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According to the decrease in birth rate and reduction of population in rural area, primary schools have brought about many problems for decrease of number of student, and environment of education have became deteriorated. Accordingly, primary schools be required improvement, and it should be altered placement of schools because it change number of student, distance and time of attending school, and formation of school zone are changed by alternating of human and physical environment. Merger and abolition of primary school is inevitable for change of placement standard to primary school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environment of education in rural area. This study suggests the effective space planning methods for unified school and appropriate utilization alternatives for closed school following after the merger and abolition of small rural schools. In doing so, it explores the present models of merger and abolition through analysis of all sort of actual condition and the possibilities for various utilizations of the abolished schools. It proposes a classroom-operation type fused the comprehensive class and departmental class system for merged primary schools in rural area. It also suggests the re-use methods of closed school facilities for studens and community. Finally, it emphasizes that in order to success the policy of the merger and abolition of small schools, it be attributed to the social-cultural environment based on local residents and community and required provision of a variety of utilization plans reflecting local specifics and guarantee of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and selection..,,, KeywordsMerger and Abolition of Small Schools, Rural Schools, Space Planning for Unified School, Utilization of Closed School,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1.1 연구의배경과목적
1.2 연구의방법및범위 2.1 소규모학교문제점과통폐합의요건
2.2 소규모학교정책 3.1 소규모학교현황과통합목표
3.2 폐교및폐교활용현황 대부 802 24% 미활용 463 14% 자체활용 205 6% 반환 58 2% 매각 1,842 54%
소규모학교 통폐합에 따른 통합초등학교의 공간구성 및 폐교 활용에 관한 연구 부담이 되고 있다. 시하여 통합 이후 학생의 적응을 위해 조치를 취하였다. 폐교는 교육, 수련, 종교, 복지, 기업, 생산, 복리 시설 등 으로 임대하여 활용되는데, 주로 많이 활용되는 사례는 교 4.2 교육환경 개선 및 교과지도의 변화 육시설, 생산시설, 복리시설, 복지시설 순으로 조사되었다. 1) 시설 개선 및 신축 원남중학교, 내북중학교, 속리중학교의 세 학교가 통합 표 5. 임대 폐교시설의 활용 현황(교과부 내부자료, 2010) 된 속리산 중학교는 기존 원남중학교의 건물을 리모델링 폐교 교육 수련 종교 복지대 부(임대) 및 개 증축하여 학교시설을 확보하였다. 즉 27,180 의 대 생산 복리 활용 시설 시설 시설 시설 기업 시설 시설 시설 기타 계 지면적에 125여원을 투입하여 교사동, 식당 및 다목적실, 학교수 242 76 8 91 13 106 104 190 830 체육관, 기숙사 동을 리모델링 혹은 신축하고,, 기존의 열 악한 시설이었던 운동장 및 농구장 시설을 개선하여 학생 들의 수업환경의 개선을 가져왔다. 교육시설 242 29% 기타 190 23% 복리시설 104 12% 수련시설 76 9% 생산시설 106 13% 기업시설 13 2% 복지시설 종교시설 8 91 1% 11% 그림 2. 임대 폐교시설의 활용 현황(단위 : 학교수, %) 4. 소규모 학교 통합 사례 조사 4.1 소규모학교 통합 개요 1) 통폐합 개요 통합전의 총 학생수는 속리중학교 25명, 내북중학교 29 명, 원남중학교 54명으로 시 지역의 한 학급의 수보다 적 은 과소규모 중학교이었다. 그리고 학교시설도 내북중학교 1972년, 속리중학교 1973년, 원남중학교 1970년에 각각 준 공되어 모든 학교시설이 개축대상 건물이었다. 충북 보은지역의 교육여건 개선과 학교규모 적정화를 위하여 속리중학교, 내북중학교, 원남중학교를 폐교하고 원남중학교를 리모델링 및 개 증축을 통하여 속리산중학 교로 통합 하였다. 통합학교는 4개학급 120명의 학생을 수 용할 계획이며, 전국 최초의 기숙형 중학교로 건립되어 많 은 관심을 받고 있다. 2) 통폐합 과정 세 학교의 통폐합에 있어서 주민들의 입장차이, 지역 여 건 등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나, 각종 공청회, 의견수 렴, 교육청 및 지방자치단체의 도움 등을 바탕으로 학교의 통합을 이루었다. 그리고 통학구역의 조정, 학구조정, 건물 의 신축 및 리모델링, 통합 학교간 공동 체험활동등을 실 교사 및 운동장의 환경 개선 신축된 체육관과 기숙사 그림 3. 속리산중학교의 신축 및 기존시설 리모델링 사진 2) 특성화 교육프로그램 운영 통합 속리산중학교의 특색교육으로는 월1회 학생 전원 이 참여하는 한마당가족회의, 학생오케스트라 운영, 1인1 테마 book 제작, 1인 1국화 가꾸기, 1인 1악기 연주 등의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인성함양을 위하여 체험활동을 통한 인성 함양 프로그램과 봉사활동을 통한 인성 함양 프로그 램이 운영되며, 학력 제고를 위한 프로그램으로 교과교실 제 운영, 수준별 수업, 주간 방과후 교과학습, 야간 방과후 특기 적성, 개별 학력 관리 프로그램, 정독실 자율학습이 운영된다. 그리고 체력증진을 위한 1인 1검도 운동과 농 구, 탁구, 헬스, 배드민턴 등의 여가운동 프로그램도 운영 하고 있다. 3) 교육활동 및 교과지도 변화 속리산중학교는 기숙형 학교이므로 정규 수업 이후 방 과후 교육활동과 동아리 활동 및 체력단련이 매일 이루어 지고, 저녁식사 후에는 자유시간에 이어 야간 방과후 교육 활동, 자기주도적 자율학습 및 취미활동이 이루어지는 등 다양한 교육활동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편성되었다. 기숙사 운영으로 인해 등교, 귀가 일에는 학생을 이동하는 버스 2대를 임차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리고 교과지도면에서 순회교사가 담당하는 교과 시수 한국교육시설학회논문집 제19권 제3호 통권 제88호 2012년 5월 25
5.1 교육과정에대응하는통폐합초등학교시설계획 교수학습영역 통합초등학교의공간구성체계 지원영역 5.2 통합초등학교교수학습영역공간계획
통합초등학교 교실운영방법
5.3 방과후학교및특성화교육프로그램운영과시설적대응
6.1 폐교시설활용접근방법과모형 6.2 폐교시설활용시설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