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07, Vol. 8, No. 1, 147-160 편집성향집단의애착, 우울및역기능적대인관계 정화숙 장문선 영남대학교 경북대학교심리학과 본연구는편집성향집단의애착, 우울및역기능적대인관계와의관련성을체계적으로탐색하기위해첫째, 편집성향집단과비편집집단간의애착유형분포를비교해보고둘째, 대인관계변인을요인분석을통해외현적 경계적문제로구분한후애착, 우울및편집증상과의관계를살펴보았다. 셋째, 애착, 우울및편집증간의가설적관계를경로분석을통해검토해보고넷째, 편집성향집단의외현적 경계적대인관계문제에미치는애착, 우울의영향력을경로분석을통해비편집집단과비교해보았다. 연구결과는다음과같다 : 첫째, 편집성향집단은비편집집단에비해애착유형에서몰입형과두려움형이더많았다. 둘째, 상관분석결과, 편집증상은애착 -불안, 애착-의존과높은상관을보였고, 우울, 외현적 경계적대인관계문제와도높은상관을보였다. 셋째, 애착, 우울이편집증상에미치는영향력을경로분석을통해검증한결과, 애착은편집증상에직접적영향을미치기도하고, 우울의매개작용을거친간접적영향또한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 넷째, 편집성향집단과비편집집단각각에대한경로분석결과, 편집성향집단의경우외현적대인관계문제에있어서는애착이우울을거쳐영향을미치는경로가유의하였고애착과외현적대인관계문제의직접적경로는유의하지않았다. 반면, 경계적대인관계문제에있어서는우울을거친경로는유의하지않았고애착과대인관계문제의직접적경로만이유의하였다. 한편, 비편집집단에대한경로분석결과, 애착이외현적 경계적대인관계문제에직접적으로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 또한경계적대인관계문제에있어서는애착이우울의매개작용을거쳐간접적으로영향을미친반면, 외현적대인관계문제에있어서는우울의매개효과가나타나지않았다. 이결과는편집성향집단의경로분석결과와는상반되는것이다. 주요어 : 편집성향, 애착, 우울, 경계적대인관계문제, 외현적대인관계문제 교신저자 (Corresponding Author): 정화숙 / 영남대학교심리학과 / 경북경산시대동 214-1 번지 Tel: (053) 810-2230 / E-mail: star-jhs@hanmail.net - 147 -
편집증상은연속선상 (spectrum) 의심리현상이다. 즉, 의심하는생각을가끔보이는정상인수준에서부터의심이많은인지스타일을보이는편집성향 (paranoid tendency), 이러한인지스타일이매우강해효과적인행동에손상을보이는편집성성격장애 (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특정영역에서안정적이고만성적인망상체계를가졌으나다른모든영역에서는현실검증이양호한망상장애 (delusional disorder), 단편적인여러가지망상을보이고뚜렷한연상이완, 환각및현실왜곡을보이는편집형정신분열증 (paranoid schizophrenia) 에이르기까지여러수준으로나누어질수있다 (Sarason & Sarason, 1987; 이훈진, 1997; 이훈진, 이명원, 2000). 한편, 편집증을증상의심각도에따라분류하고자한상기의시도와는달리, 편집증을발현시키는고유한특성들의조합에근거하여각기다른하위집단으로구분하고자한경험적연구들은편집증을경계형 (guarded paranoia) 대외현형 (frank paranoia)( 이현우, 이훈진, 2006), 자기개념이높고낮은집단 ( 이훈진, 2002a), 우울을동반하거나하지않는집단 ( 이훈진, 원호택, 1998; 이훈진, 1999, 2000a), 그리고처벌형대피해형 (Chadwick, Birchwood, & Trower, 1996; Chadwick & Trower, 1996) 등으로구분하고있다. 경계형편집증과외현형편집증으로편집집단을구분할필요성은실제임상장면에서접하게되는편집집단의특성이자신의증상을인정하지않고방어하고자신의도덕적정당성을내세우는집단과, 자신의예민성과의심등편집성향을비교적솔직하게시인하는집단으로구분된다는사실로부터기인된다. 예컨대, 경계형집단은 MMPI 의편집 (Pa) 척도의하위요인에서피해의식, 예민성과관련되어있는비교적명백한문항들에서는자신의증상을인정하지않고방어하므로낮은 점수를보이는반면, 겉으로보기에편집증과는무관해보이고자기정당성을주장하는내용으로이루어진순박성소척도에서는높은점수를보이는등자신의편집적사고를부인하고정당성을주장하는태도를보인다. 반면, 외현형집단은이와는달리자신의문제나증상을솔직하게보고하고인정하는특성을갖는데이들은심리검사나면담과정에서도분노감이나예민성, 의심등의특성들을드러낸다. 경계형집단은외현형집단에비해자기개념이적어도겉으로는긍정적이며우울점수는낮은성향을보인다. 반면편집점수는외현형집단이경계형집단보다더높다 ( 이현우, 이훈진 2006). Chadwick et al., (1996) 도이와유사한특성을보이는두편집증유형을기술하였다. 즉, 피해 (persecutory) 편집증과처벌 (punishment) 편집증간의구분은편집집단의자기및타인표상의긍정, 부정측면을고려한것이다. 피해편집증은타인을비난하고자신을피해자로보아, 내가제대로인정받지못한다. 는생각을가지는반면, 처벌편집증은자신을나쁘다고보고자신을비난하며다른사람이자신을벌하는것이정당하다고보아, 나는나쁘고무가치하다. 는생각을갖는다. 이러한구분은편집점수와우울점수를바탕으로편집- 우울집단과편집집단으로구분한이훈진과원호택 (1998) 의연구및대학생편집성향집단을대상으로군집분석과자기개념수준에따른하위집단구분을시도한이훈진 (2002a) 의연구에서도간접적으로지지를받고있다. 편집집단을하위유형으로구분하고자한선행연구들을종합해보면, 피해편집증과경계형편집증의특성이유사하고처벌편집증과외현형편집증이유사한특성을공유하는것으로볼수있다. 또한자기개념이높은집단은경계형과, 낮은집단은외현형과유사하다고할수있다. 다시 - 148 -
정화숙 장문선 / 편집성향집단의애착, 우울및역기능적대인관계 말하면, 편집증을그고유한증상특성에따라두개의하위집단으로구분할수있음을알수있는데, 이들집단은대체로자기개념이부정적이고우울과분노감을보이면서자신의편집성향을의식수준에서인식하고있는집단 ( 외현형집단 ) 과반대로자기개념이긍정적이고타인에대한경계적냉소적적대감을드러내며자신의증상을제대로인식하지못하는집단 ( 경계형집단 ) 으로나누어질수있음을시사한다 ( 이현우, 이훈진, 2006; 이현우, 2005). 이처럼편집집단의특성이우울, 자기개념및방어적측면에따라구분되는것처럼편집성향집단의대인관계문제또한이러한맥락에서구분할수있다. 따라서이들집단의특성에따라대인관계문제성질도차이가날것으로가정하여대인관계문제검사의여러변인들을요인분석을통해경계적대인관계문제와외현적대인관계문제변인으로선정하였다. 즉, 이들이나타내는대인관계문제는크게외현적측면 ( 공격적이고타인에게침해적인관여를하는것 ) 과경계적측면 ( 적대적냉소주의와자기개방및사회적관계의회피를나타내는것 ) 으로대별될수있을것이다. 편집성향집단의대인관계문제발현에기여하는핵심적변인으로선행연구에서는주로애착의불안정성과우울을집중적으로다루고있다. 불안정애착은다양한정신병리와관련되어있으며, 특히부정적자기개념및타인개념의형성에중요한영향을미친다 ( 장휘숙, 1997). 특히애착유형과애착의질적측면과편집증상과의관계를다룬연구들에따르면편집성향집단은정상집단에비해몰입형과두려움이현저히많고, 애착- 불안수준이높으며애착 -의존가능성차원은더낮게나타났다 ( 이훈진, 2002b). 이들연구는애착이편집증상의형성에직접적으로영향을미칠수있음을가정한다. 한편, 애착이우울을거쳐편집증상의 형성에영향을미친다는견해도있는데, 이들연구는초기애착의불안정성으로인해자기표상과타인표상에문제가발생하며, 이것이내적작동모델에의해지속되면서부정적자기개념과우울감을경험하게된다는것이다. 이때이러한감정에대한극단적이고외부적인방어적귀인은편집증의형성과관련되며, 이러한부정적감정에대해내부적인귀인을할경우우울증상이출현하게된다고한다 (Bentall, Kinderman & Kaney, 1994; Mackinnon & Michels, 1971; Zigler & Glick, 1988) 즉, 우울과편집증은서로밀접한관련이있으며편집증이우울의위장된형태이거나우울과편집증이같은원인 ( 불쾌한기분이나낮은자존감 ) 에서시작된다고가정하였다. 다만이두증상의핵심적차이는이러한자존감저하나불쾌한감정에대한귀인양식에있다고보았다 ( 이훈진, 원호택, 1998). 앞선편집성향집단의하위유형 ( 외현형과경계형 ) 과애착, 우울의관계를고려해보면, 외현적대인관계문제는증상의발현과정에서우울감의인식과그에대한분노감및분노감의행동화와관련된다고가정할수있다. 반면, 경계적대인관계문제는우울에대한인식과그에대한방어과정이상대적으로덜작용하고오히려초기애착의불안정성에서기인한타인에대한불신, 내재화된냉소적적개심등의영향이더클가능성이있다. 즉편집성향집단이드러내는대인관계문제의표현도우울을통한경로와우울을거치지않은경로로나누어질가능성이있으며, 특히외현적대인관계문제의경우우울의매개작용이더크고경계적대인관계문제에있어서는우울의매개효과가상대적으로낮을것으로예상할수있다. 그러나편집집단의하위유형을구분하고자한시도나, 편집증상을우울, 애착등과관련지어단편적으로탐색하고자한연구는많지만, 편집성향 - 149 -
집단의역기능적대인관계문제를외현적 경계적측면으로구분하고이것이애착, 우울과각기어떠한관련성을보이는지를종합적으로검토한기존연구는없었다. 따라서편집성향집단의외현적 경계적대인관계문제들을일으키는요인으로서애착과우울의직 간접적영향의측면또는상대적기여도를체계적으로이해할수있다면, 이들이나타내는대인관계문제특성에따라치료과정에도차별적시사점을제공할수있으리라기대한다. 본연구에서는이런목적을위하여첫째, 편집성향집단과비편집집단간의애착유형에서의차이를비교해보고둘째, 대인관계변인을요인분석을통해외현적 경계적문제로구분한후애착, 우울, 편집증상과의관계를살펴보고자한다. 셋째, 경로분석을통해애착, 우울및편집증상과의관계를검증해보고넷째, 편집성향집단의외현적 경계적대인관계문제에미치는애착, 우울의영향력을경로분석을통해비편집집단과비교해보고자한다. 방법연구대상대구지역의 3개대학에서교직과목및심리학관련교양수업을수강하고있는 405명의남녀대학생을대상으로설문조사를실시하였다. 성별분포를보면남학생 128명, 여학생 277명이고, 평균연령은 21.82세였다. 이중편집척도점수에서상위 30% 를편집성향집단으로, 하위 30% 를비편집집단으로선발하였다. 그결과편집성향집단 119 명 ( 남34명, 여85명 ), 비편집집단 119명 ( 남42명, 여 77명 ) 이선발되었다. 검사도구한국형대인관계문제검사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 KIIP) 본연구에서사용한척도는개인이일상생활에서경험하는여러가지대인관계문제를종합적으로평가하고어려움을경험하는핵심적인대인관계문제를밝히고, 성격장애를선별하기위한자기보고형검사이다. 본연구에서는김영환, 진유경, 조용래, 권정혜, 홍상황, 박은영 (2002) 이표준화한한국형대인관계문제검사를사용하였다. KIIP는 8 개의원형척도 ( 통제지배, 자기중심성, 냉담, 사회적억제, 비주장성, 과순응성, 자기희생, 과관여 ) 와 5개의성격척도 ( 대인적과민성, 대인적비수용성, 공격성, 사회적인정욕구, 사회성부족 ) 로구성되어있다. 모든척도는 0점에서 4점까지의 5점척도로응답하게되며, 수검자는척도의내용이자신에게가장가까운정도에따라점수를체크하게된다. 각하위척도별의내적합치도 (Cronbach s α) 는통제지배 (C1).85, 자기중심성 (C2).80, 냉담 (C3).80, 사회적억제 (C4).86, 비주장성 (C5).82, 과순응성 (C6).82, 자기희생 (C7).75, 과관여 (C8).73, 대인적과민성 (C9).69, 대인적비수용성 (C10).77, 공격성 (C11).87, 사회적인정욕구 (C12).81, 사회성부족 (C13).87이었다. 대인관계문제척도가총 13개로너무많아서변인간의관계를체계적으로밝히기에어려운점이있어서대인관계변인을탐색적요인분석을통해외현적및경계적대인관계문제변인으로재구성하였다. 요인분석결과외현적변인은통제지배, 공격성및과관여로나타났고, 경계적변인은사회성부족, 사회적억제, 냉담및사회적인정욕구로구성되었다. 1) 편집척도 (Paranoia Scale) 본연구에서사용한척도는이훈진과원호택 - 150 -
정화숙 장문선 / 편집성향집단의애착, 우울및역기능적대인관계 (1995) 이제작한척도로피해의식을중심으로편집증적경향성을측정한다. 이척도는 MMPI를기초로제작된 20개의문항으로구성되어있으며각문항은 0점에서 4점까지 5점척도상에서응답하도록되어있다. 총점의범위는 0점에서 80점이다. 본연구에서편집척도의 Cronbach s α는.91 이었다. 성인애착척도 (Adult Attachment Scale: AAS) 본연구에서는 Collins 와 Read(1990) 가 Hazan과 Shaver(1987) 의이론에근거해개발한검사로 18문항으로구성되어있으며, 애착- 친밀, 애착- 불안, 애착- 의존의 3가지질적애착수준을측정한다. 본연구에서는김선희, 오경자, 박중규및이은정 (2001) 이번안한척도를사용하였다. 애착- 의존척도는내가필요로할때상대방이가용하고의존할수있는존재라는믿음의정도를측정하고애착-불안척도는내가사랑받지못하거나버림받는다는것에대해불안하게느끼거나두려워하는정도를, 애착- 친밀척도는다른사람과가까워지고친밀해지는것에대한편안함을측정한다. 각하위척도별 Cronbach s α는애착 -의존.74, 애착- 불안이.72, 애착-친밀.47이었다. 자기보고형애착유형 (Self-report Attachment Style: SAS) 본연구에서는대학생들이부모와형성한애착유형을측정하기위하여 Bartholomew 와 Horowitz (1991) 가내적작동모델에기초하여개발한애착관계검사 (Relationship Questionnaire; RQ) 를이희영, 최태진 (2004) 이번안한것을사용하였다. RQ는성인애착을안정형 (secure), 무시형 (dismissing), 몰입형 (preoccupied), 두려움형 ((fearful) 의 4가지유형으로측정하도록설계되어있다. 안정형은자신과타인모두에게대한긍정적견해와관련되고, 무시형은 자신에대한긍정적견해와타인에대한부정적견해와관련되며, 몰입형은자신에대한부정적견해와타인에대한긍정적견해와관련되고, 두려움형은자신과타인모두에게대한부정적견해와관련된다. RQ는 4가지애착유형각각을기술하는 4개의진술문으로이루어져있으며, 피험자는이중자신을가장잘표현하는진술문하나를선택한다. 이것이그사람의애착유형이된다. 한국판 Beck 우울척도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본연구에서사용한척도는 Beck이 1978년에개정한 BDI를한국실정에맞게이영호와송종용 (1991) 이번안한자기보고형우울척도로, 우울증의정의적, 인지적, 동기적, 생리적증상을나타내도록구성되어있다. BDI는 21개문항으로작성되어있으며우울의정도를가벼운상태에서심한상태까지 4가지유형중에서선택하도록되어있다. 총점의범위는 0점에서 63점이며총점이높을수록우울증상이심함을의미한다. 본연구에사용된우울척도의 Cronbach s α는.89이었다. 자료분석우선편집성향집단및비편집집단에따라애착유형의빈도분포가어떻게달라지는지를보기위해카이자승검증을시행하였다. 또한변인들간의관계를살펴보기위해상관분석을실시했으며, 애착, 우울, 편집증상간의상호영향력을이해하기위해경로분석을실시하였고, 편집성향집단과비편집집단의외현적 경계적대인관계문제에미치는애착, 우울의직 간접적영향력을검토하기위해경로분석을시행하였다. 결과처리는모두 SPSS 12.0 for window를사용하였다. - 151 -
결과편집성향집단과비편집집단의애착유형비교편집성향집단과비편집집단에서보고된성인기애착유형의분포가표 1에제시되어있다. 표 1을보면편집성향집단은몰입형애착 (44%) 이많은반면, 비편집집단은안정형애착 (75%) 이절대다수이고두려움형애착 (4%) 및몰입형애착 (13%) 이편집성향집단에비해매우낮았다. 애착유형과편집성향집단 / 비편집집단간의독립성유무를알아보기위해카이자승검증을실시한결과 χ 2 (3)=55.57, p<.001로유의미하게독립성이기각되었다. 즉편집성향집단과비편집집단은애착유형표 1. 편집성향집단과비편집집단의애착유형분포 * 애착유형전체안정무시몰입두려움편집성향집단 34(29) 9(8) 53(44) 23(19) 119(100) 비편집집단 89(75) 9(8) 16(13) 5(4) 119(100) * 괄호안은비율 (%) 의빈도분포에서뚜렷한차이를나타내었으며, 이는두집단이주로드러내는애착유형이매우다르며특히편집성향집단의경우비편집집단보다몰입이나두려움과같은역기능적애착유형이훨씬더많음을보여준다. 편집증상, 애착수준, 우울및대인관계문제간의상관관계분석성인애착유형을제외한변인들간의상관을표 2에제시하였다. 표 2를보면편집증상은애착 -불안과는높은정적상관을보였고 (r=.56, p<.01), 그다음으로애착 -의존과높은상관을보였지만 (r=.47, p<.01), 애착- 친밀과는상관이낮았다 (r=.16, p<.01). 이결과는편집증상이초기의역기능적애착관계의성립과관련됨을보여준다. 편집증상은우울과도높은정적상관을나타내었는데 (r=.53, p<.01), 이는애착 -불안과우울간의높은상관 (r=.46, p<.01) 및애착- 의존과우울간의높은상관 (r=.40, p<.01) 을고려하면우울이애착문제로인한편집증상의발전에매개변인으로작용함을보여준다. 편집증상과높은정적상관을보인대인관계문제는경계적변인 (r=.61, p<.01) 이었고, 외 표 2. 편집증상, 애착수준, 우울및대인관계문제간의상관 (N=405) 1 2 3 4 5 6 7 1 편집증상 - 2 애착-불안.56 ** - 3 애착-친밀.16 **.27 ** - 4 애착-의존.47 **.33 **.07-5 우울.53 **.46 **.23 **.40 ** - 6 경계적대인관계문제.61 **.54 **.06.42 **.50 ** - 7 외현적대인관계문제.56 **.51 **.20 **.33 **.38 **.44 ** - ** p<.01-152 -
정화숙 장문선 / 편집성향집단의애착, 우울및역기능적대인관계 현적변인은그보다약간낮았다 (r=.56, p<.01). 보다흥미로운결과는애착 -불안은경계적및외현적대인관계변인과상관의정도가크게다르지않은데 (r=.54 대 r=.51) 반해, 애착- 의존은경계적대인관계변인과높은상관을보인반면, 외현적대인관계변인과는상관이비교적낮았다 (r=.42 대 r=.33). 이는초기애착 -의존의문제가잘해결되지않으면사회성부족, 사회적억제, 냉담및사회적인정욕구등의경계적대인관계문제를보이기쉽다는것을보여준다. 애착, 우울이편집증에미치는영향력분석편집증상의형성에미치는애착과우울의직 간접적영향관계를파악하기위해경로분석을실시한결과를그림 1에제시하였다. 그림 1에서볼수있는바와같이, 애착의질적측면중애착 -불안 (β 1) =.38, p<.001) 과애착 -의존(β=.26, p<.001) 은우울의매개작용을거치지않고도편집증상의형성에유의한영향력을가지는것으로나타났고, 뿐만아니라애착의모든측면은우울의매개작용을거쳐편집증의형성에도영향을미치는것 으로나타났다. 애착과우울의직 간접적영향으로편집증상의 40% 를설명할수있었다. 편집성향집단및비편집집단의대인관계문제에대한애착및우울의영향력분석편집성향집단및비편집집단의외현적 경계적대인관계문제에미치는애착, 우울의직 간접적효과를이해하기위해경로분석을시행한결과를그림 2와그림 3에각기제시하였다. 편집성향집단의경우애착- 불안 (β=.18, p<.05) 과애착 -의존( β=.51, p<.001) 은우울의매개작용을거치지않고도경계적대인관계문제에유의미한영향을미친반면, 우울의매개효과는유의하지않았다. 이와는대조적으로, 외현적대인관계문제에있어우울의매개작용을거치지않은애착의직접경로는유의하지않았다. 오히려, 애착이우울을거쳐외현적대인관계문제에영향을미치는간접경로가유의미한것으로나타났다 (β=.63, p<.001). 비편집집단의경우애착- 불안변인이외현적대인관계문제 (β=.18, p<.05), 경계적대인관계문제 (β=.25, p<.01) 에직접적영향을미치기도하고,.23 우울.35 *** 애착불안.13 **.3 0 ***.28 *** 친밀 -.02.2 6 ***.38 *** 편집.40 의존 ** p<.01, *** p<.001 ** p<.01 *** p<.001 그림 1. 애착, 우울및편집증상과의관계 그림 1. 애착, 우울및편집증상과의관계 - 153 -
.2 9 우울.5 3 *** 애착.0 8.63 *** 불안 -.0 6 -.04 대인관계문제.08.4 7 친밀 -.0 4.0 4 외현적 의존.04.51 ***.1 8 * 경계적.2 9 * p<.05, *** p<.001 그림 2. 편집성향집단에서애착, 우울및대인관계문제와의관계 그림 2. 편집성향집단에서애착, 우울및대인관계문제와의관계.13 우울.36 *** 애착.0 4.0 6 -.01.2 2 ** 불안 대인관계문제.18 *.10 친밀.22 *.09 외현적.27 **.2 5 **.24 의존 -.12 경계적 * p<.05, ** p<.01, *** p<.001 그림 3. 비편집집단에서애착, 우울및대인관계문제와의관계 그림 3. 비편집집단에서애착, 우울및대인관계문제와의관계 우울의매개작용을거쳐 (β=.22, p<.01) 경계적대인관계문제의 24% 를설명한반면, 외현적대인관계문제에있어서는우울의매개효과가나타나지않았다 (β=.06, n.s). 이결과는편집집단의경로분석결과와대조되는것으로편집성향, 비편집집단의역기능적대인관계에있어애착과우울의영향력패턴에차이가있음을보여주는것이다. 논의대부분의정신병리연구는진단명을중심으로특정한진단군의특성을밝히거나다른진단군과의차이를알아보는데관심을기울이고있다. 즉, 증상에대한분류적접근을대부분시도하고있다는것이다. 그러나이런방식의연구는진단집단내이질성의문제, 특정심리현상을공유하는집단의핵심특성을간과하게된다는문제등 - 154 -
정화숙 장문선 / 편집성향집단의애착, 우울및역기능적대인관계 이대두되면서, 최근에는진단명보다는특정심리현상을중심으로이러한특성을공유하는집단의탐색을시도하는차원적접근이보다선호되고있다 (Costello, 1992; Roberts, 1992). 이런방식은진단명을기준으로한연구의단점을보완하는한편, 정상과이상행동을연속선상에서살펴볼수있다는장점을가질수있다. 이런점에서관심을가질만한심리현상중하나가피해의식을중심으로나타나는편집증적경향으로서, 이는망상, 피해의식의정신증적수준에서부터일반인에서도흔히볼수있는예민성, 의심에이르기까지양상이다양하다 (Fenigstein, 1994). 이처럼편집증상을차원적접근을통해이해하려는시도에서, 편집집단이드러내는핵심적심리적특성을중심으로하위유형을탐색하고자한시도등다양한시도들이있었고이모든시도에서애착과우울이편집증상과관련하여가장중심적으로다루어져왔다. 선행연구결과들은편집증상의형성에있어애착의불안정성이중요한변인이라는견해와, 애착이우울에영향을미치고이러한우울감에대한방어적귀인을통해편집증상이나타난다는견해로요약될수있다. 특히편집집단하위유형과애착, 우울과의관계를고려해볼때, 자신의증상과부정적자기 타인표상및이에대한분노감을의식수준에서인식하는것이가능한외현형집단이그렇지않은경계형집단에비해애착 -우울- 편집증상이라는가설적관계에서우울의영향력이보다높을것으로가정할수있다. 따라서편집성향집단이드러내는대인관계문제의표현도우울을통한경로와우울을거치지않은경로로나누어질가능성이있으며, 특히외현적대인관계문제의경우우울의매개작용이더클것으로예상할수있다. 이런점에서본연구는편집집단이나타내는대인관계문제를경계적 외현적측면으로구분하고이것이애착, 우울과각기어떠한관련성을보이는지를종합적으로검토해보았다. 본연구결과를선행연구와관련지어몇가지논의하기로하겠다. 첫째, 편집성향집단과비편집집단의애착유형분포를비교해본결과, 편집성향집단은비편집집단에비해애착유형중몰입형과두려움형이유의미하게더많았다. 이는피해망상집단에서두려움형애착과몰입형애착이많은것으로밝힌이훈진 (2004) 및김지영 (2002) 의결과와일치한다. 즉, 편집성향집단에서두려움형애착이많은것은타인으로부터상처받을것을두려워해친밀한관계형성을회피하고자신과타인모두에대해부정적인표상을지니고있음을시사하며, 이와더불어몰입형애착또한많은이유는타인에대해서는긍정적표상을지니며, 대인관계형성을원하면서도자기개념이부정적이고상대방의평가와인정에과민해서안정적애착관계를형성하지못하는측면또한반영하는것으로해석할수있다. 편집성향집단에서표상체계의차이가있는이두유형의애착문제가동시에많이발생한다는것은 Chadwick et al., (1996) 이구분한편집증의두하위유형, 즉피해편집증과처벌편집증의특성을반영하는것으로보인다. 둘째, 편집성향집단이드러내는대인관계문제를편집집단의하위유형과연관해서경계적측면과외현적측면으로구분하여이들대인관계문제와애착, 우울과의상관을살펴본결과, 편집증상은애착 -불안, 애착- 의존과높은상관을보였다. 또한편집증상은우울, 외현적 경계적대인관계문제와도높은상관을보였다. 보다흥미로운결과는애착 -불안은외현적 경계적대인관계변인과상관의정도가크게다르지않은데반해, 애착-의존은경계적대인관계변인과높은상관을보이고, 외현적대인관계변인과는상관이비교적 - 155 -
낮았다. 이는초기애착 -의존의문제가잘해결되지않으면사회성부족, 사회적억제, 냉담및사회적인정욕구등의경계적이고방어적인대인관계문제를보일가능성이높음을시사하는것이다. 셋째, 경로분석을통해애착과우울이편집증상에미치는영향력을분석한결과, 애착의질적측면중불안과의존차원은우울의매개작용을거치지않고도편집증상의형성에유의한영향력을가지는것으로나타났다. 이는애착이편집증상의형성에직접적인영향을미치는것으로가정한선행연구결과 ( 이훈진, 2002b) 와일치하는것이다. 한편, 애착은편집증상형성에직접적영향을미칠뿐아니라우울의매개작용을거쳐간접적인영향또한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 이결과는애착이우울을거쳐편집증상형성에영향을미칠수있다는연구들 (Bentall, Kinderman & Kaney, 1994; Zigler & Glick, 1988) 을지지하는것으로해석할수있다. 넷째, 애착이우울을야기하고우울을통해대인관계문제를일으키거나혹은직접적으로대인관계문제를일으킨다는가설적경로모형을상정하고편집성향집단과비편집집단을구분하여이모형을검증해보았다. 결과, 편집성향집단의경우외현적대인관계문제는애착 -우울- 대인관계문제의경로가유의미하였고애착과대인관계문제의직접적경로는유의미하지않았다. 반면, 경계적대인관계문제의경우에는우울을거친경로는유의미하지않았고애착과대인관계문제의직접적경로만이유의미하였다. 한편, 비편집집단에서는편집성향집단과는대조적으로애착- 불안이외현적 경계적대인관계문제에직접적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 또한경계적대인관계문제에있어서는애착이우울의매개작용을거쳐간접적영향을미친반면, 외현적대인관계문제에있어서는우울의매개효과가나타나지않았다. 이 또한편집성향집단의결과와상반되는것이다. 이것은편집성향집단의경우는초기애착의불안정성으로인해자기표상과타인표상에문제가발생하며, 이것이내적작동모델에의해지속되면서부정적자기개념과우울감을경험하게된다. 이때이러한감정에대한극단적인외부적이고방어적인귀인은편집증의형성과관련되며, 이러한부정적감정에대해내부적인귀인을할경우우울증상이출현하게되어 (Bentall, Kinderman & Kaney, 1994; 이훈진, 원호택, 1998) 외현적대인관계문제를일으키나비편집집단은안정애착이많고불안정애착이적고, 우울에대한극단적인자기방어적귀인을할것이없기때문으로볼수있다. 즉이결과는편집성향집단, 비편집집단의역기능적대인관계에있어애착과우울의영향력패턴에차이가있음을보여주는것으로, 편집성향집단고유의특성을이해함에있어몇가지시사점을제공해준다. 다시말하면, 편집성향집단이드러내는대인관계문제중타인을원망하고공격적인태도를보이는외현적측면에있어서는애착의문제에서기인한우울감, 낮은자아개념에대한방어과정과우울감의경험이중요하다는점을보여준다. 반면, 타인과관계하지않고분노를억제하며냉소적인적개심을보이는경계적대인관계문제는우울의작용보다는초기애착자체의불안정성에서기인한분노감의내재화가보다중요한요소일가능성을상정해볼수있다. 이와관련하여, 분노표현양식과편집증및우울과의관계를분석한이훈진 (2000b) 의연구결과를고려해볼필요가있다. 이연구에서는편집성향과우울수준은상태및특성분노, 분노억제및표출과유의한상관을보였다. 그러나분노통제와의관련성에서는서로차이가있었는데, 편집증은반응성특성분노, 분노억제, 분노통제측면에서우울보다강한관련 - 156 -
정화숙 장문선 / 편집성향집단의애착, 우울및역기능적대인관계 성을갖는데비해, 우울은상태분노, 낮은분노통제, 낮고부정적인자기개념과관련이높았다. 즉, 편집증상과우울은공통적으로높은분노수준과관련되나우울은분노의표출이나상황에의해촉발된분노감과보다더관련되고, 편집증상은내재화된특성분노및이에대한억제와더관련된다. 본연구결과에서편집성향집단의대인관계문제중우울의영향이유의하지않은것으로드러난경계적측면은이처럼분노억제나특성분노의측면을보일가능성이높다고할수있다. 이런결과들은편집집단의치료과정에대한시사점을제공할수있다. 즉, 편집성향집단이드러내는경계적대인관계문제는초기애착의문제에서기인한냉소적적개심과타인에대한불신및회피전략과관련되는바, 치료적개입의효과가보다낮고치료적관계로끌어들이기가매우어려울가능성을보여준다. 반면, 외현적대인관계문제의경우애착자체의직접적영향보다는우울을거친설명력이상대적으로더높게나타나증상치료에있어우울에대한인지행동적개입이유용할가능성을시사한다. 이결과는일반적으로외현형집단은부정적자기, 타인평가가비교적의식수준에서이루어지기때문에증상을파악하기가용이하며부정적자기평가를의식하고있으므로치료적개입의효과가비교적양호한반면, 경계형집단은자기표상은긍정적인반면타인표상은부정적이어서타인을비난하고나쁘다고보며자신이피해자라고여기며, 내면의적개심이매우강하고의식수준에서는부정적자기평가가나타나지않기때문에치료과정에개입시키기가상당히어렵고치료적예후또한좋지않다고가정한선행연구 ( 이현우, 2005) 결과와도일치하는것이다. 이런시사점을바탕으로편집성향집단의대인관계문제에대한인지행동치료의효과를비교하고자하는시도들이이루어질필요가있을 것이다. 끝으로, 본연구의제한점과추후연구를위한몇가지제언을하고자한다. 우선본연구에서는대학생집단을통해편집성향집단과비편집집단을구성하였으므로결과의일반화에한계가있다. 따라서환자집단을대상으로한후속적연구가필요하리라생각한다. 둘째, 애착, 우울, 편집증상및대인관계문제등많은변인에서성차가있을가능성이높음에도불구하고성차에대한체계적분석을시행하지않았다. 외현적 경계적대인관계문제의측면에서감정표현, 대처방식등이다른남녀간의성별차이가개입될소지가높으므로추후연구에서는이러한측면을다루는것도흥미로울것으로생각한다. 셋째, 본연구에서는자기보고식질문지만을사용하였기때문에솔직하게자신을드러내는것을꺼리는것이편집성향집단의주요특성을감안해볼때다소제한이따름을인정한다. 추후연구에서는이러한측면에대한보완이필요하리라생각한다. 넷째, 본연구에서우울감이애착과편집을매개하는중요변인으로상정하고있다. 따라서본연구에서주관적인우울감을평정할수있는도구의선정이매우중요한요인임에도불구하고대부분의질문지형우울척도의한계점 ( 주로객관적인증상체크리스트 ) 으로인해이러한측면이제대로반영되지않았을가능성이있다. 물론본연구에서사용한 BDI 가주관적인불행감과우울감을부분적으로드러내고있기는하지만추후연구에서는보다심도있는면담이나투사적검사를보조자료로활용하여주관적인불행감과우울감을보다잘드러낼수있도록할필요가있다고생각한다. 이러한제한점에도불구하고, 본연구는편집성향집단의역기능적대인관계문제를외현적 경계적측면으로구분하고이것이애착, 우울에각기어떤방식으로영향을받는지를종합적으로 - 157 -
검토하였다는점, 이러한분석을통해편집성향집단의외현적 경계적대인관계문제들을일으키는요인으로서애착과우울의직 간접적영향의측면또는상대적기여도를파악함으로써이들이나타내는대인관계문제특성에따라치료과정에도차별적시사점을제공하였다는데그의의가있다. 후주 1) 요인분석은대인관계문제척도중편집증상과상관이낮은것으로나타난비주장성, 과순응성, 자기희생을제외한 10개변인에대해주성분분석법을통해 Varimax 회전하였고, 2개의요인 ( 총추출변량 72%) 을추출하여외현적대인관계문제및경계적대인관계문제요인으로명명하였다. 외현적 / 경계적요인각각에요인부하가차별적으로크게차이가나지않은대인적비수용성, 대인적과민성, 및자기중심성은변인척도합산에서제외하였다. 2) 경로도에서화살표위의수치는표준화회귀계수를의미하며회귀방정식에서표준화된회귀계수 β 를나타낸다. 또한측정변수위의수치는회귀분석에서자승화중다상관 (SMC) 인총설명량 (r2) 을나타낸다. 참고문헌 김선희, 오경자, 박중규, 이은정 (2001). 애착유형에따른심리적특성, 인지적변인을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20(1), 102-119. 김영환, 진유경, 조용래, 권정혜, 홍상황, 박은영 (2002). 한국형대인관계문제검사의타당화 : KIIP-C와 KIIP-PD의신뢰도와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21(2), 391-411. 김지영 (2002). 편집성성격성향자의자기 타인표 상및지각된부모양육행동과의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이영호, 송종용 (1991). BDI, SDS, MMPI-D 척도의신뢰도및타당도에대한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10, 98-113. 이현우 (2005). 편집증하위유형에관한연구-방어적편집증을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이현우, 이훈진 (2006). 경계형외현형편집증의자기개념과타인개념및귀인양식.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25(2), 449-465. 이훈진, 원호택 (1995). 편집성척도의신뢰도, 타당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14(1), 83-94. 이훈진 (1997). 편집증과자기개념및귀인양식.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이훈진, 원호택 (1998). 편집증집단과우울증집단의자기개념과타인개념및귀인양식.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17(1), 105-125. 이훈진 (1999). 편집증의원인에대한탐색적연구 : 자기개념과추론편향.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18(1), 1-15. 이훈진, 이명원 (2000). 편집성성격장애. 서울 : 학지사. 이훈진 (2000a). 편집증집단의자기개념과주의및기억편향. 심리과학 : 9(1), 77-99. 이훈진 (2000b). 분노표현방식과편집증및우울의관계.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19(3), 427-438. 이훈진 (2002a). 자기개념수준에따른편집증하위유형의탐색.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21 (2), 479-486. 이훈진 (2002b). 편집증집단의애착유형과가족응집성및가족의사소통.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21(4), 791-807. 이훈진 (2004). 피해망상집단과우울증집단의지각된부모양육행동과애착유형. 한국심리학 - 158 -
정화숙 장문선 / 편집성향집단의애착, 우울및역기능적대인관계 회지 : 임상, 23(2), 381-395. 이희영, 최태진 (2004). 애착유형이대학생활적응에미치는영향 : 개인주의 -집단주의성향과성별에따른차이. 상담학연구 : 5(1), 79-94. 장휘숙 (1997). 아동기이후의애착에관한최근연구의개관. 한국심리학회 '97 연차대회학술발표논문집, 439-454. Bartholomew, K., & Horowitz, L. M. (1991). Attachment styles among young adults: A test of a four-category mode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 226-244. Bentall, R. P., Kinderman, P., & kaney, S. (1994). The self, attributional process and abnormal beliefs: Towards a model of persecutory delusions.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32, 331-341. Chadwick, P. D. J., Birchwood, M., & Trower, P. (1996). Cognitive therapy for delusion, voices and paranoia. Chichester: John Wiley & Sons Chadwick, P. D. J., & Trower, P. (1996). Cognitive therapy for punishment paranoia: A single case experiment.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4, 351-356. Collins, N. L., & Read, S. J. (1990). Adult attachment, working models and relationship quality in a dancing coup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 644-663 Costello, C. G. (1992). Research on symptoms versus research on syndromes: Arguments in favour of allocating more research time to the study of symptoms.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60, 304-308. Fenigstein, A. (1994). Paranoia. In V. S. Ramachandran (Eds). Enyclopedia of Human Behavior(V. 3). San Diego: Academic Press. Hazan, C., & Shaver, P. (1987). Romantic love conceptualized as an attachment proc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 511-524. Kinderman, p., & Bentall, R. P. (2000). Selfdiscrepancies and causal attribution: Studies of hypothesized relationships,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9, 255-273. Mackinnon, R. A., & Michels, R. (2002). 임상실제에서의정신과적면담 (pp. 263-272){The Psychiatric Interview in Clinical Practice, 1st Edition}. ( 박성근, 정인과역 ). 서울 : 하나의학사 ( 원전은 1971에출판 ). Roberts, G. (1992). The Origins of Delusion.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61, 298-308. Sarason, I. G., & Sarason, B. R. (1987). Abnormal Psychology(5th ed). New Jersey: Prentice-Hall. Zigler, E., & Glick, M. (1988). Is paranoid schizophrenia really camouflaged depression? American psychologist, 43, 284-290. 원고접수일 : 2006. 9. 15 수정원고접수일 : 2007. 2. 11 게재결정일 : 2007. 2. 13-159 -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07, Vol. 8, No. 1, 147-160 Attachment,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a Group with Paranoid Tendency Hwa-Suk Jung Yeungnam University Mun-Seon Cha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To investigate systematically the relevance among attachment,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a group with paranoid tendency, this study has looked into the followings: First, in the respect of the distributions of attachment types, it has compared the group with paranoid tendency and that without it. Second, it has divided variations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to guarded and frank problems through a factor analysis, and examined those related attachment, depression, and paranoid symptoms. Third, it has examined a hypothetical relation among attachment, depression, and paranoia through a path analysis. Fourth, it has compared the above two groups in the respect of the influence of attachment and depression on guarded and frank interpersonal problems through a path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pared with the group without paranoid tendency, the group with it is found to show rather a meaningful level of preoccupied and fearful types of attachment. Second, as a result of a co-relation analysis, paranoid symptoms show a high level of the relevance in attachment-anxiety, attachmentdependence, depression, and guarded and frank interpersonal problems. Third, through a path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attachment and depression on paranoid symptom, it has found that attachment has a direct impact on paranoid symptom or an indirect impact on them by way of the intermediation of depression. Fourth, a path analysis of the above two groups show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bove two groups as follows. As for the group with paranoid tendency, attachment followed by depression has influence on the frank interpersonal problems. However, attachment not followed by depression has no direct influence on them. In the matter of the guarded interpersonal problems, attachment followed by depression has no influence. However, attachment not followed by depression has a direct influence on them.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group without paranoid tendency, a path analysis shows that attachment has a direct influence on both guarded and frank international problems. While attachment by way of intermediation of depression has a indirect influence on the guarded interpersonal problems, there is no effect of intermediation of depression on the frank interpersonal problems. Keywords : paranoid tendency, attachment, depression, frank interpersonal problems, guarded interpersonal problems - 1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