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악기능교합학회지 17권 2 호, 2001 - 교합의기초: 하악운동 Foundation of Occlusion: Mandibular Movement 원광대학교치과대학보철학교실, 조교수오상천 1. 하악운동의연구사 (2) 보크윌각(Balkwill angle, 1866) 하악운동을고찰하기에앞서중요한교합학용어 를연대순으로정리하여하악운동연구사의흐름을 이해하는것이악운동개념정립에도움이될것으 로판단되며이를위해악기능교합학회에서편찬한 교합학용어및도해 라는책 1) 을바탕으로몇가 지중요한용어를설명하면아래와같다. (1) 하악삼각(Mandibular triangle, Bonwill triangle, 1850) 단순접번교합에서비록전진운동이었으나 과두운동개념이최초로도입 하악중절치절단( 근심우각) 또는하악정중선( 무 치악의경우) 과좌우과두를연결하는한변이 4 inch(10cm) 인삼각형을의미하는것으로( 그림1), 2) 이는양과두간거리를 10.315cm로하는초기해부 학적교합기설계에기본이되었다. 당시 Bonwill은 측방운동시작업측은회전하고비작업측은단지 전진운동만하는것으로가정하여양측성균형교합 (bibalanced occlusion) 의원시적개념을제기하였으 며, 이를근거로 1805년 Gariot에의해서최초로개 발되었던단순접번교합기에이어비록수평이동뿐 이었지만좌우과두가따로움직일수있는과두의 운동개념이추가된최초의기능교합기를소개하였다. 3) 과두의전진운동이좀더실제에가까운전 하방으로근접 하악이전방운동시하악구치부가 Bonwill triangle 의한쪽측면과일치하여전하방으로움직인 다는진일보된가정하에교합평면과하악삼각이 이루는각을의미한다( 그림1). 4) 일반적으로하악삼 각은하악양중절치절치점에서하악제2대구치원 심협측교두를잇는가상의교합평면에대해약 26 의평균값을보이며이는기능적해부학적교합기 에응용되었다. 그림 1. Bonwil 삼각과 Balkwil 삼각.
138 오상천 (3) 전후만곡(Spee 만곡, 1890) 치열의전후교합면형태와하악전후운동 과의관계를조명 시상면에투영된정상치열은하악견치의첨두에 서대구치협측교두정그리고하악지의전연을거쳐 하악두최전방에이르는아래로볼록한해부학적치 열만곡을이루는데 Spee는이원호의중심이안와 내누골상연부에있고하악운동은이점을중심으 로진자운동( 진자운동설) 을한다고보고하였다. 5) 따 라서그들은치열이이운동과조화를이루어야한 다고믿었으며, 교합간섭으로인해조화가깨지면 양측성균형교합을이룰수없다고생각했다. 오늘 날이양측성균형교합이론은여러부분에서실제 와는거리가있어더이상지지받지못하고있으나 아직도총의치나유리단국소의치일부에서의치의 유지력을위해서이균형교합이응용되고있다. (4) 측방만곡(Wilson 만곡, 1900?) 치열의좌우교합면형태와하악좌우운동 과의관계를조명 전두면상에투영되는좌우의동명구치들의양 측협측교두정과설측교두정을연결하는아래로볼 록한치열만곡으로이는해부학적으로더높고예 리한하악구치의설측교두가구강내에서주저작 근인교근이나내측익돌근의주행방향과일치하여 설측으로약간기울어져있기때문에형성되는곡 선으로교합압관점에서볼때매우유리한형태이 다. 간혹장년층에서오랜기능에의해기능교두 ( 특히하악협측교두) 가심하게닳을경우오히려상 방으로볼록한곡선(Anti-Wilson 만곡) 을보이기도 한다. (5) 몬슨만곡(Curve of Monson, Monson`s spherical theory, 1918) 치열의전후, 좌우교합면형태와하악골의 운동과의관계를조명 하악치아가상악교합면을따라움직일때, 반지 름이 4 inch( 약10cm) 인구면위를미끌어지듯이움 직이고, 이구면의중심점은미간(glabella) 부위에 그림 2. Monson 의구면설과교합기. 위치하며구면의원호는하악절치점에서좌우하 악와의관절융기(articular eminence) 를지나게되거 나혹은이와동심원상에있게된다는이론 6) 으로 하악삼각, 전후만곡, 그리고좌우만곡을입체적인 구면개념으로통합발전시킨것이다( 그림2). 그러 나이역시오늘날에는많은부분에서잘못된점들 이지적되고있으며단지교합만곡이약 4 inch 반 경의구면일부를형성하는해부학적견해만이인 정되고있다. (6) 크리스텐센현상(Christensen Phenomenon, 1905) 하악운동시치열( 교합평면) 과과로경사각 과의관계를조명 하악의운동시대합하는교합면사이에생기는 간격 7) 을의미하는것으로이를시상면과전두면에 서분석할수있다. 시상크리스테센현상은과두가 관절결절의후벽을따라전하방으로활주할경우, 절치부는수평이동하지만구치부는전하방으로하 강하여교합면사이에공극이생기는현상으로이 양은시상과로경사각과시상절치로경사각( 전방유 도) 에의해서영향을받는다. 측방크리스텐센현상 은측방운동시비작업측과두가전하내방으로주 행하면서비작업측구치부교합면사이에간극이 생기는현상으로비작업측측방시상과로경사각과 전방유도크기에의해서영향을받는다. 오늘날임 상에서환자의과로경사도를반조절성교합기의과 로부에옮기기위해이현상을이용한 check bite method 가이용된다.
교합의기초 : 하악운동 139 2. 하악운동의결정인자(determinants) 교합과하악운동은전방의상하악전치피개( 수 평/ 수직) 결과인전치유도(anterior guidance) 와후방 의하악와(mandibular fossa) 와과두(mandibular condyle) 의관계로나타나는과로유도(condylar guidance) 에의해서영향을받는다( 그림3). 이들은 서로도와가며하악운동을조절하고교합면형태 ( 교두높이, 와의깊이, 융선과구의방향) 결정에 관여한다. 일반적으로절치점이교두감합위에서절 단교합에이르는경로인전방절치로는전방과로보 다경사가더급해이두시상경사로차이가전방 운동시구치이개를유도하게되며이를위해전방 과로보다전방절치로는약 5-25 도커야한다. 후방 결정인자인과로유도는치열의장기적인변화에따 른 remodelling과같은요인에의해악관절에형태 변이가이루어짐으로다양하게나타나는것으로보 고되며, 8) 건강한상태로개선은가능하나형태수정 은불가능한것으로보고된다. 9) 또한과로란실제 적으로연조직으로구성되어있으므로측방절치로 가작업측과로의시상면내에서과로편위를제어 하고이로인해전방과로와측방과로모두에서상 당량의편차( 전방과로와비작업측측방과로: 최대 0.78mm, 10) 작업측측방과로: 최대 0.3mm) 를보이는 것으로보고된다. 11) 따라서전방결정인자인전방 유도는과로에비해교두경사에더큰영향을주고 치과의사에의해서수정과개선이가능하므로교합 그림 3. 치아외형이후방요소에가까울수록과두유도에, 전방요소에가까울수록전치유도에더많이영 향을받음을보여주는모식도. 개선이필요할경우, 후방결정인자의건강도를확 인한후에전방결정인자를치료의대상으로삼게되 므로전방유도가과로보다임상적으로더큰의미 를지니게된다. 3. 범위에따른하악운동 저작, 발음, 연하, 하품등정상적인하악의모든 운동은자연스러운듯보이나실은일정한경계를 벗어나지않는다. 따라서이러한경계를기준으로 골, 인대, 연조직에의해서제한을받지않으면서 습관적으로움직이는경계내운동( 습관운동) 과의도 적으로그들의제한을받을때까지일정한경계를따라일어나는경계운동으로나뉜다. 12) (1) 경계내운동( 습관운동, intra-border movement, habitual movement) 저작이나발음등의일상적기능중에경계내에 서일어나는운동으로임상적으로는중요한의미를 가지나그경로가다양하여정밀하게재현이불가 능한운동이다. (2) 경계운동( 한계운동, border movement) 해부학적구조의한계를따라하는운동으로재 현가능성이높다. 이를시상면, 수평면, 그리고수 직면으로나누어설명하면, 시상면경계운동은하 악이경계를따라수직전후개폐운동을할때, 하 악절치점이시상면에그리는특징적인방추상형 태의한계운동으로나타난다( 그림4). 13) 이를 4단계 로설명하면제1단계는하악과두가관절와의중심 위( 최후퇴위) 에있을때에 terminal hinge axis (horizontal transverse axis) 를중심으로하악과두의 순수한회전운동에의해이루어지는개구운동을말 하며, 하악이약 10-13 의범위안에서개구했을때 발생한다. 14) 제2단계는순수한회전운동이끝나는 곳에서하악과두가관절와내에서회전, 활주하면 서관절융기를타고최대개구위에도달하기까지일 어나는개구운동을말하고, 제3단계는하악과두가 관절와의최전방에서다시후퇴하면서최( 전) 상방 위에도달할때까지발생하는하악의폐구운동을
140 오상천 그림 5. 수평면에서하악의경계운동. 그림 4. 시상면에서하악의경계운동. 의미하며, 제4 단계는하악의최( 전) 상방위에서최 후퇴위( 중심위) 로되돌아오는치아의접촉활주운 동으로이는교차교합, 절단교합, 최대교두감합그 리고중심교합순의경로를밟아다소불규칙한경 향을보인다. 수평면경계운동은하악이경계를따 라수평전후좌우측방운동을할때, 하악절치점 이수평면에그리는마름모형태의한계운동으로 나타나고( 그림5), 일명 Gothic arch 라부른다. 15) 수직 면경계운동은하악이경계를따라수직좌우개폐 운동을할때, 하악절치점이수직면에그리는특징 적인방패형태의운동으로최상방은중심교합위와 일치하며좌우로벌어져측방한계운동로가나타나 고다소개인차가있지만최하방위는최대개구위와 일치한다( 그림6). 4. 하악의기본운동 하악의기본운동은하악운동의결정인자와관련 된인대와근육에의해일어나며크게개폐운동, 전 방운동, 측방운동, 후퇴운동으로나눌수있다. (1) 개폐운동 양과두를잇는 transverse horizontal axis를중심으 로교두감합위에서최대개구위를향해하악을하강 시켰다가그위치에서다시폐구하는운동을개폐 그림 6. 수직면에서하악의경계운동. 운동이라한다. 운동발생시과두의위치에따라후 방개폐한계운동, 전방개폐한계운동, 측방개폐한계 운동, 습관성개폐운동등으로나뉜다. 후방개폐한 계운동은중심위에서과두의회전운동으로시작하 는데그후관절와의관절융기를따라서활주와회 전이혼합되어전하방으로이동하고관절융기를넘 어최대개구위에도달하였다가다시닫히게되는 하악의개폐운동으로초기운동이 hinge axis를중 심으로일어나므로특히다른한계운동보다보철학 적의미가더욱크다. 16) 전방개폐한계운동은과두 가관절와의최전방에위치할때에발생하는개폐 운동을말하며, 습관성개폐운동은하악의반사적
교합의기초 : 하악운동 141 폐쇄운동으로교두감합위에서출발하여안정위를 통과한후종말위에서다시교두감합위로되돌아오 는개폐운동을의미한다. (2) 전방운동 관절와내에서과두와관절원판이관절융기를따 라활주하강하고치열은교두감합위( 중심위) 에서 상하악치열이서로닿으면서시상절치로 (sagittal incisal path) 를따라하악이전방으로돌출하는운동 이다. 17) 하악이전방운동할때과두의운동로인시 상전방과로는캠퍼평면에 33-36 의경사를보이 고, 18,19) Frankfort plane과는평균 40 를보인다. 20) 전 방운동은일반적으로두개의요소, 즉하악과두의 운동을유도하는후방의시상전방과로 (sagittal protrusive condylar path) 와전방의전방유도즉전방 절치로(protrusive incisal pathway) 에의해서영향을 받는것으로보고되며, 21) 일부에서는전방운동시 절치로와과로사이에는연관성이없는것으로보고되기도한다. 22) (3) 측방운동 작업측과두의 vertical axis와 sagittal axis를중심 으로비작업측하악과두와관절원판이관절와의전 하내방으로미끄러져내려감으로써발생하는운동 으로과로와전치의전방유도( 측방절치로) 에의해 서영향을받는다. 이런측방운동에서비작업측과 두의전하내방이동으로관절와내에서과두와관 절원판의복합체가나타내는운동로를측방과로 (lateral condylar path) 라부르고, 작업측과로와비작 업측( 평형측) 과로로나뉜다. 전방운동에서는교두 경사에대한과로유도와전치유도가거의영향을 미치지못하는반면에측방운동시에는견치유도가 비작업측과로유도보다더큰영향을주며, 각치아 군에대한영향은있었으나성별에따른차이는거 의없는것으로보고된다. 23,24) 비작업측시상측방 과로는비작업측과두의전하내방이동을시상면에 서본것으로과거에는시상전방과로보다길고경 사가급하면서이둘의차이인 fisher angle이평균 5 도를보이는것으로보고되었으나, 최근전자학적 연구에서는전방운동과측방운동의시상과로는약 40도로비슷하여 fisher angle이 0에가까운것으로 확인되었다. 비작업측수평측방과로, 즉수평측측 방과로가시상면과이루는평균 13.9 의각을측방 과로각(lat. Condylar path inclination) 또는 Bennett angle 이라부른다( 그림7). 25) 이 Bennett angle( 측방과 로각) 은비작업측과두가전방만이아니라내측방으 로이동함에따라발생하는것으로순수내측방이 동성분을 side shift 라부른다. Immediate side shift는 악관절을이루고있는연조직때문에그상태에따 라크기가좌우되는초기순수내측방이동을말하 고, progressive side shift는전방이동성분에비례해 서생기는점진적인내측방이동을말하며이를추 적분석하여악관절주위구조물의건강도를진단 할수있다. 측방운동시, 작업측과두에서는비작 업측의내측방이동성분에의한하악전체의측방 그림 7. 하악의측방운동에따른비작업측과두의움직임. 그림 8. 하악의측방운동에따른작업측과두의움직임.
142 오상천 이동, 즉작업측과두의외측방운동(laterotrusion), Bennett movement 라부르는데, 26) 실제로는외측방 과더불어개인에따라상(laterosutrusion), 하 (-detrusion) 로이동이복합적으로일어나며, 이방향 / 경로/ 시기는측방전치로나교두간강등에의해개 인차를보인다( 그림8). 27) 이운동은음식물분쇄시 에나타나는강력한운동으로교합면형태에큰영 향을주므로보철학적으로중요한의미를갖는 다. 28) 만약이운동이없었다면작업측과두가순수 한회전운동만하므로기계적으로교합기상에서 기능적형태를쉽게부여할수있었을것이다. (4) 후방운동 하악은교두감합위에서치아를활주시켜 1mm 이 하를후방으로즉중심위로이동할수있는데이를 후방운동이라한다. 임상적으로최대교두감합위에 서약간의후방운동으로얻어지는중심위간에편 안한이동이가능한교두간섭이없는 부여해야한다. 맺으면서 long centric을 기능적인차원에서치과수복물의성패는하악운 동과관련하여구강내환경에잘적응하는치관외 형부여에따라좌우된다. 따라서성공적인수복물 제작을위해서는치아형태는물론이고하악운동의 동력학에대한이해가필요하다. 29) 하악운동은위 에서설명했듯이악관절(TMJ) 에의해제한을받으 며, 하악과두가상악의관절와내에서접번운동과 활주운동을함으로써복합적으로이루어진다. 접번 운동은악관절의관절원판의아랫부분인하관절강 내에서의회전운동으로하악의개폐운동을유도하 며, 활주운동은관절원판의윗부분인상관절강내 에서관절원판과과두가관절와경사를따라미끄 러지는활주운동으로하악의전, 후운동과측방운 동을유도한다. 이러한운동은본문에서처럼일반 적으로시상면과수평면그리고수직면에투영된 평면적정보를바탕으로설명되나저작이나발음 등의실제적상황에서는이들이합성된 3차원적운 동으로표현되므로이들을입체적으로이해해야만 임상에서실제적인도움을받게될것이다. 참고문헌 1. 이성복외. 교합학용어및도해, 제2 판. 신흥내 셔날, 2000. 2. GPT-7. Glossary of Prosthodontic Terms, 7th edition. J Prosthet Dent 1999. 3. Bonwill WGA. Articulation and articulator. J Am Dent Assoc 1865. 4. Balkwill E. The best form and arrangement of artificial teeth for mastication. Trans Odontol Soc Great Britain 1866;5:133. 5. Spee FG. Die Verschiebungsbahn des Unterkiefers am Schadel. Arch f Anat u Phys 1890:285. 6. Monson GS. Occlusion as applied to crown and bridge-work. J N Dent Assoc 1920;7:399. 7. Christensen C. The problem of the bite. Dent Cosmos 1905;47:1184. 8. Mongini F.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and pantographic tracings of mandible movements. J Prosthet Dent 1980;43:331. 9. McCollum BB, Stuart CE. A research report. Calif Scientific Press, Pasaden Calif 1955:34-89. 10. Clayton JA. A panographic reproductibility index for use in diagnosing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a report on research. J Prosthet Dent 1985;54:827-831. 11. Takayama H, Hobo S. The derivation of kinematic formulae for mandibular movement. Int J Prosthodont 1989;2:285-295. 12. Posselt U. Studies in the mobility of the human mandible. Am J Orthodont 1953;39:471. 13. Posselt U. Physiology of occlusion and rehabilitation, second edition. Blackwell Scientific, Oxford, 1968:174-218. 14. Posselt U. Hinge opening axis of the mandible. Acta Odont Scandinav 1956;14:49. 15. Gysi A. The problem of articulation. D Cosmos 1910;51:1. 16. Stuart CE. Accuracy in measuring functional dimensions and relations in oral prosthesis. J Prosthet Dent 1959;9:220. 17. Cinotti WR, Grieder A. Applied psychology in
교합의기초 : 하악운동 143 dentistry. CV Mosby Co., St. Louis, 1964. 18. Gysi A. Selecting a form of denture service. D Digest 1929;35:73. 19. Zamacona JM, Aranda E. Study of the sagittal condylar path in edentulous patients. J Prosthet Dent 1992;68:314-317. 20. Lundeen HC, Wirth CG. Condyle movement patterns engraved in plastic blocks. J Prosthet Dent 1973;30:866-875. 21. Rugh JD, Johnson RW. Mandibular movements. In a textbook of occlusion(eds Mohl ND, Zarb GA, Carlsson GE and Rugh JD). pp. 129-141, Quintessence Publishing, Chicago, 1988. 22. Ingervall B. Range of sagittal movement of the mandibular border movements: A statistical study in a normal young nonpatient group. J Prosthet Dent 1972;30:67. 23. Ogawa T, Koyano K, Suetsugu T. The influence of anterior guidance and condylar guidance on mandibular protrusive movement. J Oral Rehabil 1997;24:303. 24. Koyano K, Ogawa T, Suetsugu T. The influence of canine guidance and condylar guidance on mandibular lateral movement. J Oral Rehabil 1997;24: 802-807. 25. Gysi A. Selecting a form of denture service. D Digest 1929;35:73. 26. Lucia VO. Morden gnathological concept. CV Mosby Co, St Louis, 1962. 27. Aull AE. Condyle determinants of occlusal patterns. Part Ⅰ& Ⅱ. J Prosthet Dent 1965;15:5. 28. Granger ER. Fundamental relations of the stomatographic system. JADA 1954;48:638. 29. John NP. Foundation of functional occlusion: mandibular movement. Quintessence of Dental Technology 1984:1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