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3권2호(최종).hwp

Similar documents
韓藥情報硏究會誌 (Korean Herb. Med. Inf.) 2016;4(3): pissn / eissn 선유도의한약자원식물조사 윤지현 1, 전신희 2, 도의정 2,3, 김정훈 4, 양창섭 5, 이금산 2* 1. 우석대학교

대한한방내과학회지36-2%28최종%29.hwp

1 본수업을마친학생은, 1. 비脾의주요증證으로무엇이있으며그구성증상은무엇인지말할수있다. 2. 폐肺의주요증으로무엇이있으며그구성증상은무엇인지말할수있다.

<BACEC0CEB0FAC7D0C8B8C1F D3328C3D6C1BE292E687770>

12 주手少陽三焦經과足少陽膽經의要穴 1. 關衝 ( 관충 ) 제 4지尺側조갑각후 1푼 淸熱解毒 ( 청열해독 ), 醒神通竅 ( 성신통규 ), 活血通絡 ( 활혈통락 ). 1 熱病汗不出 ( 열병한불출 ), 心煩 ( 심번 ), 中暑 ( 중서 ), 학질, 藿亂吐瀉 ( 곽란토사 )

<B4EBC7D1C7D1B9E6B3BBB0FAC7D0C8B8C1F633362D3128C3D6C1BE292E687770>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4권6호-전체최종.hwp

대한한방비만학회지제 7 권제 1 호 Ⅰ. 서론 Ⅱ. 본론 비만환자의치료에서적절한처방의선택은체중감소와건강을지키고자하는한의학적비만치료의목적을달성하는데매우중요하다. 국내에서비만치료에활용되는한약및단미에대한문헌적연구를시행한송등 1) 은 비만치료시가장많이활용된처방은사상처방으로太陰

( ).hwp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제 28 권제 2 호 (2015 년 5 월 )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5;28(2):66-74 pissn eissn

<BACEC0CEB0FAC7D0C8B8C1F D322832C2F7B1B3C1A4292E687770>

<BACEC0CEB0FAC7D0C8B8C1F D3128C3D6C1BE292E687770>

肺系虛弱兒에대한加減保肺養營煎의임상적효능연구 89 感冒 肺系虛弱兒 發熱 惡寒 頭痛 鼻漏 鼻塞 咳嗽 傷風 小兒傷寒 易感冒 溫病條辨 解兒難 臟腑薄 藩籬疏 易于轉變 肌膚嫩 神氣怯 易于感觸 衛外機能 中醫學 反復呼吸道感染 復感兒 素問 四氣調神大論 不治已病治未病 易感冒 肺系虛弱兒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6권4호-교정본(1125).hwp

< DC0B2C3CC20BAB8B0EDBCAD2E687770>

<C6EDC1FD2D33312D34C8A320BEC8C0CCBAF1C0CEC8C4B0FAC7D0C8B8C1F62E687770>

<3332C0CCBFEBC5C22DBBEAC8C4BAB42E687770>

10 주足太陽膀胱經의要穴 1 해수, 胸滿 ( 흉만 ), 痰多氣喘 ( 담다기천 ), 肺痿 ( 폐위 ), 骨蒸潮熱 ( 골증조열 ), 盜汗 ( 도한 ), 吐血 ( 토혈 ), 喉痺 ( 후비 ), 胃脘痛 ( 위완통 ), 구토, 설사, 呃逆 ( 애역 ), 不嗜食 ( 불기식 ),

치칙 ( 治則 ) 치칙 ( 治則 ) : 치료원칙, 질병을치료하는총칙 치미병 ( 治未病 ) 치병구본 ( 治病求本 ) 인시 ( 因時 ), 인지 ( 因地 ), 인인 ( 因人 ) 제의 ( 制宜 ) 조정음양 ( 調整陰陽 ) 부정 ( 扶正 ) 거사 ( 祛邪 ) 협조장부 ( 協調臟

<5F30335FB1B9B3BBBFA1BCADBFACB1B82E687770>

<BACEC0CEB0FAC7D0C8B8C1F D3328C3D6C1BE292E687770>

<40BBE7BBF3C3BCC1FAC0C7C7D0C8B8C1F6284A53434D D312DBABBB9AE34C2F7C6EDC1FD2E687770>

S. Y. Ryu et al 15 연구대상 및 방법 결 과 본 연구의 대상은 東 醫 壽 世 保 元 辛 丑 本 新 定 太 陰 人 病 應 用 要 藥 二 十 四 方 에 기재된 24개의 처방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제마 의 저서인 北 韓 保 健 省 간행 東 武 遺 稿, 東 醫

<B4EBC7D1C7D1B9E6B3BBB0FAC7D0C8B8C1F D3328C3D6C1BE292E687770>

[최종] hwp

< FBBE7BBF3C3BCC1FAC7D0C8B8C1F65F32342D34C8A35F33C2F72E687770>

<C6EDC1FD2D33322D32C8A320BEC8C0CCBAF1C0CEC8C4B0FAC7D0C8B8C1F62E687770>

untitled

76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24, No.2, August, 2010 胃中不和 胃熱 勞心 心火 虛熱 心脾虛弱 肺熱 脾熱 脾常不足 肺常不足 1. 연구대상 2. 대상자의평가 1) 구취의평가 外亂因子 鼻呼吸 2) 설문조사

<30372E20C1B6C7FDBFF82CC7E3C7D1BCD62CC0CCC0E7BFED2CC0D3C0BAC3B62CB0ADC1D6BFB52E687770>

부인과학회지+27-4(최종)-수정.hwp

강동경희대학교병원약품정보지 신약 [ 향정 / 원외 ]Belviq tab. 10mg (Lorcaserin HCl) 벨빅정 10MG 1. 약효분류식욕억제제 ( 향정신성 ) 2. 성분 함량 lorcaserin 10mg 3. 성상파란색의원형필름코팅정 4. 약리작용 5-HT 2

684 S. J. Kim et al 2. 발병일 : 2014년 3월 30일 3. 치료기간 : 2014년 4월 25일 ~2014년 5월 8일 4. 진단명 : Fever, Unspecified 5. 주소증 1) 自汗, 發熱惡寒 2) 頭痛腰痛 6. 과거력 1) 고혈압 : 2



4최종-『食療纂要』에 나타난 消渴의 食治에 對한 小考_송지청, 김상운, 채송아, 엄동명.hwp


23(6)33신용수 hwp

£01¦4Àå-2

PART

Part Part

½ºÅ丮ÅÚ¸µ3_³»Áö

272*406OSAKAÃÖÁ¾-¼öÁ¤b64ٽÚ

½Å¹®319È£

2009;21(1): (1777) 49 (1800 ),.,,.,, ( ) ( ) 1782., ( ). ( ) 1,... 2,3,4,5.,,, ( ), ( ),. 6,,, ( ), ( ),....,.. (, ) (, )

<BACEC0CEB0FAC7D0C8B8C1F D3228C3D6C1BE292E687770>

<30342E20B1E8C7F6BFEC2C20B1E8C8A3C1D82C20B9DABFB5C8B82E687770>

<BACEC0CEB0FAC7D0C8B8C1F D3428C3D6C1BE292E687770>

_27~37, 38.hwp

<B4EBC7D1C7D1B9E6B3BBB0FAC7D0C8B8C1F633372D352832C2F7B1B3C1A4292E687770>

12)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J Korean Obstet Gynecol VOL.26 NO.3 : (2013) 이침과한약치료를병행한姙娠惡阻환자 4 례의증상호전및안전성보고 경희대학교한의과대학원부인과학교실박승혁, 채민수, 김남훈, 황덕상, 이진무, 이창훈, 이경

<C6EDC1FD2D33322D31C8A320BEC8C0CCBAF1C0CEC8C4B0FAC7D0C8B8C1F62E687770>

<BACEC0CEB0FAC7D0C8B8C1F D3328C3D6C1BE292E687770>

<5F30375FBCD2C8B8C7E2B0FAB1DDC0BAC8AD2E687770>

川續斷과 韓續斷의 외부형태 감별

DRSRDH_2008_v22n6_1423.hwp

<C6EDC1FD2D32362D34C8A32DBEC8C0CCBAF1C0CEC8C4B0FAC7D0C8B8C1F62E687770>

38 Soeumin CPG: Yang Depletion Symptomatology I. 緖論 망양병은身熱, 煩惱, 身體痛, 汗自出을특징으로하는병증으로비국양기가손상된상태에서, 비국으로상승연접하는신국양기가신국의寒邪에의해방해받고방광에울축하여발생한다. 소음인병증분류및정의와관련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3권3호(최종)_ hwp

( ) ) ( )3) ( ) ( ) ( ) 4) 1915 ( ) ( ) ) 3) 4) 285

<4D F736F F D20C3A520BCD2B0B32DC0CCB7B2B0C5B8E9B3AAB6FBBFD6B0E1C8A5C7DFBEEE322E646F63>

완치란 일반인들과 같이 식이조절과 생활관리를 하지 않아도 다시 통풍이 하지 않는 것입니다. 당신의 통풍이 몇 년이나 되었는지 지금까지 얼마나 많은 로릭과 진통 소염제로 버텼는지 이제 저한테 하소연 하시고 완치의 길로 가면 다. 어렵지 않습니다

<B4EBC7D1C7D1B9E6B3BBB0FAC7D0C8B8C1F633362D3328C3D6C1BE292E687770>

- 2 -


untitled

<30352E20C0FCC7F6C1F82CC0CCBCF6B0E62E687770>

DRSRDH_2008_v22n5_1147.hwp

신계내과학(1).indd

<C7D1B9E6C0E7C8B0C7D0C8B B1C731C8A35F34C2F7C6EDC1FD E687770>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제 28 권제 2 호 (2015 년 5 월 )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5;28(2): pissn eissn

±èÀº¿µ³»Áö9-191š

IKC43_06.hwp

ㄴ한약약성이로

<C6EDC1FD2D32372D33C8A32DBEC8C0CCBAF1C0CEC8C4B0FAC7D0C8B8C1F62E687770>

<C7D1B9E6C0E7C8B0C7D0C8B B1C731C8A35F34C2F7C6EDC1FD E687770>

< FB5B5BAF1B6F32C20B8F1C2F D34292E687770>

3. 낭독미신징적쇠귀독악창급풍위 ( 狼毒味辛癥積衰鬼毒惡瘡及風痿 ) 낭독 ( 狼毒 ) 은미신 ( 味辛 ) 하다. 징적 ( 癥積 ) 을쇠잔시키며, 귀독 ( 鬼毒 ) 악창 ( 惡 瘡 ) 및풍위 ( 風痿 ) 등도물리친다. 오독도기 1 초 ( 醋 ) 에초 ( 炒 ) 해서쓴다.

2 張奭鎭 차 례 序論

γ

본초학표지

본초학표지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뇌경색편마비환자의상지부종에봉독요법활용후호전된 1 례 경혈에자입하여질병을치료하는약침요법의일종으로, 예로부터신경통, 관절염등에많이이용되어왔으며뇌졸중편마비환자의견관절통증의감소에도유의한효과를보이고있다 7. 하지만뇌졸중편마비환자에서발생한상지부종에대해서는활용된예가보고되어있지않다.

DRSRDH_2008_v22n6_1359.hwp

본초학표지

<403032BBE7BBF3C3BCC1FAC7D0C8B8C1F65F32362D31C6EDC1FD342E687770>

동합니다. 손, 발의 작은 관절이나 고관절은 잘 침범하지 않으며 항염증제로 즉각적으로 증상 이 소실됩니다. 심근염은 소아 환자의 40~80% 정도에서 나타나며, 단순히 심장박동이 약간 빠 른 빈맥에서부터 심하게는 심장에 침범되어 심부전까지 나타나는 등 다양한 양상으로

韓藥情報硏究會誌 (Korean Herb. Med. Inf.) 2016;4(2): pissn / eissn 산조인 ( 酸棗仁 ) 과그위품의외부형태감별기준 윤지현 1, 도의정 2,3, 전신희 2, 류지효 4, 김정훈 4, 이금

<BACEC0CEB0FAC7D0C8B8C1F D3328C3D6C1BE292E687770>

소양인생리 & 병증약리개괄 음청지기의발병부위, 증상발현의한열양상에따른표리병의구분 음청지기의상태를신 - 대장을중심으로설명

배명현 염승룡 김진희 권영달 서론»»» 류마토이드관절염 (rheumatoid arthritis) 은가장흔한류마티스질환이다. 주로 세사이에발병하며만성적이고간헐적인관절염증을나타낸다. 류마토이드관절염에걸린관절에는 CD4와 CD8 T세포, B세포, 림프구, 형질세포

Original Articles Korean Circulation J 2000;30 7 : 급성 Aconitine 중독에의한심혈관계부작용에관한임상적관찰 김우식 임성식 강흥선 조정휘 김권삼 송정상 배종화 Cardiovascular Aspects of Acon

歯kjmh2004v13n1.PDF

( 瀉 ) 하라한것은견증 ( 見證 ) 과인용한방의 ( 方意 ) 와맞지않는번잡한처방으로후인 ( 後人 ) 들의전사 ( 傳寫 ) 오류이거나, 첨삭 ( 添削 ) 의글로보인다. 견증 ( 見證 ) 과위령탕가초두구탕증 ( 胃苓湯加草荳蔻湯證 ) 에부합되는요법은위정격 ( 胃正格 ) 또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이차적저작물을작성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

<30325FBBE7BBF3C3BCC1FAC0C7C7D0C8B8C1F6284A53434D D332D34C2F7C6EDC1FDBABB2E687770>

<30372EC0CCC0AFC1F82E687770>

untitled

2014년 01월호VOL .2

Transcription:

本草 效能 主治 用語에 對한 硏究 1 2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ㆍ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3 4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ㆍ한국전통의학연구소 신재혁1 이병욱2 엄동명3, 4 *53) A Study on Terminology of Effectiveness and Symptoms of disease in Meteria Medica ㆍ ㆍ Shin Jae-hyuk1 Lee Byeong-wook2 Eom Dong-myung3, 1 Graduate School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2 3 4 *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Korean Medicine Dept. of Class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4 Research Center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erminology in any study is an important part. In traditional medicine, especially in meteria medica, ther are many sections of explanation, which are origin, place of production, component, taste, effectiveness meridian entry, symptoms of disease, etc. Bonchohak(本草學) is one of the textbook of meteria medica in Korea. In that book, descriptions of meteria medica by effectiveness, symptoms of disease are supposed to be with accordance in the same section. However, unfortunately it is not. In this paper, I will explain those discordances and differences. Key Words : terminology, effectiveness, symptoms of disease, meteria medica Ⅰ. 序論 本草學書籍에서는 本草를 說明하는 내용으로 基源, 産地, 成分, 性味, 歸經, 主治 등 여러 가지 項目을 설 정해 놓고 있다. 本草學書籍마다 차이가 있기는 하지 만 대부분의 서적에서 설정하고 있는 항목은 크게 다 르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本草學書籍에서 사용되는 用語들은 곧장 임상에서 활용되고 있기 客觀的이고 통일된 용어를 사용해야 해당 약물에 대한 지식과 情 報를 전달하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특히 本草의 效能과 主治에 대한 用語는 本草의 特徵을 규정하는 項目이기에 的確性이 要求된다. 그러나 실제 本草學書籍에서 사용하고 있는 용어 들을 살펴보면 표준화되어 있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 고 있으며, 같은 서적 내에서도 서로 다른 용어로 지 * 교신저자 : 엄동명. 전북 익산시 신용동 344-2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E-mail: haksan@wku.ac.kr Tel: 063-850-6941. Fax : 063-851-6941. 접수일(2010년 2월 19일), 수정일(2010년 3월 21일), 게재확정일(2010년 3월 22일) 식을 표현하고 있어 용어 사용에 대한 표준화가 시급 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本草學書籍 가운데 한 종을 대상으로 하여 效能用語와 病症用語에 대한 일치 불일치 정도 107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제23권 2호(2010年 3月) J. Oriental Medical Classics 2010:23(2)107-118 를 파악해 봄으로써 한의학분야의 용어표준화 작업 이 시급한 문제임을 알리고자 한다. 效能用語 : 解表散風, 透疹. 病症用語 : 感冒, 頭痛, 麻疹, 風疹, 瘡瘍初起. 炒 炭治便血, 崩漏, 産後血暈. Ⅱ. 硏究方法 1. 서울 永林社에서 2004년에 出刊한 本草學 을 사용하였다. 2. 연구대상 藥物은 解表藥 가운데 發散風寒藥 15 種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3. 效能主治 項目에 나오는 效能用語와 病症用 語를 整理하였다. 4. 解說 項目에 나오는 效能用語와 病症用語를 整理하고, 서술문으로 되어 있는 내용 가운데 명사 형태의 용어로 표현이 가능한 것은 명사형으로 변형 시켰다. 5. 두 用語간의 聯關性을 檢討하였다. 6. 다른 藥物과 配伍하여 나타나는 效能과 病症用 語는 考察에서 除外하였다. 7. 名詞形 用語는 그대로 使用하고, 敍述形 文章은 名詞形으로 만들어 考察하였다. Ⅲ. 本論 1. 效能主治 의 效能用語와 病症用語 1) 麻黃 效能用語 : 發汗散寒, 宣肺平喘, 利水消腫, 蜜炙 潤肺止咳. 病症用語 : 風寒感冒, 胸悶喘咳, 風水浮腫, 氣管 支哮喘. 2) 桂枝 效能用語 : 發汗解肌, 溫經通脈, 助陽化氣, 平冲 降氣. 病症用語 : 風寒感冒, 脘腹冷痛, 血寒經閉, 關節 痺痛, 痰飮, 水腫, 心悸, 奔豚. 3) 紫蘇葉 效能用語 : 解表散寒, 行氣和胃. 病症用語 : 風寒感冒, 咳嗽嘔惡, 姙娠嘔吐, 魚蟹 中毒. 4) 荊芥 108 5) 羌活 效能用語 : 散寒, 袪風, 除濕, 止痛. 病症用語 : 風寒感冒頭痛, 風濕痺痛, 肩背酸痛. 6) 白芷 效能用語 : 散風除濕, 通竅止痛, 消腫排膿. 病症用語 : 感冒頭痛, 眉棱骨痛, 鼻塞, 鼻淵, 牙 痛, 白帶, 瘡瘍腫毒. 7) 防風 效能用語 : 解表祛風, 勝濕, 止痙. 病症用語 : 感冒頭痛, 風濕痺痛, 骨節酸痛, 風疹 瘙痒, 四肢攣急, 破傷風. 8) 藁本 效能用語 : 祛風, 散寒, 除濕, 止痛. 病症用語 : 風寒感冒, 巓頂疼痛, 風濕肢節痺痛. 9) 辛夷 效能用語 : 散風寒, 通鼻竅. 病症用語 : 風寒頭痛, 鼻淵, 鼻塞不通, 鼻流濁涕. 10) 細辛 效能用語 : 祛風散寒, 通竅止痛, 溫肺化飮. 病症用語 : 風寒感冒, 頭痛, 牙痛, 鼻塞鼻淵, 風濕 痺痛, 痰飮喘咳. 11) 生薑 效能用語 : 解表散寒, 溫中止嘔, 化痰止咳, 解毒. 病症用語 : 風寒感冒, 胃寒嘔吐, 寒痰咳嗽, 半夏 毒, 天南星毒, 魚蟹毒. 12) 香薷 效能用語 : 發汗解表, 和中利濕. 病症用語 : 暑濕感冒, 惡寒發熱, 頭痛無汗, 腹痛 吐瀉, 小便不利. 13) 蔥白 效能用語 : 發表通陽, 解毒殺蟲. 病症用語 : 感冒風寒, 陰寒腹痛, 二便不通, 痢疾, 瘡癰腫痛, 蟲積腹痛. 14) 檉柳 效能用語 : 疏風解表, 透疹解毒. 病症用語 : 風熱感冒, 麻疹不透, 風濕痺痛, 皮膚

本草 效能 主治 用語에 對한 硏究 瘙痒. 15) 蒼耳子 다. 痰飮과 蓄水를 치료하는데 이는 溫化의 작용이 效能用語 : 散風除濕, 通鼻竅. 있기 때문이다. 水濕의 陰邪는 陽을 得하게 되면 化 病症用語 : 風寒頭痛, 鼻淵流涕, 風疹瘙痒, 濕痺 濕하게 되므로, 桂枝는 通陽化氣의 효능으로 化濕利 水의 효과를 증강케 하고 利水化濕藥과 配伍하여 拘攣 常用하므로서 陽氣不行으로 水濕이 停留되어 나타 나는 痰飮과 蓄水의 證을 치료하게 된다. 2. 解說 의 效能用語와 病 症用語 汗出, 惡風의 表虛證을 치료하는데 酸斂시키는 藥物을 配伍하여 한편으로는 發散시키고 또 한편으 로는 收斂하여 營衛를 조화케 하여 散風斂營되고 原文을 상자 안에 拔萃하고 用語를 抽出하였다. 表邪가 解하게 되며, 大汗出하는 弊가 없이 病證이 1) 麻黃 치료된다. 소위 桂枝가 無汗에는 發汗시키고 有汗에 味辛性溫하고 質이 輕한데 辛味는 發散하고 溫 性은 祛寒하며 體輕升浮하여 肺와 膀胱經에 들어간 다. 肺는 皮毛와 表裏가 되고, 膀胱은 一身의 表를 주관하므로 發汗解表시키고 散寒시키는 효능이 있 어 外感風寒으로 表實無汗한 證을 치료한다. 는 止汗시킨다는 說은 이와 같이 配伍된 藥物의 효 과이며, 실제로 桂枝는 辛溫發散시키는 藥으로 止汗 作用은 없다. 그러므로 陰虛盜汗에 桂枝를 誤用하면 火邪가 甚해져 盜汗이 더욱 심하게 되어 亡陽證을 일으켜 動風 또는 動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능히 宣肺하여 平喘止咳하므로 邪氣가 肺에 壅 效能用語 추출 : 發散風寒, 宣通經脈, 利關節, 溫 遏하고 肺氣不宣하여 나타나는 咳嗽氣喘에 寒, 熱, 通, 活血通經, 散寒止痛, 發汗, 溫化, 通陽化氣, 化濕 痰, 飮과 表證의 有無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利水, 調和營衛, 散風斂營, 解表 또한 麻疹의 透發이 不暢하거나 風疹으로 身痒 등의 병증이 있을 때 응용하고, 溫散寒邪의 효능이 있으므로 病情에 상응되는 약물을 配合하여 風濕痺 病症用語 추출 : 外感風寒, 風寒濕痺, 經閉, 痛經, 體虛感冒, 上肢肩臂疼痛, 痰飮, 蓄水, 汗出, 惡風 3) 紫蘇葉 痛 및 陰疽 등의 병증을 다스린다. 이 외에도 麻黃은 위로는 肺氣를 開宣하여 發汗 性味가 辛溫하고 芳香이 있어 肺 脾經에 들어가 하고 또한 水道를 通調케 하여 膀胱으로 下輸하여 風寒의 邪氣를 發散시킬 뿐 아니라 또한 行氣寬中 利水케 하므로 水腫에 表證을 겸한 證에 가장 적합 시켜 惡寒, 發熱, 頭痛, 鼻塞, 無汗에 咳嗽를 겸한 하다. 外感風寒表證에 효과가 있으며, 表寒에 氣滯를겸하 效能用語 추출 : 發散, 祛寒, 發汗解表, 散寒, 宣 여 胸悶不舒한 證에 적합하다. 肺, 平喘止咳, 透疹, 溫散寒邪, 利水, 消腫 病症用語 추출 : 外感風寒, 表實無汗, 咳嗽氣喘, 麻疹透發不暢, 風疹, 身痒, 風濕痺痛, 陰疽, 水腫 2) 桂枝 脾肺氣滯로 인한 咳嗽痰多 및 胸悶嘔惡 등 證 에 적용한다. 그러므로 風寒表證에 胸悶嘔惡 등 證 이 겸하여 나타나면 紫蘇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 합하다. 發汗작용은 麻黃과 桂枝에 미치지 못하므로 外 辛味는 散하고 溫性은 通行케 하여 外로는 表에 感風寒의 輕證에 상용하고, 安胎의 효능은 行氣시 작용하여 오로지 肌表의 風寒을 發散하며, 四肢에 키는 작용 때문이며, 行氣시키면 氣機가 通暢하게 橫走하여 經脈을 宣通케 하며 關節을 利하게 한다. 되어 胎氣가 自和되기 때문이다. 또한 溫通의 작용은 活血通經하고 散寒止痛하는 효 梗葉과 種子를 分別하여 응용하는데 蘇葉은 發 능이 있어 外感風寒과 風寒濕痺 및 經閉, 痛經 등 表散寒시키고, 蘇梗은 理氣安胎시키며, 蘇子는 降 症狀을 치료하는 要藥이 된다. 氣消痰하므로 外感風寒에는 蘇葉을 다용하고, 胸悶 發汗작용은 麻黃에 비하여 緩和하므로 風寒表證 의 無汗과 有汗을 막론하고 적용할 수 있으며, 더우 嘔惡와 氣滯 및 胎動不安에는 蘇梗을 다용하며, 痰 多喘咳에는 蘇子를 다용한다. 기 體虛感冒로 上肢肩臂가 疼痛한 證 등에 적합하 效能用語 추출 : 發散風寒, 行氣寬中, 發汗, 行氣 109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제23권 2호(2010年 3月) J. Oriental Medical Classics 2010:23(2)107-118 安胎, 發表散寒 病症用語 추출 : 惡寒, 發熱, 頭痛, 鼻塞, 無汗, 咳嗽, 胸悶不舒, 咳嗽痰多, 胸悶嘔惡 4) 荊芥 한 性味로 解表하기 때문이며 瘡瘍初期에 風寒表證 이 있고 寒熱無汗한 경우에 사용한다. 效能用語 추출 : 發散寒濕, 通利關節, 止痛, 發散 風寒, 祛風濕, 散寒邪, 利關節, 疏風透表, 解表 輕揚하여 疏散하나 辛하되 烈하지 않고, 微溫하 病症用語 추출 : 頭身疼痛, 關節疼痛, 風寒濕痺, 여 燥하지 않아 그 性이 비교적 和平하여 風邪를 發 寒熱無汗, 頭痛如裹, 項背强痛, 骨節酸疼, 肢體沈重, 散하는데 뛰어나다. 따라서 風寒과 風熱을 疏散하고 水腫, 瘡瘍腫毒, 遍身水腫, 二便不利, 瘡瘍初期, 寒 血中의 風熱을 疏散하므로 外感風寒과 風熱의 表證 熱無汗 에 모두 사용된다. 6) 白芷 荊芥의 芳香은 輕揚疏散하므로 血分의 風熱이 上部에 鬱遏하여 頭痛目赤하고 咽喉가 腫痛한 證에 더욱 마땅하며, 麻疹透發不暢과 風疹瘙痒 및 瘡瘍初 起에 適用하는데 이는 辛(溫)한 性味가 病邪를 透邪 시켜 밖으로 나가게 하므로서 病을 치료하게 된다. 辛味는 發散袪風하고, 溫燥한 性은 除濕시키며, 芳香은 通竅하므로 能히 肺, 胃, 大腸 三經의 風濕 之邪를 발산하는데 사용되나 주로 胃經의 主藥으로 사용된다. 足陽明胃經은 頭面을 上行하므로 外感風 邪로 인한 頭目昏痛, 眉棱骨痛, 牙痛 및 鼻淵流涕 效能用語 추출 : 發散風邪, 疏散風寒, 疏散風熱, 透疹 등의 病證을 치료하는 要藥이 된다. 또한 袪風除濕하는 효능이 있어 風濕으로 인한 痺痛과 皮膚瘙痒을 치료하고, 燥濕止帶하는 효능으 病症用語 추출 : 外感風寒表證, 外感風熱表證, 頭 痛目赤, 咽喉腫痛, 麻疹透發不暢, 風疹瘙痒, 瘡瘍初 起 로 婦女의 寒濕帶下證에 常用하는 약물이 된다. 이 외에 消腫排膿하는 효능은 辛味의 작용 때문 으로 癰疽瘡瘍, 毒蛇咬傷 등에 外科에서 常用하는 5) 羌活 上昇發散하는 작용이 강하여 肌表의 游風과 寒濕 의 邪氣를 發散시키고 關節을 通利하여 止痛시키는 효능이 있다. 따라서 外感風寒과 風濕으로 인한 頭身 疼痛과 風寒濕邪로 인한 關節疼痛을 치료하는데, 특 히 上半身의 風寒濕痺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外感表證에 羌活이 氣香性散하여 表의 風寒濕邪 를 發散시키는 효능이 좋으므로 表證이 風寒에 屬하 보조약으로 內服과 外用 모두 사용된다. 效能用語 추출 : 發散袪風, 除濕, 通竅, 發散風濕, 袪風除濕, 燥濕止帶, 消腫排膿 病症用語 추출 : 頭目昏痛, 眉棱骨痛, 牙痛, 鼻淵 流涕, 風濕痺痛, 皮膚瘙痒, 寒濕帶下, 癰疽瘡瘍, 毒 蛇咬傷 7) 防風 고 濕을 겸하여 나타나는 寒熱無汗, 頭痛如裹, 項背 强痛, 骨節酸疼, 肢體沈重한 症狀에 마땅하다. 風寒濕痺에 羌活이 風濕을 袪하고 寒邪를 散하여 利關節하는 효능이 있어 痺證을 치료하는 要藥이 된 다. 그런데 直上頂巓, 橫行支臂 하는 특징이 있어 上半身의 痺痛에 효과가 있고, 偏勝하는 邪氣에 따라 관련이 있는 藥物과 配伍를 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風邪偏勝에는 桂枝 防風 威靈仙 薑黃 등과 同用하고, 寒邪偏勝에는 附子 細辛 炙甘草 등과 同用하여야 하 며, 濕邪偏勝에는 薏苡仁 蒼朮 防己 등과 配合하여야 한다. 이 외에 水腫과 瘡瘍腫毒에도 응용되는데 水腫은 羌活이 疏風透表하기 때문으로 陽水로써 遍身水腫, 二便不利한 證을 치료하고, 瘡瘍腫毒은 羌活의 辛溫 110 性味가 辛甘微溫하고, 質이 柔潤하여 膀胱 肝 脾三經에 들어가 周身을 善行하고 風邪를 祛하여 治風에 通用하는 要藥이 된다. 外感表證의 常用藥으로 袪風解表하는 효능이 뛰어나 外感表證에 寒熱虛實을 막론하고 사용되어 惡寒發熱, 頭痛身痛 등의 風寒證과 風熱에 의한 目 赤咽痛 등 證을 치료한다. 風寒의 邪를 祛하여 解表하고 또한 風濕을 祛하 여 止痛케 하므로 風寒의 表證과 風濕으로 인한 痺 痛을 치료하는데 常用되어 風寒濕痺, 關節疼痛, 四 肢攣急 등 證에 사용된다. 이와 같은 효능은 防風 의 性味가 微溫하되 燥하지 않고 甘緩하여 峻烈하 지 않아 性이 비교적 緩和하므로 防風을 風藥中에

本草 效能 主治 用語에 對한 硏究 潤劑라 稱하게 되었으며, 防風이 肝脾經에 入하고 肝主筋, 脾主四肢 하므로 防風의 勝濕은 經絡筋骨 중의 風濕之邪를 제거하는데 유효하다. 또한 袪風止痒하는 효능이 있어 風瘡疥癬 혹은 응용된다. 鼻淵, 鼻塞, 鼻涕 등의 鼻疾患이 寒에 치우친 경 우에는 細辛 白芷 防風 등과 배합하고, 熱에 치우치 면 薄荷, 黃芩, 蒼耳子 등과 배합하는데, 內服외에도 皮膚瘙痒 등을 치료하고, 肝經에 入하여 袪風, 解 散劑, 乳劑, 油劑 등을 局部에 外用하기도 한다. 痙하는 효능이 있어 破傷風, 角弓反張, 牙關緊閉, 效能用語 추출 : 散風寒, 通鼻竅, 發散風寒 抽搐痙攣 등 證에도 사용된다. 荊芥와 防風은 모두 散風解表작용이 있고 藥力 이 緩和하여 風寒과 風熱表證에 함께 사용되는데, 防風의 袪風解表작용은 全身疼痛을 치료하는데 荊 病症用語 추출 : 頭痛鼻塞, 鼻淵頭痛, 鼻流濁涕, 不聞香臭, 齒痛, 鼻淵, 鼻塞, 鼻涕 10) 細辛 芥보다 뛰어나고, 荊芥는 發汗解表하는 작용이 防 味가 辛香하고 性이 溫하면서 猛烈하여 外로는 風에 비하여 우수하므로 解表發汗에는 兩者를 同 風寒의 邪氣를 發散시키고, 內로는 寒飮을 化하고 아 用한다. 울러 開竅하여 止痛시키는 효능이 있어 外感風寒으 效能用語 추출 : 祛風邪, 袪風解表, 祛風濕, 止痛, 로 인한 頭痛, 身痛, 肺寒停飮, 痰多咳喘 등 證을 치 袪風止痒, 袪風, 解痙, 散風解表 病症用語 추출 : 惡寒發熱, 頭痛身痛, 目赤咽痛, 風濕痺痛, 風寒濕痺, 關節疼痛, 四肢攣急, 風瘡疥癬, 료하는 要藥이 된다. 細辛의 散寒시키는 작용이 비교적 좋으나 發汗시 키는 작용이 약하여 일반적인 解表의 方劑에는 응용 하지 않고, 袪風散寒하는 작용은 外感風寒表證에 寒 皮膚瘙痒, 破傷風, 角弓反張, 牙關緊閉, 抽搐痙攣, 邪가 偏盛하여 생긴 頭痛, 肢體疼痛이 비교적 심한 全身疼痛 경우에 적용된다. 8) 藁本 辛溫한 性味로 發散, 散寒止痛작용이 좋으며 膀 胱經에 入하므로 外感風寒으로 인한 頭痛에 효과 가 뛰어나며 특히 癲頂疼痛 치료에 要藥이 된다. 또한 袪風勝濕하는 효능이 있어 外感風濕으로 인한 肢體痺痛, 頭痛項强, 四肢酸重하는 證을 치료 하고, 風濕으로 인한 頭面과 皮膚瘙痒에 사용된다. 이 외에 散寒除濕하는 효능으로 寒濕이 腸胃를 侵犯하여 나타나는 腹痛泄瀉를 치료한다. 더불어 足少陰腎經에 入하여 少陰之寒을 袪하는 작용이 있어 小腹疼痛, 下肢畏寒, 舌淡不渴 한 症이 陰寒에 속한 者를 치료하는데 附子, 肉桂와 配伍하 고, 陽虛로 인한 外感風寒病證에 惡寒發熱, 身倦欲 臥, 舌苔水滑, 脈沈한 者에는 麻黃 附子와 配合한다. 또한 溫肺化飮하는 효능이 있어 寒飮伏肺를 치료 하는 常用藥으로 咳嗽氣喘, 痰多淸稀한 者를 치료하 고, 辛香走竄하는 性이 있어 硏末하여 吹鼻하면 白芷 皂角刺 通竅醒神의 효능이 있고, 烏頭를 配合하면 牙 痛을 치료하고, 頭痛에는 川芎을, 痺痛에는 桂枝를 效能用語 추출 : 發散, 散寒止痛, 袪風勝濕, 散寒 除濕 配合하면 祛風止痛의 妙가 있다. 이 외에 單用하거나 黃連과 配合하여 患部에 발라 口瘡치료에 사용하기도 한다. 病症用語 추출 : 外感風寒頭痛, 癲頂疼痛, 肢體痺 痛, 頭痛項强, 四肢酸重, 皮膚瘙痒, 腹痛泄瀉 9) 辛夷 效能用語 추출 : 發散風寒, 開竅止痛, 散寒, 發汗, 袪風散寒, 溫肺化飮, 通竅醒神, 祛風止痛 芳香은 質輕하고 氣味俱薄하여 解表力이 비교적 病症用語 추출 : 頭痛, 身痛, 肺寒停飮, 痰多咳喘, 약하지만, 肺에 入하여 散風寒 通鼻竅하고 胃에 入하 頭痛, 肢體疼痛, 小腹疼痛, 下肢畏寒, 舌淡不渴, 惡 여 胃中淸陽之氣를 上昇시키므로 風寒으로 인한 頭 寒發熱, 身倦欲臥, 舌苔水滑, 脈沈, 咳嗽氣喘, 痰多 痛鼻塞에 사용된다. 또한 鼻淵頭痛, 鼻流濁涕, 不聞 淸稀, 牙痛, 頭痛, 痺痛, 口瘡 香臭 등의 증상에 要藥이 된다. 辛夷에 비록 風寒을 發散시키는 작용이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外感表證에 는 많이 응용하지 않으며, 더러는 齒痛을 치료하는데 11) 生薑 味辛하고 性溫하여 肺經에 들어가 風寒의 邪氣 111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제23권 2호(2010年 3月) J. Oriental Medical Classics 2010:23(2)107-118 를 散하여 解表하는데, 辛散發表하는 효력은 비교적 性味가 辛散溫通하여 능히 上下를 宣通하고, 表 약하여 感冒의 輕證에 사용하므로 外感風寒으로 인 裏를 通達케 하며, 外로는 寒邪를 散하여 解表하 한 惡寒發熱, 頭痛鼻塞 등 症狀을 치료한다. 다만 고, 內로는 陽氣를 通하게 하여 止痛하므로 外感風 外感風寒의 證이 重症일 때는 반드시 다른 辛溫解 寒으로 인한 惡寒發熱과 혹은 寒邪가 裏로 들어가 表藥과 同用해야 하며, 生薑은 輔助藥으로서 辛溫解 下痢脈微하고 寒凝氣阻로 인한 腹痛과 尿閉 등의 表劑 중에 사용하여 發汗작용을 증강시킨다. 증상에 모두 응용한다. 그러나 發汗시키는 효능이 그리고 胃經에 들어가서는 溫胃和中시키고 降逆 止嘔시켜 止嘔시키는 要藥이 된다. 그러므로 生薑은 약하여 感冒의 輕證에 주로 응용하고 또는 다른 解 表藥과 同用하여 補助藥으로 하여 응용한다. 嘔家에 聖藥이라 하여 胃寒이나 痰濕이 中洲에 阻 滯되어 나타나는 胃氣上逆의 惡心嘔吐에 모두 效果 가 있으며, 胃熱嘔吐에도 相應하는 藥物과 配伍하여 效能用語 추출 : 宣通上下, 通達表裏, 散寒解表, 通陽止痛, 發汗 사용하여도 또한 良好한 효능이 있다. 病症用語 추출 : 惡寒發熱, 下痢脈微, 腹痛, 尿閉 또한 溫肺止咳하는 효능이 있어 風寒으로 肺가 14) 檉柳 傷하여 나타나는 咳嗽痰多를 치료하고, 解毒작용이 性味가 甘辛平하여 散風, 解表, 透疹시키는 要藥 있어 魚蟹毒으로 인한 嘔吐와 泄瀉, 南星毒, 半夏毒 등에 單用하거나 紫蘇葉과 同用한다. 으로 木部는 解表祛風시키고 麻疹을 透發시키며, 枝 效能用語 추출 : 發散風寒, 解表, 發汗, 溫胃和中, 는 解毒, 祛風, 利尿시키는 효능이 있어 風濕으로 降逆止嘔, 止嘔, 溫肺止咳, 解毒 病症用語 추출 : 惡寒發熱, 頭痛鼻塞, 惡心嘔吐, 胃熱嘔吐, 咳嗽痰多, 魚蟹毒, 嘔吐, 泄瀉, 南星毒, 半 夏毒 인한 痺痛과 痧疹熱毒不發을 치료한다. 이와 같이 開發疏散의 要藥이 되어 능히 血分의 毒을 解하여 麻疹初起의 透發不暢을 치료하는 常用藥으로, 風으 로 인하여 閉한 症에 適用하여 透發케 한다. 12) 香薷 性味가 辛溫芳香하여 外로는 暑邪를 袪하여 解表 效能用語 추출 : 散風, 解表, 透疹, 解表祛風, 解 毒, 祛風, 利尿, 開發疏散 하고, 內로는 濕毒을 化하여 和中하므로 祛暑解表의 要藥이 된다. 그러므로 古人들은 夏季에 香薷를 응용 하는 것은 冬季에 麻黃을 사용하는 것과 같다고 하 였다. 이와 같이 香薷는 發汗시키는 효능이 강하여 病症用語 추출 : 風濕痺痛, 痧疹熱毒不發, 麻疹不 透 15) 蒼耳子 여름철에 寒으로 外傷되고 濕邪로 內傷되어, 陽氣가 性味가 辛苦하면서 溫하여 疏散시키고 宣通시키 陰邪의 鬱退을 받아 惡寒, 發熱, 胸悶無汗 및 腹痛吐 는 특징이 있어 위로는 巓頂에 達하고, 밑으로는 足 瀉 등 陰暑病證을 치료하며, 暑濕에 熱象을 兼하였을 膝에 注하며, 內로는 筋骨을 通하고, 外로는 皮膚에 때는 黃連을 配合하여 응용하여야 한다. 작용하여 일체의 風濕邪를 善祛하는 효능이 있다. 利水消腫하는 효능은 風邪가 外襲하여 肺氣가 宣 鼻淵과 風寒頭痛을 치료하는 것은 辛溫한 性味 降하지 못하여 나타나는 水腫을 치료 하는데, 그 작 로 發散하고 上行하는 성질이 있어 風寒을 散하여 용은 發汗, 利水하는 것으로 眼瞼浮腫, 四肢 및 全身 閉塞된 것을 開竅하기 때문으로 특히 鼻淵치료에 浮腫 등에 모두 적용할 수 있으나 風水浮腫에 마땅 뛰어난 효과가 있어서 鼻淵의 要藥이 된다. 하다. 風濕痺痛과 四肢拘攣을 치료하는 것은 袪風濕하 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며 上中下 一身風濕衆病不 效能用語 추출 : 祛暑解表, 化濕和中, 發汗, 利水 消腫 病症用語 추출 : 惡寒, 發熱, 胸悶無汗, 腹痛吐瀉, 水腫, 眼瞼浮腫, 四肢全身浮腫, 風水浮腫 13) 蔥白 112 可缺 이라 하여 濕痺拘攣에 常用하는 藥이 된다. 이 외에 風濕을 散하여 止痒하는 효과가 있어 風 疹瘙痒, 疥癩 등의 피부질환을 치료한다. 效能用語 추출 : 疏散, 宣通, 散風寒, 開竅, 袪風 濕, 散風濕, 止痒

本草 效能 主治 用語에 對한 硏究 病症用語 추출 : 鼻淵, 風寒頭痛, 風濕痺痛, 四肢 拘攣, 濕痺拘攣 風疹瘙痒, 疥癩 效能用語와 마찬가지로 病症用語 또한 效能主 治 에서 언급하는 것보다 解說 에서 說明하는 것이 數的으로 많았을 뿐 아니라, 用語 자체도 동일 Ⅳ. 考察 1. 效能用語 比較 1-1. 效能用語는 表 1.로 整理하였으며 內容中 敍述形 文章은 名詞形 用語로 바꾸면서 밑줄로 표 시하였다. 1-2. 表 1.을 바탕으로 效能主治 의 效能과 解說 의 效能을 비교하여 表 2.로 整理하였다. 麻黃의 경우 效能主治 에서는 發汗散寒이라 하 였으나 解說 에서는 發汗, 祛寒, 發汗解表, 溫散 寒邪 등으로 표현하였고, 白芷의 경우 效能主治 에서는 散風除濕이라 하였으나 解說 에서는 發 散祛風, 除濕, 發散風濕, 祛風除濕, 燥濕 등으로 表 現하였으며, 蔥白의 경우 效能主治 에서는 發表 通陽이라 하였으나 解說 에서는 宣通上下, 通達 表裏, 通陽, 解表 등으로 表現하였다. 대부분의 경 우 效能主治 에 비하여 解說 의 效能用語가 數的으로 많을 뿐 아니라 用語 자체도 비슷한 의미 의 서로 다른 類似用語로 代替하는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蔥白의 경우 效能主治 에서는 解毒殺蟲 을 言及하였으나 解說 에서는 類似한 의미의 용 어가 言及되어 있지 않고, 桂枝의 경우 解說 에 서는 利關節, 活血, 化濕利水, 調和榮衛, 止痛 등이 한 用語를 사용하지 않고 類似用語를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는데, 그 예는 다음과 같다. 紫蘇葉의 경우 效能主治 에서는 風寒感冒를 언급하였으나 解說 에서는 惡寒, 發熱, 鼻塞, 無汗 등으로 表現하였고, 羌活의 경우 效能主治 에서는 風寒感冒頭痛을 언급하였으나 解說 에서 는 頭身疼痛, 寒熱無汗, 頭痛 등으로 記載하였다. 또한 效能主治 에는 언급되지만 解說 에 서는 說明이 없거나 解說 에는 설명이 되어 있 는데 效能主治 에는 그에 해당하는 用語가 없 는 경우도 있었는데, 그 예는 다음과 같다. 桂枝의 경우 效能主治 의 心悸, 奔豚, 脘腹 冷痛 등, 紫蘇葉의 경우 效能主治 의姙娠嘔吐, 魚蟹中毒 등, 荊芥의 경우 效能主治 의 便血, 崩 漏, 産後血暈 등과 같은 病症用語들은 各各의 解 說 에서는 해당하는 說明이 存在하지 않고, 麻黃의 경우 解說 의 麻疹透發不暢, 陰疽, 風濕痺痛, 身 痒, 風疹 등, 白芷의 경우 解說 의 風濕痺痛, 皮 膚瘙痒, 毒蛇咬傷 등과 같은 病症用語들이 各各의 效能主治 에서는 關聯되는 用語를 찾아 볼 수 없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效能主治 와 解說 에 사용된 效能用語와 病症用語들 사이에 차이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言及되어 있으나 效能主治 에서는 關聯되는 用語 가 보이지 않으며, 羌活의 경우 또한 解說 에서 는 通利關節, 透表, 解表 등이 언급되어 있지만 效能主治 에서는 관계있는 용어가 存在하지 않 았다. 2. 病症用語 比較 2-1. 病症用語는 表 3.으로 整理하였으며 內容中 敍述形 文章은 名詞形 用語로 바꾸면서 밑줄로 표 시하였다. 2-2. 表 3.을 바탕으로 效能主治 의 病症과 解說 의 病症을 비교하여 表 4.로 整理하였다. Ⅴ. 結論 本草學 에 수록된 解表藥中 發散風寒藥 15種 藥 材의 效能主治 와 解說 의 效能 및 病症用語를 調査한 結果 效能主治 의 效能用語 및 病症用語 에 비하여 解說 의 效能用語 및 病症用語가 數的 으로 많을 뿐 아니라 用語 자체로도 類似用語를 사용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效能主治 에만 言及되고 解說 에서는 보이지 않거나 解說 에만 言及되고 效能主治 에서는 보이 지 않는 效能用語 및 病症用語들이 있어, 같은 내용 이라 하더라도 用語使用에 대한 兩者의 不一致 程度 113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제23권 2호(2010年 3月) J. Oriental Medical Classics 2010:23(2)107-118 가 심함을 알 수 있었다. 用語의 使用은 어느 學文에 있어서나 正確性이 要 求되며, 醫學에서 사용되는 用語라고 한다면 그 要求 정도는 더 엄정해야 할 것이다. 本草學 의 解表藥中 發散風寒藥을 대상으로 藥材를 說明하는 效能用語, 病症用語를 調査를 통해 用語표준화에 대한 노력이 더욱 必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感謝의 글 본 논문은 2009년 원광대학교 교내연구비지원에 의해 수행된 것임. 參考文獻 1. 全國韓醫科大學 共同敎材編纂委員會 編著, 本草 學. 서울. 永林社. 2004. 2. 대한한의학회 한의학용어 및 정보 표준화 위원회. 한의학 용어 표준화 작업지침서. 2007. 114

本草 效能 主治 用語에 對한 硏究 表1. 效能主治 의 效能과 解說 의 效能 藥材 效能主治 의 效能 解說 의 效能 麻黃 發汗散寒, 宣肺平喘, 利水消腫. 發散, 祛寒, 發汗解表, 散寒, 宣肺, 平喘止咳, 透疹, 溫散寒邪, 利水, 消腫 宣通經脈, 利關節, 溫通, 活血通經, 散寒止痛, 發汗, 溫化, 通陽化氣, 化 桂枝 發汗解肌, 溫經通脈, 助陽化氣, 發散風寒, 濕利水, 調和營衛, 散風斂營, 解表 紫蘇葉 解表散寒, 行氣和胃. 發散風寒, 行氣寬中, 發汗, 行氣安胎, 發表散寒 荊芥 解表散風, 透疹. 發散風邪, 疏散風寒, 疏散風熱, 透疹 羌活 散寒, 袪風, 除濕, 止痛. 發散寒濕, 通利關節, 止痛, 發散風寒, 祛風濕, 散寒邪, 利關節, 疏風透表, 解表 白芷 散風除濕, 通竅止痛, 消腫排膿. 發散袪風, 除濕, 通竅, 發散風濕, 袪風除濕, 燥濕止帶, 消腫排膿 防風 解表祛風, 勝濕, 止痙. 祛風邪, 袪風解表, 祛風濕, 止痛, 袪風止痒, 袪風, 解痙, 散風解表 藁本 祛風, 散寒, 除濕, 止痛. 發散, 散寒止痛, 袪風勝濕, 散寒除濕 辛夷 散風寒, 通鼻竅. 散風寒, 通鼻竅, 發散風寒 細辛 祛風散寒, 通竅止痛, 溫肺化飮. 發散風寒, 開竅止痛, 散寒, 發汗, 袪風散寒, 溫肺化飮, 通竅醒神, 祛風止痛 生薑 解表散寒, 溫中止嘔, 化痰止咳, 解毒. 發散風寒, 解表, 發汗, 溫胃和中, 降逆止嘔, 止嘔, 溫肺止咳, 解毒 香薷 發汗解表, 和中利濕. 祛暑解表, 化濕和中, 發汗, 利水消腫 蔥白 發表通陽, 解毒殺蟲. 宣通上下, 通達表裏, 散寒解表, 通陽止痛, 發汗 檉柳 疏風解表, 透疹解毒. 散風, 解表, 透疹, 解表祛風, 解毒, 祛風, 利尿, 開發疏散 蒼耳子 散風除濕, 通鼻竅. 疏散, 宣通, 散風寒, 開竅, 袪風濕, 散風濕, 止痒 表2. 效能主治 解說 效能 比交 藥材 效能主治 의 效能 解說 의 效能 效能主治 解說 效能 比交 發汗散寒 發汗, 祛寒, 發汗解表, 溫散寒邪 麻黃 宣肺平喘 宣肺, 平喘 解說 에만 있는效能 : 止咳, 透疹 利水消腫 利水消腫 發汗解肌 發散風寒, 發汗, 散寒, 解表 解說 에만 있는效能 : 利關節, 活血, 化濕利水, 調 桂枝 溫經通脈 宣通經脈, 溫通, 溫經 和營衛, 止痛 助陽化氣 通陽, 化氣 發散風寒, 發表散寒 紫蘇葉 解表散寒 解說 에만 있는效能 : 發汗, 行氣安胎 行氣和胃 行氣寬中, 行氣 發散風邪, 疏散風 荊芥 解表散風 解說 에만 있는效能 : 疏散熱, 疏散寒 透疹 透疹 發散寒濕, 發散風寒, 祛風濕, 散寒邪, 疏 解說 에만 있는效能 : 通利關節, 利關節, 透表, 解 羌活 散寒祛風除濕 風 表 止痛 止痛 發散祛風, 除濕, 發散風濕, 祛風除濕, 燥 散風除濕 濕 白芷 通竅止痛 解說 에만 있는效能 : 止帶 通竅 消腫排膿 消腫排膿 解表祛風 祛風邪, 祛風解表, 祛風, 散風 防風 勝濕 祛濕 解說 에만 있는效能 : 止痛, 止痒 止痙 解痙 散寒, 祛風 藁本 祛風散寒 除濕止痛 止痛, 勝濕, 除濕 散祛風 散風寒, 發散風寒 辛夷 通鼻竅 通鼻竅 祛風散寒 發散風寒, 散寒, 祛風散寒 細辛 通竅止痛 通竅止痛, 通竅 解說 에만 있는效能 : 醒神, 發汗 溫肺化飮 溫肺化飮 發散風寒, 解表 生薑 解表散寒 解說 에만 있는效能 : 發汗, 降逆 溫中止嘔 溫胃化中, 止嘔 115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제23권 2호(2010年 3月) J. Oriental Medical Classics 2010:23(2)107-118 化痰止咳 解毒 香薷 發汗解表 化中利濕 蔥白 發表通陽 解毒殺蟲 檉柳 疏風解表 透疹解毒 蒼耳子 散風除濕 通鼻竅 溫肺止咳 解毒 發汗, 解表 化濕化中 宣通上下, 通達表裏, 通陽, 解表 散風, 解表, 祛風, 解表祛風 透疹, 解毒 散風, 祛風濕, 散風濕 宣通, 開竅 解說 에만 있는效能 : 祛暑, 利水消腫 解說 에만 있는效能 : 散寒, 發汗, 止痛 效能主治 에만 있는效能 : 解毒殺蟲 解說 에만 있는效能 : 利尿, 開發疏散 解說 에만 있는效能 : 止痒 表3. 效能主治 의 病症과 解說 의 病症 藥材 效能主治 의 病症 解說 의 病症 風寒感冒, 胸悶喘咳, 風水浮腫, 氣管支哮喘. 蜜 外感風寒, 表實無汗, 咳嗽氣喘, 麻疹透發不暢, 風疹, 身痒, 風濕痺痛, 麻黃 炙 潤肺止咳. 陰疽, 水腫 脘腹冷痛, 血寒經閉, 關節痺痛, 痰飮, 外感風寒, 風寒濕痺, 經閉, 痛經, 體虛感冒, 上肢肩臂疼痛, 痰飮, 蓄水, 桂枝 風寒感冒, 水腫, 心悸, 奔豚. 汗出, 惡風 紫蘇葉 風寒感冒, 咳嗽嘔惡, 姙娠嘔吐, 魚蟹中毒. 惡寒, 發熱, 頭痛, 鼻塞, 無汗, 咳嗽, 胸悶不舒, 咳嗽痰多, 胸悶嘔惡 頭痛, 麻疹, 風疹, 瘡瘍初起. 炒炭 外感風寒表證, 外感風熱表證, 頭痛目赤, 咽喉腫痛, 麻疹透發不暢, 風 荊芥 感冒, 治便血, 崩漏, 産後血暈. 疹瘙痒, 瘡瘍初起 頭身疼痛, 關節疼痛, 風寒濕痺, 寒熱無汗, 頭痛如裹, 項背强痛, 骨節酸 羌活 風寒感冒頭痛, 風濕痺痛, 肩背酸痛. 疼, 肢體沈重, 水腫, 瘡瘍腫毒, 遍身水腫, 二便不利, 瘡瘍初期, 寒熱無 汗 感冒頭痛, 眉棱骨痛, 鼻塞, 鼻淵, 牙痛, 白帶, 瘡 頭目昏痛, 眉棱骨痛, 牙痛, 鼻淵流涕, 風濕痺痛, 皮膚瘙痒, 寒濕帶下, 白芷 瘍腫毒. 癰疽瘡瘍, 毒蛇咬傷 頭痛身痛, 目赤咽痛, 風濕痺痛, 風寒濕痺, 關節疼痛, 四肢攣 風濕痺痛, 骨節酸痛, 風疹瘙痒, 四肢 惡寒發熱, 防風 感冒頭痛, 急, 風瘡疥癬, 皮膚瘙痒, 破傷風, 角弓反張, 牙關緊閉, 抽搐痙攣, 全身 攣急, 破傷風. 疼痛 外感風寒頭痛, 癲頂疼痛, 肢體痺痛, 頭痛項强, 四肢酸重, 皮膚瘙痒, 腹 藁本 風寒感冒, 巓頂疼痛, 風濕肢節痺痛. 痛泄瀉 辛夷 風寒頭痛, 鼻淵, 鼻塞不通, 鼻流濁涕. 頭痛鼻塞, 鼻淵頭痛, 鼻流濁涕, 不聞香臭, 齒痛, 鼻淵, 鼻塞, 鼻涕 身痛, 肺寒停飮, 痰多咳喘, 頭痛, 肢體疼痛, 小腹疼痛, 下肢畏寒, 頭痛, 牙痛, 鼻塞鼻淵, 風濕痺痛, 痰 頭痛, 細辛 風寒感冒, 舌淡不渴, 惡寒發熱, 身倦欲臥, 舌苔水滑, 脈沈, 咳嗽氣喘, 痰多淸稀, 飮喘咳. 牙痛, 頭痛, 痺痛, 口瘡 胃寒嘔吐, 寒痰咳嗽, 半夏毒, 天南星 惡寒發熱, 頭痛鼻塞, 惡心嘔吐, 胃熱嘔吐, 咳嗽痰多, 魚蟹毒, 嘔吐, 泄 生薑 風寒感冒, 毒, 魚蟹毒. 瀉, 南星毒, 半夏毒 暑濕感冒, 惡寒發熱, 頭痛無汗, 腹痛吐瀉, 小便 惡寒, 發熱, 胸悶無汗, 腹痛吐瀉, 水腫, 眼瞼浮腫, 四肢全身浮腫, 風水 香薷 不利. 浮腫 感冒風寒, 陰寒腹痛, 二便不通, 痢疾, 瘡癰腫痛, 蔥白 蟲積腹痛. 惡寒發熱, 下痢脈微, 腹痛, 尿閉 檉柳 風熱感冒, 麻疹不透, 風濕痺痛, 皮膚瘙痒. 風濕痺痛, 痧疹熱毒不發, 麻疹不透 蒼耳子 風寒頭痛, 鼻淵流涕, 風疹瘙痒, 濕痺拘攣 鼻淵, 風寒頭痛, 風濕痺痛, 四肢拘攣, 濕痺拘攣 風疹瘙痒, 疥癩 116

本草 效能 主治 用語에 對한 硏究 表4. 效能主治 解說 病症 比交 藥材 效能主治 의 病症 解說 의 病症 效能主治 解說 病症 比交 風寒感冒 外感風寒 解說 에만 있는病症 : 痲疹透發不暢, 陰疽, 麻黃 胸悶喘咳, 氣管支喘咳 咳嗽氣喘 風濕痺痛, 身痒, 風疹 風水浮腫 水腫 風寒感冒 外感風寒, 體虛感冒 脘腹冷痛 血寒經閉 經閉, 痛經 解說 에만 있는病症 : 汗出 桂枝 關節痺痛 上肢肩臂疼痛 效能主治 에만 있는病症 : 心悸, 奔豚 痰飮, 水腫 痰飮, 蓄水 心悸 奔豚 風寒感冒 惡寒, 發熱, 鼻塞, 無汗 解說 에만 있는病症 : 痰多, 胸悶不舒 咳嗽嘔惡 咳嗽, 胸悶嘔惡 紫蘇葉 姙娠嘔吐 效能主治 에만 있는病症 : 姙娠嘔吐, 魚蟹中 毒 魚蟹中毒 感冒 外感風寒表證, 外感風熱表證 頭痛 頭痛 解說 에만 있는病症 : 咽喉腫通, 目赤 荊芥 痲疹, 風疹 痲疹透發不暢, 風疹瘙痒 效能主治 에만 있는病症 : 便血, 崩漏, 山後 血暈 瘡瘍初起 瘡瘍初起 炒炭) 便血, 崩漏, 産後血暈 風寒感冒頭痛 頭身疼痛, 寒熱無汗, 頭痛 解說 에만 있는病症 : 水腫, 瘡瘍腫毒, 瘡瘍 羌活 風濕痺痛 關節疼痛, 風寒濕痺, 骨節酸痛 初起,遍身水腫, 二便不利 肩背酸痛 項背酸痛 感冒頭痛 頭目昏痛 眉棱骨痛 眉棱骨痛 鼻塞, 鼻淵 鼻淵流涕 解說 에만 있는病症 : 風濕痺痛, 皮膚瘙痒, 白芷 牙痛 毒蛇咬傷 牙痛 白帶 寒濕帶下 瘡瘍腫毒 癰疽瘡瘍 感冒頭痛 惡寒, 發熱, 頭痛身痛 風濕痺痛 風濕痺痛, 風寒濕痺 骨節酸痛 關節疼痛, 全身疼痛 防風 風疹瘙痒 風瘡疥癬, 皮膚瘙痒 四肢攣急 四肢攣急 破傷風 破傷風, 角弓反張, 牙關堅閉, 抽搐痙攣 風寒感冒 外感風寒, 頭痛項强 藁本 顚項疼痛 顚項疼痛 解說 에만 있는病症 : 皮膚瘙痒, 腹痛泄瀉 風濕肢節痺痛 肢體痺痛, 四肢酸痛 風寒頭痛 頭痛 鼻淵 鼻淵 辛夷 鼻塞不通 解說 에만 있는病症 : 齒痛 鼻塞, 不聞香臭 鼻流濁涕 鼻流濁涕 風寒感冒 頭痛, 身痛, 惡寒發熱 頭痛, 牙痛 頭痛, 牙痛 解說 에만 있는病症 : 小腹疼痛, 舌淡不渴, 細辛 鼻塞, 鼻淵 身倦欲臥, 舌苔水滑, 口瘡 效能主治 에만 있는病症 : 鼻塞, 鼻淵 風濕痺痛 肢體疼痛, 下肢畏寒, 痺痛 痰飮喘咳 肺寒停飮, 痰多喘咳, 咳嗽氣喘, 痰多淸稀 風寒感冒 惡寒, 發熱, 頭痛 胃寒嘔吐 惡心嘔吐 生薑 寒痰咳嗽 解說 에만 있는病症 : 胃熱嘔吐, 鼻塞 咳嗽痰多 半夏毒 半夏毒 117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제23권 2호(2010年 3月) J. Oriental Medical Classics 2010:23(2)107-118 天南星毒 魚蟹毒 暑濕感冒 惡寒發熱 香薷 頭痛無汗 腹痛吐瀉 小便不利 感冒風寒 陰寒腹痛 蔥白 二便不通 痢疾 瘡癰腫痛 蟲積腹痛 風熱感冒 痲疹不透 檉柳 風濕痺痛 皮膚瘙痒 風寒頭痛 蒼耳子 鼻淵流涕 風疹瘙痒 濕痺拘攣 118 天南星毒 魚蟹毒 惡寒發熱 解說 에만 있는病症 : 胸悶 無汗 效能主治 에만 있는病症 : 暑濕感冒 腹痛吐瀉 水腫, 眼瞼浮腫, 四肢全身浮腫, 風水浮腫 惡寒發熱 腹痛 解說 에만 있는病症 : 尿閉 效能主治 에만 있는病症 : 瘡癰腫痛, 蟲積腹 下痢脈微 痛 痧疹熱毒不發, 痲疹不透 風濕痺痛 風寒頭痛 鼻淵 風疹瘙痒 風濕痺痛, 四肢拘攣, 濕痺拘攣 에만 있는病症 : 風熱感冒, 皮膚瘙 效能主治 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