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화정책 제18권 제2호 Ⅰ. 서론 오늘날 인터넷의 출현과 확산은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형태의 사회운동을 탄생시키고 있다. 사이버공간이 사회운동의 새로운 활동무대가 되고 있으며, 온라인 행동주의(Online Activism)가 새로 운 운동전략 및 전술로 채

Similar documents
<30315FC0CCB5BFC1D65FC7D1B1B9BCBAB8C5B8C52E687770>

민주장정 100년, 광주 전남지역 사회운동 연구 총 론 나간채

석사논문연구계획서

04-송경재

4.기획특집5-최종

<302DC5EBC0CFB0FA20C6F2C8AD28BFCF292E687770>

5-김재철

의정연구_36호_0828.hwp

<30312DC8ABBDC2C7E52E687770>


<BCBCB0E8C1A4C4A120C6C4C0CFB8F0C0BD2833C2F7292E687770>

<3031C8ABB5E6C7A52E687770>

<372E20B9DAC0B1C8F12DB0E62E687770>

아태연구(송석원) hwp

중국 상장회사의 경영지배구조에 관한 연구

2 大 韓 政 治 學 會 報 ( 第 18 輯 1 號 ) 과의 소통부재 속에 여당과 국회도 무시한 일방적인 밀어붙이기식 국정운영을 보여주고 있다. 민주주의가 무엇인지 다양하게 논의될 수 있지만, 민주주의 운영에 필요한 최소한의 제도적 조건은 권력 행사에서 국가기관 사이의

최종ok-1-4.hwp

지방자치시대의 정책갈등 분석

제19권 제3호 Ⅰ. 문제제기 온라인을 활용한 뉴스 서비스 이용은 이제 더 이 상 새로운 일이 아니다. 뉴스 서비스는 이미 기존의 언론사들이 개설한 웹사이트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 며 기존의 종이신문과 방송을 제작하는 언론사들 외 에 온라인을 기반으로 하는 신생 언론사

1-3-2 윤기웅, 김진영, 공동성.hwp

歯3이화진

인터넷 팬덤 문화의 정치적 효과분석

표현의 자유

Issue 두 가지 상대적 관점에서 검토되고 있다. 특히, 게임 중독에 대한 논의는 그 동안 이를 개인의 심리적 차원에서 접근해왔던 것에서 벗어나 청소년에 대한 사회문화 및 정보 리터러시(literacy) 교육의 방향이라든 지 나아가 게임중독과 관련한 사회구조적인 또는

사이버사회문화(Journal of Cyber Society & Culture) Vol.1 No.1(September 2010) 차 례 일반논문 한일 원격 대학 비교 연구 1 박상현 조혜진 한국 SNS사용자의 특성과 정보인권 인식 연구 35 송경재 기업의 브랜드 웹 사이

< C7CFB9DDB1E22028C6EDC1FD292E687770>

<B1E8BCF6C1A4BEC6BDC3BEC620BFA9BCBAC0C720B1B9C1A6B0E1C8A5BFA120B4EBC7D120B9CCB5F0BEEE20B4E3B7D02E687770>

*ÅëÀϹ®Á¦ÀÌÇØÓMì272»¹®

¼�È«¼® Ãâ·Â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3036C0CCBCB1BFEC2E687770>

11¹Ú´ö±Ô

歯음란물규제관할권(홍성필).PDF

ÀÌÁÖÈñ.hwp

DBPIA-NURIMEDIA

118 김정민 송신철 심규철 을 미치기 때문이다(강석진 등, 2000; 심규철 등, 2001; 윤치원 등, 2005; 하태경 등, 2004; Schibeci, 1983). 모둠 내에서 구성원들이 공동으 로 추구하는 학습 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각자 맡은 역할에 따라 함께

강의지침서 작성 양식

DBPIA-NURIMEDIA

봄호.PD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1, pp.1-19 DOI: *,..,,,.,.,,,,.,,,,, ( )

2. 박주민.hwp

<3133B1C732C8A328BCF6C1A4292E687770>

<303220B0EDC7F5C1D82CC0AFBFACBBF32E687770>

<C1A4BAB8B9FDC7D031362D335F E687770>

*5£00̽ÅÈ�

퍼스널 토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고찰

<C3BBBCD2B3E2B0FA5F534E535FBCD2C5EB2E687770>

07_À±¿ø±æ3ÀüºÎ¼öÁ¤

5.고경민

_ _ Reading and Research in Archaeology. _ Reading and Research in Korean Historical Texts,,,,,. _Reading and Research in Historical Materials from Ko

<BAF1BBF3B1E2C8B9BAB C8A3295F317E32B4DCB6F42E717864>

歯1.PDF

untitled

DBPIA-NURIMEDIA

차 례... 박영목 **.,... * **.,., ,,,.,,

3.황아란

제 출 문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귀하 이 보고서를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2년 6월 주 관 기 관 :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연 구 책 임 자 : 한기형(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교수) 공 동 연 구 원 : 박헌호(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ㅍㅍㅍㅍ통계지식과 경제적 상상의 구축

1-2-2하태수.hwp

ePapyrus PDF Document

<3037C0CCC8AFB9FC5FC0CCBCF6C3A22E687770>

., (, 2000;, 1993;,,, 1994), () 65, 4 51, (,, ). 33, 4 30, 23 3 (, ) () () 25, (),,,, (,,, 2015b). 1 5,

< BBF3B9DDB1E228C6EDC1FD292E687770>

08이용균(f.1)(103~116)

Output file

4번.hwp

26 영미연구 제9집 어떠한 방법으로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한 필자의 시도이다. 사실 이러한 문제들 은 교과목 이름을 어떻게 하고 가르치든지 간에 모든 교수님들이 매 학기마다 항 상 부딪히는 문제이다. 필자는 이러한 문제는 공개적인 논의를 통해 영미 소설을 가르치는 교수

Microsoft Word - NEW08_prof. Ma

한국교양교육학회/전국대학교양교육협의회/한국교양기초교육원 주최 2015 추계전국학술대회 프로그램 주제 교양교육의 : 당면과제와 전망 일시 : 2015년 11월 20일(금) 14:00~19:00, 21일(토) 09:00~17:00 장소 : 경남대학교 1공학관(공과대학 6층

<C7F6B4EBBACFC7D1BFACB1B F3136B1C72032C8A3292E687770>

<312DBACFC7D1BBE7C0CCB9F6C0FCB7C22DC0D3C1BEC0CEBFDC2E687770>

大 韓 政 治 學 會 報 ( 第 23輯 1 號 ) 된지 오래다. 국회가 본연의 임무를 다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물론 의회가 국민들로부터 불신 받는 것은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니다. 문제는 국민들이 국회에 대한 불신이 너무 크며 업무 수행 능력에 대해서도 아주 부정적으

원고스타일 정의

288 經, 35 卷 4 그러나 정작 CRM은 사용되는 상황이나 CRM을 보는 관점에 따라 그 의미가 분분 한 것이 실상이다. 예를 들면, 영업을 담당하는 사람들은 CRM을 하나의 영업전략으 로 정의하고 있는 반면, 캠페인 관리를 하는 사람은 CRM을 좀더 개인화되고

歯 PDF

2 KHU 글로벌 기업법무 리뷰 제2권 제1호 또 내용적으로 중대한 위기를 맞이하게 되었고, 개인은 흡사 어항 속의 금붕어 와 같은 신세로 전락할 운명에 처해있다. 현대정보화 사회에서 개인의 사적 영역이 얼마나 침해되고 있는지 는 양 비디오 사건 과 같은 연예인들의 사

ʻ ʼ

(김재영)서울대학교-제주평화연구원 공동정책회의 발표문.hwp

<C5EBC0CFBFACB1B8BFF85F4B494E5520C5EBC0CFC7C3B7AFBDBA2832C8A3295FB3BBC1F628C0FCC3BC295F37C2F75F E687770>

DBPIA-NURIMEDIA

에너지 포커스 (제2권 제2호 통권12호, ·4)

6.장우영논문

<B7CEC4C3B8AEC6BCC0CEB9AEC7D B3E23130BFF9292E687770>

Xinhuanet Strenk

DBPIA-NURIMEDIA

<B9DABCBCC1A45FBCB1B9CCBCF6C1A42E687770>

#Ȳ¿ë¼®

06_ÀÌÀçÈÆ¿Ü0926

요 약 제품혁신은 기업 생존의 열쇠이지만, 그 노력에 비해 성과는 미흡하다. 기업의 제품혁 신 노력을 나타내는 R&D 집약도는 한국기업의 경우 2005년 3.2%로 OECD 30개국 중 4위이 지만, 제품혁신 활동을 수행하거나 높은 차원의 혁신제품을 개발하는 기업 비율

국제무역론-02장

Microsoft Word - RRBNNBQZHZUY.doc

04±èºÎ¼º

1) 이논문은 2009 년도성신여자대학교학술연구조성비지원에의하여연구되었음. 2) Francis Fukuyama, "The End of History," National Interest, No. 16 (Summer 1989), p. 4. 3) 이러한구분에관해서는존베일리스

조재욱D)-63-88

2 ㆍ 大 韓 政 治 學 會 報 ( 第 20輯 1 號 ) 와 팀스피리트 훈련 재개문제 로 모든 합의가 무산되었다. 이후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서 북ㆍ미회담이 자리 잡게 되었고, 미국이 주요 행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왔다. 북핵문제는 우여곡절 끝에 1994년 10월 북미

<30342DB3EBBBF3C8A334382D315FBFACB1B8BCD220BCF6C1A42E687770>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ethics of coaching sport Sungjoo Park* Kookmin University [Purpose] [Methods] [Results] [Conclusions] Key word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 Discussions o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An Exploratory Stud

212 52,.,. 1),. (2007), (2009), (2010 ), Buzássyová, K.(1999), Bauer, L.(2001:36), Štekauer, P.(2001, 2002), Fernández-Domínguez(2009:88-91) (parole),

Transcription:

리뷰논문 정보화정책 제18권 제2호, 2011년 여름호, pp.3~22 온라인 사회운동의 연구동향 김용철*, 윤성이** 온라인 사회운동 연구에 있어 가장 근본적인 관심사는 인터넷의 확산이 기존 사회운동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 것인 요약 가라는 점이다. 연구자들의 관심은 우선 인터넷이 초래하는 운동의 주체와 전략에 대한 변화양상이다. 인터넷의 출 현 이후, 지리적으로 산재된 개인들의 수평적 네트워크 혹은 개별 네트워크들이 연합한 네트워크가 운동의 주체로 활동하는 새 로운 현상을 낳았다. 또한 일부 연구자들은 인터넷과 사회운동의 결합으로 인해 나타난 새로운 집단행동 전술 및 전략 에 주목 하였다. 온라인 사회운동의 증가는 자원동원, 집단정체성, 그리고 정치적 기회구조 등에 관한 기존 사회운동 이론에 있어도 새로 운 해석을 요구하고 있다. 인터넷이 사회운동에 미친 영향, 그리고 그로 인한 변화양상에 대해서는 여전히 많은 논쟁이 진행 중 이다. 초기 사이버 낙관론과 회의론 간의 논쟁은 물론이고, 이후 중범위적 시각에서 진행된 연구들 역시 인터넷의 영향력에 대해 서로 다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는 무엇보다 온라인 사회운동의 역사가 불과 10여년 밖에 되지 않아 충분한 사례연구와 데이 터 축적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향후에는 기술진화에 따른 온라인 사회운동의 변화와 비교연구에 더 많은 관심을 둘 필 요가 있다. 또한 연구의 시각을 사회운동 내부에만 초점을 둘 것이 아니라 정치체제의 차원으로 확장해, 온라인 사회운동이 정치 적 매개집단 그리고 나아가 민주주의 모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온라인 사회운동, 초국적 사회운동, 자원동원, 집단정체성, 정치적 기회구조 A Critical Review on the Study of Online Social Movements Yong cheol Kim, Seongyi Yun The study of online social movements is basically concerned about the impact of the Internet on the Abstract existing social movements. More specifically, researchers have paid attention to changes in participants, leadership style and movement strategies caused by the Internet. Due to the Internet, networks of the individuals who are geographically scattered or a network of networks have emerged as new movement agents. Researchers have also analyzed a repertoire of collective action adopted by the online social movements. The increase in online social movements calls for a new interpretation of the existing social movement theories such as resource mobilization, collective identity and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There are still a lot of debate about the impact of the internet on social movement and the resulting changes. Not only the early debate of cyber-optimism and cyberscepticism, many studies done by the mid-range perspective also suggested different arguments on the impact of the Internet. This discrepancy comes from a relatively short history of online social movement study, which leads to a limited number of case studies and a shortage of date accumulations. In the future, researchers need to place more attention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technologies and comparative studies of online social movements. The study should also extend its focus to a wide range of political systems in order to explain the impact of online social movements on political intermediary organizations and the democracy itself. Keywords: online social movement, transnational social movement, resource mobilization, collective identity,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2011년 6월 1일 접수, 2011년 6월 2일 심사, 2011년 6월 24일 게재확정 ** 전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kimyc@jnu.ac.kr) ** 교신저자,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yun31@khu.ac.kr) 정보화정책 3

정보화정책 제18권 제2호 Ⅰ. 서론 오늘날 인터넷의 출현과 확산은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형태의 사회운동을 탄생시키고 있다. 사이버공간이 사회운동의 새로운 활동무대가 되고 있으며, 온라인 행동주의(Online Activism)가 새로 운 운동전략 및 전술로 채택되고 있다. 나아가, 온라 인 네트워크 및 네트워크화된 개인(Networked Individual)들이 사회운동의 새로운 주체로서 등장 하고 있으며, 국경을 초월한 지구적 연대운동이 빈번 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들은 사회운동 과 대의민주주의 를 둘러싼 다양한 의문들을 불러일으켰다. 우선 인터넷 과 사회운동의 결합은 다음과 같은 지적 호기심을 낳 았다: 인터넷의 활용이 사회운동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인가?; 온라인 사회운동의 활성화는 사회운동의 양적 팽창을 의미하는가 아니면 질적 변화를 의미하 는가?; 오프라인 사회운동이 장기적으로 온라인 사 회운동으로 대체될 것인가? 뿐만 아니라, 사회운동 을 비롯한 온라인 정치참여의 등장은 대의민주주의 의 위상에 대한 논쟁으로 이어졌다: 인터넷의 확산이 시민들의 직접행동을 일상화하여 전통적인 매개기관 (예: 정당 및 이익집단)을 대체할 것인가? 아니면, 인 터넷의 확산이 일반 시민들의 파편화를 촉진하고 국 가의 규제를 강화시켜, 일상의 정치 (Politics as Usual)가 지속될 것인가? 이러한 의문들을 둘러싸고, 초기 연구들은 대체로 두 상이한 가설들이 경쟁하는 양상을 보였다. 첫째, 매우 급진적 시나리오인 사이버 낙관론 (Cyber- Optimism)이다. 이에 의하면, 인터넷의 확산이 사 회운동 및 시민들의 직접참여를 활성화하여, 궁극적 으로 대의민주주의의 쇠퇴를 가속화시키는 반면, 직 접민주주의의 실현 가능성을 제고시킬 것으로 전망 한다(Rheingold, 1995; Leadbeater, et al., 1997; Morris, 1999). 이 가설은 인터넷의 기술적 특성(빠른 속도, 상호작용, 저렴한 비용)에 주목하면 서, 인터넷이 집단행동에 소요되는 거래비용 및 기회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것이며, 다양하고 풍부한 정 보가 자유롭게 생성 배포될 수 있을 것이고, 다대다 의사소통을 통해 여러 지역에 산재하고 있는 잠재적 지지자들을 손쉽게 발굴 동원할 수 있을 것으로 보 았다. 더불어, 이들은 온라인 사회운동의 활성화가 지금껏 정치과정에서 소외 혹은 배제된 집단과 개인 의 정치참여를 촉발하고 동원하는 효과 (Mobilization Effect)를 발휘할 것이며, 온라인 사 회운동은 장기적으로 오프라인 사회운동을 대체할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인터넷의 활용은 참여활동의 질적 심화를 유인하고, 시민들의 정치체계에의 직접 투입을 촉진시켜 시민권력의 강화에 기여할 것이며, 궁극적으로 직접민주주의의 실현 가능성을 한층 높 일 것으로 보았다. 둘째, 앞의 낙관론적 전망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취하는 사이버 회의론 (Cyber-Scepticism)이다. 회의론자들은 낙관론적 가설들이 지나치게 기술결정 론(Technological Determinism)적 사고에 함몰되 어 복잡한 현실 세계를 경시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따라서 회의론자들의 시각은 암묵적으로 인터넷이 가치중립적 수단에 불과하며, 인터넷의 효과는 그것 을 이용하는 사회적 맥락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회결 정론(Bocial Determinism)적 사고에 기초한다. 이 들의 낙관론적 가설에 대한 반박은 다양하다. 먼저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량의 정보 및 정보접근의 용이 성이 반드시 정보이용의 증대로 이어지는 것은 결코 아니라고 강조한다(Bimber, 2001). 정보범람은 일 반 시민들의 정보 선택과 해석을 둘러싼 정보처리비 용의 증가를 초래하여, 궁극적으로 정치참여의 촉발 보다는 정치적 무관심을 유발할 수 있음을 지적한다 (Shenk, 1997). 또한 경제적 사회구조적 요인들로 인해 정보불평등(Digital Divide) 현상은 불가피할 것이며, 이는 그간 소외 혹은 배제되어온 집단과 개 인들의 정치참여를 더욱 어렵게 하는 반면, 기존 정 치참여 집단과 개인들에게 추가적 참여채널을 제공 4 2011 여름

온라인 사회운동의 연구동향 하는 강화효과(Reinforcement Effect)만을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한다(Hill, et al., 1998; Davis, 1999). 나아가, 사회적 자본이 현저히 쇠락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디지털 접촉(Digital Contact)은 운동 의 집단적 정체성과 연대의 창출에 기여하기 보다는 참여의 공동체적 의미를 희석시키고 집단행동에 대 한 시민들의 관심을 부식시킬 것으로 본다(Lipow, et al., 1996; Coleman, 1999). 따라서 이들은 인터 넷의 확산이 시민권력을 증대시키기 보다는 정치과 정의 지배적 행위자들의 위상을 더욱 강화시켜, 일 상의 정치 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였다(Margolis, et al., 2000). 초기의 두 경쟁적 시각과 달리, 최근 연구들은 보다 현실적인 중범위적 시각(Mid-Range Perspective) 을 취하면서 인터넷이 정치참여 및 관여에 미치는 영 향에 대해 신중한 접근을 시도한다. 이들은, 초기 연 구자들의 거시적 접근과는 달리, 인터넷이 시민관여 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적 정치적 맥락 속에서 보다 복잡하고 미세한 과정을 통해 기존 사회운동의 보완 및 혁신 의 형태로 드러난다고 파악한다(Ward, 2001; Hardy, et al., 2005; Howard, 2003: 216-219). 즉 최근 연구들은 인터넷이 사회운동 및 대의민 주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기술결정론에 입각한 낙관적 전망 혹은 사회결정론에 기초한 회의적 전망으로 재 단하는 것은 이론적으로 그리고 경험적으로 적절하지 않는 것으로 본다. 이들은 기술과 사회의 복잡한 상 호작용 이라는 맥락에서, 그리고 보다 체계적이고 실 증적인 연구를 통해 사회운동의 변화 및 진화 현상을 접근하고 있다. 이렇듯 인터넷과 사회운동의 결합은 다양한 이론 적 시각들과 비판적 견해들을 끊임없이 낳고 있다. 이에, 이 글은 온라인 사회운동에 대한 연구 동향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사회운동이란 공유된 집단정체성을 기반으로 사회적 혹은 문화적 갈등에 관여하는 다수의 개인, 집단 혹은 조직들 간의 비공 식적 상호작용의 네트워크 이다(Diani, 1992: 13). 따라서 누가(운동주체) 무엇을 목적으로(운동의제) 어떻게 지지를 동원하는가(운동전략) 는 사회운동의 주요 연구대상이다. 이에 따라, 이 글은 온라인 사회 운동의 연구동향을 검토함에 있어, (i) 운동주체와 전 략이라는 관점에서 인터넷이 사회운동에 초래한 영 향을 살펴보고, (ⅱ) 운동의제의 관점에서 최근 대두 되고 있는 온라인 사회운동들을 검토하며, (ⅲ) 온라 인 사회운동 연구에 있어서 이론적 쟁점들을 전체적 으로 조망 분석할 것이다. Ⅱ. 사회운동의 진화: 운동주체와 운동전략 인터넷과 사회운동의 결합으로 인한, 가장 가시적인 변화는 온라인 사회운동의 출현이다. 초기 연구들은 온라인 사회운동을 기존 오프라인 사회운동과 확연히 구분되는 새로운 형태의 운동방식으로 인식하는 경향 이 강하였다. 예컨대, 백욱인(1999)은 운동의 수단과 이슈라는 관점에서 온라인 사회운동을 네트를 활용한 운동 과 네트에서 발생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운동 (예: 정보공유운동, 카피 레프트운동)으로 파악하 였고, 정연정(2001)은 운동의 수단과 장소라는 관점에 서 온라인 사회운동을 인터넷을 도구로 활용하는 기 존 사회운동 과 네트상의 사회운동 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Vegh(2003)는 온라인 사회운동을 정치적 동기 를 바탕으로 인터넷에 의존한 온라인 행동주의 라고 정의하고, 인터넷이 활용되는 기능적 영역에 따라 온 라인 사회운동을 (i) 운동이슈에 대한 정보전달을 목표 로 하는 인식/주장 (Awareness/Advocacy) 유형, (ⅱ) 잠재적 지지자의 조직화 및 동원을 목표로 하는 조직/동원 (Organization/Mobilization) 유형, (ⅲ) 인터넷을 저항수단으로 활용하는 행동/저항 (Action/Reaction)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초기 개념화 작업은 인터넷이 사회운동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에 집중되었다. 하지만, 사 회운동에 있어서 인터넷의 활용이 일상화됨에 따라,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가 점차 이완되고 온라인 정보화정책 5

정보화정책 제18권 제2호 적 요소와 오프라인적 요소가 혼재된 운동들이 빈번 히 출현하였다. 그 결과, 초기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별개의 영역으로 파악했던 이론적 개념화작업의 실 효성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연구자들은 인터넷이 사회운동에 초래한 보다 근본적인 변화가 무엇인가 에 주목하기 시작하였고, 연구의 초점은 점차 운동의 주체 와 운동의 수단 에 맞춰졌다. 우선, 연구자들이 주목한 것은 운동의 주체가 누 구인가 였다(Arguilla, et al., 2001; 민경배, 2002; 고동현, 2003). 인터넷이 출현하기 이전, 이 익집단 혹은 시민단체 등과 같은 오프라인 조직들이 사회운동의 주체가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즉 사 회운동은 위계적으로 조직화된, 사회적 동질성에 바 탕하여 구성된 멤버십들 간의 강한 결속력을 토대로, 그리고 하향식 의사결정체계에 기초한 중앙 리더십 에 의해 이끌어졌다. 이에 비해, 인터넷의 출현 이 후, 지리적으로 산재된 개인들의 수평적 네트워크 혹 은 개별 네트워크들이 연합한 네트워크가 운동의 주 체로 활동하는 새로운 현상을 낳았다. 즉 전자적 정 보교환과 의사소통을 기반으로 형성 공유된 의미 의세계 를 바탕으로 매우 유동적이며 느슨하게 연 결된 개별 행위자들의 수평적 네트워크가 사회운동 의 주요 행위자로 등장한 것이다. 따라서 전통적인 오프라인의 조직 과 더불어, 온 라인 네트워크 가 사회운동의 새로운 주체로 활동하 는 현상에 주목하고, 이에 기초한 사회운동에 대한 이론적 유형화가 시도되었다. 예컨대, 민경배(2002: 150-176)는 행위의 주체 (조직 vs. 네트워크)와 운동의 성격 (장기 지속적 운동 vs. 임시 현안적 운 동)을 기준으로 현존하는 사회운동을 (i) 집중형 조직 운동, (ⅱ) 임시형 조직운동, (ⅲ) 거점형 네트워크운 동, (ⅳ) 분산형 네트워크운동 등으로 구분하였다. 이 러한 분류는 좀 더 많은 새로운 형태의 사회운동을 포괄해 내는 이점을 지니고 있었지만, 인터넷이 등장 하기 이전에도 존재하고 있었던 운동의 성격 이라 는 기준을 적용하고 있는 까닭에 인터넷의 등장이 사 회운동의 변화에 미친 영향을 포괄적으로 파악하는 데는 불충분한 것이었다. 한편, 일부 연구자들은 인터넷과 사회운동의 결합으 로 인해 나타난 새로운 집단행동 전술 및 전략 (New Repertoire of Collective Action)에 주목하였다. 이 들 연구의 초점은 인터넷이 집단행동의 양태를 어떻 게 변화시키고 있는가 에 모아졌다. Denning (2001)은 온라인 전술 전략들을 (i) 이메일과 웹사이 트 구축을 통한 정보의 교환, 이슈의 토론 및 조정, 운 동연합의 형성 등과 같이 정상적이고 비파괴적인 성 격을 지닌 행동주의 (Activism), (ⅱ) 행동주의에 해 킹 기술을 접목시킨 이메일 폭탄 및 바이러스 유포 등 과 같은 핵티비즘 (Hacktivism), (ⅲ) 치명적인 파 괴활동과 경제적 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 사이버 테 러리즘 (Cyberterrorism)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Postmes, et al.(2002)은 두 차원의 기준(개인적-집 단적, 설득적-대결적)을 바탕으로 온라인 집단행동의 양태를 (i) 개인적이며 설득적인 유형(예: 이메일 보내 기), (ⅱ) 개인적이며 대결적 유형(예: 사이트 해킹, DoS 공격), (ⅲ) 집단적이며 설득적인 유형(예: 온라 인 청원), (ⅳ) 집단적이며 갈등적 유형(예: 온라인 시 위) 등으로 유형화하였다. 이 연구들은 인터넷과 사회 운동의 결합이 과거에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운동수 단을 탄생시키고 있으며, 그로 인해 집단행동의 모습 이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들은 온라 인 전술 전략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 있는 까닭에, 운동주체들이 어떻게 오프라인 및 온라인 전술 전략 들을 선택적으로 채택 활용하는지에 대해 상대적으 로 무관심할 수밖에 없었다(Meikel, 2002: 41). 이와 관련하여, Vegh(2003: 71-72)는 개별 사회 운동에서 차지하는 전략적 위상에 따라 온라인 전 술 전략이 (i) 오프라인 지원전략(Offlineenhanced Strategy)과 (ⅱ) 온라인 기반전략 (Online-based Strategy)으로 분류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그에 의하면, 전자는 온라인 전술 전략 이 실질공간의 집단행동을 보완하는 보조적 위상을 6 2011 여름

온라인 사회운동의 연구동향 지니는 경우이며, 후자는 온라인 전술 전략이 가상 공간의 집단행동을 이끌어가는 중추적 위상을 지니 는 경우이다. 이러한 구분은 온라인 전략이 기존 오 프라인 전략을 대체 혹은 보완하는가의 여부를 살필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였다. Laer, et al.(2010)는 최근 사례들의 분석을 통해 인터넷 수단들이 전통적 운동수단들을 보완함으로써 기존 사회운동을 촉진시 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나아가 새로운 형태의 사회운 동의 창출에 기여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사회운동의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요컨대, 인터넷이 사회운동에 미친 가장 가시적이 고 근본적인 변화는 새로운 운동행위자의 출현이며, 새로운 운동전략 및 전술의 생성으로 요약된다. 즉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일반 시민들로 구성된 정 보 및 연대 네트워크가 운동의 주요 행위자로 활동하 기 시작하였으며, 인터넷 기술을 이용한 이메일 보내 기 온라인 서명 해킹 등이 사회운동의 효과적인 무기로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변화들 - 운동 주체의 분화(조직 vs. 네트워크) 및 운동수단의 진화 (오프라인 지원전략 vs. 온라인 기반전략) - 은 다양 한 모습의 사회운동을 만들어 내고 있으며, 사회운동 의 질적 변화를 이끌고 있다. <그림 1>은 인터넷 출 현 이후 사회운동의 변화된 모습을 운동주체와 운동 전략을 기초로 유형화한 것이다. <그림 1>은 인터넷과 사회운동이 결합됨에 따라 사회운동의 모습이 어떻게 분화 및 진화되어 왔는지 보여준다. A와 B는 운동주체가 오프라인에 존재하 는 조직체라는 점에서 인터넷 출현 이전의 사회운동 의 모습과 유사하나, 온라인 전략을 채택하다는 점에 서 전통적 사회운동과 구분된다. A는 온라인 전략이 오프라인 전략을 보완하는 차원에서 활용되는 경우 (예: 웹사이트 구축을 통한 운동정보의 제공)이며, B 는 온라인 전략이 운동을 이끌어가는 핵심적 역할을 하는 경우(예: 웹사이트 구축을 통한 정보공유운동) 이다. A와 B 유형이 Web 1.0 시대의 사회운동 모습 이었다면, C와 D는 Web 2.0 시대에 접어들면서 등 장한 유형이다. C와 D는 네트워크 자체가 운동주체 로 활동한다는 점에서 A와 B 유형과는 질적으로 구 분된다. 구체적으로, C는 운동전략으로 오프라인 지원전략 을 채택하는 경우로서, 2001년 필리핀에 서 발생한 스마트몹 (Smart Mob) 현 상 (Rheingold, 2002)과 2006년 벨로루시에서 발생한 아이스크림 플래시몹 (Shirky, 2008: chapter 7) 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에 비해, D는 온라인 기반 전략 을 채택하는 경우로, 2007년 10월 미얀마 군부 독재에 항의하는 버마를 위한 국제 블로거 온라인 시위 가 이에 해당한다(김용철, 2008a: 31-32). 마 지막으로, E는 가장 최근에 등장한 유형으로, 오프 라인 조직과 온라인 네트워크가 동시에 운동의 주체 가 되어 분절적이며 다중심적인, 그러나 느슨한 형 태로 연결된 운동지도부 를 형성하여, 온라인 전략 과 오프라인 전략이 중첩적으로 구사되는 유형이다 조직 네트워크 오프라인 지원전략 A E C 온라인 기반전략 B D 출처: 김용철 (2008a). 정보화시대의 사회운동. p. 13의 <그림-1>을 수정한 것임. <그림 1> 정보화시대의 사회운동 유형 정보화정책 7

정보화정책 제18권 제2호 (김용철, 2008b). 그 대표적 사례가 2008년 한국의 촛불시위이다. Ⅲ. 온라인 사회운동: 주요 연구대상 1. 국내 사회운동 국내에서 온라인 사회운동이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은 1999년 안티닉스(Antinix) 운동이 계기가 되 었다. 당시 청바지 제조업체인 닉스사는 네티즌들을 대상으로 3억이라는 상금을 걸고 공식 도메인 이름 공모를 실시하였다. 닉스사가 수상작(ifree.com)을 발표한 뒤 한국인 이라는 닉네임을 쓰는 네티즌이 선정과정의 조작 의혹을 제기하면서 안티닉스 사이 트(ihateifree.com)를 개설해 안티닉스 운동을 본격 적으로 개시하였다. 웹1.0 기술이 주를 이루었던 당 시만 하더라도 온라인 사회운동에 대한 연구는 온라 인 게시판 분석에 초점이 맞춰졌다. 얼마나 많은 게 시 글들이 올라왔으며, 네티즌들의 반응은 어떠했는 지가 주된 관심사였으며, 게시판이 하버마스가 말하 는 공론장의 기능을 하는지가 또 다른 연구주제였다. 송경재 외(2010)의 연구는 안티닉스 게시판에 두 달 이 채 안 되는 기간 동안 2,930개의 글이 올라왔으 며, 35만회 이상의 조회 수를 기록하여 이슈를 사회 의제로 설정하고 지지자를 동원하는데 성공하였다고 평가한다. 김경년 외(2005)의 연구와 정재철(2006) 은 논문은 안티닉스 게시판이 일부 욕설과 비방이 있 었으나, 전통적 공론장의 기능을 충분히 하였다고 분 석하고 있다. 초창기 연구들은 대체로 인터넷의 도구 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이 갖는 개방 성과 속도에 주목하면서 정보 공유 및 확산과 지지 동원의 효율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인터넷 게시판 의 공론장의 기능에 대해서 분석하고 있으나, 이는 주로 욕설과 비방이 없는 이성적 토론의 진행 여부에 관심을 두었으며, 참여자들의 집단정체성 형성에 관 한 논의까지는 전개되지 않았다. 온라인 사회운동이 다시금 학계의 관심을 끌게 한 사건은 2002년의 효순 미선 추모 촛불시위 이다. 김원(2005)은 2002년 촛불시위가 참여주체의 다층 성, 온라인에 기반을 둔 대중의 자기조직화 등의 측 면에서는 과거와 구분되는 대중운동 방식이었으나, 민족주의라는 대중 이데올로기의 존재 및 기존 운동 진영과의 관계설정의 측면에서 과거의 사회운동과 크게 다르지 않은 과도기적 운동 이었다고 평가한 다. 인터넷을 통한 개인적 참여가 활성화되면서 시위 의 주체가 과거와 달리 10대부터 주부, 장년층에 이 르기까지 매우 다양해졌으며, 사회운동의 레퍼토리 역시 온라인 시위, 온라인 추모행사 등 다양해진 측 면이 있으나 운동의 전반적 구도는 과거의 이데올로 기 갈등을 벗어나지 못했다는 평가이다. 즉 인터넷이 운동자원을 풍부하게 하여 행동동원(Action Mobilization)에는 성공하였으나 운동의 의미 틀 (frame)과 집단정체성을 새롭게 하는 합의동원 (Consensus Mobilization)의 역할까지는 미치지 못했다는 분석이다. 한편 김경미(2006)는 2002년 촛불시위 과정에서 나타난 인터넷을 이용한 합의동 원 과정을 분석하고 있다. 합의동원 이 행위자들의 의식 및 이념 수준에서 운동조직이 지지를 획득함으 로써 잠재적 참여자를 확보해나가는 과정을 의미한 다면, 행동동원 은 이미 행동할 준비가 되어 있는 행위자에게 구체적인 목표와 방법을 제시해 의식을 행동에 옮기도록 하는 과정을 말한다(김경미, 2006: 157). 따라서 합의동원 은 행동동원 에 앞서는 필 수적 과정이다(Klandermans, 1984). 구성주의적 사회운동이론가들은 상황이 정의롭지 못하다는 인식 에 기반을 둔 부정의 의미 틀 이 집합행동 동원의 필수적 요건이라고 주장하는데(Gamson, 1992; Hunt, et al., 1994), 김경미는 온라인 공간을 통해 형성되는 분노의 감정, 가치 및 신념증폭 등이 시민 들의 참여를 동원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분 석한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을 반대하는 2008년 촛불시위 8 2011 여름

온라인 사회운동의 연구동향 는 많은 연구자들을 관심을 끌었다. 시위가 석 달 넘 게 지속된 점도 있으나, 시위의 주체와 방법에 있어 과거와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였기 때문이다. 무엇보 다 시위주체가 여학생, 주부, 비정치적 온라인 커뮤 니티 등 전통적으로 정치적 무관심층으로 분류되었 던 집단이었다는 점에서 시위주체의 특성과 이들의 시위참가 배경에 관한 연구가 많았다. 조기숙(2008) 은 촛불집회 참가자들은 일반국민에 비해 경제적으 로 여유가 있고, 80%가 대학 재학 이상의 고학력자 임을 지적하면서, 이러한 사회경제적 배경으로 인해 집단주의적이기보다는 개인주의적이며, 물질주의적 이기보다는 탈물질주의적인 특성을 보인다고 밝힌 다. 한편 이갑윤(2010)은 촛불집회 참가자는 지난 10년간 지속되어 왔던 지역, 세대, 이념 균열의 축에 서 한쪽을 대표하는 호남, 젊은 세대, 진보 성향의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렇게 볼 때 촛불집회는 물질주의와 탈물질주의의 균열과 같은 새로운 생활 과 문화적 균열을 대표하기 보다는 기존의 정치균열 이 생활과 문화에까지 확대된 것이라는 다른 해석을 하고 있다. 윤성이(2009a)는 촛불시위에 나타난 시 민의 특성을 모니터 시민 (Monitor Citizen)으로 설명하면서, 이들은 일상적 상황에는 반응을 하지 않 지만, 주요한 위협이 감지될 경우 관련 정보를 찾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인다고 설명한다. 그 는 또한 여학생, 주부, 여성관련 커뮤니티 등 여성들 의 참여가 높았던 점에 대해서는 인터넷 이용행태의 특성을 들어 설명한다. 즉 인터넷 이용시간은 남성이 더 많지만, 여성의 경우 싸이월드와 온라인 커뮤니티 등 네트워크형 커뮤니케이션에 더 치중하고 있어, 이 것이 정치참여의 중요한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었다 고 분석한다(Yun, et al., 2011: 246-247). 촛불시위에 있어서 인터넷의 역할 또한 많은 연구 자들의 관심의 대상이었다. 장우영(2010)과 송경재 (2009)는 집단정체성 형성의 기제이자 운동자원으로 서의 네트워크의 역할에 주목한다. 이들은 모두 2008년 촛불시위의 경우 과거에 비해 훨씬 다원화되 고 분산화된 네트워크 양상을 보였다고 분석한다. 즉 웹2.0 기술의 확산과 함께 네트워크화된 개인들의 온 라인 정치참여가 일반적 참여형태로 자리 잡았다고 지적한다. 특히 장우영은 수입 쇠고기 관련 게시글의 출처를 분석하면서 언론사 뉴스가 13%인데 반해 온 라인 토론방이 45%, 블로그스피어가 42%를 차지하 여, 의제설정의 중심이 전통적 언론에서 네트워크 개 인으로 완전히 이동하였다고 주장한다(장우영, 2010: 33-34). 김용철(2008b)은 2008년 촛불의 경 우 온라인과 오프라인 상호작용이 매우 활발했다는 점과 특정한 운동지도부가 존재하지 않았다는 점에 서 기존의 사회운동과 차별화된다고 지적한다. 온- 오프의 상호작용은 운동의제의 형성 및 전파, 지지자 의 동원, 운동유대감의 형성에 있어서 장점을 가지나 운동의 통일성 부재 현상을 낳아, 결국 두 가지 상반 된 결과, 즉 동원의 성공 과 성과의 실패 로 이어졌 다고 분석한다. 조희정 강장묵(2008)은 촛불시위 과정에서 나타난 온라인 네트워크의 작동양식에 대 해 분석하였다. 이들은 미시적 단위에서 촛불집회에 나타난 커넥터와 허브의 역할, 다수의 허브가 작동한 롱테일의 정치와 멱함수 법칙 그리고 네트워크 안에 서의 자기조직화 현상을 조망함으로써 온라인 민주 주의가 직접민주주의와 등가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 라 다양한 민주주의로 발현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2. 초국적 사회운동 반지구화, 반신자유주의, 반전운동 등 지구적 차원 에서 초국적 사회운동(Transnational Social Movement)이 확산되고 있다. 초국적 사회운동의 생성과 확산을 불러온 핵심요인은 세계화와 정보화 라는 거대한 변화의 물결이다. 세계화의 진행과 함께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지구시민사회 의식 (Cosmopolitan Consciousness)은 세 가지 측면에 서 기존 사회운동과는 질적으로 다른 초국적 사회운 동을 촉진시키고 있다. 첫째, 국가 경계를 초월하는 정보화정책 9

정보화정책 제18권 제2호 집합적 저항은 민족적 성향보다는 지구적 특성을 분 명히 드러낸다. 둘째, 초국적 사회운동에서 나타나는 집단성은 그 뿌리를 귀속적 사회집단이 아닌 개인차 원에서 선택한 사회네트워크에 두고 있다. 셋째, 집 합적 개인주의 (Collective Individualism)는 이데 올로기 논쟁보다는 위협, 위해, 정의와 같은 광범위 한 생활정치 범주의 논쟁 속에서 조장된다(Bennett, 2003). 이데올로기 담론의 범주가 특정 장소(국가), 집단(정당, 노동조합, 계급), 시간(선거), 공간(정당 집회 노조활동) 등에 한정되는데 반해, 정의 환경 인권 등과 같은 생활정치 담론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 네트워크를 통해 공간과 시간의 제한을 넘 어 지구적 차원으로 확장된다.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확산으로 시간과 공간이 재구성되며, 사회적 경계의 변화는 사람들로 하여금 다양한 사회네트워 크를 구성하도록 한다(Bennett, 2003). Tarrow(2001: 11)는 초국적 사회운동을 적어도 두 개 국가 이상의 구성원들이 사회적으로 결집된 집 단들이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국가권력뿐 아니 라 신자유주의적 국제기구 또는 다국적 기업에 대항 하는 사회운동이라고 정의한다. 그는 또한 초국적 사 회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요소로 이슈와 사건에 관한 정보의 확산, 개별적 사회운동을 전지구적으로 연결하는 매개 장치, 그리고 집단정체성의 공유 등을 들고 있다(Tarrow, 2002). 노동운동이나 농민운동 과 같은 전통적 사회운동은 특정 지역이나 사회적 영 역을 기반으로 밀접히 연결된 동질적 운동환경 속에 서 전개되었다. 반면 반세계화, 환경, 인권, 여성 등 의 영역에서 지구정의운동은 국경을 초월하는 초국 적 사회운동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전통적 사회운동 이 단일성, 집중성, 공식성, 그리고 강한 리더십을 중요시하는 반면, 초국적 사회운동은 다양성, 분산 성, 비공식성, 그리고 풀뿌리 민주주의 특성을 보인 다(Donk, et al., 2004: 4). 이처럼 초국적 사회운 동은 그 본래의 특성상 인터넷이 차지하는 비중이 클 수밖에 없다. 초국적 사회운동의 이러한 특성은 인터넷을 통해 더욱 명확하게 나타난다. 인터넷은 인권운동, 반세계 화 운동, 반전운동 등 기존의 초국적 사회운동을 지 원하는 수단으로도 활용되었다. 그 대표적 사례로서 1994년 멕시코 차파티스타 운동, 1999년 시애틀 독 립미디어 센터, 이라크 반전운동, 그리고 세계사회포 럼 등이 있다. 모든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듯 이, 각각의 사회운동은 인터넷 네트워크를 활용함으 로써 비로소 전 지구적 차원에서 동원과 연대가 이루 어지는 초국적 사회운동의 모습을 갖추게 된다. 차파 티스타 운동의 경우, 자체 인터넷 네트워크와 국제적 네트워크가 연계되면서 소수 원주민의 투쟁이 학생 과 지식인뿐 아니라 전 지구적 차원에서 노동자들의 연대와 지지를 이끌어내는 초국적 사회운동으로 발 전할 수 있었다. 독립미디어센터(IMC)는 1999년 WTO 시애틀 회담 반대운동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 150여개 넘는 지역 IMC 네트워크 연합체로 성장하 였다. 이들은 느슨한 네트워크 조직 형태를 유지하면 서 전지구적 동원과 조직화를 만들어내고 있다. 실제 1999년 반WTO 시위의 경우 발원지인 시애틀뿐만 아니라 서울, 런던, 파리 등 세계 82개 도시에서 동 시적으로 진행되었다. 또한 시애틀 전투는 각종 초국 적 사회운동단체의 웹사이트, 즉 지구시민사회 네트 워크를 통해 1994년에서 2001년 사이에 계획된 39 개의 반세계화 시위 가운데 하나였다(Bennett, 2004: 133). 김은규(2005)는 독립미디어센터는 공 개적 퍼블리싱, 하이브리디티(Hybridity) 뉴스전송, 탈중심적 유기체적 네트워크, 민주적 의사소통구조 등을 통해 초국적 사회운동을 지원하고 있으며, 또한 그 자체적으로 초국적 사회운동이 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고 평가한다. 세계 각지에서 수십만 명이 참여한 2003년 이라크 반전운동 역시 수백 개에 달하는 반 전 웹사이트에서 전개한 반전 서명운동, 항의메일 보 내기, 온라인 토론 등에 의해 촉진되었다. 2001년 1 월 브라질의 포르투 알레그레(Porto Alegre)에서 시작된 세계사회포럼(World Social Forum)은 제3 10 2011 여름

온라인 사회운동의 연구동향 <표 1> 인터넷이 초국적 사회운동에 미친 영향 기존 운동의 강화 운동의 질적 변화 운동 레퍼토리 기존 운동의 조직, 동원 방식의 보조적 수단 온라인 시위, 이메일 폭탄, 해킹, 유사 사이트 동원 조직 정체성 기존 활동가 및 참가자 동원, 연계 강화 활동가 중심의 중앙집중적, 효율성 증가, 강한 연대 (Strong Tie) 동질 집단의 자기 강화 (Self Reinforcement) 새로운 지지자 층 동원 운동 간 연계 강화 분산적, 수평적 조직, 민주성 증가, 약한 연대 (Weak Tie) 이질 집단의 공감대 확산, 새로운 집단 정체성 형성 출처: 윤성이(2009b: 7). 인터넷과 초국적 사회운동: 양적 팽창 혹은 질적 변화? 세계 국가의 시민사회가 중심이 되어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에 반대하면서 다른 대안을 찾고자 하는 (Another World is Possible) 운동이다(공석기, 2007: 139-140). 세계사회포럼 웹사이트와 리스트 서버는 반신자유주의 운동을 주창하는 초국적 공공 영역의 기반이 되었고, 다양한 형태의 초국적 동원과 정과 이슈의 전 지구화에 기여하였다. 요약하면, 인터넷이 초국적 사회운동에 미친 영향 은 기존 운동방식을 강화하는 측면과 운동의 양식을 질적으로 변화시킨 측면, 두 가지가 있다. 인터넷은 기존 초국적 사회운동의 동원과 조직을 강화하는 보 조적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하며, 온라인 시위, 이메 일 폭탄, 해킹, 그리고 유사 사이트(Fake Site) 구축 등 새로운 운동 레퍼토리를 만들기도 한다. 지지자 동원에 있어 인터넷은 기존 활동가와 참가자들이 정 보를 공유하고 확산시키는 도구로 활용됨으로써 기 존 운동네트워크를 강화시키는 효과를 낳는다. 한편 인터넷의 활용으로 인해 운동 부문 간 연계활동이 활 성화되는 양상도 보인다. 조직운영의 측면에서는 인 터넷이 활동가들의 정보력과 동원력을 강화시키면서 과거에 비해 훨씬 중앙집중적이고 효율적인 조직을 만드는 효과가 있는 반면, 다양한 운동조직과 일반대 중들의 참여를 확대하는 약한 연대 중심의 조직을 활 성화하는 양상도 보인다. 집단정체성 형성에 있어서 는 인터넷이 동질적 집단의 폐쇄적 의사소통 수단으 로 활용되면서 내부 응집력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 는 반면, 다른 한편으로는 집단정체성을 운동부문 간 으로 확대하는 현상도 나타난다(윤성이, 2009: 6). 따라서 초국적 사회운동에 있어 인터넷의 역할은 단순한 커뮤니케이션 도구에 머물지 않는다. 인터넷 네트워크 속에서 사용자들의 다양한 사회적, 심리적, 경제적 조건이 상호작용하면서 초국적 사회운동의 질적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윤성이, 2009: 25). 즉 초국적 사회운동과 관련하여 인터넷 네트워크가 갖 는 익명성과 그로 인한 귀속적 관계 및 정체성의 상 실과 재구성 등의 특성은 새로운 운동주체를 탄생시 키고, 나아가 운동방식과 권력구조의 질적 변화도 가 능하게 한다(Wright, 2004: 84). 3. 민주화운동 1974년부터 1990년에 이르기까지 남부유럽, 라틴 아메리카, 동아시아, 동유럽의 30여 개국의 민주화 전환은 다양한 계기들로 발생한 민주화세력의 권위 주의 정권에 대한 도전의 결과였다. 비록 국가마다 그 민주화 경로와 패턴은 상이했지만, 민주화 이행의 추동력은 일반시민들의 민주화 열망을 고양시키고, 조직화하고, 동원해 내는 시민사회의 역량이었다 (Huntington, 1991). 이 점에서, 인터넷의 등장과 확산은 민주화운동에 새로운 전기를 제공할 것이라 정보화정책 11

정보화정책 제18권 제2호 는 기대를 낳았다. 이를 반영하듯, 인터넷 관련 초기 민주화운동 연구 들은, 사이버 낙관론적 견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였 다. 즉 인터넷의 확산이 시민들의 민주화운동의 공간 을 확장시키고 민주적 가치와 행태를 제고시켜 권위 주의체제의 사회적 기반을 약화시킬 것으로 전망하 였다(Kedzie, 1997; Froomkin, 1997). 따라서 이 들은, 인터넷이 권위주의 정권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권위주의 엘리트들은 정 보통신산업의 포기에 따른 국민경제의 쇠락을 용인 하느냐 혹은 정보혁명을 수용하여 민주주의로 나 아가느냐 의 이른바 독재자의 딜레마 (Dictator s Dilemma)에 당면할 것으로 보았다(Kedzie, 1997). 그러나 인터넷이 자동적으로 민주주의를 추동한다 는 단선적 인과론은 지나치게 기술결정론에 의존하 고 있으며, 경험적 사실에 기초하지 않은 일방적 주 장에 불과하다는 비판에 직면하였다(Shapiro, 1999; Lessig, 1999; Rosenau, 2002). 이들의 도구주의 적 시각에 의하면, 기술은 가치중립적 도구에 불과하 며, 사회변화는 기본적으로 인간과 집단의 진취적 구 상과 사회적 열망에서 비롯된다는 것이다. 즉 인터넷 은 민주주의자와 권위주의자 모두에게 개방된 도구 이기 때문에, 사회적 정치적 맥락에 따라 인터넷의 영향은 나라마다 달리 나타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낙관론자들이 가정하는 독재자의 딜레마 는 인터넷의 정치적 영향의 차별성을 간과한 순진한 시 각에 불과하다는 것이다(Boas, 2000; Taubman, 2001). 낙관론과 회의론의 논쟁으로 인해, 연구의 초점은 누가(권위주의 지배자와 민주화 세력) 자신의 정치 적 목적을 위해 인터넷을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하느 냐 에 모아졌고, 이에 따라 구체적인 사례연구 및 비 교연구들이 등장하였다. 특히, 다양한 사례연구들의 종합적 분석은 Kalathil, et al.(2003)에 의해 시도 되었다. 이들은 각 나라가 직면한 시민사회, 정치와 국가, 경제, 국제사회라는 맥락적 변수들이 인터넷의 영향력을 매개하는 요인으로 상정하고 8개의 권위주 의 국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인터넷 이 결코 권위주의적 지배자들의 통제를 부식시키고 무너뜨리는 특효약이 아니라는 점이다. 즉 권위주의 통치자들은 인터넷 산업을 육성함과 동시에 인터넷 통제정책을 통해 반정부 세력을 효과적으로 억제해 온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들 연구는 인터넷이 민주화(혹은 민주주의)에 미 치는 영향을 둘러싼 계량연구(Large-N quantitative Study)를 촉발하였다. Best, et al.(2009)는 180개국을 대상으로 인터넷이 민주주 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는데, 분석기간인 1992-2002년의 데이터에 기초할 때 인터넷의 확산 은 민주주의에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 으나, 2001-2002년 데이터만을 고려할 때 인터넷 은 민주화의 강력한 추동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들에 의하면, 인터넷은 2000년 이후에 비로소 민 주화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고 본다. 이는 그간의 사례연구들의 결과와는 상반된 것이었 다. 이에 비해, 72개국을 대상으로 1994-2003년의 데이터를 분석한 Groshek(2010)에 의하면, 인터넷 의 확산이 민주주의의 성장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 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그는 인터넷의 확산이 오늘날 민주화과정의 한 구성 요소일 수 있지만, 민 주주의를 위한 만병통치약이 아님을 강조하였다. 이 같은 상반된 연구결과들은 연구대상 및 데이터 의 상이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여 지지만, 결과적으 로 거시적 연구의 적실성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특히 2011년 발생한 튀니지와 이집트의 시민혁명, 그리 고 중동의 민주화운동은 연구자의 관심을 거시적 관 점에서 미시적 수준으로 전환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예컨대, 중동의 민주화운동과 관련하여, 인터넷과 SNS의 역할을 둘러싼 논쟁이 그것이다. 조희정(2011)은 최근의 논쟁을 SNS 축소론 vs. SNS 확대론 으로 요약하고, SNS가 민주화운동의 촉발적 플랫폼으로서의 위상을 갖는다는 SNS 매개 12 2011 여름

온라인 사회운동의 연구동향 론 을 제시하였다. 반면 SNS 축소론 은 일부언론 인들이 제기한 주장으로, 민주화운동은 사회경제적 실패와 정치적 불만의 축적에서 비롯된 것이지, 인터 넷에 의해 추동된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한다. 특 히 튀니지와 이집트를 비롯한 중동국가들의 경우, 문 맹률이 상대적으로 높고, SNS 이용률 역시 교육수 준이 높은 일부 계층에 국한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인터넷이 민주화운동을 추동하였다는 언론의 평 가는 과장된 것이라고 지적한다(Rachman, 2011; Goldstone, 2011). 이에 대해, Howard(2011)의 연구는 매우 시사적 이다. 즉 상당 수준의 정보인프라와 적극적인 온라인 시민사회의 존재는 권위주의 사회의 민주화 이행을 유인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특히 대부분의 권위 주위 체제하의 온라인 시민사회는 도시에 거주한 부 유하고 교육수준이 높은 소수 엘리트층으로 구성되 는 경우가 많고, 이들 계층의 저항은 권위주의 정권 에 치명적인 요소로 작용하기 쉽다는 것이다. 또한 Shirky(2011)는 인터넷이 민주화운동에 대한 일반 시민들의 공유된 인식 (Shared Awareness)을 확 산시킴으로써 운동의 확산과 유지에 기여하였다고 평가한다. 이러한 최근의 논쟁은 결국 인터넷을 비롯한 새로 운 디지털 기기들의 역할을 단순한 기술결정론 혹은 사회결정론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보다는, 민주화의 사회경제적 토대라는 구조적 차원과 민주화 세력이 라는 행위자적 차원 사이에서 인터넷이 어떻게 접합 되고 있는가에 대한 거시적 접근과 미시적 분석의 조 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Ⅳ. 온라인 사회운동의 이론적 쟁점 인터넷은 기존의 미디어와는 다른 특성을 갖고 있 다. 무엇보다도 인터넷은 즉각적이고 쌍방향적이다. 또한 인터넷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다양 한 운동집단들을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넷이 사회운동에 활용되면서 정치세력의 조직화와 사회변 화에 새로운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온라인 사회운동 의 증가는 자원동원(Resource Mobilization), 집단 정체성(Collective Identity)과 정치적 이슈의 형성 (Framing of Political Issues), 그리고 정치적 기 회구조(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등에 관 한 기존 사회운동 이론에 있어도 새로운 해석을 요구 하고 있다. 1. 자원동원 1970년대 이후 사회운동 이론가들은 사회운동의 성공을 자원동원론으로 설명하였다(McCarthy, et al., 1977; Tilly, 1978). 이들은 역사적으로 볼 때 저항집단의 분노만으로 사회운동이 성공할 수 없으 며, 필요한 자본, 지지자들의 적극적 참여, 그리고 우호적인 언론 등의 운동자원이 갖추어졌을 때 비로 소 운동이 성공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측면에 서, 인터넷은 운동의 성공을 위해 요구되는 자본의 확보, 운동조직 결성, 정보의 수집과 공유 그리고 행 동동원 등을 만들어 내는데 매우 유용한 수단으로 인 식된다. 인터넷은 중앙집중 방식의 전통적 조직뿐만 아니라 초국적 사회운동 조직과 같은 분산형 네트워 크 조직들이 운동정보를 제공하고 지지자를 결집해 내기 위한 사이버 공동체를 결성하는데 매우 유용하 게 활용될 수 있다(Donk, et al., 2004: 9). 사회운동에 있어 인터넷이 제공하는 강점은 지지 자 동원에 있다. 사회운동의 성공은 자원동원에 달려 있으며, 특히 일반대중의 지지동원(Mobilizing Supports)은 필수적이다. 인터넷은 곧 네트워킹을 의미하며, 이는 단지 선과 허브의 네트워크가 아닌 사람들의 네트워크이다. 시위 역시 공동의 관심과 요 구를 가진 사람들이 함께 모이는 네트워크이다. 요컨 대, 인터넷을 이용하여 운동의 목표, 진행과정, 참여 단체, 그리고 프로그램 등에 관한 각종 정보를 적은 비용으로 손쉽고 빠르게 배포할 수 있다. 실제로 인 정보화정책 13

정보화정책 제18권 제2호 터넷은 운동조직들의 정보 확산과 공유 방식에 획기 적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초국적 사회운동 참가자들 에게 있어 개인이 처한 사회적, 정치적, 지리적 공간 의 경계는 매우 유동적이다. 시애틀 전투 로 알려진 1999년 반WTO 시위는 미국의 27개 도시, 서울, 런 던, 파리 등 북반구 40개 도시, 뉴델리, 마닐라, 뉴멕 시코 등 남반구 15개 도시를 포함하여 적어도 82개 지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었다. 인터넷은 이 처럼 서로 다른 공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는 시위를 조직화하고 연계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뿐 아 니라, 운동이슈에 관해 지구적 차원에서 인식을 공유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Lichbach, et al., 2001). 인터넷을 통한 정보공유는 기존 미디어의 게 이트 키퍼 기능을 우회할 수 있을뿐더러 검열 받지 않은 정보를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 한 점에서 사회운동 포털 네트워크는 전통적 미디어 가 다루지 않는 이슈들을 쟁점화하는 대안 미디어로 서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정보 권력을 분산시키는 정 보의 민주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인터넷은 오프라인에서의 집회 및 시위와 같은 전 통적 사회운동에도 활용될 뿐만 아니라, 순수 온라인 시위 자체만으로도 운동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주 요한 수단이 되기도 한다. 네트워크를 통한 행동의 동원은 온라인-오프라인 융합운동과 사이버행동주 의라는 두 가지 차원으로 구성된다(Diani, 2000). 온라인-오프라인 융합운동은 네트워크상에서 채택 된 의제를 중심으로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결사하고 시위를 주도해가는 양상을 보인다(MaCaughey, et al., 2003; Vegh, 2003). 노트북과 휴대폰, 무선 인 터넷은 시위 현장을 온라인 공간에 긴밀하게 연결시 켜 집단행동의 임계점을 변화시키면서, 네트워크와 거리시위가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상호작용하는 특성 을 보인다(장우영, 2010: 31). 한편, 사이버행동주의 는 네트워크상에서의 문제제기와 저항에 관련된 일 체의 집단행동을 뜻한다. 즉 사이버행동주의는 청원 이나 모금 같은 관습적 정치참여 방식을 비롯해서, 넷 스트라이킹, 온라인 농성, 게시판 도배, 이메일 폭탄, 플레이밍(Flaming), 해킹 등의 비관습적 정치 참여 방식을 포괄한다(Earl, 2006). 이처럼 인터넷은 운동조직의 차원에서 이질적인 단 체들을 연계함으로써 시위의 효율성을 높이는 도구적 수단으로 활용된다. 또한 인터넷은 저항과 시위의 직 접적 표현 수단으로 활용된다(Porta, et al., 2006: 94). 인터넷을 활용함으로써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조직의 유연성(Flexibility)과 확장성을 높일 뿐만 아 니라, 시간적 지리적 제약을 뛰어넘어 다양한 정보와 의견을 공유할 수 있다(Rash, 1997: 11). 하지만, 자원동원에 있어서 인터넷의 역할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는 달리, 인터넷이 지니는 한계를 지적 하는 연구도 있다. Clark, et al.(2003: 14)는 인터 넷이 정보와 여론을 확산하기에는 매우 효과적이나 참가자들 간의 신뢰 형성, 응집성 강화, 그리고 갈등 해소에는 취약한 구조를 지닌다고 지적한다. 또한 인 터넷 상의 정보범람은 정보 생산과 소비 채널을 다양 화하기 보다는 기존의 정보전달 체계를 강화시킨다 는 지적도 있다. Wright(2004: 86)는 정보과다 현 상은 필연적으로 어떻게 정보를 체계적이고 효율적 으로 제공할 것인가 라는 문제를 낳게 되며, 이는 결 국 정보의 중요성을 판단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기존 집단의 권력 강화 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Margolis, et al.(2000) 역시 사이버 공간이 사회운동과 관련하여 새로운 정보 생산자나 소비자를 만들기 보다는 전통 적 활동가들의 정보전달력을 강화시키는 역할만을 한다고 지적한바 있다. Porta 등도 2002년 11월 플 로렌스에서 열린 세계사회포럼(WSF) 참가자들을 대 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분석하면서 인터넷이 활동가 들의 정보공유와 메시지 증폭기로서 역할을 하였다 고 밝혔다(Porta, et al., 2006: 115). 인터넷이 지닌 공개성의 특성이 오히려 사회운동 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고 반대세력의 공격대상이 될 수 있음을 지적하는 연구도 있다. 국제사면위위원회 14 2011 여름

온라인 사회운동의 연구동향 (Amnesty International)의 경우 국가와 지역 등 다양한 수준과 분야에서 조직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들은 각자의 웹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이들 웹 사이트는 개별 조직에 의해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의 내용과 형태는 다 양한 차이를 보이며, 무엇보다 정보의 질을 관리한다 는 것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 이러한 분산적 웹사이트 운영이 가져올 수 있는 문제점은 개별 사이 트에서 제공하는 정보가 시기가 지나 적실성이 없거 나 부정확한 내용을 담고 있을 경우, 국제사면위원회 의 신뢰성에 심각한 해를 끼칠 수 있다는 점이다(윤 성이, 2007: 15). 뿐만 아니라, 대중들의 참여를 동 원하기 위해서는 웹사이트에 공개된 정보가 오히려 반대세력에 의해 악용되거나 해커들의 공격대상이 될 수도 있다. 웹상에서 공개되는 문서나 홍보자료가 반대세력들에 의해 쉽게 변형되어 유포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가령 사회운동 단체들이 많이 활용하 는 편지 보내기 운동의 경우 대부분 편지에 담겨야 할 내용들을 웹상에서 함께 제공하고 있다. 이 경우 반대세력들은 이 편지의 내용을 자신들에게 유리하 게 왜곡하여 배포할 수도 있다(McCaughey, et al., 2003). 운동조직의 측면에서도 인터넷이 반드시 분산적이 고 민주적 조직을 촉진하는 기능만을 하는 것은 아니 라는 지적도 있다. Donk 등은 인터넷이 분산적 네트 워크 조직을 형성하는데도 도움이 되지만, 다른 한편 으로 강력한 중앙조직을 유지하는데도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Donk, et al., 2004: 9). 즉 인터넷 활용의 결과는 기술이 적용되는 정치 적, 사회적, 심리적 환경의 특성에 따라 달리 나타난 다는 것이다. 사회운동 조직에 있어서도 인터넷 활용 자체가 반드시 비계서적이고, 분산적이고, 유연한 네 트워크 조직을 만들지는 않는다. 인터넷은 개방적이 고 분산적 구조의 조직에서부터 폐쇄적이고 계서적 조직까지 모두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풍부한 자 원과 제도적 기반을 갖추어 정책결정과정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사회운동 조직의 경우에는 기존 운동방식과 커뮤니케이션 절차를 확산하고 효율화하 는 방식으로 인터넷을 활용할 것이며, 반면에 자원과 조직에 있어 열세인 사회운동 조직들은 기존 정치질 서에 저항하는 수단으로 인터넷을 활용할 것이다. 이 는 인터넷의 활용이 조직이 가진 기존 제도와 조직의 틀을 완전히 변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의미한 다(Bennett, 2004: 125). Rucht는 온라인 운동자원 자체의 한계를 지적하 고 있다. 인터넷이 정보 확산과 지지 동원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분명하나, 그것이 주요 활동가들의 개인적 접촉을 대체할 수는 없다는 주장이다. 초국적 사회운동의 경우 다양한 지지자들이 참여하는 까닭 에 이들 간의 신뢰와 연대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주요 활동가들의 개인적 연결망이 더욱 필요하다. 또한 사 이버 공간의 시위가 현실 공간에서 조직되는 대규모 시위를 대체할 수 없음은 물론이다. 마우스 클릭이 만들어내는 온라인 시위의 사회적 파장은 결코 물리 적 공간에서 보여주는 대규모 군중의 힘에 미칠 수 없다(Rucht, 2004: 51). 2. 정체성 1980년대 후반부터는 사회운동의 성공요인으로 집 단정체성을 강조하는 주장이 등장하였다. 집단정체성 은 개인과 집단 간의 연결고리를 설명하는 사회심리 학적 개념이다. 즉 한 집단이 강한 집단정체성을 가졌 을 때 참가자들은 자신들이 공동의 목표를 위해 함께 노력한다는 인식을 갖게 되고, 운동의 대상에 대해 명 확히 이해하고 또한 운동이 추구하는 이념에 대해 분 명한 인식을 갖게 되며, 결국 높은 수준의 집단정체성 이 사회운동을 성공으로 이끄는 결정적 요인이 된다 는 것이다. Dalton(1994: 209)은 사회운동이 성공하 기 위해서는 운동자원과 정치기회보다는 운동의 핵심 적 가치와 이데올로기적 원칙에 대한 공유된 인식이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Tarrow(1998) 역시 저 정보화정책 15

정보화정책 제18권 제2호 항집단의 사회적 불만 및 풍부한 운동자원만으로 사 회운동을 성공적으로 이끌 수 없으며, 운동집단 내부 의 강한 집단정체성과 자신의 신조에 동조하는 여론 을 조직(Frame)할 수 있는 능력이 갖추어졌을 때 비 로소 사회운동이 성공할 수 있다고 보았다. 특히, 초국적 사회운동에 있어 운동 목적과 가치에 대한 인식공유를 바탕으로 한 집단정체성의 형성은 운동의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핵심요인 가운데 하나 이다. 이는 참가자들을 반신자유주의, 반세계화의 집 단행동으로 이끌어 내는 의미 작업 (Meaning Working)이기 때문이다(Snow, et al., 1988: 216). Shirky(2008)는 선호적 연결(Preferential Attachment) 및 동질화(Assimilation)라는 두 단 계를 거쳐 집합적 정체성이 형성된다고 본다. 즉 네 트워크상에서 개인들은 공동의 의미 틀 (Meaning Framework)과 정체성을 구축함으로써 합의의 동 원이 촉진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운동이 발생한다 는 것이다. 무엇보다 초국적 사회운동은 지리적으로 흩어져 있는 개인과 집단을 대상으로 한다. 또한 초국적 사 회운동의 특성상 참가자와 동원 대상인 개인 및 집단 은 매우 이질적 성격을 지닌다. 초국적 사회운동의 동원주체인 NGO, 노동조합, 정당 등 역시 상이한 이념적 배경과 정치적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는 점에 서 매우 이질적이다(Porta, et al., 2006: 62). Davis(1999: 78)는 인터넷이 이질적 구성원 간에 정 체성을 형성하는데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주장 한다. 즉, 네트워크를 이용할 경우 물리적인 거리와 상관없이 비슷한 관심과 문제의식을 가진 사람들과 항시의견을교환을할수있어집단정체성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동일한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을 엮어내기 쉬운 인 터넷의 특성은 집단정체성 형성뿐 아니라 정체성의 전파에도 효과적이다. 인지적 기능의 측면에서 인터 넷은 정보를 확산하고, 이슈에 대한 여론의 주목을 끌며, 집단정체성을 강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Porta, et al., 2006: 94). 따라서 초국적 사회운동 조직은 더 이상 기존 언론에 의존하지 않고 인터넷을 이용해 자신들의 주장을 전파하고 나아가 여론을 직 접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농민운동이나 노동운동과 같은 전통적 사회운동의 경우 구성원들 간의 끈끈한 유대의식과 높은 동질성에 기반을 두고 있는 반면, 초국적 사회운동은 대체로 이질적 집단과 개인들이 참여하면서 진행된다. 이러한 사회운동은 권력집중 과 강한 리더십, 통합과 제도화 보다는 분권화, 다양 성, 비공식화 등의 개념을 강조한다. 따라서 초국적 사회운동의 성공을 위해 요구되는 것은 강한 조직이 아니라 네트워크 혹은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 (Network of Networks)인데, 이를 통해 집단적 정 체성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Donk, et al., 2004: 3). 한편 Sunstein은 인터넷이 집단정체성을 만들어 낸다는데 회의적 입장을 보이며 오히려 사이버공간 의 파편화를 우려하였다. 그는 인터넷이 집단정체성 을 강화한다면 이는 이념과 가치를 공유하는 동질적 집단 사이에 주로 가능하다고 본다. 사이버공간이 결 국 유사한 생각을 가진 사람들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그는 주요 정치 웹사이트의 링크를 분석한 연구에서 15%의 웹사이트만이 이념적으로 다른 성향의 웹사이트와 링크되어 있고, 60%는 유사 한 이념성향의 웹사이트와의 링크만 제공하고 있다 고 밝혔다(Sunstein, 2001: 59). 사이버공간에서의 집단정체성 형성이 어려운 것은 온라인 토론이 진정 한 대화와 토론의 장으로 작동되지 않기 때문이다. 온라인 토론은 대체로 듣기보다는 말하기 위주로 흐 르기 쉽고, 따라서 참가자들이 주제에 대한 합의점을 찾으려 하기보다는 자신의 논지를 내세우며 토론을 장악하려는 태도를 보이기 쉽기 때문이다(Pickerill, 2003: 105). 나아가 Pickerill는 인터넷을 이용한 동원의 확대 는 정체성의 약화 혹은 변질을 가져올 수 있다고 경 고한다. 그는 GSN(Green Student Network) 사 16 2011 여름

온라인 사회운동의 연구동향 례연구를 통해 인터넷을 이용한 네트워크가 확산되 면서 학생뿐 아니라 다양한 계층의 개인들이 관여하 게 되었고, 그 결과 참가자들의 관심이 다변화되고 운동 이슈를 학생과 관련된 주제에 한정하기 어려워 지면서 학생운동이라는 본래의 정체성이 희석되는 결과를 낳았다고 주장한다(Pickerill, 2003: 109). 3. 기회구조 전통적으로, 사회운동 분야에서 기회구조란 운동 을 촉진 혹은 제약하는 정치적 환경으로 개념화되어 왔다. 따라서 기회구조는 권력의 교체 및 제도적 변 화를 의미하는 정치적 환경에 초점이 맞춰졌고, 그 것은 대체로 (i) 정치체계의 개방성, (ⅱ) 정치사회 (선거연합 및 정치엘리트 제휴)의 안정성, (ⅲ) 시민 사회의 지지 정도, (ⅳ) 국가의 억압능력 및 성향 등 네 범주로 구분되었다(McAdam, 1996: 28). 즉 정 치적 기회구조의 수축과 확장이 사회운동의 발생, 발 전, 소멸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요인이라는 것이다. 과연 인터넷은 사회운동에 우호적인 환경을 제공 하는가? 이와 관련하여, Ayres(1999)는 인터넷의 확산이 정치적 기회구조의 확장은 물론이고, 경제적 차원의 기회구조도 창출한다고 주장한다. 즉 인터넷 은, 세계화와 더불어, 경제적 차원에서 국제적 연대 운동(예: 반세계화 운동)을 촉발하고 있을 뿐만 아니 라, 권위주의 국가들의 억압능력에까지 영향을 미치 는 중요 변수로 작동한다는 것이다. 우선, 정치적 기회구조와 관련하여, 다양한 사례연 구들은 인터넷의 정보 생산 확산 공유 능력은 기 존 주류 미디어의 게이트 키퍼 기능을 우회할 수 있 는 대안적 미디어의 출현을 촉발하고, 지리적 공간을 초월하여 운동집단과 외부집단과의 연계 구축을 가 능하게 함으로써, 운동의제 및 활동을 왜곡하거나 통 제해 왔던 주류 미디어의 위상 및 국가의 규제능력을 크게 약화시키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회운동을 둘러 싼 정치적 기회구조의 확장 가능성을 크게 제고시키 고 있음을 보여준다(Schulz, 1998; Vegh, 2003). 예컨대, 인터넷의 확산은 국내외 네트워크들의 연계 를 촉발하여 운동세력의 연합구축을 가능하게 하고 있으며, 동시에 국가의 억압을 우회하는 초국적 사회 운동을 낳고 있다는 것이다(Khagram, et al., 2002; Porta, et al., 2005). 나아가, 정보산업으로 서 인터넷의 경제적 중요성은 발전국가의 통치자들 을 독재자의 딜레마 상황에 빠트려 인터넷에 대한 국가의 통제를 어렵게 하여, 국내정치의 국제사회에 의 노출 및 개방을 불가피하게 하였다고 주장한다 (Kedzie, 1997). 그 결과, 사회운동의 국제적 연계 는 강화되는 반면, 국가의 억압능력은 상대적으로 제 약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와는 달리, 인터넷의 등장이 사회운동의 기회구 조에 별 영향을 주지 못하거나, 오히려 기회구조를 축소시킬 수 있다는 회의적 견해도 존재한다. 이들의 주장은 인터넷이 일반시민들만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통치자들에게도 개방되어 있다 (Garrett, 2006)는 점에 기초한다. 즉 인터넷은 시 민들에게 정보획득과 의견공유의 새로운 기회를 부 여하고 있지만, 경험적으로 볼 때 통치자들 역시 인 터넷을 충분히 활용하여 시민들의 목소리를 감시하 고 시민공론을 조작하는 능력을 강화시키고 있다는 것이다(Deibert, 2009; Bremmer, 2010). 예컨대, 중국은 기술적 통제를 통해 인터넷을 감시하고, 제도 적 규제를 통해 사이버공간의 자기검열(Self- Censorship) 분위기를 형성 강화시키고, 온라인 게시판의 적극적 개입을 통한 통치자에게 우호적인 여론을 조성함으로써 반정부활동가의 활동 자체 및 정치적 환경을 효과적으로 차단 축소시켜 왔다고 한다(Goldsmith, et al., 2006: chapter 6; 고경 민, 2007). 그러나 회의론적 견해는 지나치게 단기적 관점에 기초하고 있다는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즉 권위주의 국가들이 효과적으로 인터넷 통제를 수행해 내고 있 정보화정책 17

정보화정책 제18권 제2호 지만, 장기적으로 인터넷 통제는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인터넷의 확산은 정치 문화를 변화시키는 효과를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문 화적 변이는 사회저항세력에게 근본적으로 유리한 정치적 기회를 창출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Kim, et al., 2009: 59-71; McGlinchey, 2009: 1). 따 라서 인터넷이 생성하는 기회구조는 장기적 관점에 서 그리고 문화적 차원에서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지 적한다. Ⅴ. 온라인 사회운동 연구의 향후 과제 온라인 사회운동의 확산과 더불어 이에 관한 연구 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온라인 사회운동에 대한 관심의 증가는 우선 현실적으로 인 터넷이 사회운동에 있어 필수적 요소가 되었으며, 무 엇보다 운동의 주체, 전략 그리고 결과에 미치는 영 향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지난 10여 년 간 온라인 사회운동에 관한 연구를 살펴볼 때, 인터넷이 사회운 동에 미친 영향, 그리고 그로 인한 변화양상에 대해 서는 여전히 많은 논쟁이 진행 중이다. 초기 사이버 낙관론과 회의론 간의 논쟁은 물론이고, 이후 중범위 적 시각에서 진행된 연구들 역시 인터넷의 영향력에 대해 서로 다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인터넷이 유용한 운동자원임에 는 대체로 동의하나, 새로운 참여집단을 만들 것인 지, 기존의 참여자를 효율적으로 동원하는 기능만을 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다른 주장들이 경쟁하고 있다. 이는 운동조직에 관한 논쟁과도 연결되어 일부 연구 들은 인터넷이 운동조직의 다원화와 분산화, 그리고 민주화를 가져올 것이라 주장하는 반면, 한편에서는 기존 지도부의 권한을 강화하여 중앙집중적 모습을 유지할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집단정체성 형성에 있 어서도 인터넷의 상호작용성으로 인해 참가자 간의 신뢰와 응집성을 강화시켜 집단적 정체성을 형성 혹 은 강화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연구가 있는 반면, 인 터넷을 이용한 동원의 확대가 오히려 정체성의 약화 혹은 변질을 가져왔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인터넷이 정치기회구조에 미치는 영향 역시 여전히 논쟁 중이 다. 일부 연구는 인터넷이 운동세력들의 국내외 연계 네트워크를 확산하는 효과에 주목하는 반면, 한편에 서는 통제의 기술로서의 인터넷을 강조하고 있다. 이 처럼 인터넷이 사회운동에 미치는 영향과 변화양상 에 대해 상반된 주장들이 나오는 이유는, 무엇보다 온라인 사회운동이 확산된 지 불과 10여년 밖에 되 지 않아 충분한 사례연구와 데이터 축적이 이루어지 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편으로는 사이버 회의론자들 의 기본 입장에서 보듯이, 인터넷은 수단적 도구에 불과하며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만병통치약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는 인터넷 활용의 결과가 사용주 체의 의지와 사용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밖 에 없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연구대상에 따라 서로 다른 주장이 나오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자연스런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온라인 사회운동에 관한 연구가 여전히 논쟁 중인 것은 기존연구들이 대체로 인터넷을 하나의 단 일체로 인식하는 한계를 지녔기 때문이기도 하다. 통 칭 인터넷으로 불리나, 여기에는 매우 다양한 방식과 수준의 기술이 망라되어 있다. 인터넷 초창기 웹1.0 기술과 현재의 SNS는 전혀 다른 특성을 지닌다. 따 라서 웹1.0 기술이 사회운동에 미치는 영향과 SNS 사회운동은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일 것이다. 지금까지 의 연구가 대체로 인터넷이 전통적 사회운동에 미치 는 영향에 초점을 두었다면, 향후에는 기술진화에 따 른 온라인 사회운동의 변화와 비교연구에 더 많은 관 심을 둘 필요가 있다. 온라인 사회운동 연구에 있어 또 다른 향후 과제는 연구의 시각을 정치체제의 차원으로 확장해 거시적 시각에서 분석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지금껏 사회 운동 자체에 초점을 둔 연구가 대부분이었는데, 보다 거시적 차원에서 온라인 사회운동이 정치체제와 권 력구조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18 2011 여름

온라인 사회운동의 연구동향 인터넷을 활용한 비관습적 정치참여가 확산됨으로써 대의민주주의 제도는 새로운 위기를 맞고 있다. 무엇 보다 시민들의 직접참여가 활성화되면서 정당, 이익 집단, 언론과 같은 기존의 정치적 매개집단들의 기능 이 약화되고, 심지어 이들 매개집단이 소멸될 것이라 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나아가 이는 대의민주주의 자체에 대한 회의론을 불러온다. 온라인 사회운동이 정치적 매개집단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나아가 민주 주의 모델의 변화에 대한 논의까지 연구의 지평을 확 장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고경민 (2007). 인터넷 발전과 권위주의 체제는 양립 가 능한가? 국제정치논총, 47(2): 29-48. 고경민 송효진 (2010). 인터넷 항의와 정치참여, 그리 고 민주적 함의: 2008년 촛불시위 사례. 민주주 의와 인권, 10(3): 235-267. 공석기 (2007). 지구민주주의와 초국적 사회운동: 세계 사회포럼(World Social Foum) 사례를 중심으 로. 한국사회과학, 29: 135-165. 김경년 김재영 (2005). 오마이뉴스 독자의견 분석: 난 장으로서의 공론장 가능성 탐색. 한국방송학 보, 19(3): 7-41. 김경미 (2006). 온라인에서의 집합행동에 관한 합의동 원. 경제와 사회, 가을호: 154-178. 김원 (2005). 사회운동의 새로운 구성방식에 대한 연구: 2002년 촛불시위를 중심으로. 담론, 8(2): 131-158. 김용철 (2008a). 정보화시대의 사회운동: 온라인 사회운 동의 유형과 특징.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5(1): 5-40.3 김용철 (2008b). 촛불시위의 동학: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만남. 정보화정책, 15(4): 120-139. 김은규 (2005). 초국적 사회운동과 인터넷 네트워크의 역할에 대한연구: 독립미디어센터(IMC) 네트워크 의 구조 및 운영원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 학보, 49(5): 254-282. 마크 포스터 (2005). 미네르바의 올빼미가 날기 전에 인 터넷을 생각한다 서울: 이제이북스. 민경배 (2006). 사이버스페이스의 사회운동. 경기: 한 국학술정보. 백욱인 (1999). 네트와 새로운 사회운동. 동향과 전망 겨울호, 123-143. 송경재 (2009). 네트워크 시대의 시민운동 연구: 2008 촛 불집회를 중심으로. 현대정치연구, 2(1): 55-83. 이갑윤 (2010). 촛불집회 참여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및 정치적 정향과 태도. 한국정당학회보, 9(1): 95-120. 윤민재 (2005). 네트워크 시대의 사회운동: 인터넷과 초 국적 사회운동을 중심으로. 담론 201, 8(2): 93-129. 윤성이 (2007). 온라인 사회운동의 가능성과 한계: 초국 적 사회운동을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18: 7-33. 윤성이 (2009a). 2008년 촛불과 정치참여 특성의 변화: 행위자, 구조, 제도를 중심으로. 세계지역연구논 총, 27(1): 315-334. 윤성이 (2009b). 인터넷과 초국적 사회운동: 양적 팽창 혹은 질적 변화? 사회이론, 36.: 3-27. 장우영 (2010). 네트워크 개인주의와 시민저항: 2008년 촛 불시위를 사례로. 한국정치연구, 19(3): 25-55. 정연정 (2001). 인터넷과 시민운동. 시민연대토론자료집. 정재철 (2006). 온라인 시민 사회운동의 공론화 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33: 253-285 조기숙 (2008). 광장의 정치와 문화적 충돌: 2008촛불 집회에 대한 경험적 분석. 한국정치학회보, 42(4): 243-268. 조희정(2011). 민주화혁명과 SNS의 정치적 매개역할론: 2011년 중동의 시민혁명을 중심으로. IT 정치연 구회 4월 월례세미나 발표논문. 조희정 강장묵 (2008). 네트워크 정치와 온라인 사회운 동: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촛불집회 사 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42(3): 311-332. Arquilla, Hohn & David Ronfeldt (2001). The Advent of Netwar. In John Arquilla & David Ronfeldt (eds.), Networks and Netwars: The Future of Terror, Crime, and Militancy, 1-25. Santa Monica, CA: RAND. Ayres, Jeffrey M. (1999). From the Streets to the Internet: The Cyber-Diffusion of Contention. ANNALS of the American 정보화정책 19

정보화정책 제18권 제2호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566: 132-143. Best, Michael L. & Keegan W. Wade (2009). The Internet and Democracy: Global Catalyst or Democratic Dud? Bulletin of Science, Technology & Society, 29(4): 255-271. Boas, Talyor C. (2000). The Dictator s Dilemma? The Internet and U. S. Policy toward Cuba. The Washington Quarterly, 23(3): 57-67. Bremmer, Ian (2010). Democracy in Cyberspace. Foreign Affairs, November/December. Coleman, S. (1999). Can the New Media Invigorate Democracy? Political Quarterly, 70(2): 16-22. Davis, Richard (1999). The Web of Politics: The Internet s Impacts on the American Political System.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Deibert, Ronald J. (2009). The Geopolitics of Internet Control: Censorship, Sovereignty, and Cyberspace. In Andrew Chadwick & Philip N. Howard (eds.), Routledge Handbook of Internet Politics, 323-336.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Denning, Dorothy E. (2001). Activism, Hacktivism, and Cyberterrorism: The Internet as a Tool for Influencing Foreign Policy. In John Arquilla & David Ronfeldt (eds.), Networks and Netwars: The Future of Terror, Crime, and Militancy, 239-288. Santa Monica, CA: RAND. Diani, Mario (1992). The Concept of Social Movement. The Sociological Review, 40(1): 1-25. Donk, W. van de & I. Th. M. Snellen (1998). Towards a Theory of Informa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In Snellen & W. van de Donk (ed.), Public Administration In An Information Age: A Handbook. Amsterdam: ISO Press. Froomkin, A. Michael (1997). The Internet as a Source of Regulatory Arbitrage. In Brian Kahin & Charles Nesson (eds.), Borders in Cyberspace: Information Policy and thew Glob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129-163. Cambridge, MA: MIT Press. Gamson, W. (1992). The Social Psychology of Collective Action. In A. Morris & C. Mueller (eds.), Frontiers In Social Movement Theory, 53-76. New Haven, CT: Yale Univ. Press. Garrett, R. Kelly (2006). Protest in an Information Society: A Review of Literature on Social Movements and New ICTs.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Society, 9(2): 202-224. Goldsmith, Jack & Tim Wu (2006). Who Controls the Internet?: Illusion of a Borderless Worl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Goldstone, Jack A. (2011). Understanding the Revolutions of 2011: Weakness and Resilience in Middle Eastern Autocracies. Foreign Affairs, May/June. Groshek, Jacob (2009). A Time-Series, Multinational Analysis of Democratic Forecasts and Internet Diffu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4: 142-174. Hardy, B. W. & D. A. Scheufele (2005). Examining Differential Gains from Internet Use: Comparing the Moderating role of Talk and Online Interactions. Journal of Communication, 55(1): 71-84. Hill, Kevin A. & John E. Hughes (1998). Cyberpolitics: Citizen Activism in the Age of the Internet. London: Rowman and Littlefield. Howard, Philip N. (2003). Digitizing the Social Contract: Producing American Political Culture in the Age of New Media. Communication Review, 6(3): 213-245. Howard, Philip N. (2011). The Digital Origins of Dictatorship and Democracy: Information Technology and Political Islam. Oxford University Press. Hunt, S., R. Benford & D. Snow (1994). Identity Fields: Framing Processes and the Social 20 2011 여름

온라인 사회운동의 연구동향 Construction of Movement Identities. In H. Johnson & E. Laurana & J. Gusfields (eds.), New Social Movements: From Ideology to Identity, 185-208. Philadelphia: Temple Univ. Press. Huntington, Samuel P. (1991). The Third Wave: Democratization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Kedzie, Christopher R. (1997). Communication and Democracy: Coincident Revolutions and the Emergent Dictator s Dilemma. Santa Monica, CA: RAND. Khagram, Sanjeev. et al. (2002). Restructuring World Politics: Transnational Social Movements, Networks, and Norms. Princeton University Press. Kim, Yong Cheol & June Woo Kim (2009). South Korean Democracy In the Digital Age: The Candlelight Protests and the Internet. Korea Observer, 40(1): 53-83. Klandermans, B. (1984). Mobilization and Participation: Social Psychological Expansions of Resource Mobilization Theory.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9: 583-600. Laer, Jeroen Van & Peter Van Aelst (2010). Cyber-protest and Civil Society: The Internet and Action Repertoires In Social Movements. In Yvonne Jewkes & Majid Yar (eds.), Handbook of Internet Crime, 230-254. Portland, Oregon: Willan Publishing. Leadbeater, Charles & Geoff Mulgan (1997). Lean Democracy and the Leadership Vacuum. In Geoff Mulgan (ed.), Life After Politics: New Thinking for the Twenty First Century, 246-259. London: Fontana. Lessig, Lawrence (1999). Code and Other Laws of Cyberspace. New York, NT: Basic Books. Lipow, A. & Patrick S. (1996). The Politics of Anti-partyism. Parliamentary Affairs, 49(2): 273-284. Margolis, Michael & David Resnick (2000). Politics as Usual: The Cyberspace Revolution. Thousand Oak, CA: Sage. McAdam, Doug (1996). Conceptual Origins, Current Problems, Future Directions. In Doug McAdam & John McCarthy & Mayer Zald (eds.), Comparative Perspectives on Social Movements: Political Opportunities, Mobilizing Structures, and Cultural Framings, 23-40.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McCarthy, John D. & Mayer N. Zald (1977). Resource Mobilization and Social Movement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2: 1212-1241. McCaughey, Martha & Michael D. Ayers (2003). Cyberactivsm: online activism in theory and practice. New York, NY: Routledge. McGlinchey, Eric (2009). Transition 2.0: The Internet, Political Culture and Autocracy in Central Asia. Paper prepared for delivery at the 2009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Toronto. Meikle, Graham (2002). Future Active: Media Activism and the Internet. New York and London: Routledge. Morris, Dick (1999). Vote.com. Los Angeles: Renaissance Books. Porta, D. Della & Sidney Tarrow (eds.) (2005). Transnational Protest & Global Activism. Lanham. MD: Rowman and Littlefield Publishers. Rachman, Gideon (2011). Reflections on the Revolution in Egypt. Financial Times, February. Rash, Wayne, Jr, (1997). Politics on the Nets: Wiring the Political Process. New York: New York, W. H. Freeman. Rheingold, Howard (1995). The Virtual Community: Finding Connections in a Computerized World. London: Minerva. Rheingold, Howard (2002). Smart Mob: The Next Social Revolution. Cambridge. MA: Basic Books. Rosenau, James (2002). Information Technologies 정보화정책 21

정보화정책 제18권 제2호 and the Skills, Networks, and Structures That Sustain World Affairs. In James Rosenau & J. P. Singh (eds.),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Global Politics.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Schulz, Markus S. (1998). Collective Action across Borders: Opportunity Structure, Network Capacities, and Communicative Praxis in the Age of Advance Globalization. Sociological Perspectives, 41(3): 587-616. Shapiro, Andrew L. (1999). The Control Revolution. New York, NY: A Century Foundation Book. Shenk, David (1997). Data Smog: Surviving the Information Glut. New York: Harper Edge. Shirky, Clay (2008). Here Comes Everybody. New York: Penguin Press. Shirky, Clay (2011). The Political Power of Social Media: Technology, the Public Sphere and Political Change. Foreign Affairs, January/February. Song, Kyung Jae & Jungkeun Lim (2010).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Internet Civic Movements: Foucusing on Korean Cases. 사회과학연구, 34(2): 163-186. Tarrow, Sidney (2002). The New Transnational Contention: Organizations, Coalitions, Mechanisms. Paper presented at the APSA annual meeting, Boston. Tarrow, Sidney (2001). Transnational Politics: Contention and Institutions in International Politics. Annual Review of Political Science, 4: 1-20. Tarrow, Sidney (1998). Power in Movement: Social Movements and Contentious Politics.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ubman, Geoffry (2001). A Not-So World Wide Web: The Internet, China, and the Challenges to Nondemocratic Rule. Political Communication, 15(2): 225-272. Tilly, Charles (1978). From Mobilization to Revolution. Reading, MA: Addison-Wesley. Vegh, Sandor (2003). Classifying Forms of Online Activism: The Cases of Cyberprotests against the World Bank. In Martha MaCaughey & Michael D. Ayers (eds.), Cyberactivism: Online Activism in Theory and Practice, 71-95. New York and London: Routledge. Ward, Stephen (2001). Political Organizations and the Internet: Toward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nalysis. Paper Prepared for the ECPR Joint Sessions, Grenoble. Yun, Seongyi & Chang, Woo-Young (2011). Political Participation of teenagers in the Information Era. Social Science Computer Review, 29(2): 242-249. 22 2011 여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