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FCFBCBA30312DB1E8C1BEB0E62E687770>

Similar documents
< D3820BCBAC0CEB0A3C8A320B3BBC1F62DC3D6C1BE2E687770>

서론 34 2


<32322D3320BFA9BCBAB0C7B0ADB0A3C8A320B3EDB9AE2D33C2F72E687770>

歯1.PDF

<BFA9BCBAB0C7B0ADB0A3C8A32039BFF9C8A320B3BBC1F62D32C2F72E687770>

Abstract Background : Most hospitalized children will experience physical pain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ress. Painful procedure can increase anxie


<32362D3420BCBAC0CEB0A3C8A320B3BBC1F62D33C2F72E687770>

서론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Lumbar spine

untitled

歯5-2-13(전미희외).PDF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A Study on Teache

., (, 2000;, 1993;,,, 1994), () 65, 4 51, (,, ). 33, 4 30, 23 3 (, ) () () 25, (),,,, (,,, 2015b). 1 5,

1..

다문화 가정의 부모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 The


<BFCFBCBA30362DC0B1BFECC3B6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NCS) Method of Co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 456, 253 ( 89, 164 ), 203 ( 44, 159 ). Cronbach α= ,.,,..,,,.,. :,, ( )

DBPIA-NURIMEDIA


구의 중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하였다(Kang & Lee, 2001). 이에 대한 결과로 1990 년대 이후 국내에서도 만성신부전환자의 혈액투석경험 (Shin, 1997), 신장이식 체험(Lee, 1998) 과 만성질환자의 강인성에 관한 연구 (Ko, 1999)등 만성질환

Rheu-suppl hwp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IPA * Analysis of Perc


,......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04_이근원_21~27.hwp

012임수진


27 2, 1-16, * **,,,,. KS,,,., PC,.,,.,,. :,,, : 2009/08/12 : 2009/09/03 : 2009/09/30 * ** ( :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30372DB1E8C8ADBCB12E687770>

특수교육논총 * ,,,,..,..,, 76.7%.,,,.,,.. * 1. **

<353420B1C7B9CCB6F52DC1F5B0ADC7F6BDC7C0BB20C0CCBFEBC7D120BEC6B5BFB1B3C0B0C7C1B7CEB1D7B7A5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A study on Characte

<30322DC3D6BCF8C8F1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35BFCFBCBA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 (, 2011)..,,, (, 2009)., (, 2000;, 1993;,,, 1994;, 1995), () 65, 4 51, (,, ). 33, 4 30, (, 201

<BFCFBCBA30372DB1E8B8EDC0DA2E687770>

,,,,,,, ,, 2 3,,,,,,,,,,,,,,,, (2001) 2

노인정신의학회보14-1호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Strenghening the Ca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Suggestions of Ways

상담학연구,, SPSS 21.0., t,.,,,..,.,.. (Corresponding Author): / / / Tel: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The Mediating Eff

untitled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view of Research

12이문규

DBPIA-NURIMEDIA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LiD) - - * Way to

03-ÀÌÁ¦Çö

<BFCFBCBA30372DBCDBB0E6C0DA2E687770>

DBPIA-NURIMEDIA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 ( 황수경 ) ꌙ 127 노동정책연구 제 4 권제 2 호 pp.127~148 c 한국노동연구원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황수경 *, (disabi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NCS : * A Study on


김소야자외 적용을더욱어렵게한다. 한예로 자아에대한위협의증가, 자기내면으로의철회, 충족되지못한의존욕구 등과같이한가지간호문제에대한관련요인들은실제로나타나는현상을구분하거나중재활동을적용하기에는추상성정도가너무높다. 이러한이유들로인하여정신질환자를대상으로하는정신간호실습시간호대학생들이


05_최운선_53~67,68.hwp

ISSN 제 3 호 치안정책연구 The Journal of Police Policies ( 제29권제3호 ) 치안정책연구소 POLICE SCIENCE INSTITUTE

54 한국교육문제연구제 27 권 2 호, I. 1.,,,,,,, (, 1998). 14.2% 16.2% (, ), OECD (, ) % (, )., 2, 3. 3

부속

Jkcs022(89-113).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 The Effect of Paren

<31335FB1C7B0E6C7CABFDC2E687770>

슬라이드 1

<C7D1B1B9B1A4B0EDC8ABBAB8C7D0BAB85F31302D31C8A35F32C2F75F 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NCS : G * The Analy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The Effect of Care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S

Analyses the Contents of Points per a Game and the Difference among Weight Categories after the Revision of Greco-Roman Style Wrestling Rules Han-bong

Àå¾Ö¿Í°í¿ë ³»Áö

< D3320BFA9BCBAB0C7B0ADB0A3C8A320B3BBC1F62DC3D6C1BE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 A basic research


DBPIA-NURIMEDIA

歯14.양돈규.hwp

,, (, 2010). (, 2007).,,, DMB, ,, (, 2010)., LG., (, 2010) (, ,, ) 3, 10, (, 2009).,,. (, 2010)., (, 2010). 11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1, pp.1-19 DOI: *,..,,,.,.,,,,.,,,,, ( )

hwp

Analysis of objective and error source of ski technical championship Jin Su Seok 1, Seoung ki Kang 1 *, Jae Hyung Lee 1, & Won Il Son 2 1 yong in Univ

15_3oracle

Transcrip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J Korean Acad Nurs Admin, 2010, 16(2), 121-142 간호대상자별다빈도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및연계체계조사 * 김종경 1 1 단국대학교간호학과조교수 * 본연구는단국대학교교내연구비지원으로시행되었음. * This work was supported by Dankook University Research Grant A Study on Nursing Diagnoses, Interventions, Outcomes Frequently Used and Linkage to NANDA-NOC-NIC in Major Nursing Departments* Kim, Jong Kyung 1 1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Dankook University 주요어간호과정,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 연계시스템 Key words Nursing diagnosis, Nursing intervention, Nursing outcome, Linkage system Correspondence Kim, Jong Kyung Department of Nursing, Dankook University # 29. Ansuh-dong Chonan-si Chungnam 330-714, Korea Tel: 82-41-550-3893 Fax: 82-41-550-3888 E-mail: jongkimk@dankook.ac.kr 투고일 : 2010 년 3 월 8 일수정일 : 2010 년 4 월 18 일심사완료일 : 2010 년 6 월 10 일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NANDA, NIC, and NOC frequently used and their linkages in major s for development of the process and management system. Method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123 nurses who worked in medical, surgical, pediatric, gynecologic, and psychiatric. The questionnaire was based on the NANDA, NOC, NIC, and NANDA-NOC-NIC linkage system. This research was analyzed by an EXCEL program and SPSS Pc + 15.0. Results: Nursing diagnoses frequently used were 'anxiety', 'disturbed sleep pattern', 'activity intolerance', 'social isolation', 'nausea', 'ineffective airway clearance', 'chronic pain', outcomes frequently used were 'thermoregulation', 'bowel elimination', 'pain control', 'vital sign status', 'pain level', and interventions frequently used were 'nausea management', 'airway suctioning', 'bowel elimination management', 'diarrhea management', 'medication management'. NANDA-NOC-NIC linkages in major s were recognized, and these results were similar to the results of other research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provided as a guideline to apply to the process and development of the process system with the NANDA-NOC-NIC linkage in major. 서론 1. 연구의필요성 정보와컴퓨터기술의발전에따라보건의료에서도컴퓨터를이용한의사소통과기록이증가되고있고, 우리나라에서도많은병원에서간호사들이컴퓨터를이용한기록을하고있는추세이 다. 보건의료분야에서경제적효율성을증대시키고비용을감소시키기위해업무의전산화가간호에영향을미치고있으며, 이와같은전산화에발맞추어간호사들이수행하는개인, 가족, 지역사회중재에대한표준용어를개발하고간호사의실무행위를반영할수있는전산화작업이요구되고있다 (Park & Kim, 1998; Prophet & Delaney, 1998; Yom & Lee, 2000; Seo et al., 2009).

122 김종경 간호가전문직의위치를확고히하고, 발전하기위해서는독자적지식에의한자율적이고질적인간호수행이필요하다. 간호과정은간호사가간호를조직적이고합리적으로수행하기위한방법으로간호를계획하고수행 평가하는과정이다. 간호사는간호과정의첫단계인간호진단과정에서환자의증상및증후, 목적및세부목표를고려하여간호진단을하고, 필요한간호중재로연결한다. 간호과정을전산화하면간호사들의간호업무를표준화할수있고효율적인간호과정을안내하는지침이될수있으며, 간호수가를산출할수있는과학적인근거가되고, 간호사들의직무만족을향상시킬수있으며, 병원경영의효율화를도모할수있다 (Kim, 2001; Reu, 2001). 간호과정이임상에서활발하게적용되지못하고있는이유로는광범위한간호지식과복잡한추론과정을사용하는적용단계의복잡성과과다한시간이필요하며, 간호사의업무량과중과인력의부족, 간호사의지식부족및실무상황에서의적절한기록양식의미비등이있다 (Lee, Song, Kim, & Park, 1996; Choi, Lee, Kim, Kim, & Park, 1996). 간호과정에따른표준화의노력으로는환자의상태현상을기술하기위한간호진단의목록으로북미간호진단학회 (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is Association: NANDA) 에서개발한간호진단이있다. 간호진단은간호과정의한단계로자료수집및분류과정을통해개인이나가족, 지역사회가가지고있는실제적이고잠재적인건강문제를진술하는것으로전문직간호사에의해내려진임상적진단이며간호사의교육과경험에의해치료가가능한건강문제이다 (NANDA, 2007). 간호중재는간호대상자의간호결과를향상시키기위하여임상에서의판단과지식을기반으로하여수행하는처치이며, 모든전문분야와실무환경에서간호사들이간호진단과설정된간호결과에따라대상자의현건강상태에서기대되는결과로변화되도록도움으로써문제를해결하거나예방하는모든활동을말하며, 간호자원, 간호수가, 간호인력의결정에필요한중요한자료를제공해줄수있다 (Bulecheck, Butcher, & McCloskey, 2007). 간호중재분류체계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NIC) 는아이오와연구팀에의해개발되었으며, 1992년에 336개의표준화된간호중재목록으로제시되었고 1995년 433개, 2007년에는 542개의간호중재가보완되었다. 간호중재분류체계는간호실무의효과를증명하기위해서표준화된정보를제공하고, 간호사가다양한간호실무에서다양하게적용할수있는타당한간호중재목록으로서간호전문직내외의커뮤니케이션을분명하고가시적으로할수있게해주며, 컴퓨터를이용하여데이터베이스화할수있도록고유한코드화가되어있어컴퓨터의활용및자료수집이용이하고, 새로운중재명을첨가할수있는구조 를가지고있다 (Bulecheck et al., 2007). 간호결과는간호중재를통해서도달될수있거나중재의영향을받을수있는중재에대한대상자의반응을말한다. 간호결과분류체계 (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 NOC) 는간호가수행되고있는모든임상세팅에서사용될수있는표준화된환자결과를제공하기위해 1997년아이오와대학연구팀에의해 190개의간호결과로개발되었으며표준화된어휘와간호중재로인한환자결과를측정할수있도록정의와지표를갖는다. 이분류는현재까지 7개의영역 (domain) 과 30개의군 (class) 로구성되어있으며 2000년개정된결과체계는 240개, 2007년에는 385 개로구성되어있다 (Moorhead, Johnson, Mass, & Swanson, 2007). 간호결과분류체계는수행된간호중재의효과를평가하기위해개발되었으며, 환자상태의변화를평가할수있게하는간호결과와구체적인지표들로구성되어있다. 또한표준화된분류체계로서대상자가여러의료기관을치료나간호를위해이동하더라고평가의계속성을유지할수있다. 연계 (linkage) 는개념의연관이나직접적인관계로정의된다. 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 (NANDA-NOC-NIC) 연계는북미간호진단협회의간호진단과아이오와간호대학연구팀이제안한간호결과 (NOC), 간호중재 (NIC) 간의연계를하여표현한것이다. 간호진단 (NANDA) 과간호결과 (NOC) 연계는환자의문제나현재의상태, 그리고중재에의해증진되거나해결이되는것을예측할수있는문제나상태의측면이며, 간호진단 (NANDA) 과간호중재 (NIC) 연계는문제를해결하거나줄일수있는간호행위와환자의문제사이에관계를서술한것이다. 간호결과 (NOC) 와간호중재 (NIC) 연계는중재가영향을줄것이라고기대하는결과나문제해결을이끄는간호활동과문제해결사이의관계이다. Keenan, Killeen과 Clingerman(2002) 은간호진단-간호결과- 간호중재 (NANDA-NOC-NIC) 연계는전산개발과정에유용하다고하였다. 간호과정의적용을돕기개발된간호진단-간호결과분류체계-간호중재분류체계 (NANDA-NOC-NIC) 연계는임상실무에서대상자간호의의사소통의지침이되며, 대상자를위한간호계획과임상경로의개발에유용하게사용될수있고, 간호효과와간호실무분석, 전산화작업의기초자료로활용이될수있다 (Johnson et al., 2005). 그동안이루어진간호진단- 간호결과- 간호중재 (NANDA-NOC-NIC) 연계에관한연구로는연계데이터베이스구축, 환자기록검토, 전산프로그램개발및적용, 간호교육, 간호기록, 간호사실무업무의서술등이이루어졌다 (Lee, 2004; Park, 2003; Ji, 2003; Cavendish, 2004; Hughes, 2003; Keenan, 2002). 그러나간호대상자별로의간호진단-간호결과 -간호중재 (NANDA-NOC-NIC) 연계연구는부족한실정이다. 그러므로본연구는간호과정과간호관리시스템개발을위하여간호

간호대상자별다빈도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및연계체계조사 123 대상자별내과계, 외과계, 산부인과, 소아과, 정신과에서표준간호용어체계를사용하여상위다빈도간호진단을파악하고이간호진단과연계된다빈도간호중재와간호결과를파악하고, 대상자별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 (NANDA-NOC-NIC) 연계를파악하고자시도되었다. Linkage) 연계는개념의연관이나직접적인관계로정의된다 (Johnson et al., 2005). 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연계 (NANDA-NOC-NIC Linkage) 는본연구에서는아이오와간호대학연구팀에서개발한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연계를의미한다. 2. 연구목적본연구의구체적목적은다음과같다. 임상에서의간호대상자별상위다빈도간호진단을파악한다. 임상에서의간호대상자별간호진단과연계된다빈도간호결과와간호중재를파악한다. 임상에서의간호대상자별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 (NANDA- NOC-NIC) 연계를파악한다. 5) 상위다빈도간호진단간호진단사용점수순위중 10 순위안에포함된간호진단을의미한다. 6) 다빈도간호중재본연구에서나타난상위다빈도간호진단과연계된간호중재중사용점수 5.0 만점중 거의하루에한번사용한다 의 4점이상의결과를나타낸간호중재를의미한다. 3. 용어정의 1) 간호진단간호진단은실제적, 잠재적건강문제와삶의과정에대한개인, 가족혹은지역사회의반응을임상적으로판단한것이다 (NANDA, 2007). 본연구에서는북미간호진단협회 (NANDA) 에서개발한간호진단을의미한다. 2) 간호중재간호중재는모든전문분야와실무환경에서간호사들이간호진단과설정된간호결과에따라대상자의현건강상태에서기대되는결과로변화되도록도움으로써문제를해결하거나예방하는모든활동을말한다 (Bulecheck et al., 2007). 본연구에서는아이오와간호대학연구팀에서개발한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 (NANDA-NOC-NIC) 연계에포함된간호중재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NIC) 를의미한다. 3) 간호결과간호결과는간호중재를통해서도달될수있거나중재의영향을받을수있는중재에대한대상자의반응을말한다. 간호결과는측정할수있는환자, 가족, 돌봄제공자의상태, 행위및인지정도이다 (Moorhead et al., 2007). 본연구에서는아이오와간호대학연구팀에서개발한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 (NANDA- NOC-NIC) 연계에포함된간호결과Nursing Outcome Classification: NOC) 를의미한다. 4) 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연계 (NANDA-NOC-NIC 7) 다빈도간호결과본연구에서나타난다빈도간호진단과연계된간호결과중사용점수 5.0 만점중 거의하루에한번사용한다 의 4점이상의결과를나타낸간호결과를의미한다.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연구는종합전문병원에서간호대상별내과계, 외과계, 산부인과, 소아과, 정신과에서의표준간호용어체계를사용하여상위다빈도간호진단을파악하고, 이간호진단에연계된다빈도간호중재와간호결과를파악하고, 간호대상자별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 (NANDA-NOC-NIC) 의연계를파악하는조사 서술연구이다. 2. 연구대상본연구는 2009년 5월1일부터 2009년 8월 30일까지이루어졌다. 본연구대상은종합전문병원에근무하는내과계, 외과계, 산부인과, 소아과, 정신과에근무하는간호사 150명을대상으로하였으며, 최종분석은 123부가사용되었다. 산부인과 15명, 소아과17명, 정신과 11명은해당병동간호사전원을조사대상으로하였으며, 내과계 39명과외과계 41명은해당병동간호사들의일부를대상으로하였다. 설문조사는먼저간호부의허락을구한후에, 연구자가간호사의동의를받아서설문조사를실시하였다.

124 김종경 3. 연구도구 1) 간호진단 (NANDA) 도구간호진단도구는북미간호진단협회 (NANDA) 에서개발한간호진단도구인간호진단을기초로하였으며 (NANDA, 2000), Sung, Hong과 Jung(2003) 간호진단분류 에서간호진단을번역한내용을이용하였으며, 총 136개의간호진단이사용되었다. 2) 간호중재 (NIC) 와간호결과 (NOC) 도구 수차이가많이나타나서, 간호진단 9순위까지만선택하여다음조사에이용하였다. 3) 상위다빈도간호진단과연계된간호결과와간호중재조사를위한설문지작성과조사상위다빈도간호진단과연계된간호결과와간호중재설문도구를만들어서각간호대상자별내과계, 외과계, 산부인과, 소아과, 정신과간호사를대상으로설문조사하였다. 이설문지의척도는 간호진단 조사지와같은척도를이용하였다. 간호중재도구는아이오와간호대학에서개발한간호중재분류체계 (NIC) 와간호결과도구는간호결과분류체계 (NOC) 를기초로하였으며, 이를번역한 Choi 등 (2006) 의 표준화된간호진단 (NANDA)- 간호결과 (NOC)-간호중재(NIC) 의연계 에서한국어로번역한내용을이용하였다 (Bulecheck et al., 2007; Moorheadet et al., 2007). 4) 간호대상자별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연계 (NANDA-NOC-NIC Linkage) 파악상위다빈도간호진단 (NANDA) 과연계된간호결과 (NOC) 와간호중재 (NIC) 를파악한다. 5. 연구분석 3) 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연계 (NANDA-NOC-NIC Linkage) 도구간호진단-간호결과 -간호중재연계도구는 Johnson 등 (2005) 의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연계 (NANDA, NOC, and NIC Linkages) 를기초로하였으며, 이를번역한 Choi 등 (2006) 의 표준화된간호진단 (NANDA)- 간호결과 (NOC)-간호중재(NIC) 의연계 에서한국어로번역한내용을사용하였다 (Moorhead et al., 2007). 4. 자료수집절차 본연구분석은엑셀프로그램 (Excel program) 과 SPSS PC + 15.0을이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일반적특성은빈도와백분율을이용하였으며, 간호진단사용률은평균을구하였다. 각간호진단에연계된간호결과와간호중재는사용률의평균과표준편차를구하였다.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일반적특성 본연구의조사단계는 4단계로이루어졌다. 1) 간호진단조사먼저각간호대상자별로내과계, 외과계, 산부인과, 소아과, 정신과간호사를대상으로간호진단조사도구를이용하여설문조사하였다. 이설문지는 5점척도 로이루어졌으며, 간호진단을얼마나자주사용하는지의빈도를측정하였다. 거의행하지않는다 는 1점, 거의한달에 1회사용한다 는 2점, 거의일주일에한번사용한다 는 3점, 거의하루에한번사용한다 는 4점, 하루에여러번사용한다 는 5점으로표시하게하였다. 2) 1차분석 : 상위다빈도간호진단파악수거한설문지를정리하여간호대상자별로간호진단사용률을분석하여각과별로간호진단상위 10위까지의대상자별간호진단을정리하였다. 산부인과에서의간호진단만 9위와 10위의점 대상자의일반적특성은 <Table 1> 과같다. 연구대상자의평균연령은 30세이었으며, 30세이상은 58명 (47.1%) 으로가장많았으며, 25~29세는 52명 (42.3%), 24세이하는 13명 (10.5%) 으로나타났다. 미혼은 71명 (57.7%), 기혼은 52명 (42.3%) 으로나타났고, 종교가있는간호사가 64명 (52.0%), 종교가없는간호사가 59명 (48.0%) 으로나타났다. 학력은대학졸업이 71명 (57.7%) 으로많았으며, 전문대졸업이 46명 (37.4%), 대학원이상이 6명 (4.9%) 으로나타났고, 간호사가 117명 (95.1%), 책임간호사가 6명 (4.9%) 으로나타났다. 근무부서는내과계가 39명 (31.7%), 외과계가 41명 (33.3%), 산부인과가 17명 (13.8%), 소아과가 15명 (12.1%), 정신과가 11명 (8.9%) 이었다. 총임상경력의평균은 7 년 2개월이었으며, 6년이상이 67명 (54.5%) 으로많았으며, 4~6 년이 23명 (18.7%), 1~3년이 21명 (17.1%), 1년이하가 12명 (9.7%) 이었다. 현근무지경력의평균은 3년 6개월이며, 1~3년이 45명 (36.6%), 4~6년 35명 (28.5%), 1년이하가 24명 (19.5%),

간호대상자별다빈도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및연계체계조사 125 <Table 1> Characteristics of subjects Characteristics Age (year) (N=123) Department Categories Total Medical Surgical Gynecologic Pediatric Psychiatric n(%) Under 24 13(10.5) 5(12.8) 2(4.9) 2(12.0) 4(26.7) 0( 0.0) 25~29 52(42.3) 18(46.2) 23(56.1) 4(23.5) 4(26.7) 3(27.3) Over 30 58(47.1) 16(41.0) 16(39.0) 11(64.7) 7(46.6) 8(72.7) Marital status Single 71(57.7) 26(66.7) 24(58.5) 6(35.3) 10(66.7) 5(45.4) Married 52(42.3) 13(33.3) 17(41.5) 11(64.7) 5(33.3) 6(54.6) Religion Yes 64(52.0) 17(43.6) 27(65.8) 8(47.1) 8(53.3) 4(36.4) No 59(48.0) 22(56.4) 14(34.2) 9(52.9) 7(46.7) 7(63.6) Educational background 3rd. year College 46(37.4) 14(35.9) 16(39.0) 8(47.1) 5(33.3) 3(27.3) Bachelor 71(57.7) 25(64.1) 24(58.6) 6(35.3) 10(66.7) 6(54.5) Graduate 6( 4.9) 0( 0.0) 1( 2.4) 3(17.6) 0( 0.0) 2(18.2) Position Nurse 117(95.1) 39(100) 39(95.1) 14(82.4) 14(93.3) 11(100) Charge nurse 6( 4.9) 0( 0.0) 2( 4.9) 3(17.6) 1( 6.7) 0( 0.0) Department 132(100) 39(31.7) 41(33.3) 17(13.8) 15(12.2) 11( 9.0) Total career (year) Career of present (year) Under 1 12( 9.7) 6(15.4) 1( 2.4) 2(11.8) 2(13.3) 1( 9.2) 1~3 21(17.1) 6(15.4) 8(19.5) 1( 5.9) 5(33.3) 1( 9.2) 4~6 23(18.7) 7(17.9) 12(29.3) 2(11.7) 1( 6.7) 1( 9.2) Over 6 67(54.5) 20(51.3) 20(48.8) 12(70.6) 7(46.7) 8(72.4) Under1 24(19.5) 12(30.8) 4( 9.7) 3(17.7) 3(20.0) 2(18.2) 1~3 45(36.6) 13(33.3) 16(39.0) 5(29.4) 8(53.3) 3(27.3) 4~6 35(28.5) 8(20.5) 17(41.5) 4(23.5) 3(20.0) 3(27.3) Over 6 19(15.4) 6(15.4) 4( 9.8) 5(29.4) 1( 6.7) 3(27.3) 6년이상이 19명 (15.4%) 이었다. 2. 간호대상자별상위다빈도간호진단 (NANDA) 간호대상자별상위다빈도간호진단은 <Table 2> 와같다. 간호진단 변비 는 5개과에서모두사용되었으며, 급성통증 은 4 개과에서사용되었고, 오심, 고체온, 배뇨장애, 비효율적호흡양상, 설사 는 3개과에서사용되었으며, 비효율적기도청결 과 활동지속성장애 는 2개과에서사용되었다. 산부인과에서만사용된간호진단으로 효과적모유수유, 비효과적모유수유, 비효과적수유, 모유수유중단 이었으며, 정신과에서만사용된간호진단으로 수면양상장애, 사회적고립, 피로, 기억장애, 목욕 / 위생자가간호결핍, 자해위험성, 무력감, 옷입기 / 몸치장 / 자가간호결핍 등으로나타났다. 내과계에서의상위다빈도간호진단은 오심 (4.5), 비효율적기도청결 (4.4), 고체온 (4.1), 변비 (4.1), 만성통증 (4.1), 급성통증 (4.1), 설사 (4.1), 배뇨장애 (4.0), 비효율적호흡양상 (3.6), 흡인위험성 (3.5) 순으로나타났고, 외과계에서의상위다빈도간호진단은 급성통증 (4.5), 오심 (4.3), 변비 (4.2), 설사 (4.1), 고체온 (4.2), 배뇨장애 (4.0), 비효율적기도청결 (3.9), 흡인위험성 (3.9), 비효율적호흡양상 (3.6), 감염위험성 (3.6) 순으로나 타났다. 산부인과에서의상위다빈도간호진단은 활동지속성장애 (4.0), 효과적모유수유 (4.0), 비효과적모유수유 (3.6), 변비 (3.5), 급성통증 (3.5), 모유수유중단 (3.1), 비효과적수유 (3.1), 설사 (3.0), 배뇨장애 (3.0) 순으로나타났고, 소아과에서의상위다빈도간호진단은 활동지속성장애 (4.7), 설사 (4.2), 오심 (4.0), 고체온 (3.9), 변비 (3.5), 영양불균형 : 영양부족 (3.4), 비효율적호흡양상 (3.4), 구강점막손상 (3.3), 수면박탈 (3.3), 급성통증 (3.2) 순으로나타났다. 정신과에서의상위다빈도간호진단은 불안 (4.9), 변비 (4.9), 수면양상장애 (4.9), 사회적고립 (4.2), 피로 (4.1), 기억장애 (4.1), 목욕 / 위생자가간호결핍 (4.0), 자해위험성 (3.9), 무력감 (3.9), 옷입기 / 몸치장 / 자가간호결핍 (3.9) 순으로나타났다. 3. 다빈도간호중재 (NIC) 와간호결과 (NOC) 다빈도간호중재 (NIC) 는 <Table 3> 과같다. 다빈도간호중재중 배변관리 는 4개과에서나타났으며, 투약관리 는 3개과에서나타났고, 기도흡인, 통증관리, 활력징후감시, 체온조절, 정서적지지 는 2개과에서나타났다. 내과계에서의다빈도간호중재 (NIC) 는 배변관리 (4.2), 구토관리 (4.1), 기도흡인 (4.1), 통증관리 (4.1), 투약관리 (4.0), 오심관

126 김종경 <Table 2> The results of NANDA diagnosis in major s NANDA diagnosis Medical Surgical Gynecologic Pediatric Psychiatric of diagnosis Anxiety 4.9 4.9 Disturbed sleep pattern 4.5 4.5 Activity intolerance 4.0 4.7 4.3 Social isolation 4.2 4.2 Nausea 4.5 4.3 4.0 4.2 Ineffective airway clearance 4.4 3.9 4.1 Chronic pain 4.1 4.1 fatigue 4.1 4.1 Impaired memory 4.1 4.1 Bathing/hygiene self-care deficit 4.0 4.0 Constipation 4.1 4.2 3.5 3.5 4.9 4.0 Hyperthermia 4.2 4.0 3.9 4.0 Effective breast feeding 4.0 4.0 Risk for self-mutilation 3.9 3.9 Powerlessness 3.9 3.9 Dressing/grooming self-care deficit 3.9 3.9 Diarrhea 4.1 4.1 3.0 4.2 3.8 Acute pain 4.1 4.5 3.5 3.2 3.8 Risk for aspiration 3.5 3.9 3.7 Impaired urinary incontinence 4.0 3.9 3.0 3.6 Risk for infection 3.6 3.6 Ineffective breastfeeding 3.6 3.6 Ineffective breathing pattern 3.6 3.6 3.4 3.5 Imbalanced nutrition: Less than body requirements 3.4 3.4 Impaired oral mucos membrane 3.3 3.3 Sleep deprivation 3.3 3.3 Stopped breastfeeding 3.1 3.1 Ineffective infant feeding pattern 3.1 3.1 <Table 3> The results of intervention(nic) frequently used in major s Nursing Intervention Medical Surgical Gynecologic Pediatric Psychiatric of intervention Bowel elimination management 4.2 4.1 4.1 4.4 4.2 Medication management 4.0 4.2 4.4 4.1 Airway suctiooing 4.1 4.0 4.0 Pain management 4.1 4.2 4.1 Vital sign monitoring 4.1 4.1 4.1 Temperature regulation 4.0 4.2 4.0 Emotional support 4.1 4.3 4.2 Vomiting management 4.1 4.1 Nausea management 4.1 4.1 Analgesic administration 4.3 4.3 Cough enhancement 4.2 4.2 Urinary elimination management 4.1 4.1 Nausea management 4.0 4.0 Aspiration prevention 4.0 4.0 Respiratory monitoring 4.0 4.0 Feeding counseling 4.0 4.0

간호대상자별다빈도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및연계체계조사 127 <Table 3> The results of intervention(nic) frequently used in major s(continued) Nursing Intervention Medical Surgical Gynecologic Pediatric Psychiatric of intervention Diarrhea management 4.2 4.2 Presence 4.2 4.2 Medication 4.8 4.8 Medication prescription 4.1 4.1 Environment management: safety 4.5 4.5 Security enhancement 4.4 4.4 Sucide prevention 4.4 4.4 Surveillance:safety 4.3 4.3 Constipation/impaction management 4.4 4.4 Medication administration 4.6 4.6 Sleep enhancement 4.4 4.4 Environment management: safety 4.3 4.3 Feeding 4.1 4.1 Reality orientation 4.6 4.6 Self-care assistance 4.2 4.2 Bathing/hygiene bathing 4.1 4.1 Escape prevention 4.6 4.6 Environmental management: violence prevention 4.3 4.3 4.2 4.2 Physical restraint 4.2 4.2 Area restriction 4.0 4.0 Cognitive restructuring 4.4 4.4 Emotion management 4.3 4.3 Patient rights protection 4.0 4.0 Dressing 4.2 4.2 Bathing 4.3 4.3 Hair care 4.2 4.2 Exercise promotion 4.6 4.6 Behavior management 4.0 4.0 Active listening 4.4 4.4 Security enhancement 4.2 4.2 Bahavior management:self harm 4.4 4.4 Activity therapy 4.1 4.1 Self-esteem enhancement 4.1 4.1 Cognitive stimulation 4.4 4.4 Self-care assistance:dressing/groomings 4.2 4.2 Teaching:individual 4.1 4.1 Anxiety reduction 4.3 4.3 Seclusion 4.0 4.0 리 (4.1) 등 6개로나타났다. 외과계에서의다빈도간호중재 (NIC) 는 진통제투여 (4.3), 투약관리 (4.2), 기침장려 (4.2), 배변관리 (4.0), 활력징후감시 (4.1), 배뇨관리 (4.1), 오심관리 (4.0), 체온조절 (4.0), 기도흡인 (4.0), 흡인예방 (4.0), 호흡감시 (4.0), 통증관리 (4.2) 등 12개로나타났다. 산부인과에서의다빈도간호중재 (NIC) 는 수유상담 (4.0), 정서적지지 (4.1) 2개로나타났으며, 소아과에서의다빈도간호중재 (NIC) 는 설사관리 (4.2), 체온조절 (4.2), 배변관리 (4.1), 활력징후감시 (4.1) 등 4개로나타났다. 정신과에서의다빈도간호중재 (NIC) 는 투약 (4.8), 투약처방 (4.1), 환경관리 : 안전 (4.5), 안정감강화 (4.3), 자살예방 (4.4), 감시 : 안전 (4.3), 변비 / 매복관리 (4.4), 약물투여 (4.6), 수면증진 (4.4), 투약관리 (4.4), 환경관리 : 안위 (4.3), 투약처방 (4.3), 섭식 (4.1), 현실확인요법 (4.6), 자가간호보조 (4.2), 목욕 / 위생목욕 (4.1), 도주예방 (4.6), 환경관리 : 폭력예방 (4.3), 분노조절보조 (4.2), 물리적억제법 (4.2), 활동영역제한 (4.0), 인지재구조화 (4.4), 정서관리 (4.3), 환자권리보호 (4.0), 옷입기

128 김종경 (4.2), 목욕 (4.3), 두발간호 (4.2), 운동증진 (4.6), 격리 (4.0), 행동관리 (4.0), 적극적인경청 (4.5), 함께있기 (4.3), 정서적지지 (4.3), 행동관리 : 자해 (4.4), 배변관리 (4.4), 활동요법 (4.2), 자존감강화 (4.1), 인지자극 (4.4), 자가간호보조 : 옷입기 / 몸치장 (4.2), 교육 / 개인 (4.1), 불안감소 (4.3) 등 41개로나타났다. 다빈도간호결과 (NOC) 는 <Table 4> 와같다. 다빈도간호결과 (NOC) 중 배변 은 4개과에서사용되었으며, 체온조절 과 통증조절 은 3개과에서사용되었고, 활력징후상태, 증상조절 은 2개과에서사용되었다. 내과계에서의다빈도간호결과 (NOC) 는 체온조절 (4.4), 통증조절 (4.4), 활력증후상태 (4.1), 배변 (4.2) 등 4개로나타났으며, 외과계에서의다빈도간호결과 (NOC) 는 통증수준 (4.3), 체온조절 (4.3), 배변 (4.2), 통증조절 (4.2), 활력징후상태 (4.2), 배뇨 (4.1), 증상조절 (4.0), 호흡상태 : 기도개방 (4.0) 등 8개로나타났다. 산부인과에서의다빈도간호결과 (NOC) 는 통증조절 (4.1), 모유수유유지 (4.2) 로 2개나타났으며, 소아과에서의다빈도간호결과 (NOC) 는 체온조절 (4.5), 배변 (4.1) 으로 2개나타났다. 정신과에서의다빈도간호결과 (NOC) 는 불안조절 (4.3), 자해억제 (4.3), 사회적상호작용기술 (4.1), 배변 (4.6), 증상조절 (4.1), 수면 (4.8), 여가활동참여 (4.0), 사회적참여 (4.0), 영양상태 : 에 너지 (4.2), 지남력 (4.6), 기억력 (4.4), 자가간호 : 위생 (4.6), 충동조절 (4.7), 우울조절 (4.4), 자가간호 : 옷입기 (4.3), 자가간호 : 몸치장 (4.3) 등 16개로나타났다. 4. 간호대상자별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연계 (NANDA-NOC-NIC Linkage) 1) 내과계에서의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연계내과계의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연계는 <Table 5> 와같다. 내과계에서사용된간호진단에연계된평균이상의사용률을나타낸간호결과는 11개이며, 이와연계된간호중재는 23개로나타났다. 각간호진단과연계된간호결과 (NOC) 와연계된간호중재 (NIC) 는다음과같다. 간호진단 오심 과연계된간호결과로 증상의심각성 과 안위수준 및 영양상태 로나타났다. 안위수준 과연계된간호중재로 오심관리 와 통증관리 및 투약관리 로나타났고, 영양상태 와연계된간호중재는 영양감시 로나타났으며, 증상의심각성 과연계된간호중재는 오심관리 와 구토관리 로나타났다. 간호진단 비효율적기도청결 과연계된간호결과로 호흡상태 : 기도개방 이이와연계된간호중재는 기도흡인 과 기도관리 와 <Table 4> The results of outcome(noc) frequently used in major s Nursing outcome Medical Surgical Gynecologic Pediatric Psychiatric of outcome Bowel elimination 4.2 4.2 4.1 4.6 4.2 Thermoregulation 4.4 4.3 4.5 4.4 Pain control 4.4 4.2 4.1 4.2 Vital sign status 4.1 4.2 4.1 Symptom control 4.0 4.1 4.1 Pain status 4.2 4.2 Urinary elimination 4.1 4.1 Respiratory status:airway clearance 4.0 4.0 Breastfeeding maintenance 4.2 4.2 Anxiety reduction 4.3 4.3 Impulse control 4.7 4.7 Depression control 4.4 4.4 Self-mutilation restraint 43 4.3 Social interaction skills 4.1 4.1 Leisure participation 4.0 4.0 Social involvement 4.0 4.0 Sleep 4.8 4.8 Nutrition state:energy 4.2 4.2 Orientation 4.6 4.6 Memory 4.4 4.4 Self-care hygiene 4.6 4.6 Self-care:dressing 4.3 4.3 Self-care:grooming 4.3 4.3

간호대상자별다빈도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및연계체계조사 129 <Table 5> The results of NANDA-NOC-NIC linkage in medical Nursing outcome(noc) Nursing intervention(nic) NANDA diagnosis Nursing outcome outcome Nursing intervention intervention Nausea Comfort level 2.8 2.5±0.5 Medication management 3.6 3.3±0.8 Nausea management 4.1 Pain management 3.6 Nutrition state 2.8 Nutritional monitoring 3.4 3.0±0.5 Symptom severity 2.8 Nausea management 4.2 3.7±0.8 Vomiting management 4.1 Ineffective airway clearance Respiratory status: airway clearance 3.7 3.1±0.4 Airway management 3.8 3.3±0.5 Airway suctioning 4.1 Cough enhancement 3.6 Aspiration prevention 3.6 Hyperthermia Themoregulation 4.4 3.0±2.0 Temperature regulation 3.8 2.7±0.8 Vital sign monitoring 3.6 Fluid management 3.0 Medication administration 3.8 Constipation Bowel elimination 4.2 3.1±1.1 Bowel elimination management 4.2 3.4±0.6 Constipation/Impaction management 3.8 Diarrhea Bowel elimination 4.2 2.9±0.8 Bowel elimination management 3.8 3.5±0.5 Diarrhea management 4.0 Medication management 3.8 Symptom severity 2.9 Diarrhea management 3.2 2.7±0.7 Chronic pain Comfort level 3.2 2.7±0.8 Pain management 3.9 3.2±0.7 Analgesic administration 3.8 Medication administration 3.8 Medication management 3.8 Pain control 3.8 Medication management 3.7 3.0±0.7 Pain management 3.7 Teaching: Prescribed medication 3.4 Pain level 3.4 Pain management 3.6 3.5±0.1 Analgesic administration 3.6 Acute pain Pain control 4.4 3.4±0.7 Medication management 4.0 3.4±0.7 Pain management 4.1 Teaching: Prescribed medication 3.7 Pain level 3.6 Analgesic administration 3.7 3.0±0.5 Pain management 3.5 Impaired urinary incontinence Ineffective breathing pattern Risk for aspiration Urinary elimination 3.7 3.6±0.1 Urinary elimination management 3.7 3.0±0.5 Fluid management 3.2 Medication management 3.3 Medication prescription 3.2 Self-care assistance: Urinary 3.0 Urinary catheterization 3.1 Respiratory status: airway clearance 3.9 4.0±0.3 Airway suctioning 3.8 3.7±0.1 Vital sign status 4.1 Respiratory monitoring 3.9 3.8±0.1 Airway management 3.8 Fluid management 3.7 Medication management 3.9 Surveillance 3.8 Respiratory status: Ventilation 3.4 3.2±0.2 Airway management 3.2 3.0±0.3 Aspiration prevention 3.2 Respiratory monitoring 3.1 Airway suctioning 3.2

130 김종경 기침장려 및 흡인예방 으로나타났다. 간호진단 고체온 과연계된간호결과는 체온조절 로나타났으며, 연계된간호중재는 약물투여 와 체온조절 과 활력징후감시 및 수액관리 로나타났다. 간호진단 변비 와연계된간호결과는 배변 으로나타났으며, 연계된간호중재는 배변관리 와 변비 / 매복관리 로나타났다. 간호진단 설사 와연계된간호결과는 배변, 증상의심각성 으로나타났다. 배변 과연계된간호중재는 설사관리, 배변관리, 투약관리 로나타났으며, 증상의심각성 과연계된간호중재는 설사관리 로나타났다. 간호진단 만성통증 과연계된간호결과는 통증조절, 통증수준, 안위수준 으로나타났다. 통증조절 과연계된간호중재는 약물관리, 통증관리, 교육 : 처방된약물 로나타났다. 통증수준 간호결과와연계된간호중재는 통증관리, 진통제투여 로나타났다. 안위수준 간호결과와연계된간호중재는 통증관리, 진통제투여, 약물투여, 투약관리 로나타났다. 간호진단 급성통증 과연계된간호결과는 통증조절, 통증수준 으로나타났다. 통증조절 과연계된간호중재는 통증관리, 투약관리, 교육 : 처방된약물 로나타났다. 간호진단 배뇨장애 와연계된간호결과는 배뇨 로나타났으며, 이와연계된간호중재는 배뇨관리, 수액관리, 투약관리, 투약처방, 자가간호보조 : 배뇨, 도뇨법 으로나타났다. 간호진단 비효율적호흡양상 과연계된간호결과는 활력징후상태, 호흡상태 : 기도개방 으로나타났다. 활력징후상태 간호결과와연계된간호중재는 활력징후감시, 투약관리, 기도관리, 감시, 수액관리 로나타났으며, 호흡상태 : 기도개방 간호결과와연계된간호중재는 기도흡인 으로나타났다. 간호진단 흡인위험성 과연계된간호결과는 호흡상태환기 로나타났으며, 이와연계된간호중재는 기도관리, 흡인예방, 기도흡인, 호흡감시 로나타났다. 2) 외과계에서의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연계 (NANDA-NOC-NIC Linkage) 외과계의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연계는 <Table 6> 과같다. 외과계에서사용된간호진단과연계된평균이상의사용률을나타낸간호결과 (NOC) 는 15개로나타났고, 이와연계된간호중재 (NIC) 는 18개로나타났다. 간호진단 급성통증 과연계된간호결과는 통증수준, 통증조절 로나타났다. 통증조절 과연계된간호중재는 통증관리, 투약관리 로나타났으며, 통증수준 과연계된간호중재는 진통제투여, 통증관리 로나타났다. 간호진단 오심 과연계된간호결과는 증상의심각성, 영양상 태 로나타났다. 영양상태 와연계된간호중재는 수액감시 로나타났으며, 증상의심각성 과연계된간호중재는 오심관리 로나타났다. 간호진단 변비 와연계된간호결과는 배변, 증상조절 로나타났다. 배변 과연계된간호중재는 배변관리 로나타났으며, 증상조절 과연계된간호중재는 배변관리 로나타났다. 간호진단 설사 와연계된간호결과는 배변, 증상의심각성 으로나타났다. 배변 과연계된간호중재는 배변관리 로나타났으며, 증상의심각성 과연계된간호중재는 설사관리 로나타났다. 간호진단 고체온 과연계된간호결과는체온조절 로나타났으며, 이결과와연계된간호중재는 활력징후감시 와 체온조절 로나타났다. 간호진단 배뇨장애 와연계된간호결과는 배뇨 로나타났으며, 이결과와연계된간호중재는 배뇨관리 로나타났다. 간호진단 비효율적기도청결 과연계된간호결과는 호흡상태 : 기도개방, 흡인통제 로나타났다. 호흡상태 : 기도개방 과연계된간호중재는 기침장려 로나타났으며, 흡인통제 와연계된간호중재는 기도흡인, 흡인예방 으로나타났다. 간호진단 흡인위험성 과연계된간호결과는 연하상태 로나타났으며, 이결과와연계된간호중재로는 흡인예방 으로나타났다. 간호진단 비효율적호흡양상 에연계된간호결과는 활력징후상태, 호흡상태 : 기도개방 으로나타났으며, 활력징후상태 와연계된간호중재는 호흡감시, 호흡상태 : 기도개방 과연계된간호중재는 기도흡인 으로나타났다. 간호진단 감염위험성 과연계된간호결과는 감염상태, 상처치유 : 1차유합, 상처치유 : 2차유합 으로나타났다. 감염상태 와연계된간호중재는 감염보호, 감염통제 로나타났으며, 상처치유 : 1차유합 과연계된간호중재는 절개부위간호 와 상처간호 로나타났고, 상처치유 : 2차유합 과연계된간호중재는 상처간호 와 감염통제 로나타났다. 3) 산부인과에서의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연계 (NANDA-NOC-NIC Linkage) 산부인과의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연계는 <Table 7> 과같다. 산부인과에서사용된간호진단에연계된평균이상의사용률을나타낸간호결과 (NOC) 는 14개이며, 이와연계된간호중재 (NIC) 는 43개로나타났다. 각간호진단과연계된간호결과 (NOC), 연계된간호중재 (NIC) 는다음과같다. 간호진단 활동지속성장애 와연계된간호결과는 에너지보존, 자가간호 : 일상생활수행능력 으로나타났다. 에너지보존 과연계된간호중재는 환경관리 : 안위, 영양관리, 운동증진, 교육 : 처방된활동 / 운동 으로나타났으며, 자가간호 : 일상생활수행능력 과연계된간호중재는 운동요법 : 목욕 / 위생, 운동요법 : 보행,

간호대상자별다빈도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및연계체계조사 131 <Table 6> The results of NANDA-NOC-NIC linkage in surgical Nursing outcome(noc) NANDA diagnosis Nursing outcome outcome Nursing intervention Nursing intervention(nic) intervention Acute pain Pain control 4.2 3.7±0.7 Medication management 4.2 3.9±0.6 Pain management 4.4 Pain level 4.3 Analgesic administration 4.3 3.9±0.6 Pain management 4.1 Nausea Nutrition state 3.5 3.1±0.6 Fluid monitoring 3.2 4.0±0.1 Symptom severity 3.6 Nausea management 4.0 Constipation Bowel elimination 4.2 3.7±0.7 Bowel elimination management 4.0 3.9±0.1 Symptom control 4.0 Bowel elimination management 4.1 Diarrhea Bowel elimination 3.9 3.2±0.5 Bowel elimination management 4.0 4.0±0.1 Symptom severity 3.4 Diarrhea management 3.7 Hyperthermia Thermoregulation 4.3 3.4±1.3 Temperature regulation 4.0 3.4±0.6 Vital sign monitoring 4.1 Impaired urinary incontinence Urinary elimination 4.1 3.9±0.3 Urinary elimination management 4.1 4.0±0.1 Ineffective airway clearance Aspiration control 3.6 3.6±0.3 Airway suctioning 4.0 4.1±0.1 Aspiration prevention 4.0 Respiratory status: airway clearance 4.0 Cough enhancement 4.2 Risk for aspiration Swallowing status 3.5 3.4±0.1 Aspiration prevention 3.9 3.7±0.3 Ineffective breathing pattern Respiratory status: airway clearance 4.0 3.9±0.3 Airway suctioning 4.0 4.0±0.1 Vital sign status 4.2 Respiratory monitoring 4.0 4.0±0.1 Risk for infection Infection status 3.4 3.0±0.6 Infection control 3.2 3.2±0.3 Infection protection 3.4 Wound healing: 3.4 Incision site care 3.9 3.0±0.1 Primary intention Wound care 3.9 Wound healing: Secondary intention 3.1 Infection control 3.1 3.1±0.5 Wound care 3.6 자가간호보조 : 옷입기 / 몸치장 으로나타났다. 간호진단 효과적모유수유 의간호결과는 모유수유유지 로나타났으며, 연계된간호중재는 정서적지지, 수유상담, 적극적인경청, 예견지도, 감염보호, 수액관리, 영양관리, 체력관리 로나타났다. 간호진단 비효과적모유수유 와연계된간호결과는 모유수유유지, 모유수유중단, 지식 : 모유수유 로나타났다. 모유수유유지 과연계된간호중재는 정서적지지, 모유수유보조, 수유상담, 적극적인경청, 대응능력강화, 체력관리, 영양관리 로나타났다. 모유수유중단 과연계된간호중재는 수유상담, 정서적지지, 적극적인경청, 예견지도 로나타났으며, 지식 : 모유수유 와연계된간호중재는 수유상담, 모유수유보조, 학습준비도강화 로나타났다. 간호진단 변비 와연계된간호결과는 배변 과 수화 로나타났다. 배변 과연계된간호중재는 배변관리, 변비 / 매복관리 로나타났으며, 수화 와연계된간호중재는 수액관리 와 수분 / 전해질관리 로나타났다. 간호진단 급성통증 과연계된간호결과로 통증조절, 통증수 준 으로나타났다. 통증조절 과연계된간호중재로 통증관리, 투약관리, 교육 : 처방된약물 로나타났으며, 통증수준 과연계된간호중재로 진통제투여, 통증관리 로나타났다. 간호진단 모유수유중단 과연계된간호결과로 지식 : 모유수유, 모유수유유지 로나타났으며, 모유수유유지 와연계된간호중재로 정서적지지, 인공영양, 수유상담, 대응능력강화, 투약관리, 가족지지, 감염통제, 교육 : 영아영양 으로나타났으며, 지식 : 모유수유 와연계된간호중재로 수유상담, 인공영양, 부모교육 : 영아, 교육 : 개인 으로나타났다. 간호진단 비효과적모유수유 과연계된간호결과로 모유수유유지, 모유수유관계형성, 영양상태 : 음식및수분섭취 로나타났으며, 모유수유유지 와연계된간호중재로 모유수유보조, 수유상담, 애착증진, 환경관리 : 안위, 신생아관리 로나타났고, 모유수유관계형성 과연계된간호중재로 모유수유보조, 수유상담, 영아간호 로나타났으며, 영양상태 : 음식및수분섭취 와연계된간호중재로 제대간호, 수유상담, 인공영양, 체중관리 로나타났다. 간호진단 설사 와연계된간호결과로 배변, 전해질및산 / 염

132 김종경 <Table 7> The results of NANDA-NOC-NIC linkage in gynecologic Nursing outcome(noc) Nursing intervention(nic) NANDA diagnosis Nursing outcome outcome Nursing intervention intervention Activity intolerance Energy Conservation 2.3 2.2±0.2 Nutritional management 3.0 2.6±0.4 Environmental management: safety 3.2 Exercise promotion 2.7 Teaching: Prescribed activity/exercise 2.7 Effective breastfeeding Ineffective breastfeeding Self-care:Activity of daily living(adl) Breastfeeding maintenance Breastfeeding maintenance Breastfeeding weaning Knowledge: Breastfeeding 2.3 Exercise therapy: ambulation 2.7 2.5±0.4 Self-care assistance: bathing/hygiene 3.3 Self-care assistance: dressing/grooming 2.7 4.3 3.8±0.4 Feeding counseling 4.0 3.4±0.4 Active listening 3.9 Anticipatory guidance 3.8 Emotional support 4.1 Body energy management 3.5 Fluid management 3.6 Infection protection 3.7 Nutritional management 3.5 3.9 3.4±0.3 Breastfeeding assistance 3.9 3.4±0.4 Feeding counseling 3.9 Active listening 3.9 Coping enhancement 3.6 Emotional support 4.2 Body energy management 3.5 Nutritional management 3.5 3.5 Feeding counseling 3.7 3.2±0.4 Active listening 3.6 Anticipatory guidance 3.3 Emotional support 3.7 3.5 Breastfeeding assistance 3.7 3.5±0.3 Feeding counseling 3.9 Learning readiness enhancement 3.6 Constipation Bowel elimination 3.7 3.3±0.5 Bowel elimination management 3.7 3.2±0.3 Constipation/Impaction management 3.7 Hydration 3.5 Fluid management 3.1 3.1±0.1 Electrolyte/fluid administration 3.1 Acute pain Pain control 4.1 3.7±0.4 Medication management 3.5 3.2±0.4 Pain management 3.7 Teaching: Prescribed medication 3.5 Pain level 3.9 Analgesic administration 3.5 3.0±0.4 Pain management 3.5 Stoped breastfeeding Breastfeeding maintenance 3.8 3.7±0.3 Bottle feeding 3.5 3.0±0.5 Emotional support 3.7 Feeding counseling 3.7 Coping enhancement 3.5 Family support 3.1 Medication management 3.3 Infection control 3.1 Teaching: Individual 3.1 Teaching: infant nutrition 3.0

간호대상자별다빈도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및연계체계조사 133 <Table 7> The results of NANDA-NOC-NIC linkage in gynecologic (continued) Nursing outcome(noc) Nursing intervention(nic) NANDA diagnosis Nursing outcome outcome Nursing intervention Stoped breastfeeding Ineffective infant feeding pattern Knowledge: breastfeeding Breastfeeding establishment Breastfeeding maintenance Nutrition state: food & fluid intake intervention 3.9 Feeding counseling 3.6 3.1±0.3 Bottle feeding 3.4 Parent Education: infant 3.3 Teaching: Individual 3.1 3.7 3.3±0.6 Breastfeeding assistance 3.5 2.9±0.5 Feeding counseling 3.5 Infant care 3.0 4.1 Breastfeeding assistance 3.5 3.2±0.3 Feeding counseling 3.5 Attachment promotion 3.5 Environmental management: safety 3.3 Newborn care 3.2 3.3 Umbilical cord care 3.6 3.0±0.4 Bottle feeding 3.1 Feeding counseling 3.4 Weight management 3.0 Diarrhea Bowel elimination 3.7 2.7±0.6 Bowel elimination management 3.6 3.2±0.3 Diarrhea management 3.4 Perineal care 3.5 Electrolyte & acid/base 2.8 Laboratory data interpretation 3.2 3.2±0.4 balance Vital sign monitoring 3.8 Fluid balance 2.7 Electrolyte/fluid administration 3.3 3.2±0.1 Impaired urinary incontinence Urinary elimination 3.7 3.6±0.1 Urinary elimination management 3.1 3.1±0.1 Medication management 3.1 Medication prescription 3.2 기균형, 체액균형 으로나타났다. 배변 과연계된간호중재로는 배변관리, 설사관리, 회음부간호 로나타났으며, 전해질및산 / 염기균형 과연계된간호중재로는 활력징후감시, 임상결과의해석 으로나타났고, 체액균형 과연계된간호중재로는 수액 / 전해질관리 로나타났다. 간호진단 배뇨장애 와연계된간호결과로 배뇨 로나타났으며, 연계된간호중재로 투약처방, 배뇨관리, 투약관리 로나타났다. 4) 소아과에서의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연계 (NANDA-NOC-NIC Linkage) 소아과의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연계는 <Table 8> 과같다. 소아과에서사용된간호진단과간호결과 (NOC) 중평균이상의간호결과는 15개이며, 이와연계된간호중재 (NIC) 는 37개로나타났다. 각간호진단과연계된간호결과 (NOC) 과간호중재 (NIC) 는다음과같다. 간호진단 활동지속성장애 와연계된간호결과는 자가간호 : 일상생활수행능력, 자가간호 : 도구적일상생활 로나타났다. 자가간호 : 일상생활수행능력 과연계된간호중재는 자가간호보조 로나타났으며, 자가간호 : 도구적일상생활 과연계된간호중재는 가정유지보조 로나타났다. 간호진단 설사 와연계된간호결과는 배변, 전해질및산 / 염기균형 으로나타났다. 배변 과연계된간호중재는 설사관리, 배변관리, 투약관리 로나타났으며, 전해질및산 / 염기균형 과연계된간호중재는 활력징후감시, 수액 / 전해질관리 로나타났다. 간호진단 오심 과연계된간호결과는 영양상태, 안위수준 으로나타났다. 안위수준 과연계된간호중재는 오심관리, 투약관리, 통증관리 로나타났으며, 영양상태 와연계된간호중재는 수액감시 로나타났다. 간호진단 고체온 과연계된간호결과는 체온조절 로나타났으며, 연계된간호중재는 활력징후감시, 체온조절, 악성고열예방 으로나타났다. 간호진단 변비 와연계된간호결과는 배변, 수화 로나타났다. 배변 과연계된간호중재는 변비 / 매복관리, 배변관리, 운동증진 으로나타났으며, 수화 와연계된간호중재는 수액관리,

134 김종경 수화 / 전해질관리 로나타났다. 간호진단 영양불균형 : 영양부족 과연계된간호결과는 영양상태 : 음식및수분섭취, 영양상태 로나타났다. 영양상태 : 음식및수분섭취 와연계된간호중재는 수액감시, 수액관리, 총비경구영양, 영양감시, 수유상담 으로나타났으며, 영양상태 와 연계된간호중재는 교육 : 처방된식이, 체중관리, 영양상담, 활력징후감시 로나타났다. 간호진단 비효율적호흡양상 과연계된간호결과는 활력징후상태 로나타났으며, 연계된간호중재는 활력징후감시, 정맥내주입, 기도관리, 투약관리, 투약처방, 감시, 수액관리 로나 <Table 8> The results of NANDA-NOC-NIC linkage in pediatric Nursing outcome(noc) Nursing intervention(nic) NANDA diagnosis Nursing outcome outcome Nursing intervention intervention Activity intolerance Self-care: Activity of daily living(adl) 2.5 2.0±0.3 Self-care assistance 2.3 2.2±0.2 Self-care: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2.1 Family process maintenance 1.5 1.4±0.1 living(iadl) assistance Diarrhea Bowel elimination 4.1 3.5±0.5 Bowel elimination management 4.1 3.7±0.5 Diarrhea management 4.2 Medication management 3.8 Electrolyte & acid/base balance 3.8 Electrolyte/fluid administration 3.7 3.6±0.3 Vital sign monitoring 4.0 Nausea Comfort level 3.2 3.2±0.1 Medication management 3.3 3.2±0.2 Nausea management 3.5 Pain management 3.3 Nutrition state 3.3 Fluid monitoring 3.5 3.3±0.2 Hyperthermia Thermoregulation 4.5 4.1±0.6 Malignant hyperthermia precautions 3.9 3.8±0.5 Temperature regulation 4.2 Vital sign monitoring 4.3 Constipation Bowel elimination 3.5 3.1±0.4 Bowel elimination management 3.3 3.2±0.2 Constipation/Impaction management 3.5 Behavior enhancement 3.3 Hydration 3.2 Fluid management 3.1 3.1±0.1 Electrolyte/fluid administration 3.1 Inbalanced Nutrition state 3.5 3.3±0.4 Nutritional counseling 3.5 3.0±0.4 nutrition: Less Teaching: Prescribed diet 3.5 than body Vital sign monitoring 3.3 requiremnents Weight management 3.5 Nutrition state: Food & fluid intake 3.8 Fluid monitoring 3.9 3.1±0.5 Nutritional monitoring 3.4 Fluid management 3.9 Feeding counseling 3.4 Total parenteral nutrition(tpn) administration 3.5 Ineffective breathing pattern Impaired oral mucous membrane Vital sign status 3.8 3.7±0.1 Vital sign monitoring 4.1 3.6±0.4 Airway management 3.7 Fluid management 3.6 Intravenous insertion 3.9 Medication management 3.7 Medication prescription 3.7 Surveillance 3.7 Tissue Integrity: Skin & mucous membrane 2.9 2.8±0.6 Chemotherapy management 3.2 3.1±0.3 Medication management 3.3 Medication: skin 3.6 Nutritional management 3.4

간호대상자별다빈도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및연계체계조사 135 <Table 8> The results of NANDA-NOC-NIC linkage in pediatric (continued) Nursing outcome(noc) Nursing intervention(nic) NANDA diagnosis Nursing outcome outcome Nursing intervention intervention Sleep defrivation Rest 3.1 3.0±0.6 Body energy management 2.5 2.2±0.6 Sleep enhancement 3.1 Exercise promotion 2.5 Pain management 2.7 Sleep 3.8 Sleep enhancement 3.1 2.3±0.5 Anxiety reduction 2.7 Body energy management 2.3 Environmental management 2.3 Environmental management: safety 2.4 Medication management 2.5 Pain management 2.7 Acute pain Pain control 3.7 3.3±0.4 Medication management 3.4 3.2±0.4 Pain management 3.4 Teaching: Prescribed medication 3.5 Teaching: precedure/treatment 3.4 Pain level 3.5 Analgesic administration 3.5 3.3±0.4 Pain management 3.2 Heat/cold application 3.5 Surveillance 3.7 타났다. 간호진단 구강점막손상 과연계된간호결과는 조직통합성 : 피부와점막 으로나타났으며, 연계된간호중재는 투약 : 피부, 영양관리, 투약관리, 항암요법관리 로나타났다. 간호진단 수면박탈 과연계된간호결과는 수면, 휴식 이나타났다. 수면 과연계된간호중재로 수면증진, 불안감소, 통증관리, 투약관리, 체력관리, 환경관리 로나타났으며, 휴식 과연계된간호중재로 수면증진, 통증관리, 체력관리, 운동증진 으로나타났다. 간호진단 급성통증 과연계된간호결과는 통증조절, 통증수준 으로나타났다. 통증조절 과연계된간호중재는 교육 : 처방된약물, 투약관리, 통증관리, 교육 : 절차 / 치료 로나타났으며, 통증수준 과연계된간호중재는 감시, 진통제투여, 열 / 냉적용, 통증관리 로나타났다. 5) 정신과에서의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연계 (NANDA-NOC-NIC Linkage) 정신과에서의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연계는 <Table 9> 와같다. 정신과계에서사용된간호진단과연계된간호결과 (NOC) 중평균이상의사용률을나타낸간호결과는 19개이며, 이와연계된간호중재 (NIC) 는 73개로나타났다. 각간호진단과연계된간호결과 (NOC) 와간호결과와연계된간호중재 (NIC) 는 다음과같다. 간호진단 불안 과연계된간호결과는 불안조절, 자해억제, 사회적상호작용기술 로나타났다. 불안조절 과연계된간호중재는 투약, 불안감소, 적극적인경청, 상담, 운동증진, 투약처방, 안정감강화, 함께있기 로나타났으며, 자해억제 와연계된간호중재는 정서적지지, 환경관리 : 안전, 안정감강화, 자살예방, 행동관리 : 자해, 불안감소, 감시 : 안전 으로나타났고, 사회적상호작용기술 과연계된간호중재는 적극적인경청, 분노조절보조, 상담, 행동수정 : 사회적기술, 주장훈련 으로나타났다. 간호진단 변비 ' 와연계된간호결과는 배변, 증상조절 로나타났다. 배변 ' 과연계된간호중재는 배변관리, 변비 / 매복관리 로나타났으며, 증상조절 과연계된간호중재는 배변관리 로나타났다. 간호진단 수면양상장애 ' 와연계된간호결과는 수면 이나타났으며, 연계된간호중재는 약물투여, 수면증진, 투약관리, 환경관리 : 안위, 투약처방, 운동증진, 통증관리, 안정감강화, 환경관리 로나타났다. 간호진단 사회적고립 과연계된간호결과는 여가활동참여, 사회적참여, 사회적상호작용기술, 외로움 으로나타났다. 여가활동참여 와연계된간호중재는 활동요법, 오락요법, 사회화증진, 치료적놀이 로나타났으며, 사회적참여 와연계된간호중재는 활동요법, 사회화증진, 치료적놀이, 오락요법,

136 김종경 <Table 9> The results of NANDA-NOC-NIC linkage in psychiatric Nursing outcome(noc) Nursing intervention(nic) NANDA diagnosis Nursing outcome outcome Nursing intervention intervention Anxiety Anxiety control 4.3 3.9±0.3 Anxiety reduction 4.7 3.4±1.0 Active listening 4.6 Behavior management 3.6 Counseling 3.6 Exercise promotion 3.4 medication 4.8 Medication prescription 4.1 Presence 4.0 Security enhancement 4.1 Self-mutilation restraint 4.1 Behavior management: Self harm 4.3 4.1±0.3 Anxiety reduction 4.3 Emotional support 4.4 Environmental management: safety 4.4 Security enhancement 4.4 Suicide prevention 4.4 Surveillance : safety 4.3 Social interaction skills 4.1 Behavior modification: social skill 3.7 3.5±0.7 Active listening 4.4 Anger control assistance 3.8 Anxiety reduction 4.1 Assertiveness training 3.6 Counseling 3.8 Constipation Bowel elimination 4.6 4.1±0.6 Bowel elimination management 4.4 4.3±0.2 Constipation/Impaction management 4.4 Exercise promotion 4.6 Symptom control 4.1 Bowel elimination management 4.4 2.8±1.5 Disturbed sleep pattern Social isolation Sleep 4.8 4.4±0.4 Sleep enhancement 4.4 3.5±0.9 Environmental management 3.6 Environmental management: comfort 4.3 Exercise promotion 3.8 Medication administration 4.6 Medication management 4.4 Medication prescription 4.3 pain management 3.8 Security enhancement 3.7 Leisure participation 4.0 3.7±0.2 Recreation therapy 3.9 3.2±1.3 Activity therapy 4.2 Socialization enhancement 3.6 Play therapy 3.1 Loneliness 3.7 Socialization enhancement 3.9 3.2±1.0 Support system enhancement 3.7 Active listening 4.6 Activity therapy 4.3 Counseling 3.8 Emotional support 4.4 Hope instillation 3.3 Milieu therapy 3.3 Presence 4.4 Self-esteem enhancement 4.1 Theraputic touch 3.4

간호대상자별다빈도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및연계체계조사 137 <Table 9> The results of NANDA-NOC-NIC linkage in psychiatric (continued) Nursing outcome(noc) Nursing intervention(nic) NANDA diagnosis Nursing outcome outcome Nursing intervention Social isolation Social interaction skills intervention 3.9 Behavior modification: social skill 3.7 3.2±0.7 Active listening 4.2 Counseling 3.8 Self-awareness enhancement 3.4 Self-esteem enhancement 3.7 Therapeutic touch 3.3 Social involvement 4.0 Socialization enhancement 3.8 2.9±0.9 Activity therapy 4.1 Visitation facilitation 3.1 Recreation therapy 3.4 Self-awareness enhancement 3.2 Play therapy 3.6 Visitation facilitation 3.1 Fatigue Nutrition state: Energy 4.2 3.6±0.3 Nutritional management 3.8 3.7±0.3 Feeding 4.1 Nutritional monitoring 3.9 Self-care assistance: feeding 3.6 Teaching: Prescribed diet 3.7 Impaired memory Orientation 4.6 4.2±0.7 Reality orientation 4.6 4.3±0.3 Cognitive stimulation 4.4 Environmental management: safety 4.6 Memory 4.4 Active listening 4.6 4.1±0.4 Anxiety reduction 4.4 Cognitive stimulation 4.4 Bathing/hygiene self-care deficit Risk for self-mutilation Self-care: hygiene 4.6 4.3±0.2 Self-care assistance: Bathing/hygiene 4.2 3.6±0.6 Bathing 4.1 Oral health maintenance 3.6 Teaching; individual 3.7 Impulse control 4.7 4.6±0.1 Behavior management: Self harm 4.4 3.9±0.4 Anger control assistance 4.0 Anxiety reduction 4.2 Area restriction 4.0 Behavior management 4.0 Escape prevention 4.6 Environmental management: safety 4.4 Environmental management: 4.3 Violence prevention Physical restraint 4.2 Seclusion 4.0 Self-mutilation restraint 4.6 Behavior management: Self harm 4.6 4.6±0.1 Environmental management: safety 4.7 Powerlessness Depression control 4.4 3.3±0.5 Cognitive restructuring 4.4 3.3±1.1 Emotion management 4.3 Self-esteem enhancement 4.2 Activity therapy 4.0 Emotional support 4.2 Hope instillation 3.6 Presence 4.2 Self-awareness enhancement 3.7

138 김종경 <Table 9> The results of NANDA-NOC-NIC linkage in psychiatric (continued) Nursing outcome(noc) Nursing intervention(nic) NANDA diagnosis Nursing outcome outcome Nursing intervention Powerlessness Dressing/grooming self-care deficit Health beliefs: Perceived resources intervention 3.4 Health system guidance 2.7 2.6±0.8 Health care information exchange 3.3 Patient rights protection 4.0 Referral 2.6 Support system enhancement 2.8 Self-care:dressing 4.3 4.2±0.1 Dressing 4.2 4.0±0.1 Self-care assistance: Dressing/grooming 4.1 Teaching: Individual 4.0 Self-care:grooming 4.3 Hair care 4.2 4.1±0.2 Self-care assistance: Dressing/grooming 4.3 Bathing 4.3 Teaching: Individual 4.2 자기인식강화, 외출촉진, 자기인식강화, 방문촉진 으로나타났고, 사회적상호작용기술 과연계된간호중재로 적극적인경청, 상담, 행동수정 : 사회적기술, 자존감강화, 자기인식강화, 접촉 으로나타났으며, 사회적참여 와연계된간호중재는 활동요법, 사회화증진, 치료적놀이, 오락요법, 자기인식강화, 외출촉진, 방문촉진 으로나타났다. 간호진단 피로 와연계된간호결과는 영양상태 : 에너지 로나타났으며, 연계된간호중재로 섭식, 영양감시, 영양관리, 교육 : 처방된식이, 자가간호보조 : 섭식 으로나타났다. 간호진단 기억장애 와연계된간호결과는 지남력, 기억력 으로나타났다. 지남력 과연계된간호중재는 현실확인요법, 환경관리 : 안전, 인지자극 으로나타났다. 기억력 과연계된간호중재는 적극적인경청, 불안감소, 인지자극 으로나타났다. 간호진단 목욕 / 위생자가간호결핍 과연계된간호결과는 자가간호 : 위생 으로나타났으며, 연계된간호중재는 자가간호보조, 목욕 / 위생목욕, 교육 / 개인, 구강건강유지 로나타났다. 간호진단 자해위험성 과연계된간호결과는 충동조절, 자해억제 로나타났다. 충동조절 과연계된간호중재는 도주예방, 행동관리 : 자해, 환경관리 : 안전, 환경관리 : 폭력예방, 분노조절보조, 불안감소, 물리적억제법, 활동영역제한, 행동관리, 격리 로나타났으며, 자해억제 와연계된간호중재는 환경관리 : 안전, 행동관리 : 자해 로나타났다. 간호진단 무력감 과연계된간호결과는 우울조절, 건강신념 : 인지된자원 으로나타났다. 우울조절 과연계된간호중재는 인지재구조화, 정서관리, 자존감강화, 정서적지지, 함께있기, 활동요법, 희망주입, 자기인식강화 로나타났으며, 건강신념 : 인지된자원 과연계된간호중재는 환자권리보호, 건강관리정보교환, 지지체계강화, 건강체계안내, 의뢰 로나타났다. 간호진단 옷입기 / 몸치장 자가간호결핍 과연계된간호결과는 자가간호 : 옷입기, 자가간호 : 몸치장 으로나타났다. 자가간호 : 옷입기 와연계된간호중재는 옷입기, 자가간호보조 : 옷입기 / 몸치장, 교육 / 개인 으로나타났으며, 자가간호 : 몸치장 과연계된간호중재는 자가간호보조 : 옷입기 / 몸치장, 목욕, 두발간호, 교육 : 개인 으로나타났다. 논의 본연구결과현재임상에서많이사용하고있는간호진단으로는 변비, 급성통증, 오심, 고체온, 배뇨장애, 비효율적호흡양상, 설사, 비효율적기도청결, 활동지속성장애 등으로나타났다. 이간호진단들의상위영역 (domain) 과과 (class) 를보면 배설 영역의 위장관계 과, 활동 휴식 영역의 호흡기계반응 과, 안위 영역의 신체적안위 등이다. 다른간호진단연구들의결과와비교하면 Choi 등 (1996) 의연구결과, 임상에서가장많이사용되고있다고제시된 5가지간호진단인 통증, 변비, 설사, 고체온, 감염의위험성 에서 감염위험성 만제외하고본연구결과와일치를보이고있다. 또한 Ko(2008) 의내과계와외과계를대상으로한연구에서의간호진단과비교하면 급성통증 이일치를보였으며, Park(2003) 의정형외과, 신경외과, 일반외과등의외과중심의연구와 Lee(2005) 의일반외과입원환자에적용되는연구에서 급성통증 과 오심 이본연구와일치를나타내었다. 임상여러분야의간호진단을연구한 Park과 Lee(1989) 의 NANDA 간호진단분석연구 와비교하면, 성인영역에서는 부적절한기도유지, 변비, 설사, 부적절한호흡양상, 동통, 배뇨양상변화 등이일치를보였고, 모성영역에서는 불안, 변비, 설사, 동통, 배뇨양상변화 등이일치를보였다. 아동영역에

간호대상자별다빈도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및연계체계조사 139 서는 활동장애, 설사, 부적절한호흡양상, 동통, 구강점막변화, 수면장애 등이일치를보였고, 정신과영역에서는 불안, 변비, 무력감, 자각간호부족, 수면장애, 사회적고립 등이일치를나타내었다. 이상으로현재임상에서많이사용되고있는간호진단으로는 변비, 설사, 급성통증, 오심, 비효율적호흡양상 등이많이사용되고있음을본연구결과와다른연구들에서볼수있다. 본연구에서상위다빈도간호진단들과연계된다빈도간호중재 (NIC) 와다른연구자들의연구를비교하면, Lee와 Choi(2003) 의연구에서의간호중재는 투약, 배변관리, 설사관리, 활력증상감시, 상처간호 가같은결과를보였고, Ji(2003) 의 유방암환자의간호진단, 중재, 결과연계 연구에서의다빈도간호중재로 감시, 활력증상감시, 창상간호, 진통제투여, 오심관리 가유사한결과를보였다. 또한 McCloskey 등 (1998) 의미국간호전문기관에서의다빈도간호중재조사결과를보면, 통증관리, 정서적지지, 불안감소, 투약관리, 활력증상감시, 감염관리, 상처간호 등이본연구와일치를나타내었다. 미국아이오와대학의간호중재 (NIC) 개발팀에서조사한분야별다빈도간호중재와비교하면, 내과계와외과계에서는 기도흡인, 흡인예방, 배변관리, 수액감시, 상처간호, 투약관리, 약물투여, 투약관리, 오심관리, 영양관리, 통증관리, 교육 : 처방, 약물, 배뇨관리, 활력징후감시, 상처간호 등이본연구와일치를나타내었다. 소아과분야에서는 환경관리 : 안전, 수유, 수액 / 전해질관리, 투약, 감시, 투약관리, 영양관리, 통증관리, 항암요법관리, 정맥내주입 등이일치를나타내었다. 산과분야에서는 영양관리, 환경관리 : 안위, 정서적지지, 모유수유보조, 적극적인경청, 투약관리, 통증관리, 교육 : 개인 등이일치를나타내었다. 정신과분야에서는 불안감소, 적극적인경청, 행동관리, 상담, 투약, 행동관리 : 자해, 환경관리 : 안전, 자살예방, 투약관리, 사회화증진, 활동요법, 환경요법, 자존감강화, 분노조절보조 등이일치를보였다. 이상으로본연구에서의간호중재 (NIC) 과다른연구들의결과를종합하면, 중요한간호중재 (NIC) 로 투약, 배변관리, 설사관리, 활력증상감시, 상처간호, 감시, 창상간호, 진통제투여, 오심관리, 통증관리, 정서적지지, 불안감소, 기도흡인, 흡인예방 등으로정리될수있다. 이다빈도간호중재 (NIC) 들의상위영역 (domain) 과군 (class) 을보면, 생리기본 영역의 배변관리 군, 생리복합 영역의 투약관리 군과 호흡관리 군, 및 피부및상처관리 군, 행위 영역의 심리적안위증진 군, 안전 영역의 안전 군이었다. 본연구에서의다빈도간호결과 (NOC) 와다른연구들의결과를비교하면, Ji(2003) 의 유방암환자의다빈도간호결과 연구에 서 증상조절, 통증조절, 상처치유 : 일차유합, 배변 등이같은결과를보였으며, Kim(2003) 의 뇌혈관질환자에게적용가능한간호결과 연구에서 상처치유 : 일차유합, 상처치유 : 이차유합, 영양상태 등이같은결과를나타냈다. Lee(2004) 의 복부수술환자의간호결과 연구에서 감염상태, 감염관리, 통증수준, 배뇨, 활력징후상태, 상처치유 : 일차유합, 통증 등이같은결과를나타내었으며, Yoo(2001) 의 복부수술환자에게적용된간호결과 연구에서 통증수준, 안위수준, 통증조절, 증상조절 등이같은결과를나타내었다. Yom(2002) 의 복부수술환자의간호결과 연구에서 통증수준, 통증조절, 안위수준, 상처치유 : 일차유합 과같은결과를나타냈으며, Park(2003) 의 급성통증에대한간호결과 연구에서 통증수준, 통증조절, 영양상태, 증상의심각성 등이같은결과를나타냈다. Kim(2004) 의 정형외과환자의간호결과 연구에서 통증조절 이같은결과를나타났다. 또한아이오와간호결과 (NOC) 개발팀의분야별다빈도간호결과와비교하면, 활력징후감시, 안위수준, 호흡기상태 : 기도개방, 통증수준, 호흡기상태 : 환기, 수면, 증상의심각성, 수화, 투약에대한지식 등이일치하는것으로나타났다 (Johnson et al., 2007). 각간호대상자별다빈도간호결과 (NOC) 를보면, 내과계와외과계에서는 활력징후상태, 통증수준, 상처회복 : 일차유합, 감염상태, 안위수준 등이일치하게나타났으며. 산과분야에서는 영양상태, 통증, 통증수준, 배변 이일치를보였다. 소아과분야에서는 수면, 활력징후, 영양상태, 휴식, 배변, 영양상태, 통증수준, 안위수준, 활력징후상태, 조직통합성 : 피부와점막, 수면, 활력징후상태, 영양상태 등이일치를보였으며, 정신과분야에서는 수면, 자가간호 : 위생, 사회적참여, 자가간호 : 몸치장, 기억, 증상조절 이일치를나타내었다 (Moorhead et al., 2007). Behrenbeck, Timm, Griebenow와 Demmer(2005) 의간호결과 (NOC) 연구결과, 외과계에서는 활력징후 와 통증 이본연구와같은결과를나타내었으며, 내과계에서는 활력징후, 배변, 통증수준, 상처회복 : 일차유합 등이본연구와같은결과를나타냈다. 이상으로본연구와다른연구들을종합하면, 다빈도간호결과 (NOC) 로 증상조절, 통증, 통증수준, 통증조절, 상처치유 : 일차유합, 상처치유 : 이차유합, 영양상태, 감염상태, 감염관리, 배변, 배뇨, 활력징후상태, 안위수준, 증상의심각성 등이같은결과들을나타내었다. 간호대상자별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연계 (NANDA- NOC-NIC Linkage) 연구결과와다른연구들과비교하면, Ko (2008) 의 내과계와외과계에서의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연계 연구에서간호결과 통증조절, 상처치유 : 일차유합, 통증수

140 김종경 준, 감염정도 와간호중재 통증관리, 상처간호, 출혈예방 등이본연구와같은결과를나타내었고, Joe(2008) 의 성인수술환자대상으로한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연계 연구에서간호진단 급성통증 과연계된간호결과 통증조절, 통증수준 및연계된간호중재 통증관리, 진통제투여, 통증관리 등이본연구와같은결과를나타내었다. Park(2003) 의 정형외과, 신경외과, 일반외과등의외과중심의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연계 연구에서, 간호진단 급성통증, 오심, 비효율적호흡양상 급성통증, 오심 보였고, 급성통증 과연계된간호결과로 통증수준, 통증조절, 안위수준, 통증 : 파괴적영향 과, 연계된간호중재 통증관리, 진통제투여, 투약 : 근육 과간호진단 오심 과연계된간호결과 음식및수준섭취, 안위수준, 영양상태, 증상의심각성 과 증상의심각성 과연계된간호중재 오심관리, 수액투여 와간호진단 비효율적호흡양상 과연계된간호결과 호흡수준섭취안위수준, 영양상태 와연계된간호중재 심 관리, 호흡과관련된진통제투여 등이본연구와같은결과를나타내었다. Lee(2005) 의 일반외과입원환자상의적용되는간호진단- 간호결과-간호중재연계 연구에서간호진단 급성통증 상의연계된간호결과 통증조절, 통증수준, 통증수준 과연계된간호중재 통증관리, 진통제투여 와간호결과 통증조절 과연계된간호중재 통증관리, 투약관리 등과, 간호진단 감염위험성 과연계된간호결과 상처치유 : 일차유합, 상처치유 : 이치유합, 감염상태 및 상처치유 : 일차유합 과연계된간호중재로 절개부위간호, 상처간호 등이본연구와일치를나타내었다. Lee와 Lee (2007) 정신간호학회지에서의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연계분석 연구에서간호진단 사회적고립, 변비, 불안, 수면양상장애, 간호중재에서 사회화증진, 적극적인경청, 간호결과 수면, 사회적상호기술 등이본연구와같은결과를나타내었다. 이상으로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연계 (NANDA-NOC-NIC Linkage) 의본연구결과와다른연구들의결과를요약하면, 간호진단 오심 - 간호결과 음식및수분섭취, 안위수준, 영양상태, 증상의심각성 - 간호중재 오심관리, 수액감시 가일치를나타내었고, 간호진단 급성통증 - 간호결과 통증수준, 통증조절 - 간호중재 통증관리 가일치를나타내었다. 간호진단 비효율적호흡양상 - 간호결과 호흡기상태 : 기도개방, 활력징후 - 간호중재의 기도관리, 호흡과관련된자료감시 가일치를나타내었고, 간호진단의 감염위험성 - 간호결과 상처치유 : 일차유합, 상처치유 : 이차유합 - 간호중재 절개부위간호, 상처간호 등이본연구와일치하게나타났다. 이러한간호대상자별상위다빈도간호진단과다빈도간호결과 (NOC) 와간호중재 (NIC) 및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연계 (NANDA-NOC-NIC Linkage) 연구결과를기초로하여서각간호대상자별간호과정시스템개발을할수있으며, 시스템개발이시간이많이소요되므로, 시스템개발이전이라도이연구결과를기초로하여각간호대상자별간호과정기록지를만들어서간호사들의간호과정기록에사용될수있으리라고사료된다. 그리고간호대상자별연구중국내연구에서는내과계와외과계에서의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가주로많이되어있었으며, 산과계와소아과계및정신과계에서는거의연구가없는실정이어서비교하기가어려움이있었다. 그러므로산과계와소아과계및정신과에서의간호진단과간호중재 (NIC) 및간호결과 (NOC) 연구를제언하며, 또한특수부서에서의간호진단, 간호결과 (NOC), 간호중재 (NIC) 연구도제언하는바이다. 결론및제언 본연구는종합전문병원에서의간호과정시스템과간호관리시스템개발을위하여, 간호대상자별로간호진단 (NANDA) 과간호중재 (NIC) 및간호결과 (NOC) 를조사한서술 조사연구이다. 간호대상자영역에는내과계, 외과계, 산부인과, 소아과, 정신과가포함되며, 표준간호용어인간호진단 (NANDA), 간호결과 (NOC), 간호중재 (NIC) 를이용하여조사를실시하였다. 먼저상위다빈도간호진단을간호대상자별로조사한후, 다빈도간호중재 (NIC) 와간호결과 (NOC) 를파악하였다. 그리고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연계 (NANDA-NOC-NIC Linkage) 를파악하였다. 본연구대상은종합전문병원의내과계, 외과계, 산부인과, 소아과, 정신과에근무하는간호사 150명을대상으로하였으며, 최종분석은 123부가사용되었다. 산부인과 15명, 소아과 17명, 정신과 11명은해당병동의간호사전원을조사대상으로하였으며, 내과계 39명과외과계 41명의간호사는해당병동의간호사들의일부를대상으로하였다. 설문지조사를위해먼저간호부의허락을구한후, 조사대상간호사들의동의를받아서 1차는간호진단조사지로조사를실시한후, 통계를실시하여다시 2차조사지는간호중재 (NIC) 와간호결과 (NOC) 설문지로조사를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는간호진단도구는북미간호진단협회에서개발한간호진단을기초로하였으며 (NANDA, 2007), Sung 등 (2003) 의 간호진단분류 로번역된간호진단내용을사용하였으며, 총 136 개의간호진단이사용되었다. 간호중재도구는아이오와대학에서개발한간호중재 (NIC) 와간호결과도구는아이오와대학에서개발한간호결과 (NOC) 를기초로하였고, 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연계 (NANDA-NOC-NIC Linkage) 에서의간호중재 (NIC) 과

간호대상자별다빈도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및연계체계조사 141 간호결과 (NOC) 을이용하였다 (Bulecheck et al., 2007; Moorhead et al., 2007). 간호진단- 간호결과- 간호중재연계 (NANDA, NOC, NIC Linkages) 도구는 Johnson 등 (2005) 의도구를이용하였으며, 한국어번역은 Choi 등 (2006) 이번역한 표준화된간호진단 (NANDA) 결과 (NOC) 중재 (NIC) 의연계 를이용하였다. 본연구의분석은 Excel program과 SPSS PC + 15.0을이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일반적특성은빈도와백분율을이용하였으며, 간호진단은평균을구하였고, 간호중재와간호결과는평균과표준편차를구하였다. 1. 결론본연구의중요한결과는다음과같다. 1) 상위다빈도간호진단으로는 변비, 급성통증, 오심, 고체온, 배뇨장애, 비효율적호흡양상, 설사, 비효율적기도청결, 활동지속성장애 등이었으며, 변비 는모든 5개부서에서사용되었으며, 급성통증 은 4개부서에서사용되었고, 3개부서에서사용된간호진단으로는 오심, 고체온, 배뇨장애, 비효율적호흡양상, 설사, 2개부서에서사용된간호진단으로는 비효율적기도청결, 활동지속성장애 등이었다. 2) 간호대상자별상위다빈도간호진단으로, 내과계에서는 오심, 비효율적기도청결, 고체온, 변비, 만성통증, 급성통증, 설사, 배뇨장애, 외과계에서는 급성통증, 오심, 변비, 설사, 고체온, 배뇨장애, 산부인과에서는 활동지속성장애, 효과적모유수유, 소아과에서는 활동지속성장애, 설사, 오심, 정신과에서는 불안, 변비, 수면양상장애, 사회적고립, 피로, 기억장애, 목욕 / 위생자가간호결핍 등으로나타났다. 3) 간호대상자별다빈도간호중재 (NIC) 로는, 내과계에서는 배변관리, 구토관리, 기도흡인, 통증관리, 투약관리, 오심관리, 외과계에서는 진통제투여, 투약관리, 기침장려, 배변관리, 활력징후, 산부인과에서는 수유상담, 정서적지지, 소아과에서는 설사관리, 체온조절, 배변관리, 활력징후감시, 정신과에서는 44개로 투약, 투약처방, 환경관리 : 안전, 안정감강화, 자살예방, 감시 : 안전, 변비 / 매복관리, 약물투여, 수면증진 등으로나타났다. 4) 간호대상자별다빈도간호결과 (NOC) 로는, 내과계에서는 체온조절, 통증조절, 활력증후상태, 배변, 외과계에서는 통증수준, 체온조절, 배변, 통증조절, 활력징후상태, 배뇨, 증상조절, 호흡상태 : 기도개방, 산부인과에서는 모유수유유지, 통증조절, 소아과에서는 체온조절, 배변, 정신과에서는 17개로, 불안조절, 자해억제, 사회적상호작용기술, 배 변, 증상조절, 수면, 여가활동참여, 사회적참여, 영양상태 : 에너지, 지남력, 기억력, 자가간호 : 위생, 충동조절, 자해억제, 우울조절, 자가간호 : 옷입기, 자가간호 : 몸치장 등으로나타났다. 5) 간호대상자별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연계 (NANDA-NOC- NIC Linkage) 결과는, 내과계에서간호진단과연계된간호결과 (NOC) 11개와간호중재 (NIC) 23개, 외과계에서는간호진단연계된간호결과 (NOC) 15개와간호중재 (NIC) 18개, 산부인과에서간호진단과연계된간호결과 (NOC) 14개와간호중재 (NIC) 43개, 소아과에서간호진단과연계된간호결과 (NOC) 는 15개와간호중재 (NIC) 는 37개, 정신과에서간호진단과연계된간호결과 (NOC) 19개와간호중재 (NIC) 73개로나타났다. 본연구의의의는현재임상에서의대표적으로특성이다른간호대상자별내과계, 외과계, 산부인과, 소아과, 정신과에서의간호과정을표준간호용어인간호진단-간호결과 (NOC)-간호중재 (NIC) 연계도구를이용하여조사하였으며, 간호사의독자적영역인간호과정을효율적으로사용하는데지침을제공하고, 임상간호사와간호실습교육에도움을줄수있으며, 임상에서의각대상자별간호과정의전산화에기초자료가될것이다. 2. 제언 1) 본연구결과로임상에서의간호과정시스템개발을제언한다. 2) 임상에서중환자실, 응급실, 인공신장실에서의간호과정조사연구를제언한다. 3) 간호학과임상실습시사례연구에적용을제언한다. REFERENCES Bulecheck, G., Butcher, H. K., & McCloskey, D. J. (2007).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St. Louis: Mosby. Behrenbeck, J. G., Timm, J. A., Griebenow, L. K., & Demmer, K. A. (2006). Nursing-Sensitive Outcome Reliability Testing in a Tertiary Care Setting. Int J Nurs Terminol Classif, 16(1), 14-20. Cavendish, R. (2004). School nurses' use of NANDA, NIC, and NOC to describe children's abdominal pain. Int J Nurs Terminol Classif, 14(4), 17-18. Choi, Y. H., Rhee, H. R., Kim, H. S., Kim, S. S. & Park, K. O. (1996). A Survey Study of Nursing Diagnosis Use in Clinical Practice. J Korean Acad Nurs, 26(4), 930-945. Choi, S. H., Choi, B. H., Ji, H. R., Lee, E. J., Kim, H. S., & Park, M. J. (2006). Standardized NANDA, NOC, NIC linkage. Seoul: Hyunmoonsa. Jee, M. K. (2003). Linkages of diagnosis, intervention,

142 김종경 and outcome classification of breast cancer patients using databa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Junang National University, Seoul. Hughes, R. (2004). The use of NANDA, NIC, and NOC in the identification and measurement of problems, interventions, and outcomes in spinal cord injury. Int J Nurs Terminol Classif, 14(4), 18-19. Kim, Y. H. (2003). Validation of the Nursing Outcomes to Cerebrovascular Patients using Iowa NOC. Unpublished master's thesis, Jun Nam University, Kwangju. Keenan, G. M., Kileen, M. B., & Clingerman, E. (2002). NANDA, NIC, and NOC; progress toward a information infrastructure. Nurs Educ Perspect, 23(4), 162-163. Kim, H. S. (2004).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computerized process program for orthopedic surgery in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JunNam University, Kwangju. Ko, E. (2008). Construction of information system using NANDA-NOC-NIC linkage in medical.-surgical 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im, J. A. (2001). Development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 of process for clinical appli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ae University, Seoul. Ji, Mi. Kyung. (2005). Linkages of diagnosis, intervention and outcome classification of breast cancer patients using databa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 Ang university, Seoul. Johnson, M., Bulecheck G., Moorhedad, S., Butcher, H. K., Mass, M. L., Swanson, E., & McCloskey, J. (2005). NANDA, NOC, and NIC Linkages. St. Louis: Mosby. Lee, E. J., & Choi, I. H. (2003). Comparison on Nursing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Nursing Interventions linked to Nursing Diagnoses-focused on 5 NANDA Nursing Diagnoses. J Korean Acad Nurs, 33(2), 210-219. Lee, E. O., Song, M. S., Kim, M. K., & Park, H. A. (1996). Experiment using 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 model applied to diagnosis. Taehan Kanho Hakhoe Chi, 26(2), 281-289. Lee, M. G. (2004) Development of diagnosis, outcomes, interventions linking protocol for patients in the postanesthetic ca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University, Seoul. Lee, S. J., & Lee, M. Y. (2007). Analysis of intervention studies published b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l ic and Mental Health Nursing using the NANDA, NIC, and NOC. J Korean Psychial Ment Health Nurs Acad Soc, 16(4), 377-388. Lee, S. H. (2004). Development of an NOC applied outcomes evaluation tool for abdominal surgery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Lee, E. J. (2005). Identification of diagnosis-outcomeintervention (NANDA-NOC-NIC) Linkage in Surgical Nurs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University, Daejeon. McCloskey, J., Bulechek, G., & Donahue, W. (1998). Nursing Interventions frequent to specialty practice. Nurs Outlook, 46(2), 67-76. Moorhead, S., Johnson, M., Mass, M. L., & Swanson, E. (2007). 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 St. Louis: Mosby. NANDA International (2007). Nursing Diagnoses: definitions & Classification. 2007-2008. Philadaphia: NANDA International. Prophet, C. M., & Delaney, C. W. (1998). 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 Implications for Nursing information Systems and the computer-based patient record. J Nurs Care Qual, 21(1), 21-31. Park, K. S., & Lee, J. H. (1989). An analysis of diagnoses using NANDA classification. J Korean Acad Adult Nurs, 172-89. Park, H. A., & Kim, J. E. (1998). A comparative analysis of diagnoses and outcome classification. Seoul J Nurs, 12(1), 15-31. Park, H. J. (200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computerized process program using diagnosis-outcome-intervention (NANDA-NOC-NIC) Linkag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am National University, Kwangju. Reu, H. S. (2001). Construction of linkage database on diagnoses, interventions, outcomes in abdominal surgery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Jun Ang University, Seoul. Seo, M.K.A., Lee, S. M., Lee, N. J., Kim, J. A., Hong, H. S., Kim, E. Y., Kim, E. K., Lee, S. J., Han, Y. H., Kow, M. S., et al. (2009). Nursing informatics and the foundation of knowledge. Seoul: Fornurse. Sun, M. H., Hong, Y. H. & Jung, H. M. (2003). Nursing diagnosis classification. Seoul: SuMoonSa. Yom, Y. H., & Lee G. E. (2000). Validation of - sensitive patient outcomes focused on abuse outcomes. Korean J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 6(4), 506-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