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GEHS9Q9B.hwp

Similar documents
<40C1B6BBE7BFF9BAB85F35BFF9C8A328C3D6C1BE292E687770>

~MG1Z.hwp

~MGIYlOylkS.hwp

2013

~MGcDY.hwp

<4D F736F F D FB5A5BDBAC5A9BAD0BCAE5FBDC9C0E7BFB15FB0EEB9B05F2E646F63>

2013

인도 웹해킹 TCP/80 apache_struts2_remote_exec-4(cve ) 인도 웹해킹 TCP/80 apache_struts2_remote_exec-4(cve ) 183.8

ìœ€íŁ´IP( _0219).xlsx

( 월호) 해외곡물시장 동향

Y Z X Y Z X () () 1. 3

< B3E2C0E7BCF6C1A4C0FCB8C128C8ABBAB8BFEB292E687770>

국가별 한류현황_표지_세네카포함

<B1B9BEEE412E687770>


2013/14 년국제곡물가격동향과국내외시장전망 [ 국제곡물가격추이 ] 단위 : =100 전월대비 0.1%p 하락할것 으로전망되나 3/4분기이후완만한회복세가예상된다. 미국은디폴트위기로 10월 CCI( 소비자신뢰지수 ), ISM( 제조업경기지수 ) 가단기적으로하


국제 원자재 지수

(11월)자원시장월간동향_종합최종_final.hwp

( 월호) 해외곡물시장 동향

기업분석│현대자동차

+ 세계 에너지시장 전망(WEO 2014) 그림 3 지역 및 에너지원별 1차 에너지 수요 증가율 그림 4 최종 에너지 소비량 중 에너지원별 점유율 시장 전망에서 세계 GDP 성장률은 연평균 3.4% 인 증가를 선도하겠지만 이후에는 인도가 지배적인 역할 구는 0.9% 증

Emerging Monitor 크로스에셋최진호 ( ) Mon 동유럽의제조업경기확장 < 오늘의차트 > 유로존제조업 PMI 지수를상회하고있는동유럽 3 국 ( 헝가리, 폴란드, 체코 ) (index)

Microsoft Word _1

단경기국산콩도매가격강보합세 가격동향 10월국산콩도매가격전년대비 13.9% 높은수준 단경기 (8월 ~10월 ) 국산콩도매가격은전년도콩생산량감소로물량이많지않아전년보다높은가격수준이지속되고있다. 그러나정부수매물량방출로가격상승폭은제한되고있다 년 10월국산콩평균도매가

2012년 세계경제는 유럽 재정위기

< E2B32BFF92BB1B9C1A6B0EEB9B0C1A4BAB8BAD0BCAEC7F9C0C7C8B82BC0A7BFF8BAB8B0EDBCAD2E687770>

(1030)사료1112(편집).hwp

에너지수급브리프 ( )


15. 7 월국제곡물시장동향 2015/16 국제곡물수급동향 시장요약세계곡물수급전망 2015/16년도생산량은전년대비 0.6% 감소한 2,477백만톤, 기말재고량은전년대비 1.5% 감소한 532백만톤전망대외여건 원자재 농산물은미국등주요국의기상여건에따라변동성이확대될전망 기초

<3034BFEDC0CFBDC2C3B5C7CFB4C2C1DFB1B9BFECB8AEC0C7BCF6C3E2BDC3C0E52E687770>

2013 년 11 월관광객입출국 / 관광수입 지출분석

Emerging Monitor 글로벌투자전략최진호 ( ) Tue 펀더멘탈보다공포심리가지배하는신흥국불안 < 오늘의차트 > 8 월 24 일주요신흥국들의주가등락률과 CDS 금리변화 (%,bp) 30.

Emerging Monitor 크로스에셋최진호 ( ) Fri 러시아 HSBC PMI 기준선상회 < 오늘의차트 > 러시아, 최근유가상승으로 PMI 개선되며금융시장안정화 ($/bbl)

13대 목 216 년 2 월 주력목의 수출 증감 요인 ㅇ 전년 2 월은 고가 해양플랜트가 다수 포함되었으나, 금년 2 월은 상선 위주 수출로 수출 감소 선박류 (-46.%) ㅇ (선가지수) 7 년 이후 하락세를 보이다 13 년 발주량 증가로 단 상승, 하지만 14 년

Microsoft Word _Spot_경제.doc

< > 수출기업업황평가지수추이


슬라이드 1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e-KIET 628-거시경제 전망-3.indd

Emerging Monitor 크로스에셋최진호 ( ) Wed 인도네시아루피아약세와고물가로기준금리동결 < 오늘의차트 > 인도네시아루피아약세가지속되면서기준금리 7 개월째동결 (%) 인도네시아기준금리

국제 곡물 World Grains 요약 2013/14년 생산량 증가로 국제곡물가격 2014년 1/4분기까지 하락세 전망 농업관측 2013년 10 월호 목 차 9월 국제 선물가격 콩을 제외하고 전월대비 하락 2013/14년 생산량 증가 전망으로

2013 년 10 월관광객입출국 / 관광수입 지출분석

< E2B3130BFF92BB1B9C1A6B0EEB9B0C1A4BAB8BAD0BCAEC7F9C0C7C8B82BC0A7BFF8BAB8B0EDBCAD28BFE4BEE0292E687770>

조선해운Monthly( )최종.hwp

자원시장월간동향 ( 제 16-2 호 ) 자원정보센터

Microsoft Word doc

18. 7 월국제곡물시장동향 Ⅰ. 2018/19 국제곡물수급동향 요 약 곡물전체 1) 세계곡물수급전망 2018/19년도생산량은전년과비슷한수준전망, 기말재고량은 8.4% 감소전망 7월쌀가격은품종별차등적움직임, 밀 옥수수가격은 7월초중순약세이후반등했으며, 대두가격은미 중무

<443A5C6B77625CC1B6C1A4C6C05CBFF9B5E55CB1DBB7CEB9FAC0CCBDB45C2E2E2E>

(명, 건 ) 테러공격 발생건수 테러로 인한 사망자 수

16. 7 월국제곡물시장동향 2016/17 국제곡물수급동향 시장요약세계곡물수급전망 2016/17 년도생산량은전년대비 2.8% 증가한 2,522.1 백만톤, 기말재고량은전년대비 1.6% 증가한 603.1백만톤전망대외여건 원자재 원자재가격도회복세를나타냈으나 경기불확실성으로

2013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겨울임

18. 5 월국제곡물시장동향 Ⅰ. 2018/19 국제곡물수급동향 세계곡물수급전망 요 약 곡물전체 2018/19년도생산량은전년대비 0.6% 증가, 기말재고량은 6.7% 감소전망 5월곡물가격은주요곡물재배지의기상여건악화등으로대부분상승세. 향후구매입찰에대한기대, 달러강세기조등

Microsoft Word - 5_Comm1_Base

14. 3 월국제곡물시장 시장요약곡물수급 2013/14년도세계곡물수급은전년대비생산량 (8.3% ) 및기말재고량 (7.9% ) 증가전망 ( 기말재고율 0.4%p ) 에따라전체수급여건양호전망대외여건 원자재 국제원자재가격지수는혼조세를보인가운데중국경제불확실성, 우크라이나사태등

과일0812

1. 세계경제전망 2012년세계경제성장률전년대비하락, 2013년부터회복전망 (Global Insight, 15 July 2012) 상반기까지유가상승이세계경제성장에가장큰위협 하반기이후유로존위기, 중국경제성장율하락으로리스크확대추세 주요지역전망 -

1. 상반기국제유가변동의특징 ( 공급증가 ) 2017 년상반기중국제유가는안정적인수요가지속되었으나원 유공급증가에따라하락 Ÿ 월 OPEC과러시아등산유국의감산합의 * 이후국제유가 (WTI 기준 ) 는 분기중 50달러초반대에서안정되는모습을보였으나, 2분

<30365FC7D8BFDCC1F6BFAAC1A4BAB83528C1DFB3B2B9CC292E687770>

월국제곡물시장동향 2017/18 국제곡물수급동향 세계곡물수급전망 시장요약 곡물전체 2017/18년도생산량은전년대비 1.9% 감소한 2,555.7백만톤, 기말재고량은전년대비 2.6% 감소한 638.3백만톤전망대외여건 원자재 : 에너지강세지속, 농산물반등등으로

<3034C1DFB5BFC0C7B7E1B1E2B1E2BDC3C0E5B5BFC7E22E687770>

1712 지역이슈_카자흐스탄의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역내 경제협력관계_암호화해제.hwp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中, ( ) ( 对外投资备案 ( 核准 ) 报告暂行办法 ) 3. ECONOMY & BUSINESS 美, (Fact Sheet) 4. FDI STATISTICS 5. FDI FOCU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3. ECONOMY & BUSINESS 4. FDI STATISTICS 5. FDI FOCUS

농업관측본부 aglook.krei.re.kr 농업관측본부 2017 년 8 월호 국제곡물 미국곡물주산지기상악화로국제곡물가격상승전망 2017 년 3/4 분기국내식품 사료가격보합전망 미국곡물주산지고온건조한기상지속 -0.1% -0.4% 0.6% -0.2%

MONTHLY REVIEW 세계및국내주요경제지표 ( ) < 세계경기 > 美, 美, 3 한국미국중국일본유로존 옵션만기일의외국인순매도는 1 조 3 천억원으로사상최대치기록. 1 월소비자물가상승률이.1% 를기록하면서한국은행이기준금리를.% 로인상. 연평도도발로인한 K

0904fc bdb

Issue Br ief ing Vol E01 ( ) 해외경제연구소산업투자조사실 하반기경제및산업전망 I II IT : (

Microsoft Word _Spot_경제.doc

hwp

16. 9 월국제곡물시장동향 2016/17 국제곡물수급동향 세계곡물수급전망 2016/17 년도생산량은전년대비 3.8% 증가한 2,546.3 백만톤, 기말재고량은전년 대비 3.2% 증가한 백만톤전망 대외여건 시장요약 원자재 : 글로벌수급안정, 미국의 12 월금

<37BFF920B1E2BEF7B0E6B1E2C1B6BBE720B0E1B0FA2E687770>

e-KIET 622-거시전망-3.indd

16. 8 월국제곡물시장동향 2016/17 국제곡물수급동향 시장요약세계곡물수급전망 2016/17 년도생산량은전년대비 3.8% 증가한 백만톤, 기말재고량은전년대비 4.0% 증가한 622.1백만톤전망대외여건 원자재 글로벌금융시장안정 풍부한유동성으로 월들어회복세


Monthly Review 통합 v2.hwp

산채-10월호(6P)

월국제곡물시장동향 2016/17 국제곡물수급동향 세계곡물수급전망 2016/17 년도생산량은전년대비 3.8% 증가한 2,548.2 백만톤, 기말재고량은전년 대비 3.1% 증가한 백만톤전망 대외여건 시장요약 원자재 : 유가는 회의 월말 결과에따라향방

본보고서에있는내용을인용또는전재하시기위해서는본연구원의허락을얻어야하며, 보고서내용에대한문의는아래와같이하여주시기바랍니다. 총 괄 경제연구실 : : 주 원이사대우 ( , 홍준표연구위원 ( ,

Industry Brief 음식료업 USDA 9 월수급전망과주요지표동향 Analyst 송광수 ( ) / RA 박지은 ( ) Monthly USDA 수급전망 : 주요곡물의재고전망전월대비상승 - 곡물생산지의우호적기후로주요곡

....pdf..

PSBODB..TPDWFTREND_552_1.hwp

방한외래관광객관광객

< E2033BFF920B1B9C1A6B0EEB9B0C1A4BAB8BAD0BCAEC7F9C0C7C8B82E687770>

한류 목차2_수정 1211

월국제곡물시장동향 Ⅰ. 2018/19 국제곡물수급동향 세계곡물수급전망 요 약 곡물전체 1) 2018/19 년도생산량전년대비 0.1% 감소, 교역량 3.3% 증가, 기말재고량 8.7% 감소전망 10월중립종쌀가격은전월대비하락세, 장립종은전월대비강보합세, 밀가격

2016년 신흥국 경제 및 신용위험 전망– 부정적 흐름 속에서도 연쇄위기 가능성은매우 낮음

미국금리인상기대로달러화강세지속전망 거시경제동향및전망 217 년세계경제성장률전년대비.3%p 상승한 2.8% 전망 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17년세계경제성장률은전월대비.1%p, 전년대비.3%p 상승한 2.8%, 218년은 217년대비.2%p 상승한 3.1% 로성장세가확대될것

Microsoft Word fc52800de6c3.doc

16. 2 월국제곡물시장동향 Ⅰ. 2015/16 국제곡물수급동향 시장요약 곡물전체 세계곡물수급전망 2015/16년도생산량은전년대비 1.3% 감소한 2,469.6백만톤, 기말재고량은전년대비 2.4% 증가한 573.3백만톤전망대외여건 원자재 : 공급과잉지속, 중국경기불확실

15. 3 월국제곡물시장 2014/15 국제곡물수급 시장요약곡물수급 2014/15년도세계곡물수급은생산량은전년과비슷한수준, 기말재고량 (2.3% ) 증가 ( 기말재고율 0.1%p ) 대외여건 원자재 에너지등전부문에걸쳐공급과잉이지속되고있으며달러강세및그리스불안등의하락압력으로

세계경제완만한성장세지속 거시경제동향및전망 17 년세계경제성장률전월과동일한 3.1% 전망 17년세계경제성장률은전월과동일한 3.1% 이며, 내년까지완만한성장세가지속될것으로전망된다. 17년선진국경제성장률은전월과동일한.1% 로전망된다. - 미국경제성장률은저유가지속에따른에너지부

[ 표 : 주요지표 ] [ 표 2] 소재식품수익성전망 제당 제분 E E E E E E 곡물가 (USD)

< BFA9B8A7C8A32DBCF6C0BAC7D8BFDCB0E6C1A6B3BBC1F620C3D6C3D6C1BE2E706466>

세계경제완만한성장세전망 거시경제동향및전망 217 년세계경제성장률전월대비.1%p 상승한 2.9% 전망 217 년세계경제성장률은전월보다.1%p 상승한 2.9% 로전망된다 년세계경제는교역량증가전망등무역회복세의영향으로미국, 일본등선진국을중심으로견고한성장세를보일것으로

Transcription:

7월 국제곡물정보분석협의회 위원보고서 2012. 7 수급정보센터 해외정보팀

목 차 1. 국제 곡물 수급동향 1 (성명환 위원장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 국제 곡물 가격동향 13 (이종경 위원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3. 세계 곡물시장 및 수출입 동향 19 (윤병삼 위원 / 충북대학교) 4. 국제 사료곡물 수급 및 가격동향 24 (김치영 위원 / 한국사료협회) 5. 국제 곡물 선물시장 동향 32 (유태원 위원 / 삼성선물) 6. 국제 원자재시장 동향 35 (오정석 위원 / 국제금융센터) 7. 국제 석유시장 동향 39 (오세신 위원 / 에너지경제연구원) 8. 해상운임 동향 44 (최종희 위원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9. 세계 기후ㆍ환경 변화 51 (이병열 위원 / 국가농림기상센터) 10. 세계 경제 및 환율 동향 70 (김화년 위원 / 삼성경제연구소) 11. 국제 안보 및 경제 정세 동향 73 (남성욱 위원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국제 곡물 수급동향 작성자 : 성명환 위원 1. 전체 곡물 미국 농무부(USDA)가 지난 7월 11일에 발표한 세계 곡물 수급 전망에 의하면, 2012/13년도 세계 전체 곡물 생산량은 전년대비 0.4% 증가된 23억 1,404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년대비 소맥 생산량은 4.2% 줄어드는 반면 쌀과 옥수수 생산량은 각각 0.2%, 3.6%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었다. 2012/13년도 총공급량은 전년 기말재고량 4억 6,413만 톤과 생산량을 합친 27억 7,817만 톤으로 전년대비 0.6% 증가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전년보다 약 1,570만 톤 늘어난 수준이다. 2012/13년도 세계 곡물 소비량은 전년보다 1.3% 늘어난 23억 2,776만 톤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2/13년도에는 소비량이 생산량을 약 1,370만 톤 정도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곡물 교역량(수출량 기준)은 전년보다 4.9% 감소된 2억 9,578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2.8%가 될 것으로 전망 된다. 2012/13년도 기말재고량은 전년보다 3.0% 감소된 4억 5,041만 톤으로 전망된다. 기말재고율은 2011/12년도보다 0.5% 포인트 낮은 19.3%가 될 것 으로 전망된다. 표 1 전체 곡물의 수급 동향 및 전망 (단위 : 백만 톤) 구 분 2010/11 2011/12 2012/13(전망) 변동율(%) (추정) 2012.6 2012.7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 산 량 2,197.12 2,304.31 2,370.17 2,314.04 0.4-2.4 공 급 량 2,688.42 2,762.50 2,832.49 2,778.17 0.6-1.9 소 비 량 2,230.22 2,298.37 2,354.84 2,327.76 1.3-1.1 교 역 량 2,83.62 311.01 303.90 295.78-4.9-2.7 기말재고량 458.20 464.13 477.66 450.41-3.0-5.7 기말재고율(%) 20.5 20.2 20.3 19.3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508, July 11, 2012. - 1 -

2. 쌀 2012/13년도 쌀 생산량은 2011/12년보다 0.2% 증가된 4억 6,508만 톤 수준 으로 전망된다. 태국, 인도네시아, 미국의 생산량은 늘어나는 반면 인도, 일본의 생산량은 감소될 전망이다. 2012/13년도 쌀 소비량은 전년대비 1.8% 증가한 4억 6,679만 톤으로 사상 최고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지난해 4억 5,838만 톤보다 약 840만 톤 정도 늘어난 수준이다. 2012/13년도 세계 전체 쌀 교역량은 전년보다 2.6% 늘어난 3,618만 톤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이며 생산량에서 교역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7.8%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태국의 수출량이 전년대비 23.1% 증가하는 반면 인도 12.5%, 미국 8.7% 감소될 전망이다. 전 세계 쌀 수출량 중에서 태국이 22.1%, 베트남 19.3%, 인도 19.3%를 차지하여 이들 3개국의 비중이 60.7%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쌀 기말재고량은 전년대비 1.7% 감소된 약 1억 247만 톤 정도가 될 것 으로 보여 2012/13년도 기말재고율은 전년보다 0.7% 포인트 낮은 22.0%가 될 전망이다. 태국의 재고량이 전년대비 29.3% 늘어나는 반면 미국, 인도네시아와 인도의 재고량은 전년대비 각각 16.4%, 30.5%, 12.0%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표 2 쌀(정곡기준) 수급 동향 및 전망 (단위: 백만 톤) 구 분 2010/11 2011/12 2012/13(전망) 변동율(%) (추정) 2012.6 2012.7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 산 량 449.37 463.94 466.51 465.08 0.2-0.3 공 급 량 544.54 562.57 570.90 569.27 1.2-0.3 소 비 량 445.91 458.38 466.74 466.79 1.8 0.0 교 역 량 34.75 35.27 36.06 36.18 2.6 0.3 기말재고량 98.63 104.19 104.16 102.47-1.7-1.6 기말재고율(%) 22.1 22.7 22.3 22.0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508, July 11, 2012. - 2 -

3. 소맥 미국의 소맥 생산량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지만 주요국의 생산 감소로 2012/13년도 세계 소맥 생산량은 전년보다 4.2% 감소한 6억 6,533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12/13년도 세계 소맥 소비량은 2010/11년보다 2.1% 감소한 6억 8,006만 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미국과 중국의 소비량은 증가될 전망이다. 소맥의 국제 교역량은 전년대비 10.4% 감소한 1억 3,471만 톤이 될 전망이다. 2012/13년도 미국의 소맥 수출량은 전년보다 14.5% 늘어난 3,266만 톤으로 전체 수출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4.2%가 될 것으로 보인다. 캐나다의 수출량은 전년보다 6.9% 늘어난 1,850만 톤이 될 것으로 보인다. 2012/13년 기말재고량은 1억 8,244만 톤으로 전년보다 7.5% 감소될 것으로 보이는데 미국의 재고량이 전년대비 10.6% 줄어들 전망이다. 중국의 재고량도 5.1% 감소될 전망이다. 기말재고율은 지난해보다 1.6% 포인트 낮은 26.8%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표 3 소맥 수급 동향 및 전망 (단위: 백만 톤) 구 분 2010/11 2011/12 2012/13 (전망) 변동율 (%) (추정) 2012.6 2012.7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 산 량 651.14 694.69 672.06 665.33-4.2-1.0 공 급 량 851.69 891.92 867.62 862.51-3.3-0.6 소 비 량 654.46 694.74 681.87 680.06-2.1-0.3 교 역 량 132.43 150.40 135.42 134.71-10.4-0.5 기말재고량 197.23 197.18 185.76 182.44-7.5-1.8 기말재고율(%) 30.1 28.4 27.2 26.8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508, July 11, 2012. - 3 -

4. 옥수수 미국과 아르헨티나의 생산량이 전년대비 각각 4.9%, 19.0%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어 2012/13년도 전 세계 옥수수 생산량은 전년보다 3.6% 증가한 9억 523만 톤으로 전망된다. 2012/13년도의 소비량은 전년보다 약 3,190만 톤 정도 늘어난 9억 톤이 될 것으로 보이며, 미국과 중국의 소비량이 전년대비 각각 1.0%, 6.9%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2012/13년도에는 생산량이 소비량을 약 470만 톤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2/13년도 세계 옥수수 교역량은 전년보다 0.5% 감소한 9,830만 톤이고,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9%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체 수출량 중 미국과 아르헨티나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41.3%, 16.3%로 이들 두 국가가 전체 수출량의 57.6%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르헨티나의 수출량이 23.1% 늘어날 전망이다. 한국과 동남아시아의 수입량은 전년대비 각각 14.3%, 10.2% 증가될 전망이다. 2012/13년도 옥수수 기말재고량은 전년보다 3.6% 증가된 1억 3,409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12/13년도 기말재고율은 전년과 동일한 14.9%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표 4 옥수수 수급 동향 및 전망 (단위: 백만 톤) 구 분 2010/11 2011/12 2012/13(전망) 변동율(%) (추정) 2012.6 2012.7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 산 량 829.12 873.70 949.93 905.23 3.6-4.7 공 급 량 973.19 998.01 1,079.12 1,034.60 3.7-4.1 소 비 량 848.87 868.64 923.39 900.51 3.7-2.5 교 역 량 91.46 98.84 105.32 98.30-0.5-6.7 기말재고량 124.31 129.37 155.74 134.09 3.6-13.9 기말재고율(%) 14.6 14.9 16.9 14.9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508, July 11, 2012. - 4 -

5. 대두 2012/13년도 세계 대두 생산량은 2억 6,716만 톤으로 전년대비 13.3% 증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브라질, 아르헨티나의 생산량이 큰 폭으로 증가되지만 미국과 중국은 감소될 전망이다. 2012/13년도 세계 대두 소비량은 2011/12년 2억 5,342만 톤보다 약 970만 톤 늘어난 2억 6,315만 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아르헨티나와 중국의 소비량이 전년대비 각각 8.8%, 6.0%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었다. 대두 교역량은 전년보다 6.3% 증가한 9,582만 톤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이며,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교역량의 비중은 35.9%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수출량 중에서 미국이 38.9%, 브라질이 36.6%, 아르헨티나가 11.6%의 비중을 차지하여 이들 3국의 수출비중이 87.1%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미국과 아르 헨티나의 수출량은 전년대비 각각 2.2%, 42.3% 증가될 것으로 보이지만 브라질은 4.4% 감소될 전망이다. 대두의 기말재고량은 5,566만 톤으로 전망되어 전년의 5,251만 톤과 비교하여 6.0% 증가하고, 기말재고율도 전년보다 0.5% 포인트 증가한 21.2%가 될 전망이다. 표 5 대두 수급 동향 및 전망 (단위 : 백만 톤) 구 분 2010/11 2011/12 2012/13(전망) 변동율(%) (추정) 2012.6 2012.7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 산 량 264.69 235.88 271.03 267.16 13.3-1.4 공 급 량 325.26 306.01 324.39 319.67 4.5-1.5 소 비 량 251.31 253.42 264.95 263.15 3.8-0.7 교 역 량 92.65 90.18 96.71 95.82 6.3-0.9 기말재고량 70.13 52.51 58.54 55.66 6.0-4.9 기말재고율(%) 27.9 20.7 22.1 21.2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508, July 11, 2012. - 5 -

6. 대두박 2012/13년도 세계 대두박 생산량은 1억 8,350만 톤으로 전년대비 3.5% 증가, 소비량은 1억 8,083만 톤으로 전년보다 2.9%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생산량이 소비량을 267만 톤 정도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두박 교역량은 전년대비 0.6% 늘어난 6,016만 톤이 될 것으로 보이며,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교역량의 비중은 32.8%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수출량 중에서 아르헨티나 49.5%, 브라질 23.0%, 미국 12.2%를 차지하여 이들 3개국의 수출비중은 84.7%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대두박의 기말재고량은 859만 톤으로 전망되어 전년보다 10.1%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기말재고율은 전년보다 0.4% 포인트 높은 4.8%가 될 전망이다. 표 6 대두박 수급 동향 및 전망 (단위 : 백만 톤) 구 분 2010/11 2011/12 2012/13(전망) 변동율(%) (추정) 2012.6 2012.7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 산 량 174.54 177.37 184.80 183.50 3.5-0.7 공 급 량 180.96 185.75 192.27 191.30 3.0-0.5 소 비 량 170.20 175.76 182.04 180.83 2.9-0.7 교 역 량 58.79 59.78 60.43 60.16 0.6-0.4 기말재고량 8.38 7.80 8.31 8.59 10.1 3.4 기말재고율(%) 4.9 4.4 4.6 4.8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508, July 11, 2012. - 6 -

표 7 주요국별 쌀(정곡기준) 수급동향 및 전망 (단위 : 백만 톤) 구 분 2010/11 2011/12 2012/13(전망) 변동율(%) (추정) 2012.6 2012.7 전년대비 전월대비 공급량 544.54 562.57 570.90 569.27 1.2-0.3 기초재고량 95.17 98.63 104.39 104.19 5.6-0.2 생산량 449.37 463.94 466.51 465.08 0.2-0.3 미국 7.59 5.87 5.83 6.09 3.7 4.5 태국 20.26 20.46 21.05 21.05 2.9 0.0 베트남 26.37 26.74 26.50 26.88 0.5 1.4 인도네시아 35.50 36.30 36.90 36.90 1.7 0.0 인도 95.98 103.40 102.50 100.00-3.3-2.4 중국 137.00 140.70 141.00 141.00 0.2 0.0 일본 7.72 7.65 7.36 7.36-3.8 0.0 수입량 32.71 33.53 32.81 33.42-0.3 1.9 인도네시아 3.10 1.25 1.45 1.45 16.0 0.0 중국 0.54 1.50 1.00 1.50 0.0 50.0 일본 0.68 0.70 0.70 0.70 0.0 0.0 소비량 445.91 458.38 466.74 466.79 1.8 0.0 미국 4.36 3.72 3.88 4.01 7.8 3.4 태국 10.30 10.40 10.60 10.60 1.9 0.0 베트남 19.40 19.75 20.10 20.10 1.8 0.0 인도네시아 39.00 39.30 40.00 39.70 1.0-0.7 인도 90.21 93.90 96.00 96.00 2.2 0.0 중국 135.00 139.50 141.00 141.50 1.4 0.4 일본 8.20 8.05 7.97 7.97-1.0 0.0 수출량 34.75 35.27 36.06 36.18 2.6 0.3 미국 3.49 3.21 2.77 2.93-8.7 5.8 인도 2.77 8.00 7.00 7.00-12.5 0.0 태국 10.65 6.50 8.00 8.00 23.1 0.0 베트남 7.00 7.00 7.00 7.00 0.0 0.0 기말재고량 98.63 104.19 104.16 102.47-1.7-1.6 미국 1.51 1.10 0.81 0.92-16.4 13.6 태국 5.62 9.38 12.13 12.13 29.3 0.0 베트남 1.94 2.33 2.04 2.50 7.3 22.5 인도네시아 6.18 4.43 3.23 3.08-30.5-4.6 인도 23.50 25.00 24.50 22.00-12.0-10.2 중국 42.57 44.77 45.17 45.17 0.9 0.0 일본 2.69 2.79 2.67 2.67-4.3 0.0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508, July 11, 2012. - 7 -

표 8 주요국별 소맥 수급동향 및 전망 (단위 : 백만 톤) 구 분 2010/11 2011/12 2012/13(전망) 변동율(%) (추정) 2012.6 2012.7 전년대비 전월대비 공급량 851.69 891.92 867.62 862.51-3.3-0.6 기초재고량 200.55 197.23 195.56 197.18 0.0 0.8 생산량 651.14 694.69 672.06 665.33-4.2-1.0 미국 60.06 54.41 60.80 60.53 11.2-0.4 호주 27.89 29.50 26.00 26.00-11.9 0.0 캐나다 23.17 25.26 27.00 26.60 5.3-1.5 EU27 13.70 137.38 131.01 133.14-3.1 1.6 중국 115.18 117.92 120.00 118.00 0.1-1.7 러시아 41.51 56.23 53.00 49.00-12.9-7.5 수입량 131.65 144.78 135.29 134.72-6.9-0.4 EU27 4.73 7.50 5.50 5.50-26.7 0.0 브라질 6.70 7.30 6.70 6.70-8.2 0.0 북아프리카 24.18 23.80 23.00 23.10-2.9 0.4 파키스탄 0.20 0.20 0.20 0.20 0.0 0.0 인도 0.27 0.03 0.00 0.00-100.0 0.0 러시아 0.09 0.10 0.20 0.20 100.0 0.0 소비량 654.46 694.74 681.87 680.06-2.1-0.3 미국 30.71 32.27 33.69 33.29 3.2-1.2 EU27 122.00 126.75 123.25 123.75-2.4 0.4 중국 110.50 120.50 122.00 122.00 1.2 0.0 파키스탄 23.00 23.10 23.20 23.20 0.4 0.0 러시아 38.60 38.50 37.90 37.90-1.6 0.0 수출량 132.43 150.40 135.42 134.71-10.4-0.5 미국 35.08 28.53 31.30 32.66 14.5 4.3 캐나다 16.58 17.30 18.50 18.50 6.9 0.0 EU27 22.91 16.20 14.50 16.00-1.2 10.3 기말재고량 197.23 197.18 185.76 182.44-7.5-1.8 미국 23.47 20.21 18.89 18.07-10.6-4.3 EU27 11.68 13.61 12.36 12.50-8.2 1.1 중국 59.09 58.71 57.49 55.71-5.1-3.1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508, July 11, 2012. - 8 -

표 9 주요국별 옥수수 수급동향 및 전망 (단위 : 백만 톤) 구 분 2010/11 2011/12 2012/13(전망) 변동율(%) (추정) 2012.6 2012.7 전년대비 전월대비 공급량 973.19 998.01 1,079.12 1,034.60 3.7-4.1 기초재고량 144.07 124.31 129.19 129.37 4.1 0.1 생산량 829.12 873.70 949.93 905.23 3.6-4.7 미국 316.17 313.92 375.68 329.45 4.9-12.3 아르헨티나 23.60 21.00 25.00 25.00 19.0 0.0 EU27 55.93 64.64 64.15 65.47 1.3 2.1 멕시코 21.01 19.00 21.00 21.00 10.5 0.0 동남아시아 23.01 25.19 25.60 25.60 1.6 0.0 중국 177.25 192.78 195.00 195.00 1.2 0.0 수입량 92.62 94.03 100.32 95.75 1.8-4.6 이집트 5.80 5.00 5.20 5.20 4.0 0.0 EU27 7.36 6.30 7.00 5.00-20.6-28.6 일본 15.65 15.00 16.00 15.50 3.3-3.1 멕시코 8.26 10.50 9.30 9.00-14.3-3.2 동남아시아 7.81 6.40 7.05 7.05 10.2 0.0 한국 8.11 7.00 8.50 8.00 14.3-5.9 소비량 848.87 868.64 923.39 900.51 3.7-2.5 미국 285.01 279.54 301.64 282.46 1.0-6.4 EU27 62.50 67.50 69.50 69.50 3.0 0.0 일본 15.70 15.00 16.00 15.50 3.3-3.1 멕시코 29.00 29.70 29.70 29.70 0.0 0.0 동남아시아 30.30 30.70 32.70 32.70 6.5 0.0 한국 8.21 7.20 8.60 8.10 12.5-5.8 중국 180.00 188.00 201.00 201.00 6.9 0.0 수출량 91.46 98.84 105.32 98.30-0.5-6.7 미국 46.60 40.64 48.26 40.64 0.0-15.8 아르헨티나 16.35 13.00 16.00 16.00 23.1 0.0 중국 0.11 0.10 0.20 0.20 100.0 0.0 기말재고량 124.31 129.37 155.74 134.09 3.6-13.9 미국 28.64 22.94 47.78 30.05 31.0-37.1 아르헨티나 0.83 1.14 1.55 1.55 36.0 0.0 EU27 4.92 5.26 5.01 4.23-19.6-15.6 중국 49.42 59.10 59.80 57.90-2.0-3.2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508, July 11, 2012. - 9 -

표 10 주요국별 대두 수급동향 및 전망 (단위 : 백만 톤) 구 분 2010/11 2011/12 2012/13(전망) 변동율(%) (추정) 2012.6 2012.7 전년대비 전월대비 공급량 325.26 306.01 324.39 319.67 4.5-1.5 기초재고량 60.57 70.13 53.36 52.51-25.1-1.6 생산량 264.69 235.88 271.03 267.16 13.3-1.4 미국 90.61 83.17 87.23 83.01-0.2-4.8 아르헨티나 49.00 41.00 55.00 55.00 34.1 0.0 브라질 75.50 65.50 78.00 78.00 19.1 0.0 중국 15.10 13.50 12.60 12.60-6.7 0.0 수입량 88.81 90.11 95.82 94.96 5.4-0.9 중국 52.34 57.50 61.00 61.00 6.1 0.0 EU27 12.48 11.00 11.00 11.00 0.0 0.0 일본 2.92 2.70 2.80 2.80 3.7 0.0 소비량 251.31 253.42 264.95 263.15 3.8-0.7 미국 48.39 48.35 48.18 47.21-2.4-2.0 아르헨티나 39.21 38.10 41.45 41.45 8.8 0.0 브라질 38.93 39.65 40.00 40.00 0.9 0.0 중국 65.95 70.30 74.52 74.52 6.0 0.0 EU27 13.46 12.31 12.18 12.18-1.1 0.0 일본 3.21 2.95 2.96 2.96 0.3 0.0 멕시코 3.66 3.59 3.70 3.65 1.7-1.4 수출량 92.65 90.18 96.71 95.82 6.3-0.9 미국 40.86 36.47 40.42 37.29 2.2-7.7 아르헨티나 9.21 7.80 10.10 11.10 42.3 9.9 브라질 29.95 36.70 34.20 35.10-4.4 2.6 기말재고량 70.13 52.51 58.54 55.66 6.0-4.9 미국 5.85 4.62 3.80 3.54-23.4-6.8 아르헨티나 22.87 17.97 21.93 20.43 13.7-6.8 브라질 22.94 12.33 16.52 15.48 25.5-6.3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508, July 11, 2012. - 10 -

표 11 주요국별 대두박 수급동향 및 전망 (단위 : 백만 톤) 구 분 2010/11 2011/12 2012/13(전망) 변동율(%) (추정) 2012.6 2012.7 전년대비 전월대비 공급량 180.96 185.75 192.27 191.30 3.0-0.5 기초재고량 6.42 8.38 7.47 7.80-6.9 4.4 생산량 174.54 177.37 184.80 183.50 3.5-0.7 미국 35.61 36.74 35.50 34.78-5.3-2.0 아르헨티나 29.31 28.43 31.05 31.05 9.2 0.0 브라질 27.85 28.33 28.52 28.52 0.7 0.0 인도 7.66 7.82 7.98 7.98 2.0 0.0 동남아시아 2.24 2.54 2.78 2.72 7.1-2.2 수입량 56.40 57.60 58.51 58.29 1.2-0.4 EU27 21.71 21.80 21.90 21.90 0.5 0.0 동남아시아 10.93 10.95 11.49 11.39 4.0-0.9 소비량 170.20 175.76 182.04 180.83 2.9-0.7 미국 27.47 28.53 28.03 27.58-3.3-1.6 아르헨티나 0.72 0.73 0.77 0.77 5.5 0.0 브라질 13.50 13.94 14.40 14.40 3.3 0.0 인도 3.00 3.38 3.80 3.80 12.4 0.0 EU27 30.72 30.35 30.26 30.26-0.3 0.0 동남아시아 12.66 13.24 14.17 14.08 6.3-0.6 수출량 58.79 59.78 60.43 60.16 0.6-0.4 미국 8.26 8.44 7.62 7.35-12.9-3.5 아르헨티나 27.62 28.28 29.78 29.78 5.3 0.0 브라질 13.99 14.35 13.86 13.86-3.4 0.0 인도 4.70 4.50 4.23 4.23-6.0 0.0 기말재고량 8.38 7.80 8.31 8.59 10.1 3.4 미국 0.32 0.27 0.27 0.27 0.0 0.0 아르헨티나 2.76 2.18 2.68 2.68 22.9 0.0 브라질 2.49 2.58 2.51 2.89 12.0 15.1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508, July 11, 2012. - 11 -

표 12 전체 곡물의 수급추이 (단위 : 만 톤, %) 연도 생산량 공급량1) 소비량2) 교역량 재고량 재고율 1980/81 142,934 175,707 144,922 21,199 30,785 21.2 1981/82 149,058 179,844 146,431 21,412 33,413 22.8 1982/83 154,126 187,539 148,415 20,034 39,124 26.4 1983/84 150,914 190,038 155,043 21,178 34,996 22.6 1984/85 167,066 202,062 159,189 21,815 42,873 26.9 1985/86 168,284 211,157 159,257 17,912 51,900 32.6 1986/87 170,389 222,289 164,934 19,140 57,356 34.8 1987/88 164,201 221,556 168,651 21,801 52,906 31.4 1988/89 159,008 211,913 166,754 22,709 45,159 27.1 1989/90 170,815 215,974 171,819 22,658 44,155 25.7 1990/91 181,009 225,164 175,502 21,722 49,663 28.3 1991/92 172,385 222,048 173,174 22,671 48,874 28.2 1992/93 179,640 228,514 176,166 22,649 52,348 29.7 1993/94 171,972 224,320 175,768 21,374 48,552 27.6 1994/95 176,110 224,662 176,845 21,638 47,817 27.0 1995/96 171,225 219,042 175,315 21,714 43,727 24.9 1996/97 187,254 230,981 182,311 21,951 48,670 26.7 1997/98 187,817 236,487 182,396 21,724 54,092 29.7 1998/99 187,555 241,647 183,590 22,072 58,057 31.6 1999/00 187,217 245,274 186,542 24,419 58,732 31.5 2000/01 184,276 243,008 186,326 23,355 56,682 30.4 2001/02 187,411 244,094 190,226 23,951 53,868 28.3 2002/03 182,085 235,953 191,293 24,136 44,660 23.3 2003/04 186,219 230,879 194,990 24,043 35,890 18.4 2004/05 204,447 240,275 199,470 24,112 40,814 20.5 2005/06 201,720 242,170 203,159 25,347 39,011 19.2 2006/07 200,081 239,015 204,819 26,029 34,196 16.7 2007/08 212,299 246,653 210,137 27,559 36,516 17.4 2008/09 224,050 261,162 215,785 28,562 45,377 21.0 2009/10 224,383 269,698 220,479 29,013 49,219 22.3 2010/11 219,712 268,842 223,022 28,362 45,820 20.5 2011/12(E) 230,431 276,250 229,837 31,101 46,413 20.2 2012/13(P) 231,404 277,817 232,776 29,578 45,041 19.3 주: E(추정치), P(전망치), (1) 공급량=전년도 재고량+생산량, (2)소비량=공급량-재고량 자료: USDA, Foreign Agricultural Service(http://www.fas.usda.gov/psd) 참고자료 http://www.usda.gov/oce/commodity/wasde/latest.pdf - 12 -

국제 곡물 가격동향 작성자 : 이종경 위원 국제 곡물 시장 현황 중립종 쌀(미국산)은 최근 농가의 구곡 재고량 감소로 강보합세를 보이고 있으며, 장립종 쌀(태국)은 이라크 입찰을 제외하면 수출 거래가 극히 미미 하여, 신규 수요 부진으로 약보합세 지속 곡물 주생산국인 미국(콩, 옥수수), 흑해연안지역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밀) 기상악화(가뭄)에 따른 수급 우려 등으로 상승세를 보임 주 1) 쌀(중립종) : 미국산1등급, 쌀(장립종) : 태국산 100%B(Rice Online, Creed Rice) / 콩 : No.2 yellow soybeans(cbot), 옥수수 : No.2 yellow corn(cbot), 밀 : No.2 hard red winter wheat(kcbt) 2) 12. 7월 가격은 쌀은 18일까지, 콩 밀 옥수수는 16일까지 평균임 구 분 연평균 가격($/톤) 12. 7. 16. 까지 평균 11최고가 비 고 09 10 11 11. 7월 평균대비 쌀(중립종) 1,028 752 833 725 (17.1% ) 875(1월) 미국산 1등급 쌀(장립종) 562 502 553 588 ( 6.1% ) 635(9월) 태국산 100%B 콩 375 385 485 595 (19.0% ) 533(2월) CBOT No.2 밀 206 224 298 300 ( 7.9% ) 363(2월) KCBT No.2 옥수수 148 169 267 296 (12.5% ) 310(6월) CBOT No.2 12. 7월 16일까지 평균 가격은 중립종 쌀(생산 증가 등)을 제외하고 11년 7월 평균가 대비 상승 - 13 -

쌀 국제 쌀 가격 동향 구 분 08년 09년 10년 11년 12년 (단위 : US$/톤) 평균 5월 6월 7월 10월 12월 5월 6월 7월 중 립 종 984 1,028 752 833 875 875 875 781 715 693 715 725 장 립 종 689 562 502 553 495 518 554 572 593 613 607 588 1. 자료 : Rice Online, Creed Rice / 12. 7월은 18일까지의 월평균 가격 2. 중립종 : 미국산1등급 파쇄립 4% 이하[ 11년 파쇄립 7%이하], 장립종 : 태국산 100%B 동 향 중립종(미국) : 현재 수출업체가 보유한 조곡은 전량 기계약된 물량으로 최근 농가의 구곡 재고량 감소로 강보합세 - 캘리포니아 중 단립종 재고량 : ( 12.3월) 1.2백만톤 ( 12.6월) 0.5 [58.3% ] 1) * 6월 평균 : US$715/톤 7월 18일까지의 평균 725 [1.4% ] 장립종(태국) : 이라크 입찰을 제외하면 수출 거래가 극히 미미하며, 신규 수요 부진으로 약보합세 지속 * 6월 평균 US$607/톤 7월 18일까지의 평균 588 [3.1% ] 1) 자료 : USDA, Rice Stocks('12.6.29.) - 14 -

전 망 중립종(미국) : 재고량의 부족으로 신곡 수확 전까지 강보합세 유지 전망 - 호주의 생산 증가에 따른 수출재개는 미국산 수출가격 상승 제한 요인임 - 향후 이집트 정부가 수출 제한을 폐지할 경우 국제 중립종 수출 경쟁 심화 예상 장립종(태국) : 가격이 저렴한 베트남 인도산으로 해외수요가 집중되면서 약보합세 지속 전망 - 정부 수매물량 방출을 위하여 민간에 입찰을 통한 판매를 시도하였으나 응찰 가격이 시장가격보다 현저히 낮아 판매에 실패하고 적극적인 정부간(Government to Government) 거래 추진 - 정부간 거래를 통해 아이보리코스트로 24만톤을 수출하였으며, 태국 상무부는 아시아 국가 및 아프리카 등으로의 수출로 하반기에 약 5백만톤을 수출할 것으로 예상하여 정부의 수출목표(9.5백만톤) 달성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 상반기 수출 : ( 11) 5.7백만톤 ('12) 3.13백만톤 [46% ] 콩 콩 선물 가격동향 (US$/톤) 08년 09년 10년 11년 12년 평균 5월 6월 7월 10월 12월 5월 6월 7월 454 375 385 485 499 500 500 446 420 521 522 595 자료 : CBOT No.2 yellow Soybeans / 12. 7월은 16일까지의 평균가격 동 향 11/ 12년 남미 등 주요국 생산 감소에 따른 수급 우려에도 불구하고, 유럽 재정위기 우려 등 글로벌 경기에 대한 불확실성 등으로 6월 초 약세를 보이던 가격은 6월 하순 미국 중서부 지역 건조한 날씨 등 기상학적 우려 확대로 급상승세를 보임 - 15 -

- 하절기는 콩 최대 생산 및 수출국인 미국 수확량을 결정짓는 중요한 개화기 (Blooming)로 일기 변화에 따라 가격변동성이 매우 큰 시기임 - 미국 주요지역 12/ 13년 콩 작황은 7월 22일 기준 건조한 기후에 따라 Good/Excellent 품위 비율이 전년대비 매우 낮게 나타남 * 6월 평균 US$522/톤 7월 16일까지 평균 595 [14.0% ] 미국 주요지역 콩 작황상황 (단위 : %) 구 분 Very Poor Poor Fair Good Excellent 12년 13 22 34 27 4 11년 3 8 27 49 13 전년대비(%p) 10 14 7 22 9 자료 : USDA NASS Crop Progress 2012.7.22 전 망 주생산국 미국 중서부 지역 건조한 기후에 따른 12/ 13년 작황 우려 등으로 미국 기후가 개선되지 않는 한 가격은 지속적인 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 밀 밀 선물 가격동향 08년 09년 10년 11년 12년 (US$/톤) 평균 5월 6월 7월 10월 12월 5월 6월 7월 309 206 224 298 333 301 278 262 246 241 248 300 자료 : KCBT No.2 경질밀(Hard Red Winter Wheat) / 12. 7월은 16일까지의 평균가격 - 16 -

동 향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 흑해지역 건조한 기후에 따른 밀 생산 감소 전망 등 수급 우려로 6월말 이후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 - 러시아 농업부에 따르면 겨울밀 수확이 시작되었으며 6월 중순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가뭄으로 인해 악 3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봄밀은 파종이 완료된 상태로 전년대비 재배면적 감소가 전망되며 가뭄으로 인한 초기 생육 우려 존재 - 금년 우크라이나 밀 생산은 옥수수 대두 등 작목전환에 따른 재배면적 감소 (전년대비 20.4%) 및 가뭄 등으로 전년대비 약 41.2% 감소 전망 - 미국 주요지역 겨울밀 수확은 약 82% 완료(최근 5개년 평균 73%)된 상황 이며 봄밀 작황은 북부지역 고온 우려로 작황이 전년대비 다소 좋지 않음 * 6월 평균 US$248/톤 7월 16일까지 평균 300 [21.0% ] 미국 주요지역 봄밀 작황상황 (단위 : %) 구 분 Very Poor Poor Fair Good Excellent 12년 2 9 29 51 9 11년 1 4 21 60 14 전년대비(%p) 1 5 8 9 5 자료 : USDA NASS Crop Progress 2012.7.22 전 망 러시아 및 우크라이나 등 흑해지역 건조한 기후에 따른 밀 생산량 감소 전망 등 수급우려 및 콩 옥수수 등 타곡물가 동반 상승 등으로 당분간 강세 전망 옥 수 수 옥수수 선물 가격동향 - 17 -

08년 09년 10년 11년 12년 (US$/톤) 평균 5월 6월 7월 10월 12월 5월 6월 7월 208 148 169 267 285 284 263 249 239 237 237 296 자료 : CBOT No.2 yellow corn / 12. 7월은 16일까지의 평균가격 동 향 11/ 12년 브라질 생산증가 전망 및 유럽 재정위기 등 대외 경제의 불확실성 등으로 6월 초 약세를 보이던 가격은 최대 수출국 미국 중서부 지역의 고온 및 가뭄 현상에 따른 수급 우려로 급상승세를 보임 - 미국 옥수수는 현재 수확량을 결정짓는 중요한 수분기(pollination)를 지나고 있어 일기 변화에 따라 가격이 매우 민감하게 반응 - 7월 하순 미국 옥수수의 86%가 명주실 추출단계(Silking Stage)를 지나 상당 부문 피해를 입어 생육개선이 어려운 상태임 * 6월 평균 US$237/톤 7월 16일까지 평균 296 [ 24.9% ] 미국 주요지역 옥수수 작황상황 (단위 : %) 구 분 Very Poor Poor Fair Good Excellent 12년 21 24 29 23 3 11년 5 9 24 46 16 전년대비(%p) 16 15 5 23 13 자료 : USDA NASS Crop Progress 2012.7.22 전 망 세계 최대의 생산ㆍ수출국인 미국 중서부 지역 건조한 기후에 따른 12/ 13년 작황 우려 및 중국 수요 증가(전년대비 6.9% ) 등에 따른 타이트한 수급여건 등으로 강세 전망 - 18 -

세계 곡물시장 및 수출입 동향 작성자 : 윤병삼 위원 1. 옥수수(Corn) 미국의 2012-13년 옥수수 생산량은 32,945만톤(수확면적 3,596만 ha, 단수 9.16톤/ha), 국내소비량은 28,246만톤, 수출량은 4,000만톤, 기말재고량은 3,005만톤으로 예상 되어 재고/이용률은 지난달 전망치보다 4.4% 하락한 9.3%(전 세계 14.9%)로 전망됨 - Midwest지역의 가뭄과 무더위로 생산량은 4,623만톤(12.3%) 감소하는 한편, 수출량은 800만톤이나 감소한 4,000만톤으로 전망됨 아르헨티나의 2012-13년 옥수수 생산량은 2,500만톤(수확면적 340만 ha, 단수 7.35톤/ha)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출량은 지난달 전망치보다 50만톤 증가한 1,550만톤으로 전망됨 브라질의 2012-13년 옥수수 생산량은 6,700만톤(수확면적 1,580만 ha, 단수 4.24톤/ha)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출량은 지난달 전망치보다 100만톤 증가한 1,250만톤(사상 최고치)으로 전망됨 캐나다의 2012-13년 옥수수 생산량은 1,300만톤(수확면적 143만 ha, 단수 9.09톤/ha)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출량은 지난달 전망치보다 30만톤 증가한 80만톤으로 전망됨 인도의 2012-13년 옥수수 생산량은 2,200만톤(수확면적 890만 ha, 단수 2.47톤/ha) 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출량은 지난달 전망치보다 30만톤 증가한 250만톤 으로 전망됨 유럽연합(EU-27)의 2012-13년 옥수수 생산량은 6,547만톤(수확면적 949만 ha, 단수 6.90톤/ha)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입량은 생산량 증가로 지난달 전망치 보다 200만톤 감소한 500만톤으로 전망됨 중국의 2012-13년 옥수수 생산량은 19,500만톤(수확면적 3,430만 ha, 단수 5.69톤/ha) 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입량은 지난달 전망치보다 200만톤 감소한 500만 톤으로 전망됨 멕시코의 2012-13년 옥수수 생산량은 2,100만톤(수확면적 700만 ha, 단수 3.00톤/ha) 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입량은 지난달 전망치보다 30만톤 감소한 900만톤 으로 전망됨 - 19 -

2. 소맥(Wheat) 미국의 2012-13년 소맥 생산량은 6,053만톤(수확면적 1,976만 ha, 단수 3.06톤/ha), 소비량은 3,328만톤, 수출량은 지난달 전망치보다 100만톤 증가한 3,250만톤, 기말재고량은 1,807만톤으로 예상되어 재고/이용률은 지난달 전망치보다 1.7% 감소한 27.4%(전 세계 26.8%)로 전망됨 유럽연합(EU-27)의 2012-13년 소맥 생산량은 13,314만톤(수확면적 2,468만ha, 단수 5.39톤/ha)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출량은 프랑스와 독일의 생산량 증가, 흑해연안국의 수출가능물량 감소로 지난달 전망치보다 150만톤 증가한 1,600만톤으로 전망됨 인도의 2012-13년 소맥 생산량은 9,100만톤(수확면적 2,980만ha, 단수 3.05톤/ha) 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출량은 정부 재고량의 수출 허용으로 지난달 전망치 보다 200만톤 증가한 500만톤으로 전망됨 러시아의 2012-13년 소맥 생산량은 4,900만톤(수확면적 2,450만 ha, 단수 2.00톤/ha)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출량은 고온 건조한 날씨에 따른 생산량 감소(400만톤, 7.55% 감소)로 수출 가능물량이 감소하여 지난달 전망치보다 400만톤 감소한 1,200만톤으로 전망됨 카자흐스탄의 2012-13년 소맥 생산량은 1,300만톤(수확면적 1,350만ha, 단수 0.96톤/ha) 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출량은 생산량 감소(지난달 전망치보다 200만톤, 13.33% 감소)로 지난달 전망치보다 150만톤 감소한 700만톤으로 전망됨 호주의 2012-13년 소맥 생산량은 2,600만톤(수확면적 1,350만 ha, 단수 1.93톤/ha) 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출량은 지난달 전망치와 동일한 2,050만톤으로 전망됨 캐나다의 2012-13년 소맥 생산량은 2,660만톤(수확면적 935만 ha, 단수 2.84톤/ha) 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출량은 지난달 전망치와 동일한 1,850만톤으로 전망됨 중국의 2012-13년 소맥 생산량은 11,800만톤(수확면적 2,430만 ha, 단수 4.86톤/ha) 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입량은 소맥가격의 상승으로 인해 지난달 전망치보다 50만톤 감소한 200만톤으로 전망됨 - 20 -

3. 대두(Soybeans) 미국의 2012-13년 대두 생산량은 8,300만톤(수확면적 3,048만 ha, 단수 2.72 톤/ha), 국내소비량은 4,382만톤, 수출량은 3,729만톤, 기말재고량은 358만톤 으로 예상되어 재고/이용률은 지난달 전망치보다 0.1% 감소한 4.2%(전 세계 21.2%)로 전망됨 - Mid-west지역의 고온 건조한 날씨로 인해 생산량은 지난달 전망치보다 422 만톤(4.84%) 감소하는 한편, 수출량은 생산량 감소를 반영하여 지난달 전망 치보다 313만톤 감소한 3,729만톤으로 전망됨 브라질의 2012-13년 대두 생산량은 7,800만톤(수확면적 2,650만 ha, 단수 2.94톤/ha) 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출량은 미국의 수출가능물량 감소로 지난달 전망치 보다 90만톤 증가한 3,510만톤으로 전망됨 아르헨티나의 2012-13년 대두 생산량은 5,500만톤(수확면적 1,970만 ha, 단수 2.79톤/ha)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출량은 미국의 수출량 감소로 지난달 전망치보다 100만톤 증가한 1,110만톤으로 전망됨 파라과이의 2012-13년 대두 생산량은 780만톤(수확면적 285만 ha, 단수 2.74톤/ha) 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출량은 지난달 전망치와 동일한 510만톤으로 전망됨 캐나다의 2012-13년 대두 생산량은 465만톤(수확면적 173만 ha, 단수 2.69톤/ha) 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출량은 지난달 전망치보다 30만톤 증가한 300만톤 으로 전망됨 중국의 2012-13년 대두 생산량은 1,260만톤(수확면적 720만 ha, 단수 1.75톤/ha; 지난 20년내 최저치)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입량은 국내 가공수요의 지속 적인 증가로 지난달 전망치와 동일한 6,100만톤(사상 최고치)으로 전망됨 유럽연합(EU-27)의 2012-13년 대두 생산량은 120만톤(수확면적 43만 ha, 단수 2.82톤/ha)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입량은 지난달 전망치와 동일한 1,100만 톤으로 전망됨 이란의 2012-13년 대두 생산량은 20만톤(수확면적 8만 ha, 단수 2.44톤/ha) 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입량은 국제적인 경제제재로 교역이 제한됨에 따라 지난달 전망치보다 50만톤 감소한 26만톤으로 전망됨 - 21 -

4. 쌀(Rice) 태국의 2012-13년 쌀 생산량은 2,105만톤(수확면적 1,112만 ha, 단수 2.87톤/ha) 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출량은 지난달 전망치와 동일한 800만톤으로 전망됨 - 2011-12년 수출량은 650만톤으로 예상되어 인도, 베트남에 이어 세계 3위의 쌀 수출국으로 기록될 전망임 인도의 2012-13년 쌀 생산량은 10,000만톤(수확면적 4,400만 ha, 단수 3.41톤/ha) 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출량은 지난달 전망치와 동일한 650만톤으로 전망됨 - 2011-12년 수출량은 800만톤으로 예상되어 세계 최대의 쌀 수출국으로 기록 될 전망임 베트남의 2012-13년 쌀 생산량은 2,688만톤(수확면적 762만 ha, 단수 5.65톤/ha) 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출량은 지난달 전망치와 동일한 700만톤(연속 3년간 동일한 수출량)으로 전망됨 - 2011-12년 쌀 수출량은 700만톤으로 예상되어 인도에 이어 세계 2위의 쌀 수출국으로 기록될 전망임 파키스탄의 2012-13년 쌀 생산량은 680만톤(수확면적 280만 ha, 단수 3.64톤/ha) 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출량은 지난달 전망치와 동일한 400만톤으로 전망됨 - 2011-12년 쌀 수출량은 375만톤으로 예상되어 인도, 베트남, 태국에 이어 세계 4위의 쌀 수출국으로 기록될 전망임 미국의 2012-13년 쌀 생산량은 609만톤(수확면적 107만 ha, 단수 8.11톤/ha)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출량은 지난달 전망치보다 10만톤 증가한 310만톤으로 전망됨 - 2011-12년 쌀 수출량은 345만톤으로 예상되어 인도, 베트남, 태국, 파키스탄에 이어 세계 5위의 쌀 수출국으로 기록될 전망임 이집트의 2012-13년 쌀 생산량은 450만톤(수확면적 75만 ha, 단수 8.70톤/ha) 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입량은 지난달 전망치와 동일한 75만톤(2011-12년 수입량 80만톤)으로 전망됨 인도네시아의 2011-12년 쌀 수입량은 125만톤, 2012-13년 쌀 수입량은 지난달 전망치보다 5만톤 증가한 145만톤으로 전망됨 - 22 -

전 망 1. 옥수수 미국 중서부지역(Midwest)의 고온 건조한 날씨로 인해 옥수수 생산량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이에 따라 수출가능 물량도 큰 폭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미국의 수출량 감소가 아르헨티나, 브라질 등 남미국가들의 수출량 증가를 압도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전 세계 교역량은 지난달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2. 소맥 흑해연안국(러시아,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의 소맥 생산량이 크게 감소하여 수출 가능물량도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는 반면, 미국, 유럽연합(EU-27), 인도 등의 수출물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세계 소맥 교역량은 지난달보다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3. 대두 미국 중서부지역(Midwest)의 고온 건조한 날씨로 인해 생산량 감소가 예상되고, 이에 따라 수출가능 물량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반면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 남미국가들의 수출량이 보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미국의 수출량 감소를 전부 상쇄하지는 못할 것으로 전망되어 전 세계 대두 교역량은 지난달보다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4. 쌀 2011-12년에는 인도, 베트남 및 태국이 각각 800만톤, 700만톤 및 650만톤의 쌀을 수출하여 인도가 세계 1위의 수출국으로 부상할 전망임. 그러나 2012-13년에는 태국, 베트남 및 인도가 각각 800만톤, 700만톤 및 650만톤의 쌀을 수출하여 태국이 세계 1위의 수출국 지위를 되찾을 전망임. 2012-13년 세계 쌀 교역량이 2011-12 보다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나 2010-11년의 최고수준에는 미치지 못할 것 으로 전망됨 - 23 -

국제 사료용 곡물 수급 및 가격동향 1. 시장동향 작성자 : 김치영 위원 옥수수 6월초까지만 해도 스페인 구제금융 지원요청, 중국의 금리인하 단행 등 각국 중앙은행의 양적 완화정책이 본격화되며 국제금융시장이 안정되면서 상품 시장도 안정을 유지하는 듯 했으나 미국의 옥수수 생산지역인 중서부의 건조 기후가 24년래 최악의 가뭄으로 전개되면서 옥수수 생육상황이 악화되고 금년도 옥수수 생산량이 하향조정 되는 등 우려가 지속되면서 급반등세로 전환되었음 상반기까지만 해도 순조로운 파종에 힘입어 금년도 미국의 옥수수 생산량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옥수수 가격의 안정에 기여하였으나 7월로 들어오면서 가뭄이 지속되면서 Silking stage(가늘고 긴 실이 나오는 단계)에 접어든 옥수수 작황이 현저하게 악화되면서 옥수수의 생육상황은 불량상태를 나타내는 poor와 very poor가 전년대비 크게 증가하였고, 우량상태인 good과 excellent는 크게 감소하였음 이처럼 미산 옥수수의 가뭄이 장기화 되고 미국 콘벨트 지역의 옥수수 피해가 가시화되면서 금년도 미국의 에이커 당 옥수수 생산량(yield)도 얼마 전까지만 해도 160부셀까지 예상되던 것이 140부셀 이하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옥수수 가격급등을 견인하고 있는 실정임 이처럼 지속적인 가뭄이 연초 곡가하락을 이끌었던 파종면적 증가효과를 희석시키면서 옥수수 가격은 10개월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고 시장에서는 가격 목표치를 기존 부셀 당 8.0-8.5불에서 8.5-9.0으로 상향조정하고 있는 실정임 한편 일부에서는 금년도 중국의 옥수수 작황은 양호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나 현재 미국의 가뭄피해로 인한 감산 가능성을 커버하기에는 크게 부족할 것 으로 보이며 오히려 자국 내 폭발적인 수요증가로 인한 부족 공급량을 남미, 우크라이나 등지로 부터 수입해야할 상황임 - 24 -

또한 금년 들어 에탄올 용도로 이용되는 옥수수 사용량도 소폭 감소할 것 으로 예상되었으나 현재까지 에탄올 용도로 이용되는 옥수수 사용량도 크게 줄고 있지 않아 수급이 타이트해지고 있는 상황임 미산 옥수수 가격이 강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건화물선 선임도 7월 13일 현재 파나막스급 벌크 해상운임이 미국 서해안 지역(PNW)이 27불, 걸프지역 (GULF)은 49불로 지난달 대비 소폭 상승한 가운데 미산 옥수수 가격은 FOB 기준으로는 334불로 전월대비 25.6% 상승하였고, C&F 기준으로는 383불로 전월대비 21.6%나 급등하였음 사료용 소맥 사료용 소맥의 경우는 지난 해 이후 옥수수 가격에 대한 상대적인 저가 현상이 지속돼 왔으나 금년 들어 가격 갭이 좁혀지면서 짧은 기간 동안 상대적으로 크게 올랐다는 부담감과 수출업체들의 공격적 마케팅으로 다시 약세를 보이는 듯했으나 최근 주요 곡물 가격의 급등과 수출국들의 사료용 소맥 수출 여력이 바닥나면서 다시 급등세를 보이고 있음 5월부터 주요 소맥 생산국인 러시아의 이상기온으로 주요 곡창지대의 가뭄 피해 발생으로 러시아 전체 소맥 생산량의 44%를 차지하는 로스토프 주를 비롯한 9개 지역의 가뭄으로 곡물 피해 규모가 480만 톤(2012 러시아 곡물 생산량 8,500만 톤의 5.6%)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세계 3대 소맥 수출국인 러시아의 곡창지대 가뭄과 항구지방의 홍수로 곡물 수송이 중단되면서 소맥가격이 급등하고 있는 가운데 사료용 소맥의 오퍼도 거의 나오지 않고 있으며 금년 10월 이후에나 사료용 소맥이 출회될 것으로 보여 당분간 사료용 소맥가격은 강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7월 13일 현재 사료용 소맥의 가격은 옥수수를 비롯한 대두박 등 타사료 원료 가격과 마찬가지로 크게 상승하여 FOB 기준 톤당 276불로 전월대비 24.9% 상승하였고, C&F 가격은 325불로 전월대비 20.4% 상승하였음 - 25 -

대두 및 대두박 금년 상반기에는 옥수수를 비롯한 사료곡물 가격이 약보합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대두의 경우는 타이트한 수급과 남미산 대두의 수확량 감소 우려에 따라 지속적인 강세현상을 보였으나 최근에는 옥수수나 사료용 소맥이 급등 한데 반해 대두는 상대적으로 소폭 상승하고 있음 남미의 가뭄에 따른 대두 수확량의 감소와 중국의 지속적인 대두 수입 등 으로 강세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6월 들어 유로존 위기와 글로벌 경기 후퇴 우려로 안정을 보이는 듯 했으나 옥수수와 마찬가지로 미국 중서부의 가뭄피해로 인해 콩 생육 피해가 우려되고 브라질의 과도한 강우와 아르헨 티나의 항만파업 등으로 수출차질이 우려되는 등 불안한 잠재요소들이 남아 있는 가운데 강세현상이 지속되고 있음 7월 13일 현재 미산 옥수수와 대두의 곡물 생육상황을 보면 옥수수와 대두가 전년에 비해 생육 불량상태를 나타내는 poor 및 very poor가 크게 증가한 반면 양호한 생육상태를 나타내는 good 및 excellent가 현저하게 감소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옥수수 뿐만 아니라 대두 가격도 상승세를 보이며 미산 대두의 수입가격은 C&F 기준 658불로 전월대비 10.6% 상승하였음 그리고 지난해까지 사료원료중 상대적으로 가장 안정적인 가격대를 유지해 왔던 대두박도 금년 들어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면서 미국 내 에탄올 가공 부산물인 DDGS의 지속적인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사료용 대두박 수요가 증가하면서 지난달에 이어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음 남미 브라질의 가뭄으로 대두 및 대두박 생산량이 감소하고, 미국 대두 생 산지역의 건조기후가 지속되며, 미국의 낮은 대두 및 대두박 재고율로 인해 대두박 시장이 여전히 불안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7월 13일 현재 미산 대두박 가격은 FOB 기준으로 561불로 전월대비 14% 상승하였으며 C&F 기준은 610불로 전월 대비 12.8% 상승하였음 - 26 -

2. 향후전망 옥수수 금년 6월 초까지만 해도 미산 옥수수 가격은 남미 지역의 가뭄에 따른 옥수수 생산량의 감소우려와 중국 등의 수입수요가 증가하면서 강보합세를 보여 왔으나 유럽의 재정위기가 부각되면서 세계 경기 위축에 따른 상품시장의 수요 위축이 우려되고 미국 옥수수 파종이 순조롭게 전개되면서 안정세를 유지해왔음 그러나 6월 말로 접어들면서 미국 중서부 지역의 건조기후가 장기화되면서 Silking stage로 접어든 미국 옥수수의 생육상황이 급격히 악화되면서 금년도 미산 옥수수 수확 예상량이 계속 하향 조정되고, 미산 옥수수의 타이트한 수급과 맞물려 급등세를 보이고 있음 일반적으로 Silking stage를 지나면 해갈로 인한 생산량 증가는 10% 수준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향후 2주간이 아주 중요하나 가뭄해갈의 가능성이 매우 적다는 예보가 나오면서 이미 상당 부문 피해를 입은 생육상태를 되돌리기는 어려운 만큼 큰 폭의 가격하락은 기대하기 어려운 형편임 다만 유로존 지역의 경제위기 재연에 따른 수요위축이 예상되고, 옥수수의 경우 일부 수입국들이 남아공, 남미, 동 유럽산으로 수출시장을 다변화하고 있기는 하지만 획기적인 생육조건의 개선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만큼 당분간 미산 옥수수 가격은 강세를 유지해 나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강세 요인 - 미국 중서부 지역의 건조기후 - 중국의 옥수수 수입 예상 - 남미의 옥수수 생산 감소 - 타이트한 미산 옥수수 수급 상황 - 지속적인 에탄올 수요 약세 요인 - 유로 존 경제위기에 따른 수요 위축 - 미산 중서부 지역의 강우 예보 - 남미, 동유럽 옥수수 수출 증가 - 27 -

사료용 소맥 지난해 이후 식용소맥의 안정적인 재고율과 유로 존 경제위기에 따른 경기 침체우려로 약세를 보이면서 식용소맥과 함께 상대적으로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던 사료용 소맥도 금년 들어 옥수수 가격과의 가격 갭이 좁혀지면서 상승세를 보이다가 옥수수 가격 하락에 연동하며 일시적으로 약세를 보이는 듯 했으나 최근 미국, 러시아의 가뭄 피해가 가시화되고 사료용 소맥의 재고가 소진되면서 오퍼가 끊긴 가운데 강세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이 같은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임 강세요인 - 사료용 소맥의 수출 재고 소진 - 미중서부 지역의 건조기후 - 상대적인 저가로 인해 사료용 소맥 수요 증가 약세요인 - 유로 존 경제위기로 인한 수요 위축 - 안정적인 세계 소맥 재고수준 유지 대두 및 대두박 지난해 말 이후 중국의 대두 수입이 정체되고, 유로 존 재정위기 여파와 세계 경기 침체 우려가 재현되면서 비교적 안정적인 가격추세를 이어왔으나 금년 들어 남미 지역의 가뭄으로 인한 대두 생산 감소와 금년도 대두 파종면적의 감소 등으로 강세현상을 보여 왔고 최근 미 중서부지역의 가뭄피해가 심각 해지면서 금년도 미국의 대두 생산량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당분간 강세현상이 지속될 전망임 또한 대두박 가격도 남미의 가뭄으로 인한 수급불안정과 미국 축산업의 회복 으로 인한 수요의 증가로 강세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강세요인 - 미 중서부 지역의 건조기후 - 중국의 지속적인 대두 수입 - 남미 지역의 선적 지연 - 타이트한 미산 대두 수급 상황 - 28 -

약세요인 - 유로 존 위기와 글로벌 경기 후퇴 - 중국의 긴축정책에 따른 수요위축 사료 원료 가격이 금년 상반기까지만 해도 비교적 안정적인 시세를 유지해 왔으나 6월말 이후 하반기로 접어들면서 미국 중서부의 기상여건이 악화되면서 곡물 시장상황이 급변하며 전반적으로 강세를 보이면서 당분간 강세현상을 지속해 나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해상운임도 최근 소폭의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 지난해부터 BDI가 2173 포인트를 고점으로 하락세를 지속해 오며 2012년 들어서도 급락을 거듭해 오다 금년 2월 3일에는 25년만의 최저치인 647 포인트까지 하락한 후 다시 회복세를 보이며 7월13일 현재 1113포인트를 기록하면서 파나막스급 해상운임은 7월 13일 현재 미국 서해안(PNW)기준 으로 27불 미국 걸프기준으로 49불을 보여주고 있음 연초부터 BDI 및 해상운임의 급락세가 지속되어 왔으나 2/4분기 들어 BDI 및 해상운임이 일시적인 반등세를 보인 후 5월 중순 이후 다시 중국의 수요 감소, 유가 하락의 운임시장 반영, 대서양 수역으로의 유입되는 선박증가로 인해 지속된 선복과잉현상이 미국 걸프 지역까지 확산되면서 파나막스급 선형을 중심으로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7월 들어 남미지역의 선적항 정체현상으로 인해 이용가능한 선복량이 감소하고 중국의 석탄수송 수요가 증가하면서 소폭의 상승세를 보이며 당분간 해상운임은 안정적인 추세가 유지될 전망임 - 29 -

표 1. 12/13년 세계 곡물 수급전망 (USDA, 7월 11일 발표) (단위 : 백만톤, %) 구 분 생산량 총소비량 국내소비 수출 재고량 재고비율 12/13.7(A) 1183.64 1180.91 124.89 165.49 12.7 12/13.6(B) 1231.60 1206.23 132.41 187.74 14.0 세 계 11/12(C) 1145.68 1145.25 125.34 162.76 12.8 조 곡 증감율(A/B) -3.9-2.1-5.7-11.9 증감율(A/C) 3.3 3.1-0.4 1.7 12/13.7(A) 905.23 900.51 98.30 134.09 13.4 12/13.6(B) 949.93 923.39 105.32 155.74 15.1 세 계 11/12(C) 873.70 868.64 98.84 129.37 13.4 옥수수 증감율(A/B) -4.7-2.5-6.7-13.9 증감율(A/C) 3.6 3.7-0.5 3.6 12/13.7(A) 329.45 282.46 40.64 30.05 9.3 12/13.6(B) 375.68 301.64 48.26 47.78 13.7 미 국 11/12(C) 313.92 279.54 40.64 22.94 7.2 옥수수 증감율(A/B) -12.3-6.4-15.8-37.1 증감율(A/C) 4.9 1.0 0.0 31.0 12/13.7(A) 665.33 680.06 134.71 182.44 22.4 12/13.6(B) 672.06 681.87 135.42 185.76 22.7 세 계 11/12(C) 694.69 694.74 150.40 197.18 23.3 소 맥 증감율(A/B) -1.0-0.3-0.5-1.8 증감율(A/C) -4.2-2.1-10.4-7.5 12/13.7(A) 183.50 180.83 60.16 8.59 3.6 12/13.6(B) 184.80 182.04 60.43 8.31 3.4 세 계 11/12(C) 177.37 175.76 59.78 7.80 3.3 대두박 증감율(A/B) -0.7-0.7-0.4 3.4 증감율(A/C) 3.5 2.9 0.6 10.1 12/13.7(A) 34.78 27.58 7.35 0.27 0.8 12/13.6(B) 35.50 28.03 7.62 0.27 0.8 미 국 11/12(C) 36.74 28.53 8.44 0.27 0.7 대두박 증감율(A/B) -2.0-1.6-3.5 0.0 증감율(A/C) -5.3-3.3-12.9 0.0-30 -

표 2. 국제사료곡물 가격동향 (단위 : C&F, US$/MT) 품 목 7월13일 현재(A) 전월평균 (B) 전년동월 (C) 가격변동률(%) A/B A/C 옥수수 (미국산) 사료용소맥 (WORLD-WIDE) 대 두 (미국산) 대두박 (미국산) FOB 334.00 266.00 318.00 25.6 5.0 CNF 383.00 315.00 370.00 21.6 3.5 FOB 276.00 221.00 212.00 24.9 30.2 CNF 325.00 270.00 264.00 20.4 23.1 FOB 609.00 546.00 543.00 11.5 12.2 CNF 658.00 595.00 595.00 10.6 10.6 FOB 561.00 492.00 413.00 14.0 35.8 CNF 610.00 541.00 465.00 12.8 31.2 표 3. 선임동향 (단위 : US$/MT) 구 분 7월13일 현재(A) 전월평균 (B) 전년동월 (C) 가격변동률(%) A/B A/C PNW(미국 서해안) 27.00 25.00 28.00 8.0-3.6 * PANAMAX 급 기준 GULF(미국 걸프) 49.00 49.00 52.00 0.0-5.8 표 4. 미국곡물작황동향 (단위 : %) 구 분 2012.7.8 2012.7.1 2011.7.8 2007-2011 평균 옥수수 SILKING 50 25 11 19 대 두 BLOOMING 44 26 17 25 표 5. 미국곡물품질상황 옥수수 대두 품 목 VERY POOR POOR FAIR GOOD EXCELLENT 2012.7.8 12 18 30 34 6 전주 7 15 30 40 8 전년 3 6 22 52 17 2012.7.8 9 18 33 35 5 전주 7 15 33 39 6 전년 2 6 26 52 14-31 -

국제 곡물 선물시장동향 7월 시황 작성자 : 유태원 위원 n 건조한 기후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며 상승 월초 EU정상회담에서 스페인 등의 재정위기 해결을 위한 대책에 대한 합의가 이뤄진 가운데, 미국의 경제지표 둔화 속의 3차 양적완화 단행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 증가 등 으로 상승 분위기가 커졌다. 펀더멘털 요인으로는 6월말 주요 곡물들의 재배면적 확대 발표에도 불구하고 건조한 기후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며 작물 재배환경의 악화가 지속되고 있어 곡물가격 상승압력을 가중시킨 모습을 보였다. 옥수수는 날씨 우려가 가중되며 상승세를 나타낸 가운데 미국 중서부 대부분 지역이 섭씨 38도를 넘는 매우 높은 기온을 기록하였다. Corn Belt지역의 건조한 날씨와 생산량 감소 우려 속에 상승폭을 키웠다. 옥수수와 생산지역이 겹치는 대두 또한 건조한 날씨로 인한 생산 감소의 우려 속에 상승하였다. 소맥 역시 건조한 기상상황으로 최근 14개월내 최고치를 갱신한 모습을 보였다. 미국 최대 소맥생산지역인 North Dakoda 지역은 2주 넘게 강우소식이 없는 상황이고 향후 이러한 건조한 날씨가 지속될 경우 good-to-excellent rating은 77%에서 71%로 하락하며 향후 이러한 상황이 지속될 것 으로 애널리스트들은 예상하고 있다. 월 중반에 접어들면서 옥수수는 USDA의 올해 수확 물량 감소 예상발표로 상승하였 으나 일부 Corn Belt지역 비소식과 이로 인한 차익실현 물량으로 조정장세를 나타내 기도. USDA는 단위 면적당 수확물량은 기존대비 20부셀/에이커 감소한 146부셀/ 에이커로 발표했으며 이는 최근 가뭄의 영향을 반영한 수치로 예상보다 크게 감소한 예상치였다. 하지만 National Weather Service는 향후 미국 루이지애나에서 오하이오에 이르는 지역에 소량을 비가 내려 다소 상승폭을 제한하기도. 소맥은 캔자스 지역의 생산물량 증가 예상과 함께 최근 지속된 가격상승이 결국 수요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에 조정세를 보였으나 생산물량이 예상보다 낮을 것이라는 USDA의 영향으로 조정폭은 크지 않았다. 이후 옥수수는 건조한 기상 상황으로 10개월 최고치를 경신 하였다. 최근 가격급등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은 건조한 날씨가 옥수수의 생산저하로 이어질 것이라며 매수포지션을 확대하고 있는 모습이다. A/C Trading은 기상악화로 옥수수 생산이 하루가 다르게 감소하고 있으며 마켓가격에 수급위험이 반영되고 있다고 보고 있다. 대두는 미국의 생산량 감소로 브라질은 올해 생산분의 96%를 판매 - 32 -

완료한 것으로 집계됐다. 소맥은 미 대평야 지역의 건조한 날씨와 러시아 생산이 감소 할 것이라는 분석에 17개월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처럼 글로벌 주요 생산지역에 지속되는 날씨가 소맥생산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어 향후 소맥의 추가상승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한편, 올해 중국 소맥 수입은 57.5~58mln톤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월말 곡물시장은 지속된 기상이슈로 상승세가 지속되었다. National Ocean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s은 예년보다 더운 날씨가 10월까지 지속될 것이며 엘리뇨 현상까지 발생할 경우 건조한 날씨가 2012년 말에도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에 Common Wealth of Australia는 심각한 가뭄피해로 하반기 옥수수 평균 가격이 $8.15를 기록할 수 있다고 전망하기도. 대두는 미국을 포함한 주요 생산국들의 가뭄에 대한 우려로 상승세가 지속되었다. 일부에선 올해 아르헨티나 대두수확은 40.1mln톤으로 18% 감소했다고 전하고 있다 8월 전망 n 단기 급등에 따른 차익매물 출회가능성 등으로 상승폭 제한 미국내 경제지표가 아직 견조한 가운데 추가 양적완화에 대한 가능성이 낮아질 경우 시장의 조정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이며 기술적으로도 주요 곡물 모두 단기 과매수 국면에 진입해 있어 차익실현 물량 출회 가능성에는 주의할 필요가 있다. 특히 최근 식량농업기구(FAO) 사무총장이 곡물작황 상황이 더 나빠지면 연내 식량안보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정상 회의를 소집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곡물시장의 급등가능성을 언급하였다. 미국 해양 대기청(NOAA)는 오는 10월가지 미국 남서부, 중서부 및 동부해안 지역에 고온 현상과 이로 인한 가뭄이 계속될 것이라고 예측함에 따라 기상상황에 따른 상승세는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유례없는 폭염으로 텍사스주, 콜로라도, 미주리, 플로리다, 아칸소, 인디애나 등이 피해를 보고 있으며 곡물파동이 일어났던 2007~2008년보다 상황을 더 안 좋은 것으로 보고 있다. 향후 기상학자들은 미국 옥수수 및 대두지역의 절반이상이 향후 2주 이상 가뭄을 겪을 것이라고 경고하면서 곡물 중개상들은 옥수수 예상 수확량을 8~15%가량 낮추고 있다. 이 같은 전망에 따라 일부 애널리스트들은 8월 중 부셀당 9달러를 전망하기도. 다행히 국제 곡물가격에서 운임비 부담이 적고 미 달러가 강세기조를 유지하고 있어 추가상승은 제한받을 수 있겠으나, 곡물시장의 참여자들이 대부분 현물 헤지업체들이기 때문에 현재의 수급상황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급등에 따른 급락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고 현재의 가격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 33 -

<옥수수 선물 Forward Curve> <대두 선물 Forward Curve> Wheat Spec Position Soybean Spec Position Corn Spec Position - 34 -

국제 원자재시장 동향 작성자 : 오정석 위원 시장 동향 농산물 가격 급등 속 국제원자재지수 2개월 연속 반등(~7/19일) - S&P GSCI, 7/19일 현재 654.73으로 전월말 대비 9.2% 상승(6월 등락률 +0.5%). CRB지수는 같은 기간 중 7.3% 상승(6월 등락률 +4.1%) 미국 등 가뭄 지속에 따른 주요 곡물가격 급등과 중동지역 지정학적 리스크 고조를 배경으로 한 에너지 가격 반등 등에 주로 기인 - S&P GSCI 부문별로는, 농산물(+19.8%)이 큰 폭으로 상승한 가운데 에너지 (+9.1%)와 금속(+1.0%)도 상승. 반면 귀금속(-1.2%)과 축산물(-4.2%)은 하락 품목별로 소맥, 옥수수, 아시아휘발유, 대두, 두바이유 등이 두 자리 수 상승률 기록. 구리는 강보합세를 나타낸 가운데 면화, 금, 니켈 등은 하락 - 아시아 휘발유 가격, 7/19일 배럴당 119.35달러로 전월말 대비 17.9% 상승. 두바이유 및 브렌트, WTI는 전월말에 비해 각각 10.5%, 10.2%, 9.1% 상승. 천연가스는 7월 들어 6.2% 상승하며 4개월 연속 상승 - 농산물에서는 소맥(+26.5%), 옥수수(+20.1%), 대두(+14.6%)가 큰 폭으로 상승한 가운데 커피(+10.6%), 원당(+6.6%)도 상승. 반면 면화(-0.5%)는 약보합 - 금속에서는 납(+3.7%), 알루미늄(+1.7%), 구리(+0.6%)는 소폭 상승, 니켈 (-4.0%)은 약세. 금 가격은 1% 하락하며 온스당 1,600달러를 하회 <국제원자재 가격지수 추이> 800 S&P GSCI(좌) CRB 지수(우) 380 750 360 700 340 320 650 300 600 280 550 Jan-11 Mar-11 May-11 Jul-11 Sep-11 Nov-11 Jan-12 Mar-12 May-12 Jul-12 260-35 -

- 36 -

주요 이슈 ESM 출범 예정, 그러나 단기간 내 유럽 우려를 불식시키에는 역부족 평가 - 7~8월 중 항구적 유로존 구제기금인 ESM이 출범하며 EFSF를 대체할 예정 각국 의회의 승인 지연으로 당초 예정 보다는 지연. 獨 헌법재판소의 ESM 위헌 여부 소송(9/12일 판결 예정)이 변수이나 기각될 것이라는 의견 우세 - ESM이 출범해도 유통시장에서 재정위기국 국채의 직접 매입 여부가 합의 되지 않았고, 스페인/이탈리아로의 위기 확산 시 대출여력 부족, ESM 운영에 대한 각국간 이견 등으로 재정위기 전염 차단을 위한 방화벽으로서의 신뢰 확보가 단기적으로는 쉽지 않을 전망 - 한편 7월 들어 유럽 재정위기는 靜 中 動 상황 유럽 재무장관회의에서 스페인에 대한 지원 합의(이번달 말까지 300억 유로 지원, `13년 중반까지 3번 추가 지원), 그리스 향후 2년간 115억 유로 규모 긴축방안 트로이카와 논의 예정, 무디스 伊 국가신용등급 및 13개 은행 신용등급 강등, 스페인 5월 은행 부실자산비율 18년래 최고 등 퍼펙트 스톰(Perfect storm)에 대한 우려 점증 - 유럽 재정위기 및 긴축 지속, 中 印 브라질 등 신흥국 성장 둔화, 美 경기지표 부진 등 세계경제가 `08년보다 심각한 상황이며 퍼펙트 스톰이 현실화될 것 이라는 우려의 목소리 점증(IMF 금년 및 내년 세계 성장 전망 하향조정) - 美 : 미시간 大 7월 소비자신뢰지수 전월 대비 하락, ISM 6월 제조업지수 `09년 7월 이래 최저, 6월 비농업부문 고용 예상 하회. 다만 5월 신규주택판매는 호조 - 유럽 : 6월 경기신뢰지수 `09년 10월 이래 최저, 5월 실업률 11.1%(`95년 조사 이래 최고), 獨 5월 소매판매 전월대비 감소 및 6월 기업신뢰지수 `10년 3월 이래 최저 등 - 中 : 2분기 성장률 7.6%(3년래 최저), 6월 HSBC 제조업 PMI 8개월 연속 기준치 (50) 하회 등 주요국 경기부양 노력 - 유럽 : ECB 기준금리 1% 0.75%로 인하(연내 1차례 추가 인하 전망), 은행의 ECB 예치금리 0.25% 0%로 인하, 英 BOE 자산매입 프로그램(양적완화) 규모 500억 파운드 증액, EU 정상회의에서 1,200억 유로 재원을 조성하여 성장과 고용촉진 등에 투입키로 결정 - 37 -

- 中 : 인민은행, 대출금리 6.31% 6.0%로 인하(1개월 만에 추가 인하). 지준율 추가 인하 가능성 대두. 원자바오 총리 소비촉진, 수출 다원화, 투자 확대를 통한 성장 유지 천명 - 美 : 버냉키 의장 QE3에 대한 직접 언급은 없었으나, 필요 시 추가 부양조치를 취하겠다는 입장 천명 주요 금융지표, 중심국은 호전/위기국은 악화 - 7월 주요국 주가는 미국 및 유럽, 英, 獨, 佛 은 상승한 반면 스페인과 이탈 리아는 하락(~7/19일, 美 다우 +0.5%, 유럽 +1.7%, 英 +2.6%, 佛 +2.1%, 獨 +5.3%, 스페인 -6.6%, 伊 -4.3% 등) - 유럽 주요국 CDS 프리미엄도 중심국과 위기국 간 다른 움직임( 佛 6월말 188.5 7/19일 166.22, 獨 101.56 74.50, 伊 483.8 505.285, 스페인 526.06 580.165). 동유럽(폴란드, 헝가리, 체코)은 안정세 지속 - 달러Libor 최근 소폭 하락(6월말 0.46060 7/19일 0.45310). VIX(공포지수)는 6월말 17.08 7/19일 15.45 - 주요국 국채금리(10년물), 스페인은 구제금융 신청 마지노선으로 여겨지는 7%를 재상회(6월말 6.329 7/19일 7.046), 이탈리아(5.819 6.011)도 상승, 독일 (1.583 1.223)은 사상 최저 수준 전망 유럽 재정위기와 세계 경기둔화 조짐 등 거시경제 여건이 국제원자재 가격에 전반적인 하락압력으로 작용할 전망 다만, 유가의 경우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금속은 中 경기부양 가능성 등이 상존하고 있어 기술적 차원에서의 반등이 가능한 상황인 것으로 평가 - 곡물의 경우 가뭄이 지속될 경우 `12/`13년 생산이 크게 차질을 빚고 가격 상승세도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 다만 단기 급등 여파로 조정 가능성도 대두 되고 있으며 기후여건 호전시 투기세력들의 급격한 이탈과 가격의 급락 반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38 -

국제 석유시장 동향 작성자 : 오세신 위원 1. 국제유가 동향 유로존 재정위기 심화 및 경기침체 확산으로 세계 석유수요가 급감할 것이란 기대감이 석유시장을 지배하면서 6월까지 국제유가는 큰 폭의 하락세를 나타내었다.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 가능성, 스페인과 이탈리아의 경기침체 및 디폴트 가능성, 그리고 이란 핵협상 지속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 감소 등이 유가 하락의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6월 17일 그리스 2차 총선에서 시리자(좌파연합)당이 우세할 것이란 예상을 깨고 신민당이 1당으로 등극, 사회당과의 연립정부 구성에 성공하면서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 우려가 해소되고, 6월 18일과 19일 개최된 이란과 P5+1 간 핵협상이 타결에 실패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유로존의 경기침체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이는 한편 7월 초에 개최되는 실무 핵협상에 기대감을 표시함에 따라 유가 하락압력은 계속 되었다. 이에 따라 6월 22일 두바이 원유가는 배럴 당 89.15달러로 2010년 12월 31일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란의 원유수출에 대한 서방국가들의 제재가 현실화되고 노르웨이 국영석유회사 Statoil의 석유노동자들이 파업에 돌입 하는 등 공급불안이 커진 가운데 EU 정상회담에서 유럽은행들에 대한 금융지원 방안에 대한 합의가 도출되면서 국제유가는 상승세로 다시금 전환되었다. 7월 초 이란 핵협상의 실무회담이 진전 없이 종료되고 이란의 미사일 시험발사 및 미국의 이란 추가제재 발표로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지면서 유가의 상승폭은 더욱 커졌다. 두바이 원유가는 6월 29일 배럴 당 92.89달러에서 7월 3일에는 95달러를 돌파했으며 7월 17일에는 100.86달러를 기록하여 40여일 만에 100달러를 회복하였다. < 국제 원유가격 추이 > [$/bbl] 유 종 2011년 2012년 1/4 2/4 3/4 4/4 평균 1/4 2/4 7월 평균 두바이 100.8 110.4 107.0 105.5 106.0 116.4 106.2 97.8 109.9 Brent 105.6 117.2 112.8 107.7 111.1 118.5 108.4 101.3 112.4 WTI 94.6 102.6 89.5 98.7 95.1 103.1 93.3 87.0 97.1 주: 2012년 7월 평균가격은 7월 19일까지 입력된 가격 기준임. 자료: 한국석유공사, 석유정보망 (www.petronet.co.kr) - 39 -

< 국제 원유가격 추이 (2012년 1월~) > 2. 세계 석유 수급구조 IEA의 7월 석유시장보고서(Oil Market Report)에 따르면 2012년 1분기 세계 석유 수요가 전년 동기대비 0.4백만b/d 증가한 89.4백만b/d를 나타낸 반면 2분기에는 88.8백만b/d로 전년 동기대비 0.9백만b/d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유로존 경기침체와 고유가에도 불구하고 2분기 석유수요 증가세가 확대된 것은 지난해 2분기 석유수요가 세계 경기둔화로 줄어든데 따른 기저효과로 해석된다. 2분기 OECD의 석유수요는 전년 동기대비 0.2백만b/d 감소한 44.4백만b/d인 반면 비OECD 석유수요는 전년대비 1.1백만b/d 증가한 역시 44.4백만b/d를 기록 하였다. OECD에서는 북미와 유럽지역이 고유가와 유로존 사태 여파로 석유수요가 각각 0.2백만b/d와 0.5백만b/d 감소한 반면 태평양 지역의 석유수요는 일본의 원전가동 전면 중단에 따른 석유화력발전 가동 확대로 전년 동기대비 0.5백만 b/d 증가하였다. 비OECD에서는 석유수요 증가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증가폭이 둔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중국이 전년 동기대비 0.2백만b/d 증가하는데 그쳤으며 인도도 증가세가 0.1백만b/d 수준으로 둔화되었다. 중동과 구소련 지역에서 석유수요가 각각 0.2 백만b/d의 증가세를 나타낸 가운데 러시아의 석유수요는 2분기에 0.2백만b/d 증가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세를 실현하였다. - 40 -

2012년 세계 석유수요는 전년 동기대비 0.8백만b/d(0.9%) 증가한 89.9백만b/d로 전망되었다. OECD 지역이 전년대비 0.5백만b/d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어 전월 전망치 대비 0.1백만b/d 감소하였으며, 비OECD 지역의 석유수요는 전년대비 1.2백만b/d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어 전월 전망치를 유지하였다. OECD에서는 북미 지역의 석유수요가 0.3백만b/d 감소하고 유럽지역이 0.4백만b/d 감소하는 것으로 예상된 반면 태평양지역은 최근 일본 오이 원전 재가동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원전가동이 중단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0.2백만b/d 증가 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비OECD 지역에서는 중국, 인도 등을 포함한 아시아 석유 수요 0.6백만b/d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고유가의 영향으로 재정수입이 증가한 중동, 남미, 구소련이 각각 0.2백만b/d의 석유수요 증가폭을 실현할 것 으로 전망되었다. < 세계 석유수요 동향 및 전망 > (단위: 백만b/d) 2010년 2011년 2012년 연간 증감 1/4 2/4 3/4 4/4 연간 1/4 2/4 3/4p 4/4p 연간p '11년 '12년p 북미 23.8 23.9 23.4 23.6 23.5 23.6 23.1 23.2 23.6 23.5 23.3-0.2-0.3 유럽 14.6 14.2 14.1 14.7 14.1 14.3 13.7 13.6 14.3 14.0 13.9-0.3-0.4 태평양 7.8 8.3 7.1 7.7 8.3 7.9 8.8 7.6 7.8 8.2 8.1 0.0 0.2 OECD계 46.3 46.4 44.6 46.0 45.9 45.7 45.5 44.4 45.6 45.7 45.3-0.5-0.4 아시아 19.6 20.3 20.3 19.8 20.7 20.3 20.8 20.8 20.5 21.4 20.9 0.7 0.6 중국 9.0 9.4 9.4 9.2 9.6 9.4 9.7 9.6 9.6 10.1 9.8 0.4 0.4 중동 7.7 7.5 7.9 8.3 7.8 7.9 7.7 8.1 8.5 8.0 8.1 0.2 0.2 남미 6.4 6.4 6.6 6.8 6.7 6.6 6.6 6.7 6.9 6.8 6.7 0.2 0.2 구소련 4.3 4.3 4.5 4.7 4.7 4.5 4.6 4.7 4.8 4.8 4.7 0.2 0.2 아프리카 3.4 3.4 3.4 3.2 3.4 3.3 3.5 3.5 3.4 3.5 3.4-0.1 0.1 유럽 0.7 0.7 0.7 0.8 0.8 0.7 0.7 0.7 0.8 0.8 0.8 0.0 0.0 비OECD계 42.1 42.6 43.3 43.5 44.0 43.4 43.9 44.4 44.8 45.2 44.6 1.2 1.2 전 세계 88.4 89.0 87.9 89.6 89.9 89.1 89.4 88.8 90.4 90.9 89.9 0.7 0.8 주: p는 전망치임. 자료: IEA Monthly Oil Market Report, 2012년 7월호 2012년 6월 세계 석유공급은 90.39백만b/d로 전월의 90.92백만b/d보다 53만 b/d 감소하였다. NGLs를 포함한 OPEC의 석유공급은 37.90백만b/d로 전월보다 14만b/d 감소 하였으며 이는 OPEC 원유생산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NGLs 생산은 전월과 같은 - 41 -

수준을 유지하였다. 이 가운데 이란의 원유생산이 미국과 EU의 이란 원유제재의 영향으로 전월보다 10만b/d 감소하였으며 2011년 생산량보다는 48만b/d 줄어 들었다. 비OPEC 석유공급은 52.48백만b/d로 전월 대비 40만b/d 감소하였다. 시리아와 예멘에서의 정정불안에 따른 석유생산 감소와 남수단의 수단과의 석유분쟁에 따른 석유생산 중단 등도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북해에서 노르웨이 석유노조 파업에 및 예방정비에 따른 생산차질이 비OPEC 공급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에 따라 2분기 세계 석유생산은 90.83백만b/d를 기록해 1분기보다 12만b/d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OPEC 공급은 전 분기대비 62만b/d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OPEC 공급은 전 분기보다 51만b/d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대조를 보였다. < 세계 석유생산 추이 > (단위: 백만b/d) 2011 2012 1/4 2/4 4월 5월 6월 OPEC 35.61 37.36 37.98 38.00 38.04 37.90 원유생산 29.83 31.31 31.85 31.87 31.91 31.77 사우디 9.04 9.65 9.78 9.80 9.70 9.85 이란 3.58 3.32 3.27 3.30 3.30 3.20 이라크 2.67 2.69 2.92 2.92 2.94 2.91 UAE 2.50 2.61 2.65 2.64 2.65 2.66 쿠웨이트 2.24 2.42 2.45 2.44 2.44 2.46 중립지역 0.59 0.60 0.60 0.60 0.60 0.60 카타르 0.74 0.75 0.74 0.75 0.75 0.73 앙골라 1.66 1.77 1.74 1.77 1.80 1.65 나이지리아 2.18 2.06 2.16 2.15 2.16 2.16 리비아 0.46 1.30 1.41 1.40 1.42 1.41 알제리 1.18 1.16 1.16 1.14 1.18 1.16 에콰도르 0.50 0.48 0.48 0.48 0.48 0.48 베네수엘라 2.50 2.51 2.50 2.49 2.49 2.51 NGLs 5.78 6.05 6.13 6.13 6.13 6.13 비OPEC 52.75 53.36 52.85 53.19 52.88 52.48 총 생산 88.36 90.71 90.83 91.19 90.92 90.39 자료 : IEA Oil Market Report, 2012년 7월호 3. 국제 석유시장 전망 7월 4일 개최된 이란 핵협상의 실무회담에서 이란의 20% 농축우라늄 확보에 대한 합의에 실패하였을 뿐 아니라 차기 협상일정을 구체화하지도 못했다. 이로 - 42 -

인해 4월 이후 완화되었던 지정학적 긴장감이 다시금 고조되고 있다. 최근 이란 의회에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하는 법안이 제출된 것을 비롯해 이란 혁명수비대가 미사일 시험발사를 하며 긴장감을 조성하고 있으며, 미국은 이란의 원유수출 여지를 없애기 위해 국영이란유조선회사(NITC)에 대한 제재까지 추가하며 이란을 압박하고 나서고 있다. 이에 따라 이란과 서방과의 관계는 당분간 거리를 좁히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까지 이란 핵협상 일정을 구체화하지 못 하고 있는 것도 지정학적 불안을 높이는 요인이다. 비록 올해 상반기까지 석유 시장의 공급초과 상황이 지속됨에 따라 공급부족에 따른 유가폭등 가능성은 낮아 보이나 지정학적 요인이 투기세력의 결집을 도울 수 있다는 점에서 국제 원유가는 단기적으로 상승압력을 받을 수밖에 없다. 다만 유로존 문제가 여전히 높은 불확실성을 앉고 있다는 점이 국제유가의 방향전환에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EU가 유럽은행과 스페인 등에 유동성을 지원하기로 합의한 것이 지정학적 리스크의 상승과 함께 석유시장에서 단기적인 호재로 작용하였다. 하지만 그리스, 스페인, 이탈리아 등이 경제회생을 위한 성장 동력을 회복할 수 있는가가 근본적인 질문이란 점에서 유로존 사태는 장기화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최근 지정학적 우려에도 불구하고 국제유가가 올해 1분기처럼 또 다시 120달러 대로 상승하기 어려운 이유가 여기에 있다. 따라서 당분간 석유시장에는 지정 학적 우려와 유로존 이슈가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하며 널뛰기를 하듯 역학관계를 유지함에 따라 국제유가의 등락이 반복되는 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6월 14일 OPEC 정기총회가 개최된 가운데 회원국들은 OPEC 전체 원유 생산한도를 지난해 12월에 결정한 30.0백만b/d 수준으로 동결하는데 합의하였다. 그러나 실제 내용을 들여다보면 2분기 OPEC 원유생산량이 31.9백만b/d로 생산 쿼터를 이미 1.9백만b/d 초과하고 있어 사우디와 쿠웨이트 등 과도하게 생산하고 있는 회원국들에게 생산을 줄이도록 주문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국제 원유가가 상승세로 전환되었고 OPEC의 감산요구에 직면하고 있는 사우디, 쿠웨이트, UAE 등 OPEC 온건파들이 미국과의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들 국가가 감산에 적극적으로 나서기는 어려워 보인다. 따라서 하반기에 초과공급은 크게 줄겠으나 전반적인 석유수급에는 큰 차질이 없을 것 으로 예상된다. - 43 -

해상운임 동향 작성자 : 최종희 위원 제1절 건화물선 해상운임 전망 1. 최근 시황 1) 2012년 7월 19일 현재 건화물선 시황은 1,053포인트를 기록, 이는 전월(6월 18일 954포인트) 대비 99포인트 상승하였지만, 지난주 대비 72포인트 운임이 하락하였음 2012년 전체 건화물 물동량은 전년 대비 4% 증가한 38억 7,800만 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호주의 철광석 기업(Rio Tinto, BHPB 등)의 운송수요가 꾸준히 나타나는데도 불구하고, 케이프 선형의 운임이 하락함 - 이는 선박과잉으로 수급불균형이 심각한 상황에서, 운임이 일시적으로 운항 비용을 상회하자 일부 숨어있던 선박 (hidden tonnage)이 시장에 유입되면서 운임이 지속 상승하지 못하고 하락 반전했기 때문임 수프라막스 선형은 대서양 수역(북부 미국 걸프만, 남부) 모두에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화물운송 수요 부족으로 추가적 하락이 불가피 한 것으로 보도되고 있음 - STX 팬오션의 Vale Beijin 차이나막스급 선박이 진해 조선소에서 수리를 마치고, 브라질 항로에 재투입되었으며, Vale사의 차이나막스급 선박운용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브라질 항로의 선복과잉으로 운임회복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임 중국의 6월 철광석 수입물동량이 5,830만 톤으로 발표되어, 지난달 대비 1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6월 호주의 중국 수출 철광석이 4.4% 감소, 브라질 또한 3.4% 감소하여 중국의 철광석 수입물동량이 감소하는 추세로 보고되고 있음 - 44 -

- 이 같은 중국 철광석 수입물동량 감소는 중국 정부의 인프라 투자 및 경기 부양책에도 불구하고 철강산업의 수요가 둔화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됨 - 호주(철광석, 석탄), 브라질(철광석) 수요부족이 대형선에 악영향을 미치고, 인도네시아(석탄), 인도(철광석) 수요부족이 수프라막스급 선형에 악재로 작용 하고 있음 노르웨이 투자은행인 Arctic Securities는 건화물선 활용도(utilization rate)가 올해 가장 낮게 기록될 전망이며, 2013년, 2014년에 반전은 되겠으나, 본격 적인 시황회복으로 이어지기는 어렵다는 보고서를 발표했음 - 최근의 신조발주 정체가 지속될 경우에는 2015년부터 건화물선 운임시황의 회복이 가능하다고 판단됨 - 조선소의 일감부족으로 에너지 효율성과 환경친화성을 갖춘 신조발주 요구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어, 잠재적인 시황회복의 걸림돌이 될 수 있을 것이 라고 밝힘 <그림 1-1> 최근 1년간 건화물선 운임지수 변동 추이 자료 : Baltic Exchange 주 : Baltic Dry Index(BDI), Baltic Capesize Index(BCI) : 165,000DWT, Baltic Panamax Index(BPI) : 70,000DWT, Baltic Supermax Index(BSI), Baltic Handysize Index(BHSI) : 49,000DWT - 45 -

<그림 1-2> 건화물선 용선료 변동 추이 자료 : Clarkson <표 1-1> 건화물선 운임지수 및 용선료 변동 추이 운임지수 용선료 (1년,$/day) 구 분 금주 ( 12.7.18) (전주비) ( 12.7.11) 2012년 2011년 최저 최고 평균 최저 최고 평균 BDI 1,074 (-47) 647 1,624 959 1,043 2,173 1,549 BCI 1,286 (-66) 1,138 2,955 1,492 1,281 3,725 2,237 BPI 1,206 (19) 681 1,738 1,103 1,296 2,132 1,749 BSI 1,239 (-55) 600 1,300 979 1,086 1,612 1,378 Capesize 10,875 (-625) 9,000 13,500 10,156 10,000 17,250 13,145 Panamax 9,875 (125) 9,500 12,000 10,737 11,875 18,500 14,705 handymax 9,250 (-) 8,000 10,500 9,214 10,000 13,750 12,294 신조선박(백만 $) Panamax 27.25 (-) 27.3 29.0 27.7 29.0 34.5 32.0 중고선박(5년) Panamax 23.5 (-) 22.0 27.5 24.4 26.5 36.0 31.2 2) 2012년 건화물선 해운시장의 특징 7월 20일 현재 2013년 평균 운임이 케이프 11,917달러/일, 파나막스 9,271 달러/일, 수프라막스 9,871달러/일, 핸디사이즈 8,488달러/일을 기록함 - 7월 20일 현재 현물 평균운임이 케이프 3,486달러/일, 파나막스 8,699달러/일, 수프라막스 11,980달러/일, 핸디사이즈 10,111달러/일인 점을 감안하면 향후 케이프 8,431달러/일, 파나막스 572달러/일 정도 상승 여력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수프라막스 2,109달러/일, 핸디사이즈 1,623달러/일 정도 하락할 것 으로 전망되고 있음 - 46 -

연초의 남반구 홍수 및 사이클론 피해, 지속되는 유로존 재정위기에도 불구 하고 중국 철광석 수입물동량은 5월까지 월평균 6,174만 톤을 기록하는 등 중국 철광석 수입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음 - 이는 지난해 월평균 5,723만 톤보다 약 8% 많은 수준임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 중국의 철광석 수입물동량은 월평균 2,300만 톤 가량 증가한 것(3,133만 톤 5,470만 톤)으로 보이며, 이 같은 요인이 특히 케이프 등의 대형선 시장의 선박공급압박을 상당수 흡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 중요 석탄 수출국인 인도네시아 물동량 또한 견조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음 선박공급 과잉 시기의 저점은 확인한 것으로 판단되지만, 향후 2년 정도는 피할 수 없는 과잉선박문제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 2012년 전 선형에 걸쳐 높은 인도비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 제2절 정기선 해상운임 전망 1. 정기선(컨테이너선) 최근 시황 1) 최근 들어 선사들의 운임 인상계획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으며, 컨테이너 운임지수인 CCFI는 전주 대비 1포인트 하락한 1,314포인트로 사상 최고치를 지속적으로 갱신하고 있음 유럽항로에서 운임인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운임지수상으로는 2010년 8월 호황기 최고인 1,215포인트를 상회하였음 유럽항로 및 미주항로 모두 운임이 상승세를 타고 있으며, 피크시즌 물동량 증가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실망감도 큰 상황이나 선사들은 8월 중 운임 인상을 추진하고 있음. 머스크 및 CKYH 등 주요 선사들은 선복량 조절을 위한 선대 조정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음 - 6월로 예정되었던 유럽항로 운임인상이 연기되며 전주대비 0.4% 하락함. 연초부터 운임상승이 지속되면서 화주들의 반발과 시장 내에서 선사들의 bargaining power가 약화되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운임의 약보합세를 보임 - 47 -

- 다만, 최근 중국의 경제 위축이 지속적으로 펀더멘털을 악화시키고 있는 상황 이어서 선사들의 공급조절 노력에 의한 운임상승이 어느 정도까지 진행될 지는 미지수임 - 유럽항로 운항선사들이 지속적으로 계선을 늘리는 한편, 머스크가 슈퍼감속 운항(Super Slow Steaming) 전략을 구사하는 등 공급 주도의 운임 인상이 지속되고 있으나, 급격한 운임 인상에 대한 화주들의 반감이 커지고 있어 운임상승의 지속성은 2분기 들어 다소 둔화될 가능성이 있음 <그림 2-1> 컨테이너선 운임지수(CCFI) 변동 추이 자료 : 상해항운교역소 2) 7월 18일 현재 정기선(컨테이너선) 용선시장 시황은 482.9포인트를 기록, 2010년 평균지수인 553.7포인트의 약 87% 수준, 2011년 평균지수인 762.6 포인트의 약 63% 수준으로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지만, 최근 상향 횡보세 양상을 보이고 있음 중소형 용선시장은 불황기를 맞고 있으며, 그나마 연초 상승세가 탄력을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으로 물동량 회복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중소형 선 용선시장은 활기를 찾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 - 48 -

<그림 2-2> 컨테이너선 용선지수(HRCI) 변동 추이 자료 : Lloyd's List <표 2-1> 컨테이너선 운임지수 및 용선료 변동 추이 구 분 금주 ( 12.7.18) (전주비) ( 12.7.11) 2012년 2011년 최저 최고 평균 최저 최고 평균 종합 1,314 (-1) 896 1,336 1,149 893 1,065 993 유럽항로 1,871 (47) 897 1,901 1,480 877 1,490 1,169 운임지수(CCFI) 미서안항로 1,116 (4) 859 1,116 996 841 1,016 939 일본항로 733 (-3) 733 815 782 749 831 788 한국항로 617 (32) 584 682 636 542 699 637 동남아항로 922 (4) 848 959 902 850 924 882 용선지수(HRCI) 482.9 (-4.6) 456 514 482 485 916 763 중고컨테이너선(10년) Sub-Panamax 16.0 (2) 14.0 18.0 15.2 18.0 29.0 24.8 신조 컨테이너선 Sub-Panamax 32.0 (-1.0 32.0 38.0 36.0 38.3 41.0 39.3 자료 : 상해항운교역소 2. 정기선(컨테이너선) 시황전망 1) 2012년 컨테이너선 시장 수급, 선박량 증가로 2012년 1/4분기에는 하향 횡보세를 나타낼 전망임 2011년 컨테이너선 시장 수급, 2010년 불황기 충격에서 벗어나 회복세 시현 원양항로 CCFI는 2012년 연초 이후 지속 상승, 5월 18일 사상 최대치 1,335.9 포인트를 기록하여 과거 최대치 2004년 10월, 1,255 포인트를 넘어섰음 - 2012년 6월까지 미서안 항로 CCFI는 전년 전체 대비 4%, 미동안항로는 1% 상승한데 반해, 유럽항로는 전년 대비 20% 상승해 빠른 회복세를 보였음 - 49 -

- 이 같이 유럽항로 운임의 상승폭이 큰 것은 시장점유가 큰 유럽선사들의 선복 조절과 운임 인상이 주요 했던 것으로 풀이됨 일단 전 고점을 돌파한 후 운임지수 곡선의 상승세가 둔화되고, 운임 인상 계획이 연기되는 한편, 최근 글로벌 경제의 둔화가능성이 지속 제기되고 있어 하반기 다소 조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여짐 2) 2012년 이후 시장은 공급 조절 대응이 관건 2010년 들어 최근까지 컨테이너선 시장은 금융위기 이후 침체 국면을 완전히 벗어난 양상임 - 지난해 경쟁적인 초대형선 투입과 유럽재정위기에 따른 수요위축으로 하락이 가장 컸던 유럽항로는 전년 최고치에 근접 - 전반기 시황이 호전된 것은 기본적으로 선사들의 감속운항(slow steaming), 계선량 조절, 발주된 선박에 대한 인도 연기 등이 주요 원인이지만, 현재 추가적인 감속운항 은 없는 상태임 HR 지수추이 및 전망측면에서 2011년은 크지는 않지만 수급이 개선되고, 선사들의 하반기 시황 호전 기대감이 높아 상반기 용선지수 상승 탄력은 좀 더 이어질 전망임. 특히, 초대형선 투입에 이은 전배현상에 따른 용선 수요 증가와 고유가로 인한 경제선 도입에 따른 용선수요가 당분간 이어질 전망임 - 선박량이 많이 풀려있는 만큼 중소형선 수요는 크게 늘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연말 1만 TEU까지 계선량이 늘 것이란 전망이 있음 - 50 -

세계 기후 환경 변화 작성자 : 이병열 위원 세계 농림기상 현황과 기후전망 농업기상 경과 (2012. 6 ~ 7월 ) 1 미국 : 중부대평원/중서/중남부-한발 확장, 기록적 열파, 오하이오 남부/미시시피 계곡 중부-월 누적강수량 평년대비 50% 이하, 록키서부 - 거의 강수 무, 플로리다 걸프만 연안 - 열대폭풍 데비 2 캐나다 : 대평원- 온난 복귀, 온타리오-강수 시의 적절 3 남미 : 아르헨티나-건조, 브라질 남부-이상습윤 지속, 파라나강 계곡-범람 4 유럽 : 중/북부 유럽-평년대비 습윤, 남동부 유럽-건조고온 발달, 5 서부러시아 : 벨라루스/북부 우크라이나-습윤, 남쪽지역-건조 고온, 동부 우크라이나/러시아 남부-국지성 호우 6 동부러시아 : 시베리아-지속적 고온건조, 북부 카자흐스탄/러시아 우랄지역-고온건조 7 중동/터키 : 터키-건조 복귀, 터키/이란북부-간헐적 국지 호우 8 남아시아 : 인도 전역-몬순 개시 며칠 지연, 평년하회 강수 9 동아시아 : 북동부 중국-평년상회 강수, 평년하회 기온, 북부 중국대평원-고온 건조, 한반도- 수분부족 지속 10 동남아시아 : 태국-평년하회 강수, 필리핀-태풍 통과 11 호주 : 서부호주-강우 흡족, 남동부 호주-강수/쾌청 교차 출현 세계 기후 전망 (2012. 6 ~ 8월) [전망 개요] 강수 : 서태평양, 걸프해안, 적도인도양은 평년상회, 북동/남동 태평양 평년하회 기온 : 전지구 대부분 평년상회, 북동 및 남동 태평양 지역은 평년하회 [기후 전망] 온도전망 - 전지구 대부분의 지역이 평년보다 따뜻할 것으로 보임. 특히, 서러시아, 북동아시아, 미국은 평년에 비해 기온이 높을 가능성이 크겠음 - 북동 및 남동 태평양 지역은 평년에 비해 낮은 기온이 예상됨 - 적도 태평양의 해수면온도는 계속해서 상승 예상 강수전망 - 필리핀과 인접한 열대 서태평양, 걸프 해안 지역, 적도 인도양 및 태평양, 폴리네시아 군도의 남동지역에서는 평년 상회 강수량 예상 - 동북아시아에서부터, 인도를 거쳐 중동, 그 북쪽 지역, 남아시아의 해양지역, 적도 중미와 남미의 북쪽 지역까지는 평년에 비해 건조하겠음 - 51 -

1. 세계 농업기상 경과 개요 ( 12. 6 ~ 7월경과, 2012. 7. 11.) USDA/OCE-World Agricultural Outlook Board, Joint Agricultural Weather Facility, http://www.usda.gov/oce/weather/pubs/index.htm 1 미국 : 급속하게 확장되고 있는 한발과 6월말의 기록적인 열파로 인해 방목 초지와 여름작물에 심각한 장해 초래, 특히 중부 대평원에서 중서부와 중남부에 이르는 지역에서는 피해 심각. 월 누적강수량이 평년대비 50%이하의 광범위한 지역이 오하이오 남부와 미시시피계곡 중부지대를 중심으로 확대 중. 가뭄 피해를 겪지 않고 있는 중서부지역은 북부 및 서부 옥수수벨트로 국한되고 있음. 미국 관측상 가장 오래 지속되고 있는 6월 고온이 중부 고지대평원에는 커다란 영향을 미친 반면, 국토 중부지역 전역에 걸쳐서는 온난하고 대체로 건조한 날씨가 탁월하였음. 고온과 건조로 토양수분이 고갈되어 여름작물에 스트레스를 주었으나, 겨울밀 수확 진척의 가속화에는 도움을 줌. 록키산맥 서부 대부분 지역에도 거의 비가 내리지 않았으나, 이와 반대로 북서부지역 에는 계절답지 않은 호우가 내림. 그 밖의 지역에서는 뉴잉글랜드와 남동부 지대 남쪽에만 호우가 내림. 이들 지역은 플로리다 걸프만 연안에 월말 상륙한 열대폭풍 데비 덕분에 전반적으로 습윤 경향을 띄웠음 2 캐나다 : 6월 하순 시작된 온난 여건으로 대평원의 봄 곡류와 유지류는 1개월 이상 지속된 냉량한 소낙성 날씨 뒤끝의 생장율을 전반적으로 개선시킴. 온난 소낙성 날씨로 인해 여전히 일부지역에서는 건조가 지속되기는 했지만 온타리오는 옥수수와 대두에 필요한 시의적절한 수분이 공급됨 - 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