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지리학회지 제50권 제5호 2015(515~526)? 인문사회계열의 산학협력과 지역발전: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장후은* 이종호** 허선영***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Majors and Regional Development: The Case of Japan Hoo-Eun Jang* Jong-Ho Lee** Sun-Young Heo*** 요약 : 본 연구는 지역대학이 인문사회계열 산학협력 사업의 추진을 통해 지역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일본의 사 례 분석을 통하여 지역발전에 있어서 대학의 역할에 대해 고찰하고, 우리나라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 였다. 일본 사례 분석의 결과, 인문사회계열 지역대학의 주도에 의해 다양한 지역 주체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를 통한 산학협력 활동이 지역발전에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지금까지 지역문제 해결에 있어서 소 극적이었던 대학의 역할에서 벗어나 인문사회계열 산학협력을 통해 지역사회와 보다 적극적인 관계 맺음으로 써, 대학이 경제, 문화, 교육 등의 다방면에서 지역사회의 문제와 과제들을 해결 극복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지역발전을 위한 인문사회계열 산학협력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산학협력에 대한 인식 제고, 학생주도의 프로그 램 개발, 대학차원의 적극적인 의지와 노력, 정부 차원의 지원 방안 마련 등이 요구된다. 주요어 : 산학협력, 인문사회계열, 지역발전, 일본 Abstract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ole of universities in regional development by drawing upon case studies from Japan in which local universities contribute to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the promotion of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Projects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majors. Based on these cases, policy implications are derived for Kore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Japan s cases,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activities incorporating activ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various regional actors led by local universities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majors were seen to contribute to regional development. Rather than taking a passive attitude toward solving regional problems, the universities have entered into a more proactive relationship with their local community through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majors. They thereby also address problems and challenges relating to various aspect of the local community such as economy, culture and education. To activat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majors in order to strengthen regional development in Korea, awareness-raising of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development of student-led programs, proactive attitudes and efforts by the universities, arrangement of support plans by the government, and the like are required. Key Words :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majors, regional development, Japan 이 논문은 2015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4S1A5B8A02074068) * 경상대학교 산학협력정책연구소 선임연구원(Senior Research Fellow, The Institute for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Polic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he@gnu.ac.kr ** 경상대학교 지리교육과 부교수/산학협력정책연구소 부소장(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Vice-Director, The Institute for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Policy), jhl@gnu.ac.kr *** 경상대학교 산학협력정책연구소 학술연구교수(Research Professor, The Institute for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Polic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usy6019@naver.com - 515 -
장후은 이종호 허선영 1. 연구 배경 및 목적 지난 20여 년 동안 우리나라 대학은 양적 성장을 이 루었으나, 교수 1인당 학생 수 등 교육여건과 대학의 연구경쟁력은 선진국에 비해 미흡한 특징을 나타내 고 있다. 그동안 대학은 순수학문 연구 및 고급소양을 갖춘 지도자 양성이라는 전통적 대학이념에 주력하 여 왔으며, 정작 사회가 필요로 하는 지식의 실용화와 지역사회 및 산업현장에서의 인력수요에는 탄력적으 로 대응하지 못하였다. 또한 지역의 산업 문화적 특 성과 유기적으로 연계된 대학별 특성화가 취약한 가 운데, 지역사회의 지식창출 및 확산의 핵심거점으로 의 역할이 부족하였으며 산 학 연 관의 지식자원을 효율적으로 결합 확산하는 데 있어 혁신주체로서의 역할도 미미하였다(기영석, 2008). 그러나 대학은 입지하고 있는 지역에 의해 뒷받침 되고 있으며, 대학의 존속을 위해서는 그 존립기반인 지역의 건전한 발전이 중요하다. 더욱이 최근 학생 수 의 감소에 따른 지역대학의 존폐위기와 지역발전을 위한 지역혁신 역량 강화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대학이 입지하고 있는 지역에 있어서 대학의 존 재 의의를 강조하고 지역과 창조적인 관계를 맺는 것 이 대학과 지역사회의 미래를 결정하는 중요한 과제 의 하나가 되었다. 이와 같이 지역발전에 있어서 산 학 연 관 협력 에 대한 사회적 요청이나 지역의 기대는 높아짐 따라 지역발전에서 대학의 역할이 재평가되고 있다(남재 걸 이종호, 2010). 지역발전에 있어서 대학은 산학협 력을 통해 대학의 지적 자원을 지역사회의 문제 해결 을 위해 활용하고, 지역의 대학으로서 사회 공헌을 하 는 것이다. 대학의 입장에서도 산학협력을 통해 지역 사회에서의 대학의 역할을 증대시키는 것이야 말로 앞으로의 생존전략이 될 것이다. 이에 지역발전에 있 어서 지역대학의 역할을 정립하고, 특정 영역과 산업 이 아닌 지역사회와 관련한 다양한 산업을 포괄하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활발한 산학협력활동이 요 청된다. 대학의 산학협력활동은 2003년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연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 제정 이후, 정부의 각 종 재정지원사업과 제도 및 인프라 구축을 기반으로 하여 현재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의 대학 산학협력은 이공계열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 으며, 일부 상경계열을 제외한 인문사회계열은 산학 협력활동에서 배제되어 왔다. 그러나 외국 대학의 경우, 산학협력의 영역 확장을 통해 다양한 전공 계열의 인적 자원을 활용하여 이공 계열 뿐만 아니라 인문사회계열에서도 활발한 산학 협력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는 최근 도심 재생이나 전 통시장 활성화 등과 같이 지역의 현안 문제해결을 위 한 산학협력활동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 기 때문이다. 지역 발전의 맥락에서 대학의 산학협력은 단기적 성과 중심의 성장전략이 아닌 지속가능성을 전제로 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은 공학적 기술적 측면에서의 논의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역사회의 현안 문제 해결에 위한 사회적 문화적 접근도 필요하며, 이러한 역할은 인문사회계열 대학 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이공계열뿐만 아니라 인문사회 및 예체능계열 대학의 산학협력 활성화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일본의 경우에도, 대학의 산학협력에 관한 논의가 지금까지 경제적 관점에서 이공계열 중심으로 이루 어져 왔으나, 최근에는 지역발전과 관련된 각종 산학 협력 사업에 있어서 인문사회계열 대학들이 주요 추 진 주체로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는 지 금껏 주로 정부 주도의 각종 지역발전 관련 사업들이 민간 주도로의 전환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 안으로써 지역대학이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 안정적 이고 지속가능한 지역 발전을 위해 지역에 입지하고 있는 대학이 주도가 되어, 다양한 지역 주체들의 자발 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상향적 방식으로 지역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특히 일본 중앙정부 차원 에서뿐만 아니라, 각 지역대학 차원에서도 지역대학 과 지역사회가 일체가 되어 산학협력의 일환으로서 각종 지역발전 사업을 활발히 추진 중에 있으며, 인문 사회계열 대학이 그 중심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대학이 인문사회계열 산학협 - 516 -
인문사회계열의 산학협력과 지역발전: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력 사업의 추진을 통해 지역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일 본의 사례 분석을 통하여 지역발전에 있어서 대학의 역할에 대해 고찰하고, 우리나라에 대한 정책적 시사 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사례는 각기 다른 산학협력 사 업의 목표를 가진 일본 3개시의 3개 대학을 선정하였 다. 사례 대학들은 산학협력 사업을 통해, 교토시 리 츠메이칸대학은 지역 브랜드 구축을 위해 축제를 개 최하고 있으며, 시바타시 게이와가쿠엔대학은 지역 중소기업 역량강화를 위해 영세업체 경영 개선 및 신 제품 개발을 실시하였다. 또한 후쿠이시 후쿠이대학 은 산학협력 사업으로 지역 상점가 활성화를 위해 지 역커뮤니티센터 운영 및 이벤트 개최를 추진하고 있 다. 이들 사례 연구는 기존 관련 논문과 서적, 해당 기 관 홈페이지 및 인터넷 자료 등의 검토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2. 대학 중심의 산학협력과 지역발전 대학과 지역사회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대학 은 지역사회의 한 구성단위로서 지역사회로부터 요 구와 지지를 받고 대학의 3대 기능인 교육 연구 봉 사 기능수행을 통하여 산출물을 지역사회에 보냄으 로써 지역사회와 경제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만희, 2001; 안영진, 2010). 지금까지는 대학의 고 유 기능에서 교육과 연구의 측면이 강조되어 왔다면, 최근에는 대학이 사회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지역사회에 봉사하는 실천적 기능이 강조되고 있다 (김철영, 2013). 이러한 대학 중심의 산학협력은 대 학의 봉사활동영역에 포함되며, 교육과 연구 이외의 제3의 임무로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Gunasekara, 2004; Westnes et al., 2009; 임홍식, 2014). 지식의 창출과 확산을 통해 경제성장을 도모하 는 지식기반경제 하에서 대학은 지식의 원천, 혁신 의 씨앗, 성장의 원동력으로서 지역 및 국가의 사 회 경제 문화적 발전에 기여해야만 한다(조영하, 2008). 지역발전에 있어서 대학 산학협력의 중요성 이 증대됨에 따라, 지역발전정책 추진에 있어서도 지 역대학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Asheim et al., 2007; Mayer, 2007; Benneworth and Hospers, 2008). 이는 기업 형성 및 산업 발전에 있어 산 학 관 간 협력적 관계의 역할을 분석하는 트리플 힐릭스 와 관련된 일련의 연구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Etzkowitz and Leydesdorff, 1995; 이종호 등, 2009; 이철 우 등, 2010; 이종호 이철우, 2014). 또한 이러한 맥 락에서 기업가적 대학(entrepreneurial universities) 이 나(Etzkowitz et al., 2008; Philpott et al., 2011; 임홍 식, 2014), 새로운 대학 유형으로서 대학의 전통적인 경계를 초월하는 활동(boundary-spanning roles)에 대 한 출현도 논의되고 있다(Youtie and Shapira, 2008). 특히, 트리플 힐릭스 모형에서는 대학이 단순한 교육 기관에서 탈피하여 교육과 연구를 병행하는 기관으 로 전환되면서 상업적인 지식의 원천으로서 주요한 역할을 하게 된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대 학의 역할 변화와 함께 산업계는 시장혁신과 경제성 장에 있어 대학의 연구에 대한 의존도가 점차 높아지 게 되었고 정부의 역할도 과거와 다르게 변화하게 되 었다고 지적하고 있다(이철우 등, 2010). 이와 같이, 산학협력은 지식경제 사회의 가장 중요 한 행위 결과인 혁신을 위한 동력으로서 지역경제의 발전을 이끄는 유효한 수단의 하나로써 주목받고 있 다. 산학협력은 과거에는 기업과 대학의 양자 간 협 력 활동과 기업지원에 국한된 개념이었으나, 최근 개 방형 혁신의 강조와 함께 다자 간 협력과 비공식 영역 등의 혁신 연계라는 다양한 관점이 포함되는 광의적 개념으로 확장하여 정의되고 있다. 즉, 산학협력은 기업과 대학 간의 단순한 2자 협동방식에서 탈피하여 모든 잠재적 참여 주체들이 공동의 이익을 위해 상호 협력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네트워크 형성에 기반한 경쟁력 확보라는 고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 음을 강조하고 있다(박종무 등, 2000). 이에 따라 산학협력의 영역 및 분야가, 기존의 기 업들과 연구개발 생산을 위한 이공계열 중심의 산학 협력에서 확대되고 있다. 지금까지 지역발전에 있어 서 지식의 창출과 혁신의 주체로서 대학의 역할이 강 조되어 왔지만(박영한 등, 2001), 최근 들어 지역사회 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나 과제가 점점 복잡하고 다양 - 517 -
장후은 이종호 허선영 해짐에 따라 산학협력을 통한 대학의 역할이 더욱 확 대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손승호, 2007). 즉, 지 역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지역주민, 지자체, 시민단체 등과 기획, 마케팅 등의 다양한 영역에 있어서 인문사 회 및 예체능계열 대학의 산학협력도 활발히 추진되 고 있다. 한편, 산학협력을 통한 대학의 지역과의 연계는 지 역발전에 있어서 중요할 뿐만 아니라, 대학의 측면에 서는 대학 개혁, 대학 창조의 대처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김효진, 2014). 즉, 대학의 지역참여는 그 맥락에 따라, 지역사회가 대학을 지역 의 자원으로 인식하고 적극적인 연계와 협동을 시도 하는 경우도 있지만, 재정지원과 학생유치를 둘러싸 고 격화되는 대학 간의 경쟁 속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 점하고자 지역사회 참여를 전략적으로 시도하는 경 우도 적지 않다. 이와 같이 대학도 지역도 각자의 생 존과 자립, 발전이라는 공통의 과제를 안고 있으며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양자가 서로의 발전을 위 해 협력해야 한다(이유정 이원범, 2013). 지리학에 있어서 대학과 지역발전 간의 관계에 대 한 연구는 200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연구가 진 행되어 왔으며, 관련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박영한 등, 2001; 2005; 안영진, 2005; 2007; 2010; 2015; 손 승호, 2007; 류연택 정희선, 2007; 오충원, 2008; 백 영기, 2012; 이병민 이원호, 2013; 조성의, 2014). 이 가운데, 손승호(2007)는 일본을 사례로 도시 재활 성화를 위한 마을만들기 사업의 일환으로 대학과 지 역사회 간의 파트너십에 대한 연구를 통해 그 유형을 대학주도형, 지방자치단체 주도형 사업의 형태로 구 분되고 있음을 밝혔다. 한편, 이병민 이원호(2013) 는 대학이 지역발전의 허브이자 싱크탱크로 변화하 는 것에 주목하여, 대학의 구성원이 중심이 된 창의 적 대학 의 지역발전 생태계 적용 모델을 제시하고 사 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상의 연구들을 종합해 보았 을 때, 이공계열뿐만 아니라 인문사회계열 대학도 대 학의 인적 물적 지적 자원을 활용한 산학협력 활동 을 통해 지역사회에 봉사하고 지역발전을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지역발전을 위한 대학 중심의 산학협력의 방 향은, 지금까지 산학협력활동에서 소외되었던 인문 사회계열의 산학협력 활성화를 통해 경제, 문화, 교 육 등의 다방면에서 지역사회의 문제와 과제들의 해 결 극복 방안이 강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과 지역사회의 다양한 산학협력 사례 발굴과 확 산이 필요하다. 3. 일본 대학의 인문사회계열 산학협력을 통한 지역발전 사례 연구 1) 교토시 리츠메이칸대학 사례 교토부 교토시( 京 都 府 京 都 市 ) 우쿄구( 右 京 区 )일대 의 우즈마사( 太 秦 )지역은 많은 영화촬영소와 오픈세 트인 토에이우즈마사영화촌( 東 映 太 秦 映 画 村 )이라는 테마파크 위치하고 있어, 특히 시대극 제작을 중심으 로 한 영화산업의 집적지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시 대극의 인기 저하는 관련 미디어 산업의 쇠퇴를 가져 오게 되었고, 지역사회의 내부에서는 지역경제의 재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지역 이미지 형성과 지역 브랜 드 구축에 관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에 시대 극을 내포하는 상위개념으로서 역사창작 으로 지역 이미지를 확장시켜 역사창작 콘텐츠에 있어서 크로 스미디어의 거점 으로 지역 브랜드를 창출하고 구축 시키고자 하였다. 지역 브랜드 창출을 위해 지역대학인 리츠메이칸 대학( 立 命 館 大 学 ) 영상학부와 정책과학부의 교수 및 학생들은 공동으로 우즈마사센코쿠마쯔리( 太 秦 戦 国 祭 り) 라는 축제를 2006년 10월에 기획하였다( 吉 田 健 太 郎, 2014). 리츠메이칸대학은 1900년에 설립된 일본에서 유서 깊은 사립대학이며, 학부 재학생수는 약 3,200만 명으로 법학부, 국제관계학부, 이공학부 등 15개 학부와 대학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교 토시에 위치한 리츠메이칸대학은 대학의 산학협력추 진 기구인 산학관연계전략본부 를 중심으로 연구 기 술 개발을 통한 산학협력을 활발히 추진 중에 있으며,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한 산학협력에도 힘쓰고 있 - 518 -
인문사회계열의 산학협력과 지역발전: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다(리츠메이칸대학 연구 산학협력 사이트, http:// www.ritsumei.ac.jp/research/). 이 축제는 우즈마사지역에 축적되어 있던 뛰어난 시대극 제작환경을 가진 지역성과 새로운 문화콘텐 츠에 대한 소비자 니즈의 증가를 고려하였으며, 지역 진흥을 목적으로 교토부에 의해 개최되고 있던 교토 우즈마사시네마페스티벌 의 이벤트로서 기획되었다. 전국시대를 중심으로 하는 1) 역사창작의 최첨단 표현 스타일과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는 차세대 엔터테 인먼트 창출 프로젝트로서, 토에이우즈마사영화촌에 서 전국시대와 관련된 게임, 만화, 음악, 영화, 코스 프레 등의 콘텐츠로 다양한 이벤트를 제공하며, 축제 방문객 체험 참가형 축제로서 개최되고 있다. 축제의 기획은 리츠메이칸대학에 의해 이루어졌으 나, 축제이벤트 운영 노하우를 가진 인재가 대학에는 없었기 때문에 관련기업의 전문가를 영입하여 구체 화하였으며, 이후 축제 실현을 위해 리츠메이칸대학 이 주축이 되어 축제실행위원회를 설립하였다(표 1). 축제실행위원회에는 리츠메이칸대학 이외에도 지역 대학인 교토사가예술대학( 京 都 嵯 峨 芸 術 大 学 ), 지역 의 영화산업 및 문화콘텐츠산업 관련 기업과 전문가, 지방정부 등의 지역의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하여 축 제를 운영하고 있다. 축제는 2007년 제 1회 개최를 시 작으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축제 개최의 성과를 산학협력의 측면에서 살펴보 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역경제적 측면에서 연간 축 제의 방문객수는 코스프레 참가객 약 800명을 포함 하여 총 7,500명 정도로(우즈마사센코쿠마쯔리 축제 홈페이지, http://www.joraku.jp/faq.html), 매년 축 제 규모가 커지고 이벤트 내용이 충실해짐에 따라 축 제실행위원회의 참가 기업뿐만 아니라 지역의 상점 가와 기업에서도 축제 관련 다양한 이벤트와 상품 판 매가 이루어지는 등 관광산업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 화에 기여하고 있다. 그리고 축제 운영의 중심 주체 가 대학이기 때문에 국내외 다양한 문화콘텐츠산업 업계의 전문가가 참가하는 학술심포지엄이 개최되고 있어, 관련 산업의 지식 공유의 장으로 제공되고 있 다. 그 결과, 지역에 관련 문화콘텐츠산업의 새로운 인적 학술적 비즈니스 네트워크가 형성되었다. 다음으로 교육적 측면에서 리츠메이칸대학은 축제 의 기획 단계에서부터 학생들의 적극적인 축제 참여 를 유도하여 산학협력에 기반한 축제 기획 및 참여에 초점을 두었다. 축제실행위원회는 대학자원봉사센터 와 협정을 체결하고, 2008년부터는 학교 교실에 있어 서의 학습과 실제 봉사활동 수행이 합쳐진 지역 활성 화 볼런티어 수업을 개설하여 새로운 봉사교육 모델 을 제시하였다. 매년 학생들은 축제 이벤트 기획에서 운영 관리까지 직접 참여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학 생들은 축제에 참여한 다양한 주체들과의 연계 협력 활동을 통해 의사소통능력, 교섭력, 실천적 응용력과 활용력 등을 습득하게 되었다. 이를 잘 나타내는 지표 로, 축제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81.5%의 학생들이 축제 참여를 통해 자기 성장을 하 였다는 긍정적인 답변을 하였다. 표 1. 우즈마사센코쿠마쯔리 축제실행위원회의 구성원과 역할 주체 역할 학( 學 ) 리츠메이칸대학 기획총괄, 학생참여 교토사가예술대학 로고디자인, 영상제작, 학생참여 Bellwood Co.,Ltd. 이벤트프로듀스, 출점 업체 관리 주식회사 토에이 교토스튜디오 축제장소제공, 이벤트관리 기업 산( 産 ) 토에이주식회사 교토촬영소 기획입안, 이벤트관리 다브리에마케팅(주) 코스프레 이벤트 등 관리 전문가 만화가S씨 이벤트캐릭터 개발, 이벤트 기획 관( 官 ) 교토부 상공노동관광부 행정정책입안, 보조금 지원 자료: 吉 田 健 太 郎, 2014-519 -
장후은 이종호 허선영 2) 시바타시 게이와가쿠엔대학 사례 시바타시( 新 発 田 市 )는 니가타현( 新 潟 県 ) 북부에 위치한 인구 약 10만 명의 지역중심도시이며, 시바타 성을 중심으로 2차 세계 전쟁 이전까지는 군사도시였 으나, 전후 상업도시로 발전하였다. 에치고평야( 越 後 平 野 )에서 생산되는 고시히카리 쌀이 유명하여 관련 식품산업 및 양조업이 발달하였으며, 과거 섬유산업 이 발달해 봉제공장이 많았으나 최근에는 감소추세 에 있다. 지역의 유일한 4년제 사립대학인 게이와가 쿠엔대학( 敬 和 学 園 大 学 )은 인문학부의 영어문화커 뮤니케이션학과, 국제문화학과, 공생사회학과의 3개 학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부 재학생수가 약 600명 인 소규모 대학이다. 게이와가쿠엔대학은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위해 자 원봉사센터, 시바타학연구센터 등을 설치하여 학생 들의 참여에 기반한 산학협력을 통해 지역사회에 공 헌하는 인재 양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게이와가쿠엔 대학 지역연계 사이트, http://www.keiwa-c.ac.jp/ regional/). 게이와가쿠엔대학의 산학협력 사업 목적 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지적 자원을 지역사회 의 문제 해결을 위해 활용하고 지역의 대학으로서 사 회에 공헌할 것. 둘째, 실제 경영에 학생들이 관여하 며 현장 교육을 통해 문제의식의 환기와 실천력을 학 습할 것. 셋째, 지역 내의 산업 연관이나 이업종 연계 를 의식한 지역 향토산업( 地 場 産 業 ) 중소기업의 경영 혁신을 측면 지원하는 것으로 지역 향토산업의 활성 화를 도모할 것. 게이와가쿠엔대학에서는 산학협력 사업의 일환으 로 지역의 향토산업 중소기업의 역량강화를 위한 연 구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吉 田 健 太 郎, 2014). 이 프 로젝트는 2009년 1월부터 약 4년간에 걸쳐 지역의 전 통섬유염색업체 1개사를 대상으로 학생들이 직접 실 제 기업 경영을 참여하며 공동으로 경영개선과 신상 품개발을 지원하였다. 산학협력 사업의 대상기업은 1748년에 창업한 역 사와 전통 있는 지역 기업이지만, 종업원 18명 규모의 영세기업으로 경영 전문성이 낮았다. 이에 학생들은 전통 향토산업 중소기업의 경영 혁신과 지속가능한 성장전략 이라는 연구 주제를 가지고, 해당기업의 마 케팅 조사부터 실시하였다. 학생들이 작성한 기획서 를 바탕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 조사 등을 통한 현황 분석을 격월로 실시하였으며, 매달 해당기업 관계자 들과 만나 논의하였다. 그 결과, 해당기업에서 처음 으로 중장기 전략수립 방안을 만들었으며, 이를 바탕 으로 판로개척과 신상품 개발을 단계적으로 추진하 였다. 이 가운데 특징적인 것은 지역의 이업종 중소기업 과 공동으로 상품 개발하는 아이디어를 학생들이 제 시하였다는 점이다. 지역의 양조업체와 연계하여 섬 유염색업체에서 생산한 수건으로 술병을 포장하여 명절선물로 하는 신상품을 발매하기로 하고 대형 백 화점과 지역 유통업체 등으로 판로개척이 이루어졌 다(그림 1). 상품 발매 초년도에 7,000병, 차년도에 9,000병이 완판되어, 지역 기업들의 매출액 증가로 이어졌다. 이와 같은 지역 내 타 업종 기업과의 공동 상품 개 발을 통해 지역경제발전을 위한 동반 성장이라는 산 학협력 사업의 취지가 지역에서 공감을 얻게 되고, 이 것이 각종 미디어에도 보도되었다. 이후 산학협력 사 업에 참여하는 지역의 양조업체들은 7개로 늘어났으 그림 1. 시바타시 게이와가쿠엔대학의 산학협력 사업을 통해 개발된 상품 자료: 니카타현 중앙지역 뉴스사이트, http://www. kenoh.com/2011/01/20ids/photo/pages/page_2.html - 520 -
인문사회계열의 산학협력과 지역발전: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며, 사업 대상 기업은 2011년에 지역의 디자인대회에 서 우수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시바타시 게이와가 쿠엔대학 산학협력 사업은 대상 기업의 역량강화는 물론이며, 지역경제에 있어서 기업 간의 상생협력을 통해 중소기업의 자생력을 키우는 계기가 된 것이 지 역 경제적 측면에서의 가장 큰 성과이다. 한편, 산학협력 사업을 주도적으로 이끈 학생들도 많은 교육적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현장경험을 통해 경영학의 기초지식이나 마케팅 노하우 등의 전공 분 야뿐만 아니라, 문제의식 과제 발굴 문제해결 능력, 의사소통능력 등을 시행착오를 겪어가며 터득하였 다. 즉, 게이와가쿠엔대학의 학생들은 산학협력 사업 을 통해 기업현장에서 자신의 전공을 살리며 창조성 에 기반 한 문제해결능력을 습득하였으며, 이는 취업 활동에도 실직적인 도움이 되었다. 3) 후쿠이시 후쿠이대학 사례 후쿠이시( 福 井 市 )는 현재 인구 약 27만 명의 후쿠 이현( 福 井 県 ) 현청소재지로, 일본의 대표적인 섬유도 시였으나 섬유산업의 쇠퇴와 함께 기계 전자산업 등 으로의 산업 재구조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지역의 대 표 국립대학인 후쿠이대학( 福 井 大 学 )은 교육지역과 학부 공학부 의학부 3개 학부와 대학원으로 구성되 어 있으며, 학부 재학생수 는 약 4,000명, 대학원 재 학생수는 약 1,000명의 중규모 대학이다. 후쿠이대 학에서는 지역공헌추진센터 등을 통해 지역의 지속 적인 발전을 위한 산학협력 사업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으며, 후쿠이시와는 지난 2014년 10월에 포괄산학 협력협정을 체결하여 지금까지 마을 만들기, 교육, 복지 등에서 개별적으로 추진해왔던 산학협력 사업 을 보다 체계적 조직적으로 추진하기로 하였다(후쿠 이대학 지역공헌추진센터, http://chiiki.ad.u-fukui. ac.jp/www/gov/detail.jsp?id=951). 특히, 후쿠이대학은 상학( 商 學 )협력 2) 으로 대학인 근에 위치하고 있는 타와라마치( 田 原 町 )상점가의 활 성화를 위한 방안을 2000년대 초반부터 모색해 왔다 ( 小 川 雅 人, 2013). 상학협력은 산학협력의 한 형태로, 일본에서는 지역 상점가 재생을 위한 대학과 상점가 의 상학협력이 하나의 용어로서 정착되어 있을 정도 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타와라마치상점가는 후 쿠이시 중심가에서 10분 정도 떨어진 최장 600미터 도로상의 상점가로, 상점가 주변 1km 내의 지역주민 들이 주로 이용하는 지역밀착형 상점가이다. 그러나 지역주민의 고령화에 따라 상점가 이용객들이 크게 줄어들고 있으며, 특히 1999년 이래로 상점가의 매출 이 매년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침체된 상점가 재생을 더 이상 상점가 사람들만의 역량으로는 추진 하기 어려워져 후쿠이대학에 도움을 요청하게 되었 다(타와라마치상점가진흥조합, 2011). 타와라마치상점가 활성화를 위해 2003년 10월에 상점가활성화 사업책정위원회 를 학생7명, 상점가관 계자 9명, 외부자문위원 3명으로 구성하여 발족하였 다. 이 위원회는 월 2회의 주기로 개최되어 상점가의 실태와 요구되어지는 기능에 대해 조사하고, 빈 점포 활용 방안 등에 대해서 다양한 각도에서 논의하였다. 후쿠이대학은 상점가 활성화 논의의 일환으로 상점 가의 빈 점포에 상점가진흥조합 및 타와라마치디자 인회의(시민단체)와 협력하여, 지역커뮤니티센터인 타와라야(たわら 屋 ) 를 2004년부터 설치 운영하고 있다. 센터는 20평 규모로 후쿠이대학 학생들이 항상 상주하며 운영하고 있다(그림 2). 후쿠이대학 학생들은 센터를 중심으로 하여 적극 그림 2. 지역커뮤니티센터 타와라야(たわら 屋 ) 전경 자료: 후쿠이대학 지역공헌추진센터 2011년 사업 자료, http://chiiki.ad.u-fukui.ac.jp/data/info/0000001355.pdf - 521 -
장후은 이종호 허선영 적으로 상점가 이벤트에 참가하기도 하며, 독자적으 로 이벤트를 기획 운영하기도 한다. 상점가 활성화 를 위한 대표적인 이벤트로는 후쿠이대학 학생, 상점 가, 지역 양조업체가 공동으로 마을 고유 브랜드 술을 개발하고 센터이름인 타와라야(たわら 屋 )을 붙여, 매 년 6월에 시음회와 함께 상점가내 음식점들이 참가하 는 안주 콘테스트를 개최하고 있다. 콘테스트에 입상 하면 음식점 홍보를 위해 학생들이 포스터 제작 등을 지원한다. 또한 매년 5월에 열리는 후쿠이대학 축제 에 맞추어 개최되는 떡방아 찧기, 할로윈 퍼레이드, 크리스마스 일루미네이션 등의 상점가 홍보 이벤트 가 후쿠이대학 학생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 은 상점가 연례 이벤트뿐만 아니라, 센터에서는 일상 적으로 후쿠이대학 학생을 중심으로 하여 지역 활성 화를 위한 연구회 및 교류회를 개최하고, 까페 갤러 리 물품판매 이벤트정보발신 등의 다채로운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지역커뮤니티센터 타와라야 블로그, http://tawaraya04.blog67.fc2.com/). 후쿠이대학 산학협력 사업의 지역경제적 측면에서 의 성과로는, 후쿠이대학의 상학협력이 지역 상점가 에 학생들의 참신한 아이디어와 적극적인 참여를 통 해 경영개선, 상점가안내, 정보발신 등의 다양한 시 도가 이루어지게 함에 따라 지역상점가 활성화에 기 여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상점가 사람들과 지역주 민들이 후쿠이대학과의 상학협력을 상점가가 지닌 강점으로 들고 있다는 점에서도 확인된다(타와라마 치상점가진흥조합, 2011). 특히 학생들이 중심이 되 어 운영하고 있는 지역커뮤니티센터는 상점가 활성 화를 위한 거점 시설로서, 학생 지역주민 업주가 모 이는 장소 및 교류의 기회를 제공하며 지역교류의 구 심점으로도 기능하고 있다. 교육적 측면에서의 성과로는, 지역커뮤니티센터 운영에 직접 참가하고 있는 학생들이 지역 주민들과 의 교류를 통해 지역과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을 가지 게 되고, 지역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노력 을 전개하였다는 점이다. 이는 향후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과 지역사회에서 활약할 인재로서 양성되어진다 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4) 사례 연구 비교 분석 이상의 3개 대학 사례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각각 산학협력 사업의 목표는 다르지만 지역발전을 위해, 대학을 포함한 지역의 다양한 주체의 참여, 주체들 간 의 지역 발전 비전 공유, 평등주의적이고 수평적인 네 트워크 형성, 자발적 협조적인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지역대학이 인문사회계열 중심 의 산학협력을 통해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는 것이다(표 2). 먼저, 교토시 리츠메이칸대학은 지역대학이 지역 브랜드 구축을 위한 비전 제시자의 역할과 함께, 지역 주체들 간의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코디네이터 역할 을 수행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지역 발전이 이루어지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역대학은 제각각의 이해관계 를 가지고 있는 지역 주체들의 중심에서 정보공유나 의견교환 및 조율을 촉진함으로서, 상호 신뢰와 협력 을 도모하는 네트워크를 형성시켜 지역 발전을 도모 하고 있다. 두 번째 사례인 시바타시 게이와가쿠엔대학의 경 우, 대학이 지역중소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한 촉진자 로서 지역발전에 기여하였다. 산학협력 사업을 통해 대학 교육과 지역산업 발전이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 여 지역 중소기업들이 문제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방 안을 강구할 수 있도록 하는 자립 역량을 강화시켜주 었다는 데에 의의가 크다. 세 번째 사례인 후쿠이시 후쿠이대학과 타와라마 치상점가의 산학협력은 일본에서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의 사례로도 소개되어지고 있다. 후쿠이대학 은 산학협력을 통해 지역커뮤니티를 복원하고 있으 며, 학생주도의 운영을 통해 활동이 유지되기 위한 수 입을 올릴 수 있는 커뮤니티비지니스도 펼치고 있다. 즉, 지역대학이 지역커뮤니티 복원의 매개자로서 지 역사회의 지속성을 배양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지역발전에 있어서 지역대학의 역할은 우수 인력과 경험을 갖춘 지역사회를 가장 잘 아는 집 단이며, 지역의 구성원으로서 지역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도출해 낼 수 있는 주체로, 지역주민과 지방정 부 등 다양한 지역 주체 모두와 소통할 수 있는 중재 - 522 -
인문사회계열의 산학협력과 지역발전: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표 2. 일본 인문사회계열 산학협력을 통한 지역발전 사례 비교 구분 교토시 리츠메이칸대학 시바타시 게이와가쿠엔대학 후쿠이시 후쿠이대학 사업 목표 지역 브랜드 구축 지역 중소기업 역량 강화 지역 상점가 활성화 주요 사업 내용 축제 개최 영세업체 경영 개선 및 신제품 개발 추진 주체 지역대학, 기업, 지방정부 지역대학, 기업 지역커뮤니티센터 운영 및 이벤트 개최 지역대학, 상점주, 지역주민, 시민단체 주요 참여 학과 영상학부, 정책과학부 인문학부 인문사회대학 전반 사업 성과 지역 경제적 측면 교육적 측면 지역대학의 역할 - 관광산업 활성화 - 문화콘텐츠산업의 새로운 인적 학술적 비즈니스 네트워크 형성 - 지역 브랜드의 자산 제고 및 확립 기여 - 봉사교육 - 의사소통능력, 교섭력, 실천적 응용력과 활용력 등 습득 비전 제시자, 네트워크 코디네이터 - 사업 대상기업 역량강화 - 지역 기업 간의 상생 협력을 통한 중소기업의 자생력을 키우는 계기 마련 기업현장에서 자신의 전공을 살리며 창조성에 기반한 문제 해결능력 습득 지역중소기업 역량강화를 위한 촉진자 - 위원회 구성을 통한 활성화 - 지역커뮤니티센터 운영을 통한 상점가 활성화 및 지역교류를 위한 거점 시설 구축 지역과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 고취 및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 지역커뮤니티 복원의 매개자 자이다. 지역대학이 가지는 신뢰성 종합성 중립성 이라는 특징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역 이해관 계자들의 공감 참여 협력을 유도하는 데 지역대학 을 필수불가결한 존재로 만든다. 즉, 지역대학은 산 학협력을 통해 지역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촉발자가 되며 핵심적인 연결고리이자 최종 실천자가 된다. 4.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지금까지의 지역 대학들은 기술적 측면에서의 연 구개발을 중심으로 이공계열 위주의 산학협력 활동 을 활발히 추진해온 한편, 다양한 지역 현안 해결에는 그 역할이 아직 미흡하였다. 그러나 최근 다양한 지역 주체들이 지역 발전을 위해 상호 연계 협력을 도모 하는 가운데, 지역대학이 산학협력 사업을 통해 지역 발전의 주요 주체로 부상하고 있다. 대학과 지역사회 는 분리 불가능한 공생관계로서 인식되어져 하며, 산 학협력의 영역 확대를 통해 인문사회계열 대학은 다 양한 형태로 지역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3개 대학 사례를 통해 인문 사회계열 산학협력의 일환으로 대학이 주도가 되어 각종 지역발전 사업들을 활발히 추진함으로서 대학 이 입지하고 있는 지역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음을 확 인하였다. 교토시 리츠메이칸대학의 경우, 영상학부 와 정책과학부의 교수 및 학생들은 축제 개최를 통해 지역 브랜드 구축에 기여하고 있으며, 비전 제시자이 자 네트워크 코디네이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 다. 시바타시 게이와가쿠엔대학의 인문학부에서는 영세업체 경영 개선 및 신제품 개발을 통해 지역중소 기업 역량강화를 위한 촉진자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후쿠이시 후쿠이대학은 인문사회대학 전반에 걸쳐 지역커뮤니티센터 운영 및 이벤트 개최를 추진하여 지역 상점가 활성화를 도모하였으며, 지역커뮤니티 복원의 매개자가 되어 지역사회에 공헌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지역문제 해결에 있어서 소극적이었던 대학의 역할에서 벗어나 인문사회계열의 산학협력을 통해 지역사회와 보다 적극적인 관계 맺음으로써 대 학이 지역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일본의 지역대학들 의 사례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 523 -
장후은 이종호 허선영 첫째, 인문사회계열 산학협력의 활성화를 위해서 는 기존의 대기업과 이공계열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산학협력이 다양한 전공과 각종 지역 주체들과의 연 계 협력을 통해서도 이루어진다는 인식의 제고가 필 요하다. 지금까지 이공계열 기술 연구개발 중심의 산 학협력 관점에서만 한정되어 있었던 산학협력을 인 문사회, 예술 계열까지 확대하고, 지역기업뿐만 아니 라 지역주민, 시민단체, 지방정부 등의 지역의 다양 한 주체들과 상호 협력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제고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 관계자, 정책입안자뿐만 아니라 기업, 학생 등 사회 전반에 걸친 산학협력 패러다임의 전환이 요구 된다. 일본의 3개 사례 분석 결과, 사례 지역들은 인 문사회계열 산학협력을 통해 지역의 각종 문제 해결, 지역경제의 활성화, 지역 이미지의 개선 등의 유무형 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따라서 인문사회계열 산학 협력 확대를 통해 대학과 지역이 연계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대학과 지역의 상호발전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생 주도로 이루어지는 산학협력을 확대하 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일본의 산 학협력에 있어서 가장 특징적이라 할 수 있는 것은 학 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학생과 지역주체들과 의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교육적 성과도 매우 높다는 점이다. 우리나라의 대학들의 경우, 학생들 대부분이 수동적이고 정태적이며 하향식의 산학협력 사업 참여 형태를 보이고 있다. 학생들의 보다 능동적 이고 적극적이며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프 로그램 개발과 우수 사례 발굴을 통한 확산이 요구된 다. 특히, 인문사회 계열 학생들의 참여를 통한 산학 협력 활성화를 위해서는 각종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통한 지역발전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하여 프로그램 추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인문사회계열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대학 내의 적극적인 추진 의지와 노력이 요구된다. 아직 우 리나라의 대학들은 여전히 폐쇄적이고 지역과의 상 호 교류가 거의 없는 상아탑이라 할 수 있다. 대학의 제3의 임무인 지역사회 공헌 기능으로서 지역사회에 서 준공공적인 역할을 성실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와의 협력관계 구축이 필요하며, 이는 인문 사회계열 산학협력 사업을 통해 가능하다. 일본 대학 들은 기술이전사업센터와는 별도로 지역협력센터 등 의 조직 운영을 통해 인문사회계열 산학협력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인문사회 계열 산학협력 사업의 경우, 연구기술개발 성과에 의 한 이공계열 산학협력 사업과 비교하면 사업 규모가 작은 프로젝트성 사업이 주로 추진되고 있어, 대학의 자구적인 노력에 의한 추진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대학은 지역의 필요를 반영하는 실제적 착근적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지역사회 구성원으로서 지역발전에 대한 발의와 참여에 보다 적극적이 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정부차원에서는 대학을 지역발전의 주체이 자 자원으로 인식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협 력하는 전략으로서 인문사회계열 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수립이 필요하다. 현 박근혜 정부의 핵심 정책 아젠다인 창조경제의 생태계 조성에서 산학협력이 주요한 내용으로 등장하면서 이에 관련된 각종 정부 의 재정지원 사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다 양한 형태로 추진되고 있는 산학협력 관련 사업 가운 데 상경계열을 제외한 인문사회 계열 분야를 대상으 로 한 산학협력 사업은 대단히 미흡한 수준이다. 설 사 있다하더라도 그 대부분은 학술 위주의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재생, 전통시장 활성화 등의 각 종 지역발전 이슈와 관련된 부분에 있어서 지역대학 의 활발한 참여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정부의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지원 사업이 그 영역을 확장해야 할 것 이다. 주 1) 축제명이 전국시대뿐만 아니라 모든 시대를 아우르는 축제 로 거듭나기 위해 2014년도부터 우즈마사조라쿠마츠리( 太 秦 上 洛 まつり)로 변경되었다. 2) 상학협력이란 지역의 상점가와 학생들이 협력하여 상점가 활성화를 도모하는 활동을 말한다. 중소기업들이 광범위 한 업종을 가지고 있다는 측면에서 산학협력의 범위가 종 - 524 -
인문사회계열의 산학협력과 지역발전: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래의 이공계 중심에서 탈피하여 경영, 마케팅, 인재육성 등의 분야에 있어서 인문사회계열 산학협력이 필요하다는 인식론에 기반하고 있다(이민정, 2011). 상학협력은 상점 가의 재생 또는 활성화에 있어 부족한 부분을 대학으로부 터 보충 보완하여, 상점가의 새로운 발전 나아가 혁신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참고문헌 기영석, 2008, 협력을 통한 지역과 대학의 상생적 발전 정책: 지방대학혁신역량강화사업 중간평가를 중 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22(4), 155-182. 김철영, 2013, 대학과 지역의 협력을 통한 지역사회 활성 화 방향에 관한 연구 - 일본의 대학과 지역이 연 계하는 마을만들기 추진실태를 중심으로, 한국 도시설계학회지, 14(5), 65-78. 김효진, 2014, 대학의 지역사회 참여와 그 한계 -2000년 대 이후 교토 니시진의 사례를 중심으로-, 일본 연구, 21, 207-229. 남재걸 이종호, 2010, Conceptualizing the Engagement of Universities in Regional Development in a Knowledge-based Society,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3(1), 19-38. 류연택 정희선, 2007, 대학-지역사회 파트너십과 지역 사회 개발: 미국의 대학-지역사회 협력 프로그 램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0(2), 89-103. 박영한 조영국 안영진, 2001, 대학과 지역발전: 연구 동향과 전망, 대한지리학회지, 36(4), 418-433. 박영한 조영국 안영진, 2005, 대학과 지역발전, 한울아 카데미. 박종무 엄창옥 이재록 황우익, 2000, 한국 산학협동의 실태와 전망, 산학경영기술연구원. 백영기, 2012, 대학과 기업 간 상호협력에 따른 혁신창 출- 계량서지학적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5(4), 493-514. 손승호, 2007, 일본의 대학-지역사회 파트너쉽과 도시 재활성화, 한국도시지리학회, 10(2), 105-117. 안영진, 2005, 대학과 지역 간의 교류 및 협력 방안에 관 한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8(1), 71-89. 안영진, 2007, 대학의 지역사회 봉사: 전남대학을 사례 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0(1), 64-80. 안영진, 2010, 대학의 지역경제적 파급효과: 독일대학의 사례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3(4), 529-547. 안영진, 2015, 대학과 기업 간의 협력: 기술이전을 중심 으로 한 전남대학교의 사례 분석, 한국경제지리 학회지, 18(2), 190-205. 오충원, 2008, 대학입지에 따른 지역발전에 대한 연 구- 남서울대학교를 사례로, 국토지리학회지, 42(3), 501-511. 이만희, 2001, 대학과 지역사회 특성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민정, 2011, 商 学 連 携 による 商 店 街 の 再 生 : 橫 浜 市 洪 福 寺 松 原 商 店 街 と 橫 浜 國 立 大 学 の 商 学 連 携 事 業 の 事 例 を 中 心 に, GRI연구논총, 13(2), 277-300. 이병민 이원호, 2013, 창의적 대학의 역할을 통한 지역 발전의 특징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47(2), 201-216. 이유정 이원범, 2013, 평생학습시대의 대학과 지역사회 의 파트너십에 관한 연구-일본 와카야마대학 지 역연계 평생학습센터의 사례를 중심으로, 일어 일문학, 57, 193-216. 이종호 김태연 이철우, 2009, 외레순 식품 클러스터의 트리플 힐릭스 혁신체계,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2(4), 388-405. 이종호 이철우, 2014, 트리플 힐릭스 공간 구축을 통한 클러스터의 경로파괴적 진화-미국 리서치트라 이앵글파크 사례,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2), 249-263. 이철우 이종호 박경숙, 2010, 새로운 지역혁신 모형으 로서 트리플 힐릭스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경 제지리학회지, 13(3), 335-353 임홍식, 2014, 대학의 사회적 역할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 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조성의, 2014, 사이언스파크에서 기업가적 대학의 역할 에 대한 연구: 북경 중관촌 지역 사례, 한국경제 지리학회지, 17(1), 160-177. 조영하, 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 에 관한 연구: 지역혁신을 위한 산학협력 관점에 서의 이해, 한국교육, 35(1), 191-226. Asheim, B., Coenen, L. and Moodysson, J., 2007, Constructing knowledge-based re-gional advantage: - 525 -
장후은 이종호 허선영 implications for regional innovation policy, International Journal for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 Management, 7, 140-155. Benneworth, P. and Hospers, G.-J., 2008, The new economic geography of old industrial regions: Universities as global-local pipelines, Environment and Planning C: Government and Policy, 25, 779-802. Etzkowitz, H. and Leydesdorff, L., 1995, The triple helixuniversity-industry-government relations: a laboratory for knowledge-based economic development, EASST Review, 14, 14-19. Etzkowitz, H., Ranga, M., Benner, M., Guaranys, L., Maculan, A.M. and Kneller, R., 2008, Pathways to the entrepreneurial university: towards a global conver-gence, Science and Public Policy, 35, 681-695. Gunasekara, C., 2004, The third role of Australian universities in human capital formation, Journal of Higher Education Policy and Management, 26, 329-343. Mayer, H., 2007, What is the role of the university in creating a high-technology region?, Journal of Urban Technology, 14, 33-58. Philpott, K. Dooley, L. O Reilly, C. and Lupton, C., 2011, The entrepreneurial university: Examining the underlying academic tensions, Technovation, 31, 161-170. Westnes, P., Hatakenaka, S., Gjelsvik, M. and Lester, R.K., 2009, The Role of Universities in Strengthening Local Capabilities for Innovation A Comparative Case Study, Higher Education Policy, 22, 483-503. Youtie, J. and Shapira, P., 2008, Building an innovation hub: A case study of the transformation of university roles in regional technological and economic development, Research Policy, 37, 1188-120. 小 川 雅 人, 2013, 持 続 性 あるまちづくり, 創 風 社. 吉 田 健 太 郎, 2014, 地 域 再 生 と 文 系 産 学 連 携 ソーシャ ル キャピタル 形 成 に 向 けた 実 態 と 検 証, 同 友 館. 田 原 町 商 店 街 振 興 組 合, 2011, 田 原 町 商 店 街 振 興 組 合 元 気 再 生 計 画. 게이와가쿠엔대학 지역연계 사이트, http://www.keiwac.ac.jp/regional/ 리츠메이칸대학 연구 산학협력 사이트, http://www. ritsumei.ac.jp/research/ 니카타현 중앙지역 뉴스사이트, http://www.kenoh.com /2011/01/20ids/photo/pages/page_2.html 우즈마사센코쿠마쯔리 축제 홈페이지, http://www.joraku.jp/faq.html 지역커뮤니티센터 타와라야 블로그, http://tawaraya04. blog67.fc2.com/ 후쿠이대학 지역공헌추진센터, http://chiiki.ad.u-fukui. ac.jp/www/gov/detail.jsp?id=951 후쿠이대학 지역공헌추진센터 2011년 사업 자료, http:// chiiki.ad.u-fukui.ac.jp/data/info/0000001355. pdf 교신: 이종호, 52828, 경남 진주시 진주대로501, 경상대 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이메일: jhl@gnu.ac.kr) Correspondence: Jong-Ho Lee,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501, Jinju-daero, Jinju-si, Gyeongsangnam-do, 52828, Korea (e-mail: jhl@gnu.ac.kr) 최초투고일 2015. 10. 13 수정일 2015. 10. 25 최종접수일 2015. 10. 3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