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간호교육학회지제 14 권제 1 호, 2008 년 6 월 J Korean Acad Soc Nurs Edu Vol.14 No.1, 138-146, June, 2008 - 일광역시를중심으로 - 엄동춘 1) 전명희 2) 황지영 3) 최지예 4) 서론연구의필요성 최근심혈관계질환자가증가하고산업화에따른외상환자가증가함에따라심정지가증가하고있다. 심정지의발생은예측이어렵고심정지의 60-80% 는가정, 직장, 길거리등과같은의료시설이외의장소에서발생한다. 심정지가발생한후 4-6분이경과하면치명적인뇌손상이시작되므로심정지발생을목격한사람이즉시심폐소생술을시작하여야심정지환자의생명을구할수있다 ( 황성오와임경수, 2001). 최근미국심장협회의기본소생술의지침은의료인은물론일반인을포함하여심정지를목격한사람이심정지발생현장에서부터심폐소생술실시의중요성을강조하고있다 (AHA, 2005). 심정지발생현장에서부터심폐소생술이시행되면심정지환자가생물학적으로사망으로진행하는것을막을수있을뿐만아니라최초반응자 (first responder) 에의해심폐소생술을조기에시작하면그렇지않은경우보다생존율이 2-3배높은것으로알려져있다 ( 박세훈, 최혁중, 강보승, 임채호와염석란, 2006; 황성오와임경수, 2001; Thomson, Hallstrom, & Cobb, 1979). 심정지현장에서최초반응자의심폐소생술을비롯한응급처치능력은응급환자의생존을좌우한다고말할수있을만큼중요한역할을담당한다. 최초반응자 (first responder) 란병원전단계 (pre-hospital) 응급의료체계에서매우중요한인 적요소로서, 갑작스런손상이나질병이발생한현장에처음으로도착한사람을말한다 (Karen, Hafen, Limmer, 1995). 일반적으로소방대원, 경찰관, 안전요원, 보건교사, 임상간호사. 스키패트롤, 구조원등은가장흔히심정지상황을목격하는최초반응자에해당한다고할수있다. 특히심폐소생술이필요한상황은병원이아닌곳에서도언제든지예고없이발생할수있으므로, 이를대비하여누구나준비가되어있어야할필요성이있다. 이렇게심폐소생술교육의필요성이증가됨에따라일반대학생을대상으로한응급처치교육요구도연구에서도심폐소생술에대한요구도가가장높게나왔다 ( 고봉연과이정은, 2001). 우리나라의심정지환자의생존률은불과 3.0-4.0% 로보고되고있으며, 이는선진국의 15-18% 에비하여매우낮은수준이다 ( 황성오등, 1993; 이명갑등, 2003). 강병우 (2005) 의 15 년간응급의료센터에서병원전심정지로내원한환자의생존률에대한연구를보면, 목격자에의하여심폐소생술이시행되는경우에는시행되지않은경우에비해소생률이약 3 배증가하는것으로보고되었다. 이와같은결과는심폐소생술에대한체계적인일반인교육이시행되지않은우리나라에서도목격자에의한심폐소생술이환자의생존에커다란영향을준다는것을알려주고있으며, 체계적이고광범위한심폐소생술보급을통하여환자의생존률향상에기여할수있을것이다 ( 서울특별시, 2007). 2005년소방방재청은응급환자소생률제고및안전한국을실현하기위하여 범국민심폐소생술확산운동 을실시하여 주요어 : 심폐소생술, 지식, 보견계대학생 1) 대전대학교응급구조학과조교수 2) 대전대학교간호학과교수 ( 교신저자 E-mail: jun7710@dju.kr) 3) 대전대학교응급구조학과연구원, 4) Clinical Informatician, Spaulding Rehabilitation Hospital, U.S. 투고일 : 2008 년 5 월 10 일심사완료일 : 2008 년 5 월 25 일게재확정일 : 2008 년 6 월 13 일 138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4(1), 2008 년 6 월
공무원, 일반인및중고등학생등 125만명에게심폐소생술을시행하는등심폐소생술보급을위해노력하고있다. 그러나우리나라는심폐소생술교육이의무화된규정이없으며, 대한적십자사나각지방소방서에서주최하는자율교육과각급학교의요청에의해일회성으로실시하는위탁교육혹은일부보건교사에의한임의교육등이전부이다 ( 송은영, 2004). 대학생인경우에는간호 ( 학 ) 과응급구조과및체육계열등은교과과정에서심폐소생술을배우지만, 대부분의학생들은개인적인호기심에의해교육이이루어지고있는실정이다. 보건복지가족부는 응급의료에관한법률 을개정하면서다중이용시설에자동제세동기등심폐소생술을시행할수있는필요한사항을정하여, 병원외장소에서발생하는심정지에대한신속하게대응하도록 2008년 4월 18일자로입법예고하였다. 이러한환경의변화에따라사회진출을준비하는대학생들에게심폐소생술을교육하고심정지에신속하게대응할수있도록준비시키는것은매우중요하다. 강제적이고일회성교육이아닌실용적이면서효율적인교육이되도록하기위해서는우선피교육자들의심폐소생술에대한선행교육경험과심폐소생술에대한인지도를파악할필요가있다. 이에본연구는보건계열학생들을대상으로심폐소생술에대한인식과교육경험에따른지식정도를파악하여보건계열대학생을대상으로효율적인심폐소생술교과목운영및프로그램개발에필요한기초자료를제공하고자한다. 연구목적본연구는보건계열대학생을대상으로심폐소생술에대한선행경험과지식정도를파악하여 보건계열대학생을위한심폐소생술교육프로그램 개발을위한기초자료를제공하기위함이다. 연구목적을달성하기위한구체적인목적은다음과같다. 심폐소생술에대한교육경험을확인한다. 심폐소생술에대한교육경험에따른지식정도를확인한다. 일반적특성 ( 성별, 전공, 학년 ) 에따른지식정도를확인한다. 용어정의 지식어떤대상을연구하거나배우거나또는실천을통해얻은명확한인식이나이해또는인식에의해얻어진성과, 사물에대한단편적인사실적, 경험적인식을의미하며 ( 김인수, 1999), 본연구에서는박소현 (2002) 의심폐소생술에대한지식도와 2005년미국심장협회의심폐소생술지침을토대로본연구자가개발한심폐소생술에대한지식정도를 14개문항으 로측정한점수를의미한다. 연구방법연구설계 본연구는보건계열대학생들의심폐소생술에대한교육경험과인식을파악하기위한서술적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본연구대상자는일개광역시의 2개의대학에재학중인간호 ( 학 ) 과와 4개의보건계열학생으로정규과목으로심폐소생술에대해배운경험이없는학생을대상으로본연구의목적을설명하고연구에참여할것을동의한 540명이다. 연구도구본연구에서사용된심폐소생술지식도구는본연구자가박소현 (2002) 의연구에서사용한설문지와최근개정된 AHA (2005) 의심폐소생술지침의최신내용을토대로본연구목적에맞게 14개의문항을구축한뒤응급구조과교수 1인과간호학과교수 2인의검토를거쳐최종개발되었다. 본연구도구는심폐소생술에대한일반적지식 4문항, 응급상황에대한지식 1문항, 기도유지에관한지식 1문항, 호흡확인에관한지식 1문항, 인공호흡에관한지식 2문항, 흉부압박에관한지식 4문항등총 14개문항으로구성되었다. 각문항에대한맞게답하면 1점, 틀리게답하면 0점으로처리하였으며, 총점수의범위는최저 0점에서최고 14점으로, 점수가높을수록지식정도가높음을의미한다. 자료수집및자료분석방법 2008년 3월 1일부터 5월말까지연구대상자에게본연구의목적을설명한뒤연구참여동의서를받은뒤설문조사하였고각응답자의이름은익명처리하였다. 수집된자료는 SPSS Windows 14.0K 프로그램을사용하여분석하였으며, 통계적유의수준은 0.05미만을기준으로하였다. 대상자의일반적특성, 심폐소생술경험, 인지와관련된특성확인하기위하여기술적통계를사용하였고, 심폐소생술에대한교육경험과인지에따른지식정도의차이는 t-test, ANOVA로확인하였다.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4(1), 2008 년 6 월 139
엄동춘외 연구결과 일반적인특성 본연구대상자는총 540명으로남자 199명 (36.8%), 여자 341명 (63.2%) 로여자가많았다. 대상자의학과별분포를보면, 간호 ( 학 ) 과 162명 (30.0%), 방사선과 185명 (34.3%), 안경광학과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n=540) Variable N % Sex Male 199 36.8 Female 341 63.2 Nursing science 162 30.0 Radiological Technology 185 34.3 Department of Ocular optics 118 2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39 7.2 Dental hygiene 36 6.7 Freshman 300 55.6 Grade Second year 77 14.3 Third year 123 22.8 Fourth year 40 7.4 118명 (21.9%), 응급구조과 39명 (7.2%), 치위생과 36명 (6.7%) 으로방사선과가가장높은비율을차지하였다. 학년별분포를보면, 1학년 300명 (55.6%), 2학년 77명 (14.3%), 3학년 123명 (22.8%), 4학년 40명 (7.4%) 으로 1학년이가장많았다 <Table 1>. 심폐소생술의교육경험본연구대상자 540명중 298명 (55.2%) 이심폐소생술배운적이있었다. 심폐소생술배운적이있었던대상자 293명중가장많은학생 (208명, 70.9%) 이학교에서배웠고, 그외에도 33명 (11.3%) 은대한응급구조사협회혹은대한심폐소생협회등전문교육기관이주관하는심폐소생술교육을받았다. 심폐소생술교육받은뒤경과된시간을보면, 1년이상 이 133명 (47.3%) 로가장많았고, 6개월 ~1년전 이 90명 (32.0%), 1개월 ~3개월전이 40명 (14.2%), 3개월 ~6개월전 18명 (6.4%) 순으로나타났다. 응급환자발생시어떻게도움을줄것인가? 에대한응답을보면, 119에신고한다 가 387명 (71.7%), 다른사람의도움을요청한다 가 77명 (14.3%), 직접도와준다 가 68명 <Table 2> Characteristics related to learning experience about CPR Experience of taking CPR course Institute held CPR education (N=293) Period after attending CPR education (N=281) Ever heard of CPR CPR information sources* Awareness of CPR Willingness to initiate CPR if the cardiac arrests occur Reason not to initiate CPR* (N=465) * : multiple response (N=540) Variables N % Yes 298 55.2 No 242 44.8 Korea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Association or Korean of 33 11.3 Cardiolopulmonary Resusciation School 208 70.9 Other 52 17.8 1 less than 3 month 40 14.2 3 less than 6 month 18 6.4 6 less than 12 month 90 32.0 over 12 month 133 47.3 Frequently 366 67.8 Rare 174 32.2 TV / movie 266 45.1 Internet 34 5.8 Books including textbook 199 33.7 Other 91 15.4 High 90 16.6 Middle 316 58.5 Low 134 24.8 Immediately 68 12.6 Avoid 0 0 Ask others for help 77 14.3 Call 119 387 71.7 No response 8 1.5 Beyond my ability 41 8.8 Fear of blaming if failure 62 13.3 Fear of deteriorating of the patient due to CPR error 337 72.5 Other 25 5.4 140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4(1), 2008 년 6 월
(12.6%), 무응답 8명 (1.5%) 의순으로나타났으며, 피한다고답한학생은한명도없었다. 응급환자발생시직접도와주지않는다고답한학생 (465명) 중그이유를확인한결과 잘못된기술을시행하여더큰손상이걱정되어도와주지않는다 고답한경우가 337명 (72.5%), 제대로시행하였는데도사망하는경우, 나에게피해가올까두려워도와주지않는다 62명 (13.3%), 내능력밖의일이므로도와주지않는다 41명 (8.8%), 기타 25명 (5.4%) 의순으로나타났다 <Table 2>. 한편전체대상자중 366명 (67.8%) 이심폐소생술에대해들어본경험이있었다 <Table 2>. 심폐소생술을접한정보매체는 TV 또는영화 를통해알게된경우는 266명 (45.1%) 으로가장높은비율을차지하였고, 그다음은 인터넷 34명 (5.8%), 서적 ( 교과서포함 ) 199명 (33.7%), 기타 91명 (15.4%) 순으로나타났다. 심폐소생술에대해알고있는정도는 조금알고있다 316 명 (58.5%), 잘모른다 는 134명 (24.8%), 잘알고있다 는 90 명 (16.6%) 의순으로나타났다. 교육경험에따른지식점수차이 심폐소생술교육을경험한대학생의평균지식도 (8.47, S.D= 2.11) 가그렇지않은대학생 (7.46, S.D=1.93) 보다높았으며, 이는통계적으로유의하였다 (t=5.83, p=.000). 심폐소생술교육을받아본경험이있는대상자 (N=298) 중심폐소생술교육을제공받은장소에따른지식도를조사해보았을때대한응급구조사협회혹은대한심폐소생협회등전문기관에서제공된교육을받은학생의펑균지식도는 9.88 (S.D=1.47) 점이었고, 학교는평균 8.36(S.D=2.05) 점이었고, 기 타는평균 7.92(S.D=2.40) 점이었으며, 이와같은차이는통계적으로유의하였다 ((F=9.83, p=.000). scheffé 사후검정을하였을때, 전문기관에서교육받은군이학교나기타장소에서교육받은경우보다유의하게높은전수를보였다. 한편심폐소생술교육을받은지경과된시간에따른지식도의차이를분석한결과, 1개월 ~3개월전에교육받은학생은평균 9.78(S.D=1.97) 점이었고, 3개월 ~6개월전에교육받은학생은평균 9.06(S.D=1.86) 점이었고, 6개월 ~1년전에교육받은학생은평균 9.13(S.D=2.06) 점이었고, 1년이상경과한학생은평균 7.83(S.D=1.92) 점으로이와같은차이는통계적으로유의하였다 (F=13.96. p=.000). Scheffé 사후검정을한결과 1년이상경과한학생의지식도가 3개월혹은 6개월이하인학생보다유의하게낮은지식도를보였다. 심폐소생술에대해자주들어본학생의평균지식도는 8.33(S.D.=2.06) 점이었고, 자주듣지못한학생의지식도는평균 7.35(S.D=2.00) 점이었고이와같은차이는통계적으로유의하였다 (t=5.21, p=.000). 심폐소생술에대해잘알고있는학생의평균지식도는 9.34(S.D=2.00) 점이었고, 조금알고있다고응답한학생의평균지식도는 7.86(S.D=2.04) 이었고, 잘모른다고답한학생의평균지식도는 7.49(S.D.=1.92) 이었고, 이와같은평균값의차이는통계적으로유의하였다 (F=25.46, p=.000). 일반적특성에따른지식점수차이일반적특성에서따라지식점수차이를분석한결과, 남학생의평균지식도는 7.58(S.D=2.15) 점이었고, 여학생은평균 8.27(S.D=2.02) 점으로여학생의점수가남학생보다유의하게 <Table 3> Knowledge according to learning experiences about CPR Ever have attended to CPR course Provider of CPR education (N=293) Period after attending CPR education(n=281) Ever heard of CPR Awareness of CPR Willingness to initiate CPR if the cardiac arrests occur (N=532) Variables N Mean SD F/t P Scheffé Yes 298 8.47 2.11 No 242 7.46 1.93 5.83.000 Professional educational institutiona 33 9.88 1.47 School 208 8.36 2.05 9.83.000 a>b, a>c Otherc 52 7.92 2.40 1 ~2.9 month 40 9.78 1.97 3~ 5.9 month 18 9.06 1.86 6~11.9 month 90 9.13 2.06 13.96.000 a>d, c>d 1 yeard 133 7.83 1.92 Frequently 366 8.33 2.06 Rare 174 7.35 2.00 5.21.000 High 90 9.34 2.00 Middle 316 7.86 2.04 25.46.000 a>b, a>c Lowc 134 7.49 1.92 Help at first hand 68 8.47 2.06 Ask other for help 77 8.10 1.86 2.14.094 Call 119 387 7.90 2.13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4(1), 2008 년 6 월 141
엄동춘외 <Table 4> CPR knowledg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ex Department Grade (N=540) Variable N Mean S.D. F/t P Scheffé Male 199 7.58 2.15 Female 341 8.27 2.02-3.76.000 Nursing science 162 8.99 2.00 Radiological technology 185 7.21 1.85 a>b, a>c, Ocular Optics 118 7.26 1.82 44.02.000 d>b, d>c,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39 10.46 1.30 d>e Dental hygiene 36 7.58 1.20 1st year 300 7.70 2.03 2nd year 77 7.18 1.78 3rd & 4th year 163 8.99 1.99 30.10.000 a>b, a<c c>b 높았다 (t=-3.76, p=.000). 전공별지식도의차이를분석하였을때, 응급구조과는평균 10.46(S.D=1.30) 로가장높았고, 간호 ( 학 ) 과는평균 8.99(S.D= 2.00) 점, 치위생과 7.58(S.D.=1.20), 안경광학과 7.26(S.D=1.82), 방사선과 7.21(S.D.=1.85) 점의순으로높았다. 이와같은전공별지식도의차이는통계적으로유의하였고 (F=44.02, p=.000), Scheffé 사후검정시응급구조과와간호학과가나머지과에비하여유의하게높은점수를보였다. 학년에따른지식도를분석하기위하여우선간호학과 4학년학생은 4년제대학의졸업반이었고, 간호과 3학년은전문대학의졸업반학생이므로분석시에는동일군으로처리한뒤분석하였다. 이때학년별지식도는 3학년과 4학년은평균 8.99(S.D=1.99) 점으로가장높았고, 그다음은 1학년 7.70 (S.D=2.03) 점, 2학년 7.18(S.D=1.78) 점의순이었으며이는통계적으로유의하였고, scheffé 사후검정시 3학년과 4학년의지식도가가장높았고, 2학년의지식도가가장낮았다 (t=30.10, p=.000)<table 4>. 논의심폐소생술에대한교육경험 최근건강에관한관심이증가하면서심정시조기에심폐소생술을적용하면소생가능성이높다는점이널리인식되어심폐소생술을받고자하는일반인이급증하고있지만, 아직우리실정에맞는가이드라인이없어서주로미국의심폐소생술지침에의한심폐소생술교육이시행되고있는실정이다. 더욱이심폐소생술지침에의한심폐소생술교육제도, 자료, 시설, 인력등에대한표준화가이루어지지않아각교육주관자또는교육진행자에따라교육내용이다양하게이루어지고있다 ( 서울특별시, 2007). 일반적으로심폐소생술은심정지후 4분이내에시작해야하며, 심정지목격자에의한현장심폐소생술시생존율이크 게증가한다고보고되고있다 ( 박세훈등, 2006; 황성오와임경수, 2001). 심정지환자에서목격자가심폐소생술을시행한경우가심폐소생술을시행하지않은경우에비하여약 3배의생존율을보이는것으로알려져있으며, 심정지를목격한사람즉최초반응자의심폐소생술능력이중요시되고있다 ( 서울특별시청, 2007). 본연구에서 540명의대상자중 366명 (67.8%) 이심폐소생술에대해들어본적이있었고, 266명 (45.1%) 는 TV 또는영화 를통해심폐소생술을알게되었다고답변하고있다. 한편 316명 (58.5%) 이심폐소생술에대해조금알고있다고하였고, 90명의학생 (16.6%) 만이심폐소생술을잘알고있다고답변하였는데. 이런결과는송은영 (2004) 의서울시내 7개중학교학생과교사를대상으로심폐소생술에대한인식, 교육경험및태도에관한설문조사시중학생의 85.8%, 교사의 71.4% 가심폐소생술교육을받은적이없었다는보고에비하며비교적높은교육경험을지녔다고볼수있다. 송은영 (2004) 의연구에서도중학생과교사들모두심폐소생술관련용어를 TV를통해서가장많이접하였다는점도본연구와유사하였는데, 최신뉴미디어시대를맞이하여드라마, 영화, UCC(User Created Contents), 인터넷, 동영상등학습자들이선호하는학습매체를적극활용하여심폐소생술교육방법을활용할필요가있다. 그러나송은영 (2004) 은심폐소생술에대한중학생은 TV를통해인공호흡을알게되지만, 실제적으로는잘아는것이아니며, 심폐소생술교육경험도매우미미한수준인데반해, 교육요구도가높고참여의지가높게나타나, 앞으로학생대상심폐소생술교육을실시하게되면, 높은교육효과가기대된다고하였다. 또한교사들도심폐소생술에대한인식은학생에비하여높았지만, 이또한실제로는미미한수준에불과하였으며, 실제수행에대한자신감이부족하였으며, 교사들도심폐소생술교육요구도가높았음을보고하였다. 본연구에서는 298명 (55.2%) 이심폐소생술배운적이있었다. 심폐소생술배운적이있었던대상자 293명중가장많은 142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4(1), 2008 년 6 월
학생 (208명,70.9%) 이학교에서배웠고, 그외에도 33명 (11.3%) 은대한응급구조사협회혹은대한심폐소생협회등전문교육기관이주관하는심폐소생술교육을받았다. 외국의경우심폐소생술이라는단어에대한인지도는 80~ 91%(Thoren, Axelsson, & Herlitz, 2004; Jelinek et al., 2001), 본연구에서는심폐소생술을들어본경험이있는대학생의비율은 540명중 366명 (67.8%) 이고심폐소생술에대해잘알고있다고답한대학생의비율은 16.6% 로서심폐소생술이라는용어에대한인지도가높지않았다. 교육기회확대및접근성측면에서도심정지환자를자주접하지못하는직장이나일반인경우소생술교육자체가일회성에그치는경우가대부분이고, 심정지고위험군이나가족에서교육기회접근성이오히려낮고, 효과적인교육수행을위한동기유발이나교육방법의다양성부재등현실적인어려움이많다. 이에대상군과프로그램의다양화를모색하고자초등학교고학년이나보건교사, 의대생, 의료종사자등다양한직군과연령대별교육시도와효과에대한연구가최근이루어지고있어, 이들연구와연계하여보다나은소생술교육참여프로그램의다양화를모색해야할필요가있다 (Thoren, Axelsson, & Herlitz, 2005). 심폐소생술지식도 교육경험본연구에서의평균지식도는 8.01(S.D.=2.09) 이었다. 이를 100점만점을기준으로할때, 57.21점에해당한다. 이정은과고봉연 (2001) 이양호교사 170명을대상으로심폐소생술의정확도를본연구 ( 이정은과고봉연, 2001) 에서양호교사의평균지식도는 100점만점을기준으로하였을때, 73.36±7.26점이었던점을고려하면, 현장에서근무하는양호교사보다훨씬낮은점수를보였다. 본연구에서 CPR 교육을받아본경험이있는대학생의지식도 ( 평균 8.47, S.D.=2.11) 는 CPR교육을받은경험이없는대학생 ( 평균 7.46, S.D.=1.93) 에비하여유의하게높았으며, CPR을잘알고있는대학생 ( 평균 9.34, S.D=2.00) 은약간알고있는대학생 ( 평균 7.86, S.D=2.04), CPR을알지못하는대학생 ( 평균 7.49, S.D.=1.92) 에비하여유의하게높은지식도를보였다. 이와같은연구결과는송은영 (2004) 은서울시내 7개중학교학생과교사를대상으로심폐소생술에대한인식, 교육경험및태도에관한설문조사에서도유사하게나타났다. 이연구에서도중학생과교사모두심폐소생술교육경험이있는경우, 그리고심폐소생술에대해잘알고있다고답한경우그렇지않은경우보다유의하게심폐소생술지식정도가높았다. 이와같이대학생은물론일반인들에게서도선행 CPR 교육경험과인지도가 CPR지식에의미있는영향을주고있음을고려할때, 일반인을대상으로한 CPR 교육과그보급효과를간과할수없음을알수있다. 어떤교육이든지교육후실제활용하지않거나시간이지나면교육효과는감소한다. 여러연구에서초기교육후심폐소생술에대한지식이나수행능력은급격하게감소하는것으로보고되고있다 (Chamberlain et al., 2001). 그러므로현재미국심장협회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5) 는정형화된초기교육과정을이수한후자격의유효기간을 2년으로정하고있다. 교육경과시기로는성인인경우심폐소생술교육후 6 개월이후에는교육효과가거의유지되지않는것으로알려져있고, 연구자들은 1년이내의재교육을주장한점을감안하면적어도 1년마다재교육을실시할필요가있다. 본연구에서대한응급구조사협회혹은대한심폐소생협회등전문기관에서제공된교육을받은학생의펑균지식도가학교나기타장소에서일회적으로제공된교육을받았을때보다통계적으로유의하게높은지식정도를보였음은현재우리나라에서시행중인대부분의국가차원의소생술교육은불특정다수나대규모이론강의나보수교육, 의무교육의형태로시행되고있어그효과가매우낮기때문에심폐소생술교육효과가매우낮고, 오인지율이높고, 자신감이결여되어일반인심폐소생술시도저하를유발함을지적한서울특별시 (2007) 의보고서와일치한다. 한편본연구의전문기관의교육효과가학교에서제공된 CPR 교육보다높은효과를보인점은고등학교혹은대학의교양강좌에서이루어진 CPR 교육에비하여대한응급구조사협회혹은대한심폐소생술협회등에서실시되는교육은응급의학이나응급간호학전문강사진에의해이루어지고, 최신 AHA 지침의변경내용을신속히반영하였기때문이라고해석된다. 그러므로일반인을대상으로한교양강좌수준의심폐소생술일지라도응급의학혹은응급간호전문가에의한전문적교육을계획하고보급할필요가있다. 그동안우리나라에는표준화된심폐소생술지침이없었기때문에 2005년미국심장협회에서변경된심폐소생술지침을발표한뒤, 임상에서이를적용하는데있어서혼란이빚어지고있다. 예를들면, 2000년지침에서는흉부압박과인공호흡의비율을 15:2로권장하였지만, 2005년지침에서는 30:2를권장하고있다. 미국에서는이지침이발표된 2005년 11월이후부터새로운지침을적용하고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아직도새로운지침이널리보급되지도않았을뿐만아니라이지침의적용해야할지에관해서도혼란이빚고있어서, 본연구대상자들은아직 2005년지침을아직숙지하지못하여비교적낮은점수를보였다고해석된다. 교육접근성또한의무교육이나보수교육에지나치게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4(1), 2008 년 6 월 143
엄동춘외 중화되어양질의교육이진행되고있지않고이에대한지속적인재교육조차미흡하여일개병원연구보고기준일반인의심폐소생술시행률이 18%, 서울시민소생술실태조사시일반인의심폐소생술경험은 3.7% 에불과한것을감안하면 ( 서울특별시, 2007), 보건계대학생의선행경험을강화시키고재교육을도모하기위하여정규교과과정내에서심폐소생술강의를포함시킬필요가있다. 더욱이보건계대학생의심폐소생술교육은간호학과와응급구조과가설치된대학이중심이되어전문적교육을보급할필요가있다. 최근국내임상관련학과에서실기교육이강조되면서임상수행능력평가를위한시뮬레이션센터건립이늘어나고있는데. 이와같은시설을중심으로상시심폐소생술프로그램을운영하여보건계열학생은물론일반대학생과일반인에게도공개하여심폐소생술교육희망자를대상으로상시교육을강화시킬필요가있다. 성별, 학과별, 학년별지식도본연구에서여학생의지식도가남학생에비하여높게나왔다. 지식도만을비교하였을때는여학생의지식도가높지만, 수행도를평가했을때에도여학생이남학생보다높을지는추후연구를통해확인해볼필요가있다. 본연구에서는 3학년혹은 4학년의지식도가가장높게나오고 2학년이 1학년보다낮게나왔는데, 2학년에는응급구조과혹은간호학과학생이포함되지않았기때문이라고생각되며, 본연구에서이와같은지식도의차이는학년보다는전공과목에따른차이가더의미있음을반영하고있다. 특히본연구에서 1학년은대학을갓입학한응급구조과학생들로서아직심폐소생술과목을이수하지않았음에도불구하고, 성인간호학을마친간호 ( 학 ) 과 3학년혹은 4학년보다높은성적을보였음은크게주목할필요가있다. 이는전공과관련되어응급구조과학생들이특히심폐소생술에대한관심과인식정도가높았기때문이라고생각된다. 이정은등 (2003) 의연구에서도수도권지역 5개대학생을대상으로심폐소생술을교육한뒤간호과와비간호과학생의심폐소생술술기의정확도, 교육에대한만족도를비교한결과분당압박횟수에대한점수는비간호과학생 (.69±.46) 이간호과학생 (.47±.50) 보다유의하게높았으며, 환기의정확도에서는간호과학생 (.72±.44) 이비간호과학생 (.49±.50) 보다유의하게높았음을보고하였는데, 이는본연구결과를부분적으로지지하고있다. 있다. 이와같이간호 ( 학 ) 과학생의지식도혹은술기가응급구조학과혹은비간호학과학생에비하여높은성적을보이지않는이유는추후연구를통해재확인할필요가있다고본다. 그러나본연구결과에서볼수있듯이응급구조과와간호학과생의심폐소생술지식도가다른 보건계학생에비하여유의하게높았음은심폐소생술에대한 2개전공학생들의교육경험과관심도가높았고, 이런효과가높은지식도에반영되었다고볼수있다. 결론및제언 본연구는보건계열대학생들의심폐소생술에대한교육경험에따른지식도의차이를파악하기위한서술적조사연구이다. 본연구대상자는일개광역시의 2개의대학에재학중인간호 ( 학 ) 과와 4개의보건계열학생을대상으로본연구의목적을설명하고연구에참여할것을동의한 540명을대상으로하였다. 본연구도구는박소현 (2002) 의도구와 2005년가이드라인에기초하여내용을수정하여전문가와본연구자가연구의목적에맞게수정한도구를사용하였다. 본연구의결과는다음과같다. 보건계대학생 540명중 67.7% 의대상자가 심폐소생술에대해들어본적이있었고, 이중 TV 또는영화등대중매체를통해심폐소생술을알게된경우가가장많았다. 심폐소생술에대해서는충분히알고있지않았다. 본연구의 55.1% 의대학생이심폐소생술의교육을받아본경험이있었다. 이들중 70.9% 가학교에서교육받았으며, 이중 47% 는교육받은지 1년이상경과하였다. 심폐소생술교육을받아본경험이있는경우가그렇지않은경우보다유의하게지식도가높았으며, 교육받은지 1년이상경과된경우유의하게지식도가감소하였다. 학교혹은기타장소에서교육받은학생보다대한심폐소생술협회혹은대한응급구조사협회등심폐소생술전문교육기관주관심폐소생술교육을받은학생이가장높은지식도를보였다. 심폐소생술을들어본학생이들어보지않은학생보다유의하게지식도가더높았고, 심폐소생술에대해알고있는정도가높을수록지식도가유의하게높았다. 그외에도, 여학생의지식도가남학생보다유의하게높았고, 응급구조과의지식도와간호학과의지식도가나머지학과에비하여유의하게높은지식도를보였다. 3학년과 4학년학생이저학년학생에비하여유의하게높은지식도를보였다. 이와같이보건계대학생의 CPR 선행경험이많을수로지식도가높았음을고려하여, 다음과같이실무, 교육, 연구면에서제언하고자한다. 응급의료혹은응급간호학전공자에의한영화혹은 TV와같은대중매체를통한대학생의심폐소생술교육을활성 144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4(1), 2008 년 6 월
화할필요가있다. 심폐소생술교육후 1년이상경과한경우에는재교육을실시하여심폐소생술교육효과를지속시킬필요가있다. 간호학과나응급구조과외의보건계열학과에도정규교육과정에심폐소생술과목을개설하여심폐소생술지식은물론실기수행능력을강화시킬필요가있다. 이미심폐소생술교육을경험한학생인경우에도 2005년 AHA에서새로이개정한심폐소생술지침을보급하여최신심폐소생술지식도를증진시킬필요가있다. 간호학과와응급구조과를중심으로임상실기수행평가시설을강화하고, 이들기관이중심이되어일반대학생과일반인을위한상시심폐소생술교육프로그램을운영할필요가있다. 보건계대학생과일반대학생의심폐소생술지식도는물론수행도를비교하여최초반응자의심폐소생술보급률을확인하고, 일반인교육과정을계획하는데필요한기초자료를확인할필요가있다. 참고문헌 강병우 (2005). 병원전심정지환자의생존에관한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서울. 고봉연, 이정은 (2001). 대학생의응급처치교육요구도. 동남보건대학논문집, 19(2), 259-268. 김인수 (1999). 국어대사전. 운평어문연구소. 박세훈, 최혁중, 강보승, 임태호, 염석란 (2006). 최초반응자직업군의심페소생술지식과태도에관한연구. 대한응급의학회지, 17(6), 545-558. 박소현 (2002). 심장질환배우자의기본인명구조술에대한지식과태도. 이화여자대학교석사학위논문, 서울. 백미례 (2000). 최초반응자를대상으로한심폐소생술교육결과의분석. 한국응급구조학회논문집, 4(4), 83-93. 서울특별시 (2007). 공용심폐소생술가이드라인개발및배포. 서울특별시. 송은영 (2004). 서울시내중학생의심폐소생술에대한인식, 교육경험및태도에관한연구. 울산대학교산업대학원석사학위논문, 울산. 이명갑, 김성진, 최대해, 전덕호, 유병대, 이동필 (2002). 비외상성병원전심정지환자의심폐소생술결과. 대한응급의학회지, 13(4), 428-433. 이문희 (2005). 심폐소생술교육이일반인의심폐소생술에대한지식과태도에미치는효과. 전남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전주. 이정은 (2005). The attitude about BLS of college students. 한국응급구조학회논문집, 9(1), 121-131. 이정은, 고봉연 (2001). 양호교사를대상으로한최초반응자기본심폐소생술교육평가. 동남보건대학논문집, 19(2), 269-278. 이정은, 고봉연, 이인모, 최근명, 박신일, 안홍기 (2003). 대학생의기본심폐소생술교육평가 -간호과와비간호과를대상으로-. 한국응급구조학회논문집, 7(1), 43-54. 통계청 (2007). 2006년사망및사망원인통계결과. Retrieved October 28, 2007 from http://www.nso.go.kr 황성오, 이부수, 김영식, 안무업, 임경수, 강성준 (1993). 응급실에서시행된심폐소생술후의생존률과순환회복률에관여되는요소. 대한응급의학회지, 4(1), 15-25. 황성오, 임경수 (2001). 심폐소생술과전문심장구조술. 서울 : 군자출판사. AHA(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5). Highlights of the 2005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AHA, 16(4), 1-28. Chamberlain, D., Smith, A., Woollard, M., Colquhoun, M., Handley, A. J., Leaves, S., & Kern, K. B. (2002). Trials of teaching methods in basic life support(3): Comparison of simulated CPR performance after first training and at 6 months, with a note on the value of re-training. Resuscitation, 53, 179-87. Jelinek, G. A., Gennat, H., Celenza, T., O Brien, D., Jacobs, I., & Lynch, D. (2001). Community attitudes towards perform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Western Australia. Resuscitation, 51, 239-46. Karen, K. J., Hafen, B. Q., & Limmer, D. D. (1995). First responder. New Jersey: Brady. Thomson, R. G., Hallstrom, A. P., & Cobb, L. A. (1979). Bystander-initiat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the management of ventricular fibrillation. Ann Emerg Med, 90, 739. Thoren, A. B., Axelsson, A., & Herlitz, J. (2004). The attitude of cardiac care patients towards CPR and CPR education. Resuscitation, 64, 163-71. Thoren, A. B., Axelsson, A. B., & Herlitz, J. (2005). Possibilities for, and obstacles to, CPR training among cardiac care patients and their co-habitants. Resuscitation, 65, 337-43.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4(1), 2008 년 6 월 145
엄동춘외 Knowledge According to Learning Experiences of CPR for Health Occupation College Students Uhm, Dong-Choon 1) Jun, Myung-Hee 2) Hwang, Ji-Young 3) Choi, Jee-Yae 4) 1) Associate Professor, Daejeon University, 2) Professor, Daejeon University 3) Researcher, Daeeon University, 4) Clinical informatician, Spaulding Rehabilitation Hospital, U.S. Purpose: The first responder s role during a cardiac arrest scene is to initiate CPR. The AHA has recognized and included the first responder's role for improving the survival rate of cardiac arrest patients. Health personnel working in nursing, emergency care, dental hygiene, radiology, and ocular optics frequently confront sudden cardiac arrest while working.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al experience and recognition with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CPR for college students. Method: Five hundred forty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radiological technology, ocular optics,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or dental hygiene in Daejeon city were surveyed. The tool used was CPR knowledge developed by the author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including 2005 AHA's CPR guideline. Result: The higher educational experience of CPR was, the higher the level of knowledge. The knowledge of the students in nursing or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was higher than students in dental hygiene, radiology, and ocular optics. Conclusion: CPR class should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for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improve their accuracy as a first responder to cardiac arresting patients. Key words :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nowledge, Health occupations, Students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Jun, Myung-Hee Department of Nursing, Daejeon University Youngun-dong Dong-gu Daejeon 300-716 Korea Tel: +82-42-280-2652 E-mail: jun7710@dju.kr 146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4(1), 2008 년 6 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