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4306/jknpa.2018.57.1.86 ORIGINAL ARTIC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8;57(1):86-95 Print ISSN 1015-4817 Online ISSN 2289-0963 www.jknpa.org 정신건강의학과환자의자살사고와우울수준에따른 MMPI-2 프로파일비교와우울및자살사고예언지표 을지대학교병원정신건강의학과 허은혜 정성훈 강희양 Comparative Study on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and MMPI-2 Profiles of Groups with High and Low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in Psychiatry Patients and Discriminant Variables of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Eun Hye Heo, BA, Seong Hun Jeong, MD, PhD, and Hee Yang Kang, PhD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Eulji University Hospital, Daejeon, Korea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sychological test profiles of psychiatric outpatients with high and low depression/suicide ideation and to identify predictor variables for depression/suicide ideation. Received June 5, 2017 Revised November 30, 2017 Accepted December 2, 2017 Address for correspondence Hee Yang Kang, PhD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Eulji University Hospital, 95 Dunsanseo-ro, Seo-gu, Daejeon 35233, Korea Tel +82-42-611-3443 Fax +82-42-611-3445 E-mail hy6611@eulji.ac.kr Methods Component scores of th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PAI) and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MMPI-2) were compared using t-tests. Discriminant analysis was conducted for predictor variables of depression/suicide ideation. Results Regarding PAI profiles, somatic complaints (SOM), anxiety (ANX), anxiety-related disorder (ARD), depression (DEP), paranoia (PAR), borderline features (BOR), antisocial features (ANT), mania (MAN) drug problems (DRG) score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high depression and high suicide ideation groups. Concerning MMPI-2 profiles, the scores of hypochondriasis (Hs), depression (D), hysteria (Hy), psychopathic deviate (Pd), paranoia (Pa), psychasthenia (Pt), schizophrenia (Sc), social introversion (Si)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these same groups. The PAI and MMPI-2 profile shapes were remarkably similar between high depression and high suicide ideation groups. Therefore, in terms of psychological profile,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seemed to reflect the same construct. However, in discriminant analysis, significant predictors for depression were found to be Pt and D Sc from MMPI-2, while those for suicide ideation were found to be Pa and Sc, suggest subtle differences. Conclusion The superficial characteristics of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groups reflected by the psychological test profiles seemed similar, but the determining factors may differ. Thus, th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these two groups may have to follow different routes considering these subtle difference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8;57(1):86-95 KEY WORDSZZ Outpatients Depression Suicid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Discriminant analysis. 서론 자살 이란 자신의 삶을 의도적으로 끝내는 행위를 말하며 자살사고 자살계획 자살시도 의 세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자살사고는 자살시도 자살행위로 이어지는 연속적인 범위에 해당되기 때문에 자살시도에 대한 예방적 차원의 개입을 하기 위해서는 자살사고의 확인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겠다 최근에는 자살사고로 자살의 위험성을 예측하려고 하고 있는데 이는 자살사고가 높은 집단의 경우 자살사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살시도가 반복적으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자살사고를 예측해 주는 변인으로 많은 연구에서 우울을 제시하고 있는데 우울이 높을수록 자살사고가 높아 우울과 86 Copyright 2018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자살사고와우울수준에따른 MMPI-2, PAI 비교 EH Heo, et al. 자살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고 정신과 환자의 경우에는 자살사고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우울로 나타났다 실제로 정신질환이 있는 환자는 자살할 위험이 배 가량 높고 기분장애 중 우울증의 경우 자살사망률이 일반 인구의 자살사망률에 비하여 매우 높다 정신과 환자의 경우 자살사고자들 중에서 물질 사용과 충동조절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자살시도를 할 위험이 높았고 정신질환은 자살의 이상과 관련이 있다고 하였으며 단극성과 양극성 우울증을 합쳐서 기분장애 환자의 약 가 자살한다고 조사되었고 조현병의 경우 일반 인구에 비해 자살 위험이 배 높고 불안장애의 경우 자살 위험을 배 정도 증가시킨다는 증거들이 있다고 한다 자살사고는 자살시도로 이어지는 연속선상에 있다는 점 을 고려해볼 때 자살사고의 확인은 중요하다고 볼 수 있겠고 일반인과는 다른 정신질환 이라는 요인을 가지고 있는 정신과 환자들의 자살사고를 예측해 줄 수 있는 요인들을 알아보는 것은 임상 장면에서 유의미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라 볼 수 있겠다 또한 우울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자살사고를 가지는 것은 아니므로 우울과 자살사고를 판별해 줄 수 있는 변인들을 확인하여 이 둘의 관계를 밝힐 필요가 있어 보인다 본 연구에서 자기보고식 검사를 사용하였는데 그 이유는 자기보고식 검사의 경우 표준화된 면담에서는 알 수 없는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에 대해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며 특히 자살과 관련된 내용을 면담보다 자기보고식 검사에서 보다 쉽게 개방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자기보고식 검사가 실제 자살시도나 자살 성공을 직접적으로 예측하지 못하더라도 자살의 위험성을 높이는 정서 및 성격 특성을 평가하는 데에는 중요하게 사용될 수 있고 이하 는 임상 장면에서 환자의 정서 상태 및 성격 평가를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어 를 이용한다면 여러 영역의 정신병리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와 함께 사용한 이하 의 경우 중복문항이 없어 그 척도가 측정하고자 하는 임상적 구성개념의 현상과 증상을 직접적으로 반영하고 있고 진단 집단의 변별력이 높으며 점의 척도로 증상의 정도를 세분화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진료를 받은 임상군을 의 이하 점수로 구별한 우울 상 하 집단 간 및 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 의 이하 점수로 구별한 자살사고 상 하 집단 간 및 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 우울 상 하 집단 자살사고 상 하 집단을 판별해 주는 의 예측변인은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실시하는 자기보고식 검사에서 우울의 특성과 자살사고의 위험을 알 수 있게 된다면 자살계획 및 자살시도에 대한 개입이 조기에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과 심리치료에서 개입할 수 있는 정신병리특성 및 성격변인들을 알 수 있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방법 대상 년 월 일부터 년 월 일까지 대전에 소재한 을지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외래환자만을 대상으로 간호사가 자기보고형 검사를 완성하게 하였고 검사에 대한 해석은 정신보건 임상심리 수련생이 실시하였으며 임상심리 전문가가 지도감독하였다 본 연구의 정신과적 진단은 외래 첫 방문 후 심리검사를 실시하여 검사 결과를 참고하여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내린 최종 진단에 의해 분류하였다 공존질병이 있는 경우 진단이 불분명하거나 진단이 누락된 사람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결측치가 있는 자료를 제외하고 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를 근거로 진단분류 했을 때 알코올 관련 장애 불안장애 양극성 장애 우울장애 적응장애 조현병 스펙트럼 장애 후유장애가 포함되었는데 조현정동장애 는 우울을 중요한 변인으로 간주하고 있어 조현병 스펙트럼 장애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세 미만의 경우 만 세 세는 한국나이 세에 해당하여 성인으로 분류되므로 포함시켰으나 만 세 이하의 아동 청소년은 자살에 대한 생각이나 이해가 성인과 다르다고 알려져 있어 제외하였다 학력이 년인 사람들과 신경발달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경우에는 읽고 쓰기가 가능하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사람은 포함시켰다 또한 연구대상이 명 이하인 신체화장애 집단의 경우 연구 대상이 적어 분포의 정규성을 확인하였다 표 측정도구성격평가질문지 (PAI) 이 검사 배터리는 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성격과 정신병리를 평가하기 위한 객관검사로 임상 장면에서 환자나 내담자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검사이다 가 개발한 는 표준화연구 에 의하면 다척도 인벤토리형 성격검사로서 감별진단과 개인 www.jknpa.org 87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8;57(1):86-95 이 불편을 호소하는 구체적인 영역까지 밝힐 수 있는 유용 한 도구라고 설명하고 있다 표준화된 심리검사에서 점수 은 표준편차에 해당하여 비정상으로 간주되므로 의 척도의 점을 기준으로 우울 상 하 집단을 구분하였 고 척도의 점을 기준으로 자살사고 상 하 집단을 구 분하였다 미네소타다면인성검사 -2(MMPI-2) 이 검사 배터리는 에 의해 원판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수정 보완되어 년에 재표준화되었다 등 에 의해 한국판으로 번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linical diagnosis of patients Variables Total (%) Gender Male 147 (64.5) Female 81 (35.5) Age 18-19 49 (21.5) 20-29 81 (35.5) 30-39 35 (15.4) 40-49 30 (13.2) 50-59 22 (9.6) 60-69 8 (3.5) Higher than 70 3 (1.3) Education (years) 0-6 10 (4.4) 7-9 21 (9.2) 10-12 103 (45.2) 13-16 81 (35.5) Higher than 17 13 (5.7) Diagnosis Alcohol-related disorder 12 (5.3) Anxiety disorder 35 (15.3) Bipolar disorder 10 (4.4) Depressive disorder 45 (19.7) Adjustment disorder 50 (21.9) Schizophrenia spectrum disorder 33 (14.5) Post-concussional disorder 13 (5.7) Personality disorder 13 (5.7) Somatic symptom disorder 5 (2.2) Neurocognitive disorder 12 (5.3) PAI (SUI scale) Lower than 70T 154 (67.5) Higher than 70T 74 (32.5) PAI (DEP scale) Lower than 70T 105 (46.1) Higher than 70T 123 (53.9) PAI :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SUI : Suicide ideation, DEP : Depression 안 및 타당화되었으며 한국판 는 미국판과 마찬가지로 신뢰 있고 타당하게 한국 성인의 성격과 심리적 증상 및 행동상의 문제를 평가한다고 보고되었다 자료분석각 집단의 의 타당도 및 임상척도들의 점수 차이를 독립표본 검증으로 알아보고 우울과 자살사고의 예측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판별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분석에 사용한 통계프로그램은 이었다 본 연구는 환자로부터 동의를 받았고 을지대학교병원 임상시험심의위원회 의 검토를 거쳐 승인을 받았다 결과 우울, 자살사고상 / 하집단에따른 PAI의타당도및임상척도의차이우울 상 하 두 집단의 척도별 점수 평균 및 표준편차를 비교한 결과 타당도의 이하 척도에서 우울 상 집단이 하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고 - 이하 척도는 우울 하 집단이 상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임상척도에서는 우울 상 집단들이 - 이하 이하 이하 이하 -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척도가 유의하게 높았고 이하 척도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치료고려척도 중 이하 이하 이하 - 이하 척도에서 우울 상 집단이 하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대인관계척도 중 이하 이하 척도에서 우울 하 집단이 상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표 자살사고 상 하 두 집단의 척도별 점수 평균 및 표준편차 비교결과 타당도의 척도에서 자살사고 상 집단이 하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척도에서 자살사고 하 집단이 상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임상척도에서는 자살사고 상 집단이 - 척도는 유의하게 높았다 치료고려척도에서는 척도에서 자살사고 상 집단이 하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대인관계척도 중 척도는 차이가 없었고 척도는 자살사고 하 집단이 상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표 88
자살사고와우울수준에따른 MMPI-2, PAI 비교 EH Heo, et al. 우울 및 자살사고의 상 하 집단별 의 프로파일 형태는 상당히 유사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그림 우울및자살사고상 / 하집단에따른 MMPI-2의타당도및임상척도의차이우울 상 하 두 집단의 척도별 비교결과 타당도 척도에서는 이하 이하 - 이하 척도에서 우울 상 집단이 하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척도에서는 우울 하 집단이 상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임상척도에서는 이하 -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척도는 우울 상 집단이 하 집단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이하 척도의 경우 우울 상 집단과 하 집단은 차이가 없었다 표 자살사고 상 하 두 집단의 척도별 비교결과 타당도 척도에서는 에서 자살사고 상 집단이 자살사고 하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척도에서 자살사고 하 집단이 상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척도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임상척도에서는 척도가 자살사고 상 집단이 하 집단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았고 척도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표 우울 및 자살사고의 상 하 집단별 의 타당도 및 Table 2. T-test result of PAI between low and high depression groups Scales High depression group (n=123) Low depression group (n=105) t (p) Validity scales ICN 52.36±11.63 51.30±12.06-0.67 INF 51.43±11.23 52.98±11.04 0.37 NIM 75.75±15.97 54.82±11.07-11.643*** PIM 34.11±15.46 46.59±13.45 6.52*** Clinical scales SOM 75.42±16.77 56.80±11.74-9.55*** ANX 71.00±12.15 54.09±11.44-10.77*** ARD 69.94±11.97 54.22±11.24-10.17*** DEP 83.05±9.41 56.25±9.27-21.58*** MAN 55.49±13.46 49.66±13.15-3.29** PAR 71.21±17.66 54.61±13.01-8.15*** SCZ 70.18±16.11 51.50±10.55-10.49*** BOR 66.72±13.80 51.20±10.99-9.45*** ANT 59.60±15.78 49.76±11.57-5.42*** ALC 55.24±17.64 52.34±17.64-1.37 DRG 64.48±18.97 57.40±15.44-3.11* Therapeutic consideration scales AGG 58.67±14.90 51.50±11.44-4.11*** SUI 74.67±15.58 51.16±11.31-13.16*** STR 68.84±10.82 54.57±11.11-9.80*** NON 68.41±14.39 56.17±12.35-6.83*** RXR 34.12±12.65 45.94±11.31 7.38*** Interpersonal scales DOM 41.56±11.45 48.30±11.07 4.49*** WRM 39.35±14.60 47.15±11.56 4.42*** * : p<0.05, ** : p<0.01, *** : p<0.001. PAI :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M : Mean, SD : Standard deviation, Validity scales ; ICN : Inconsistency, INF : Infrequency, NIM : Negative impression, PIM : Positive impression, Clinical scales ; SOM : Somatic complaints, ANX : Anxiety, ARD : Anxiety-related disorder, DEP : Depression, MAN : Mania, PAR : Paranoia, SCZ : Schizophrenia, BOR : Borderline features, ANT : Antisocial features, ALC : Alcohol problems, DRG : Drug problems, Therapeutic consideration scales ; AGG : Aggression, SUI : Suicide ideation, STR : Stress, NON : Nonsupport, RXR : Treatment rejection, Interpersonal scales ; DOM : Dominance, WRM : Warmth www.jknpa.org 89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8;57(1):86-95 임상척도의 프로파일 형태는 에서 나타난 것처럼 상당히 유사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그림 판별분석 에서 우울 상 하 집단을 가장 잘 판별해 주는 예측변인은 어떤 것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임상척도를 독립변인으로 하여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척도 λ < 척도 λ < 척도 λ < 가 유의미하였다 표 표 에 제시되었듯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 척도들만으로 판별함수를 구성한 결과 이들 개의 예측변인에 의하여 우울 상 집단과 하 집단으로 변별하는 집단의 전체적인 분류의 정확도는 로 나타났다 표 에서 자살사고의 상 하 집단을 가장 잘 판별해 주는 예측변인은 어떤 것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임상척도를 독립변인으로 하여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 유의미하였다 척도 λ < 척도 λ < 가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표 표 에 제시되었듯이 단계적 판별함수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 척도들만으로 판별함수를 구성한 결과 이들 개의 예측변인에 의하여 자살사고 상 집단과 하 집단으로 변별하는 집단의 전체적인 분류의 정확도는 로 나타났다 표 고찰 본 연구에서는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높은 우울을 가진 사람과 높은 자살사고를 가진 사 Table 3. T-test result of PAI between low and high suicide ideation groups Validity scales Scales High suicide ideation group (n=97) Low suicide ideation group (n=131) ICN 53.84±12.39 50.93±11.45-1.70 INF 52.50±10.54 51.29±11.40-0.77 NIM 81.24±15.23 58.84±13.17-10.86*** PIM 30.59±16.07 44.31±13.66 6.70*** Clinical scales SOM 77.93±17.55 61.52±14.54-7.98*** ANX 73.54±12.10 58.25±12.89-8.55*** ARD 72.54±11.74 57.94±12.51-8.40*** DEP 84.70±11.63 63.98±13.79-11.16*** MAN 60.41±13.87 49.15±11.89-6.33*** PAR 75.26±17.97 57.95±14.62-7.22*** SCZ 73.66±15.28 55.77±14.00-8.77*** BOR 70.95±13.07 54.10±12.20-9.54*** ANT 64.04±16.47 50.76±11.75-6.22*** ALC 58.89±18.95 51.51±13.76-2.99** DRG 68.05±18.60 57.94±16.41-4.17*** Therapeutic consideration scales AGG 62.76±14.92 51.82±11.82-5.52*** SUI 85.15±10.38 53.61±10.43-21.41*** STR 70.42±10.93 58.35±12.17-7.24*** NON 69.57±15.96 59.51±13.03-4.72*** RXR 33.88±11.88 42.30±13.26 4.64*** Interpersonal scales DOM 43.85±11.88 45.05±11.70 0.72 WRM 39.76±17.04 44.47±11.73 2.15** * : p<0.05, ** : p<0.01, *** : p<0.001. PAI :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M : Mean, SD : Standard deviation, Validity scales ; ICN : Inconsistency, INF : Infrequency, NIM : Negative impression, PIM : Positive impression, Clinical scales ; SOM : Somatic complaints, ANX : Anxiety, ARD : Anxiety-related disorder, DEP : Depression, MAN : Mania, PAR : Paranoia, SCZ : Schizophrenia, BOR : Borderline features, ANT : Antisocial features, ALC : Alcohol problems, DRG : Drug problems, Therapeutic consideration scales ; AGG : Aggression, SUI : Suicide ideation, STR : Stress, NON : Nonsupport, RXR : Treatment rejection, Interpersonal scales ; DOM : Dominance, WRM : Warmth t (p) 90
자살사고와우울수준에따른 MMPI-2, PAI 비교 EH Heo, et al. 120 100 High depression group High suicide ideation group Low depression group Low suicide ideation group 80 T-score 60 40 20 0 ICN INF NIM PIM SOM ANX ARD DEP MAN PAR SCZ BOR ANT ALC DRG AGG SUI STR NON RXR DOM WRM Fig. 1. Profile of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among high and low depression, suicide ideation groups. Validity scales ; ICN : Inconsistency, INF : Infrequency, NIM : Negative impression, PIM : Positive impression, Clinical scales ; SOM : Somatic complaints, ANX : Anxiety, ARD : Anxiety-related disorder, DEP : Depression, MAN : Mania, PAR : Paranoia, SCZ : Schizophrenia, BOR : Borderline features, ANT : Antisocial features, ALC : Alcohol problems, DRG : Drug problems, Therapeutic consideration scales ; AGG : Aggression, SUI : Suicide ideation, STR : Stress, NON : Nonsupport, RXR : Treatment rejection, Interpersonal scales ; DOM : Dominance, WRM : Warmth. 람들이 성격적으로 유사한지를 자기보고형 검사를 통해 알아보았고 우울이나 자살을 예측해주는 성격과 관련된 예측변인은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본 연구 결과 및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에서는 우울 상 집단이 하 집단보다 척도가 높아 자신을 더 병리적으로 기술하였고 정신적 혼란이 있고 정서적 문제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심리적 불편감이나 집중력 저하를 느끼고 있고 심리적 고통을 더욱 심하게 자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우울 상 집단에서 척도가 높은 것은 더 많은 심리적 문제를 보고하고 도움을 청하는 경향이 있으며 자신의 문제에 대해 실제보다 더 비관적으로 인식하여 적응상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반면에 우울 하 집단은 상 집단보다 척도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여 자기방어능력과 정상성을 유지하고 있다 의 임상척도와 치료고려척도의 경우는 우울 상 집단에서 척도를 제외한 나머지 척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우울 상 집단이 하 집단보다 심리적 불편감과 고통감을 더 경험하고 있다 척도의 경우 우울 하 집단이 상 집단보다 높게 나타나 현재의 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변화의 필요성을 덜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대인관계척도 에서는 우울 하 집단이 상 집단보다 척도가 더 높아 대인관계에서 더 온정적이고 주도적인 대인관계양상 을 보였다 의 임상척도에서는 척도를 제외한 나머지 척도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여 우울 상 집단이 하 집단에 비해 임상적 수준의 심리적 불편감 정서적인 혼란을 더 많이 경험하고 사회적으로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며 보다 광범위하고 심각한 심리적 부적응 증상을 경험함을 시사한다 척도의 경우 다른 임상척도와 다르게 기저하고 있는 구성개념이 병리적이지 않고 다른 임상척도에 근거하여 달리 적용될 수 있으며 진단과 상관이 없기 때문에 큰 의미를 둘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에서는 자살사고 상 집단이 하 집단보다 척도의 점수가 더 높아 우울 상 하 집단을 비교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자살사고 상 집단에서 나타난 의 개 임상척도 양상은 의 연구와 유사하였다 정신과 입원환자를 자살위험성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구분하여 척도를 비교한 등 의 연구에서는 척도에서 차이를 보여 본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연구의 결과들을 볼 때 척도의 경우 우울 상 하 집단 간은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지만 자살사고 상 하 집단 간의 차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 www.jknpa.org 91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8;57(1):86-95 고 있다 응급실로 내원한 자살시도자와 대조군을 비교 분석한 등 의 연구에서는 자살시도군에서 척도가 유의미하게 높았고 대조군에서는 척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어 자살사고가 높은 사람들의 정서적 초조성 행동문제와의 관련성 면에서 볼 때 본 연구와 일치하였다 자살사고 상 집단의 경우 우울 상 집단과 마찬가지로 타당도의 척도에 비해 척도가 상승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현재 자신의 정서적 신체적 어려움과 불편감을 솔직하게 인정하고 있으며 자신에게 문제해결 능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므로 그 문제에 대한 도움을 요청한다 는 면에서 본 연구와 일치한다 의 임상척도와 치료고려척도에서는 모든 척도에서 자살사고 상 집단이 하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아 자살사고 상 집단에게 임상적 문제가 있음이 시사되었고 척도의 경우 자살사고 하 집단이 상 집단보다 높게 나타나 현재의 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변화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대인관계척도에서는 척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척도는 자살사고 하 집단이 상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나 대인관계에서 자살사고 하 집단이 상 집단보다 더 온정적이고 공감적임을 시사한다 의 임상척도에서는 척 도를 제외한 나머지 임상척도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이고 있어 자살사고 상 집단이 하 집단보다 심리적 불편감과 고통감을 더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차이검증과 그래프를 통해 프로파일을 살펴보았을 때 우울이 높은 사람들과 자살사고가 높은 사람들 우울이 낮은 사람과 자살사고가 낮은 사람들의 프로파일 패턴이 유사하여 성격과 정신병리 패턴이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우울과 자살사고를 예측해주는 변인들도 같은지 판별분석을 통해서 확인해 보았으나 우울을 예측해주는 변인은 척도로 나타났고 자살사고를 예측해주는 변인은 척도로 나타났다 우울과 자살사고의 판별변인 중 공통된 척도가 척도로 나타나고 있는데 척도의 내용이 기태적 사고 과정과 비정상적인 지각 사회적 소외 가족 간의 갈등 주의집중 충동억제의 곤란 자기가치와 자아정체감의 혼란 등과 같은 현실 판단 문제를 다루고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높은 우울이나 자살사고를 가져올 수 있겠다 우울을 예측해주는 변인은 척도로 나타나 의 척도는 불안의 대표적 지표임을 고려해 볼 때 우울한 환자들은 우울감 이외에도 불안감을 경험하고 있을 수 Table 4. T-test result of MMPI-2 between low and high depression groups Scales Validity scales High depression group (n=123) Low depression group (n=105) VRIN 44.19±9.48 48.85±9.49 3.70*** TRIN 56.00±5.24 57.57±6.12 2.09* F 64.10±13.41 49.76±8.55-9.76*** F(B) 66.02±11.59 50.99±9.64-10.47*** F(P) 53.66±11.48 46.72±7.91-5.36*** L 44.08±7.90 48.27±10.55 3.34** K 41.77±7.14 48.69±9.21 6.25*** S 40.69±9.08 48.18±10.58 5.68*** Clinical scales Hs 61.74±11.25 51.38±8.89-7.76*** D 71.22±11.93 55.65±11.49-9.99*** Hy 62.83±10.16 52.33±10.13-7.79*** Pd 63.76±11.60 52.69±9.13-8.07*** Mf 52.47±9.76 49.74±9.67-2.11* Pa 68.64±15.91 53.18±9.88-8.94*** Pt 71.78±12.86 53.97±11.17-11.07*** Sc 69.41±13.05 52.30±9.88-11.26*** Ma 51.54±9.96 49.22±11.48-1.64 Si 67.96±12.74 54.38±10.95-8.55*** * : p<0.05, ** : p<0.01, *** : p<0.001. MMPI-2 :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M : Mean, SD : Standard deviation, Validity scales ; VRIN : Variable response inconsistency, TRIN : True response inconsistency, F : Infrequency, F(B) : Back infrequency, F(P) : Infrequency psychopathology, L : Lie, K : Correction, S : Superlative self-presentation, Clinical scales ; Hs : Hypochondriasis, D : Depression, Hy : Hysteria, Pd : Psychopathic deviate, Mf : Masculinity-femininity, Pa : Paranoia, Pt : Psychasthenia, Sc : Schizophrenia, Ma : Hypomania, Si : Social introversion t (p) 92
자살사고와우울수준에따른 MMPI-2, PAI 비교 EH Heo, et al. Table 5. T-test result of MMPI-2 between low and high suicide ideation groups Scales Validity scales High suicide ideation group (n=97) Low suicide ideation group (n=131) VRIN 43.85±9.94 47.53±9.45 2.66** TRIN 55.97±5.16 57.08±5.93 1.38 F 67.78±13.69 52.55±10.20-8.51*** F(B) 69.88±11.28 53.96±10.50-10.44*** F(P) 55.69±11.13 47.97±9.33-5.15*** L 43.19±8.35 47.36±9.64 3.36** K 39.73±6.71 47.47±8.66 7.40*** S 38.66±8.60 46.61±10.36 5.89*** Clinical scales Hs 62.61±12.39 52.26±9.92-5.07*** D 69.01±13.83 61.66±13.57-3.81*** Hy 61.91±10.71 56.12±11.27-3.69*** Pd 64.01±11.48 56.09±11.22-4.95*** Mf 52.78±10.81 50.46±9.20-1.68 Pa 72.36±16.78 56.31±11.76-7.40*** Pt 72.24±14.12 59.42±13.61-6.58*** Sc 71.01±13.88 56.97±12.42-7.69*** Ma 54.43±10.91 48.53±10.11-4.09*** Si 67.35±13.27 58.99±13.13-4.48*** * : p<0.05, ** : p<0.01, *** : p<0.001. MMPI-2 :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M : Mean, SD : Standard deviation, Validity scales ; VRIN : Variable response inconsistency, TRIN : True response inconsistency, F : Infrequency, F(B) : Back infrequency, F(P) : Infrequency psychopathology, L : Lie, K : Correction, S : Superlative self-presentation, Clinical scales ; Hs : Hypochondriasis, D : Depression, Hy : Hysteria, Pd : Psychopathic deviate, Mf : Masculinity-femininity, Pa : Paranoia, Pt : Psychasthenia, Sc : Schizophrenia, Ma : Hypomania, Si : Social introversion t (p) 120 100 High depression group High suicide ideation group Low depression group Low suicide ideation group 80 T-score 60 40 20 0 VRIN TRIN F F(B) F(P) L K S Hs D Hy Pd Mf Pa Pt Sc Ma Si Fig. 2. Profile of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among high and low depression, suicide ideation groups. Validity scales ; VRIN : Variable response inconsistency, TRIN : True response inconsistency, F : Infrequency, F(B) : Back infrequency, F(P) : Infrequency psychopathology, L : Lie, K : Correction, S : Superlative self-presentation, Clinical scales ; Hs : Hypochondriasis, D : Depression, Hy : Hysteria, Pd : Psychopathic deviate, Mf : Masculinity-femininity, Pa : Paranoia, Pt : Psychasthenia, Sc : Schizophrenia, Ma : Hypomania, Si : Social introversion. www.jknpa.org 93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8;57(1):86-95 Table 6. Discriminant analysis of MMPI-2 among high and low depression groups Stage Independent variable Wilk s λ (p) η 2 F (p) 1 Pt 0.649 (<0.001) 0.351 122.43 (<0.001) 2 D 0.609 (<0.001) 0.391 72.35 (<0.001) 3 Sc 0.556 (<0.001) 0.444 59.71 (<0.001) MMPI-2 :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Pt : Psychasthenia, D : Depression, Sc : Schizophrenia Table 7. Classification result of high and low depression groups using Pt, D, Sc as predictable variables Predicted groups Actual groups n Low depression group (%) High depression group (%) Low depression group 105 85 (81.0) 20 (19.0) High depression group 123 26 (21.1) 97 (78.9) Percentage of discriminating groups exactly=79.2%. Pt : Psychasthenia, D : Depression, Sc : Schizophrenia Table 8. Discriminant analysis of MMPI-2 among high and low suicide ideation groups Stage Independent variable Wilk s λ (p) η 2 F (p) 1 Pa 0.764 (<0.001) 0.236 69.79 (<0.001) 2 Sc 0.746 (<0.001) 0.254 38.39 (<0.001) MMPI-2 :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Pa : Paranoia, Sc : Schizophrenia Table 9. Classification result of high and low depression groups using Pa, Sc as predictable variables Predicted groups Actual groups n Low suicide ideation group (%) High suicide ideation group (%) High suicide ideation group 154 123 (79.9) 31 (20.1) Low suicide ideation group 74 23 (31.1) 51 (68.9) Percentage of discriminating groups exactly=76.3%. Pa : Paranoia, Sc : Schizophrenia 있겠고 불안과 우울의 높은 관련성은 다른 연구 와도 일치한다 또한 척도의 하위변인으로 사회적이고 정서적 소외감을 들 수 있는데 소외감은 청소년 우울의 강력한 예측인자로서 확인되어 왔고 이는 우울과 소외감 간의 높은 상관성을 보고한 연구 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자살사고를 예측해주는 변인은 척도로 나타났는데 의 척도가 대인관계를 알아볼 수 있는 척도임을 고려해 볼 때 대인예민성을 알 수 있는 적개심이 자살사고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등 의 연구나 척도의 하위척도로 사회적 소외감이나 정서적 소외감이 해당되고 있어 소외감에 대한 반응이 자살과 같은 건강 위험을 가져온다 는 연구와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우울과 자살사고의 표면 양상은 비슷하나 원인은 다를 수 있어 심리치료 시 또는 중재 시 우울의 경우 불안감과 소외감 자살사고의 경우 소외감과 타인에 대한 적대심을 다루어 주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연구에서 우울과 자살을 모두 예측해주는 공통된 변인은 척도로 에서 척도의 소척도로 다루고 있는 소외감 이 공통된 예측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우울과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소외감 에 대한 개입을 해주는 것이 중요할 수 있겠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 하위척도 의 소척도들은 분석에 사용되지 않아 좀 더 심층적인 성격적 특성을 탐색할 수 없었던 점이 아쉬운 부분이었고 이는 추후 연구에서 추가적으로 다루어야 할 부분으로 여겨진다 둘째 환자 수의 제한으로 인해 우울이나 자살사고를 각 장애별로 알아보지 못하여 후속연구에서는 정신장애 집단별 우울과 자살사고의 차이를 연구하는 것도 필요하겠다 셋째 본 연구는 같은 유형의 자기보고식 검사를 통해 우울 상 하 집단 자살사고 상 하 집단으로 분류하여 프로파일 양상을 알아보았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자기보고식 척도 이외에도 구조화된 면담 등이 첨가될 필요가 있겠다 넷째 본 연구는 한 병원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기 때문에 추후 연구에서는 여러 병원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결론 본 연구는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의 척도 를 기준으로 하여 우울 상 하 집단 94
자살사고와우울수준에따른 MMPI-2, PAI 비교 EH Heo, et al. 의 척도 를 기준으로 자살 사고 상 하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우울 상 집단과 자살사고 상 집단은 유사한 프 로파일 양상을 보였고 우울 하 집단과 자살사고 하 집단도 유사한 프로파일 양상을 보여 표면적으로 보이는 성격적 특 성은 동일해 보였으나 우울과 자살사고를 판별해 주는 변인 은 다르게 나타나 치료적인 개입 시 우울과 자살사고에 대 해 접근을 달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중심단어 외래환자 우울 자살 성격평가 질문지 미네소타 다면 인성검사 판별분석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financial conflicts of interest. REFERENCES 1) Hawton K, van Heeringen K. The international handbook of suicide and attempted suicide. Chichester: John Wiley & Sons, LTD;2000. 2) Stewart D, Ross J, Watson C, James K, Bowers L. Patient characteristics and behaviours associated with self-harm and attempted suicide in acute psychiatric wards. J Clin Nurs 2012;21:1004-1013. 3) Kahng SK. Does depression predict suicide?: gender and age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attitudes. Korean J Soc welf Stud 2010;41:67-100. 4) Han KS, Park YH, Im HS, Ju GY, Bae MH, Kang HC. Hope,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chronic mental illness patient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10;19:205-211. 5) Choi JW. Study of suicide death rate for suicide attempters, psychiatry emergency room visitors and psychiatry inpatients [dissertation]. Seoul: Ulsan University;2010. 6) Nock MK, Borges G, Bromet EJ, Cha CB, Kessler RC, Lee S. Suicide and suicidal behavior. Epidemiol Rev 2008;30:133-154. 7) Jae YM. Suicide and psychiatric disorder. J Korean Soc Biol Ther Psychiatry 2004;10:3-10. 8) Harwood D, Jacoby R. Suicidal behaviour among the elderly. In: Hawton K, van Heeringen K, editors. The international handbook of suicide and attempted suicide. Chichester: John Wiley & Sons, LTD; 2000. p.275-292. 9) Kaplan ML, Asnis GM, Sanderson WC, Keswani L, De Lecuona JM, Joseph S. Suicide assessment: clinical interview vs. self-report. J Clin Psychol 1994;50:294-298. 10) Lee SA, Kim KH, Suh SY. Comparison of emotion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etween suicide attempters and non-attempters in depressed patients: using MMPI-2 profiles. Korean J Psychosom Med 2012;20:40-49. 11) Han KH, Lim JY, Min BB, Lee JH, Moon KJ, Kim ZS. Korean MMPI- 2 standardization study. Korean J Clin Psychol 2006;25:533-564. 12) Lee K, Lee HK, Kim SH, Jang EY, Kim D. Suicide risk and the MMPI- 2 findings among college students. Anxiety mood 2015;11:120-128. 13) Kim YH, Kim JH, Oh SW, Lim YR, Hong SH. Standardization study of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PAI): reliability and validity. Korean J Clin Psychol 2001;20:311-329. 14) Kim YH, Oh SW, Hong SH, Park EH. The clinical interpretation of PAI. Seoul: Hajisa;2002. 15) Nichols DS. Essentials of MMPI-2 assessment. Hoboken, NJ: John Wiley & Sons;2011. 16) Graham JR. MMPI-2: assessing personality and psychopathology.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1990. 17) Daigle M. MMPI inmate profiles: suicide completers, suicide attempters, and non-suicidal controls. Behav Sci Law 2004;22:833-842. 18) Pompili M, Rihmer Z, Akiskal HS, Innamorati M, Iliceto P, Akiskal KK, et al. Temperament and personality dimensions in suicidal and nonsuicidal psychiatric inpatients. Psychopathology 2008;41:313-321. 19) Seo HC, Oh SB, Kim TH, Lee JH, Kang SH, Lim MH. MMPI characteristics of the suicide attempter visiting emergency unit. Anxiety Mood 2012;8:79-85. 20) Jeon EY, Lee DH, Lee JL, Kim SH. MMPI-2 profile differences between depressive disorders and anxiety disorders. Korea J Couns 2013;14:555-572. 21) Eisenberg D, Hunt J, Speer N. Mental health in American colleges and universities: variation across student subgroups and across campuses. J Nerv Ment Dis 2013;201:60-67. 22) Lee EH. Life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college students: testing for moderating effects of coping style with structural equations. Korean J health psychol 2004;9:25-48. 23) Abdallah 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Palestinian Student Alienation Scale. Adolescence 1997;32:367-371. 24) Langhinrichsen-Rohling J, Arata C, Bowers D, O Brien N, Morgan A. Suicidal behavior, negative affect, gender, and self-reported delinquency in college students. Suicide Life Threat Behav 2004;34:255-266. 25) Nutbeam D, Smith C, Moore L, Bauman A. Warning! Schools can damage your health: alienation from school and its impact on health behaviour. J Paediatr Child Health 1993;29 Suppl 1:S25-S30. 26) Kopper BA, Osman A, Osman JR, Hoffman J. Clinical utility of the MMPI-A content scales and Harris-Lingoes subscales in the assessment of suicidal risk factors in psychiatric adolescents. J Clin Psychol 1998;54:191-200. www.jknpa.org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