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2.30 저유가 지속에 따른 중동 주요 산유국 정책 시장 동향 및 시사점
C O N T E N T S 목 차 요 약 / 1 Ⅰ. 중동 주요 산유국 경제 현황 / 2 2 5 10 1. 유가 동향 2. 중동 주요 산유국 경제 현황 3. 중동 주요 산유국별 저유가 영향 Ⅱ. 저유가 지속에 따른 중동 주요 산유국별 정책 동향 / 14 14 16 16 17 18 18 19 19 1. 사우디아라비아 2. 알제리 3. 오만 4. 이라크 5. 이란 6. 카타르 7. 쿠웨이트 8. UAE Ⅲ. 저유가 지속에 따른 중동 주요 산유국별 시장 동향 / 21 21 21 22 23 25 26 27 28 1. 사우디아라비아 2. 알제리 3. 오만 4. 이라크 5. 이란 6. 카타르 7. 쿠웨이트 8. UAE Ⅳ. 시사점 / 30 별첨 : 한-중동 주요 산유국 교역 및 건설수주 동향 / 33
요 약 2014년도 하반기부터 시작된 저유가 기조가 당분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동 보고서는 중동 북아프리카 지역(MENA :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원유 생산량 기준 1-8위 산유국별 경제 현황 및 정책 시장 동향을 분석하고, 진출 방안을 유형별로 중동 주요 산유국별 정책 변화 및 시장 동향 모니터링 강화, 국가별 정책 맞춤형 진출전략 수립 및 거래 리스크 최소화, 신시장 개척 및 진출 분야 다양화와 같이 정리하였다. 저유가 장기화에 따른 영향은 국가 재정상태, 균형예산을 위한 최저 유가 등에 따라 국가별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가 하락 지속은 일반적으로 중동 주요 산유국의 경제 성장세 둔화로 이어지고 있으나, 국가에 따라 장기간 축척해온 외환보유고 및 이를 기반으로한 재정여력(fiscal buffers)으로 경제성장률을 견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MENA 지역내 최대 원유생산국인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우, 유가하락으로 인한 재정건정성 악화가 심화되고 있다. 반면, 균형예산을 위한 유가가 배럴랑 55달러 수준인 카타르는 연평균 약 10%에 가까운 인구 증가 및 제조업 취약에 따라 내수시장의 수입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 기업들의 중동시장 진출 기회를 확대하기 위하여 국가별 정책 및 시장 동향 모니터링 강화와 함께 현지 맞춤형 진출전략 수립이 병행되어야 한다. 중동 시장 진출 기회 확대를 위하여 할랄시장 공략, 프렌차이즈 등 소비재 유통망 진출을 통한 수출 품목 다변화 및 신규 시장 창출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저유가에 따른 신규 프로젝트 발주 감소를 극복하기 위하여, 의료 등 민생 직결 프로젝트, 기존 시설의 유지 보수 프로젝트, 산업다각화 정책에 부응하는 진출 방안 수립이 바람직하다. 한편, 저유가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는 국가도 향후 유가 하락 장기화 영향에 따른 보수적 인 재정 운영으로 전환이 가능한 바,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란 경제제재 해제가 유 가 하락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되나, 동시에 이란 시장 개방에 따른 신시장 개척 기회 확대 가 예상되는 바 이란 시장 선점 방안 수립도 요구된다. 저유가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중동 산유국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기존 진출 전략에서 탈피한 국별 상황을 반영한 맞춤형 진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1
저유가 지속에 따른 중동 주요 산유국 정책 시장 동향 및 시사점 Ⅰ 중동 주요 산유국 경제 현황 1. 유가 동향 2014년도 하반기부터 유가 하락 지속 2014년도 하반기부터 시작된 유가하락 장기화는 원유 수출에 의존하고 있는 중동 주요 산유국의 경제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 - 2014년 9월 평균 두바이유 기준 유가는 배럴당 100달러 선이 무너진 이 후, 2015년 9월 전년 동월 대비 50% 이상 하락한 45.77달러 기록 - 2015년 12월 4일 OPEC의 기존 생산 쿼터 유지 결정에 따라, 12월 7일 기준 두 바이유 및 WTI(West Texas Intermediate, 서부 텍사스 중질유) 가격은 각각 배럴당 38.35 달러, 37.65 달러 기록 * 2015.12.23일 기준 주요 유종별 배럴당 유가(달러) : (두바이유) 31.82 (WTI) 37.50 (브렌트) 37.36 사우디아라비아를 주축으로한 OPEC(Organization of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 생산량 유지 결정은 미국의 셰일오일 생산, 중국의 경기둔화, 달러화 강세 등의 요인과 함께 유가 하락을 지속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 <2014년 이후 유종별 유가 변동 추이> (단위 : 달러) (자료원 : petronet) 2
- 한편, 유가하락은 다른 상품군에서도 나타나는 장기적인 상품가격 상승세인 supercycle의 종료에 따른 현상으로 분석되기도 함 <2010-2015 유가- 非 에너지 상품 가격 지수 비교> (기준 인덱스 : 2010년도=100) (자료원 : IHS) 非 에너지 상품가격 유가 OPEC 회원국 증산, 이란 경제제재 해제 등 변수에 따라 추가 하락 가능 OPEC 회원국은 2015년 12월 4일 정례회의를 개최하고 2016년 6월까지 현행 일일 3,150만 배럴 수준의 원유 생산량을 유지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향후 원유 감산 등 유가 상승 요인이 없는 한 당분간 급격한 유가 반등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 - OPEC 회원국의 일일 원유 생산 쿼터는 3,000만 배럴이나 지난 18개월간 지켜 지지는 않았으며, 이번 현행 원유 생산량(일일 3,150 배럴) 유지 결정으로 사실상 생산 쿼터를 넘는 증산을 용인한 것으로 분석됨 <1998-2015년간 OPEC 회원국 일일 원유생산 쿼터 및 실질 생산량> (단위 : 백만배럴/일) 생산 쿼터 실질 원유 생산량 (자료원 : 블룸버그) 3
저유가 지속에 따른 중동 주요 산유국 정책 시장 동향 및 시사점 <2009-2016 OPEC 원유생산 여유분> (단위: 백만 배럴) (자료원 : IHS) 이란 경제제재 해제 시점이 2016년도 상반기로 전망되고 있으며, 제재 해제 시 이란 정부의 적극적인 원유 수출 확대 의지에 따른 세계 원유시장 공급 과잉으로 유가 하락 견인 전망 - 2015년 12월 4일 OPEC 정례회의시, 이란은 원유 감산에 반대하면서 5%의 생산 감축을 주장한 베네주엘라의 요청을 일축한 바 있음 - 단, 해제 여부 및 해제 이후 제재 복원(snap-back) 등 정치적 변수가 상존 하고 있어 예의주시 필요 이라크 등 정부재정의 석유수출의존도가 높은 산유국들은 감산 반대 입장을 견지하고 있어 당분간 저유가 지속 예상 - 2016년도 골드만삭스 유가 전망치 : 20달러대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15년 11월에 발표한 연례 세계 에너지 보고서를 통해 저유가 시대가 2020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전망 - 2020년까지 배럴당 50달러 수준을 유지하다가, 이후 점증하여 2040년까지 85달러 수준으로 회복될 것으로 예측 4
2. 중동 주요 산유국 경제 현황 유가 하락 지속에 따른 경제성장 저하 우려 불구 경제 성장률 견지 전망 유가 하락 지속은 중동 주요 산유국 경제 성장세 둔화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에도 불구하고, GCC 국가들을 중심으로 장기간 축척해온 외환보유고가 재정여력(fiscal buffers)과 견고한 경제성장 유지 배경 <중동 주요 산유국 연도별 실질 GDP 성장률 추이> (단위 : %) 국가명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이란 6.58 3.75-6.61-1.91 4.34 0.83 4.36 이라크 6.40 7.55 13.94 6.57-2.12 0.03 7.05 쿠웨이트 -2.37 10.61 7.67 0.82 0.14 1.17 2.52 오만 4.80 4.10 5.76 4.69 2.95 4.36 2.85 알제리 3.62 2.83 2.61 2.80 3.80 3.01 3.88 사우디아라비아 4.76 9.96 5.38 2.67 3.47 3.43 2.21 UAE 1.64 4.89 7.22 4.32 4.57 3.00 3.13 카타르 19.59 13.38 4.88 4.58 3.98 4.70 4.95 (자료원 : IMF) 저유가 장기화시 국가 재정 및 내수시장 위축 전망 유가 하락세가 장기화될 경우, 석유 의존도가 높은 중동 주요 산유국은 저유 가에 따른 재정건전성 악화 가능성 다대 - 2014년 기준 사우디아라비아, UAE, 이란, 이라크, 쿠웨이트 등 중동 주요 산유국의 석유 생산량은 세계 생산량의 약 30% 차지 * 2014년도 기준 중동 주요 산유국 석유 매장량은 세계 매장량의 약 45% 점유 5
저유가 지속에 따른 중동 주요 산유국 정책 시장 동향 및 시사점 <2014 중동 주요 산유국 석유 매장량 및 생산량> (단위: 매장량-10억 배럴, 생산량-천 배럴/일) 국가명 매장량 생산량 매장량 순위 세계 매장량 대비 비율 생산량 순위 세계 생산량 대비 비율 이란 157.8 4 9.3% 3,614.3 7 4.0% 이라크 150.0 5 8.8% 3,285.3 8 3.8% 쿠웨이트 101.5 7 6.0% 3,122.9 9 3.6% 오만 5.2 23 0.3% 943.5 20 1.1% 알제리 12.2 17 0.7% 1,525.4 18 1.6% 사우디아라비아 267.0 2 15.7% 11,504.7 2 12.9% UAE 97.8 8 5.8% 3,711.6 6 4.0% 카타르 (자료원: BP) 25.7 13 1.5% 1,981.9 14 2.0% <1980-2014 지역별 매장량 규모> (단위: 10억 배럴) 아프리카 아시아 태평양 유라시아 중동 북미 중남미 (자료원: CNBC) - 2014년 기준 중동 주요 산유국별 에너지 수출 비중은 전체 수출규모의 58%-98%를 차지 6
<2014 중동 주요 산유국 상품별 수출 비중> (단위: %) 국가명 에너지 공산품 식료품 금속 기타 이란 71 18 5 6 0 이라크 98 0 0 0 2 쿠웨이트 98 0 0 0 2 오만 77 15 4 5 0 알제리 97 0 0 0 3 사우디아라비아 84 14 0 0 2 UAE 58 23 4 0 15 카타르 (자료원: UNCTAD) 97 0 0 0 3 2015년도 GDP 대비 정부 총부채 비율은 이라크(75%)를 제외하고 20%대 이하를 유지하고 있으나,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우 전년대비 부채 비율 증가 추세 - 사우디아라비아는 2015년도 기준 6.7%라는 비교적 낮은 비율을 보이고 있으나 이는 전년대비 3배이상 증가한 수치임 - 이라크의 경우 ISIL* 등장 이후 지속되고 있는 정정불안으로 인해 국가 기반산업 정상화가 지연되고 있어 정부 부채가 단기간에 줄어들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 <중동 주요 산유국 연도별 GDP 대비 정부 총부채 비율> (단위 : %) 국가명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이란 12.2 8.9 16.8 15.4 15.8 16.4 15.3 이라크 53.6 40.8 34.7 31.9 38.9 75.7 88.2 쿠웨이트 11.3 8.5 6.8 6.4 6.9 9.9 9.8 오만 5.9 5.2 4.9 5.1 5.1 9.3 12.2 알제리 11.7 9.9 9.9 8.3 8.8 10.2 13.6 사우디아라비아 8.4 5.4 3.6 2.2 1.6 6.7 17.3 아랍에미리트 22.2 17.6 17.0 15.9 15.7 18.9 18.3 카타르 38.4 34.5 36.0 32.3 31.7 29.9 27.8 (자료원 : IMF) 7
저유가 지속에 따른 중동 주요 산유국 정책 시장 동향 및 시사점 2015년도 중동 주요 산유국 1인당 GDP는 전년대비 6-30% 하락이 전망 되고 있어, 유가 하락세가 장기화될 경우 내수시장 위축 우려 - 동 최고의 국민소득을 기록하고 있는 카타르 및 쿠웨이트의 2015년도 1인당 GDP는 2014년도 대비 각각 16%, 30% 감소하여 78,829 달러, 29,983 달러 기록 <2011-2015 중동 주요 산유국 1인당 GDP 추이> (단위 : 달러) 국가명 2011 2012 2013 2014 2015 이란 7,511 7,673 4,941 5,353 5,048 이라크 5,849 6,693 6,957 6,520 4,694 쿠웨이트 41,831 45,993 45,202 43,168 29,983 오만 22,623 22,923 21,424 20,927 15,672 알제리 5,431 5,574 5,533 5,406 4,345 사우디아라비아 23,594 25,139 24,816 24,252 20,139 아랍에미리트 40,817 42,591 42,875 42,944 35,392 카타르 99,431 103,606 98,710 93,990 78,829 (자료원 : IMF) GCC(Gulf Cooperation Council) 국가들의 경우 신용 등급의 급격한 하락은 없으나, 사우디아라비아의 국채 발행 등 2014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저유가 지속으로 인한 여파 발생 - IMF, 유가하락에 따라 GCC 6개국 2015년 석유수출 손실액은 3천억 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 <중동 주요 산유국 신용 등급> 국가명 Moody's S&P Fitch 등급 전망 등급 전망 등급 전망 사우디아라비아 Aa3 (10/02/15) Stable (10/02/15) A+ (15/10/30) Negative (15/02/09) AA (14/03/07) Negative (15/08/21) 오만 A1 (10/02/18) Negative (15/02/20) BBB+ (15/11/20) Negative (15/11/20) - - 카타르 Aa2 (07/07/24) Stable (06/10/04) AA (10/07/05) Stable (10/07/05) AA 15/03/06) Stable (15/03/06) 쿠웨이트 Aa2 (09/06/10) Stable (10/08/05) AA (11/07/20) Stable (11/07/20) AA (08/09/04) Stable (08/09/04) (참고) 한국 Aa3 Positive AA- Stable AA- Stable (12/08/27) (15/04/10) (15/09/15) (15/09/15) (12/09/06) 12/09/06) (자료원: 국제금융센터) 주 : 괄호안은 신용평가회사별 국가 신용등급 및 전망 발표 일자 8
알제리, 이란, 이라크 등 非 GCC 국가들의 경우, 예산수지를 맞추기 위해 필요한 최저 유가가 배럴당 80달러를 상회하고 있어 저유가 장기화시 경제적 부담 가중 전망 <OPEC 중동 회원국의 균형예산을 위한 최저 유가> (단위 : 달러) 국가명 알제리 이란 이라크 리비아 쿠웨이트 카타르 아라비아 사우디 UAE 균형예산 유지를 위한 최저유가 96 87 81 269 67 55.5 106 76 비고 非 GCC 회원국 GCC 회원국 (자료원 : 블룸버그, IMF) 9
저유가 지속에 따른 중동 주요 산유국 정책 시장 동향 및 시사점 3. 중동 주요 산유국별 저유가 영향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는 1980년대 중반 유가급락 당시 생산량을 1천만 배럴에서 3백만 배럴 수준으로 감산한 바 있으나 여타국들(비OPEC 등)의 증산으로 결국 유가회복에 실패하고 기존시장의 상실을 경험했던 바 있어 감산을 통한 유가 상승 효과에 회의적인 입장 견지 OPEC의 증산 유지정책으로 저유가 기조는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사우디아라비아는 2015년 10월 중앙은행을 통해 70억 달러의 외환보유고를 재정적자 만회를 위하여 사용하는 한편 6월 53억 달러 규모 국채 발행 2014년 3월 국제신용평가기관 Fitch Ratings는 사우디아라비아의 국가별 신용등급 및 향후 전망을 각각 AA, 안정적(Stable)으로 평가하였으나, 8월 향후 전망을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 IMF는 2015년 5월 올해 사우디아라비아의 재정적자가 GDP의 20% 수준(약 1,288억 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으며, 재정건전성 확보를 위해 정부지출 간소화, 에 너지 효율성 제고, 非 석유재원 확보 등을 촉구한 바 있음 - IMF는 사우디아라비아 2016년도 경제성장률을 2%대로 전망하였으며 이는 2015년도 3.43%에서 1%p 이상 하락한 수치임 * 2012-2014년간 원유판매 수입은 매년 평균 3,000억 달러 규모이며 1999년 이후 흑자를 유지하던 경상수지도 2015년 62억 달러 규모의 적자 전망 * 사우디는 2015년 1월부터 6월까지 총 14억 배럴의 원유를 수출하였으며, 2015년 상반기 원유판매 수입은 813억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46% 감소한 수준임 알제리 최근 국제유가 하락으로 알제리의 무역수지 및 재정적자가 심화되고 있으며 2015년 4월 현재 알제리 재정적자는 전년 동월대비 약 55% 증가한 73억 달러 기록 2015년 3월말 현재, 알제리의 외환보유고는 1,592억 달러로 2014년 연말 1,780억 달러에 비해 현격한 감소를 보이고 있음 2016년도 정부예산은 전년대비 9% 감소한 750억 달러로 책정 10
오만 유가하락 여파로 2015년 5월까지 정부 재정지출 규모를 전년 동기 대비 5% 감축 - 2014년 동기 5.06백만 리얄에서 2015년 4.8백만 리얄로 5% 감축 - 유가하락에 따라 2015년 정부 예산 중 지출계정 조정 * 2015년 상반기 오만 원유 수익은 전년 동기대비 44% 감소한 28억 리얄(약 73억 달러) 기록 원유 수출을 기반으로한 재정수입 부족을 만회하기 위해 생산량 증가 정책 실시 - 2014년 일일 95만 배럴에서 2015년 98만 배럴로 생산량 확대 * 원유 수입액이 오만 재정 수입의 80% 차지 이라크 저유가 지속은 석유수출액 감소 재정수입 감소 프로젝트 발주 감소/취소 경기침체 민생고 악화 등의 악순환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재정적자 증가 야기 - 이라크 정부는 국제유가 배럴당 56달러 및 연평균 330만 배럴 수출을 기준으로 2015년 예산 총 1,024억 달러 책정 - 이는 2013년 대비 14% 감소한 적자재정을 편성한 것으로, 유가하락이 지속되면서 위와 같이 상정된 적자규모가 예상보다 훨씬 커질 것으로 전망 <이라크 예산편성 추이> (단위: 십억 달러) 연도 2011 2012 2013 2014 2015 예산 규모 82.6 100.5 118.3 N/A* 102.4 (자료원 : 바그다드 무역관 종합) 주 : 2014년의 경우 정쟁으로 인해 정부예산안이 국회를 통과하지 못함 이란 정부수입의 40% 이상이 석유판매로 인한 수익으로, 석유관련 제품까지 포함할 경우 약 70% 차지하고 재정 수입 대폭 감소 11
저유가 지속에 따른 중동 주요 산유국 정책 시장 동향 및 시사점 - 이란정부는 2014년도(이란 曆 기준) 석유수익에 따른 정부수입금을 약 263억 달러로 예상하고 정부예산을 편성하였으나, 결과적으로 약 165억 달러에 그쳤음 - 핵협상 진행에 따라 2014년 경제지표는 성장률의 플러스 전환, 실업률 및 물가 상승률 개선을 보였으나 유가하락으로 그 효과가 제한적이었으며, 석유 수출 대금의 대부분이 해외에 묶여 있다는 점도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 유가하락이 시작된 2014년 하반기부터 이란의 수입 규모도 축소되어, 2014년 4분기 및 2015년 1 2분기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5%, 13%, 14% 감소세를 보임 <최근 이란의 수입 동향> 분 기 14년 3분기 14년 4분기 15년 1분기 15년 2분기 수입규모 13,241 12,236 13,279 9,747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24.47% -6.5% -13.0% -14.0% (자료원 : World Trade Atlas) 카타르 카타르 정부는 대외적으로 유가하락의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일축한 바 있으며, 타 산유국 대비 낮은 생산단가로 유가하락에 따른 영향이 비교적 적은 편으로 평가 - 카타르 석유생산 수익분기점은 조사기관에 따라 54.5 달러에서 60 달러 선으로 분석되며 쿠웨이트에 이어 두 번째로 낮은 생산단가를 유지 - 2015년 카타르 무역수지 흑자폭은 대폭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나 449억 달러 규모의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에 따라 거시경제에 큰 영향은 없을 것 으로 전망 (단위: 백만 달러, %) 쿠웨이트 기존 국부펀드 및 외환보유고를 바탕으로 저유가 지속에도 불구하고 대형 프로젝트를 예정대로 추진하고 있고, 2%의 낮은 실업률과 1인당 7만 달러 수준의 GDP를 감안할 시 소비시장이 위축될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됨 12
- 단, 유가하락으로 인한 재정부담을 완화하고 민간부문을 활성화하기 위해 약 100억 달러 규모의 민자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 UAE UAE 정부는 OPEC의 원유생산량 유지 결정에 지지 의사를 표명하며, 2015년 정부예산을 전년대비 6.5% 증가한 130억 5천만 달러로 책정하는 등 사회복지 와 인프라 개발 등에 투자를 단행해 나갈 것이라는 의지를 보여줌 - 석유수출로 벌어들이는 오일 머니는 UAE 국가 재정수입의 80%이상을 차지 하고 있으며, GDP의 33%는 석유 가스 관련 산업에서 발생 - 높은 석유의존도에도 IMF는 2015년 1월, 2015년 UAE 경제성장률을 전년대비 1% 포인트 낮은 3.5%로 조정 후 4월에 3.15%, 10월에 3.0%로 하향 조정 하였으나, 2016년 경제성장률은 3.13%로 상향 전망 <참고 : ISIL/ISIS/DAISH 그리고 IS> 이라크 사태의 원인인 수니파 무장과격단체 Islamic State of Iraq and Levant는 약자인 ISIL로 불리었으나, 2014.6.29.일 ISIL은 조직명을 Islamic State(IS, 이슬람 國 )으로 변경하고 아부 바크르 알 바그다디를 칼리프로 선출하며 국가 선포 IS는 ISIS, ISIL, DAISH 등으로 다양하게 불리는 데, 그 이유는 동 조직의 아랍어 명칭 앗다울라틀 이슬라미야 필 이라끄 왓 샴, ad-dawlat al-islamiya,الدولة ا لا س لامية في العراق والشام) fi Iraq wa as-sham)을 어떻게 번역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며, ISIL, ISIS, DAISH 모두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 - 이라크-샴 이슬람 國 으로 풀이될 수 있는 이 명칭에서 샴(Sham) 지역을 지중해의 극동지역인 시리아, 레바논, 터키의 일부 지역 등을 의미하는 Levant(프랑스어로 동쪽을 의미)로 번역할 경우 ISIL이라는 약자를 사용. Washington Post, New York Times 등 외신들은 Levant라는 단어가 프랑스 식민지 시대의 잔재를 함축하고 있다는 점에서 ISIL로 불리기를 원치 않을 것이라고 분석 - 샴(Sham)을 고유명사로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시리아(Syria)로 번역하는 경우, Islamic State of Iraq and Sham/Syria 즉 ISIS로 명명 - 아랍어 명칭을 영어로 음차(ad-Dawlat al-islamiya fi Iraq wa as-sham)하여 그 머리글자를 합쳐 DAISH로 부르기도 하나, ISIL/ISIS 만큼 통용되지는 않음. BBC에 따르면 DAISH는 아랍어로 짓밟다는 동사와 유사한 발음을 가지고 있고 경멸적인 어조를 띄고 있다고 보도 13
저유가 지속에 따른 중동 주요 산유국 정책 시장 동향 및 시사점 Ⅱ 저유가에 따른 중동 주요 산유국별 정책 변화 1. 사우디아라비아 (국채 발행) 저유가에 대한 대책으로 재정수지 보전 및 외환보유고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국채 발행 단행 - 사우디 재무부는 저유가에 따른 재정수지 및 외환보유고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2007년 이후 중단되었던 국채 발행을 2015년 단행 * 사우디 재무부는 금년 270억 달러의 국채 발행 계획을 공표하고 2015년 6월 1차 40억 달러, 2015년 8월 53억 3천만 달러 규모의 국채 발행, 국채 만기 기간에 따른 금리는 5년(1.92%), 7년(2.34%), 10년(2.65%)이며, 대부분은 공공기관, 상업은행 등에서 매입할 것으로 예상 (보조금 개정) 사우디는 다른 GCC 국가와 마찬가지로 휘발유, 식품, 물 등 생필품에 대한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으나, 과도한 보조금이 에너지 낭비, 재정악화로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내외부로부터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어 개정 논의 중 - 2013년 5월 Al-Jasser 당시 경제기획부 장관은 보조금이 경제를 왜곡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철폐 필요성 강조 - 2015년 2월 Al-Mubarak 당시 SAMA(Saudi Arabia Monetary Agency, 사우디 통화청) 총재도 에너지 및 물 보조금을 개혁하여 예산 낭비를 없애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나 미실행 - 사우디 국왕자문기관인 슈라위원회는 가솔린 보조금(연간 300억 달러 추정) 철폐 필요성 제기 (부가가치세 도입) GCC내의 부가가치세 도입 제안에 따라 중장기적으로 부가가치세 도입 전망 - 이전부터 저유가에 따른 세원 확보를 위해 부가가치세 도입을 주장해온 UAE가 정식으로 GCC 협의회에 부가가치세 도입을 제안하여 논의 중이나 연관 법률의 검토 작업 기간을 고려할 경우, GCC 회원국 간의 의견 차이로 즉각적 도입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 14
(외국인투자환경 개선) 외화유동성 확보 및 주식시장(Tadawul) 부양을 위해 2014년 7월부터 준비한 적격외국인투자자(QFI)의 사우디 주식시장 직접투자를 2015년 6월 15일부터 허용 * 적격외국인투자자(QFI) 자격 : 최소 50억 달러의 운용자산 보유, 최저 5년의 영업경험이 있는 금융법인(은행, 증권사, 기금운용사, 보험사) * 주식 보유 한도 : 단일 QFI가 보유 가능한 주식은 단일 기업의 최대 5%이며, 복수 QFI의 최대 보유 상한은 20%, 외국인 투자자(정주, 非 정주, swap, QFI 등)가 보유 가능한 상장기업 주식의 총합 상한은 49%, 외국인 투자자는 사우디 주식 시가총액의 10%까지만 소유 가능 - 사우디 주식시장의 시가총액은 2015년 5월말 기준 약 5,900억 달러 규모로, 역내 최대 규모의 시장 개방에 대한 국내외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고조되어 주가지수 (TASI)도 2015년 1월 대비 25%이상 상승하였으며, 일부 투자기관 관계자들은 500억 달러 규모의 해외자본이 유입될 것으로 예상 - 또한, 사우디 투자청은 현재 사우디 정부의 시장개방 및 유연한 경제 정책에 부응하도록 사우디 측과 합작이 필요한 4개 분야(전문서비스 부문, 도소매, 은행 및 보험, 통신)를 제외하고는 전 분야에서 외국인의 100% 투자 허용 * 단, 사우디 투자청은 사우디의 주권 관련분야 및 종교 활동과 관련된 외국인투자는 허용하지 않음 * 2014년 사우디가 유치한 외국인 직접 투자(Foreign Direct Investments)는 총 80억 달러로 2013년 92억 달러에 비해 6.9% 하락한 수준이며 사우디는 서아시아 지역에서 터키(121억 달러), UAE(101억 달러)에 이은 FDI 유치국이나, 지난 6년간 해외자본 유치가 하락세를 지속 (환율정책 변경) 과거의 유가하락 시기 때마다 달러 페그제 폐지가 제기된 것처럼 이번 유가하락 상황에도 달러 페그제 폐지가 논의되었었으나, 사우디 아라비아 정부는 최근 달러 페그제 유지를 공식 발표함 - 사우디 통화청은 1986년 사우디 리얄의 가치를 미국 달러에 고정하는 페그제 실시 정책을 발표하였으며, 2003년 1월 1일 SAR 3.75 대 USD 1의 비율로 사우디 리얄의 가치를 미국 달러에 고정하는 페그제를 공식적으로 적용 - 안정적인 금융 및 수출입 거래활동과 민간투자환경 조성을 위해 GCC 국가와도 고정 환율 제도를 실시함 * 현재 GCC 국가중 쿠웨이트가 2007년 페그제를 포기함에 따라 사우디는 쿠웨이트를 제외한 타 GCC 국가들과의 환율은 일정하게 유지함 15
저유가 지속에 따른 중동 주요 산유국 정책 시장 동향 및 시사점 2. 알제리 (외국인 투자 유치 활성화) 외국인 투자유치의 가장 큰 걸림돌이었던 내국인과 외국인 지분 비율 제한(51:49) 관련 법령 개정 작업 착수 - 현재 알제리 수출의 95% 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원유 및 천연가스 비중을 낮추고 제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외국기업 투자 환경 개선책 검토 중 - 국내 생산 및 국산품 사용 장려 캠페인을 통해 국내 생산업체에 대한 혜택 부여 강화 - 알제리 통상부에서는 수입허가서 발급제 도입을 통해 수입 감축 및 국내 생산 독려 예정 (지출 합리화 정책) 알제리 경제관련 부처(재무, 산업, 통상, 농업, 에너지부)는 2015년 4분기와 2016년 동안 에너지 및 식량 부문 지출 합리화 계획 수립 예정 - 수입금지 및 수입우선순위 품목 분류, 국산품 사용 캠페인을 통한 외화지출 20% 감축, 품질검사 제도 도입 등이 포함될 예정 3. 오만 (보조금 축소) 2015년 6월, 오만 석유 가스부 장관(Mohammad Al Ruhmi)은 유가하락에 대한 영향 때문에 단계적으로 유류보조금을 축소할 예정이라고 발표 - 오만의 시중 휘발유 가격은 리터 당 0.125 리얄(미화 약 0.33 달러)로 인근 GCC 국가 중 가장 낮은 수준 - 이미 2015년 1월부터 산업용 가스 가격도 천연가스 단위인 MBTU(Million British Thermal Unit)당 1.5 달러에서 3달러로 두 배 인상한 바 있음 (구조조정) 오만 정부는 저유가로 인한 석유산업 인력에 대한 영향 없을 것이라고 발표하였으나, 실제로는 2015년 공공부문 신규 고용은 동결 - 교육 및 보건 분야 인력만 제한적으로 고용 (국채 발행) 재정악화에 따라 국채 발행 대폭 확대 16
- 2015년 상반기 1.92십억 리얄(미화 약 4.99십억 달러)의 재정 적자 기록 - 2015년 8월까지 5억 리얄(미화 약 13억 달러, 10년 만기) 규모의 국채(Development Bond)를 발행하고, 현재 약 2억 달러 규모 이슬람 채권(Sukuk) 발행 준비 중 4. 이라크 (원유 증산) 이라크는 석유자원 이외에 주력 수출산업이 전무하여, 이라크 정부는 유가하락으로 인한 손실액을 석유증산으로 회복하고자 함 - 석유는 이라크 대외수출의 99%, 전체 정부재정의 95%(2013년 예산 기준)를 차 지하는 최대의 외화 소득원이자 이라크 경제에서 핵심적 지위를 차지 * 이라크 경제는 민간부문의 개발수준 및 공공부문의 생산성이 낮기 때문에 경제 활성화 여부는 이라크 정부의 재정지출에 절대적으로 의존 - 유가가 하락하는 가운데도 이라크 정부는 적극적인 증산을 추진 2015년 현재 일일 석유생산량 400만 배럴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짐 * 2015년 12월 OPEC 정례회의에서 이라크는 이란과 함께 원유 감산에 반대의사 표명 * 이라크 연평균 일일 석유생산 규모 : ( 10년) 240만 ( 14년) 340만 배럴 - 이라크 정부는 2003년 제2차 이라크 전쟁 이후 파괴된 사회기간시설을 복구하고 경제개발을 추진하기 위한 자금 마련을 위해 적극적인 석유자원 개발을 추진 (추가 재원 마련) 이라크 정부는 IMF, World Bank 등으로부터의 차관, 50억 달러 규모의 국채발행 등을 계획 - 기존 5%의 일괄 관세를 차등화(5 40%)하는 동시에 자동차, 주류, 담배에 대해 특별소비세(20% 이상) 부과 정책 추진 예정 * 관세 차등화는 금년 들어 두 차례(5월, 8월) 시행을 추진했으나, 지자체 등의 반대에 부딪혀 현재까지 시행하지 못하고 있음 5. 이란 (원유 증산) 경제제재에 따른 원유 수출물량(약 1백만 배럴/일) 제한 및 유가 하락으로 재정압박을 받고 있는 이란은 제재 해제시 현재의 수출량의 2배 이상인 17
저유가 지속에 따른 중동 주요 산유국 정책 시장 동향 및 시사점 일일 230만 배럴을 수출하기 위하여 사전 준비 중 - 지속적인 경기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생산 및 수출을 제재이전 수준으로 확대할 것으로 예상 * 이란의 원유생산 비용은 on shore 6-8달러/배럴, off-shore 15-18달러/배럴 수준으로 추정 - 非 정제 원유판매의 비중을 줄이고 부가가치가 높은 정제유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 신규 정유공장, 석유화학단지 설립, 가스 추가 생산을 적극 추진하고 있음 * South Pars지역에서의 가스 생산을 최대화하고 이를 석유화학 단지의 원료로 공급하여, 다른 산업제품의 생산 및 수출을 촉진하고자 함 (산업다각화) 非 석유 분야의 수출확대 및 지속적인 산업다각화 정책 추진 - 이란 정부는 지속가능 성장을 도모하기 위하여 1990년대부터 경제 사회 개발 5개년 계획 을 통해 에너지 산업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음 * 산업다각화 중점 분야 : 석유화학, 정보통신기술, 도로, 항만, 물류, 환경 등 - 2016년부터 시작되는 6차 경제사회개발 계획에도 동 내용의 정책이 포함되어 6. 카타르 있어, 산업다각화 추진이 장기적 차원에서 진행될 예정 (구조조정) 카타르석유공사는 당초 카타르 자국민 직원을 포함한 인력 감축을 예고하였으나, 카타르석유공사가 구조조정 완료를 발표한 15.6월 기준 조정대상에 포함된 카타르인은 없는 것으로 파악 - 2015년 초, 카타르석유공사의 투자를 담당하고 있던 자회사인 QPI(Qatar Petroleum International)를 인수합병하고 에너지 산업과 연관이 없는 투자 를 정리하고 오일 및 가스 산업에 집중한다는 계획 18
7. 쿠웨이트 (산업다각화) 저유가로 인해 변경된 자국 산업 보호대책은 특별히 없으나, 포스트 오일 시대를 대비하여 제조업을 육성하기 위한 산업다각화 정책을 추진 (미래대비 기금 마련) 쿠웨이트 정부는 고유가 시절 재정수입의 25%를 미래 세대기금으로 적립 - 비축된 외환보유고를 바탕으로 저유가 지속으로 인한 외환위기 가능성은 낮음 * 쿠웨이트 재무부, 15년 3월 기준 1,792억KD(약 5,920억 달러)가 적립되었다고 발표한 바 있으며 이는 전년 동월 대비약 10%(162억KD) 증가된 금액임 8. UAE (에너지 산업인력 구조 조정) UAE 오일 가스 기업, 유가하락에 따른 비용절감차원에서 인력 감축 - 아부다비 국영에너지회사(TAQA)는 2015년 8월 13일 보도 자료를 통해 유가하락으로 원유와 천연가스 사업부 직원의 22%를 감원했다고 밝힘 (유가 보조금 폐지) UAE 에너지부는 지난 2015년 8월 1일부터 유가보조금 정책을 폐지하고 휘발유 가격을 인상함 - 2011년 이후 가격변동이 없던 가솔린의 주유소판매 가격은 리터당 약 0.47 달러에서 24% 상승 - 국제평균 판매 가격이 1.1 달러임을 감안하면 당초 예상보다는 작은 상승폭이었으나 매월 28일 국제평균가에 맞춰 조정될 예정 * IMF를 인용한 파이낸셜타임즈(2015년 7월)에 따르면 UAE 정부의 에너지 보조금은 연간 290억 달러로 GDP의 6.6% 수준이며, 이중 유가보조금은 70억 달러 규모에 달함 (법인세 및 부가가치세 도입) 저유가로 인한 재정수익 감소 위험 분산화 및 세원 확충을 위하여 연방법인세와 부가가치세 등 조세제도 도입을 검토 중 - 그간 세금이 없는 조세환경을 강점으로 외국인투자를 유치해온 UAE의 특성상 징세의 가능성은 낮다는 평가에도 불구하고, 2015년 7월 UAE정부가 연방 법인세와 부가가치세 도입을 위한 법률초안이 내각의 승인을 얻었다고 발표 19
저유가 지속에 따른 중동 주요 산유국 정책 시장 동향 및 시사점 - 2015년 12월 UAE 재무부, GCC 3년내 부가세 도입 합의 결정 발표 * 단, 94개 식품군, 의료, 교육 서비스는 부가세 면제 (준조세 인상) 재정보충을 위한 사업자등록 발급 갱신 수수료, 거주비자 신청 갱신 수수료, 도로 통행요금인 살릭(Salik) 등 준조세 인상 가속화 - 두바이 정부는 2015년 초 재정수입 중 정부서비스수수료 비중을 2014년 67%수준에서 2015년 74%까지 확대하기로 발표한 바 있음 - 아부다비 정부 또한 전기와 수도세 개혁을 시작 하는 등 유가하락으로 감소한 재정수입 확충을 위한 준조세 인상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음 20
Ⅲ 저유가에 따른 중동 주요 산유국별 시장 변화 1. 사우디아라비아 (상품 시장) 저유가로 인한 재정 적자 심화로 교역량 감소 - 사우디에서 원유 수출은 전체 수출액 대비 87%, 재정수입의 90%, 실질 GDP의 45%의 비중을 차지할 정도로 사우디 경제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교 역 규모는 당분간 감소 전망 <2010-2014사우디 연도별 교역액 현황> (단위: 억 달러) 구 분 2010 2011 2012 2013 2014 총 교역 3,358 4,584(37%) 5,440(19%) 5,441(0%) 4,980(-8%) 수 출 2,321 3,308(43%) 3,884(17%) 3,759(-3%) 3,430(-9%) 수 입 1,037 1,276(23%) 1,556(22%) 1,682(8%) 1,550(-8%) 수 지 1,284 2,032(58%) 2,328(15%) 2,077(-11%) 1,880(-9) (자료원 : 사우디 경제기획부) 주 : ( )-증감률 (프로젝트 시장) 사우디 건설시장은 석유화학 플랜트 관련 프로젝트는 연기 또는 중단되고 있으며, 민생 직결 프로젝트 및 산업다각화 관련 필수 프로젝트의 경우 발주 전망 2. 알제리 (상품 시장) 유가하락으로 인한 수출 감소로 알제리 정부의 L/C 개설 요건 강화, 엄격해진 통관, 외환통제 강화 등 수입억제 정책 실시 - 유가하락에 따른 비즈니스 환경 악화로 알제리의 2015년 상반기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약 10% 감소한 270억 달러 기록 - 차량의 경우, 2013년 및 2014년 각각 55만대, 44만대 규모로 수입되고 있으나, 수입 상한제 도입 및 기존 차량수입판매업체의 차량 수입 판매허가권 재발급 조건 강화를 통해 수입 규제 강화 21
저유가 지속에 따른 중동 주요 산유국 정책 시장 동향 및 시사점 * 이와 같은 규제로 인해 2016년도 수입차 허가대수는 40만대를 넘지 않을 것으로 전망 * 또한 알제리 차량수입업체는 제3자가 아닌 해외자동차 제조업체를 통해서만 수입이 가능하고, 양자간 체결된 계약서를 제시해야만 L/C 개설이 가능하도록 규정 개정 - 유로화 및 위안화 약세, EU와 FTA 발효에 힘입은 유럽산 및 중국산 제품 진출강화로 경쟁 심화 * (유럽) 지리적 근접성 및 이에 따른 운송 물류비용 절감, 높은 유럽 제품 선호도 등으로 시장내 경쟁력 확보 * (중국) 저가 제품을 바탕으로 2013년부터 알제리 수입 1위국으로 부상 (프로젝트 시장) 알제리의 외환사정 악화로 국민 생활과 직결되는 주택, 발전소 프로젝트 중심으로 발주가 예상되나, 입찰 준비중인 프로젝트는 중단 또는 취소될 가능성 다대 - 유가가 회복되지 않는 한 향후 1-2년 동안 대형 프로젝트 발주는 없을 3. 오만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상품 시장) ICV(In Country Value, 오만 자국산 우대 정책)으로 수입 제품의 현지산 제품 대체 확대 및 유가하락이 가시화된 2014년 하반기부터 수입액이 대폭 감소 - 오만정부는 국책 프로젝트 입찰 시, 프로젝트 금액의 10% 이상을 오만산 제품을 사용 의무토록 하고 있음 - 2015년 4월까지의 오만 수입액은 전년 대비 3% 감소한 93.6억 달러 기록 <2011-2014 오만 대외교역 동향> (단위 : 백만 달러)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1-4월 수입 24,011 28,626 35,568 29,297 9,362(-3%) 수출 47,078 52,122 56,412 53,204 11,770(-32.9%) 교역량 71,089 (자료원 : 오만 통계청) 80,748 91,980 82,501 21,132 (프로젝트 시장) 발주 또는 입찰 결과 대기 중인 주요 국책 프로젝트의 지연 및 취소 가능성 상승 22
- 1.35억 달러 규모로 2015년 3분기 입찰 공고 예정이었던 Lekhwair II 복합화력 발전소 프로젝트 시행이 취소되는 등 우선순위가 낮은 사업 취소 사례 발생 - 기존 계획되어 있던 국책 프로젝트들은 이미 재원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2015년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이나, 2016년 이후 신규 프로젝트들은 사업 재조정이 있을 전망 - 아직까지 유가하락으로 국책 프로젝트에 대한 영향은 미미한 상황이 나, 저유가 지속시 입찰 중인 사업의 발주 지연 또는 취소, 기성금 지불 지연 등을 유의해야함 4. 이라크 (상품 시장) 일반 소비재 분야의 경우 구매력 감소로 인해 이라크의 가격시장화가 더욱 두드러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중국, 이란, 터키산 저가 제품이 시장의 주류를 이루고 있음 - 삼성, LG 등 대기업 제품을 중심으로 이라크 시장에서 높은 브랜드 이미지를 바탕으로 선전 중이나 중국산 등 저가 제품과 경쟁해야하는 단순 소비재 수출에는 한계 - 자동차와 부품류의 경우, 가격대비 성능 등의 차원에서 이라크 소비 자들의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나, 소비위축으로 인해 금년 7월까지 수 출실적이 전년 동기 대비 40% 가까이 감소 * 관세청 HS 87 수출 통계 : (14.1-7월) 617백만 달러 (15.1-7월) 375백만 달러 - 일반소비재 부문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는 반면, IS 반군 대응으로 인해 총탄 총포류, 군용트럭 등의 분야에서는 이라크 정부로부터 대규모 발주가 이어지고 있음 23
저유가 지속에 따른 중동 주요 산유국 정책 시장 동향 및 시사점 (프로젝트 시장) 이라크 경제의 가장 큰 동력인 정부의 재정상황이 악화되고, 전국토의 1/3 정도가 ISIL의 통제 하에 들어가면서 이라크 프로젝트 시장 규모는 전년대비 대폭 위축 - 이라크 경제의 원동력인 석유 관련 프로젝트 분야의 경우 ISIL의 활동이 본격화된 2014년 하반기부터 발주 물량 급감 - 2014년의 하반기의 경우 정부구성 지연, IS 대응 등으로 인해 지연 반면, 2015년부터는 저유가로 인한 재정부족으로 인한 것이 주된 원인 <2012-2014 이라크 플랜트 프로젝트 발주물량 동향> (단위 : 백만 달러) 구분 2012년 2013년 상반기 2014년 하반기 계 석유플랜트 3,084 9,466 9,264 1,071 10,335 非 석유플랜트 1,145 2,654 862 221 1,083 (자료원 : MEED, 이라크 일간지 종합) - 이라크 기획부의 살만 알리 하산 장관은 2015년 8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2,469건의 프로젝트(총490억 달러 규모)가 저유가 상황으로 인해 중단됐 다고 언급 - 이라크 정부는 새롭게 준비하는 중소규모의 프로젝트의 경우 이연지급 (Deferred Payment) 방식, 대형 프로젝트의 경우 투자 방식으로 발주 방식을 전환 * 이라크 정부가 추진하는 프로젝트로 우리 업계의 관심이 높은 사마와 화력발전소(750MW 규모), 알파오 컨테이너 항만 공사 등은 모두 투자 발주 방식으로 전환 * 단, 이라크의 경우 신용등급이 지극히 낮고, 정치적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투자를 유치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애로점에 봉착 - 국가차원의 정부 발주 이외에 국제석유기업(International Oil Company)들이 추진하는 석유자원 개발 프로젝트들이 있을 수 있으나 정부의 간접시설 지원 미비 및 정부로부터의 개발비용 회수가 늦어지면서 대형 신규 발주가 줄어든 상황 - 우리나라의 대 이라크 수출의 상당량이 플랜트 기자재인 점을 감안할 경우, 이 같은 프로젝트 시장의 축소는 우리 수출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치게 될 것으로 전망 24
5. 이란 (상품 시장) 경제제재 및 유가 하락 지속에 따른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저가를 무기로 한 중국제품의 약진이 두드러짐 - 2015년 6월 KOTRA 테헤란 무역관에서 실시한 바이어 설문조사 결과, 전체응답자(262명)의 48%가 한국산의 수입확대를 위해서는 가격경쟁력 제고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 - 저가의 중국산 진출 강화 뿐만 아니라, 산업화 정책에 따른 이란기업의 생산능력 증강 등에 따른 저가제품과의 경쟁도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 - 전통적으로 이란시장은 서구브랜드에 대한 충성도가 높은 점도 유의 필요 - 이란정부의 자국 산업 보호 및 국내생산 확충, 고가소비재 수입억제, 세수부족 보충을 위한 고관세 정책도 수출시 고려해야함 (프로젝트 시장) 재정부족의 영향으로 정부 발주 프로젝트가 지연되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음 - 유가하락으로 이란 정부는 경상비의 지출을 위해 개발 프로젝트 예산 할당량 축소 - 유가 하락뿐만 아니라 대이란 경제제재 여파로 석유 및 가스 분야의 신규 발주 불가 - 非 제재 분야 대형 공공프로젝트의 경우도 EPC(Engineering, Procurement & Construction) + F(Financing)를 희망하고 있어 대부분 연기되는 상황 * 제재 해제 시 그 동안 지연되었던 프로젝트들이 본격 발주될 것으로 예상되나, 대부분은 현재와 같이 자금조달까지 요청 예상 * 제재 해제 시 해외동결자산(1,100억 달러 추정) 해제 및 경제회복을 통한 재정수입 확대 등이 예상되나, 발주처 예산으로 프로젝트를 추진하기에는 부족할 것으로 전망 - 경제제재 해제 이후에도 발주처 예산으로 추진되었던 기존 진행중인 프로젝트에 우선적으로 예산이 투입될 전망 25
저유가 지속에 따른 중동 주요 산유국 정책 시장 동향 및 시사점 * 개발사업 중점 투자분야 : 80%이상 진행된 프로젝트에 우선배정하고, 신규 사업은 중점투자 분야(주요 광산 인프라 구축, 사우스파 가스전 생산 증대, 유전 개발, 도로 및 철도, 의료시설 등)로 제한 - 재정부족에 따른 건설프로젝트 수주의 관건은 자금조달 여부에 있고, 동 분야 또한 서방기업에 대한 신뢰성이 높아 제재 해제 시 본격적인 수주경쟁이 전개될 것으로 보이나 우리기업의 발주처 요구에 대한 신속한 대응 및 약속 준수로 우리기업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것은 강점으로 작용하고 있음 * 중국기업에 대해서는 품질경쟁력과 합의사항 미준수 등에 대해, 서구기업에 대해서는 기술이전 부족 등에 대해 일부 부정적 시각이 있음 6. 카타르 (상품 시장) 카타르는 제조기반이 취약함에 따라 대부분의 품목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급격한 외국인 유입에 따른 인구증가는 내수시장의 수요 증가로 이어지고 있어, 저유가 지속으로 인한 영향력은 크지 않은 상황임 - 2011년도 카타르 인구는 170만명 수준이었으나 2013년 최초로 200만명을 넘어선 이후 매년 연평균 10% 안팎의 증가세를 보이며 2015년 240만명 이상을 기록 <2013-2015 중동 주요 산유국 인구증가율> (단위: %) (자료원: IMF) <2011-2015 카타르 인구수> (단위: 백만명) 연도 2011 2012 2013 2014 2015 인구수 1.708 1.837 2.045 2.235 2.437 (자료원: IMF) 26
- 2010년 209억 달러를 기록하였던 카타르 수입은 그 동안 꾸준한 인구증가와 대형 프로젝트 발주에 따라 2014년 400억 달러로 약 2배 증가 * 카타르는 석유 가스 석유화학 분야에 소요되는 부분품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고 전선, 변압기 등 프로젝트 수행에 따른 수요가 지속적으로 발생 - 카타르의 풍부한 자본금과 고정금리를 차용하고 있는 카타르는 달러 강세에 따라 실질구매력은 크게 감소하지 않아 유가하락의 영향이 제한적 * 카타르 원유수출은 전체 수출의 12.2%에 불과하며, 주요 수출 품목인 천연가스는 장기공급계약으로 큰 타격이 없음에 따라 카타르 내수시장 내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됨 * 원유 생산도 점차 감소하는 추세로, 2012년 하루 73만 배럴 생산에서 2015년 70만 배럴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원유가 카타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동반 감소 예상 (프로젝트 시장) 카타르 정부는 2014년 말 유가하락의 장기화가 예상된 직후 내부적으로 프로젝트 우선순위 재정비 실시 - 2022년 월드컵 개최준비를 위한 필수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우선 순위를 재정립하고 후순위로 밀려난 프로젝트는 잠정 연기되거나 취소 * 주요 잠정연기/취소 프로젝트 : 알 샤크 크로싱(60억 달러, 잠정연기), 알 사질 석유화학단지(74억 달러, 취소), 알 카라나 석유화학단지(64억 달러, 취소) - 단, 2022년 월드컵 개최준비라는 시기적 요소와 외국인 유입에 따른 급격한 인구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토목, 건축, 발전담수 프로젝트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예상 7. 쿠웨이트 (상품 시장) 쿠웨이트 자국민의 대부분은 공공분야에서 근무하고 있기 때문에 실업률이 2%대로 낮은 편이며, 1인당 GDP(PPP 기준)가 7만 달러 수준으로 저유가로 인한 급격한 소비시장 위축 가능성은 낮음 * 가구류(+14.4%), 보석류(+19.8), 쌀(+44.8%), 의류(+12%) 등 소비재 수입 증가(2014년 기준) 27
저유가 지속에 따른 중동 주요 산유국 정책 시장 동향 및 시사점 <쿠웨이트 수입금액> (단위 : 천 달러, %) 2012년 2013년 2014년 수입금액 수입금액 증가율 수입금액 증가율 27,263 29,298 7.46% 31,488 7.47% (자료원 : Trade Map) (프로젝트 시장) 저유가에도 불구하고 쿠웨이트 정부에서 대형 프로젝트를 예정대로 추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프로젝트 시장이 활성화되어 플랜트 기자재 및 장비 수입이 증가 - 저유가임에도 불구하고 노스 알주르 발전소, 클린퓨얼프로젝트, 신정유 공장 등 프로젝트 본격화에 따라 플랜트 기자재 수출 유망 - 유가하락에도 불구하고 쿠웨이트 정부는 오일, 가스, 발전, 신도시 등 대형 프로젝트를 체계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 2015년 쿠웨이트 정부는 4차 정유공장(NRP) 프로젝트(약 140억 달러), 쿠웨이트 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약 43.9억 달러), Water Center(3.1억 달러) 등 52억KD 규모 프로젝트 발주 - 한국 EPC기업은 클린퓨얼 프로젝트(2014년 4월 72억 달러), 도하해상교량 프로젝트 (2014년 10월, 5억 달러), 제 4차 정유공장(New Refinery Project) 프로젝트(2015년 7월, 53억 달러)를 수주 8. UAE (상품 시장) 저유가로 인한 소비위축은 크게 나타나고 있지 않으나 중동국가의 정세불안에 따른 UAE의 중계무역 입지 축소, 엔저 및 유로화 약세, 중국산 진출 강화 등 저유가 외의 시장 변화 요인에 유의 필요 (프로젝트 시장) UAE 정부는 2009년 이후 고유가로 벌어들인 막대한 오일머니를 건설 플랜트 시장에 투입하였지만 2014년부터 지속되어온 저유가로 건설프로젝트 시장이 주춤한 상태 28
- 중동의 해외건설 전문지인 Meed(15년 7월)에 따르면 2015년 상반기 UAE 건설시장 프로젝트 규모는 110억 달러로 전년동기(210억 달러) 대비 50% 정도 감소되었다고 밝힘 - 중국에 이어 이탈리아, 스페인, 네덜란드 등 유럽국가도 유로화 약세에 힘입어 저가수주 공세를 펼치고 있어 프로젝트 수주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 29
저유가 지속에 따른 중동 주요 산유국 정책 시장 동향 및 시사점 Ⅳ 시사점 국가별 정책 변화 및 시장 동향 모니터링 강화 저유가가 지속됨에 따른 중동 주요 산유국의 정부 재정 및 시장 상황이 악화되고 있어, 이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필요 - (사우디아라비아) 단기적으로는 정부 지출 규모를 유지하면서 재정 적자를 국채 발행, 외환보유고 활용 등으로 충당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 정부 지 출 억제가 불가피하며 민간부문의 성장도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 * 저유가 추세 지속에도 사우디 경제에서 정부의 공공부문은 80%의 비중을 차지 할 정도로 정부 지출은 경제성장에서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 - (이라크) 저유가 지속 및 ISIL에 따른 정정불안이라는 이중고로 내수시장 및 프로젝트 발주 물량 축소 * 이라크 정부는 저유가로 인한 세입 감소를 만회하기 위해 지금까지 지속해 오던 수입품 일괄 관세 5%를 HS 코드에 따라 5-40%로 차등화해 나간다는 방침 경제제재 등 정치적 요인에 따른 추가 유가 하락 및 정책 시장 환경 변화도 예의 주시 필요 - (이란) 경제제재 해제시 이란의 석유 수출 규모 증가 및 추가 유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될 것으로 분석 * (참고) 2014년 7월 이란과 주요 6개국간의 핵협상이 타결되었으나 이란은 여전히 경제제재 하에 있는 만큼 경제제재에 따른 거래 규정 및 가이드라인을 철저히 준수해야하며, 향후에도 정치적 위험이 상존(핵협상 불이행시 snap-back 조항 발동) 하고 있는 만큼 위험관리를 철저히 해야 함 저유가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는 국가의 경우에도 향후 저유가 장기화에 따른 보수적인 재정 운영 등이 예상되는 바, 지속적인 모니터링 필요 - (카타르, UAE) 그간 오일머니를 축적한 재정여력(Fiscal Buffers)을 바탕으로 단기간내 재정 및 시장 악화 가능성은 낮으나, 저유가 지속시 정책 변화 가능 30
국가별 정책 및 시장 현황 맞춤형 진출전략 수립 Post Oil 시대를 대비한 산업다각화, 자국산업육성, 외국인투자유치 정책에 부합하는 진출분야 공략 필요 - (산업다각화) 신재생에너지, IT, 의료, 교육 등 자국 산업다각화를 위해 투자하고 있는 신산업분야 적극 진출 필요 * (카타르) 18년까지 100-200억 달러 투자, 총 1800MW 태양광 발전소 건설 계획 * (이란) 16년부터 시작되는 제6차 국가개발계획의 8개 분야 중 정보기술 및 통신 포함 * (사우디아라비아) 16년 보건의료 및 사회복지 분야에 48% 증가한 총 427억 달러 예산 배정 * (오만) 약 15억 달러 규모의 Muscat Medical City 건설 중. 병원, 의료기기, 시스 템, 전문인력 등 의료 전반에 걸친 수요 증가 - (자국산업육성) 현지기업과의 합작을 통한 법인설립, CKD(Complete Knock Down, 부품을 그대로 수출하여 현지 조립) 또는 SKD(Semi Knock Down, 일부 조립 후 반제품 형태로 수출하여 현지 조립) 형태의 생산 조립 공장 설립 등 자국 제조업 육성 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현지진출 방안 모색 * (오만) 자국 제조업 육성을 위해 ICV(In Country Value : 국책 프로젝트 입찰 시 총 입찰 금액의 10%를 오만산 제품을 사용토록 의무화하는 정책으로 현지 기 업과 합작 생산을 통해 오만산 제품으로 인정받을 경우 프로젝트 납품이 매우 용이해 짐) 정책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어 향후 오만에서 생산되는 제품이 있을 경우 동종 수입산 제품의 오만 시장 진출은 경쟁력 감소 전망 - (외국인투자유치) 관련 법률 개정, 인센티브 제공을 통한 외국인투자 유치 강화 * (쿠웨이트) 외국인 100% 소유 법인설립이 가능하도록 법률 개정 * (알제리) 외국인 투자유치의 가장 큰 걸림돌이었던 내국인과 외국인 지분 비율 제한(51:49) 관련 법령 개정 작업 착수 정부 재정지출 축소, 수입 억제정책 등 보수적인 정책 운영 대비 필요 - (민간자본활용) 유가하락으로 정부 재정지출 축소를 위해 대형 프로젝 트 발주시 PPP(Public-Private Partnership) 활용 전망 * 프로젝트 시장의 경우 유가하락에 따른 재정수지 압박으로 발주처 재원을 기반으로 한 대형 건설 프로젝트의 신규 발주 어려운 상황으로 자체 금융(Finance)을 통한 투자 개발형 사업 진출 방안 모색 필요 31
저유가 지속에 따른 중동 주요 산유국 정책 시장 동향 및 시사점 * (사례) 쿠웨이트 민자사업청(Kuwait Partnerships Technical Bureau)은 2013년 9월, 쿠웨이트의 제 1호 민자회사인 Al-Zour Company 설립하고 '북부 알주르 민자 담수화공장 프로젝트 (IWPP)'를 2013년 12월에 계약 완료함 민자회사 지분 배분 : 쿠웨이트 정부 10%, 전략적 투자자 40%, 쿠웨이트인 공모 50% 전략적투자자 : 1GDF Suez, 2Sumitomo 3Abdullah Al-Hamad Al-Sagar & Brothers Group - (수입억제) 수입허가증 발급, 수입쿼터 제도 운영 등 수입 억제정책 도입 시 반제품 형태로 수출 및 현지 바이어(제조 파트너)를 통한 조립 완 성품 생산 모델 활용도 검토 필요 - (기존프로젝트 유지 보수) 신규 프로젝트 발주 감소에도 불구하고, 기존 시설 활용을 위해 발주되고 있는 유지 보수 확장 프로젝트 집중 공략 필요 현금 유동성 악화에 따른 대금지급 시기 지연, 주문 감소에 따른 대응책 마련 필요 - (프로젝트) 플랜트 프로젝트 발주처 재정능력 사전검토, 국가별 중소형 프로젝트 공략, 글로벌 기업과의 제휴, 신재생에너지 폐기물처리 등 진출 분야 다각화 등 신중한 접근 및 전략적 수주 방안 수립 * 발주처별 사전 벤더등록을 통한 향후 프로젝트 시장 활성화 대비 필요 - (상품) 유가하락 및 경기침체에 따른 수입처의 가격인하 요구 증가, 대금지급 지연 등 거래시 변동사항에 대처하기 위하여 사전 문서화를 통해 시장 변동 리스크 감소 필요 * 품질 제고, A/S 강화 등 우리기업의 비교 우위 분야 강화 필요 - (지원사업 활용) 수출입은행, 무역보험공사 등 수출지원기관의 관련 사업 적극 활용을 통해 거래 리스크 최소화 신시장 개척 및 진출 분야 다양화를 통한 적극적인 시장선점 노력 강화 할랄시장 공략, 소비재 유통망 진출 등 다양한 접근법을 통해 신시장 개척 및 수출 품목 다변화 32
- (할랄) 식품, 화장품 등 중동내 할랄 제품 수출을 통해 전세계 할랄 시장 진출 교두보 마련 * 2010년 기준 무슬림 인구는 16억명으로 전 세계 인구의 23%를 차지 * KMF(Korea Muslim Foundation, 한국이슬람중앙회 할랄인증) 등 할랄 인증을 활용한 적극적인 마케팅 필요 - (소비재 유통망) 단순 수출에서 벗어나 고유 브랜드를 전면에 내세운 프랜차이즈 등 고부가가치 유통산업으로 진출 모색 경제제재 이후 이란시장 개방 대비 선제적 진출 시도 필요 - 우리기업의 이란진출 지원 플랫폼 역할을 수행중인 KOTRA 이란 진출기업 지원센터 적극 활용을 통해 이란 내수시장 현황 등 관련 정보 수집 및 KOTRA 전시회, 사절단, 상담회 등을 통하여 이란 바이어 상담 기회 최대 활용 필요 - 새로 개방될 현지 시장에 대한 가능성만큼 리스크도 존재하는 시장 으로 이에 대한 충분한 대비 필요 - 타중동 산유국에 비해 자동차, 석유화학 산업, 철강산업에 경쟁력을 가지고 있음을 감안하여 진출 분야 선정 33
저유가 지속에 따른 중동 주요 산유국 정책 시장 동향 및 시사점 별첨 한-중동 주요 산유국 교역 및 건설수주 동향 사우디아라비아 <2011-2015 한-사우디 교역 동향> (단위 : 백만달러, %)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1-10 월 수출 6,964 9,112 8,828 8,288 7,999 (증감률) 52.8 30.8-3.1-6.1 19.9 수입 36,973 39,707 37,665 36,695 16,989 (증감률) 37.9 7.4-5.1-2.6-46.1 교역규모 43,937 48,819 46,493 44,983 24,988 (증감률) 40.0 11.1-4.8-3.2-34.5 (자료원 : KOTIS) <2015 우리나라 對 사우디 수출 상위 10대 품목> (단위 : 백만달러, %, MTI 4단위 기준) 품목명 2014 2015.1-10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비고 총계 8,288-6.1 7,999 19.9 승용차 3,061 17.1 2,817 14.9 수출감소 변압기 212-20.4 290 166.3 수출증가 건설중장비 전선 374 327-1.3 10.6 281 243-8.1-8.5 수출감소 화물자동차 경유 113 0 6.2-100.0 215 208 125.6 0.0 수출증가 타이어 200-17.4 199 14.0 차단기 252 6.4 197 10.2 수출감소 수출증가 (자료원 : KOTIS) <2015 우리나라 對 사우디 수입 상위 5대 품목> 공기조절기 배전 및 제어기 160 152-12.9 55.0 192 168 45.7 40.7 (단위 : 백만달러, %, MTI 4단위 기준) 품목명 2014 2015.1-10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계 36,695-2.6 16,989-46.1 원유 31,658-4.3 14,397-47.3 나프타 2,835 23.7 1,447-38.1 알루미늄괴 및 스크랩 308 84.1 225-7.5 LPG 637-16.9 199-62.0 석유화학합성원료 355-11.2 190-37.9 (자료원 : KOTIS) <우리기업 사우디아라비아 건설플랜트 수주 동향> (단위: 천 달러) 연도 2011 2012 2013 2014 2015.1-11 금액 14,836,742 15,791,871 6,770,573 2,817,218 3,139,481 (자료원 : 플랜트산업협회) 34
알제리 <2011-2015 한-알제리 교역 동향> (단위 : 백만달러, %)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1-10 월 수출 1,122 1,131 1,024 1,417 666 (증감률) -25.0 0.8-9.4 38.4-46.5 수입 130 302 893 1,948 704 (증감률) -54.5 131.6 195.8 118.0-58.0 교역규모 1,252 1,433 1,917 3,365 1,370 (증감률) -29.8 14.5 33.8 75.5-53.1 (자료원 : KOTIS) <2015 우리나라 對 알제리 수출 상위 10대 품목> (단위 : 백만 달러, %, MTI 4단위 기준) 품목명 2014 2015.1-10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비고 총계 1,417 38.4 666-46.5 건설중장비 170 33.3 83-44.2 화물자동차 297 57.3 52-80.9 승용차 214-30.4 61-67.1 수출감소 자동차부품 62 11.1 41-17.3 공기조절기 15 89.2 33 171.2 배전및제어기 11 48.5 37 282.1 수출증가 전선 47 138.1 29-19.8 철구조물 25 201.6 21-8.9 합성수지 30-25.4 19-27.1 수출감소 원동기 (자료원 : KOTIS) 6 120.1 18 237.2 <2015 우리나라 對 알제리 수입 상위 3대 품목> (단위 : 백만 달러, %, MTI 4단위 기준) 품목명 2014 2015.1-10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계 1,948 118.0 704-58.0 나프타 1,444 113.2 526-56.9 천연가스 307 193.6 155-40.0 LPG 81 148.5 22-72.9 (자료원 : KOTIS) <우리기업 알제리 건설플랜트 수주 동향 > (단위: 천달러) 연도 2011 2012 2013 2014 2015 금액 428,398 2,171,894 1,094,034 4,242,124 8,021 (자료원 : 플랜트산업협회) 35
저유가 지속에 따른 중동 주요 산유국 정책 시장 동향 및 시사점 오만 <2011-2015 한-오만 교역 동향>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1-10 월 수출 907 924 1,007 1,172 792 (증감률) 36.6 1.8 9.0 16.3-18.2 수입 5,363 5,306 4,783 4,597 2,490 (증감률) 30.9-1.1-9.8-3.9-33.9 교역규모 6,270 6,230 5,790 5,769 3,282 (증감률) 31.7-0.6-7.1-0.4-30.7 (자료원 : KOTIS) <2015 우리나라 對 오만 수출 상위 10대 품목> (단위 : 백만 달러, %, MTI 4단위 기준) 품목명 2014 2015.1-10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비고 총계 1,172 16.3 792-18.2 승용차 563 17.1 290-32.8 석유화학합성원료 272 76.8 116-53.9 수출감소 공기조절기 9-63.5 62 583.5 밸브 2-88.2 37 3,675.2 화학기계 4-75.2 27 1,669.5 수출증가 철강관 2-78.9 22 1,275.7 건설중장비 32-1.8 21-27.4 화물자동차 28-8.8 19-13.1 수출감소 중후판 21 188.5 17-3.1 펌프 (자료원 : KOTIS) 9-37.0 16 79.3 수출증가 <2015 우리나라 對 오만 수입 상위 5대 품목> (단위 : 백만달러, %, MTI 4단위 기준) 품목명 2014 2015.1-10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계 4,597-3.9 2,490-33.9 천연가스 3,531-12.2 2,144-24.7 원유 649 90.7 126-79.4 나프타 127-31.2 64-6.9 기타석유화학제품 80-48.1 52-15.5 알루미늄괴 및 스크랩 (자료원 : KOTIS) 160 183.3 52-63.5 <우리기업 오만 건설플랜트 수주 동향 > (단위: 천달러) 연도 2011 2012 2013 2014 2015 금액 1,834,974 493 1,122,302 416,478 0 (자료원 : 플랜트산업협회) 36
이란 <2011-2015 한-이란 교역 동향> (단위 : 백만달러, %)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1-10 월 수출 6,068 6,257 4,481 4,162 3,190 (증감률) 36.6 10.6-28.5 74.4-60.1 수입 11,358 8,544 5,564 4,578 2,147 (증감률) 56.3 7.9 2.3-9.8-48.4 교역규모 17,426 14,801 10,045 8,740 5,337 (증감률) 51.0-15.1-32.1-13.0-27.0 (자료원 : KOTIS) <2015 우리나라 對 이란 수출 상위 10대 품목> (단위 : 백만달러, %, MTI 4단위 기준) 품목명 2014 2015.1-10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비고 총계 4,162-7.1 3,190-5.4 합성수지 435 8.9 351-1.0 수출감소 승용차 25-46.3 295 3,848.0 수출증가 칼라TV 397-18.8 263-13.3 수출감소 자동차부품 259 92.8 262 27.1 열연강판 132 12.7 149 31.9 수출증가 냉연강판 115 247.5 136 55.7 평판디스플레이 210-6.0 125-34.7 냉장고 264 10.7 113-48.9 수출감소 인쇄용지 80-59.5 85 32.0 수출증가 (자료원 : KOTIS) 기타석유화학제품 96-3.2 74-2.7 수출감소 <2015 우리나라 對 이란 수입 상위 5대 품목> (단위 : 백만달러, %, MTI 4단위 기준) 품목명 2014 2015.1-10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계 4,578-17.7 2,147-45.4 원유 4,502-12.3 1,994-48.4 중유 0 0.0 72 0.0 LPG 39-83.5 59 51.2 아연괴 및 스크랩 12 5.8 9-24.0 동괴 및 스크랩 (자료원 : KOTIS) 1 151.2 3 122.0 <우리기업 이란 건설플랜트 수주 동향> (단위: 천달러) 연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1-11 금액 523 18,823 76,338 19,352 0 0 (자료원 : 플랜트산업협회) 37
저유가 지속에 따른 중동 주요 산유국 정책 시장 동향 및 시사점 이라크 <2011-2015 한-이라크 교역 동향> (단위 : 백만달러, %)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1-10 월 수출 1,535 1,866 1,973 1,798 1,139 (증감률) 27.9 21.6 5.7-8.9-18.1 수입 9,138 10,227 9,261 6,687 5,131 (증감률) 106.4 11.9-9.4-27.8-5.3 교역규모 10,673 12,093 11,234 8,485 6,270 (증감률) 89.6 13.3-7.1-24.5-3.8 (자료원 : KOTIS) <2015 우리나라 對 이라크 수출 상위 10대 품목> (단위 : 백만달러, %, MTI 4단위 기준) 품목명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2014 2015.1-10월 비고 총계 1,798-8.9 1,139-18.1 승용차 661-8.8 256-53.4 화물자동차 174-7.0 122-15.6 수출감소 무기류 98 0.0 113 82.9 가열난방기 36-0.7 65 199.6 수출증가 칼라TV 2 93.0 54 40,060.2 자동차부품 52 20.4 39-2.2 배전 및 제어기 95-21.1 32-56.1 수출감소 펌프 24-38.7 24 24.7 주철 4-58.1 24 630.8 수출증가 화학기계 2-97.6 21 2,386.5 (자료원 : KOTIS) <2015 우리나라 對 이라크 수입 상위 3대 품목> (단위 : 백만달러, %, MTI 4단위 기준) 품목명 2014 2015.1-10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계 6,687-27.8 5,131-5.3 원유 6,687-27.5 5,131-5.3 발전기 0-100.0 0 0.0 건설중장비 0 0.0 0 0.0 (자료원 : KOTIS) <우리기업 이라크 건설플랜트 수주 동향> (단위: 천 달러) 연도 2011 2012 2013 2014 2015.1-11 금액 3,664,486 1,305,515 1,604,997 8,651,012 6,612 (자료원 : 플랜트산업협회) 38
카타르 <2011-2015 한-카타르 교역 동향>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1-10 월 수출 469 730 852 904 585 (증감률) -0.8 55.6 16.7 6.2-21.1 수입 20,749 25,505 25,874 25,723 14,288 (증감률) 74.1 22.9 1.4-0.6-34.1 교역규모 21,218 26,235 26,726 26,627 14,873 (증감률) 71.3 23.6 1.9-0.4-33.6 (자료원 : KOTIS) <2015 우리나라 對 카타르 수출 상위 10대 품목> (단위 : 백만 달러, %, MTI 4단위 기준) 품목명 2014 2015.1-10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비고 총계 904 6.2 585-21.1 건설중장비 109 89.9 144 57.7 수출증가 전선 144 272.4 107-9.6 승용차 186 8.3 106-30.3 수출감소 화물자동차 15 66.2 15 19.8 수출증가 칼라TV 16 191.1 11-20.9 수출감소 합성수지 9 19.3 11 36.2 배전및제어기 10-54.3 11 58.6 수출증가 타이어 13 26.9 10-11.6 공기조절기 24 173.0 9 64.8 수출감소 운반하역기계 (자료원 : KOTIS) 34 2,084.5 9-73.2 <2015 對 카타르 수입 상위 5대 품목> (단위 : 백만 달러, %, MTI 4단위 기준) 품목명 2014 2015.1-10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계 25,723-0.6 14,288-34.1 천연가스 11,856-1.4 6,510-33.8 원유 10,335 11.6 6,185-28.8 나프타 2,412-21.2 1,011-54.3 LPG 700-34.7 298-50.7 알루미늄괴및스크랩 (자료원 : KOTIS) 251 9.5 178-10.9 <우리기업 카타르 건설플랜트 수주 동향> (단위: 천 달러) 연도 2011 2012 2013 2014 2015 금액 1,059,950 370,685 844 542,294 12,664 (자료원 : 플랜트산업협회) 39
저유가 지속에 따른 중동 주요 산유국 정책 시장 동향 및 시사점 쿠웨이트 <2011-2015 한-쿠웨이트 교역 동향> (단위 : 백만달러, %)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1-10 월 수출 1,432 1,584 1,133 1,976 702 (증감률) 36.6 10.6-28.5 74.4-60.1 수입 16,960 18,297 18,725 16,892 7,673 (증감률) 56.3 7.9 2.3-9.8-48.4 교역규모 18,392 19,881 19,858 18,868 8,375 (증감률) 54.6 8.1-0.1% -5.0-15.2 (자료원 : KOTIS) <2015 우리나라 對 쿠웨이트 수출 상위 10대 품목> (단위 : 백만달러, %, MTI 4단위 기준) 품목명 2014 2015.1-10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비고 총계 1,976 74.4 702-60.1 승용차 396 12.5 225-30.2 전선 77-28.0 38-47.6 수출감소 변압기 42 47.2 27-21.9 배전 및 제어기 22-56.4 22 205.3 수출증가 차단기 51 24.8 21-48.1 수출감소 화물자동차 19-24.4 19 24.4 철강관 15 41.5 18 76.6 수출증가 주단강 15-19.4 15 16.4 타이어 24 13.4 15-18.3 아연도강판 (자료원 : KOTIS) 15-27.8 13 9.3 수출감소 <2015 우리나라 對 쿠웨이트 수입 상위 5 품목> (단위 : 백만달러, %, MTI 4단위 기준) 품목명 2014 2015.1-10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계 16,892-9.8 7,673-48.4 원유 14,034-9.7 6,328-48.4 나프타 1,927-12.6 830-53.6 LPG 842-1.9 333-53.3 중유 0-100.0 157 0.0 동괴 및 스크랩 20-8.6 8-58.2 (자료원 : KOTIS) <우리기업 쿠웨이트 건설플랜트 수주 동향 > (단위: 천 달러) 연도 2011 2012 2013 2014 2015.1-11 금액 1,286,222 546,141 1,699,127 7,150,313 4,858,956 (자료원 : 플랜트산업협회) 40
UAE <2011-2015 한-UAE 교역 동향>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1-10 월 수출 7,268 6,862 5,738 7,212 5,081 (증감률) 32.5-5.6-16.4 25.7-14.3 수입 14,759 15,115 18,123 16,194 7,417 (증감률) 21.3 2.4 19.9-10.6-46.3 교역규모 22,027 21,977 23,861 23,406 12,498 (증감률) 24.7-0.2 8.6-1.9-36.7 (자료원 : KOTIS) <2015 우리나라 對 UAE 수출 상위 10대 품목> (단위 : 백만달러, %, MTI 4단위 기준) 품목명 2014 2015.1-10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비고 총계 7,212 25.7 5,081-14.3 승용차 769 16.4 366-41.1 자동차부품 413-0.4 340-2.0 칼라TV 460 66.2 261-29.2 연초류 274 65.8 256 15.1 축전지 285 53.5 239 0.8 수출감소 무선전화기 420-23.8 209-40.7 가열난방기 211 614.7 186-11.8 폴리에스터직물 196 14.8 175 6.7 밸브 132-0.9 141 44.1 수출증가 공기조절기 (자료원 : KOTIS) 124 152.7 129 17.7 수출증가 <2015 우리나라 對 UAE 수입 상위 5대 품목> (단위 : 백만달러, %, MTI 4단위 기준) 품목명 2014 2015.1-10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계 16,194-10.6 7,417-46.3 원유 11,599-7.2 4,826-51.8 나프타 2,280-35.8 1,321-32.4 LPG 1,041-21.9 404-53.0 알루미늄괴및스크랩 340 24.5 275-3.8 철구조물 244 54,222.7 178 11.6 (자료원 : KOTIS) <우리기업 UAE 건설플랜트 수주 동향> (단위: 천 달러) 연도 2011 2012 2013 2014 2015 금액 1,205,263 2,661,048 2,709,319 3,610,462 248,901 (자료원 : 플랜트산업협회) 41
저유가 지속에 따른 중동 주요 산유국 정책 시장 동향 및 시사점 2015년 KOTRA 발간자료 목록 GMR (Global Market Report) 번 호 제 목 번호부여일 15-001 경쟁국 對 유럽 M&A 현황 및 시사점 - 1편 - 2015.1 15-002 경쟁국 對 유럽 M&A 현황 및 시사점 - 2편 - 2015.1 15-003 최근 우리나라 FTA 확대와 해외진출 전략 2015.1 15-004 주요국 온라인 해외 직구시장 동향 2015.1 15-005 2015년 1분기 KOTRA 수출선행지수 2015.1 15-006 RCEP 협상 동향과 참여국별 전략 및 산업계 반응 2015.1 15-007 아베노믹스 2년 성과 진단 및 향후 전망 2015.1 15-008 그리스 총선 결과에 따른 정책 방향 및 시사점 2015.1 15-009 TPP 협상이 섬유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2015.2 15-010 주요국 정상신년사로 바라본 2015년 글로벌 경제통상환경 2015.1 15-012 15-013 15-014 엔저 장기화에 따른 일본기업 동향 및 우리기업의 대응방안 '재부상 하는 인도' - 2015~2016 회계연도 인도 예산안 주요내용 및 우리기업 진출 기회 분석 한-뉴질랜드 FTA에 따른 현지반응과 중소기업 수출유망품목 2015.3 2015.3 2015.3 15-015 2014년 대한 수입규제 동향과 2015년 전망 2015.3 15-016 2015년 2분기 KOTRA 수출선행지수 2015.3 15-017 미국 금리인상 전망과 수출 기상도 2015.4 15-018 일본 식품시장 트렌드 및 진출 가이드 2015.4 15-019 아세안 역내 경제통합에 따른 주요국 동향 및 시사점 2015.4 15-020 유가하락에 따른 산유국 시장동향 분석 및 시사점 2015.4 15-021 TPP 협상이 전자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2015.5 15-022 유럽 실버시장 현황 및 진출방안(1) 2015.5 15-023 유럽 실버시장 현황 및 진출방안(2) 2015.5 15-024 EU 에너지연합 기본전략계획안 내용 및 시사점 2015.5 15-025 2015 영국 총선 결과에 따른 정책방향 및 시사점 2015.5 15-026 TPP 이후 한 일 對 美 수출 전망 2015.6
15-027 세계시장의 히트 환경상품 2015.6 15-028 한-중미 FTA와 우리기업 진출기회 2015.6 15-029 2015년 3분기 KOTRA 수출선행지수 2015.7 15-030 무역사기 발생현황 및 대응책 2015.7 15-031 시장 점유율 분석을 통한 한국 수출 시장 재조명 2015.8 15-032 주요국 천연화장품 시장동향 2015.8 15-033 경제제재 1년, 러시아 시장 새롭게 접근하자 2015.8 15-034 2015년 상반기 대한 수입규제 동향과 향후 전망 2015.8 15-035 韓 日 제3국 상생협력 진출전략 -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2015.8 15-036 동유럽 의료기기 시장 동향과 진출방안 2015.8 15-037 인도 에너지산업 점검과 우리기업 진출 기회 : '한-인도 에너지신산업 손잡다 2015.8 15-038 주요국의 제조업 육성정책과 시사점 2015.10 15-039 2015년 4분기 KOTRA 수출선행지수 2015.10 15-040 해외 바이어가 들려주는 100대 수요급등 품목 2015.10 15-041 키워드로 살펴보는 미국 소비시장 트렌트 2015.10 15-042 Blue Ocean 쿠바 시장과 우리기업 진출 전략 2015.10 15-043 러시아 경기불황 장기화의 시사점과 기업대응 2015.10 15-044 이탈리아 장인기업의 비결과 우리기업과의 협력방안 2015.10 15-045 미얀마 총선 결과에 따른 정책방향 및 시사점 2015.11 15-046 헤알화 가치 하락에 따른 브라질 경제 동향 및 우리 기업 대응방안 2015.11 15-047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우리에게 기회인가? 2015.11 15-048 7대 먹거리로 살펴보는 유럽시장 2015.11 15-049 그리스 민영화 정책과 시사점 2015.11 15-050 2016년 우리나라의 지역별 수출전망 및 시장여건 2015.12 15-051 연말쇼핑시즌, 미 소비자 사로잡을 히트예상품목 2015.12 15-052 한-뉴질랜드 FTA 활용 소비재 시장 진출방안 2015.12 15-053 세계의 번뜩이는 중소기업 혁신상품 100선 2015.12 15-054 바이어와 현지진출기업을 통해 본 한-베트남 FTA 영향 및 우리기업 대응방안 2015.12 15-055 미국 금리인상이 우리수출에 미치는 영향 2015.12 15-056 한-캐나다 FTA 발효 1주년 성과분석 2015.12 15-057 주요국의 스타트업 육성정책과 한국의 과제 2015.12 43
저유가 지속에 따른 중동 주요 산유국 정책 시장 동향 및 시사점 15-058 저성장고령화시대 일본 첨단산업 성장전략의 내용과 시사점 2015.12 KOCHI자료 번 호 제 목 번호부여일 15-001 중소기업 중국 내수시장 진출 종합 안내서 2015.1 15-002 부진속에 빛난 대중국 수출품 : 14년 가공단계별 품목별 2015.2 수출성과 15-003 주요국의 중국 농식품시장 진출 사례 2015.5 15-004 한중 FTA 업종별 기대효과와 활용방향 2015.7 15-005 우리 기업이 꼭 알아야 할 한 중 FTA 비즈니스 모델 및 활용 GSR (Global Strategy Report) 2015.9 15-006 중국을 움직이는 파워엘리트 400인 증보판 2015.9 15-007 육성에서 혁신으로 : '중국제조 2025' 전략과 시사점 2015.10 15-008 중국 지방 성시별 진출 정보 2015.11 15-009 중국진출기업경영사례 2015.12 15-010 한 중 FTA 중소기업 영향과 활용 전략 2015.12 15-011 한 중 FTA의 효과 중국 진출 기업 및 바이어 긴급 설문조사 2015.12 15-012 중국의 '13차 5개년 규획 건의' 주요내용과 시사점 2015.12 15-013 중국경제동향과 우리의 대응방안 2015.12 15-014 중국의 수출입 및 한국의 대중수출입동향과 대응 시사점 2015.12 번 호 제 목 번호부여일 15-001 韓 中 美 日 글로벌 가치사슬 분석과 우리기업의 진출방안 연구 2015.9 15-002 글로벌 가치사슬을 활용한 한 인도 제조업 협력 확대방안 2015.9 15-003 유라시아 경제연합의 확장과 한국의 투자 통상 대응 전략 2015.9 44
KOTRA자료 번 호 제 목 번호부여일 15-001 2015년 이후 유럽 각 국의 주요 제도 변화 2015.1 15-002 KOTRA Global Insight (2015년 권역별 진출전략) 2015.1 15-004 2014 KOTRA 글로벌 CSR 성과보고서 2015.1 15-005 2015 권역별 시장진출전략 2015.1 15-006 크로아티아 투자실무가이드 2015.1 15-007 15-008 GVC발전단계 모델 관점에서 본 한국의 지역별 외국인투자 입지 현황과 정책방향 주요 글로벌 완성차/벤더 맵핑조사 - 미국 (디트로이트 KAPP) 주요 글로벌 완성차/벤더 맵핑조사 - 독일 (프랑크푸르트 2015.2 2015.2 15-009 KAPP) 2015.2 15-010 주요 글로벌 완성차/벤더 맵핑조사 - 일본 (나고야 KAPP) 2015.2 15-011 몽골 투자 가이드 2015 2015.2 15-012 코트라와 손잡고 글로벌 시장에서 우뚝 (내수 및 수출초보기업 수출성공사례) 2015.2 15-013 권역별 한류 활용 마케팅 2015.3 15-016 2014 외국인투자옴부즈만 연차보고서 2015.4 15-017 Foreign Investment Ombudsman Annual Report 2014 2015.4 15-018 SEOUL FOOD 2015 디렉토리 2015.5 15-019 외국인을 위한 법인설립 안내 2015.6 15-020 외국인투자가이드 2015.6 15-021 2014 KOTRA 지속가능경영보고서 2015.6 15-022 2014 KOTRA Integrated Sustainability Report 2015.6 15-023 수출,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2015.7 15-024 2015 대양주 유통시장 현황 및 진출 가이드 2015.7 15-025 SEOUL FOOD 2015 결과보고서 2015.7 15-026 문 - 해외전시회 참가 수출 성공 사례집 2015.7 15-027 Labor Law Guide for Foreign Investors (September 2015 Edition) 2015.9 15-028 M&A형 투자유치 현황과 대응전략 2015.8 15-029 지식산권보호연계수책 2015.8 15-030 Doing Business in Korea 2015.9 15-031 Guide to Establishing a Business in Korea 2015.9 45
저유가 지속에 따른 중동 주요 산유국 정책 시장 동향 및 시사점 15-032 제약산업 브라질 진출 전략 보고서 2015.9 15-033 외국인 투자상담 Q&A 2015.9 15-034 韓 国 投 資 ガイド 2015.9 15-035 Invest KOREA 2014년도 연차보고서 2015.9 15-036 중남미 폐기물 에너지화 프로젝트 전문가 합동조사 보고서 2015.9 15-037 동북아 비즈니스 허브전략 추진방안 연구 2015.9 15-038 UNCTAD World Investment Report 2015 요약번역본 2015.9 15-039 해외진출기업의 국내복귀 지원에 관한 법률(시행령, 시행규칙, 고시, 영문법률 포함) 2015.10 15-040 Q&A on FDI in Korea 2015.10 15-041 FIW 2015 STARTUP KOREA Directory 2015.10 15-042 정부간 거래 선도기관의 소송사례 연구조사 : 캐나다상업공사 (CCC)의 사례를 중심으로 2015.10 15-043 투자실무가이드 인도네시아 2015.10 15-044 2016 해외시장 진출 호 부진 품목 : 국가 및 무역관별 2015.10 15-045 한중 FTA 실무활용 가이드 (국문) 2015.10 15-046 한중 FTA 실무활용 가이드 (중문) 2015.10 15-047 2015 대전국제농업기술전 (TAMAS 2015) 디렉토리 2015.10 15-048 Invest KOREA Annual Report 2014 2015.10 15-049 2015 투자유망국 유통망현황 및 진출전략 2015.10 15-050 신기후체제 대비 외국인투자 유치전략 2015.11 15-051 2016 한국이 열광할 12가지 트렌드 2015.11 15-052 Global Green Hub Korea 2015 결과보고서 2015.11 15-053 2016 미리 보는 세계 KOTRA 리포트 2015.11 15-054 2016년 권역별 시장진출전략 2015.11 15-055 알기 쉬운 브라질 노동법 2015.11 15-056 MDB 글로벌개발펀드 프로젝트 플라자 결과보고서 2015.11 15-057 2015년 주요 18개국 해외투자진출 상담사례집 2015.11 15-058 2016 Guide to Living in Korea 2015.11 15-059 2016 韓 国 生 活 ガイドブック 2015.11 15-060 2016 韩 国 生 活 指 南 2015.11 15-061 2016 해외투자진출 종합가이드 2015.12 15-062 SOFT IP GUIDEBOOK 한 눈에 보이는 미국지재권 실무가이드 2 2015.12 46
15-063 FTA 네트워크를 활용한 GVC 참여 확대전략 수립 2015.12 15-064 국내복귀기업지원 종합가이드 2015.12 15-065 해양플랜트 산업 현황 및 진출 방안 2015.12 15-066 전략지역 투자여건 종합 비교 분석조사 2015.12 15-067 IT기업 일본시장 진출 내비게이터 제2판 2015.12 15-068 주한미군 조달시장 진출 가이드 2015.12 15-069 중소기업 80대 수출유망품목 해외인증제도 제1권 2015.12 15-070 중소기업 80대 수출유망품목 해외인증제도 제2권 2015.12 15-071 중소기업 80대 수출유망품목 해외인증제도 제3권 2015.12 15-072 중소기업 80대 수출유망품목 해외인증제도 제4권 2015.12 15-073 중소기업 80대 수출유망품목 해외인증제도 제5권 2015.12 15-074 중소기업 80대 수출유망품목 해외인증제도 제6권 2015.12 15-075 중소기업 80대 수출유망품목 해외인증제도 제7권 2015.12 15-076 중국 공공조달시장 현황 및 진출 전략 2015.12 15-077 2015 Global FDI Briefing 2015.12 15-078 2015년 외국인투자기업 경영환경 애로조사 2015.12 15-079 2015년 외국인투자기업 생활환경 애로조사 2015.12 15-080 2015 인도 투자실무가이드 2015.12 15-081 중동 발전기자재 시장보고서 2015.12 15-082 정부간수출계약 이행기업의 기술이행능력 평가 연구 2015.12 설명회자료 번 호 제 목 번호부여일 15-001 2015 세계시장 진출전략 설명회 2015.1 15-002 2015 글로벌 투자유치전략 설명회 2015.1 15-003 2015 주요 전략시장 긴급점검 설명회 2015.1 15-004 2015 달라지는 FTA환경과 우리기업 대응전략 2015.1 15-005 코트라 해외수주협의회 제 18차 수요포럼 2015.1 15-006 한류스타-중소기업 융합 해외마케팅 사업설명회 2015.1 15-007 강원도-외투기업 우량기업 투자마케팅 협력상담회 2015.3 15-008 한류스타-중소기업 융합 해외마케팅 설명회 2015.3 15-009 코트라 해외수주협의회 제 19차 수요포럼 2015.4 15-010 한중 FTA 활용방안 설명회 2015.4 47
저유가 지속에 따른 중동 주요 산유국 정책 시장 동향 및 시사점 15-011 15-012 2015 세계 주요시장 수출전략 설명회(지사화 전담직원 방한교육 연계) 3 中 (중동,중남미,중국), 3 戰 (이란,멕시코,중국내륙) 시장 설명회 2015.5 2015.5 15-013 Global Online Biz-Week Korea 2015 Business Forum 2015.5 15-014 인도 자동차부품 시장 진출 기회 2015.6 15-015 Global Project Plaza 2015 2015.6 15-016 글로벌 가치사슬과 FTA 활용전략 설명회 2015.7 15-017 해외진출 氣 UP 지원 설명회 2015.8 15-018 에콰도르 투자 설명회 2015.8 15-019 2015 Global Bio Medical Forum - Overseas Hospital Project Presentation 2015.9 15-020 동유럽 의료기기시장 진출전략 설명회 2015.9 15-021 2015년도 하반기 세계 주요시장 수출전략 설명회 2015.9 15-022 주력시장 긴급점검 설명회 2015.9 15-023 MDB 글로벌개발펀드 프로젝트 플라자 2015.9 15-024 쿠바 마리엘 경제특구 투자 설명회 2015.9 15-025 미래 신성장동력, 해외 프로젝트 시장 진단과 전망 : KOTRA 해외수주협의회 창립 5주년 기념 특별포럼 2015.9 15-026 한중FTA 활용 Gateway To China 설명회 2015.10 15-027 對 韓 투자 : 중국시장 진출을 위한 첩경 2015.10 15-028 Regional Development Investment Forum 2015.10 15-029 제12회 외국인투자 전문가 포럼(The 12th Korean FDI Forum) 2015.10 15-030 Open Innovation Opportunities with Korea 2015.10 15-031 FIW 2015 STARTUP KOREA 2015.10 15-032 8th Korea-Africa Industry Cooperation Forum 2015.10 15-033 한류 융합 해외마케팅 설명회 2015.10 15-034 Workshop for Defense Attaché in Korea 2015.10 15-035 SABIC - GAPS Launching Conference : 16th Global Alliance Project 2015.11 15-036 신수출먹거리 G2G 민관협력 세미나 2015.11 15-037 중앙아시아 이란 진출 설명회 2015.11 15-038 2015 케냐 투자진출 세미나 2015.11 15-039 KOTRA 해외수주협의회 제22차 송년수요포럼 2015.11 15-040 해외투자 유공자 포상식 및 성공전략 워크숍 2015.11 48
15-041 극동러시아 투자진출 세미나 2015.11 15-042 수출 10대 기회국가 진출전략 설명회 2015.12 15-043 경제외교활용, 신흥국 프로젝트 진출설명회 2015.12 15-044 GVC를 활용한 투자유치 타겟팅 전략 워크샵 2015.12 15-045 제 2회 국내복귀 PM 임명식 및 워크숍 2015.12 15-046 2016 중국경제전망 및 한중FTA활용방안 세미나 2015.12 49
작 성 자 도하 무역관 이용호 과장 두바이 무역관 이광일 부장 리야드 무역관 이성길 차장 무스카트 무역관 한석우 관장 바그다드 무역관 한정희 관장 알제 무역관 오현탁 과장 쿠웨이트 무역관 송세현 과장 테헤란 무역관 박재영 과장 중동지역본부 이효연 과장 중아CIS팀 이영희 과장 Global Market Report 15-0 저유가에 따른 중동 주요 산유국 정책 변화 및 시장 동향 발 행 인 발 행 처 발 행 일 주 소 전 화 홈페이지 김재홍 KOTRA 2015년 12월 서울시 서초구 헌릉로 13 (우 137-749) 02) 1600-7119(대표) www.kotra.or.kr Copyright c 2015 by KOTRA. All rights reserved. 이 책의 저작권은 KOTRA에 있습니다. 저작권법에 의해 한국 내에서 보호를 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