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3권2호(최종).hwp

Size: px
Start display at page:

Download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3권2호(최종).hwp"

Transcription

1 本草 效能 主治 用語에 對한 硏究 1 2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ㆍ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3 4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ㆍ한국전통의학연구소 신재혁1 이병욱2 엄동명3, 4 *53) A Study on Terminology of Effectiveness and Symptoms of disease in Meteria Medica ㆍ ㆍ Shin Jae-hyuk1 Lee Byeong-wook2 Eom Dong-myung3, 1 Graduate School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Korean Medicine Dept. of Class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4 Research Center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erminology in any study is an important part. In traditional medicine, especially in meteria medica, ther are many sections of explanation, which are origin, place of production, component, taste, effectiveness meridian entry, symptoms of disease, etc. Bonchohak(本草學) is one of the textbook of meteria medica in Korea. In that book, descriptions of meteria medica by effectiveness, symptoms of disease are supposed to be with accordance in the same section. However, unfortunately it is not. In this paper, I will explain those discordances and differences. Key Words : terminology, effectiveness, symptoms of disease, meteria medica Ⅰ. 序論 本草學書籍에서는 本草를 說明하는 내용으로 基源, 産地, 成分, 性味, 歸經, 主治 등 여러 가지 項目을 설 정해 놓고 있다. 本草學書籍마다 차이가 있기는 하지 만 대부분의 서적에서 설정하고 있는 항목은 크게 다 르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本草學書籍에서 사용되는 用語들은 곧장 임상에서 활용되고 있기 客觀的이고 통일된 용어를 사용해야 해당 약물에 대한 지식과 情 報를 전달하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특히 本草의 效能과 主治에 대한 用語는 本草의 特徵을 규정하는 項目이기에 的確性이 要求된다. 그러나 실제 本草學書籍에서 사용하고 있는 용어 들을 살펴보면 표준화되어 있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 고 있으며, 같은 서적 내에서도 서로 다른 용어로 지 * 교신저자 : 엄동명. 전북 익산시 신용동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haksan@wku.ac.kr Tel: Fax : 접수일(2010년 2월 19일), 수정일(2010년 3월 21일), 게재확정일(2010년 3월 22일) 식을 표현하고 있어 용어 사용에 대한 표준화가 시급 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本草學書籍 가운데 한 종을 대상으로 하여 效能用語와 病症用語에 대한 일치 불일치 정도 107

2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제23권 2호(2010年 3月) J. Oriental Medical Classics 2010:23(2) 를 파악해 봄으로써 한의학분야의 용어표준화 작업 이 시급한 문제임을 알리고자 한다. 效能用語 : 解表散風, 透疹. 病症用語 : 感冒, 頭痛, 麻疹, 風疹, 瘡瘍初起. 炒 炭治便血, 崩漏, 産後血暈. Ⅱ. 硏究方法 1. 서울 永林社에서 2004년에 出刊한 本草學 을 사용하였다. 2. 연구대상 藥物은 解表藥 가운데 發散風寒藥 15 種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3. 效能主治 項目에 나오는 效能用語와 病症用 語를 整理하였다. 4. 解說 項目에 나오는 效能用語와 病症用語를 整理하고, 서술문으로 되어 있는 내용 가운데 명사 형태의 용어로 표현이 가능한 것은 명사형으로 변형 시켰다. 5. 두 用語간의 聯關性을 檢討하였다. 6. 다른 藥物과 配伍하여 나타나는 效能과 病症用 語는 考察에서 除外하였다. 7. 名詞形 用語는 그대로 使用하고, 敍述形 文章은 名詞形으로 만들어 考察하였다. Ⅲ. 本論 1. 效能主治 의 效能用語와 病症用語 1) 麻黃 效能用語 : 發汗散寒, 宣肺平喘, 利水消腫, 蜜炙 潤肺止咳. 病症用語 : 風寒感冒, 胸悶喘咳, 風水浮腫, 氣管 支哮喘. 2) 桂枝 效能用語 : 發汗解肌, 溫經通脈, 助陽化氣, 平冲 降氣. 病症用語 : 風寒感冒, 脘腹冷痛, 血寒經閉, 關節 痺痛, 痰飮, 水腫, 心悸, 奔豚. 3) 紫蘇葉 效能用語 : 解表散寒, 行氣和胃. 病症用語 : 風寒感冒, 咳嗽嘔惡, 姙娠嘔吐, 魚蟹 中毒. 4) 荊芥 108 5) 羌活 效能用語 : 散寒, 袪風, 除濕, 止痛. 病症用語 : 風寒感冒頭痛, 風濕痺痛, 肩背酸痛. 6) 白芷 效能用語 : 散風除濕, 通竅止痛, 消腫排膿. 病症用語 : 感冒頭痛, 眉棱骨痛, 鼻塞, 鼻淵, 牙 痛, 白帶, 瘡瘍腫毒. 7) 防風 效能用語 : 解表祛風, 勝濕, 止痙. 病症用語 : 感冒頭痛, 風濕痺痛, 骨節酸痛, 風疹 瘙痒, 四肢攣急, 破傷風. 8) 藁本 效能用語 : 祛風, 散寒, 除濕, 止痛. 病症用語 : 風寒感冒, 巓頂疼痛, 風濕肢節痺痛. 9) 辛夷 效能用語 : 散風寒, 通鼻竅. 病症用語 : 風寒頭痛, 鼻淵, 鼻塞不通, 鼻流濁涕. 10) 細辛 效能用語 : 祛風散寒, 通竅止痛, 溫肺化飮. 病症用語 : 風寒感冒, 頭痛, 牙痛, 鼻塞鼻淵, 風濕 痺痛, 痰飮喘咳. 11) 生薑 效能用語 : 解表散寒, 溫中止嘔, 化痰止咳, 解毒. 病症用語 : 風寒感冒, 胃寒嘔吐, 寒痰咳嗽, 半夏 毒, 天南星毒, 魚蟹毒. 12) 香薷 效能用語 : 發汗解表, 和中利濕. 病症用語 : 暑濕感冒, 惡寒發熱, 頭痛無汗, 腹痛 吐瀉, 小便不利. 13) 蔥白 效能用語 : 發表通陽, 解毒殺蟲. 病症用語 : 感冒風寒, 陰寒腹痛, 二便不通, 痢疾, 瘡癰腫痛, 蟲積腹痛. 14) 檉柳 效能用語 : 疏風解表, 透疹解毒. 病症用語 : 風熱感冒, 麻疹不透, 風濕痺痛, 皮膚

3 本草 效能 主治 用語에 對한 硏究 瘙痒. 15) 蒼耳子 다. 痰飮과 蓄水를 치료하는데 이는 溫化의 작용이 效能用語 : 散風除濕, 通鼻竅. 있기 때문이다. 水濕의 陰邪는 陽을 得하게 되면 化 病症用語 : 風寒頭痛, 鼻淵流涕, 風疹瘙痒, 濕痺 濕하게 되므로, 桂枝는 通陽化氣의 효능으로 化濕利 水의 효과를 증강케 하고 利水化濕藥과 配伍하여 拘攣 常用하므로서 陽氣不行으로 水濕이 停留되어 나타 나는 痰飮과 蓄水의 證을 치료하게 된다. 2. 解說 의 效能用語와 病 症用語 汗出, 惡風의 表虛證을 치료하는데 酸斂시키는 藥物을 配伍하여 한편으로는 發散시키고 또 한편으 로는 收斂하여 營衛를 조화케 하여 散風斂營되고 原文을 상자 안에 拔萃하고 用語를 抽出하였다. 表邪가 解하게 되며, 大汗出하는 弊가 없이 病證이 1) 麻黃 치료된다. 소위 桂枝가 無汗에는 發汗시키고 有汗에 味辛性溫하고 質이 輕한데 辛味는 發散하고 溫 性은 祛寒하며 體輕升浮하여 肺와 膀胱經에 들어간 다. 肺는 皮毛와 表裏가 되고, 膀胱은 一身의 表를 주관하므로 發汗解表시키고 散寒시키는 효능이 있 어 外感風寒으로 表實無汗한 證을 치료한다. 는 止汗시킨다는 說은 이와 같이 配伍된 藥物의 효 과이며, 실제로 桂枝는 辛溫發散시키는 藥으로 止汗 作用은 없다. 그러므로 陰虛盜汗에 桂枝를 誤用하면 火邪가 甚해져 盜汗이 더욱 심하게 되어 亡陽證을 일으켜 動風 또는 動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능히 宣肺하여 平喘止咳하므로 邪氣가 肺에 壅 效能用語 추출 : 發散風寒, 宣通經脈, 利關節, 溫 遏하고 肺氣不宣하여 나타나는 咳嗽氣喘에 寒, 熱, 通, 活血通經, 散寒止痛, 發汗, 溫化, 通陽化氣, 化濕 痰, 飮과 表證의 有無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利水, 調和營衛, 散風斂營, 解表 또한 麻疹의 透發이 不暢하거나 風疹으로 身痒 등의 병증이 있을 때 응용하고, 溫散寒邪의 효능이 있으므로 病情에 상응되는 약물을 配合하여 風濕痺 病症用語 추출 : 外感風寒, 風寒濕痺, 經閉, 痛經, 體虛感冒, 上肢肩臂疼痛, 痰飮, 蓄水, 汗出, 惡風 3) 紫蘇葉 痛 및 陰疽 등의 병증을 다스린다. 이 외에도 麻黃은 위로는 肺氣를 開宣하여 發汗 性味가 辛溫하고 芳香이 있어 肺 脾經에 들어가 하고 또한 水道를 通調케 하여 膀胱으로 下輸하여 風寒의 邪氣를 發散시킬 뿐 아니라 또한 行氣寬中 利水케 하므로 水腫에 表證을 겸한 證에 가장 적합 시켜 惡寒, 發熱, 頭痛, 鼻塞, 無汗에 咳嗽를 겸한 하다. 外感風寒表證에 효과가 있으며, 表寒에 氣滯를겸하 效能用語 추출 : 發散, 祛寒, 發汗解表, 散寒, 宣 여 胸悶不舒한 證에 적합하다. 肺, 平喘止咳, 透疹, 溫散寒邪, 利水, 消腫 病症用語 추출 : 外感風寒, 表實無汗, 咳嗽氣喘, 麻疹透發不暢, 風疹, 身痒, 風濕痺痛, 陰疽, 水腫 2) 桂枝 脾肺氣滯로 인한 咳嗽痰多 및 胸悶嘔惡 등 證 에 적용한다. 그러므로 風寒表證에 胸悶嘔惡 등 證 이 겸하여 나타나면 紫蘇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 합하다. 發汗작용은 麻黃과 桂枝에 미치지 못하므로 外 辛味는 散하고 溫性은 通行케 하여 外로는 表에 感風寒의 輕證에 상용하고, 安胎의 효능은 行氣시 작용하여 오로지 肌表의 風寒을 發散하며, 四肢에 키는 작용 때문이며, 行氣시키면 氣機가 通暢하게 橫走하여 經脈을 宣通케 하며 關節을 利하게 한다. 되어 胎氣가 自和되기 때문이다. 또한 溫通의 작용은 活血通經하고 散寒止痛하는 효 梗葉과 種子를 分別하여 응용하는데 蘇葉은 發 능이 있어 外感風寒과 風寒濕痺 및 經閉, 痛經 등 表散寒시키고, 蘇梗은 理氣安胎시키며, 蘇子는 降 症狀을 치료하는 要藥이 된다. 氣消痰하므로 外感風寒에는 蘇葉을 다용하고, 胸悶 發汗작용은 麻黃에 비하여 緩和하므로 風寒表證 의 無汗과 有汗을 막론하고 적용할 수 있으며, 더우 嘔惡와 氣滯 및 胎動不安에는 蘇梗을 다용하며, 痰 多喘咳에는 蘇子를 다용한다. 기 體虛感冒로 上肢肩臂가 疼痛한 證 등에 적합하 效能用語 추출 : 發散風寒, 行氣寬中, 發汗, 行氣 109

4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제23권 2호(2010年 3月) J. Oriental Medical Classics 2010:23(2) 安胎, 發表散寒 病症用語 추출 : 惡寒, 發熱, 頭痛, 鼻塞, 無汗, 咳嗽, 胸悶不舒, 咳嗽痰多, 胸悶嘔惡 4) 荊芥 한 性味로 解表하기 때문이며 瘡瘍初期에 風寒表證 이 있고 寒熱無汗한 경우에 사용한다. 效能用語 추출 : 發散寒濕, 通利關節, 止痛, 發散 風寒, 祛風濕, 散寒邪, 利關節, 疏風透表, 解表 輕揚하여 疏散하나 辛하되 烈하지 않고, 微溫하 病症用語 추출 : 頭身疼痛, 關節疼痛, 風寒濕痺, 여 燥하지 않아 그 性이 비교적 和平하여 風邪를 發 寒熱無汗, 頭痛如裹, 項背强痛, 骨節酸疼, 肢體沈重, 散하는데 뛰어나다. 따라서 風寒과 風熱을 疏散하고 水腫, 瘡瘍腫毒, 遍身水腫, 二便不利, 瘡瘍初期, 寒 血中의 風熱을 疏散하므로 外感風寒과 風熱의 表證 熱無汗 에 모두 사용된다. 6) 白芷 荊芥의 芳香은 輕揚疏散하므로 血分의 風熱이 上部에 鬱遏하여 頭痛目赤하고 咽喉가 腫痛한 證에 더욱 마땅하며, 麻疹透發不暢과 風疹瘙痒 및 瘡瘍初 起에 適用하는데 이는 辛(溫)한 性味가 病邪를 透邪 시켜 밖으로 나가게 하므로서 病을 치료하게 된다. 辛味는 發散袪風하고, 溫燥한 性은 除濕시키며, 芳香은 通竅하므로 能히 肺, 胃, 大腸 三經의 風濕 之邪를 발산하는데 사용되나 주로 胃經의 主藥으로 사용된다. 足陽明胃經은 頭面을 上行하므로 外感風 邪로 인한 頭目昏痛, 眉棱骨痛, 牙痛 및 鼻淵流涕 效能用語 추출 : 發散風邪, 疏散風寒, 疏散風熱, 透疹 등의 病證을 치료하는 要藥이 된다. 또한 袪風除濕하는 효능이 있어 風濕으로 인한 痺痛과 皮膚瘙痒을 치료하고, 燥濕止帶하는 효능으 病症用語 추출 : 外感風寒表證, 外感風熱表證, 頭 痛目赤, 咽喉腫痛, 麻疹透發不暢, 風疹瘙痒, 瘡瘍初 起 로 婦女의 寒濕帶下證에 常用하는 약물이 된다. 이 외에 消腫排膿하는 효능은 辛味의 작용 때문 으로 癰疽瘡瘍, 毒蛇咬傷 등에 外科에서 常用하는 5) 羌活 上昇發散하는 작용이 강하여 肌表의 游風과 寒濕 의 邪氣를 發散시키고 關節을 通利하여 止痛시키는 효능이 있다. 따라서 外感風寒과 風濕으로 인한 頭身 疼痛과 風寒濕邪로 인한 關節疼痛을 치료하는데, 특 히 上半身의 風寒濕痺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外感表證에 羌活이 氣香性散하여 表의 風寒濕邪 를 發散시키는 효능이 좋으므로 表證이 風寒에 屬하 보조약으로 內服과 外用 모두 사용된다. 效能用語 추출 : 發散袪風, 除濕, 通竅, 發散風濕, 袪風除濕, 燥濕止帶, 消腫排膿 病症用語 추출 : 頭目昏痛, 眉棱骨痛, 牙痛, 鼻淵 流涕, 風濕痺痛, 皮膚瘙痒, 寒濕帶下, 癰疽瘡瘍, 毒 蛇咬傷 7) 防風 고 濕을 겸하여 나타나는 寒熱無汗, 頭痛如裹, 項背 强痛, 骨節酸疼, 肢體沈重한 症狀에 마땅하다. 風寒濕痺에 羌活이 風濕을 袪하고 寒邪를 散하여 利關節하는 효능이 있어 痺證을 치료하는 要藥이 된 다. 그런데 直上頂巓, 橫行支臂 하는 특징이 있어 上半身의 痺痛에 효과가 있고, 偏勝하는 邪氣에 따라 관련이 있는 藥物과 配伍를 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風邪偏勝에는 桂枝 防風 威靈仙 薑黃 등과 同用하고, 寒邪偏勝에는 附子 細辛 炙甘草 등과 同用하여야 하 며, 濕邪偏勝에는 薏苡仁 蒼朮 防己 등과 配合하여야 한다. 이 외에 水腫과 瘡瘍腫毒에도 응용되는데 水腫은 羌活이 疏風透表하기 때문으로 陽水로써 遍身水腫, 二便不利한 證을 치료하고, 瘡瘍腫毒은 羌活의 辛溫 110 性味가 辛甘微溫하고, 質이 柔潤하여 膀胱 肝 脾三經에 들어가 周身을 善行하고 風邪를 祛하여 治風에 通用하는 要藥이 된다. 外感表證의 常用藥으로 袪風解表하는 효능이 뛰어나 外感表證에 寒熱虛實을 막론하고 사용되어 惡寒發熱, 頭痛身痛 등의 風寒證과 風熱에 의한 目 赤咽痛 등 證을 치료한다. 風寒의 邪를 祛하여 解表하고 또한 風濕을 祛하 여 止痛케 하므로 風寒의 表證과 風濕으로 인한 痺 痛을 치료하는데 常用되어 風寒濕痺, 關節疼痛, 四 肢攣急 등 證에 사용된다. 이와 같은 효능은 防風 의 性味가 微溫하되 燥하지 않고 甘緩하여 峻烈하 지 않아 性이 비교적 緩和하므로 防風을 風藥中에

5 本草 效能 主治 用語에 對한 硏究 潤劑라 稱하게 되었으며, 防風이 肝脾經에 入하고 肝主筋, 脾主四肢 하므로 防風의 勝濕은 經絡筋骨 중의 風濕之邪를 제거하는데 유효하다. 또한 袪風止痒하는 효능이 있어 風瘡疥癬 혹은 응용된다. 鼻淵, 鼻塞, 鼻涕 등의 鼻疾患이 寒에 치우친 경 우에는 細辛 白芷 防風 등과 배합하고, 熱에 치우치 면 薄荷, 黃芩, 蒼耳子 등과 배합하는데, 內服외에도 皮膚瘙痒 등을 치료하고, 肝經에 入하여 袪風, 解 散劑, 乳劑, 油劑 등을 局部에 外用하기도 한다. 痙하는 효능이 있어 破傷風, 角弓反張, 牙關緊閉, 效能用語 추출 : 散風寒, 通鼻竅, 發散風寒 抽搐痙攣 등 證에도 사용된다. 荊芥와 防風은 모두 散風解表작용이 있고 藥力 이 緩和하여 風寒과 風熱表證에 함께 사용되는데, 防風의 袪風解表작용은 全身疼痛을 치료하는데 荊 病症用語 추출 : 頭痛鼻塞, 鼻淵頭痛, 鼻流濁涕, 不聞香臭, 齒痛, 鼻淵, 鼻塞, 鼻涕 10) 細辛 芥보다 뛰어나고, 荊芥는 發汗解表하는 작용이 防 味가 辛香하고 性이 溫하면서 猛烈하여 外로는 風에 비하여 우수하므로 解表發汗에는 兩者를 同 風寒의 邪氣를 發散시키고, 內로는 寒飮을 化하고 아 用한다. 울러 開竅하여 止痛시키는 효능이 있어 外感風寒으 效能用語 추출 : 祛風邪, 袪風解表, 祛風濕, 止痛, 로 인한 頭痛, 身痛, 肺寒停飮, 痰多咳喘 등 證을 치 袪風止痒, 袪風, 解痙, 散風解表 病症用語 추출 : 惡寒發熱, 頭痛身痛, 目赤咽痛, 風濕痺痛, 風寒濕痺, 關節疼痛, 四肢攣急, 風瘡疥癬, 료하는 要藥이 된다. 細辛의 散寒시키는 작용이 비교적 좋으나 發汗시 키는 작용이 약하여 일반적인 解表의 方劑에는 응용 하지 않고, 袪風散寒하는 작용은 外感風寒表證에 寒 皮膚瘙痒, 破傷風, 角弓反張, 牙關緊閉, 抽搐痙攣, 邪가 偏盛하여 생긴 頭痛, 肢體疼痛이 비교적 심한 全身疼痛 경우에 적용된다. 8) 藁本 辛溫한 性味로 發散, 散寒止痛작용이 좋으며 膀 胱經에 入하므로 外感風寒으로 인한 頭痛에 효과 가 뛰어나며 특히 癲頂疼痛 치료에 要藥이 된다. 또한 袪風勝濕하는 효능이 있어 外感風濕으로 인한 肢體痺痛, 頭痛項强, 四肢酸重하는 證을 치료 하고, 風濕으로 인한 頭面과 皮膚瘙痒에 사용된다. 이 외에 散寒除濕하는 효능으로 寒濕이 腸胃를 侵犯하여 나타나는 腹痛泄瀉를 치료한다. 더불어 足少陰腎經에 入하여 少陰之寒을 袪하는 작용이 있어 小腹疼痛, 下肢畏寒, 舌淡不渴 한 症이 陰寒에 속한 者를 치료하는데 附子, 肉桂와 配伍하 고, 陽虛로 인한 外感風寒病證에 惡寒發熱, 身倦欲 臥, 舌苔水滑, 脈沈한 者에는 麻黃 附子와 配合한다. 또한 溫肺化飮하는 효능이 있어 寒飮伏肺를 치료 하는 常用藥으로 咳嗽氣喘, 痰多淸稀한 者를 치료하 고, 辛香走竄하는 性이 있어 硏末하여 吹鼻하면 白芷 皂角刺 通竅醒神의 효능이 있고, 烏頭를 配合하면 牙 痛을 치료하고, 頭痛에는 川芎을, 痺痛에는 桂枝를 效能用語 추출 : 發散, 散寒止痛, 袪風勝濕, 散寒 除濕 配合하면 祛風止痛의 妙가 있다. 이 외에 單用하거나 黃連과 配合하여 患部에 발라 口瘡치료에 사용하기도 한다. 病症用語 추출 : 外感風寒頭痛, 癲頂疼痛, 肢體痺 痛, 頭痛項强, 四肢酸重, 皮膚瘙痒, 腹痛泄瀉 9) 辛夷 效能用語 추출 : 發散風寒, 開竅止痛, 散寒, 發汗, 袪風散寒, 溫肺化飮, 通竅醒神, 祛風止痛 芳香은 質輕하고 氣味俱薄하여 解表力이 비교적 病症用語 추출 : 頭痛, 身痛, 肺寒停飮, 痰多咳喘, 약하지만, 肺에 入하여 散風寒 通鼻竅하고 胃에 入하 頭痛, 肢體疼痛, 小腹疼痛, 下肢畏寒, 舌淡不渴, 惡 여 胃中淸陽之氣를 上昇시키므로 風寒으로 인한 頭 寒發熱, 身倦欲臥, 舌苔水滑, 脈沈, 咳嗽氣喘, 痰多 痛鼻塞에 사용된다. 또한 鼻淵頭痛, 鼻流濁涕, 不聞 淸稀, 牙痛, 頭痛, 痺痛, 口瘡 香臭 등의 증상에 要藥이 된다. 辛夷에 비록 風寒을 發散시키는 작용이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外感表證에 는 많이 응용하지 않으며, 더러는 齒痛을 치료하는데 11) 生薑 味辛하고 性溫하여 肺經에 들어가 風寒의 邪氣 111

6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제23권 2호(2010年 3月) J. Oriental Medical Classics 2010:23(2) 를 散하여 解表하는데, 辛散發表하는 효력은 비교적 性味가 辛散溫通하여 능히 上下를 宣通하고, 表 약하여 感冒의 輕證에 사용하므로 外感風寒으로 인 裏를 通達케 하며, 外로는 寒邪를 散하여 解表하 한 惡寒發熱, 頭痛鼻塞 등 症狀을 치료한다. 다만 고, 內로는 陽氣를 通하게 하여 止痛하므로 外感風 外感風寒의 證이 重症일 때는 반드시 다른 辛溫解 寒으로 인한 惡寒發熱과 혹은 寒邪가 裏로 들어가 表藥과 同用해야 하며, 生薑은 輔助藥으로서 辛溫解 下痢脈微하고 寒凝氣阻로 인한 腹痛과 尿閉 등의 表劑 중에 사용하여 發汗작용을 증강시킨다. 증상에 모두 응용한다. 그러나 發汗시키는 효능이 그리고 胃經에 들어가서는 溫胃和中시키고 降逆 止嘔시켜 止嘔시키는 要藥이 된다. 그러므로 生薑은 약하여 感冒의 輕證에 주로 응용하고 또는 다른 解 表藥과 同用하여 補助藥으로 하여 응용한다. 嘔家에 聖藥이라 하여 胃寒이나 痰濕이 中洲에 阻 滯되어 나타나는 胃氣上逆의 惡心嘔吐에 모두 效果 가 있으며, 胃熱嘔吐에도 相應하는 藥物과 配伍하여 效能用語 추출 : 宣通上下, 通達表裏, 散寒解表, 通陽止痛, 發汗 사용하여도 또한 良好한 효능이 있다. 病症用語 추출 : 惡寒發熱, 下痢脈微, 腹痛, 尿閉 또한 溫肺止咳하는 효능이 있어 風寒으로 肺가 14) 檉柳 傷하여 나타나는 咳嗽痰多를 치료하고, 解毒작용이 性味가 甘辛平하여 散風, 解表, 透疹시키는 要藥 있어 魚蟹毒으로 인한 嘔吐와 泄瀉, 南星毒, 半夏毒 등에 單用하거나 紫蘇葉과 同用한다. 으로 木部는 解表祛風시키고 麻疹을 透發시키며, 枝 效能用語 추출 : 發散風寒, 解表, 發汗, 溫胃和中, 는 解毒, 祛風, 利尿시키는 효능이 있어 風濕으로 降逆止嘔, 止嘔, 溫肺止咳, 解毒 病症用語 추출 : 惡寒發熱, 頭痛鼻塞, 惡心嘔吐, 胃熱嘔吐, 咳嗽痰多, 魚蟹毒, 嘔吐, 泄瀉, 南星毒, 半 夏毒 인한 痺痛과 痧疹熱毒不發을 치료한다. 이와 같이 開發疏散의 要藥이 되어 능히 血分의 毒을 解하여 麻疹初起의 透發不暢을 치료하는 常用藥으로, 風으 로 인하여 閉한 症에 適用하여 透發케 한다. 12) 香薷 性味가 辛溫芳香하여 外로는 暑邪를 袪하여 解表 效能用語 추출 : 散風, 解表, 透疹, 解表祛風, 解 毒, 祛風, 利尿, 開發疏散 하고, 內로는 濕毒을 化하여 和中하므로 祛暑解表의 要藥이 된다. 그러므로 古人들은 夏季에 香薷를 응용 하는 것은 冬季에 麻黃을 사용하는 것과 같다고 하 였다. 이와 같이 香薷는 發汗시키는 효능이 강하여 病症用語 추출 : 風濕痺痛, 痧疹熱毒不發, 麻疹不 透 15) 蒼耳子 여름철에 寒으로 外傷되고 濕邪로 內傷되어, 陽氣가 性味가 辛苦하면서 溫하여 疏散시키고 宣通시키 陰邪의 鬱退을 받아 惡寒, 發熱, 胸悶無汗 및 腹痛吐 는 특징이 있어 위로는 巓頂에 達하고, 밑으로는 足 瀉 등 陰暑病證을 치료하며, 暑濕에 熱象을 兼하였을 膝에 注하며, 內로는 筋骨을 通하고, 外로는 皮膚에 때는 黃連을 配合하여 응용하여야 한다. 작용하여 일체의 風濕邪를 善祛하는 효능이 있다. 利水消腫하는 효능은 風邪가 外襲하여 肺氣가 宣 鼻淵과 風寒頭痛을 치료하는 것은 辛溫한 性味 降하지 못하여 나타나는 水腫을 치료 하는데, 그 작 로 發散하고 上行하는 성질이 있어 風寒을 散하여 용은 發汗, 利水하는 것으로 眼瞼浮腫, 四肢 및 全身 閉塞된 것을 開竅하기 때문으로 특히 鼻淵치료에 浮腫 등에 모두 적용할 수 있으나 風水浮腫에 마땅 뛰어난 효과가 있어서 鼻淵의 要藥이 된다. 하다. 風濕痺痛과 四肢拘攣을 치료하는 것은 袪風濕하 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며 上中下 一身風濕衆病不 效能用語 추출 : 祛暑解表, 化濕和中, 發汗, 利水 消腫 病症用語 추출 : 惡寒, 發熱, 胸悶無汗, 腹痛吐瀉, 水腫, 眼瞼浮腫, 四肢全身浮腫, 風水浮腫 13) 蔥白 112 可缺 이라 하여 濕痺拘攣에 常用하는 藥이 된다. 이 외에 風濕을 散하여 止痒하는 효과가 있어 風 疹瘙痒, 疥癩 등의 피부질환을 치료한다. 效能用語 추출 : 疏散, 宣通, 散風寒, 開竅, 袪風 濕, 散風濕, 止痒

7 本草 效能 主治 用語에 對한 硏究 病症用語 추출 : 鼻淵, 風寒頭痛, 風濕痺痛, 四肢 拘攣, 濕痺拘攣 風疹瘙痒, 疥癩 效能用語와 마찬가지로 病症用語 또한 效能主 治 에서 언급하는 것보다 解說 에서 說明하는 것이 數的으로 많았을 뿐 아니라, 用語 자체도 동일 Ⅳ. 考察 1. 效能用語 比較 1-1. 效能用語는 表 1.로 整理하였으며 內容中 敍述形 文章은 名詞形 用語로 바꾸면서 밑줄로 표 시하였다 表 1.을 바탕으로 效能主治 의 效能과 解說 의 效能을 비교하여 表 2.로 整理하였다. 麻黃의 경우 效能主治 에서는 發汗散寒이라 하 였으나 解說 에서는 發汗, 祛寒, 發汗解表, 溫散 寒邪 등으로 표현하였고, 白芷의 경우 效能主治 에서는 散風除濕이라 하였으나 解說 에서는 發 散祛風, 除濕, 發散風濕, 祛風除濕, 燥濕 등으로 表 現하였으며, 蔥白의 경우 效能主治 에서는 發表 通陽이라 하였으나 解說 에서는 宣通上下, 通達 表裏, 通陽, 解表 등으로 表現하였다. 대부분의 경 우 效能主治 에 비하여 解說 의 效能用語가 數的으로 많을 뿐 아니라 用語 자체도 비슷한 의미 의 서로 다른 類似用語로 代替하는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蔥白의 경우 效能主治 에서는 解毒殺蟲 을 言及하였으나 解說 에서는 類似한 의미의 용 어가 言及되어 있지 않고, 桂枝의 경우 解說 에 서는 利關節, 活血, 化濕利水, 調和榮衛, 止痛 등이 한 用語를 사용하지 않고 類似用語를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는데, 그 예는 다음과 같다. 紫蘇葉의 경우 效能主治 에서는 風寒感冒를 언급하였으나 解說 에서는 惡寒, 發熱, 鼻塞, 無汗 등으로 表現하였고, 羌活의 경우 效能主治 에서는 風寒感冒頭痛을 언급하였으나 解說 에서 는 頭身疼痛, 寒熱無汗, 頭痛 등으로 記載하였다. 또한 效能主治 에는 언급되지만 解說 에 서는 說明이 없거나 解說 에는 설명이 되어 있 는데 效能主治 에는 그에 해당하는 用語가 없 는 경우도 있었는데, 그 예는 다음과 같다. 桂枝의 경우 效能主治 의 心悸, 奔豚, 脘腹 冷痛 등, 紫蘇葉의 경우 效能主治 의姙娠嘔吐, 魚蟹中毒 등, 荊芥의 경우 效能主治 의 便血, 崩 漏, 産後血暈 등과 같은 病症用語들은 各各의 解 說 에서는 해당하는 說明이 存在하지 않고, 麻黃의 경우 解說 의 麻疹透發不暢, 陰疽, 風濕痺痛, 身 痒, 風疹 등, 白芷의 경우 解說 의 風濕痺痛, 皮 膚瘙痒, 毒蛇咬傷 등과 같은 病症用語들이 各各의 效能主治 에서는 關聯되는 用語를 찾아 볼 수 없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效能主治 와 解說 에 사용된 效能用語와 病症用語들 사이에 차이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言及되어 있으나 效能主治 에서는 關聯되는 用語 가 보이지 않으며, 羌活의 경우 또한 解說 에서 는 通利關節, 透表, 解表 등이 언급되어 있지만 效能主治 에서는 관계있는 용어가 存在하지 않 았다. 2. 病症用語 比較 2-1. 病症用語는 表 3.으로 整理하였으며 內容中 敍述形 文章은 名詞形 用語로 바꾸면서 밑줄로 표 시하였다 表 3.을 바탕으로 效能主治 의 病症과 解說 의 病症을 비교하여 表 4.로 整理하였다. Ⅴ. 結論 本草學 에 수록된 解表藥中 發散風寒藥 15種 藥 材의 效能主治 와 解說 의 效能 및 病症用語를 調査한 結果 效能主治 의 效能用語 및 病症用語 에 비하여 解說 의 效能用語 및 病症用語가 數的 으로 많을 뿐 아니라 用語 자체로도 類似用語를 사용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效能主治 에만 言及되고 解說 에서는 보이지 않거나 解說 에만 言及되고 效能主治 에서는 보이 지 않는 效能用語 및 病症用語들이 있어, 같은 내용 이라 하더라도 用語使用에 대한 兩者의 不一致 程度 113

8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제23권 2호(2010年 3月) J. Oriental Medical Classics 2010:23(2) 가 심함을 알 수 있었다. 用語의 使用은 어느 學文에 있어서나 正確性이 要 求되며, 醫學에서 사용되는 用語라고 한다면 그 要求 정도는 더 엄정해야 할 것이다. 本草學 의 解表藥中 發散風寒藥을 대상으로 藥材를 說明하는 效能用語, 病症用語를 調査를 통해 用語표준화에 대한 노력이 더욱 必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感謝의 글 본 논문은 2009년 원광대학교 교내연구비지원에 의해 수행된 것임. 參考文獻 1. 全國韓醫科大學 共同敎材編纂委員會 編著, 本草 學. 서울. 永林社 대한한의학회 한의학용어 및 정보 표준화 위원회. 한의학 용어 표준화 작업지침서

9 本草 效能 主治 用語에 對한 硏究 表1. 效能主治 의 效能과 解說 의 效能 藥材 效能主治 의 效能 解說 의 效能 麻黃 發汗散寒, 宣肺平喘, 利水消腫. 發散, 祛寒, 發汗解表, 散寒, 宣肺, 平喘止咳, 透疹, 溫散寒邪, 利水, 消腫 宣通經脈, 利關節, 溫通, 活血通經, 散寒止痛, 發汗, 溫化, 通陽化氣, 化 桂枝 發汗解肌, 溫經通脈, 助陽化氣, 發散風寒, 濕利水, 調和營衛, 散風斂營, 解表 紫蘇葉 解表散寒, 行氣和胃. 發散風寒, 行氣寬中, 發汗, 行氣安胎, 發表散寒 荊芥 解表散風, 透疹. 發散風邪, 疏散風寒, 疏散風熱, 透疹 羌活 散寒, 袪風, 除濕, 止痛. 發散寒濕, 通利關節, 止痛, 發散風寒, 祛風濕, 散寒邪, 利關節, 疏風透表, 解表 白芷 散風除濕, 通竅止痛, 消腫排膿. 發散袪風, 除濕, 通竅, 發散風濕, 袪風除濕, 燥濕止帶, 消腫排膿 防風 解表祛風, 勝濕, 止痙. 祛風邪, 袪風解表, 祛風濕, 止痛, 袪風止痒, 袪風, 解痙, 散風解表 藁本 祛風, 散寒, 除濕, 止痛. 發散, 散寒止痛, 袪風勝濕, 散寒除濕 辛夷 散風寒, 通鼻竅. 散風寒, 通鼻竅, 發散風寒 細辛 祛風散寒, 通竅止痛, 溫肺化飮. 發散風寒, 開竅止痛, 散寒, 發汗, 袪風散寒, 溫肺化飮, 通竅醒神, 祛風止痛 生薑 解表散寒, 溫中止嘔, 化痰止咳, 解毒. 發散風寒, 解表, 發汗, 溫胃和中, 降逆止嘔, 止嘔, 溫肺止咳, 解毒 香薷 發汗解表, 和中利濕. 祛暑解表, 化濕和中, 發汗, 利水消腫 蔥白 發表通陽, 解毒殺蟲. 宣通上下, 通達表裏, 散寒解表, 通陽止痛, 發汗 檉柳 疏風解表, 透疹解毒. 散風, 解表, 透疹, 解表祛風, 解毒, 祛風, 利尿, 開發疏散 蒼耳子 散風除濕, 通鼻竅. 疏散, 宣通, 散風寒, 開竅, 袪風濕, 散風濕, 止痒 表2. 效能主治 解說 效能 比交 藥材 效能主治 의 效能 解說 의 效能 效能主治 解說 效能 比交 發汗散寒 發汗, 祛寒, 發汗解表, 溫散寒邪 麻黃 宣肺平喘 宣肺, 平喘 解說 에만 있는效能 : 止咳, 透疹 利水消腫 利水消腫 發汗解肌 發散風寒, 發汗, 散寒, 解表 解說 에만 있는效能 : 利關節, 活血, 化濕利水, 調 桂枝 溫經通脈 宣通經脈, 溫通, 溫經 和營衛, 止痛 助陽化氣 通陽, 化氣 發散風寒, 發表散寒 紫蘇葉 解表散寒 解說 에만 있는效能 : 發汗, 行氣安胎 行氣和胃 行氣寬中, 行氣 發散風邪, 疏散風 荊芥 解表散風 解說 에만 있는效能 : 疏散熱, 疏散寒 透疹 透疹 發散寒濕, 發散風寒, 祛風濕, 散寒邪, 疏 解說 에만 있는效能 : 通利關節, 利關節, 透表, 解 羌活 散寒祛風除濕 風 表 止痛 止痛 發散祛風, 除濕, 發散風濕, 祛風除濕, 燥 散風除濕 濕 白芷 通竅止痛 解說 에만 있는效能 : 止帶 通竅 消腫排膿 消腫排膿 解表祛風 祛風邪, 祛風解表, 祛風, 散風 防風 勝濕 祛濕 解說 에만 있는效能 : 止痛, 止痒 止痙 解痙 散寒, 祛風 藁本 祛風散寒 除濕止痛 止痛, 勝濕, 除濕 散祛風 散風寒, 發散風寒 辛夷 通鼻竅 通鼻竅 祛風散寒 發散風寒, 散寒, 祛風散寒 細辛 通竅止痛 通竅止痛, 通竅 解說 에만 있는效能 : 醒神, 發汗 溫肺化飮 溫肺化飮 發散風寒, 解表 生薑 解表散寒 解說 에만 있는效能 : 發汗, 降逆 溫中止嘔 溫胃化中, 止嘔 115

10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제23권 2호(2010年 3月) J. Oriental Medical Classics 2010:23(2) 化痰止咳 解毒 香薷 發汗解表 化中利濕 蔥白 發表通陽 解毒殺蟲 檉柳 疏風解表 透疹解毒 蒼耳子 散風除濕 通鼻竅 溫肺止咳 解毒 發汗, 解表 化濕化中 宣通上下, 通達表裏, 通陽, 解表 散風, 解表, 祛風, 解表祛風 透疹, 解毒 散風, 祛風濕, 散風濕 宣通, 開竅 解說 에만 있는效能 : 祛暑, 利水消腫 解說 에만 있는效能 : 散寒, 發汗, 止痛 效能主治 에만 있는效能 : 解毒殺蟲 解說 에만 있는效能 : 利尿, 開發疏散 解說 에만 있는效能 : 止痒 表3. 效能主治 의 病症과 解說 의 病症 藥材 效能主治 의 病症 解說 의 病症 風寒感冒, 胸悶喘咳, 風水浮腫, 氣管支哮喘. 蜜 外感風寒, 表實無汗, 咳嗽氣喘, 麻疹透發不暢, 風疹, 身痒, 風濕痺痛, 麻黃 炙 潤肺止咳. 陰疽, 水腫 脘腹冷痛, 血寒經閉, 關節痺痛, 痰飮, 外感風寒, 風寒濕痺, 經閉, 痛經, 體虛感冒, 上肢肩臂疼痛, 痰飮, 蓄水, 桂枝 風寒感冒, 水腫, 心悸, 奔豚. 汗出, 惡風 紫蘇葉 風寒感冒, 咳嗽嘔惡, 姙娠嘔吐, 魚蟹中毒. 惡寒, 發熱, 頭痛, 鼻塞, 無汗, 咳嗽, 胸悶不舒, 咳嗽痰多, 胸悶嘔惡 頭痛, 麻疹, 風疹, 瘡瘍初起. 炒炭 外感風寒表證, 外感風熱表證, 頭痛目赤, 咽喉腫痛, 麻疹透發不暢, 風 荊芥 感冒, 治便血, 崩漏, 産後血暈. 疹瘙痒, 瘡瘍初起 頭身疼痛, 關節疼痛, 風寒濕痺, 寒熱無汗, 頭痛如裹, 項背强痛, 骨節酸 羌活 風寒感冒頭痛, 風濕痺痛, 肩背酸痛. 疼, 肢體沈重, 水腫, 瘡瘍腫毒, 遍身水腫, 二便不利, 瘡瘍初期, 寒熱無 汗 感冒頭痛, 眉棱骨痛, 鼻塞, 鼻淵, 牙痛, 白帶, 瘡 頭目昏痛, 眉棱骨痛, 牙痛, 鼻淵流涕, 風濕痺痛, 皮膚瘙痒, 寒濕帶下, 白芷 瘍腫毒. 癰疽瘡瘍, 毒蛇咬傷 頭痛身痛, 目赤咽痛, 風濕痺痛, 風寒濕痺, 關節疼痛, 四肢攣 風濕痺痛, 骨節酸痛, 風疹瘙痒, 四肢 惡寒發熱, 防風 感冒頭痛, 急, 風瘡疥癬, 皮膚瘙痒, 破傷風, 角弓反張, 牙關緊閉, 抽搐痙攣, 全身 攣急, 破傷風. 疼痛 外感風寒頭痛, 癲頂疼痛, 肢體痺痛, 頭痛項强, 四肢酸重, 皮膚瘙痒, 腹 藁本 風寒感冒, 巓頂疼痛, 風濕肢節痺痛. 痛泄瀉 辛夷 風寒頭痛, 鼻淵, 鼻塞不通, 鼻流濁涕. 頭痛鼻塞, 鼻淵頭痛, 鼻流濁涕, 不聞香臭, 齒痛, 鼻淵, 鼻塞, 鼻涕 身痛, 肺寒停飮, 痰多咳喘, 頭痛, 肢體疼痛, 小腹疼痛, 下肢畏寒, 頭痛, 牙痛, 鼻塞鼻淵, 風濕痺痛, 痰 頭痛, 細辛 風寒感冒, 舌淡不渴, 惡寒發熱, 身倦欲臥, 舌苔水滑, 脈沈, 咳嗽氣喘, 痰多淸稀, 飮喘咳. 牙痛, 頭痛, 痺痛, 口瘡 胃寒嘔吐, 寒痰咳嗽, 半夏毒, 天南星 惡寒發熱, 頭痛鼻塞, 惡心嘔吐, 胃熱嘔吐, 咳嗽痰多, 魚蟹毒, 嘔吐, 泄 生薑 風寒感冒, 毒, 魚蟹毒. 瀉, 南星毒, 半夏毒 暑濕感冒, 惡寒發熱, 頭痛無汗, 腹痛吐瀉, 小便 惡寒, 發熱, 胸悶無汗, 腹痛吐瀉, 水腫, 眼瞼浮腫, 四肢全身浮腫, 風水 香薷 不利. 浮腫 感冒風寒, 陰寒腹痛, 二便不通, 痢疾, 瘡癰腫痛, 蔥白 蟲積腹痛. 惡寒發熱, 下痢脈微, 腹痛, 尿閉 檉柳 風熱感冒, 麻疹不透, 風濕痺痛, 皮膚瘙痒. 風濕痺痛, 痧疹熱毒不發, 麻疹不透 蒼耳子 風寒頭痛, 鼻淵流涕, 風疹瘙痒, 濕痺拘攣 鼻淵, 風寒頭痛, 風濕痺痛, 四肢拘攣, 濕痺拘攣 風疹瘙痒, 疥癩 116

11 本草 效能 主治 用語에 對한 硏究 表4. 效能主治 解說 病症 比交 藥材 效能主治 의 病症 解說 의 病症 效能主治 解說 病症 比交 風寒感冒 外感風寒 解說 에만 있는病症 : 痲疹透發不暢, 陰疽, 麻黃 胸悶喘咳, 氣管支喘咳 咳嗽氣喘 風濕痺痛, 身痒, 風疹 風水浮腫 水腫 風寒感冒 外感風寒, 體虛感冒 脘腹冷痛 血寒經閉 經閉, 痛經 解說 에만 있는病症 : 汗出 桂枝 關節痺痛 上肢肩臂疼痛 效能主治 에만 있는病症 : 心悸, 奔豚 痰飮, 水腫 痰飮, 蓄水 心悸 奔豚 風寒感冒 惡寒, 發熱, 鼻塞, 無汗 解說 에만 있는病症 : 痰多, 胸悶不舒 咳嗽嘔惡 咳嗽, 胸悶嘔惡 紫蘇葉 姙娠嘔吐 效能主治 에만 있는病症 : 姙娠嘔吐, 魚蟹中 毒 魚蟹中毒 感冒 外感風寒表證, 外感風熱表證 頭痛 頭痛 解說 에만 있는病症 : 咽喉腫通, 目赤 荊芥 痲疹, 風疹 痲疹透發不暢, 風疹瘙痒 效能主治 에만 있는病症 : 便血, 崩漏, 山後 血暈 瘡瘍初起 瘡瘍初起 炒炭) 便血, 崩漏, 産後血暈 風寒感冒頭痛 頭身疼痛, 寒熱無汗, 頭痛 解說 에만 있는病症 : 水腫, 瘡瘍腫毒, 瘡瘍 羌活 風濕痺痛 關節疼痛, 風寒濕痺, 骨節酸痛 初起,遍身水腫, 二便不利 肩背酸痛 項背酸痛 感冒頭痛 頭目昏痛 眉棱骨痛 眉棱骨痛 鼻塞, 鼻淵 鼻淵流涕 解說 에만 있는病症 : 風濕痺痛, 皮膚瘙痒, 白芷 牙痛 毒蛇咬傷 牙痛 白帶 寒濕帶下 瘡瘍腫毒 癰疽瘡瘍 感冒頭痛 惡寒, 發熱, 頭痛身痛 風濕痺痛 風濕痺痛, 風寒濕痺 骨節酸痛 關節疼痛, 全身疼痛 防風 風疹瘙痒 風瘡疥癬, 皮膚瘙痒 四肢攣急 四肢攣急 破傷風 破傷風, 角弓反張, 牙關堅閉, 抽搐痙攣 風寒感冒 外感風寒, 頭痛項强 藁本 顚項疼痛 顚項疼痛 解說 에만 있는病症 : 皮膚瘙痒, 腹痛泄瀉 風濕肢節痺痛 肢體痺痛, 四肢酸痛 風寒頭痛 頭痛 鼻淵 鼻淵 辛夷 鼻塞不通 解說 에만 있는病症 : 齒痛 鼻塞, 不聞香臭 鼻流濁涕 鼻流濁涕 風寒感冒 頭痛, 身痛, 惡寒發熱 頭痛, 牙痛 頭痛, 牙痛 解說 에만 있는病症 : 小腹疼痛, 舌淡不渴, 細辛 鼻塞, 鼻淵 身倦欲臥, 舌苔水滑, 口瘡 效能主治 에만 있는病症 : 鼻塞, 鼻淵 風濕痺痛 肢體疼痛, 下肢畏寒, 痺痛 痰飮喘咳 肺寒停飮, 痰多喘咳, 咳嗽氣喘, 痰多淸稀 風寒感冒 惡寒, 發熱, 頭痛 胃寒嘔吐 惡心嘔吐 生薑 寒痰咳嗽 解說 에만 있는病症 : 胃熱嘔吐, 鼻塞 咳嗽痰多 半夏毒 半夏毒 117

12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제23권 2호(2010年 3月) J. Oriental Medical Classics 2010:23(2) 天南星毒 魚蟹毒 暑濕感冒 惡寒發熱 香薷 頭痛無汗 腹痛吐瀉 小便不利 感冒風寒 陰寒腹痛 蔥白 二便不通 痢疾 瘡癰腫痛 蟲積腹痛 風熱感冒 痲疹不透 檉柳 風濕痺痛 皮膚瘙痒 風寒頭痛 蒼耳子 鼻淵流涕 風疹瘙痒 濕痺拘攣 118 天南星毒 魚蟹毒 惡寒發熱 解說 에만 있는病症 : 胸悶 無汗 效能主治 에만 있는病症 : 暑濕感冒 腹痛吐瀉 水腫, 眼瞼浮腫, 四肢全身浮腫, 風水浮腫 惡寒發熱 腹痛 解說 에만 있는病症 : 尿閉 效能主治 에만 있는病症 : 瘡癰腫痛, 蟲積腹 下痢脈微 痛 痧疹熱毒不發, 痲疹不透 風濕痺痛 風寒頭痛 鼻淵 風疹瘙痒 風濕痺痛, 四肢拘攣, 濕痺拘攣 에만 있는病症 : 風熱感冒, 皮膚瘙 效能主治 痒

韓藥情報硏究會誌 (Korean Herb. Med. Inf.) 2016;4(3): pissn / eissn 선유도의한약자원식물조사 윤지현 1, 전신희 2, 도의정 2,3, 김정훈 4, 양창섭 5, 이금산 2* 1. 우석대학교

韓藥情報硏究會誌 (Korean Herb. Med. Inf.) 2016;4(3): pissn / eissn 선유도의한약자원식물조사 윤지현 1, 전신희 2, 도의정 2,3, 김정훈 4, 양창섭 5, 이금산 2* 1. 우석대학교 선유도의한약자원식물조사 윤지현 1, 전신희 2, 도의정 2,3, 김정훈 4, 양창섭 5, 이금산 2* 1. 우석대학교한의과대학본초학교실 2. 원광대학교한의과대학본초학교실 3. 원광대학교대사기능제어연구센터 4. 부산대학교한의학전문대학원 5. 한국한의학연구원임상연구부 The investigation of medicinal herbs in Seonyudo and

More information

대한한방내과학회지36-2%28최종%29.hwp

대한한방내과학회지36-2%28최종%29.hwp 대한한방내과학회지 제권 호(0년 월 J Int Korean Med 0(0- 한양방 병행치료로 호전된 당뇨병성 족부감염 환자 증례보고 이재섭 김세원 백경민 장우석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대구한방병원 순환신경내과 Integrated Medicine Therapy for a Patient with a Diabetic Foot Infection Jae-seob Lee

More information

1 본수업을마친학생은, 1. 비脾의주요증證으로무엇이있으며그구성증상은무엇인지말할수있다. 2. 폐肺의주요증으로무엇이있으며그구성증상은무엇인지말할수있다.

1 본수업을마친학생은, 1. 비脾의주요증證으로무엇이있으며그구성증상은무엇인지말할수있다. 2. 폐肺의주요증으로무엇이있으며그구성증상은무엇인지말할수있다. 臟 2015.4.8. 부산대학교한의학전문대학원김기왕 1 본수업을마친학생은, 1. 비脾의주요증證으로무엇이있으며그구성증상은무엇인지말할수있다. 2. 폐肺의주요증으로무엇이있으며그구성증상은무엇인지말할수있다. 3 비양허증 양허증 한 한실증 비음허증 음허증 화열 실열증 脾 풍 내풍증 외풍증 한습곤비증 비기하함증 습 ( 리 ) 습증 비위습열증 비기허증 기허증 기 기체증

More information

<BACEC0CEB0FAC7D0C8B8C1F D3328C3D6C1BE292E687770>

<BACEC0CEB0FAC7D0C8B8C1F D3328C3D6C1BE292E687770> 9)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pissn 1229-4292 / eissn 2508-3619 J Korean Obstet Gynecol. VOL.29 NO.3 : 091-099 (2016) http://dx.doi.org/10.15204/jkobgy.2016.29.3.091 원광대학교한의과대학부인과교실송미화, 이지현, 최창민 ABSTRACT A Case Report

More information

12 주手少陽三焦經과足少陽膽經의要穴 1. 關衝 ( 관충 ) 제 4지尺側조갑각후 1푼 淸熱解毒 ( 청열해독 ), 醒神通竅 ( 성신통규 ), 活血通絡 ( 활혈통락 ). 1 熱病汗不出 ( 열병한불출 ), 心煩 ( 심번 ), 中暑 ( 중서 ), 학질, 藿亂吐瀉 ( 곽란토사 )

12 주手少陽三焦經과足少陽膽經의要穴 1. 關衝 ( 관충 ) 제 4지尺側조갑각후 1푼 淸熱解毒 ( 청열해독 ), 醒神通竅 ( 성신통규 ), 活血通絡 ( 활혈통락 ). 1 熱病汗不出 ( 열병한불출 ), 心煩 ( 심번 ), 中暑 ( 중서 ), 학질, 藿亂吐瀉 ( 곽란토사 ) 제 12 주 手少陽三焦經과足少陽膽經의要穴 금주학습활동 금주의주요학습활동 ( 토론, 과제, 퀴즈등 ) 을잊지않도록작성해두세요. 원광디지털대학교 99 12 주手少陽三焦經과足少陽膽經의要穴 1. 關衝 ( 관충 ) 제 4지尺側조갑각후 1푼 淸熱解毒 ( 청열해독 ), 醒神通竅 ( 성신통규 ), 活血通絡 ( 활혈통락 ). 1 熱病汗不出 ( 열병한불출 ), 心煩 ( 심번

More information

<B4EBC7D1C7D1B9E6B3BBB0FAC7D0C8B8C1F633362D3128C3D6C1BE292E687770>

<B4EBC7D1C7D1B9E6B3BBB0FAC7D0C8B8C1F633362D3128C3D6C1BE292E687770> 대한한방내과학회지제 36 권 1 호 (2015 년 3 월 ) J. Int. Korean Med. 2015:36(1)76-84 도꼬마리열매복용으로발생한中毒症狀의한방치료 1 례 심원석 1, 박상은 2, 홍상훈 1 1 동의대학교부속한방병원한방내과, 2 동의대학교부속울산한방병원한방내과 A Case Study of Poisoning Symptoms Caused by

More information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4권6호-전체최종.hwp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4권6호-전체최종.hwp 小兒藥證直訣 의 五臟辨證에 대한 小考 - 病證과 處方을 중심으로 1 2 慶熙大學校大學校 韓醫學科大學 原典學敎室 ㆍ 韓醫學古典硏究所 白裕相1,2*1)2) A study o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Using The Theory of Five Organs in Soayakjeungjikgyeol(小兒藥證直訣) 1 Dept. of Oriental

More information

대한한방비만학회지제 7 권제 1 호 Ⅰ. 서론 Ⅱ. 본론 비만환자의치료에서적절한처방의선택은체중감소와건강을지키고자하는한의학적비만치료의목적을달성하는데매우중요하다. 국내에서비만치료에활용되는한약및단미에대한문헌적연구를시행한송등 1) 은 비만치료시가장많이활용된처방은사상처방으로太陰

대한한방비만학회지제 7 권제 1 호 Ⅰ. 서론 Ⅱ. 본론 비만환자의치료에서적절한처방의선택은체중감소와건강을지키고자하는한의학적비만치료의목적을달성하는데매우중요하다. 국내에서비만치료에활용되는한약및단미에대한문헌적연구를시행한송등 1) 은 비만치료시가장많이활용된처방은사상처방으로太陰 대한한방비만학회지제 7 권제 1 호 Journal of Society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2007:7(1):1-7 종설 비만처방에서마황의임상활용에대한고찰 - 용량, 효과, 부작용등의측면에서 송윤경 임형호 경원대학교한의과대학한방재활의학과교실 Clinical Application of Ma Huang in the

More information

( ).hwp

( ).hwp 대한한의학회지제 32 권제 1 호 (211 년 1 월 ) J Korean Oriental Med 211;32(1):175-184 Original Article 독활물추출물이대식세포면역활성에미치는영향 이종한, 김윤상, 임은미 경원대학교한의과대학부인과학교실 Effects of Angelicae Pubescentis Radix Water Extract on Immune

More information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제 28 권제 2 호 (2015 년 5 월 )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5;28(2):66-74 pissn eissn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제 28 권제 2 호 (2015 년 5 월 )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5;28(2):66-74 pissn eissn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5;28(2):66-74 pissn 1738-6640 eissn 2234-4020 http://www.ood.or.kr http://dx.doi.org/10.6114/jkood.2015.28.2.066 Case Report / 증례가미형개연교탕으로치료한부비동염치험 1 례 홍지희

More information

<BACEC0CEB0FAC7D0C8B8C1F D322832C2F7B1B3C1A4292E687770>

<BACEC0CEB0FAC7D0C8B8C1F D322832C2F7B1B3C1A4292E687770> 2)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J Korean Obstet Gynecol. VOL.29 NO.2 : 015-028 (2016) http://dx.doi.org/10.15204/jkobgy.2016.29.2.015 三氣飮加味方이 Dexamethasone 처리조골세포에미치는영향 대전대학교한의과대학부인과교실이혜인, 장새별, 유정은, 유동열 ABSTRACT Effect

More information

<BACEC0CEB0FAC7D0C8B8C1F D3128C3D6C1BE292E687770>

<BACEC0CEB0FAC7D0C8B8C1F D3128C3D6C1BE292E687770> 7)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J Korean Obstet Gynecol. VOL.29 NO.1 : 092-101 (2016) http://dx.doi.org/10.15204/jkobgy.2016.29.1.092 위축성질염의좌훈치료연구에관한체계적문헌고찰 대전대학교한의과대학부인과교실백선은, 장새별, 최경희, 유정은 ABSTRACT Systematic Review of

More information

肺系虛弱兒에대한加減保肺養營煎의임상적효능연구 89 感冒 肺系虛弱兒 發熱 惡寒 頭痛 鼻漏 鼻塞 咳嗽 傷風 小兒傷寒 易感冒 溫病條辨 解兒難 臟腑薄 藩籬疏 易于轉變 肌膚嫩 神氣怯 易于感觸 衛外機能 中醫學 反復呼吸道感染 復感兒 素問 四氣調神大論 不治已病治未病 易感冒 肺系虛弱兒

肺系虛弱兒에대한加減保肺養營煎의임상적효능연구 89 感冒 肺系虛弱兒 發熱 惡寒 頭痛 鼻漏 鼻塞 咳嗽 傷風 小兒傷寒 易感冒 溫病條辨 解兒難 臟腑薄 藩籬疏 易于轉變 肌膚嫩 神氣怯 易于感觸 衛外機能 中醫學 反復呼吸道感染 復感兒 素問 四氣調神大論 不治已病治未病 易感冒 肺系虛弱兒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제 24 권제 2 호 (2010 년 8 월 ) J Korean Oriental Pediatrics, August, 2010;24(2):88-98 五臟虛弱兒 肺系虛 弱兒 투고 : 2010년 7월 23일, 수정 : 2010년 8월 14일, 채택 : 2010년 8월 16일 교신저자 : 이승연, 부산시부산진구양정2동산45-1 동의대학교부속한방병원,

More information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6권4호-교정본(1125).hwp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6권4호-교정본(1125).hwp http://www.wonjeon.org http://dx.doi.org/10.14369/skmc.2013.26.4.267 熱入血室證에 대한 小考 1 2 慶熙大學校大學校 韓醫學科大學 原典學敎室 韓醫學古典硏究所 白裕相1, 2 *117) A Study on the Pattern of 'Heat Entering The Blood Chamber' 1, Baik 1

More information

< DC0B2C3CC20BAB8B0EDBCAD2E687770>

< DC0B2C3CC20BAB8B0EDBCAD2E687770> 氣味論에의한우리나라 1 대상용식품의효능별분류및활용에관한연구 박성혜군장대학교웰빙외식조리계열 1. 서론 1.1. 연구배경및필요성 영양의불균형, 활동량감소및복잡한경쟁사회에서의과도한정신적스트레스등으로현대인들은여러가지생활습관병에시달리고있고그에따라의약의발달또한급속히이루어져왔다. 그러나 21세기에접어들어의약으로질병을치료하는과정에서발생하는여러맹점과질병예방의중요성을이해하기시작하면서

More information

<C6EDC1FD2D33312D34C8A320BEC8C0CCBAF1C0CEC8C4B0FAC7D0C8B8C1F62E687770>

<C6EDC1FD2D33312D34C8A320BEC8C0CCBAF1C0CEC8C4B0FAC7D0C8B8C1F62E687770>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제 31 권제 4 호 (2018 년 11 월 )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8;31(4):96-107 pissn 1738-6640 eissn 2234-4020 http://www.ood.or.kr http://dx.doi.org/10.6114/jkood.2018.31.4.096

More information

<3332C0CCBFEBC5C22DBBEAC8C4BAB42E687770>

<3332C0CCBFEBC5C22DBBEAC8C4BAB42E687770> 동의생리병리학회지제 22 권 2 호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2(2):464 468, 2008 산후병치료에미치는加味護內湯 Ⅲ 의임상적연구 이용태 박성하 1 * 동의대학교한의과대학생리학교실 한의학연구소, 1 : 동강한방병원 Clinical Study of Gamihone-tangⅢ on Postpartum Disease

More information

10 주足太陽膀胱經의要穴 1 해수, 胸滿 ( 흉만 ), 痰多氣喘 ( 담다기천 ), 肺痿 ( 폐위 ), 骨蒸潮熱 ( 골증조열 ), 盜汗 ( 도한 ), 吐血 ( 토혈 ), 喉痺 ( 후비 ), 胃脘痛 ( 위완통 ), 구토, 설사, 呃逆 ( 애역 ), 不嗜食 ( 불기식 ),

10 주足太陽膀胱經의要穴 1 해수, 胸滿 ( 흉만 ), 痰多氣喘 ( 담다기천 ), 肺痿 ( 폐위 ), 骨蒸潮熱 ( 골증조열 ), 盜汗 ( 도한 ), 吐血 ( 토혈 ), 喉痺 ( 후비 ), 胃脘痛 ( 위완통 ), 구토, 설사, 呃逆 ( 애역 ), 不嗜食 ( 불기식 ), 제 10 주 足太陽膀胱經의要穴 금주학습활동 금주의주요학습활동 ( 토론, 과제, 퀴즈등 ) 을잊지않도록작성해두세요. 1. 肺兪 ( 폐수 ) 제3흉추극돌기하 ( 身柱穴 ) 兩傍 1.5촌 淸熱解表 ( 청열해표 ), 宣肺理氣 ( 선폐이기 ). 원광디지털대학교 77 10 주足太陽膀胱經의要穴 1 해수, 胸滿 ( 흉만 ), 痰多氣喘 ( 담다기천 ), 肺痿 ( 폐위 ),

More information

치칙 ( 治則 ) 치칙 ( 治則 ) : 치료원칙, 질병을치료하는총칙 치미병 ( 治未病 ) 치병구본 ( 治病求本 ) 인시 ( 因時 ), 인지 ( 因地 ), 인인 ( 因人 ) 제의 ( 制宜 ) 조정음양 ( 調整陰陽 ) 부정 ( 扶正 ) 거사 ( 祛邪 ) 협조장부 ( 協調臟

치칙 ( 治則 ) 치칙 ( 治則 ) : 치료원칙, 질병을치료하는총칙 치미병 ( 治未病 ) 치병구본 ( 治病求本 ) 인시 ( 因時 ), 인지 ( 因地 ), 인인 ( 因人 ) 제의 ( 制宜 ) 조정음양 ( 調整陰陽 ) 부정 ( 扶正 ) 거사 ( 祛邪 ) 협조장부 ( 協調臟 약선식료학의치법이론 최윤희교수 치칙 ( 治則 ) 치칙 ( 治則 ) : 치료원칙, 질병을치료하는총칙 치미병 ( 治未病 ) 치병구본 ( 治病求本 ) 인시 ( 因時 ), 인지 ( 因地 ), 인인 ( 因人 ) 제의 ( 制宜 ) 조정음양 ( 調整陰陽 ) 부정 ( 扶正 ) 거사 ( 祛邪 ) 협조장부 ( 協調臟腑 ) 조화기혈 ( 調化氣血 ) 치법 ( 治法 ) 치칙 ( 治則

More information

<5F30335FB1B9B3BBBFA1BCADBFACB1B82E687770>

<5F30335FB1B9B3BBBFA1BCADBFACB1B82E687770> 大韓本草學會誌제 26 권제 4 호 (2011 년 12 월 ) Kor. J. Herbology 2011;26(4):15-22 국내에서연구된항염효능이있는한약재의본초학적분석 하희정 1, 김윤정 1, 권기태 2, 김진주 1 * 1: 경희대학교약학대학한방생리학교실 2: 보건복지부보건의료정책실한의약산업과 Review of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More information

<BACEC0CEB0FAC7D0C8B8C1F D3328C3D6C1BE292E687770>

<BACEC0CEB0FAC7D0C8B8C1F D3328C3D6C1BE292E687770> 15)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J Korean Obstet Gynecol. VOL.27 NO.3 : 189-196 (2014) http://dx.doi.org/10.15204/jkobgy.2014.27.3.189 자궁절제술후후유증상을소복축어탕을중심으로치료한증례보고 동신대학교한의과대학부인과교실김지은, 양승정, 조성희, 박경미, 송유림, 정수정 ABSTRACT Clinical

More information

<40BBE7BBF3C3BCC1FAC0C7C7D0C8B8C1F6284A53434D D312DBABBB9AE34C2F7C6EDC1FD2E687770>

<40BBE7BBF3C3BCC1FAC0C7C7D0C8B8C1F6284A53434D D312DBABBB9AE34C2F7C6EDC1FD2E687770> Review Article J Sasang Constitut Med 2015;27(1):13-41 http://dx.doi.org/10.7730/jscm.2015.27.1.013 태음인ㆍ태양인체질병증 임상진료지침: 진단 및 알고리즘 이준희ㆍ이의주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Abstract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aeeumin

More information

S. Y. Ryu et al 15 연구대상 및 방법 결 과 본 연구의 대상은 東 醫 壽 世 保 元 辛 丑 本 新 定 太 陰 人 病 應 用 要 藥 二 十 四 方 에 기재된 24개의 처방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제마 의 저서인 北 韓 保 健 省 간행 東 武 遺 稿, 東 醫

S. Y. Ryu et al 15 연구대상 및 방법 결 과 본 연구의 대상은 東 醫 壽 世 保 元 辛 丑 本 新 定 太 陰 人 病 應 用 要 藥 二 十 四 方 에 기재된 24개의 처방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제마 의 저서인 北 韓 保 健 省 간행 東 武 遺 稿, 東 醫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30(1):14~19, 2016 태음인 처방의 사상의학적 병리 연구 유승엽 최나래 오승윤 박수정 * 주종천 *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Study on the Pathology of Taeeumin Prescription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eung Yeob

More information

<B4EBC7D1C7D1B9E6B3BBB0FAC7D0C8B8C1F D3328C3D6C1BE292E687770>

<B4EBC7D1C7D1B9E6B3BBB0FAC7D0C8B8C1F D3328C3D6C1BE292E687770> 대한한방내과학회지제 39 권 3 호 (2018 년 6 월 ) J. Int. Korean Med. 2018;39(3):443-449 http://dx.doi.org/10.22246/jikm.2018.39.3.443 시경반하탕 ( 보험제제 ) 을통한기관지확장증환자의관리 1 례 김재효, 방연희, 도하윤, 유창환, 김관일, 이범준, 정희재경희대학교대학원임상한의학과폐계내과학교실

More information

[최종] hwp

[최종] hwp 대한한방내과학회지제 38 권 5 호 (2017 년 10 월 ) J. Int. Korean Med. 2017;38(5):719-726 http://dx.doi.org/10.22246/jikm.2017.38.5.719 이유리, 김경순, 최홍식, 김승모대구한의대학교한의과대학간계내과학교실 A Case Report of Patient with Guillain-Barre

More information

< FBBE7BBF3C3BCC1FAC7D0C8B8C1F65F32342D34C8A35F33C2F72E687770>

< FBBE7BBF3C3BCC1FAC7D0C8B8C1F65F32342D34C8A35F33C2F72E687770> Case Report J Sasang Constitut Med 2012;24(4):92-99 http://dx.doi.org/10.7730/jscm.2012.24.4.92 少陰人祛風散으로호전된건선환자치험 1 례 이재훈 * 최진서 ** 신미란 * 세명대학교충주한방병원사상체질의학과 * 세명대학교한의과대학한방재활의학과교실 ** Abstract A Case Study

More information

<C6EDC1FD2D33322D32C8A320BEC8C0CCBAF1C0CEC8C4B0FAC7D0C8B8C1F62E687770>

<C6EDC1FD2D33322D32C8A320BEC8C0CCBAF1C0CEC8C4B0FAC7D0C8B8C1F62E687770>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9;32(2):107-119 pissn 1738-6640 eissn 2234-4020 http://www.ood.or.kr http://dx.doi.org/10.6114/jkood.2019.32.2.107 Case Report / 증례淸心蓮子飮加減方과소염약침으로호전된화폐상습진한방치험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Vol. 25 No. 4, October 2015 pissn 1229-1854 eissn 2288-4114 http://dx.doi.org/10.18325/jkmr.2015.25.4.55 Review Article ChondroT 구성약물의골관절염관련국내연구동향 - 한의학학술지를중심으로

More information

76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24, No.2, August, 2010 胃中不和 胃熱 勞心 心火 虛熱 心脾虛弱 肺熱 脾熱 脾常不足 肺常不足 1. 연구대상 2. 대상자의평가 1) 구취의평가 外亂因子 鼻呼吸 2) 설문조사

76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24, No.2, August, 2010 胃中不和 胃熱 勞心 心火 虛熱 心脾虛弱 肺熱 脾熱 脾常不足 肺常不足 1. 연구대상 2. 대상자의평가 1) 구취의평가 外亂因子 鼻呼吸 2) 설문조사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제 24 권제 2 호 (2010 년 8 월 ) J Korean Oriental Pediatrics, August, 2010;24(2):75-87 투고 : 2010년 7월 23일, 수정 : 2010년 8월 14일, 채택 : 2010년 8월 16일 교신저자 : 윤혜준, 서울특별시동대문구회기동 1번지경희의료원한방병원소아과 (Tel : 02-958-9172,

More information

<30372E20C1B6C7FDBFF82CC7E3C7D1BCD62CC0CCC0E7BFED2CC0D3C0BAC3B62CB0ADC1D6BFB52E687770>

<30372E20C1B6C7FDBFF82CC7E3C7D1BCD62CC0CCC0E7BFED2CC0D3C0BAC3B62CB0ADC1D6BFB52E687770> Case Report J Sasang Constitut Med 2016;28(4):372-380 https://doi.org/10.7730/jscm.2016.28.4.372 원인불명의寒熱往來를주소로내원한少陽傷風證治驗 1 례 조혜원 * ㆍ허한솔 * ㆍ이재욱 * ㆍ임은철 * ㆍ강주영 * 동서한방병원사상체질의학과, 동서한방병원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 Abstract A

More information

부인과학회지+27-4(최종)-수정.hwp

부인과학회지+27-4(최종)-수정.hwp 경희대학교한의과대학원부인과학교실 김세화, 황덕상, 이진무, 이경섭, 이창훈, 장준복 유산 후 산후풍 환자 1례에 대한 임상보고 Ⅰ. 서 론 産後風이란 출산 후 조리가 완전하지 못하여 얻은 종합적인 병증 및 자율신경 실조증후군과 유사한 것으로 내분비 불 균형, 정신갈등에 의한 장애, 전신 관절통 및 근육통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1). 일반적으로 분만 외에 유산까지도

More information

강동경희대학교병원약품정보지 신약 [ 향정 / 원외 ]Belviq tab. 10mg (Lorcaserin HCl) 벨빅정 10MG 1. 약효분류식욕억제제 ( 향정신성 ) 2. 성분 함량 lorcaserin 10mg 3. 성상파란색의원형필름코팅정 4. 약리작용 5-HT 2

강동경희대학교병원약품정보지 신약 [ 향정 / 원외 ]Belviq tab. 10mg (Lorcaserin HCl) 벨빅정 10MG 1. 약효분류식욕억제제 ( 향정신성 ) 2. 성분 함량 lorcaserin 10mg 3. 성상파란색의원형필름코팅정 4. 약리작용 5-HT 2 강동경희대학교병원약품정보지 2015 년 10 월호 VOL.04 Belviq tab. 10mg(Lorcaserin) 벨빅정 10MG Selective 5-HT 2C Receptor Agonist 로서과체중환자의체중조절을위한식이및운동요법의보조약제 비만의약물치료 비만약물치료의원리및최근국내 / 외사용약물경향 감비산 ( 減肥散, 원내코드 : HH911G) 濕痰 ( 습담

More information

684 S. J. Kim et al 2. 발병일 : 2014년 3월 30일 3. 치료기간 : 2014년 4월 25일 ~2014년 5월 8일 4. 진단명 : Fever, Unspecified 5. 주소증 1) 自汗, 發熱惡寒 2) 頭痛腰痛 6. 과거력 1) 고혈압 : 2

684 S. J. Kim et al 2. 발병일 : 2014년 3월 30일 3. 치료기간 : 2014년 4월 25일 ~2014년 5월 8일 4. 진단명 : Fever, Unspecified 5. 주소증 1) 自汗, 發熱惡寒 2) 頭痛腰痛 6. 과거력 1) 고혈압 : 2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28(6):683~688, 2014 長感病으로진단된불명열환자치험 1 례 김상진 1 장석현 1 정희재 2 정승기 2 이범준 1,2* 1 : 강남경희한방병원한방내과, 2 : 경희대학교한의과대학폐계내과학교실 A Study on the Fever of Unknown Origin I ndicated by Janggam

More information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조 희 영 선 생 님 고 맙 습 니 다 16 17 18 19 가정간호 장선미 간호사님 감사합니다 20 21 22 23 24 25 U l 26 27 p SEOUL MEDICAL CENTER NEWS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홍보실장이란 신동규 원고를 기다립니다

More information

4최종-『食療纂要』에 나타난 消渴의 食治에 對한 小考_송지청, 김상운, 채송아, 엄동명.hwp

4최종-『食療纂要』에 나타난 消渴의 食治에 對한 小考_송지청, 김상운, 채송아, 엄동명.hwp J. Oriental Medical Classics 2012:25(3)39-49 Orignal Article 食 療 纂 要 에 나타난 消 渴 의 食 治 에 對 한 小 考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1 ㆍ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2 ㆍ한국전통의학연구소 3 송지청 1 김상운 1 채송아 2 엄동명 1,3* 1) A Review on Thirst Disease

More information

23(6)33신용수 hwp

23(6)33신용수 hwp 동의생리병리학회지제 23 권 6 호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3(6):1465 1469, 2009 급성담낭염환자의가감생간탕치험례 신용수 * 조소현 김남욱 한양희 동신대학교한의과대학내과학교실 Clinical Report of Acute Cholecystitis with Gagamsaenggan-tang Yong

More information

PART 8 12 16 21 25 28

PART 8 12 16 21 25 28 PART 8 12 16 21 25 28 PART 34 38 43 46 51 55 60 64 PART 70 75 79 84 89 94 99 104 PART 110 115 120 124 129 134 139 144 PART 150 155 159 PART 8 1 9 10 11 12 2 13 14 15 16 3 17 18 19 20 21 4 22 23 24 25 5

More information

2009;21(1): (1777) 49 (1800 ),.,,.,, ( ) ( ) 1782., ( ). ( ) 1,... 2,3,4,5.,,, ( ), ( ),. 6,,, ( ), ( ),....,.. (, ) (, )

2009;21(1): (1777) 49 (1800 ),.,,.,, ( ) ( ) 1782., ( ). ( ) 1,... 2,3,4,5.,,, ( ), ( ),. 6,,, ( ), ( ),....,.. (, ) (, ) Abstract Kim Dal-Rae, Kim Sun-Hyung* Dep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 *Dep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East-West Neo Medical Center, Kyung-Hee

More information

<BACEC0CEB0FAC7D0C8B8C1F D3228C3D6C1BE292E687770>

<BACEC0CEB0FAC7D0C8B8C1F D3228C3D6C1BE292E687770> 15)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J Korean Obstet Gynecol. VOL.28 NO.2 : 183-192 (2015) http://dx.doi.org/10.15204/jkobgy.2015.28.2.183 1 동신대학교한의과대학한방부인과교실, 2 동신대학교한의과대학한방내과학교실정수정 1, 박경미 1, 송유림 1, 조성희 1, 양승정 1, 마영훈 2 ABSTRACT

More information

<30342E20B1E8C7F6BFEC2C20B1E8C8A3C1D82C20B9DABFB5C8B82E687770>

<30342E20B1E8C7F6BFEC2C20B1E8C8A3C1D82C20B9DABFB5C8B82E687770> 교통사고환자에서의외상후스트레스장애에대한문헌고찰 東醫寶鑑을중심으로 Review of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Symptoms in Traffic Accident Patients. Hyun-Woo Kim, O.M.D., Ho-Jun Kim, O.M.D., Young-Hoi Park, O.M.D., Dong-Ho Keum,

More information

<BACEC0CEB0FAC7D0C8B8C1F D3428C3D6C1BE292E687770>

<BACEC0CEB0FAC7D0C8B8C1F D3428C3D6C1BE292E687770> 15)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J Korean Obstet Gynecol VOL.26 NO.4 : 213-222 (2013) 양측난소절제술후발생한汗出過多를주소로하는갱년기증후군환자에대한桂枝加附子湯치험 1 례 경희대학교한의과대학한방부인과학교실김진우, 박강인, 박경선, 이진무 ABSTRACT A Case Study with Gyejigabuja-tang on the

More information

_27~37, 38.hwp

_27~37, 38.hwp 한방비만학회지제7권제2호 Journal of Society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2007:7(2):27-37 원저 비만치료및체중감량에서의적절한 마황사용에대한임상진료지침개발 김호준 한창호 * 이의주 ** 송윤경 신병철 김윤경 동국대학교한의과대학한방재활의학과 * 동국대학교한의과대학내과 ** 경희대학교한의과대학사상체질과

More information

<B4EBC7D1C7D1B9E6B3BBB0FAC7D0C8B8C1F633372D352832C2F7B1B3C1A4292E687770>

<B4EBC7D1C7D1B9E6B3BBB0FAC7D0C8B8C1F633372D352832C2F7B1B3C1A4292E687770> 대한한방내과학회지제 37 권 5 호 (2016 년 10 월 ) J. Int. Korean Med. 2016;37(5):698-703 http://dx.doi.org/10.22246/jikm.2016.37.5.698 다발성신경병증에대한한방치험 1 례 손변우, 정해룡, 황원덕동의대학교부속동의의료원한방내과 A Clinical Report of Polyneuropathy

More information

12)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J Korean Obstet Gynecol VOL.26 NO.3 : (2013) 이침과한약치료를병행한姙娠惡阻환자 4 례의증상호전및안전성보고 경희대학교한의과대학원부인과학교실박승혁, 채민수, 김남훈, 황덕상, 이진무, 이창훈, 이경

12)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J Korean Obstet Gynecol VOL.26 NO.3 : (2013) 이침과한약치료를병행한姙娠惡阻환자 4 례의증상호전및안전성보고 경희대학교한의과대학원부인과학교실박승혁, 채민수, 김남훈, 황덕상, 이진무, 이창훈, 이경 12)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J Korean Obstet Gynecol VOL.26 NO.3 : 133-142 (2013) 경희대학교한의과대학원부인과학교실박승혁, 채민수, 김남훈, 황덕상, 이진무, 이창훈, 이경섭, 장준복 ABSTRACT 4 Cases of Hyperemesis Gravidarum Patients Treated by Herbal Medicine

More information

<C6EDC1FD2D33322D31C8A320BEC8C0CCBAF1C0CEC8C4B0FAC7D0C8B8C1F62E687770>

<C6EDC1FD2D33322D31C8A320BEC8C0CCBAF1C0CEC8C4B0FAC7D0C8B8C1F62E687770>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제 32 권제 1 호 (2019 년 2 월 )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9;32(1):92-103 pissn 1738-6640 eissn 2234-4020 http://www.ood.or.kr http://dx.doi.org/10.6114/jkood.2019.32.1.092

More information

<BACEC0CEB0FAC7D0C8B8C1F D3328C3D6C1BE292E687770>

<BACEC0CEB0FAC7D0C8B8C1F D3328C3D6C1BE292E687770> 12)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J Korean Obstet Gynecol. VOL.27 NO.3 : 158-167 (2014) http://dx.doi.org/10.15204/jkobgy.2014.27.3.158 골반염환자에대한한방치료치험 1 례 동신대학교한의과대학한방부인과교실송유림, 김지은, 양승정, 박경미, 정수정, 조성희 ABSTRACT The Clinical

More information

<5F30375FBCD2C8B8C7E2B0FAB1DDC0BAC8AD2E687770>

<5F30375FBCD2C8B8C7E2B0FAB1DDC0BAC8AD2E687770> 大韓本草學會誌제 25 권제 4 호 (2010 년 12 월 ) Kor. J. Herbology 2010;25(4):39-45 소회향과금은화추출물의급성췌장염에대한예방효과 주정석 1, 김정상 2, 정종길 1, 김봉규 1 * 1 : 동신대학교한의과대학본초학교실 2 : 동신대학교한의과대학해부학교실 Study of Efficacy of Foeniculi Fructus

More information

川續斷과 韓續斷의 외부형태 감별

川續斷과 韓續斷의 외부형태 감별 韓藥情報硏究會誌 (Korean Herb. Med. Inf.) 2015;3(2):51-56. pissn 2288-5161 / eissn 2288-5293 川續斷과 韓續斷의외부형태감별 도의정 1,2, 전신희 1, 이금산 1* 1. 원광대학교한의과대학본초학교실 2. 원광대학교대사기능제어연구센터 The Morphological Discrimination for Dipsaci

More information

DRSRDH_2008_v22n6_1423.hwp

DRSRDH_2008_v22n6_1423.hwp 동의생리병리학회지제 22 권 6 호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2(6):1423 1430, 2008 疎風湯이 Glutamate 에의한 C6 Glial Cell 의 Apoptosis 에미치는영향 정승원 1 최철원 2 김봉상 1 문병순 1,2 * 1: 원광대학교한의학전문대학원제 3 의학과, 2 : 원광대학교한의과대학내과학교실

More information

<C6EDC1FD2D32362D34C8A32DBEC8C0CCBAF1C0CEC8C4B0FAC7D0C8B8C1F62E687770>

<C6EDC1FD2D32362D34C8A32DBEC8C0CCBAF1C0CEC8C4B0FAC7D0C8B8C1F62E687770>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13;26(4):81-90 pissn 1738-6640 eissn 2234-4020 http://www.ood.or.kr http://dx.doi.org/10.6114/jkood.2013.26.4.081 Case Report

More information

38 Soeumin CPG: Yang Depletion Symptomatology I. 緖論 망양병은身熱, 煩惱, 身體痛, 汗自出을특징으로하는병증으로비국양기가손상된상태에서, 비국으로상승연접하는신국양기가신국의寒邪에의해방해받고방광에울축하여발생한다. 소음인병증분류및정의와관련

38 Soeumin CPG: Yang Depletion Symptomatology I. 緖論 망양병은身熱, 煩惱, 身體痛, 汗自出을특징으로하는병증으로비국양기가손상된상태에서, 비국으로상승연접하는신국양기가신국의寒邪에의해방해받고방광에울축하여발생한다. 소음인병증분류및정의와관련 p Original Article J Sasang Constitut Med 2014;26(1):37-44 http://dx.doi.org/10.7730/jscm.2014.26.1.037 소음인체질병증임상진료지침 : 망양병 주종천 신미란 * 이의주 원광대학교한의과대학사상체질과, * 세명대학교한의과대학사상체질과, 경희대학교한의과대학사상체질과 Abstract Clinical

More information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3권3호(최종)_100531.hwp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3권3호(최종)_100531.hwp 鄭澣1 趙學俊1* 世明大學校 韓醫科大學 原典醫史學敎室1 A Study on the Life, Works and Distinctive Features of Gogobong(高鼓峰)'s medicine Jung Han1 Jo Hak-jun1* 1 Dept. of Korean Medical Classics & Medical History, Semyung University

More information

2 1896 2 26 ( ) 2 7-20 2) 1897 1898 ( )3) 6 1902 8 1904 10 10 (19 05-1914 ) ( ) ( ) 4) 1915 ( ) ( ) 1917 2) 3) 4) 285

2 1896 2 26 ( ) 2 7-20 2) 1897 1898 ( )3) 6 1902 8 1904 10 10 (19 05-1914 ) ( ) ( ) 4) 1915 ( ) ( ) 1917 2) 3) 4) 285 13 2 ( 25 ) 2004 12 Korean J Med Hist 13 284 296 Dec 2004 ISSN 1225 505X 1) * ** ** 1 1920 1930 40 ( 1896-1973) 80 * ** 1) 2003 284 2 1896 2 26 ( ) 2 7-20 2) 1897 1898 ( )3) 6 1902 8 1904 10 10 (19 05-1914

More information

<4D6963726F736F667420576F7264202D20C3A520BCD2B0B32DC0CCB7B2B0C5B8E9B3AAB6FBBFD6B0E1C8A5C7DFBEEE322E646F63>

<4D6963726F736F667420576F7264202D20C3A520BCD2B0B32DC0CCB7B2B0C5B8E9B3AAB6FBBFD6B0E1C8A5C7DFBEEE322E646F63> 다툼과 상처에서 벗어나 행복한 부부로 사는 법 이럴 거면 나랑 왜 결혼했어? (이수경 지음/라이온북스/2012년 5월/340쪽/14,000원) - 1 - 이럴 거면 나랑 왜 결혼했어? (이수경 지음/라이온북스/2012년 5월/340쪽/14,000원) 책 소개 지고는 절대 못사는 부부 를 위한 결혼생활 코칭! 이 책은 아내가 먼저 읽고 남편에게 건네야 하는 책이다.

More information

완치란 일반인들과 같이 식이조절과 생활관리를 하지 않아도 다시 통풍이 하지 않는 것입니다. 당신의 통풍이 몇 년이나 되었는지 지금까지 얼마나 많은 로릭과 진통 소염제로 버텼는지 이제 저한테 하소연 하시고 완치의 길로 가면 다. 어렵지 않습니다. 1 2015 11 10

완치란 일반인들과 같이 식이조절과 생활관리를 하지 않아도 다시 통풍이 하지 않는 것입니다. 당신의 통풍이 몇 년이나 되었는지 지금까지 얼마나 많은 로릭과 진통 소염제로 버텼는지 이제 저한테 하소연 하시고 완치의 길로 가면 다. 어렵지 않습니다. 1 2015 11 10 완치란 일반인들과 같이 식이조절과 생활관리를 하지 않아도 다시 통풍이 하지 않는 것입니다. 당신의 통풍이 몇 년이나 되었는지 지금까지 얼마나 많은 로릭과 진통 소염제로 버텼는지 이제 저한테 하소연 하시고 완치의 길로 가면 다. 어렵지 않습니다. 1 2015 11 10 # 2012 000081 1 000 95% 95% 60 5 B 507 070 4651 3730~4

More information

<B4EBC7D1C7D1B9E6B3BBB0FAC7D0C8B8C1F633362D3328C3D6C1BE292E687770>

<B4EBC7D1C7D1B9E6B3BBB0FAC7D0C8B8C1F633362D3328C3D6C1BE292E687770> 대한한방내과학회지 제36권 3호(2015년 9월) J. Int. Korean Med. 2015:36(3)335-347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및 중동호흡기증후군(MERS)의 중의 진료지침에 대한 고찰 류한성, 오혜경, 이지영, 윤성우 강동경희대학교 한방병원 한방내과 An Overview on the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More information

- 2 -

- 2 - - 1 - - 2 - - - - 4 - - 5 - - 6 - - 7 - - 8 - 4) 민원담당공무원 대상 설문조사의 결과와 함의 국민신문고가 업무와 통합된 지식경영시스템으로 실제 운영되고 있는지, 국민신문 고의 효율 알 성 제고 등 성과향상에 기여한다고 평가할 수 있는지를 치 메 국민신문고를 접해본 중앙부처 및 지방자 였 조사를 시행하 였 해 진행하 월 다.

More information

欮 欮 屰 厥의 문헌적 고찰 어난 후에 癱瘓 失語 口眼喎斜 등의 후유증이 없지만 특별히 중한 경우 昏厥하는 시간이 비교적 길고 심지어 다시 회복하지 못하고 사망에 이르는 경우가 있다 한편 후세에 논한 厥은 상고시대의 欮 의 개념과 병증을 기 본으로 하고 본래 實證이면서도 또한 虛證이 있음을 파악하여 實證은 본래 氣機가 치밀어 오르는데 혹 痰이나 血이 따르는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Vol. 25 No. 2, April 2015 pissn 1229-1854 eissn 2288-4114 Original Article 우창훈 오민석 * 대구한의대학교한의과대학한방재활의학교실, 대전대학교한의과대학한방재활의학교실 * Effects of Bujasasim-tang Ethanol

More information

<30352E20C0FCC7F6C1F82CC0CCBCF6B0E62E687770>

<30352E20C0FCC7F6C1F82CC0CCBCF6B0E62E687770> Case Report J Sasang Constitut Med 2018;30(2):55-63 https://doi.org/10.7730/jscm.2018.30.2.55 소음인 A 형인플루엔자감염치험례 전현진 이수경 * 경희대학교한의과대학강동경희대학교병원한방암센터 Abstract Treatment of Influenza A Virus Infection in a

More information

DRSRDH_2008_v22n5_1147.hwp

DRSRDH_2008_v22n5_1147.hwp 동의생리병리학회지 제 22권 5호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2(5):1147 1151, 2008 黃 精 이 흰쥐의 식이성 고지혈증에 미치는 영향 노승원 김정범*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병리학교실 Effects of Polygonati Rhizoma on the Diet-induced Hyperlipidemia

More information

신계내과학(1).indd

신계내과학(1).indd 腎 系 內 科 學 1. 腎 에 관한 역대 醫 論 簡 略 2 2. 腎 의 해부학적 인식 및 오행적 속성 7 3. 腎 의 생리적 기능 9 4. 腎 과 他 臟 腑 와의 관계 12 5. 命 門 14 6. 腎 膀 胱 의 病 理 16 7. 腎 病 의 辨 證 18 2 1 腎 에 관한 역대 醫 論 簡 略 1. 黃 帝 內 經 에서의 腎 현대 우리나라 한의학의 여러 다른 분야에서도

More information

<C7D1B9E6C0E7C8B0C7D0C8B B1C731C8A35F34C2F7C6EDC1FD E687770>

<C7D1B9E6C0E7C8B0C7D0C8B B1C731C8A35F34C2F7C6EDC1FD E687770>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Vol. 28 No. 2, April 2018 pissn 1229-1854 eissn 2288-4114 https://doi.org/10.18325/jkmr.2018.28.2.127 Case Report 대용량약침치료및한의학적치료를적용한흉요추연접부증후군증례보고 송광찬 * 서지연 * 송승배

More information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제 28 권제 2 호 (2015 년 5 월 )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5;28(2): pissn eissn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제 28 권제 2 호 (2015 년 5 월 )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5;28(2): pissn eissn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5;28(2):93-101 pissn 1738-6640 eissn 2234-4020 http://www.ood.or.kr http://dx.doi.org/10.6114/jkood.2015.28.2.093 Case Report / 증례藿香正氣散加味方과뜸치료를위주로한심상성사마귀치험

More information

IKC43_06.hwp

IKC43_06.hwp 2), * 2004 BK21. ** 156,..,. 1) (1909) 57, (1915) 106, ( ) (1931) 213. 1983 2), 1996. 3). 4) 1),. (,,, 1983, 7 12 ). 2),. 3),, 33,, 1999, 185 224. 4), (,, 187 188 ). 157 5) ( ) 59 2 3., 1990. 6) 7),.,.

More information

ㄴ한약약성이로

ㄴ한약약성이로 한약약리학 (herbal pharmacology) 박정아교수 한약 ( 韓藥 ) 한약 ( 韓藥 ) = 천연물질을통해질병치료예방하기위한약물을통칭 ( 한의학적이론 ) 한약학 ( 본초학 )= 한약의기원성상포제귀경성미효능배합및응용에대한연구하는학문 약리학 =phamacoloy=pharmakon+logia 약 연구 ; 화합물인약이인체에미치는효과를연구하는학문 한약약리학 :

More information

<C6EDC1FD2D32372D33C8A32DBEC8C0CCBAF1C0CEC8C4B0FAC7D0C8B8C1F62E687770>

<C6EDC1FD2D32372D33C8A32DBEC8C0CCBAF1C0CEC8C4B0FAC7D0C8B8C1F62E687770>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제 27 권제 3 호 (2014 년 8 월 )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4;27(3):133-144 pissn 1738-6640 eissn 2234-4020 http://www.ood.or.kr http://dx.doi.org/10.6114/jkood.2014.27.3.133

More information

<C7D1B9E6C0E7C8B0C7D0C8B B1C731C8A35F34C2F7C6EDC1FD E687770>

<C7D1B9E6C0E7C8B0C7D0C8B B1C731C8A35F34C2F7C6EDC1FD E687770>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Vol. 28 No. 2, April 2018 pissn 1229-1854 eissn 2288-4114 https://doi.org/10.18325/jkmr.2018.28.2.47 Original Article ChondroT 구성약재의항응고효과에관한연구 김선길 * 정지원 * 임용하

More information

< FB5B5BAF1B6F32C20B8F1C2F D34292E687770>

< FB5B5BAF1B6F32C20B8F1C2F D34292E687770> Case Report J Sasang Constitut Med 2014;26(4):379-388 http://dx.doi.org/10.7730/jscm.2014.26.4.379 Abstract A Case Study of Soyangin Patient with Hyperhidrosis Treated Successfully with Hyungbangsabaek-san(

More information

3. 낭독미신징적쇠귀독악창급풍위 ( 狼毒味辛癥積衰鬼毒惡瘡及風痿 ) 낭독 ( 狼毒 ) 은미신 ( 味辛 ) 하다. 징적 ( 癥積 ) 을쇠잔시키며, 귀독 ( 鬼毒 ) 악창 ( 惡 瘡 ) 및풍위 ( 風痿 ) 등도물리친다. 오독도기 1 초 ( 醋 ) 에초 ( 炒 ) 해서쓴다.

3. 낭독미신징적쇠귀독악창급풍위 ( 狼毒味辛癥積衰鬼毒惡瘡及風痿 ) 낭독 ( 狼毒 ) 은미신 ( 味辛 ) 하다. 징적 ( 癥積 ) 을쇠잔시키며, 귀독 ( 鬼毒 ) 악창 ( 惡 瘡 ) 및풍위 ( 風痿 ) 등도물리친다. 오독도기 1 초 ( 醋 ) 에초 ( 炒 ) 해서쓴다. 독초 ( 毒草 ) ( 二十種 ) 1. 대황고한파혈어쾌격통장적취제 ( 大黃苦寒破血瘀快膈通膓積聚除 ) 대황 ( 大黃 ) 은미고 ( 味苦 ) 성한 ( 性寒 ) 하다. 어혈 ( 瘀血 ) 을파 ( 破 ) 하며격체 ( 膈滯 ) 를내리고, 장 ( 膓 ) 울통리 ( 通利 ) 시키고, 적취 ( 積聚 ) 를제거 ( 除去 ) 한다. 장군풀 1 수족양명 ( 手足陽明 ) 으로들어간다.

More information

2 張奭鎭 차 례 序論

2 張奭鎭 차 례 序論 학술원논문집 ( 인문 사회과학편 ) 제 51 집 1 호 (2012) 37-87 話行의統合文法的記述 張奭鎭 * 초록 - 37 - 2 張奭鎭 차 례 序論 - 38 - 話行의統合文法的記述 3 Ⅱ 話行 - 39 - 4 張奭鎭 - 40 - 話行의統合文法的記述 5-41 - 6 張奭鎭 - 42 - 話行의統合文法的記述 7-43 - 8 張奭鎭 - 44 - 話行의統合文法的記述

More information

γ

γ 경락경혈학회지 Vol.27, No.1, pp.87 106, 2010 Journal of Meridian & Acupoint Dept. of 1 Meridian & Acupoint, 3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2 Division of Clinical

More information

본초학표지

본초학표지 大韓本草學會誌제 28 권제 4 호 (2013 년 7 월 ) Kor. J. Herbology 2013;28(4):57-62 ISSN 1229-1765 http://dx.doi.org/10.6116/kjh.2013.28.4.57. Hydrogen peroxide로산화적스트레스가유도된 HaCaT keratinocyte 에서금은화의세포보호효과 서승희 #, 최미옥 *

More information

본초학표지

본초학표지 大韓本草學會誌제 29 권제 6 호 (2014 년 11 월 ) Kor. J. Herbology 2014;29(6):21-26 ISSN 1229-1765(Print), ISSN 2288-7199(Online) http://dx.doi.org/10.6116/kjh.2014.29.6.21. LPS 로유도한 RAW 264.7 세포의염증반응에서흰민들레의항염증효과 김민준

More information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전문용어의국어화 강현화 1. 들어가기 이해할 수 있는 쉬운 언어 사용의 전형을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전문 용어의 사용자가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포 될 수 있다는 데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출발점을 시작으로 과연 전문 함 용어의 국어화가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해 보고자 한다. 2. 전문 용어 연구의 쟁점 2.1. 전문 용어

More information

뇌경색편마비환자의상지부종에봉독요법활용후호전된 1 례 경혈에자입하여질병을치료하는약침요법의일종으로, 예로부터신경통, 관절염등에많이이용되어왔으며뇌졸중편마비환자의견관절통증의감소에도유의한효과를보이고있다 7. 하지만뇌졸중편마비환자에서발생한상지부종에대해서는활용된예가보고되어있지않다.

뇌경색편마비환자의상지부종에봉독요법활용후호전된 1 례 경혈에자입하여질병을치료하는약침요법의일종으로, 예로부터신경통, 관절염등에많이이용되어왔으며뇌졸중편마비환자의견관절통증의감소에도유의한효과를보이고있다 7. 하지만뇌졸중편마비환자에서발생한상지부종에대해서는활용된예가보고되어있지않다. 뇌경색편마비환자의상지부종에봉독요법활용후호전된 1 례 윤승규, 박주영, 변형식, 권승원, 서유리, 정우상, 문상관, 조기호, 김영석 경희의료원한방병원한방 2 내과심계내과학교실 CasereportofEdematousHandinHemiplegicPatientimproved bybeevenom acupuncture Seung-kyuYoon,Joo-youngPark,Hyung-sikByeon,Seung-wonKwon,Yu-riSeo,

More information

DRSRDH_2008_v22n6_1359.hwp

DRSRDH_2008_v22n6_1359.hwp 동의생리병리학회지제 22 권 6 호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2(6):1359 1367, 2008 이인선 * 이용태 지규용 김종원 김규곤 1 동의대학교한의과대학 동의대학교한의학연구소, 1 : 동의대학교데이터정보학과 Study for Diagnostic Correspondent Rates between DSOM

More information

본초학표지

본초학표지 大韓本草學會誌제 31 권제 2 호 (2016 년 3 월 ) Kor. J. Herbol. 2016;31(2):13-19 ISSN 1229-1765(Print), ISSN 2288-7199(Online) http://dx.doi.org/10.6116/kjh.2016.31.2.13. LDL Receptor Knockout Mouse 에서부추추출물의죽상경화증예방효과

More information

<403032BBE7BBF3C3BCC1FAC7D0C8B8C1F65F32362D31C6EDC1FD342E687770>

<403032BBE7BBF3C3BCC1FAC7D0C8B8C1F65F32362D31C6EDC1FD342E687770> p Original Article J Sasang Constitut Med 2014;26(1):27-36 http://dx.doi.org/10.7730/jscm.2014.26.1.027 소음인체질병증임상진료지침 : 울광병 배효상 김윤희 * 이의주 동국대학교한의과대학사상체질과, * 대전대학교한방병원사상체질과, 경희대학교한의과대학사상체질과 Abstract Clinical

More information

동합니다. 손, 발의 작은 관절이나 고관절은 잘 침범하지 않으며 항염증제로 즉각적으로 증상 이 소실됩니다. 심근염은 소아 환자의 40~80% 정도에서 나타나며, 단순히 심장박동이 약간 빠 른 빈맥에서부터 심하게는 심장에 침범되어 심부전까지 나타나는 등 다양한 양상으로

동합니다. 손, 발의 작은 관절이나 고관절은 잘 침범하지 않으며 항염증제로 즉각적으로 증상 이 소실됩니다. 심근염은 소아 환자의 40~80% 정도에서 나타나며, 단순히 심장박동이 약간 빠 른 빈맥에서부터 심하게는 심장에 침범되어 심부전까지 나타나는 등 다양한 양상으로 제 33장. 통풍문( 痛 風 門 ) 사암필사본원문( 舍 岩 筆 寫 本 原 文 ) 내경왈( 內 經 曰 ) 제풍도현( 諸 風 掉 眩 ) 강직지통( 强 直 肢 痛 ) 연려리급근축( 戾 裏 急 筋 縮 ) 개속간담지원( 皆 屬 肝 膽 之 原 ) 우왈( 又 曰 ) 풍한습삼기( 風 寒 濕 三 氣 ) 위마비( 爲 麻 痺 ) 풍기승이위행비( 風 氣 勝 而 爲 行 痺 ) 한기승이위통비(

More information

韓藥情報硏究會誌 (Korean Herb. Med. Inf.) 2016;4(2): pissn / eissn 산조인 ( 酸棗仁 ) 과그위품의외부형태감별기준 윤지현 1, 도의정 2,3, 전신희 2, 류지효 4, 김정훈 4, 이금

韓藥情報硏究會誌 (Korean Herb. Med. Inf.) 2016;4(2): pissn / eissn 산조인 ( 酸棗仁 ) 과그위품의외부형태감별기준 윤지현 1, 도의정 2,3, 전신희 2, 류지효 4, 김정훈 4, 이금 韓藥情報硏究會誌 (Korean Herb. Med. Inf.) 2016;4(2):37-41. pissn 2288-5161 / eissn 2288-5293 산조인 ( 酸棗仁 ) 과그위품의외부형태감별기준 윤지현 1, 도의정 2,3, 전신희 2, 류지효 4, 김정훈 4, 이금산 2* 1. 우석대학교한의과대학본초학교실 2. 원광대학교한의과대학본초학교실 3. 원광대학교대사기능제어연구센터

More information

<BACEC0CEB0FAC7D0C8B8C1F D3328C3D6C1BE292E687770>

<BACEC0CEB0FAC7D0C8B8C1F D3328C3D6C1BE292E687770> 10)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J Korean Obstet Gynecol. VOL.27 NO.3 : 143-150 (2014) http://dx.doi.org/10.15204/jkobgy.2014.27.3.143 대구한의대학교한의과대학부인과학교실손지혜, 김동철 ABSTRACT A Case Report of the Treated Threatened Abortion

More information

소양인생리 & 병증약리개괄 음청지기의발병부위, 증상발현의한열양상에따른표리병의구분 음청지기의상태를신 - 대장을중심으로설명

소양인생리 & 병증약리개괄 음청지기의발병부위, 증상발현의한열양상에따른표리병의구분 음청지기의상태를신 - 대장을중심으로설명 2014 년 2 학기사상의학 5 강소양인지인 소양인생리 & 병증약리개괄 음청지기의발병부위, 증상발현의한열양상에따른표리병의구분 음청지기의상태를신 - 대장을중심으로설명 소양인의생리기전 水穀熱氣 胃 凉氣 * 膂 大腸氣 淸陽裏陽 表陰淸陰 水穀寒氣 腸 腎氣 腎 衛氣 * 膀胱 소양인병증 少陽人病胃受熱裏熱病脾受寒表寒病 順 ( 輕重 ) 胸膈熱證 上消證 少陽傷風證 消渴證 中消證

More information

배명현 염승룡 김진희 권영달 서론»»» 류마토이드관절염 (rheumatoid arthritis) 은가장흔한류마티스질환이다. 주로 세사이에발병하며만성적이고간헐적인관절염증을나타낸다. 류마토이드관절염에걸린관절에는 CD4와 CD8 T세포, B세포, 림프구, 형질세포

배명현 염승룡 김진희 권영달 서론»»» 류마토이드관절염 (rheumatoid arthritis) 은가장흔한류마티스질환이다. 주로 세사이에발병하며만성적이고간헐적인관절염증을나타낸다. 류마토이드관절염에걸린관절에는 CD4와 CD8 T세포, B세포, 림프구, 형질세포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Vol. 25 No. 1, January 2015 pissn 1229-1854 eissn 2288-4114 Original Article 인동등과봉독약침이 Adjuvant 투여로유발된류마토이드병태모델에미치는실험적연구 배명현 염승룡 김진희 권영달원광대학교한의과대학한방재활의학과교실 Experimental

More information

Original Articles Korean Circulation J 2000;30 7 : 급성 Aconitine 중독에의한심혈관계부작용에관한임상적관찰 김우식 임성식 강흥선 조정휘 김권삼 송정상 배종화 Cardiovascular Aspects of Acon

Original Articles Korean Circulation J 2000;30 7 : 급성 Aconitine 중독에의한심혈관계부작용에관한임상적관찰 김우식 임성식 강흥선 조정휘 김권삼 송정상 배종화 Cardiovascular Aspects of Acon Original Articles Korean Circulation J 2000;307:855-860 급성 Aconitine 중독에의한심혈관계부작용에관한임상적관찰 김우식 임성식 강흥선 조정휘 김권삼 송정상 배종화 Cardiovascular Aspects of Aconitine Poisoning Woo Shik Kim, MD, Seong Shik Lim, MD,

More information

歯kjmh2004v13n1.PDF

歯kjmh2004v13n1.PDF 13 1 ( 24 ) 2004 6 Korean J Med Hist 13 1 19 Jun 2004 ISSN 1225 505X 1) * * 1 ( ) 2) 3) 4) * 1) ( ) 3 2) 7 1 3) 2 1 13 1 ( 24 ) 2004 6 5) ( ) ( ) 2 1 ( ) 2 3 2 4) ( ) 6 7 5) - 2003 23 144-166 2 2 1) 6)

More information

( 瀉 ) 하라한것은견증 ( 見證 ) 과인용한방의 ( 方意 ) 와맞지않는번잡한처방으로후인 ( 後人 ) 들의전사 ( 傳寫 ) 오류이거나, 첨삭 ( 添削 ) 의글로보인다. 견증 ( 見證 ) 과위령탕가초두구탕증 ( 胃苓湯加草荳蔻湯證 ) 에부합되는요법은위정격 ( 胃正格 ) 또

( 瀉 ) 하라한것은견증 ( 見證 ) 과인용한방의 ( 方意 ) 와맞지않는번잡한처방으로후인 ( 後人 ) 들의전사 ( 傳寫 ) 오류이거나, 첨삭 ( 添削 ) 의글로보인다. 견증 ( 見證 ) 과위령탕가초두구탕증 ( 胃苓湯加草荳蔻湯證 ) 에부합되는요법은위정격 ( 胃正格 ) 또 제 23 장. 설사문 ( 泄瀉門 ) 사암필사본원문 ( 舍岩筆寫本原文 ) 경왈 ( 經曰 ), 습승칙유설 ( 濕勝則濡泄 ) 춘상하통 ( 春傷夏痛 ) 폭주하박 ( 暴注下迫 ) 내속어비열 ( 乃屬於脾熱 ) 수액징철 ( 水液澄澈 ) 개속어한 ( 皆屬於寒 ) 시고습본다성오설 ( 是故濕本多成五泄 ) 종경맥어보사 ( 從經脈於補瀉 ) 냉호생리 ( 冷好生痢 ) 열증어승강 (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이차적저작물을작성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이차적저작물을작성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이차적저작물을작성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동일조건변경허락. 귀하가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했을경우에는,

More information

<30325FBBE7BBF3C3BCC1FAC0C7C7D0C8B8C1F6284A53434D D332D34C2F7C6EDC1FDBABB2E687770>

<30325FBBE7BBF3C3BCC1FAC0C7C7D0C8B8C1F6284A53434D D332D34C2F7C6EDC1FDBABB2E687770> Review Article J Sasang Constitut Med 2014;26(3):241-250 http://dx.doi.org/10.7730/jscm.2014.26.3.241 소양인체질병증임상진료지침 : 소양상풍병 전수형ㆍ최애련 * ㆍ이의주 동의대학교한의과대학사상체질과, * 대구한의대학교한의과대학사상체질과 경희대학교한의과대학사상체질과 Abstract

More information

<30372EC0CCC0AFC1F82E687770>

<30372EC0CCC0AFC1F82E687770> 산전 초음파상 진단된 단독 대조확장증의 출생 후 예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학교실 이유진 원혜성 박상민 조현진 정 의 김선권 심재윤 이필량 김 암 Yu-Jin Lee, M.D., Hye-Sung Won, M.D., Sang-Min Park, M.D., Hyun-Jin Cho, M.D., Eui Jung, M.D., Sun-Kwon Kim,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Vol. 24 No. 3, July 2014 pissn 1229-1854 eissn 2288-4114 Original Article 細辛酒錠抽出物이 LPS 로유발된 RAW 264.7 Cell 의염증및항산화반응에미치는영향 이옥진 오민석대전대학교한의과대학한방재활의학과교실 Anti-oxidation

More information

2014년 01월호VOL .2

2014년 01월호VOL .2 강동경희대학교병원약품정보지 2014 년 10 월호 VOL.05 Forxiga tab. 10mg ( 포시가정 ) 가역적인 SGLT2 저해제로신장에서선택적으로발현되며사구체여과액으로부터전신순환으로포도당의재흡수를감소시킴으로써요당을배설, 공복및식후혈당을개선 일혈관리실무지침 일혈 (Extravasation) 에대한정의및적절하고빠른응급조치와원인약물의특성에맞는올바른치료법제시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