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PIA-NURIMEDIA



Similar documents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目 次 第 1 章 總 則 第 1 條 ( 商 號 )... 1 第 2 條 ( 目 的 )... 2 第 3 條 ( 所 在 地 )... 2 第 4 條 ( 公 告 方 法 )... 2 第 2 章 株 式 第 5 條 ( 授 權 資 本 )... 2 第 6 條 ( 壹 株 의 金 額 )..

需給調整懇談会の投資調整―石油化学工業を中心に

jc0inb001a.HWP

그렇지만 여기서 朝 鮮 思 想 通 信 이 식민본국과 피식민지 사이에 놓여 있는 재조선일본인의 어떤 존재론적 위치를 대변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식민본국과 피식민지의 Contact Zone 에 위치한 재조선일본인들은 조선이라는 장소를 새로운 아이덴티티의 기

<C0BDBEC7B0FA2028BEC8B8EDB1E2292E687770>

대해서 대해 고맙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느덧 交 通 放 送 은 96 年 상반기도 한 달여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우리 交 通 專 門 放 送 으로서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고자 모든 일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委 員 해 주시기를 부탁드리겠습니다. 여러분께서 더욱더 사랑 그러면

<3429BFC0C1F8BCAE2E687770>

sme_beta[1](류상윤).hwp

토픽 31호( ).hwp

40 / 延 世 醫 史 學 제11권 제1호 세브란스병원의학교 제1회 졸업생이었던 신창희의 생애에 대해서는 그 동안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그의 생애에 관한 개략적인 소개가 있었지만, 1) 여전히 많은 부분이 확인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고 또한 여전히 짧고 소략한 내용

한류동향보고서 16호.indd

Readings at Monitoring Post out of 20 Km Zone of Tokyo Electric Power Co., Inc. Fukushima Dai-ichi NPP(18:00 July 29, 2011)(Chinese/Korean)

건강증진 시범보고서 운영을 위한 기술지원 연구

<C3CAC1A DC1DFB1B92E687770>

석촌동백제초기적석총 石 村 洞 百 濟 初 期 積 石 塚 이도학, (서울의 백제고분) 석촌동 고분, 송파문화원, 서울 特 別 市, 石 村 洞 古 墳 群 發 掘 調 査 報 告, 고창지석묘군 高 敞 支 石 墓 群 문화재관리국,

經 營 史 學 第 20 輯 第 5 號 ( 通 卷 40 號 ) ち 得 たとはいえ 独 立 後 の 政 治 的 主 導 権 をめぐって 混 乱 が 続 いたのみなら ず その 後 勃 発 した 朝 鮮 戦 争 によって 国 土 は 荒 廃 し ようやく 経 済 再 建 に 向 かい 始 めるのは

<302DC7D1B1B9B5B6B8B3BFEEB5BFBBE733392E687770>

한국 시장경제체제의 특질에 관한 비교제도분석

모두 언어와 상관없이 시국적 내용이다. 발표매체별 집필 수(K=조선어 N=일본어) 1939년 기사 등 K 文 章 3 三 千 里 2(좌담2포함) 女 性 1 作 品 1 東 亜 日 報 1 N 国 民 新 報 2 소설 K 文 章 년 기사 등 K 三 千 里 10(좌담4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문식성 신장 내용

jichi12_kr

Microsoft Word - km doc


I. 경기부양을 위한 지방채 발행 년 2월 국무원에서 발표한 2009년 지방정부 채권 발행에 관한 보고 에 따라 지방채 발행이 초읽기에 들어감 - 경기부양책의 일환으로 시행될 2009년 지방채 발행 규모는 2,000억 위안에 달할 전망이며, 지방채로 조달된

제국주의로서의 근대일본자유주의

120~151역사지도서3

#39-0 머리말외.indd

재입국허가 및 재입국허가로 간주 를 받고 출국하는 분에게 시구정촌에 전출신고를 제출한 후 재입국허가를 받고 출국한 분은 탈퇴일시금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POINT 1 - 전출신고를 제출하지 않은 경우, 재입국허가기간 내에는 원칙적으로 탈퇴일시금을 청구할 수 없습니

金 喜 甲 委 員 ; 金 喜 甲 委 員 입니다. 本 委 員 은 地 下 鐵 淸 掃 用 役 繼 續 締 結 要 望 에 대한 請 願 을 하 고자 합니다. 請 願 의 基 本 要 旨 는 1974 年, 즉 21年 前 부터 地 下 鐵 公 社 와 隨 意 契 約 으로 淸 掃 用 役 을

hwp

ÇÑÀϱ³»ç Æ÷·³-º»¹®-ÆäÀÌÁöÇÕ-¿Ï¼º.PDF

7th-(인하-월례-김영건,윤대영).hwp

<B1E8BCF8BCAE2DC3D6C1BE312E687770>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Ministry o

PARK Yunjae : A Study on the Anti-smallpox Policy of Joseon Government-General 하다 고 평가했다. 3) 우두는 인류에게 글자 그대로 축복이었다. 그러나 우두법이 전세계로 확산되던 19세기는 제국주의의 시대이

<B1E8C5C2B0EF5FC0CFBABB E687770>

슬라이드 1



CB hwp

<302DC7D1B1B9B5B6B8B3BFEEB5BFBBE734302E687770>

88 家 族 法 硏 究 第 23 卷 1 號 것은 1995년에 손꼽는 학자들이 함께하여 <고 정광현 박사 추모 논문집> 으로 법학교육과 법학연구 를 낸 것이라 할 수 있겠다. 4) 여기에서는 그 동안의 법학 발전을 뒤돌아보는 여러 글들과 함께 정광현의 업적을 되새기 는

356 제2기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제5권 釜 山 口 設 海 底 電 線 條 欵 / 海 底 電 線 設 置 ニ 關 スル 日 韓 條 約 漢 日 在 朝 鮮 國 日 本 人 民 通 商 章 程 / 朝 鮮 國 ニ 於 テ 日 本 人 民 貿 易 ノ

<312D3034C1A4BFEBBCAD2E687770>

<BCBAB3E2C8C4B0DFC1A6C0DAB7E1C1FD2E687770>

<C1A4C3A530302D31302DBFCFBCBABABB2E687770>

赤 城 山 トレイルランニンング レース 大 会 記 録 第 10 回 赤 城 山 選 手 権 保 持 者 男 子 須 賀 暁 記 録 2:35:14 女 子 桑 原 絵 理 記 録 3:22:28 M1 ミドル 男 子 18~44 歳, 距 離 32km 総 登 高 1510m ( 注 :DNF:

중국기본고적 데이타베이스 기능수첩

제141호 2005년 4월 1일(금) 學 術 院 소식 3월 임원회 개최 사위원회는 학술원 회원과 교수 등 관련 3월 임원회가 3월 4일(금) 오후 2시 학술 분야 전문가로 구성하여 4월 11일(월) 오 원 중회의실에서 임원 15명 전원이 참석한 후 2시에 제1차 심사위

항일 봉기와 섬멸작전의 사실탐구

국사관논총103집(전체화일)

2015c

<C7D1B1B9B5B6B8B3BFEEB5BFBBE733362E687770>

1930년대 조선형특수회사 조선압록강수전(주)의 연구( 경제사학회 발표논문).hwp

주 요 행 사 일 시 임시총회 및 부회 (금), 14:00 학술세미나 5. 11(금), 10:00 學 術 院 소식 임원회 개최 11월 임원회가 11월 3일(금) 오후2시 학술 원 중회의실에서 임원 15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되었다. 이번 임원회에서는

20세기초 언양의 농민

DBPIA-NURIMEDIA

¾ÕµÚ

- <궁쇄연성>은 <매화낙인>의 촬영권 침해 여부 법원의 판단 베이징고급인민법원은 치옹야오 작가와 위정 작가의 각색권 및 편집저작권 침해 사건에 대해, 원심에 따라 궁쇄연성, 宫 锁 连 城 가 매화낙인, 梅 花 烙 의 각색권과 편집저작권을 침해를 했다고 판시함. 위정

<652DB7AFB4D720BFECBCF6B1E2BEF720BAB8B5B5C0DAB7E E687770>

<31352D322D3620B9DABCADBEE728C3D6C1BE292E687770>

16 經 學 研 究 集 刊 特 刊 一 墓 誌 銘 等 創 作 於 高 麗 時 代 與 朝 鮮 朝 時 代, 此 是 實 用 之 文 而 有 藝 術 上 之 美. 相 當 分 量 之 碑 誌 類 在 於 個 人 文 集. 夢 遊 錄 異 於 所 謂 << 九 雲 夢 >> 等 夢 字 類 小 說.

목록 중국 3D프린터 시장동향보고서 시장 현황 업종발전 현황 최근 정부정책 동향 미래발전 추세 대표생산품 및 가격 P3~P8 P3~P5 P6 P7 P8 수입 현황 수입 현황 수입법규 및 관세 P9~P10 P9 P10 기업 현황 중국 3D프린터 주요생산기업 현황 2014

10월호.hwp

untitled


지 않은 상태이고, 그러한 시도도 찾아 보기 힘 든 것은 심히 유감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물 론 最 近 에 들어 國 內 國 녔3 學 界 나 i1îi 會 經 濟 史 學 界 에서 당시의 政 治 社 會 經 濟 文 化 의 諸 現 象 에 對 한 昭 究 가 활펠허 이루어지고

<4D F736F F D D325F924591DE88EA8E9E8BE090BF8B818F AD88D918CEA816A>

박광현발표.hwp

참고자료

....pdf..


<3037C0CFB9DDB3EDB9AE5FC3D6BFB5C8A328C6EDC1FD292E687770>

88 제2기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제5권 다. 2) 김종필 오히라 합의에 이르는 청구권 문제의 해결에 관해서는, 한국 측이 청구권을 포기하는 대신 한국 측의 요구에 근접한 금액을 일본 정부가 경제 협력 으로서 무상, 유상(정부 차관)의 방식으로 공여하는, 일본 정부가

見 積 書

<3134C7D4C3E6B9FCC1A4C5C2BCF62DC6EDC1FD2E687770>


논총48.indb

<30332DBCDBC1F6BEC B1B3292DBFACB1B8BCD2B1B3C1A42E687770>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98 농업사연구 제 6권 1호, 한국농업사학회, 주요어 : 농업기술, 농서집요, 농상집요, 수도, 휴한법, 연작법 1. 머리말 한국사에서 14세기는 고려왕조에서 조선왕조로 국가 지배체제가 크게 격변한 시기였다. 고려말 고려 사회 내부와 외부에서 발생한 여

<313620BFE4BDC3C4ABBFCD20BEC6BEDFC4DA2E687770>

00_20本文.indd

untitled

Ⅰ. 중국 고급 냉장고 1) 시장의 성장 년 중국 가전하향( 家 電 下 鄕 ) 정책에 힘입어 보급형 냉장고 매출이 크게 증가했고, 동시에 고급 냉장고 시장도 빠르게 성장 - 시장 선점을 위해 (, )은 고급 냉장고 생산기지 건설을 추진 중이고, (, )는 2

Microsoft Word - BRHCCMLSDNIQ.doc

01¸é¼öÁ¤


박용옥

2011 年 11 月 号 福 音 新 聞 ( 第 3 種 郵 便 物 許 可 ) 第 702 号 隱 退 를 맞이하는 牧 師 와 長 老 들을 爲 하여 感 謝 를 전하기도 그리고 第 51 回 總 會 期 中 에 隱 退 하게 될 牧 師 와 長 老 에 對 한 紹 介 와 인사가 있었으며

<5B DB4EBC7D0BFE4B6F D B1E2B1B82E687770>

¹é¹üȸº¸ 24È£ Ãâ·Â

한국사론43-10.hwp

<30365FC1F6BDC4C0E7BBEA20B9FDC1A6B5B5BFCD20C1A4C3A520B5BFC7E25FB1B9B3BBBFDC20C1F6BDC4C0E7BBEA20B9FDC1A6B5B520BAF1B1B320BAD0BCAE28BACEC1A4B0E6C0EFB9FD5FC3D6C1BE295FC6EDC1FD2E687770>

高 齢 者 福 祉 施 設 におけるソーシャルワーカーの 位 置 と 役 割 ~ 韓 国 と 米 国 を 中 心 に~ 高 両 坤 韓 国 江 南 大 学 大 学 院 院 長 Ⅰ. 序 文 韓 国 は 今 高 齢 社 会 に 突 っ 走 っている 人 口 の 高 齢 化 と 新 生 児 の 低 出

DBPIA-NURIMEDIA

한국사론38-1.hwp

Transcription:

아시아民族造形學會 아시아民族造形學報 通卷 第6輯 2006. 5. pp. 148~159 韓國 近代印刷術에 미친 日本의 影響 The Effect of Japan on Korean Modern Printing Technology 吳世雄 新丘大學 敎授 今の時代で印刷文化を明確に理解し 新しい歴史認識と相対的に後れた近代印刷術の導入過程 を検討することで 印刷技術の後れの原因と文化断絶の背景を理解することが目的である 韓国近代印刷は 朝鮮王朝の長年の鎖国政策で西洋人から直接に印刷術を受け入れず日本を 通じて導入した. 韓国の近代印刷術の伝来は 古代印刷術が仏教と関連があるとすれば 近代印刷 術の導入と普及は欧米勢力の拡張と宣教活動にある 韓国に近代式の鉛活字と活版印刷術を初めて導入して印刷した朝鮮新報(1881年)は釜山に居住し ていた日本の商人団体の在釜山港商法会議所の機関紙として発刊主体が日本人であった わが民族によって直接輸入された近代式の鉛活字と活版印刷術は 1883年に統理衙門の官営印 刷所の博文局で 漢城旬報を刊行した これが最初の新聞であり 近代式の印刷物である 農商工部は直営の印刷所を設置して日本から彫刻工と印刷工を招聘して光武3年(1899)に我が国 の最初の切手(李花郵票 の試製品を印刷した 度支部の印刷局は 活字改革を断行し標準規格の新活字を民間印刷業界に普及した 韓国の最初の近代式の民間印刷業社である広印社は 合資会社の形態の出版社で 日本から 活版印刷機と鉛活字などを導入した 1908年 崔南善によって民間印刷業体の新文館と普印社が設立され 新文館では最初の近代総 合雑誌の 少年 を発行し 普印社では活版施設以外に石版機と写真製版部 製冊部まで取り揃 えていた 日本人が経営している民間印刷所は 1900年以後に来韓して居留民団を組織し 典園局など政 府の印刷所を支配し 多くの私設の印刷所を設けて印刷業界を掌握していた 韓日合邦の直後 日本は統監府を廃止し 総督府を設置して零細な印刷業界に多く影響を及ぼ して 韓国人対日本人印刷業界の逆潮現象はより深化され 民需用の印刷物まで吸収し韓国人の

韓國 近代印刷術에 미친 日本의 影響 149 印刷業界は大きい困難に逢着するようになった 1910年代は総督府の統制政策のため 韓日併合以後に3 1運動が起きた1919年まで印刷 出版 文化の暗黒期が招来された 3 1運動は日帝を武断政治から文化政治へ転換させる成果を収めており 印刷出版に対する検閲 や許可制度が少しは緩和され朝鮮日報 東亜日報 時事新聞の発行が許可された 1920年代は各地に多くの印刷所が新たに設立されて発展したので成長期と称えるほどである この 時 大規模の日本人の印刷所があった 1930年代には 印刷業界の発展があったが 満洲事変以後に朝鮮半島を大陸進出の前進基地 とし 日中戦争以後からは全国を戦時動員体制に改編したせいで印刷分野は沈滞し続けるようになっ た. 1940年代には 教育領の改訂で朝鮮語科廃止 創氏改名の強要など韓民族抹殺政策が強化さ れ 韓国語使用さえ禁止されて印刷業界は倒産のはめに陥り 各印刷所は技術人力が不足にな り 印刷用紙とインクなど原副資材の確保も難しくなった 以上のように 近代印刷は日本の影響を多 く受け 日本から近代印刷術を導入して発展させたのである Ⅰ. 머리말 미국의 워싱턴 포스트 지는 1995년 송년 특집으로 지난 1천 년 간의 인류 역사에 있어 각 분야의 최고를 선정해 발표한 적이 있었다. 21세기를 눈앞에 두고 지나간 역사를 정리하기 위해 마련했다는 이 기획기사는 각계 권위자들의 조언으로 위대한 인물 등 13개 분야에 걸쳐 세계 최고를 선정했다. 여기에서 1천 년 간의 가장 위대한 발명 에 인쇄술이 선정됐다. 화약과 전기, 비행기, 마 취제 등도 후보로 거론됐으나, 사고와 정신의 반복적 표현을 통해 인류를 문명세계로 이끌어 준 인쇄술에는 미치지 못했다고 한다. 인쇄술은 인류 문화를 보존하고 계승시킴은 물론 문화 발달에 필요한 각종 지식과 정보를 전승하고 전파하는데도 많은 기여를 했다. 이는 곧 인쇄가 지식과 정보의 원천적인 공급원이 자 결정체요, 인류 문명과 사회를 발전시킨 원동력이었음을 의미한다. 서구사회에서는 인쇄문화가 전사회적인 파급효과를 낳아 정치적으로는 절대 왕권사회를 근대 시민사회로 바꿨고, 종교적으로는 성서 보급을 확대시켜 종교개혁까지 가능하게 했으 며, 사회적으로는 계층 간의 교류를 확대시킴으로써 권위주의를 무너뜨리고 자유주의를 싹트 게 했다.

150 아시아 民 族 造 形 學 報 第 6 輯 2006 우리나라는 현존하는 세계 최고의 금속활자본인 직지 는 물론 세계 최고의 목판인쇄본 인 무구정광대다라니경 이나 세계에서 유례없는 팔만대장경 등 우리 인쇄문화의 우수 성을 잘 대변해 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우수했던 인쇄문화를 더 이상 가꾸고 발전시 키지 못하였다. 한편 일본은 일직이 서양으로부터 활판인쇄술이 도입되어 근대인쇄술이 발전해 오고 있었 기 때문에 한국은 일본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일본으로부터 근대인쇄술을 도입하여 발전 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우리 시대에서 인쇄문화를 제대로 알고, 새로운 역사 인식과 상대적으 로 낙후되어 온 근대 인쇄술의 도입 과정을 개화기에서 해방 때까지를 살펴봄으로써 인쇄기 술의 낙후의 원인과 문화 단절의 배경을 이해하여, 우수했던 우리 선조들의 인쇄문화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보고, 인쇄종주국의 영예를 되찾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Ⅱ. 近 代 印 刷 術 의 導 入 1. 西 洋 印 刷 術 의 傳 來 韓 國 을 비롯한 동양의 근대인쇄술은 15 世 紀 중엽 독일에서 발명된 납활자와 활판인쇄술에 서 영향을 받았다. 활판인쇄술은 서구 세력의 확장과 기독교의 선교 활동으로 東 洋 의 여러 나라에 전파되었다. 1555년 경 포르투갈의 선교사들에 의해 印 度 의 고아(Goa) 地 方 에 동양 최초의 활판인쇄소 가 설치되었고, 1588년에는 마카오(Macao)에 까지 인쇄술이 전파되었다. 活 版 印 刷 術 은 이곳에서 다시 이탈리아의 선교사들에 의해 1590에는 日 本 과 중국에까지도 전파되었다. 그러나 이들 국가에서는 活 版 印 刷 術 을 이단시하여 2백여 년 동안이나 방치하였 다가 1807년 기독교 선교사 로버트 마리슨(Robert Marison)이 中 國 에서 中 國 語 辭 典 을 인쇄, 출판함으로써 근대인쇄술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갖고 발전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韓 國 의 근대인쇄는 朝 鮮 王 朝 의 오랜 鎖 國 政 策 으로 異 邦 人 들에게 접근해 올 기회를 주지 않았기 때문에 東 洋 의 다른 나라들과는 다르게 西 洋 人 들에게서 직접 印 刷 術 을 전수받은 것 이 아니라 다른 나라에 이미 정착된 인쇄술을 우리 스스로의 필요에 의해 自 生 的 으로 들여오 게 된 것이다. 韓 國 의 인쇄역사를 기술함에 있어 시대 구분을 명확히 하기란 어렵겠지만, 근대 인쇄란 서양의 신문물의 유입으로 근대식 인쇄기가 처음으로 도입된 1883년부터 시작하여 1945년

韓 國 近 代 印 刷 術 에 미친 日 本 의 影 響 151 8 15 광복까지이다. 2. 近 代 印 刷 術 의 傳 來 韓 國 의 근대인쇄는 일반적으로 서양의 신문물의 유입으로 납활자와 인쇄기가 도입된 이후 부터 시작되었다. 동양의 근대 인쇄술이 모두 서구 세력의 확장과 기독교의 선교활동을 위해 활용된 납활자와 활판 인쇄술이 도입되어 국내에서 독창적으로 발전되어 오던 인쇄기술이 외부로부터의 영향에 힘입어 발전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韓 國 의 고대 인쇄와 근대 인쇄의 구별은 납활자와 근대식 인쇄기의 도입과 더불어 제도와 문물의 변화, 문화산업적인 측면에서도 뚜렷이 구별된다. 즉, 국내에서 독창적으로 개발해 발전되어 오던 인쇄기술이 외부로부터의 영향에 힘입어 성장 발전하였으며, 관서위주로 발전되어 왔던 고대인쇄와는 달리 영리를 목적으로 민간 인 쇄업체까지 생겨나 인쇄사가 기업의 형태를 띠게 되었다. 韓 國 의 근대식 납활자와 인쇄물도 중국과 일본을 거점으로 하고 있던 기독교 세력에 의해 제작되고 도입되었다.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한글 납활자도 1880년(고종 17년) 성경을 출 판하기 위해 일본에 주재하던 프랑스의 천주교 신부인 리델(Redel)의 지도 아래 崔 智 爀 이 쓴 글자를 글자본으로 하여 일본 요코하마에서 주조되었으며, 요코하마에서 韓 佛 字 典 이 간행 되고, 다음해인 1881년에는 漢 語 文 典 과 텬쥬셩교공과( 天 主 聖 敎 工 課 )가 간행되었다. 1883년에는 이 활자가 요코하마에서 나가사키로 이송되어 천주교 성경과 조선 문화에 대 한 서적들이 계속 인출되었으며, 1886년 한불조약 이후에는 이 활자가 우리나라로 수입되어 서울에서 성서를 간행하게 되었다. 또한 이와는 별도로 개신교에서는 1882년 처음으로 누가복음과 요한복음을 만주 봉천과 우장에서 간행하였다. 이와 같이 서양 선교사들은 조선 정부의 탄압을 피하기 위해 한국인 신자들의 협력을 얻어 외국에서 복음서를 인쇄하였다. 韓 國 의 근대식 납활자와 활판 인쇄술이 처음으로 도입된 것은 1881년 부산에서 창간된 朝 鮮 新 報 를 기점으로 한다. 이는 부산에 거주하고 있던 일본인들의 상인단체인 재부산항상법회 의소의 기관지로 발행된 것인데, 발간 주체가 비록 일본인이었지만 국내에서 근대식 납활자 를 최초로 사용한 인쇄물이었다. 우리 민족에 의해 직접 수입된 근대식 납활자와 活 版 印 刷 術 은 1883년 7월 새로운 문물과 제도에 따르는 신문이나 서책들을 출판하기 위하여 統 理 衙 門 관하에 博 文 局 을 설치하고 동 년 10월1일 漢 城 旬 報 를 간행하여 公 報 중심으로 시사적인 내용을 게재하였는데, 이것이 우리 나라에서 발행된 최초의 신문이다. 신문은 순한문을 사용하여 洋 紙 에 책자 형태로 발간되었

152 아시아 民 族 造 形 學 報 第 6 輯 2006 는데, 소형 수동 圓 壓 式 活 版 印 刷 機 를 이용하여 찍었다. 3. 官 營 印 刷 所 設 立 조정에서는 1883년( 高 宗 20) 癸 未 음7월5일 統 理 交 涉 通 商 事 務 衙 門 에 新 聞 發 行 업무를 관 장할 기관으로 박문국을 설치하였다. 이 박문국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신문이며 근대식 인쇄 물인 漢 城 旬 報 創 刊 號 가 신식 납활자와 근대식 활판인쇄기로 인쇄되었다. 그러나 이 박문국은 甲 申 政 變 때 守 舊 派 들의 사주를 받은 亂 民 들에 의해 파괴되어 활자와 인쇄기기 시설 등이 불타버려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인쇄시설은 개화의 사명을 다하지 못 한 채 사라지고 말았다. 漢 城 旬 報 를 개화파 인사들이 정치적 선전 도구로 몰았던 수구파 인사들도 신문의 필요성 을 깊이 인식하게 되어 갑신정변 5개월 만에 旬 報 의 속간을 高 宗 이 윤허하게 되어, 1886년 1월 25일( 高 宗 23년 乙 酉 12월 21일)에 漢 城 週 報 창간호가 발행된다. 이 신문에는 漢 文 活 字 외에 한글 活 字 도 사용되었다. 農 商 工 部 는 우표 및 엽서를 직접 인쇄하기 위해서 建 陽 元 年 (1896)에 직영 印 刷 所 를 설치 하고 일본으로부터 彫 刻 工 과 印 刷 工 을 雇 聘 하여 光 武 3년(1899)에 우리나라 최초의 우표( 李 花 郵 票 ) 試 製 品 을 인쇄하였다. 光 武 4년(1900) 農 商 工 部 에 정식으로 印 刷 局 을 설치하여 초대 印 刷 局 長 에 秦 任 官 五 等 正 三 品 玄 在 鶴 을 임명하였다. 이것이 印 刷 局 이란 명칭으로 中 央 官 署 의 한 局 으로 정식 발족하 게 된 최초의 일이다. 光 武 5년(1901) 常 設 鑄 錢 所 인 典 圜 局 에 기존의 鑄 造 課 외에 印 刷 課 를 신설하고, 農 商 工 部 의 인쇄국을 폐지, 인쇄시설 일체를 전환국으로 옮김에 따라 일본인 기술 자들도 모두 전속되었다. 전환국의 인쇄시설은 모두 독일에서 도입한 것이었으며, 각 부서의 책임자는 모두 일본인이었다. 4. 度 支 部 印 刷 局 光 武 8년(1904)에 들어서면서 일본의 내정 간섭이 점점 심화되면서 일본인 메가타( 目 賀 田 種 太 郞 )가 度 支 部 에 새로 인쇄국을 설치하여 전환국의 인쇄시설과 제지공장을 이어 받았다. 메가타가 서둘러 전환국을 폐쇄하면서 인쇄소와 주지소를 남겨 둔 것은 각 도에 설립된 농공은행 주권, 倉 庫 會 社 株 券, 收 入 印 紙, 각종 계획안, 보고서, 기타 사무용지 등 일본의 植 民 地 化 를 위한 준비 작업에 소요될 각종 인쇄물생산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度 支 部 印 刷 局 은 1906년 화재로 각종 인쇄시설이 불탔으나 대대적인 복구 작업을 거쳐

韓 國 近 代 印 刷 術 에 미친 日 本 의 影 響 153 1909년에는 인쇄공장과 제지공장이 증축되고 관련설비 등이 크게 확충되었다. 度 支 部 印 刷 局 에서는 活 版 印 刷 施 設, 石 版 印 刷 施 設 외에도 活 字 鑄 造 施 設, 인쇄용 롤러, 인 쇄잉크 제조시설도 갖추고 있었으며 電 氣 鍍 金 版 과 寫 眞 製 版 術 도 도입 운영되었다. 度 支 部 印 刷 局 은 日 本 統 監 政 治 의 일익을 맡았지만 活 字 改 革 을 단행하여 표준 규격의 新 活 字 를 民 間 인쇄업계에 보급시키는 한편, 訓 練 用 책자 活 版 術 을 발행하여 활판의 조판과 印 刷 術 의 보급에 기여하기도 했다. 5. 民 間 印 刷 業 體 의 登 場 韓 國 최초의 근대식 민간 인쇄업체인 廣 印 社 는 신문물 도입의 영향으로 늘어나는 서책 등 각종 인쇄물의 수요가 늘어나자 1884년 合 資 會 社 형태의 출판사를 설립하고 일본에서 活 版 印 刷 機 와 납활자 등을 도입하여 인쇄시설을 완비한 인쇄공장으로 한글 活 字 도 가지고 있었다. 廣 印 社 는 한때 甲 申 政 變 으로 파괴된 博 文 局 印 刷 工 場 을 대신하여 漢 城 旬 報 를 인쇄하기도 했다. 廣 印 社 는 1880년 대 말까지 존재했으며 이 무렵 塔 印 社 라는 민간 출판, 인쇄소 등도 있었다. 민간 기업으로서 규모가 짜인 民 間 印 刷 企 業 들은 1900년대에 들어와 비로소 등장했는데, 이 무렵의 대표적인 인쇄소는 廣 文 社 와 博 文 社 이다. 광문사는 활판 조판과 인쇄 시설을 갖추 었고 박문사는 활자의 주조시설 및 양장 제본까지 갖춘 종합 인쇄소였다. 1908년에는 崔 南 善 에 의해 新 文 館 과 普 印 社 가 설립되었다. 신문관에서는 최초의 근대 종 합잡지인 少 年 을 펴냈으며, 보인사는 활판 시설 외에 석판기와 사진 제판부, 제책부까지 갖추고 있었다. 舊 韓 末 의 대표적인 석판인쇄소로는 文 雅 堂 印 刷 所 도 이 무렵에 생겼는데, 이 회사에는 석 판과 사진판, 사진동판, 전기판 등의 인쇄와 목판, 구리판 등의 조각까지도 할 수 있는 시설을 완비하였다. 이 밖에도 秀 印 館, 華 文 館 石 版 部 등의 인쇄소가 있었으며, 제판시설을 보유한 日 韓 印 刷, 博 文 社 등과 인쇄시설을 보유한 石 文 館, 普 文 館, 普 成 社, 徽 文 館, 大 韓 國 文 館 등도 있었다. 이처럼 서울의 인쇄업계는 활기를 띠었지만 지방에서는 인쇄소를 설립하였으나 경험부족 과 미숙한 기술, 자산의 영세성 등으로 크게 발전시키지 못했다. 일본인들의 업체는 일찍부터 내한하여 거류민단을 조직하고 서울의 용산 일대에 자리 잡 고 전환국 등 정부의 인쇄소를 지배하고 있었을 뿐만이 아니라 많은 사설 인쇄소를 차려 인쇄 업계를 장악하고 있었다. 이들 업체는 시설도 근대적이고 규모도 비교적 컸으며, 서울과 부 산, 인천, 원산, 목포 등 개항 도시를 중심으로 전국 각지에서 영업을 했다.

154 아시아 民 族 造 形 學 報 第 6 輯 2006 Ⅲ. 日 帝 時 代 의 印 刷 1. 韓 日 合 邦 직후의 印 刷 1910년 한일합방이 이루어지자 일본은 統 監 府 를 폐지시키고 새로운 식민지 통치기구로 總 督 府 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언론탄압과 민족자본의 말살정책은 영세한 인쇄업계에까지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쳐 한국인 대 일본인 인쇄업계의 역조현상은 더욱 심화되기 시작하였다. 합방이 되기 전에도 이미 일본인 인쇄소가 업계를 장악하고 있었는데, 합방 후 불과 2~3년 내에 전체 인쇄업계의 8할 이상을 점유하게 되었다. 특히, 새로 개편된 총독부 인쇄공장은 한국인 인쇄업체를 위협하는 존재가 되었다. 구한말의 탁지부 인쇄국도 총독부 직할로 되어 명칭도 총독부 인쇄국으로 바뀌었다. 총독부는 이어서 한국인이 경영하는 신문사를 모두 폐쇄시키고 大 韓 每 日 新 聞 社 를 접수하 여 總 督 府 기관지로 조선어판인 每 日 申 報 와 자매지인 일본어판 京 城 日 報 를 발행하였다. 每 日 申 報 는 1912년 본문 활자를 4호에서 5호로 바꾸면서 우리나라 최초로 프랑스의 마리노니 輪 轉 印 刷 機 1대를 신설하였다. 이처럼 1910년대는 총독부의 가혹한 통제 정책 때문에 한국인 인쇄업체들이 많은 어려움 을 겪었다. 이 때문에 한일합방 이후 3 1운동이 일어나던 1919년까지는 인쇄 출판문화의 암흑기가 초래되어 인쇄업계는 크게 위축될 수밖에 없었다. 1910년대에 신설된 한국인 인쇄소는 몇 개 업체에 불과했는데, 1912년 8월 寶 晋 齋 印 刷 所 가 金 晋 桓 에 의해 창립되어 초창기에는 주로 석판인쇄를 하였고, 洪 淳 泌 의 誠 文 社, 鄭 敬 德 의 福 音 印 刷 所, 梁 在 觀 의 文 雅 堂 등이 이 무렵에 설립되었다. 2. 3 1 運 動 前 後 의 印 刷 1919년 최남선이 작성한 독립선언문은 그가 운영하던 신문관에서 조판을 하고 민족 대표 33인중의 한 사람인 이종일의 보성사에서 인쇄를 했다. 뒷날 이 사실이 일본 경찰에 발각되어 이종일과 인쇄 기술자들은 모두 투옥되었고 보성사 는 관헌에 의해 불태워지는 수난을 겪었다. 또한 독립선언문을 제작했던 인쇄인들이 투옥되자 인쇄 기술자들의 민족의식도 한층 강화 되어 훗날 인쇄직공조합 등을 결성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들은 상호 단결과 애국정신 함양 을 위해 노력하기도 하였다. 3 1 獨 立 運 動 은 일제를 무단정치를 일단 문화정치로 전환시키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

韓 國 近 代 印 刷 術 에 미친 日 本 의 影 響 155 나 일제가 표방한 문화정치는 종전의 인쇄출판에 대한 검열이나 허가 제도까지 폐지한 것은 아니며, 단지 종전에 비해 조금 완화되었을 뿐이다. 1920년 소위 文 化 政 治 를 표방한 일제에 의해 朝 鮮 日 報, 東 亞 日 報, 時 事 新 聞 의 발행이 허가 되었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창간 당시에는 자체 인쇄시설이 없어 大 和 印 刷, 大 東 印 刷, 新 文 館 등의 민간 인쇄업체에서 인쇄하였으나, 얼마 후 조판 시설과 윤전기 등을 갖추고 자체 시설로써 신문을 발행하게 되었다. 이 무렵 일본인 합작회사인 谷 岡 商 店, 大 海 堂 등도 이 무렵에 창업되었으며, 인쇄기술도 발전된 면모를 보여 활판, 석판 외에도 콜로타이프와 오프셋까지도 점차 보급되기 시작하였 다. 1923년에는 당시 국내에서는 규모가 가장 큰 朝 鮮 書 籍 株 式 會 社 가 설립되어 일한도서인쇄 의 후신인 朝 鮮 印 刷 株 式 會 社 와 함께 쌍벽을 이루게 됨으로써 대규모 일본인 인쇄소 시대가 열렸다. 3. 印 刷 業 界 의 성장과 시련 1910년대는 총독부의 가혹한 통제 때문에 한국인 인쇄업체들이 어려움을 겪는 암흑기였 다. 1920년대는 각지에서 많은 인쇄소가 새로 설립되고 인쇄 시설이 크게 증설되었음은 물론 모노타이프, 그라비어 등이 처음으로 소개되었고 오프셋 인쇄와 자동화 시설 등의 보급도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성장기라 할 수 있다. 1930년대에는 인쇄업계의 발전이 거듭되어 한국인 인쇄소들이 많이 생겨났고 시설도 증대 되었으나 일제는 1931년 만주사변 이후 한반도를 대륙 진출의 전진기지로 삼았고,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면서부터는 전국을 전시 동원체제로 개편한 탓에 인쇄 분야는 계속 침체 기를 맞았다. 1940년을 전후해서도 대규모 인쇄소들이 많이 출현했지만, 교육령 개정으로 각급 학교에 서의 조선어과 폐지, 창씨개명의 강요 등 한민족 말살정책이 강화되고 우리말 사용마저 금지 되어 인쇄업계는 도산 지경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1941년 진주만 기습으로 태평양 전쟁이 발발한 후 1943년부터는 청장년들이 징병과 징용 으로 끌려가게 되면서 인쇄소마다 기술 인력이 부족해지고 인쇄용지와 잉크 등 원부자재의 확보도 어려워졌다.

156 아시아 民 族 造 形 學 報 第 6 輯 2006 Ⅳ. 印 刷 同 業 組 合 1. 日 本 人 의 京 城 印 刷 業 組 合 우리나라의 印 刷 同 業 組 合 은 일본인 업자들의 친목단체로 출발하였다. 일설에 의하면 1907 년 5월5일 일본인 인쇄업자들이 서울 회현동에 있었던 萬 仙 閣 에 모여 경성인쇄업조합 창립 총회를 열었다고 한다. 경성인쇄업조합은 1912년 5월5일 명동에서 개최된 제6차 총회에서 처음으로 규약을 정하고 임원도 선출되어 비로소 동업조합으로서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조 합의 설립목적 및 업무는 조합원의 친목과 업무의 연구, 회원 조직의 강화이고 기관지로 경성 인쇄시보를 매월 1회 발행하기로 하였으나 실제로는 발행되지 않았다. 1929년 가을 서울에서 개최될 예정인 대규모 박람회에 소요될 각종 인쇄물을 일본 도쿄와 오사카 등지에서 인쇄해 올 움직임을 보이자 또다시 저지운동에 나섰다. 경성인쇄업조합은 이렇듯 전체 일본인 인쇄업계의 공동관심사를 위해 노력하였으나 인쇄 인들의 地 位 向 上 이나 技 術 開 發, 經 營 改 善 등 차원 높은 사업보다도 단순히 업계 상호간의 친목을 도모하는 임의단체로서 해산될 때까지 공인을 받지 못하였다. 2. 韓 國 人 의 印 刷 同 業 組 合 한국인 인쇄업자들의 동업조합은 일본인처럼 조직적이고 지속적인 단체로 발전하지 못하 고 필요에 따라 생겨나고 없어지곤 했다. 1921년 서울의 인쇄공들이 인쇄 직공 친목회를 결성하고 印 工 會 報 를 발간하기도 했다. 이 친목회는 점차 발전하여 인공회보를 鉛 友 로 개칭하여 발간하고 1925년에는 보다 조직 적인 힘을 과시하기 위해 조선인쇄직공청년동맹을 결성하려 했으나 총독부에 의해 제지당하 고 말았다. 한국인 인쇄인들의 최초의 동업조합인 부산인쇄직공조합도 생겨났는데, 이 조합은 1925년 11월에 노동쟁의를 일으켜 일본인 중심의 부산인쇄조합을 상대로 13개 요구 조건을 내걸고 단체교섭을 벌인 결과 원만한 해결을 보게되어 동업조합의 존재가 차츰 부각되기 시작하였 다. 1926년 함북 나남의 인쇄직공 친목회에서 나남활판인쇄조합에 대해 처우 개선을 비롯해 5개 항의 요구조건을 내걸고 단체교섭을 벌였다. 1927년에는 경성인쇄직공조합이 결성되었으며, 그 이후부터 서울을 비롯해 인천, 평양, 부 산 등 전국 주요 도시에서 노동쟁의를 자주 일으켜 일본인들에게 대항해 나갔다.

韓 國 近 代 印 刷 術 에 미친 日 本 의 影 響 157 3. 京 城 印 刷 同 業 組 合 同 業 組 合 은 원래 관련업자들이 스스로의 필요에 의해 자발적으로 조직되는 것이 보통이지 만 경성인쇄공업조합은 당초부터 일제가 국민 총력전의 일환으로 설립한 것인 만큼 설립 초 기부터 官 制 組 織 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일본은 중일전쟁이 의외로 장기화되자 전선이 확대되어 후방과의 거리가 멀어지자 인적 물적 자원이 한계점을 드러내자 1937년 가을부터 國 民 精 神 總 動 員 令 을 공포하여 金 融 産 業 및 국민생활 전반에 걸쳐 戰 時 體 制 로 편성하였다. 이러한 시책은 식민지 朝 鮮 에도 그대로 적용되어 조선의 공업을 國 防 産 業, 重 化 學 工 業 을 주축으로 하는 軍 需 産 業 체제로 개편하고 대륙침공의 병참기지로 구축하기 시작하였다. 일본 은 非 軍 需 産 業 의 통제를 강화하여 일반 民 需 産 業 은 원료의 확보가 어려웠다. 총독부는 기회 있을 때마다 동업조합의 결성을 종용하였지만 한국인과 일본인 사이의 異 質 感 등으로 동조 하는 업자가 적었다. 경성인쇄공업조합은 기술자들의 이동과 임금까지도 統 制 하였다. 직공들의 이동 방지를 위 해 직공 등록제가 실시되어 조합에는 身 上 明 細 가 기록된 개인별 직공등록 카드가 비치되었 고 등록을 마친 직공들에게는 성명, 연령, 직종, 임금, 소속 회사명 등이 기재된 印 刷 職 工 手 帖 이 교부되었다. 4. 朝 鮮 印 刷 聯 合 會 조선총독부는 1943년 물자 공급 기구를 일원화시키기 위하여 모든 물자를 실수요자 단체 인 각 동업조합 중앙연합회에 배당하고 이를 다시 각 도 동업조합으로 할당할 계획을 수립했 다. 이에 따라 인쇄업계에서도 경성인쇄공업조합을 모체로 한 중앙연합회를 조직하기 위해 1942년 12월7일 발기인 대회를 개최하고, 12월 20일에는 조선인쇄연합회 창립총회를 개최하 였다. 1943년부터는 인쇄용지 등 모든 물자가 조선인쇄연합회에 배정되었고 연합회에서는 이를 각 도의 인쇄공업조합으로 할당하였다. 그러나 1945년 들어 전세가 더욱 악화되면서 연합회 를 통해 물자를 공급할 만한 시간적 여유가 없게 되자, 총독부에서는 모든 물자를 각 도로 직접 배당하고 도에서는 동업조합으로 배급하게 되었다. 따라서 물자 통제를 위한 기구로 설립된 조선인쇄연합회는 존재가치가 없어져 1945년 7월 해체되고 말았다.

158 아시아 民 族 造 形 學 報 第 6 輯 2006 Ⅴ. 맺음말 韓 國 근대인쇄술의 도입을 서양의 신문물이 유입되는 개화기에서 해방 때까지의 인쇄술의 변천사를 조사해 본 결과는 아래와 같다. 韓 國 근대인쇄는 조선왕조의 오랜 鎖 國 政 策 으로 동양의 다른 나라들과 다르게 서양인들에 게서 직접 인쇄술을 전수 받지 못하고 일본을 통하여 도입되었다. 韓 國 의 근대인쇄술의 전래는 고대 인쇄술이 불교와 관련이 있다면, 근대인쇄술의 도입과 보급은 서구 세력의 확장과 선교활동에 있다. 근대 이전의 인쇄는 대부분 국가의 통치권을 행사하거나 존속시키려는 수단의 관서위주이 며, 근대 인쇄는 이윤 창출이나 영리 목적의 기업형태였다. 韓 國 에 근대식 납활자와 활판인쇄술을 처음 도입하여 인쇄한 朝 鮮 新 報 (1881년)는 부산에 거주하고 있던 일본인들의 상인단체인 재부산항상법회의소 기관지로 발간 주체가 일본인이 었다. 우리민족에 의해 직접 수입된 근대식 납활자와 活 版 印 刷 術 은 1883년 統 理 衙 門 관하의 官 營 印 刷 所 博 文 局 으로 漢 城 旬 報 를 간행하였으며, 이것이 우리나라 최초의 신문이며 근대식 인쇄물이다. 農 商 工 部 는 직영 印 刷 所 를 설치하고 일본으로부터 彫 刻 工 과 印 刷 工 을 초빙하여 光 武 3년 (1899)에 우리나라 최초의 우표( 李 花 郵 票 ) 試 製 品 을 인쇄하였다. 度 支 部 印 刷 局 은 活 字 改 革 을 단행하여 표준 규격의 新 活 字 를 民 間 印 刷 業 界 에 보급하였 다. 韓 國 최초의 근대식 민간 인쇄업체인 廣 印 社 는 合 資 會 社 형태의 出 版 社 로 일본에서 活 版 印 刷 機 와 납활자 등을 도입하였다. 1908년 崔 南 善 에 의해 民 間 印 刷 業 體 新 文 官 과 普 印 社 가 설립되었으며, 신문관에서는 최초 의 근대 종합잡지인 少 年 을 펴냈으며, 보인사에는 활판 시설 외에 석판기와 사진 제판부, 제책부까지 갖추고 있었다. 日 本 人 經 營 의 民 間 印 刷 所 는 1900년 이후 내한하여 거류민단을 조직하고, 전환국 등 정부 의 인쇄소를 지배하고 많은 사설 인쇄소를 차려 인쇄업계를 장악하고 있었다. 韓 日 合 邦 직후 일본은 統 監 府 를 폐지하고 總 督 府 를 설치하여 언론탄압과 민족자본의 말살 정책으로 영세한 인쇄업계에 많은 영향을 미쳐, 한국인 대 일본인 인쇄업계의 역조현상은 더욱 심화되었고, 민수용 인쇄물까지 흡수하여 한국인 인쇄업계는 큰 어려움에 봉착하게 되 었다. 1910년대는 總 督 府 의 가혹한 통제 정책 때문에 한일합방 이후 3 1운동이 일어나던 1919

韓 國 近 代 印 刷 術 에 미친 日 本 의 影 響 159 년까지 인쇄 출판문화의 암흑기가 초래되었다. 3 1운동은 일제를 武 斷 政 治 에서 文 化 政 治 로 전환시키는 성과를 거두었으며, 인쇄출판에 대한 검열이나 허가제도가 조금은 완화되어 朝 鮮 日 報, 東 亞 日 報, 時 事 新 聞 발행이 허가되었 다. 1920년대는 각지에 많은 印 刷 所 가 새로 설립되어 발전을 거듭했기 때문에 성장기라고 일 컬을 정도이다. 이때 대규모 일본인 인쇄소가 있었다. 1930년대에는 印 刷 業 界 가 발전이 거듭되었으나 만주사변 이후 한반도를 대륙 진출의 전진 기지로 삼았고, 중일전쟁 이후부터는 전국을 전시 동원체제로 개편한 탓에 인쇄분야는 계속 침체하게 되었다. 1940년대에는 敎 育 令 개정으로 조선어과 폐지, 創 氏 改 名 의 강요 등 한민족 말살정책이 강 화되고 우리말 사용마저 금지되어 인쇄업계는 도산 지경이었으며, 인쇄소마다 技 術 人 力 이 부족해지고 인쇄용지와 잉크 등 原 副 資 材 의 확보도 어려워졌다. 日 本 人 의 京 城 印 刷 業 組 合 은 일본인 업자들의 순수한 친목단체이었으며, 조합의 목적 및 업무는 조합원의 친목과 업무의 연구, 회원 조직의 강화에 있었다. 韓 國 人 의 印 刷 同 業 組 合 은 일본인처럼 조직적이고 지속적인 단체로 발전하지 못했으며, 인 쇄공들이 인쇄직공 친목회를 결성 印 工 會 報 를 발간하고 점차 발전하여 鉛 友 로 개칭 하고 조선인쇄직공청년동맹을 결성하려 했으나 총독부에 의해 제지당했다. 京 城 印 刷 工 業 組 合 은 官 制 組 織 의 성격을 띠고 기술자들의 이동과 임금까지 통제하였다. 朝 鮮 印 刷 聯 合 會 는 조선총독부가 1943년 물자공급 기구를 일원화시켜 각 도의 동업조합 물 자 통제를 위한 기구로 설립하였다. 이상과 같이 근대인쇄는 일본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일본으로부터 近 代 印 刷 術 을 도입 하여 發 展 시켰다. 끝으로 우리는 선조들이 이룩한 위대한 업적을 되살리고 미래 인쇄산업의 혁신적 주체가 되도록 끊임없는 연구노력으로 찬란한 인쇄문화를 보존 계승 발전시키는 계 기가 되었으면 하는 마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