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연구 Studies on Korean Youth ISSN 1225-6336(Print) / 2288-8799(Online) http://dx.doi.org/10.14816/sky.2015.26.2.115 강근모 * 이준기 ** 초록 본연구는청소년가출관련변인들의선행연구를바탕으로가출관련변인과개인변인 ( 개방형의사소통, 내재화등 ), 가족변인 ( 가족갈등, 가족관계, 가족유대감등 ), 또래및사회변인 ( 가출경험친구수, 또래동조성등 ), 학교변인 ( 교사지지, 학교생활만족도등 ) 간의효과크기를메타분석을통해검증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효과크기산출을위해 1999 년부터 2014 년까지국내에서발표된학위및등재지논문가운데가출변인들간의상관계수를제공한 14 편 ( 학위논문 10 편, 등재지논문 4 편 ) 의논문을선정하였고, 개인변인 (41 개효과크기 ), 가족변인 (24 개효과크기 ), 또래및사회변인 (15 개효과크기 ), 학교변인 (17 개효과크기 ) 을산출하였다. 본연구의결과를정리하면다음과같다. 첫째, 메타분석을통해통합된상관계수의결과가출관련변인과개인변인, 가족변인, 학교변인은낮은상관관계를보였고, 또래및사회변인은중간정도의상관관계를보였다. 둘째, 상관관계의이질성을분석하기위해출판형식, 연령, 대상은메타 ANOVA 로분석하였고, 발행연도는메타회귀분석으로분석하였다. 조절변인에따라이질성을분석한결과는대상변인에서만이질성을검증하였고, 이는가족변인 ( 일반청소년 > 일반및쉼터청소년 ) 과학교변인 ( 쉼터청소년 > 일반청소년 ) 에서만확인하였다. 또한발행연도는개인변인, 가족변인, 또래및사회변인에서연도에따라역상관의이질성을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연구대상으로선정한논문들의출판오류를검증하기위해실시한 funnel plot 과 trim and fill test 의결과, 개인변인과학교변인에서는출판오류의가능성이있는것으로나타났지만가족변인과또래및사회변인에서는출판오류의가능성이낮은것으로나타났다. 주제어 : 청소년, 가출, 메타분석 * 대구청소년지원재단, 제 1 저자 ** 대구청소년지원재단, 교신저자, junki77@naver.com - 115 -
한국청소년연구제 26 권제 2 호 Ⅰ. 서론 청소년가출은 1997년외환위기이후가족해체가가속화되면서그수가급격히증가하였고, 최근들어여러매체들을통해만나고, 가출청소년들끼리동거하는가출팸의형태로변화하고있다 ( 여성가족부, 2012a). 가출을경험한청소년의수는일반청소년이약 12.2%, 특수집단 ( 비행, 학교부적응등 ) 은 72.8% 에달하고있으며, 경찰청실종아동찾기신고센터에신고된만 9세에서 19세이하아동 청소년의수는 2008년 23,097명, 2009년 22,287명, 2010년 28,124명, 2011년 29,281명으로매년증가하고있는추세이다 ( 여성가족부, 2012b). 2010년실시한가출청소년및청소년쉼터실태조사 ( 남미애, 육혜련, 오현자, 서보람, 2010) 에따르면, 첫가출시기는 13세이하 44.9% 14세 16 세 50.2%, 17세이상 4.9% 로나타나첫가출은중학교시기가높은비율로나타났다. 최초가출연령은 2008년 13.9세에서 2011년 13.6세로저연령화되고있으며, 가출청소년의평균가출횟수는 7.8회로나타났다. 총가출횟수는 1번이 10.6% 로가장낮았으며, 6번이상이 38.8% 로반복적가출비율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 여성가족부, 2012b). 가출은단순히집에서나가밖에서생활하는것으로끝나지않고가출후청소년들은흡연 (87.3%), 음주 (79.1%) 를경험하게되고, 거리생활을하면서건강악화는물론절도 (57.8%), 폭행 (47.7%), 갈취 (45.3%) 와같은사회적문제를일으키거나범죄의대상이되는사례가빈번히발생하여사회적부작용이심각한실정이다 ( 여성가족부, 2013). 이러한청소년문제를해결하고자 1992년청소년쉼터설치를시작으로, 참여정부 에서는 가출청소년쉼터확대 를대선공약으로선정하고추진하였다. 그결과 2004년 청소년복지지원법 을제정함으로써청소년쉼터의설치근거를마련하여단일유형의쉼터로운영하던방식에서가출청소년의상황및욕구수준을고려한일시쉼터 (2004 년 ), 중장기쉼터 (2005년 ) 를전국에설치하여운영중에있다 ( 여성가족부, 2013). 2006 년부터위기청소년을위한사회적안전망인지역사회청소년통합지원체계구축과동시에 16개시 도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위기청소년을위한일시보호소를설치하여위기청소년들을위한복지지원서비스를제공하고있다. 그에발맞춰학계에서는가출청소년문제해결을위하여가출청소년실태조사, 가출청소년특화프로그램개발보급, 쉼터적응을위한프로그램개발, 가출청소년의심리적특성파악, 가출청소 - 116 -
청소년가출관련변인의메타분석 년의가출원인분석등의연구를발표하였다. 그중청소년가출에영향을미치는요인들에대한선행연구를살펴보면인구통계학적변인 ( 김지영, 2003; 박명숙, 2006; 정규석, 2007; 이상무, 남성희, 2012; 신지현, 2013; 이유신, 2013), 개인변인 ( 김지영, 2003; 김연정, 2004; 조학래, 2004; 남미경, 2007; 정규석, 2007; 이상무, 남성희, 2012; 정여진, 2012; 정재우, 2013), 가족변인 ( 김연정, 2004; 조학래, 2004; 남미경, 2007; 정규석, 2007; 정여진, 2012; 김옥숙, 2008; 조윤주, 강란혜, 2010; 노성희, 2011; 이상무, 남성희, 2012; 배은자, 2013; 이유신, 2013; 정재우, 2013), 또래및사회관련변인 ( 김연정, 2004; 정규석, 2007; 조성희, 박소영, 2010; 이상무, 남성희, 2012; 정여진, 2012), 학교변인 ( 조학래, 2004; 박명숙, 2006; 남미경, 2007; 정규석, 2007; 조성희, 박소영, 2010; 정여진, 2012; 배은자, 2013; 이유신, 2013) 을구분하여발표하였고, 가출청소년이지니고있는고유한심리적특성을종속변수 ( 자살, 우울, 비행행동등 ) 로두어변수들의관계를분석한연구 ( 김문정 2001; 최해경, 김선숙, 2009; 박소영, 조성희, 2011; 이장범, 2012; 이희춘, 2013; 육혜련, 2014) 들을제시하여가출청소년의가출예방과가출이후의회복을위한이론적근거를마련하였다. 그리고가출청소들에대한위험요인과보호요인의영향을분석한연구 ( 한상철, 2010; 이상준, 2011) 를발표하여가출청소년지원을위한이론적근간을마련하였다. 그러나선행연구중변인들과가출의관계를분석한연구들이일관된결과를보이지않기에검토가이루어져야할것이다. 그중가출과성차가관계가있다는결론 ( 정규석, 2007; 이상무, 남성희, 2012) 이있는가하면, 관계가없다는결론 ( 이유신, 2013; 김지영, 2003) 이있어서로상반된결론에이르고있으며, 가출과가족과의관계가있다는결론 ( 박명숙, 2006; 정여진, 2012) 과반대로관계가없다는결론 ( 김연정, 2004; 배은자, 2013) 등일부변인에서상이한결과를보고하였다. 이러한연구결과의불일치는가출청소년에대한지원을이론적근거를마련하는데제한점이될수있다. 이러한청소년가출관련연구의불일치성을극복하기위해서는청소년가출과관련변인과의관계를연구한논문들을분석하여변인들이청소년가출에미치는효과크기를살펴보는것이필요하다. 또한가출과관련된변인의영향력이시대적으로어떻게변화하고있는지를파악하여반복적으로시행하는연구들의비효율성을줄이고자한다. 더나아가청소년가출예방및회복을위해우선적으로고려해야하는변 - 117 -
한국청소년연구제 26 권제 2 호 인과가출청소년관련프로그램개발을위한이론적근거를제시하고자한다. 이러한연구과제를분석하기위해활용하는연구방법이메타분석이다. 메타분석은제기된문제에대해일반적결론을도출하기위하여이미이루어진통계적분석결과들을분석하는것이라할수있겠다 (Glass, McGaw & Smith, 1981). 한분야의연구가진보하기위해서는기존에발표한선행연구들을종합하여지금까지의논의와한계를수용하고앞으로의연구를모색하는것이연구의발달에필수적인과제라할수있겠다 ( 정애경, 김계현, 김동민, 2008). 따라서지금까지청소년가출과관련된변인들의관계를파악한선행연구들을체계적으로정리하여, 연구간의불일치점을찾고, 어떤부분이부족한지를드러냄으로써향후연구방향을제시하고자한다 ( 장덕호, 신인수, 2011). 이에본연구에서는청소년가출에영향을미치는변인에대해연구를시작한 1999년부터 2014년까지국내의청소년가출관련논문에서관계를분석한학술지논문및석 박사학위논문들을메타분석하여변인들의영향력을살펴볼것이다. 그리고메타회귀분석을통하여가출에영향을미친변인들의시대적변화추이를분석하고자한다. 아직국내에서는가출과관련된변인들에대한메타회귀분석을실시한연구가없기에본연구를통해청소년가출원인의구체적탐색하고, 가출청소년을위한상담및교육프로그램의이론적근거를제시하는데도움을주고자한다. 이러한연구목적에따른연구문제는다음과같다. 첫째, 청소년가출에영향을미치는변인들 ( 개인변인, 가족변인, 또래및사회변인, 학교변인 ) 의평균효과크기는어떠한가? 둘째, 청소년가출에영향을미치는변인들 ( 개인변인, 가족변인, 또래및사회변인, 학교변인 ) 의효과크기는조절변인 ( 발행연도, 출판형식, 연령, 대상 ) 에따라다른가? - 118 -
청소년가출관련변인의메타분석 Ⅱ. 연구방법 1. 자료수집 표 1 자료선정기준 변인유형 연구대상 구체적변인 Ÿ 청소년을대상으로가출에관한상관관계연구 형태 Ÿ 양적연구 독립변인 Ÿ 개인변인 ( 외현화, 의사소통능력, 자기통제력, 자기존중감, 정서적불안정등 ) Ÿ 가족변인 ( 가족구조, 가족기능, 가족유대감, 부모감독, 부모애착등 ) Ÿ 또래및사회변인 ( 가출경험친구수, 또래지지, 비행친구수, 성인지지등 ) Ÿ 학교변인 ( 교사지지, 동아리활동, 학교계열, 학교성적, 학업성적등 ) 종속변인 Ÿ 가출관련변인 ( 가출, 가출경험, 가출생각, 가출충동, 가출빈도 ) 조절변인 통계값 Ÿ 출판형식 ( 학위논문, 학회지 ) Ÿ 대상연령 ( 중, 고, 중 고, 초 중 고 ) Ÿ 대상 ( 일반청소년, 쉼터청소년, 일반및쉼터청소년, 일반및소년원청소년 ) Ÿ 발행연도 (1999 년 2014 년 ) Ÿ 효과크기를산출하는데필요한변인간의상관관계 r 값을제시한연구 본연구의자료수집대상은청소년가출의원인을분석한연구중독립변인과종속변인간의상관관계 r 값을보고한 2001년부터 2014년까지출간된국내학위논문및학술지논문으로선정하였다. 먼저국회전자도서관, 인터넷학술정보검색사이트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RISS), 한국학술정보 (KISS)) 에서청소년, 가출, 두가지를 key word로연구논문들을검색하였고, 이를 Cochrane Collaboration 에서요구하는절차에따라실시하여 (Higgins, 2011), 그림 1과같이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flowchart 로제시하였다. 최종분석대상에포함된연구물은가출을종속변인으로하여변인간의상관관계 ( r 값 ) 를제시한학위논문 10편, 등재지논문 4편을메타분석에분석대상으로선정하였다. - 119 -
한국청소년연구제 26 권제 2 호 그림 1. 메타분석에대한 PRISMA flowchart 2. 변인구분 PRISMA flowchart 과정을통해수집한 14편의연구에서종속변인인가출관련변인 ( 가출, 가출경험, 가출생각, 가출충동, 가출빈도 ) 에영향을미친요인을개인변인 ( 개방형의사소통, 내재화, 문제해결능력, 문제형의사소통, 부정적노동경험, 성별, 역할, 연령, 외현화, 의사소통능력, 일반기능, 자기손상,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적응유연성, 정서적관여, 정서적반응, 정서적불안정성, 정체성문제, 좌절내성부족, 충동조절행동통제 ), 가족변인 ( 가족갈등, 가족관계, 가족구조, 가족기능, 가족유대감, 가족지지, 과보호적양육태도, 민주적양육태도, 부모간의갈등, 부모감독, 부모애착, 부모약물, 부모약물태도, 부모의자녀지도, 부모자녀관계, 부부관계, 부정적가족관계, 부정적관계 ), 또래및사회변인 ( 가출경험친구수, 고민상담자여부, 또래동조성, 또래지지, 비행친구수, 사회적낙인, 사회참여활동, 성인지지, 지역사회환경, 친구지지 ), 학교변인 ( 교사지지, 동아리활동, 무단결석, 학교계열, 학교생활만족도, 학교생활불만족, 학교성적, 학교체벌, 학교폭력, 학업성적, 학업중단 ) 으로구분하였다. 조절변인은평균효과크기에영향을주는변수로연구수준 (study level) 의변인을말한다. 본연구에서는연구대상논문들을분석하고, 코딩절차를통해효과크기에차이를가져올수있는연령 ( 중학생, 고등학생, 중 고등학생, 초 중 고등학생 ), 조사대상자 ( 일반청소년, 쉼터청소년, - 120 -
청소년가출관련변인의메타분석 일반및쉼터청소년, 일반및소년원청소년 ), 발행연도 (1999 년 2014 년 ) 로구분하 여이질성을분석하였다. 3. 코딩매뉴얼및자료코딩 분석대상의논문을분석하기위하여연구목적에부합하는문헌들을체계적으로분석하기위해코딩매뉴얼과코딩표를구성하고, EXCEL 프로그램에입력하는방식으로하였다. 먼저연구에대한기본정보는연구제목, 연구자명, 출판형식, 발행기관, 발행연도, DB를포함하였다. 연구의직접적인정보는대상자의성별, 연령, 지역, 조사대상자 ( 쉼터청소년, 비가출청소년, 소년원생활등 ) 을포함하였다. 효과크기계산과관련된정보는가출과관련된변인들의상관관계를보는 값을코딩하였다. 이는,, 값을 값으로변환하여사용할수있으나산출된효과크기에다소차이가생기는문제가있기에 값으로만한정하였다 ( 문동규, 2011에서재인용 ). 코딩매뉴얼에따라작성된코딩표를바탕으로교육학박사와청소년학박사의의견을반영하여코딩하였으며, 코딩과정에서연구자간에충분한협의를통해신뢰성을높이는데노력하였다. 분석은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2.0 프로그램을사용하였다. 4. 자료분석 1) 효과크기 Fisher s z 효과크기 (effect size) 란여러통계값들의표준화된값을말하는것으로메타분석을가능하게하는값이다 ( 진윤아, 2015). 효과크기는주로 Cohen s 와 Hedges s, Pearson 과 Fisher s, OR과 RR 및 RD로표현되는데본연구에서는변수간의관계의정도를검증하는방식인 Pearson 과 Fisher s 를사용하였으며이중 Fisher s 를계산하여분석하였다. 이는 Pearson s 효과크기는분산의분포가상관계수값의영향을많이받기에정상분포하는분산값을가지는 Fisher s 값으로변환하여 (Bernard & Borokhovski, 2009) 사용하였다. 또한상관계수 의효과크기의해석은 - 121 -
한국청소년연구제 26 권제 2 호 =.10 이하이면작은효과크기, =.24 는중간정도의효과크기, =.37 이상은큰효과 크기로해석한다 (Cohen, 1988). < 상관계수공식 > =Pearson s r 의분산 ln =Fisher s z 의분산 =Fisher s z 의표준오차 2) 동질성및이질성검증 동질성검증은모든효과크기들이동일한모집단에서효과크기의추정여부를검증 ( 오성삼, 2002) 하지만효과크기의동질성만을검증하는데사용한다 ( 황성동, 2014). 값은표집오차분산 (sampling error variance 또는 random error variance) 과실제연구간분산 (true variance) 을모두포함한총분산 (total variance) 을의미하기에효과크기의동질성을넘어선초과분산을산출해야한다. < 동질성공식 > Q= 관찰된분포의정도, W= 가중치, g= 효과크기 이를위해연구간효과크기의실제분산을나타내는 과총분산에대한실제분산의비율을나타내는 값을사용하였다. 값이 50% 이상이고, 동질성검증의유의확률이 0.10보다작은경우효과크기의이질성은상당하다고판단하였다 (Higgins & Green, 2008). - 122 -
청소년가출관련변인의메타분석 < 이질성공식 > = 연구간분산, df= 자유도 C= 계수인자 (Scaling factor) = 실제분산의비율 그리고이질성의효과크기를조절변인으로설명하는정도를살펴보기위해메타 ANOVA 와메타회귀분석 (meta-regression) 을실시하였다. 조절변수인이범주형인출판유형, 연령, 대상은메타 ANOVA 로분석하였고, 조절변수인이연속형인발행연도는메타회귀분석으로분석하였다. 또한집단구분변수에의해설명되는분산의정도를알아보기위해 을사용하였다. < 분산설명력공식 - 메타 ANOVA> R 2 = 설명되는분산의정도 < 분산설명력공식 - 메타회귀분석 > R 2 = 설명되는분산의정도 3) 출판오류의분석 출판오류의분석은연구결과의속성이나방향에따라연구결과가출판되거나출판되지못하는오류를의미한다 (Higgins & Green, 2008). 즉, 출판된연구의결과가모든연구의결과를대표하지못할때출판오류는발생한다 ( 황성동, 2014). 본연구에서는출판오류를분석하기위해표본의크기와효과크기의관계를보여주는 funnel plot 과비대칭을대칭으로교정하여관찰값과교정값의차이와결측연구의수를제시하는 trim and fill 기법을사용하였다. - 123 -
한국청소년연구제 26 권제 2 호 Ⅲ. 연구결과 1) 평균효과크기 청소년가출에미치는변인들의상관관계효과크기를규명하고자 1999년부터 2014 년까지국내에서발표된논문 ( 학위논문 10편, 등재지논문 4편 ) 을분석대상연구물로선정한 14편의논문들로부터개인변인 (41개의효과크기 ), 가족변인 (21개의효과크기 ), 또래및사회변인 (15개의효과크기 ), 학교변인 (17개의효과크기 ) 별로결과를도출하였으며, 그결과는표 2와같다. 표 2에서보는바와같이가출관련변인과개인변인간의상관관계를산출한결과에서효과크기는 =0.088(95% CI: 0.020 0.154) 로나타났는데이는 cohen(1988) 에의하면작은효과크기라고해석한다 (Beeson & Robey, 2006; 이영만, 조윤주, 2014). 그리고 Q=715.17(df=40, p=0.000) 으로효과크기는동질하지않음을설명하며, 값은 94.40으로큰크기의이질성을나타내는것으로해석할수있다 (Borenstein, Hedges, Higgins & Rothstein, 2009). 두번째로가출관련변인과가족변인간의상관관계를산출한결과에서효과크기는표 2와같으며, =-0.168(95% CI: -0.279-0.058) 로작은효과의차이가있는것으로확인하였으며, Q=788.57(df=23, p=0.000) 으로효과크기는동질하지않음을확인할수있고, 값은 97.08로큰크기의이질성을나타내는것으로해석할수있다. 세번째로가출관련변인과또래및사회변인간의상관관계를산출한효과크기는표 2와같으며, =0.235(95% CI: 0.059 0.410) 으로중간정도의효과크기가있는것으로확인하였으며, Q=487.72(df=14, p=0.000) 으로효과크기는동질하지않음을확인할수있고, 값은 97.13으로큰크기의이질성을나타내는것으로해석할수있다. 마지막으로가출관련변인과학교변인간의상관관계를산출한효과크기는표 2와같으며, =0.146(95% CI: 0.002 0.289) 로작은효과의차이가있는것으로확인하였으며, Q=559.56(df=16, p=0.000) 으로효과크기는동질하지않음을확인할수있고, 값은 97.14로큰크기의이질성을나타내는것으로해석할수있다. 이와같이큰크기의이질성을띄고있는각변인들이어디에기인하는지를분석하기위해조절효과분석을실시하였다. - 124 -
청소년가출관련변인의메타분석 표 2 가출종속변인이가출관련변인에미치는전체효과크기 관련변인 개인변인 가족변인 또래및사회변인 학교변인 Model κ 95% CI Lower Upper df (Q) Fixed 41 0.036 0.020 0.052 715.17 40 0.000 94.40 0.045 Random 41 0.088 0.020 0.154 Fixed 24-0.190-0.208-0.172 788.57 23 0.000 97.08 0.072 Random 24-0.168-0.279-0.058 Fixed 15 0.220 0.191 0.250 487.72 14 0.000 97.13 0.115 Random 15 0.235 0.059 0.410 Fixed 17 0.099 0.075 0.123 559.56 16 0.000 97.14 0.088 Random 17 0.146 0.002 0.289 *κ-number of effect sizes, Z r -Fisher s z, 95% CI-95%, *Q- ( ), df-, I 2 -, T 2 - 본연구에서설정한조절변인들은연속형변인 ( 발행연도 ) 과범주형변인 ( 출판형식, 연령, 대상 ) 으로나누어진다. 연속형변인은메타회귀분석을통해분석하였고, 범주형변인은메타 ANOVA 를통해조절변인을분석하였다. 먼저개인변인의효과크기에서 =94.40 으로개별연구들간의이질성이높은것을확인하였기에출판형식, 연령, 대상을조절변인으로선정한메타 ANOVA 의분석하였으며, 그결과는표 3과같다. 먼저출판형식의효과크기는표 3에서보는바와같이학위논문 0.064, 학회지논문 0.107로나타났으며, Q=0.389(df=1, p=0.533) 이다. Higgins 와 Green(2011) 는동질성검증의유의확률이.10보다작은경우효과크기의이질성은상당하다고보고한다. 이에따르면출판형식은.10 수준에서통계적으로유의하지않기에출판형식별연구들이동질적일가능성이높다. 다음으로연령의효과크기는표 3에서보는바와같이고등학생 0.077, 중 고등학생 0.088, 초 중 고등학생 0.150으로나타났으며, Q=0.473(df=2, p=0.790) 으로.10 수준에서통계적으로유의하지않기에연령별연구들이동질적일가능성이높다. 그리고대상의효과크기 - 125 -
한국청소년연구제 26 권제 2 호 는표 3에서보는바와같이효과크기는일반및소년원청소년 0.121, 일반및쉼터청소년 0.069, 일반청소년 0.068로나타났으며, Q=0.551(df=2, p=0.759) 으로.10 수준에서통계적으로유의하지않기에출판형식별연구들이동질적일가능성이높다. 이와같이개인변인의효과크기에서나타나는이질성을설명하기위해설정한범주형변인들은이질성을설명하지못한다고할수있다. 표 3 개인변인 혼합효과분석 (Mixed effects analysis) 출간형태 연령 대상 조절변인 κ 95% CI Lower Upper 학위 19 0.064-0.035 0.163 학회지 22 0.107 0.017 0.197 고 30 0.077-0.002 0.157 중, 고 5 0.088-0.106 0.281 초, 중, 고 6 0.150-0.042 0.342 일반및소년원청소년 일반및쉼터청소년 15 0.121 0.010 0.232 6 0.069-0.105 0.242 일반청소년 20 0.068-0.029 0.165 0.389 1 0.533 0.044 0.473 2 0.790 0.047 0.551 2 0.759 0.045 *κ-number of effect sizes, Z r -Fisher s z, 95% CI-95%, *Q- ( ), df-, T 2 within-, R 2 - 두번째로가족변인의효과크기에서 =97.08 로개별연구들간의이질성이높은것을확인하였기에출판형식, 연령, 대상을조절변인으로선정한메타 ANOVA 의분석하였으며, 그결과는표 4와같다. 먼저출판형식의효과크기는표 4에서보는바와같이학위논문 0.186, 학회지논문 0.127 로나타났으며, Q=0.216(df=1, p=0.642) 로.10 수준에서통계적으로유의하지않기에출판형식별연구들이동질적일가능성이 - 126 -
청소년가출관련변인의메타분석 높다. 다음으로연령의효과크기는표 4에서보는바와같이고등학생 0.139, 중학생 0.416, 중 고등학생 0.147, 초 중 고등학생 0.114 로나타났으며, Q=2.408(df=3, p=0.492) 로.10 수준에서통계적으로유의하지않기에연령별연구들이동질적일가능성이높다. 그리고대상의효과크기는표 4에서보는바와같이쉼터청소년 0.267, 일반및소년원청소년 0.090, 일반및쉼터청소년 0.422, 일반청소년 0.149로나타났으며, Q=6.288(df=3, p=0.098) 로.10 수준에서통계적으로유의하기에출판형식별연구들이동질하지않음을확인할수있으며, 대상중일반및쉼터청소년을대상으로한연구들이가장효과가큰것으로나타났다. 또한대상에의해설명되는분산의정도는 =0.097 이기에전체실제분산 ( ) 의 9.7% 가대상변인으로설명된다고분석할수있다. 표 4 가족변인 혼합효과분석 (Mixed effects analysis) 출간형태 연령 대상 95% CI 조절변인 κ Lower Upper 학위 17-0.186-0.321-0.051 학회지 7-0.127-0.335 0.082 고 12-0.139-0.302 0.025 중 3-0.416-0.752-0.080 중, 고 4-0.147-0.427 0.134 초, 중, 고 5-0.114-0.374 0.145 쉼터청소년 3-0.267-0.566 0.032 일반및소년원청소년일반및쉼터청소년 3 0.090-0.207 0.386 3-0.422-0.716-0.129 일반청소년 15-0.149-0.282-0.016 0.216 1 0.642 0.077 2.408 3 0.492 0.081 6.288 3 0.098 0.065 0.097 *κ-number of effect sizes, Z r -Fisher s z, 95% CI-95%, *Q- ( ), df-, T 2 within-, R 2 - - 127 -
한국청소년연구제 26 권제 2 호 세번째로또래및사회변인의효과크기에서 =97.13 으로개별연구들간의이질성이높은것을확인하였기에출판형식, 연령, 대상을조절변인으로선정한메타 ANOVA 의분석하였으며, 그결과는표 5와같다. 먼저출판형식의효과크기는표 5에서보는바와같이학위논문 0.240, 학회지논문 0.227 로나타났으며, Q=0.005(df=1, p=0.945) 로.10 수준에서통계적으로유의하지않기에출판형식별연구들이동질적일가능성이높다. 다음으로연령의효과크기는표 5에서보는바와같이고등학생 0.310, 중 고등학생 0.110, 초 중 고등학생 0.256 으로나타났으며, Q=0.710(df=2, p=0.701) 로.10 수준에서통계적으로유의하지않기에연령별연구들이동질적일가능성이높다. 그리고대상의효과크기는표 5에서보는바와같이쉼터청소년 0.471, 일반및쉼터청소년 0.197, 일반청소년 0.229로나타났으며, Q=0.465(df=2, p=0.792) 로.10 수준에서통계적으로유의하지않기에출판형식별연구들이동질적일가능성이높다. 이와같이또래및사회변인의효과크기에서나타나는이질성을설명하기위해설정한범주형변인들은이질성을설명하지못한다고할수있다. 표 5 또래및사회변인 혼합효과분석 (Mixed effects analysis) 출간형태 연령 대상 95% CI 조절변인 κ Lower Upper 학위 9 0.240 0.002 0.478 학회지 6 0.227-0.060 0.514 고 5 0.310-0.007 0.627 중, 고 4 0.110-0.246 0.465 초, 중, 고 6 0.256-0.042 0.553 쉼터청소년 1 0.471-0.252 1.194 일반및쉼터청소년 5 0.197-0.124 0.518 일반청소년 9 0.229-0.014 0.473 0.005 1 0.945 0.126 0.710 2 0.701 0.128 0.465 2 0.792 0.126 *κ-number of effect sizes, Z r -Fisher s z, 95% CI-95%, *Q- ( ), df-, T 2 within-, R 2 - - 128 -
청소년가출관련변인의메타분석 마지막으로학교변인의효과크기에서 =97.14 로개별연구들간의이질성이높은것을확인하였기에출판형식, 연령, 대상을조절변인으로선정한메타 ANOVA 의분석하였으며, 그결과는표 6과같다. 먼저출판형식의효과크기는표 6에서보는바와같이학위논문 0.245, 학회지논문 0.035로나타났으며, Q=2.110(df=1, p=0.146) 으로.10 수준에서통계적으로유의하지않기에출판형식별연구들이동질적일가능성이높다. 다음으로연령의효과크기는표 6에서보는바와같이고등학생 0.066, 중 고등학생 0.146, 초 중 고등학생 0.361로나타났으며, Q=2.109(df=2, p=0.348) 로.10 수준에서통계적으로유의하지않기에연령별연구들이동질적일가능성이높다. 그리고대상의효과크기는표 6에서보는바와같이쉼터청소년 0.361, 일반및쉼터청소년 0.180, 일반청소년 0.177로나타났으며, Q=6.749(df=2, p=0.034) 로.10 수준에서통계적으로유의하기에출판형식별연구들이동질하지않음을확인할수있으며, 대상중쉼터청소년을대상으로한연구들이가장효과가큰것으로나타났다. 또한대상에의해설명되는분산의정도는 =0.250 이기에전체실제분산 ( ) 의 25% 가대상변인으로설명된다고분석할수있다. 표 6 학교변인 혼합효과분석 (Mixed effects analysis) 출간형태 연령 대상 95% CI 조절변인 κ Lower Upper 학위 9 0.245 0.050 0.439 학회지 8 0.035-0.171 0.241 고 8 0.066-0.140 0.272 중, 고 6 0.146-0.092 0.385 초, 중, 고 3 0.361 0.020 0.702 쉼터청소년 3 0.361 0.060 0.662 일반및쉼터청소년 3-0.180-0.476 0.117 일반청소년 11 0.177 0.022 0.332 2.110 1 0.146 0.086 2.109 2 0.348 0.086 6.749 2 0.034 0.066 0.250 *κ-number of effect sizes, Z r -Fisher s z, 95% CI-95%, *Q- ( ), df-, T 2 within-, R 2 - - 129 -
한국청소년연구제 26 권제 2 호 본연구에서설정한조절변수중연속형변인인발행연도에따른효과크기의변화 를정밀히탐색하기위해메타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개인변인에관한메타회귀분석 결과는그림 2 와같으며, 원의크기는분석연구들의효과크기를나타낸다. 그림 2. 개인변인에관한발행연도메타회귀분석 이러한메타회귀분석결과는회귀모형의적합성을나타내는 Model =101.367( =1, =0.000) 이므로통계적으로유의미한모형으로나타났다. 그리고기울기의계수 는 0.01825( =-10.068, =0.000) 으로서유의한것으로나타났다. 이와같은결과는 발행연도가지나감에따라개인변인이점차중요도가낮아져역상관을나타내고있음을 의미하며, =0.040 이기에발행연도에의해설명되는분산의정도는 =0.111 이므로전체실제분산 ( ) 의 11.1% 가대상변인으로설명된다고분석할수있다. 두번째로가족변인에관한메타회귀분석결과는그림 3 과같다. 그림 3. 가족변인에관한발행연도메타회귀분석 - 130 -
청소년가출관련변인의메타분석 이러한메타회귀분석결과는회귀모형의적합성을나타내는 Model =75.2547( =1, =0.000) 이므로통계적으로유의미한모형으로나타났다. 그리고기울기의계수 는 0.01944( =-8.674, =0.000) 으로서유의한것으로나타났다. 이와같은결과는 발행연도가지나감에따라가족변인또한점차중요도가낮아져역상관을나타내고 있음을의미하며, =0.070 이기에발행연도에의해설명되는분산의정도는 =0.027 이므로전체실제분산 ( ) 의 2.7% 가대상변인으로설명된다고분석할수 있다. 세번째로또래및사회변인에관한메타회귀분석결과는그림 4 와같다. 그림 4. 또래및사회변인에관한발행연도메타회귀분석 이러한메타회귀분석결과는회귀모형의적합성을나타내는 Model =34.378( =1, =0.000) 이므로통계적으로유의미한모형으로나타났다. 그리고기울기의계수는 0.03303( =-5.863, =0.000) 으로서유의한것으로나타났다. 이와같은결과는발행연 도가지나감에따라가족변인또한점차중요도가낮아져역상관을나타내고있음을 의미하며, =0.113 이기에발행연도에의해설명되는분산의정도는 =0.017 이므로전체실제분산 ( ) 의 1.7% 가대상변인으로설명된다고분석할수있다. 마지막으로학교변인에관한메타회귀분석은 Model Q=0.30200( =1, =0.582) 이 므로통계적으로유의미하지못한모형이기에학교변인에서발행연도는적절한조절 변수가아닌것으로나타났다. - 131 -
한국청소년연구제 26 권제 2 호 2) 출판오류의분석 최종선정된 14편의논문 ( 개인변인 =41개의효과크기, 가족변인 =21개의효과크기, 또래및사회변인 =15개의효과크기, 학교변인 =17개의효과크기 ) 에대해출판오류의분석을실시하였으며, 그결과는그림 5, 그림 6, 그림 7, 그림 8과같이 funnel plot 을제시하였다. 먼저개인변인에관한논문들을살펴보면, 그림 5에서보는바와같이 funnel plot으로분석한결과는좌우대칭형을이루고있다고볼수없다. 이를자세히알아보기위해서 Duval과 Tweedie(2000) 가개발한 trim and fill 기법으로비대칭을대칭으로교정한결과는표 7과같다. 출판오류로인해메타분석에포함하지못한효과크기사례들은 13편으로결측연구의수가많은편이었으며, 관찰값의효과크기 (0.03604, 95% CI: 0.02036 0.05171) 과조정값의효과크기 (-0.04036, 95% CI: -0.05436-0.02634) 를비교했을때차이가큰것으로나타났기에개인변인에관한논문들은출판편의의가능성이있다고할수있다. 두번째로가족변인에관한논문들을살펴보면, 그림 6에서보는바와같이 funnel plot으로분석한결과는좌우대칭형을확인할수있으나연구자에따라다르게판단이내려질수있는오류가발생할수있기에 trim and fill 기법으로교정하였으며, 그결과는표 7과같다. 출판오류로인해메타분석에포함하지못한효과크기사례들은 3편으로결측연구의수가적은편이었으며, 관찰값의효과크기 (-0.19010, 95% CI: -0.20845-0.17176) 와조정값의효과크기 (-0.23386, 95% CI: -0.25140-0.21632) 를비교했을때차이가크지않기에본연구는통계적으로의미있는결과라할수있다. 세번째로또래및사회변인에관한논문들을살펴보면, 그림 7에서보는바와같이 funnel plot으로분석한결과는좌우대칭형을확인할수있으나연구자에따라다르게판단이내려질수있는오류가발생할수있기에 trim and fill 기법으로교정하였으며, 그결과는표 7과같다. 출판오류로인해메타분석에포함하지못한효과크기사례들은 3편으로결측연구의수가적은편이었으며, 관찰값의효과크기 (0.21698, 95% CI: 0.18912 0.24449) 와조정값의효과크기 (0.11238, 95% CI: 0.08613 0.13847) 를비교했을때차이가크지않기에본연구는통계적으로의미있는결과라할수있다. - 132 -
청소년가출관련변인의메타분석 마지막으로학교변인에관한논문들을살펴보면, 그림 8에서보는바와같이 funnel plot으로분석한결과는좌우대칭형을이루고있다고볼수없다. 이를자세히알아보기위해서 trim and fill 기법으로교정하였으며, 그결과는표 7과같다. 출판오류로인해메타분석에포함하지못한효과크기사례들은 6편으로결측연구의수가적은편이었으며, 관찰값의효과크기 (0.09897, 95% CI: 0.07508 0.12274) 와조정값의효과크기 (-0.04859, 95% CI: -0.06963-0.02751) 를비교했을때차이가큰것으로나타났기에학교변인에관한논문들은출판편의의가능성이있다고할수있다. 0.00 0.00 0.05 0.05 0.10 0.10 0.15 0.15 0.20-2.0-1.5-1.0-0.5 0.0 0.5 1.0 1.5 2.0 Fisher's Z 그림 5. 개인변인에관한 funnel plot 0.20-2.0-1.5-1.0-0.5 0.0 0.5 1.0 1.5 2.0 Fisher's Z 그림 6. 가족변인에관한 funnel plot 0.00 0.00 0.05 0.05 0.10 0.10 0.15 0.15 0.20-2.0-1.5-1.0-0.5 0.0 0.5 1.0 1.5 2.0 Fisher's Z 그림 7. 또래및사회변인에관한 funnel plot 0.20-2.0-1.5-1.0-0.5 0.0 0.5 1.0 1.5 2.0 Fisher's Z 그림 8. 학교변인에관한 funnel plot - 133 -
한국청소년연구제 26 권제 2 호 표 7 Duval and Tweedie s trim and fill 관찰값 조정값 개인변인 가족변인 또래및사회변인 학교변인 추정치 0.03604-0.19010 0.21698 0.09897 하한값 0.02036-0.20845 0.18912 0.07508 상한값 0.05171-0.17176 0.24449 0.12274 추정치 -0.04036-0.23386 0.11238-0.04859 하한값 -0.05436-0.25140 0.08613-0.06963 상한값 -0.02634-0.21632 0.13847-0.02751 제외된연구 13 3 3 6 Ⅳ. 논의및결론 1) 가출관련변인과변인들의관계 본연구는청소년가출에영향을미치는관련변인들을통합하기위해 1999년부터 2014년까지국내에서발간된학위논문및학술지에게재된논문을대상으로메타분석하였다. 연구에서활용한가출관련변인을종속변인으로설정한 14편을대상으로개인변인 (41개의효과크기 ), 가족변인 (21개의효과크기 ), 또래및사회변인 (15개의효과크기 ), 학교변인 (17개의효과크기 ) 에대한효과크기를분석하고자메타분석을실시하였고, 변인들의시대적변화상을파악하고자메타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그리고메타 ANOVA 를통해변인들의이질성을살펴보았다. 변인들에대한메타분석을통해얻어진결과는다음과같다. 변인들의평균효과크기는개인변인 =0.088(95% CI: 0.020 0.154), 가족변인 =-0.168(95% CI: -0.279-0.058), 학교변인 =0.146(95% CI: 0.002 0.289) 은작은효과크기, 또래및사회변인 =0.235(95% CI: 0.059 0.410) 은중간효과크기를나타냈다. - 134 -
청소년가출관련변인의메타분석 우선청소년가출과관련한개인변인은작은효과크기를가진것으로나타났다. 이러한결과는초기청소년기가출경험의예측변인중우울, 불안, 정서적불안정이중요한역할을한다는연구결과 ( 배정환, 이윤호, 심혜인, 이정민, 2013) 와일치하고, 청소년가출에영향을주는요인에대한종단연구를실시하여자기통제력과자기존중감이청소년의가출행동에중요한영향요인 ( 조창호, 2008) 임을입증한결과와맥을함께한다. 이와같은선행연구들이청소년가출과관련하여개인변인들과높은관련성이있음을밝히므로본연구결과를지지해주고있다. 그리고정경은과김신영 (2012) 은청소년가출관련변인에대한메타분석을실시하여개인관련변인이중간효과크기가있다고보고하였지만본연구에서는작은효과크기가있다고나타나연구간효과크기에서일부차이를보였다. 그러나본연구에서는정경은과김신영 (2012) 이실시하지않은연구의편향, 이질성분석, 출판편의에대한분석을실시하여표집의오류를줄여정확도를높였기에본연구의결과가더욱정밀한결과라할수있겠다. 가족변인은가출에작은효과크기가있다고보고하였다. 청소년가출에대한연구를진행한연구자들은전통적으로가족변인이청소년가출에중요한기능을하고있음을보고하였다. 그중가족의구조적인부분보다가족의기능적인부분에초점을맞춘연구 ( 가족유대감, 부모감독, 부모애착 ) 가주를이루었고 ( 김진숙, 김현아, 2008; 이상무, 2012), 더나아가가출복귀요인에서도가족변인이중요한역할을한다고보고하였다 ( 김혜온, 정정숙, 2014). 가족변인의영향력은개인변인, 학교변인, 또래및사회변인의효과크기가정적인크기를보고한것과달리부적인크기가있다고보고하였다. 이는가출청소년실태조사 ( 남미애등, 2010) 와같은가출의원인을찾는연구에서는가족변인중가정역기능, 가족해체등에초점을두어조사를하였지만, 가출과관련된변인간의관계를탐색하는연구에서는연구자들이가족변인중가족구조, 가족기능, 가족유대감, 가족지지와같은가족요인에초점을둔연구 ( 박윤희, 2011; 정재우, 안도희, 2013) 가주를이룬결과라할수있겠다. 이는점차가출청소년에대한위험요인의탐색에서보호요인의연구로전환하는과정에서발생한변화라할수있겠다. 학교변인은가출에작은효과크기가있다고보고하였다. 이는여성가족부 (2012a) 의가출의원인이학교가싫고공부가싫어서 18.5%, 성적에대한부담감 13.1%, 학교 - 135 -
한국청소년연구제 26 권제 2 호 의규율이싫어서 7.4% 등으로나타난결과와일치하는것으로청소년에게학교변인은중요한변인으로자리잡고있다. 청소년쉼터에생활하는청소년중재학생의비율은 44.5%, 학업중단인경우가 55.5% 로나타나청소년가출에있어서재학여부에서큰차이가있음을파악하였다 ( 김용길등, 2011). 본연구에서는재학생과학업중단청소년, 일반계와실업계간의조절효과를구분하여조사하지못하였지만, 청소년쉼터에서생활하는청소년중재학생의수가절반정도수준에머무른다는보고 ( 김용길등, 2012) 와일반계학생보다특성화계학생들이가출생각, 가출충동의비율이높다는연구 ( 김영순, 김혜원, 2007) 의후속연구로재학생과학업중단청소년, 일반계와특성화계로구분하여학교변인의영향력차이를분석한다면학교에서수행가능한예방적기능을정밀하게확인할수있으리라본다. 또래및사회변인은중간효과크기가있는것으로나타나개인, 가족, 학교변인에서작은효과크기가있다는결과와차이가있었다. 이러한결과는정경은과김신영 (2012) 의연구와본연구가모두또래및사회변인이다른변인에비해서효과크기가크다는결과와일치한다. 이러한결과는실제가출청소년에게가출의원인을조사한연구를보면가족적인이유로가출의원인을찾고있지만, 실제가출관련연구를조사한연구들을메타분석한연구에서는또래및사회변인이더중요한변인일수있음을예측한결과라할수있겠다. 이러한결과는또래집단과교류가활발하고친밀한상호작용이이루어지거나성인의지지가있을때가출을예방할수있는예측변인이라밝힌김진숙과김현아 (2008) 의연구결과와동일하다. 한은진 (2001) 은청소년의재가출에미치는영향력을분석하여친구의비행성향과같은또래및사회변인이가족응집력, 부모와의관계와같은가족변인보다더큰영향력이있다고보고한연구가본연구의결과를지지한다고할수있겠다. 향후연구에서는또래및사회변인을조절변인및매개변인으로정밀하게분석하는연구가필요할것이다. 다음은모든변인들이큰크기의이질성을갖는것을 값으로확인하였으며, 이를메타 ANOVA 를통해조절효과분석을하여모든변인에서이질성을확인하였다. 다만, 본연구에서설정한범주형조절변인인출간형태, 연령, 대상중대상에서만조절효과가있는것으로나타났고, 이는학교변인과가족변인에서확인되었다. 개인변인과또래및사회변인은본연구에서설정한조절변인으로는이질성을설명할수없었다. 학교변인은연구자들이설정한연구대상자중쉼터청소년과일반청소년에서만차 - 136 -
청소년가출관련변인의메타분석 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고, 이는주로일반청소년이가출청소년에비해학교에재학하는비율이높기때문에나타난결과라할수있겠다. 가족변인은연구자들이설정한연구대상자중일반및쉼터청소년과일반청소년으로구분한연구에서이질적으로나타났는데, 이는가족변인중가족지지, 가족유대감등과같은세부변인에서차이를보인결과라할수있겠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은가출청소년의보호실태와정책과정에관한연구를실시하였고, 그결과가출청소년의개입과정중성별을고려하여야하고, 가출을 1회한경우와 2회이상을한경우서로다른개입의필요성을주장하였다. 이는향후가출청소년관련연구에서성별, 가출기간, 가출횟수등을조절변인들로선정하는연구가필요함을입증한결과라할수있겠다. 2) 가출관련변인들의변화추이 가출관련된변인중개인변인, 가족변인, 또래및사회변인들은발간년도에따라유의미한변화를보이는것으로나타났지만, 학교변인은유의미하지않는것으로나타났다. 이는지금까지이루어진수많은가출관련연구에서활용한변인들의영향력이감소하고있다는뜻이고, 이는현재연구방식으로는고유한청소년의특성을파악하는데실패한결과라할수있겠다. 청소년가출을연구하는연구자들은청소년쉼터, 소년원과같이보호를받고있는청소년을대상으로연구가실시되고있지만, 가출청소년들은가출팸과같이새로운방식의가출형태를이루어가고있는실정이다. 이는현재의연구방식에서탈피하여새로운방식과접근하여가출청소년에대해연구가필요하다는점을시사한결과라할수있겠다. 이에반해학교변인은미시적인차원에서교육정책의일부변화가있었지만, 입시정책, 학력신장위주의학교문화등거시적인차원에서변화가없었기에학생들이체감하고있는학교변인의영향력은변화가없었던것으로판단한다. 3) 가출관련실천적, 정책적함의 청소년들의반복된가출은자신삶을둘러싸고있는다양한보호요인을단절시키고위험요인을급격히증가시킨다. 더나아가가출은소년범죄의가피해자가되는통로로역할을한다. 그렇기에가출청소년에대한예방과초기개입은그무엇보다중요한상 - 137 -
한국청소년연구제 26 권제 2 호 황이기에가출청소년에대한실천적, 정책적방법을다음과같이제안할수있다. 첫째, 또래및사회변인이다른변인에비해높은효과크기를나타냈다. 비행친구와어울린다는것은청소년이가출할가능성을높이기에가출을예방하기위해서는친구관계를원만하게하는프로그램이필요하다 ( 조아미, 2011). 즉, 학생들이또래를사귀는학교와떼어놓을수없는불가분의공간이라고한다면, 교육부와여성가족부가전국학교를대상으로운영중인또래상담프로그램은학교폭력예방에초점을두고있지만, 또래상담프로그램의주된목적은친구사귀기, 대인관계증진, 대화법훈련, 감정해소등에있으므로이를학교폭력에국한시키기보다는다양한프로그램과접목시켜, 또래기능과학교기능이동시에작동하도록하여학교에서가출청소년예방을위한예방적기능의토대로만드는것이필요하겠다. 둘째, 가출관련연구자들이발표한연구결과를보면학교변인을제외한개인, 또래및사회변인, 가족변인의효과가매년감소하고있지만, 이러한변화추이가어떤이유에서발생하였는지에대해연구하는가출청소년정책수행기관이부족한실정이다. 이러한상황에서가출청소년에대한연구기능을수행할수있는정책수행기관이필요한의미라할수있겠다. 결론적으로본연구는지난 10여년간청소년가출에대한국내연구를대상으로관련변인을도출하여변인들의효과크기를파악하였다. 그리고변인들의이질성을파악하고자조절변인들을범주형과연속형으로설정하였다. 범주형변인들에대해서는메타 ANOVA 를통해효과크기의이질성을분석하였고, 연속형변인 ( 연도 ) 은연도에따른변화여부를메타회귀분석으로분석하였다. 이를통해청소년가출에영향을미치는변인에대해비슷한연구들이반복되는비효율성을감소시키고, 청소년가출유발변인과예측변인의통합적모델수립을위한기초적근거자료를제공하였는데의의가있다고할수있다. 본연구의제한점과추후과제는다음과같다. 첫째, 본연구들이설정한조절변인의설명력이높지않았다. 그렇기에향후가출청소년에대한연구가누적된이후에새로운조절변인을설정하여변인들의간의이질성을분석해야할것이다. 둘째, 회색문헌, 연구보고서를연구대상으로선정하는것이체계적문헌고찰에요구하는바이기에향후연구에서는이러한연구들을포함하여분석하는것이필요하겠다. - 138 -
청소년가출관련변인의메타분석 부록 1 < 분석에활용한논문 > No. 출판연도 연구자출판형태논문명 1 2001 남영옥청소년학연구 청소년의가출에영향을미치는경계선성격특성에관한연구 2 2003 노성희순천대학교석사청소년의가정환경과가출충동과의관계 3 2003 김지영경성대학교석사 체계론적관점에서본가족기능이 청소년가출에미치는영향 4 2004 김연정서울대학교석사가출청소년의심리사회적적응에관한연구 5 2006 박명숙청소년학연구청소년가출의잠재적위험요인에관한연구 6 2006 서보람고려대학교박사 가출팸경험청소년의비행에영향을 미치는위험요인과보호요인연구 7 2007 정규석사회과학연구청소년가출에관한다체계모델검증 8 2007 남미경동아대학교석사 8 2008 김옥숙경기대학교석사 청소년의가출충동에영향을미치는생태학적변인부모의가정폭력이청소년가출충동에미치는영향 10 2011 이상준 청소년 복지연구 가출청소년의사회적탄력성과 위험보호요인의효과 11 2013 배은자원광대학교박사청소년위기행동관련요인의경로분석 12 2013 정재우중앙대학교박사 13 2013 김현중침례신학대석사 청소년가출에영향을미치는변인및가출경험과정에관한연구사회적지지가가출청소년의자아존중감과자기효능감에미치는영향 14 2013 문상식한세대학교박사청소년가출충동이비행에미치는영향 - 139 -
한국청소년연구제 26 권제 2 호 참고문헌 김문정 (2001). 가출청소년의비행정도에영향을미치는요인에관한연구 : 청소년쉼터에입소한가출청소년을대상으로. 연세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청구논문. 김연정 (2004). 가출청소년의심리사회적적응에관한연구 : 위험요인과보호요인을중심으로. 서울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청구논문. 김영순, 김혜원 (2007). 청소년가출실태파악과가정, 학교, 성격및자아개념과의관련석분석. 청소년시설환경, 5(2), 43-55. 김옥숙 (2008). 부모의가정폭력이청소년가출충동에미치는영향. 경기대학교교육대학원석사학위청구논문. 김용길, 조윤오, 백혜정, 서보람, 정정숙, 장하림 (2011). 가출청소년가정복귀지원을위한심층조사및정책과제발굴. 서울 : 여성가족부. 김지영 (2003). 체계론적관점에서본가족기능이청소년가출에미치는영향. 경성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청구논문. 김진숙, 김현아 (2008). 청소년의가출경험과가출충동에영향을미치는요인연구. 인간발달연구, 15(1), 73-94. 김현중 (2012). 사회적지지가가출청소년의자아존중감및자기효능감에미치는영향 : 사회적탄력성의조절효과. 침례신학대학교상담대학원석사학위청구논문. 김혜온, 정정숙 (2014). 중, 고등학교가출청소년의가정복귀요인 : 개인, 가정환경, 학교요인의분석.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 27(3), 21-41. 남미경 (2007). 청소년가출충동에영향을미치는생태학적변인. 동아대학교교육대학원석사학위청구논문. 남미애, 육혜련, 오현자, 서보람 (2010). 2010 년가출청소년및청소년실태조사. 서울 : 여성가족부. 노성희 (2011). 청소년가정환경과가출충동과의관계. 순천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청구논문. 문동규 (2011). 청소년의자살생각에관련된변인의메타회귀분석 : 유발및억제변인중심으로. 충북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청구논문. 박명숙 (2006). 청소년가출의잠재적위험요인에관한연구. 청소년학연구, 13(1), 85-106. - 140 -
청소년가출관련변인의메타분석 박소영, 조성희 (2011). 청소년의가출충동에관한연구 : 우울의매개효과를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8(12), 203-225. 박윤희 (2011). 장단기청소년의개인및가족특성의차이에관한연구. 가톨릭대학교사회복지대학원석사학위청구논문. 배은자 (2013). 청소년위기행동관련요인의경로분석연구 : 학업중단, 학교폭력, 가출행동중심으로. 원광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청구논문. 배정환, 이윤호, 심혜인, 이정민 (2013). 청소년가출의위험요인분석. 사회과학연구, 20(2), 83-112. 신지현 (2012). 가출청소년의자살시도에미치는요인에대한남녀비교연구 : 청소년쉼터이용청소년을중심으로. 숭실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청구논문. 여성가족부 (2012a). 가출팸실태조사및정책과제발굴결과보고서. 서울 : 여성가족부. 여성가족부 (2012b). 청소년유해환경접촉종합실태조사. 서울 : 여성가족부. 여성가족부 (2013). 청소년백서. 서울 : 여성가족부. 여성가족부 (2014). 청소년백서. 서울 : 여성가족부. 오성삼 (2002). 선행연구결과의통합과재분석을위한메타분석의이론과실제. 서울 : 건국대학교출판부. 육혜련 (2014). 가출청소년의우울에영향을미치는생태체계요인. 청소년복지연구, 16(3), 1-24. 이상무 (2012). 생태체계적요인이가출유형에미치는영향 : 다항로짓회귀모델을활용한분석. 청소년복지연구, 14(2), 127-148. 이상무, 남성희 (2012). 청소년가출빈도증가에영향을미치는요인 : 영과잉포아송회귀모형을활용한분석. 청소년학연구, 19(1), 85-108. 이상준 (2011). 가출청소년의사회적탄력성과위험 보호요인의효과 : 가출청소년쉼터를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3(2), 274-291. 이영만, 조윤주 (2014). 초등실과에서창의성교육프로그램의효과에관한메타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7(2), 19-40. 이유신 (2013). 청소년가출비행의상습화와심화. 한양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청구논문. 이장범 (2012). 가출청소년의우울과사회적지지가임파워먼트에미치는영향. 명지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청구논문. - 141 -
한국청소년연구제 26 권제 2 호 이희춘 (2013). 가출청소년의부모학대경험과우울의관계 : 사회적지지와자아존중감의매개효과. 명지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청구눈문. 장덕호, 신인수 (2011). 교육학연구방법으로서메타분석의발전과정고찰. 교육과정평가연구, 14(3), 309-332. 정경은, 김신영 (2012). 청소년가출원인에대한메타분석. 미래청소년학회지, 9(3), 1-17. 정규석 (2007). 청소년가출에관한다체계모델검증. 사회과학연구, 23(1), 297-312. 정애경, 김계현, 김동민 (2008). 진로상담 : 진로미결정및관련변인에관한국내연구메타분석. 상담학연구, 9(2), 551-564. 정여진 (2012). 청소년의가출행동에영향을미치는요인연구. 가톨릭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청구논문. 정재우 (2013). 청소년가출에영향을미치는변인및가출경험에관한연구. 중앙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청구논문. 정재우, 안도희 (2013). 청소년의가정환경요인, 적응유연성및가출출동이가출행동에미치는영향. 교육심리연구, 27(3), 647-671. 조성희, 박소영 (2010). 가출경험청소년의우울불안에영향을미치는요인에관한연구. 청소년학연구, 17(11), 289-315. 조아미 (2001). 비행친구와청소년가출의관계에서약물사용의매개효과. 청소년복지연구, 13(2), 79-95. 조윤주, 강란혜 (2010). 부모의학대및방임이아동청소년가출에미치는영향에서비행친구의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7(8), 177-196. 조창호 (2008). 청소년가출에영향을주는요인에대한종단적연구 : 가족환경 자기통제력 또래관계를중심으로. 2008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학술대회자료집, 376-393. 조학래 (2004). 가출청소년의비행에영향을미치는요인연구. 행정논집, 31, 171-198. 진윤아 (2015). Stata를이용한메타분석. 서울 : 고려대학교출판부. 최해경, 김선숙 (2009). 가출청소년의가족관계가우울에미치는영향. 사회과학연구, 20(2), 89-108.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가출청소년보호지원실태및정책과정연구. 세종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상철 (2010). 청소년가출후문제행동개입감소를위한보호요인의완충효과분석. - 142 -
청소년가출관련변인의메타분석 미래청소년학회지, 7(1), 125-149. 한은진 (2001). 가출청소년의재가출행동에영향을미치는요인에관한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청구논문. 황성동 (2014). 알기쉬운메타분석의이해. 서울 : 학지사. Beeson, P., & Robey, R. (2006). Evaluation single-subject treatment research: Lessons learned from the aphasia literature. Neuropsychological Review, 16, 161-169. Bernard, R. M., & Borokhovski, E. (2009). Effect size calculation for meta-analysis. Presented at the 2009 Campbell Colloquium in Oslo. may 12, 2009. Borenstein, M., Hedges, L. V., Higgins, J. P., & Rothstein, H. R. (2009).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Chichester, UK: Wiley.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New York: Academic. Duval, S., & Tweedie, R. (2000). Trim and Fill: A simple funnel polt-based method of testing and adjus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 analysis. Biometrics, 56(2), 455-463. Glass, J. J., McGaw, B., & Smith, M. L. (1981). Meta-analysis in social research. Bevery Hills, CA: Sage. Higgins, J., & Green, S. (2008).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 of intervention. Chichester, UK: John Wiley & Sons, Ltd. - 143 -
한국청소년연구제 26 권제 2 호 ABSTRACT A meta-analysis of the variables related to youth runaways Kang, Geunmo * Lee Junki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size of variables related to youth runaways using a method of meta-analysi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alculated over 41 effect sizes (personal variables), 24 effect sizes (family variables), 15 effect sizes (peer and social variables), 17 effect sizes (school variables) from 14 studies, us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selected studies published in Korea from 1999 to 2014.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low effect size variables included personal variables, family variables, peer and social variables. On the other hand, the school variable showed a medium effect size. Second, the result of heterogeneity analysis confirmed that only objects on the family and school variables explain the difference of size effects between the studies. Additionally moderate effects (year), using meta-regression were identified in the following variables on personal variables, family variables, peer and social variables. Finally, publication bias analysis was conducted into studies using a method of funnel plot, trim and fill testing. Key Words: youth, runaways, meta-analysis * Daegu Youth Support Foundation, First Author ** Daegu Youth Support Foundation, Corresponding Author, junki77@naver.com - 14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