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세기 한국어

Similar documents
기철 : 혜영 : 기철 : 혜영 : ㄴ ㅁ ㅇ ㄴ ㅁ ㅇ ㅇ ㄴ ㅁ ㅇ

1수준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슬라이드 1

제5장 형태소분석

S U M M A C U M L A U D E J U N I O R 중학국어문법연습을소개합니다. 2 문법을벌써공부해야하는가? 국어의문법은변하지않고, 정해져있습니다. 따라서중학교시기에배우는문법개념들이고등학교시기에배우는개념들과이어지고, 이는수능

<Hit The Sheep> 양을 치자! 교육청 문법 고퀄해설!!

한국어의 발달과 성서의 영향

서만설명되는이형태 1 과거시제를나타내는 -았-/-었- 은음운론적조건에따른교체양상을보이는데, 하 - 와결합할때는 -였- 으로바뀌게된다. -았-~-었- -였- 2 명령형어미 (-아라/-어라) 는형태소 하- 와결합할때음운론적조건에따라 -아라 가연결되지않고 -여라 가연결되며,

<Hit The Sheep> - 양을 치자! 교육청 문법 선별 4탄 (고퀄해설)

#1. 문법공부를위한필수! 기본용어 음운체계 1. 모음 : 음절 ( 소리마디 ) 을이룰수있는독립적인소리 하늘 땅 사람 [ 天地人 ] 삼재로기본 3 글자를만들고, 가획하여다른글자를만듦 1 단모음 : 소리내는중에입술모양이나혀의위치가고정되어달라지지않는모음 혀의최고점의위치앞

제 2 장발음의기초개념 - 9 -

슬라이드 1

성채 쌤 의강의노트 - 처용가 ( 고대국어 ) < 처용가 > 핵심노트 1. 갈래 : 8 구체향가 2. 성격 : 주술적, by 체념, 관용 축사 ( 逐邪 ) 의노래 3. 주제 : 아내를범한귀신을쫓아냄, 혹은아내의부정을체념함, 축신 ( 逐神 - 귀신을쫓음 ) 4. 의의 1

Microsoft Word - KSR2012A179.doc

<C7D1B1B9C7D0BFACB1B820C1A63532C1FD28BABBB9AE E687770>

<355F B1B9BEEEC0C720BAAFC3B55FB9AEC1A6C5EBC7D52E687770>

<Hit The Sheep> 양을 치자! 교육청 문법 고퀄해설 7탄

수능에문법더하기 3 다음중이중피동이사용된사례가아닌것은? 1 창문이커튼으로가려졌다. 4 < 보기 > 는외래어표기법의일부이다. 이를바탕으로제시된발음정보를탐구했을때, 그내용으로적절하지않은 2 산너머에구름이보여졌다. 것은? 3 그녀의기억속에서잊혀졌다. 4 그사기꾼이경찰에게잡혀

Ruby 프로그래밍 한글 로마자화

3 < 보기 > 를참고할때, 밑줄친부분의발화성격이다른하나는? 4 < 보기 > 를바탕으로 관형어 에대해탐구한다고할때, 그내용으로적절하지않은것은? 발화는맥락에따라 명령, 요청, 제안, 약속, 경 다른사람들은어디있지? 고, 축하, 위로, 칭찬, 비난 등의실제적인행위를 형제지

70 diklasifikan berdasarkan perubahan letak dan perubahan cara pelafalan kemudian dianalisis penyebabnya. Berikut adalah variasi cara ucap konsonan ya

제 1 부 Part 01: 문법을실전적으로푸는법 2019학년도수능 유형 Ⅰ. 자료의구체적사례를보고적절하거나적절하지않은문법적설명판별하기유형 Ⅱ. 자료의문법적설명을보고적절한사례선택또는분류하기유형 Ⅲ. 지문으로제시된문법내용을바탕으로문제의 < 보기 > 나 < 자료 > 를설명한

[1 강 ] 2017 학년도사관학교 1 차시험문법기출분석 [ 관련개념정리하기 ] - 2 -

도약종합 강의목표 -토익 700점이상의점수를목표로합니다. -토익점수 500점정도의학생들이 6주동안의수업으로 점향상시킵니다. 강의대상다음과같은분들에게가장적합합니다. -현재토익점수 500점에서 600점대이신분들에게가장좋습니다. -정기토익을 2-3번본적이있으신분

<28C3D6C1BE29C7D1B1B9BEEEB9AEB9FDB7D028317E D E687770>

Microsoft PowerPoint - kandroid_for_HI-CNU.ppt

정답과해설 본문 02 부록 25 중등문법

학년 범위 담당 이름 1-2 중간대비 고 1 공통범위 중세국어한글창제의원리 / 세종어제훈민정음 국어과최강미녀 전혜진선생님 1. 국어의뿌리와줄기 < 대표문제 > 국어사의시대구분

ISSN (Online) Commun Sci Disord 2016;21(4): Original Article Consonant Frequency and Phonological

정보 사회와 컴퓨터

피동 ( 被動 (1 피동과능동 - 피동 : 남의행동을입어서당하는동작을나타냄. 도둑이경찰에게잡히었다. - 능동 : 제힘으로행하는동작을나타냄. 경찰이도둑을잡았다. (2 피동문되기 1 파생적피동 (-이-, -히-, -리-, -기- - 타동사어근 + 접사 ( 능동문주어 부사어

zb 8) 자음을 zb 9) zb 10) 다음 zb 11) zb 12) zb 13) zb 14) ( 2013 년 1 학기기말고사대비 4-2. 우리말의음운체계 (01)_ 비상 ( 김 )1 2 혀의높낮이 행복했던나 3 혀의최고점의위치 4 발음할때장애의유무 5 발음할때입술의


자음과모음 1. 자음체계 조음방법 조음위치 입술소리 ( 순음 ) 잇몸소리 ( 치조음 ) 센입천장소리 ( 경구개음 ) 여린입천장소리 ( 연구개음 ) 목청소리 ( 후음 ) 예사소리 파열음 된소리 안울림소리 울림소리 파찰음 마찰음 비음유음 거센소리예사소리된소리거센소리예사소리

- 1 -

완벽한개념정립 _ 행렬의참, 거짓 수학전문가 NAMU 선생 1. 행렬의참, 거짓개념정리 1. 교환법칙과관련한내용, 는항상성립하지만 는항상성립하지는않는다. < 참인명제 > (1),, (2) ( ) 인경우에는 가성립한다.,,, (3) 다음과같은관계식을만족하는두행렬 A,B에

study do not show pauses between adnominal form and modified nouns in either compound nouns or relative clause constructions. Our data suggest that AP

방송통신표준 KCS.KO 제정일 : 2011 년 6 월 27 일 전화기한글문자자판배열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Hangeul) on Telephones)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어의형태소분석 최호철 ( 고려대 ) 1. 언어 언어 ( 言語 ) 는소리와뜻이결합된것이므로음성만있는것이라면그것은언어가아닌 허언 ( 虛言 ) 이나헛소리라할수있고뜻만있는것이라면그것역시언어가아닌묵언 ( 默 言 ) 이나생각또는마음이라할수있을것이다. 1) 소리만있다면? 허언


3. < 학습활동 > 의 ( 가 ) 에들어갈내용으로적절한것은? 3) < 학습활동 > 동사는목적어필요여부에따라타동사와자동사로구분된다. a와 b를보고, 중세국어 열다, 흩다 의타동사, 자동사로서의쓰임과이에대응하는현대국어동사들의쓰임을비교하여그변화를탐구해보자. a [ 중세국어

..액추에이터청정화기기모듈러F압력센서10-M series 미니어처피팅 구조도 바브 튜브삽입이용이한형상또한, 튜브유지가확실 몸체 무전해니켈도금처리 가스켓 가벼운체결토크확실한 Seal 사양 호스니플 튜브 봉투너트 손체결로튜브유지가확실또한, 느슨하게함으로써튜브이탈이용이무전해

공개특허 (19) 대한민국특허청 (KR) (12) 공개특허공보 (A) (51) Int. Cl. 7 G06F 17/22 (21) 출원번호 (22) 출원일자 1999년09월01일 (71) 출원인한국과학기술원윤덕용 (

< > 수출기업업황평가지수추이

* pb61۲õðÀÚÀ̳ʸ

+국듣-해설(001~69p)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B1B9BEEEB9AEB9FDC0C720C0CCC7D8BFCD20BDC7C1A62028C3DFB0A1292E687770>

교육학석사학위논문 프랑스인학습자를위한한국어 종성발음교육연구 2017 년 2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이다연

Vector Differential: 벡터 미분 Yonghee Lee October 17, 벡터미분의 표기 스칼라미분 벡터미분(Vector diffrential) 또는 행렬미분(Matrix differential)은 벡터와 행렬의 미분식에 대 한 표

<C3BBB0A2BEF0BEEEC0E7C8B0C7D0C8B85F30332E535FC0DAC0BDC1F6B0A2B0CBBBE728B1E8C1F8BCF7292E687770>

<3235B0AD20BCF6BFADC0C720B1D8C7D120C2FC20B0C5C1FE20322E687770>

<B5B6C7D0C7D0C0A7C1A620BFB5BEEEBFB5B9AEC7D0B0FA2032B4DCB0E820BFB5BEEEC7D0B0B3B7D020BED5BACEBCD3B9B028694D E687770>

# 문법적 _ 사고 [Final_ 꿀개념 ] 시험장에서도흔들리지않는바르고큰실력

<C7D1B1B9BEEEB1B3C0E72DBBE7C7D2B8B E687770>

2016 년 1 학기국어학개론 형태론 (Morphology): 형태소와교체, 단어의구성요소 1. 형태론의개념과분야 1) 개념 : 단어의구조를연구하는분야 2) 분야 : (1) 단어형성법 ( 조어법 ) (2) 굴절법 ( 屈折法, inflection): 조사나어미가붙어문법적

Q. < 보기 > 는사이시옷표기조건에관한학습활동지의일부이다. 학습한결과를 정리한것으로적절하지않은것은? < 보기 > 1 개-+살구 구성은 1단계를만족시키지못하므로 개살구 라고쓴다. 2 총무+과 구성은 2단계를만족시키지못하므로 총무과 라고쓴다. 3 만두+국 구성은 1, 2

- 2 -

ISSN (Print) ISSN (Online) Commun Sci Disord 2014;19(4): Original Article Cases with S

유의사항 Information marking example 1 3 4

#7단원 1(252~269)교

02...~29.

<4D F736F F F696E74202D2035BBF3C6F2C7FC5FBCF8BCF6B9B0C1FA2E BC8A3C8AF20B8F0B5E55D>

<B4BABFA55FBFDCB1B9BEEEB7CEBCADC0C7C7D1B1B9BEEEB9DFC0BDB1B3C0B0B7D05FBFE4BEE0C6F7C7D42E687770>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1446년의 훈민정음은 문자 디자인의 출발점이었다. 처음부터 한글은 활 자로 태어났다. 타이포그래피(typography)란 활자[type]로 글을 쓰는 행 위다[graphy]. 붓으로 고급하게 글을 쓴다는 것과 활자로 글쓰기는 그 의미가 다르다. 구텐베르크나 세종은 고

국어1권표지

<BEF0BEEEC3BBB0A25FC6EDC1FDBABB28C3D6C1BE5F E687770>

를받으면서나오는소리이다. < 기출문제 > 다음의 에들어갈내용으로적절한것은 년 월수능모평 조음방법 조음위치 입술소리잇몸소리센입천장소리 여린입천 장소리 목청소리 형 예사소리ㅂㄷㄱ 파열음 된소리ㅃㄸㄲ 거센소리ㅍㅌㅋ 파찰음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 ㅈ ㅉ ㅊ 마찰음 예사소리ㅅ

를받으면서나오는소리이다. < 기출문제 > 다음의 에들어갈내용으로적절한것은 년 월수능모평 조음방법 조음위치 입술소리잇몸소리센입천장소리 여린입천 장소리 목청소리 형 예사소리ㅂㄷㄱ 파열음 된소리ㅃㄸㄲ 거센소리ㅍㅌㅋ 파찰음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 ㅈ ㅉ ㅊ 마찰음 예사소리ㅅ

슬라이드 1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_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21 여 ö Ç J ö Ç Ç ö úç úç ú Ç 사랑으로채우 - - 여? J J J J J #ú Ç úç 사랑으로채우 - 여 L? ú ä F ä A ä # _


DBPIA-NURIMEDIA

<BEF0BEEEC3BBB0A23131B1C72031C8A32E687770>

The Korean Alphabet:


국어혁명 박수미쌤 2 겹문장 : 두개이상의홑문장이합쳐져서이루어진문장 주어와서술어의관계가두번이상나타남 예 ) 나는학교에갔고, 동생은도서관에갔다. 예 ) 나는동생이건강하기를바란다. 2. 문장의종류 1 문장의종류 2 확장방식 < 이어진문장 > 뜻 : 홑문장이여러개이어진문장.

Microsoft Word - 05_psw.doc

차례 01주차 _ 어문규정이뭐예요? 3 1. 어문규정이뭐예요? 대어문규정이뭐예요? 5 3. 어문규정, 왜필요해요? 7 4. 언제만들었어요? 10 02주차 _Nguyên 응우옌? 응웬? 외래어인명표기법 외국지명 외래어표기원칙 1

Y Z X Y Z X () () 1. 3

<BFA9BCBABFACB1B8BAB8B0EDBCAD28C6EDC1FD292E687770>

2019 수능특강 문법 변형문제 적용학습 기출로 보기 1 28문항.hwp

형태소란뜻을가진최소의단위이다. 예를들어 먹었다 와 먹겠다 를비교해보면, -었- 을넣으면과거의의미가있고, -겠- 은미래혹은의지의의미를담고있다. 그러므로선어말어미는형태소로취급해야한다. 사랑스럽다, 적막하다, 번쩍거리다 와같이용언의어근중어간과일치하지않는 사랑-, 적막-, 번

제1장 권규호의 공무원 국어 제2장 제3장 제4장 음운론 1 음운과 음성 1. 음운의 개념과 종류 (1) 음성과 음운 ① 음성 : 의사소통을 위해 사람의 발음기관을 통하여 나오는 물리적 말소리 음성이란 사람의 입에서 나오는 소리를 말하는 것이다. 그렇다고 휘파람 소리

<BCF6B4C9BFA120C7CABFE4C7D120B8F0B5E720B9AEB9FD E687770>

슬라이드 1

무배당프로미라이프스마트치아건강보험 1204

DBPIA-NURIMEDIA

2 음절끝소리규칙 1. 음절끝소리규칙 ( 외우기 - 가느다란물방울 ) - 음절의끝소리 ( 받침 ) 가발음될때 ( ㄱ ),( ㄴ ),( ㄷ ),( ㄹ ),( ㅁ ),( ㅂ ),( ㅇ ) 7자음만으로발음되는것. 그이외의받침은모두이 7 자음중하나로바뀌어발음된다. 예 ) 영어

광릉한샘학원 국어사 개념 2 중세국어 1) 음운 자음 된소리계열의등장 파찰음 ㅈ, ㅊ 이구개음이아닌치음으로발음 ㅳ, ㅴ 등과같은어두자음군존재 모음 모음조화가비교적잘지켜짐. 7개의단모음 ( ㅣ, ㅡ, ㅓ, ㅜ, ㆍ, ㅏ, ㅗ ) 과다양한이중모음 ( ㆍㅣ, ㅐ, ㅚ, ㅔ,

<B1E2C5C2B1B9BEEEC7D9BDC9C7CAB1E2B3EBC6AE2835C2F7292E687770>

국어문법개념총정리 체계를알고원리를이해하면암기는저절로...^^

국어영역 모의고사 기출 문법(어휘/어법)문제 모음 레전드스터디 닷컴 2 페이지 5. 다음은 사전 활용하기 학습 활동을 위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이 7. 다음의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7) 해로 옳지 않은 것은?5)

종류 보통명사 고유명사 어떤속성을지닌대상들에두루쓰이는 이름 전기용품, 꼬마, 눈등 특정한하나의개체를다른개체와 구별하기위해쓰이는이름 수남이, 청계천, 세운상가 대명사, 즉선행명사구를다시받을때, 일반적인대명사와다른형태를취하는것을재귀칭이라부른다. 저, 저희, 당신, 자기 하

< D333731C3BBB4C9C0E7C8B B1C734C8A3292D3131BFF936C0CF2E687770>

확장형수업계획서 (Extended Syllabus) 과목명국어의음운체계학기 2018 년 2 학기 구분 ( 학점 ) 이론 (3 학점 ) 과목번호 KOR3002 수업시간월ㆍ수 10:30~11:45 수강대상 2~4 학년생 성명 : 김한별홈페이지 : ( 없음 ) 담당교수 (

Transcription:

16 세기한국어 한국어의역사 2016. 5. 26.

16 세기한국어의성격 16 세기는중세 (14~16 세기 ) 에서근세 (17~19 세기 ) 로넘어가는과도기. 이두시기를가르는경계선에임진왜란이있음. 20 세기초, 중반에는임진왜란이언어변화의주요원인으로지목되었음. 큰전란은인구이동, 방언간접촉을유발하여언어변화의원인이될수있음. 그러나중세어와근세어사이의차이는임진왜란이전에 16 세기동안축적된여러변화들의결과임.

유성마찰음계열의소실 : / ㅿ /[z] ㅸ [β] 은 15세기중엽에소실. 15c 말杜詩諺解에이미 ( 間 )~ 이, ( 每 )~ 의동요가보임. 16세기의초문헌에서는 ㅿ 이대체로유지되나 i, y 앞에서 ㅿ 이소실된예가보임., 어버이, 녀름지이, 아이-( 被奪, < -), 처엄 ; ( 來日 ) 한자음의경우, 15세기말의六祖法寶壇經諺解에 人인, 然연 등 ㅿ 이소실된예가보이며, 16세기초의飜譯小學, 訓蒙字會에오면동요의폭이커짐. i, y 앞이라는환경에서는 ㅿ 의소실이 1510년대에이미거의완성단계. 16세기후반문헌은 ㅿ 이소실되었음을여실히보여줌., -, 한자어표기에서, 등이겨우명맥을이어가기는했으나 이것은문자의보수성에말미암은것. 16세기중엽에이미완전히소실되었다고볼수있음. ㅿ 은대부분의경우에는 ø로소실되었으나 ㄴ, ㅁ 뒤라는특수환경에서는일부 ㅈ 으로변하기도했음. 16 17세기문헌에 손조 (< ), 몸조 (< 보인다. 현대어의 삼월삼짇날 도 ) 가보이며 남진 (< 온것. ) 은 15세기부터

유성마찰음계열의소실 : / ㅇ /[ɦ] 15 세기에는 ㅇ [ɦ] 이하나의자음음소로서존재했음 : 닐거 - 닐어. 그러나분포가매우제약되고기능부담량이적었기때문에비음운화할 ( 음소로서의자격을상실할 ) 가능성을다분히가지고있었음. ㅇ [ɦ] 이이전시기의 ㄱ 이약화된결과이고결국 ø 로가는중간단계라고할때이의소실은숙명적. ㅇ [ɦ] 이 ㅿ 뒤에서는주로 ø 로바뀜. ㅇ [ɦ] 이 ø 로바뀜에따라 15 세기에분철되던단어들이 16 세기에는연철되게됨. ( 剪, 가위 )>, 위 ( 蚯蚓 )>, 이 ( + 이 )> 아. ㄹ, y 뒤에서는유추의작용에의해이전시기의 ㄱ 으로되돌아감. 알오 > 알고, >, >, > 티. 어간내부, 특히특수어간교체어사의경우 [lɦ] 연쇄가 [ll] 로변함. 달아 > 달라

ㆍ 의제 1 단계비음운화 ㆍ 가음운론적단어의제 1 음절에서비음운화 ( 음소자격상실, 다른모음과합류. 주로 / ㅏ / 와합류 ) 하는것은 18 세기 음운론적단어의제 2 음절이하에서비음운화한것은 16 세기. 주로 / ㅡ / 와합류. 15 세기의 ㆍ 가 ㅡ 로변한것이일반적이나, ( 특히주위에원순모음이나 w, 양순음이있을때 ) ㅗ 로변한것도꽤있고 ㅏ 로변한것도소수있음. 飜譯朴通事 : 다으 -< 다 -, 듸 < ( 의존명사 ), 기르마 < 기마, 모든 < 모, 도즉 -< 도 -, - 마른 <- 마, 녀나믄 < 녀나, 션븨 < 션, 다믄 < 다 < 다 飜譯小學 : 가븨야온, 들 -, 반드시, 션븨, 가면, 마, 다슴어미, 남즉 - 訓蒙字會 : 기르마, 여, 가플 ( 鞘 ), 마 ( 府 ) 新增類合 : 여으, 노로, 람 ( 壁 )< 四法語錄 : 사름 ( 人 )

ㆍ 의제 1 단계비음운화 15 세기문헌에서 ㆍ 의동요또는원순성동화를보여주는예 먼딋 ( 胡敎, 월석 2: 69), 나그내 ( 杜詩諺解에서는 전혀없고항상 나그내 임 ), 기 르마 ( 두초 20: 44), 션븨 ( 두초 24: 21), 가그기 ( 구간 76) 노로 ( 獐, 訓民正音解例 ), 밧고로 ( 外, 몽산 64), ( 두초 25: 8), 받조올 ( 두초 23: 50), 아못거소뢰나두막고 ( 구간 61) 원순성동화 - >-오로 : 소노로 ( 手 ),,, 추모로 ( 唾 ), ( 泥 ),, ; 뵈야호로, 보야흐로 - >-도록 : 새도록, 죽도록, 늙도록,, 도의도록, 져므도록 기타ㆍ > ㅗ : 모로게 ( 不知 ), 말솜 ( 辭 ), ( 欺 ) 어미 / 조사 飜譯朴通事 :, 앏픠, 담은, 남글, 노믄, 옥으로, 비단으, 로, 갑슨, 산으로 飜譯小學 :,,,,,, 햐근,, 쟈근, 갓근, 노픈 ;,, 현대제주도방언은제 2 음절에서 ㆍ > ㅡ 의경향이중앙방언보다더철저함. ( 風 )>parɨm, ( 人 )>sarɨm

음절말자음 ㅅ 과 ㄷ 의대립상실 음절말의 ㅅ 과 ㄷ 은 15 세기에는표기에조금도혼동을보이지않으므로실제발음에있어서도분명하게구분되었던것으로추측됨. 16세기초에오면 / 같은 ㅅ 과 ㄷ 의混記例, 니 (< ), 난나치 (< 낫나치 ), 이튼날 (< 이틋날 < 이틄날 ) 과같이형태음소 ㅅ 이 ㄷ 으로변하여 ㄴ 으로동화된예등을보여줌. 이것은한국어사에서오랜세월에걸쳐지속적으로작용해온음절말불파화경향의마지막사건. 평음 / 된소리 / 유기음, 폐쇄음 / 파찰음의대립은이미 15 세기이전에中和되었음. 16 세기에폐쇄음과마찰음, 즉 ㄷ 과 ㅅ 의대립마저중화된것

성조의소멸 성조율동규칙의변화 : 15c: HHHH HHLH, 16c: HHHH HLLH 16 세기후반으로가면서去聲不連三을위배하는예들도나타나고기존의聲調型에맞지않는예들이많이나타나성조율동규칙이무색할정도에까지이름. 모음으로끝나는 1 음절용언어간이결합되는어미에따라平聲과去聲으로교체하는현상은 16 세기에도비교적잘지켜지는편이었음. 그러나 15 세기에上聲을갖던어휘요소가 16 세기에去聲으로변한예도나타나고, 15 세기에고정적거성이던매개모음이평성으로나타나기도하는등 15 세기의정연했던성조체계가붕괴되어감. 일부문헌은방점표기에일관성이없거나방점을아예표기하지않음. 16 세기는성조체계의붕괴과정을보여주는과도기. 경상방언과함경방언에는지금도성조가남아있으므로이런성조의소멸은방언에따라차이가있었을것.

어두경음화, 격음화 한국어의장애음음소들중격음과경음은비교적늦게발달. 어두위치에그리많이사용되지않는편. 중세어는현대어보다이런경향이더심했음. 16 세기이후어두의평음이경음으로변한예가꽤있음. 븨 - ( 揑 ), 드리 -, 杜詩諺解 그 - ( 引 )> -, 救急簡易方 딯 - ( 擣 )> - 등 이변화는이미 15 세기의문헌에서도조금보임. 16 세기에는 짖 -, 쑤 -, - ( 撒 ), 씹 - ( 噙 ), - ( 沸 ), 싸 - ( 剉 ) 등으로이현상이꽤확산됨. 대개격렬한동작을나타내고자하는표현적욕구가이런변화에작용한듯. 16 세기의어두유기음화의대표적인예 : ( 臂 )<, 코 ( 鼻 )< 곻, 칼 ( 劍 )< 갏 모두어간말에 ㅎ 을가진ㅎ말음체언. 이 ㅎ 이어두유기음화에모종의작용을한듯. 곶 ( 顔色 )> 곷 과같은어말유기음화의예도소수있음.

순행의유음화 15 세기이전의어느시기에치음과설음앞의 ㄹ 이탈락. 15 세기에이현상은많이약화되어음소배열제약의지위까지갖는것은아니었으나이전시기의음소배열제약의잔영으로서치음과설음앞의 ㄹ 이탈락된형태를많이보여줌. 그래서 ㄹㄴ 연쇄는 15 세기에별로존재하지않았음. 다만치음, 설음앞의 ㄹ 을불허하는음소배열제약이소멸된뒤에새로만들어진합성어에그런연쇄가나타남 : 나 -( 勇, < - 나 -) 용언어간말의 ㅀ 에서 ㅎ 이선어말어미 - - 앞에서탈락된 (< 잃 - - 니라 ) 같은형태에서도 ㄹㄴ 연쇄가나타남. 본래어간말이 ㄹ 인경우는이전시기의음소배열제약의결과를그대로유지하여어미의 ㄴ 앞에서어간말의 ㄹ 이탈락 : 아 < 알 - - 니 어간말 ㅎ 의탈락으로 ㄴ 과접하게된 ㄹ 은탈락하지않음. 15 세기에는이런 ㄹㄴ 연쇄가 ㄹㄹ 로동화된예는전혀보이지않음. 현대어와는달리 ㄹㄴ 연쇄를허용했는지도모름. 16 세기에오면 ㄹㄴ > ㄹㄹ 의변화를보여주는예가나타남. 라 -< 나 -, 일니라 < 잃 - - 니라등 ㄹㄴ 연쇄를불허하는음소배열제약이 16 세기에생겼거나그러한현상을표기로반영하기시작했음을의미

역행의유음화 ㄴㄹ 연쇄는고유어에서는발생하기어렵고한자어에만존재. 15 세기의한자어는동국정운식한자음으로표기되거나, 현실음으로표기되더라도한자의본래음으로표기되는경향이있어, 한자들끼리의결합에서발생하는음운과정을거의보여주지않음. 두음법칙을반영한 ( 來日 ), y 뒤의 ㅿ 화를반영한 ( 每常 ) 등은거의고유어화했기때문에음운과정의결과를보여줌. 따라서한자어에서의 ㄴㄹ 연쇄에동화가적용되었는지를 15 세기문헌에서는알수없음. 16 세기문헌에서는한자어에서도음운과정을반영한표기가많이나타남. 飜譯小學의 일륜 ( 人倫 ) 은 16 세기에 ㄴㄹ 연쇄가허용되지않아 ㄹㄹ 로동화가일어났음을보여줌. 16 세기는順行의유음화와逆行의유음화가 ( 최소한표기상 ) 모두발생한시기

특수어간교체어사의변화 15 세기에이른바특수어간교체를보이는단어들중용언활용에서 ㄹㅇ 형이었던것들이 16 세기에는 ㄹㄹ 형과합류됨. 15 세기의 닐어, 달아, 올아 등이 닐러, 달라, 올라 등으로바뀜. 이점에서 16 세기는벌써현대어적인모습을띠게된것이다. 이변화는특수어간교체어사에만한정된것이아니어서 몰애 와같이형태소내부및기타환경의 ㄹㅇ [lɦ] 연쇄도대체로 [ll] 로변함. cf. 현대경상방언 : 올해 > 올래, 괄호 > 갈로 소수의경우에는 [ll] 이 [r] 로변하기도함 : 놀애 > 노래.

ㄱ 약화현상의소멸경향 15 세기에는용언어간말의 ㄹ, y 뒤에서어미의첫자음 ㄱ 이 ㅇ [ɦ] 으로약화되는규칙적인현상이있었음. - 고, - 거늘, - 게 / 긔 등이 ㄹ, y 뒤에서 - 오, - 어늘, - 에 / 의 로교체. 그런데 ㄹ, y 뒤의 ㄱ 을불허하는음소배열제약이 15 세기에이미소멸되어있었음. 어미의이형태를줄이려는유추의작용이힘을발휘하여이 ㄱ - ㅇ 교체가많이없어지게됨. 용언어간말의 ㄹ, y 뒤에서도 ㄱ 이약화되지않고그대로쓰이게됨. 이역시 16 세기에이미현대어적인모습으로바뀐예. 공동격조사또는접속조사 - 과 도 15 세기에는모음과 ㄹ 뒤에서 ㄱ 이약화된 - 와 [ɦwa] 로실현됨. 16 세기에오면 ㄹ 이나모음 ( 특히 i, y) 뒤에서 - 과 로표기된예가많음. 술과차반 ( 소언 5:50), 샷거말과 ( 야운 48), 글쓰기과산계홈 ( 소언 1:11). ㄹ 뒤에서 - 과 가쓰이는것은현대한국어에까지이어졌으나 모음뒤에서 - 과 가쓰이는일은근세어시기까지지속되다가현대어에서는다시 - 와 를쓰게됨.

어미모음의양성모음화경향 15 세기에는음성모음이었던어미의모음들이 16 세기에와서양성모음으로변한경우가많음. - 녀 >- 냐, - 려 >- 랴, - 져 >- 쟈, - 고져 >- 고쟈, - 과뎌 >- 과댜, - 오려 >- 으랴, - ㄹ셔 >- ㄹ샤, - ㄴ뎌 >- ㄴ댜, - 고녀 >- 고나,- 고야,- 괴야, - 며 >- 먀 이것은규칙적인음변화 (sound change) 라고할수는없으나많은어미들이같은방향으로의변화를보여주고있어주목할만함. 대개의경우양성모음으로바뀐어미의모음들이현재까지그대로이어짐. 그러나반대방향의변화도없지는않음 : - 라 >- 러

청자대우법체계의변화 15세기의 3+1 체계 (, 도가낮고불안정했음., ; 반말체 ) 에서 체는원래사용빈 야쎠체는 를단축시킨형태인데 ( 형태를단축시키면대우등급이낮아짐 ) 단축형은숙명적으로지위가불안정함. 16세기가되면는더욱위축 / 소멸되고반말체가그자리를메꾸게됨. ( 반말체는보다는대우등급이약간낮음 ) 반말체는 ㅣ 로끝나는것이특징 :,,,,,, 리로쇠 반말체기원에대한논란 쇼셔체 다 에서뒷부분의절단과축약을통해 가형성되었다고볼수도있고 야쎠체 다 에서절단을통해형성되었다고볼수도있음. 평서형, 의문형에서는 야쎠 체의위축으로인한공백을반말체가메꾸지만 명령형에서는 소체 와반말체명령형 -고라, -고려 가메꿈. 소체 의명령형어미 -소 는어간말음소에따라 -, -조 로도나타남 : 자, 받조 -소/ / 조 의교체조건은이들이선어말어미 - - 에기원을두고있음을시사. 16세기에는그리많이쓰이지않았으나 17세기에가면상당히많이쓰이게됨. 구어체에서는 16세기에도이미사용빈도가높았을듯. 예가적기는하지만 -오여 라는명령형어미도등장. : 가여 ( 번박상 63), : 가듸여 ( 번노상 18), 호 여 ( 번노상 49), 마로 여 ( 번노하 23)

의문형의변화 평서형의반말체, 명령형의 소 체와평행하게의문형에서도이와같은등급의어미가발생. - ㄴ가, - ㄴ고 는본래간접의문에만사용되었으나 15 세기에이들이직접의문으로쓰인예도일부있음. 16 세기에오면직접의문으로자유롭게쓰이게됨. 이또한 력의결과. 야쎠 체의위축으로인한공백을메우려는구조적압 따라서 -ㄴ가, -ㄴ고 가 야쎠 체에해당하는청자대우법상의등급 ( 또는그보다약간낮은등급 ) 을맡게되었음.

감탄형 16 세기에는감탄형에서도 - 고녀 /- 괴여 /- 고나 등의새로운어미가출현. 이들은수의적변이형으로서 - 고녀 가본래적모습. - 고나 는 16 세기의어미모음양성화경향의결과 - 괴여 는 y 앞에서 ㄴ 이탈락한결과. 15 세기에는이들어미가전혀안보임. 고려시대釋讀口訣에는 - ( 곤여 ) 가보임. 고려시대구결의표기로보아 - 고녀 는기원적으로선어말어미 - 고 -, 동명사어미 - ㄴ, 감탄조사 - 여 의결합체임을알수있음. 고려시대구결자료에는 - 외에도 - 등도나타남. 왜동명사어미 - ㄴ 과감탄조사의연결형은살아남고동명사어미 - ㄹ 과감탄조사의연결형은사라졌는지, 그리고 15 세기문헌에는왜 - 고녀 가전혀보이지않는지수수께끼임.

연결어미 연결어미체계에큰변화는없었음. 다만어미모음의양성모음화경향에따라외형상의변화가약간있었음. - 고져 >- 고쟈, - 과뎌 >- 과댜, - 며 >- 먀, - 오려 >- 으랴. 15 세기의 - 건마 이 16 세기에는대부분 - 건마 으로표기됨. 이것은외형상의매우사소한변화이지만 15 세기문헌과 16 세기문헌을갈라주는두드러진지표중하나. - 오 에서 - 오 - 가빠지고 -( / 으 ) 로쓰이기도하고 오 의원순성이뒤로이동하여 -( / 으 ) 되 로쓰이기도함. 이것은선어말어미 - 오 / 우 - 의소실과도관련

명사형어미 15 세기에명사형어미 - 옴 / 움 은항상 - 오 / 우 - 를동반한형태로만나타남. 이 - 오 / 우 - 는기원적으로는선어말어미이겠지만 15 세기에는 - 옴 / 움 전체가하나의형태소가되었다고해야할것. 16 세기에오면명사형어미가 - 음 으로 - 오 / 우 - 없이나타나기시작. 이것은선어말어미 - 오 / 우 - 의소실과도관련

선어말어미 - 오 / 우 - 15 세기의 - 오 / 우 - 의 4 가지용법 o 형태소로서의자격을갖지못하고항상어미의일부로만쓰이는경우. - 옴, - 오마, - 오려, - 오 1 종결형과 -( 으 ) 니 연결형에서 : 주어가 1 인칭 ( 화자 ) 임을나타냄. 2 관계절에서 : 피수식명사가관계절내에서의미상대상임을나타냄. 3 보문관형절에서수의적으로쓰임. 이중 3 은 15 세기에도 - 오 - 의사용이수의적이었으나 1, 2 는 15 세기에 - 오 - 의사용이매우규칙적이었음. 16 세기에들어특히 2 에서 - 오 - 가빠지는일이많이생기게됨. o 에서 - 오 - 가빠지는일은이보다좀늦게발생한듯.

- 아 / 어잇 - > - 앳 / 엣 - > - 앗 / 엇 - 15 세기의 - 어잇 - 은진행상, 결과상등의폭넓은의미를지녔음. - 아 / 어잇 - 이형태상축약된 - 앳 / 엣 -, - 앗 / 엇 - 이 15 세기에도보이나, 의미상의차이는없음. 15 세기에 - 어 가담당했던기능의상당부분을현대어로오면서점차 - 고 에게넘겨주게되므로, 현대어의 - 고있 - 에해당하는의미는 15 세기에 - 어잇 - 으로표현되었음. 이용법을제외하면 15 세기의 - 어잇 - 은현대어로오면서두갈래의변화를겪음. 완료상 / 결과상의의미일때에는현대어에서도통사적구성의자격을지니고있음. 과거시제의의미일때에는하나의선어말어미 - 었 - 으로지위가바뀜. 통사적구성 - 어잇 - 이언제부터선어말어미로지위가바뀌었는가에대해서는학자들사이에異見이많음. 형태상의변화를중시하는이들은 15 세기에이미선어말어미가되었다고보지만 기능과분포의변화를중시하는이는변화의시기를근세어후반으로늦춰잡음.

- 다 > - ㄴ다 ( 모음뒤 ) 15 세기의어미구조체 - 16 세기에는모음뒤에서 - ㄴ다 로나타나기시작. 15 세기말의杜詩諺解권 10 에이런예가이미나타남 : > 간다. 그러나자음뒤에서는그런변화가일어나지않고 - 로유지 : 먹다 그대 같이선어말어미 - - 가자음뒤에서 - - 으로나타나는것은 17 세기에가서의일. 한편 잇 - 의유추에의해 16 세기에 - ( 없 - -) 가나타남. 15 세기에는 없 - 이형용사로서, - - 를취하는일이없었음.

조사 조사체계는 15 16 세기사이에큰변화가없었음. 비교격조사 - 두고 는동사 두 - 의활용형이조사로문법화한것인데 15 세기에이미사용되고있었음. 16 세기에는여기에보조사 - ㄴ 이결합된형태 - 두곤, 여기에서변화한 - 두군, - 도곤 등이나타남. - 브터 도동사 븥 - 의활용형이문법화된것인데 y, ㄹ 뒤에서 - 우터 로나타나기도함 ( ㅂ > ㅸ >ɦw 의변화 ) 한편諺簡자료에는주격조사 - 가 로볼가능성이있는예가몇나타남. 자니가셰니러셔로니니 날로 업서가니 알제 [ ] 스고마자스노라 내가긔걸오리 이실겨규아니코가라져믄몯거시내가어어흐로이시리니몯보내거니와 그런데밑줄친부분을어떻게끊어읽을것인데에따라 가 를주격조사로볼수도있고아닌것으로볼수도있음. 학자들에따라異見이있으나이시기에일반적으로모음뒤에서도주격조사 - 가 가나타나지않는것으로보아이들예의것을주격조사로보기는어려움.

어휘 15, 16 세기의특징적차이 > 만일에, >, -> -/ -, > 종요 ( 宗要 ), -> - 15 세기에한문의 若 을언해할때항상규칙적으로쓰이던부사인데, 16 세기에오면완전히사라지고대신 만일에 / 만이레 일색이됨. ㄱ - ㅅ교체라는韓國語史上의특징적인교체현상을대표. 한국어의매우이른시기부터語根末의 ㄱ 과 ㅅ 이별의미차이없이교체되어쓰이는일이있었음. 이것은방언적차이라고볼수도있고舊形과新形의관계라고도볼수있음. 단어에따라두가지형식이공조하기도하고 ㄱ 형이문헌상먼저나타나기도하고그반대인경우도있음 ( > 즉 ). 15 세기의 ㄱ 형이 16 세기에 ㅅ 형으로나타나는경향 : >, 번득 > 번듯, > ㅇ [ɦ] 이유추에의해다시 ㄱ 으로돌아간것 ( >, > ) 과같이, ㅿ 도이와비슷한예가있음. 말 -> -, -( - 설 -)> -, > 두서, > 한삼, -> -, ( 渣滓 )> 즈싀. 16 세기에도 ㅿ 형과 ㅅ 형이공존하였을것. ㅿ 형은 16 세기에 ㅿ 의소실에따라 ø 가됨. 위의예들은대체로 ㅿ 형 ( 즉 ø 형 ) 이오늘날의중앙방언에이어짐. 기타 16 세기문헌의특징적인어휘 브 ( 廚 )>, 븟, 더품 > 거품, -> -, 염 ( 羔 ), ( 會 ), 검줄 ( 雜草 )

좌측문헌이몇세기문헌인지추측하고그근거를밝히시오. 답 : 內訓 은 15 세기말成宗때처음간행되었으나, 후대에여러차례고쳐서다시간행하였음. 좌측문헌은 16 세기에간행된버전. 16 세기로추정할수있는근거 성조율동규칙 : HHHH HLLH 로 (HLLH), 애와티논 (RLL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