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3031322D3920C1A4BDC5B0A3C8A320B3BBC1F62DC3D6C1BE2E687770>



Similar documents
<BFCFBCBA30362DC0B1BFECC3B62E687770>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The Effect of Caree

배진현 도은수 서영숙 보다 약 3배 더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우리사회의 중 요한 보건문제가 될 것이다(Clinical Research Center for Stroke [CRCS], 2013). 뇌졸중은 뇌의 혈액순환장애로 발생되며, 뇌의 국소적인 부위나 전반적인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Strenghening the Cap

歯14.양돈규.hwp

untitled

230 한국교육학연구 제20권 제3호 I. 서 론 청소년의 언어가 거칠어지고 있다. 개ㅅㄲ, ㅆㅂ놈(년), 미친ㅆㄲ, 닥쳐, 엠창, 뒤져 등과 같은 말은 주위에서 쉽게 들을 수 있다. 말과 글이 점차 된소리나 거센소리로 바뀌고, 외 국어 남용과 사이버 문화의 익명성 등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Analyses the Contents of Points per a Game and the Difference among Weight Categories after the Revision of Greco-Roman Style Wrestling Rules Han-bong

. 45 1,258 ( 601, 657; 1,111, 147). Cronbach α=.67.95, 95.1%, Kappa.95.,,,,,,.,...,.,,,,.,,,,,..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 The


서론 34 2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The Mediating Eff

,......

<BAB8B0C7B1B3C0B0B0C7B0ADC1F5C1F8C7D0C8B8C1F632392D312E687770>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 456, 253 ( 89, 164 ), 203 ( 44, 159 ). Cronbach α= ,.,,..,,,.,.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Pe


05_최운선_53~67,68.hwp

<31342DC0CCBFEBBDC42E687770>

<32342D3420C1F7BEF7B0C7B0ADB0A3C8A320B3EDB9AE2D33C2F72E687770>

1..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NCS) Method of Co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Awareness, Support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특수교육논총 * ,,,,..,..,, 76.7%.,,,.,,.. * 1. **


<35BFCFBCBA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A Study on Teache


., (, 2000;, 1993;,,, 1994), () 65, 4 51, (,, ). 33, 4 30, 23 3 (, ) () () 25, (),,,, (,,, 2015b). 1 5,

,......


380 Hyun Seok Choi Yunji Kwon Jeongcheol Ha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이론연구 (Ki, 2010; Lee, 2012), 단순통계분석 (Lee, 2008), 회귀분석 (Kim, 2012)과 요인분석 (Chung, 2012), 경로분석 (Ku,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31342EBCBAC7FDBFB52E687770>

Child Health Nurs Res, Vol.23, No.3, July 2017: [7,8]. [9], [10,11]. [11]. [12]. [13]. Stephens[14] Gillespie, Chaboyer Wallis (2007),,,,,,,,.

<353420B1C7B9CCB6F52DC1F5B0ADC7F6BDC7C0BB20C0CCBFEBC7D120BEC6B5BFB1B3C0B0C7C1B7CEB1D7B7A52E687770>

27 2, 1-16, * **,,,,. KS,,,., PC,.,,.,,. :,,, : 2009/08/12 : 2009/09/03 : 2009/09/30 * ** ( :

상담학연구,, SPSS 21.0., t,.,,,..,.,.. (Corresponding Author): / / / Tel: /

- 최원희ㆍ 김명희: 중년후기 여성의 집단회상 경험과 효과에 대한 연구 - 에 직면하며 심리 사회적인 역할갈등, 고립, 위축, 상실 감 등을 경험하게 된다. 이 시기동안 위기에 잘 대처하 지 못하면 자신에 대하여 실망하며 두려움과 슬픔 등 을 겪으면서 자아존중감이 낮아

歯5-2-13(전미희외).PD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012임수진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IPA * Analysis of Perc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상담학연구. 10,,., (CQR).,,,,,,.,,.,,,,. (Corresponding Author): / / 567 Tel: /

구의 중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하였다(Kang & Lee, 2001). 이에 대한 결과로 1990 년대 이후 국내에서도 만성신부전환자의 혈액투석경험 (Shin, 1997), 신장이식 체험(Lee, 1998) 과 만성질환자의 강인성에 관한 연구 (Ko, 1999)등 만성질환

서론

상담학연구 * ,. SAS,,, Sobel test., (,, ), (, ), (, ) (,, ).,,,.,.. * (Corresponding Author): / / / Tel: / j

< FB4EBB1B8BDC320BAB8B0C7BAB9C1F6C5EBB0E8BFACBAB820B9DFB0A320BFACB1B85FBEF6B1E2BAB92E687770>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 The Effect of Paren



지난 2009년 11월 애플의 아이폰 출시로 대중화에 접어든 국내 스마트폰의 역사는 4년 만에 ‘1인 1스마트폰 시대’를 눈앞에 두면서 모바일 최강국의 꿈을 실현해 가고 있다

<313120B9DABFB5B1B82E687770>

.,,,,,,.,,,,.,,,,,, (, 2011)..,,, (, 2009)., (, 2000;, 1993;,,, 1994;, 1995), () 65, 4 51, (,, ). 33, 4 30, (, 201

±èÀ±°æ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Experiences of Af

사회동향-내지간지수정

세종대 요람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The Grounds and Con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Relationship Betw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Analysis of objective and error source of ski technical championship Jin Su Seok 1, Seoung ki Kang 1 *, Jae Hyung Lee 1, & Won Il Son 2 1 yong in Univ

<3220B1E8C1A4B3B2BFDC6F6B6B2E687770>

<31362DB1E8C7FDBFF82DC0FABFB9BBEA20B5B6B8B3BFB5C8ADC0C720B1B8C0FC20B8B6C4C9C6C32E687770>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Rheu-suppl 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A Study on the Opti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A study on Characte

레이아웃 1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1, pp.1-19 DOI: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view of Research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S

여대생의 섭식장애, 초기부터 초기 성인기에 이르는 여성에게서 더욱 두드러지는 데, 이 시기의 여대생은 대인관계 형성이 중요한 발달과제이고 매력적인 외모가 이런 과제의 성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 문이다. 특히 여대생들은마른체형을선호하는사회문화적 영향으로 잘못된 방법

창업 여성CEO의 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5차 편집).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Suggestions of Way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The Structural Rel

DBPIA-NURIMEDIA

도비라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Ac

사회동향1-최종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Relationship among

<BFCFBCBA30312DC0CCC0BAB0E62E687770>


Transcription:

정신간호학회지 제21권 제3호, 2012년 9월 ISSN 1225-8482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Vol. 21 No. 3, 188-196, September, 2012 3년제 간호대학 신입생의 자아존중감, 정서지능,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효주 1 정향인 2 광양보건대학교 간호과 1,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2 Effects of Self-esteem,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on College Adjustment in First Year Nursing College Students Jung, Hyo-Ju 1 Cho Chung, Hyang-In 2 1 Department of Nursing, Gwangyang Health College, Gwangyang 2 College of Nurs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esteem,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on college adjustment in first year students in nursing.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70 first year nursing colleg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5 to 12, 2011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18.0. Results: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ollege adjustment and self-esteem as well as emotional intelligence. The strongest predictor of college adjustment was satisfaction with nursing as a major. In addition, self-esteem, emotional intelligence, age, club membership, frequency of contact with faculty,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ccounted for 57% of variance in college adjustmen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ograms promoting satisfaction with nursing major and appropriate counseling and academic guidance for nursing students are important for college adjustment in college nursing students. Key Words: Self-esteem,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support, Adjustment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대학신입생 시기는 질풍노도와도 같았던 중 고등학교 시 기를 마감하고 새로운 환경에 첫발을 내딛는 단계로 설렘과 흥분을 경험하기도 하지만, 미성년에서 성인으로 넘어가는 과 도기이기도 하다(Kim, 2003). 즉, 이 시기는 자아정체감 확립 과 성인생활을 준비하기 위한 여러 가지 과제에 집중하는 초 기 성인기의 중요한 전환기로 학생들이 이성교제, 동성 친구 관계, 교수와의 관계, 경제적 문제, 장래문제, 학업문제 등 다 양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는 시기이다(Lee, Jung, & Arakida, 2008). 대학생이 되어 새로운 낯선 환경에서 주어진 과제들을 적절 하게 해결할 방법을 찾지 못하면 혼란이 가중되며(Friedlander, Reid, Shupak, & Cribbie, 2007), 그 결과 상담실을 찾 거나 휴학 자퇴를 결심하는 경우도 있다. 적응을 못한 대학생 은 심한 경우에는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선택을 하여 가족과 소속대학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커다란 충격을 주기도 한다. 2011년 한 해 동안 자살로 사망한 대학생이 200명이 넘는다 주요어: 자아존중감, 정서지능, 사회적 지지, 적응 Corresponding author: Cho Chung, Hyang-In College of Nurs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5 Hak-dong, Dong-gu, Gwangju 501-746, Korea. Tel: +82-62-530-4956, Fax: +82-62-227-4009, E-mail: hchoch@hanmail.net 투고일 2012년 4월 13일 / 수정일 2012년 7월 4일 / 게재확정일 2012년 9월 24일 c 2012 The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http://www.mhnursing.or.kr

3년제 간호대학 신입생의 자아존중감, 정서지능,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는 사실은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정서 및 정신건강을 포함한 대학생활 적응의 위기를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Yoon, Hwang, Kim, & Jang, 2011). 적응은 어느 시기에서나 중요 하지만 특히 대학생활의 적응이 중요한 이유는 대학생 시기가 성인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시점으로 이 시기에 형성되는 적 응이 현재의 생활 뿐 아니라 이후의 사회생활을 하는 데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대학생활 적응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이 시점에서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인들을 확인하는 것은 매우 필요한 일이라고 생 각된다. 적응이란 일반적으로 개인과 환경 사이의 활발한 상호교환 을 통해 개인이 자신의 욕구에 적합하도록 환경을 변화시켜 이러한 환경의 변화에 맞춰 나가는 과정이다(Kim, 2003). 따 라서 대학생활 적응을 논의할 때는 개인적인 측면과 환경적인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여야 한다. 적응의 개인적인 측면에는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정서지능, 감정통제, 성격특성 등이 있고, 환경적인 측면에는 가족특성, 분리개별화, 사회적 지지, 또래관계 등이 있다(Yoon et al., 2011). 지금까지 수행된 대학생활 적응과 관련된 연구들은 양육행 동과 대학생활 적응(Lee, 2008), 자아존중감과 대학생활 적응 (Sung, 2008), 가족기능과 대학생활 적응(Song & Jang, 2010),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 적응(Chung, Yoo, & Ryu, 2011) 등 단일 변인과의 관계만을 규명한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 고찰 결과에 근거하 여 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으 로 개인적 측면과 환경적인 측면을 모두 고려하였고, 자아존 중감, 정서지능, 사회적 지지를 연구에 필요한 변인으로 설정 하였다. 자아존중감은 개인이 자신에 대해 갖는 태도(Rogenberg, 1965)로서 대학 신입생들의 학업성취, 정서적 사회적 적응 등과 관계가 있었다(Elias, Mahyuddin, & Noordin 2007; Friedlander et al., 2007; Sung, 2008). 정서지능은 일상생활 의 여러 가지 측면에서의 적응, 정신건강, 효과적인 리더십 기 술, 삶의 만족, 창의성, 직업적 성공, 신체건강 등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도움을 주는 중요한 변인으로 대인관계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Kim & Han, 2011), 대학생활 적응 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Elias et al., 2007). 사회적 지 지란 한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가족 친지 친구 동료 전문 가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형태의 긍정적인 원조이다. 이는 개인이 스트레스 상황에서 경험하게 되는 심리적 생리 적 측면의 부정적 효과를 약화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환경에 대한 적응력을 높인다. 사회적 지지가 좋을수록 학업성적, 대 인관계, 대학생활 적응이 높다(Friedlander et al., 2007)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한편, 대학생의 적응에 관한 연구는 주로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져(Lee, 2008; Sung, 2008) 전문대학생에게 적용하는 데에는 제약이 따른다고 할 수 있다. 전문대학에서 의 대학생활은 4년제 대학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입학초기에 교양과목을 이수하고 전공에 대한 탐색 기간을 갖는 4년제 대 학생들과 달리, 전문대학생은 입학할 때부터 전공영역이 확실 하게 정해져 있긴 하나, 대부분의 학생들이 전공에 대한 사전 지식을 가지지 못한 채 곧바로 전공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Song & Jang, 2010). 특히, 전문대학 간호과 학생들은 첫 학 기부터 해부학, 생리학, 기본간호학 및 실습 등의 전공 기초과 목을 배우게 되어 용어가 생소하고 암기해야 할 내용이 방대 하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아 학과 적응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Park, Park, & Lee, 2009). 따라서 본 연구는 전문대학 간호과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개 인적인 요인인 자아존중감과 정서지능, 환경적인 요인인 사회 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다차원적인 이해를 돕고, 더 나아가 대학생활 적 응을 돕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 하고자 시도하였다. 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전문대학 간호과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자아존중감, 정서지능, 사회적 지 지, 대학생활 적응의 정도를 파악한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의 정도를 파 악한다. 대상자의 자아존중감, 정서지능, 사회적 지지 및 대학생 활 적응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대상자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다.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전문대학 간호과 신입생의 자아존중감, 정서지 Vol. 21, No. 3, 2012 189

정효주 정향인 능,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 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그렇다 5점의 Likert식 척도로 측정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정 서지능이 높음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도구의 Cronbach's 값은.87, Han과 Yoo (2005)의 연구에서 Cronbach's 값 은.85였고, 본 연구에서의 Cronbach's 값은.88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G시와 S시에 소재한 2개의 3년제 간호과 에 재학 중인 1학년 신입생이며, 2011년 9월 5일부터 12일까 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이 속해 있는 각 대학을 직접 방문하여 담당교수와 학생들의 동의를 얻어 본 연구의 목적과 연구대상자의 윤리보호에 대한 설명을 한 후 자발적으 로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학생에게만 서면동의를 받고 설 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참여 과정에서 언제든지 원치 않 으면 참여를 취소할 수 있음을 알려주었고, 연구자료는 정해 진 연구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을 것이며 무 기명으로 처리되어 비밀이 보장됨을 설명하였다. 표본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G*power 3.1 프로그램(Faul, Erdfelder, Lang, & Buchner, 2007)을 이용하여, 회귀분석 에 필요한 효과크기.15, 유의수준 =.05, Powerβ=.20으로 계산하였을 경우 217명이 요구되었다. 이를 근거로 설문지의 응답률을 고려하여 30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이 중 274 명의 자료를 회수하였으며(응답률 91.3%), 불충분하게 응답 한 설문지 4부를 제외하고, 270명의 자료만을 최종 분석 대상 으로 하였다. 3. 연구도구 1)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 도구로는 Rosenberg (1965)가 개발하고 Jeon (1974)이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총 10개 문항, 4 점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을 의미한 다. Rosenberg (1965)의 연구에서의 Cronbach's 값은.92 였으며, Jeon (1974)의 연구에서 Cronbach's 값은.85, 본 연구에서 Cronbach's 값은.81이었다. 3) 사회적 지지 사회적 지지 도구로는 Zimet, Dahlem, Zimet와 Parley (1988)가 개발하고 Shin과 Lee (1999)가 번역한 MSPSS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를 사용하였다. MSPSS 척도는 총 12문항으로 가족지지, 친구지 지, 특별지지의 세 가지 하위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본래 7점 Likert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Shin과 Lee (1999)의 연구에 서 활용된 것처럼 매우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 점까지 5점 Likert식으로 측정하였다. 각 문항은 최저 1점에서 최고 5점까지 가능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의 수준 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도구의 개발 당시 신뢰도는 Cronbach's 값은.85, Shin과 Lee (1999)의 연구에서 Cronbach's 값은.89였고, 본 연구에서 Cronbach's 값은.92 였다. 4) 대학생활 적응 대학생활 적응도구로는 Baker와 Siryk (1984)의 대학생활 적응척도(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SACQ)를 Hyun (1992)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4개 하위 요인은 학업적응 요인 24문항, 사회적응 요인 18문항, 개인- 정서적응 요인 15문항, 대학환경적응 요인 10문항, 총 67문항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응답방식은 자기보고식 9점 척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항상 그렇다 의 5 점 Likert식 척도로 변환하여 사용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학 교적응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Baker와 Siryk (1984)의 연 구에서 Cronbach's 값은.94였으며, Hyun (1992)의 연구 에서 Cronbach's 값은.92, 본 연구에서 Cronbach's 값은.90이었다. 2) 정서지능 정서지능 도구로는 Law, Wong과 Song (2004)이 개발하 고 Han과 Yoo (2005)가 번안한 WLEIS (Wong and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을 사용하였다. 이 측정도구 는 네 개의 차원 즉, 자기 정서인식, 타인 정서인식, 정서활용, 정서조절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차원 당 4개의 문항씩 총 16 개 문항이 있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4.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자아존중감, 정서지능, 사회적 지지, 대학생활 적응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산출하였다. 190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3년제 간호대학 신입생의 자아존중감, 정서지능,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은 t-test, ANOVA, 사후 검증은 Scheffe test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자아존중감, 정서지능, 사회적 지지 및 대학생활 적응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본 연구의 전체 대상자는 여자 98.1%, 남자 1.9%로 총 270명이었고, 연령은 19세 이하가 73.7%로 가장 많았고, 26.3%가 동아리 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과 지원동기를 살펴보면 취업 때 문이라는 응답이 47.8%로 가장 많았으며, 대학생활 만족도는 5.6%가 만족한다고 하였고, 32.2%는 불만족하였다. 전공에 대해 만족한다고 응답한 학생이 18.9%, 불만족한 학생은 15.6%로 나타났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N=270) Characteristics Categories n (%) Gender Female 265 (98.1) Male 5 (1.9) Age (year) Religion Club member Motivation for admission Residence Monthly family income (10,000 won) 19 20~25 26 Yes No Yes No Employment guarantee Recommendation of others Aptitude Etc With family In the dormitory Alone 100 101~200 201~300 301~400 401 199 (73.7) 59 (21.9) 12 (4.4) 116 (43.0) 154 (57.0) 71 (26.3) 199 (73.7) 129 (47.8) 60 (22.2) 68 (25.2) 13 (4.8) 124 (45.9) 96 (35.6) 50 (18.5) 25 (9.3) 50 (18.5) 90 (33.3) 58 (21.5) 47 (17.4) 2. 대상자의 자아존중감, 정서지능, 사회적 지지, 대학생활 적응 Monthly pocket money (10,000 won) 10 11~19 200~29 30 67 (24.8) 69 (25.6) 85 (31.5) 49 (18.1) 대상자의 자아존중감, 정서지능,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 적응은 Table 2와 같다. 본 연구의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은 2.8점, 정서지능은 3.3점, 사회적 지지는 3.8점, 대학생활적응 은 2.9점으로 나타났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정도는 Table 3과 같다. 일반적 특성 중 연령(F=13.60, p<.001), 동아리 활동 여부(t=3.83, p<.001), 학과 지원동기(F=5.08, p=.002), 한 달 가정소득(F=5.06, p=.001), 교수 접촉 횟수(F= 4.14 p=.007), 대학생활 만족도(F=43.24, p<.001), 전공 만 족도(F=41.85 p<.001)에 따라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차 이가 있었다. 유의한 각 변수에 대해 Sheffe's 검정을 한 결과, 연령에 있어서는 26세 이상의 학생이 19세 미만의 학생들보 다 대학생활 적응이 유의하게 높았다. 자신이 원해서 입학한 경우가 타인의 권유나 성적에 맞춰 입학한 경우의 학생들보다 Frequency of contacts with faculty/semester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Satisfaction with nursing major None Once Twice Over three times Satisfied Moderately satisfied Dissatisfied Satisfied Moderately satisfied Dissatisfied 75 (27.8) 122 (45.2) 49 (18.1) 24 (8.9) 15 (5.6) 168 (62.2) 87 (32.2) 51 (18.9) 177 (65.6) 42 (15.6) Table 2. Degrees of Self-esteem,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Support and College Adjustment (N=270) Variables M±SD Min Max Self-esteem 2.8±0.40 1.8 4.0 Emotional intelligence 3.3±0.46 1.9 4.8 Social support 3.8±0.64 1.0 5.0 College adjustment 2.9±0.37 1.6 4.3 Vol. 21, No. 3, 2012 191

정효주 정향인 Table 3. College Adjustmen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N=270) Characteristics Categories M±SD t or F p Scheffe Age (year) 19 a 20~25 b 26 c 2.9±0.35 3.0±0.34 3.4±0.52 13.60 <.001 c>b>a Religion Yes No 2.9±0.39 2.9±0.36 0.51.607 Club member Yes No 3.0±0.36 2.8±0.37 3.83 <.001 Motivation for admission Employment guarantee a Recommendation of others b Aptitude c Etc d 2.9±0.34 2.7±0.38 3.0±0.42 2.9±0.28 5.09.002 c>b>a Residence With family In dormitory Alone 2.9±0.41 2.8±0.34 2.9±0.34 2.22.111 Monthly family income (10,000 won) 100 a 101~200 b 201~300 c 301~400 d >401 e 2.8±0.31 2.8±0.34 2.8±0.35 3.0±.038 3.0±.042 5.06.001 d>a, b, c Monthly Pocket money (10,000 won) 10 11~19 20~29 30 2.9±0.35 2.9±0.38 2.8±0.37 2.9±0.41 0.45.717 Frequency of contacts with faculty/semester None a Once b Twice c Over three times d 2.8±0.36 2.9±0.34 2.9±0.39 3.1±0.48 4.14.007 d>a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Satisfied a Moderately satisfied b Dissatisfied c 3.4±0.43 3.0±0.31 2.7±0.33 43.24 <.001 a>b, c b>c Satisfaction with nursing major Satisfied a Moderately satisfied b Dissatisfied c 3.2±0.38 2.9±0.30 2.6±0.34 41.85 <.001 a>b, c b>c 적응도가 높았으며, 가정의 월 소득은 301~400만원인 군이 적응도가 높았다. 또한 교수와의 접촉횟수가 많을수록 적응도 가 높았고, 대학생활이나 전공에 대해 만족하는 대상자가 보 통이나 불만족하는 대상자보다 적응도가 높았다. 4. 대상자의 자아존중감, 정서지능, 사회적 지지 및 대학생 활 적응의 관계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은 자아존중감(r=.57, p<.001)및 정서지능(r=.47, p<.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5. 대학생활 적응의 영향요인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음 과 같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Table 5와 같 다. 독립변수에 대한 회귀분석의 가정을 검정하기 위하여 다 중 공선성의 문제를 확인한 결과 상관계수가.35~.57로.80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Durbin-Watson 값은 1.922로 나타나 자기상관의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차한계가 0.412~0.943으로 1.0 이하로 나타났고, 분산팽창인자는 1.069 ~2.430으로 기준인 10 이상을 넘지 않아 다중공선상의 문제 는 없었다.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자 192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3년제 간호대학 신입생의 자아존중감, 정서지능,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존중감(B=0.28, t=6.16), 정서지능(B=0.16, t=4.05), 연령 (B=0.24, t=3.14), 동아리 활동 여부(B=-0.09, t=2.48), 교수 접촉 횟수(B=0.12, t=2.16), 대학생활 만족도(B=0.23, t= 4.12), 전공 만족도(B=0.30, t=3.13)로 나타났다. 즉, 자아존 중감, 정서지능, 연령이 높을수록, 동아리 활동을 참여하고 교 수와의 접촉 횟수가 많을수록, 학교생활과 전공에 대해 만족 감이 클수록 대학생활 적응도가 높은 것을 의미하며,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수정된 결정계수(Adjusted R 2 )는.570으 로 설명력은 57.0%였다(Table 5). 논 의 본 연구는 전문대학 간호과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자아존중 감, 정서지능,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그 근간이 되는 환경적, 개인적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 려함으로써 대학생활 적응과 관련된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대 학생활 적응에 대한 다차원적인 이해를 돕고, 대학생활 적응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 정서 지능, 연령, 동아리 활동 여부, 교수접촉 횟수, 대학생활 만족 도, 전공만족도로 이들 요인들은 대학생활 적응에 대해 57% 의 설명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대 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은 4점 만점에 2.8점으로, 4년제 간호 학과 신입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Kim과 Kim (2009), Park 등 (2009)의 선행연구결과인 3.1~3.5점보다 낮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가 전문대학생임을 고려할 때, 성적에 따라 자신감에 영향을 많이 받는 한국의 입시위주의 사회문화적 환경으로 인 하여 이들의 자존감이 4년제 간호학과 학생들의 자존감보다 낮게 나타난 것일 수 있다는 추측이 가능하지만 이는 추후연 구를 통해 확인해야 할 부분이다. 자아존중감은 대학생활 적응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변수임이 확인되었다. Toews와 Table 4. Correlations of Self-esteem,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Support and College Adjustment (N=270) Variables Self-esteem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support College adjustment r(p) r(p) r(p) r(p) Self-esteem 1.53(<.001).35 (<.001).57 (<.001) Emotional intelligence 1.43 (<.001).47 (<.001) Social support 1.09 (.126) College adjustment 1 Table 5. Influencing Factors on College adjustment (N=270) Variables B β t p Self-esteem 0.28.31 6.16 <.001 Emotional intelligence 0.16.20 4.05 <.001 Age 20~25 26 0.10 0.24 Club membership d1-0.09 -.11-2.48.014 Frequency of contacts with faculty d3 0.12.09 2.16.031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d1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d2 Satisfaction with nursing major d1 Satisfaction with nursing major d2 0.15 0.23 0.15 0.30.11.14.15.20.32.19 2.56 3.14 2.85 4.12 5.02 3.13 Adjusted R 2 =.57, F=35.03, p<.001.011.002.005 <.001 <.001.002 Dummy variables (club member: yes=0; no=d1); Dummy variables (frequency of contacts with faculty; none=0; once=d1; twice=d2; over three times=d3); Dummy variables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dissatisfied=0; moderately satisfied=d1; satisfied=d2); Dummy variables (satisfaction with nursing major: dissatisfied=0; moderately satisfied=d1; satisfied=d2). Vol. 21, No. 3, 2012 193

정효주 정향인 Yazedjian (2007)은 인종과 성별에 따른 대학 신입생의 대학 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는데, 연구결과, 인종 및 성 별과는 무관하게 자아존중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자아존중감이 학교적응에 가장 영향을 미치 는 요인으로 나타난 Park 등(2009)의 연구결과와도 유사하였 다. 이러한 결과는 자아존중감이 높은 대학생들은 자신을 가 치 있고 중요하며 문제를 해결해나갈 수 있는 존재로 인식하 여 대학생활에서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게 될 때에도 잘 대처 해 나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긍정적 자아존 중감을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꼭 필요한 과정 이며, 의미있는 교육적 지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자아 존중감을 향상시키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대학생들이 대학생활에 적응하는 데 있어서 효과적인 기능을 발휘하도록 유도하여야 하겠다. 대상자의 정서지능은 5점 만점에 3.3점으로 신입생만을 대 상으로 한 연구가 부족하여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2 3 학년을 대상으로 한 Shin (2012)의 연구결과인 3.4점보다 낮 았다. 이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정서지능 점수가 높다는 Shin (2012)의 연구결과를 지지하는 것으로, 대학신입생들이 중 고등학교 시절의 입시체제 중심의 획일적인 교육 속에서 자신 또는 타인의 정서를 인식하고 정서를 표현하거나 조절하는 능 력 또는 정서를 활용하는 능력을 개발하지 못한 상태로 진학 을 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정서지능 역시 대학생활 적응과 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Elias 등(2007)의 대학생의 정서지능이 대학생활 적응에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는 이를 지지한다. 정서지능이 높은 사람은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유지 발전시키는 데 정서정 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사회적 관계 형성에 있어 자기효능 감이 높으며, 가정, 학교, 직장생활에서 성공적으로 적응할 가 능성이 높다(Kim & Han, 2011). 만약 새로운 대학생활에서 정서지능을 잘 발휘하지 못한다면 즐거움, 만족, 희망, 자신감 과 같은 긍정적 정서 대신에 불안과 후회, 불만족, 적대감과 같 은 부정적 정서를 가지게 되며, 이는 당사자는 물론 주위 동료 나 학교, 가족, 너 나아가 국가적으로 유능한 인적 자원의 계발 을 방해하는 비생산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교육현장에서는 대학생들의 정서지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떻 게 지도하고 교육해야 할지에 대해 숙고해야 할 것이며, 대학 생들이 자기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인식하고 표현하며, 정서를 효과적으로 조절하고 자신의 삶을 계획하고 성취하기 위해 도 움이 될 만한 프로그램들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상자의 대학생활 적응은 5점 만점에 2.9점으로, Park 등 (2009)의 연구결과인 3.0점과 비슷한 결과이지만 비교적 낮 은 점수이다. 선행연구에서도 대학 신입생들이 상급생에 비해 대학생활에 대한 적응수준이 낮다(Ahn & Lim, 2005)는 결과 가 있었는데, 이는 간호과 신입생들이 대학이라는 새로운 환 경에 적응하는 것 뿐 아니라 다양한 교과목 학습과 실습과정 을 수행해야 하는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로 인해 어려움을 겪 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대학생활 적응을 높 이기 위한 교육이 입학초기부터 실시되어야 하며, 학생들이 만족감을 추구하고 자신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며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고 학업과 실습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방안을 모 색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이 요구된다. 대학생활 적응정도를 분석한 결과, 26세 이상의 학생이 연 령이 낮은 학생에 비해 전반적으로 대학생활에 보다 잘 적응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공업계 전문대학생을 대 상으로 한 Kim과 Kim (2003)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Chung (2009)의 연구에서도 나이가 많은 간호대학생 그룹의 실습수행도와 실습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이 이론 성 적과 실습 등에서도 모범적인 생활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 다. 나이가 많은 학생들은 대부분 스스로 학습과정을 선택하 고 계획하므로 대학생활에서 얻는 만족감이 크며, 학습에 대 해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를 보여 적응 수준이 높은 것으 로 보인다. 동아리 활동 참여에 관한 본 연구의 결과는 동아리활동이 대학생활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학교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Yang, 2008)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지 지하였다. 이는 동아리 활동이 대학생활 중 발생하는 다양한 스트레스와 심리적 문제를 해소시켜주며, 선후배 및 타 학과 사람들과의 만남을 통해 대인관계의 폭을 넓혀 낯선 대학 문 화에 어느 정도 적응할 수 있게 해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 서 동아리 활동은 대학교과 과정 이외의 성취하기 힘든 부분 들을 부가적으로 충족시켜주는 교육적인 가치가 많으므로, 동 아리 활동을 장려할 수 있는 학교의 물질적, 시설적 지원이 필 요하리라 사료된다. 교수와의 접촉 횟수에 따라서도 대학생활 적응은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 무용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Kim (2003)의 연구에서는 무용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의 빈도가 높을수록 학생들의 대학생활이 긍정적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수 와 학생의 상호작용의 빈도를 높일수록 학생들의 대학생활적 응의 정도를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신입생들의 대 학생활 적응을 위해서 전담 지도교수제를 강화하고, 신입생의 194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3년제 간호대학 신입생의 자아존중감, 정서지능,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교적응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수 역할이 모색되어야 하겠다. 대학생활 만족도가 높은 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점수가 높다 는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활 만족도가 낮을수록 학업중단의 가능성이 높으며, 학교에 대한 자긍심이 학업중단 여부에 가 장 큰 영향력을 미친다는 Kim (2011)의 연구결과와 유사한 맥락이라고 볼 수 있다. 즉, 대학생들은 모교에 대한 자긍심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에 더 만족을 느끼며, 학교생활에 만족을 느낄수록 적응을 더 잘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학교 의 시설보완, 효율적인 운영체계 확립, 교수의 질 높은 강의 및 학생들과의 긴밀한 관계 등을 통해 학교에 대한 자긍심을 높 여 대학생활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고려해 야 하며, 추후 연구를 통해 대학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 인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대학생활 적응에 전공에 대한 만족도는 회귀분석에서 회귀 계수의 값이 가장 커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변인으로 규 명되었다.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학생들은 취업 관련 준 비에서도 외국어보다는 자신의 전공과목을 중요하게 생각하 고 있었으며(Lee & Kang, 2009), 이는 곧 전공과 관련된 학 습의욕으로 연결될 것으로 보인다. 결국 학생들은 전공만족도 가 높을수록 학교생활에 적응을 더 잘하고, 이는 졸업 후의 진 로와 취업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생각된다. 따 라서 대학에서는 학생들이 사용하는 학과 시설 및 실습 관련 장비를 확충하고, 예비대학이나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시 선배 와의 직접적인 만남을 주선하는 등 학생들의 전공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적극적인 방안들을 강구하여야 한다. 또한 지도 교수들은 학생들의 전공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전공이수체 계, 학습방법 등 전공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 다고 본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대상자가 2개 전문대학의 여학 생들이었으므로 이 결과를 전체 전문대학 신입생들에게 일반 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아울러 선행연구에서는 부모와의 동 거여부, 종교, 용돈에 따라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차이가 있 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결과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자는, 이와 같이 선행연구와 불일치되는 이유가 전문 대학생의 고유한 상황에서 오는 것인지를 탐색하는 추후연구 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결 론 본 연구는 3년제 간호대학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대학적응도를 높 이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결과 연령, 동아리 활동, 학과 지원동기, 한 달 가정 소득, 교수접촉 횟수, 대학생활 만족도, 전공 만족도에 따라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자아존중감, 정서 지능은 대학생활 적응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또한 대학생활 적응에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은 전공 만족 도로 나타났으므로, 가정에서는 자녀가 자신의 적성과 흥미에 맞는 학과와 대학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학과에서는 전공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적절한 학업 지도 상담이나 개별 프로 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REFERENCES Ahn, J. Y., & Lim, H. K. (2005). College adjustment of femal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4, 233-239. Baker, R. W., & Siryk, B. (1984).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Counselling Psychology, 46, 877-891. Chung, A. R., Yoo, S. H., & Ryu, N. A. (2011). Influence of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college adjustment of junior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8, 535-558. Chung, M. S. (2009). The relations of self-esteem, practical performance, and practical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8, 60-69. Elias, H., Mahyuddin, R., & Noordin, N. (2007). Academic adjustment among second year students in Malaysian univers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disciplinary Social Science, 4, 237-252.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power 3: A flexbi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 science. Behavior Research Methods, 39, 175-191. Friedlander, L. J., Reid, G. J., Shupak, N., & Cribbie, R. (2007).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tress as predictors of adjustment to university among first-year undergraduates.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46, 223-236. Han, J. H., & Yoo, T. Y. (2005). The effects of leader's emotional intelligence on subordinate's attitude and leader's task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8, 177-199. Hyun, J. W. (1992). The effect of perfectionism and evaluative threat on the performance of ask.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Jeon, B. J.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University Journal, 11, 107-124. Kim, H. K., & Han, S. M. (2011). The effects of health of home environment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17(1), 121- Vol. 21, No. 3, 2012 195

정효주 정향인 161. Kim, H. S. (2003). A study on participation in dance and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The Korean Society of Dance, 36, 5-19. Kim, K. H. (2011).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local university students' halting their academic studies and satisfaction with their campus life.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 378-387. Kim, K. H., & Kim, K. H. (2009). Effects of a self-esteem promotion program on self-esteem and meaning of life among female fresh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8, 431-438. Kim, S. K. (2003). Life stress in freshman and adjustment to colleg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0, 215-237. Kim, Y. H., & Kim, B. C. (2003). An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technical junior college students' adaptation to their college lives.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22(3), 21-42. Law, K. S., Wong, C., & Song, L. J. (2004). The construct and criterion validity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its potential utility for management studi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9, 483-496. Lee, E. H., & Kang, S. H. (2009).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Learning conditions and the need of study skills training based on satisfaction in their major.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6, 117-143. Lee, H. Y. (2008). Parenting behavior and adjustment to college: Moderating effect of cultural dispositions. Journal of North- East Asian Cultures, 14, 337-355. Lee, Y. M., Jung, M. H., & Arakida, N. (2008).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factors and drinking on the campus life adap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Korean Society Environment System, 15, 250-256. Park, B. N., Park, J. S., & Lee, J. R. (2009). Factor affecting adaptation to school life among nursing junior college fresh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Statistics, 34, 153-164.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Shin, E. J. (2012). Emotional intelligence, ego-resilience, stress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Shin, J. S., & Lee, Y. B. (1999).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s on psychosocial well-being of the unemployed.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37, 241-269. Song, J. A., & Jang, J. S. (2010). A research about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s for a correlation between community college student' adjustment to college and family function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5(1), 119-144. Sung, M. H. (2008). The relationships between peer attachment, self-esteem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in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2, 84-96. Toews, M. L., & Yazedjian, A. (2007). College adjustment among freshmen. College Student Journal, 41, 891-900. Yang, W. B. (2008). The relationships degree of participation in sports club and college life adaptation of prospective teacher at elementary.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33, 1145-1155. Yoon, H. S., Hwang, Y. M., Kim, D. B., & Jang, S. H. (2011). The effects self-differentiation stress coping methods and mental health on life adjustment in university.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Forum, 10(2), 1-25. Zimet, G. D., Dahlem, N. W., Zimet, S. G., & Parley, G. K. (198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 30-41. 196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