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졸청년층의구직과정및취업의질적수준분석 : 전공계열별차이를중심으로 53 職業能力開發硏究第 14 卷 (3), 2011. 12, pp. 53~78 c 韓國職業能力開發院 대졸청년층의구직과정및취업의질적수준분석 : 전공계열별차이를중심으로 * 1) 정지선 ** 이수정 *** 신정철 **** 이연구는대졸청년층의구직과정및취업의질적수준을분석하고, 전공계열에따라이과정에어떠한차이가있는지를분석하였다. 대졸청년층의구직과정은취업준비활동과구직경로로구분하고, 취업의질적수준은종사상지위, 역량, 전공, 취업목표일치도라는 4개항목으로정의하였다. 취업의질적수준에영향을미치는요인을살펴보기위하여, 개인, 가정, 학교배경과더불어전공계열과구직과정의특성을추가하여분석하고, 기술통계및로지스틱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그결과, 첫째, 구직과정과취업의질적수준은전공계열에따라상당한차이를보였다. 둘째, 취업의질적수준에영향을미치는요인중, 전공계열에따른차이가가장크게나타났고, 성별 학점 대학소재지등이유의미하였으며, 구직경로와재학중일경험이유의하였다. 이연구결과는전공계열의특성을고려한다양한취업지원방안이필요하다는점과노동시장의수요를고려한전공계열별구조조정이불가피하다는점을시사한다. - 주제어 : 대졸청년층취업, School to Work, 구직과정, 취업의질적수준, 전공계열 투고일 : 2011 년 06 월 30 일, 심사일 : 07 월 11 일, 게재확정일 : 8 월 31 일 * 이논문은한국고용정보원이주관하는 2010 고용동향조사심포지엄 (2010. 5. 6.) 에서발표한내용을수정, 보완한것임. ** 제 1 저자, The University of Hong Kong, Post-doctoral Fellow (jisun@hku.hk) *** 제 2 저자 ( 교신저자 ), 서울대학교대학원교육학과박사수료 (maniere25@snu.ac.kr) **** 제 3 저자, 서울대학교교육학과부교수 (jcs6205@snu.ac.kr)
54 職業能力開發硏究第 14 卷第 3 號 Ⅰ. 서론 이연구는대졸청년층의구직과정및취업형태를분석하고전공계열별로구직과정및취업의질적수준이어떻게다른가를분석하였다. 청년층 은학교교육을마치고처음직장으로이행하는과정에있는연령층의사람들로, 이들은끊임없이직업탐색과구직활동을한다 ( 김경식 이현철, 2008). 그러나최근대졸자과잉공급과경제난가중등으로인해대학졸업자 ( 이하 대졸자 ) 가졸업후첫직장으로이행 (school to work) 하는데소요되는기간은상당히길어지고있다. 특히 좋은 직장일수록취업하는데걸리는기간이길고평균 9~11 개월이후첫취업은되지만 ( 이기엽 최문경, 2008), 이중상당수가재취업을하기도한다. 최근대졸취업자들중에서는비정규직의비율도상당히높다 ( 강승복, 2008). 이때문에대졸자취업문제에대한많은사회적관심과정책적노력은이어지고있다. 관련선행연구들은대부분실업의원인과대책을논의하였다. 주로취업에영향을미치는요인을탐색하거나, 취업성패에영향을주는개인적배경이나학교배경등을분석하고, 대학이취업지원을위해다양한방법을활용해야함을지적한다 ( 이기종 김은주, 2006). 단순취업유무를떠나취업의질적측면에관심을가진연구들도있는데, 이들은주로고용형태, 직장만족도, 이직, 임금등으로대변되는성과를분석한다 ( 안주엽, 홍서연, 2002). 구직경로나그에따른취업효과성을분석한연구들도있다 ( 김종성 이병훈, 2009). 구직과정이나취업의성과는대졸자의개인적특성이나가정의사회경제적배경, 학교특성등에따라달라진다. 특히모든개인은대학의특성이나전공계열에따라졸업후기대수익이다르며, 취업후사적 사회적수익이각기다르다 ( 이희숙, 2008; Shin & Milton, 2008). 우리나라의경우, 수도권대학과지방대학, 대학평판과같은대학특성에따라구직경로나취업성과가어떻게달라지는지에대한연구는상당수있으나, 전공계열에따른구직경로및취업성과에관한연구는많지않다. 따라서이연구는전공계열에따라대졸청년층의구직과정및취업의성과가어떻게다른지를살펴보고, 취업
대졸청년층의구직과정및취업의질적수준분석 : 전공계열별차이를중심으로 55 의질적수준에영향을미치는요인은무엇인지를분석함으로써전공계열별특성을고려한구직활동에대한시사점을도출하고자한다. 본연구의연구문제는다음과같다. 첫째, 전공계열에따라대졸청년층의구직과정에차이가있는가? 둘째, 전공계열에따라대졸청년층의취업의질적수준 ( 종사상지위, 취업목표일치도, 역량일치도, 전공일치도 ) 에차이가있는가? 셋째, 대졸청년층의구직성과에영향을미치는요인이전공계열에따라다르게나타나는가? Ⅱ. 선행연구분석 1. 대졸청년층의구직과정 대졸청년층의구직과정에대한논의는이들이주로어떻게취업준비활동을하고, 어떠한경로를통해취업하는지에관한선행연구로구분해볼수있다. 첫째, 취업준비활동과관련하여살펴보면, 최근대학생들은재학기간중다양한일경험과교육적경험을통해취업을준비한다. 재학당시의일경험은졸업후취업확률을높이고, 직업세계로의원활한이행에도움을준다 ( 장원섭, 2004; Wolbers, 2003). 오늘날상당수대학생들은대학교육과정을취업과연계시키고, 교과목공부이외에취업을위한교육적준비를별도로한다 ( 이기엽 최문경, 2008). 1998년이후의입학생들은진로나취업전망을고려한전공선택이두드러지고, 복수전공과부전공을택하는비율도증가했다 ( 장원섭, 2004). 또학점관리, 자격증취득등을준비하고, 제2외국어, 해외어학연수등에대한노력도병행한다 ( 주무현외, 2008). 대학에서도취업문제해결을위해관련교과목을개설하거나각종프로그램을통해경력개발을지원한다. 또이들은학교생활뿐아니라사교육참여를통해취업을준비하기도한다 ( 정지선 김훈호, 2010). 김태기외 (2005) 는최근전체대학생의과반수정도가사교육을통해어학이나자격증시험준비를하고있으며, 학원수강비율도학년이올라갈수록점차증가한다는
56 職業能力開發硏究第 14 卷第 3 號 결과를보여주었다. 둘째, 어떠한경로를통해구직활동을하는지도중요한내용이다. 박성준 (2005) 은구직경로를공식적, 비공식적경로로구분하고공공 민간직업안정기관이나학교를통한공식경로, 연고및가족, 친지의소개를통한비공식적경로를제시한바있다. 이러한구직과정의형태는전공계열에따라서다르게나타난다. 취업에서어학실력을중요하게생각하는인문계열전공자들은제2외국어, 해외어학연수등을적극적으로준비하는반면, 교육및의약계열전공에서는전공과자격증획득을중요하게생각하고국가고시와직업교육에적극가담한다 ( 김정숙, 2008). 2. 전공계열에따른취업의질적수준 취업의질적수준은대졸자들의전공계열에따라상당수준이달라진다. Reimer et al.(2008) 는세가지관점에근거하여이러한차이를설명한바있다. 첫째, 인적자본관점 (human capital perspective) 에따르면, 각개인은전공계열에따라투자하는교육비용, 학습환경이나습득가능한지식, 기술이다르기때문에결국투자한만큼의결과를얻는다. 둘째, 고용주나사회구성원들은특정분야를졸업한사람이그렇지않은사람에비해우수한능력을가졌을것이라고가정하는데, 이는이른바신호이론 (signaling perspective) 에의해설명된다. 셋째, 의학과같은일부분야는사회나정부가직업종사자수의공급자체를규제 (supply restriction) 하기때문에졸업전부터취업을보장받는경향이있다. 취업의질적수준을측정하는지표에는여러가지가있다. 기본적으로첫일자리취업유무, 미취업기간의탈출확률등을살펴보는양적접근, 고용형태나임금수준, 만족도등을분석하는질적평가의측면도있다 ( 김우영, 2002; 안주엽 홍서연, 2002). 선행연구들은대부분취업유무에관심이많고, 일자리의질적측면 ( 직무만족, 개인-직무적합, 과잉자격등 ) 에대한관심은부족한편이다 ( 김수리 박미진, 2008). 전공계열에따른취업성과의차이는임금을활용한수익률연구가주를이룬다. 전공계열에따라졸업후의기대수익률은다르고, 이러한차이는졸업후초기임금에중요한영향을준다. 즉, 전문성이강한공학, 컴퓨터, 과학계열은초기임금이높은반면인문학등은초기임금에대한기대수익률자체가낮다 (Shin & Milton, 2008). 선행연구에따르면, 공학및의학전공자들은인문계전공자들에비해약 30% 높은임금을받고있
대졸청년층의구직과정및취업의질적수준분석 : 전공계열별차이를중심으로 57 으며, 경영학계열과자연과학계열전공자들역시인문계전공자들에비해약 20% 높은임금을받는다 (Rumberger & Thomas, 1993). 한편취업의질적수준과관련한중요한지표로는무엇보다종사상지위를들수있다. 한국교육개발원 (2009) 의고등교육기관졸업자취업통계에따르면, 대졸자취업률은 76.4% 이며, 이중 28.1% 가비정규직에해당한다 ( 한국교육개발원, 2009). 취업의질적성과와관련하여중요한지표중하나는취업자가인식하는자신의역량, 즉교육및기술수준과현재업무가일치하는지여부이다 (Garcia-Espejo, I. & Ibanex, M., 2005). 박가열 (2008) 은직무불일치문제를세가지유형으로구분하고있는데, 자신의교육수준보다일자리에서요구하는학력수준이낮았을때생겨나는과잉교육, 흥미 적성 태도등개인들의심리적특성과일자리환경간의적합성문제, 학교나직업훈련기관에서터득한내용과일자리직무내용간의불일치문제등이이에해당한다. 전공계열에따른취업성과의차이를분석한박성준 (2004) 의연구에따르면, 이공계학생들이인문계열이나사회계열학생들에비해상대적으로직장이불안하고, 사회적신분상승의기회가적으며임금도낮다. 한국고용정보원의직업이동경로조사결과를활용하여전공계열별차이를분석한김창환 (2008) 의연구를보면, 전반적으로인문계열과예체능계열이취업의양과질적인측면에서취약한특성을나타냈으며, 공학계열은비교적양호한수준이지만자연계열은상당히열악하게나타났다. 취업률이높거나취업의질 ( 정규직, 전공일치도, 임금 ) 이높은전공은대개상당수준의전문성을요구하는분야이거나국가자격증획득과관련이많은전공, 사회적수요와연계하여대학이학생수를제한하고있는분야, 직업과밀접한관련을갖는전공으로직업일치도 (job matching) 가높은특성을지닌다. 반면에취업률이낮은계열은전공졸업자를수용할수있는관련일자리수요가적거나, 직업과밀접한관련을맺는전문성이높지않다. 이때문에직업을선택할때에도인문, 사회, 예체능전공학생은적성과흥미를가장중요시하는반면, 공학, 자연과학, 의약학전공학생들은전공일치도가가장중요하다 ( 주무현외, 2008) 3. 취업의질적수준에영향을미치는요인 대졸자취업과관련한많은관심에도불구하고취업성과에대한개념정의나지표제시는여전이부족한편이다. 이때문에많은대졸자가일경험, 교육훈련수강, 자격증취
58 職業能力開發硏究第 14 卷第 3 號 득, 외국어시험응시등다양한준비를하지만, 이노력이노동시장에서영향을주는지는분명하지않다. 결국상당수청년층이취업준비에많은시간과노력을들이고있지만, 구체적목표설정없이막연한영어공부나자격증취득을위해시간을허비하기도하고, 지방대생의경우취업가능성과관련한역량을과소평가하여일찌감치민간기업에대한취업을포기하고공무원이나공공부문의수험준비에매몰되기도한다 ( 박성재, 2006). 선행연구에따르면, 취업의성과에영향을미치는요인으로크게개인배경, 가정배경, 학교특성등이있다. 성별이나학점과같은개인배경, 가정의사회경제적배경, 대학소재지등의특성이취업의성과에미친영향에관한연구는상당수있으나, 이들이노동시장에진입하기위해실제로노력을기울인취업준비요인들이어떻게영향을미쳤는지에대한실증연구는많지않다 ( 박가열, 2008). 첫째, 취업의질적성과에영향을미치는개인배경으로는성별이나연령, 학점등이있다. 노동시장에서남성구직자가유리하다는사실은오래전부터밝혀져왔다 ( 김태일, 2009). 또연령이높아질수록취업의가능성이높지만일정한연령을초과하게되면취업가능성은다시낮아진다 ( 남재량, 2006). 학점역시구직성과에긍정적으로영향을미친다는연구결과들이있다 ( 장원섭외, 2000). 둘째, 부모의사회경제적배경이높거나가구소득이높을수록더나은일자리를얻을확률은높아진다. 가정의사회경제적배경은자녀들의직업선택및직업획득에영향을주고 (McLaughlin et al., 1976; Sewell et al., 1957), 학위취득이나초기노동시장에서의경력에도영향을준다 (Pascarella et al., 2004). 이는대학생들의취업준비를위한과외학습에도영향을줌으로써직업이행에서의불평등을매개하기도한다 ( 민혜리, 2003). 셋째, 대학특성과관련하여수도권대학출신이지방대출신보다취업에서유리하다는연구결과 ( 채창균 김안국 오호영, 2005) 가있다. 대학의지명도나서열은직업획득, 고용형태, 임금격차등을가져오는데 ( 임천순 양병무, 2006; 홍영란외, 2002), 이는서열이높은대학에입학한학생들이배운교육내용과경험에기인한것일수도있고, 지명도가높은대학의졸업장이일종의선별기준으로작용하기때문일수도있다 ( 김정숙, 2008). 구직과정이취업성과에어떠한영향을주는지에대한선행연구를살펴보면, 취업준비활동과관련하여서는대개자격증취득, 외국어성적, 재학중근로경험, 직업훈련경험등이영향을준다 ( 박가열, 2008). 아르바이트를포함한다양한일경험이취업여
대졸청년층의구직과정및취업의질적수준분석 : 전공계열별차이를중심으로 59 부나취업성과에긍정적영향을준다는연구결과들이있지만 ( 김주섭, 2002; 안주엽 홍서연, 2001), 아르바이트는대부분단순업무를경험하기때문에임금에는별다른영향을주지못한다는연구도있다 ( 김우영, 2002; Oettinger, 1999). 재학중근로경험은직업세계에대한이해를높이고적극적인직업태도를함양하는데에는도움을주지만, 전공과무관한근로경험일경우장래일자리를획득하는것과는무관하다 ( 박가열, 2008). 그밖에교육적경험과관련해서는대학에서의복수전공이수여부, 외국어능력이나어학연수경험이구직성과에영향을준다 ( 이기엽 최문경, 2008; 임천순 양병무, 2006). 구직경로와관련해서는구직활동을먼저시작했거나다양한구직경로를통해구직활동을할수록취업에용이하다 ( 김정숙, 2008). 김종성 이병훈 (2009) 은대졸자들이직업을찾기위해활용하는개인적, 제도적, 공공정보망등의효과를비교 분석한바있는데, 실제로오늘날많은대학들은대학차원에서다양한취업알선프로그램을제공하고, 취업센터등을운영하고있어대학생들의취업에직간접적으로영향을준다. 상당수구직자들은 TV, 신문, 인터넷등공공정보망을많이활용하기도하는데, 김종성 이병훈 (2009) 의연구결과개인적연결망을통한구직활동이노동시장진입에가장효과적이었다. Ⅲ. 연구방법 1. 분석자료 이연구는한국고용정보원이매년실시하고있는패널조사데이터중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의 2007년도졸업생자료를활용하였다.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GOMS) 는한국고용정보원이 2006년처음실시한패널조사로서, 조사대상은 2004년 8월및 2005년 2월에전문대학또는대학을졸업한 502,764명중학교유형, 지역, 전공계열, 성별을고려하여표본추출된 18,050 명이다. 이가운데전문대학졸업자 5,354 명과 4년제졸업자중교육대학졸업자 85명을제외한총 12,611 명이본연구의 1차연구대상이다. 또구직과정및취업성
60 職業能力開發硏究第 14 卷第 3 號 과의차이를보기위해이중미취업자 3,609 명을제외한취업자 9,002 명을분석대상으로삼았으며, 이중비임금근로자는제외하고임금근로자 8,631 명을최종연구대상으로하였다. 취업자 미취업자의구분은설문문항가운데 지난 1주간 1시간이상수입을목적으로일을한적이있거나또는지난 1주간 18시간이상무급으로자기가족의사업체에서일을한적이있는경우 이다. 본연구에포함된연구대상자의주요배경변인별분포는 < 표 1> 과같다. 성별의경우, 남성비율이 17.4% 정도높게나타났으며, 학점은 100점만점으로환산했을때중위권에가장많은수가분포하고있었다. 가정배경과관련하여부친의학력수준은고졸과대졸인경우가많았고, 월평균가정소득은 200만원이상 500만원미만의경우가많았다. 대학은서울, 경기, 인천을제외한비수도권소재대학비율이약 10% 높았으며, 전공계열은공학계열과사회계열이많았다. 연구대상자들의구직경로와관련한기술통계결과는다음과같다. 첫째, 구직과정과관련해서대학재학중전공과관련한일자리경험을가진응답자비율이약 30% 에해당되어, 최근많은대학생들이재학당시부터인턴십을비롯한다양한일자리경험을통해취업을준비하고있음을알수있다. 둘째, 진로나취업과관련된교과목을수강하거나취업및경력개발프로그램에참여한학생수도약 30% 에달해서교내에서도다양한교육적경험을하고있음을알수있다. 셋째, 학원수강이나어학연수경험도각각 30.6%, 21.5% 에해당하여공식적교육경험뿐아니라사교육을비롯한비공식적교육경험에도상당수가참여하고있었다. 넷째, 대졸자들은상당수 (75.2%) 가공식적경로를통해취업을하였다. 취업의성과와관련해서는종사상지위, 역량일치도, 전공일치도, 취업목표일치도여부를살펴보았다.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에서사용하는교육수준일치도여부와기술수준일치도여부를묻는문항값간의상관관계가.7로강한상관관계를보여, 두문항을합산하여역량일치도문항을도출하였다. 즉, 교육수준과기술수준이일치하는경우를역량일치도가있다고산출하였고, 그밖의경우에는역량이불일치하다고보았다. 구직성과와관련해서약 90% 에가까운응답자가정규직이라고응답하였으며, 역량일치도, 전공일치도및취업목표일치도에서는 60~70% 정도가일치한다고응답하였다.
대졸청년층의구직과정및취업의질적수준분석 : 전공계열별차이를중심으로 61 < 표 1> 기술통계 성별 학점 부의학력수준 월평균가정소득 대학소재지 전공계열 재학중일경험 진로 취업관련교과목수강취업및경력개발지원프로그램참여 학원수강경험 어학연수경험 구직경로 종사상지위 역량일치도 전공일치도 구분빈도 ( 명 ) 백분율 (%) 남성 5,068 58.7 여성 3,563 41.3 상위권 2,083 24.1 중위권 4,292 49.7 하위권 2,137 24.8 중졸이하 1,978 23.0 고졸 3,676 42.8 전문대졸이상 2,936 34.2 200만원미만 1,500 18.0 500만원미만 4,613 55.2 500만원이상 2,243 26.8 수도권 3,859 44.7 비수도권 4,772 55.3 인문계열 1,254 14.5 사회계열 2,021 23.4 교육계열 548 6.3 공학계열 2,368 27.4 자연계열 1,165 13.5 의약계열 430 5.0 예체능계열 845 9.8 유 2,563 29.7 무 6,068 70.3 유 2,481 28.7 무 6,150 71.3 유 2,459 28.5 무 6,172 71.5 유 2,642 30.6 무 5,989 69.4 유 1,858 21.5 무 6,773 78.5 공식적 6,369 75.2 비공식적 2,102 24.8 정규직 7,694 89.1 비정규직 937 10.9 일치 5,217 60.4 불일치 3,412 39.5 일치 6,242 72.3 불일치 2,389 27.7 일치 5,819 69.2 취업목표일치도불일치 2,588 30.8 총계 8,631 100.0
62 職業能力開發硏究第 14 卷第 3 號 취업의성과와관련된변인간의상관관계분석을실시한결과는다음 < 표 2> 와같다. 전공일치도와취업목표일치도사이에.5로비교적강한상관관계를보이고있으나, 다른변인간의관계에있어서는낮은상관관계를나타내고있다. < 표 2> 취업의질적수준관련변인간의상관관계 구분 종사상지위 역량일치도 전공일치도 취업목표일치도 종사상지위 1.056**.032**.084** 역량일치도 1.160**.219** 전공일치도 1.459** 취업목표일치도 1 **p<0.01 2. 변인및연구모형 이연구는 4년제대학졸업자들을대상으로전공계열에따라구직과정및취업성과가어떻게다른지를살펴보고, 취업의질적수준에영향을미치는요인은무엇인지를알아보기위해다음과같은변인을활용하였다. 이연구에서사용한변인에대한구체적인설명은 < 표 3> 과같다. < 표 3> 변인구성변수종속변인 취업성과 독립변인 개인변인 가정배경 종사상지위 역량일치도 전공일치도 취업목표일치도 변수설명및처리 현직장에서의종사상지위 0= 비정규직 ( 임시직, 일용직 ), 1= 정규직 ( 상용직 ) 현직장의업무내용과교육 기술수준과의일치도 0= 일치하지않는다, 1= 일치한다현직장의업무내용과전공과의일치도 0= 일치하지않는다, 1= 일치한다재학중설정한취업목표와실제직업과의일치도 0= 일치하지않는다, 1= 일치한다 성별 0= 여자, 1= 남자 학점 졸업평점 (100점만점환산점수 ) 부학력 아버지의최종학력 1= 대졸, 2= 고졸, 3= 중졸이하 ( 준거 ) 월평균소득 현재가구의월평균총소득 1=200 만원미만 ( 준거 ), 2=500만원미만, 3=500 만원이상 < 표계속 >
대졸청년층의구직과정및취업의질적수준분석 : 전공계열별차이를중심으로 63 독립변인 학교배경 구직과정 변수학교소재지전공계열재학중일경험재학중교육경험학원수강경험어학연수경험공식적 비공식적경로 변수설명및처리 0= 비수도권, 1= 수도권 1= 인문계열 ( 준거 ), 2= 사회계열, 3= 교육계열, 4= 공학계열, 5= 자연계열, 6= 의약계열, 7= 예체능계열재학중전공과관련된직장을다닌경험 0= 없음, 1= 있음진로, 취업에관해학점인정되는교과목수강경험 0= 없음, 1= 있음취업및경력개발지원프로그램참여 0= 없음, 1= 있음재학중취업을위해학원을다녀본경험 0= 없음, 1= 있음재학중또는졸업후어학연수를다녀온경험 0= 없음, 1= 있음현직장에들어가게된가장주된방법 0= 비공식경로 ( 소개및추천, 가족사업참여 ), 1= 공식경로 ( 채용시험, 취업박람회, 직업알선기관 ) 이변인을활용하여전공계열에따라대졸청년층의구직과정및취업성과가어떻게다른지를살펴보고, 취업의질적수준에영향을미치는변인이무엇인지분석하기위하여 [ 그림 1] 과같은연구모형을구성하였다. [ 그림 1] 연구모형 배경변인 배경변인 가정배경 학교배경 전공계열 [ 취업의질적수준 ] 종사상지위 역량일치도 구직과정 재학중일경험 재학중교육경험 학원수강경험 어학연수경험 구직경로 전공일치도 취업목표일치도
64 職業能力開發硏究第 14 卷第 3 號 3. 분석방법 본연구는다음과같은분석방법을활용하였다. 첫째, 전공계열에따라구직과정에차이가있는지를알아보기위해교차분석과 F 검정을실시하였다. 둘째, 전공계열에따라취업의질적수준에차이가있는지를분석하기위해다변량분산분석 (MANOVA) 을실시하였다. 전공계열별로구직과정과취업의질적성과가어떠한차이를보이는지알아보기위해, 구직과정의경우재학중일경험과교육경험, 공식적 비공식적경로, 구직노력과시간등에대해그차이를살펴보았다. 또취업성과에대해서는종사상지위, 업무내용과역량일치도, 업무내용과전공일치도, 취업목표와의일치도가계열에따라어떻게다른지분석하였다. 셋째, 취업의질적수준에영향을미치는요인을알아보기위해서로지스틱회귀분석을사용하였다. Ⅳ. 연구결과및논의 1. 전공계열에따른대졸청년층의구직과정차이분석 이연구는대졸청년층의구직과정을구직준비활동과구직경로로구분하여살펴보았다. 우선전공계열에따라구직준비활동에차이가있는지를분석하기위하여대학재학중전공과관련한직장경험이있는지, 진로 취업관련교과목수강경험이있는지, 취업및경력개발지원프로그램에참여해본경험이있는지를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전공계열에따른일경험, 교육경험의차이가통계적으로유의미하였다 (p<.01). 예체능계열의경우, 일경험이있는경우가 55.0% 로가장높았고, 교육계열 (41.2%), 인문계열 (31.6%), 자연계열 (27.6%), 공학계열 (24.9%), 사회계열 (24.4%), 의약계열 (17.0%) 순으로나타났다. 반면대학재학중진로 취업에관해학점이인정되는교과목을수강해본경험이있는경우는공학계열이 32.5% 로가장높았고, 자연계열 (31.8%), 사회계열 (28.7%), 인문계열 (27.6%), 교육계열 (24.5%), 의약계열 (24.4%), 예체능계열 (20.8%) 순으로나타났다. 취업및경력개발지원프로그램에참여해본경험이있는경우는자연계열 (32.9%) 이가장
대졸청년층의구직과정및취업의질적수준분석 : 전공계열별차이를중심으로 65 높았고, 사회계열 (32.8%), 공학계열 (31.5%), 인문계열 (30.5%), 예체능계열 (16.0%), 교육계열 (15.5%), 의약계열 (15.3%) 순으로나타났다 ([ 그림 2] 참고 ). 이상의내용을종합해보면, 예체능계열의경우학생들의대학재학중일경험은타전공에비해높으나대학에서제공해주는진로및취업관련프로그램및교육과정의참여는상대적으로낮은것을알수있다. 이는대학에서제공하고있는취업관련프로그램이전공계열의특성이반영된프로그램이기보다는취업일반에관한내용으로구성되어있기때문으로추정해볼수있다. 이공계열은타전공에비해대학재학중일경험은상대적으로낮으나, 대학에서제공해주는진로및취업관련프로그램및교육과정참여는상대적으로높은것을발견할수있다. [ 그림 2] 전공계열에따른대졸청년층의구직준비활동 ( 일경험, 교육경험 ) 차이 전공계열에따른취업사교육실태를살펴보면, 의약계열 (15%) 과예체능계열 (25.6%) 을제외한나머지전공계열에서약 30~33% 정도의대졸청년층이대학재학중취업을위해학원을다녀본경험이있다고응답하였다. 어학연수경험은전공계열의성격으로인해인문 사회계열이타전공에비해높게나타났으며, 교육계열은교원임용시험준비로인해공무원및공단 ( 사 ), 교원임용시험준비경험이높게나타난것으로추측된다.
66 職業能力開發硏究第 14 卷第 3 號 [ 그림 3] 전공계열에따른대졸청년층의구직준비활동 ( 사교육, 어학연수, 시험준비 ) 차이 전공계열에따른구직경로의차이를살펴보면 < 표 4> 와같다. 본연구에서는구직경로를크게공식적구직경로와비공식적구직경로로구분하여살펴보았다. 공식적구직경로에는공개채용시험, 회사의특별채용, 신문 잡지 인터넷등을보고지원한경우, 직업알선기관의취업알선, 취업박람회를통한취업이해당하고, 비공식적구직경로에는학교선생님이나가족및지인등의소개및추천, 가족사업참여가이에해당된다. 공식경로에의해취업한경우는의약계열 (79.1%) 과교육계열 (78.6%), 공학계열 (78.1%) 이높게나타났고, 비공식경로에의해취업한경우는예체능계열 (40.0%) 이가장높게나타났다. 구직을위해사용된주당평균시간을살펴보면인문계열이주당평균 10.24 시간, 사회계열이 10.11 시간으로가장오랜시간을투자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으며, 의약계열의경우 6.18 시간이소요되어전공계열중가장단시간이소요되는것으로나타났다. 취업원서를낸횟수는전공계열에따라통계적으로유의미한차이가나타나지않았다. 전체평균약 19회정도로취업원서를낸것으로나타났다. < 표 4> 전공계열에따른구직경로차이 현직장취업하는데일자리를찾기위한구분가장주된방법주당평균시간 취업원서를낸횟수 비공식경로 공식경로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인문계열 324(26.4) 902(73.6) 10.24 12.886 18.81 53.245 사회계열 416(21.0) 1,569(79.0) 10.11 13.058 20.62 47.389 교육계열 115(21.4) 422(78.6) 8.07 11.865 14.62 87.831 공학계열 514(21.9) 1,834(78.1) 9.55 11.561 18.83 54.483 < 표계속 >
대졸청년층의구직과정및취업의질적수준분석 : 전공계열별차이를중심으로 67 현직장취업하는데가장주된방법 일자리를찾기위한주당평균시간 구분 취업원서를낸횟수 비공식경로 공식경로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자연계열 318(27.7) 832(72.3) 9.21 11.741 17.71 63.344 의약계열 82(20.9) 310(79.1) 6.18 8.766 14.28 95.746 예체능계열 333(40.0) 500(60.0) 8.19 12.309 17.99 96.144 계 2,102(24.8) 6,369(75.2) 9.42 12.190 18.65 62.887 통계값 x 2 =142.410, df=6, p=0.000 F=5.485, p=0.000 F=0.621, p=0.713 2. 전공계열에따른대졸청년층의취업성과차이분석 전공계열에따른대졸청년층의취업성과차이분석은현직장에서의종사상지위, 업무내용과역량일치도및전공일치도, 취업목표와의일치여부등을중심으로살펴보았다. 다변량분산분석 (MANOVA) 을실시한결과, Wilk's Λ값은.912 이고검증통계량이유의한것으로나타났다. 분석결과를살펴보면, 전공계열에따라종사상지위, 역량일치도, 전공일치도및취업목표일치도에있어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나타났다. 전공계열에따라유의한차이가나타나는지알아보기위해 Dunnett T3 사후분석을실시하였다. < 표 5> 전공계열에따른취업의성과차이 : 집단간평균비교 변수 Wilk's Λ F 종사상지위 51.34*** 역량일치도.912 5.80*** 전공일치도 (F=32.85***) 67.19*** 취업목표일치도 38.43*** ***p<0.001 통계적유의성을바탕으로구체적인기술통계결과를제시하면다음과같다. 우선현직장에서의종사상지위를살펴보면다음과같다. 임금근로자의종사상지위는크게세가지로구분해볼수있는데, 근속기간이 1년이상인상용직직원, 임금근로자중상용이아닌자로고용계약기간이 1개월이상 1년미만인사람인임시직직원, 그리고끝으로고용계약기간이 1개월미만인일용직직원으로구분해볼수있다. 본연구에서는상용직직원을정규직직원으로, 임시직직원및일용직직원을비정규직직원으로이원화하
68 職業能力開發硏究第 14 卷第 3 號 였다. 예체능계열의경우임시직또는일용직의고용형태 (20.2%) 가타전공에비해상대적으로높게나타나고있다. 앞서서살펴본바와같이예체능계열에서는비공식적경로에의한취업이타전공계열에비해높게나타나고있고, 이와더불어비정규직형태의고용형태가높은상황을살펴볼때타전공계열에비해이들의취업실태가상대적으로불안정함을알수있다. 교육계열의경우에는기간제교원등의형태로인해비정규직형태가타전공에비해상대적으로높게나타났다. 공학계열, 의약계열및사회계열의경우정규직의고용형태가타전공에비해상대적으로높게나타났다. 전공계열에따른업무내용과역량일치도및전공과의일치도를비교 분석한결과는다음과같다. 업무내용과역량일치도의경우, 의약계열이 71.7% 로상대적으로높고, 사회계열의경우가 59.0% 로낮게나타났다. 전공일치도를살펴보면, 의약계열과교육계열의경우각각 94.8%, 86.9% 로높게나타났으나, 인문계열은 58.5% 로낮게나타나고있어타전공계열에비해전공과상관없는직무에종사하는경우가높음을알수있다. 한편재학중설정한취업목표와실제직업과의일치여부에대해살펴보았는데, 여기서취업목표란 대학을졸업하기이전에희망한미래의일자리또는직업 을의미한다. 그결과, 의약계열의경우 89.5% 로가장높게나타났고, 교육계열이 82.2% 로높게나타났으나, 인문계열 (61.6%) 및자연계열 (61.2%) 등순수학문계열의경우상대적으로낮게나타나고있어이들에대한향후진로교육및전공과연계된직업에대한정보제공등이필요하다는점을알수있다. [ 그림 4] 전공계열에따른취업의성과차이
대졸청년층의구직과정및취업의질적수준분석 : 전공계열별차이를중심으로 69 3. 취업의질적수준에영향을미치는요인 대졸청년층취업의질적수준에영향을미치는요인에대한로지스틱회귀분석결과는다음과같다. 우선, 개인특성변인을살펴보면남성이여성에비해, 그리고학점이높을수록전반적인취업의질적수준이높게나타났다. 가계소득의경우, 가계소득이높을수록종사상지위및취업목표일치도가높게나타나고있다. 대학특성에있어서는수도권에위치한대학일수록종사상지위, 전공일치도및취업목표와직장일치도가높게나타났다. 전공계열별종사상지위를살펴보면, 사회계열, 공학계열, 자연계열, 의학계열이유의미한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 공학계열이인문계열에비해정규직에종사할확률이 4.3 배, 의학계열이 2.5 배높았다. 취업목표일치도의경우교육계열, 공학계열, 의학계열, 예체능계열이유의미한영향을미쳤으며, 특히의학계열이인문계열에비해취업목표일치확률이약 6배정도높았다. 전공일치도에있어서도의학계열이인문계열에비해 15.4 배정도높게나타났다. 이상의결과를종합해보면, 의학계열의취업성과가높음을확인할수있고, 교육계열의경우취업목표일치도, 역량일치도, 전공일치도에서높은성과를보이고있다. 반면인문계열, 자연계열, 예체능계열의경우타전공에비해취업성과가상대적으로낮게나타나는데, 이는순수학문의경우전공내용과직접적으로연계된구직시장의규모가상대적으로작아타전공계열에비해전공과연계된구직활동이어렵기때문으로추정해볼수있다. 구직과정참여에따른취업성과를살펴보면, 종사상지위에있어서는취업프로그램참여, 어학연수경험및공식적인구직경로가유의미한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 특히공식경로에의해취업한경우정규직일확률이약 2.3 배더높았으며, 취업목표일치도의경우재학중일경험, 사교육경험, 구직경로가유의미한영향을주었다. 일경험이있는경우에재학중취업목표와직장의일치도는약 1.2 배높게나타났으나, 사교육경험이있는경우는부의상관관계를보이고있다. 이는대졸청년층이취업을위해다양한사교육에참여하고있으나, 구체적인목표설정없이취업에대한불안으로막연하게학원등사교육에참여하고있기때문으로추정해볼수있다. 역량일치도에있어서는구직과정이통계적으로유의미한영향을미치지못하는것으로나타났다. 다만공식적인경로를통한구직의경우역량일치도에유의하였다. 이상의구직과정에따른취업성과를종합해보면, 구직경로가공식경로인경우와재학중일경험을해본경우가성과가높게나타나고있음을확인할수있다. 대기업을중심으로신입사원채용시인턴제를통한채용이확대되
70 職業能力開發硏究第 14 卷第 3 號 는등의채용시장변화와더불어전공과연계된취업이활성화되기위해서는전공과관련된다양한일경험이요구되며, 이러한경험의장은더욱확대될것으로예견된다. < 표 6> 취업의질적수준에영향을미치는요인 취업목표종사상지위역량일치도전공일치도구분일치도 B Exp(B) B Exp(B) B Exp(B) B Exp(B) 성별 ( 남성 ).687*** 1.988.176** 1.193.162** 1.176.281*** 1.324 학점.014** 1.014.009** 1.009.027*** 1.028.024*** 1.024 부학력대졸 -.120.887.183** 1.201.081 1.085.155* 1.168 고졸 -.019.981.125* 1.133 -.021.979.046 1.047 중졸이하 ( 준거 ) 가계소득 500만원이상.635*** 1.886.109 1.115 -.131.877.254** 1.289 200만원이상 500만원미만.307** 1.360.148* 1.160.002 1.002.155* 1.168 200만원미만 ( 준거집단 ) 소재지 ( 수도권 ).432*** 1.540 -.014.986.166** 1.181.191*** 1.211 전공계열사회계열.590*** 1.804 -.085.919.582*** 1.790.148 1.159 교육계열 -.118.889.371** 1.449 1.511*** 4.531 1.046*** 2.846 공학계열 1.460*** 4.307 -.002.998.937*** 2.552.505*** 1.656 자연계열.423** 1.527 -.005.995.325*** 1.384.060 1.062 의학계열.909*** 2.482.510*** 1.665 2.733*** 15.381 1.754*** 5.778 예체능계열 -.008.992 -.059.943 1.012*** 2.752.552*** 1.737 인문계열 ( 준거 ) 구직과정재학중일경험 -.026.974 -.054.947.443*** 1.557.171** 1.186 진로관련교과목수강 -.114.892 -.059.943.010 1.010 -.107.899 취업프로그램참여.311** 1.364 -.60.942 -.024.976 -.044.957 재학중사교육경험.138 1.147.029 1.029 -.070.932 -.131*.877 어학연수경험.271* 1.312.006 1.006 -.006.994.003 1.003 구직경로 ( 공식경로 ).851*** 2.341.328*** 1.388.243*** 1.275.512*** 1.668 상수 (Constant) -1.004**.366 -.855***.425-2.348***.096-2.280***.102-2로그우드 4,912.684 10,754.756 8,957.290 9,293.273 Nagelkerke R 2.147.021.101.079 사례수 8,103 8,103 8,103 7,902
대졸청년층의구직과정및취업의질적수준분석 : 전공계열별차이를중심으로 71 Ⅴ. 논의 이러한연구결과를통해살펴본논의사항은다음과같다. 첫째, 거시적인관점에서는무엇보다관련정부부처와산하기관, 연구기관, 기업체, 대학내경력개발센터등유관기관들의네트워크를강화할필요가있다. 특히최근각대학이경력개발센터를건립하여운영하고는있으나, 대학내경력개발센터에서취업지원을담당하는직원들의경우상당수가기대수준에비해역량이부족하고, 전문성함양에대한요구가높은것이현실이다 ( 박진영, 2008). 대학내경력개발센터는그역할의중요성을인식하고노동시장에대한광범위한정보수집과네트워크기능을바탕으로보다실질적인지원을지속할필요가있다. 둘째, 전공계열에따른구직과정의차이를살펴보면, 이공계열의경우대학에서제공하는진로나취업프로그램에참여하는비율은높지만실제일경험비율은낮았다. 이에비하여예체능계열에서는재학중전공관련일경험은높지만교내프로그램참여비율은낮게나타났다. 예체능계열의경우, 재학중에개인교습같은아르바이트경험을많이하면서도이러한경험이공식적구직성과와는무관하고대학에서도이들을위한진로개발프로그램등은제공해주지못하고있음을보여준다. 이들은구직경로또한비공식적인경우가많고취업목표일치도역시낮게나타나는등상당부분본인들의노력으로구직활동을하고있음을짐작해볼수있다. 최근많은대학들이경력개발센터등을통해대학차원에서진로나취업을지원해주고는있으나, 대개여기서는기업체의채용공고등을안내하거나흥미나적성검사등을통해취업의일반적역량을지원해주는역할을한다. 특히구직공고의경우, 일정규모이상의기업체나특정산업위주의직원채용안내가이루어지고있기때문에사실상이러한성격과맞지않는계열의경우에는실질적도움을받지못할수있다. 따라서전공계열의성격을고려한단과대차원의취업지원노력이병행되어야할것이다. 예를들어해당분야에서필요로하는자격증이수과정을지원하거나, 각전공의성격에맞는차별화된인턴십기회를제공할수도있다. 셋째, 인문계열, 자연계열, 예체능계열의경우타전공계열에비해구직성과가낮고,
72 職業能力開發硏究第 14 卷第 3 號 역량일치도, 전공일치도등이전반적으로낮게나타났다. 이는무엇보다해당분야의취업시장이상대적으로좁기때문이지만, 취업이가능한분야가있더라도이분야의노동시장에대한종합적, 정기적인정보제공이상대적으로부족한문제도있다. 즉, 대학차원에서제공되는구직정보는대개생산 / 제조업, 마케팅, IT 등수요가많은분야의기업체수준에서이루어지는경우가많기때문에, 전공과연계된다양한직업세계에대한정보가지속적으로제공된다면이들계열에서도취업성과를높여줄수있을것이다. 물론해당전공계열의제한된노동수요를고려할때, 직업세계에대한정보제공만으로는취업성과를높여주기가어렵고, 이분야와관련된일자리창출및일자리의질적제고를위한정책수단도함께고려되어야할것이다. 넷째, 위에서제시한공급측면의제언과더불어수요측면에서의변화도함께이루어져야할것이다. 즉관련기관과개별대학이많은노력을기울인다고가정하여도실제로전공일치도의차이는선행적성격이강하고, 계열에따라서는전공수업에대한부담이나대학경력개발센터의프로그램참여비율등도다르다. 실제로각전공계열에서배출하는인력과직업수요간의불일치는노동시장구조가변화하는동안과거의학과정원은그대로유지된데에서오는문제가크다. 장기적관점을바탕으로노동시장의수요를고려한대학내부차원에서의구조조정도함께고려되어야할것이다. 다섯째, 사교육경험의경우, 의약계열을제외하고는전공계열에관계없이대체적으로 30% 내외의높은참여비율을나타내고있었다. 이는전공계열에따른사교육비지출규모를비교 분석한이정미 (2010) 등의연구결과와일부일치하면서이러한사교육이실제로취업의질적성과에는영향을주지않음을추가적으로보여준다. 즉, 대졸자들이취업에대한막연한불안감등으로학원에서외국어나자격증대비를하고있지만, 이것이취업의질적성과와는관계가없는것이다. 무조건적인사교육보다진로설계와전공관련취업을위한체계적인준비가우선적인과정임을알게해준다. 여섯째, 재학중전공관련일경험은취업의질적수준에긍정적영향을주었다. 다만김동규 (2008) 의지적과같이, 상당수대학생들이자신의취업목표와는상관없는분야에서근로경험을함으로써그효과를반감시키는경우가있기때문에, 대학생들이취업목표와일치되는분야에서근로경험을하도록하는지원시스템마련이필요하다. 자신이세운진로계획에따라근로경험제공기관을선택하는데도움을주거나, 전공관련직장체험을학점으로인정하는등의실질적도움이필요한것이다. 일반적으로대졸청년층은대체적으로직업지위가높은전공분야의전문직, 대기업, 정
대졸청년층의구직과정및취업의질적수준분석 : 전공계열별차이를중심으로 73 규직, 고소득직종에종사하기를희망하지만, 실제로졸업생들이취업하는일자리는희망수준에미치지못하는경우가많고, 이는직업불만족이나이직으로이어지는경우가많다. 따라서재학시절부터올바른취업정보를제공하고, 이에대한상담이나취업지원의노력이필요하다 ( 김창환, 2008). Ⅵ. 결론 이연구는대졸청년층의구직과정및취업의질적수준을분석하고, 특히이러한특성이전공계열에따라어떻게다른지를살펴보았다. 구직과정의경우, 대학재학중의일경험과교육경험, 구직경로등을살펴보고, 이중교육경험은학교내교육참여와사교육참여로구분해보았다. 취업의성과와관련하여서는주로임금성과에초점을맞추어온선행연구들과달리취업의질적성과를통하여측정하였다. 취업의질적성과는종사상지위, 업무내용과역량수준, 전공일치도, 취업목표와의일치도등으로측정하였다. 그결과, 실제로전공계열에따라구직과정에많은차이가있었으며, 상대적으로취업이보장된의약계열의경우취업을위한별도의준비를거의하지않는반면, 그외계열은다양한방법으로재학당시부터취업준비를하는것으로나타났다. 예체능계열의경우재학중전공관련일경험은다양한반면, 교내에서제공해주는프로그램참여율은저조하였고, 반대로공학계열에서는일경험이적은반면교내프로그램참여율은높게나타났다. 이는대학에서제공해주는취업및진로프로그램이상대적으로특정계열에유리하게구성되었을것이라는예상을가능하게한다. 그밖에교육계열의경우시험준비를위한학원수강비율이월등히높게나타났으며, 인문계열과자연계열의경우업무내용과자신의역량일치도에서낮은성과를보였다. 취업의질적수준에영향을미치는요인과관련하여성별이나학점, 가정배경, 학교특성등은선행연구에서밝혀진바와크게다르지않았으며, 전공계열의경우의약계열및공학계열이취업의질적성과에서유리한반면자연계열, 인문계열, 예체능계열등은상대적으로불리한것으로나타났다. 최근많은대학들은재학생의취업지원을위해다양한프로그램을개발하고행 재정
74 職業能力開發硏究第 14 卷第 3 號 적지원을높여가고있다. 또정부도정보공시제등을통하여대학의취업률을중요한성과지표로공개하도록하고있으며, 교육역량강화사업등정부정책에반영하고있다. 그러나이러한지원프로그램이특정계열에는유리할수있지만, 다른계열학생들에게는실질적인도움이못되어이들은사교육참여와같은별도의취업준비를하게된다. 취업관련정보가기업체채용공고와같은제한적인정보에머무르거나, 일반적인적성이나진로검사에만관심을둠으로써계열별로다양한취업가능성이나경로에대해서는정보가부족한편이다. 그러한맥락에서본연구는대졸청년층의구직과정이전공계열에따라어떻게다른지를분석하고, 취업성과의상당부분이전공계열차이에서온다는것을밝힘으로써취업에유리한계열외에다른계열에도보다구체적인관심과지원이필요함을지적해주고있다. 이러한시사점에도불구하고본연구는다음과같은한계점을지니고있다. 첫째, 본연구는연구대상을 4년제대졸청년층으로한정하였기때문에 2년제대학졸업생을포함하여대학의유형및특성을고려한심층적인분석을필요로한다. 둘째, 이연구에서는취업의질적수준을네가지로분류하여살펴보면서전공계열에따른차이점을일반적수준에서논의하였으나, 이들변인은각각하나의주제로심도있게다루어질필요가있다. 즉세부영역에따라구체적인특징이어떻게다르고, 또그원인은무엇인지에관한심도있는논의가추가되어야할것이다. 또한이연구는일반적인계열분류기준에따라전공계열을 7개분야로분류하였으나, 각각의분야에서도세부전공에따른취업과정상특징은달라질수있다. 따라서연구대상을특정분야로한정하고심도있는질적연구등을보완한다면해당분야의취업문제에대한깊이있는논의가가능할것이다. 셋째, 본연구에서는취업의질적성과를주로업무내용일치도등을통해서파악하였는데실제직장에대한만족도, 이직의도등을포괄한다면질적성과에대한논의가더욱풍부해질것이다. 더불어후속연구에서는기업의채용기준및채용방식에따라대학생의구직준비활동이나대학생활이어떻게달라지고, 이것이전공계열에따라어떻게영향을주는지등에관한인과관계를밝힐필요가있다.
대졸청년층의구직과정및취업의질적수준분석 : 전공계열별차이를중심으로 75 참고문헌 강승복 (2008). OECD 국가들의청년층노동시장, 노동리뷰, 82~83쪽.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교육개발원 (2009). 교육통계연보. 한국교육개발원. 권혜자 (2009). 대졸미취업자의유형별취업확률과임금수준 : 청년층취업준비생과 NEET를중심으로, 2009 한국고용정보원고용동향조사 (OES, YP, GOMS) 심포지엄. 김경식 이현철 (2008). 대졸자의취업준비가소득및직업지위결정에미치는영향, 제1 회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심포지엄발표대회. 한국고용정보원. 김동규 (2008). 근로경험이취업효과에미치는영향, 제1회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심포지엄발표대회. 한국고용정보원. 김수리 박미진 (2008). 대졸자의구직성과에영향을미치는요인에관한연구, 제1회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심포지엄발표대회. 한국고용정보원. 김우영 (2002). 학력, 훈련, 아르바이트, 자격증의경제적효과 : 청년층의취업과소득을중심으로, 제1회산업직업별고용구조조사및청년패녈심포지엄자료집. 한국고용정보원. 김정숙 (2008). 취업준비활동의결정요인및직업이행효과, 제1회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심포지엄발표대회. 한국고용정보원. 김종성 이병훈 (2009). 대졸자의일자리진입결정요인에관한연구 : 구직활동방식의효과성비교를중심으로, 2009 한국고용정보원고용동향조사 (OES, YP, GOMS) 심포지엄. 김태기 류장수 이종훈 이영대 (2005). 청년층의노동시장이행과인적자원개발 : 대학재학생의취업준비실태와정책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태일 (2009). 대학생의공무원시험준비가재학및취업행태에미치는영향, 2009 한국고용정보원고용동향조사 (OES, YP, GOMS) 심포지엄. 김형만 교육인적자원부 (2002). 국가인력수급중장기계획정책연구, 교육인적자원부인적자원정책국.
76 職業能力開發硏究第 14 卷第 3 號 남재량 (2006). 청년실업의동태적특성과정책시사점, 노동리뷰, 22~33 쪽. 민혜리 (2003). 대학에서의취업준비과외학습의유형과비용에관한연구, 교육사회학연구, 제13권제2호, 133~149쪽. 박가열 (2008). 대졸청년층취업가능성지수개발기초연구, 한국고용정보원. 박성재 반정호 (2006). 대졸청년층취업준비노력의실태와성과, 한국인구학, 제29권제3호, 29~50 쪽. 박성준 (2004). 이공계기피현상에대한원인분석 : 이공계졸업생의노동시장성과를중심으로, 노동경제논집, 제27권제1호, 55~76 쪽. 박성준 (2005). 청년실업의현황과원인분석, 한국경제연구원. 박진영 (2008). 대학취업지도자의직무역량개발을위한탐색적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안주엽 홍서연 (2002). 청년의학교졸업후구직기간분석, 노동정책연구, 제2권제1 호, 19~46 쪽. 이기엽 최문경 (2008). 대학졸업에서첫직장까지, 제1회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심포지엄논문집. 이기종 김은주 (2006). 취업및미취업을결정하는요인탐색, 교육논총, 제26권제1호, 17~37 쪽. 이정미 (2010). 대학생의과외사교육참여와사교육비지출규모의계열별차이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제19권제2호, 65~94쪽. 이희숙 (2008). 고등교육투자수익률분석 : Mincer 의소득함수모형을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대학원임천순 양병무 (2006). 대학졸업생의직업세계로의이행과취업에관한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제3호, 1~26 쪽. 장원섭 김형만 옥준필 (2000). 학교에서직업세계로의이행에관한연구 (Ⅱ),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장원섭 (2004). 대학생의노동시장준비행동변화에대한탐색. 직업교육연구, 제23권제1호, 103~118쪽. 정지선 김훈호 (2010). 대학생의사교육참여및지출에영향을미치는변인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제18권제3호, 89~122 주무현 강민정 박세정 (2008). 대학생직업선호실태조사, 한국고용정보원인력수급전
대졸청년층의구직과정및취업의질적수준분석 : 전공계열별차이를중심으로 77 망센터. 채창균 김안국 오호영 (2005). 청년층의노동시장이행과인적자원개발 (Ⅰ)- 대졸청년층의노동이동,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홍영란 이남철 신범석 (2002). 기업의직원채용및승진등에학벌이미치는영향, 한국교육개발원. Garcia-Espejo, I. & Ibanex, M.(2005). Educational-skill matches and labour achievements among graduates in Spain.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Vol.22 No.2, pp. 141~156. McLaughlin, G. W., Hunt, W. K. & Montgomery, J. R.(1976). Socioeconomic status and career aspirations and perceptions of women seniors in high school, Vocational Guidance Quarterly, Vol.25 No.2, pp. 155~162. Oettinger, G.(1996). Statistical discrimination and the early career evolution of the black-white wage gap, Journal of Labour Economics, Vol.14, pp. 52~78. Pascarella, E. T., Pierson, C. T., Wolniak, G. C. & Terenzini, P. T.(2004). First-generation college students: Additional evidence on college experiences and outcomes, Journal of Higher Education, Vol.75 No.3, pp. 249~284. Reimer, D., Noelke, C. & Kucel, A.(2008). Labor market effects of study in comparative perspective: An analysis of 22 European count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arative Sociology, Vol.49. No.4-5, pp. 233~256. Rumberger, R. W. & Thomas, S. L.(1993). The economic returns to college major, quality and performance: A multi-level analysis of recent graduates, Economics of Education Review, Vol.12, pp. 1~19. Sewell, W. H., Haller, A. & Straus, M.(1957). Social status and educational and occupational aspira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22 No.1, pp. 67~73. Shin, J. C. & Milton, S.(2008). Student response to tuition increase by academic majors: empirical grounds for a cost-related tuition policy, Higher Education, Vol.55 No.6, pp. 719~734. Wolbers, M. J.(2003). Job mismatches and their labour-market effects among schoolleavers in Europe,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Vol.19 No.3, pp. 249~266.
78 職業能力開發硏究第 14 卷第 3 號 abstract Analysis of College Graduate s Job Search Processes and Quality of Employment: Focusing on the Differences Across Academic Majors Jung Jisun Lee Soojeung Shin Jungcheol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job search processes and quality of employment of college graduate focusing on the differences across academic majors. In this study, the job search processes were considered job preparation activities (educational background and previous working experience of college graduates) and employment path (method, time and effort). In addition, the quality of employment conditions was regarded as five sub-units: employment status, matching between job and employment goals, education levels, technology levels, and academic majors. To analyze the differences across academic majors and effect on quality of employment, descriptive statistics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The study found that the job search processes and the quality of employment are represented different results according to the graduate s academic major. The determinants of quality in employment conditions are also considerably depending on academic majors. Therefore, the findings suggested that each university should make diverse career development programs for graduate with consideration for academic majors. Key word: University graduate youth, School to work, Job search processes, Employment conditions, Academic maj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