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3320C0A7C7F6BFED2DB4D9B8E9C0FB20C0CEBCBAB0CBBBE7284D4D50492D3229C0D3BBF3C3B4B5B52E687770>

Similar documents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서론 34 2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Strenghening the Cap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 456, 253 ( 89, 164 ), 203 ( 44, 159 ). Cronbach α= ,.,,..,,,.,. :,, ( )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 45 1,258 ( 601, 657; 1,111, 147). Cronbach α=.67.95, 95.1%, Kappa.95.,,,,,,.,...,.,,,,.,,,,,.. :,, ( )


<35315FBCB3C1F6BFEB2D4D425449C0C720C0CEBDC4B1E2B4C9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The Mediating Eff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012임수진

230 한국교육학연구 제20권 제3호 I. 서 론 청소년의 언어가 거칠어지고 있다. 개ㅅㄲ, ㅆㅂ놈(년), 미친ㅆㄲ, 닥쳐, 엠창, 뒤져 등과 같은 말은 주위에서 쉽게 들을 수 있다. 말과 글이 점차 된소리나 거센소리로 바뀌고, 외 국어 남용과 사이버 문화의 익명성 등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 The

歯5-2-13(전미희외).PDF

DBPIA-NURIMEDIA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C7D1B1B9C0C7C7D0B1B3C0B0C7D0C8B8C1F B1C734C8A328C0A5BFEB29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The Participant Exp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Lumbar spine

ORIGINAL ARTIC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8;57(1):86-95 Print ISSN Online ISS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 A basic research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LiD) - - * Way to

歯14.양돈규.hwp

278 경찰학연구제 12 권제 3 호 ( 통권제 31 호 )

Abstract Background : Most hospitalized children will experience physical pain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ress. Painful procedure can increase anxie


< C3D6B3B2BCF72DB0A8C1A420C0BDBEC7BAB020C3BBB0A2C0DAB1D8BFA128B0FCBDC9BAD0BEDFC8AEC0CE29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31372DB9DABAB4C8A32E687770>

12È«±â¼±¿Ü339~370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The Effect of Caree

hwp

DBPIA-NURIMEDIA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BFCFBCBA30362DC0B1BFECC3B62E687770>

특수교육논총 * ,,,,..,..,, 76.7%.,,,.,,.. * 1.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view of Research

1. KT 올레스퀘어 미디어파사드 콘텐츠 개발.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The Grounds and Cons

44-4대지.07이영희532~

歯1.PD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IPA * Analysis of Perc

도비라

DBPIA-NURIMEDIA

서론

???? 1

<313320B9E9B1E2C0DA2DB3FAC6C4B1E2B9DD20BCBAC0CE20BAF1B8B8C0CEC0C720B3FAB1E2B4C9B0FA20BAF1B8B8B5B52E687770>


09권오설_ok.hwp

., (, 2000;, 1993;,,, 1994), () 65, 4 51, (,, ). 33, 4 30, 23 3 (, ) () () 25, (),,,, (,,, 2015b). 1 5,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A Study on Teache

27 2, 1-16, * **,,,,. KS,,,., PC,.,,.,,. :,,, : 2009/08/12 : 2009/09/03 : 2009/09/30 * ** ( :

<352EC7E3C5C2BFB55FB1B3C5EBB5A5C0CCC5CD5FC0DABFACB0FAC7D0B4EBC7D02E687770>

14.531~539(08-037).fm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Awareness, Supports

<353420B1C7B9CCB6F52DC1F5B0ADC7F6BDC7C0BB20C0CCBFEBC7D120BEC6B5BFB1B3C0B0C7C1B7CEB1D7B7A52E687770>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Mar.; 28(3),

methods.hwp

지난 2009년 11월 애플의 아이폰 출시로 대중화에 접어든 국내 스마트폰의 역사는 4년 만에 ‘1인 1스마트폰 시대’를 눈앞에 두면서 모바일 최강국의 꿈을 실현해 가고 있다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6권4호-교정본(1125).hwp

경찰공무원의사회적지지와직무열정과의관계에서자아탄력성의매개효과 경찰공무원의사회적지지와직무열정과의관계에서자아탄력성의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y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P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Experiences of Af

1..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4권6호-전체최종.hwp

DBPIA-NURIMEDIA

176 경찰학연구제 12 권제 1 호 ( 통권제 29 호 )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S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達 은 23) 의 丹 溪 에 최초로 기 재된 처방으로, 에 복용하면 한 다하여 난산의 예방과 및, 등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達 은 이 毒 하고 는 甘 苦 하여 氣, 氣 寬,, 結 의 효능이 있


878 Yu Kim, Dongjae Kim 지막 용량수준까지도 멈춤 규칙이 만족되지 않아 시행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MTD의 추정이 불가 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 SM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O Quigley 등 (1990)이 제안한 CRM(Continu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10, Oct ,,. 0.5 %.., cm mm FR4 (ε r =4.4)


<313720B9E9B1E2C0DA2DB3EBC0CEB5E9C0C720C7F7BED7C7FCB0FA20C0CEC1F620B1E2B4C920B9D720C7E0B5BF20BCBAC7E2B0FAC0C720B0FCB0E820BFACB1B82E687770>

(Exposure) Exposure (Exposure Assesment) EMF Unknown to mechanism Health Effect (Effect) Unknown to mechanism Behavior pattern (Micro- Environment) Re


유선종 문희명 정희남 - 베이비붐세대 소유 부동산의 강제매각 결정요인 분석.hwp

6 브레인테크의 2채널시스템프로그램인뉴로하모니M을사용하였다. 이연구에서는뇌기능분석의주요지수인 8개지수-기초율동지수, 자기조절지수, 주의지수, 활성지수, 정서지수, 항스트레스지수, 좌우뇌균형지수, 및뇌기능지수-를모두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다음과같다. 마음수련프로그램은대학생

상담학연구,, SPSS 21.0., t,.,,,..,.,.. (Corresponding Author): / / / Tel: /

DBPIA-NURIMEDIA

자연채무에대한재검토 1. 서론 2. 선행연구 9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14 May; 12(5): 89-99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Nov.; 26(11),

27 2, * ** 3, 3,. B ,.,,,. 3,.,,,,..,. :,, : 2009/09/03 : 2009/09/21 : 2009/09/30 * ICAD (Institute for Children Ability

09È«¼®¿µ 5~152s

Àå¾Ö¿Í°í¿ë ³»Áö

Transcrip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8, No. 8 pp. 285-293, 2017 https://doi.org/10.5762/kais.2017.18.8.285 ISSN 1975-4701 / eissn 2288-4688 위현욱 *, 이협의, 정철우, 최남숙, 박병운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뇌과학전공 Relationship between MMPI-2 Clinical Scales and SRQ of Brain Quotient Hyun-Wook Wi *, Hyeob-Eui Lee, Chul-Woo Jung, Nam-Sook Choi, Pyong-Woon Park Dept. of Neuroscience Seoul University of Buddhism 요약본연구의목적은다면적인성검사 (MMPI-2) 의임상척도와뇌기능지수중자기조절지수와의관련성을알아보고자하는데있다. 연구는상담센터에내원한 20 세이상의성인남녀중자원한 41 명을대상으로진행하였다. 자기보고식검사지인다면적인성검사 (MMPI-2) 를이용해검사를진행했으며, 2 채널뇌파측정기를이용해 Fp1, 과 Fp2 에서뇌파를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다면적인성검사 (MMPI-2) 의임상척도인척도 2(D) 와자기조절지수중휴식즉, 알파파와음의상관을보였으며, 다면적인성검사 (MMPI-2) 척도 3(Hy) 은집중력즉, 저베타파와양의상관성을보였고, 척도 7(Pt) 은휴식과음의상관성을보였다. 상담현장에서다면적인성검사 (MMPI-2) 와 SQR 을상호보완하여사용할수있다는데본연구의의의가있다. 이러한결과는세가지시사점을갖는것으로해석가능하다. 첫째, 우울한정서를가진사람들은타인의시선과평가에민감하여대인관계를맺을시많은에너지를사용하게되어휴식이유지되지못하기때문에피로도가상승할수있다. 둘째, 지나치게타인의관심을얻으려고하고쾌활한모습을지닌사람들은활동력이높을것으로여겨진다. 셋째, 불안과긴장상태로스트레스가높아진사람들은쉽게지치고짜증과불쾌감이상승할수있다는것을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MMPI-2) clinical scales and the self-regulation quotient of the brain quotient. The test in this study was performed by 41 adults over 20 years old and was done using the MMPI-2, which is a self-reporting method. EEG was performed using a 2-channel EEG System at Fp1 and Fp2. The analysi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cale 2(D), which is the MMPI-2 clinical scale, and the SRQ(Self Regulation Quotient) relaxation status, which is the related alpha rhythm. Scale3(H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RQ concentration status and low β rhythm. Scale7 in the MMPI-2 clinical scale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SRQ relaxation status, which is the alpha rhythm. This means that MMPI-2 and SRQ can be used complementarily in the field of counseling. These results could be interpreted in three ways. First, people with depression are sensitive to other people's attention and evaluation. Therefore, they tend to expend a lot of energy when form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if they do not learn to relax, their fatigue can easily be increased. Second, people who seek other people's interest and have a cheerful spirit are considered to be highly active. Third, highly stressed people with anxiety and tension seem to easily become tired and their irritation and discomfort may be increased in consequence. Keywords : Brain function, BQ(Brain Quotient), Brain wave, EEG, MMPI-2 1. 서론 랜관심사로, 1990년 Eysenck는외향적인사람과내향적인사람의주된차이가각성과관계있다는것을알아개인의성격이뇌와관련이있다는연구는인간의오냈다. Eysenck에따르면, 내향적인사람이외향적인사 * Corresponding Author : Hyun-Wook Wi (Seoul University of Buddhism) Tel: +82-2-3996-4097 email: ruth1029@naver.com Received May 15, 2017 Revised (1st August 7, 2017, 2nd August 16, 2017) Accepted August 17, 2017 Published August 31, 2017 28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제 18 권제 8 호, 2017 람보다상향망상활성체계 (ascending reticular activating system, ARAS) 에서특히더많은피질각성이일어난다.[1] Deakin과 Exley의뇌파연구에서도외향적인사람이알파파의진폭이유의미하게높게나타난것을통해외향형이내향형보다각성도가낮다는것을알수있었다.[2] 이러한연구들을통해자기보고식성격검사의한계를넘어보다과학적인방법으로성격에대한이해를할수있게되었다. 최근뇌파연구가활발해지고있어뇌파와성격과의연관성에대한연구또한지속적으로이루어지고있다. 뇌파 (Electroencephalogram: EEG) 는뇌세포간의정보교환시발생되는전기적신호로서뇌파측정은비침습적인방법으로두뇌의기능상태를실시간으로조사하는데유용한신경과학적연구방법이라고할수있다.[3] 이러한뇌파는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베타파로분류된다. 활동상태에따른뇌파는개개인의뇌의활성도에따라느려지기도하고빨라지기도한다. 뇌파와성격과의상관성에관한국내연구들은다음과같다. 박진성 (2007) 등은상관차원에의한뇌파분석과기질성격척도 (TCI) 요인간에상관성을연구했다.[4] 설지용 (2015) 은 MBTI의인식기능, 판단기능에대한 PR-VEP 특성연구를통해인식기능인 S지표선호집단에서 PR-VEP의 N75와 P100 사이의시간간격이유의미하게짧았고, F지표선호집단에서 PR-VEP의 N75가나타나기까지의잠복기가 O1,O2에서유의미하게짧았다는결과를얻었다.[5] 임기용 (2015) 은 Big5성격과뇌기능지수와의상관성연구를통해 Big5의수용성은자기조절지수중휴식상태즉, 알파파의활성화정도와정적상관관계가있고, 개방성은자기조절지수중집중상태즉, 저베타파와부적상관계가있다고밝혔다.[6] 위와같이성격검사도구와뇌파와의관련성을알아보고자하는연구가다양하게이루어지고있는가운데, 임상및상담장면에서가장많이사용되고있는다면적인성검사 (MMPI) 와뇌파와의관련성연구가이루어지고는있으나증상및병리적인부분과관련된연구들이주를이루고있고 MMPI를통해볼수있는성격과뇌파와의관련성연구는미비한실정이다. 다면적인성검사 (MMPI) 는 1934년미국미네소타대학의 Hathaway와 Mckinley에의해정신병리의진단적목적으로처음개발되었으며, 1989년 MMPI-2로개정되 었다. MMPI-2는미국뿐아니라전세계적으로가장많이사용되는진단및성격검사도구이다.[7] 원래 MMPI 는정신질환자들을평가하고진단함에있어서보다효율적이고신뢰할만한심리검사를개발하려는목적으로제작된검사이다. 따라서정신과적진단분류가일차적목적이며일반적성격특성을측정하기위한것은아니다. 그러나오늘날에는정신병리에대한평가뿐아니라임상집단과정상인집단모두에대해서성격경향성을평가하는데도널리사용되고있다.[8] MMPI와뇌파와의상관성에관한국내연구는미비하나, 국외에서는다양하게시도되고있다. Hughes와 Herman(1984) 는율동성중측두엽문제를가진성인환자의 MMPI 임상척도에서 Hs( 척도1) 와 Sc( 척도8) 가임상적으로의미있게 (T>70) 상승했다는것을발견했다.[9] D. Storzach, L. M. Binder는 MMPI와 EEG 측정치를통해비간질발작환자를예견했는데, 이것을통해 MMPI와 EEG를함께사용할경우예견도를높인다는것을알아냈다.[10] Amida(2005) 등은건강한실험군의반구편재화와정신증적경험에대한연구에서 MMPI-2의 Pa( 척도 6: paranoia) 의점수와 ERP의 P300(P3a) 의좌측이동간에연관성이있으며, 정신증적경험과좌반구활성간에연관성이있다는것을발견했다.[11] 국내연구로는오은 (2011) 등의심인성발작환자들의 MMPI 특성연구, 장은영 (2016) 등의뇌전증및정신적발작환자의 MMPI 프로파일비교연구등이있다.[12,13] 이와같은연구를통해 MMPI-2와뇌파와의연관성이밝혀졌으나, 국내외연구들이임상장면에서볼수있는환자들에대한연구들이주를이루고있는바, 본연구는 MMPI-2 의임상척도와뇌기능지수 (Brain Quotient) 중자기조절지수와의관련성을알아상담장면에서정신증적증상이아닌일반성격과관련된문제를다각도로돕는데활용하고자한다. 자기조절지수 (SRQ) 는 ( 주 ) 파낙토스에서개발한뇌기능지수의하위지수로뇌파의세가지기본상태, 즉휴식상태 ( 알파파 ), 주의력상태 (SMR), 집중력상태 ( 저베타파 ) 를알아볼수있는척도이다. 이세가지기본상태는개인의성격, 심리상태, 생활태도, 학습능력, 업무능력등과밀접한관계가있다.[14] 본연구는상담센터에내원한내담자들을대상으로 286

전전두엽 Fp1, Fp2 지점에서뇌파를측정하고자기조절지수와 MMPI-2의임상척도와의상관분석및회귀분석을통해 MMPI-2와자기조절지수의관련성을알아보고자한다.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본연구는 2015년 8월 20일부터 2015년 12월31일까지약 4개월간경기도 S시에위치한심리상담센터에심리치료를받고자내방한내담자중 20세이상의성인남녀를대상으로실시하였다. 피검자는본실험의내용및취지에대한내용을숙지한후실험참여에자발적인참여를희망한총 41명을대상으로이루어졌다. 전체피검자에대한연령및성별분포는 [Table 1] 과같다. 또한두피상전극부착위치를나타내는국제 10-20 시스템기준에의해정해진전전두엽의 Fp1과 Fp2에서좌우뇌파를동시에측정하도록설계되었다. 금도금한건성전극을헤드밴드형태로부착하여활성전극은 FP1, FP2와그라운드전극은 Fpz로하고, 좌측귓불을기준전극으로하여측정하는도구이다.[14] 이뇌파측정기는미국에서신뢰도와타당도가입증되어의료용으로가장많이사용되고있는 Grass Neurodata Amplifier System 과비교하여좌우알파파, 베타파, 세타파값에대한상관계수가.916(p<.001) 으로나타나신뢰성이입증된바있다.[15] 뇌파신호처리는고속푸리에변환 (FFT: Fast Fourier Transform) 분석을통한주파수별진폭의세기를구하였다. 뇌파는뇌의활동상태와활성상태를보여주는중요한정보를가지고있으며, 객관적지표로다양한인지영역추적연구의분석방법으로이용되고있다.[16] Table 1. Gender distribution Age Male Female 20-29 4 10 30-39 6 9 40-49 3 6 50-59 2 1 total 15 26 피검자는검사전약 1시간 30분전에는담배, 약물복용, 카페인, 식사등의음식물섭취를피하고알코올은약 24 시간제한을둔상태에서측정을하였다. 각피검자는임상시험동의서를작성한후일반적인주의사항및실험에대한안내를통해검사에대한이해도를높인가운데검사를진행하였다. 피검자로선정된자원자를대상으로검사전조용한분위기를유지하며피검자의심신의안정을도모하였다. 본연구에관한모든사항은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생명윤리위원회 (IRB) 의심의, 승인을받은후시행하였고, 피검자는서면동의서를숙지한후자필서명으로동의서를작성하였다. 2.2 연구도구 2.2.1 뇌파 (EEG) 측정기 뇌파는 ( 주 ) 파낙토스에서개발한 2 채널휴대장비인 ' 뉴로하모니 ' 를이용해측정하였다. ' 뉴로하모니 ' 는비침습형헤드밴드를사용하는측정자친화적인도구이다. 2.2.2 뇌기능지수 (BQ) 뇌기능지수는 ( 주 ) 파낙토스에서개발한뇌기능분석프로그램인 BQ테스트를이용해세타파, 알파파, 베타파, SMR영역등각주파수대역별로측정한뇌파수치들의비율분석을통한지수를적용하여분석하였다. 뇌기능지수에는뇌의발달정도를나타내는기초율동지수, 뇌의자율신경계조절능력을판단하는자기조절지수, 뇌의각성정도를알수있는주의지수, 뇌의활성상태를파악할수있는활성지수, 정서지수, 정신적스트레스정도를파악하는스트레스지수, 좌우뇌균형지수, 브레인지수등이있는데본연구에서는이중자기조절지수를사용하였다.[14] 2.2.3 자기조절지수자기조절지수 (SRQ; Self Regulation Quotient) 는뇌기능지수의하위지수로뇌건강과활동력의가장기본적인척도이다. 뇌는각성시에휴식상태, 주의력상태, 집중력상태의세가지상태를자율조절하면서활동리듬을통제한다. SRQ는이세가지기본상태에대해각각알파파, SMR파, 저베타파뉴로피드백을 1분간실시하여뇌의자율조절능력을평가하는것이다. 휴식상태 ( 알파파 ) 는뇌활동의가장기본이되는휴식능력을평가하는것으로안정성, 침착성, 지구력, 피로도등과관련이있다. 주의력상태 (SMR) 는자기주변과의관계능력을 28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제 18 권제 8 호, 2017 보는것으로사회성, 사교성, 주의력, 관찰력, 발표력등과관계가있다. 집중력상태 ( 저베타파 ) 는한가지에몰두하는능력을보는것으로집중력, 추진력, 정확성, 적극성등과관계가있다.[14] 2.2.4 MMPI-2 한국판 MMPI-2를이용해성격검사를실시하였다. 이검사는초등 6학년수준이상의읽기능력이되어야실시가가능하며중학교 2학년이상의읽기수준이되면프로토콜의타당성이증가한다. MMPI-2는 18세이상의성인내담자에게실시가능한검사도구이다. MMPI-2는총 9가지의타당도척도, 총 10개의임상척도, 15개의내용척도, 15개의보충척도, 5개의성격병리 5요인척도와 9개의재구성임상 (Rc) 척도로구성되어있다. MMPI-2타당도척도에는기존의 MMPI-1에서사용되던부인 (lie;l), 비전형 (infrequency:f), 교정척도 (correction:k) 에더하여무선반응비일관성 (variable response infrequency:vrin), 고정반응비일관성 (true response inconsistency:trin), 비전형후반부 (Fb), 비전형정신병리 (infrequency psychopathology: Fp), 부정왜곡 (fake bad scale: FBS), 과장된자기제시 (superlative self-presentation: S) 척도가추가되었으며이를통해보다체계적이고정확하게피검자의수검태도를평가할수있게되었다.[17] MMPI-2 타당도척도에서 VRIN, TRIN을통해피검자가일관성있게답하였는지를검토하고 F, Fb, Fp, FBS를통해과대보고의경향성을탐색하며, L, K, S를통해과소보고의경향을탐색할수있도록했다. 이렇듯 MMPI-2의타당도척도는수검자의수검태도에관한중요한정보를제공해줄뿐아니라검사외적인행동 ( 증상, 성격특성등 ) 과도관련이있다.[17] MMPI-2의임상척도에는총 10가지척도로척도1( 건강염려증, hypochondriasis; Hs), 척도2( 우울증, depression; D), 척도3( 히스테리, hysteria; Hy), 척도4( 반사회성, psychopathic deviate; Pd), 척도5( 남성성- 여성성, masculinity-femininity; Mf), 척도6( 편집증, paranoia; Pa), 척도7( 강박증, psychathenia; Pt), 척도8( 조현증, schizophrenia; Sc), 척도9( 경조증, hypomania; Ma), 척도0( 내향성, social introversion; Si) 로구성되어있다. MMPI의임상척도는심리적속성을측정하는가장기본 적이고, 중요한척도이지만다수의모호문항과함께척도간문항의중복으로인해정확한해석에어려움이있어왔다. MMPI-2의임상척도에는척도간평균 12.5개의문항중복이있다.(Simms, Casillas, Clark, Watson, & Doebbeling, 2005). 임상척도들간의문항중복은변별타당도의저하를초래하며, 해석의정확성을저해하는요인으로작용한다. 임상척도의이러한문제를보완하고임상척도의중요한특성을유지하면서수렴타당도와변별타당도를향상시키기위해 Tellegen, Ben-Porath, Mcnulty, Arbisi, Graham과 Kaemmer(2003) 는 MMPI-2 의재구성임상척도 (Restructured Clinical scales; RC) 를개발했다.(Graham, 2007). RC척도는기본적으로정신병리의지표가아닌척도5(Mf), 척도0(Si) 을제외한 8가지척도, 즉 RCd( 의기소침 ), RC1( 신체증상호소 ), RC2 ( 낮은긍정정서 ), RC3( 냉소적태도 ), RC4( 반사회적행동 ), RC6( 피해의식 ), RC7( 역기능적부정정서 ), RC8( 기태적경험 ), RC9( 경조증적상태 ) 척도로구성되어있다.[18] MMPI-2의신뢰도는 [Table 2] 와같다. Table 2. Reliability of MMPI-2 Cronbach's alpha Variables Male Female Hs.80.81 D.64.63 Hy.69.70 Pd.53.57 Mf.34.24 Pa.59.61 Pt.81.83 Sc.87.86 Ma.60.59 Si.73.72 *Hs: hypochondriasis, D: depression, Hy: hysteria, Pd: psychopathicdeviate, Mf: masculinity-femininity, Pa: paranoia, Pt: psychasthenia Sc: schizophrenia, Ma: mania Si: social introversion 2.3 실험방법본실험은 MMPI-2와뇌파의관련성을알아보고자, 뇌파측정후 MMPI-2 설문지를작성하였다. 피험자는측정최소 30분전뇌파에영향을주는음식이나음료를섭취하지않고피곤하지않은상태에서실험에참여했다. ' 뉴로하모니 를이용하여피험자의전전두엽의 Fp1, Fp2, 에서뇌파 (EEG) 측정하였으며, Fpz를그라운드전 288

극으로, 좌측귓불을기준전극으로사용하여측정하였다. 실험기간동안온도와습도는유지하였다. 한사람씩뇌파측정을마친후다른방으로안내되어 MMPI-2를작성하도록하였다. 뇌파측정은기초율동측정과기본상태측정으로이루어져있다. 기초율동은각성상태에서눈을감고편안하게안정을취하고있을때나타나는뇌파를의미하는데, 측정방식은개안 40초, 폐안 40초, 개안40초로총 2분동안측정한다. 그후기본상태를측정하는데기본상태란각성시일반적인활동상태에따른뇌파의피드백정도를의미하는것으로기본상태에는휴식상태, 주의력상태, 집중력상태등 3가지가있다. 기본상태측정은이세가지상태에대한뇌의자기조절능력을측정하는것이다. 각상태별로 1분씩피드백하면서뇌의자기조절능력을테스트한다. 전체뇌파측정하는데소요되는시간은약 5분가량이다. 뇌파측정이완료된피검자는다른방으로안내되어 MMPI-2를실시하였다. MMPI-2는총 567 문항의자기보고식검사지로 그렇다 또는 아니다 의답변중하나를선택하도록되어있다. 개인차가있으나약1시간정도소요된다. MMPI-2 한국판판권을소유하고있는 마음사랑의프로그램을이용해분석하였다. 2.4 자료분석방법본연구에서수집된결과는엑셀프로그램을활용하여수집된값을입력하였고, 이를통계프로그램인 SPSS V.20.0을이용하여분석하였다. MMPI-2임상척도와뇌파와의관계를알아보기위해 MMPI-2임상척도와 BQ의 SRQ 하위지수간의상관관계분석과 SRQ 하위지수를종속변수로하고 MMPI-2 임상척도를독립변수로하여단순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3. 연구결과 3.1 연구결과 MMPI-2척도와 SRQ에대한평균값과표준편차는 [Table 3] 과같다. Pearson 상관분석을한결과, 0.05와 0.01의유의수준을설정하여 MMPI-2의각임상척도와 BQ의 SRQ 하위지수와상관성을보인것들은다음과같다. MMPI-2 척도2(D) 와휴식은 r=-.43, p<.05로부적상 관을, 척도 3(Hy) 과집중력은 r=.34, p<.05 로정적상관, 척도 7(Pt) 과휴식은 r=-.39, p<.05 로부적상관을보였다 [Table 4]. Table 3.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participants(n=41) Variables Mean Standard deviation Hs 49.00 7.83 D 52.44 13.67 Hy 49.32 8.33 Pd 49.39 8.71 Mf 47.22 10.17 Pa 51.17 15.62 Pt 47.22 7.37 Sc 47.46 15.62 Ma 52.17 11.84 Si 25.07 5.73 Relaxtion 25.07 5.73 Attention 21.41 5.67 Concentration 19.76 6.71 Hs: hypochondriasis, D: depression, Hy: hysteria, Pd: psychopathicdeviate, Mf: masculinity-femininity, Pa: paranoia Pt: psychasthenia Sc: schizophrenia, Ma: mania Si: social introversion Table 4. Correlations of MMPI-2 Clinical Scales & SRQ Relaxtion Attention Concentration Hs -.08 -.05.26 D -.43**.14.08 Hy -.03.15.34* Pd -.08.24.12 Mf.11 -.10 -.03 Pa -.24 -.07.02 Pt -.39*.05.06 Sc -.26.06.10 Ma -.04 -.08 -.13 Si -.19.06 -.03 *p<.05, **p<.01 Hs: hypochondriasis, D: depression, Hy: hysteria, Pd: psychopathicdeviate, Mf: masculinity-femininity, Pa: paranoia, Pt: psychasthenia Sc: schizophrenia, Ma: mania Si: social introversion MMPI-2임상척도와 SRQ하위지수간유의미한상관을보인임상척도들과자기조절지수하위지수간의설명변량을알아보기위해다음과같이단순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회귀분석결과는 [Table5][Table6][Table7] 에제시하였다. 28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제 18 권제 8 호, 2017 Table 5. Regression of the MMPI-2 Clinical Scale 2(D) in SRQ Relaxtion DV IV R² B β t F R D.18-1.02 -.43-3.00 ** 8.73 ** *p<.05, **p<.01, ***p<.001 DV: dependent variable, IV: independent variable, R: relaxation, D: depression Table 6. Regression of the MMPI-2 Clinical Scale 3(Hy) in SRQ Concentration DV IV R² B β t F C Hy.12.42.34 2.27 * 5.12 * *p<.05, **p<.01, ***p<.001 DV: dependent variable, IV: independent variable C: Concentration, Hy: hysteria Table 7. Regression of the MMPI-2 Clinical Scale 7(Pt) in SRQ Relaxtion DV IV R² B β t F R Pt.15-1.07 -.39-2.66 ** 7.08 ** *p<.05, **p<.01, ***p<.001 DV: dependent variable, IV: independent variable, R: relaxation, Pt: psychasthenia 표를살펴보면, SRQ 의휴식을유의하게예측하는 MMPI-2 척도는척도 2(D)(β=-.43,p<.01), 척도 7(Pt)(β =-.39,p<.01) 이었으며, 집중력을유의하게예측하는임상척도는척도3(Hy)(β=.34, p<.05) 로나타났다. 회귀분석을통해본결과척도2(D) 와휴식은설명력이 18%(F=8.73, p<.01), t=-3.00, p<.01로나타났으며, 척도3(Hy) 과집중력과는 t=2.27, p<.05로통계적으로유의하게나타났고, 설명력은 12%(F=5.12, p<.05) 이다. 척도7(Pt) 와휴식은 t=-2.66, p<.01로유의미하며, 설명력은 15%(F=7.08, p<.01) 로나타났다. 4. 논의및제언 본연구에서는상관분석과회귀분석을통해 MMPI-2 임상척도와뇌파의자기조절지수와의관계를살펴본결과는다음과같다. 첫째, MMPI-2 척도 2(D) 와 SRQ 휴식과는부적상관 을보였다. SRQ의휴식상태는뇌활동의가장기본이되는휴식능력을평가하는것으로안정성, 침착성, 지구력, 피로도등과관계가있다. MMPI-2의척도2(D) 는우울 (Depression) 증상을평가하기위해개발되었다. 따라서척도2(D) 가상승한사람들은사기가저하되어있고, 미래에대한희망이없으며, 생활전반에있어무기력하고비관적으로수면문제, 주의력, 집중력등의문제가있을것으로보이는데, 이런사람들은뇌의기본상태가휴식을취하지못해안정감과침착성이부족하고쉽게지치는것과연관이있는것으로보인다. 우울증에따른뇌파상태를연구한다른연구들을보면, 우울증환자가정상인에비해알파파워가증가되어있다는연구결과가많다.[19] 그러나, 정규희 (2008) 등이연구한정상집단과우울증집단과의비교연구에서우울집단이상대알파파워가전두엽과측두엽영역에서정상집단보다유의미하게적게나왔다.[20] 본연구에서도우울의정도를알수있는척도2(D) 의상승, 즉우울감이높을수록뇌가휴식을취하지못하는전두엽알파파가적게나오는결과가나왔다. 이는 Knott등 (2001) 이언급했던이유인연구들의표본연령과성별, 자료변환방법과측정기술의차이, 진단적차이에의한것일수있다.[21] 우울증을측정하는도구로주로 BDI 우울척도를사용하는기존연구들과달리본연구에서는 MMPI-2를도구로사용한것도다른결과를가져올수있을것으로보인다. 따라서추후연구에서는이런부분을고려한좀더정밀한통제가필요할것으로여겨진다. 둘째, MMPI-2 척도3(Hy) 과 SRQ 집중력 ( 저베타파 ) 과정적상관을보였다. 척도3(Hy) 은히스테리 (Hysteria, Hy) 를알수있는척도로문항들은두가지유형으로구성되어있다. 하나는특정한신체적증상을나타내는문항들이며, 다른하나는자신은사회적으로잘적응하고있고어떠한심리적문제도가지고있지않다고주장하는것을나타내는문항들이다. 이척도가상승한사람들은타인으로부터많은주의와애정을요구하고, 관심과애정을받으려고간접적이고부정한수단을동원하기도한다. 따라서사회적으로적절하게행동하고고통을겪으면서도긍정적이고쾌활하며불만과불쾌함은조심스럽게드러내고타인의사랑과인정을받으면의욕이생긴다. 또자신에게관심을가져주고자신을보살펴주기를미묘하게요구하 290

는특성을지닌다.[22] 자기조절지수 (SRQ) 의집중력은한가지일에몰입하는능력을의미한다. 따라서일에집중하는집중력, 일에빠지는집착정도, 정신적인활동력등을판단한다. 관찰범위는시야가좁은상태로서한가지에만집중한다. 지나치게높으면집착이강한성격이된다.[14] 척도3(Hy) 이상승한사람들은타인들에게관심과애정을얻기위해과도하게자신을꾸미고, 쾌활한모습을가장하여집중력이상승하는것과연관이있는것으로보인다. 셋째, MMPI-2 척도 7(Pt) 과 SRQ휴식 ( 알파파 ) 과는부적상관관계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척도7(Pt) 은강박증 (Psychasthenia, Pt) 척도로강박적행동을측정하는것외에자기비판, 자신감저하, 주의집중곤란, 우유부단및죄책감등을측정한다. 척도2(D) 와함께척도7(Pt) 은 정서적고통감 척도라고알려져있으며, 두척도가동반상승하는경우가많다.[7] 이척도가상승한사람들은걱정과불안, 두려움을주로호소한다. 긴장과불안과함께신체적증상이흔히나타나는데이로인해스트레스와긴장감으로삶을즐길만한여력이없고종종불쾌감을호소한다.[20] 척도7이낮은경우에는걱정이나불안이없고편안하게이완된상태를유지한다. 이는휴식과관련된알파파가잘나오는경우정신적으로안정이되어침착하며지구력이있는경우와관련이있는것으로보인다. 이에반해, 척도7(Pt) 이상승한사람은긴장상태가지속되어휴식뇌파가원활하게나타나지않을것으로보인다. 본연구의의의는기존 MMPI-2와뇌파연구와달리증상및병리에따른뇌파연구가아닌 MMPI-2와자기조절지수의관련성연구를통해성격적인측면을살펴보았다는데있다. 본연구를통해자기보고식검사인다면적인성검사 (MMPI-2) 가인간의다양한성격적인측면을볼수있는도구로활용가능하며대뇌피질의뇌파특성과도상관성이있다는것을볼수있었다. 아울러자기보고식검사는일반적으로수검자의주관적인느낌이나, 의도에따라검사결과가다르게도출되거나, 조작이가능할수있지만, 뇌파를이용한검사를함께활용함으로써자기보고식검사의한계점이보완가능할것으로보인다. 자기보고식검사에서점수의상승이보이지않는다고하더라도뇌파측정결과자기조절능력이부족하거나과할수있다. 이에내담자가개선해야할부분들을왜곡, 축소할경우에도뇌파측정결과를통해교육이가 능할것으로보이고, 자신의상태를부정하지않고인정하면서변화하고자하는동기가더욱강화될수있을것으로여겨진다. 이를통해심리상담시보다효율적으로내담자들을도울수있을것으로기대된다. 한편, 연구의제한점으로본연구는다음과같은한계가있다. 첫째, 본연구에참여한인원보다많은인원과다양한연령대를확보하여통계결과에대한신뢰성을높일필요가있을것이다. 둘째, MMPI-2의임상척도이외의다른척도들과뇌기능지수의다양한하위지수간의관련성도살펴볼필요가있을것이다. 절대파워, 상대파워를통해베타파와알파파좌우뇌비대칭을볼수있는활성지수와기초율동지수, 정서지수등다양한뇌기능하위지수와 MMPI-2 의타당도척도, 재구성임상척도등과의관련성연구가이루어진다면내담자들의성향과상태에맞게보다더다양한접근이가능할수있을것이다. References [1] Marianne Miseranino, Personality Psychology: Foundations and Findings, p. 202, Sigma Press, 2013. [2] Deakin, J. F. W., Exley, K. A., "Personality and Male-Female Influences on the EEG Alpha Rhythm", Biological Psychology, vol. 8, pp. 285-290, 1979. DOI: https://doi.org/10.1016/0301-0511(79)90010-3 [4] J. S. Park, Y. B. Park, Y. J. Park, Y. H, "Correlation over Nonlinear Analysis of EEG and TCI Factor",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al Diagnostics, vol. 11, no. 2, pp. 111-112, 2007. [5] J. Y. Seol, P. W. Park, "Study about PR-VEP Characteristics on Perception Function and Judgement Function of MBTI",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8, p. 1,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8.5485 [6] G. Y. Im, H. R. Park, N. S. Choi, P. W. Park,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Big 5 Personality Traits and SRQ of Brain Quoti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6, p. 3760,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6.3760 [7] J. Y. Choi, Understanding of the Psychological Testing, pp. 55-56, Sigma Press, 2011. [8] John R. Graham, MMPI-2: ASSESSING PERSONALITY AND PSYCHOPATHOLOGY, 4/e, pp. 6-7, Sigma Press, 2007 [9] John D. Ball, Robert P. Archer, Frederick A. Struve, John A. Hunter and Raymond A. Gordon. MMPI 29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제 18 권제 8 호, 2017 correlates of controversial eeg pattern among adolescent psychotic patient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43, no. 6, p. 708, 1987. DOI: https://doi.org/10.1002/1097-4679(198711)43:6 <708::AID-JCLP2270430611>3.0.CO;2-F [10] D. Storzbach, L. M. Binder, M. C. Salinsky, B. R. Cambell, and R. M. Mueller. "Improved Prediction of Nonepileptic Seizures with Combined MMPI and EEG Measures." Epilepsia, vol. 41, no. 3, p. 332, 2000. DOI: https://doi.org/10.1111/j.1528-1157.2000.tb00164.x [11] Armida Mucci, Silvana Galderisi, Paola Bucci, E. Tresca, A. Forte, Thomas Koenig, Mario Maj. "Hemispheric materialization patterns and psychotic experiences in healthy subjects.",psychiatry Research: Neuromaging 139, p. 147, 2005. DOI: https://doi.org/10.1016/j.pscychresns.2004.03.006 [12] E. Oh, S. Z. Seo, J. H. Chin, S. B. Hong, "Characteristics of Psychogenic Non-Epiliptic Seizure Patients using MMPI Profiles", Journal of Korean Epilepsy Society, vol. 15, no. 1, 2011. [13] E. Y. Jang, S. M. N. Jung, E. Y. Joo, S. J. Choi, S. Y. Suh, "Comparison of MMPI Profile Patterns between Patients with Epileptic Seizures and Psychogenic Non-Epileptic Seizures",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vol. 34, no. 2, 2016. DOI: http://dx.org/10.17340/jkna.2016.2.32016.2.3. [14] P. W. Park, Foundation of Neurofeedback, Korea Research Institute Jungshin Science, p. 58, 2005. [15] Y. J. Kim, "Development of Brain Circulation Learning Model Based on EEG Analysis of Learning Activit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0. [16] D. S. Kim and J. W Choi, EEG Analysis, Koryo Medicine, 2001. [17] K. K. Kim. Clinical value of 8 Validity Subscales of MMPI-2",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pp. 1-2, 2009. [18] H. S. Cho, S. T. Hwang. Validity of MMP1-2 Rest-ructured Clinical scale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28, no. 1, p. 282, 2009. [19] Pollock, V.E, Schneider, L. S., "Topographic quantitative EEG in elderly subjects with major depression", Psychophysiology, vol. 27, pp. 438-444, 1990. DOI: https://doi.org/10.1111/j.1469-8986.1990.tb02340.x [20] K. H. Jung, J. S. Lee, J. H. Lee, "Power Spectral Analysis EEG Characteristics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27, no. 3, p. 589, 2008. [21] Knott, V., Mahoney, C., Kennedy, S., & Evans, K. "EEG power, frequency, asymmetry and coherence in male depression", Psychiatry Research Neuroimaging, vol. 74, pp. 26-33, 2001. DOI: https://doi.org/10.1016/s0925-4927(00)00080-9 [22] Richard W. L, Lisa S, David S. N, Ronald A. S, THERAPEUTIC FEEDBACK WITH THE MMPI-2: A POSITIVE PSYCHOLOGY APPROACH, Maumsarang, 2015. 위현욱 (Hyun-Wook Wi) [ 정회원 ] 2012 년 8 월 : 백석대학교상담대학원가족상담학과석사 2016 년 2 월 :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심신통합치유학과뇌과학전공박사과정수료 2013 년 7 월 ~ 2014 년 12 월 : 행복한우리심리상담센터상담사 2015 년 6 월 ~ 현재 : 부부가족상담부모교육협회가족상담전문가 2015 년 7 월 ~ 현재 : 헬로스마일천안센터상담심리사 2016 년 8 월 ~ 현재 : 국제대학교사회복지학과강사 뇌과학, 뉴로피드백, 심리상담, 부부상담 이협의 (Hyeob-Eui Lee) [ 정회원 ] 1990 년 2 월 : 동아대학교경영학학사 2013 년 2 월 : 대전대학교 ( 스포츠의학석사 ) 2014 년 2 월 :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심신통합치유학과뇌과학전공박사과정수료 2007 년 4 월 ~ 현재 : 키롱성장비만센터원장 2008 년 6 월 ~ 현재 : 국민건강체육문화진흥원사무총장 2010 년 2 월 ~ 현재 : 대한유소년축구연맹회장 2013 년 3 월 ~ 현재 : 한국비엔에스교육문화진흥원 ( 주 ) 원장 뇌과학, 뉴로피드백, 영양학, 중금속, 운동치료, 운동학습 292

정철우 (Chul-Woo Jung) [ 정회원 ] 1994 년 2 월 : 부산대학교공과대학 ( 공학사 ) 2014 년 2 월 :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뇌과학전공 ( 뇌과학석사 ) 2017 년 2 월 :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뇌과학전공 ( 뇌과학박사 ) 2005 년 3 월 ~ 2014 년 11 월 : 브레인하모니뉴로피드백두뇌교육원동래센터장 2007 년 11 월 현재 : ( 재 ) 한국정신과학연구소뇌교육부교수 2012 년 12 월 현재 : 한국뉴로피드백뇌과학연구소소장 2016 년 3 월 현재 : 해피브레인통합심리상담센터소장 2016 년 1 월 현재 : 파낙토스 IBC 통합뇌센터해운대센터센터장 뇌과학, 뉴로피드백, 뇌파, 인지과학 최남숙 (Nam-Sook Choi) [ 정회원 ] 1991 년 2 월 : 숙명여자대학교작곡과학사 2013 년 8 월 :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심신통합치유학과뇌과학전공 ( 뇌과학석사 ) 2016 년 2 월 :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심신통합치유학과뇌과학전공박사과정수료 2015 년 7 월 ~ 현재 : ( 재 ) 한국정신과학연구소뇌교육부교수 2016 년 8 월 ~ 현재 : 신한대학교강사 2016 년 8 월 ~ 현재 : 경기대학교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특임교수 박병운 (Pyong-Woon Park) [ 정회원 ] 1981 년 8 월 : 연세대학교물리학과 ( 이학사 ) 1985 년 8 월 : 미국 Indiana 대학교물리학과 ( 물리학석사 ) 1990 년 9 월 : 미국 Indiana 대학교물리학과 ( 물리학박사 ) 1991 년 1 월 1994 년 9 월 : 한국전자통신연구소선임연구원 1994 년 9 월 1996 년 9 월 : 한국정신과학연구소책임연구원 1994 년 10 월 1998 년 12 월 : 한국정신과학학회총무이사 1996 년 9 월 현재 : 한국정신과학연구소소장 1998 년 9 월 2012 년 5 월 : 브레인테크 ( 주 ) 대표이사 1999 년 1 월 2006 년 12 월 : 한국정신과학학회이사 2000 년 6 월 2008 년 6 월 : 국립치료감호소자문위원 2004 년 8 월 2008 년 2 월 :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뇌과학전공겸임교수 2008 년 3 월 2009 년 8 월 :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뇌과학전공주임교수 2010 년 9 월 2016 년 2 월 :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뇌과학전공주임교수 2011 년 11 월 현재 : ( 주 ) 파낙토스대표이사 2013 년 9 월 2016 년 2 월 :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부총장 2014 년 1 월 2015 년 2 월 :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총장대행 2016 년 3 월 현재 :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석좌교수 물리학, 뇌과학, 뇌파뉴로피드백, BMI 뇌과학, 뇌인지과학, 뉴로피드백, 명상, 게슈탈트심리치료, 예술치료 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