능 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이장천 2005 96
99 주상 ( 傷 ) 으로 인한 진전 ( 振 ) 환자 ( 患 ) 에 대한 방풍통성산가미방 ( 散 加 味 方 ) 치험( 治 ) 2 례( 例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김이곤 외 2005 100 인진호탕( 湯 ) 의 조합에 따른 간 보호 효과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최재우 외 2005 101 당귀음자가감방 ( 當 歸 子 加 減 方 ) 과 외치방 ( 外 治 方 ) 병용이 NC/Nga 아토피 생쥐에 미치는 영향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김성훈 외 2005 102 가미당귀음자 ( 加 味 當 歸 子 ) 가 아토피 동물 모델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김윤희 외 2005 103 당귀음자( 當 歸 子 ) 가감방( 加 減 方 ) 의 처방별 (A, B) 아토피성 알레르기반응 조절 효과 비교 연구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박은정 외 2005 104 선방활명음의 항암 및 항산화효과 검증 대한본초학회지 이진태 외 2005 105 내소옥설탕 ( 內 消 沃 湯 ) 의 항암효과 ( 抗 癌 效 果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고홍개 외 2005 106 중풍환자의 변비에 대한 소풍순기원의 효능에 관한 고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정재욱 외 2005 107 내소황련탕 ( 內 疎 湯 ) 및 구성약재의 항산화효과 검증과 항암 및 항균효과 대한본초학회지 이창언 외 2005 108 HPLC 로 표준화한 가미삼황산 ( 加 味 三 散 ) 분획물(SH-21-B) 의 랫드에 대한 단회 경구투여독성시험 Journal of toxicology and public health 유영법 외 2005 109 소아( 小 兒 ) 나력에 대한 증례( 例 ) 1 례( 例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장태규 외 2005 110 대승기탕 ( 大 承 氣 湯 ) 투여 후 편폐( 便 ), 번조( 煩 燥 ), 불면( 不 眠 ) 호전된 중풍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김봉석 외 2004 111 대시호탕이 acetaminophen 으로 유도된 간독성 흰쥐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김창현 외 2004 112 성상신경절차단술로 제어되지 않은 대상포진후 신경통환자 치험 1예 대한한방내과학회지 이정은 외 2004 113 114 가미시호탕이 뇌허혈시 Glutamate receptor, free radical 및 뇌손상 보호에 미치는 영향 사청환 ( 瀉 丸 ) 과 그 구성약물군 ( 構 成 物 ) 이 acetaminophen 으로 유도된 백서의 간독성에 미치는 영향( 影 ) 대한한의학회지 오병열 외 2004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이재은 외 2003 115 시판 갈근탕의 항산화능의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김동렬 외 2003 116 열훈( 熱 暈 ) 환자( 患 ) 치험( 治 ) 1례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이동원 외 2003 117 118 119 120 121 방풍통성산 ( 散 ) 이 백서 ( 白 ) 의 뇌혈류량역학 ( 流 力 學 ) 에 미치는 기전 ( 機 ) 연구( 硏 究 ) 당귀음자( 當 歸 子 ) 로 호전( 好 ) 된 중풍환자 ( 中 患 ) 의 anticonvulsant hyper- sensitivity syndrome 1 례( 例 ) 격하축어탕 ( 下 瘀 湯 ) 이 자궁근종세포 ( 子 宮 ) 의 활성 ( 增 殖 ) 과 MAP Kinase 활성( 活 性 ) 및 Cell Apoptosis 에 미치는 영향 중풍 한방처방전의 효능비교 연구 ; 황련해독탕, 거풍지보단, 가미사물탕이 국소 전 뇌허혈에 의한 학습과 기억에 미치는 효과 대황감초음자 ( 大 甘 子 ) 와 그 구성약물군 ( 構 成 物 ) 이 Alloxan 유도 당뇨 ( 尿 ) 백서( 白 ) 의 혈청 조성 및 항산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전홍열 외 2002 대한한방내과학회지 류순현 외 2002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김소연 외 2002 대한경락경혈학회지 이봄비 외 2002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고원도 외 2002 122 비만환자에 대한 방풍통성산의 치료효과 대한한방비만학회지 류은경 외 2001 123 대시호탕 ( 大 柴 湯 ) 이 alloxan 으로 유발 ( 發 ) 된 고혈당 ( ) 백서 ( 白 ) 에 미 치는 영향( 影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박선동 외 2001 124 대시호탕이 배양신경세포를 이용한 저산소증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김지형 외 2001 125 대시호탕이 고지방식이로 유발한 비만 흰쥐의 체중 및 생화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추나의학회지 한무규 외 2001 126 속발성 간암으로 인한 협통( 痛 ) 치험( 治 ) 1 례( 例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정광식 외 2001 127 신통축어탕 ( 痛 瘀 湯 ) 이 Hydrogen Peroxide 에 의해 손상( 損 傷 ) 된 배양( 培 ) 척 수감각신경세포 ( 感 神 ) 에 미치는 영향( 影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이계승 외 2001 128 삼화탕( 三 化 湯 ) 이 중간대뇌동맥 결찰로 유발된 뇌허혈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정승현 외 2001 129 거풍지보단 ( 祛 寶 丹 ) 의 혈관이완 효능과 기전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김동은 외 2001 130 흰쥐의 간손상 ( 損 傷 ) 에 대한 삼 ( ) 기인진탕 ( 湯 ) 의 간 ( ) 보호효과 ( 保 效 果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강재춘 외 2001 131 중풍환자의 편비에 대한 대승기탕의 임상적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구본수 외 2000 132 133 134 135 쭈쭈가무시병 (Tsutsugamushi disease) 으로 진단된 환자를 승마갈근탕가미방, 조중 익기탕 및 Doxycycline으로 치료한 치험 2예 방풍당귀음 ( 當 歸 ) 이 중대뇌동맥 폐쇄 후 재관류 모델에 미치는 영향 - 육안. 광 학현미경 소견- 사심탕 ( 瀉 心 湯 ) 이 백서 ( 白 ) 의 혈압 ( 壓 ) 및 국소 ( 局 所 ) 뇌혈류량 ( 流 ) 에 미치는 영향( 影 ) 탈명산 ( 奪 命 散 ) 이 배양심근세포 ( 培 心 ) 및 혈관평골근세포 ( 管 平 滑 ) 에 미치는 영향( 影 ) 대한한의학회지 양미라 외 2000 대한한방내과학회지 홍천표 외 2000 대한한방내과학회지 이광규 외 2000 대한한방내과학회지 성강경 외 2000
이승호 외. 한약처방연구의 전탕의 적절성에 관한 조사 전체 135개의 논문에 대하여 전탕 조건을 분석한 결과 전탕 용매는 물이 사용된 경우가 89건이었으 며, 전탕정보가 없는 경우도 28 건에 이르렀다. 전탕 시간의 경우 최소 90분에서 최대 540분씩 3회 추출한 경우까지 있었으며, 120분이 26 건, 180분이 39 건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또한 大 의 後 下 조건이 고려된 문헌은 없었다. 3. 고찰 한약재의 전탕은 복용을 위한 목적뿐만 아니라 실험을 위한 추출의 목적으로도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추출의 편리성과 경제성뿐만 아니라 실제 임상에서 활용되는 방식과 동일 하여 유기용매에 의한 추출법보다 더 선호되기도 한다. 결국 전탕법은 원료 한약재를 손쉽게 활용하기 위하여 약효성분의 효율적인 추출에 목적을 두고 있다. 최근 김 3) 등의 연구에서 전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분석하여 최적의 추출효율을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전탕방법에 대한 근거 마련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지만, 본 조사 결과 이러한 연구가 실제 임상 또는 관련 연구에서 적절하게 활용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탕시간을 기준으로 모든 연구가 시간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 있지 않았으며, 개별 약재의 특성을 고려한 先 煎 또는 後 下 등의 전탕법을 활용한 사례 또한 없었다. 이는 김 4) 의 연구에 따르면 임상에서 응답자의 68.4% 가 처방에 따라 전탕 시간을 다르게 하고 있으며, 그 중 73.3% 가 효능을 근거로 전탕 시간을 다르게 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先 煎 또는 後 下 등을 하는 경우도 각각 19.4% 와 14.3% 로 조사되어 임상과 연구와의 괴리가 상당함을 알 수 있었다. 또 임상현장에서 전탕법의 다양한 활용에 도 불구하고 실제 임상증례 논문에서는 엑스제를 사용한 무작위대조군연구와 일반의약품 살사라진을 사용한 연구를 제외하고, 전탕정보가 전무하여 모순된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차이가 본 연구 대상 약재의 선정과 표본 추출과정에 문제라기보다는 현 한약처방연구의 실정으로 판단된다. 전탕시 물의 용량의 경우에는 0.5L에서 10L 또는 10 배까지 다양하게 사용 되었으나, 탕전액을 그대 로 사용하는 경우는 없었고 대부분 농축과 건조 과정을 거쳐 일정비율로 희석하여 사용하였기 때문에 일반적인 기준을 제시하기 어려웠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추후 더 명확한 기준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 다. 또한 본 연구가 동의보감에서 大 이 伍 된 처방을 대상으로 하였지만 가감 또는 출전에 따라 같은 명칭이라도 실제 연구대상에 大 이 伍 되지 않은 경우도 빈번하였다. 이 또한 효율적인 연구의 검색과 정리를 위하여 표준화된 한약처방명칭과 구성에 대한 기준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김 5) 의 연구에 따르면 탕제의 효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는 일반적인 처방구성 이외에도 다양하 다. 이것은 단순히 특정 성분을 대상으로 최적추출 효율성만으로 해결될 수 없는 문제이며 실험적, 문헌적 근거를 바탕으로 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을 통하여 전탕방법에 대한 근거마련과 표준화된 전탕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전탕방법에 대한 문제인식은 오래 전부터 있었으며, 여러 문헌을 통하여 연구되어 왔으나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응용연구의 실험 설계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본 조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검토된 모든 연구가 전탕 시간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 있지 않았으며, 전탕 시간은 90분에서 98
540분 3 회 반복 추출까지 다양하게 나타났고, 大 의 後 下 가 고려된 것은 없었다. 2. 특히 임상증례에 있어서는 전탕에 관한 정보가 전무하여 효능의 근거나 재현성에 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3. 물의 용량 또한 근거가 없었으며, 0.5L에서 10 배까지 다양하게 사용 되었으나, 농축과 건조 등의 과정을 거쳐 일반적 기준을 제시하기 어려웠다. 4. 따라서 한약처방을 연구하는 관련 연구자들이 전탕 및 추출에 관한 문제의식을 가져야 할 것이며, 연구 설계단계에 있어서 이러한 부분들이 더욱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5. 또한 산업화 및 일관성 있는 연구와 치료 효과를 위하여 처방 및 약재의 개별적 특성이 고려된 표준전탕법에 대한 연구가 시급히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한의학연구원 주요사업 한의 PHR 플랫폼 구축(K15511) 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 니다. 1. 주영승. ( 증보) 운곡본초학. 전주: 도서출판 우석. 2013:579-80. 2. 김준래, 유화승, 이연월, 조종관. 한약 전탕을 위한 용수의 구별과 여러 전탕법의 현대적 연구에 대한 고찰. 소문학회지. 2009;12(1):137-43. 3. 김정훈, 서창섭, 전우영, 신현규. 전탕 방법 및 전탕 시간에 따른 십전대보탕의 전탕액 비교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2;25(2):108-19. 4. 김상찬, 김대희, 하수연. 대구 시내 한의원의 전탕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동서의학. 2000;25(4):1-39. 5. 김윤경, 김정숙, 최훈. 전통적인 한약의 전탕법과 복용법에 대한 현대적 고찰. 한국한의학연구원논 문집. 2005;10(2);63-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