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회지제9권제3 호, 2003년 7월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Vol.9 No.3, 237-249, July, 2003 흡연거절기술및금연관련자기효능감 * 김현옥 1) 서 론 연구의필요성 오늘날흡연은질병과불구의발생그리고사망에기여하 는가장중요한예방가능한요소이다. 신체적발육이완성되 지않은상태에있는청소년은모든세포및조직이약하고 유해물질노출에예민하여, 이시기에흡연하는것은성인기 에들어서흡연하는것보다인체에더해롭기때문에, 우리나 라청소년의높은흡연율은아주심각한보건문제로대두되 고있다. 또한청소년흡연은음주나마리화나그리고다른 약물에접근하는관문으로서역할을하여, 항상금지약물사 용에선행해서발생되고있기때문에, 중요한보건의문제임 과동시에사회문제가되고있다 (CDC, 1994; U.S.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1979). 2002년현재우리나라 20세이상성인남자의흡연율은 60.5%, 남자중학생은 3.5%, 남자고등학생은 23.6% 이다. 이 러한성인남자의흡연율은 2001년 69.9% 에비해 9.4% 감소 한수치이며, 중고등학교 청소년흡연율역시 2000년이후 감소하는경향을보이고있으나, 여전히세계적으로높은수 준이다. 이처럼사회적으로높은흡연율은청소년들로하여금 모든사람들이담배를피운다는신념을갖게하여흡연을시 작하게하는강한예측요인으로작용하며, 청소년의모방심 리를자극하여흡연을유도할수있다( 신성례, 1997; 한국금 연운동협의회, 2002a, b; Williams, 2002). 청소년의삶에중요하게영향을미치는사회적환경으로 부모나형제등의가족, 친구, 학교선생님등을들수있다. 특히흡연과관련해서가족중에흡연자가있는지의여부는 청소년의흡연여부와밀접한관련을가진다. 또한우리나라 청소년이흡연하는가장큰이유는친구와어울리기위해서 인것으로, 친구가청소년흡연에중요하게영향을미치고있 다. 그리고선생님의흡연역시청소년흡연에직접적으로영 향을미친다( 손석준, 2001; 한국금연운동협의회, 2002a; Lawrance & Rubinson, 1986; Williams, 2001). 흡연이나음주, 마약사용에관한주위사람으로부터의권유 와같은사회적압력은이러한행위를유발할수있으며, 거 절과같은주장행동은사회적압력과행위사이를매개하는 중재요소이다. 따라서거절기술의사용은청소년들의흡연에 중요하게영향을미쳐흡연시작연령을증가시키고금연유 지기간을연장시키는효과가있다( 손석준, 2001; 신성례, 하나 선, 2002; Sussman, Dent, Flay, Hansen & Johnson, 1987; Wynn, Schulenberg, Kloska & Laetz, 1997), 자기효능감은어떤행동을선택하고그행동을지속하고 또변화시킬것인지를결정하는주된요인으로, 자신이어떤 행동을수행할수있다는능력에대한자신감이며, 행동변화 의주요예측인자이다 (Bandura, 1977, 1982, 1984). 금연에대 한자기효능감은향후금연행위와관련이있으며, 흡연의유 혹을물리칠수있다는자기효능감이낮을수록흡연의도가 높고흡연행위는증가한다( 김희경등, 2002; Baer & Lichtenstein, 1988). 주요어 : 청소년흡연, 사회적환경, 흡연거절기술, 자기효능감 * 위연구는 2002 년전북대학교간호과학연구소연구비지원에의하여수행되었음. 1) 전북대학교간호학과조교수'( 교신저자 E-mail: khok@moak.chonbuk.ac.kr) 투고일: 2003년 4월 14 일심사완료일: 2003년 5월 29일 237
김현옥 최상의건강교육프로그램은지식을증가시키는것뿐만아 니라바람직한태도를형성해서건강한행동으로의변화를 이끌수있는것이어야하며, 특정행동을변화시켜서건강문 제의발생을감소시키는데목적을두어야한다. 그러나현재 시행되고있는흡연관련건강교육프로그램은종종이러한 효율성을제공하지못하는한계때문에어려움에직면하고 있다. 이에본연구는청소년의흡연과관련해서최근들어그중 요성이강조되고있는사회심리적요소들인흡연관련사회 적환경, 흡연에대한사회적압력을거절하는기술의사용 정도, 흡연학생들의금연에대한자기효능감수준을파악하 여청소년에게제공하는흡연관련건강교육프로그램개발 의근거가될수있는기초자료를제공하고자한다. 연구목적 자기효능감이란특정행위를수행하는능력에대한개인의 신념을의미하며(Bandura, 1977, 1982, 1984), 금연관련자기 효능감이란보편적으로사람들이쉽게흡연할수있는상황 에서흡연하지않을수있다고믿는자기신념정도를나타 내는것으로(Baer & Lichtenstein, 1988), 본연구에서는 Baer & Lichtenstein(1988) 이개발한금연관련자기효능감척도를 본연구자가수정보완한척도로측정한점수를의미한다. 연구방법 연구설계 본연구는전라북도내중고등학생의 흡연율, 흡연관련 사회적환경, 흡연거절기술및금연관련자기효능감을파악하 기위한서술적조사연구이다. 본연구의목적은 흡연거 절기술및금연관련자기효능감을파악하기위함이며, 구체적 인목적은다음과같다. 전라북도내중고등학생의 흡연율을파악한다. 전라북도내중고등학생의 흡연관련사회적환경을파 악한다. 전라북도내중고등학생의 흡연거절기술사용정도를 파악한다. 흡연하는중고등학생의 금연관련자기효능감수준을파 악한다. 용어의정의 흡연관련사회적환경 흡연관련사회적환경이란청소년들이항상접촉하고있는 환경즉가족, 친구, 학교선생님등이흡연을함으로써청소 년들이흡연을하도록자극할수있는환경을말하는것으로 (Killen, 1985), 본연구에서는가족, 이성친구, 동성친구, 또 래친구, 학교선생님들의흡연여부를의미한다. 흡연거절기술 흡연을권유받았을때이를거부하기위해사용하는기술 을의미하는것으로(Charlton, Minagawa & While, 1999), 본 연구에서는 Charlton 등(1999) 이조사한 refusal skill 자료를근 거로본연구자가수정보완하여제작한도구로측정한점수 를의미한다. 금연관련자기효능감 연구대상 본연구는 2002년 8월현재전국에있는중고등학교 1, 2, 3 학년을표적모집단으로하였으며, 전라북도에소재한 중고등학교에 재학중인 1, 2, 3 학년을근접모집단으로하여, 전라북도소재 327개중고등학교 중 40 개교를지역별, 중 고별, 인문실업계열별, 남여 학교별로계통추출하였다. 추출된학교에서보건교사가 1, 2, 3학년각학년별로 1학급 씩을임의표출하고, 표출된반에속한학생전수를연구대상 자로하였다. 40개학교에서자료수집을위해표출된대상자 는총 4,000 명이었으며, 최종적으로자료분석에포함된대상 자는 3,000 명이었다. 이중중학생이 1,544 명, 고등학생이 1,456 명이었다. 연구도구 일반적특성및흡연율 대상자의일반적특성및흡연율을조사하기위해학년, 성 별, 인문/ 실업계열, 대상자가인지하는학업성적그리고흡연 상태를조사하였다. 흡연관련사회적환경 흡연관련사회적환경을조사하기위해가족, 가까운동성 친구, 이성친구, 또래친구그리고학교선생님의흡연여부 를조사하였다. 흡연거절기술측정도구 흡연을권유받았을때이를거부하기위해거절기술을얼 238
흡연거절기술및금연관련자기효능감 마나사용하는지를측정하기위한것으로 Charlton 등(1999) 이 조사한 refusal skill 자료를근거로본연구자가수정보완하여 제작한도구를이용하였다. 흡연거절기술측정도구는 항별로그런거절기술을사용한경우에는 경우에 0 점을배점하였다. 11 문항으로구성되었으며, 각문 1 점, 사용하지않은 본도구로측정한점수가높을수록흡연을권유받았을때 거절기술사용정도가높은것을의미한다. 본연구에서도구의내적일관성신뢰도.869 이었다. 금연관련자기효능감측정도구 금연관련자기효능감은 Cronbach's alpha는 Baer & Lichtenstein(1988) 이개발한 금연관련자기효능감도구 (Confidence Questionnaire, Form S) 를본연구자가수정보완한도구로측정하였다. 도구는사람들이흔히흡연하게되는 13가지상황에노출 되었을때자신이흡연을억제할수있다고확신하는정도를 측정하는것으로, 13 가지문항으로구성되어있으며, 제시된 13 가지상황에서전혀흡연을억제할수없다고생각하면 0%, 확실히금연할수있다고생각하면 100% 로평정하도록 구성되어있으며, 각문항의점수를합한전체점수가높을수 록금연관련자기효능감이높음을의미한다. 도구개발당시내적일관성신뢰도 Cronbach's alpha 는.92 로높은신뢰도를보였다. 또한 63명의흡연자를대상으로예 측타당도를확인하여도구가대상자의금연과금연시행 1 년후의상태를잘예측할수있음을확인하였다 (Baer & Lichtenstein, 1988). 본연구에서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조사한도구의내적 일관성신뢰도 Cronbach's alpha 는.875 였다. 료가분석에포함되었다. 자료분석방법 수집된자료는 SPSS/PC+ 10.0을이용하여전산통계처리 하였으며, 구체적인분석방법은다음과같다. 대상자의일반적특성은실수와백분율을이용하였다. 흡연율은실수와백분율을이용하였으며, 대상자의일반적 특성과흡연율과의관계분석은 χ 2 -test 를이용하였다. 흡연관련사회적환경은실수와백분율을이용하였으며, 흡연관련사회적환경과대상자의흡연상태와의관계분 석은 χ 2 -test 를이용하였다. 흡연을권유받은경험과이에대한반응그리고흡연거절 기술사용정도는실수, 백분율, 평균과표준편차를이용 하였고, 대상자의흡연상태와흡연을권유받은경험과의 관계분석은 χ 2 -test, 흡연상태에따른거절기술사용정 도의차이검정은 one-way ANOVA와 Scheffe test를이용 하였다. 흡연하는중고등학생의 금연관련자기효능감정도는평 균과표준편차를이용하였고, 일반적특성에따른금연관 련자기효능감정도의차이는 t-test와 one-way ANOVA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일반적특성 대상자의일반적특성으로학년, 성별, 대상자가인지하는 학업성적, 고등학생의경우계열등을조사하였다< 표 1>. 자료수집방법및절차 자료수집기간은 2002년 8월 19일부터 9월 14 일까지였으며, 구조화된자가보고식설문지를이용하였다. 자료수집을위해 표출된각학교의보건교사가표본으로추출된학생들에게 연구의목적을충분히설명하고설문응답내용이연구의목 적에만사용될것과자료의익명성과비밀보장그리고설문 응답의자율성을알리고자료수집의협조를부탁한후학생 에게설문지를배부하였고, 작성된설문지를그자리에서회 수하였다. 40개학교에서선정된 4,000명의대상자중에자료가회수 된경우는 3,048 명으로, 자료회수율은 76.2% 였다. 설문에응 답한 3,048명중흡연여부를표시하지않았거나기타응답이 불성실한 48 명의자료를제외하고, 최종적으로 3,000명의자 < 표 1> 대상자의일반적특성 (n=3,000) 특 성 구 분 실수( 백분율 ) 학 년 중학교 1학년 460(15.3) 중학교 2학년 412(13.7) 중학교 3학년 672(22.4) 고등학교 1학년 543(18.1) 고등학교 2학년 507(16.9) 고등학교 3학년 406(13.5) 성 별 남자 1,447(50.0) 여자 1,448(50.0) 학업성적 상위권 559(18.9) 중위권 1,635(55.3) 하위권 762(25.8) 계열( 고등학생) 인문계 770(52.9) 실업계 686(47.1) 실수( 백분율) 은무응답자를제외한것임 239
김현옥 대상자의학년별분포는중학교 1학년 15.3%(460 명), 2학년 13.7%(412 명), 3학년 22.4%(672 명), 고등학교 1학년 18.1% (543 명), 2학년 16.9%(507 명), 3학년 13.5%(406 명) 였다. 대상자 성별분포는남학생 50.0%(1,447 명), 여학생 50.0% (1,448 명) 였다. 대상자의 18.9%(559 명) 는자신의성적을상위권으로, 55.3% (1,635 명) 는중위권으로, 25.8%(762 명) 는하위권으로인 지하고있었다. 고등학생의경우인문계열이 52.9%(770 명), 실 업계열이 흡연율 47.1%(686 명) 였다. 중학생의흡연율 중학생의 82.5%(1,258 명) 는담배를피운적이없으며, 9.5% (145 명) 는실험적으로담배를피워본적이있고, 4.6%(70 명) 는 과거에는흡연하였으나현재에는흡연하지않으며, 2.3%(35 명) 는가끔담배를피우고, 1.0%(16 명) 는정기적으로흡연하 고있었다. 따라서가끔피우는경우와정기적으로흡연하는 경우를합한현재흡연자는 3.3% 였으며, 시험적으로피워본 적이있는경우와과거에흡연하였으나현재는흡연하지않 는경우를합한과거흡연자는 였다< 표 2>. 14.1% 였고, 비흡연자는 82.5% 정기적으로흡연하거나가끔흡연하는현재흡연자의흡연 율을성별학년별, 학업성적별로분석한결과는 < 표 3> 과 같다. 남학생의전체흡연율은 4.1%(28 명) 였으며, 학년별로는 1학 년 0.9%(2 명), 2학년 1.2%(2 명), 3학년 7.8%(24 명) 였고, 여학 생의전체흡연율은 2.7%(21 명) 였으며, 학년별로는 1학년 0.4%(1 명), 2학년 2.6%(6 명), 3학년 4.4%(14 명) 였다. 학년별 흡연율은남학생 (χ 2 =35.625, p=.000), 여학생(χ 2 =25.525, p=.000) 모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를보여고학년이저학년 보다흡연율이높았다. 대상자가인지하고있는학업성적수준에따른흡연율은 상위권 2.3%(7 명), 중위권 2.2%(18 명), 하위권 6.9%(25 명) 였으 며, 학업성적수준에따른흡연율은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를보여 (χ 2 =28.172, p=.000), 상위권이나중위권에해당하는 학생에비해하위권에해당하는학생의흡연율이 았다. 고등학생의흡연율 3배정도높 고등학생의 62.2%(897 명) 는담배를피운적이없으며, 14.8%(213 명) 는실험적으로담배를피워본적이있으며, 9.4% (135 명) 는과거에는흡연하였으나현재에는흡연하지않으며, < 표 2> 중고등 학생의흡연율 특 성 구 분 중학생 (n=1,544) 고등학생 (n=1,456) 실수( 백분율 ) 실수( 백분율 ) χ 2 df p 흡연여부 현재흡연자 51( 3.3) 196(13.6) 174.828 2.000* 과거흡연자 215(14.1) 348(24.2) 비흡연자 1,258(82.5) 897(62.2) 실수( 백분율) 은무응답자를제외한것임 * p <.01 < 표 3> 대상자의일반적특성과흡연율과의관계분석 특 성 구분 중학생 (n=51) 고등학생 (n=196) 실수( 백분율 ) χ 2 df p 실수( 백분율 ) χ 2 df p 남학생 1학년 2(0.9) 35.625 4.000* 58(19.4) 8.818 4.066 2학년 2(1.2) 58(21.4) 3학년 24(7.8) 33(18.0) 전체 28(4.1) 149(19.8) 여학생 1학년 1(0.4) 25.525 4.000* 15( 6.5) 1.517 4.824 2학년 6(2.6) 13( 5.9) 3학년 14(4.4) 11( 5.4) 전체 21(2.7) 39( 5.9) 학업 상위권 7(2.3) 28.172 4.000* 34(13.5) 29.607 4.000* 성적 중위권 18(2.2) 78( 9.9) 하위권 25(6.9) 83(21.3) 계열 인문계열 79(10.4) 14.741 2.001* 실업계열 117(17.2) 실수( 백분율) 은무응답자를제외한것임 * p <.01 240
흡연거절기술및금연관련자기효능감 6.1%(88 명) 는가끔담배를피우며, 7.5%(108 명) 는정기적으로 흡연하고있었다. 따라서가끔피우는경우와정기적으로흡 연하는경우를합한현재흡연자는 13.6% 였고, 실험적으로피 워본적이있는경우와과거에흡연하였으나현재는흡연하 지않는경우를합한과거흡연자는 62.2% 였다< 표 2>. 중학생과고등학생의흡연율은각각 생의흡연율이중학생의흡연율보다 24.1% 였으며, 비흡연자는 3.3%, 13.6% 로고등학 4 배이상높았으며, 이러한 차이는통계적으로유의하였다 (χ 2 =174.828, p=.000)< 표 2>. 정기적으로흡연하거나가끔흡연하는현재흡연자의흡연 율을성별학년별, 학업성적별, 계열별로분석한결과는 < 표 3> 과같다. 남학생의전체흡연율은 19.8%(149 명) 였으며, 학년별로는 1 학년 19.4%(58 명), 2학년 21.4%(58 명), 3학년 18.0%(33 명) 였 다. 여학생의전체흡연율은 5.9%(39 명) 였으며, 학년별로는 1 학년 6.5%(15 명), 2학년 5.9%(13 명), 3학년 5.4%(11 명) 였다. 학년별흡연율의차이는남학생 (χ 2 =8.818, p=.066), 여학생(χ 2 =1.517, p=.824) 비슷한수준이었다. 모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를보이지않는 대상자가인지하고있는학업성적수준에따른흡연율은 상위권 13.5%(34 명), 중위권 9.9%(78 명), 하위권 21.3%(83 명) 였으며, 학업성적수준에따른흡연율은통계적으로유의한 차이를보여 (χ 2 =29.607, p=.000), 하위권에해당하는학생이 중위권이나상위권에해당하는학생보다흡연율이높았다. 계열별흡연율은인문계열이 10.4%(79 명), 실업계열이 17.2%(117 명) 이었으며, 계열에따른흡연율은통계적으로유 의한차이를보여 (χ 2 =14.741, p=.001), 실업계열학생의흡연 율이인문계열학생의흡연율보다약 흡연관련사회적환경 1.7 배가량높았다. 청소년의흡연과사회적환경과의관계를조사하기위해, 청소년과항상접하면서상호작용하고있는가족, 동성친구, 이성친구, 또래친구, 학교선생님의흡연여부와대상자의 흡연상태와의관계를조사하였다. 가족의흡연 가족중에흡연하는사람이있는지를분석한결과< 표 4>, 대 상자의 61.1%(1,807 명) 가가족중에흡연하는사람이있었다. 흡연상태별로는과거흡연자의경우 68.0%, 현재흡연자의 경우 64.0%, 비흡연자의경우 59.0% 가가족중에흡연하는 사람이있는것으로나타났으며, 가족중에흡연하는사람이 있는지의여부와대상자의흡연상태와는통계적으로유의한 관계를가지는것으로나타났다 (χ 2 =16.095, p=.000). 따라서중고등학생의 61.1% 는가족이흡연하고있었으며, 현재흡연자와과거흡연자가비흡연자에비해가족중에흡 연하는사람이있는경우가더많았다. 동성친구의흡연 가까운동성친구중에흡연하는친구가있는지에대해조 사한결과< 표 4>, 대상자의 42.7%(1,196 명) 가흡연하는동성 친구가있다고하였다 가까운동성친구의흡연여부와대상자의흡연상태와의관 련성을분석한결과, 비흡연자의경우흡연하는가까운동성 친구가있는경우는 32.1%, 과거흡연자의경우 63.2%, 현재 흡연자의경우 86.3% 로, 현재흡연자, 과거흡연자, 비흡연자 순으로흡연하는동성친구가있는경우가더많았으며, 동성 친구의흡연여부와대상자의흡연상태와는통계적으로유의 한관계를가지는것으로나타났다 (χ 2 =371.655, p=.000). 따라서중고등학생의 42.7% 는흡연하는가까운동성친 구가있었으며, 현재흡연자가과거흡연자나비흡연자보다흡 연하는동성친구를둔경우가더많았다. < 표 4> 흡연관련사회적환경과대상자의흡연상태와의관계분석 (n=3,000) 특 성 흡연전체비흡연자과거흡연자현재흡연자여부실수( 백분율 ) 실수( 백분율 ) 실수( 백분율 ) 실수( 백분율 ) χ 2 df p 가 족 예 1,807(61.1) 1,270(59.0) 382(68.0) 155(64.0) 16.095 2.000* 아니오 1,150(38.9) 883(41.0) 180(32.0) 87(36.0) 동성친구 예 1,196(42.7) 650(32.1) 338(63.2) 208(86.3) 371.655 2.000* 아니오 1,604(57.3) 1,374(67.9) 197(36.8) 33(13.7) 이성친구 예 539(39.4) 244(28.5) 171(52.0) 124(68.5) 128.857 2.000* 아니오 828(60.6) 613(71.5) 158(48.0) 57(31.5) 또래친구 예 1,798(64.9) 1,148(57.5) 428(80.3) 222(92.1) 182.349 2.000* 아니오 974(35.1) 850(42.5) 105(19.7) 19( 7.9) 학교선생님 예 2,380(85.9) 1,681(84.1) 480(90.4) 219(90.9) 18.944 2.000* 아니오 390(14.1) 317(15.9) 51( 9.6) 22( 9.1) 실수( 백분율) 은무응답자와비해당자를제외한것임 * p <.01 241
김현옥 이성친구의흡연 이성친구가있다고응답한대상자 1,367명을대상으로이 성친구가흡연하는지의여부를조사한결과< 표 4>, 대상자의 39.4%(539 명) 가흡연하는이성친구가있다고하였다. 이성친구의흡연여부와대상자의흡연상태와의관계를조 사한결과, 비흡연자의경우흡연하는이성친구가있는경우 가 28.5%, 과거흡연자의경우 52.0%, 현재흡연자의경우 68.5% 로현재흡연자, 과거흡연자, 비흡연자순으로흡연하는 이성친구가있는경우가더많았으며, 이성친구의흡연여 부와대상자의흡연상태와는통계적으로유의한관계를가 지는것으로나타났다 (χ 2 =128.857, p=.000). 따라서중고등학생의 39.4% 는흡연하는이성친구가있 었으며, 현재흡연자가과거흡연자나비흡연자보다흡연하는 이성친구를두고있는경우가더많았다. 또래친구의흡연 또래친구중에흡연하는친구가있는지를조사한결과< 표 4>, 대상자의 64.9%(1,798 명) 가흡연하는또래친구가있는 것으로나타났다. 또래친구의흡연여부와대상자의흡연상태와의관련성 을분석한결과, 비흡연자의경우주변에흡연하는또래친구 가있는경우는 57.5%, 과거흡연자의경우 80.3%, 현재흡연 자의경우 92.1% 로, 현재흡연자, 과거흡연자, 비흡연자순으 로흡연하는또래친구가있는경우가더많았으며, 또래친 구의흡연여부와대상자의흡연상태와는통계적으로유의 한관계를가지는것으로나타났다 (χ 2 =182.349, p=.000). 따라서중고등학생의 64.9% 는흡연하는또래친구가있 었으며, 현재흡연자가과거흡연자와비흡연자보다흡연하는 또래친구를두는경우가더많았다. 90.4%, 비흡연자의 84.1% 가선생님이흡연하고있다고인식 하고있었으며, 학교선생님의흡연여부와대상자의흡연상 태와는통계적으로유의한관계를가지는것으로나타났다 (χ 2 =18.944, p=.000). 따라서중고등학생의 85.9% 는흡연하는선생님이있었으 며, 현재흡연자나과거흡연자가비흡연자에비해선생님들 이흡연하고있다고인식하고있는경우가더많았다. 이상과같이청소년의흡연은가족, 동성친구, 이성친구, 또래친구, 학교선생님의흡연과같은사회적환경과밀접한 관련이있는것으로나타났다. 흡연거절기술 대상자들이주변친구나아는사람으로부터담배를피우도 록권유받은경험이있는경우는 27.6%(824 명) 였으며, 대상자 의흡연상태에따라현재흡연자의경우 65.6%(160 명), 과거 흡연자의경우 55.0%(308 명), 비흡연자의경우 16.3%(349 명) 로현재흡연자, 과거흡연자, 비흡연자순으로흡연권유를 더많이받고있었으며, 대상자의흡연상태와흡연을권유받 은경험여부와는통계적으로유의한관계를가지고있는것 으로나타났다 (χ 2 =523.029, p=.000). 따라서현재흡연자가과 거흡연자나비흡연자보다주변사람들로부터흡연에대한권 유를더많이받고있었다< 표 5>. 이러한흡연권유를받았을때, 흡연을거절하고무시한경 우는 59.5%(481 명), 담배를피워보려고시도한경우는 19.4% (157 명), 담배를같이피운경우는 21.0%(170 명) 로, 주변사람 들로부터흡연권유를받았을때, 대상자의 59.5% 가흡연권 유를거절하였으며, 함께흡연을하거나시도한경우는 40.4% 였다< 표 6>. 학교선생님의흡연 중고등학생의 흡연에영향을미칠수있는환경적요인으 로서학교선생님의흡연여부를조사한결과< 표 4>, 대상자 의 85.9%(2,380 명) 가흡연하는학교선생님이있다고하였다. 학교선생님의흡연여부와대상자의흡연상태와의관련 성을분석한결과, 현재흡연자의 90.9%, 과거흡연자의 < 표 6> 흡연권유에대한반응 (n=824) 구분실수백분율 무시했다 481 59.5 시도해보려고하였다 157 19.4 함께담배를피웠다 170 21.0 실수, 백분율은무응답자를제외한것임 < 표 5> 흡연을권유받은경험과흡연상태와의관계분석 (n=3,000) 구분 전체비흡연자과거흡연자현재흡연자 실수( 백분율 ) 실수( 백분율 ) 실수( 백분율 ) 실수( 백분율 ) χ 2 df p 흡연을권유있다 824(27.6) 349(16.3) 308(55.0) 160(65.6) 523.029 2.000* 받은경험없다 2,159(72.4) 1,796(83.7) 252(45.0) 84(34.4) 실수백분율은무응답자를제외한것임 ( ) * p <.01 242
흡연거절기술및금연관련자기효능감 구체적으로이런흡연을권유받았을때거절기술사용정 도를분석한결과< 표 7>, 11점만점에평균 4.3044±3.42점으 로, 100점만점으로환산했을때 39.13점에해당하는아주낮 은수준이었다. 이중학생들이많이가장사용하는거절기술은 담배를피 우는것은건강을헤쳐!, 나는담배를좋아하지않아!, 담 배를피우면폐암에걸려! 와같이흡연이건강에미치는부 정적인영향과흡연에대한자신의태도를분명히밝히는형 태의거절기술을많이사용하고있었다. 그다음으로많이사용하는거절기술은 담배를피우는것 은돈을낭비하는일이야, 담배를피우기보다는운동하러 가자, 고맙지만사양해 등이었다. < 표 7> 흡연거절기술사용정도 (n=824) 문 항 평균 표준편차 담배를피우는것은건강을헤쳐! 라고말했다..6737.46 나는담배를좋아하지않아! 라고말했다..5830.49 담배를피우면폐암에걸려! 라고말했다..5409.49 담배를피우는것은돈을낭비하는일이야 라고말했다..4350.49 담배를피우기보다는운동하러가자! 라고말했다..4000.49 고맙지만사양해! 라고말했다..3985.49 담배를피우면악취가나서싫어! 라고말했다..3875.48 죽고싶지않아! 라고말했다..3818.48 담배를피우는것은바보같은짓이야! 라고말했다..3234.46 부모님이반대하시기때문에안돼! 라고말했다..2843.45 피해서밖으로나갔다..1896.39 전 체 4.3044 3.42 학생들의흡연상태에따라거절기술사용정도에차이가있 는지를분석한결과< 표 8>, 현재흡연자의평균거절기술사 용점수는 2.4672 점, 과거흡연자는 4.4848 점, 비흡연자는 5.4360 점으로대상자의흡연상태에따라흡연거절기술사용 정도는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있었으며 (F=30.474, p=.000), 사후분석결과현재흡연자가비흡연자와과거흡연자 보다그리고과거흡연자가비흡연자보다평균거절기술사용 점수가낮았다. 따라서현재흡연자들은과거흡연자와비흡 연자보다흡연거절기술사용정도가낮은것으로나타났다. 흡연하는중고등학생의 금연관련자기효능감 금연관련자기효능감은사람들이흔히흡연하기쉬운 13가 지상황에서자신이흡연하지않을수있다고생각하는것으 로, 제시한 13가지각각의상황에서흡연하는중고등학생이 흡연하지않을수있다고생각하는금연관련자기효능감정 도를분석한결과는 < 표 9> 와같다. 흡연하는중고등학생의 금연관련자기효능감은평균평점 100% 만점에 44.46(±24.22)% 로아주낮은수준이었다. 제시한 13가지상황별로금연관련자기효능감을분석한결 과, 금연관련자기효능감이가장낮은것으로나타난것은이 완하고싶을때(40.00%), 단것먹는것을억제하고싶을때 (40.46%), 매력적으로보이고싶을때(42.89%) 등이었다. < 표 9> 흡연학생의금연관련자기효능감정도 (n=247) 상 황 평균 표준편차 이완하고싶을때 40.00 35.77 단것먹는것을억제하고싶을때 40.46 40.33 더매력적으로느껴지기원할때 42.89 38.90 누군가가당신에게담배를권할때 43.50 35.85 좀더성숙하고세련된느낌을원할때 43.54 39.36 불안할때 43.65 37.48 편히앉아서담배피우고싶을때 43.67 37.43 다른사람이흡연하는것을볼때 43.96 35.27 흡연하는것이자기이미지의한부분이라고느껴질때 44.61 39.65 신경이날카로울때 45.30 37.10 긴장할때 46.74 36.69 술을마실때 48.19 40.61 식사나간식후 48.94 40.16 전 체( 평균평점) 44.46 24.22 대상자의일반적특성에따른금연관련자기효능감정도를 분석한결과는 < 표 10> 과같다. 남학생의금연관련자기효능감은 44.99±23.49 였고, 여학생 의금연관련자기효능감은 41.42±27.60으로남학생이여학생 보다금연관련자기효능감이높았으나, 이러한차이는통계적 으로유의하지않았다 (t=.742, p=.460). 중학생의금연관련자기효능감은 38.35±23.80 이었고, 고등 학생의금연관련자기효능감은 45.19±24.20으로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금연관련자기효능감이더높았으나, 이러한차이 는통계적으로유의하지않았다 (t=-1.468, p=.144). < 표 8> 흡연상태에따른거절기술사용정도의차이분석 구 분 평균 SS df MS F p Scheffe test 1. 현재흡연자(n=122) 2.4672 그룹간 638.417 2 319.21 30.474.000* 3>2>1 2. 과거흡연자(n=198) 4.4848 그룹내 5122.120 489 10.48 3. 비흡연자(n=172) 5.4360 전체 5760.537 491 243
김현옥 < 표 10> 일반적특성에따른금연관련자기효능감정도의차이분석 특성 구 분 평균± 표준편차 SS df MS t or F p 성별 남 (n=129) 44.99±23.49 159.742.460 여 (n=32) 41.42±27.60 중고 중학생 (n=28) 38.35±23.80 165-1.468.144 구분 고등학생 (n=139) 45.19±24.20 계열 인문계 (n=49) 46.57±24.71 137.314.754 실업계 (n=90) 45.22±24.06 학업 상위권 (n=29) 38.33±25.80 그룹간 1346.83 2 673.41 1.143.321 성적 중위권 (n=58) 45.21±20.03 그룹내 96049.56 163 589.26 하위권 (n=79) 46.15±26.44 전체 97396.38 165 흡연하는고등학생의계열별금연관련자기효능감은인문계 열학생이 46.57±24.71, 실업계열학생이 45.22±24.06으로 인문계열학생이실업계열학생보다금연관련자기효능감이 높았으나, 이러한차이는통계적으로유의하지않았다(t=.314, p=.754). 대상자가인지하는학업성적수준에따른금연관련자기 효능감정도는상위권 38.33±25.80, 중위권45.21±20.03, 하위 권 46.15±26.44 로하위권, 중위권, 상위권순으로높았으나, 이러한차이는통계적으로유의하지않았다 (F=1.143, p=.321). 따라서금연관련자기효능감은성별, 중고별, 계열별, 대상 자가인지하는학업성적별로차이가없는비슷한수준이었다. 논 의 청소년흡연율 중학생의전체흡연율은 3.3% 로, 우리나라전국수준중학 생흡연율인 2.2%( 한국금연운동협의회, 2002a) 보다높은수준 이었다. 중학교남학생의흡연율은 1학년과 2학년에서약 1% 수준으로유지되다가 3학년에서갑자기 7~8배이상상승하 였으며, 여학생의흡연율의경우도마찬가지로고학년으로갈 수록증가하였다. 2002년전국에있는중학교남학생의흡연 율이 3.5%, 여학생흡연율이 0.9%( 한국금연운동협의회, 2002a) 였던것과비교해볼때, 전라북도지역중학생의흡연율은 전국수준에비해높았다. 고등학생의전체흡연율은 13.6% 로, 우리나라전국수준고 등학생흡연율인 15.5%( 한국금연운동협의회, 2002a) 보다약간 낮은수준이었다. 남녀 모두학년별로차이를보이지않는 비슷한수준이었다. 2002년전국에있는남자고등학생의흡 연율이 23.6%, 여자흡연율이 7.3%( 한국금연운동협의회, 2002a) 였다는점과비교해볼때, 전라북도지역남여 고등 학생의흡연율은모두전국수준에비해낮았다. 이처럼전국수준흡연율과비교해볼때, 전라북도지역 내중학생의흡연율은전국수준에비해높았으며, 특히여중 학생의경우 1, 2, 3학년모두전국수준에비해높은흡연율 을보였다. 1998년전국적으로건강증진사업이시작되면서흡 연이중요한보건의문제로대두되었고, 세계적으로높은우 리나라청소년의흡연을감소시키려는노력을경주해왔으며, 그결과계속증가하기만하던청소년흡연율이 2000년이후 감소추세로전환되고있음이한국금연운동협의회 (2002a) 조 사자료를통해서확인되었다. 그러나이러한감소추세에도불 구하고우리나라청소년의흡연율은세계적으로여전히높은 수준이라는데문제점이있으므로, 청소년금연을위한지속적 인사업의전개가필요하다. 특히금번조사에서전라북도지 역중학생의흡연율이전국수준에비해높게나타난것은 중고등학생에 대한금연사업또는흡연예방사업이지속 적으로전개되어야하고특히중학생그중에서도여학생을 대상으로한금연사업의강화가필요함을지적하는것이라 하겠다. 대상자가인지하고있는학업성적수준과흡연율과는유의 한관계를가지는것으로나타나, 중학생의경우하위권에해 당하는학생의흡연율이상위권이나중위권에해당하는학생 보다 3 배정도높았고, 고등학생의경우도하위권에해당하는 학생이중위권이나상위권에해당하는학생보다흡연율이높 았다. 이러한결과는학교성적이나쁠수록흡연을많이하게 된다는선행의연구결과들과일치하는것이었다( 손석준, 2001). 또한고등학생의경우계열별로실업계열학생의흡연 율이인문계열학생의흡연율보다약 1.7 배가량높았는데, 이러한결과는학교의유형에따라흡연율이전반적으로인 문계보다는실업계에서높은경향과일치하며, 이러한차이는 과거보다는최근에더욱뚜렷해지는양상을보이고있다( 한국 금연운동협의회, 2002a). 청소년의흡연에관한대부분의선행연구들에서처럼, 본 연구에서도대상자가인지하는학업성적이하위권인학생과 실업계열학생들은흡연율이높은취약계층인것으로나타 났다. 성적이중시되는우리나라교육환경에서이들은학교 당국의지속적인관심을받기가어려우며, 학교생활에부적 응과더불어흡연과같은일탈행동을선택하기가쉽다. 따라 244
흡연거절기술및금연관련자기효능감 서이들취약계층을대상으로한흡연예방프로그램이나 금연프로그램은단순히흡연이건강에미치는영향을강조 하는교육으로는한계를가지며, 이들의학교생활에적응을 도울수있으면서, 주변의환경적여건, 흡연권유를거절할 수있는능력, 금연에대한자신감등을고려한접근이필요 하다. 흡연관련사회적환경 중고등학생과 항상접하면서긴밀한상호작용을하는사 람들은가족, 친구, 학교선생님이라고할수있다. 본연구에 서중고등 학생의 61.2% 가가족이, 42.7% 가가까운동성친 구가, 39.4% 가이성친구가, 64.9% 가또래친구가, 85.9% 가 학교선생님이흡연하고있는것으로나타나, 중고등학생들 은상당히높은흡연기회에노출되어있음을알수있었다. 가족, 친구, 학교선생님의흡연여부와중고등학생의 흡연 과관련이있음은현재흡연자가과거흡연자나비흡연자에 비해주위에흡연하는가족, 친구, 선생님이많다는점에서 알수있었다. 부모들은자녀들이흡연을시작하는것으로부터보호할수 도있고담배에중독자가되도록할수도있는중요한위치 에있다. 1998년부터 2002년까지남자고등학생들을대상으로 가족흡연과학생흡연과의관련성을살펴본한국금연운동협 의회(2002a) 발표자료에의하면, 가족중흡연자가없는학생 에비해가족중흡연자가있는학생이흡연할위험은최저 1.38 배(1999 년) 부터최고 1.94 배(1997 년) 높았다. 이러한결과 는가족중흡연자유무와자녀의흡연여부와밀접한관련 성이있음을나타내는자료라할수있다. 2001년이후가족 의흡연여부와여자고등학생들의흡연여부를살펴본결과 에서도가족중흡연자가없는학생에비해가족중흡연자 가있는학생이흡연할위험이 1.01 배(1995 년) 부터 4.30배 (1993 년) 까지높게나타났다. 이처럼가정에서부모가흡연할경우자녀의흡연율은높 아지는데, 가족중흡연자가있는경우자녀가흡연할확률은 57% 높아지고( 손석준, 2001), 부모가자신의흡연여부에관 심이없거나인정할것이라고인지하는학생일수록흡연을 많이하게된다( 손석준, 2001; Distefan, Gilpin, Choi & Pierce, 1998). 또한남자청소년의경우가족내에손위형제중에 흡연하는사람이있는경우에흡연의위험은더욱증가되며, 여자청소년의경우도이와유사하여손위자매중에흡연하 는사람이있는경우에흡연의위험이더욱가중되는것으로 나타났다(Wang, Fitzhugh, Westerfield & Eddy, 1995). 따라서 부모나형제의흡연행동이나흡연에대한부모의태도, 견해 그리고감정은자녀의흡연여부에큰영향을미친다. 부모들이청소년의흡연을방지하기위해취할수있는행 위로부모가현재담배를피우고있지않다면흡연을시작하 지말고, 만일흡연하고있다면담배를끊는일이다. 연구결 과에의하면흡연하는부모를둔청소년의경우더쉽게흡 연을하게되며젊은나이에도심한흡연가가되고, 부모가담 배를끊었을때자녀들이흡연을시작할경우가적어지며이 미흡연하고있는경우라도더쉽게금연을하게된다. 즉부 모가담배를끊는것은청소년들이흡연을덜하게하고금연 을증가시키는효과적인방법이다. 부모가담배를빨리끊을 수록자녀들이흡연할가능성이줄게된다. 만일부모가흡연 하고있다면담배를끊으려고노력하는모습을자녀에게보 여주는것도자녀에게금연에대한강한메시지를전달하는 것이될수있다 (Farkas, Distefan, Choi, Gilpin & Pierce, 1999; Williams, 2002). 최근들어학생흡연에영향을주는요인으로가족의흡연 여부와는또다른요인즉친구흡연, 사회분위기등의요인 이보다밀접하게관련되어있을가능성이확인되었다( 한국금 연운동협의회, 2002a). 중고등학생의 흡연동기에관해조사 한자료에의하면 호기심 이가장큰흡연동기였으나, 그 다음으로높은동기는 친구따라하기 로, 남자중학생의경 우 16.7%, 여자중학생의경우 16.7%, 남자고등학생의경우 30.9%, 여자고등학생의경우 25.4% 가친구를따라서흡연하 는것으로나타나, 중고등학생의 흡연동기의상당부분은 주변에있는친구의흡연이영향을미치고있음을알수있 었다. Wang 등(1995) 의연구에의하면남자청소년들사이에서 가장친한남자친구의흡연이그리고여자청소년들사이에 서는가장친한여자친구의흡연이가장강력한흡연예측요 인이었다. 가장친한친구의흡연행위는 14세에서 18세에해 당하는남여 청소년의흡연행위에강력하게영향을미치는 사회적환경요인이었다. 특히 3~4명의가장친한남자또는 여자흡연친구가있을때더욱그러한것으로나타났다. 이처럼친구의흡연행위는점차청소년흡연행위에영향을 미치는주요사회환경적요인으로고려되고있는데, 담배를 피우는친구를가진청소년은담배를피우지않는친구를가졌 을때보다담배를배울가능성이훨씬많아지기때문이다. 선생님의흡연역시청소년들의흡연에직접적으로영향을 미친다( 손석준, 2001; Williams, 2001). 본연구에서중고등 학생의흡연관련사회적환경중에학교선생님이흡연한다 고한경우가가장높게나타나(85.9%), 선생님들이건강생 활실천의역할모델로서기능을수행하는데문제가있음이 지적되었다. 학교선생님의흡연은많은시간을학교에서보 내고있는중고등학생의 흡연에직간접적으로 영향을미 친다. 학교는청소년의흡연을예방하고감소시킬수있는위 245
김현옥 치에있기때문에학생들이금연에대한신념과행위를발달 시킬수있는환경을조성해야하는데, 학교에서선생님과직 원들그리고학교를방문하는모든방문객들에게흡연을금 지하는것은학생들에게금연에대한강력하고도건설적인 메시지를전달하는것이될것이다. 학교선생님의흡연여부와관련해서, 현재흡연자가과거 흡연자와비흡연자에비해학교선생님이흡연한다고인식하 고있는경우가더많았다. 학교선생님의흡연여부는흡연 하는학생이나흡연하지않는학생이나같은선생님들이기 때문에동일하게인지해야할것이나현재흡연자들은과거 흡연자나비흡연자에비해선생님들이흡연한다고인식하는 경향이있었다. 이는현재흡연자들이과거흡연자나비흡연자 보다선생님들이흡연하고있다고인식하는경향이높음을 의미하는것으로, 현재흡연자와비흡연자간에주변환경에대 한인지의차이가있음을암시하는것이라할수있다. 따라서흡연하는학생을대상으로한금연교육프로그램 은주변환경에대해바르게인지할수있는능력을개발하 는것을포함해야할것이며, 실제로생각하는것만큼많은 사람이흡연하고있지않으며, 최근에많은사람들이금연에 참여하고있음을알수있도록지도하는것도필요하리라사 료된다. 또한청소년의금연에대한인식과태도에막대한영 향을미치는가족을가능한학교금연교육프로그램내에 포함시켜서가정내에서흡연에대한정책을이끌고심지어 는성인흡연자의금연을격려할수있어야하며, 흡연하는 청소년주변의친구들을함께금연교육프로그램에참여시 켜청소년주변에친구들이동시에금연에참여할수있도록 하는접근도필요할것이다. 이와같이청소년주변의사회적환경요인인가족, 친구, 학교선생님등은청소년이흡연을시작하거나금연하는과 정에서중요한역할모델이되고, 압력요인으로작용할수 있으므로중고등학생의 흡연예방이나금연을위해서는학 생을둘러싸고있는가족, 친구, 학교선생님들이흡연자극 을감소시킬수있는전략의개발이필요하다. 흡연거절기술 본연구에서중고등학생의 27.7% 는주변사람들로부터 흡연을권유받고있으며, 이러한흡연권유를받았을때대상 자의 40.4% 는같이흡연을하거나흡연을시도하였으며, 특히 현재흡연자들은과거흡연자나비흡연자보다주변사람들로부 터흡연에대한권유를더많이받고있었다. 또한이러한 흡연을권유받았을때대상자들이사용하는거절기술사용 정도는아주낮은수준이었으며, 현재흡연자들이과거흡연 자와비흡연자보다흡연거절기술사용정도가낮았다. 이처럼중고등학교 청소년들은주변환경으로부터흡연에 대한권유를많이받고있으나, 실제이러한권유를받았을 때거절하지못하고함께흡연하는경향이있는것으로나타 났다. 따라서청소년들의금연교육프로그램에는반드시주변 사람들로부터의흡연권유를거절할수있는기술을포함시켜 야하며(Bertrand & Aberrathy, 1993), 12-18세까지의청소년들 에게는사회적압력을거절하는실질적인교육이금연또는 흡연예방을위한가장효과적인교육방법이다 (Binyet & Dehaller, 1993). 미국심장협회에서는 Save a Sweet Heart" 라는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메린랜드주폐협회에서는 Smoking Deserve a Smart Answer" 라는프로그램을개발하여청소년들에게흡연 에대한압력을거절하는기술을가르치고있다 (Bailey, 1985). Katz, Robisch & Telch(1989) 의연구에의하면청소년들에 게흡연에대한사회적압력을거절하는기술을가르치는데 초점을둔금연교육프로그램은흡연권유에대해거절할 수있는능력을증진시키는것으로나타났다. 신성례, 하나선 의연구(2002) 에서도흡연에대한부정적인평가를유도하고 친구들의흡연권유를거절할수있는기술을구체적으로교 육하는자기주장훈련을통해중학생의흡연에대한부정적 인태도를형성하고주장행동을증가시킬수있는것으로나 타났다. 그러므로청소년을대상으로한금연교육이나흡연예방교 육에서는흡연에대한주변사람들로부터권유가있을때, 이 를거절하는구체적인방법에대한훈련을제공해서청소년 들의자기주장행동을강화시킬수있어야할것이다. 금연관련자기효능감 금연에대한자기효능감은청소년의금연을예측하는주요 인자임에도불구하고본연구결과흡연하는청소년의금연 에대한자기효능감은매우낮은수준이었다. 이는사람들이 보편적으로흡연할수있는상황에노출되었을때쉽게흡연 할수있음을의미한다. 금연관련자기효능감은금연이나흡연의중요한예측인자로 서(Kowalski, 1997), 청소년들의흡연시도뿐만아니라금연 시도및유지에도영향을미친다. 자기효능정도를높게지 각한사람은낮게지각한사람보다행위를변화시키는데있 어더욱더많은노력을지속하며금연성공률이높았다( 김수 진, 1999; 신성례, 1997). Baer와 Lichtenstein(1988) 의연구에서 도자기효능감이낮았던사람은금연을시행한후금연유지 기동안흡연의위험이높은것으로나타나, 자기효능감은금 연유지기동안의행동을예측할수있음이제시되었다. 신성례(1997) 의연구에의하면, 자기효능감이높을수록바 246
흡연거절기술및금연관련자기효능감 람직한방향으로행동변화를일으키므로금연을어렵게만 드는흡연유혹상황에서도흡연청소년들이자신의욕구를 조절할수있었다. 자기효능감증진금연프로그램은청소년 의자기효능감정도를증진시켜서금연프로그램적용후 1일 평균흡연량과소변코티닌양성빈도를감소시킴으로써청 소년의흡연정도를감소시킬수있었다. 흡연하는중고등학생의 금연관련자기효능감수준이낮 다는것은청소년들이금연을시도하거나유지하기가어렵다 는것을의미하며, 이러한청소년을대상으로한자기효능감 증진프로그램은금연에대한자신감을증진시켜흡연욕구 를조절하고금연을증가시키고, 흡연을감소시킬수있으므 로, 본연구에서처럼자기효능감수준이낮은흡연하는중 고등학생들에대한금연전략은금연관련자기효능감을증 진시키는데초점을두어야할것이다. 담배회사들은금연을하거나죽은성인흡연자를대신할 청소년들을대상으로자신들이생산해낸담배를판매하기 위해서매일 300억원에해당하는재원을담배광고에투자하 고있으며, 우리산업의대상은고등학생들이다 라는경영 전략을마련하고있다(Williams, 2002). 우리나라와같은제3 국은이들담배회사의마케팅의주요대상이되고있다. 이러 한상황에서주변으로부터가해지는외부의흡연압력을거 절할수있는거절기술에대한훈련이나자기효능감을증진 시키등의내적인힘을기르는것은청소년의흡연을예방하 거나금연을유도하는중요한기제가될수있으므로앞으로 제공되는흡연관련건강교육프로그램에서는이러한요소를반 영하여야할것이다. 결 론 중학생의흡연율은 3.3% 였으며, 남학생의흡연율은 4.1% 로학년별로 1학년 0.9%, 2학년 1.2%, 3학년 7.8% 였다. 여학생의흡연율은 2.7% 로학년별로 1학년 0.4%, 2학년 2.6%, 3학년 4.4% 였다. 고학년이저학년보다흡연율이높 았으며대상자가인지하는학업성적수준에따라서하위 권에해당하는학생이상위권이나중위권에해당하는학 생보다흡연율이 3 배정도높았다. 고등학생의흡연율은 13.6% 였으며, 남학생의흡연율은 19.8%(149 명) 였고, 학년별로는 1학년 19.4%, 2학년 21.4%, 3학년 18.0% 였다, 여학생의흡연율은 5.9% 였으며, 학년별 로는 1학년 6.5%, 2학년 5.9%, 3학년 5.4% 였다. 이러한 고등학생의흡연율은중학생보다높았다. 대상자가인지하는학업성적이하위권인학생의흡연율이 중위권이나상위권에해당하는학생보다높았고, 실업계열 학생의흡연율이인문계열학생보다약 1.7 배가량높았다. 중학생의흡연율은전국수준에비해높았으며, 특히여자 중학생의경우 1, 2, 3학년모두전국수준에비해높은 흡연율을보였다. 따라서중고등학생에 대한금연사업은 지속적으로전개되어야하겠지만, 특히중학생그중에서 도여학생을대상으로한금연사업의강화가필요하며, 흡연취약계층인성적이하위권인학생들과실업계열학 생의흡연예방과금연을유도할프로그램의개발이필요 하다. 중고등학생의 61.1% 는가족, 42.7% 는가까운동성친구, 39.4% 는이성친구, 64.9% 는또래친구, 85.9% 는학교선 생님이흡연하고있는것으로나타나, 중고등학생의 사 회적환경은흡연에대한자극이상당히높은수준이었고, 현재흡연자가과거흡연자와비흡연자에비해주변에흡 연하는사람이많았다. 따라서청소년의흡연예방과금연 을위해서는가족, 친구, 학교선생님의금연을함께이끌 어갈수있는방안에대한모색이필요하다. 중고등학생의 27.7% 는주변사람들로부터흡연을권유 받고있으며, 현재흡연자가과거흡연자나비흡연자보다 주변사람들로부터흡연에대한권유를더많이받고있 었다. 이러한흡연권유를받았을때대상자의 40.4% 가 함께흡연을하거나흡연을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이런 흡연을권유받았을때대상자들이사용하는거절기술사 용수준은 100점만점에 39.13점에해당하는아주낮은 수준이었으며, 현재흡연자들이과거흡연자와비흡연자보 다흡연거절기술사용정도가낮았다. 따라서중고등학생들에게 주변으로부터흡연을권유받 았을때거절하는기술에대해구체적으로훈련해야할 것이다. 특히흡연거절기술사용정도가낮은현재흡연자 를대상으로주변사람으로부터흡연에대한권유를받았 을때이에대처하는거절기술에대한적극적인훈련이 필요하다. 흡연하는중고등학생의 금연관련자기효능감은평균평 점 100% 만점에 44.46% 로아주낮은수준이었으며, 대상 자의성별, 중고, 계열, 학업성적에따라차이가없는비 슷한수준이었다. 결론적으로우리나라청소년은흡연을자극할수있는높 은사회적환경속에처해있으나, 주변사람들로부터흡연에 대한권유를받았을때이를거절할수있는구체적인기술 을사용하는수준은매우낮았고, 흡연하는학생들의금연에 대한자기효능감은매우낮은수준이었다. 따라서최근들어 청소년의흡연의시작이나금연과정에서중요한역할을하 는것으로부각되고있는사회심리적변수인흡연관련사회 적환경, 흡연권유에대한거절기술, 금연에대한자기효능 247
김현옥 감등의개념을고려한흡연예방교육프로그램이나금연프 로그램의개발및적용이필요할것으로사료된다. References 김수진 (1999). 범이론적모델을적용한금연프로그램이고 등학생의흡연행위와사회심리적변인에미치는효과. 가톨릭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김희경, 강현숙, 고연화, 문선순, 박연숙, 신연순, 안정선, 이선 손석준 영, 이성옥, 이양숙, 조순자, 최은숙 (2002). 청소년흡연 행위영향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3(2), 376-386. (2001). 청소년흡연그문제점과대책. 금연교육전문 가양성을위한프로그램, 47-63. 신성례 (1997). 흡연청소년을위한자기조절효능감증진프로 그램개발과효과에관한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신성례, 하나선 (2002). 청소년흡연예방을위한자기주장훈 련비디오개발과효과검증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2(3), 336-343. 한국금연운동협의회 (2002a). 과. http://www.kash.or.kr (2002b). 과. http://www.kash.or.kr 2002년청소년흡연실태조사결 2002년성인흡연율실태조사결 Bailey, W. (1985). Ten smoking education program for schools. J Sch Health, 5(1), 33-34. Baer, J. S., & Lichtenstein, E. (1988). Cognitive assessment. In D.M. Donovan & G. A. Marlatt(Eds.), Assessment of Addictive Behaviors(pp.189-213). N.Y. : The Guilford Press. Bandura, A. (1977).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 Rev, 84, 191-215. (1982).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 Psychol, 37, 122-147. (1984). Recycling misconceptions of perceived self-efficacy.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8, 231-255. Bertrand, L. D., & Aberrathy, T. J. (1993). Predicting cigarette smoking among adolescents using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approaches. J Sch Health, 63(2), 98-103. Binyet, S., & Dehaller, R. (1993). Efficacy of smoking prevention campaign in adolescents: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Prev Med(Switzerland), 38(16), 366-378. CDC (1994). Publication of surgeon general's report on smoking and health. MMWR, 43(7), 125-126. Charlton, A., Minagawa, K-E., & While, D. (1999). Saying "no" to cigarettes : A reappraisal of adolescent refusal skills. J Adolesc, 22, 695-707. Distefan, J. M., Gilpin, E. A., Choi, W. S., & Pierce, J. P. (1998). Parental influences predict adolescent smoking in the United States 1989-1993. J Adolesc Health, 22(6), 466-474. Farkas, A. J., Distefan, J. M., Choi, W. S., Gilpin, E. A,, & Pierce, J. P. (1999). Does parental smoking cessation discourage adolescent smoking?. Prev Med, 28(3), 213-218. Katz, R. C., Robisch, C. M., & Telch, M. J. (1989). Acquisition of smoking refusal skills i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ddict Behav, 14(2), 201-204. Killen, J. D. (1985). Prevention of adolescent tobacco smoking : The social pressure resistance training approach. J Child Psychiat, 26(1), 7-15. Kowalski, S. D. (1997). Self-esteem and self-efficacy as predictors of success in smoking cessation. J Holist Nurs, 15(2), 128-142. Lawrance, L., & Rubinson, L. (1986). Self-efficacy as a predictor of smoking behavior in young adolescent. Addict Behav, 11, 367-382. Sussman, N. K., Dent, C. W., Flay, B. R., Hansen, W. B., & Johnson, C. A. (1987). Psychosocial predictors of cigarette smoking onset by white, black, hispanic and asian adolescents in Southern California. Mobidity and Mortality Weekely Reports, 36, 11-16. U.S.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1979). Smoking and health: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DHEW Publication No. (PHS) 79-50066. Wang, M. Q., Fitzhugh, E. C., Westerfield, R. C., & Eddy, J. M. (1995). Family and peer influences on smoking behavior among American adolescents: An age trend. J Adolesc Health, 16, 200-203. Williams, I. J. (2001). How schools can help students stay tobacco-free. National Center for Tobacco-Free Kids. http://tobaccofreekids.org/research/factsheets/pdf/0153.pdf Williams, I. J. (2002). How parents can protect their kids from becoming addicted smokers. National Center for Tobacco-Free Kids. http://tobaccofreekids.org/research/ factsheets/pdf/0152.pdf Wynn, S. R., Schulenberg, J., Kloska, D. D., & Laetz, V. B. (1997). The mediating influence of refusal skills in preventing adolescent alchol misuse. J Sch Health, 67(9), 390-395. 248
흡연거절기술및금연관련자기효능감 A Study on the Smoking Related Social Influence, Refusal Skill and Nonsmoking Related Self-efficacy among Adolescents* Kim, Hyeon-Ok 1) 1) Department of Nurs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moking related social influence, refusal skill and nonsmoking related self-efficacy among adolescents. M ethod: The subject for this study consisted of 3,000 stud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located in Chonbuk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Aguest 19 to September 14, 2002. R esult: The smoking rate was 3.3%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13.6% in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 have had 61.1% of family members, 42.7% of same sex friends, 39.4% of object sex friend, 64.9% of peer group and 85.9% of teachers were being smoke. The smoking related social influence and smoking status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current smokers' smoking related social influence level was much higher than former and never smoker. Friends', teachers' and family members' influences were important to adolescents' smoking. Adolescents had social influence made by many smokers. 27.7% of subject were suggested to smoke by near people, 40.4% of which them were smoked or tried to smoke. The mean refusal skill score of subject was 39.13 points per hundred. Adolescents have showed very low level of refusal skill to smoke. Current smokers' refusal skill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former and never smoker. The mean average nonsmoking related self-efficacy score of current smoker was 44.46 percents per hundred, it showed that current smoker had very low level of self-efficacy to ceasing smoke. C onclusion: For the purpose of adolescents smoking prevention and ceasing, the educational program must designed to reduce smoking related social influence, to promote the refusal skill and nonsmoking related self-efficacy. Key words : Adolescent smoking, Social influence, Refusal skill, Self-efficacy * This work was supported by research fund of the Nursing Science Research Institute, Chonbuk National University(2002).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Kim, Hyeon-Ok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San 2-20, Geum-Am Dong, Duck-Jin-Gu, Chon-Ju 561-182, Korea Tel: +82-63-270-3120 Fax: +82-63-270-3127 E-mail: khok@moak.chonbuk.ac.kr 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