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창성실어증과알츠하이머성치매환자의이해능력특성비교 1 1) 김은정 * 심현섭 ** 권미선 *** (* 이화여자대학교언어병리학협동과정, ** 이화여자대학교특수교육학과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이화여자대학교언어병리학협동과정박사과정 ) 김은정 심현섭 권미선. 유창성실어증과알츠하이머성치매환자의이해능력특성비교. 언어청각장애연구, 2003, 제 8 권, 제 3 호, 188-208. 유창성실어증과알츠하이머성치매환자는임상적으로표현능력에비해현저히저하된이해능력특징을공유한다. 두장애군의이해능력저하가언어처리과정의동일한기전에서비롯된특징인지, 각장애가특정한언어처리단계의손상에기인한것인지를고찰하기위해본연구에서는심성어휘집의기능평가에민감한어휘판단과제와, 의미체계의손상여부를밝히기위한의미분류과제를사용하여두장애군의수행력및오류유형을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유창성실어증환자 10 명과알츠하이머성치매환자 10 명이었으며, K-WAB 검사의알아듣기점수가평균이하로서이해능력이저하된환자로제한하였다. 연구결과, 어휘판단과제의수행력에있어유창성실어증과알츠하이머성치매집단간유의한차이는없었다. 반면의미분류능력에서치매환자군은실어증환자군보다유의하게낮은수행력을보였다. 이러한결과는실어증환자가심성어휘집으로의접근과정과어휘정보를활성화하는기능에주요기전이있는반면, 치매환자는의미체계의손상및의미정보상실을주장하는선행연구의결과와일치한다. 또한두집단은의미분류능력에유의한차이를보여, 유창성실어증과알츠하이머성치매를보다정확하게판별할수있는과제는의미분류과제인것으로나타났다. 핵심어 : 유창성실어증, 알츠하이머성치매, 이해능력특성, 어휘판단과제, 의미분류능력 Ⅰ. 서론 후천성뇌손상으로인한언어장애를동반한다는유사성으로인해, 실어증과치매환자에관한다양한비교연구및논의가이루어지고있다. 두장애영역중실어증은대부분의경우뇌졸중 (stroke) 이라는혈관성질환발병후나타나는증상으로발화의유창성, 청각적이해력, 따라말하기능력, 이름대기능력등언어과제수행력을평가함으로써다양한유형으로분류되거나기술된다. 특히유창성실어증군가운데베르니케실어증 (Wernicke s aphasia) 및연결피질감각실어증 (Transcortical sensory aphasia) 의경우, 발화의유창성에비해심각한 1 본연구는한국학술진흥재단협동연구지원사업 ( 과제번호 :2001-042-C00207) 의지원에의해수행되었음. 188
유창성실어증과알츠하이머성치매환자의이해능력특성비교 언어이해력의손상을판별기준으로삼는다 (Mathews, Obler & Albert, 1994). 베르니케실어증및연결피질감각실어증의유창성실어군으로분류된환자의언어는대화의유창성및내용의빈약성, 대화에적절한단어를대지못하거나착어가나타난다든지, 말을이해하지못해엉뚱한대답을하는등의특징을가진다 (Goodglass & Kaplan, 1983). 따라서언어평가를통한두유창성실어증환자의판별근거는대화의유창성과내용의빈약성으로요약할수있으며, 이는자발화및청각적이해력평가과제로구분할수있다. 다시말하면, 베르니케실어증이나연결피질감각실어증환자의언어문제는청각이해력의손상에따른결과라는것이일반적인인식이다. 후천적인언어이해력손상을특징으로하는또하나의환자군으로치매를들수있다. 치매는점진적인퇴행성뇌손상으로, 최근사회의고령화추세와맞물려치매환자의비중이높아졌을뿐아니라노인들의잠재적인치매가능성에대한우려가증가하고있는실정이다. 치매는착어증 (paraphasia), 반향어 (echolalia), 실어증 (aphasia), 함구증 (mutism) 등다양한언어장애를동반할수있다. 치매환자의가장두드러진언어는대화자체가유창하나내용이빈약하고대화에적절한단어를대지못하거나착어가심해지며, 말을이해하지못해엉뚱한대답을하는특징을가진다. 이러한언어특성은뇌졸중발병후발생하는실어증가운데, 유창성실어증환자와거의유사한증상들이다. 치매는최근까지언어평가및치료영역의대상자가아니라는인식이일반적이었다. 그러나임상적으로치매환자의언어특성과베르니케실어증환자가가지는언어특징의유사성으로인해, 두장애군의언어처리또한동일한기전에서비롯되었는지에대한의문점이제기되었으며그에따른다양한연구들이등장하고있다. 실어증과치매환자를비교연구한 Burke et al.(1991) 은실어증과치매환자의뚜렷한특징인이름대기장애특징을비교함으로써두장애의기전이다름을밝히고자하였다. 즉, 실어증환자의이름대기장애는명명하지못하는단어가기억이나어휘사전에서지워졌다기보다이미저장되어있는어휘들의정확한음운정보가인출되지못하기때문에나타난다는것이다. 반면치매환자의이름대기장애는의미체계 (semantic system) 의손상에기인하거나, 지각영역및의미단계손상으로발생한다는점에서실어증의이름대기장애와구별하고있다. 다른연구에서도치매환자들의주요기전으로의미체계의손상을지적하였고, 음운론적이거나문법적조작과관련한언어처리영역은상대적으로잘보존되어있음을보고하고있다 (Schwartz, Martin & Saffran, 1979; Synder, Holland & Forbes, 1997). 치매환자의언어처리과정중정확한손상경로를고찰하기위해 Hodges, Salmon & Butters(1992) 는알츠하이머성치매환자를대상으로이름대기검사, 단어-그림짝맞추기, 그림분류하기등을포함해신경심리학적모델에기초한검사들 189
언어청각장애연구 을실시하였는데, 그결과알츠하이머성치매환자들이의미저장체계의손상을보인다는결론을도출하였다. 따라서두장애영역이언어이해력손상이란동일한외연적특징을가지면서도그기전에는다른언어처리과정의손상을가지고있다는기존연구를바탕으로보다정확한임상적판별기준이마련되어야하며, 치료접근법또한구분되어야할필요성이있다 (Hillert, 1999). 각장애군에대한언어이해능력에관한논의를살펴보면, 베르니케실어증환자를대상으로연구한결과음소변별능력의결함이이해장애를일으키는주요원인으로파악하는연구가있는반면 (Blumstein, Baker & Goodglass, 1977), 이러한음향-음소적처리과정능력이유지된다하더라도청각수용어휘집 (auditory input lexicon) 에서의활성화기능에장애를보여어휘판단과제수행시결함을나타낼수있다는주장 (Berndt & Mitchum, 1990) 이제기되기도한다. 치매환자의이해특징에관한연구에서, 이름대기에나타나는오류증가는이해능력퇴행에따른결과이며, 이때가장많은오류는의미관련오류로나타난다고보고하고있다 (Lombon & Howard, 2001). 이들연구자들은치매환자가보이는빈번한의미관련오류산출에대해, 이해능력퇴행으로인하여사물에대한개념적지식이와해되어가는과정으로해석하고있다. 이러한다양한선행연구에근거해, 언어이해능력손상을평가하기위한과제들을활용하여청각수용어휘집과의미체계의기능을평가함으로써두장애군을비교하는연구는유창성실어증과치매환자의언어이해특성을규명하고두장애군의판별을용이하게하는데도움을줄것으로기대된다. 이에본연구에서는언어이해능력의저하를주요결함으로하는유창성실어증환자와알츠하이머성치매환자의두그룹을대상으로, 본연구를위해고안된이해능력평가를실시함으로써장애군들의언어이해특성을고찰하고비교하는데그목적이있다. 여기에서는두장애군이모두외연적으로언어이해능력이저하되어나타난다는점을고려하여, 표준화된검사의청각이해능력점수를통제한상태에서실험이이루어졌다 (Imamura et al., 1998). 본연구에사용될실험과제인어휘판단과제와의미분류과제에대한집단별수행결과는각장애군이가지는언어처리과정결함을유추해내는데의미있는자료로활용할수있을것이다. 특히어휘판단과제는청각수용어휘집의활성화유무를추정하는데민감한과제로서, 실어증환자가보이는이해경로특징을보여줄것으로기대한다. 또의미분류과제수행결과로의미체계손상여부및의미정보활용능력을가늠할수있어, 치매환자의의미체계손상가설을검증하게될것이다. 의미분류과제의경우자연물과인공물의범주영역에따라오반응비율의차이를보인다는선행연구결과에따라자연물과인공물로구분하여과제를실시 190
유창성실어증과알츠하이머성치매환자의이해능력특성비교 하고분석하였다 (Saffran & Sholl, 1998).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연구의대상은좌뇌반구뇌졸중환자들중유창성실어증으로진단된성인환자 10 명과알츠하이머성치매 (AD) 로진단된성인환자 10명이다. 가. 유창성실어증환자의선정기준연구대상인유창성실어증환자는 2002년 9월부터 11월사이에서울및경기지역에있는종합병원에입원하고있거나외래에내원하는실어증환자들가운데선정하였다. 피험자선정기준은좌뇌반구뇌졸중환자가운데 (1) K-WAB 검사 (PARADISE Korean version Western Aphasia Battery, 김향희 나덕렬, 2001) 를실시한결과, 산출능력에비해이해능력이현저히저하되어베르니케실어증, 연결피질감각실어증으로진단된환자로제한하였다. 이는정상적인유창성을가지면서도언어내용의빈약성이두드러진전형적인유창성실어증환자를대상으로하기위해서이다. 또한 (2) 비교집단과의언어이해수행력통제를위해, K-WAB 검사의하위영역인 알아듣기 영역에서 6점이하 (10점만점 ) 를획득하여이해능력이현저히낮은환자로제한하였다. 알아듣기영역검사는환자가재원해있는병원의언어치료사또는연구자가직접실시하였다. 모든환자는 (3) 오른손잡이여야하며, (4) 발병후최소 1개월이경과한자를대상으로하였으며 (Yorkston & Beukelman, 1980), (5) 또과제를수 < 표 - 1> 유창성실어증환자정보 (N = 10) 연령 ( 세 ) 교육년수 ( 년 ) AQ AC 실어증유형성별 M SD M SD M SD M SD W TS 남 여 60.1 6.2 8.4 5.0 50.0 9.2 4.6 1.2 9 1 6 4 W : 베르니케실어증 TS : 연결피질감각실어증 191
언어청각장애연구 행하는데필요한청각및시력, 손가락의운동력이보존되고있는경우에만연구대상에포함시켰다. 유창성실어증집단의구체적인실어증유형, 평균연령과교육년수, K-WAB 검사의실어증지수 (AQ), 알아듣기점수 (AC) 및성별분포는 < 표 - 1> 과같다. 나. 알츠하이머성치매환자의선정기준알츠하이머성치매환자는 2002년 10월부터 12월사이서울및경기지역에있는대학병원및노인전문병원에입원하고있거나외래에내원하는환자, 또는노인요양시설의주간보호센터에보호중인환자들가운데선정하였다. 치매환자의선정기준은모든대상자가 (1) 신경과나신경정신과전문의가실시한 K-MMSE (Korean version of Mini Mental State Exam, 강연욱 나덕렬 한승혜, 1997) 및신경심리검사결과알츠하이머성치매로진단받은환자로, (2) K-MMSE 검사에서 19점이하를받아인지기능이중등도 (moderate) 이하인환자로제한하였다. 또한유창성실어증환자와의공식언어검사수행정도를통제시키기위해 (3) K-WAB 검사의하위영역인 알아듣기 영역에서 6점이하를획득하여청각이해력의심한저하를보이는환자여야한다. K-WAB 의알아듣기영역검사및본과제평가는연구자가직접실시하였다. 모든환자는 (4) 오른손잡이여야하며, (5) 과제를수행하는데필요한청각및시력, 손가락의운동력이보존되고있는경우에만연구대상에포함시켰다. 알츠하이머성치매집단의평균연령과교육년수, 평균 K-MMSE 점수, K-WAB 검사의알아듣기점수 (AC) 및성별분포는 < 표 - 2> 와같다. < 표 - 2> 알츠하이머성치매환자정보 (N = 10) 연령 ( 세 ) 교육년수 ( 년 ) K-MMSE AC 성별 M SD M SD M SD M SD 남여 72.9 11.2 6.5 3.9 13.7 2.8 5.2 0.7 3 7 다. 대상선정시사용한검사도구 (1) K-WAB 의알아듣기영역연구대상인유창성실어증과알츠하이머성치매환자의언어이해수준을통제하기위하여사용하였다. 본연구에서는표준화된실어증평가도구인 K-WAB 의하위영역인알아듣기 192
유창성실어증과알츠하이머성치매환자의이해능력특성비교 검사를실시하여, 그결과 K-WAB 검사도구표준화자료에서전체실어증환자의알아듣기평균점수인 6/10점이하로통제함으로써피험자의이해력저하기준으로삼았다 ( 김향희 나덕렬, 2001). (2) K-MMSE 알츠하이머성치매환자의인지기능저하를명확하게확인하고통제하기위하여사용하였다. K-MMSE는치매환자를위한간이정신상태검사로임상적으로널리사용되고있는도구이다. 본연구에서는임상적으로 중등도 (moderate) 이상의판별기준인 19/30점이하점수를사용하여, 인지능력저하가뚜렷한치매환자만을대상으로하였다 ( 강연욱 나덕렬 한승혜, 1997). 2. 실험과제 언어이해력이저하된두집단의언어장애특성을비교하기위하여어휘판단과제와의미분류과제를실시하였다. 즉, 청각수용어휘집의정상적기능을보여주는것으로알려진어휘판단과제를실시하였으며, 어휘처리이후단계로서의미체계의기능을보여주는어휘분류과제를사용해두장애군간수행능력및오류유형의차이가있는지를알아보았다. 가. 어휘판단과제본과제는청각적으로제시된자극에대해단어인지, 비단어인지를결정해 예 와 아니오 에해당되는컴퓨터자판을누르는것으로수행된다. 과제에사용된단어는 현대한국어의어휘빈도 ( 상 ), ( 하 ) ( 서상규, 1998) 에서빈도 ( 고빈도 / 저빈도 ), 음절 (2음절 /3음절), 고유 / 한자어요인을고려하여 40개의단어를선정하였다. 고빈도어휘의경우빈도수 1000을넘는어휘로, 저빈도어휘의경우빈도수 50을넘지않은어휘로한정하였다. 또한각빈도어휘에대해 2음절어및 3음절어가 20개씩해당하도록조절하였으며, 고유어와한자어도 20개씩들어갈수있도록선정하였다. 비단어는미리선정된단어의음소수및음절수에맞추어 40개를제작하였다. 단어자극과균형을맞춘비단어자극들을만들었으며, 한국어에서사용되지않는음절의결합은사용하지않았다. 고유어 / 한자어구분과단어 / 비단어구분은금성출판사의콘사이스국어사전을기준으로선정하였다. 선정된어휘목록은 < 부록 - 1> 에수록하였다. 193
언어청각장애연구 위와같은방법으로선정된단어및비단어의총 80개항목을여자성우가자연스러운목소리로녹음하고, 이를청각적이해평가프로그램을통해들려주고, 한국어어휘에속하는단어인지아닌지를판단하여해당되는컴퓨터자판을누르게하였다. 해당자판에는피험자의기술적인실수를최소화하기위해미리단어와비단어반응키에 O, X표시를해두었다. 나. 의미분류과제본과제는제시된 3개의사물그림카드에서, 동일한종류의 2개카드를선택함으로써수행되었다. 과제에사용된사물목록은성현란 (1986) 의범주판단기준에기초해, 자연물과인공물로나누어총 13개하위범주를선정하여구성하였다. 이들자연물 ( 과일, 채소, 네발짐승, 새, 신체부위, 총 5개의하위범주 ) 과인공물 ( 음식, 교통수단, 부엌용품, 옷, 악기, 무기, 연장, 가구, 총 8개의하위범주 ) 중그림으로구체화가가능한자극으로서각각하위범주를공유하는 13개쌍 ( 자연물 ), 17개쌍 ( 인공물 ) 의어휘목록으로총 30쌍의목표어휘목록을작성하였다. 30쌍의목표자극에대한방해자극은각 1개로구성하였는데, 동일하위범주이외의어휘중에서선정하는방식을취하였다. 분류과제에사용된어휘목록은 < 부록 - 2> 에제시하였다. 검사에사용된그림은디지털단어카드 CD 1.0 ( 재활공학연구소, 2001) 에수록된그림을흑백으로출력한뒤, 각각 3" 5" 크기의카드로제작, 사용하였다. 최초에선정한어휘목록에대한그림의타당도를확보하기위해정상성인 5인을대상으로그림명칭쓰기및분류하기방식의타당도검사를실시하고, 여기에서 100 % 정반응을보인그림만을자극카드로사용하였다. 3. 연구절차 가. 검사방법검사는사전검사를끝낸후, 본실험을실시하였다. 과제제시순서는어휘판단과제, 의미분류과제순으로하였고, 가능한모든사전검사와본검사를같은날시행하였다. 검사는조용한방에서이루어지도록하였으며, 청각자극이충분히크게들릴수있도록하였다. 194
유창성실어증과알츠하이머성치매환자의이해능력특성비교 (1) 어휘판단과제어휘판단과제를제시하기에앞서, 검사자는피험자에게 컴퓨터스피커에서나오는소리를잘들으셔야합니다. 이중에는단어인것도있고단어가아닌것도있습니다. 한국어어휘에속하는단어이면 O( 키 ) 표를누르고, 한국어어휘가아니면 X( 키 ) 표를누르세요. 라고지시하여각문항에대해해당되는컴퓨터자판을누르게하였다. 본실험에들어가기전, 2개의연습문항 ( 엄마 단어, 보성따리 비단어 ) 을반복실시하여피험자가과제를이해하고판단할수있다는확신이들었을때본과제를제시하였다. 피험자가한문항에대해반응을한뒤다음문항으로넘어갈때는검사자가 다음 키를눌러실행하였고, 문항반응과다음문항제시사이의간격은약 1초정도로균등하게유지하려고노력하였다. 80개의문항에대한반응입력이끝남과동시에내장된컴퓨터프로그램이자동적으로각개인에대한정반응과오반응수를계산하여기록을저장하였다. (2) 의미분류과제의미분류과제는전형성에따라선정된같은종류의그림 2개와방해자극 1개의그림등 3개의그림을함께제시하고피험자가검사자의지시에따라그림을고르게하였다. 검사자는자극카드를제시하기전피험자에게, 3개의카드가운데같은종류의그림 2개를고르세요. 라고지시하였다. 본실험에들어가기전, 1회분의연습카드 3장 ( 고양이 염소 나팔 ) 을제시하여피험자가과제를이해하고판단할수있다는확신이들었을때본실험에사용되는카드를제시하였다. 피험자의반응후, 검사자는정반응과오반응유무를기록지에기입하였다. 나. 자료분석연구대상자의자료를수집한후집단별, 과제별로정반응수를비교분석하였다. 각과제마다, 피험자가획득한정반응수를제시하고각집단별로평균과표준편차를비교하였다. 또한과제별오류유형분석을위해, 어휘판단과제의경우전체오답수에서단어, 비단어의오답이차지하는비율을제시하고집단별로비교하였다. 의미분류과제의경우, 전체오답수에서어휘목록의하위범주인자연물과인공물어휘의오답이각각차지하는비중을제시하고집단별로비교하였다. 195
언어청각장애연구 4. 자료의통계적처리 연구대상인두집단간어휘판단과제과의미분류과제의수행력에유의한차이를보이는지알아보기위해과제별정반응수에대해 t 검정을실시하여집단별로비교, 분석하였다. 또두집단의오류유형비교분석을위해, 제시된문항가운데각각의하위영역 ( 단어 / 비단어, 자연물 / 인공물 ) 에나타난오반응비율을기술통계및 t 검정을통해비교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유창성실어증과알츠하이머성치매환자의이해능력비교 가. 어휘판단과제정반응수비교유창성실어증과알츠하이머성치매환자집단간어휘판단과제수행에서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있는지알아보기위하여두독립표본 t 검정을실시하였다. 기술통계결과, 유창성실어증집단은평균 54.1(SD = 7.3) 점이었고, 알츠하이머성치매집단은평균 54.8 (SD = 5.7) 점을획득하여유창성실어증집단의평균이높게나타났다. 또이러한두집단의어휘판단과제점수차이가유의미한지를알아보기위하여독립표본 t 검정을실시한결과통계적으로유의하지않았다. 두집단의기술통계결과와 t 검정결과는 < 표 - 3> 에제시하였다. < 표 - 3> 어휘판단과제정반응수에대한기술통계및 t 검정결과 집단 N 어휘판단과제의정반응수 평균표준편차 t 유창성실어증알츠하이머성치매 10 10 54.1 54.8 7.3 5.7 -.239 나. 의미분류과제정반응수비교 유창성실어증과알츠하이머성치매환자집단간의미분류능력에차이가있는지를알아보기위하여의미분류과제의정반응수에대한두독립표본 t 검정을실시하였다. 기술통계에 196
유창성실어증과알츠하이머성치매환자의이해능력특성비교 서유창성실어증집단은평균 26.9 (SD = 3.4) 점을획득하였고, 알츠하이머성치매집단은평균 15.6 (SD = 4.9) 점으로유창성실어증집단보다낮게나타났다. 또두집단간의미분류과제수행의점수차이가유의미한지를알아보기위하여독립표본 t 검정을실시한결과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t =6.39, p <.001). 두집단의기술통계결과와 t 검정결과는 < 표 - 4> 에제시하였다. < 표 - 4> 의미분류과제정반응수에대한기술통계및 t 검정결과 집단유창성실어증알츠하이머성치매 ***p <.001 N 10 10 의미분류과제의정반응수 평균 표준편차 t 26.9 3.4 15.6 4.5 6.39*** 즉, 유창성실어증환자와알츠하이머성치매환자를대상으로어휘판단과제와의미분류과제를실시한결과, 어휘판단과제에서는두장애군간유의한차이가나타나지않았으며, 반면의미분류과제에서는수행력에있어확연한차이를보여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나타났다 (< 그림 - 1> 참조 ). 정반응수 60 50 40 유창성실어증 알츠하이머성치매 30 20 10 0 어휘판단과제 의미분류과제 < 그림 - 1> 집단간어휘판단과제와의미분류과제의수행력비교 197
언어청각장애연구 2. 언어이해평가에서의집단간오류유형비교 가. 어휘판단과제에나타난오류유형어휘판단과제수행에서, 유창성실어증집단과알츠하이머성치매집단이보인오류유형에차이가있는지알아보기위하여검사목록의하위영역인단어 (40) 및비단어 (40) 문항에서의각각오류율을비교하였다. 즉, 단어로이루어진 40개문항에서의오반응비율과, 비단어로이루어진 40문항에서의오반응비율에대해집단간독립표본 t 검정을실시하였다. 그결과단어문항에서유창성실어증집단의오류율은 32.8 % (SD = 7.7) 였고, 알츠하이머성치매집단의오류율은 29.8 % (SD = 10.4) 로나타났다. 또비단어문항에서유창성실어증집단의오류율은 32.0 % (SD = 14.6) 이고, 알츠하이머성치매집단의오류율은 33.3 % (SD = 21.0) 로나타나, 단어문항에서보다두집단간차이가적었다. 이러한각하위영역에대한오류율의집단간차이가통계적으로유의한지알아보기위하여, 집단간독립표본 t 검정을실시한결과단어및비단어에대한오류율의집단간차이는통계적으로유의하지않았다. 문항영역별오류율의기술통계및 t 검정결과는 < 표 - 5> 에제시하였다. < 표 - 5> 단어및비단어하위영역별오류율에대한 t 검정결과 구분집단오류율표준편차 t 단어 유창성실어증알츠하이머성치매 32.8 % 29.8 % 7.7 10.4.735 비단어 유창성실어증알츠하이머성치매 32.0 % 33.3 % 14.6 21.0 -.154 나. 의미분류과제에나타난오류유형의미분류과제수행에서, 유창성실어증과알츠하이머성치매집단이보인오류유형에차이가있는지알아보기위하여어휘목록의하위영역인자연물및인공물문항에서의각각오류율을비교하였다. 즉, 자연물어휘로이루어진 13개문항에서의오반응비율과, 인공물어휘로이루어진 17개문항에서의오반응비율에대해집단간독립표본 t 검정을실시하였다. 그결과자연물어휘로구성된 13개문항에서유창성실어증집단의오류율은 3.8 % (SD = 8.3) 였고, 알츠하이머성치매집단의오류율은 35.4 % (SD = 18.9) 로나타났다. 또인공물어휘문항에서유창성실어증집단의오류율은 15.3 % (SD = 14.7) 이고, 알츠하이머성치매집단의 198
유창성실어증과알츠하이머성치매환자의이해능력특성비교 오류율은 57.6 % (SD = 12.9) 로나타났다. 이러한각하위영역에대한오류율의집단간차이가통계적으로유의한지알아보기위하여, 집단간독립표본 t 검정을실시한결과자연물어휘에대한오류율의집단간차이는통계적으로유의하였다 (t = -4.828, p <.001). 또한인공물어휘에대한오류율의집단간차이도통계적으로유의하였다 (t = -6.831, p <.001). 하위영역별오류율의기술통계및 t 검정결과는 < 표 - 6> 에제시하였고, 문항영역별오류율의집단간비교는 < 그림 - 2> 에제시하였다. 요컨대의미분류과제의수행력에서집단간유의미한차이가났을뿐만아니라, 제시문항의하위영역별수행또한자연물, 인공물모두집단간유의미한차이가나타났다. 이는유창성실어증과알츠하이머성치매집단이어휘유형에상관없이수행력의차이를보인결과이다. < 표 - 6> 자연물및인공물의하위영역별오류율에대한 t 검정결과 구분집단오류율표준편차 t 자연물 유창성실어증알츠하이머성치매 3.8 % 35.4 % 8.3 18.9-4.828*** 인공물 유창성실어증알츠하이머성치매 15.3 % 57.6 % 14.7 12.9-6.831*** ***p <.001 유창성실어증 60 알츠하이머성치매 50 40 오류율 (%) 30 20 10 0 자연물 인공물 < 그림 - 2> 자연물및인공물의하위영역별오류율비교 199
언어청각장애연구 Ⅳ. 결론및논의 본연구에서는유창성실어증과알츠하이머성치매환자를대상으로어휘판단능력및어휘분류능력을비교하고오류유형특징을살펴보았다. 본연구를통해얻은결과는다음과같다. 첫째, 어휘판단능력에있어유창성실어증과알츠하이머성치매집단간유의한차이는없었다. 둘째, 의미분류능력에서유창성실어증과알츠하이머성치매집단은유의한차이가있었다. 분류능력을평가하는의미분류과제에서, 치매환자군은실어증환자군보다유의하게낮은수행력을보였다. 셋째, 위두과제를실시함으로써, 유창성실어증군과알츠하이머성치매군을효과적으로변별할수있는과제는의미분류과제인것으로나타났다. 넷째, 어휘판단과제의제시문항종류에따른오류율은두집단간유의한차이가나지않았다. 다섯째, 의미분류과제의하위유형분석에서집단간유의한차이가나타났다. 각하위영역별오류율에서인공물, 자연물모두알츠하이머성치매환자가높은오류율을보였다. 또한두집단모두인공물어휘의오류율이높았으며, 특히실어증집단의경우대부분의오류가인공물어휘에서나타났다. 본절에서는이와같은결과를선행연구결과와비교하여논의하고자한다. 1. 두집단의어휘판단능력및의미분류능력비교 심성어휘집으로의접근여부및어휘목록의활성화정도를비교하기위해사용된어휘판단과제에서두집단간유의한차이가나타나지않은결과는, 어휘-의미체계로의접근및어휘활성화과정에유사한손상기전이존재하는것으로추정할수있다. 이는 Huff et al.(1988) 의연구에서실어증과치매환자의동일한특징으로제기하였던어휘-의미체계로의접근과정손상가설과맥을함께하고있다. 또한 Ellis & Young(1996) 모델을기초로실어증과치매환자의뚜렷한차이를주장한다양한연구에서도, 두장애군이심성어휘집으로의접근및어휘활성화과정의손상을공유한다는가설에동의하고있다 (Burke et al., 1991; Hillert, 1999; Huff, Corkin & Growdon, 1986). 이를지지하는근거는어휘처리이후단계 (post-lexical processing) 에해당하는의미체계및의미정보의상실로치매의기전을규정하는대부분의연구에서, 어휘처리단계 (lexical processing) 에해당하는심성어휘집의접근및활성화과정의기능손상은당연히전제되어있기때문이다. 반면두집단의의미체계기능여부를알아보기위한의미분류과제에서알츠하이머성치매환자가유창성실어증환자보다현저히낮은수행력을보였는데, 이는치매환자의언어 200
유창성실어증과알츠하이머성치매환자의이해능력특성비교 처리손상영역으로지적되어온어휘-의미정보의상실또는의미관계처리결함으로보는연구자들의가설과일치하는결과이다 (Gonnerman et al., 1997; Grossman et al., 1996, Hodges, Salmon & Butters, 1992; Murdoch et al., 1987). 따라서두장애군에대해어휘판단능력과의미분류능력을고찰한본연구결과를통해, 실어증은심성어휘집으로의접근과정과어휘정보를활성화하는기능에주요기전이있는반면, 치매환자는어휘-의미체계의손상및의미정보까지상실된다는선행연구를지지할수있다. 이와같이치매환자의이해처리손상과관련한논의에서어휘-의미체계의손상이란가설에이의를제기하는주장은거의없다. 그러나실어증환자특히유창성실어증환자를대상으로한의미체계기능과관련한연구에서, 다양한의미분류과제수행시비유창성실어증군이나정상통제집단에비해상당한오류가나타나의미관계를찾아내는데결함이있으며, 이는어휘-의미정보손상의결과라는논의가다양하게등장하였다 (Grober et al., 1980; McCleary, 1988). 이러한주장과본연구의결과를비교해볼때, 선행연구들의목적이실어증의하위분류인유창성실어증과비유창성실어증환자, 또는정상통제집단의차별성을논의하기위한목적이라면, 본연구는유창성실어증과알츠하이머성치매환자의차별성을논의하기위한목적에서비롯되었다는점을주지해야한다. 즉, 유창성실어증군이보다고도의분류기술을요구하는분류과제에서상대적으로낮은수행력을보였고, 그것이의미체계손상을보여주는척도라해도, 실어증군내하위분류간의미미한차이를보여주는결과로해석할수있다. 이런점에서유창성실어증환자의의미체계손상을지적하는연구자들또한유창성실어증환자들이분류과제의수행에서적절한전략을사용하고있다는점을언급함으로써, 같은분류과제라하더라도제시된수행과제의종류나난이도에따라수행력이달라질가능성을열어두고있는것이다. 2. 어휘판단과제와의미분류과제에나타난두집단의오류유형비교 어휘판단과제의목록을구성하는단어및비단어에대한오반응을분석한결과, 단어나비단어모두유창성실어증과알츠하이머성치매환자간유의한차이가없었다. 이러한결과는어휘판단과제에서유사한수행력을보였던두집단이오류유형또한동일한양상을띄고있음을나타낸다. 또각장애군내에서단어에서의오반응과비단어에대한오반응이차지하는비율또한유사하게나타남으로써단어, 비단어에따른수행력의차이가발생하지않았다. 이는이규정 (2002) 의알츠하이머성치매환자를대상으로한연구에서비단어에대한오반응비율이단어에대한오반응비율보다훨씬높게나타난결과와는차이를보인다. 그 201
언어청각장애연구 이유는치매환자의중증도에따른문제일것으로추정할수있다. 이규정 (2002) 의연구에서는치매의중증도를 CDR (Clinical Dementia Ratings) Scale (Hughes et al., 1982) 에근거해치매의심 (questionable) 군부터중등도 (moderate) 치매군까지를대상으로삼은반면, 본연구에서는 K-MMSE 기준으로중등도이상의확실한치매집단만을대상으로삼아단어나비단어모두에대해비교적오반응비율이높은결과를나타냈기때문이다. 따라서선행연구의결과에서도밝혔듯이, 경도치매에서중등도치매로진행될때어휘판단과제에서의수행력이확연히떨어지는모습과함께단어에대한오류율이상대적으로더욱높아져, 종국에는단어나비단어모두높은오류율을보이는양상또한치매의한특징으로이해할수있을것이다. 두집단간유의한수행력차이를보인의미분류과제에서는오류유형또한유의한차이를나타내었다. 자연물어휘와인공물어휘모두에서집단간오류율차이가유의하였다. 또실어증집단이나알츠하이머성치매집단모두인공물어휘의오반응비율이높았으며, 특히실어증집단은대부분의오류가인공물어휘에서나타났다. 이와관련해 Saffran & Sholl(1998) 은범주특정적 (category-specific) 의미결함을설명하면서, 자연물과인공물등의범주영역은의미를나타내는구별된범주로이루어져있다고가정하고, 인공물이자연물에비해우선적으로활성화된다고설명하였다. 이연구자들의주장에의하면각피험자가보인오류는범주별로일관성이있어야하며, 동시에자연물어휘에서의오반응비율이더욱높게나타나야하지만본연구는상반된결과를보였다. 이러한설명보다는오히려 Gainotti & Silveri(1996) 가제기한범주특정적결함과병소유형간의관련성주장에서타당성을찾을수있다. 즉, 자연물과인공물각범주에관련한의미체계의기능은그의미체계를담당하는병소의손상여부가영향을끼친다는것이다. 이렇게볼때대뇌반구전반의다양한병소를가지는알츠하이머성치매와주로국지적인병변을가지는유창성실어증환자의차이가오류유형에영향을끼치는것으로추정할수있다. 그러나이또한정상적인범주처리과정에대한이론으로오류유형의차이를추정한것일뿐, 신경생리학적검사를통한객관적인예측이아니므로단정짓기에는무리가따른다. 또하나의가설로서자연물의경우감각적정보의비중이크고, 인공물의경우기능적정보가우세하다는전제하에서두장애군의오류특징을논의할수있다 (Saffran & Sholl, 1998). 즉, 인공물어휘는기능적정보의우세를점한상태에서감각정보의비중이큰자연물어휘보다더욱빨리기능적정보및기능에관한지식을잃을수있다는것이다. 따라서의미체계의손상이경미하거나없는실어증환자의경우기능적정보에국한한영향으로주로인공물어휘의오류율이높고상대적으로자연물어휘의오류율은상당히낮았던반면, 의미체계의손상이분명한치매환자의경우기능적정보는물론감각정보까지상실함으로 202
유창성실어증과알츠하이머성치매환자의이해능력특성비교 써두오류유형간의차이가감소한결과를보였다고추측해볼수있다. 이상임상적으로유사한이해특징을공유하는유창성실어증과알츠하이머성치매환자를대상으로어휘판단능력및의미분류능력을고찰한결과는각장애군이가지는언어이해처리과정의손상단계를추정하고장애군의특징을파악하는데중요한역할을할것으로기대한다. 동시에두장애군을임상적으로판별할수있는기준을확립하고과제를선정하는데유용하게활용될수있을것으로본다. 참고문헌 강연욱 나덕렬 한승혜 (1997). 치매환자들을대상으로한 K-MMSE 타당도연구. 대한신경과학회지, 15(2), 300-308. 김향희 나덕렬 (2001). 파라다이스 한국판-웨스턴실어증검사. 서울 : 파라다이스복지재단. 서상규 (1998). 현대한국어의어휘빈도 ( 상 ), ( 하 ). 서울 : 연세대학교언어정보개발연구원. 성현란 (1986). 자연언어범주의전형성판단의발달적변화.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연구논문집, 32, 197-212. 이규정 (2002). 알쯔하이머성치매환자의이름대기장애에관한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재활공학연구소 (2001). 디지털단어카드 CD 1.0. 대구 : 재활공학연구소 FORT. Berndt, R. & Mitchum, C.(1990). Auditory and lexical information sources in immediate recall: Evidence from a patient with a deficit to the phonological short-term store. In G. Vallar & T. Shallice (Eds.), Neuropsychologia impairment of short-term memor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Blumstein, S., Baker, E. & Goodglass, H.(1977). Phonological factors in auditory comprehension in aphasia. Neuropsychologia, 15, 19-30. Burke, D., Mackay, G., Worthley, J. & Wade, E.(1991). On the tip of tongue: What causes word finding failures in young and older adults?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30, 542-579. Ellis, A. & Young, A.(1996). Human cognitive neuropsychology. East Susssex, B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Ltd. Gainotti, G. & Silveri, M.(1996). Cognitive and anatomical locus of lesion in a patient with a category-specific semantic impairment for living beings. Cognitive Neuropsychology, 13, 357-390. Gonnerman, L., Andersen, E., Devlin, J., Kempler, D. & Seidenberg, M.(1997). Double dissociation of semantic categories in Alzheimer s disease, Brain and Language, 57, 254-279. Goodglass, H. & Kaplan, E.(1983). Boston diagnostic examination for aphasia. Philadelphia: Lea & 203
언어청각장애연구 Febiger. Grober, E., Perecman, E., Kellar, L. & Brown, J.(1980). Lexical knowledge in anterior and posterior aphasics. Brain and Language, 10, 318-330. Grossman, M., Mickanin, F., Robinson, K. & D Esposito, M.(1996). Anomaly judgement of subjectpredicate relations in Alzheimer s disease. Brain and Language, 54, 216-232. Hillert, D.(1999). On processing lexical meanings in aphasia and Alzheimer s disease: Some consideration. Brain and Language, 69, 95-118. Hodges, J., Salmon, D. & Butters, N.(1992). Semantic memory impairment in Alzheimer s disease: Failure of access of degraded knowledge? Neuropsychologia, 30(4), 301-314. Huff, J., Corkin, S. & Growdon, J.(1986). Semantic impairment and anomia in Alzheimer s disease. Brain and Language, 28, 235-249. Huff, J., Mack, L., Mahlmann, J. & Greenberg, S.(1988). A comparison of lexical-semantic impairment in left hemisphere stroke and Alzheimer s disease. Brain and Language, 34, 262-278. Hughes, C., Burg, L., Danziger, W., Coben, L. & Martin, R.(1982). A new clinical scale for the staging of dementia.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40, 566. Imamura, T., Takatsuki, T., Fujimori, M., Hirono, N., Ikejiri, T., Shimomura, T., Hashimoto, M., Yamashita, H. & Mori, E.(1998). Age at onset and language disturbance in Alzheimer's disease. Neuropsychologia, 36(9), 945-949. Lombon, R. M. & Howard, D.(2001). Gogi aphasia or semantic dementia? Simulating and assessing poor verbal comprehension in a case of progressive fluent aphasia. Cognitive Neuropsychology, 17(5), 437-465. Mathews, P., Obler, L. & Albert, M.(1994). Wernicke and Alzheimer on the language disturbances of dementia and aphasia. Brain and Language, 46, 439-462. McCleary, C.(1988). The semantic organization and classification of fourteen words by aphasic patients. Brain and Language, 34, 183-202. Murdoch, B., Chenery, H., Wilks, V. & Boyle, R.(1987). Language disorders in dementia of the Alzheimer Type. Brain and Language, 31, 122-137. Saffran, E. & Sholl, A.(1998). Clues to the functional and neural architecture of word meaning. In C. B. Brown & P. Hagoort (Eds.), The neurocognition of languag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Schwartz, E., Martin, O. & Saffran, E.(1979). Dissociation of language function in dementia. Brain and Language, 7, 277-306. Synder, L., Holland, A. & Forbes, M.(1997). Lexical decision in patients with Alzheimer s disease: Some notes on automatic versus controlled processing.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 70-98. Yorkston, K. & Beukelman, K.(1980). An analysis of connected speech samples of aphasic and normal speaker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45, 27-36. 204
유창성실어증과알츠하이머성치매환자의이해능력특성비교 < 부록 - 1> 어휘판단과제의어휘목록 연습문항 - 단어 : 엄마, 비단어 : 보성따리 구분단어비단어구분단어비단어 추위 초외 티눈 고낙 안개 언노 우엉 맷길 열쇠 열귀 맷돌 오엄 뿌리 또기 흙손 눅선 나비 기시 깻잎 땅옥 취미 퇴미 모공 소넝 계절 내징 축배 숙타 안경 언갱 위독 외먹 시계 누재 묘기 무바 고빈도어휘 기차골짜기 가추눅사대 저빈도어휘 검도싸라기 금노빠노리 가운데 바올기 고갱이 거송애 잠자리 동미지 화수분 회누먹 강아지 강소기 사랑니 수겅지 주머니 고머도 엿기름 연개맹 공무원 멍수적 비수기 미누도 호기심 채소곰 고냉지 도풍내 자동차 바동치 수화물 고회줄 비행기 도건주 보청기 모철비 화장실 회낭짐 은장도 울종거 205
언어청각장애연구 < 부록 - 2> 의미분류과제의어휘목록 연습문항 - 고양이, 염소, 나팔인공물자연물범주명단어쌍범주명단어쌍 가구 옷장책상 식탁의자 네발짐승 사자말개 호랑이돼지코끼리 부엌용품 냄비숟가락 칼젓가락 채소 시금치배추가지 양파무당근 악기 가야금바이올린 장구피리 새 독수리참새 비둘기부엉이 연장 도끼망치 대패톱 과일 수박사과귤 딸기바나나파인애플 의류 조끼치마 양말바지 신체부위 얼굴발 가슴손 무기탱크권총 교통수단 버스비행기택시 기차오토바이배 음식 밥자장면김밥 김치빵라면 206
유창성실어증과알츠하이머성치매환자의이해능력특성비교 ABSTRACT A Comparison on Language Processing Characteristics in Fluent Aphasics and Dementia of Alzheimer Type Eun Jeong Kim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The Graduate School, Ewha Womans University) Hyun Sub Sim (Dept. of Special Education &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Ewha Womans University) Mi Seon Kwon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The Graduate School, Ewha Woma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language processing between the patients with fluent aphasics and with dementia of Alzheimer Type (AD). Ten fluent aphasics (9 Wernicke's and 1 transcortical sensory type) who were admin- istered K-WAB and ten AD who were administered K-MMS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participating patients were selected by the auditory comprehension subtest scales of K-WAB. The tasks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lexical decision task (LDT) presented auditorily and the semantic categorization task presented with pictures. The number of correct responses and error ratios on the subtypes of words were elici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test.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Both groups didn'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s of correct responses of LDT, but the correct response performance of AD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fluent aphasics in semantic categorization task. (2) The analysis of error types on the two tasks indicates that the error ratios on artifact words of both groups was higher than the ratios on the words of living things and that the distinctively aphasic group showed wider gap between the error ratio on the words of living things and the ratio on artifact words than that of AD group.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study, which insisted that aphasics have an important pathology in accessing mental lexicon and in activating semantic information, but that, on the other hand, they preserve the function of semantic system, and that AD 207
언어청각장애연구 group suffers from the loss of semantic system and semantic information. The present study seems to shed some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of language processing disorders an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SLP to clinically identify the patient's pathology. Key Words: fluent aphasics, dementia of the Alzheimer type, characteristics of language processing, lexical decision task(ldt), semantic categorization task 게재신청일 : 2003 년 9 월 28 일 게재확정일 : 2003 년 11 월 17 일 김은정 ( 교신저자 ): 이화여자대학교언어병리학협동과정, e-mail: bsaunt@hanmail.net 심현섭 ( 공동저자 ): 이화여자대학교특수교육학과 언어병리학협동과정교수, e-mail: simhs@ewha.ac.kr 권미선 ( 공동저자 ): 이화여자대학교언어병리학협동과정박사과정, e-mail: clerak@yahoo.co.kr 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