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표준방송어법 >> 1. 표준발음법 한국인의표준발음법은표준어규정 (1988) 의제2부 표준발음법 부분에개요가정리되어있으므로이규정대로만발음하면일단합격이라할수있다. 이를요약하면다음과같다. (1) ㅚ, ㅟ는단모음뿐아니라이중모음으로도발음한다. (2) 예, 례 이외의 ㅖ 는 [ ㅔ ] 로도발음한다. : 계집 [ 계집 / 게집 ] (3) 자음을첫소리로하는음절의 ㅢ 는 [ ㅣ ] 로발음한다. : 늴리리 [ 닐리리 ] 희망 [ 희망 ] (4) 단어의첫음절이외의 의 는 [ ㅢ ] 나 [ ㅣ ] 로, 조사 의 는 [ ㅢ ] 나 [ ㅔ ] 로한다. 주의 [ 주의, 주이 ] 우리의 [ 우리의, 우리에 ] 강의의 [ 강의의, 강의에, 강이의, 강이에 ] (5) 긴소리는단어의첫음절에서만남을원칙으로한다. : 눈보라 [ 눈 : 보라 ] 첫눈 [ 천눈 ] (6) 겹받침의발음 : 넓다, 넓고 [ 널 : 따, 널 : 꼬 ] 밟다, 밟고 [ 밥 : 따, 밥 : 꼬 ] (7) 값있다 [ 가빋따 ] 맛없다 [ 마덥다 ] cf. 맛있다 [ 마딛따, 마싣따 ] 멋있다 [ 머딛따, 머싣따 ] (8) 난로 [ 날로 ] cf. 의견란 [ 의 : 견난 ] 이원론 [ 이 : 원논 ] 공권력 [ 공꿘녁 ] (9) 되어 [ 되어, 되여 ] 끼어 [ 끼어, 끼여 ] -이오[ 이오, 이요 ] (10) 1 ㄴ첨가현상 : 꽃잎 [ 꼰닙 ] 신여성 [ 신녀성 ] cf. 검열 [ 거멸, 검녈 ], 금융 [ 그뮹, 금늉 ] 2 ㄹ첨가현상 : 할일 [ 할릴 ] 1연대 [ 일련대 ] cf. 송별연 [ 송 : 벼련 ] 등용문 [ 등용문 ] (11) 그믐달 [ 그믐딸 ] 아침밥 [ 아침빱 ] cf. 김밥 [ 김 : 밥 ] 오늘날방송언어에서나타나는언어오용은음운, 어휘, 통사영역에걸쳐다앙한데이중에발음부문에서가장빈도높게나타나는것에대해박갑수 (1988:250, 1996) 에서는음가의혼란, 장단암의혼란, 경음및격음화현상, 음운변이의혼란, 어조의혼란, 속도의부적절, 비정상발음등 7가지를들고있다. 여기서가장빈도높은발음오용의실태를정리해보도록한다 ( 졸고1995ㄱ. 1996ㄱ참고 ). 1.1. 자음의오용자음의오용은子音群, 絶音과連音, 頭音規則, 同化, 添加, 相關對立音에따른오용이주류를이룬다. (1) 자음군의오용 : 밟거나 - 밟다 - 밟고 - 밟지 를 [ 밥 -] 으로하지않고 [ 발 -] 로하는오
용이심하다. (2) 절음과연음의오용 : 절음과연음현상에따른오용현상에따른오용유형은다음과같다. 1 끊기다 를 [ 끈키다 ] 대신 [ 끈기다 ] 로한다든가, 수입하다 를 [ 수이파다 ] 대신 [ 수이바다 ] 로한다든가, 곳곳에서 / 이웃에서 를 [ 곧고세서 / 이우세서 ] 대신 [ 곧고데서 / 이우데서 ] 로하는오용들이많다. 2 끝소리법칙및연음, 절음현상과관련지어서는다음유형에오용이많다. O X 꽃이, 꽃을 : [ 꼬치, 꼬츨 ] [ 꼬시, 꼬슬 ] 빚이, 빚을 : [ 비지, 비즐 ] [ 비시, 비슬 ] 깨끗이 : [ 깨끄시 ] [ 깨끄치 ] 부엌이 : [ 부어키 ] [ 부어기 ] 무릎이, 숲이 : [ 무르피, 수피 ] [ 무르비, 수비 ] (3) 두음법칙문제 : 문예란, 가정란 어린이난, 스포츠난 의 난-란 구별이라든가, 능-왕릉, 강릉, 선릉, 동구릉, 서오릉, 납치 ( 拉致 )-피랍( 被拉 ) 과같은두음법칙구별이있다. (4) 자음동화의오용 1 과잉동화 : 감기 [ 강기 ], 한국 [ 항국 ], 꽃길 [ 꼭낄 ], 받고 [ 박고 ] 과같은과잉동화가빠른말투속에심하게나타난다. 2 자음동화의허용과거부 ( 표준발음법 20항 ): 특히 ( ㄴ ) 유형의혼란이심하다. ( ㄱ ) 자음동화허용예 : 난로 [ 날로 ], 천리 [ 철리 ], 광한루 [ 광할루 ], 대관령 [ 대괄령 ], 칼날 [ 칼랄 ], 할는지 [ 할른지 ] ( ㄴ ) 자음동화거부예 : 순환로 [ 수놘노-수놜로 ], 순환론 [ 수놘논-순활론 ], 음운론 [ 음운논-음울론 ] (5) 자음첨가의오용 ( 표준발음법 29항 ) 1 ㄹ첨가 ( ㄱ ) ㄹ첨가오용 : ( 휘파람을 ) 불어주는 [ 불러주는 ], 자르다 [ 잘르다 ], 촬영 [ 촤령 ] 등. ( ㄴ ) ㄹ첨가시의미대립 : 날아 날라, 늘이다 늘리다, 벌이다 벌리다 는구별해야한다. ( ㄷ ) ㄹ첨가필수 : 표준발음법 29항붙임 1처럼합성어나파생어구조에서는ㄹ첨가가원칙이므로 물약 [ 물략 ], 설익다 [ 설릭따 ], 유들유들 [ 유들류들 ] 로발음해야한다. 2 ㄴ첨가 ( ㄱ ) ㄴ첨가오용 : 고쳐 [ 곤쳐 ], 분열 [ 분녈 ], 등용문 [ 등뇽문 ] ( ㄴ ) ㄴ첨가필수 : 색연필 [ 색년필 ], 영업용 [ 영엄뇽 ] ( ㄷ ) ㄴ첨가임의허용 : 검열 [ 검녈, 거멸 ], 금융 [ 금늉, 그뮹 ] 2
3 사잇소리 < 금성 > 은 머리말, 꼬리말, 본디말, 예사말, 인사말 은ㅅ을표기하지않아사잇소리를낼필요가없는것으로했는데예외적으로 혼잣말 을ㅅ을한다. < 한글 > 은 머리말, 인사말 을빼고는나머지에ㅅ을붙여혼란스럽다. 고무줄-빨랫줄 이라든가, 나뭇잎, 깻잎-배추잎, 상추잎 의차이도발음혼동이많다. 사이시옷은아니지만 겁이없다 를 [ 겁시없다 ] 로발음하는경우도있는데이는잘못된ㅅ첨가이다. 4 음절첨가 : 미더웁다, 흥겨웁다 처럼 우 첨가, 푸르르다 처럼 르 첨가오용이많다. ( 보따리를 ) 풀다-풀어 나 끄르다-끌러 가맞는데 풀다-끄르다 의오용혼합어인 풀르다-풀러 로잘못말하는이가많다. (6) 상관대립의오용국어에는 硬音 - 激音 - 平音 의대립에따른발음과표기의오용이다양하게나타난다. 특히평음의경음화오용이심하다. 참고서-참꼬서, 감다-깜다, 거꾸로-꺼꾸로, 그치다-끄치다, 닦다-딲다, 다른-따른, 새것-쌔것, 생계란-쌩계란, 세련되다-쎄련되다, 속이다-쏙이다, 진실되게-진실뙤게, 집다-찝다, 조금-쪼끔, 흠집-흠찝 등의경우와같은된소리오용이방송에심하다. 그런데평음어를격음으로잘못발음하는예도많다. 폭발 [ 팔 ], 착잡 [ 착찹 ], 병풍 [ 평풍 ], 나침반 [ 나침반 ] 등이그것이다. 1 硬記型 ( 경음표기형 ): 꼽추 (cf. 곱사등이 ), 끄르다, 재떨이, 안쓰럽다, 쪽찌다 [ 쪽지다 ]. 따뜻하다 [ 따듯하다 ] 2 激記型 ( 격음표기형 ): 끄나풀, 칸, 털어먹다 ( 떨어먹다 ), 애틋하다 ( 애뜻하다 ), 삐치다 ( 삐지다 ) 3 平記型 ( 평음표기형 ): 이것은다시두가지로나뉜다. ( ㄱ ) 平記平音型 : 이것은발음이나표기가모두평음인것들이다. 이유형은흔히발음을경음이나격음으로과잉오용하는경향이많다. ~ 강술, 거꾸로, 거리낌, 곱살 ( 이 ) 끼다, 곶감, 제거예요 ( 제꺼예요 ), 번데기, 고두밥, 자투리, 조금, 숙 [ 쑥 ] 맥, 깜박 [ 빡 ] 이, 병풍 [ 평풍 ], 갈키 [ 갈치 ], 거시기 [ 거시키 ], 땅거미 ( 黃昏. Cf. 땅거 [ 꺼 ] 미 : 곤충 ), 감 [ 깜 ] 쪽같이 ( ㄴ ) 平記硬音型 : 표기는평음으로, 발음은경음으로하는경우다. ~ 깍두 [ 뚜 ] 기, 깍둑깍둑, 깝죽 [ 쭉 ] 거리다, 깍듯 [ 뜻 ] 이 ( 깍뜻이, 깎듯이 ), 농지 [ 찌 ] 거리, 눈곱 [ 꼽 ], 눈살 [ 쌀 ], 등살 [ 쌀 ](cf. 등쌀 ), 물살, 쑥덕거리다, 이맛살, 알조, 안간힘, 으름장 [ 짱 ], 얼음장 [ 짱 ], 새침데 [ 떼 ] 기, 서슴지 [ 찌 ], 허섭스 [ 쓰 ] 레기, 마늘종 [ 쫑 ], 폭발 [ 폭빨-폭발 ], 착잡 [ 착짭-착찹 ] 4 平 硬音쌍형 : 이유형은 작은말-센말 의관계이거나 표로된類意語나異意語관계이거나, = 로된同意語유형이다. ~ 강마르다-깡마르다, 거칠하다-꺼칠 3
하다, 괴까다롭다-꾀까다롭다, 구부리다-꾸부리다, 깜박-깜빡, 꼬박-꼬빡, 끄덕-끄떡, 구기다-꾸기다, 벋어가다-뻗어가다, 사립문 싸리문, 고까 = 꼬까 (= 때때 ) 5 激 硬音쌍형 : 이것은격음과경음형이다쓰인다. ~ -뜨리다 =-트리다, 널빤지 = 널판자, 때깔 ( 피륙등의맵시와빛깔 )- 態깔 ( 1 모양과빛깔, 2 교만과태도 ), 젖히다-제치다-제키다-제끼다 6 平 激音쌍형 : 평음과격음형이다쓰인다. ~ 고린내 = 코린내, 구부리다 = 쿠부리다, 뒤적뒤적-뒤척뒤척, 도막-토막 (7) 활용형발음의오용용언의활용형을오해하여틀리게발음하는경우가많다. 가령ㄹ탈락용언의발음에서틀린경우로 낯선 [ 낯설은 ] 타향, 녹슨 [ 녹슬은 ] 기찻길, 거친 [ 거칠은 ] 광야, 그곳에산 [ 살은 ], 하늘은나는 [ 날으는 ] 원더우먼 등을들수있다. 용언의기본형을오해하여틀리게발음하는경우도있다. 날이개겠습니다 [ 개이겠습니다 ]. 거리를헤매는 [ 헤매이는 ] 사람, 설레는 [ 설레이는 ] 가슴 등은 -이- 를개입하지말아야한다. 활용형은아니지만관형사인 외딴 도 외따른 으로기본형을잘못알고발음하는것도고쳐야한다. 1.2. 모음의발음오용모음의발음과표기의오용도다양하다. ㅣ모음역행동화 ( 아끼다-애끼다 : 아기-애기 : 잡히다-잽히다 ), ㅐ와ㅔ의혼란 ( 빨래-걸레, 찌개-찌게 ), ㅡ와ㅓ의혼란 ( 승격-성격 ), ㅗ와ㅜ의혼란 ( 먹고-먹구 ), ㅓ와ㅏ의혼란 ( 하는-허는 ) 등이대표적이다. 다음에주요한것만살펴본다. < ㅏ-ㅐ > ㅏ : 가자미, 깡깡이, 아지랑이, 바람 ( 望 ), 가랑이, 노랑이영감, -ㄴ다니(-ㄴ대니), -ㄴ다나 ( ㄴ대나 ), 만날 ( 맨날 ), 아기 ( 애기 ) ㅐ : -내기( 풋내기 ), 냄비, ( 비가 ) 내리다 ( 나리다 ), 생채기 ( 상채기 ), 고쟁이, 꼬챙이ㅏ / ㅐ : -장이/-쟁이, -박이( 점박이 )/-배기( 한살배기 ), 당기다 ( 줄을 ~, 기간을 ~)-댕기다 ( 불을 ~) < ㅐ-ㅔ > ㅐ : 뜨개질, -건대(cf. 관데 ), 헤매다 ( 헤메다 ), 찌개, 빨래ㅔ : 게거품 ( 개거품 ), 너스레, 돌멩이, 지게, 걸레ㅐ / ㅔ : 대굴대굴 / 데굴데굴, 매스껍다 / 메스껍다, -대요(=-다고해요. 인용 ) - -데요( 회상 ), 노래지다 / 누레지다 < ㅓ-ㅔ > ㅓ : 건더기, 구더기, 궁덩이, 엉덩이, 덤터기, 웅덩이ㅔ : 껍데기, 굼벵이, 게염스럽다, 네댓 ( 너댓-너덧 ) ㅓ / ㅔ : 북더기 = 북데기, 거슴츠레 = 게슴츠레, 꺼림하다 = 께림하다, 헛갈리다 = 헷갈리다 4
< ㅓ-ㅡ > ㅓ : 건너다, 기겁, 덩치, 하마터면, 서다ㅡ : 통틀어, 벌을쓰다 ( 서다 )/ 벌을썼다 ( 섰다 ) ㅓ / ㅡ : 사설시조-사슬시조, 어르다-으르다 [ 을르다 ], 어스름 ( 黃昏 )-으스름( 달빛이희미한상태 ) < ㅜ-ㅣ > ㅜ : 거추장스럽다, 두루몽수리 ( 명사 )-두루몽술하다( 형용사 )-두루몽술히( 부사 ), 미숫가루, 상추, 고수레ㅣ : 양치질, 비비다 ( 부비다 ), 비비대다 ( 부벼대다 ), 얼핏 ( 얼풋 ) ㅜ / ㅣ : 걸쭉하다-걸찍하다, 길쭉하다 ( 조금길다 )-걸찍하다( 꽤길다 ), 추키다-치키다, 들추다-들치다 < ㅡ-ㅣ > ㅡ : 가르마, 괜스레 ( 괜시리 ), 매스껍다, 거슴츠레 = 게슴츠레, 들르셔서 ( 들리셔서 ), 가르치다, 으스대다, 으슬으슬, 흘끗 ( 흘낏. Cf.= 힐끗 ), 추스르다 ( 추슬러 ), 스라소니 ( 시라소니 ) ㅣ : 가지런하다, 트림, 가시랭이, 끼적거리다, 나지막하다, 느지막하다, 이지러지다, 구슬리다 ( 구스르다, 구슬르다 ), 가리키다, 힐끗, 금실 (- 琴瑟 ), 버짐ㅡ / ㅣ : 꺼림하다 = 께름하다, 꺼림칙하다 = 께름칙하다, 푸시시 / 부스스, 거스르다 ( 대세를 ~) 거슬리다 ( 눈에 ~) 그밖에 [ 최선-체선 ], [ 확실히-학실이 ] 처럼이중모음을단모음으로발음하는경우도고쳐야한다. 1.3. 連接의오용연접의오용은말의맺거나이음을잘못하는현상으로연예오락프로에서숨넘어가는듯빠른속도로말을하는데서흔히나타난다. 특히요즘의랩송이라는노래의가사는연접현상을파괴하는그자체의묘미가흥행하는예다. 이처럼정상발음파괴를추구하는세태속에방송언어의순수성을지키는일은방송인들의부단한훈련과의지가없이는불가능하다. 1.4. 장음과단음의오용국어의장단현상은혼란에도불구하고국어에서쉽게사라지기는어렵다. 동음이의어의경우는다음과같이장단현상이아직변별적으로쓰여초분절음운으로기능하기때문이다. 또한증세때부터上去無別 ( 동국정운서문 ) 이라하여한자음에서도상성과거성이혼동을보였듯이장단의혼란이어제오늘의일이아니지만동음이의어변별차원에서는다음예들처럼장단의변별이지속되고있고앞으로도중요한장치로남을것이므로동음이의어변별차원만보더라도장단음을바르게하려는노력은필요하다. 5
(1) 1음절어는고유어끼리나고유어와한자어나한자어끼리의변별을위해장단이필수적이 다. 눈 : ( 雪 ) / 눈 ( 眼 ) 밤 : ( 栗 ) / 밤 ( 夜 ) 말 : ( 言 ) / 말 ( 馬, 斗 ) 감 ( 枾 ): / 감 ( 去 ) 돌 ( 石 ): / 돌 ( 生日 ) 損 : / 孫 : / 손 ( 客, 手 ) 窟 : / 굴 鄭 : / 丁, 程 任 : / 林 趙 : / 曺 (2) 2음절어이상은고유어용언이나한자어명사에많다. 특히활용시동음이의어가곳곳에 서발생한다. 갈 : 다 ( 耕 ) / 갈다 ( 替 ) 걷 : 다 ( 步 ) / 걷다 ( 收 ) 굽다 ( 炙 ) / 굽다 ( 曲 ) 낫 : 다 ( 癒 ) / 낮다 ( 低 ) 안 : 다 ( 擁 ) / 앉다 ( 坐 ) 始 : 祖 / 時調 腎 : 臟 / 身長 感 : 想 / 鑑賞 嶺 : 東 / 永同 慶 : 姬, 敬 : 姬 / 京姬, 庚姬 이런점은사잇소리의혼동도마찬가지라부분적으로사잇소리의혼동이있지만다음과 같이동음이의어의변별에유효하므로계속유지될것이다. [ 고까 ] 高價 [ 고가 ] 高架古 : 家 [ 단까 ] 單價 [ 단가 ] 團歌短 : 歌 [ 시까 ] 時 : 價 [ 시가 ] 媤家市 : 街詩歌 [ 정까 ] 定 : 價正價 [ 정가 ] 鄭 : 哥丁哥 앞으로속도제일주의시대인현대에는장단음현상이더욱급속도로파괴될것으로전망 되거니와최대정보를빨리전달하려는방송도장단음을무시하는경향이심화될것이다. 특히방송의뉴스나사회자들은시간의압박을받기에대체로속도가빠르므로장단음현상 은더욱파괴되어불규칙화할수밖에없다. 그러나적어도동음이의어변별차원에서라도 이들에대한발음교육이유지될충분한이유는있다고본다. 1.5. 외래어발음의오용외래어표기와발음에대한것도문제가많으나다음과같은것에유의해야한다. (1) 경음, 장모음표기금지. 7받침만허용 : 외래어표기에경음표기를금하고 ( 단, 껌, 빵, 빨치산 등일부어휘는예외. 또한중국어는舌齒聲을ㅆ, ㅉ으로적기를허용 ) 받침도 7종성만허용하며장모음표기도금하고있다. (2) 져, 쟈, 쥬, 죠 처럼ㅈ뒤에중모음표기를금지하였다.( 비젼 > 비전, 쥬스 > 주스, 스케쥴 > 스케줄, 크리스쳔 > 크리스천 ) (3) 음이어말에오면 플래시, 새시, 브러시 처럼 시 로적지만 음이자음앞에오면 아인슈타인, 슈바이처, 슈트라우스 처럼 슈 로적는다. (4) 규정표기와관용표기 ( 현실발음표기 ) 의괴리용례가많지만일단통일시킨후에는철저하게숙지해야한다. 다음각항의 표왼쪽은규정표기이고, -표오른쪽은잘못된관용표기이다. 6
가스-까스, 가운-까운, 갱-깽, 배지-뺏지, 백-빽, 버스-뻐스, 카페-까페, 콩트-꽁트, 리사이틀-리싸이틀, 서비스-써비스, 로봇-로보트, 로켓-로케트, 호르몬-홀몬, 액세서리- 악세서리, 새시-샷시, 터부-타부, 메시지-메세지, 초콜릿-초콜렛, 캐비닛-케비넷, 깁스-기부스, 레인지-렌지, 뷔페-부페, 데뷔-데뷰, 오프사이드-옵사이드, 알코홀-알코올 (5) 버스, 가스, 갱, 배지, 서비스, 세일 등의현실음은경음이많지만일단평음대로하는것을원칙으로해야할것이다. (6) 단위읽기도정확히익혀야한다. 가령 % 는 프로 가아니라 퍼센트 로읽는다. m2은평방미터, m3은입방미터로읽으며제곱미터나세제곱미터로읽지않는다.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