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용한국판보스톤이름대기검사의검사방법타당성연구 1) 김향희 ( 연세대학교대학원언어병리학협동과정 의과대학재활의학교실 ) 김향희. 아동용한국판보스톤이름대기검사의검사방법타당성연구. 언어청각장애연구, 2007, 제 12 권, 제 2 호, 125-138. 배경및목적 : 한국판보스톤이름대기검사 (K-BNT) 를아동에게적용함에있어서검사방법을변경하여 60 개전체문항대신일부문항만을실시하더라도 60 개전체를검사하는것과같은효과를발휘하는대체검사방법을고안하는데연구목적을두었다. 방법 : 3 세부터 14 세에걸친 6 개월단위의 24 개연령군총 2,560 명의아동을대상으로실시된 K-BNT 의결과를다음의세가지검사방법에준하여비교 분석하였다. 첫째방법에서는전체 60 개문항검사실시에대해총점을산출하였다. 둘째방법에서는, 1 번문항부터시작하여연속 6 개오반응이관찰되는최고한계 (ceiling) 지점까지의정반응수를산출하였다. 셋째방법에서는, 연령별시작문항이주어지고, 8 개연속정반응이관찰될때의기초선 (baseline) 과연속 6 개오반응의최고한계를동시에적용하여점수를산출하였다. 결과 : 세가지방법간에 24 개연령군별총점에서는유의한차이가관찰되지않았다. 그러나, 검사문항수에있어서는 60 개전체문항을실시하는방법, 최고한계만을적용하는방법, 그리고기초선과최고한계를동시에적용하는방법순으로문항수가적어도무방한것으로관찰되었다 (p <.001). 다시말해서, 최고한계를적용하는방법에서 60 개문항대신전체연령군평균적으로 60 개문항의 82% 인 49 개의문항을, 그리고기초선및최고한계를동시에적용하는검사방법에서는 60 개문항의 55% 인 33 개의문항만을실시하면되는것으로나타났다. 논의및결론 : K-BNT 의검사방법은대상군에따라달리적용될수있다. 총점에는유의한영향을주지않으면서, 기초선및최고한계를동시에적용하는방법을적용하는것이검사효율성면에서가장좋은방법임이밝혀졌다. 핵심어 : 보스톤이름대기검사, 아동용, 규준, 한국어, 검사문항, 기초선, 최고한계 Ⅰ. 서론 보스톤이름대기검사 (Boston Naming Test: BNT, 이하 BNT) 는대면이름대기검사 (confrontation naming test) 로서피검자에게 60개의사물이흑백으로그려진그림을보여주고그림의이름을말하게 1) 이논문은 2004 년도한국학술진흥재단의지원을받아연구되었음 (KRF-003-B00240). 게재신청일 : 2007년 4월 8일 ; 최종수정일 : 2007년 5월 5일 ; 게재확정일 : 2007년 5월 8일 교신저자 : 김향희, 연세대학교대학원언어병리학협동과정교수, 서울특별시서대문구신촌동 134번지연세의료원재활병원내, e-mail: h.kim@yonsei.ac.kr, tel.: 02-2228-3900 c 2007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http://www.kasa1986.or.kr 125
언어청각장애연구 2007;12;125-138 함으로써직접적으로는그림에대응하는 단어인출력 을, 그리고간접적으로는그림에대한 시지각적인지력 등을평가할수있는검사도구이다. 1983년에 Kaplan, Goodglass & Weintraub 에의하여개발된이래, 지난 20여년동안 BNT는언어임상뿐만아니라신경심리임상현장에서중요한검사절차로포함되어왔다. 이에따라, 검사결과의해석에필수적인정상규준자료 (normative data) 가많은나라의연구자들에의하여조사되었다. 정상아동들을대상으로실시된 BNT 규준연구자료는북미권영어 (Cohen, Town & Buff, 1988; Guilford & Nawojczyk, 1988; Halperin et al., 1989; Kaplan, Goodglass & Weinbraub, 1983; Kirk, 1992), 호주영어 (Cormack & Worrall, 1994), 네덜란드어 (Storms, Saerens & De Deyn, 2004), 이태리어 (Riva, Nichelli & Devoti, 2000) 등의여러언어에서발표되었다. BNT를우리나라사람들에게적용하기위한표준화작업은 15세이상연령의 600명정상인들을대상으로진행되어규준자료 (Kim & Na, 1999) 및검사도구 ( 김향희 나덕렬, 1997) 가 한국판 -보스톤이름대기검사 (Korean version-boston Naming Test: K-BNT, 이하 K-BNT) 로소개된바있다. 대면이름대기검사를자체적으로개발하지않고, 영어판을한국판으로표준화한이유는우리나라환자들을대상으로쓰여진임상자료및연구논문들이범세계적으로언어치료전문가나신경심리전문가들에의하여익숙하게해석되게하기위한목적이었다. 지금까지 K-BNT를검사도구로사용하여연구되었거나 K-BNT 가인용된논문편수는국내외에서약 50여편정도가된다. 원래 15세이상의연령층에게사용가능하도록제작된 K-BNT 는임상현장에서아동들에게도활발하게실시되고있으나, 아동규준이없어그결과해석에어려움을겪고있는실정이다. 이러한아동규준의절실한필요성에부응하여, 통계청에서유년기에속하는것으로간주되는 0세부터 14세연령층중에서 3세부터 14세까지의열두연령층에속하는총 2,560명의정상아동들을대상으로 K-BNT검사를실시하여, 각연령층의이름대기수행력에따른규준자료를획득하였다 (Kim & Na, in press). 아동용 K-BNT 검사는예전의 K-BNT와같은 60개문항으로구성되었으나, 각문항에대한아동의정반응률, 즉문항난이도 (item difficulty) 에따라그 60개문항들의배열순서가대폭수정되었다. 한편, 아동을대상으로실시되는실제검사상황에서 60개의전체문항을모두실시하는것에무리가따르는데그이유로는첫째, 60개전체문항을실시하는데소요되는시간동안아동이집중적으로검사에임하기가어렵다는점이다. 둘째, 장애아동의경우에는정상아동에비해서도이름대기능력이현저하게저하될수있는상황에서어려운문항들을진행하면서연속적인오반응에따른좌절감으로검사진행이어려울수있기때문이다. 이에따라, 아동용 K-BNT 의검사방법을변경하여 60개전체문항대신일부문항만을실시하더라도 60문항전체를검사하는것과같은효과를발휘하는대체검사방법이요구된다. 비록, 60문항의 K-BNT 대신문항수를축소한 ( 예 : 15문항 ) 단축형에대한규준이발표된바있으나 ( 강연욱 김향희 나덕렬, 2000; 박은희, 1998), 총점 60점 에대한정반응수를검사결과로기록하는방법을사용하지는않으므로해석상의주의를요한다. 한편, 연속 6개오반응의최고한계 (ceiling) 검사방법은원 ( 原 ) BNT 검사방법으로흔히사용되나, 미국메이요클리닉 (Mayo Clinic) 의한신경심리학연구팀은많은임상현장에서타당성이입증되지않은채이방법이사용되고있다고보고한바있다 126
김향희 / 아동용한국판보스톤이름대기검사의검사방법타당성연구 (Ferman, Ivnik & Lucas, 1988). 더욱이, 몇몇검사자들은음소단서후의정답을정반응으로간주하여연속 6개오반응군에는포함하지않는해석을내리기도한다고도하였다. 본연구의목적은 3세부터 14세에걸친 6개월단위의 24개연령군에해당하는총 2,560명의아동들을대상으로실시된 K-BNT의결과를다음의세가지검사방법에준하여비교분석하여, 좀더효율적인검사방법으로대체할수있는방안을모색하는데두었다. 첫째방법에서는전체 60개문항검사실시에대해총점을산출하였다. 둘째방법에서는, 1번문항부터시작하여연속 6개오반응이관찰되는최고한계 (ceiling) 지점까지의정반응수를산출하였다. 셋째방법에서는, 연령별시작문항이주어지고, 8개연속정반응이관찰될때의기초선 (baseline) 과연속 6개오반응의최고한계를동시에적용하여점수를산출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전국에걸쳐생활연령 3세 0개월부터 14세 11개월에해당하는총 2,560명의정상발달아동및학생들을대상으로표집이이루어졌으며, 모두전국의도시지역에속한 32곳의어린이집및유치원, 7곳의공립초등학교, 7곳의공립중학교, 6곳의주일학교, 혹은 2곳의사립학원에다니고있었다. 검사대상자중학령전기아동들의경우에는부모나유치원교사에의해발달장애, 감각장애, 정서장애및행동장애가없다고보고된아동들이었다. 또한, 연령에적합하지않은조음장애가있는경우에도조사대상에서제외되었다. 학령기아동의경우에는교사에의해언어및학습장애가의심되지않는경우를조사대상으로삼았다. 한편, 표집은통계청의인구조사자료 ( 통계청, 2000) 에기초하여성별, 연령그리고지역변인들을고려하여이루어졌다 (Kim & Na, in press). 가. 성별 2000년통계청자료에따르면, 3세부터 14세까지의모집단에서남자대여자의성별비율은 1대 0.88~0.9로서남자의비율이여자의비율보다약간높았다. 본연구의전체대상자총 2,560명중에남자 : 여자의숫자는 1315 : 1245로서그비율은 51.4% : 48.6% 이었다. 나. 연령 2000년통계청자료에따르면, 3세~14세까지의인구는총 7,823,133명으로, 총열두연령군의평균인구비율은우리나라전체인구의약 8.3% 를차지한다. 3세~14세인구중각연령대의비율은 127
언어청각장애연구 2007;12;125-138 8세아동이 9.0% 로가장높은비율을보였으나, 12세와 13세가각각 7.7% 를차지하는비교적고른분포율을보였다. 연령별표집수를산정함에있어서급속한어휘습득이일어나는연령층 ( 정동빈, 1986; Anglin & Skwarchuk, 2002; Owens, 2001) 에속하는만 3세부터만 6세까지의미취학아동들의표본비율을다른연령군에비해높게산정하였다. 즉, 3세, 4세, 5세그리고 6세의네연령군에서는각각 300명씩을, 그리고 7세이후부터 14세군까지의여덟연령군에서는각각 170명씩을표집하였다. 본연구에서는또한각연령대의아동들을또다시두연령대로나누었는데각연령대에서 0개월부터 5개월까지 ( 즉, ) 를, 그리고 6개월부터 11개월까지 ( 즉, ) 를나누어, 총연령군수는스물넷이었다 (< 표 -1> 참조 ). 다. 지역 만 3세~14세아동들의전국수준의규준을제공하기위해제주지방을제외한서울, 경기, 경상, 충청, 전라, 강원등 6개의전국적지역을망라하여자료를수집하였다. 이들대상군의모집단은통계청에서제공하는행정구역별 3세~14세까지의연령별인구규모에근거하여지역별비율을고려하였다. 서울의경우는전체인구의약 19% 를차지하며, 비율의범위는 18.1% (5세) 부터 20.1% (14세) 였다. 제주지역의경우는전체인구의 1% 남짓차지하므로제주대상자를표집에서제외하고, 서울지역에 1% 를추가하여총 2,560명의 20% 인 512명을서울에서표집하였다. 경기지역의경우, 전체인구의 27% 를차지하며, 비율의범위는 25.0% (14세) 부터 29.3% (6세) 였으며, 경상지역의경우는전체인구의 28% 를차지하며, 비율의범위는 26.7% (3세) 부터 28.4% (13세) 였다. 경기지역과경상지역의경우는각각전체의 28% 인 716명씩을표집하였다. 또한, 강원지역의경우는전체인구의 3% 를차지하며, 비율의범위는 3.0% (4~10세) 부터 3.3% (14세) 였고, 전체의 3% 인 76명을표집하였다. 충청지역의경우, 전체인구의 10% (256명표집 ) 를차지하며, 비율의범위는 9.9% (9세) 부터 10.4% (13~14세) 였다. 전라지역의경우, 전체인구의 11% (286명표집 ) 를차지하며, 비율의범위는 10.9% (9세) 부터 11.8% (14세) 였다. 1년단위의각연령대의대상자들은또다시 6개월단위로나누어표집된자료도 < 표 -1> 에함께제시하였다. 2. 검사방법 검사는조용하고분리된방에서검사자와마주보거나옆으로나란히앉은일대일상호작용으로진행되었다. K-BNT의 60개항목전체를모두시행하였다. 정반응은정답란에 + 로, 오반응은오답란에 - 로기록하였다. 오답인경우는오답란에오반응을자세히기록하며무반응은 NR (No Response), 몰라요 등으로알지못함을말로표현하는경우에는 DK (Don t Know) 로축약하여기록하였다. 아동의연령을고려하여발음발달시기에보일수있는발음오류는정답으로하였다 ( 예 : 모자 모다, 자전거 다던거 ). 또한아동이사물의이름을생각해내는과정에서 자가수정 (self-correction) 을보인경우에는마지막반응을정답으로간주하되, 반응란에아동의표현을모두기록하였다 ( 예 : 시계 아니 128
김향희 / 아동용한국판보스톤이름대기검사의검사방법타당성연구 무게재는저울 ). 또한목표사물의일부만을지칭하는경우에는그림을손으로가리켜주면서 이거전체를무엇이라고하지? 라고한후아동의반응을채점하였다. < 표 - 1> 전국 6 개지역별인구비율에따른검사대상자 2,560 명의연령별 (1 년및 6 개월단위 ) 표본분포 지역 연령 ( 세 / 개월 ) 표본 ( 명 ) ( 비율 ) 2560 전국 ( 남 :1315) ( 여 :1245) 서울 512 (20%) 경기 716 ( 인천포함 ) (28%) 강원 76 (3%) 충청 256 ( 대전포함 ) (10%) 경상 ( 대구, 부산, 울산포함 ) 전라 ( 광주포함 ) 716 (28%) 284 (11%)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0 150 150 150 150 150 171 129 80 90 88 82 87 83 79 91 88 82 80 90 78 92 93 77 300 300 300 300 170 170 170 170 170 170 170 170 60 60 60 60 34 34 34 34 34 34 34 34 85 85 85 85 47 47 47 47 47 47 47 47 9 9 9 9 5 5 5 5 5 5 5 5 30 30 30 30 17 17 17 17 17 17 17 17 85 85 85 85 47 47 47 47 47 47 47 47 31 31 31 31 20 20 20 20 20 20 20 20 3. 자료분석및난이도에따른문항재배열 표집된 2,560명아동들의정보와검사결과는 Microsoft Excel 에코딩되었다. 통계분석은 SPSS 12.0 통계패키지에의하여이루어졌다. 60문항에대한 2,560명아동들의총 153,600개의반응들을각각정반응혹은오반응으로코딩하여각문항의난이도를산출하였다. 그다음에, 각 24개연령군의난이도의평균값을산출하여평균값의순으로 60개문항을재배열하여, 아동용한국판보스톤이름대기검사 (Korean version-boston Naming Test for Children: K-BNT-C, 이하 K-BNT-C) 으로명명하기로하였다. 앞서소개한세가지검사방법에따른점수를산출, 분석하여세방법간의점수차이를검증하기위하여일요인분산분석 (One-way ANOVA) 을실시하였다. 4. K-BNT-C 의세가지검사방법에따른점수산정절차 세가지검사방법에따른점수를산정한절차는다음과같다. 첫째방법은 60개전체문항을실시하는방법으로서, 60문항모두를실시한후에총점 60점에서오반응수를빼는절차 ( 이하 T 60 방법 ) 129
언어청각장애연구 2007;12;125-138 이다. 둘째방법은 1번문항부터검사를시작하여아동이연속적으로 6개문항에서오반응을보이면, 마지막오반응을최고한계 (ceiling) 로간주하고, 검사를중단하는절차 ( 이하 T c 방법 ) 를거친다. 예컨대, 최고한계의문항번호 ( 예 : 27번 ) 에서전체오반응수 ( 예 : 9개 ) 를빼면총점이된다. 셋째방법은연령층별로주어진시작문항에서검사를시작하여 8개연속정반응이관찰될때선정된기초선 (baseline) 과연속 6개오반응의최고한계를동시에적용하는방법 ( 이하 T b+c 방법 ) 이다. 이때, 기초선과최고한계선정은다음의절차를밟아서진행되었다. 시작문항을산정함에있어서먼저, 총 24개연령군의총점평균의차이를검정하여차이가없는연령군을서로묶은후에최종적으로총 13개연령군을도출하였다. 그리고, 각 13개연령군의평균에서 4SD( 표준편차 ) 를뺀점수에해당하는번호를시작문항으로산출하였다. 4SD를사용한이유는그러한절차를거쳐서산정된시작문항이모든연령군의정상아동들이기초선을선정하는데있어서큰어려움 ( 예 : 여러문항을되돌아가서검사하는경우 ) 없이설정할수있는문항으로최종판단되었기때문이었다. 시작문항을선정한다음, 시작문항이서로연이어지는 2쌍의연령군들 ( 즉, 5세과연령군 ; 10세~12세과 12 세~14세연령군 ) 은검사의편의상근접연령군과합친 ( 즉, 5세전~ ; 10세~14세 ) 총 9개연령군의최종시작문항을설정하였다 (< 표 -2> 참조 ). 한편, 시작문항에서출발하여연속적으로 8개문항에서정반응이관찰되는시점을기초선이라하였다. 기초선의적용은 그림어휘력검사 와같은다른검사도구에서도찾아볼수있다 ( 김영태외, 1995). 최고한계지정의경우는둘째방법에서와동일한절차를밟았다. < 표 - 2> 새로형성된 13 개연령군에서 K-BNT-C 총점의평균, 표준편차, 시작문항, 그리고최종시작문항 연령군 ( 세 ; 개월 ) 평균표준편차시작문항최종시작문항 3세 (3;0~3;5) 3세 (3;6~3;11) 4세 (4;0~4;5) 4세 (4;6~4;11) 5세 (5;0~5;5) 5세 (5;6~5;11) 6세 ~6세 (6;0~6;11) 7세 (7;0~7;5) 7세 ~8세 (7;6~8;5) 8세 ~10세 (8;6~10;5) 10세 ~12세 (10;6~12;5) 12세 ~14세 (12;6~14;5) 14세 (14;6~14;11) 14.47 16.71 20.43 23.01 26.21 28.49 30.88 33.90 37.31 40.76 45.94 48.40 50.64 4.28 4.68 5.06 4.74 5.03 5.38 5.45 4.97 5.10 5.22 4.06 4.30 3.70 1 1 1 4 6 7 9 14 17 20 30 31 36 1 1 1 4 6 6 9 14 17 20 30 30 36 130
김향희 / 아동용한국판보스톤이름대기검사의검사방법타당성연구 Ⅲ. 연구결과 1. 세가지검사방법에따른연령군별 K-BNT-C 의총점비교 < 표 -3> 에서 6개월간격의 24개연령군에서살펴본 60개전체항목수행의평균점수및표준편차를제시하였다. 3세의연령군은평균점수가 14.47로평균적으로약 15개정도의정반응을보인반면, 14세의연령군의경우에는평균점수가 50.64로서약 51개의정반응으로가장높은점수를기록하였다. 최고한계기준을적용한 T c 방법에따라산출된각연령군의평균점수및표준편차도제시되었는데, 3세연령군이 13.74로서약 14개정도의정반응을보였다. 반면에, 14세의연령군의경우에는평균점수가 50.61로서약 51개의정반응을보였는데앞서제시된 60개전체항목수행시의정반응수와동일하였다. 한편, 기초선및최고한계기준을적용한 T b+c 방법에따라산출된각연령군의평균점수및표준편차에있어서는, 3세, 3세그리고 4세의경우에시작문항이 1번문항으로동일하므로 Tc방법을적용한점수와 Tb+c방법을적용한점수역시동일하였다. 4세연령군의경우에는 22.33점으로약 22개의정반응을보였는데이는 60개전체문항실시방법시의 23개와비교하였을때 1개의차이를보였다. 세가지검사방법, 즉, T 60 방법, T c 방법그리고 T b+c 방법에따른점수를산출하여세방법간의점수차이를검증하기위하여일요인분산분석을실시하였다. 그결과, 24개의연령군모두에서세방법간에유의한차이는관찰되지않았다 (p >.05). 2. 세가지검사방법적용시연령군별 K-BNT-C 의실시문항수비교 세가지검사방법, 즉, T 60 방법, T c 방법그리고 T b+c 방법에따라각연령별로평균적으로실시해야하는문항수는 < 표 -4> 에제시된바와같다. 3세, 3세그리고 4세의경우에는시작문항이 1번문항으로동일하므로 Tc방법을적용한검사문항수와 T b+c 방법을적용한검사문항수가동일하였다. 4세연령군의경우에는 T c 방법을적용하는경우에 60개전체문항의 58% 에해당하는 35개문항을, 그리고 T b+c 방법에서는 60개전체문항의 55% 에해당하는 33개문항만을실시하면되는것으로나타났다. 한편, 높은연령군으로갈수록 T b+c 방법이 T c 방법만을사용하는것에비하여현격하게검사문항수가줄어드는현상이관찰되었다. 예컨대, 11세연령군의경우에서 T c 방법에서는 60개문항의 95% 인 57개문항을실시하여야하는반면, T b+c 방법에서는 48% 인 29개문항만실시하면되는것으로나타났다. 14세연령군에서도 T c 방법에서는 60개문항의 98% 인 59개문항을실시하여야하는반면, T b+c 방법에서는 43% 인 26개문항만실시해도무방하였다. 전체연령군에서는평균적으로 T c 방법과 Tb+c방법에서 60개문항대신각각 49개 (82%) 와 33개 (55%) 의문항을실시하면되는것으로나타났다. 세가지검사방법에대한일요인분산분석결과, < 표 -5> 에서볼수있듯이세가지검사방법 131
언어청각장애연구 2007;12;125-138 에따른검사문항수는 24개의모든연령군에서유의한차이를보였다. 또한, Scheffé 사후검정결과에서기초선이 1번문항이므로 T c 방법및 T b+c 방법의검사문항수가서로동일했던 3세, 3세, 그리고 4세연령군에서만두방법간의차이가없었을뿐, 그외의모든연령군의세가지방법비교에서모두유의하게차이를보였다. 즉, 검사문항수에있어서는 60개전체문항을실시하는방법, 최고한계만을적용하는방법, 그리고기초선과최고한계를동시에적용하는방법순으로적은수의문항을실시해도무방하였다 (p <.001). < 표 - 3> K-BNT-C 의세가지검사방법에따른 24 개연령군별총점의평균및표준편차 연령군 ( 세 ; 개월 ) 3세 (3;0 ~ 3;5) 3세 (3;6 ~ 3;11) 4세 (4;0 ~ 4;5) 4세 (4;6 ~ 4;11) 5세 (5;0 ~ 5;5) 5세 (5;6 ~ 5;11) 6세 6;0 ~ 6;5) 6세 (6;6 ~ 6;11) 7세 (7;0 ~ 7;5) 7세 (7;6 ~ 7;11) 8세 (8;0 ~ 8;5) 8세 (8;6 ~ 8;11) 9세 (9;0 ~ 9;5) 9세 (9;6 ~ 9;11) 10세 (10;0 ~ 10;5) 10세 (10;6 ~ 10;11) 11세 (11;0 ~ 11;5) 11세 (11;6 ~ 11;11) 12세 (12;0 ~ 12;5) 12세 (12;6 ~ 12;11) 13세 (13;0 ~ 13;5) 13세 (13;6 ~ 13;11) 14세 (14;0 ~ 14;5) 14세 (14;6 ~ 14;11) 60 개전체문항실시방법 14.47(±4.28) 16.71(±4.68) 20.43(±5.06) 23.01(±4.74) 26.21(±5.03) 28.49(±5.38) 30.75(±5.72) 31.05(±5.09) 33.90(±4.97) 36.92(±5.00) 37.70(±5.20) 39.65(±5.31) 40.38(±4.73) 41.47(±5.74) 42.33(±5.34) 44.40(±4.72) 45.84(±3.84) 46.72(±3.45) 46.99(±3.56) 47.26(±4.30) 48.94(±4.21) 48.26(±4.70) 49.18(±3.76) 50.64(±3.70) K-BNT-C 총점의평균 (± 표준편차 ) 최고한계적용방법 13.74(±4.24) 16.07(±4.60) 19.53(±4.87) 22.32(±4.65) 25.75(±4.99) 28.04(±5.59) 30.43(±5.82) 30.57(±5.13) 33.48(±5.15) 36.61(±5.08) 37.28(±5.31) 39.29(±5.43) 40.11(±4.75) 41.31(±5.79) 42.14(±5.46) 44.18(±4.87) 45.72(±3.92) 46.66(±3.50) 46.95(±3.61) 47.16(±4.32) 48.92(±4.32) 48.11(±4.92) 49.26(±3.68) 50.61(±3.70) 기초선및최고한계적용방법 13.74(±4.24) a) 16.07(±4.60) a) 19.53(±4.87) a) 22.33(±4.64) 25.76(±4.99) 28.07(±5.59) 30.04(±5.99) 30.60(±5.15) 33.53(±5.16) 36.68(±5.08) 37.40(±5.28) 39.51(±5.37) 40.34(±4.63) 41.37(±5.78) 42.32(±5.41) 44.51(±4.75) 46.16(±3.71) 46.99(±3.38) 47.16(±3.57) 47.31(±4.47) 49.16(±4.17) 48.34(±4.86) 49.44(±3.75) 50.87(±3.58) a) 기초선이 1 번문항이므로최고한계적용방법의평균및표준편차의값과같음. 132
김향희 / 아동용한국판보스톤이름대기검사의검사방법타당성연구 < 표 - 4> K-BNT-C 의 60 문항검사대비최고한계적용방법과기초선및최고한계동시적용방법에따른연령군별실시문항수및 60 문항대비비율 (%) 문항수 a) (60 문항대비비율 ) 문항수 a) (60 문항대비비율 ) 연령군 ( 세 ; 개월 ) 최고한계적용방법 기초선및최고한계적용방법 연령군 ( 세 ; 개월 ) 최고한계적용방법 기초선및최고한계적용방법 3세 (3;0~3;5) 3세 (3;6~3;11) 4세 (4;0~4;5) 4세 (4;6~4;11) 5세 (5;0~5;5) 5세 (5;6~5;11) 6세 (6;0~6;5) 6세 (6;6~6;11) 7세 (7;0~7;5) 7세 (7;6~7;11) 8세 (8;0~8;5) 8세 (8;6~8;11) 26 (43%) 29 (48%) 32 (53%) 35 (58%) 39 (65%) 42 (70%) 44 (73%) 43 (72%) 47 (78%) 49 (82%) 49 (82%) 51 (85%) 26 (43%) b) 29 (48%) b) 32 (53%) b) 33 (55%) 35 (58%) 38 (63%) 37 (62%) 37 (62%) 36 (60%) 35 (58%) 35 (58%) 34 (57%) 9세 (9;0~9;5) 9세 (9;6~9;11) 10세 (10;0~10;5) 10세 (10;6~10;11) 11세 (11;0~11;5) 11세 (11;6~11;11) 12세 (12;0~12;5) 12세 (12;6~12;11) 13세 (13;0~13;5) 13세 (13;6~13;11) 14세 (14;0~14;5) 14세 (14;6~14;11) 54 (90%) 54 (90%) 54 (90%) 55 (92%) 57 (95%) 58 (97%) 57 (95%) 58 (97%) 59 (98%) 58 (97%) 59 (98%) 59 (98%) 38 (63%) 38 (63%) 37 (62%) 29 (48%) 29 (48%) 30 (50%) 30 (50%) 30 (50%) 31 (52%) 31 (52%) 31 (52%) 26 (43%) a) 각연령군의평균값에서소수점이하반올림을한값임. b) 기초선이 1 번문항이므로최고한계적용방법의검사문항수와동일함. 연령군전체평균 49 (82%) 33 (55%) < 표 - 5> K-BNT-C 의세가지검사방법간실시문항수의일요인분산분석결과 연령군 ( 세 ; 개월 ) 3세 (3;0~3;5) 3세 (3;6~3;11) 4세 (4;0~4;5) 4세 (4;6~4;11) 5세 (5;0~5;5) 5세 (5;6~5;11) 6세 (6;0~6;5) 6세 (6;6~6;11) 7세 (7;0~7;5) 7세 (7;6~7;11) 8세 (8;0~8;5) 8세 (8;6~8;11) 통계값통계값연령군 ( 세 ; 개월 ) F Sig. F Sig. 2369.367.000 9세 (9;0~9;5) 501.699.000 1773.212.000 9세 (9;6~9;11) 651.324.000 1229.137.000 10세 (10;0~10;5) 643.643.000 1362.263.000 10세 (10;6~10;11) 1705.677.000 1087.443.000 11세 (11;0~11;5) 3174.427.000 605.279.000 11세 (11;6~11;11) 2986.893.000 711.807.000 12세 (12;0~12;5) 1970.295.000 734.311.000 12세 (12;6~12;11) 2287.788.000 558.136.000 13세 (13;0~13;5) 3078.869.000 581.808.000 13세 (13;6~13;11) 2226.123.000 674.109.000 14세 (14;0~14;5) 3038.069.000 675.220.000 14세 (14;6~14;11) 8175.942.000 133
언어청각장애연구 2007;12;125-138 Ⅳ. 논의및결론 본연구의목적은한국판보스톤이름대기검사 (K-BNT) 를아동에게적용함에있어서검사방법을변경하여 60개전체문항대신일부문항만을실시하더라도 60개전체를검사하는것과같은효과를발휘하는대체검사방법을고안하는데있었다. 이에, 아동의생활연령 3세부터 14세에걸친 6개월단위의 24개연령군총 2,560명의아동을대상으로실시된 K-BNT 의결과를다음의세가지검사방법에준하여비교 분석하였다. 첫째방법에서는전체 60개문항검사실시에대해총점을산출하였다. 둘째방법에서는, 1번문항부터시작하여연속 6개오반응이관찰되는최고한계지점까지의정반응수를산출하였다. 셋째방법에서는, 연령별시작문항이주어지고, 8개연속정반응이관찰될때의기초선과연속 6개오반응의최고한계를동시에적용하여점수를산출하였다. 그결과, 세가지방법간에 24개연령군별총점에서는유의한차이가관찰되지않았다. 이와대조적으로, 검사문항수에있어서는 60개전체문항을실시하는방법, 최고한계만을적용하는방법, 그리고기초선과최고한계를동시에적용하는방법순으로문항수가적어도무방한것으로관찰되었다 (p <.001). 즉, 최고한계를적용하는방법에서 60개문항대신전체연령군평균적으로 60개문항의 82% 인 49개의문항을, 그리고기초선및최고한계를동시에적용하는검사방법에서는 60개문항의 55% 인 33개의문항만을실시하면되는것으로나타났다. 이러한현상은높은연령군의경우, 쉬운앞번호의문항들에서는거의오반응이관찰되지않으므로 6개연속오반응의최고한계가설정되기위해서는계속해서많은수의문항을실시해야하기때문이었다. 이런경우에는시작문항을설정하고 8개연속정반응시기초선을설정하는기초선및최고한계적용방법이효율적이라고할수있다. 이러한결과는앞서밝혔던대로아동들의총점에는그다지유의한영향을주지않으면서, T b+c 방법을사용하는것이효율성면에서가장좋은검사방법인것으로해석될수있다. 본검사방법을장애아동에게적용하여실시하는경우에는더욱적은수의문항만을실시할수도있게되므로더욱효율적인방법이라고할수있다. 앞서언급된대로, 본 K-BNT-C 의검사방법으로최종선택된연속 8개정반응의기초선적용은 그림어휘력검사 ( 김영태외, 1995) 와같은다른검사도구에서도사용되어많은언어치료사들에게익숙한검사법이다. 또한, 비록타당성이입증되지않은채사용되지만 (Ferman, Ivnik & Lucas, 1988), 연속 6개오반응의최고한계 (ceiling) 검사방법역시원 ( 原 ) BNT의검사방법으로흔히사용되므로본검사방법으로채택되었다. 한편, 본논문이지니는한계점으로는아동용으로재배열된 60개문항의 K-BNT-C 를다수의대상에게재검사하여인접한문항간의영향력을배제하는절차를거치지못했다는것이다. 결론적으로, BNT는전세계적으로널리보급되어연구및임상에서많이쓰여지는대면이름대기검사도구이다. 본연구결과에준하여, 아동들을대상으로도광범위하게쓰여질수있는 K-BNT-C 를실시함에있어서, 기초선과최고한계를동시에적용한검사방법을적용하여검사문항수를대폭적으로줄일수있다면장애아동에게보다짧고효율적인검사진행상황을제공할수있고, 134
김향희 / 아동용한국판보스톤이름대기검사의검사방법타당성연구 정상아동의선별검사시에도효율적인검사가될수있음을알수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효율적인검사방법이 15세이상의환자들에게 K-BNT 를실시할때에도적용될수있도록향후추가적인연구가필요하다고생각된다. 참고문헌 강연욱 김향희 나덕렬 (2001). 한국판보스톤이름대기검사 (K-BNT) 의병렬단축형개발. 대한신경과학회지, 18, 114-150. 김영태 장혜성 임선숙 백현정 (1995). 그림어휘력검사. 서울 :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김향희 나덕렬 (1997). 한국판보스톤이름대기검사 (K-BNT). 서울 : 학지사. 박은희 (1998). 한국판보스톤이름대기검사 (K-BNT) 의단축형에대한규준연구. 성신여자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정동빈 (1986). 어린이의어휘습득에관한고찰. 한국교육문제연구소논문집, 3, 115-131. 통계청 (2000). 총조사인구총괄 ( 행정구역 / 성 / 연령별 ). 대전 : 동부. Anglin, J. M., & Skwarchuk, S. L. (2002). Children s acquisition of the English cardinal number words: A special case of vocabulary develop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4, 107-125. Cohen, M., Town, P., & Buff, A. (1988). Neurodevelopmental differences in confrontational naming in children.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4, 75-81. Cormack, R. A., & Worrall, L. E. (1994). Australian items and normative data for Australian children on the Boston Naming Test. Australian Journal of Human Communication Disorders, 22, 74-85. Ferman, T. J., Ivnik, R. J., & Lucas, J. A. (1998). Boston Naming Test discontinuation rule: Rigorous versus lenient interpretations. Assessment, 5, 13-18. Guilford, A. M., & Nawojczyk, D. C. (1988). Standardization of the Boston Naming Test at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levels.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19, 395-400. Halperin, J. M., Healey, J. M., Zeitchik, E., Ludman, W. L., & Weinstein, L. (1989). Developmental aspects of linguistic and mnestic abilities in normal children.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11, 518-528. Kaplan, E., Goodglass, H., & Weintraub, S. (1983). Boston Naming Test. Philadelphia: Lea & Febiger. Kim, H., & Na, D. L. (1999). Normative data on the Korean version of the Boston Naming Test.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21, 127-133. 135
언어청각장애연구 2007;12;125-138 Kim, H., & Na, D. L. (in press). A normative study of the Boston Naming Test in 3- to 14-year-old Korean children. The Clinical Neuropsychologist. Kirk, U. (1992). Confrontation naming in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Word-retrieval or word knowledge? The Clinical Neuropsychologist, 6, 156-170. Owens, R. E. (2001). Language development: An introduction (5th ed.). Boston: Allyn & Bacon. Riva, D., Nichelli, F., & Devoti, M. (2000). Developmental aspect of verbal fluency and confrontation naming in children. Brain and Language, 71, 267-284. Storms, G., Saerens, J., & De Deyn, P. P. (2004). Normative data for the Boston Naming Test in native Dutch-speaking Belgian children and the relation with intelligence. Brain and Language, 91, 274-281. 136
Kim / A Validation Study on the Scoring System of the Korean Version-Boston Naming Test for Children ABSTRACT A Validation Study on the Scoring System of the Korean Version-Boston Naming Test for Children 2) HyangHee Kim Graduate Program in Speech-Language Pathology &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valid and efficient method of administering the Korean version-boston Naming Test for Children (K-BNT-C) by comparing the following three different methods: 1) administering 60 test items; 2) applying a discontinuation rule of the ceiling upon six consecutive failures and 3) applying both a baseline upon eight consecutive successes and a discontinuation rule of the ceiling. Methods: A total of 2,560 children between 3 and 14 years old were stratified into 24 groups based on age and were tested via the K-BNT-C. The results of each age group were analyzed based on the aforementioned three administration methods.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est scores of the three methods. However, the number of test items were significantly (p <.001)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administrating 60 test items, applying a discontinuation rule (49 test items), and applying both a baseline and a discontinuation rule (33 test items). Discussion & Conclusion: Alternative administration methods of the K-BNT can be proposed for different subject groups. It was concluded that the K-BNT-C can be administered more efficiently by applying both a baseline and a discontinuation rule in testing or screening for confrontation naming impairment in children.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07;12;125-138) Key Words: Boston Naming Test (BNT), children, norms, Korean, test item, baseline, ceiling 2)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Grant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 (KRF-003-B00240). Received April 8, 2007; final revision received May 5, 2007; accepted May 8, 2007. Correspondence to Prof. HyangHee Kim, PhD, Rehabilitation Hospital 3rd F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134 Shinchon-dong, Seodaemun-gu, Seoul, Korea, e-mail: h.kim@yonsei.ac.kr, tel.: + 82 2 2228 3900 c 2007 The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http://www.kasa1986.or.kr 137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07;12;125-138 References Anglin, J. M., & Skwarchuk, S. L. (2002). Children s acquisition of the English cardinal number words: A special case of vocabulary develop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4, 107-125. Chung, D. B. (1986). Vocabulary acquisition in Korean children. Journal of the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Education, 3, 115-131. Cohen, M., Town. P., & Buff, A. (1988). Neurodevelopmental differences in confrontational naming in children.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4, 75-81. Cormack, R. A., & Worrall, L. E. (1994). Australian items and normative data for Australian children on the Boston Naming Test. Australian Journal of Human Communication Disorders, 22, 74-85. Ferman, T. J., Ivnik, R. J., & Lucas, J. A. (1998). Boston Naming Test discontinuation rule: Rigorous versus lenient interpretations. Assessment, 5, 13-18. Guilford, A. M., & Nawojczyk, D. C. (1988). Standardization of the Boston Naming Test at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levels.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19, 395-400. Halperin, J. M., Healey, J. M., Zeitchik, E., Ludman, W. L., & Weinstein, L. (1989). Developmental aspects of linguistic and mnestic abilities in normal children.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11, 518-528. Kang, Y. W., Kim, H., & Na, D. L. (2001). Parallel short forms for the Korean-Boston Naming Test.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18, 114-150. Kaplan, E., Goodglass, H., & Weintraub, S. (1983). Boston Naming Test. Philadelphia: Lea & Febiger. Kim, H., & Na, D. L. (1997). Korean version- Boston Naming Test. Seoul: Hakji-sa. Kim, H., & Na, D. L. (1999). Normative data on the Korean version of the Boston Naming Test.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21, 127-133. Kim, H., & Na, D. L. (in press). A normative study of the Boston Naming Test in 3-to 14-year-old Korean children. The Clinical Neuropsychologist. Kim, Y. T., Chang, H. S., Yim, S. S., & Baek, H. J. (1995). 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Revised-Korean. Seoul: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Kirk, U. (1992). Confrontation naming in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Word-retrieval or word knowledge? The Clinical Neuropsychologist, 6, 156-170.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report. Daejeon, Korea. Owens, R. E. (2001). Language development: An introduction (5th ed.). Boston: Allyn & Bacon. Park, E. (1998). A normative study on a short form of the Korean version-the Boston Naming Test. Unpublished master s thesis. Sungshin Women s University. Seoul. Riva, D., Nichelli, F., & Devoti, M. (2000). Developmental aspect of verbal fluency and confrontation naming in children. Brain and Language, 71, 267-284. Storms, G., Saerens, J., & De Deyn, P. P. (2004). Normative data for the Boston Naming Test in native Dutch-speaking Belgian children and the relation with intelligence. Brain and Language, 91, 274-281. 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