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ability & Employment 2011. 8. 제21권 제3호(통권 72호) pp.209~238 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자기표현력 향상에 관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임혜숙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요 약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직업재활동기를 강화시키고 지속시키는데 필요한 자기표현력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의 영향에 관하여 사례연구를 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직업능력개발원 에 입소한 직업훈련생들로 2010 년 9월 9일 ~ 10월 28일까지 주1회, 90분씩, 총 7회기 동안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 자기표현력이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관하여 매회기별 사례를 질적 으로 분석함으로써 장애인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표현력 향상에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 알 아보았고, 자기표현력이 직업재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인의 자기표현력에 긍정적인 영향 을 주었으며, K-HTP의 분석과 회기별 사례분석을 통하여 집단미술치료 활동은 자기표현 에 능동적이 되어 적극적으로 자기를 탐색하며 구체적인 미래상을 정립하게 하여 장애인 의 직업재활을 위한 동기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장애인들의 직업훈련 현장에서 이루어진 장애당사자의 내부자관점 연구이고, 장애인의 직업동기를 부여하여 직업재활을 돕기 위한 하나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의 의를 가지며, 임상사회복지실천의 현장에 하나의 실천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사회복 지실천적 함의를 찾을 수 있다. 주제어 : 장애인, 직업재활, 자기표현력,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209
Disability & Employment 2011. 8. 제21권 제3호(통권 72호)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점점 장애유형이 다양해지고, 장애인들이 기질적 손상, 심리적 동기나 욕구, 정서적 문제, 사회환경 적 영향, 가족문제 등 다양한 문제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 개인에 맞는 직업재활 서비스 지원이 필 요해지고 있다. 또한 소비자주의와 같은 패러다임 변화로 인해 더욱 질 높은 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 및 체계로의 이행이 불가피해졌다(변경희, 2005, 44). 장애인의 직업은 직업생활을 통한 근로권의 실현과 사회통합의 가치라는 면에서 뿐만 아니라 소득 활동이라는 가치 면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장애인가구의 절대빈곤율이 19.88%로 일반가구의 10.39%로 나타났으며, 상대빈곤율에 있어서도 일반가구와 장애인가구 간의 빈곤율의 격차는 중위소 득 40% 미만의 경우에는 2배 이상으로 월등히 높게 나타난다(김수영, 2007, 49)는 보고는 장애가구의 빈곤 확률이 높다는 보고와 일치한다. 게다가 장애로 인한 추가비용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장 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사회복지 서비스는 더욱 세심하게 이루어져야할 필요성이 있다. 노동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장애인들은 그들의 특성으로 인한 것뿐만 아니라 비장애인들과의 취업 경쟁으로 인해 노동시장에 진입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갖고 있다(이문희, 2007, 33 ; 김영천 외, 2006, 192). 장애인의 고용률은 44.7%인데(서인환, 2007, 27) 취업한 장애인이라고 하더라도 근로조건이 좋지 않은 일용직과 같은 2차 노동시장에 종사할 가능성이 높고 임금수준에서도 상당한 저소득에 머물고 있 다(유동철, 2008, 7). 장애인 실업률이 비장애인의 7배에 달하고 있는데 2007년 현재 장애인의 실업 비율은 10.6%로써, 국 가전체 실업률 3.3%에 비해 무려 3배나 높으며, 등록되지 않거나 취업이 실제로 불가능한 장애인을 모 두 포함시킬 경우 무려 23.1%에 달하고 있다(임안수, 2007, 6). 장애인이 퇴직한 이유는 대인관계와 직장적응의 문제(34.8%)가 단일항목 중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장애 인 근로자의 직장적응 정도가 일반인에 비해 떨어진다는 의견이 89.4%로 높게 나타났다(박영숙, 1995, 5). 장애근로자의 심리사회적인 요인이 작업생산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은복 외, 2008, 117~118). 장애인의 직업재활을 돕고 직업을 오래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원조하는 방법 을 모색하기 위한 방안이며, 그들에게 직업능력을 배양하고 직무기술을 습득하도록 하는 심리사회적 지원의 하나로 집단미술치료를 적용하는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미술치료는 장애인이 감정 정화 과정의 경험을 통하여 표현에 대한 자신감이 생기면서 자기표현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고, 대인관계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킨다고 하였다(이수진, 2005: 임지향 조기연, 2005: 오소영, 210
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자기표현력 향상에 관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2006: 김혜영, 2007: 신나리, 2007: 정유림, 2008: 한상순, 2009: 김용경, 2009: 박경아, 2010).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하여 집단미술치료를 실행함으로써 자기표현력이 어떻게 향 상되어 가는지에 대한 질적 사례분석을 통하여 장애인 개개인의 심리적인 다양성을 고찰하고 분석하 였는데, 이는 양적 접근에서의 평균치로 접근하는 데서 빚어질 수 있는 지나친 단순화와 비상세함에서 오는 제한점을 보완하려고 하였다. 직업재활을 위하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직업능력개발원에 입소한 장애인들이 자기의 적성, 흥미, 능력에 맞는 직업을 찾을 수 있는 직업동기를 마련하는데 필요한 자기표현력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 며, 새롭게 찾아가는 직업세계에서 심리적 안정을 찾아 직업을 오래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을 제 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 연구문제 이 연구의 문제는 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표현력 향상에 관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로 다음 과 같은 하위 연구문제를 갖는다. 1)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인의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자기표현력이 장애인의 직업재활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용어정의 1) 집단미술치료 장애인의 심리적 재활을 위하여 집단미술치료는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생각과 감정 그리고 무의식 을 표현하는 자기표현의 길을 열어주는 것으로 미술치료에서 사용되는 매체의 특성이 클라이언트의 심 리적 상태를 강화시키거나 소멸시킬 수 있고 자기표현의 자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김용경, 2009, 17). 집단미술치료는 미술을 매개로하여 심리치료를 집단으로 진행하는 것을 말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구조 화된 미술치료과정으로 주어진 미술치료활동을 집단으로 수행하면서 표현하는 모든 과정을 의미한다. 2) 자기표현력 자기표현력이란 한 개인이 확신을 갖고 자기의 권리, 욕구, 생각, 감정을 기술적으로 폭넓게 전달하는 211
Disability & Employment 2011. 8. 제21권 제3호(통권 72호) 능력으로 불안을 느끼지 않고 상황에 적절하게 언어적 비언어적으로 솔직하게 표현하는 능력이다. 3) 장애인 본 연구에서는 직업재활을 위하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직업능력개발원에 입소하여 훈련 중인 장애 인을 말한다. 4) 직업재활 직업재활이란 장애인의 직업적 능력을 최대한 개발하여 그 능력을 회복시키는 활동으로서 취업과 자립생활을 목표로 하며, 장애인이 직업에 종사하고 또 그것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직업상의 제 원 조, 즉 직업상담, 직업적응, 직업훈련, 취업알선 및 사후지도 등을 포함하는 계속적이고 종합적인재활 과정이다(최윤영 이경준, 2010, 147). Ⅱ. 이론 및 선행연구 검토 1. 장애인의 자기표현 장애인의 자기표현과 미술치료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이수진(2005)은 집단 미술치료가 장애 인생활시설에 거주하는 지적장애 아동의 자기표현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밝혀주었다. 임지 향 조기연(2005)에 의해서 미술치료가 발달장애아동의 자기표현과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 침을 알 수 있다. 오소영(2006)은 미술치료가 지적장애아동의 언어표현과 미술표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김혜영(2007)은 미술치료가 경도 정신지체 청소년의 자기표현과 의사소통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다고 하였다. 신나리(2007)는 한국화 중심 미술치료가 중복장애아의 언어적 자기 표현, 비언어적 자기표현, 미술적 자기표현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온다고 하였다. 정유림(2008)은 미 술치료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청소년들의 자기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였 다. 한상순(2009)은 정서적 문제가 있는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술치료가 효과가 있으며, 대인관 계 증진 및 자기표현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고 하였다. 김용경(2009)은 미술치료가 지적장애아동의 자 기표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하였다. 박경아(2010)는 지적장애성인의 고립행동 감소에 긍 정적 영향을 미쳤고, 자기 표현력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하였다. 212
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자기표현력 향상에 관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미술치료의 대상은 다양한 유형, 다양한 연령대의 장애인에게 미술치료가 유용한 도구이며, 적용할 문제도 매우 다양하여 전반적인 사회복지임상분야의 실천적 접근이 용이할 것으로 사료된다. 2. 장애인의 집단미술치료 장애인들은 타인과의 대화에서 인지적 결함과 심리적 불안 등으로 인해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적 절하게 효과적으로 표현하지 못하고, 가정에서의 과잉보호하는 양육태도나 주위 어른들과 친구들의 편견 등으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기회 역시 부족하다(이미옥, 2010, 5). 장애인에게 있어서 미술은 세 상과 소통할 수 있는 통로가 되며 삶의 활력과 행복감을 가져다주어 현실의 어려움을 이겨낼 수 있는 힘을 준다. 즉, 자신이 누구인지 자아정체성을 확고하게 하여 사회와 완전하게 통합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양경희 박원희, 2008, 3~4). 미술활동이 이미지 표출과정에 있어서 비언어적 표현이며, 상징성을 띠고 있다(Wadeson, 1980)는 점에서 장애인들이 표현하기 어려워하는 솔직한 자기표현을 유도해내기 쉽다. 반복적인 미술치료활동 을 통하여 지금까지의 상실, 왜곡, 억제되어 있는 상황을 언어표현과 시각표현으로 드러난 명확한 자기 상, 자기 자신의 가치관을 새롭게 직면하여 자기 동일화, 자기실현을 꾀하도록 도와준다. 미술치료는 보상, 변화, 자기개발을 가능하게 하는 특별한 치료방법이다(캐시 A. 말키오디; 최재 영 김진연 역, 2008, 11, 19). 미술은 인간 경험과 동일한 것을 창조함으로써 인간경험의 영역을 확장 시키는 수단(Kramer, 1958, 8)이며, 미술치료는 본질적으로 자아(ego)를 지지하는 수단으로 표현된다. 그림을 그리게 되는 근원적 힘의 조정자는 바로 자아다(김혜영, 2007, 22). 클라이언트는 그림을 그리는 동안 생각과 느낌이 깊어지며, 그림을 그리고 나서 치료사와 상호작용할 때 더 깊은 수준까지 갈 수 있 게 된다(주리애, 2009, 18~19). 미술치료는 드러난 작품보다 미술활동 과정과 활동 후 질문에 대한 대답 의 내용이 동등하게 중요하다. 중요한 것은 사물의 묘사능력이 아니라 작품이 갖는 의미이다. 다른 사 람에게 어떻게 보이는가 하는 문제보다 참여자에게 의미 있고 가치 있는 경험이 중요한데 이것이 진정 한 미술치료의 귀한 가치가 된다. 이러한 미술활동 경험은 문제를 직면하고 해결하게 하는데 강력한 도 움을 주고, 경험은 새로움을 발견하게 한다. 집단미술치료에서 집단원은 다른 집단원에게서 받는 무조건적인 긍정적인 수용에 의해서 서로에 대 한 신뢰와 응집성이 높아진다. 이러한 상호 존중의 분위기 속에서 클라이언트는 서로에게 피드백을 주 고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를 나누면서 서로에게 배운다(최선남 외, 2009, 29~31). 그런 의미에서 집 단미술치료는 장애인들이 미술치료의 과정에서 자신의 잠재성을 발견하고 사회화하는 기술을 발달시 키고 대인관계를 학습하게 되어 실제적인 미술활동을 통해 장애인이 직업재활에 대한 동기를 강화할 213
Disability & Employment 2011. 8. 제21권 제3호(통권 72호) 수 있도록 도와줄 것으로 보인다.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직업능력개발원 의 입소자 중 평가사와 담당직원에 의하여 심 리적 지원이 필요한 사람을 선별하여 집단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김 은 중학교 때 다이너마이트를 입에 넣고 장난치다 불 발탄이 입안에서 폭발하여 구강손상이 있는 안면장애와 언어장애4급으로 마스크를 쓰고 다니고 있다. 송 는 선천적 뇌성마비로 인해 이동 시 워커를 사용하고, 경계선급의 인지장애를 갖고 있다. 과잉보 호된 환경에서 자랐으며, 만성적인 무기력과 의욕상실로 자발적 참여도와 동기가 부족하며 이기적인 성향을 갖고 있어 지도에 어려움이 있다. 이 는 뇌성마비로 인한 우측 편마비로 보장구에 의지하며, 강직약을 1일 2회 복용한다. 자아존중감과 장애수용 전반에서 비교적 열등감과 비수용적인 태도를 보 이고 있다. 신 는 뇌성마비로 인한 하지장애 및 양 손 기능의 저하를 나타낸다. 염색한 머리와 귀걸 이 착용 등 패션 감각이 돋보이며 쉽게 포기하는 경향이 있다. 박 는 간질 장애로 하루에 2알의 약 (데파코트)을 꾸준하게 복용한다. 만성 피로, 무기력, 가족 내에서의 갈등이 자존감 약화와 내적 스트레 스로 작용하여 산만하고 계획성이 부족한 행동을 나타낸다. 윤 는 선천성 외이 기형으로 인공와우 수술을 하였고 보청기를 사용하며, 적녹색맹으로 인해 취업 가능 직종이 제한된다. 소극적이고 내성적 인 성향으로 대인관계기술이 취약하다. 이런 특징을 간단히 <표 1>로 나타내보았다. <표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번호 성명 생년 성별 장애유형-등급 훈련분야 평가영역 1 김 1979 남 언어 4급 기 계 정서(안면장애수용) 2 송 1983 남 지체 2급 인쇄매체 정서(타인에게 의지하는 경향, 인지, 일상생활기술) 3 이 1987 여 뇌병변 3급 지적특화 정서(자기개념), 신체, 작업 4 신 1989 남 뇌병변 3급 디자인 정서(주의산만) 5 박 1990 남 뇌병변 5급 전 자 정서(충동성) 6 윤 1990 남 청각 4급 전 자 정서(스트레스, 대인관계) 214
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자기표현력 향상에 관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2. 연구절차 본 연구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직업능력개발원 에서 미술치료전문가에게 입소자를 대상으로 마음에 날개를 달자 라는 심리치료를 의뢰한 것으로, 대상자들은 직업재활을 위하여 심리적 재활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미술치료에 참가한 것을 계기로 직업재활에 성공하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연구절 차는 <표 2>와 같다. <표 2> 연구절차 절차 장애인직업능력개발원에 미술치료 프로그램 프로토콜 제출 미술치료 프로그램 대상자 선정 사전검사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 진행 사후검사 자료처리 일시 2010년 8월 2010년 8월 2010년 9월 9일 2010. 09. 09 ~ 2010. 10. 28 2010년 10월 28일 2010년 11월 3. 연구도구 1) 자기표현척도 본 연구에서 자기표현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배난희(2003)가 성취동기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에서 사용한 척도로 김성희(1991)가 개발하여 사용하였으며 총3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기표현의 척도평정은 5점 평정측정으로 되어있으며, 긍정문과 부정문이 혼합되었다. 채점방식은 매우 그렇다 를 5점, 약간 그렇다 를 4점, 보통이다 를 3점, 약간 아니다 를 2점, 전혀 아 니다 를 1점으로 하였다. 부정문에 반응한 점수는 긍정문에 반응한 점수와 반대로 채점하였다. 따라서 점수가 높으면 자기표현을 잘하는 것을 의미한다. 2) 투사검사에 의한 검사: K-HTP(동작성 집-나무-사람)검사 K-HTP(Kinetic House Tree Person:동작성 집-나무-사람)검사는 Robert C. Burns(1987)가 Buck(1948) 이 연구한 기존의 HTP( House-Tree-Person:집-나무-사람)검사에 동작성을 가미시켜 만든 투사적 방법 215
Disability & Employment 2011. 8. 제21권 제3호(통권 72호) 의 심리검사이다. K-HTP검사는 한 장의 종이 위에 집, 나무, 사람을 모두 그리도록 지시한다. 이 검사 는 밀착도, 거리감, 그림을 그리는 순서, 그림의 크기, 각기 다른 활동내용, 스타일, 색의 사용, 상징과 개 인력, 방향 등을 참조하여 해석한다. 이 검사는 그릴 때 동작성을 가미한 것으로써 그림에 투사된 상징 적 은유를 해석함에 있어서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도록 한다. 집 나무 사람의 상호작용 및 상호관계 는 그리는 사람에 의해서 표출되어지는 시각적 은유를 반영해주며 말의 한계를 벗어난 자유로운 표현 이 된다(김동연 외, 2006, 143). 4. 연구방법 질적 연구와 임상사회복지는 놀랄만한 유사성을 가지고 있는데 사회복지사의 사실주의적 탐구방법 이 질적 연구의 방법과 유사하다(Deborah K. Padgett : 유태균 역, 2005, 39~40). 질적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수적인 형태가 아니라 단어나 그림이다(신경림 외, 2008, 85). 질적 연구의 가장 근본적인 특성 은 사건, 행동, 규범, 가치 등을 참여자의 시각에서 본다는 것이다. 질적 연구의 관심은 의미 이고 질적 연구자는 참여자의 시각에 흥미를 갖는다. 사례연구는 한 개인, 가족, 집단, 조직, 지역 혹은 사회에 대 한 개별적이고 주관적인 검증방법이다. 주요 목적은 기술(description)이라고 할 수 있다(Allen Rubin Earl Babbie, 2001, 390~391).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의 시각을 중요시하였으며 클라이언트의 작 품 과정 및 결과물에 의미를 부여하였다. 장애인을 개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참여자의 삶의 현장으 로 들어가 참여자의 환경에서 장애인들과 개별적이고 직접적인 접촉을 갖는 의미로 미술치료를 진행 하였다. 본 연구에서 질적 연구는 Guba & Lincoln이 말하는 사례연구의 목적 네 가지 중에서 표현하기 위해 (기술, 묘사, 또는 특성을 나타낸다) 그리고 실험하기 위해서(특정 이론 또는 가설을 시험하기 위해 사 례를 사용한다.) 사례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Stake가 말하는 사례연구의 세 가지 유형 중 특정 사례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본질적인(Intrinsic) 연구유형을 선택하였다. 연구자는 시작단계부터 장애 인의 자기표현 향상과 직업재활에 집단미술치료가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가에 관심을 갖고 구체적으 로 분석하고 명확히 고찰해나가는 데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미술치료 임상장면의 사진, 현장 노트, 비디오 녹화, 공문서, 메모 등이다. 연구자는 이들 자료를 수량화하지 않고 참여자의 미술작품과 그린후질문, 녹음 후 전사, 비디오 촬영 등을 가능 한 기록된 형태 그대로를 가지고 분석하고 기술하였다. 5.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216
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자기표현력 향상에 관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1) 프로그램 계획 프로그램명은 마음에 날개를 달자. 로 목적은 각 분야에서 직업능력개발을 위하여 훈련받는 과정 중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장애인들에게 미술치료활동을 실시하여 자유롭게 표현하는 동안 자신 의 내면세계를 탐색하고 자기이해를 증진하여 자기표현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프로그 램 실시 기간은 2010년 9월 9일 부터 2010년 10월 28일까지 매주 목요일에 8주 동안 7회기를 90분씩 실 시하였다. 기대효과는 매체를 가지고 활동하는 동안 자기인식을 명확히 하고 자기에 대하여 이해, 수 용, 통찰할 수 있고 다양한 미술표현을 통하여 자유롭게 욕구를 표출하며 표현력을 키우는 것이다. 자 기에 대하여 탐색하고 분석하면서 자기의 생각을 정확한 핵심을 갖고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 변화의 필 요성을 인식함으로써 자발적인 의지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집단미술치료활동을 통하여 자기표현 력을 향상시켜서 직접재활을 위한 동기를 강화하는데 기여하도록 한다. 2)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마음에 날개를 달자 라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표 3>과 같이 진행하였다. <표 3>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 마음에 날개를 달자. 회기 날짜(요일) 치료내용 치료목표 매체 1 9/9 애칭 소개하기, 자연스럽게 자신을 소개하고 자신이 지 도화지, 크레파스, 색연필, 싸 (목) K-HTP, 자기표현 검사 향하는 삶의 방향을 표현할 수 있다. 인펜, 지우개, A4용지, 4B연필 2 9/16 자화상 만다라 자신의 모습을 인식하고 수용하며 투영 (목) (곡물자화상) 된 내적상황을 세밀하게 표현할 수 있다. 각종 곡물, 1회용접시, 지점토 3 9/30 나의 강점알기, 자신의 성격과 정체성을 인식하고 수용하 8절 도화지, 크레파스, 색연 (목) 소망알기 여 긍정적으로 타인에게 표현할 수 있다. 필, 싸인펜 4 8절 도화지, 유성매직, 크레파 10/7 인생 파노라마 자신의 삶의 여정을 통하여 자신을 이해 스, 색연필, 풀, 싸인펜, 셀로 (목) (나의 영화) 하고 미래의 삶의 방향을 설계할 수 있다. 판테이프 5 10/14 내면의 미해결과제를 표현하고 적절히 8절 도화지, 크레파스, 색연 미해결과제 (목) 다루어 자신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필, 싸인펜 6 7 10/21 (목) 10/28 (목) 나의 안과 밖 나 찾아가기, K-HTP, 자기표현 검사 내면의 나와 외면의 나를 탐색하고 표현 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을 통합할 수 있다. 자소상을 표현하여 객관화시켜보고 미 래지향적인 나를 표현할 수 있다. 다양한 크기의 빈 상자, 잡지 책, 가위, 풀, 색종이 8절 도화지, 크레파스, 색연 필, 싸인펜, 지점토, A4용지, 4B연필, 지우개 217
Disability & Employment 2011. 8. 제21권 제3호(통권 72호) 6. 자료처리 본 연구는 장애인직업능력개발원의 입소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인의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자기표현력 척도를 사전 사후에 사용하여 미세 한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질적 연구방법 중 사례연구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시작과 종료 후에 K-HTP를 실시하여 질적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 집단미술치료를 하는 매회기마다 나타나는 자기표현력에 관하여 미술작품과 그린후질문의 사례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회기 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7. 연구자의 윤리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기 전에 기관에 프로그램 진행한 것에 관하여 연구의사를 밝히고 동의를 얻 었다. 그리고 참여자들에게 연구 참여 동의서를 받고 언제든지 그들이 원하면 동의를 철회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렸다. 매 회기 진행하는 동안 비디오 녹화와 녹음을 하고 사진을 찍어 연구 자료로 활용하게 되 었다. 처음에 기관 담당자가 함께 참여하였으나 참여자들이 좀 더 미술치료 활동에 적극 참여하는 분위 기를 조성하기 위하여 기관담당자의 양해를 구하고 2회기부터 치료사와 참여자들만 참여하는 집단미 술치료를 진행하게 되었다.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한 후에 마음에 날개를 달자 프로그램 참여자를 위하여 수료증 수여식과 다 과회를 가졌다. 그동안 집단미술치료활동에 참여한 소감을 이야기 하고 서로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며 직업재활을 위한 긍정적 동기부여의 기회를 가졌다. Ⅳ. 연구결과 1.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집단미술치료를 진행하기 전 후에 자기표현 검사 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김, 송, 이, 신 는 미미한 향상을 나타내고 있 으며, 박 는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윤 은 미미한 감소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을 아래의 <표 4> 자기표현력 검사에 의한 사전 사후비교와 <그림 1> 자기표현력 사전 사후 비교 그래프에서 제시하였다. 218
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자기표현력 향상에 관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표 4> 자기표현력 검사에 의한 사전 사후비교 번호 이름 점수 사전 사후 점수차 1 김 88 92 +4 2 송 96 98 +2 3 이 74 76 +2 4 신 93 99 +6 5 박 96 113 +17 6 윤 90 82-8 * 자기표현의 점수범위는 34~170이며, 170-143: 매우높음, 142-116: 높음, 115-88:보통, 87-61:낮음, 60-34:매우낮음 2. 자기표현력이 장애인의 직업재활에 미치는 영향 장애인의 직업재활의 최종 목표는 취업과 직업유지라고 하겠다. 장애인의 직업유지를 위하여 개인 적 요인 중 자립능력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여기고 그 중 사회기술능력, 의사소통능력을 하위요인으로 보고 있다(설진화, 2009, 92). 그런데 장애인들은 타인과의 대화에서 인지적 결함과 심리적 불안 등으로 인해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적절하게 효과적으로 표현하지 못한다(이미옥, 2010, 5). 미술치료에 참 가한 것을 계기로 자기표현력이 향상되어 직업재활을 위한 동기를 강화하는데 기여하였다고 사료된 다. 그 이유는 첫째, K-HTP의 사전 사후 검사의 비교를 통하여 무언가 하고 싶다는 희망과 목표를 이야기하게 되 었고, 우울감과 무능감에서 많이 벗어난 것을 알 수 있다. 자신의 장애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인 어려움 을 극복하여 역동적인 모습으로 변화하려는 의지를 보였다. 미래의 소망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게 되었 다. 진지한 모습으로 적극적으로 그림을 그렸고 그린 후 질문(PDI) 에 대하여 무응답의 예는 없어졌으 며 오히려 밝은 모습으로 자신 있게 대답하였다. 둘째, 회기별 미술치료 분석결과 집단미술치료는 장애인들이 자기표현력 향상으로 자아탐색을 적극 적으로 하면서 현재의 나를 직면하고 긍정적인 미래상을 가지게 하여 자기의 적성, 흥미, 능력에 맞는 직업을 찾을 수 있는 직업동기를 갖게 하였다. 셋째, 미술치료 후 피드백을 통하여 표현한 것들을 종합하여 어떤 영향이 있게 되었는지 알아보았다. 대부분의 참여자가 추후 상담에 참여하기를 원하였다. 기술을 잘 연마하여 관련분야에 취업하면 잘 해 낼 것 같다고 하였다. 자기의 어려움을 좀 더 해소하고 싶고, 앞으로 나갈 진로탐색을 본인이 인정할 수 219
Disability & Employment 2011. 8. 제21권 제3호(통권 72호) 있도록 진지하게 함께 찾아가는 것과 무엇엔가 열심히 몰입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고, 내면의 욕구를 상담의 도움으로 성장하고 싶다고 하였다. 3. K-HTP에 의한 결과 분석 1) 김 의 K-HTP의 사전 사후 비교분석 <표 5> 김 의 K-HTP의 사전 사후 비교분석 구분 사전 사후 K-HTP 그린 순서 집 나무 사람 나무 집 사람 분석 해석 전체 평가 집 나무 사람은 서로 독립되어 있다. 높은 산 이 뒤에 펼쳐져 있고 해와 구름을 더 그려 넣었 다. 적당한 거리에 있는 상상속의 집으로 내가 살고 있지 않으며 미래에 갖고 싶은 집이다. 부 모님과 형제 그리고 친척들과 세입자까지 살고 있다. 나는 그곳의 2층에서 빛이 잘 들고 여름에 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한 방에서 생활한다. 나무는 과실수인 활엽수로 1,000년 되었고 시내 근교에 살고 있으며 강하고 친구가 많고 큰 나무 이다. 그림의 남자는 미혼이며 기업가로 친구가 100명 정도나 되는 인내심 많은 사람으로 친구 가 되고 싶고 나와 닮은 사람이다. 자아가 건강하고 긍정적이며 명예나 부를 중요시 하지만 아직 미숙한 나에 대한 보상심리가 표현된 다. 강하고자 하나 아직 자신감이 좀 부족하며 생 활하면서 어려움을 많이 느끼고 있다. 내적인 안 정을 추구하고 나를 드러내고 싶은 욕구도 갖고 있으며 우울감과 애정에 대한 욕구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나를 집의 3층 안에서 경치 구경하는 모습을 그 렸고 팔, 다리 등을 다 그리려면 시간이 없어서 그렇게 집안에 있는 것으로 그렸다. 그림의 밑바 닥에 선을 그었다. 나와 가족이 살고 있는 멀지 않은 곳에 있는 집에서 나는 2층의 햇빛 잘 들고 바람 잘 통하는 방에 산다고 하는데 오른 쪽이 절단되어 있다. 100살 이상의 살아있는 강한 나 무이며 친구도 많은 남자는 기혼인 기업가로 건 강하고 지혜롭고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잘하는 것이 좋은 점이며 단점은 없다. 3층에 높이 올라 가서 더 많이 더 넓게 보고 싶고 가족을 더 많이 그리고 싶다. 자아가 좀 더 성숙해졌으며 바라는 자기상은 강하고 지혜로워지고 싶다는 것과 안정을 추구 하고 미래의 소망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게 되었 다. 미래에 관해서는 아직 불안감을 갖고 있으 며 따뜻한 사랑을 바라고 있고 여전히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는데 있어서 작은 어려움을 표현 하고 있다. 집을 먼저 그렸으나 사후검사 시 나무를 먼저 그려 생명에너지와 성장이 더 중요해짐을 나타낸다. 내가 직면한 어려움을 좀 더 작게 인식하게 되었고, 돌봄을 주고받는 가정에 소속되고 싶고 안정을 추구하게 되었다. 220
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자기표현력 향상에 관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2) 송 의 K-HTP의 사전 사후 비교분석 <표 6> 송 의 K-HTP의 사전 사후 비교분석 구분 사전 사후 K-HTP 그린 순서 사람 집 나무 집 나무 사람 분석 해석 전체 평가 집 나무 사람은 서로 독립되어 있다. 전체적 으로 무기력하고 공허한 느낌이 든다. 사람이 살 지 않는 멀리 있는 집으로 내 방은 어둡고 곰팡 내가 난다. 나무는 상록수로 현재의 나보다 조금 은 미성숙함이 있고 약하여 죽어가고 있으며 적 절하지 못한 우울한 환경에 처해있다.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무능한 사람이라고 표현하고 이목구 비를 하나도 그리지 않았다. 수정된 매슬로우의 욕구에 따르면 1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보 인다. 적절하지 못한 우울한 환경에 처해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무능한 사람으로 표현하였고 현실에 부적 응한 상태를 나타낸다. 인지적인 면에서 부족함을 보인다. 유복한 가정을 갖고 있으나 다른 곳으로 가야하는데 언젠가 그곳에서 생활하고 싶다는 막 연한 희망을 갖고 있다. 전체적으로 아직 공허하지만 부자연스럽게나마 그림이 커졌고 빠르게 그려나갔다. 그린 후 설명 도 기분 좋게 하였다. 나와 나무의 거리를 가깝 게 그렸다. 말을 타고 장애물을 건너는 것을 그 렸다. 사람을 그리는 데 오랫동안 정성들여 집중 하여 그렸다. 이상화된 자아상을 건강하고 사랑 과 열정이 많은 것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수정된 매슬로우의 욕구에 따르면 집과 나무는 1단계에 머물러 있으나 사람은 2단계 접근형의 욕구를 보이고 있다. 사회에, 돌봄을 위한 가정에 속하려는 욕구를 나타낸다. 신체에 대한 소속감을 나타내고 있 으며 말을 타고 장애물을 건너는 것을 그려서 현실상황을 극복하고 기분을 전환하여 멋지게 생활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음을 표현하고 있 다. 이상화된 자아상을 건강하고 사랑과 열정 이 많은 것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공허하고 무기력하고 무능하기만하여 아무런 욕구도 찾아볼 수 없었으나 역동적인 욕구를 나타내 게 되었다. 전체적으로 그림의 크기가 커졌고 정성들여 표현하였다. 수정된 매슬로우의 욕구에 따 르면 집과 나무는 1단계에 머물러 있으나 사람은 신체에 대한 소속감을 나타내고 있는 2단계 접근 형의 욕구로 발전하였다. 221
Disability & Employment 2011. 8. 제21권 제3호(통권 72호) 3) 이 의 K-HTP의 사전 사후 비교분석 <표 7> 이 의 K-HTP의 사전 사후 비교분석 구분 사전 사후 K-HTP 그린 순서 집 나무 사람 나무 집 사람 분석 해석 전체 평가 나무와 사람이 밀착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외롭 고 무기력하게 느껴진다. 내가 살고 있지 않은 멀리 있는 돌아가신 할아버지 집이다. 내가 있는 방은 햇빛이 잘 들어서 덥게 느껴질 정도이다. 사과나무를 뿌리가 단절되게 그렸고 살아있으며 강한 나무로 정원에 있는 100살 된 나무로 친구 가 많다. 더 그리고 싶은 것으로 다람쥐, 나이테, 책이다. 사람은 집을 등지고 앉아있는데 다리의 형태가 불분명하다. 미혼인 약한 소설가로 친구 는 없으며 장점으로 집안일을 돕는 것이고 단점 은 없으며 닮고 싶고 친구가 되고 싶다. 아직 미성숙하고 의존적이며 우울하고 가족에 소 속되지 못하는 부정적인 면을 가지고 있다. 대인 관계가 수동적이며 이루고 싶은 것은 있으나 열심 히 노력하지 않고, 환경적인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개방적이고 순수하며 아기자기한 면이 있고 신체적 결함을 나타내고 있다. 나무와 사람이 밀착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외로 워 보인다. 내가 모르는 사람들이 살고 있는 멀리 있는 할머니집이다. 나는 그 집의 문 쪽에 있는 방에 있을 것 같은 데 햇빛이 좀 들다가 어두워질 것 같은 방이다. 나무는 30살 된 소나무로 키는 나보다 20cm정도 더 크고 다른 나무들이 여러 그 루 함께 있으며 공기 좋고 동물들이 많은 숲속에 있을 것 같다. 숲속의 동물친구들이 아주 많은 미 혼 남자는 직업이 없고 좀 아프다. 친구는 적으며 착하나 책을 너무 많이 보는 것이 단점이다. 나랑 은 닮은 점이 없고 집에는 무관심하다. 신체장애와 허약함을 나타내며, 외롭고 우울한 마음을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우울감이나 애 정 욕구, 집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이 어느 정도 는 해소되었다. 아직 미성숙하나 성격의 순수 한 면을 보인다. 집에 대하여 아직 무관심하나 가족 특히 엄마에 대하여 조금은 긍정적으로 표현하기 시작하였다. 사전에 나는 집을 등지고 무기력하게 앉아있는데 다리가 불편함과 안정되지 못한 자신을 표현한 다. 사후에 집(엄마)에 대하여 어느 정도 긍정적인 관심을 갖게 되고 편안하게 되었다. 환경지원의 단절을 표현했던 것이 어느 정도의 지원이 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게 되었다. 222
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자기표현력 향상에 관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4) 신 의 K-HTP의 사전 사후 비교분석 <표 8> 신 의 K-HTP의 사전 사후 비교분석 구분 사전 사후 K-HTP 그린 순서 집 사람 나무 나무 집 사람 분석 해석 전체 평가 집에 나무, 사람이 포함되어 있고 모두 절단되어 왼쪽 아래에 그렸다. 전체적인 느낌이 자연스럽 지 못하고 아프게 느껴진다. 출입문이 없는 2층 집은 내가 살고 있지 않고 멀리 있으며 부모님과 동생들이 함께 살고 있으며 나는 1층의 제일 큰 방에서 햇빛이 잘 드는 곳에서 생활한다. 500살인 나무는 벽화로 입사귀가 아주 많고 가지가 풍부 한 한그루의 나무인데 벽화이므로 해 없이도 잘 살고 있고 살아있지도 죽지도 않은 나무로 집이 무너지면 없어지는 나무이다. 미혼인 여자는 친 구가 매우 많고 나와 닮았고 무지 건강하고 리더 십이 강하고 쿨하며 친구가 되고 싶은 오너이다. 나약하고 미숙한 자아를 표현하였고 무의미한 존 재로 외부와의 소통이 원활하지 못하며 고립된 면 이 보인다. 생명력이 없는 무의식적인 자아를 나 타내고 있다. 재혼가정으로 동생들의 상황에 따라 위태로운 가정현실이나 본인이 어쩔 수 없음을 표 현하였다. 집 나무 사람이 분리되었다. 그러나 과장되 게 큰 나무는 인공적이고 수관이 잘려있다. 나는 집을 바라보고 있으나 나를 수용하기엔 집이 너 무 작다. 나랑 가족들이 함께 사는 아주 가까이 에 있는 세상에서 제일 좋은 집에서 나는 햇빛이 잘 들고 깨끗하고 창문이 있는 큰 방에서 생활한 다. 5,000살의 아주 큰 나무는 여러 나무와 같이 있으며 내 집 앞에 있는 것이고 무지 강하고 튼 튼한 나무이다. 그네를 더 그리고 싶으며 기혼 이고 친구가 많고 활발한 성격의 사장인 나를 이 야기하고 있다. 단점은 없고 친구가 되고 싶은 사람이다. 집에 대한 나의 감정이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이나 집은 여전히 강박적인 것으로 표현하고 있다. 외롭고 내면의 우울을 인지하 고 있지만 독립된 자아와 사전검사에서 집안에 가두었던 본인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한 것 으로 보인다. 목표를 갖는 나로 표현하였다. 집에 작은 사람을 가두고 나무를 벽화로 그렸으나 집 나무 사람이 분리되었다. 세 동생의 철없 는 행동으로 새롭게 형성된 가정이 언제 붕괴될지 모르는 절박함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여자로 표 현되었던 사람은 남자가 되었다. 자기의 정체성을 찾은 것이다. 223
Disability & Employment 2011. 8. 제21권 제3호(통권 72호) 5) 박 의 K-HTP의 사전 사후 비교분석 <표 9> 박 의 K-HTP의 사전 사후 비교분석 구분 사전 사후 K-HTP 그린 순서 나무 사람 집 나무 사람 집 분석 해석 전체 평가 아무도 살지 않는 멀리 있는 외할머니집을 그렸 다. 나는 깨끗하고 햇빛도 적당히 들어오는 방에 있다고 하였다. 산 정중앙에 있는 소나무이고, 강하고 살아있는데 조금은 미성숙하며 친구는 많지만 혼자 서있다고 하였다. 미혼인 컴퓨터 관 련직에 있는 건강하고 배려심 많으나 성격이 욱 하는 사람은 80명 정도의 많은 친구가 있다고 하였다. 외할머니 집에서 고등학교 때까지의 기억이 별로 좋지 않다. 자아는 비교적 건강하나 욱하는 성질 이 있고 조금은 미성숙하고 비현실적이며 외로움 을 호소하였다. 사전 검사 때와 같은 집을 그렸다가 집이 너무 크 다며 지우고는 사람을 그린다음에 빌딩을 그린 다. 아직은 멀리 있으나 우리 온 가족이 살고 있 으며 나는 햇빛이 적당히 들어오고 시원하고 깨 끗한 방에서 지낸다. 강한 소나무가 여러 그루가 함께 집 옆에 있고 나보다 30배나 큰 50살로 가지 를 더 그리고 싶다. 이 사람의 장점은 성실하고 배려심 있는 점이고 욱하는 성질이 본인을 닮은 기혼 남성이다. 아직 집이 편안하지 않으며, 적절한 환경, 엄마 와 함께 지내게 된 현재를 인식하게 되었다. 사 회와의 소통에 대한 욕구, 나를 드러내 보이고 싶은 욕구가 생기게 되었고 현실적인 사고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고가 어느 정도 현실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과거의 집에서 현실적인 돌봄을 위 한 가정에 대한 지각과 욕구가 생기는 것으로 보인다. 224
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자기표현력 향상에 관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6) 윤 의 K-HTP의 사전 사후 비교분석 <표 10> 윤 의 K-HTP의 사전 사후 비교분석 구분 사전 사후 K-HTP 그린 순서 집 나무 사람 집 나무 사람 분석 해석 전체 평가 집 나무 사람이 분리되어 있으나 집과 나무를 더 가까이 표현하였다. 전체적으로 소심하고 위 축되어 있으며 어둡고 슬픈 느낌이 든다. 윤 군은 거의 무응답, 모르겠다는 응답이 절반이상 이다. 내가 살고 있지 않는 상상속의 집을 그렸 다. 낙엽이 떨어지고 음영이 짙으며 가지가 뾰족 뾰족한 나무와 나무아래 그늘을 그렸다. 발은 집 을 향하나 몸은 정면을 보고 서있다. 자기표현이 매우 미숙하다. 내적인 공격성과 위 축되고 소심한 성격을 반영하고 있으며, 목표의 좌절과 부정적인 자아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성적 관심이 많으며 집에 대한 양가감정을 표현하 였다. 전체적으로 밝아졌고 역동성을 느끼게 한다. 가 족이 살고 있는 가까이 있는 집으로 나는 크고 깨끗한 방에서 살고 있다. 강하고 여러 명의 친 구가 있는 자신을 이야기 하고 있다. 현실에서의 나는 하려고 하는 것을 열심히 하지만 자신감이 없고 소심한 것이 단점이다. 나와 닮은 친하고 싶은 사람은 배드민턴을 치고 있다. 내적공격성이 아직 있지만 좌절과 자신감 없고 소심한 것은 많이 해소 되었다. 성장 욕구도 갖 고 있고 그럴 수 있는 가능성도 충분히 갖게 된 것으로 표현하고 있다. 무언가 시작하려는 긍 정적인 자아상으로 이야기한다. 전체적인 그림의 크기가 커졌다. 자아상인 나무의 음영이 없어지고 눈물처럼 떨어져 내리는 좌절 의 나뭇잎이 없어졌다. 대가족이 살 수 있는 큰 집을 그리고 싶다는 욕구를 표현할 만큼 긍정적인 면을 나타내고 있다. 소심하게 위축되어 있던 사람이 운동을 하는 역동적인 모습으로 긍정적인 자 아상으로 변화하였다. K-HTP투사검사를 실시하고 그린 후 질문(PDI) 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사전에는 클라이언트 자신 이나 환경에 대하여 갖고 있는 느낌이나 생각들이 우울감, 외로움, 미성숙, 위축, 부정, 좌절, 비현실적, 생활상의 어려움, 의존적, 무의미함, 무능함, 현실부적응, 가족에 대한 애정욕구... 등으로 표현되었다. 뿐만 아니라 검사 시의 태도가 수동적이고 그린 후 질문(PDI) 에 대하여 최소한의 대답과 무응답을 하 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집단미술치료를 진행한 후에 실시한 K-HTP에서는 무언가 하고 싶다는 희망 과 목표를 이야기하고, 우울감과 무능감에서 많이 벗어난 것을 알 수 있다. 자신의 장애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인 어려움을 극복하여 역동적인 모습으로 변화하려는 의지를 보였다. 자기상에 대하여 강하고 225
Disability & Employment 2011. 8. 제21권 제3호(통권 72호) 지혜로워지고 싶다는 것과 미래의 소망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게 되었다. 검사 시의 태도가 능동적이 되 었다. 진지한 모습으로 적극적으로 그림을 그렸고 그린 후 질문(PDI) 에 대하여 무응답의 예는 없었으 며 오히려 밝은 모습으로 자신 있게 대답하였다. 4. 집단미술치료 활동 사례분석 1) 애칭그리기 나에게 붙여졌던 애칭을 떠올려보고 앞으로 되고 싶은 모습을 상상해보면서 어울리는 애칭을 생각 해본다. 가장 내 마음에 드는 애칭을 선택하였다. 김 는 09, 초등학교 4학년 때 개그로 많이 나오던 거예요. 바보지만 천재 같기도 해요. 나랑 비 슷한 점은 겉은 남들이 보기에 안 좋은 면이 있을 수 있지만 속은 알차고 지혜로운 사람으로 봐주었으 면 좋겠어요. 라고 설명한다. 송 는 송초딩, 별명이 아주 많은데 다 맘에 들어요. 모두 저에게 관 심이 있어서 지어준 거니까요. 이 는 천사, 길 잃은 양에게 전도하고 싶어요. 라며 앞으로 천사 가 되고 싶다고 한다. 신 는 밴드 2년 전에 보컬 밴드에서 베이스 기타를 했다. 중학교 때부터 하 고 싶었던 거예요. 앞으로 할 거예요. 라며 꿈을 표현하였다. 박 는 다크, 고등학교 때 밤에 잠 안 자고 싸돌아다니다 눈 밑에 다크써클이 생겨서요. 윤 는 회사원. 한참동안 크레파스를 잡고 그대 로 있는다. 표정이 점점 굳어진다. 치료사가 테두리를 그려주어도 시작을 못하고 있어 다시 스타트점 을 찍어주니 그때부터 왼쪽 아래에 작은 그림을 그렸다. 발표할 때는 그냥 취직해서 일 하는 거요. 라 고 자신의 그림을 보여주며 아주 작은 소리로 힘겹게 애칭을 소개하였다. 그림을 그리고 발표하면서 자 아를 성찰하고 가장 바람직한 자기상을 정립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그림이 있어서 첫 시간에 말로 표현하기 어려워하는 사람에게도 좋은 시간이었다. [ 그림 2] 애칭그리기 226
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자기표현력 향상에 관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2) 곡물자화상 1회용 접시 위에 지점토로 얼굴모양을 골고루 펴놓고 우리와 친숙한 곡물로 나의 얼굴을 완성한다. 김 는 만드는 과정에 대해 만족스러워요. 송 는 작품이 닮았다고 다른 사람들이 이야기 하니 까 이게 왜 닮았어요? 하며 만들어진 게 만족스럽지 않고 모양이 잘 안된다고 전부 다 만족스럽지 못 하다고 했다. 이 는 뺨이 맘에 안 들어요. 지금은 안 빨개서요. 부끄러울 때 빨개져요. 신 는 남 들이 발표할 때도 열심히 만든다. 내 얼굴을 만드는 동안 참 못생기게 했구나. 맹구 같애요. 했지만 얼 굴의 점까지 세밀하게 표현하였다. 박 는 30대의 얼굴을 완성했어요. 윤 는 쌀로 이를 세밀하 게 표현했다. 하얀이를 드러내고 웃는 모습이예요. 맘에 들어요. 한다. 내 얼굴의 특징을 강조하고 표 현하는 동안 자연스럽게 나를 탐색하는 시간이 되어 자신의 특성을 상기시키고 현재의 감정을 느끼며 그것을 언어화하는 기회를 가졌다. [그림 3] 곡물자화상 3) 나의 강점알기 나에게 버리고 싶은 것과 갖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이야기한 다음 나의 장점과 단점을 그림으로 표현 해본다. 김 는 장점으로 애교 있다. 아는 사람이 많다, 착하다, 갖고 싶은 것은 성실하다, 끈기 있 다, 단점은 게으르다, 체력이 약하다, 욕심이 많다, 라고 한다. 송 는 장점이 꼭 장점이라는 생각 이 안 들어요 그렇지만 장점을 이야기하라면 감정이 풍부하다, 생각이 많다 단점은 제가 생각하는 것은 다 맘에 안 들어요., 소심한 성격, 교만한 생각 등이다, 이 는 장점으로 인사성 좋은 거, 밝 은 거, 성격 좋아서 삐쳐도 20~30분이면 풀어진다 단점으로 다리 불편한 거, 고집, 성질(기분 안 좋 으면 말을 안 한다), 바보 같은 점 신 는 장점으로 친구 많고, 노는데 안 빠지고, 밥 많이 먹고, 노 래 잘 부르고, 잘 생겼다 단점은 노력저하, 소심한 거, 집중력 저하 를 발표하였다. 박 는 장점으 로 게임을 아주 잘한다, 갖고 싶은 것은 끈기, 인내심, 버리고 싶은 점은 잠 많은 점, 다혈질, 게으른 점, 윤 는 장점은 큐브 잘 맞추기, 성실함, 술과 담배를 안 한다, 단점은 소심 이라고 그림 227
Disability & Employment 2011. 8. 제21권 제3호(통권 72호) 으로 표현하였으나 발표는 옆 사람이 그림에 적힌 것을 중심으로 대신하였다. 글씨를 너무 작게 써서 알아보기가 힘들었지만 손을 예쁘게 색칠하고 꾸며주었다. 내가 잘할 수 있는 장점과 단점이 무엇인지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손가락에 쓰기 시작하여 다섯 가지 정도는 찾으려고 애쓰나 그것도 찾는 것을 어려워하였다. 나에게 고맙게 해준 손에 대한 보상으로 멋지게 꾸며보라고 하였으나 대개 단색으 로 성의 없이 기본적인 색을 칠하는 정도로만 하였다. [그림 4] 나의 강점알기 4) 인생파노라마 지금까지 살아온 시기를 영아기, 유아기, 초등시기, 중학생시기, 고등학생시기, 현재, 미래로 나누어 서 그때마다 나에게 중요한 의미가 있었던 일을 그림으로 그려 마치 영화필름이 완성되어 나의 역사영 화를 한 편 그리는 활동이다. 김 는 입을 다치게 된 것을 표현하였고 미래에는 멋진 CEO가 되는 것 을 표현하였다. 송 는 어릴 때 엠블런스가 아파트 앞에 자주 왔던 것을 미래에는 마음이 따뜻한 사 회복지사가 되는 것을 표현하였다. 이 는 그림의 순서를 뒤죽박죽으로 연결하여 왔다갔다하면서 설명하였다. 미래에는 오피스텔에 살고 싶다고 했다. 신 는 유치원 때 미술학원에 6개월 다닌 것 을 그렸다, 미래에는 부모님과 2층집에 살고 1층에선 밴드를 하는 것 을 그렸다. 끝으로 중요한 게 있어요. 나중에 CEO가 되는 거예요. 하였다. 박 는 초등학교 때 미끄럼틀에서 떨어진 것이 기억나 고 미래에는 내 아이와 한가하게 공원을 산책하는 모습을 표현하였다. 윤 는 중학교 시절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을 친구들과는 처음 노래방에 가본 거예요, 미래에는 결혼해서 가족(아내와 아이)과 함께 놀러 나온 나를 그려 긍정적인 미래상을 표현하고 있다. 아직은 자기표현을 어렵게 하였다. 성장 시기별로 중요한 포인트를 그림으로 잘 표현하였고, 그것을 언어화하는데도 꽤나 자신감 있게 표현하 였다. 자신의 미래 모습에 대하여 긍정적인 사고를 갖고 있음을 표현하였다. 228
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자기표현력 향상에 관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그림 5] 인생파노라마 5) 미해결과제 지금 내가 해결해야할 과제가 무엇인지 생각하고 그림으로 표현해본다. 그런 후에 천사점토로 나를 상징하는 것을 과거, 현재, 미래로 나누어 만들어보고 이야기 하도록 하였다. 박 와 윤 는 취업 을 위한 현장견학으로 참여하지 못했다. 김 는 현재를 처음에 노란색으로 알을 만들었는데 노른자 예요 그런 후 빨간색 등의 다양한 색으로 자신의 다양성을 표현한 후 하나로 감싼다. 느린 거북이 를 그리고 빨리 알아듣지 못하고 느리지만 빨리하려고 열이 올라가서 얼굴이 빨개졌어요. 딴 사람이 나에 대해서 말하는 거에 화가 나기도 해요., 앞으로 가장 중요한 사람이 되고 싶다고 하였다. 송 는 신 체적 물질적 부족보다 마음속의 자신감이 부족한 것이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면허증이 없으면 아시 겠지만 이동할 수 없어요. 그리고 자동차는 필수 조건이예요. 전에 대중교통을 이용하려할 때 기사님 한테 잘못도 없이 욕을 먹었어요. 어릴 때는 엄마가 주시던 홍시 생각이 났어요. 그래서 주황색으로, 미래는 하늘색으로 표현하였는데 하늘 생각하면 자유롭잖아요. 하였다. 이 는 산에 가는데 선생 님이 나는 못 가게 했어요. 나는 할 수 있는데 남들이 알아서 나를 제외시킬 때 수긍하고 나중에 속상해 하는 게 나의 미해결과제라고 한다. 보에 쌓인 아기와 할머니가 주셨던 홍시를 표현하였다. 신 는 디자이너가 되고 싶은데 노력이 부족한 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고 하였다. 미래는 양복입고 회사에 다니는 모습을 만들어서 긍정적인 바램을 표현하였다. 현재 나의 미해결과제를 탐색하면서 나의 문제점에 직면해보고 그것을 해결한 멋진 나의 미래 모습 을 상상해보았다. 핵심을 파악하기 위하여 미술활동을 통하여 자기를 표현하는 것은 언어표현 이전에 자신의 문제를 표현하는데 도움을 주어 자신의 생각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229
Disability & Employment 2011. 8. 제21권 제3호(통권 72호) [그림 6] 미해결과제 6) 나의 안과 밖 꼴라쥬 활동기법으로 잡지책을 보면서 나의 내면의 모습과 외면의 모습을 떠오르게 하는 사진을 오 려놓은 후, 상자 안에는 내면의 모습을 찾아 붙이고, 상자 밖에는 외면의 모습을 찾아 꾸며 보았다. 김 은 겉모습은 딴 사람들이 아니 그것도 모르다니 교육이 필요하군 하는 것처럼 보인다. 고 한다. 주변에서 나를 링 안에 넣어두고 갖고 놀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자신만만하고 느리지만 깔보지 말라고 하고 있다. 그러면서 음악을 듣는 여유 있는 모습이다. 내면은 소리 없이 강하고, 생각의 자유가 있고, 가치 있고, 이번에는 자격증을 꼭 따겠다는 마음이 담겨 있다. 좌절금지 그림을 붙였다. 송 는 생각하고 붙인 건 아닌데 붙여졌어요. 안을 볼 수 없게 상자를 모두 붙여 놓았다. 안에는 내가 좋아하는 여자연예인을 붙이고 연예인 가족을 붙였어요. 여태까지 살면서 멋있다는 말을 못 들어 봤어요. 어릴 때는 귀엽다는 말을 들었는데, 지금도 그 말을 듣고 싶어요. 스무 살이 넘으면서 나 혼자 는 어렵고 아내를 잘 만나야 행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어요. 일반사람들은 쉬운데 저는 어려워요. 세 상은 불공평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외면에는 예쁘고 단아한 표정의 여자를 선택했다. 그 표정은 안에 뭔가를 갖고 있는 표정이예요. 어떤 상황에서도 그 모습을 지니는 게 자기라고 했다. 이 는 겉은 활 짝 웃고 있지만 내면에는 우울하고 외로움과 고독감이 있다고 하였다. 속은 슬퍼요, 속으로는 생각 이 많은데 겉으로는 표현을 못해요. 라고 하였다. 신 는 멋있다고 칭찬하니 그냥 대충대충 했는 데 라고 한다. 겉은 향기가 나고 멋지며, 내면에는 자유, 남자다움, 여유가 있다고 하였다. 박 는 외 출하여 결석하였다. 윤 는 외면은 조용하고 단정한 모습이나 내면에는 소심해요, 부족한 게 많아 요, 담배를 피우지 않아요. 라고 발표하였다. 그러나 그림으로는 여자 친구와 어울려 놀고 싶고, 컴퓨 터를 잘 하고 싶고, 영화배우처럼 멋진 남자가 되고 싶은 마음이 있다는 것을 표현하였다. 평소에 막연하게 생각하던 자신의 내면과 외면의 모습을 잡지책에 있는 사진, 그림, 글자를 통하여 230
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자기표현력 향상에 관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탐색하면서 적절한 것을 찾아 꼴라쥬로 표현하였고, 자신의 내면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그림과 글자를 찾으면서 내면의 탐색기회를 가졌다. 꼴라쥬 활동은 자기의 생각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기에 매우 적절 한 활동이 되었다. 언어표현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것을 미술표현으로 더욱 개방된 자기표현을 하게 되 었다. 밖 안 [그림 7] 나의 안과 밖 7) 나 찾아가기 내가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생각해보고 핵심이 되는 것을 찰흙으로 자소상을 만들어보도록 한 다 음에 어떤 곳에서 그런 사람이 되고 싶은지를 구체적으로 생각하여 도화지에 배경을 그려보았다. 김 는 국보급의 탑을 잔디 위에 놓아 바리케이트로 막아 놓은 것처럼 귀한 사람이 되어 누구도 함부로 접근하기 어려운 사람이 되고 싶다고 하였다. 국보급 탑은 오랫동안 굳건하게 서있고, 만들 때 정성들 여요 송 는 고로케의 겉은 단순하지만 안에는 여러 가지 맛있는 것이 들어있는 것처럼 사람들에 게 유익한 여러 가지를 지닌 사람 이 되고 싶다고 하였다. 이 는 밧줄이 되어 주변 사람이 어려 울 때 잡아주는 사람이 되고 싶고, 사람들이 목마를 때 언제든지 마실 수 있는 샘, 마르지 않는 샘이 되고 싶어요. 하였다. 신 는 세상의 중심이요 하늘의 밝은 별이 되어 밝게 빛나고 싶다고 하였다. 박 는 나는 구름이 생각나요. 없는 것 같아도 있는 사람이 되고 있다가도 없어진다. 자유롭게 있고 싶 다고 하였다. 윤 는 해와 달이 되어 낮과 밤을 환하게 비추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희망을 표현하였 다. 처음에는 날카로운 내면의 공격성을 표현하더니 여러 차례 다시 시도하면서 점차 빛을 둥글고 부드 럽게 만들어 내면의 공격성을 완화시켜가는 모습을 보였다. 231
Disability & Employment 2011. 8. 제21권 제3호(통권 72호) 찰흙을 주무르면서 이런저런 형태를 만들더니 구체적인 사물을 완성하고 그것에 의미와 가치를 부 여하였다. 자아상을 정립하면서 정립된 자아를 표현하는 데는 진지하고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림 8] 나 찾아가기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자기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미술활동을 하면서 비언어적으로 표 현한 작품을 언어화하고 피드백을 하는데 점차 긍정적이고 능동적이며 적극적인 태도를 보여주었다. 첫 회기에 애칭을 그리고 자기를 소개하는데 있어서 일부 참여자는 말을 거의 하지 않고, 질문에 고개 를 끄덕이거나 가로젓는 형태로 응답하거나, 남의 말을 잘 듣지 않고 산만한 태도였다. 2회기에는 꼼꼼 하게 자신의 특징을 나타내려고 애쓰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그것을 언어표현으로 하기에는 미숙함 이 드러난다. 3회기에 아직 자신을 탐색하고 드러내는데 소극적이고 미술표현에도 성의가 없는 모습을 보인다. 4회기에 들어서면서 매우 적극적이고 활발하게 표현하였다. 치료사의 어떤 지원도 필요로 하 지 않으며 그리기 시작했고 그린 후 이야기 나누는 시간에도 시원시원하게 표현하였다. 5회기에는 자 신을 적절하게 능동적으로 표현하게 되었다. 6회기에 나의 안과 밖 활동을 할 때는 나의 모습을 너무 많이 찾아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들을 고를 정도로 능동적으로 자기를 표현하였다. 7회기의 나 찾 아가기 활동에서는 여러 번 자신의 모습을 바꿔가며 긍정적으로 나를 찾아가는 적극성을 표현하였다. 이는 자기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모습으로 최종적으로 발표한 작품은 나름대로 현재의 상황에서 참여 자가 찾아낸 가장 바람직한 자신의 미래상이었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인의 자기표현을 향상시키는데 미치는 영향과 자기표현력이 장 애인의 직업재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하여 질적인 변화를 살펴보았다. 집단미술치료 과정에 서 참여자들은 자기표현 방법으로 미술활동을 하며 비언어적으로 표현한 작품을 언어화하는데 점차 긍정적이고 능동적이며 적극적인 태도를 보여주었다. 직업재활을 위하여 직업훈련과정에서 심리적 재 활이 필요한데 그 방법의 하나로 집단미술치료에 참가하여 자기표현력을 향상시켜서 장애인의 직업동 기를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232
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자기표현력 향상에 관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인의 자기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진행 되면서 점차 언어적 비언어적 자기표현이 활발해졌다. 단기치료이나 자기표현을 점차 적극적으로 하 게 되었으며, 개인미술치료를 받고 싶다는 추후 피드백을 통하여 스스로 긍정적인 영향을 느끼는 것으 로 나타났다. 둘째, K-HTP와 회기별 사례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집단미술치료 활동은 점차 능동적으로 자기표현 을 하도록 하였다. 셋째, 적극적으로 자기를 탐색하며 자기를 표현하는 동안 구체적인 미래상을 정립하게 하여 장애인 의 직업재활을 위한 동기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사전 K-HTP검사에는 소극적이고 수동적이며 클라이언트 자신이나 환경에 대하여 갖고 있는 느낌이 나 생각들이 우울감, 외로움, 미성숙, 위축, 부정적, 좌절, 비현실적, 생활상의 어려움, 의존적, 무의미함, 무능함, 현실부적응, 가족에 대한 애정욕구 등으로 표현되었다. 사후 K-HTP에서는 우울감과 무능감 에서 많이 벗어났고, 능동적인 태도를 보이며 희망과 목표를 이야기하고 있다. 회기별 사례분석 결과 자기탐색에 열의를 보이고 있으며, 자아정립을 위한 방향성을 추구해나가고 있다. 본연구의 의의는 첫째, 본 연구에서는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인의 자기표현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하여 질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자기표현척도와 K-HTP 투사검사를 통하여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인의 자기표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으며, 회기별로 사례 분석하여 장애인 개개인의 다양한 심리적인 변화를 고찰하고 세밀하게 분석하여 양적 접근에서의 평균치로 접근하는 데서 빚어지는 지 나친 단순화와 비상세함에 오는 제한점을 보완하였다. 둘째, 장애인들의 직업동기가 강화되는 심리변 화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직업재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장애인들이 직업재활을 위하 여 직업훈련을 받고 있는 현장에서 이루어진 장애당사자의 내부자관점 연구라는데 의의를 가진다. 그 리고 장애인들이 직업을 갖고 유지하는데 필요한 자기표현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임상사회복지실천의 현장에 하나의 실천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사회복지실천적 함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한 지역의 대상자들에게 단기로 진행되었으며, 집단 구성원들의 장애유형과 훈 련분야가 서로 달랐다. 자발적 참여이기보다는 기관의 권유로 오게 된 만큼 많은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 렵다는 것이다. 그리고 집단으로 활동이 이루어져 자신에 관하여 깊이 성찰하거나 편안하게 드러내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결론을 토대로 하여 몇 가지를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직업능력개발원 중의 한 지역 입소자를 대상으로 한 사 례로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다른 지역의 연구나 반복연구, 장애유형별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233
Disability & Employment 2011. 8. 제21권 제3호(통권 72호)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하여 자기표현이 필요하며 그것을 위하여 집단미술치료활 동이 긍정적 영향이 있음을 밝혔다. 그러나 작은 집단이라도 개인적인 문제를 표현하기는 어려우므로 추후 개인미술치료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장애인의 경우 장애유형별로 상이한 특성으로 인하여 집단으로 미술치료를 진행하는데 어려 움이 있다. 따라서 장애유형별, 훈련분야별로 특성에 적합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진행할 것 을 제안한다. 234
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자기표현력 향상에 관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참고문헌 김동연, 공마리아, 최외선 (2006). HTP와 KHTP 심리진단법. 대구: 동아문화사. 김영은 (2008). 난화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원 광대학교. 김영천 외 (2006). 직업재활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대인관계와 스트레스대처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 육저널: 이론과 실천, 7(3), 191-206. 김용경 (2009). 지적장애아동의 자기표현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세대학교. 김혜영 (2007). 경도 정신지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단일사례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박경아 (2010). 지적장애 성인의 고립행동 감소와 자기 표현력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사례. 석사학위 논문, 영남대학교. 박영숙 (1995). 심리사회재활.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장애인고용 18, 4-10. 배난희 (2003). 성취동기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성결대 학교. 변경희 (2005). ICF의 적용방안-직업재활 중심으로. 2005 국립재활원 재활세미나, 서울. 서인환 (2007).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제도 개선 방안. 중증장애인 노동권 확보를 위한 일자리 창출과 근 로지원인제도 도입에 관한 세미나, 서울. 설진화 (2009). 지적장애인 직업유지의 영향요인에 대한 직업재활서비스 제공자의 인식. 한국직업재활 연구, 19(1), 75-96. 신경림 외 (2008).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신나리 (2007). 중복장애아의 자기표현에 대한 한국화 매체중심 미술치료 사례연구.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양경화, 박원희 (2008). 장애아를 위한 통합적 미술교육. 서울: 학지사. 오소영 (2006). 미술치료가 정신지체아동의 언어적 미술적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옥금자 (2007). 집단미술치료 방법론 이론과 기법. 서울: 하나의학사. 유동철 (2008). 장애인 노동권 확보를 위한 과제와 장고법 개편방안. 올바른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 활법 개정과 장애인노동권 확보를 위한 토론회, 서울. 이근매, 최외선 (2003). 미술치료의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이문희 (2007). 토론문: 장벽을 넘기 위한 고민들. 중증장애인 노동권 확보를 위한 일자리 창출과 근로 235
Disability & Employment 2011. 8. 제21권 제3호(통권 72호) 지원인제도 도입에 관한 세미나, 서울. 이수진 (2005). 미술치료를 통한 정신지체아동의 자기표현. 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임안수 (2008). 우리나라 시각장애인 직업재활의 개성방향. 2008 시각장애인의 고용 확대를 위한 국제 세미나, 서울. 이은복, 이근용, 나운환 (2008). 장애인 근로자의 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작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9(4), 95-121. 임지향, 조기연 (2005). 미술치료가 발달장애아동의 자기표현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신지체연 구, 7(10), 173-191. 정여주 (2009). 미술치료의 이해. 서울: 학지사. 정유림 (2008). 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주리애 (2009). 미술치료는 마술치료. 서울: 학지사. 최선남 외 (2009). 집단 미술치료. 서울: 학지사. 최윤영, 이경준 (2010) 장애인복지론. 서울: 학지사. 이상진, 나동준, 감종옥 (2010). 직업재활프로그램사업 현황분석 및 수행기관 평가지표 연구. 평택대 학교 산학협력단, 한국장애인개발원 수탁연구. Allen Rubin Earl Babbie.(2001). Research Methods for Social Work. Wadsworth: Thomson Learning. Buck, John. N.(1948). The H-T-P.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4, 151-159. Burns, R. C. (1987). Kinetic-House-Tree-Person Drawing. New York : Bruner: Mazel. Cathy, A. Malchiodi(2008). 미술치료(최재영 김진연 역). 서울: 조형교육. Deborah K. Padgett(20050.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 사회복지 질적연구방법론(유 태균 역). 파주: 나남출판. John W. Creswell.(2008).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질적연구방법론(조흥식 외 역). 서 울: 학지사. Kramer, E.(1958). Art therapy in the children s community. Springfield. IL : Charles C Thomas. Lowenfeld. V. & Brittain, W. L.(1966). Creative and mental growth NYO : Macmillian. Stephanie Brooke.(2007). Art Tools of The Trade. 미술치료를 위한 평가도구(김종희 역). 서울: 시그 마프레스. Wadeson, H. S.(1980). Art psychotherapy. New York : John Willy & Sons. 236
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자기표현력 향상에 관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Group Art Therapy to Improve Self-Expression for Disabled People s Vocational Rehabilitation. Im, Hye-suk* (Seoul Social Welfare Graduate University, professor of Social Welfar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o case studies about the impacts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xpression improvement necessary to strengthen and mainta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motivation of the disabl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vocational trainees at OO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Center under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Group-art therapy sessions were conducted from September 9 to October 28, 2010 during which the subjects met once a week, seven times in total and each session lasted 90 minutes. This study researched on how effective group art therapy is in improving self-expression and how it affects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the disabled by qualitatively analyzing how selfexpression varies during group-art therapy sessions. This study finds that a group-art therapy shows positive impacts on selfexpression of the disabled. In addition, K-HTP analysis and case analysis of each session tell that group-art therapy activities make a positive contribution to increasing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motivation among the disabled by enabling them to become more active in expressing themselves, being more introspective and envisioning their future. Significance is placed on this study in that it is a study from disabled people s viewpoints disabled people s vocational on-site training ground and that it provides a suggestion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the disabled. Furthermore, it has a sociological meaning in that it offers a workable solution to difficulties facing clinical social welfare. Key words : Disabled peopl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lf-expression, group art therapy, case study * 임혜숙 : imhs0150@gmail.com ** 투고일 2011.6.30. 심사기간 2011.7.4. ~ 2011.8.22. 게재확정일 2011.8.23. 237
238 Disability & Employment 2011. 8. 제21권 제3호(통권 72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