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07, Vol. 8, No. 1, 285-297 아동의자아분화가불안과또래관계에미치는영향 심혜숙 정경연 부산대학교 부암초등학교 본연구는아동의부적응증상에영향을주는변인으로자아분화와만성불안을강조해온 Bowen의이론에기반을두고아동의자아분화가불안과또래관계에미치는영향을알아보고자하였다. 연구대상은 P시의 6개초등학교 5, 6학년남학생 264명, 여학생 272명총536명이었다. 결과는다음과같다. 첫째, 아동의성별에따른자아분화는유의미한차이가있었으며, 학년에따른자아분화는유의미한차이가없었다. 둘째, 아동의자아분화는특성불안, 상태불안과높은부적인상관이있었으며, 또래친밀감과또래개별화와도유의미한상관이있었다. 셋째, 자아분화가특성불안에미치는영향은자아분화합계가전체변량중 40% 로가장높게나타났고, 그다음으로자아분화의하위요인인타인과융합, 나-위치가부가적이었다. 또한자아분화가상태불안에미치는영향은자아분화합계가전체변량중 16% 이고, 자아분화의하위요인인타인과융합은 3% 의설명력을갖는것으로나타났다. 넷째, 자아분화가또래친밀감을설명하는변량은전체변량의 17% 였으며, 이중자아분화의하위요인인정서적단절이 10%, 타인과의융합이 4%, 나-위치가 3% 의설명력을갖는것으로나타났다. 또한자아분화가또래융합개별화를설명하는변량은전체변량의 11% 였으며, 이중자아분화합계가 10%, 자아분화의하위요인인나-위치는 1% 의설명력을갖는것으로나타났다. 따라서아동의자아분화는불안에미치는영향이크며또래관계에도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 주요어 : 자아분화, 불안, 또래관계 교신저자 (Corresponding Author): 심혜숙 / 부산대학교교육학과 / 부산시금정구장전 1 동산 30 번지 Tel: (051) 510-2626 / E-mail: sim0585@hanmail.net - 285 -
초등학교고학년인 5, 6학년은아동기에서청소년기로이행되는과도기이다. 현상운 (2004) 은신체적변화가일어나는초등학교 5학년을사춘기초기로보고하였으며이때에아동들은자신의신체적생리적변화에따른불안이고조되어심리적인불안정을겪게되며, 이차성징과함께나타나는급격한신체변화가비행, 불안, 우울에영향을준다고하였다 ( 서정석외, 1999). 또한서울시소아청소년정신보건센터의 2005 소아청소년정신건강역학조사에따르면, 서울시내 19개초 중 고교 2664명중불안장애와기분장애가각각 25.1%, 4% 를차지했으며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적대적반항장애, 품행장애를포함한행동장애가 684명으로전체의 25.7% 를차지하는것으로나타나소아청소년의불안장애의심각성을보고하였다 (PD수첩, 2006. 4. 8; 동아일보, 2006. 4. 12.). 가족체계이론가인 Bown은아동의심리적적응과신체적, 정서적혹은사회적증상에영향을주는요인으로자아분화와만성불안을강조해왔다 (Bowen, 1978). 아동의정서적부적응중하나인불안은인간실존의기본적인조건으로아동의정신이나행동, 신체에많은영향을주는요인이다. 인간은생애초기부모와의관계에서어떤경험을하느냐에따라불안증상이유발될수있는데, 국내의선행연구들은아동기불안의주요원인중의하나로부모와의관계를보고하고있다 ( 구희정, 2004; 박덕숙, 2002; 박영미, 1996). 이것은아동의불안은가족정서체계의영향을받으며, 가족체계속에서의상호작용을통해부모의불안이아동에게전이되며나아가아동의자아분화에도영향을미치게된다는 Bowen의가설을증명해준다고할수있다. 자아분화에영향을미치는것은개인의만성불안이다. 만성불안은적응에어려움을가지고오는 데, 불안수준이높아질수록사람들은서로에대한인내가작아지며상대를있는그대로받아들이기어려워한다 (Bowen & Kerr, 1988/20005). 평소에심사숙고하여행동하던사람도긴장된관계속에들어가면평안을잃고감정에따라반사행동을하게되는것을그예로들수있다 (Papero, 1990) 자아분화가낮은사람의만성불안은높다. 따라서, 가족정서체계의기능은약화되고, 가족구성원중에서분화수준이낮은자녀는체계내에서쉽게정서적으로반응하게되고, 불안을표출하게된다. 따라서가족구성원중에한사람에서시작된불안은모든가족에게전염되어융합이나미분화를통한역기능적인가족체계를형성하게된다. Kear(1978) 는 Bowen의정의를인용하여자아분화는아동이어머니와의융합에서서서히벗어나자기자신의정서적자주성을향해나가는장기적과정이라고하였다. 즉자아분화란개인이사고와정서를분리시킬수있는능력과함께자기가태어난가정으로부터개별화된정도를말한다. Bowen(1976) 에의하면유아들은부모또는주변의중요한사람들과의상호작용을통해자아를형성해간다. 자아의기본구조는어린시절에완성되며안정된자아가형성되면아동은어머니와정서적융합에서서서히벗어나자신의정서적자주성인자아분화를향해나아가게된다. 이때부모를비롯한가족의정서체계는아이가자기를분화시키는능력에영향을미치게되며아이의분화수준은태어나서사춘기가되어안정될때비로소잘형성된다고하였다 (Kerr & Bowen, 1988/2005). 따라서사춘기가시작되는시기에부모와가족의돌봄으로가족체계의안정성을강화한다면아이의자아분화를증진시킬수있다고할수있다. 자아분화는정신내적차원과대인관계적차원의두가지차원에서논의될수있다 (Bowen, 1978). - 286 -
심혜숙 정경연 / 아동의자아분화가불안과또래관계에미치는영향 첫째, 개인의정신내적측면에서분화란, 개인의지적기능이정서적기능에서얼마나분화되어있는가의정도를뜻한다지적기능이정서적기능으로부터분화되지못한사람은자기자신과외부세계를지각하는데객관성이결여되고주관적인감정과객관적인지적과정을구별하지못하고본능적충동에따라반응한다. 지적기능이정서적기능에서분화가잘된사람은자신과타인그리고외부세계를객관적으로정확하게지각하며정서적융합을이루지않고, 자주적독립적으로행동하며스트레스상황에도효율적으로대처한다 (Bowen, 1976). 둘째, 대인관계측면에서자아분화가되지못한사람은眞我 (solid self) 즉자기자신의확고한신념으로구성된자주적, 독립적, 융통성있고일관된자아가발달되지못하고, 假我 (pseudo self) 즉, 타인의정서적압력에따라변하는자아가발달된다. 이러한사람은자주적독립적행동을못하고타인에게쉽게동조하고타인의인정과사랑에급급하게된다. 반대로자아분화가이루어진사람은타인과외부세계를객관적으로정확하게지각하며, 타인과정서적융합을이루지않고목표지향적이고독립적인삶을산다 (Bowen, 1982). 따라서개인의부적응증상과대인관계에서문제는자아가분화되지못한데서발생하는것으로간주할수있다. 지금까지자아분화와심리적부적응과관련된선행연구들을살펴보면정미란 (1993; 김보현, 1999) 은중 고등학생을대상으로한연구에서자아분화수준이높을수록정신건강수준이높고, 자아분화수준이낮을수록적대감이심하고분노, 공격성, 격분, 울분등과같은부정적정서를드러낸다고하였다. 권미영 (1993) 과문희선 (1995) 은자아분화수준이낮을수록청소년의비행, 부적응현상이많았으며, 대학생을대상으로한이천숙 (1995) 의연구에서도자아분화가높은집단에서심리적안녕이높았으며, 자아분화가낮은집단에서는심리적역기능이발견되었다. 또한대학생들의정신건강에는가족체계유형보다자아분화수준이더결정적인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 이원옥 (2003) 은자아분화가높을수록우울수준이낮았으며, 자아분화가낮을수록우울수준이높은것으로보고하였다. 또한자아분화와대인관계와의관련성을보고한송화숙 (1996) 의연구에서자아분화수준은상호의존과유의미한부적상관이있으며자아분화가낮은사람은대인관계에서솔직하게표현하지못하고타인에게지나친배려를보인다고하였다. 또한, 자아분화는결혼적응과부부관계에도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 ( 고현선, 1995). Bowen 에의하면자아분화수준이낮을수록감정적인세계에살고, 외부반응에민감하고의미있는지속적인관계능력이결핍되어있기에형제관계및가족, 또래관계와같은사회적관계에서올바르게기능하지못한다고한다 ( 조은경, 2001). Bowen 이론연구가인 Williamson 과 Bray(1988) 는가족내에서부모와형성한세대간친밀감과개별화는또래관계, 배우자와의관계, 중요타인과의관계로확대된다고하였다. 이상의결과들을살펴볼때자아분화는개인의심리적건강뿐아니라대인관계에중요한영향을미친다는것을알수있다. 본연구에서 Bowen 이론에기초를둔아동의자아분화에주목한것은자아분화가치료의목표이면서도성장의목표이기때문이다. 가족구성원중한사람의자아분화향상을통해가족체계의만성불안수준을줄이고가족전체의분화수준을향상시킬수있다는것이다 (Bowen & Kerr, 1988/ 2005). 김정택과심혜숙 (1993) 은 Bowen의이론에따라개인의지적기능인사고의변화를통해자아분 - 287 -
화수준을높일수있다고하였으며, 또개인이자신안에서불안이미치는영향력을감지하고정서적반동반응에대한각성을넓히는것을통해자아분화수준을높일수있다고하였다. 가족체계의불안이고조될때가장먼저반응하는사람은분화가낮은아동이며, 자아분화의형성과정에있는아동은가족체계속에서상처받기쉬운대상이다. 따라서분화가낮은아동이잘기능할수있도록가족구성원전체가얼마나그아동을정서적으로잘지원해주느냐는중요한문제이며 ( 김정택 & 심혜숙, 1993), Kerr와 Bowen (1988/2005) 은아동의적응에가족의기능을강조하였다. Bowen 의가설은부모의관심과배려가필요하고자아분화가형성되고있는초등학생들의심리적안정을위해중요한개념이다. 하지만현대의지식 정보화사회는늘어나는맞벌이와컴퓨터사용으로아동과부모를비롯한가족구성원전체의상호작용시간부족을만들고있다. Bowen 의관점에서이러한사회현상의영향을받을가족정서체계의역기능에우리는주목해야할것이다. 학원중독이라는말이생겨날정도로과다한학원수강에시달리는아동들은학습에대한심리적부담감이불안으로작용해평소에도초조해하며복통과두통을호소하는경우가많다. 지쳐있는아동들을작은일에도감정적으로반응하며충동적인경향을나타낸다. 이러한현상은 2006년도보건복지부의초등학생정서행동장애조사결과와도부분적으로일치한다 ( 연합뉴스, 2006. 8.3.). 특히일찌감치학원으로내몰린아동들중에는고학년이되면학습에대한반복된실패와무력감으로위축되고우울한모습을나타내는아동과공부만잘하면된다는생각으로경쟁적이고건방지며공격적인모습을보이는아동으로학교현장에서아동문제행동은양극화되어가고있다. 이러한현상은사춘기초기반항까 지겹쳐고학년생활지도의어려움을가중시키고있으며이로인해 6학년담임기피현상마저낳고있는실정이다. 아동문제행동의양태는제각기다르지만, 초등학생들은학습에대한부담감과학원과학교를오가는여유없는통제된생활로인해자율성이억제됨으로써오는불안의고조가학년이올라갈수록증가하고있다. 따라서청소년기에접어들아동들의문제행동을예방하는차원에서도아동의자아분화수준을향상시키고불안을감소하는다양한방법들에대한연구가요구된다. 하지만선행연구들은청소년이나성인을대상으로한연구가많으며초등학생을대상으로자아분화와심리적부적응및사회적관계를연구한것은없다. 박수영 (2005) 이초등학생의자아분화와부자유친성정및대인관계성향간의관계를밝힌연구가있지만우리문화의전통적인부모자녀관계인부자유친성정에초점이맞추어진연구이다. 따라서자아분화의관점에서아동의심리적사회적부적응에대한연구가필요하다고볼수있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초등학생 5, 6학년을대상으로아동의자아분화에따른불안과또래관계에미치는영향을알아보고자한다. 본연구의결과를통해초등학교 5, 6학년아동의자아분화수준의경향을알아보고, 아동이속한가족체계의기능을파악하여생활지도와상담의자료로활용할수있으며, 초등학생을자녀로둔부모의교육프로그램을구성하는기초자료를제공하는데기여하고자하며, Bowen 의가설을검증하고자한다. 상술한연구의필요성과목적을토대로하여본연구에서는다음과같은연구문제를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아동의성별과학년에따른자아 - 288 -
심혜숙 정경연 / 아동의자아분화가불안과또래관계에미치는영향 분화는어떠한가? 연구문제 2. 아동의자아분화와불안및또래관계는어떤관계가있는가? 연구문제 3. 아동의자아분화가불안에미치는영향은어떠한가? 연구문제 4. 아동의자아분화가또래관계에미치는영향은어떠한가? 방법대상자및절차본연구에참여한초등학생은부산에위치한초등학교 6곳의 5, 6학년아동 600명이며, 사회 경제적인요인을고려하여대상학교는부산광역시교육청에서지정한학교급지를참고하여 A, B, C 급지를골고루선정하였다. 설문응답자는남학생이 264명, 여학생이 272명총536명이며이중 5학년 253명, 6학년 283명이었다. 본연구조사에사용할설문지는 2개학년각한학급의아동들 ( 학급당 30명내외 ) 을대상으로예비조사를실시하였다. 1차예비조사결과를근거로아동의수준에맞도록설문문항을수정하였으며 2차예비조사를실시하여문항의신뢰도를높이도록하였다. 연구조사를위하여각담임교사들에게연구의취지를설명한후수락을얻어검사실시와관련된교육을연구자가직접설명하였으며검사는학급담임교사들의관리하에학급에서이루어졌다. 전체 600개의설문지를배부하여 559개의설문을수거하였으며그중불성실한응답을보인 23 개의설문을제외한 536개의설문이자료분석에활용되었다. 측정도구아동의분화아동의자아분화는 Skowron과 Friedlander가 1998 년에개발하여 2003년에수정보완한 DSI (The Differentiation of Self Inventory: 이하 DSI) 를번안하여예비검사를실시한후문항을초등학생에게맞게수정보완하여사용하였다. 척도는 전혀그렇지않다 (1) 에서 매우그렇다 (6) 까지의 Likert식의 6점척도로 46개의문항으로구성된자기보고형질문지이며, 정서적반응성 (Emotional Reactivity), 나-위치 (I-Postion), 정서적단절 (Emotional Cut-off), 타인과의융합 (Fusion with Other) 의 4개의하위척도로구성되어있다. 정서적반응과정서적단절, 타인과의융합의수준이낮으면자기분화수준이높음을의미하며, 나-위치의수준이높으면자기분화수준이높음을의미한다. 3개하위척도문항을역채점하여모든하위척도의점수가높으면자아분화가높은것으로하였다. 25세이상의성인을대상으로한 DSI의전체 Cronbach's α.92이며하위척도의 Cronbach's α 는정서적반응성, 나- 위치, 정서적단절, 타인과의융합각각.89,.81,.84,.86으로보고되었다 (Skowron, & Schmit, 2003). 본연구에서자아분화전체 Cronbach α.77, 이며정서적반응성. 80, 나-위치.65, 정서적단절.62, 타인과의융합.61로나타났다. 정서적반응성 (Emotional Reactivity). 한개인이환경의자극을받으면, 정서적으로반응하는경향의정도와반응을다르게선택할수있는능력의정도를나타낸다. 나-위치 (I-Postion). 자신에대한생각이명확하게정립되어있는가하는정도와타인의압력에대하여흔들림이없이자신의신념을견지할수 - 289 -
있는능력을반영한다. 정서적단절 (Emotional Cut-off). 친밀한관계에서자신의정체성을상실할지모른다는두려움과이러한두려움에대하여방어하려는행동들, 인간관계에서거리를두려고하는행동, 자신의감정들에대한부인등을반영한다. 타인과의융합 (Fusion with Other). 모든친밀한관계에서분화의대인관계적측면을반영하는것으로의미있는타인과의정서적관계에있어서개입된정도, 부모를동일시하는정도즉부모의가치나신념또는기대를받아들이는것등을반영한다. 불안 Spielberger(1973) 에의해개발된도구로조수철과최진숙 (1989) 이한국어로번안하여만든소아용상태 특성불안척도를사용하였다. 불안검사도구는특정한시간에일정한강도로일어나는불안상태를측정하는상태불안 (State anxiety) 과비교적안정된불안경향의개인차를측정하는특성불안 (tratit anxiety) 을측정하는도구이다. 척도는 3 점 Likert 척도로되어있으며각각 20개의문항으로점수가높을수록상태불안, 특성불안의정도가심한것으로평가된다. 상태불안과특성불안은박경린 (2004) 의연구에서상태불안의 Cronbach's α의값이.86, 특성불안의 Cronbach's.82로나타났고본연구에서는상태불안의 Cronbach's α의값이.90, 특성불안 Cronbach's α의값이.90으로나타났다. 또래관계아동의또래관계는 PAFS(Personal Authority in the Family System Questionnaire) 의또래친밀감과또래융합- 개별화의하위척도를번안하여예비검사를실시한후사용하였다. PAFS는 Bray와 Harvey(1992) 가 Bowen 이론인세대간가족관계의전수를입증하기위해개발된도구로 3개의버전이있다. PAFS-A(Williams, Bray & Malon, 1984a, 1984b) 는자녀를둔성인에게, PAFS-B 는자녀가없는성인을대상으로하며주로세대간가족관계를묻는문항으로구성되어있다. PAFS-C 는대학생과청소년을위해개발된것으로세대간가족관계를묻고또한또래관계와관련된문항이추가되었다 (Bray & Harvey, 1992) PAFS-C는전체 84개문항 7개척도로구성되어있으며, 5점 Likert 형식의자기보고형질문지이다. 본연구에서는또래관계를묻는또래친밀감 11개문항과또래융합 -개별화 8개문항을사용하였다. 대학 1,2학년을대상으로한 Bray와 Harvey (1992) 의연구에서검사재검사신뢰도는또래친밀감.65, 또래융합- 개별화.58로나타났다. 본연구에서신뢰도를위한또래친밀감의 Cronbach's α는.86이고, 또래융합 -개별화의 Cronbach's α는.75이다. 또래친밀감. 또래친밀감은친밀한두사람관계에서만족정도와친밀함, 신뢰, 그리고자기노출로평가하고자신에대한분명한경계와함께또래와자발적으로가깝게지내는정도를나타낸다. 또래융합- 개별화. 또래융합-개별화는자신에게의미있는또래친구와의관계에서개별화되거나융합되는정도를측정하는것이다. 또래개별화는관계에얽메이지않고자율적으로자기결정을할수있는관계를가지는능력으로친밀함에의해통제되거나손상되지않으며책임감을 - 290 -
심혜숙 정경연 / 아동의자아분화가불안과또래관계에미치는영향 가진다. 하지만또래융합은개별화의상대적위치에있는것으로책임감이부족하며, 정서적반응을특징으로나타낸다. 자료분석본연구의자료는통계프로그램을이용하여다음과같은방법으로분석하였다. 연구문제 1은아동의성별, 학년에따른자아분화를비교하기위해 t분석을실시하였다. 연구문제 2는아동의자아분화가불안과또래관계에미치는영향을알아보기위해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하였다. 연구문제 3은아동의자아분화가불안에미치는영향을알아보기위해회귀분석을하였다. 연구문제 4는아동의자아분화가또래관계에미치는영향을알아보기위해회귀분석을하였다. 표 1. 성별에따른자아분화 하위요인성별 N 평균표준편차 t 나 - 위치 표 2. 학년에따른자아분화 남 264 3.38 0.83 여 272 3.31 0.73 1.11 정서적반응성 여 272 3.83 0.96 4.83 *** 남 264 4.22 0.91 정서적단절남 264 4.93 0.55 0.41 여 272 4.91 0.59 타인과융합 여 272 4.38 0.66 2.36 * 남 264 4.51 0.58 전체 * p<.05, ** p<.01, *** p<.001 남 264 4.31 0.42 여 272 4.15 0.49 3.99 *** 하위요인학년 N 평균표준편차 t 결과 나 - 위치 5 학년 253 3.28 0.81 6 학년 283 3.40 0.75-1.71 아동의성별과학년에따른자아분화비교표 1에서남학생과여학생간의자아분화에유의미차이가있었다 (t=3.99, p<.001). 즉남학생의자아분화가여학생의자아분화보다높은것으로나타났다. 이는자아분화의하위요인이정서적반응성 (t=4.83, p<.001) 과타인과융합 (t=2.36, p<.05) 에서나타났고다른하위요인에서는유의미한차이가없었다. 표 2에서자아분화의하위요인인정서적반응성에서유의미한차이가있었지만 (t=2.24, p<.05), 학년에따른자아분화합계는유의미한차이가없는것으로나타났다. 자아분화와불안및또래관계의관계각변인의회귀분석에적합한관련성이있는지 정서적반응성 6학년 283 3.94 0.96 2.24 * 5학년 253 4.12 0.94 정서적단절 6학년 283 4.88 0.59 1.60 5학년 253 4.96 0.55 타인과융합 5학년 253 4.48 0.60 1.16 6학년 283 4.42 0.64 전체 * p<.05, ** p<.01, *** p<.001 5 학년 253 4.26 0.44 6 학년 283 4.20 0.48 1.47 알아보기위해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산출하였으며그결과는표 3과같다. 표 3의결과에의하면, 자아분화합계와특성불안이부적인유의미한상관이있었다 (r=-.63, p< - 291 -
표 3. 자아분화와불안및또래관계의상관분석결과 1 2 3 4 5 6 7 8 9 1. 나- 위치 - 2. 정서적반응성 -.22 *** - 3. 정서적단절 -.16 ***.59 *** - 4. 타인과융합 -.08.50 ***.41 *** - 5. 자아분화합계.17 ***.82 ***.73 ***.73 *** - 6. 특성불안 -.06 -.58 *** -.52 *** -.38 *** -.63 *** - 7. 상태불안 -.11 * -.34 *** -.35 *** -.18 *** -.40 ***.59 *** - 8. 또래친밀감.11 **.11 **.32 *** -.06.18 *** -.24 *** -.41 *** - 9. 또래융합개별화.15 ***.21 ***.23 ***.23 ***.32 *** -.27 *** -.15 **.10 * - * p<.05, ** p<.01, *** p<.001.001). 즉자아불안합계가높을수록특성불안이낮아진다. 자아분화합계와상태불안역시부적인유의미한상관이있었으며 (r=-40, p<.001), 상태불안역시자아분화가높을수록낮아진다. 또한자아분화와또래친밀감도유의미한상관이있었다 (r=.18, p<.001), 즉자아분화가높을수록또래친밀감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또래융합 -개별화역시자아분화와유의미한상관이있는것으로나타나 (r=.32, p<.001), 자아분화가높을수록또래관계가개별화되고자아분화가낮을수록또래관계가융합되는것으로나타났다. 불안과또래관계는부적인유의미한상관이있었다특성불안과또래친밀감은 r=-.24, p<.001, 또래융합개별화 r=-.27, p<.001로나타나특성불안이높을수록또래친밀감은낮고또래융합되는것으로나타났다. 상태불안과또래친밀감은 r=-27, p<.001, 또래융합개별화 r=-.15, p<.001로나타나상태불안이높을수록또래친밀감은낮고또래융합되는것으로나타났다. 자아분화가불안에미치는영향특성불안과상태불안을각각종속변인으로하 표 4. 불안에대한자아분화의중다회귀분석결과 불안 예언변인 β R 2 수정된 R 2 R 2 변화량 F 변화량 자아분화합계 -0.82 0.40 0.40 0.40 356.72 *** 특성불안 타인과융합 0.23 0.42 0.42 0.02 14.84 *** 나-위치 0.10 0.43 0.42 0.01 7.82 ** 상태불안 자아분화합계 -0.57 0.16 0.15 0.16 98.69 *** 타인과융합 0.24 0.18 0.18 0.03 17.00 *** * p<.05, ** p<.01, *** p<.001-292 -
심혜숙 정경연 / 아동의자아분화가불안과또래관계에미치는영향 고자아분화의하위요인 4개와자아분화합계를독립변인으로하여 step-wise방식으로중다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그결과는표 4와같다. 중다회귀분석결과, 자아분화하위요인과자아분화합계에서특성불안을유의미하게설명하는변인은자아분화합계, 타인과융합, 나-위치순으로나타났으며, 이변인들이특성불안을설명하는변량은전체변량의 43% 이다. 자아분화합계가특성불안을설명하는변량이전체변량중 40% 로가장높게나타났다. 그다음으로타인과융합이 2% 를부가적으로설명하고, 또한나-위치가 1% 를부가적으로설명하였다. 정서적반응성과정서적단절은특성불안을설명하는데있어서통계적으로유의미하지않았다. 상태불안를유의미하게설명하는변인은자아분화합계, 타인과융합으로나타났으며, 이변인들이상태불안을설명하는전체변량의 19% 이다. 자아분화합계가상태불안을설명하는변량은전체변량중 16% 이고, 타인과융합은 3% 로부가적으로설명하였다. 정서적반응성과정서적단절, 나-위치는상태불안을설명하는데있어서통계적으로유의미하지않았다. 자아분화가또래관계에미치는영향또래친밀감과또래융합-개별화를각각종속변인 으로하고자아분화의하위요인 4개와자아분화합계를독립변인으로하여 step-wise 방식으로중다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그결과는표 5와같다. 중다회귀분석결과, 자아분화하위요인과자아분화합계에서또래친밀감을유의미하게설명하는변인은정서적단절, 타인과융합, 나- 위치순으로나타났으며, 이변인들이또래친밀감을설명하는변량은전체변량의 17% 이다. 이중정서적단절이 10%, 타인과의융합이 4%, 나-위치가 3% 의설명력을갖는것으로나타났다. 정서적반응성은또래친밀감을설명하는데있어서통계적으로유의미하지않았다. 또래융합-개별화를유의미하게설명하는변인은자아분화합계와나-위치로나타났으며, 이변인들이또래융합-개별화를설명하는변량을전체변량의 11% 이다. 이중자아분화합계가 10%, 나-위치는 1% 의설명력을갖는것으로나타났다. 논의및결론본연구는초등학교 5,6학년아동의성별과학년에따른자아분화의차이와초등학생의자아분화가불안과또래관계에미치는영향을알아보고자하였다. 본연구에서얻어진연구결과를중심 표 5. 또래관계에대한자아분화의중다회귀분석결과 또래관계예언변인 β R 2 수정된 R 2 R 2 변화량 F 변화량 또래친밀감또래융합개별화 정서적단절 0.43 0.10 0.10 0.10 59.03 *** 타인과융합 -0.22 0.14 0.14 0.04 25.67 *** 나-위치 0.16 0.17 0.16 0.03 16.42 *** 자아분화합계 0.31 0.10 0.10 0.10 61.94 *** 나-위치 0.10 0.11 0.11 0.01 6.11 * * p<.05, ** p<.01, *** p<.001-293 -
으로논의를하면다음과같다. 첫째, 아동의자아분화를성별, 학년별로비교해본결과남학생이여학생에비해자아분화가높은것으로나타났다. 이결과는 Kosek(1998) 의연구결과와도일치하는데이것은본연구의대상인초등학생 5,6학년의경우남학생에비해여학생들이급격한신체변화를거쳐가면서경험하는심리적불안감이남학생보다높기때문에이시기여학생들의분화도에영향을미치고있다고볼수있다. 또한 남자는울어서는안된다 는식의사내다움이나남아로서의독립성을강요하는우리나라의문화적특성이반영되었다고할수있다. 그리고, 자아분화합계는학년별로유의미한차이가없었다. 이것은정미란 (1994) 의연구와일치하며 5학년과 6학년이라는 1년정도의연령차이는이시기에크게영향을미치는요인이아니라고볼수있다. 하지만자아분화의하위요인인정서적반응성에서는 5학년의정서적반응성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r=2.24, p<.05). 이것은 5학년이사춘기를막시작하는시기로심리적불안감이 6학년에비해높다고추측해볼수있다. 둘째, 아동의자아분화와특성불안은상당히높은부적상관이있었으며 (r=-.63, p<.001), 상태불안과도높은부적상관이있었다 (r=-.40, p<.001). 즉, 자아분화가높을수록특성불안과상태불안은낮은것으로나타났다. 이것은자아분화는만성적불안수준인특성불안과관련이높다는 Bowen의가설을증명한다고할수있으며, 권미영 (1993), 정미란 (1994), 제석봉 (1989) 의연구와일치한다. 자아분화의 4개하위요인중 3개의하위요인인정서적반응성 (r=-.58), 정서적단절 (r=-.52), 타인과의융합 (r=-.38) 은특성불안과부적인상관을보였으며, 자아분화의하위요인인정서적반응성 (r= -34), 정서적단절 (r=-.35), 타인과의융합 (r=-.18) 은상태불안과부적인상관이있었다. 즉, 자아분화 가낮으면불안은높아지며정서적반응성과정서적단절이높아져서타인과융합하게된다. 이는자아분화가낮은사람은정서적과정에서지적과정이분화되지못한상태로융합되어있어서, 합리적이고객관적과정보다주관적이고감정적과정에의존하여현실에올바르게적응하지못하며, 갈등이나스트레스상황에놓이면불안이높아지고부적응에빠지게된다는 Bowen(1976) 의이론과일치되는결과라고볼수있다. 또한, 아동의자아분화는또래관계와유의미한상관을보였다. 즉아동의자아분화가높을수록또래친밀감이높고또래개별화가높았다. 이것은자아분화와대인관계성향을연구한박수영 (2005), 윤정연 (2000), 송화숙 (1999) 의연구와일치한다. 또래친밀감은자아분화의세가지하위요인인나- 위치 (r=.11, p<.01), 정서적반응성 (r=.11, p<.01), 정서적단절 (r=.32, p<.001) 과유의미한상관이있었다. 따라서, 자아분화가높은아동은또래관계에서생각과느낌에대한표현이분명하며정서적자발성과객관성을가지고또래와친밀한관계를유지한다고할수있다. 또래융합-개별화는자아분화의네가지하위요인인나-위치 (r=.15, p<.001), 정서적반응성 (r=.21, p<.001), 정서적단절 (r=.23, p<.001), 타인과의융합 (r=.23, p<.001) 과유의미한상관이있었다. 또래융합 -개별화에서는타인과의융합요인과의관련성이나타났는데자아분화가낮은아동은또래관계에서지나치게관여하거나관계를단절하는융합의모습을보인다는것을알수있다. 셋째, 아동의자아분화가특성불안에미치는영향력은 43% 로높은설명력을보여주고있는데비해상태불안에는미치는영향력은 19% 로나타났다. 결과는자아분화가만성불안를예측할수있는변인으로나타났다. 분화가낮은사람은불안에높게반응하며, 개인의불안은연합력을통해가족체계전체의불안수준을높이게된다. 아동 - 294 -
심혜숙 정경연 / 아동의자아분화가불안과또래관계에미치는영향 에게영향을미치는부모의영향력을생각할때그아동이속한가족체계의불안을예측할수있으며이를통해가족내불안의전이에대한 Bowen의가설을일부증명해준다고할수있다. 넷째, 아동의자아분화가또래관계의하위요인인또래친밀감에미치는영향력은 17% 이며, 또래융합-개별화에미치는영향력은 11% 로나타났다. 아동의또래관계에는자아분화외에도다른중요변인들의개입을추정해볼수있으며, 다른변인으로는성격, 가치관, 학업수행능력, 취미, 신체적조건등과같은개인적요인과부모와의관계및부모의양육태도와같은가정적요인등이아동의또래관계에더큰영향을미칠것으로추측할수있다. 위의논의를통해다음과같은결론을내릴수있다. 첫째, 아동의불안과자아분화와또래관계는서로높은상관이있었다. 즉, 불안이낮을수록자아분화수준이높고자아분화수준이높을수록또래관계등건강한아동기생활을한다는것이다. 이것은청소년의학교폭력과왕따, 자살의문제가차츰저연령화되는현실에서관심을가져야할중요한쟁점이라고할수있다. 과다한학원수강과학습및경쟁으로아동에게불안을유발하는현재의교육체제속에서아동의만성불안은점진적높아지며이것은아동의또래관계나가족관계에영향을미치게될것이다. 또한이것은과거에비해초등학교현장에서불안장애를겪는아동의수가늘어가고있는현실을반영한다고볼수있다. 둘째, 불안을경험하는교육현실에장기적으로노출되는아동들은성장과정에서건강한자아분화를형성하는데어려움에봉착할수있다. 그러므로성장기자녀를둔부모에게는아동의불안이만성화되기전에부모자신의불안을다루는것을통해부모의불안이아동의자아분화에미치는영향을통찰할수있는부모교육이필요하며, 학교현장과상담장면에서는 격려와돌봄을바탕으로아동의자아분화를증진시키는프로그램개발이필요하다고할수있다. 참고문헌고현선 (1994). 부부의자아부화가부부적응에미치는영향.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구희정 (2004). 어머니의양육태도와주의력결핍과잉행동성향아동의스트레스, 불안및자아존중감.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권미영 (1993). 청소년의자아분화와부적응증상및문제행동과의관계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김보현 (1999). 고등학생의자아분화및자아존중감과정신건강과의관계. 석사학위논문, 카톨릭대학교. 김정택, 심혜숙 (1993). 자아분화개념을통한 Bowen의정신역동적가족치료와의관계,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 150-157. 동아일보, 2006. 4. 12. 문희선 (1995). 어머니의자아분화수준과자녀양육태도의관계.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박경린 (2004). 중학생의우울및불안과가족기능.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박덕숙 (2002). 부모의학대유형과불안, 공격성및학교적응의관계. 석사학위논문, 동덕여자대학교박수영 (2005). 아동의부자유친성성과자아분화및대인관계성향간의관계.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박영미 (1996). 자녀가지각한어머니의양육태도와정서적부적응행동과의상관.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서연석 (1999). 자아분화수준에따른부부갈등과아 - 295 -
동의문제행동과의관계.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서정석, 조주연, 이영식 (1999). 이차성징발현시기에따른청소년의비행, 불안, 우울성향. 신경정신의학, 38(1), 211-218. 송화숙 (1996). 상호의존과자아분화의관계.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윤정연 (2000). 청소년의자아분화와대인관계성향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연합뉴스, 2006. 8. 3. 이원옥 (2003). 가족체계유형과미혼성인의자아분화, 우울과의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정미란 (1994). 청소년의발달시기에따른자아분화와정신건강과의관계.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제석봉 (1989). 자아분화와역기능적행동과의관계.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조수철, 최진숙 (1989). 한국형소아의상태 특성불안척도의개발. 서울의대정신의학, 14(3), 150-157. 조영경 (1999). 어머니와자녀의자아분화수준및신경증적경향성의관계. 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조은경 (2001). 기혼남녀의자아분화수준과갈등대처행동및결혼적응에관한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현상운 (2003). 사춘기청소년의불안과자아개념에관한연구.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Bowen, M. (1976). Therapy in the practice of Psychortherapy. family therapy, New York: Garden Bowen, M. (1978).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tice, New York: Jason Aronson. (1982).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tice, New York: Aronson. Bray, J. H., & Harvey, D. M. (1992). Intimacy and Individuation in young adult: Development of the young adult version of the personal authority in the family system questionnaire.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Vol. 6, No. 2, 152-163. Kear, J. (1978). Maritial attraction and satisfaction as a function of differentiation of self. Dissertations Abstracts International, 47, 2505. Kerr, M. E., & Bowen, M. (2005) 보웬의가족치료이론 Family Evaluation. ( 남순현, 전영주, 황영훈역 ). 서울 : 학지사 ( 원전은 1988에출판 ). Kosek, R. B. (1998). Self-Differentiation within couples, Psychological Report, 83, 275-278. Papero, D., V. (1990). Bowen family system therapy. Massachusetts: Allyn and Bacon. Skowron, E., A, & Schmitt, T., A. (2003). Assessing interpersonal fusi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new DSI fusion with others subcale.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Vol. 29, No. 2, 209-222. Spielberger, CD. (1973).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Palo Alto. Californi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Williamson, D. S., Bray, J. H. (1988). family development adn change across the generations: An intergenerational perspective. In C. J. falicov(ed.) Family transitions: Continuityand change over the life cycle(pp. 357-384). New York: Guilford Press. 원고접수일 : 2006. 12. 15 수정원고접수일 : 2007. 1. 29 게재결정일 : 2007. 2. 13-296 -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07, Vol. 8, No. 1, 285-297 The Impacts of Children's Self-Differentiation on Anxiety and Peer Relationship Hae-Sook Sim Pusan National University Kyoung-Yeon Joung Bu-Am Elementary School This research is purported to emphasize the need for improving self-differentiation, prevent problem behaviors and other symptoms, and provide basic data for parents' education through understanding the impacts of children's self-differentiation on anxiety and peer relationship.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264 male and 272 female students (total of 536 students), who are in 5th and 6th grade from 6 elementary schools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research ran preliminary tests based on the translated Differentiation of Self Inventory ("DSI" hereinafter) as first developed by Skowron and Firedlander in 1998 and further amended and complemented in 2003 to measure the level of children's self-differentiation, and modified the questions suitable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xiety was measured by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developed by Spielberger(1973) and translated by Soo-Chul Cho and Jinsook Choi (1989). Also, sub-categories of Personal Authority in the Family System Questionnaire ( PAFS ) in peer familarity and peer assimilation-individuation category were used to measure the peer relationships.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d etc.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responses in self-differentiation of children's sex, and the sex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sum of self-differentiation.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differentiation according the children's age. Second, there were high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ren's self-differentiation and trait anxiety and state anxiety,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er familarity and peer individuation. Accordingly, higher level of children's self-differentiation leads to lower anxiety and more familiar and individual relationship with peers. Third, the impact of self-differentiation on trait anxiety were the highest among all variables, marking 40%, followed by assimilation with others and me-location. Also, the impact of self-differentiation on state anxiety accounted for 16% of all variables, while assimilation with others 3%. Forth, as for peer familarity, self-differentiation accounted for 17% of all variables, 10% of which was emotional cutoff, 4% was assimilation with others, and 3% was me-location. In addition, self-differentiation explains 11% of all variables in terms of peer assimilation-individuation, 10% of which was self-differentiation and 1% was me-location. Keywords : self-differentiation, anxiety, peer relationship - 2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