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9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 40 호. pp. 499~507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2010. Vol. 40. pp. 499~507 정성현 ( 안동대학교 ) 안동영 * 김태형 ( 한국체육대학교 ) Ⅰ. 서론 장애인에게있어생활체육은건강관리의측면뿐만아니라자아발전과장애의극복, 그리고통합의수단으로이용되고있다 (Auxter & Pyfer, 1985; Sherrill, 2004). 또한심리적일체감과행복감을비롯한자아실현과사회적자립의수단으로서강조되고있다 ( 이성규, 2003; Winnick, 2005). 국내의장애인생활체육은 88 서울파랄림픽과대한장애인체육회의설립이후에많은연구자들의관심을이끌고있으며특히, 장애인의생활체육참여를유도할수있는활성화방안연구는 2000년이후에급격히증가하고있다 (e.g., 김경숙, 2009; 송원익, 김성훈, 박윤식, 차성기, 2009; 오아라, 김상두, 조창옥, 구교만, 2009; 조규정, 2009). 김경숙, 오아라, 구교만 (2009) 은 장애인을위한생활체육의활성화모형개발 과관련하여장애인생활체육참여의당위성을주장하면서장애인의체육활동참여제한요소파악이나프로그램만족, 그리고운동지속제약요소를유도하는다양한심리적요인에대한모형을형성하여장애인생활체육활성화에기여하였다. 지체장애인의생활체육참여율에영향을미치는심리적요인은다양한것으로보고되고있으며 ( 조창옥, 오아라, 구교만, 2009), 성취목표성향과자기관리또한주요한요인으로알려져있다 (Burton, 1988; Duda, 1992, 1993; Roberts, 1992). 성취목표성향이론의핵심적인틀은바로운동수행자가어떤성향의목표를가지고있는가에따라서그사람의행동이크게달라진다는점이다 ( 김병준, 2001). 이것은자신의운동수행능력을어떠한관점에서판단하고판단하느냐에따라서자기관리행동에있어서변화가일어난다는것이다. Duda(1993) 는이와같은운동수행의성취상황에서자신의유능성 (competence) 지각은개인의주관적인해석에의거하여과제목표성향 (task orientation) 과자아목표성향 (ego orientation) 으로구별된다고하였다. 과제목표성향은운동성취의기준을스스로의노력과향상정도로판단하는것으로, 유능감과성공의준거를자기자신에두는것을의미한다. 따라서과제목표성향인지체장애인은생활체육참여에서의실패상황에서도쉽게포기하지않고지속적으로참여할것임을예측할수있다 (Duda, 1992, 1993; Roberts, 1992). 하지만자 * kthokid@hanmail.net
500 정성현 안동영 김태형 아목표성향인지체장애인은운동성취의기준을타인과의비교를통해서판단하기때문에유능성이낮다고판단되거나실패의상황에서는쉽게생활체육참여를포기할가능성이있다 (Duda & Nicholls, 1992). 따라서생활체육에참여하는지체장애인의성취목표성향은그들의운동참여수준에영향을미칠가능성시사하고있다 ( 유진, 1997). 자기관리는생활체육에참여하는지체장애인의성공적인성취를이끄는주요한요인이며, 생활체육참여에있어서스스로를통제하고정신적으로준비하는과정이라할수있다 ( 유진, 1996). 이러한자기관리는우수선수와비우수선수의심리적행동특성차이로알려져있다 (Orlick & Partington, 1988). 즉, 자기관리의고저에따라서성공적인운동수행의여부가다르다는것이다. 허정훈 (2003) 은앞에서언급한자기관리의측정도구를개발하면서, 다음의 4가지영역으로구분하였다. 먼저몸관리는신체적인면의자기관리전략으로, 컨디션조절, 부상의예방및치료, 음식및수면조절등을의미한다. 다음으로정신관리는운동수행에서나타나는불안, 스트레스를극복하기위한자신감및긍정적사고를유지하는것과같은자기관리를의미한다. 훈련관리는평소에행하여지는연습에대한개인의전략적관리를의미하고, 대인관리는운동을행하는당사자의부모, 친구, 코치와같은주변인물들과의인간관계를관리하는전략을의미한다. 이연구에서는성취목표성향의유형에따라자기관리가영향을받는다는선행연구의이론적틀 (e.g., 김미량, 이동현, 2009; 유진, 장덕선, 1998; 한태준, 2008; 허정훈, 2004; Mahoney & Avener, 1977) 과꾸준한자기관리는운동몰입이나만족에영향을주어결국에는운동참여를증진시킨다는남인수 (2009), 조현익, 소영호 (2007) 의연구를근거로목표성향과자기관리, 운동참여에는인과관계가있을것으로가설적모형을설정하였다. 이러한모형의검증은생활체육에참여가전문체육으로진행되는과도기인현시점에서특수체육전문가와지도 자, 그리고장애인당사자에게유익한정보를주어장애인의운동참여활성화및체계적인접근법도입에일조를할수있을것으로기대되고있다. 따라서이연구는생활체육에참여하는지체장애인의목표성향, 자기관리, 운동참가의구조적관계를검증하고, 이의시사점을제시함으로서장애인체육활성화의기초자료를제공하는데그목적이있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참여자 이연구에는 2009 9월에서 12월까지생활체육을실시 하고있는지체장애인 224명이참여하였다. 설문조사를 위하여서울 경기 충북지역의복지관이임의선정되 었으며, 선정된복지관의기관장들에게연구계획서를제 출하였다. 연구계획서에는연구의목적과방법, 기대효 과, 연구참여동의서양식및절차들이포함되었다. 기관 표 1. 연구대상자의인구통계학적특성 구분 인원 ( 명 ) 비율 (%) 2급 29 12.9 3급 25 11.2 장애정도 4급 57 25.4 5급 48 21.4 6급 65 29 성별 남 180 80.4 여 44 19.6 20대 31 13.8 30대 62 27.7 연령 40대 75 33.5 50대 32 14.3 60대이상 24 10.7 장애발생 선천적 28 12.5 후천적 196 87.5 계 224 100%
501 장의승인을받은복지관의이용자들에대한생활체육참여여부를확인한후에연구자와연구보조자가직접방문하여조사하는방법으로설문을실시하였다. 설문응답수합결과, 최초 242 명이연구에참여하였으나, 질문에성실히응답하지않은자료 18부를제외하여최종적으로 224명의응답내용을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인구통계학적특징은 < 표 1> 과같다. 2. 측정도구 항 4개요인, Likert 형식 5점척도로구성되어있다. 내적일관성신뢰도 (Cronbach s α) 는.92로나타나수용가능한수준인것으로보고되었다 ( 허정훈, 2003). 3) 운동참가운동참가를측정하기위하여황성환 (2009) 의연구에서사용한여가참가척도를적용하였다. 이척도의최소점수는 1점, 최대점수는 7점이며, 주당운동참여빈도를수량화한척도이다. 1) 스포츠목표성향 (the task and ego in sport questionnaire) 스포츠목표성향을측정하기위하여 Duda(1992) 에의해개발된 TEOSQ(Task and Ego Orientation in Sport Questionnaire) 를토대로김병준 (2001) 이번안하여국내운동선수들을대상으로타당화시킨척도를사용하였다. 이척도는자신의유능성과성공여부의판단기준을스스로의노력등과같은본인의주관적판단에준거를과제목표성향 (task goal orientation) 7문항, 타인과의비교를통하여자신의유능감과성공여부를판단하는자기목표성향 (ego goal orientation) 6문항등총 13문항 2 요인, Likert 형식 5점척도로구성되어있다. 내적일관성신뢰도 (Cronbach s α) 는.91로나타나수용가능한수준인것으로보고되었다 ( 김병준, 2001). 2) 자기관리자기관리를측정하기위하여허정훈 (2003) 이개발한운동선수자기관리검사지 (athletes self-management questionnaire; ASMQ) 를사용하였다. 이척도는몸컨디션을조절하기위하여신체적인자기관리를의미하는 몸관리 5문항, 스포츠상황에서의부정적정서 ( 불안, 스트레스등 ) 를극복하는것을의미하는 정신관리 4문항, 규칙적인훈련과개인연습의전략을의미하는 훈련관리 4문항, 선수자신에게영향을미치는주변사람들과의인간관계를의미하는 대인관리 5문항등총 19문 3. 자료분석생활체육에참여하는지체장애인의목표성향, 자기관리, 운동참여의인과적관계를알아보기위해구조모형검증을실시하였으며, 구조모형검증을위한측정모형의타당화를실시하였다 (Anderson & Gerbing, 1988). 측정모형의타당화를위해적합도검증과타당도및신뢰도근거검증을실시하였다. 적합도검증은 TLI(Tucker-Lewis index) 와 CFI(comparative fit index), 그리고 RMSEA(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를통해실시하였다. 이지수들은표본크기의영향을많이받지않으며모형의적합도와간명성을고려하는것으로알려져있으며 ( 홍세희, 2000), TLI와 CFI의경우.90 이상일때, RMSEA 의경우.08 값이하일때인정되었다 ( 김계수, 2007; 홍세희, 2000). 이것은구조모형검증에서도동일하게적용되었다. 분석프로그램은 Amos 16.0 을이용하였으며, 가설검증을위한유의수준은 α=.05 로설정하였다. 1) 측정모형의타당화성태제 (2009) 는측정모형의타당화를위해서는두가지이상의타당도근거와신뢰도를제시해야한다고주장하였다. 따라서타당화를위한타당도근거는검사내용에기초한근거 (evidence based on test content) 근거와수렴근거 (convergent evidence) 를검증하였으며, 신뢰도근거는내적일관성신뢰도를검증하였다.
502 정성현 안동영 김태형 검사내용에기초한근거는특수체육교수 2인과스포츠심리학교수 1인이검증하였다. 수렴근거는확인적요인분석을통해서검증하였으며, 측정변수에대한잠재변수의비표준화회귀계수가유의하고, 표준화회귀계수가.5 이상일경우에수렴되었다 (Fornell & Larcker, 1981). 또한내적일관성신뢰도는.7 이상일경우에인정되었으며, 산출공식은 < 그림 1> 과같다. 표준화회귀계수표준화회귀계수측정변수의오차그림 1. 내적일관성신뢰도공식 (Fornell & Larcker, 1981) 2) 가설모형의검증가설모형을검증하기위한구조모형은 < 그림 2> 와같다. 이연구의가설모형은운동수행자가어떤성향의목표를가지고있는가에따라서자기관리의수준에차이가있다는주장 ( 김병준, 2001) 과자기관리는생활체육에참여하는지체장애인의성공적인성취를이끈다는주장 ( 유진, 1996) 을근거로설정되었다. 몸관리자기성향정신관리운동참가훈련관리과제성향대인관리그림 2. 가설모형 Ⅲ. 연구결과 1. 측정모형의타당화 측정모형의타당화를위해서검사내용에기초한근거를검증한결과, 비장애인스포츠에서의성취목표성향과자기관리를측정하는각문항이지체장애인에게적용될수없다는근거를찾기어렵다는결론에도달하였다. 따라서이연구가지체장애인을대상으로함에도불구하고비장애인을대상으로개발되어진선행검사의내용을유지하도록결정하였다 ( 성태제, 2009). 또한각측정모형의적합도와수렴근거를검증한결과, 표준화회귀계수가인정기준치에도달하지못한스포츠목표성향검사 6개문항, 자기관리검사 4개문항이각각삭제되었다. 목표성향의경우에는과제성향총 7 문항중에서 2번, 12번, 13번문항, 자기성향총 6문항중에서 1번, 3번, 4번문항이삭제되었다. 자기관리의경우에는대인관리총 5문항중에서 2번, 10번문항, 훈련관리총 4문항중에서 1번문항, 정신관리총 4문항중에서 14번문항이삭제되었다. 삭제이후의각측정모형은적합지수가인정치를초과하는것으로나타났다. 목표성향과자기관리를모두투입한전체측정모형의수렴근거를검증한결과, 과제성향의 6번문항, 몸관리의 11번문항, 훈련관리의 6번문항이수렴인정기준치에도달하지못하여삭제되었다. 수정된전체측정모형의적합도와수렴근거를검증한결과는 < 표 2>, < 표 3> 과같다. 각적합도지수가인정기준치를초과한것으로나타나수정된전체측정모형이지체장애인의성취목표성향과자기관리를잘설명하고있음을확인하였다. 또한각측정변수에대한잠재변수의표준화계수가인정기준치를초과하여이연구의타당도근거는인정되었다. 내적일관성신뢰도또한인정기준치를초과하여신뢰도근거가인정되었다 ( 김계수, 2007).
503 표 2. 측정모형적합도 척도 χ 2 df TLI CFI RMSEA 목표성향 28.265 13.964.978.073 자기관리 166.309 71.923.940.078 전체 262.826 120.916.934.073 표 3. 측정모형의표준화계수 목표성향 자기관리 요인 과제성향 자기성향 몸관리 정신관리 훈련관리 대인관리 * 인정기준치초과 문항번호 표준화계수 수렴근거 내적일관성신뢰도 t5.755 인정 832* t8.749 t10.719 t11.817 인정 872* t9.830 t6.724 a5.765 인정 769* a9.682 a13.879 a16.749 a8.794 인정 743* a7.715 a4.633 a18.775 인정 881* a3.931 a12.580 인정 711* a15.837 a17.736 표 4. 구조모형의공변량효과분석결과 목표성향 자기관리 외생변수내생변수표준화계수 자기성향 과제성향 몸관리 *p<.05, **p<.01, ***p<.001 자기성향 -.221.635 과제성향 몸관리.201* 정신관리.532*** 훈련관리.191 대인관리 -.221* 몸관리.635*** 정신관리.188 훈련관리.567*** 대인관리.853*** -.062 정신관리.012 운동참가훈련관리.330**.201.532.567.853 대인관리 -.151 몸관리 정신관리 훈련관리 대인관리.330 운동참가 유의한경로비유의한경로 2. 구조모형검증 그림 3. 구조모형검증결과 측정모형을통하여타당도와신뢰도를확보하였으므로, 구조모형을통한인과관계를분석하였다. 먼저구조모형의적합지수를살펴본결과, χ 2 검증값은 308.150, TLI 값은.907, CFI 값은.924, RMSEA 값은.073 으로나타나, TLI, CFI와 RMSEA 값모두에서인정기준치초과하였으므로, 구조모형의적합성은수용할수있는것으로나타났다. 각경로계수에대한유의도검증결과는 < 표 4>, < 그림 3> 와같다. < 표 4> 와 < 그림 3> 와같이자기성향이통계적으로유의하게영향을미치는자기관리의변수는몸관리 γ=.201(p<.05), 정신관리 γ=.532(p<.001), 대인관리 γ= -.221(p<.05) 인것으로나타났으며, 훈련관리에는통계적으로유의한영향을미치지않는것으로나타났다. 과제성향이통계적으로유의하게영향을미치는자기관리의변수는몸관리 γ=.635(p<.001), 훈련관리 γ=.567(p<.001), 대인관리 γ=.853(p<.001) 인것으로나타났으며, 정신관리에는통계적으로유의한영향을미치지않는것으로나타났다. 자기관리에서운동참가에통계적으로유의한영향을미치는변수는훈련관리 β=.330(p<.01) 으로나타났
504 정성현 안동영 김태형 지만, 자기관리의나머지변수인몸관리, 대인관리, 정신관리는운동참가에통계적으로유의한영향을미치지않는것으로나타났다. Ⅳ. 논의 운동을수행하면서지각하는목표성향이어떠한가에따라서자기관리가변화되고, 이에따라운동참가에영향을미친다는연구과제는현재우리나라장애인생활체육의활성화에서의미있는내용이라고할수있다. 그이유는우리나라장애인생활체육활성화가 1988 년서울패럴림픽이후부터한국장애인복지진흥회에서생활체육을담당하던시기를도입기라정의한다면, 2005년부터대한장애인체육회가발족하고, 보건복지부에서문화체육관광부로장애인체육전담부서이전되어현재에이르는시기를과도기와발전기의중간정도로평가할수있고, 이와같은시기에생활체육과전문체육을아우를수있는심리적변인인성취목표성향을어떻게이끌어나가느냐에따라자기관리전략을발전시키고이러한전략은결국운동참여를활성화시켜장애인체육발전에일조할수있을것이기때문이다. 상기와같은연구배경에따른이연구의주요결과는다음과같다. 첫째, 측정모형검증단계에서목표성향에서 6문항, 자기관리 4문항, 전체측정모형에서다시 3문항, 총 13문항이단일차원성을확보하지못하는것으로나타났다. 이러한의미는비장애운동선수용으로개발된목표성향과자기관리의각문항들이생활체육에참여하는장애인을대상으로적용하였을경우최적화되지않았음을시사한다. 따라서성취목표성향과자기관리의각문항에따른요인들을생활체육장애인의생태학적특성에맞는요인들로재해석하여문항을재구성하고, 이에따른재검증을시도해야함이필요한것을나타내는것이라할수있다. 둘째, 목표성향의하위개념인자기성향은몸관리, 정 신관리에통계적으로유의하게정적인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으며, 대인관리의경우에는부적인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 이러한결과는허정훈 (2003) 의연구에서밝힌바와같이자기성향은정신관리에는긍정적으로, 대인관리에부적인영향을미친다는점에는일치하였지만, 몸관리에서는상반되어부분적으로일치하는것으로나타났다. 또한김미량, 이동현 (2009), 한태준 (2008) 의연구에서는자기성향은자기관리에영향을전혀미치지않는다고보고하여이연구와는상반되는것으로나타났다. 나타난결과를중심으로살펴보면, 자기성향이몸관리와정신관리에직접적인주관적영향을미치는것은타인의의식을관철하여이를보여주려는의도가지각적으로점차적으로표출되어정적인영향을주었다고해석할수있고, 반대로대인관리는타인을압도하고이기려하며, 경쟁적인관점에서바라봄으로서부정적으로견해를가지기때문에, Duda(1992) 가제시한개념과일치한다고볼수있다. 따라서자기성향이자기관리에미치는영향력은간과할수없는부분이며, 이러한자기성향에대한전략적접근은자기관리를효과적으로진행할수있는변인이라할수있을것이다. 셋째, 목표성향의하위개념인과제성향은몸관리, 훈련관리, 대인관리에정적으로유의한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 이러한결과는김미량, 이동현 (2009), 한태준 (2008), 허정훈 (2003), Duda(1992, 1993) 의연구와일치하는것으로나타났다. 즉, 자기자신의내적감정을스스로평가하고조절하여노력하는과제성향을지속적으로유지한다면외적으로평가되는몸관리, 훈련관리, 대인관리에긍정적인영향을미친다는점에서선행연구와일치되는사항이라할수있다. 넷째, 자기관리의하위영역인훈련관리는운동참가에정적으로유의한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지만, 그밖의요인인몸관리, 정신관리, 대인관리에는그렇지않은것으로나타났다. 이러한결과는남인수 (2009), 조현익, 소영호 (2007) 의연구와일치하는것으로나타났다. 다른요인보다도훈련관리에따라서운동참여에영향을
505 미친다는결과는바로생활체육이전문체육의초기영역 을설명하여준다는것을의미한다고할수있으므로, 시사점이크다고판단할수있다. 즉, 생활체육의궁극적목적은자아실현이지만 (Sherrill, 2004; Winnick, 2005), 이자아실현을구성하는또하나의요인이전문적인스포츠기술을연마하여유능감과만족감을형성하여운동참여를지속시킨다는것으로볼수있다. 결론적으로생활체육에참여하는장애인중에서대다수를차지하는지체장애인에게있어그들이지각하는목표성향은자기관리의다양한영역에영향을주는것으로볼수있으며, 그중에서도훈련에대한자기관리를통하여스포츠기술에대한향상을꾀하는경우에운동참여를지속시키는것으로나타났다. 이연구의제한점과후속연구를위한제언은다음과같다. 첫째, 이연구의측정도구로사용된목표성향과자기관리의일부문항이수렴되지못하였다. 이는해당문항이생활체육에참여하는지체장애인에게적합한문항이아니라는것을의미하므로, 추후연구에서는연구대상에게적합한측정도구의재개발과재검증의절차가필요할것이다. 둘째, 이연구에서는지체장애 1급의생활체육참여자들이포함되어있지않으며, 외생변수들의문항수가같지않아체계적오류를포함할가능성이있다. 따라서후속연구에서는이에대한고려가필요하다. 셋째, 생활체육에참여하는지체장애인만을대상으로하였으므로, 비교군이없다는문제점이있다. 따라서후속연구에서는성별, 장애집단, 장애등급, 프로그램형태에따른다집단분석을실시하여집단간차이점은무엇이며, 왜그러한차이가나타나는지에대한분석을시행할필요가있다. 참고문헌 김경숙 (2009). 뇌졸중후편마비인의체육활동과장애수용, 자 아존중감, 생활만족도의관계.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7(4). 1-18. 김경숙, 오아라, 구교만 (2009). 장애인을위한생활체육의활성 화모형개발 -당사자주의적관점으로-.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7(1). 65-95. 김계수 (2007). New Amos 7.0 구조방정식모형분석. 서울 : 한나래. 김미량, 이동현 (2009). 복싱선수의성취목표성향과자기관리및 스포츠대처전략의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8(5). 139-148. 김병준 (2001). 목표성향으로예측한스포츠재미와스트레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2(1). 125-140. 남인수 (2009). 성인여성의아쿠아로빅운동참여정도와자기관 리가운동몰입, 자아존중감에미치는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3(2). 61-74. 성태제 (2009). 타당도와신뢰도. 서울 : 학지사. 송원익, 김성훈, 박윤식, 차성기 (2009). 생활체육에참여한장애 인들의개인적특성에따른생활만족과스트레스차이검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6(2). 603-612. 오아라, 김상두, 조창옥, 구교만 (2009). 생활체육참여장애인의 기본적심리욕구가심리적웰빙에미치는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7(3). 101-116. 유진 (1996). 운동선수들의심리적기술검사지개발. 한국체육학회지, 35(3). 107-124. 유진 (1997). 스포츠성취목표지향성과동기분위기가내적동 기, 자긍심, 운동수행에미치는효과.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8(1). 69-85. 유진, 장덕선 (1998). Sport psychology and psychological skills perceived by coach and athletes in Korea: An exploratory study. 서울국제스포츠과학학술대회논문. 이성규 (2003). 장애인스포츠활동의현황과인식에기초한장애 인스포츠지원체계개선방안. 사회복지정책, 17. 133-153. 조규정 (2009). 지체장애인의생활체육참여형태와고독감및생 활만족의관계.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7(3). 213-232. 조창옥, 오아라, 구교만 (2009). 장애인생활체육참여만족도가 참여후지속적참여의사에미치는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5(1). 679-686. 조현익, 소영호 (2007). 대학운동선수의자기관리가운동몰입및 운동만족도에미치는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6(6). 205-218. 한태준 (2008). 레슬링선수의성취목표지향성, 자기관리및스 포츠자신감의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9(4). 35-52. 허정훈 (2003). 운동선수자기관리검사지 (ASMQ) 개발. 한국스
506 정성현 안동영 김태형 포츠심리학회지, 14(2). 95-109.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모형의적합도지수선정기준과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19(1). 161-177. 황성환 (2009). 여가제약, 여가제약협상및여가참가의관계 : 생 활체육지도자연수참가자를중심으로. 체육과학연구, 20(3). 499-506.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 411-423. Auxter, D., & Pyfer, J. (1985). Principles and Methods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and Recreation. SL: Times Millor/Mosby College Publishing. Burton, D. (1988). Do anxious swimmers swim slower? Reexamining the elusive anxiety performance relationship.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10(1). Duda, J. L. (1992). Motivation in sport settings: A goal perspective approach. In G. C. Roberts(Ed), Motivation in Sport and Exercise (57-91). Champaign, IL: Human Kinetics. Duda, J. L., & Nicholls, J. G. (1992). Dimensions of achievement motivation in schoolwork and spor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4. 290-299. Duda, J. L. (1993). A goal perspective theory of meaning and motivation in sport. In the 8th World Congress of Sport Psychology Proceeding (65-81), Lisbon, Porutugal. Fornell, C. & Larcker. D. F. (1981). Evalu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ed variables and measuren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aserch. 18(1). 39-50. Mahoney, M. J., & Avener, M. (1977). Psychology of the elite athlete: An exploratory study.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3. 361-366. Orlick, T., & Partington, J. (1988). Mental links to excellence. The Sport Psychologist, 2. 105-130. Roberts, G. C. (1992). Motivation in sport and exercise: Conceptual constraints and conceptual convergence. In G.C. Roberts(Ed). Motivation in Sport and Exercise (3-30). Champaign, IL: Human Kinetics. Sherrill, C. (2004). Adapted Physical Activity, Recreation and Sport: Crossdisciplinary and Lifespan (6th ed.). Boston, Massachusetts: McGraw-Hill. Winnick, J. P. (2005). Adapted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4th ed.). Champaign, IL: Human Kinetics.
507 ABSTRACT The Relationships amo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management, and Activity Participation of the Physical Disability Participating in Sport for All Jung, Sung-Hyun Ahn, Dong-Young Kim, Tae-Hyung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verifying the causal relations amo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management, and activity participation of the physical disability participating in sport for all, through analyzing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 224 physically challenged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sport for all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09, were subject to the study; th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Amos 16.0 program and the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 were verifi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ork are as follows. First, as a consequence of testing measurement model, 7 question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6 questions of self-management were eliminated since they do not show single dimension unidimensionality. The subsequent goodness of fit was appeared to be acceptable.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subordinate concept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r ego goal orientation statically affects their health care and mind control positively, but personal relationships negatively Thirdly, it was found that the subordinate concept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r task goal orientation statically affects their health care, training management, and personal relationship beneficially. Fourthly, it was found that the subordinate concept of self-management, or practice management statically affects the activity participation positively. Key Words:physical disability,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management, activity participation 접수일 : 2010. 3. 3 게재확정일 : 2010. 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