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MD 위해보도에 대한 국내 신문의 프레임과 수용자 인식 연구



Similar documents
서론 34 2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03-서연옥.hwp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µµÅ¥¸àÆ®1

도비라

제19권 제3호 Ⅰ. 문제제기 온라인을 활용한 뉴스 서비스 이용은 이제 더 이 상 새로운 일이 아니다. 뉴스 서비스는 이미 기존의 언론사들이 개설한 웹사이트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 며 기존의 종이신문과 방송을 제작하는 언론사들 외 에 온라인을 기반으로 하는 신생 언론사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view of Research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A Study on Teache

CONTENTS January 2008, VOL IP Report 59 IP Column 101 IP Information 123 IP News

원고스타일 정의

DBPIA-NURIMEDIA

歯1.PD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 The

,126,865 43% (, 2015).,.....,..,.,,,,,, (AMA) Lazer(1963)..,. 1977, (1992)

아태연구(송석원) hwp

04_이근원_21~27.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A Study on the Opti

,,,,,,, ,, 2 3,,,,,,,,,,,,,,,, (2001) 2

<30362E20C6EDC1FD2DB0EDBFB5B4EBB4D420BCF6C1A42E687770>

8º»¹®-ÃÖÁ¾-¼öÁ¤

퍼스널 토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고찰

11¹ÚÇý·É

<31372DB9DABAB4C8A32E687770>

보건사회연구-25일수정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S

<C0C7B7CAC0C720BBE7C8B8C0FB20B1E2B4C9B0FA20BAAFC8AD5FC0CCC7F6BCDB2E687770>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C7D1B1B9B1A4B0EDC8ABBAB8C7D0BAB85F31302D31C8A35F32C2F75F E687770>

1..

KD hwp

50-5대지05장후은.indd

<303220B0EDC7F5C1D82CC0AFBFACBBF32E687770>

012임수진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達 은 23) 의 丹 溪 에 최초로 기 재된 처방으로, 에 복용하면 한 다하여 난산의 예방과 및, 등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達 은 이 毒 하고 는 甘 苦 하여 氣, 氣 寬,, 結 의 효능이 있

레이아웃 1

DBPIA-NURIMEDIA

Microsoft Word - Westpac Korean Handouts.doc

OP_Journalism

국내 디지털콘텐츠산업의 Global화 전략



2 KHU 글로벌 기업법무 리뷰 제2권 제1호 또 내용적으로 중대한 위기를 맞이하게 되었고, 개인은 흡사 어항 속의 금붕어 와 같은 신세로 전락할 운명에 처해있다. 현대정보화 사회에서 개인의 사적 영역이 얼마나 침해되고 있는지 는 양 비디오 사건 과 같은 연예인들의 사

DBPIA-NURIMEDIA

Rheu-suppl hwp

<303720C7CFC1A4BCF86F6B2E687770>

<372E20B9DAC0B1C8F12DB0E62E687770>

<31335FB1C7B0E6C7CABFDC2E687770>

., (, 2000;, 1993;,,, 1994), () 65, 4 51, (,, ). 33, 4 30, 23 3 (, ) () () 25, (),,,, (,,, 2015b). 1 5,

<BFACB1B85F D30335FB0E6C1A6C0DAC0AFB1B8BFAA2E687770>

서론

<28BCF6BDC D B0E6B1E2B5B520C1F6BFAABAB020BFA9BCBAC0CFC0DAB8AE20C1A4C3A520C3DFC1F8C0FCB7AB5FC3D6C1BE E E687770>

14 경영관리연구 제6권 제1호 ( ) Ⅰ. 서론 2013년 1월 11일 미국의 유명한 경영전문 월간지 패스트 컴퍼니 가 2013년 글로벌 혁신 기업 50 을 발표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2년 연속 혁신기업 1위를 차지했던 애플의 추락 이었다. 음성 인식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B1A4B0EDC8ABBAB8C7D0BAB8392D345F33C2F75F 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 A basic research

소식지3월호

소식지4월호

13장문현(541~556)ok

<313120B9DABFB5B1B8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Awareness, Supports


DBPIA-NURIMEDIA

YI Ggodme : The Lives and Diseases of Females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as Reconstructed with Cases in Yeoksi Manpil (Stray Notes w


09È«¼®¿µ 5~152s

Analyses the Contents of Points per a Game and the Difference among Weight Categories after the Revision of Greco-Roman Style Wrestling Rules Han-bong

03-ÀÌÁ¦Çö

세종대 요람

歯5-2-13(전미희외).PDF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The Grounds and Cons

2014 자격연수 제1기_수정.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1, pp.1-19 DOI: *,..,,,.,.,,,,.,,,,, ( )

< F D20C0C7B7E1B9E8BBF3B0F8C1A6C1B6C7D520C3DFC1F820B0FCB7C320BFACB1B85FBCF6C1A42E687770>

590호(01-11)

<C7D1B9CEC1B7BEEEB9AEC7D03631C1FD28C3D6C1BE292E687770>

¹ýÁ¶ 12¿ù ¼öÁ¤.PDF

DBPIA-NURIMEDIA

<30382E20B1C7BCF8C0E720C6EDC1FD5FC3D6C1BEBABB2E687770>

00표지

2. 박주민.hwp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Nov.; 26(11),

<C1DF3320BCF6BEF7B0E8C8B9BCAD2E687770>

<35BFCFBCBA2E687770>

레이아웃 1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Suggestions of Way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 - Qualitative Met

Transcription: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26(3) : 20-30 Journal of Agricultural, Life and Environmental Sciences Vol.26 No.3 December, 2014 FMD 위해보도에 대한 국내 신문의 프레임과 수용자 인식 연구 신하림 1, 이병오 1* 1) 1 강원대학교 농업자원경제학과 (2014년 9월 18일 접수, 2014년 11월 21일 수리) A Study on News Frames of Domestic Newspapers and Audience Perception of Foot-and-Mouth Disease Risk Coverage Shin, H. R. 1 and B. O. Lee 1* 1 Department of Agricultural and Resource Economic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00-701, Korea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risk reporting of domestic newspapers on Foot-and-Mouth Disease (FMD) which broke out in large scale in 2010 through 2011 and perception of recipients. It aims to investigate if domestic newspapers actively 'Risk Communication' which is vital in maintaining the safety of foo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1,158 articles related to FMD reported from November 29, 2010 through April 30, 2011 in Chosun Daily, Gangwon Daily and Maeil Daily Newspaper (a local newspaper for Daegu-Gyeongbuk).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reporting amount by phase after classifying the period of analysis into 3 phases (initial-serious-safe), all the 3 newspapers reported 'serious' phase in 58-81% of all reporting, which is slanted. A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n the sources of news, administrative agency took up 56.3-76.2% of all sources.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contents frames of FMD-related reporting in types, the proportion of 'Response/countermeasure frame' which deal with risk countermeasures of administrative agencies was the highest with 30.6-44.8%. The study also conducted experiment on 278 persons to investigate perception of recipients on the reporting of FMD risk reporting. It looked into what difference the groups, who were exposed to risk-emphasizing frame, safety-emphasizing frame, and 'Neutral stimulus', displayed in FMD risk perception. As the result of experiment, the more a group was exposed to risk-emphasizing news frames, the more the group negatively and seriously perceives about the risks of FMD. Key words: Audience perception, FMD (Foot-and-Mouth Disease), News frame, Risk communication. 서 론 매스 미디어는 현대사회에서 중요한 영역인 위해정보 교환 에서 특수한 역할을 맡는다. 현대사회의 위해(Risk) 는 과학기술이 고도로 발달됨에 따라 확산되는 특성이 있으며 과학기술에 대한 지식차이에 따라 전문가와 일반 인간 위해도 인식에도 괴리가 발생한다. 대중을 대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매스미디어는 이 같은 괴리를 좁히는 기능을 맡는다. 매스미디어의 위해정보교환의 실패로 사 회 혼란이 가중된 대표적인 사례는 2008년 광우병(BSE) 사태를 들 수 있다. 이(2007)의 연구에 따르면 현대 사회 의 위해 중에서도 식품 위해(Food Risk)는 식품을 섭취했 을 때 인체에 미칠 수 있는 위험과 해로움을 말하는 것으 로 우리 일상과 관련성이 가장 높다. 이(2007)는 식품 위 해를 둘러싼 위해정보 교환은 이해관계자가 많고 정보도 부정적인 내용이 많아 파급효과도 크다고 보았다. FMD (Foot-and-mouth disease 구제역)도 식품 위해의 관 점에서 논의 대상이 될 수 있다. 2010년 1월 경기도에서 보고된 FMD는 2011년 11월 29일 경북 안동시 농가에서 재발돼 전국적으로 빠르게 확산됐고 93일간 구제역 중 앙재난안전대책본부 가 운영됐다. FMD는 이처럼 위해성 은 분명히 크지만 복합적인 특성을 갖고 있다. 황 등 *Corresponding Author: Lee, B. O. (E-mail: bolee@kangwon.ac.kr) 20

FMD 위해보도에 대한 국내 신문의 프레임과 수용자 인식 연구 21 (2010)에 따르면 FMD는 가축전염병예방법상 1종 가축전 염병으로 지정될 정도로 다양한 경로로 전파되며 축산업 계에 끼치는 타격이 매우 크지만 공중보건에서는 문제를 일으키기 않아 인체에는 무해하다. 따라서 식품 안전성 측면에서는 큰 문제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같은 FMD의 복합적인 특성에도 불구하고 당시 국내 언론은 가축전염병으로서의 위해에 과도하게 초점을 맞춰 소비 자들의 공포감과 불안감을 자극했고 이는 육류 소비 위 축 등으로 이어졌다. 본 연구는 매스미디어 중에서도 기록성과 보관성이 강 한 국내 일간지들을 분석 대상으로 정하여 당시 FMD 위 해보도(Risk Reporting)경향과 수용자 인식을 살펴보는 것 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 일간지들이 정보를 선택하고 메 시지를 구성하는 암묵적인 패턴인 프레임(Frame)이란 관 점에서 뉴스를 분석하고 수용자 인식에 끼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해 검증해 보고자 한다. 이론적 배경 위해정보교환(Risk Communication)은 식품 안전성 유지 에 있어 필요성이 높은 요소 중 하나다. 한국농촌경제연 구원(2008)에 따르면 식품 안전성은 대량생산과 대량소비 가 일반화 되는 현대사회에서 소비자들이 구매 시 고려 하는 1순위 기준이 된다. 안전성은 확률적이고 상대적이 며 가변적인 개념이다. 이(2004)는 식품안전성을 인간이 식품을 섭취함에 있어서 신체적 정신적 양면에서 위해 및 위험의 정도가 허용범위 내로 현저히 낮은 상태 로 정의 하였다. 위해 및 위험의 정도를 어느 정도까지 허용할 것 인가를 두고 전문가 간, 전문가와 일반인간 의견차가 발 생할 수 있다. 따라서 위해정보 교환으로 이 같은 의견차 와 논쟁을 조율하는 것은 식품 안전성 유지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이 같은 필요성에 따라 여러 국제조직들은 자체적으로 위해 분석체계를 개발해 왔다. 캐나다 식품검사청(CFIA) 은 위해평가, 위해관리, 위해정보 교환 등 3가지 요소로 구성된 모델을 개발했으며 이는 Fig. 1과 같다. CFIA (2000)에 따르면 위해요인을 둘러싼 전문가와 비 전문가 간의 정보 비대칭성 격차를 줄이고 상호 신뢰를 높이기 위한 위해정보 교환 에 대한 관심은 최근 들어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 일반인, 즉 소비자가 정보의 진공상태 에서 비롯된 위 해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과 불안감을 낮추기 위해 정보 교환이 필요하다는 것은 커뮤니케이션 이론으로도 제시 됐었다. Leiss and Chociolko (1994)의 양방향 커뮤니케이 션 모델에 따르면 기술적 위해 와 인지된 위해 간에는 통로가 있어 메시지가 오가야 하며 매스 미디어가 이 통 로 역할을 맡는다. 매스 미디어의 보도패턴을 분석할 때 는 한 가지 간과해서는 안 되는 사실이 있다. 매스 미디 어는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보도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 고 유의 선택 기준과 틀에 따라 뉴스를 조직하고 가공한다 는 것이다. 이른바 프레이밍 이론(Framing Theory) 이다. 뉴스 프레임은 FMD 위해보도를 분석하는 데 있어 유용 한 이론적 배경이 된다. Source: 이(2007). p.34 Fig. 1. Factors of risk analysis.

22 신하림 이병오 Source: Slovic (1987). p.236 Fig. 2. Slovic's risk communication amplification model. 위해보도가 단순한 정보전달을 넘어 사회전반으로 영 향력을 끼치는 과정은 증폭 모델(Amplification model) 로 설명할 수 있다. 허(2004)의 연구에 따르면 Kasperson (1998)은 특정 위해에 대한 미디어의 집중적인 보도와 이 에 반응하는 대중들의 높은 관심, 각 사회기관들의 집중 도와 이에 따른 전반적인 결과는 사회적으로 증폭된 것 이라고 주장하였다. Slovic (1987)은 미디어가 위해의 사 회적 증폭, 낙인에 끼치는 영향을 강조하기 위해 Fig. 2와 같은 모델을 제시하였다. 미디어의 위해보도는 사회적인 증폭 기능이 있으며 이는 수용자들의 인식과 태도에 까 지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언론의 위해보도는 정보나 사 실 전달에 한정 지을 수 없다는 결론 도출이 가능해 진 다. 본 연구에서는 FMD 위해보도에 있어 중앙 일간지와 지역 일간지 간의 차이도 살펴보고자 한다. 지역 일간지 는 도( 道 )권에서 발행되는 신문으로 지역의 이해와 직결 되는 사항, 지역 공동체의 활동 등을 비교적 상세하게 보 도한다는 점에서 중앙 일간지와 차이가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일간지의 FMD 위해보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분석 대상으로 중앙일간지 중 발행 부수 가 가장 많은 조선일보와 2010년 FMD 재발지역이었던 안동의 지역신문인 매일신문, FMD 확산지역이었던 강원 도의 강원일보 등 3개 일간지를 정하였다. 분석기간 동안 3개 일간지에 실린 FMD 관련 기사를 지면 검색 소프트 웨어인 아이서퍼(Eyesurfer) 를 사용해 강원일보 536건, 매일신문 314건, 조선일보 308건 등 모두 1,158건을 수집 했고 이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기간은 2010년 11 월 29일부터 2011년 4월 30일까지로 하였다. 이 기간을 정부가 발령했던 경보단계와 중앙재난안전 대책본부(이하, 중앙대책본부 로 약함) 운영 및 해체 시 점을 기준으로 다시 3개 국면으로 나누었다. 정부가 주 의 경계 경보를 발령해 FMD 확산의 초기 단계였던 2010년 11월 29일-2010년 12월 28일, 중앙대책본부가 운 영 및 해체됐던 2010년 12월 29일-2011년 3월 31일까지 약 3개월여, 중앙대책본부가 해체 된 이후 시점인 2011년 4월 1일-2011년 4월 30일까지였다. 이를 통해 국내 일간 지가 가축 전염병 위해 확산 예방과 사태 수습에도 초점 을 맞추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중앙 지역일간지에서 FMD 관련 보도는 어 떠한 양적 특성을 보이는가? 연구문제 2: 중앙 지역일간지는 FMD 관련보도에서 어 떠한 정보원을 사용했으며 그 특징과 차이는 무엇인가? 연구문제 3: 중앙 지역일간지는 FMD 보도에서 어떠한 뉴스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특징과 차이는 무엇 인가? 연구문제 2를 검증하기 위한 정보원 유형은 크게 10가 지(중앙정부, 지자체, 공무원, 정치인, 전문가 개인, 사회

FMD 위해보도에 대한 국내 신문의 프레임과 수용자 인식 연구 23 Table 1. Summary of contents frame categories of FMD reporting and manipulative definition Contents frame Hazard frame Anxiety frame Classification Response/countermeasure frame Exploration of scientific frame Responsibility/morality frame Conflict frame Human interest frame Economic result frame Promotion of consumption frame Social integration frame Definition - Report on outbreak and spread of FMD - Report on risk of secondary damage such as leachat pollution - Report on worries and anxieties of recurrence and spread of FMD - Consumer anxiety on food consumption - Disinfection and vaccination to prevent the spread of FMD damage - Declaration of Special Disaster Area by government, damage compensation, cull by slaughter, etc - Report on scientific facts on FMD and harmlessness - Refutation on false rumors on the internet and professional knowledge - Investigation on cause of spread of FMD and where the responsibility lies for the damage from FMD - Criticism on the appropriateness of governmental measures - Conflict or confrontation among actors like government, local municipalities, related agencies, farmers and merchants - Cases of individuals who suffer from FMD or contributed to preventing epidemics - Change of pork and beef price due to outbreak of FMD - Damage to local economy and livestock industry due to FMD - Articles which promotes meat consumption while emphasizing harmlessness of FMD to human health and food safety & articles on reopening of traditional market and resumption of tourism - Delivery of donation to encourage damaged farms and merchants, volunteer activities. - Activities of religious organization praying for the repose of the slaughtered stocks 단체 교육기관, 농민 상인, 일반인, 드러나지 않음)로 범주 화하였다. 연구 대상 기사의 귀납적 사전조사를 바탕으로 공적인 권위를 지닌 정보원을 포함해 사회단체, 일반인 등 다양한 계층의 정보원을 포함하였다. 연구문제 3을 검 증하기 위한 뉴스 프레임은 내용적 측면을 분석하기 위 해 분석 유목을 다음과 같이 재구성하였다. Semetko and Valkenburg (2000)의 연구에서 제시된 다섯 가지 갈등 프 레임 중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중요성 프레임, 도덕 성 프레임, 책임 귀인 프레임을 주축으로 하고 이와 이 (2012)의 연구, 송과 이(2013)의 연구, 이와 박(2006)의 연 구, 정(2008)등의 연구를 참고하였다. 이와 같이 연역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4개의 뉴스 프레 임을 도출하였으며 연구자가 분석 대상 기사들을 읽은 후 뉴스 프레임 6개를 추가적으로 도출하면서 귀납적 접 근법도 병행하였다. 이러한 두 가지 접근법을 통해 총 10 개의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도출하였다. 하나의 기사에 여러 다양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 에 연구자가 직접 각각의 기사를 숙독하며 각각의 프레 임을 별도의 응답지에 체크하였다. 각 프레임에 대한 설 명은 Table 1과 같다. 가? 연구문제 4를 통해 가축 전염병으로서의 위해성을 강 조한 프레임(이하 위해성 강조 프레임) 과 인체 안전성 및 위해 대처를 강조한 프레임(이하 안전성 강조 프레 임) 의 기사를 제공하고 수용자의 인식과 프레임 주제와 의 일치 여부, 프레임 간 위해도 인식차를 규명하고자 하 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이 설정 되었다. 가설 1-1: FMD에 대해 서로 다른 방식(위해성 강조, 안 전성 강조)으로 구성된 뉴스 프레임을 접한 수용자는 FMD에 대해 보도를 해석함에 있어 각각의 프레임 주제 와 밀접한 해석을 내릴 것이다. 가설 1-2: 위해성 강조 뉴스 프레임을 접한 수용자는 안전성 강조 뉴스 프레임을 접한 수용자보다 FMD의 위 해도에 대해 더욱 부정적인 인식을 보일 것이다. 연구문제 5: 서로 다른 방식으로 구성된 FMD 관련 기 사를 접한 후 수용자의 인식이 실제 행동 의향으로 전이 되었는가? 연구문제 4: FMD 관련 기사에 나타난 미디어 프레임 은 미디어 수용자의 위해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연구문제 5를 통해 위해성 강조, 안전성 강조 프레임의 기사를 제공한 뒤 수용자의 프레임 주제와 관련된 행동

24 신하림 이병오 의향으로의 전이 여부, 프레임에 따른 수용자 행동 의행 에 있어서의 증폭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다음 과 같은 가설이 설정되었다. 가설 2-1: FMD에 대해 서로 다른 방식(위해성, 안전성) 으로 구성된 뉴스 프레임을 접한 수용자는 FMD에 대한 보도와 관련해 밀접한 행동 의향(쇠고기 섭취 및 발생 지 역 관광 거부, 쇠고기 섭취 및 발생 지역 관광용인)을 보 일 것이다. 가설 2-2: FMD에 대해 위해성 강조 뉴스 프레임을 한 수용자의 행동 의행 변화(쇠고기 섭취 및 발생지역 관광 거부) 정도가 안전성 강조 뉴스 프레임을 접한 수용자의 의향변화(쇠고기 섭취 및 발생지역 관광용인) 정도보다 클 것이다. 연구문제 4, 5를 검증하기 위한 절차는 다음과 같았다. 우선 수용자 연구를 위한 실험 기사 작성을 위해 식품 안 전 분야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FMD의 가축 질병으로서 의 위해성을 강조한 프레임(이하 위해성 강조 프레임) 과 인체 안전성 및 정부 대처를 강조한 프레임(이하 안전성 강조 프레임) 을 분류하여 이들 중 가장 타당성이 높은 기사를 발췌 하였다. 조사의 목적을 알리지 않은 상황에 서 실험 기사가 첨부된 설문지를 피험자인 주부(도시 농 촌지역 거주 분류), 남성(도시 농촌지역 거주 분류), 대학 생들에게 배부하였다. 이때 피험자는 실험에 사용되는 설 문지의 세 가지 유형(위해성 자극 기사 제공 집단, 안전 성 자극 기사 제공집단, 위해성 및 안전성 기사 비( 非 )제 공 집단)에 따라 실험 집단(부정, 긍정 프레임 집단)과 통 제집단 중 하나에 배치되었다. 실험 집단의 피험자들은 실험 자극을 위해 제작된 부 정적 혹은 긍정적인 프레임의 기사를 읽은 후에 자극 평 가, FMD 위해보도에 대한 해석, FMD와 관련된 의견과 행동 변화, 그리고 인구 사회학적 특성과 관련된 설문문 항에 답변하도록 하였다. 반면에 통제 집단에 대해서는 중성 자극 기사만을 제공한 뒤 나머지는 실험집단과 똑 같은 설문에 응하도록 유도하였다. 한편 이 연구의 종속 변인 중 우선 FMD 위해보도의 프레임에 따른 기사에 대한 평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 한 1개 문항을 설문지에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뉴스 프레 임에 따른 수용자들의 FMD 위해보도에 대한 해석의 차 이를 알아보기 위한 평가는 앞의 내용은 FMD의 인체 위 해성을 강조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외의 2개 문항 즉 3개 문항을 통해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위해정보교환의 증폭 모델을 검증하기 위하 여 향후 쇠고기, 돼지고기 섭취에 대한 의견을 묻는 문항 은 (이 기사를 본 후) 3개월 이내에 쇠고기, 돼지고기를 소비, 섭취할 의향이 있으십니까? 의 1개 문항으로 구성 하였다. 정보의 증폭도를 보다 세밀하게 측정하기 위해 (이 기사를 본 후) 6개월 이내에 쇠고기, 돼지고기를 소 비, 섭취할 의향이 있으십니까? 란 문항을 추가하였다. 또 쇠고기, 돼지고기 소비, 섭취 뿐 만 아니라 FMD 발생 지 역 관광 여부도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증폭 모델을 검 증할 수 있는 문항으로 보고 (이 기사를 본 후) 6개월 이 내에 FMD가 발생한 지역으로 관광 할 의향이 있으십니 까? 도 추가하였다. 수용자 인식을 묻는 문항은 전혀 아니다 를 1점으로 정말 그렇다 를 5점으로 하는 리커트 5점 척도로 측정을 하였다. FMD 기사에 대한 평가 해석을 묻는 문항은 매 우 부정적 을 1점으로 매우 긍정적 을 5점으로 측정하였 다. 실험 대상자들은 강원도 내에 거주하는 300명을 대상 으로 하였으며 실험 기간은 2014년 3월 10일-2014년 3월 28일까지로 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문제 1은 분석 대상으로 선정한 조선일보와 강원 일보, 매일신문의 분석 기간 내 FMD에 대한 보도량의 특 성을 밝히는 것이다. 조사 결과 강원일보 536건, 매일신 문 314건, 조선일보 308건으로 지역 일간지의 보도량이 중앙 일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는 FMD 사태로 영향을 입는 지역 주민과 한우 농가가 많고 이로 인해 지역 경제에 입는 타격도 큰 상황에서 지 역 일간지들이 FMD를 중요한 이슈로 판단하고 집중적으 로 다룬 결과라고 해석 하였다. FMD 국면별 3개 일간지 들의 보도량을 살펴본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분석 결과 중앙대책본부가 설치되고 운영된 국면에서 보도량이 3개 일간지 모두 가장 많았으며 조선일보와 강 원일보는 그 비중이 각각 81.8%, 75.4%에 달해 보도량의 집중도가 매우 높았다. FMD는 일단 발생하면 지역 내에 빠르게 전파가 이뤄질 수 있기 때문에 언론은 초기 단계 에도 이를 일반인들에게 알리고 FMD 확산을 예방하는데 동참하도록 경고자(Alarmist) 역할을 해야 하지만 상대적 으로 취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MD 국면별로 분석 대상 일간지의 보도량을 보면 3개 일간지 모두 위해상황이 극대화 되는 중앙대책본부 설 치 및 운영 국면에 보도량이 압도적으로 높아지는 피라 미드형 패턴을 보였다. 특히 중앙대책본부가 해체된 이 후의 보도량은 3개 언론사 모두 5% 이하로 전 국면에 비 해 급격하게 떨어졌다. FMD로 위축된 축산물 소비, 관광 경기 부활을 촉진시키고 소비자들을 안심시키기 위한 관 련 보도나 FMD 사태를 수습하고 재발을 막기 위해 장기

FMD 위해보도에 대한 국내 신문의 프레임과 수용자 인식 연구 25 Table 2. Comparison by FMD phase and of reporting amount of analyzed daily newspapers Phases Newspaper Chosun Daily Gangwon Daily Maeil Daily Caution-Vigilance 45(14.6%) 104(19.4%) 123(39.2%)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Central Agency for Disaster Prevention and Safety After the dissolution of Central Agency for Disaster Prevention and Safety 252(81.8%) 404(75.4%) 183(58.3%) 11(3.6%) 28(5.2%) 8(2.5%) Sum total 308(100%) 536(100%) 314(100%) Table 3. Analysis on information sources in FMD reporting Information sources Chosun Daily Gangwon Daily Maeil Daily Governmental agencies 82(26.6%) 61(11.4%) 50(15.9%) Local municipalities 145(47.0%) 316(59.0%) 119(37.9%) Public officials 8(2.6%) 23(4.3%) 8(2.5%) Politicians (Parties local Assemblies) Professionals such as professors or researchers Education office, social and religious organizations 7(2.3%) 20(3.7%) 18(5.7%) 12(3.9%) 4(0.8%) 5(1.6%) 15(4.9%) 16(3.0%) 35(11.1%) Farmers and the self-employed 20(6.5%) 53(9.9%) 30(9.6%) Entrepreneurs 11(3.6%) 24(4.4%) 32(10.2%) Others 8(2.6%) 4(0.7%) 3(1.0%) Undisclosed 0(0%) 15(2.8%) 14(4.5%) Sum total 308(100%) 536(100%) 314(100%) 적인 대책을 모색한 보도는 매우 드물었다. 황 등(2010)에 따르면 축산물 위해 요인에 대한 과학적 정보는 안전사 고 발생 시에 제공하는 것 보다 평상시에 지속적으로 제 공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볼 때 국내 언론은 위해정보 교환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인 일관성 있게 정보를 제 공하는 면에는 매우 취약하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문제 2인 FMD 위해보도에 있어 뉴스 정보원의 사 용을 분석한 결과 3개 언론사 모두 행정기관(중앙정부 지 방자치단체)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Table 3과 같다. 이는 FMD 관련 정보가 중앙대책본부와 도, 시 군단위로 설치된 구제역방역대책본부 및 상황실로 집중 통제됐던 당시 상황과 밀접하다고 볼 수 있다. 당시 대책 본부는 FMD를 매우 위해한 1종 가축 전염병 으로 분류 하고 중점적으로 대응하였던 점을 감안하면 언론보도도 이 같은 시각과 관점에 의해 위해보도가 이뤄졌을 것임 을 추측할 수 있다. 전문가 개인(교수, 연구원등) 을 정보 원으로 활용하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매우 적었다. 지역일간지인 강원일보, 매일신문의 전문가 개인 이 전체 정보원 중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0.8%, 1.6%로 가장 적었다. 강원일보와 매일신문은 지역일간지로서 지역 내 에 전문가 풀이 조선일보에 비해 넓지 않다는 점이 영향 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정보원이 행정기관에 집중되고 전문가 개인에 대한 의존도는 매우 낮기 때문에 중앙정 부 및 지방정부의 FMD 위기 대응 및 대처의 적절성에 대한 감시 기능은 충분히 이뤄지지 못했음도 추측할 수 있다. 강원일보, 매일신문은 FMD의 피해 당사자인 축산 농가 주민과 식당을 운영하는 영세 자영업자를 정보원으 로 활용한 비중이 모두 9%대로 조선일보(6.5%)에 비해 높았다. 이는 지역 일간지로서 주민들의 피해를 보다 적 극적으로 대변하려는 노력으로 볼 수 있다. 연구문제 3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조선일보 의 내용적 프레임을 분석한 결과 대응 대책 프레임 (44.8%)다음으로 위해 프레임의 비중이 21.8%로 높았고 경제적 피해와 여파 등을 전달한 경제적 결과 프레임이 17.9%를 차지해 다음으로 높았다. 나머지 프레임이 차지 하는 비중은 미미하였다. 강원일보 분석 결과 대응 대책 프레임(44.2%) 다음으로 경제적 결과 프레임이 11.4%로 높았고 위해 프레임 순이었다.

26 신하림 이병오 Table 4. Contents frame analysis on FMD reporting by newspaper Contents frame Chosun Daily Gangwon Daily Maeil Daily Hazard frame 67(21.8%) 55(10.3%) 28(8.9%) Anxiety frame 14(4.5%) 52(9.7%) 35(11.1%) Response/countermeasure frame 138(44.8%) 237(44.2%) 96(30.6%) Exploration of scientific frame 4(1.3%) 11(2.1%) 14(4.5%) Responsibility/morality frame 9(2.9%) 15(2.8%) 22(7.0%) Conflict frame 2(0.7%) 22(4.1%) 1(0.3%) Human interest frame 55(17.9%) 61(11.4%) 36(11.5%) Economic result frame 10(3.2%) 34(6.3%) 21(6.7%) Promotion of consumption frame 1(0.3%) 17(3.1%) 7(2.2%) Social integration frame 8(2.6%) 32(6.0%) 54(17.2%) Sum total 308(100%) 536(100%) 314(100%) 매일신문도 대응 대책 프레임이 30.6%로 가장 높았고 경제적 결과 프레임 11.5%, 불안 프레임 11.1%, 위해 프 레임이 8.9% 순이었다. 이를 통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 방일간지는 모두 FMD의 위해를 보도하는 데 있어 행정 기관의 FMD 위기 대응 및 대처와 FMD 위해 상황, 이로 인한 경제적 결과를 주로 다루는 비슷한 보도 패턴을 보 이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단 축산물 및 식품 시장 의 가격 변동 등을 다루는 경제적 결과 프레임의 비중은 조선일보가 강원일보, 매일신문보다 6%p 이상 높았다. 내용적 프레임에 있어 중앙 일간지와 지역 일간지의 차이는 소비촉진 프레임 에서도 드러났다. 소비촉진 프 레임은 FMD 위해보도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FMD는 식품 및 인체 안전에 끼치는 영향이 적다는 사실 이 과학적인 사실이지만 FMD의 1종 가축 전염병으로서 의 위해 를 접한 소비자들은 소비심리에도 영향을 받는 다. FMD 발생에 따른 경제적 피해를 주로 다룬 경제적 결과 프레임 과 달리 FMD의 인체 무해성을 강조하며 축 산물 소비를 촉진시키고 재래시장 개장 등을 보도하며 소비심리 개선을 유도하는 소비 촉진 프레임 은 지역일 간지인 강원일보, 매일신문의 비중이 각각 6.3%, 6.7%로 중앙일간지인 조선일보 3.2%에 비해 약 2배 컸다. 이는 지역 경제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축산업계 를 일으키고 지역 경기를 되살리기 위한 지역 일간지 본 연의 역할을 수행한 결과로 분석할 수 있다. 매일신문은 FMD 재발지로 확인돼 지역 축산 경제의 타격이 장기화 될 것이 우려됐던 만큼 안동 한우 소비촉진 캠페인인 Again 안동 을 연속적으로 보도하였다. 강원일보의 소비 촉진 프레임은 한우 소비 촉진 뿐 만 아니라 재래시장 재 개, 상경기 회복에 대해 보도하였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이 같은 차이는 인간적 흥 미 프레임과 사회통합 프레임에서도 나타났다. 사회통합 프레임 의 비중은 지역 일간지보다 높았다. 이는 FMD 발 생으로 불안과 충격에 빠진 농가, 지역사회를 격려하고 FMD 사태 수습을 둘러싸고 발생한 책임 공방과 각종 논 란, 지역 사회 구성원 간 대립을 극복하는 동시에 위기 대응체제를 강화하려는 지역 일간지들의 편집 방향이 반 영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FMD 재발의 진원지인 안동 의 지역신문인 매일신문은 같은 지역일간지인 강원일보 와도 다른 보도 패턴을 보였다. 먼저 과학적 사실 규명 프레임의 비중이 4.5%로 강원 일보 2.1%, 조선일보 1.3%에 비해 2-3배 컸고 책임 도덕 성 프레임 비중도 7.0%로 조선일보 2.9%, 강원일보 2.8% 에 비해 2배 이상 컸다는 점이다. 이는 당시 FMD 2차 재 발 확산의 진원지가 경북 안동시 와룡면의 양돈농가 2곳 으로 확인된 사실과 연관 지어 분석할 수 있다. 매일신문 은 당시 지방정부, 농가로 FMD 재발에 대한 비판이 집중 된데 대해 지역 일간지로서 적극 반박하며 중앙정부 초동 대응 및 방역체계 부실의 책임도 묻고 과학적인 반박 근 거를 기사화 하였다. 연구문제 4, 5를 검증하기 이전에 인구통계학적 특성 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3개 집단(2개의 프레임 집단과 1개의 통제 집단)에 각각 100명씩 총 300명을 본 실험 연 구를 위한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의 구성은 Table 5와 같다. 구체적으로는 주부 200명(도시 지역 140명, 농촌 지역 60명), 남성 70명(도시 지역 49명, 농촌 지역 21명), 대학 생 30명(남자 15명, 여자 15명) 총 300명을 본 실험연구를 위한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에서는 배부한 설문지 가운데 회수된 278부만을 최종적으로 분석 자료로 이용 하였다. 인구통계학적 분석 결과 일반인 구분(주부, 일반

FMD 위해보도에 대한 국내 신문의 프레임과 수용자 인식 연구 27 Table 5. Composition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Classification Housewife/ Ordinary male citizen/ University students Region Group Risk emphasis group Neutral stimulus frame group Safety and response emphasis frame group Housewife 60(34.7%) 57(32.9%) 56(32.4%) 173(100.0%) Ordinary male citizen University students Sum 24(31.1%) 27(35.1%) 26(33.8%) 77(100.0%) 10(35.7%) 9(32.1%) 9(32.1%) 28(100.0%) Rural area 18(33.3%) 16(29.6%) 20(37.0%) 54(100.0%) Urban area 66(33.7%) 68(34.7%) 62(31.6%) 196(100.0%) Gender Male 27(30.7%) 32(36.4%) 29(32.9%) 88(100.0%) Female 67(35.3%) 61(32.1%) 62(32.6%) 190(100.0%) 20s 11(36.7%) 10(33.3%) 9(30.0%) 30(100.0%) Age 30s 15(32.6%) 13(28.3%) 18(39.1%) 46(100.0%) 40s 23(36.5%) 23(36.5%) 17(27.0%) 63(100.0%) Over 50 45(32.4%) 47(33.8%) 47(33.8%) 139(100.0%) Table 6. Assessment of each group on FMD reporting Questions Group Contents of the article are (positive/negative) to FMD Risk emphasis (n=94) Neutral stimulus (n=93) Safety and response emphasis (n=91) 2.52 a 2.81 a 3.40 b 21.019 0.000*** Note: Question scale (5 points)-very negative (1 point), negative (2 points), neutral (3 points), positive (4 points), very positive (5 points) Different subscripts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mean values in Turkey HSD post hoc test (p<0.05). ***p<0.001. F p 인 남자, 대학생)과, 지역 특성 외의 성별, 연령대, 학력, 월 가구 소득, 신문 구독 여부, 신문 보는 횟수의 편차가 적게 나타나 집단 구성이 적절히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 났다. 부정 프레임 집단, 긍정 프레임 집단은 실험 집단으 로서의 각각 FMD의 위해성 프레임, FMD의 인체 안전 성 및 위기대처 프레임 에 노출된 집단이며 통제 집단은 특정 프레임에 노출되지 않은 통제 집단이다. 이를 토대로 우선 FMD 기사에 대하여 어떻게 평가하 고 있는 지에 대한 해석을 살펴보면 위해성 강조 프레 임 은 부정적이다 (평균값=2.52)로 해석하였고 중성자극 프레임 도 부정적이다 (평균값=2.81)로 해석하였다. 기사 평가의 문항 척도에서 1점이 매우 부정적이다 이고 2점이 부정적이다 라는 점을 감안하면 대체로 올바른 실험 결 과가 도출되었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FMD의 인체 식품 안전성 및 대처 강조 프레임 의 경우 평균값이 3.40 으로 기사 평가의 문항적도 값인 3점이 보통이다 이며 4 점이 긍정적이다 라는 것을 고려해 볼 때 역시 실험 재 료가 신뢰할 만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실험 결과는 Table 6과 같다. 주부, 일반인 남성, 대학생 별로 나눠 평균 값 간에 유 의미한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본 결과 위해성 강조 프레 임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F=9.881, p=0.000***) 위해성 강조 프레임 실험 집단 내에서 주부 (평균값=2.77)와 일반인 남성(평균값=2.33), 대학생(평균 값=1.50) 모두 부정적이다 로 해석하였지만 대학생의 경 우 더욱 부정적이다 라고 답했고 이 같은 결과는 Table 7 과 같다. 이를 통해 볼 때 대학생이 주부, 일반인 남자에 비해 일간지의 FMD 위해보도에서 위해성을 더 민감하게 인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설 1-1과 가설 1-2에 대한 분석결과로서 각 집단별 FMD 위해보도에 따른 해석의 차이는 Table 8에 제시되 어 있으며 구체적인 각 집단 간 차이는 Turkey 분석을 통 하여 검증하였다. 기사 내용으로 볼 때 정부 대응이 적 절하였다고 생각하십니까? 라는 항목에 대한 해석을 살 펴보면 위해성 강조 프레임은 아니다 (평균값=2.43)로 해 석하였고 중성 자극 프레임도 아니다 (평균값=2.69)로 해 석하였으며 안전성 및 대처 강조 프레임 또한 아니다 (평균값=2.96)로 해석하였다.

28 신하림 이병오 Table 7. Assessment on FMD reporting (classification of experimental group) Questions Group Risk emphasis (n=94) Neutral stimulus (n=93) Safety and response emphasis (n=91) Housewife 2.77 a 2.82 3.36 Ordinary male citizen 2.33 a 2.81 3.62 University students 1.50 b 2.67 3.00 F p 1.963 0.255 Group 2.52 a 2.81 a 3.40 b 9.516 0.019* Note: There are correlation among independent variables. (F=2.627, p=0.035*) *p<0.05. Table 8. Difference of interpretation by group according to FMD reporting Questions Group Do you think that the article emphasizes harmful effect of FMD? Do you think that, based on the article, the measures of government were appropriate? Based on the article, the harmful effect of FMD is very serious. Risk emphasis (n=94) Neutral stimulus (n=93) Safety and response emphasis (n=91) 2.91 2.95 2.68 1.877 0.155 2.43 a 2.69 ab 2.96 b 8.654 0.000*** 3.71 a 3.47 b 3.11 b 8.813 0.000*** F p Note: Question scale (5 points) : Not at all (1 point), no (2 points), neutral (3 points), yes (4 points), very much so (5 points) Different subscripts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mean values in Tukey HSD post hoc test (p<0.05). ***p<0.001. Table 9. Comparison of difference in meat intake and tourism intention by group Questions Group Hazard emphasis (n=94) Neutral stimulus (n=93) Safety and response emphasis (n=91) F p Do you have the intention to consume or eat beef or pork within 3 months? 3.33 3.32 3.23 0.276 0.759 Do you have the intention to consume or eat beef or pork within 6 months? 3.62 3.57 3.53 0.217 0.805 Do you have the intention to travel to the region where FMD broke out within 6 months? 2.65 2.86 2.52 2.342 0.098 Note: Question scale (5 points) : Not at all (1 point), no (2 points), neutral (3 points), yes (4 points), very much so (5 points) 가설 1-1과 가설 1-2에 대한 분석결과로서 각 집단별 FMD 위해보도에 따른 해석의 차이는 Table 8에 제시되 어 있으며 구체적인 각 집단 간 차이는 Turkey 분석을 통 하여 검증하였다. 기사 내용으로 볼 때 정부 대응이 적 절하였다고 생각하십니까? 라는 항목에 대한 해석을 살 펴보면 위해성 강조 프레임은 아니다 (평균값=2.43)로 해 석하였고 중성 자극 프레임도 아니다 (평균값=2.69)로 해 석하였으며 안전성 및 대처 강조 프레임 또한 아니다 (평균값=2.96)로 해석하였다. 다만 안전성 및 대처 강조 프레임에서는 중성자극에 가까운 해석으로 나타났고 위해 강조 프레임과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사 내 용으로 볼 때 FMD의 위해성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라는 항목에 대한 해석을 살펴보면 위해성 강조 프레임은 그렇다 (평균값=3.71)로 해석하였고 중성자극 프레임도 그렇다 (평균값=3.47)로 해석하였으며 안전성 및 대처 강조 프레임 또한 그렇다 (평균값=3.11)로 해석 하였다. 안전성 및 대처 강조 프레임에서는 중성자극에 가까운 해석으로 나타나고 있고 위해 강조 프레임과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가설 2-1과 가설 2-2에 대한 분석 결과로서 각 집단별 FMD 보도에 따른 해석의 차이는 Table 9에 제시되어 있 다. 이를 보면 FMD 이후 소비의향에 따른 해석에 있어 문항이 모두 프레임별 각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

FMD 위해보도에 대한 국내 신문의 프레임과 수용자 인식 연구 29 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쇠고기 돼지고기 섭취에 비해 FMD가 발생한 지역으로 관광 의향은 아니다 로 식품 소 비에 비해 관광이 모든 집단에서 더 부정적으로 나타났 다. 따라서 수용자들의 FMD 위해보도에 따른 위해도 인 식은 식품 소비 보다 관광 에서 더 높게 나타난다는 결 과는 도출됐다. 결 론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 및 관련 논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FMD 확산의 초기, 심각, 소강 국면 에 따라 중앙 지역 일간지별 위해 보도량을 분석한 결과 3개 일간지 모두 중앙대책본부 설치 및 운영 국면의 보 도량이 전체 58.3%-81.8% 에 이를 정도로 집중됐다. 초기 단계인 주의 경계 국면의 보도량이 14.6%-39.2%로 다 음으로 높았고 소강 국면인 중앙대책본부 해체 이후 는 2.5%-5.2%에 불과했다. 이 때문에 국면별 보도량은 전형 적인 피라미드형 패턴을 보였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이 위해 위기의 징후를 사전에 파악해 일반인에 알리고 관련 대비책과 주의를 당부하는 경고자 의 기능보다 위해 위 기가 발생 한 이후에 이에 대해 집중적으로 보도하는 경 향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FMD 위해가 소강되는 국면에서는 보도량이 급격히 감소해 위해정보 교환의 원칙 중 하나인 정보제공의 일관성에 취약함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FMD 위해보도에 나타나는 분석 대상 일간지들 의 정보원에 대해 10가지로 범주화해 조사한 결과 세 일 간지 모두 행정기관(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의 비중이 53.8%-73.6%에 이를 정도로 압도적으로 높아 국내 언론 이 FMD를 둘러싼 다양한 사회 주체들의 목소리를 반영 함으로써 이들을 위해정보교환의 주체로 참여시키는 역 할을 수행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특정 정보원에 치우쳐 보도가 편향되고 정부의 FMD 위해 대처가 적절한가에 대한 언론의 감시기능이 약화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이 는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셋째, FMD 관련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프레임 유형 을 10가지로 범주화 해 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 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대응 대처 프레임 이 30.6%- 44.8% 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는 언론의 FMD 위해보도가 그 여파를 총체적으로 분석하지 못하고 자칫 중앙 정부와 지자체의 입장을 전달하는 선에서 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넷째, 수용자의 FMD 관련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효과 와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증폭 모델을 검증한 결과 두 가지 유형(위해성 강조/안전성 강조)의 프레임으로 구성 된 기사를 제공하는 실증적인 검증을 통해 FMD에 대한 위해성을 강조한 프레임과 안전성을 강조한 프레임에 따 라 수용자의 FMD에 대한 위해도 인식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언론이 검증되지 않은 FMD의 위해 성을 보도하거나 실체를 미비하게 보도할 경우 수용자로 하여금 정부의 대응에 불신을 갖고 증폭된 위해도 인식 을 갖게 할 수 있어 또 다른 사회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는 근거를 도출하였다. 위해의 실체를 피상적으로 보도하고 전문가 취재원의 범위가 한정된 데 따른 문제는 선행연구들이 고찰한 재 난 재해 보도의 취약점과도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국내 언론이 갖고 있는 가축 전염병과 식품 위해보도의 한계 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이 분야에 전문 지식을 갖고 있는 전문 기자 양성과 현 취재인력에 대한 재교육이 과제라고 볼 수 있다. 위기관리를 맡는 행정기관 의 위해정보교환 방식도 개선돼야 한다. 국내 일간지가 FMD 위해 발생 시 가장 의존하는 정보원은 행정기관 이었음에도 FMD가 인 수공통전염병이 아니며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에 감염된 고기를 먹더라도 인체에는 무해하다는 보도량은 매우 적 었다. 그만큼 언론을 대상으로 보도 자료를 작성 및 배포 하는 행정기관들이 이 같은 과학적 사실을 일반인에게 알 리고자 하는 노력이 초기 단계에서부터 부족하였다는 점 을 알 수 있다. FMD 대처 과정에서 행정기관의 초점은 생산자(축산 농가) 보호 에 맞춰졌고 이에 비해 소비자 를 중시하는 관점은 취약하였다고 볼 수 있다. 끝으로 실생활과 직접적으로 유관된 식품 위해의 대 ( 對 ) 국민 계몽을 위해 다양한 관련 단체들이 조성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이들 사회단체들의 활동은 언론보도의 초점이자 정책결정의 기폭제가 돼야 한다. 이(2009)에 따 르면 일본은 1990년대 식품사고, 가축질병, 부정 유통 등 의 일련의 사건을 겪은 후 이에 대한 경각심이 고조된 것 을 계기로 2008년 9월 비영리조직인 식품신뢰향상연구 회 를 설립하였다. 이 연구회에는 소비자, 학자, 생산자, 식품사업자, 소매 및 외식업자등이 참여하고 회원교류, 정보 교환 등을 하며 이해 관계자들 간의 상호 이해 폭을 넓히고 있다. 본 연구는 가축 전염병 위해보도의 프레임을 추출해 분석하고 실제적인 수용자 효과도 동시에 검증해냄으로 써 국내 언론의 가축 전염병 위해보도가 해결해야 할 과 제를 발굴하고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 다. 단 일간지별 성향(보수-진보)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지 못했고 수용자 인식조사에서 FMD 발생 시점과 실험시점 이 2년여 간격으로 차이가 있어 보다 명확한 검증을 하지 는 못했다는 점이 한계로 남는다. FMD를 비롯한 가축전염병 위해보도 분석은 식품 안 전, 위해성 평가, 언론을 연구하는 다양한 분야 간의 학제

30 신하림 이병오 적 연구가 필요한 대표적인 분야다. 따라서 앞으로 관련 연구가 구체적으로 세분화되면서 동시에 서로 다른 학문 분야 간의 연계 협력이 이뤄지는 방향으로 활성화 돼야 한다. 이 같은 연구 및 논의가 더욱 활성화 되고 그 결과 가 국내 언론사, 행정기관들과도 충분히 공유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를 통해 언론이 위해 정보교환의 중요 한 주체 중 하나로서 본연의 역할에 충실 할 수 있기 때 문이다. 참고문헌 Bob Franklin (1998) Local Journalism and Local Media: Making the Local News. Routledge. Canadian Food Inspection Agency, Public and Regulatory Affairs Branch. (2000) Risk Communication and Government. (CFIA) Leiss, W, Chociolko, C. (1994) Risk and Responsibility. Montreal & Kingston :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Semetko, H. A,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 (2th ed). Longman. Slovic, P. (1987)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송해룡, 이윤경 (201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 보도에 관한 비교 연구-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 보도 분석을 중심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통 권 28호. 이건호 (2007) 국내 식품위해사건 사례와 리스크 커뮤니 케이션의 발전방향, Safe Food. 2(2):pp.33-42. 이귀옥 (2007) 식품 리스크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Safe Food. 2(2). 이귀옥, 박조원 (2006) 식품 위해(food risk)보도의 뉴스 프 레임 분석, 김치 파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 보, 20-5. pp.262-287. 이민규, 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 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보도 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12권 2호. 이병오 (2004) 축산물의 안전성 확보 전략, 농업경영 정책 연구, 제31권 제4호. 이병오 (2009) 식품 안전성 확보를 통한 식품산업의 안정 적 발전방안, 농정연구 통권 제30호. 정의철 (2008) 에이즈 뉴스 프레이밍 분석 :비판적 헬스 저널리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2권 4호. 허인서 (2004) 한국 신문의 위험관련 보도경향에 관한 연 구: 중앙일간지의 조류독감 보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 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 논문. pp.23-41. 황윤재, 우병준, 박범순, 박선일, 성영신 (2010) 축산물 안 전사고의 사회 경제적 영향 분석 및 평가에 대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pp.13-23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농업 농촌에 대한 2007년 국 민의식조사 결과, (주)문원사. p.38.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2011) 구제역 중앙재 난안전대책본부 운영백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