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향수실태조사 SURVEY REPORT ON CULTURAL ENJOYMENT 2006 문화관광부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Ministry of Culture & Tourism Korea Culture & Tourism Policy Institute
서문 우리나라 국민들이 문화와 예술을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즐기고 있는지를 객관적으 로 파악하기 위하여, 1988년부터 3년 주기로 문화향수실태조사 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문화향수실태조사 는 문화향유에 관해서 가장 많은 정보를 제공하였고, 문화예술정책 의 수립과 성과측정에 주요한 자료로 이용되어 왔습니다. 이번 조사에서는 국민들의 여가생활, 예술향유, 문화예술교육, 문화시설 이용, 문화활 동 참여, 역사유적지 방문, 지역축제 관람, 그리고 사이버 문화활동 및 매체이용 예술 감상 등을 측정하였습니다. 또한, 보고서를 선행조사와 최대한 비교 가능하도록 작성하 여, 문화향유의 변화양상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 보고서가 많은 분 들께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우리는 이제, 문화향수실태조사 가 많은 정보뿐 아니라 깊은 정보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조사에서는 표본크기를 3,000명으로 확대하였으며, 향후 지속 적으로 표본수를 늘려나갈 것입니다. 또한, 조사주기 단축을 위한 준비를 하고 있으며, 새로운 조사항목 개발과 분석방법 개선 작업을 지속적으로 해 나갈 것입니다. 이외에 도 우리는 조사결과가 실제 문화향유 증진에 연결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곧, 조사결과를 다양한 각도에서 진단하고, 조사결과의 시사점을 다른 연구와 사업에 적극 반영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조사문항 개발부터 보고서 발간까지 도움을 주신 관계기관 담당자, 그리 고 누구보다도 설문에 응답해 주신 모든 분들께 깊은 감사 말씀드립니다. 2006년 11월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원장 송재호
요 약 1. 조사목적과 조사방법 문화관광부와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은 1988년부터 3년 주기로 국민들이 어떻 게 그리고 얼마나 문화적 삶을 누리고 있는가 를 통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는 조사대상 영역을 크게 여덟 개로 구분하고, 총 33개(하위문항 포함 240개)의 설문항을 구성하였다. 조사대상 영역은 1 여가생활, 2 예술향유, 3 문화예술교육, 4 문화시설 이용, 5 문화활동, 6 역사문화유적지 방문, 7 지 역축제 관람, 8 사이버 문화활동 및 매체이용 예술감상이다. 그리고 응답자 집단 별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성, 연령, 거주지, 학력, 직업, 가구당 월평균소득도 함 께 조사하였다. 조사는 15세 이상의 전국민(제주도 제외)을 모집단으로 삼고, 다단계층화무작위표 집법에 의해 추출된 3,000명을 대상으로 2006년 6월 21일부터 7월 21일까지 1:1 면 접에 의해 실시되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도 수준에서 ±1.8%다. 조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2. 조사결과 1) 여가생활 1.1) 여가활용은 여전히 텔레비전을 보거나 집에서 쉰다 는 응답이 가장 높은 빈 도를 차지하였다. 곧, 여가활용 형태의 가시적인 변화는 드러나지 않았다. 여가시간 에 텔레비전을 보거나 쉰다 는 응답이 평일의 43.7%, 주말 휴일의 29.0%로 가장 많았다. <표 1> 여가활용 최다빈도 텔레비전 보기, 집에서 쉰다 2006년 조사 2003년 조사 2000년 조사 평일 43.7% 38.9% 34.1% 주말 및 휴일 29.0% 26.4% 25.7% - i -
평일에는 텔레비전 보기(25.6%), 집에서 쉰다/낮잠(18.1%), 인터넷/게임(8.9%), 산 책/스포츠(8.8%), 신문/잡지보기(6.8%), 친구만나기/모임참가(5.6%) 등의 순서로 여가 시간을 활용하였다. 주말과 휴일에는 텔레비전 보기(15.9%), 집에서 쉰다/낮잠(13.1%), 가족과 대화/외 식(10.0%), 산책/스포츠(8.3%), 친구만나기/모임참가(7.9%), 등산/낚시(6.3%) 등의 순 서로 여가시간을 활용하였다. 2) 예술향유 2.1) 지난 1년 동안(2005. 6. 1~2006. 5. 31) 예술행사 관람률은 65.8%로, 2003년 의 62.4%보다 높아졌다. 하지만 분야별로 보면, 영화와 문학행사를 제외하고는 관 람경험이 줄었다. 예술분야별 연간 관람률은 문학행사 4.4%, 미술전시회 6.8%, 클래식음악회 오페 라 3.6%, 전통예술공연 4.4%, 연극 8.1%, 무용 0.7%, 영화 58.9%, 대중가요콘서트/연 예 10.0%로 나타났다. <표 2> 예술행사 관람 예술행사 관람률 연평균 예술행사 관람횟수 예술행사 2006년 조사 2003년 조사 2000년 조사 2006년 조사 2003년 조사 2000년 조사 문학행사 4.4% 4.0% 5.1% 0.1 0.1 0.1 미술전시회 6.8% 10.4% 11.6% 0.2 0.2 0.3 클래식음악회/오페라 3.6% 6.3% 6.7% 0.1 0.1 0.2 전통예술공연 4.4% 5.2% 7.7% 0.1 0.1 0.1 연극 8.1% 11.1% 10.9% 0.2 0.2 0.2 무용 0.7% 1.1% 2.0% 0.01 0.01 0.03 영화 58.9% 53.3% 40.0% 3.9 3.5 2.2 대중가요콘서트/연예 10.0% 10.3% 8.6% 0.2 0.2 0.2 연평균 관람횟수는 문학행사 0.1회, 미술전시회 0.2회, 클래식음악 오페라 0.1회, 전통예술공연 0.1회, 연극 0.2회, 무용 0.01회, 영화 3.9회, 대중가요콘서트/연예 0.2 - ii -
회로 나타났다. 2003년 조사와 비교하여 영화관람 횟수가 늘어났을 뿐, 다른 분야 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2.2) 전체의 73.8%가 앞으로 예술행사를 관람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관 람희망 분야는 영화(78.4%), 대중가요콘서트/연예(48.1%), 연극(30.0%), 전통예술공연 (14.1%), 미술전시회(12.5%), 클래식음악회/오페라(11.7%), 문학행사(8.5%), 무용(5.1%) 의 순서로 나타났다(의향자 2,214명 기준). 또한, 예술행사의 내용(42.1%)과 관람비용(39.3%)을 예술행사 관람의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여기고 있어서, 2003년 조사와 큰 차이는 없었다. 2.3) 예술행사 관람의 걸림돌은 시간부족(30.0%), 비용과다(30.0%)가 큰 부분을 차 지하여, 2003년 조사와 큰 차이는 없었다. 3) 문화예술교육 3.1) 학교교육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경험률은 7.7%였고, 분야별 교육경험률은 문 학 1.5%, 미술 2.8%, 서양음악 1.2%, 전통예술 0.8%, 무용 0.6%, 연극 0.3%, 영화/비 디오 0.6%, 가요/연예 1.5%, 역사문화유산 1.0% 등으로 나타났다. 2003년 조사와 비 교하여, 문학과 역사문화유산 교육경험이 같은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분야에서 교 육경험이 줄었다. <표 3> 학교교육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경험 교육분야 2006년 조사 2003년 조사 2000년 조사 문학 1.5% 1.5% 2.0% 미술 2.8% 4.5% 5.4% 서양음악 1.2% 1.9% 2.0% 전통예술 0.8% 2.2% 2.9% 무용 0.6% 1.4% 0.9% 연극 0.3% 0.7% 0.7% 영화 0.6% 0.7% 0.9% 가요/연예 1.5% 1.7% 2.2% 역사문화유산 1.0% 1.0% 2.1% - iii -
3.2) 전체의 19.6%는 앞으로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교육받기를 희망하는 분야는 미술(6.7%), 문학(3.7%), 전통예술(3.6%), 가요/연예 (3.6%), 영화/비디오(3.5%), 역사문화유산(3.1%), 서양음악(2.0%), 연극(1.7%), 무용 (1.4%)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전체 3,000명 기준). 4) 문화시설 이용 4.1) 지난 1년 동안(2005. 6. 1 ~ 2006. 5. 31) 9개 문화시설(시/군/구민회관, 문화 예술회관, 복지회관, 청소년회관, 문화원, 도서관, 박물관, 대학교부설 사회문화교실, 사설문화센터)의 이용률은 41.9%, 그리고 문화행사(공연, 전시회, 문화강좌) 참여율 은 30.1%로 나타났다. <표 5> 문화시설 이용과 문화시설 행사참여 단순이용 문화행사참여 이용률 연평균 이용횟수 참여율 연평균 참여횟수 전체 41.9% 3.46 30.1% 1.16 시/군/구민회관 11.2% 0.39 7.8% 0.19 문화예술회관 11.3% 0.41 9.9% 0.23 복지회관 7.5% 0.64 5.3% 0.17 청소년회관 3.6% 0.10 2.4% 0.05 문화원 2.1% 0.13 1.7% 0.04 도서관 12.8% 1.32 5.5% 0.20 박물관 12.3% 0.24 8.8% 0.15 대학교부설 사회문화교실 1.4% 0.04 1.0% 0.02 사설문화센터 4.6% 0.19 3.3% 0.11 문화시설 이용률(문화행사 참여율)을 시설별로 살펴보면, 시/군/구민회관 11.2%(7.8%), 문화예술회관 11.3%(9.9%), 복지회관 7.5%(5.3%), 청소년회관 3.6%(2.4%), 문화원 2.1%(1.7%), 도서관 12.8%(5.5%), 박물관 12.3%(8.8%), 대학교부 설 사회문화교실 1.4%(1.0%), 사설문화센터 4.6%(3.3%)였다. - iv -
<표 6> 문화시설 이용과 문화시설 행사참여: 선행조사 비교 문화시설 이용률 문화행사 참여율 지역문화시설 2006년 2003년 2000년 2006년 2003년 2000년 전체 41.9% 38.9% 47.6% 30.1% 32.2% 38.7% 시/군/구민회관 11.2% 9.6% 13.5% 7.8% 8.3% 11.3% 문화예술회관 11.3% 11.6% 14.0% 9.9% 10.6% 12.3% 복지회관 7.5% 5.5% 8.3% 5.3% 4.6% 6.7% 청소년회관 3.6% 4.4% 5.0% 2.4% 3.6% 4.1% 문화원 2.1% 2.4% 2.5% 1.7% 2.1% 2.2% 도서관 12.8% 16.0% 12.4% 5.5% 7.1% 6.1% 박물관 12.3% 11.5% 13.1% 8.8% 10.8% 9.8% 대학교부설 사회문화교실 1.4% 1.8% 2.7% 1.0% 1.7% 2.3% 사설문화센터 4.6% 4.6% 11.7% 3.3% 4.4% 8.8% 4.2) 전체의 54.9%는 앞으로 문화시설의 문화행사에 참여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희망 프로그램은 공연 관람 (44.8%), 영화 관람 (33.7%), 문학 강 좌 (8.3%), 미술전시회 관람 (5.3%), 예술관련 교양강좌 (4.9%), 예술 창작 (3.1%)의 순서로 나타났다(의향자 1,648명 기준). 또한, 프로그램의 수준 (62.5%)을 문화행사 참여의 가장 중요한 조건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5) 문화활동 5.1) 문화관련 자원봉사 경험률은 3.5%, 월평균 자원봉사 횟수는 2.10회였다. 5.2) 문화관련 동호회 참여율은 문학 0.6%, 미술 0.9%, 서양음악 0.3%, 전통예술 0.4%, 무용 0.1%, 연극 0.2%, 영화 0.6%, 가요/연예 0.5%, 역사문화유산 0.2% 등으 로 나타났다. 2003년 조사와 비교하여 모든 부분에서 동호회 참여가 줄었다. 5.3) 전체의 14.8%는 앞으로 문화관련 동호회에 참여할 의향이 있었다. - v -
<표 7> 문화관련 동호회 참여 참여 동호회 2006년 조사 2003년 조사 문학 0.6% 1.5% 미술 0.9% 1.5% 서양음악 0.3% 0.8% 전통예술 0.4% 0.5% 무용 0.1% 0.3% 연극 0.2% 0.4% 영화 0.6% 2.8% 가요/연예 0.5% 1.4% 역사문화유산 0.2% 0.7% 6) 문화관광 6.1) 지난 1년 동안(2005. 6. 1 ~ 2006. 5. 31) 역사문화유적지 방문율은 51.4%, 전체의 79.9%는 앞으로 역사문화유적지를 방문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볼거리의 수준/다양성(58.2%)을 가장 중요한 방문기준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2003년 조사(49.1%)와 비교하여 방문율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표 8> 역사문화유적지 방문실태 2006년 조사 2003년 조사 연간 역사문화유적지 방문율 51.4% 49.1% 연평균 역사문화유적지 방문횟수 전체대상 1.46회 1.17회 방문자 대상 2.83회 2.39회 6.2) 지난 1년 동안(2005. 6. 1 ~ 2006. 5. 31) 지역축제 관람률은 43.0%, 전체의 71.4%는 앞으로 지역문화축제를 관람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볼거리의 수준/다양성 (72.3%)을 가장 중요한 관람기준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2003년 조사 (40.4%)와 비교하여 지역문화축제 관람 경험이 약간 늘었다. - vi -
<표 9> 지역축제 관람률: 2003년과 비교 2006년 조사 2003년 조사 연간 지역축제 관람률 43.0% 40.4% 7) 사이버 문화활동 7.1) 인터넷 이용자들의 9개의 문화관련(문학, 미술, 서양음악, 전통예술, 무용, 연 극, 영화/비디오, 가요/연예 역사문화유산)사이트 접속률은 65.2%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3,000명)를 기준으로 할 경우, 문화관련 사이트 접속률은 44.5%였다. 7.2) 사이트별 접속률을 전체 3,000명 기준(인터넷 이용자 2,049명 기준)으로 살펴 보면, 문학 6.6%(9.7%), 미술 4.0%(5.9%), 서양음악 3.0%(4.4%), 전통예술 1.6%(2.4%), 무용 0.8%(1.1%), 연극 5.4%(7.9%), 영화 35.7%(52.3%), 가요/연예 29.1%(42.6%), 역 사문화유산 6.5%(9.6%)였다. <표 10> 문화관련 인터넷 사이트 접속률 전체 인터넷 이용자 표본수 3,000명 2,049명 문화관련 사이트 접속률 44.5% 65.2% - vii -
차 례 Ⅰ. 조사개요 1 1. 조사목적 1 2. 조사내용 1 3. 조사방법 3 1) 모집단 3 2) 표본크기 3 3) 표본추출방법 3 4) 조사시점 4 5) 자료분석 4 Ⅱ. 조사결과 7 1. 여가생활 7 1) 여가시간 7 (1) 평일의 여가시간 7 (2) 주말 휴일의 여가시간 10 2) 여가비 지출액 12 3) 여가활용 13 (1) 여가활용 실태 13 (2) 희망하는 여가활동 17 4) 여가활동의 걸림돌 21 (1) 여가활동 걸림돌: 평일 22 (2) 여가활동 걸림돌: 주말 휴일 24 2. 예술향유 26 1) 예술행사 관람 26 (1) 문학행사 관람 30 (2) 미술전시회 관람 32 (3) 클래식음악회 오페라 관람 34 (4) 전통예술공연 관람 36 (5) 연극 관람 38 (6) 무용 관람 40 - ix -
(7) 영화 관람 42 (8) 대중가요콘서트/연예 관람 44 2) 예술행사 관람의향 50 (1) 관람 희망분야 52 (2) 예술행사 관람기준 56 3) 예술행사 관람의 걸림돌 및 정보출처 58 (1) 예술행사 관람의 걸림돌 58 (2) 예술행사 정보출처 62 4) 예술 창작 발표활동 65 (1) 예술 창작 발표활동 경험 65 (2) 예술창작 발표 의향 68 5) 문화예술관련 지출 71 (1) 문화예술관련 최다지출 항목 71 (2) 문화예술관련 지출희망 항목 74 3. 문화예술교육 78 1) 문화예술교육 경험 78 (1) 교육받은 분야 80 (2) 교육만족도 82 (3) 보완사항 84 (4) 교육기관 86 2) 문화예술교육 의향 88 (1) 문화예술교육 의향 88 (2) 교육 희망분야 90 (3) 교육 희망방식 94 3) 문화예술교육의 걸림돌 96 4. 문화시설 이용 98 1) 문화시설 이용(방문)실태 98 2) 문화시설의 문화행사 참여 103 (1) 시/군/구민회관 106 (2) 문화예술회관 108 (3) 복지회관 110 (4) 청소년회관 112 (5) 문화원 114 - x -
(6) 도서관 116 (7) 박물관 118 (8) 대학교부설 사회문화교실 120 (9) 사설문화센터 122 3) 문화시설의 문화행사 참여의향 124 (1) 참여하고 싶은 프로그램 126 (2) 문화행사 참여기준 128 4) 문화행사 참여의 걸림돌 130 5. 문화활동 132 1) 문화관련 자원봉사활동 132 (1) 자원봉사 경험 132 (2) 활동횟수 132 2) 문화관련 동호회 활동 134 (1) 동호회 참여현황 134 (2) 분야별 동호회 특성 136 (3) 동호회 참여의향 139 (4) 문화관련 동호회 가입의 걸림돌 142 6. 문화관광 144 1) 역사문화유적지 방문 144 (1) 역사문화유적지 방문 실태 144 (2) 방문자 인식 146 (3) 역사문화유적지 방문의향 150 (4) 역사문화유적지 방문의 걸림돌 154 2) 지역축제 관람 156 (1) 지역축제 관람실태 156 (2) 지역축제 관람자 특성 158 (3) 지역축제 관람의향 166 (4) 지역축제 관람의 걸림돌 170 7. 사이버 문화활동 및 매체이용 예술감상 172 1) 인터넷 이용 172 2) 문화관련 사이트 접속 172 (1) 문학 사이트 173 - xi -
(2) 미술 사이트 174 (3) 서양음악 사이트 175 (4) 전통예술 사이트 176 (5) 무용 사이트 177 (6) 연극 사이트 178 (7) 영화 사이트 179 (8) 가요/연예 사이트 180 (9) 역사문화유산 사이트 181 3) 매체이용 예술감상 182 (1) 텔레비전 예술프로그램 감상 실태 182 (2) 비디오/오디오 예술프로그램 감상 실태 184 (3) 매체이용 예술프로그램 감상 186 abstract 189 부록 1 문화향수실태조사 설문지 191 부록 2 문화향수실태조사 결과표 205 - xii -
표 차 례 <표 0-1> 조사내용 2 <표 0-2> 응답자 특성별 분포 4 <표 1-1> 평일의 여가시간: 2003년과 비교 8 <표 1-2> 평일의 여가시간 9 <표 1-3> 주말 휴일의 여가시간: 2003년과 비교 10 <표 1-4> 주말 휴일의 여가시간 11 <표 1-5> 월평균 여가비 지출액: 2003년과 비교 12 <표 1-6> 월평균 여가비 지출액 12 <표 1-7> 여가활용 최다빈도: 2000년, 2003년과 비교 13 <표 1-8> 여가활용실태: 평일, 주말 휴일 14 <표 1-9> 평일의 여가활용: 2003년과 비교 15 <표 1-10> 주말 휴일의 여가활용: 2003년과 비교 16 <표 1-11> 희망하는 여가활동: 평일, 주말 휴일 18 <표 1-12> 희망하는 평일의 여가활동: 2003년과 비교 19 <표 1-13> 희망하는 주말 휴일의 여가활동: 2003년과 비교 20 <표 1-14> 여가활동 걸림돌: 2003년과 비교 22 <표 1-15> 평일의 여가활동 걸림돌 23 <표 1-16> 주말 휴일의 여가활동 걸림돌 25 <표 2-1> 예술행사 연간 관람률 및 연평균 관람횟수 27 <표 2-2> 예술행사 관람률: 2000년, 2003년과 비교 28 <표 2-3> 예술행사 연평균 관람횟수: 2000년, 2003년과 비교 29 <표 2-4> 문학행사 연간 관람률 및 연평균 관람횟수 30 <표 2-5> 미술전시회 연간 관람률 및 연평균 관람횟수 32 <표 2-6> 클래식음악회 오페라 연간 관람률 및 연평균 관람횟수 34 <표 2-7> 전통예술공연 연간 관람률 및 연평균 관람횟수 36 <표 2-8> 연극 연간 관람률 및 연평균 관람횟수 38 <표 2-9> 무용 연간 관람률 및 연평균 관람횟수 40 <표 2-10> 영화 연간 관람률 및 연평균 관람횟수 42 <표 2-11> 대중가요콘서트/연예 연간 관람률 및 연평균 관람횟수 44 <표 2-12> 예술행사 연평균 관람횟수: 관람자 대상 46 - xiii -
<표 2-13> 예술행사 관람지역: 관람자 대상 46 <표 2-14> 예술행사 관람방법: 관람자 대상 46 <표 2-15> 예술행사 관람동행자: 관람자 대상 47 <표 2-16> 예술행사 관람결정자: 관람자 대상 47 <표 2-17> 예술행사 만족도: 관람자 대상 48 <표 2-18> 예술행사 보완점: 관람자 대상 48 <표 2-19> 예술행사 관람자 특성: 종합 49 <표 2-20> 예술행사 관람의향: 관람자와 비관람자 비교 50 <표 2-21> 예술행사 관람의향 51 <표 2-22> 예술행사 관람 희망분야: 2003년과 비교 52 <표 2-23> 예술행사 관람 희망분야: 전체와 관람의향자 53 <표 2-24> 예술행사 관람분야와 관람 희망분야 비교 53 <표 2-25> 관람하고 싶은 예술행사 55 <표 2-26> 예술행사 관람기준: 2003년과 비교 56 <표 2-27> 예술행사 관람기준 57 <표 2-28> 예술행사 관람 걸림돌: 2003년과 비교 59 <표 2-29> 예술행사 관람 걸림돌: 문화행사 참여 걸림돌과 비교 59 <표 2-30> 예술행사 관람 걸림돌 61 <표 2-31> 예술행사 정보출처: 2003년과 비교 63 <표 2-32> 예술행사 정보출처 64 <표 2-33> 예술창작 발표활동: 관람경험과 비교 66 <표 2-34> 예술 창작 발표활동 경험률 67 <표 2-35> 예술창작 발표활동 의향: 경험자와 비경험자 비교 68 <표 2-36> 예술창작 발표활동 의향 69 <표 2-37> 예술창작 발표 경험률과 희망률 비교 70 <표 2-38> 문화예술관련 최다지출 항목: 2003년과 비교 72 <표 2-39> 문화예술관련 최다지출 항목 73 <표 2-40> 문화예술관련 지출희망 항목: 2003년과 비교 75 <표 2-41> 문화예술관련 지출희망 항목: 최다 지출항목과 비교 75 <표 2-42> 문화예술관련 지출희망 항목 77 <표 3-1> 문화예술교육 경험률 79 <표 3-2> 학교교육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경험률: 2003년과 비교 80 <표 3-3> 학교교육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경험률 81 <표 3-4> 학교교육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만족도: 2003년과 비교 82 - xiv -
<표 3-5> 학교교육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만족도 83 <표 3-6> 학교교육 이외의 문화예술교육의 보완점: 2003년과 비교 84 <표 3-7> 학교교육 이외의 문화예술교육의 보완점 85 <표 3-8> 학교교육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받은 기관: 2003년과 비교 86 <표 3-9> 학교교육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받은 기관 87 <표 3-10> 문화예술교육 의향: 교육경험자와 비경험자 비교 88 <표 3-11> 문화예술교육 의향 89 <표 3-12> 문화예술교육 희망분야: 2003년과 비교 91 <표 3-13> 문화예술교육 희망분야: 교육받은 분야와 비교 92 <표 3-14> 문화예술교육 희망분야 93 <표 3-15> 학교교육 이외의 문화예술교육을 받고 싶은 교육방식: 교육받은 기관과 비교 94 <표 3-16> 학교교육 이외의 문화예술교육을 받고 싶은 교육방식 95 <표 3-17> 문화예술교육의 걸림돌: 2003년과 비교 96 <표 3-18> 문화예술교육의 걸림돌 97 <표 4-1> 지역문화시설 이용: 2003년과 비교 98 <표 4-2> 지역문화시설 연평균 이용횟수 99 <표 4-3> 지역문화시설 연간 이용률 및 연평균 이용횟수 100 <표 4-4> 지역문화시설 연간 이용률 및 연평균 이용횟수: 2003년과 비교 100 <표 4-5> 지역문화시설별 연간 이용률 102 <표 4-6> 문화시설 행사 참여율: 2003년과 비교 103 <표 4-7> 문화시설 단순이용률과 행사참여율 104 <표 4-8> 문화시설 문화행사 연평균 참여횟수 105 <표 4-9> 시/군/구민회관 문화행사 연평균 참여횟수 106 <표 4-10> 시/군/구민회관 문화행사 참여자 특성 107 <표 4-11> 문화예술회관 문화행사 연평균 참여횟수 108 <표 4-12> 문화예술회관 문화행사 참여자 특성 109 <표 4-13> 복지회관 문화행사 연평균 참여횟수 110 <표 4-14> 복지회관 문화행사 참여자 특성 111 <표 4-15> 청소년회관 문화행사 연평균 참여횟수 112 <표 4-16> 청소년회관 문화행사 참여자 특성 113 <표 4-17> 문화원 문화행사 연평균 참여횟수 114 <표 4-18> 문화원 문화행사 참여자 특성 115 <표 4-19> 도서관 문화행사 연평균 참여횟수 116 <표 4-20> 도서관 문화행사 참여자 특성 117 - xv -
<표 4-21> 박물관 문화행사 연평균 참여횟수 118 <표 4-22> 박물관 문화행사 참여자 특성 119 <표 4-23> 대학교부설 사회문화교실 문화행사 연평균 참여횟수 120 <표 4-24> 대학교부설 사회문화교실 문화행사 참여자 특성 121 <표 4-25> 사설문화센터 문화행사 연평균 참여횟수 122 <표 4-26> 사설문화센터 문화행사 참여자 특성 123 <표 4-27> 문화시설 문화행사 참여의향: 참여자와 비참여자 비교 124 <표 4-28> 지역문화시설의 문화행사 참여의향 125 <표 4-29> 참여하고 싶은 문화행사: 2003년과 비교 126 <표 4-30> 참여하고 싶은 문화행사 프로그램 127 <표 4-31> 문화행사 참여기준: 2003년과 비교 128 <표 4-32> 문화행사 참여기준 129 <표 4-33> 문화행사 참여 걸림돌: 2003년과 비교 130 <표 4-34> 문화행사 참여 걸림돌 131 <표 5-1> 문화자원봉사활동 실태 132 <표 5-2> 문화관련 자원봉사 월평균 횟수 132 <표 5-3> 문화관련 자원봉사 경험 133 <표 5-4> 문화관련 동호회 참여율: 2003년과 비교 134 <표 5-5> 문화관련 동호회 참여율 135 <표 5-6> 문화관련 동호회 특성: 종합 138 <표 5-7> 문화관련 동호회 참여의향: 참여자와 비참여자 비교 139 <표 5-8> 참여 동호회와 참여희망 동호회 비교 140 <표 5-9> 참여희망 문화관련 동호회 141 <표 5-10> 문화관련 동호회 가입 걸림돌: 2003년과 비교 142 <표 5-11> 문화관련 동호회 가입 걸림돌 143 <표 6-1> 역사문화유적지 방문실태: 2003년과 비교 144 <표 6-2> 역사문화유적지 연평균 방문횟수 145 <표 6-3> 역사문화유적지 보존실태 평가: 2003년과 비교 146 <표 6-4> 역사문화유적지 보존실태 평가 147 <표 6-5> 역사문화유적지 편의시설 만족도: 2003년과 비교 148 <표 6-6> 역사문화유적지 편의시설 만족도 149 <표 6-7> 역사문화유적지 방문의향: 방문자와 비방문자 비교 150 <표 6-8> 역사문화유적지 방문의향 151 <표 6-9> 역사문화유적지 방문기준: 2003년과 비교 152 - xvi -
<표 6-10> 역사문화유적지 방문기준 153 <표 6-11> 역사문화유적지 방문 걸림돌: 2003년과 비교 154 <표 6-12> 역사문화유적지 방문 걸림돌 155 <표 6-13> 지역축제 관람률: 2003년과 비교 156 <표 6-14> 지역축제 관람실태 157 <표 6-15> 지역축제 관람지역 159 <표 6-16> 지역축제 프로그램 만족도: 2003년과 비교 160 <표 6-17> 지역축제 프로그램 만족도 161 <표 6-18> 지역축제 시설 및 환경 만족도: 2003년과 비교 162 <표 6-19> 지역축제 시설 및 환경 만족도 163 <표 6-20> 지역축제 보완점: 2003년과 비교 164 <표 6-21> 지역축제 보완점 165 <표 6-22> 지역축제 관람의향: 관람경험자와 비경험자 비교 166 <표 6-23> 지역축제 관람의향 167 <표 6-24> 지역축제 관람기준: 2003년과 비교 168 <표 6-25> 지역축제 관람기준 169 <표 6-26> 지역축제 관람 걸림돌: 2003년과 비교 170 <표 6-27> 지역축제 관람 걸림돌 171 <표 7-1> 문화관련 인터넷 사이트 접속률 172 <표 7-2> 문학 사이트 이용자 특성 173 <표 7-3> 미술 사이트 이용자 특성 174 <표 7-4> 서양음악 사이트 이용자 특성 175 <표 7-5> 전통예술 사이트 이용자 특성 176 <표 7-6> 무용 사이트 이용자 특성 177 <표 7-7> 연극 사이트 이용자 특성 178 <표 7-8> 영화 사이트 이용자 특성 179 <표 7-9> 가요/연예 사이트 이용자 특성 180 <표 7-10> 역사문화유산 사이트 이용자 특성 181 <표 7-11> 텔레비전 예술프로그램 시청 183 <표 7-12> 비디오/오디오 예술프로그램 감상 185 <표 7-13> 매체이용 예술프로그램 감상: 텔레비전과 비디오/오디오 비교 187 <표 7-14> 매체이용 예술프로그램 감상: 예술행사 직접관람과 비교 187 <표 7-15> 매체이용 예술프로그램 감상 188 - xvii -
그 림 차 례 [그림 1-1] 평일의 여가시간 8 [그림 1-2] 주말 휴일의 여가시간 10 [그림 1-3] 여가활동 걸림돌: 평일과 주말 휴일 비교 21 [그림 1-4] 평일의 여가활동 걸림돌 22 [그림 1-5] 주말 휴일의 여가활동 걸림돌 24 [그림 2-1] 연간 예술행사 관람률: 2000년, 2003년과 비교 26 [그림 2-2] 관람자 대상 관람횟수: 2003년과 비교 29 [그림 2-3] 예술행사 관람의향 50 [그림 2-4] 관람하고 싶은 예술행사 52 [그림 2-5] 예술행사 관람기준 56 [그림 2-6] 예술행사 관람 걸림돌 58 [그림 2-7] 예술행사 정보출처 62 [그림 2-8] 연간 예술창작 발표활동 경험률 65 [그림 2-9] 분야별 예술창작 발표활동 경험률 66 [그림 2-10] 예술창작 발표활동 의향 68 [그림 2-11] 예술창작 발표활동 희망분야 70 [그림 2-12] 문화예술관련 최다지출 항목 71 [그림 2-13] 문화예술관련 지출희망 항목 74 [그림 3-1] 문화예술교육 경험률 78 [그림 3-2] 분야별 문화예술교육 경험 80 [그림 3-3] 학교교육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만족도 82 [그림 3-4] 학교교육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보완점 84 [그림 3-5] 학교교육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받은 기관 86 [그림 3-6] 문화예술교육 희망분야 90 [그림 3-7] 문화예술교육 희망분야: 2003년과 비교 91 [그림 3-8] 학교교육 이외의 문화예술교육을 받고 싶은 교육방식 94 [그림 3-9] 문화예술교육의 걸림돌 96 [그림 4-1] 지역문화시설 연간 이용 횟수 98 [그림 4-2] 문화시설 문화행사 연평균 참여횟수 103 - xviii -
[그림 4-3] 문화시설 문화행사 참여의향 124 [그림 4-4] 참여하고 싶은 문화행사 프로그램 126 [그림 4-5] 문화행사 참여기준 128 [그림 4-6] 문화행사 참여 걸림돌 130 [그림 5-1] 문화관련 동호회 참여의향 139 [그림 5-2] 문화관련 동호회 가입 걸림돌 142 [그림 6-1] 역사문화유적지 보존실태 평가 146 [그림 6-2] 역사문화유적지 편의시설 만족도 148 [그림 6-3] 역사문화유적지 방문의향 150 [그림 6-4] 역사문화유적지 방문기준 152 [그림 6-5] 역사문화유적지 방문 걸림돌 154 [그림 6-6] 지역축제 관람실태 156 [그림 6-7] 지역축제 관람지역 158 [그림 6-8] 지역축제 프로그램 만족도 160 [그림 6-9] 지역축제 시설 및 환경 만족도 162 [그림 6-10] 지역축제 보완점 164 [그림 6-11] 지역축제 관람의향 166 [그림 6-12] 지역축제 관람기준 168 [그림 6-13] 지역축제 관람 걸림돌 170 [그림 7-1] 텔레비전 예술프로그램 시청 182 [그림 7-2] 텔레비전 예술프로그램 시청: 분야별 182 [그림 7-3] 비디오/오디오 예술프로그램 감상 184 [그림 7-4] 비디오/오디오 예술프로그램 감상: 분야별 184 [그림 7-5] 매체이용 예술프로그램 감상 186 [그림 7-6] 매체이용 예술프로그램 감상: 분야별 186 - xix -
Ⅰ. 조사개요 1. 조사목적 조사의 목적은 우리나라 국민들이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문화적 삶을 누리고 있는가 를 통계적으로 파악하는 데 있다. 우리나라에서 시행되는 문화향유 관련조 사 가운데 가장 광범위하며, 유일하게 통계청의 승인을 받아 시행되는 이 조사는 1988년부터 3년 주기로 수행되어 선행조사와 시계열 분석이 가능하다. 조사결과는 문화예술인실태조사 와 함께 문화예술 관련 기초 통계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2. 조사내용 선행조사의 틀을 최대한 유지하였지만 몇 가지 문항을 보완하고, 새로운 문항을 추가하였다. 설문은 본 문항 33개(하위문항 포함 240개)와 응답자 특성을 나타내는 배경문항 7개로 구성하였다. 본 문항은 1 여가생활, 2 예술향유 3 문화예술교육, 4 문화시설 이용, 5 문 화활동, 6 역사문화유적지 방문, 7 지역축제 관람, 8 사이버 문화활동 및 매체이 용 예술감상으로 구성하였다. 2003년 조사와 비교하여 추가된 문항은 예술감상 만족도, 예술창작 발표활동, 매체(텔레비전, 오디오/비디오)를 이용한 예술감상, 문화예술 동호회의 성격, 동호회 참여빈도, 동호회 참여 만족도, 그리고 선호하는 문화예술 교육방식 등이다. 한편, 동호회, 사이버 문화활동, 문화예술 교육에서는 답변보기를 동일하게 설정하여 문 화예술 활동 간 비교를 용이하게 하였다. 구체적인 설문항은 <표 0-1>과 같다. - 1 -
<표 0-1> 조사내용 조사 영역 조사 내용 1 여가생활 여가시간 여가비 지출 여가활용(실태, 희망사항) 여가활동 걸림돌 2 예술향유 3 문화예술교육 관람 창작 소비 예술행사 관람실태 - 관람률, 관람지역, 관람방법, 관람동행자, 관람결정자, 만족도, 예술행사 보완점 예술행사 관람의향(관람 희망분야, 관람기준) 예술행사 관람 걸림돌 및 정보출처 예술창작 발표 문화예술관련 지출(최다지출 항목, 지출희망 항목) 문화예술교육 경험(만족도, 보완점, 교육기관) 문화예술교육 의향(교육희망 분야) 문화예술교육 걸림돌 4 문화시설 이용 문화시설 이용실태(이용률, 만족도) 문화시설의 문화행사 참여(참여율, 만족도) 문화시설의 문화행사 참여의향(프로그램, 참여기준) 문화시설의 문화행사 참여 걸림돌 5 문화활동 문화자원봉사활동(경험률, 활동빈도) 문화관련 동호회 참여(동호회 성격, 참여빈도, 만족도) 문화관련 동호회 참여의향(참여희망 분야) 문화관련 동호회 참여 걸림돌 6 역사문화유적지 방문 7 지역축제 관람 역사문화유적지 방문실태(방문율, 만족도) 역사문화유적지 방문의향(방문기준) 역사문화유적지 방문 걸림돌 지역축제 관람실태(관람률, 만족도, 보완점) 지역축제 관람의향(참여기준) 지역축제 관람 걸림돌 8 사이버 문화활동 및 매체이용 예술감상 사이버 문화활동 매체이용 예술감상 인터넷 이용 문화관련 사이트 이용경험(이용률, 만족도, 유료이용경험) 예술감상(TV, 오디오/비디오) - 2 -
3. 조사방법 조사는 통계청의 승인(승인번호 11301호)을 받아 시행되었다. 모집단은 15세 이상의 전국민(제주도 제외), 표본크기는 3,000명, 표본추출방법은 다단계층화무작위표집법을 이용하였다. 조사는 2006년 6월 21일부터 7월 21일까지 실시하였으며, 면접원이 대상자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읽어주고 답을 받아 적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도 수준에서 ±1.8%다. 1) 모집단 모집단은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15개 시 도에 거주하는 15세 이상의 전국민이 다. 모집단 기준은 2005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 (통계청)를 따르는 게 바람직하지만 조사시점에서 관련정보를 취득할 수 없어서, 2005 전국주민등록인구통계 (통계청) 를 이용하였다. 2) 표본크기 표본크기는 3,000명이다. 2003년 조사까지는 2,0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보다 신뢰할 만한 결과를 산출하기 위하여 표본크기를 확대하였다. 3) 표본추출방법 표본은 다단계층화무작위표집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첫째, 15개 시 도별로 인구크기에 비례하여 표집인원을 할당하였다. 지역별 할 당 표본 수는 2005 주민등록인구통계 에 따랐다. 이때, 7개 시(특별시, 광역시)를 제외한 8개 도는 시부( 市 部 )와 군부( 郡 部 )로 나누어 할당하였다. 둘째, 조사대상 시 군 구를 선정하였다. 셋째, 각 시 군 구에서 무작위로 통 리를 선정하였다. 넷째, 추출된 통 리에서 통장 이장집을 기점으로 K번째 가구를 조사대상 가구를 선정하였다. 다섯째, 조사가구의 15세 이상 가구원 가운데 생일(월[ 月 ]이 아니라 일 [ 日 ]기준)이 가장 빠른 사람을 조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 3 -
4) 조사시점 설문조사는 2006년 6월 21일부터 7월 21일까지 시행하였다. 2003년 조사까지는 연간 기준일을 6월 30일로 설정하여 7월 이후 실제 조사를 수행하였지만, 이번 조 사에서는 기준일을 5월 31일로 변경하여 조사시점을 약간 앞당겼다. 면접원이 응답자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읽어주고 답을 받아 적는 면접방법으로 진행된 이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도수준에서 ±1.82%다. 실제 조사는 (주)월드 리서치에서 대행하였다. 5) 자료분석 응답된 설문지 검토, 데이터코딩, 편집과정을 거쳐 SPSS WIN 10.0을 이용하여 분 석하였다.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성, 연령, 도시규 모 1), 시 도, 학력, 직업, 월평균 가구소득을 독립변인으로 이용하였다. 응답자 특성 별 분포는 <표 0-2>와 같다. <표 0-2> 응답자 특성별 분포 응답자 특성 구분 빈도 백분율 전 체 3,000 100.0% 성별 남 여 1,482 1,518 49.4% 50.6% 연령 10대(15세 이상) 20대 30대 40대 50대 60세 이상 234 579 665 635 406 481 7.8% 19.3% 22.2% 21.2% 13.5% 16.0% 도시규모 대도시 중소도시 군 지역 1,479 1,235 286 49.3% 41.2% 9.5% 1) 대도시, 중소도시, 군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교차분석표에서 대도시는 서울과 6개 광역시, 중소도시는 기초지자체 시( 市 )지역을 의미한다. - 4 -
<표 0-2> 응답자 특성별 분포(계속) 응답자 특성 구분 빈도 백분율 학력 중학교 졸업 이하 고등학교 졸업 대학재학 이상 698 1,271 1,031 23.3% 42.4% 34.4% 직업 전문/관리직 사무직 서비스/판매직 생산직 자영업 주부 학생 기타/무직 86 549 455 402 171 755 413 169 2.9% 18.3% 15.2% 13.4% 5.7% 25.2% 13.8% 5.6% 월평균 가구소득 100만원 미만 100-199만원 200-299만원 300만원 이상 213 631 1,187 969 7.1% 21.0% 39.6% 32.3% 지역(시 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665 240 162 165 87 93 67 572 93 96 128 125 130 176 201 22.2% 8.0% 5.4% 5.5% 2.9% 3.1% 2.2% 19.1% 3.1% 3.2% 4.3% 4.2% 4.3% 5.9% 6.7% - 5 -
평균점수를 계산해야 할 경우에는 5점 만점으로 하였다. 따라서 3점을 초과하면 만족도가 높고, 3점 미만이면 만족도가 낮다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보고서는 2003년 조사결과와 비교하여 기술함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사례 수가 없는 경우에는 표시(본문의 교차분석표 및 부록 통계표에서는 0.0으로 표 시), 범주에 맞지 않아서 비교할 수 없을 경우에는 표시, 그리고 알 수 없는 경우 에는 표시를 사용하였다. - 6 -
Ⅱ. 조사결과 1. 여가생활 넓은 의미의 문화생활 실태 파악을 위해 여가시간, 여가비 지출, 여가활용, 희망 하는 여가활동, 그리고 여가활동의 걸림돌 등을 조사하였다. 1) 여가시간 여가시간을 근로, 수면, 식사, 출퇴근, 학교생활, 가사를 제외한 시간으로 규정한 다음 측정하였다. 평일(주말과 휴일이 아닌)의 여가시간은 2시간~3시간 미만 이라고 답한 의견이 33.8%로 가장 많았다. 주말과 휴일의 여가시간은 5시간 이상 이라고 답한 의견이 50.1%로 가장 많았다. (1) 평일의 여가시간 평일의 여가시간을 살펴보면, 2시간~3시간 미만 이라고 응답한 의견이 33.8%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1시간~2시간 미만 (31.5%), 3시간~4시간 미만 (14.7%), 5시간 이상 (7.6%), 1시간 이하 (6.3%), 4시간~5시간 미만 (6.2%)의 순서로 나타났 다. 평일의 여가시간이 5시간 이상 이란 응답은 60세 이상, 중졸 이하, 월평균 가구 소득 100만원 미만 소득층에서 상대적으로 많았다(60세 이상 22.5%, 중졸 이하 17.0%, 100만원 미만 소득층 19.7%). 반면에 1시간 미만 이란 응답은 10대(11.5%), 자영업 종사자(14.0%)에게서 많았 다. - 7 -
5시간 이상 7.6% 4시간~5시간 미만 6.2% 1시간이하 6.3% 3시간~4시간 미만 14.7% 1~2시간 미만 31.5% 2~3시간 미만 33.8% [그림 1-1] 평일의 여가시간 2003년 조사와는 응답방식이 달라서 직접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커다란 차이는 찾아보기 힘들다. 2) <표 1-1> 평일의 여가시간: 2003년과 비교 평일의 여가시간 2006년 조사 2003년 조사 1시간 이하 6.3% 10.1% 1~2시간 미만 31.5% 27.2% 2~3시간 미만 33.8% 29.3% 3~4시간 미만 14.7% 17.3% 4~5시간 미만 6.2% 9.6% 5시간 이상 7.6% 6.5% 2) 2003년 조사는 여가시간을 응답보기 없이 기입하는 방식이었고, 2006년 조사에서는 답변보 기에서 선택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 8 -
<표 1-2> 평일의 여가시간 단위: % ---------------------------------------------------------------------------------------- 응 답 내 용 사례수 1시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5시간 계 미만 2시간 3시간 4시간 5시간 이상 미만 미만 미만 미만 ---------------------------------------------------------------------------------------- [전 체] (3000) 6.3 31.5 33.8 14.7 6.2 7.6 100.0 남 성 (1482) 6.1 32.9 36.3 12.5 6.5 5.8 100.0 여 성 (1518) 6.5 30.1 31.3 16.9 5.9 9.3 100.0 10 대 (234) 11.5 35.5 26.9 13.2 6.0 6.8 100.0 20 대 (579) 4.1 30.6 38.5 15.0 6.9 4.8 100.0 30 대 (665) 6.3 35.3 37.9 13.7 3.9 2.9 100.0 40 대 (635) 6.5 36.4 34.0 15.9 3.6 3.6 100.0 50 대 (406) 6.9 31.3 34.7 14.0 4.9 8.1 100.0 60 세 이 상 (481) 5.4 18.9 24.5 15.6 13.1 22.5 100.0 대 도 시 (1479) 4.9 30.6 33.7 16.6 7.3 7.0 100.0 중 소 도 시 (1235) 7.9 35.2 33.2 11.5 4.9 7.2 100.0 군 지 역 (286) 6.3 19.9 36.4 19.2 5.9 12.2 100.0 중 졸 이 하 (698) 7.9 24.9 26.1 14.2 9.9 17.0 100.0 고 졸 (1271) 6.5 33.5 35.2 15.1 4.3 5.4 100.0 대 재 이 상 (1031) 4.8 33.4 37.2 14.6 6.0 3.9 100.0 전 문/ 관리직 (86) 3.5 33.7 38.4 16.3 7.0 1.2 100.0 사 무 직 (549) 5.6 35.7 40.8 12.6 3.5 1.8 100.0 서비스/ 판매직 (455) 7.0 38.5 37.1 11.9 4.0 1.5 100.0 생 산 직 (402) 6.2 36.6 35.1 12.4 3.7 6.0 100.0 자 영 업 (171) 14.0 42.1 26.3 12.9 2.3 2.3 100.0 주 부 (755) 5.2 23.7 29.9 19.3 8.6 13.2 100.0 학 생 (413) 7.0 31.0 34.1 15.0 6.5 6.3 100.0 기 타/ 무 직 (169) 3.0 10.7 20.1 14.8 18.9 32.5 100.0 100만원 미 만 (213) 6.1 17.4 25.8 15.5 15.5 19.7 100.0 100-199 만 원 (631) 6.8 30.3 30.6 14.4 7.4 10.5 100.0 200-299 만 원 (1187) 5.6 34.8 34.8 14.5 4.8 5.5 100.0 300만원 이 상 (969) 6.7 31.3 36.3 15.1 5.1 5.6 100.0 ---------------------------------------------------------------------------------------- - 9 -
(2) 주말 휴일의 여가시간 주말과 휴일의 여가시간은 5시간 이상 이라고 답한 의견이 50.1%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3시간~4시간 미만 (16.8%), 4시간~5시간 미만 (13.1%), 2시간~3시간 미만 (12.5%), 2시간 이하 (7.5%)의 순으로 나타났다. 2시간이하 7.5% 2~3시간 12.5% 5시간 이상 50.1% 3~4시간 16.8% 4시간~5시간 13.1% [그림 1-2] 주말 휴일의 여가시간 2003년 조사와는 응답방식이 달라서 직접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커다란 차이는 찾아보기 힘들다. 3) <표 1-3> 주말 휴일의 여가시간: 2003년과 비교 주말과 휴일의 여가시간 2006년 조사 2003년 조사 2시간 이하 7.5% 10.1% 2~3시간 미만 12.5% 11.6% 3~4시간 미만 16.8% 13.6% 4~5시간 미만 13.1% 20.1% 5시간 이상 50.1% 44.7% 3) 평일의 여가시간과 마찬가지로 2003년 조사는 응답보기 없이 기입하는 방식, 2006년 조사는 답변보기에서 선택하는 방식이다. - 10 -
<표 1-4> 주말 휴일의 여가시간 단위: % ------------------------------------------------------------------------------- 응 답 내 용 사례수 2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5시간 계 미만 3시간 4시간 5시간 이상 미만 미만 미만 ------------------------------------------------------------------------------- [전 체] (3000) 7.5 12.5 16.8 13.1 50.1 100.0 남 성 (1482) 6.2 12.1 15.1 14.2 52.4 100.0 여 성 (1518) 8.8 12.9 18.4 12.1 47.8 100.0 10 대 (234) 3.8 14.1 14.1 12.4 55.6 100.0 20 대 (579) 5.4 11.1 16.1 12.6 54.9 100.0 30 대 (665) 7.8 11.6 20.0 14.4 46.2 100.0 40 대 (635) 10.4 14.2 18.3 10.7 46.5 100.0 50 대 (406) 8.6 13.1 14.5 13.5 50.2 100.0 60 세 이 상 (481) 6.9 12.3 14.3 15.0 51.6 100.0 대 도 시 (1479) 6.3 12.2 16.8 11.8 52.9 100.0 중 소 도 시 (1235) 9.5 13.2 16.0 14.2 47.2 100.0 군 지 역 (286) 5.6 11.2 19.9 15.4 47.9 100.0 중 졸 이 하 (698) 6.7 13.6 15.5 13.3 50.9 100.0 고 졸 (1271) 9.2 13.0 17.7 12.7 47.4 100.0 대 재 이 상 (1031) 6.0 11.3 16.5 13.5 52.8 100.0 전 문/ 관리직 (86) 4.7 9.3 12.8 8.1 65.1 100.0 사 무 직 (549) 6.4 6.6 17.9 15.8 53.4 100.0 서비스/ 판매직 (455) 9.5 17.1 16.7 14.5 42.2 100.0 생 산 직 (402) 9.2 16.2 19.2 12.7 42.8 100.0 자 영 업 (171) 11.7 19.9 11.7 6.4 50.3 100.0 주 부 (755) 8.6 12.3 20.7 12.2 46.2 100.0 학 생 (413) 3.6 13.1 11.4 12.6 59.3 100.0 기 타/ 무 직 (169) 4.1 4.7 10.7 16.0 64.5 100.0 100만원 미 만 (213) 8.0 13.1 15.0 14.6 49.3 100.0 100-199 만 원 (631) 10.1 10.9 17.9 12.0 49.0 100.0 200-299 만 원 (1187) 7.2 14.5 16.1 13.6 48.6 100.0 300만원 이 상 (969) 6.1 11.0 17.2 12.9 52.7 100.0 ------------------------------------------------------------------------------- - 11 -
2) 여가비 지출액 가구의 한달 평균 여가생활 지출비용은 10만원 미만 이라고 답한 비율이 43.1% 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10~15만원 미만 (20.2%), 15~20만원 미만 (12.3%), 20~25만원 미만 (10.9%), 25~30만원 미만 (5.9%), 30~40만원 미만 (4.2%), 40~50만 원 미만 (2.1%), 50만원 이상 (1.3%)의 순서로 나타났다. 2003년 조사와 비교하여, 10만원 미만 을 여가비로 지출한다는 응답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2006년 43.1%, 2003년 22.5%). 4) <표 1-5> 월평균 여가비 지출액: 2003년과 비교 여가비 지출액 2006년 조사 2003년 조사 10만원 미만 43.1% 22.5% 10~15만원 미만 20.2% 13.9% 15~20만원 미만 12.3% 27.8% 20~25만원 미만 10.9% 5.8% 25~30만원 미만 5.9% 17.7% 30~40만원 미만 4.2% 5.4% 40~50만원 미만 2.1% 4.2% 50만원 이상 1.3% 2.9% <표 1-6> 월평균 여가비 지출액 단위: % -------------------------------------------------------------------------------------- 응 답 내 용 사례수 10만원 10-15- 20-25- 30-40- 50만원 계 미만 15만원 20만원 25만원 30만원 40만원 50만원 이상 미만 미만 미만 미만 미만 미만 -------------------------------------------------------------------------------------- [전 체] (3000) 43.1 20.2 12.3 10.9 5.9 4.2 2.1 1.3 100.0 대 도 시 (1479) 35.0 21.1 13.3 13.6 7.6 5.4 2.5 1.6 100.0 중 소 도 시 (1235) 50.3 20.6 11.7 8.3 4.1 2.4 1.5 1.1 100.0 군 지 역 (286) 54.5 13.6 10.1 8.4 4.9 5.6 2.1.7 100.0 100만원 미 만 (213) 84.0 10.3 1.9 2.8.0.0.5.5 100.0 100-199 만 원 (631) 51.3 21.7 10.6 8.7 3.0 2.7 1.1.8 100.0 200-299 만 원 (1187) 43.9 21.7 13.4 9.7 5.8 3.5 1.2.8 100.0 300만원 이 상 (969) 27.9 19.4 14.3 15.6 9.3 7.0 4.1 2.4 100.0 -------------------------------------------------------------------------------------- 가구 지출액이므로, 성, 연령, 학력, 직업별 지출액은 의미가 없다. 4) 여가시간과 마찬가지로 2006년 조사는 답변보기에서 선택하는 방식이라면, 2003년 조사는 답변보기 없이 응답하는 형식이었다. - 12 -
3) 여가활용 (1) 여가활용 실태 여가시간 활용을 평일과 주말 휴일로 구분하여 각각 질문하였다. 여가활동은 하 나의 응답만으로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세 가지를 응답하도록 하였고, 조사결과는 응답 수를 기준으로 통계처리하여 합계 100%가 맞도록 하였다. 평일의 여가활용은 텔레비전 보기 (25.6%), 집에서 쉰다/낮잠 (18.1%), 인터넷/게 임 (8.9%), 산책/스포츠 (8.8%), 신문/잡지보기 (6.8%), 친구만나기/모임참가 (5.6%), 가족과 대화/외식 (5.0%), 독서 (3.5%), 음악감상 (3.0%), 음주 (2.9%), 라디오 듣 기 (1.6%), 등산/낚시 (1.5%), 예술감상 (1.5%)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2003년 조사와 비교하여 거의 차이가 없었다. 한편, 주말 휴일의 여가활용은 텔레비전 보기 (15.9%), 집에서 쉰다/낮 잠 (13.1%), 가족과 대화/외식 (10.0%), 산책/스포츠 (8.3%), 친구만나기/모임참가 (7.9%), 등산/낚시 (6.3%), 인터넷/게임 (5.6%), 여행 (5.6%), 쇼핑 (5.4%), 예술감 상 (4.7%), 종교활동 (4.3%), 음주 (2.4%)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2003년 조사와 비 교하여 거의 차이가 없었다. 결국, 평일과 주말 휴일의 여가활동은 2003년 조사결과와 비교하여 차이를 찾아 보기 힘들다. 텔레비전 보기 와 집에서 쉰다/낮잠 이 여전히 최상위 빈도를 차지하 였으며, 그 비율이 약간 늘어났다. 두 가지(텔레비전 보기, 집에서 쉰다/낮잠)를 합 한 비율은 평일의 43.7%(2003년 38.9%), 주말 휴일의 29.0%(2003년 26.4%)였다. <표 1-7> 여가활용 최다빈도: 2000년, 2003년과 비교 텔레비전 보기 집에서 쉰다/낮잠 2006년 조사 2003년 조사 2000년 조사 평일 43.7% 38.9% 34.1% 주말 및 휴일 29.0% 26.4% 25.7% - 13 -
<표 1-8> 여가활용실태: 평일, 주말 휴일 평일 여가활용(중복응답) 주말 휴일 여가활용(중복응답) 텔레비전 보기 25.6% 텔레비전 보기 15.9% 집에서 쉰다/낮잠 18.1% 집에서 쉰다/낮잠 13.1% 인터넷/게임 8.9% 가족과 대화/외식 10.0% 산책/스포츠 8.8% 산책/스포츠 8.3% 신문/잡지 보기 6.8% 친구만나기/모임참가 7.9% 친구만나기/모임참가 5.6% 등산/낚시 6.3% 가족과 대화/외식 5.0% 인터넷/게임 5.6% 독서 3.5% 여행 5.6% 음악감상 3.0% 쇼핑 5.4% 음주 2.9% 예술감상 4.7% 라디오 듣기 1.6% 종교활동 4.3% 등산/낚시 1.5% 음주 2.4% 예술감상 1.5% 신문/잡지 보기 1.9% 쇼핑 1.4% 독서 1.6% 종교활동 1.0% 음악감상 1.4% 오락/잡기 0.9% 노래방/게임방/전자오락실 1.3% 노래방/게임방/전자오락실 0.8% 스포츠관람 1.0% 비디오/DVD 보기 0.7% 오락/잡기 0.9% 스포츠관람 0.7% 비디오/DVD 보기 0.9% 학습 0.6% 라디오 듣기 0.7% 여행 0.5% 학습 0.4% 예술창작 0.3% 예술창작 0.2% 기타 0.2% 기타 0.2% 계 100.0% 계 100.0% - 14 -
<표 1-9> 평일의 여가활용: 2003년과 비교 2006년 조사(중복응답) 2003년 조사(중복응답) 텔레비전 보기 25.6% 텔레비전 보기 22.9% 집에서 쉰다/낮잠 18.1% 집에서 쉰다/낮잠 16.0% 인터넷/게임 8.9% 인터넷/게임 9.5% 산책/스포츠 8.8% 신문/잡지 보기 7.9% 신문/잡지 보기 6.8% 산책/스포츠 7.4% 친구만나기/모임참가 5.6% 가족과 대화/외식 5.4% 가족과 대화/외식 5.0% 친구만나기/모임참가 4.9% 독서 3.5% 독서 4.5% 음악감상 3.0% 음악감상 4.1% 음주 2.9% 음주 2.5% 라디오 듣기 1.6% 라디오 듣기 2.4% 등산/낚시 1.5% 비디오/DVD 보기 2.0% 예술감상 1.5% 오락/잡기 1.6% 쇼핑 1.4% 쇼핑 1.4% 종교활동 1.0% 등산/낚시 1.3% 오락/잡기 0.9% 예술감상 1.3% 노래방/게임방/전자오락실 0.8% 종교활동 1.3% 비디오/DVD 보기 0.7% 노래방/게임방/전자오락실 1.1% 스포츠관람 0.7% 학습 0.9% 학습 0.6% 스포츠관람 0.6% 여행 0.5% 여행 0.3% 예술창작 0.3% 예술창작 0.3% 기타 0.2% 기타 0.2% 계 100.0% 계 100.0% - 15 -
<표 1-10> 주말 휴일의 여가활용: 2003년과 비교 2006년 조사(중복응답) 2003년 조사(중복응답) 텔레비전 보기 15.9% 텔레비전 보기 14.2% 집에서 쉰다/낮잠 13.1% 집에서 쉰다/낮잠 12.2% 가족과 대화/외식 10.0% 가족과 대화/외식 10.7% 산책/스포츠 8.3% 친구만나기/모임참가 8.8% 친구만나기/모임참가 7.9% 산책/스포츠 7.6% 등산/낚시 6.3% 등산/낚시 6.2% 인터넷/게임 5.6% 인터넷/게임 5.9% 여행 5.6% 쇼핑 5.5% 쇼핑 5.4% 여행 5.3% 예술감상 4.7% 종교활동 4.4% 종교활동 4.3% 예술감상 3.3% 음주 2.4% 비디오/DVD 보기 2.5% 신문/잡지 보기 1.9% 음주 2.3% 독서 1.6% 독서 2.2% 음악감상 1.4% 음악감상 2.1% 노래방/게임방/전자오락실 1.3% 신문/잡지 보기 1.8% 스포츠관람 1.0% 노래방/게임방/전자오락실 1.6% 오락/잡기 0.9% 오락/잡기 1.0% 비디오/DVD 보기 0.9% 스포츠관람 0.9% 라디오 듣기 0.7% 라디오 듣기 0.6% 학습 0.4% 예술창작 0.4% 예술창작 0.2% 학습 0.4% 기타 0.2% 기타 0.2% 계 100.0% 계 100.0% - 16 -
(2) 희망하는 여가활동 여가시간의 활용과 마찬가지로 희망하는 여가활동을 평일과 주말 휴일로 구분 하여 각각 질문하였다. 세 가지를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응답 수 기준으로 분석하 였다. 평일에 희망하는 여가활동은 산책/스포츠 (13.4%), 친구만나기/모임참가 (10.5%), 여행 (9.6%), 예술감상 (8.8%), 텔레비전 보기 (7.3%), 가족과 대화/외식 (6.9%), 집 에서 쉰다/낮잠 (6.7%), 쇼핑 (6.3%), 등산/낚시 (6.0%)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주말 휴일에 희망하는 여가활동은 여행 (24.0%), 등산/낚시 (10.3%), 쇼 핑 (10.0%), 가족과 대화/외식 (9.9%), 친구만나기/모임참가 (8.7%), 예술감상 (7.6%), 산책/스포츠 (7.5%)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희망하는 여가활동은 2003년 조사와 비 교하여 차이가 거의 없었다. 한편, 희망하는 여가활동과 여가활용 실태의 차이는 분명했다. 첫째, 현재 여가활용에서 1순위로 나타난 텔레비전 보기 (평일 25.6%, 주말 휴 일 15.9%)를 희망하는 비율은 평일의 5순위(7.3%), 주말 휴일의 9순위(2.8%)였다. 둘째, 현재 여가활용에서 2순위로 나타난 집에서 쉰다/낮잠 (평일 18.1%, 주말 휴일 13.1%)을 희망하는 비율은 평일의 7순위(6.7%), 주말 휴일의 8순위(3.4%)였다. 셋째, 현재 여가활용에서 평일의 21순위(0.5%), 주말 휴일의 8순위(5.6%)에 불과 한 여행 을 희망하는 비율은 평일의 3순위(9.6%), 주말 휴일의 1순위(24.0%)였다. 넷째, 현재 여가활용에서 평일의 13순위(1.5%), 주말 휴일의 10순위(4.7%)에 불과 한 예술감상 을 희망하는 비율은 평일의 4순위(8.8%), 주말 휴일의 6순위(7.6%)였 다. - 17 -
<표 1-11> 희망하는 여가활동: 평일, 주말 휴일 평 일(중복응답) 주말 휴일(중복응답) 산책/스포츠 13.4% 여행 24.0% 친구만나기/모임참가 10.5% 등산/낚시 10.3% 여행 9.6% 쇼핑 10.0% 예술감상 8.8% 가족과 대화/외식 9.9% 텔레비전 보기 7.3% 친구만나기/모임참가 8.7% 가족과 대화/외식 6.9% 예술감상 7.6% 집에서 쉰다/낮잠 6.7% 산책/스포츠 7.5% 쇼핑 6.3% 집에서 쉰다/낮잠 3.4% 등산/낚시 6.0% 텔레비전 보기 2.8% 인터넷/게임 4.2% 스포츠관람 2.5% 스포츠관람 3.0% 종교활동 2.4% 독서 2.4% 인터넷/게임 2.1% 예술창작 2.2% 노래방/게임방/전자오락실 1.8% 노래방/게임방/전자오락실 2.2% 예술창작 1.3% 음악감상 2.2% 음주 1.1% 신문/잡지 보기 1.7% 독서 1.0% 음주 1.7% 음악감상 0.8% 비디오/DVD 보기 1.4% 오락/잡기 0.7% 종교활동 1.2% 비디오/DVD 보기 0.7% 학습 0.9% 신문/잡지 보기 0.5% 오락/잡기 0.7% 학습 0.4% 라디오 듣기 0.6% 기타 0.3% 기타 0.2% 라디오 듣기 0.2% 계 100.0% 계 100.0% - 18 -
<표 1-12> 희망하는 평일의 여가활동: 2003년과 비교 2006년 조사(중복응답) 2003년 조사(중복응답) 산책/스포츠 13.4% 산책/스포츠 13.7% 친구만나기/모임참가 10.5% 친구만나기/모임참가 9.9% 여행 9.6% 여행 8.9% 예술감상 8.8% 예술감상 8.6% 텔레비전 보기 7.3% 쇼핑 6.3% 가족과 대화/외식 6.9% 텔레비전 보기 6.2% 집에서 쉰다/낮잠 6.7% 가족과 대화/외식 6.0% 쇼핑 6.3% 등산/낚시 5.6% 등산/낚시 6.0% 집에서 쉰다/낮잠 5.3% 인터넷/게임 4.2% 인터넷/게임 4.1% 스포츠관람 3.0% 예술창작 3.7% 독서 2.4% 음악감상 3.1% 예술창작 2.2% 독서 3.1% 노래방/게임방/전자오락실 2.2% 비디오/DVD 보기 3.0% 음악감상 2.2% 스포츠관람 2.6% 신문/잡지 보기 1.7% 음주 1.9% 음주 1.7% 노래방/게임방/전자오락실 1.8% 비디오/DVD 보기 1.4% 신문/잡지 보기 1.7% 종교활동 1.2% 종교활동 1.4% 학습 0.9% 오락/잡기 1.2% 오락/잡기 0.7% 학습 1.0% 라디오 듣기 0.6% 라디오 듣기 0.9% 기타 0.2% 기타 0.2% 계 100.1% 계 100.0% - 19 -
<표 1-13> 희망하는 주말 휴일의 여가활동: 2003년과 비교 2006년 조사(중복응답) 2003년 조사(중복응답) 여행 24.0% 여행 23.0% 등산/낚시 10.3% 등산/낚시 10.8% 쇼핑 10.0% 친구만나기/모임참가 9.5% 가족과 대화/외식 9.9% 쇼핑 9.2% 친구만나기/모임참가 8.7% 가족과 대화/외식 9.0% 예술감상 7.6% 산책/스포츠 8.2% 산책/스포츠 7.5% 예술감상 6.8% 집에서 쉰다/낮잠 3.4% 스포츠관람 2.9% 텔레비전 보기 2.8% 집에서 쉰다/낮잠 2.8% 스포츠관람 2.5% 텔레비전 보기 2.6% 종교활동 2.4% 종교활동 2.3% 인터넷/게임 2.1% 예술창작 2.3% 노래방/게임방/전자오락실 1.8% 인터넷/게임 2.0% 예술창작 1.3% 노래방/게임방/전자오락실 1.6% 음주 1.1% 비디오/DVD 보기 1.5% 독서 1.0% 음악감상 1.2% 음악감상 0.8% 음주 1.0% 오락/잡기 0.7% 오락/잡기 1.0% 비디오/DVD 보기 0.7% 독서 0.9% 신문/잡지 보기 0.5% 신문/잡지 보기 0.4% 학습 0.4% 학습 0.4% 기타 0.3% 라디오 듣기 0.3% 라디오 듣기 0.2% 기타 0.2% 계 100.0% 계 100.0% - 20 -
4) 여가활동의 걸림돌 여가활동의 걸림돌을 조사한 결과, 평일의 경우에는 시간부족 (46.1%), 경제적 부담 (36.2%), 관련시설 부족 (6.6%), 프로그램 부족 (5.2%), 정보부족 (3.5%), 함께 할 사람 없음 (1.9%)의 순서로 나타났다. 한편, 주말 휴일의 여가활동 걸림돌은 경제적 부담 (48.7%), 시간부족 (20.2%), 관련시설 부족 (11.4%), 프로그램 부족 (8.3%), 정보 부족 (7.5%), 함께 할 사람 없 음 (3.4%)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46.1% 48.7% 평일 주말/휴일 36.2% 20.2% 11.4% 6.6% 8.3% 7.5% 5.2% 3.5% 3.4% 0.5% 1.9% 0.4% 시간부족 경제적부담 시설부족 프로그램부족 정보부족 동행인없음 없다 [그림 1-3] 여가활동 걸림돌: 평일과 주말 휴일 비교 2003년 조사와 비교해보면 여전히 평일에는 시간부족, 그리고 주말 휴일에는 경제적 부담 이 여가활동의 가장 큰 걸림돌로 나타났다. 다만, 평일의 경우에는 시간부족 이란 응답이 상당히 줄어든 반면(2006년 46.1%, 2003년 56.4%), 경제적 부담 이란 응답이 늘었다(2006년 36.2%, 2003년 31.4%). - 21 -
<표 1-14> 여가활동 걸림돌: 2003년과 비교 여가활동 걸림돌 평일 주말 휴일 2006년 조사 2003년 조사 2006년 조사 2003년 조사 시간부족 46.1% 56.4% 20.2% 23.7% 경제적 부담 36.2% 31.4% 48.7% 49.5% 관련시설 부족 6.6% 4.5% 11.4% 9.2% 프로그램 부족 5.2% 3.3% 8.3% 7.9% 정보부족 3.5% 2.2% 7.5% 6.5% 함께 할 사람 없음 1.9% 2.1% 3.4% 3.0% 기타/없다 0.4% 0.2% 0.5% 0.3% 계 100.0% 100.0% 100.0% 100.0% (1) 여가활동 걸림돌: 평일 여가를 즐길 시간이 없다 는 응답이 거의 모든 응답자 집단에서 가장 많았다. 다 만, 60세 이상, 군지역, 중졸 이하, 주부, 월평균 가구소득 100만원 미만 소득층에서 는 경제적으로 부담된다 는 응답이 시간이 부족하다 는 응답보다 많았다. 한편, 시간부족 이 여가활동의 걸림돌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여성보다 남성, 50대 이하 연령층, 고학력층, 자영업, 서비스/판매직, 전문/관리직, 사무직, 고소득층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46.1% 36.2% 6.6% 5.2% 3.5% 1.9% 0.4% 시간 부족 경제적 부담 시설 부족 프로그램 부족 관련 정보부족 동행인 없음 기타 [그림 1-4] 평일의 여가활동 걸림돌 - 22 -
<표 1-15> 평일의 여가활동 걸림돌 단위: % ---------------------------------------------------------------------------------------------------------- 응 답 내 용 사례수 여가시간 경제적 관련시설 관련 관련정보 함께 할 무응답 기타 계 없음 부담 부족 프로그램 부족 사람 부족 없음 ---------------------------------------------------------------------------------------------------------- [전 체] (3000) 46.1 36.2 6.6 5.2 3.5 1.9.4.0 100.0 남 성 (1482) 50.8 32.5 6.4 4.7 3.8 1.5.3.0 100.0 여 성 (1518) 41.6 39.9 6.9 5.6 3.2 2.4.5.1 100.0 10 대 (234) 57.3 30.3 7.3 1.7 1.3 2.1.0.0 100.0 20 대 (579) 47.5 34.5 7.9 6.2 3.1.3.3.0 100.0 30 대 (665) 53.2 31.4 5.7 5.0 3.5 1.2.0.0 100.0 40 대 (635) 51.5 32.1 6.9 5.0 3.0 1.3.2.0 100.0 50 대 (406) 44.3 37.2 5.2 6.7 4.2 1.5 1.0.0 100.0 60 세 이 상 (481) 23.7 52.4 6.9 4.8 5.2 6.0.8.2 100.0 대 도 시 (1479) 47.8 33.7 5.6 6.3 3.8 2.4.4.1 100.0 중 소 도 시 (1235) 46.1 37.9 6.8 4.1 3.3 1.5.2.0 100.0 군 지 역 (286) 37.8 42.3 11.2 3.8 2.8 1.4.7.0 100.0 중 졸 이 하 (698) 35.7 45.8 6.3 4.2 3.6 3.7.6.1 100.0 고 졸 (1271) 47.4 35.8 6.2 5.1 4.0 1.5.0.0 100.0 대 재 이 상 (1031) 51.7 30.3 7.4 5.9 2.8 1.3.7.0 100.0 전 문/ 관리직 (86) 62.8 19.8 4.7 10.5.0 2.3.0.0 100.0 사 무 직 (549) 55.0 27.7 8.4 5.1 2.9.5.4.0 100.0 서비스/ 판매직 (455) 63.5 25.5 3.7 3.5 2.6.9.2.0 100.0 생 산 직 (402) 48.0 38.8 5.0 4.2 2.5 1.2.2.0 100.0 자 영 업 (171) 66.1 25.7 2.3 1.8 3.5.6.0.0 100.0 주 부 (755) 27.3 47.7 7.8 7.5 4.9 4.0.7.1 100.0 학 생 (413) 48.9 36.6 7.7 3.4 1.7 1.5.2.0 100.0 기 타/ 무 직 (169) 14.8 53.8 10.1 6.5 10.1 4.1.6.0 100.0 100만원 미 만 (213) 20.7 61.5 6.1 2.8 4.2 3.3.9.5 100.0 100-199 만 원 (631) 41.7 38.2 6.7 5.7 4.1 3.3.3.0 100.0 200-299 만 원 (1187) 47.9 36.6 6.3 4.9 2.6 1.7.1.0 100.0 300만원 이 상 (969) 52.5 29.0 7.1 5.7 4.0 1.0.6.0 100.0 ---------------------------------------------------------------------------------------------------------- - 23 -
(2) 여가활동 걸림돌: 주말 휴일 경제적으로 부담이 된다 는 응답이 모든 응답자 집단에서 가장 많았다. 특히, 경제적으로 부담이 된다 는 응답은 직업이나 소득과 관계없이 최다빈도로 나타났 다(월평균 가구소득 100만원 미만 52.1%, 200~299만원 51.0%, 100~199만원 48.0%, 300만원 이상 45.5%). 시간이 부족하다 는 응답은 상대적으로 서비스/판매직(29.2%)과 자영업 종사자 (28.7%)에게서 많았다. 관련시설이 부족하다 는 응답은 10대(15.4%), 군 지역 (18.2%), 전문/관리직(15.1%), 사무직(15.3%)에서 상대적으로 많았다. 48.7% 20.2% 11.4% 8.3% 7.5% 3.4% 0.5% 시간 부족 경제적 부담 시설 부족 프로그램 부족 관련 정보부족 동행인 없음 기타 [그림 1-5] 주말 휴일의 여가활동 걸림돌 - 24 -
<표 1-16> 주말 휴일의 여가활동 걸림돌 단위: % ---------------------------------------------------------------------------------------------------------- 응 답 내 용 사례수 경제적 여가시간 관련시설 관련 관련정보 함께 할 무응답 기타 계 부담 없음 부족 프로그램 부족 사람 부족 없음 ---------------------------------------------------------------------------------------------------------- [전 체] (3000) 48.7 20.2 11.4 8.3 7.5 3.4.4.1 100.0 남 성 (1482) 48.6 20.6 11.3 8.7 7.3 3.2.3.1 100.0 여 성 (1518) 48.7 19.8 11.5 8.0 7.8 3.7.4.1 100.0 10 대 (234) 46.2 21.4 15.4 8.5 4.3 4.3.0.0 100.0 20 대 (579) 52.0 16.8 11.6 9.2 7.8 2.4.2.2 100.0 30 대 (665) 49.0 22.4 11.3 7.8 7.4 2.0.2.0 100.0 40 대 (635) 48.7 22.8 11.8 7.2 7.2 1.9.3.0 100.0 50 대 (406) 43.8 24.4 10.6 10.8 6.2 3.4.7.0 100.0 60 세 이 상 (481) 49.5 13.5 9.6 7.3 10.6 8.3.8.4 100.0 대 도 시 (1479) 49.5 18.9 9.9 9.1 8.9 3.1.4.2 100.0 중 소 도 시 (1235) 50.9 21.8 11.7 6.9 5.3 3.2.2.0 100.0 군 지 역 (286) 34.6 19.6 18.2 10.5 10.1 5.9 1.0.0 100.0 중 졸 이 하 (698) 49.6 18.3 9.7 8.2 7.0 6.4.6.1 100.0 고 졸 (1271) 51.3 20.1 11.6 6.7 7.9 2.3.1.1 100.0 대 재 이 상 (1031) 44.8 21.5 12.3 10.5 7.4 2.8.6.1 100.0 전 문/ 관리직 (86) 38.4 22.1 15.1 11.6 9.3 2.3 1.2.0 100.0 사 무 직 (549) 45.4 18.8 15.3 11.8 6.4 2.0.4.0 100.0 서비스/ 판매직 (455) 46.8 29.2 7.7 6.2 7.0 2.9.2.0 100.0 생 산 직 (402) 51.5 21.1 10.4 6.7 5.5 4.2.2.2 100.0 자 영 업 (171) 48.5 28.7 7.0 5.3 8.8 1.8.0.0 100.0 주 부 (755) 49.5 16.7 10.7 8.6 9.4 4.2.5.3 100.0 학 생 (413) 50.1 18.9 13.1 8.7 6.1 2.9.2.0 100.0 기 타/ 무 직 (169) 55.6 7.1 12.4 5.9 10.7 7.7.6.0 100.0 100만원 미 만 (213) 52.1 12.2 10.8 5.6 8.0 9.9.9.5 100.0 100-199 만 원 (631) 48.0 20.1 9.8 8.9 8.4 4.3.3.2 100.0 200-299 만 원 (1187) 51.0 21.0 11.9 7.0 6.7 2.2.2.1 100.0 300만원 이 상 (969) 45.5 20.9 12.0 10.2 7.8 3.0.5.0 100.0 ---------------------------------------------------------------------------------------------------------- - 25 -
2. 예술향유 예술행사 관람(감상)실태, 예술창작 및 발표활동, 그리고 문화예술관련 지출현황 등을 조사하였다. 1) 예술행사 관람 지난 1년 동안(2005. 6. 1~2006. 5. 31) 1 문학행사, 2 미술전시회, 3 클래식음 악회/오페라, 4 전통예술공연, 5 연극(뮤지컬 포함), 6 무용, 7 영화, 8 대중가 요콘서트/연예의 관람횟수를 질문하였다. 연간 예술행사를 관람한 비율은 65.8%로 나타나서, 2003년 조사의 관람률(62.4%) 보다 약간 높아졌다. 하지만 분야별로 보면, 영화와 문학행사를 제외하고는 관람경 험이 오히려 줄었다. 곧, 예술관람 경험의 증대는 영화 관람률의 상승에 따른 현상 이며 다른 예술분야의 관람률은 감소하고 있다. 65.8% 62.4% 54.8% 2006년 2003년 2000년 [그림 2-1] 연간 예술행사 관람률: 2000년, 2003년과 비교 연간 관람횟수별로 보면, 1회 관람자가 15.9%, 2회 관람자가 13.5%, 3회 관람자가 9.1%, 그리고 4회 이상 관람자가 27.3%로 나타났다. 연평균 관람횟수는 4.66회였다. 연간 예술행사 관람률을 응답자 특성에 따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간 예술행사 관람률이 남성 65.0%, 여성 66.5%로 나타나서 성별에 따른 차이는 거의 없었다. 둘째, 나이가 어릴수록 예술행사 관람률이 높았다(10대 93.6%, 20대 91.4%, 30대 77.7%, 40대 64.7%, 50대 43.8%, 60세 이상 24.7%). 셋째, 도시규모가 클수록 예술행사 관람률이 높았다(대도시 69.6%, 중소도시 63.2%, 군 지역 57.0%). 넷째, 학 - 26 -
력이 높을수록 예술행사 관람률이 높았다(대학재학 이상 86.0%, 고졸 63.4%, 중졸 이하 40.1%). 다섯째, 직업별로 예술행사 관람률의 차이가 컸다. 학생(93.9%), 전문/ 관리직(87.2%), 사무직(83.8%), 서비스/판매직(63.7%), 주부(57.0%), 자영업(50.9%), 생 산직(42.8%)의 순서로 나타났다. 여섯째, 가구소득이 많을수록 예술행사 관람률이 높았다. 곧, 월평균 가구소득 300만원 이상(81.5%), 200~299만원(66.3%), 100~199만 원(54.7%), 100만원 미만(23.9%)의 순서로 나타났다. <표 2-1> 예술행사 연간 관람률 및 연평균 관람횟수 단위: %, 회 ---------------------------------------------------------------------------------------- 응 답 내 용 사례수 관람한적 1회 2회 3회 4회이상 계 평 균 없다 ---------------------------------------------------------------------------------------- [전 체] (3000) 34.2 15.9 13.5 9.1 27.3 100.0 (4.66) 남 성 (1482) 35.0 14.1 13.2 8.9 28.8 100.0 (4.67) 여 성 (1518) 33.5 17.7 13.8 9.3 25.8 100.0 (4.65) 10 대 (234) 6.4 13.7 15.0 14.1 50.9 100.0 (7.28) 20 대 (579) 8.6 14.9 14.0 9.0 53.5 100.0 (10.66) 30 대 (665) 22.3 17.3 16.8 12.6 31.0 100.0 (4.69) 40 대 (635) 35.3 18.3 16.7 10.9 18.9 100.0 (2.95) 50 대 (406) 56.2 17.2 11.1 4.7 10.8 100.0 (1.74) 60 세 이 상 (481) 75.3 12.1 5.4 3.3 4.0 100.0 (.83) 대 도 시 (1479) 30.4 15.9 14.1 10.0 29.6 100.0 (5.06) 중 소 도 시 (1235) 36.8 14.7 13.4 8.6 26.6 100.0 (4.59) 군 지 역 (286) 43.0 21.3 10.8 6.6 18.2 100.0 (2.85) 중 졸 이 하 (698) 59.9 11.7 7.4 5.6 15.3 100.0 (2.02) 고 졸 (1271) 36.6 17.2 14.6 9.9 21.6 100.0 (3.58) 대 재 이 상 (1031) 14.0 17.1 16.2 10.5 42.3 100.0 (7.77) 전 문/ 관리직 (86) 12.8 16.3 18.6 9.3 43.0 100.0 (7.24) 사 무 직 (549) 16.2 17.9 14.8 12.6 38.6 100.0 (6.53) 서비스/ 판매직 (455) 36.3 14.9 12.3 7.3 29.2 100.0 (4.59) 생 산 직 (402) 57.2 13.9 9.2 7.0 12.7 100.0 (2.17) 자 영 업 (171) 49.1 14.0 13.5 8.2 15.2 100.0 (2.70) 주 부 (755) 43.0 18.4 15.4 8.2 15.0 100.0 (2.51) 학 생 (413) 6.1 14.5 15.3 11.6 52.5 100.0 (9.47) 기 타/ 무 직 (169) 58.0 10.7 7.7 6.5 17.2 100.0 (3.18) 100만원 미 만 (213) 76.1 10.8 5.6 2.8 4.7 100.0 (.86) 100-199 만 원 (631) 45.3 15.5 12.4 7.1 19.7 100.0 (3.21) 200-299 만 원 (1187) 33.7 15.6 14.1 9.7 27.0 100.0 (4.53) 300만원 이 상 (969) 18.5 17.6 15.3 11.0 37.6 100.0 (6.60) ---------------------------------------------------------------------------------------- - 27 -
예술분야별 연간 관람률은 문학행사 4.4%, 미술전시회 6.8%, 클래식음악회 오페 라 3.6%, 전통예술공연 4.4%, 연극 8.1%, 무용 0.7%, 영화 58.9%, 대중가요콘서트/연 예 10.0%로 나타났다. 2003년 조사와 비교하여 영화와 문학행사를 제외하고는 관람 률이 낮아졌다. <표 2-2> 예술행사 관람률: 2000년, 2003년과 비교 예술행사 2006년 조사 2003년 조사 2000년 조사 문학행사 4.4% 4.0% 5.1% 미술전시회 6.8% 10.4% 11.6% 클래식음악회/오페라 3.6% 6.3% 6.7% 전통예술공연 4.4% 5.2% 7.7% 연극 8.1% 11.1% 10.9% 무용 0.7% 1.1% 2.0% 영화 58.9% 53.3% 40.0% 대중가요콘서트/연예 10.0% 10.3% 8.6% 연평균 관람횟수는 문학행사 0.1회, 미술전시회 0.2회, 클래식음악 오페라 0.1회, 전통예술공연 0.1회, 연극 0.2회, 무용 0.01회, 영화 3.9회, 대중가요콘서트/연예 0.2 회로 나타났다. 2003년 조사와 비교하여 영화관람 횟수가 늘어났을 뿐, 다른 분야 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한편, 관람경험자들의 관람횟수는 문학행사 2.48회, 미술전시회 2.15회, 클래식음 악회/오페라 2.39회, 전통예술공연 1.97회, 연극 2.10회, 무용 1.45회, 영화 6.59회, 대 중가요콘서트/연예 1.69회로 나타났다. 2003년 조사와 비교하여 공연예술(클래식음악회/오페라, 전통예술공연, 연극, 무 용)과 영화관람자의 연평균 관람횟수는 늘어났다. 공연예술 관람률 하락, 그리고 연 평균 관람횟수(전체 대상)의 변화없음에도 불구하고, 관람자대상 관람횟수의 증가는 공연예술 애호가층이 늘어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사례 수(관람경험자)가 적어서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이 같은 추이를 지속적으로 관찰할 필 요가 있다. - 28 -
예술행사 <표 2-3> 예술행사 연평균 관람횟수: 2000년, 2003년과 비교 2006년 조사 연평균 관람횟수 2003년 조사 2000년 조사 2006년 조사 관람자 대상 관람횟수 2003년 조사 2000년 조사 문학행사 0.1 0.1 0.1 2.48 2.71 2.24 미술전시회 0.2 0.2 0.3 2.15 2.26 2.44 클래식음악회/오페라 0.1 0.1 0.2 2.39 2.06 2.18 전통예술공연 0.1 0.1 0.1 1.97 1.42 1.85 연극 0.2 0.2 0.2 2.10 1.88 1.95 무용 0.01 0.01 0.03 1.45 1.24 1.72 영화 3.9 3.5 2.2 6.59 6.58 5.57 대중가요콘서트/연예 0.2 0.2 0.2 1.69 1.85 1.78 6.58 6.59 2006년 조사 2003년 조사 2.71 2.48 2.26 2.15 2.39 2.06 1.97 1.42 2.10 1.88 1.45 1.24 1.85 1.69 문학행사 미술전시회 클래식/오페라 전통예술공연 연극 무용 영화 대중가요/연예 [그림 2-2] 관람자 대상 관람횟수: 2003년과 비교 - 29 -
(1) 문학행사 관람 문학행사 연간 관람률은 4.4%(관람한 적 없음 95.6%), 연평균 관람횟수는 0.11회 였다. 관람횟수별로 보면, 1회 관람자가 2.1%, 2회 관람자가 1.2%, 3회 관람자가 0.4%, 4회 이상 관람자가 0.7%로 나타났다. 응답자 특성별로 보면, 10대(6.0%), 30대 (6.6%), 군 지역(7.0%), 대학재학 이상(5.5%), 전문/관리직(11.6%), 학생(6.8%), 월평균 가 구소득 300만 이상 소득층(5.4%)의 관람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표 2-4> 문학행사 연간 관람률 및 연평균 관람횟수 단위: %, 회 ---------------------------------------------------------------------------------------- 응 답 내 용 사례수 관람한적 1회 2회 3회 4회이상 계 평 균 없음 ---------------------------------------------------------------------------------------- [전 체] (3000) 95.6 2.1 1.2.4.7 100.0 (.11) 남 성 (1482) 96.2 1.8 1.1.3.5 100.0 (.09) 여 성 (1518) 94.9 2.4 1.3.5.8 100.0 (.13) 10 대 (234) 94.0 2.1 3.0.4.4 100.0 (.11) 20 대 (579) 95.7 2.4.9.5.5 100.0 (.09) 30 대 (665) 93.4 3.0 2.0.6 1.1 100.0 (.17) 40 대 (635) 96.1 2.0.8.5.6 100.0 (.11) 50 대 (406) 96.1 2.2 1.0.5.2 100.0 (.09) 60 세 이 상 (481) 98.1.6.4.0.8 100.0 (.07) 대 도 시 (1479) 96.1 1.8 1.1.5.6 100.0 (.11) 중 소 도 시 (1235) 95.5 1.9 1.4.4.8 100.0 (.11) 군 지 역 (286) 93.0 5.2 1.0.3.3 100.0 (.10) 중 졸 이 하 (698) 97.7 1.1.7.0.4 100.0 (.05) 고 졸 (1271) 95.3 2.5 1.0.4.8 100.0 (.12) 대 재 이 상 (1031) 94.5 2.3 1.7.8.7 100.0 (.14) 전 문/ 관리직 (86) 88.4 2.3 5.8 2.3 1.2 100.0 (.26) 사 무 직 (549) 96.0 2.0 1.5.0.5 100.0 (.10) 서비스/ 판매직 (455) 96.9 2.0.4.2.4 100.0 (.06) 생 산 직 (402) 96.8 1.7 1.0.2.2 100.0 (.07) 자 영 업 (171) 94.7 2.3 1.8.6.6 100.0 (.11) 주 부 (755) 95.5 2.1.8.5 1.1 100.0 (.15) 학 생 (413) 93.2 3.4 1.9.7.7 100.0 (.14) 기 타/ 무 직 (169) 98.2.6.0.6.6 100.0 (.07) 100만원 미 만 (213) 98.1.9.0.0.9 100.0 (.08) 100-199 만 원 (631) 96.5 1.9 1.0.3.3 100.0 (.07) 200-299 만 원 (1187) 95.4 2.4 1.0.5.7 100.0 (.11) 300만원 이 상 (969) 94.6 2.2 1.9.5.8 100.0 (.14) ---------------------------------------------------------------------------------------- - 30 -
관람자 특성 한편, 문학행사 관람자(133명)를 대상으로 관람횟수, 관람지역, 관람방법(유 무 료), 관람동행자, 관람결정자, 만족도, 예술행사 보완점을 질문하였다. 첫째, 연간 관람횟수를 살펴보면, 1회 관람자가 48.1%, 2회 관람자가 27.1%, 3회 관람자가 9.8%, 4회 이상 관람자가 15.0%로 나타났다. 관람자들의 연평균 관람횟수 는 2.48회였다. 둘째, 관람지역을 살펴보면(중복응답), 거주하는 시 도에서 관람한 경험이 78.2%, 거주하지 않는 시 도에서 관람한 경험이 23.3%, 외국에서 관람한 경험이 0.8%로 나타났다. 셋째, 관람방법(유 무료 여부)을 살펴보면(중복응답), 입장권을 구입하여 관람한 경우가 43.6%, 무료행사를 관람한 경우가 37.6%, 초대권을 가지고 관람한 경우가 27.1%로 나타났다. 넷째, 관람동행자는 가족(46.6%), 친구(43.6%), 혼자(6.0%), 동호회원(3.8%)의 순서 로 나타났다. 다섯째, 관람을 결정한 사람은 본인(72.9%), 배우자(11.3%), 친구(9.0%), 자녀 (4.5%), 기타(2.3%)의 순서로 나타났다. 여섯째, 문학행사 관람만족도는 만족한다 는 의견 71.4%(매우 만족 12.8%, 약간 만족 58.6%), 보통이다 는 의견 23.3%, 불만이다 는 의견 5.3%(매우 불만, 약간 불만 5.3%)의 순서로 나타났다. 일곱째, 문학행사의 보완점은 작품의 질을 높여야 (24.8%), 더욱 자주 열려 야 (23.3%), 가까운 곳에서 열려야 (17.3%), 관련 정보가 많아져야 (12.0%), 관람비 용을 낮추어야 (11.3%), 이해하기 쉬운 행사가 많아져야 (10.5%), 기타 (0.8%)의 순 서로 나타났다. - 31 -
(2) 미술전시회 관람 미술전시회 연간 관람률은 6.8%(관람한 적 없음 93.2%), 연평균 관람횟수는 0.15 회였다. 관람횟수별로 보면, 1회 관람자가 3.5%, 2회 관람자가 1.9%, 3회 관람자가 0.5%, 4회 이상 관람자가 0.9%로 나타났다. 응답자 특성별로 보면, 10대(12.4%), 20대(10.4%), 대학재학 이상(10.6%), 전문/관리 직(10.5%), 학생(13.8%), 월평균 가구소득 300만원 이상 소득층(8.6%)에서 관람률이 높았다. 또한, 나이가 적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그리고 가구소득이 많을수록 관 람률이 높은 특성을 보였다. <표 2-5> 미술전시회 연간 관람률 및 연평균 관람횟수 단위: %, 회 ---------------------------------------------------------------------------------------- 응 답 내 용 사례수 관람한적 1회 2회 3회 4회이상 계 평 균 없음 ---------------------------------------------------------------------------------------- [전 체] (3000) 93.2 3.5 1.9.5.9 100.0 (.15) 남 성 (1482) 94.7 2.6 1.8.3.6 100.0 (.11) 여 성 (1518) 91.8 4.3 2.0.7 1.2 100.0 (.18) 10 대 (234) 87.6 6.4 4.7.0 1.3 100.0 (.24) 20 대 (579) 89.6 5.2 2.4 1.2 1.6 100.0 (.24) 30 대 (665) 91.6 4.2 2.4.9.9 100.0 (.17) 40 대 (635) 94.5 3.0 1.6.2.8 100.0 (.11) 50 대 (406) 97.0 1.5.7.2.5 100.0 (.08) 60 세 이 상 (481) 97.5 1.5.4.2.4 100.0 (.06) 대 도 시 (1479) 92.6 3.9 1.9.5 1.1 100.0 (.17) 중 소 도 시 (1235) 94.1 3.0 1.7.5.7 100.0 (.12) 군 지 역 (286) 92.3 3.8 2.4 1.0.3 100.0 (.14) 중 졸 이 하 (698) 96.0 2.4 1.4.0.1 100.0 (.06) 고 졸 (1271) 94.7 3.2 1.1.4.6 100.0 (.10) 대 재 이 상 (1031) 89.4 4.6 3.1 1.1 1.8 100.0 (.26) 전 문/ 관리직 (86) 89.5 2.3 2.3 3.5 2.3 100.0 (.27) 사 무 직 (549) 93.3 2.7 2.4.5 1.1 100.0 (.17) 서비스/ 판매직 (455) 95.8 2.9.7.2.4 100.0 (.08) 생 산 직 (402) 97.3 1.5.7.0.5 100.0 (.07) 자 영 업 (171) 93.0 3.5 2.3.6.6 100.0 (.16) 주 부 (755) 93.6 3.7 1.3.7.7 100.0 (.13) 학 생 (413) 86.2 7.0 4.8.5 1.5 100.0 (.26) 기 타/ 무 직 (169) 93.5 3.6.6.6 1.8 100.0 (.15) 100만원 미 만 (213) 98.6.5.5.0.5 100.0 (.04) 100-199 만 원 (631) 94.1 3.6 1.3.5.5 100.0 (.11) 200-299 만 원 (1187) 93.2 3.4 2.2.4.8 100.0 (.14) 300만원 이 상 (969) 91.4 4.2 2.2.8 1.3 100.0 (.20) ---------------------------------------------------------------------------------------- - 32 -
관람자 특성 한편, 미술전시회 관람자(204명)를 대상으로 관람횟수, 관람지역, 관람방법(유 무 료), 관람동행자, 관람결정자, 만족도, 예술행사 보완점을 질문하였다. 첫째, 연간 관람횟수를 살펴보면, 1회 관람자가 51.5%, 2회 관람자가 27.5%, 3회 관람자가 7.8%, 4회 이상 관람자가 13.2%로 나타났다. 관람자들의 연평균 관람횟수 는 2.15회였다. 둘째, 관람지역을 살펴보면(중복응답), 거주하는 시 도에서 관람한 경험이 78.4%, 거주하지 않는 시 도에서 관람한 경험이 27.5%, 그리고 외국에서 관람한 경험이 0.5%로 나타났다. 셋째, 관람방법(유 무료 여부)을 살펴보면(중복응답), 입장권을 구입하여 관람한 경우가 45.6%, 무료행사를 관람한 경우가 40.7%, 초대권을 가지고 관람한 경우가 18.6%, 그리고 입장권을 선물 받은 경우가 0.5%로 나타났다. 넷째, 관람동행자는 친구(50.5%), 가족(39.7%), 혼자(5.9%), 동호회원(3.9%)의 순서 로 나타났다. 다섯째, 관람을 결정한 사람은 본인(71.1%), 친구(14.7%), 배우자(7.4%), 자녀 (5.4%), 기타(1.5%)의 순서로 나타났다. 여섯째, 미술전시회 관람만족도는 만족한다 는 의견 74.0%(매우 만족 17.2%, 약 간 만족 56.9%), 보통이다 는 의견 23.0%, 불만이다 는 의견 2.9%(매우 불만, 약 간 불만 2.9%)의 순서로 나타났다. 일곱째, 미술전시회의 보완점은 가까운 곳에서 열려야 (24.0%), 더욱 자주 열려 야 (23.5%), 관람비용을 낮추어야 (16.2%), 작품의 질을 높여야 (14.7%), 관련 정보 가 많아져야 (13.7%), 이해하기 쉬운 행사가 많아져야 (6.9%), 기타 (1.0%)의 순서로 나타났다. - 33 -
(3) 클래식음악회 오페라 관람 클래식음악회 오페라 연간 관람률은 3.6%(관람한 적 없음 96.4%), 연평균 관람 횟수는 0.09회였다. 관람횟수별로 보면, 1회 관람자가 2.1%, 2회 관람자가 0.6%, 3회 관람자가 0.4%, 4회 이상 관람자가 0.5%로 나타났다. 응답자 특성별로 보면, 10대(6.4%), 대학재학 이상(6.3%), 전문/관리직(10.5%), 학생 (6.8%), 월평균 가구소득 300만원 이상 소득층(5.8%)에서 관람률이 높았다. 또한, 나 이가 어릴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가구 소득이 많을수록 관람률이 높은 특성을 보 였다. <표 2-6> 클래식음악회 오페라 연간 관람률 및 연평균 관람횟수 단위: %, 회 ---------------------------------------------------------------------------------------- 응 답 내 용 사례수 관람한적 1회 2회 3회 4회이상 계 평 균 없음 ---------------------------------------------------------------------------------------- [전 체] (3000) 96.4 2.1.6.4.5 100.0 (.09) 남 성 (1482) 97.0 1.9.5.4.3 100.0 (.06) 여 성 (1518) 95.9 2.3.7.3.8 100.0 (.11) 10 대 (234) 93.6 5.1.4.0.9 100.0 (.10) 20 대 (579) 95.5 1.7 1.0.5 1.2 100.0 (.17) 30 대 (665) 95.9 2.1.8.6.6 100.0 (.10) 40 대 (635) 96.1 2.7.6.5.2 100.0 (.07) 50 대 (406) 97.0 2.0.2.2.5 100.0 (.05) 60 세 이 상 (481) 99.6.4.0.0.0 100.0 (.00) 대 도 시 (1479) 96.3 2.2.5.3.7 100.0 (.09) 중 소 도 시 (1235) 96.1 2.2.7.5.5 100.0 (.10) 군 지 역 (286) 98.6 1.4.0.0.0 100.0 (.01) 중 졸 이 하 (698) 98.0 1.6.1.0.3 100.0 (.03) 고 졸 (1271) 97.8 1.2.4.2.4 100.0 (.05) 대 재 이 상 (1031) 93.7 3.6 1.1.8.9 100.0 (.17) 전 문/ 관리직 (86) 89.5 5.8 2.3 1.2 1.2 100.0 (.21) 사 무 직 (549) 96.5 2.0.7.5.2 100.0 (.06) 서비스/ 판매직 (455) 97.1 1.8.4.2.4 100.0 (.06) 생 산 직 (402) 99.0.5.2.2.0 100.0 (.02) 자 영 업 (171) 96.5 2.3.0.0 1.2 100.0 (.13) 주 부 (755) 96.6 2.0.5.3.7 100.0 (.08) 학 생 (413) 93.2 4.1.7.7 1.2 100.0 (.20) 기 타/ 무 직 (169) 98.8.6.6.0.0 100.0 (.02) 100만원 미 만 (213) 99.1.9.0.0.0 100.0 (.01) 100-199 만 원 (631) 98.1.8.3.6.2 100.0 (.05) 200-299 만 원 (1187) 96.9 2.1.3.3.5 100.0 (.07) 300만원 이 상 (969) 94.2 3.2 1.2.4.9 100.0 (.14) ---------------------------------------------------------------------------------------- - 34 -
관람자 특성 한편, 클래식음악회 오페라 관람자(107명)를 대상으로 관람횟수, 관람지역, 관람 방법(유 무료), 관람동행자, 관람결정자, 만족도, 예술행사 보완점을 질문하였다. 첫째, 연간 관람횟수를 살펴보면, 1회 관람자가 58.9%, 2회 관람자가 15.9%, 3회 관람자가 10.3%, 4회 이상 관람자가 15.0%로 나타났다. 관람자들의 연평균 관람횟 수는 2.39회였다. 둘째, 관람지역을 살펴보면(중복응답), 거주하는 시 도에서 관람한 경험이 73.8%, 거주하지 않는 시 도에서 관람한 경험이 28.0%로 나타났다. 셋째, 관람방법(유 무료 여부)을 살펴보면(중복응답), 입장권을 구입하여 관람한 경우가 55.1%, 초대권을 가지고 관람한 경우가 38.3%, 무료행사를 관람한 경우가 11.2%, 그리고 입장권을 선물 받은 경우가 0.9%로 나타났다. 넷째, 관람동행자는 가족(56.1%), 친구(39.3%), 동호회원(2.8%), 혼자(1.9%)의 순서 로 나타났다. 다섯째, 관람을 결정한 사람은 본인(66.4%), 배우자(13.1%), 친구(9.3%), 자녀 (7.5%), 기타(3.7%)의 순서로 나타났다. 여섯째, 클래식음악 오페라공연 관람만족도는 만족한다 는 의견 82.2%(매우 만 족 29.9%, 약간 만족 52.3%), 보통이다 는 의견 15.9%, 불만이다 는 의견 1.9%(매 우 불만, 약간 불만 1.9%)의 순서로 나타났다. 일곱째, 클래식음악 오페라공연의 보완점은 관람비용을 낮추어야 (40.2%), 가까 운 곳에서 열려야 (16.8%), 더욱 자주 열려야 (14.0%), 작품의 질을 높여야 (11.2%), 관련 정보가 많아져야 (11.2%), 이해하기 쉬운 행사가 많아져야 (5.6%), 기 타 (0.9%)의 순서로 나타났다. - 35 -
(4) 전통예술공연 관람 전통예술공연 연간 관람률은 4.4%(관람한 적 없음 95.6%), 연평균 관람횟수는 0.09회였다. 관람횟수별로 보면, 1회 관람자가 2.7%, 2회 관람자가 1.0%, 3회 관람자 가 0.3%, 4회 이상 관람자가 0.4%로 나타났다. 응답자 특성별로 보면, 60세 이상 (7.3%), 군 지역(13.6%), 생산직(6.2%), 월평균 가구소득 100만원 미만 소득층(7.0%) 에서 관람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나이가 많을수록, 도시규모가 작을수록 관 람률이 높은 특성을 보였다. <표 2-7> 전통예술공연 연간 관람률 및 연평균 관람횟수 단위: %, 회 ---------------------------------------------------------------------------------------- 응 답 내 용 사례수 관람한적 1회 2회 3회 4회이상 계 평 균 없음 ---------------------------------------------------------------------------------------- [전 체] (3000) 95.6 2.7 1.0.3.4 100.0 (.09) 남 성 (1482) 95.8 2.7.8.3.4 100.0 (.09) 여 성 (1518) 95.5 2.7 1.2.3.4 100.0 (.08) 10 대 (234) 99.1.4.4.0.0 100.0 (.01) 20 대 (579) 97.8 1.2.7.0.3 100.0 (.05) 30 대 (665) 95.5 3.2 1.2.2.0 100.0 (.06) 40 대 (635) 95.1 3.1.8.2.8 100.0 (.10) 50 대 (406) 95.1 3.4.5.5.5 100.0 (.10) 60 세 이 상 (481) 92.7 3.7 2.1.8.6 100.0 (.16) 대 도 시 (1479) 97.1 1.5.8.1.5 100.0 (.07) 중 소 도 시 (1235) 96.0 2.4.8.4.3 100.0 (.08) 군 지 역 (286) 86.4 10.1 2.8.7.0 100.0 (.18) 중 졸 이 하 (698) 94.7 3.3 1.3.3.4 100.0 (.11) 고 졸 (1271) 95.4 3.0.7.3.6 100.0 (.10) 대 재 이 상 (1031) 96.5 1.9 1.2.2.2 100.0 (.06) 전 문/ 관리직 (86) 94.2 3.5 1.2.0 1.2 100.0 (.12) 사 무 직 (549) 96.2 2.0 1.1.4.4 100.0 (.09) 서비스/ 판매직 (455) 95.8 3.1.4.2.4 100.0 (.07) 생 산 직 (402) 93.8 5.0.7.2.2 100.0 (.10) 자 영 업 (171) 96.5 2.3.0 1.2.0 100.0 (.06) 주 부 (755) 94.8 2.8 1.7.1.5 100.0 (.10) 학 생 (413) 98.1 1.0.7.0.2 100.0 (.03) 기 타/ 무 직 (169) 95.3 2.4 1.2.6.6 100.0 (.18) 100만원 미 만 (213) 93.0 4.2 2.3.0.5 100.0 (.12) 100-199 만 원 (631) 94.6 3.8 1.1.3.2 100.0 (.08) 200-299 만 원 (1187) 96.1 2.4.8.3.4 100.0 (.08) 300만원 이 상 (969) 96.3 2.0.9.3.5 100.0 (.09) ---------------------------------------------------------------------------------------- - 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