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석사학위논문 자존감과 SNS 중독경향성의관계에서외로움의매개효과 전남대학교대학원 심리학과 박나리 2015 년 2 월
심리학석사학위논문 자존감과 SNS 중독경향성의관계에서외로움의매개효과 전남대학교대학원 심리학과 박나리 2015 년 2 월
자존감과 SNS 중독경향성의관계에서외로움의매개효과 이논문을심리학석사학위논문으로제출함 전남대학교대학원 심리학과 박나리 지도교수 신현균 박나리의심리학석사학위논문을인준함 김문수 ( 인 ) 박형인 ( 인 ) 신현균 ( 인 ) 2015 년 2 월
목차 국문초록 ⅴ Ⅰ. 서론 1 1. 연구필요성 1 2. 이론적배경 2 가. SNS 중독경향성 2 나. 자존감, 외로움과 SNS 중독경향성의관계 4 3. 연구목적및가설 8 Ⅱ. 연구방법 10 1. 연구대상 10 2. 측정도구 11 가. 자존감척도 11 나. 한국판 UCLA 외로움척도 11 다. 대학생용 SNS 중독경향성척도 12 3. 연구절차및분석방법 13 Ⅲ. 결과 15 1. 주요변인들의기술통계치 15 2. 주요변인들간의관계분석 15 3. 자존감과 SNS 중독경향성의관계에서외로움의매개효과검증 16 Ⅳ. 논의 20 참고문헌 24 - i -
영문초록 30 부록 32 - ii -
표목차 표 1. SNS 유형, 사용기간, 접속률의빈도및백분율 10 표 2. 대학생용 SNS 중독경향성척도의하위요인, 문항, 신뢰도 13 표 3. 자존감, 외로움, SNS 중독경향성의평균, 표준편차및범위 15 표 4. 자존감, 외로움, SNS 중독경향성의하위요인간의상관 15 표 5. 자존감과외로움의회귀분석결과 17 표 6. 자존감과 SNS 중독경향성의관계에서외로움의매개효과 17 - iii -
그림목차 그림 1. 연구모형 9 그림 2. 자존감과조절실패및일상생활장애의관계에서외로움의매개효과 18 그림 3. 자존감과몰입및내성의관계에서외로움의매개효과 19 그림 4. 자존감과부정정서의회피의관계에서외로움의매개효과 19 그림 5. 자존감과가상세계지향성및금단의관계에서외로움의매개효과 19 - iv -
자존감과 SNS 중독경향성의관계에서외로움의매개효과 * 박나리 전남대학교대학원심리학과 ( 지도교수 : 신현균 ) ( 국문초록 ) 본연구는자존감과 SNS 중독경향성의관계를알아보고, 외로움이자존감과 SNS 중독경향성의관계에서매개변인으로의역할을하는지알아보고자하였다. 연구참여자는전국의 4년제대학에재학중인대학 ( 원 ) 생 294명이었고, 측정도구로는자존감척도, 한국판 UCLA 외로움척도, 대학생용 SNS 중독경향성척도를사용하였다. 각변인간의상관분석과회귀분석을통해나온결과는다음과같다. 첫째, 자존감은외로움과 SNS 중독경향성과부적상관관계를보였고, 외로움과 SNS 중독경향성의관계는정적인상관관계를보였다. 둘째, 자존감과 SNS 중독경향성의관계에서외로움이완전매개효과를보였다. 이결과는자존감이 SNS 중독경향성에직접적인영향을미치기보다는외로움을통해간접적으로영향을미친다는것을의미한다. 본연구는자존감에서 SNS 중독경향성으로가는경로의기제를살펴보았다는점에서의의가있다. 주요어 : 자존감, 외로움, SNS 중독경향성, 매개효과 * 본연구는장훈장학회후원을받아 인바이트 (www.invight.co.kr) 에서자료를수집함. - v -
Ⅰ. 서론 1. 연구필요성 소셜네트워크서비스 (Social Network Service: SNS) 는인터넷을통해타인과정보공유를하거나자기표현등을함으로써인간관계를맺거나유지할수있는서비스로정의된다. SNS 종류에는미니홈피, 블로그, 마이크로블로그등이포함된다 ( 한국인터넷진흥원, 2009). 최초의 SNS는클래스메이트닷컴 (Classmate.com) 으로 1995년에서비스를시작했으며, 국내의경우에는 2001년싸이월드가서비스를시작함으로보급되기시작하였다 ( 이주영, 2013). 2011년을기준으로인터넷사용자의 43.9% 가 SNS 를사용하였으며, 2012년에는전세계적으로 SNS 사용자가 13% 증가한약 11 억명에이르는것으로추정되었다 (Gartner, 2012: 이주영, 2013에서재인용 ). 한국인터넷진흥원 (2013) 의조사에의하면만 6세이상의인터넷사용자중 55.1% 는 SNS 사용자로나타났다. 최근에는스마트폰의발달로 SNS 사용자 10 명중 9명이스마트폰으로 SNS에접속한다고나타났다. 이를통해서 SNS의사용이증가하고있으며스마트폰의보급으로접근이더용이해졌음을알수있다. SNS의사용은정보를공유하고인간관계를맺고유지하는데에도움을주는등많은이점이있지만다양한문제도함께나타나고있다. 우선, SNS 사용에피로를느끼거나사생활노출과관련하여곤란한경험을했다는의견이있다 ( 오예진, 2013). 또한보다주목해야할문제점은 SNS의과다사용으로인한것이다. SNS 사용자의무려 21.2% 가 SNS를확인하지못하는상황에서불안을느낀다고응답하였다. 불안을느끼는것에그치지않고, 직장이나학교생활을영위하는데있어실질적인불편을경험하였고, 심지어 SNS 과다사용으로인해주변지인들과갈등을일으킨적도있는것으로나타났다 ( 한국인터넷진흥원, 2013). 최근에이러한문제점들을반영하여 SNS의과다사용과관련된연구가진행되고있다. 하지만, 관련변인들간의관계연구보다는심리적요인들에관한탐색적연구또는실태조사가주를이루고있다. 국외에서는 SNS 중독또는페이스 - 1 -
북중독이라는용어로연구가이루어지고있으며 (Kuss & Griffts, 2011), 페이스북중독척도개발도진행되었다 (Andreassen, Torsheim, Brunborg & Pallesen, 2012). 국내에서는 SNS 중독에대한개념정리와더불어관련변인에대한연구가최근에시작되었으며, SNS 중독을측정하는척도도대학생을대상으로최근에개발되고타당화되었다 ( 정소영, 김종남, 2014). 따라서 SNS 중독과관련된변인에대한연구뿐만아니라이들의관계에대한연구도추가적으로필요하다. 2. 이론적배경 가. SNS 중독경향성 중독은개인의신체적, 사회적, 정신적, 경제적인안녕을파괴시킴에도불구하고어떤행동이나물질사용을강박적으로계속하게되는것으로정의된다 (Young & De Abreu, 2010/2013). DSM-5(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에서는물질관련및중독장애로술, 담배, 마약같은중독성물질을사용하거나중독성행위에몰두함으로생겨나는다양한부적응적증상을제시하고있다. 이장애범주는물질관련장애와비물질관련장애로나뉘어있으며, 비물질관련장애에는도박장애가제시되어있다. 이외에향후연구가필요한영역에인터넷게임장애가포함되어있다. 인터넷게임장애는인터넷게임을통제하지못하고사용하는것으로행동중독으로분류된다. 중독에대한초기개념은약물같은물질관련중독이었지만, 최근에는도박중독, 쇼핑중독, 인터넷중독과같은행동중독도중독의정의에포함시킬수있다 ( 류인균등, 2000). 행동중독은어떤행동을즐기면서단순히자주반복하는것이아니라행동을조절하고싶으나조절이어렵고그때문에일상생활에문제를가져와생활의균형이깨진상태를말한다 ( 김교헌, 2002). Griffiths(2005) 는약물만이중독의위험이있는것이아니라도박, 과식, 운동, TV, 컴퓨터게임과같은인간의활동이중독될수있으며이러한행동적중독도 - 2 -
약물중독과유사하게현저성, 기분변화, 내성, 금단, 갈등, 재발과같은여섯가지특징을보인다고주장하였다. 현저성은어떤특정활동이개인에게중요한것으로자리잡아생각, 느낌, 행동을지배하는것이다. 기분변화는특정행동에몰두하게될때나타는결과로불쾌감, 불편과같은감정이개선되어만족감과행복을느끼는것이다. 내성은이전과같은효과를느끼기위해더많은행동을하는것이며, 금단은특정행동을하지못하게되었을때나갑자기감소하였을때, 불쾌한기분을느끼거나두통, 불면, 메스꺼움등과같은신체적증상이나타나는것이다. 갈등은특정행동에과도하게몰입해서대인관계, 일, 학업등과같은다른활동과갈등이일어나는대인관계갈등과과다한행동을줄이거나멈추고싶은것에서오는개인내부적갈등을말한다. 재발은특정행동을통제하고난뒤에도다시하고싶어서행동의중독적인증세를다시되풀이하는것을뜻한다 ( 오윤경, 2013; 정소영, 김종남, 2014; Griffiths, 2005). 이러한관점에서인간의행동도중독이될수있으며, SNS 중독도행동적중독의하나로분류될수있다. Young(1999) 은인터넷중독을다섯가지하위유형으로분류하였다. 첫번째유형은인터넷강박증으로충동적인온라인도박, 경매, 강박적인온라인거래등을포함한다. 두번째유형은사이버섹스중독으로인터넷의익명성과접근성을이용해포르노를보거나채팅을이용해사이버섹스를하는것이다. 세번째유형은정보과부하로웹서핑, 자료검색과정보수집에중독되는것을나타낸다. 네번째유형은컴퓨터중독으로인터넷을사용하지않더라도게임이나프로그램을짜는등컴퓨터를이용하는것에과도한집착을보이는것이다. 다섯번째유형은사이버관계중독으로채팅방, 뉴스그룹등온라인상의대인관계에집중하는경우이다. SNS 중독은대인관계의목적을많이띠고있는 SNS의특성상사이버관계중독으로볼수있다 ( 조성현, 서경현, 2013). SNS 중독은 온라인상의대인관계에과도하게몰입하여금단및내성이나타나며, 일상생활에지장을주는것 이라고정의되기도한다 ( 정소영, 김종남, 2014). 국내에서는 SNS 중독경향성 ( 오윤경, 2012; 조성현, 서경현, 2013), 페이스북중독 ( 고은영, 최윤영, 최민영, 박성화, 서영석, 2014) 이라는용어로심리적변인과의관계연구가진행되었지만아직까지는많이부족한실정이다. 또한 SNS는사용의역사가짧은만큼 - 3 -
중독이란개념정리가확립되지않았다. 따라서본연구에서는선행연구와마찬가지로 SNS 중독경향성이라는용어를사용할것이며, SNS 중독경향성과관련된변인을알아보고중독경향성으로가는심리학적기제를탐색하는연구를진행해보고자한다. 나. 자존감, 외로움과 SNS 중독경향성의관계 인터넷공간은시간과장소의제약에서자유로우며실제자신의모습을감추면서활동이가능한익명성을보장받을수있는공간이라는특징을가지고있다. 그렇기때문에인터넷공간안에서는현실세계에서누릴수없는것들을보상받을수있는공간이되기도한다 (Young & De Abreu, 2010/2013). 인터넷및게임중독과관련된변인들에대한강희양과손정락 (2007) 의메타분석연구에따르면, 현재자긍심, 자존감, 자기통제력등의변인이포함된자기관련변인이인터넷중독연구에서관련변인으로많이사용되었다고한다. 강희양과손정락 (2007) 의연구에서온라인게임중독집단과인터넷중독집단을구분하여두집단간차이를알아보았는데그결과, 자기관련변인이집단간유의한차이가있는것으로확인되었다. 이는인터넷중독이온라인게임중독집단보다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자존감, 자긍심등과같은변인들과더욱관련이있다는것을의미한다. 즉, 인터넷사용을게임을하기위한것과정보검색, 의사소통을위한것처럼사용목적이서로다를경우, 다른심리적특성에영향을받는다고할수있다. 따라서본연구에서는 SNS 중독경향성과자기관련변인중하나인자존감과의관계를살펴보고자한다. 자존감은자기자신을긍정적이고가치있는존재라고생각하는것으로정의될수있다 (Rosenberg, 1965). 자존감은자아개념의하위범주로흔히자기가치, 자기존중, 자기애정등의용어들과같이쓰인다. 자존감이낮은사람들은자기에대해평가를할때, 다른사람들의반응을참고하여상대적인평가를하기쉽고자기와관련된사회적자극에더민감해진다. 그렇기때문에자기와관련된부정적피드백에더큰고통을경험하고반대로긍정적인피드백에대해서는더큰즐거움을경험한다. 따라서다른사람이보이는반응에민감하게되고 - 4 -
나아가상대방의행동이자신에대해평가하는것으로생각해상대방이자신에대해부정적인감정, 의도를가지고있다고오해할가능성이높다 ( 안미영, 1998). 자존감이낮은사람의이러한특징은현실에서타인과의상호작용을방해하고대인관계에문제를일으키게된다. 따라서자존감이낮은사람들은온라인대인과계에가치를부여하게되며, 이는인터넷사용을병리적으로발달시킴으로개인이인터넷중독에더욱취약하도록만든다 ( 류인균등, 2000). 다른연구들에서도자존감과인터넷중독이서로관련이있으며낮은자존감이인터넷중독의유의한예측변인이라는결과가나타난다 ( 김종범, 한종철, 2001; 김진희, 김경신, 2006; 서부덕, 최은희, 2006; 황혜리, 류수정, 2008; Young & De Abreu, 2010/2013). 또한자존감이낮은사람은인터넷사용에많은시간을보내게되므로낮은자존감은인터넷을중독적으로사용하게하는예측변인이된다 (Armstrong, Phillips & Saling, 2000). SNS 사용에대한연구에서도낮은자존감이관련있다는결과가있다. 이를살펴보면, 자존감이낮은사람들은페이스북활동에더많은시간을보내게되며, 자기홍보적인글을자주게시하는것으로나타났으며 (Mehdizadeh, 2010), SNS를중독적으로사용하게하는예측변인이라는결과도있다 (Kuss & Griffiths, 2011). 즉, 인터넷공간의특징과마찬가지로 SNS는현실세계의낮은자존감을보상받을수있는공간이며, 현실에서맺기힘든대인관계를맺게해주는공간이될수있는것이다. 따라서자존감이낮은사람들은 SNS에빠져들기쉬우며중독적으로사용하게될수있다는것을예측해볼수있다. 외로움은개인이원하는대인관계와실제적인대인관계사이의불일치를지각함으로써주관적인정서적불쾌감을경험하는것으로정의된다 (Peplau & Perlman, 1982). Weiss(1980/1983) 는외로움을두가지유형으로구분하였다. 첫번째유형은감정적인외로움으로타인과의정서적인교류의결핍으로나타나는외로움이며, 두번째유형은사회적인외로움으로사회적관계가부족할때나타나는외로움이다. 사회적외로움은사회적관계에서고립이지속될수록점차증가하는반면에감정적외로움은정서적교류를하던대상이사라지고나서즉각적으로나타나는특성이있다. 외로움과인터넷사용의관계에대한연구에서외로움의수준이높은사람들 - 5 -
은인터넷을사용하는시간이더길며 (Amichai-Hamburger & Ben-Artzi, 2003), 인터넷과 e-mail 사용을더자주하는경향이있으며, 인터넷을통해서정서적지지를얻으려한다는결과가있다 (Morahan-Martin & Schumacher, 2003). 외로움과 SNS의매체인페이스북사용에관한연구들에서는외로움수준이높은사람들은그렇지않은사람들보다페이스북을통해더많은친구를맺으며 (Skues, Williams & Wise, 2012), 페이스북을사용하는시간이더길다는결과가있다 (Ryan & Xenos, 2011). 또한외로운사람들은타인과접촉하는수단으로페이스북을사용하게하기도한다 (Clayton, Osborne, Miller & Oberle, 2013). 외로운사람들은인터넷과페이스북사용에많은시간을들여다른사람과관계를맺고이들로부터사회적지지를얻으려고함을알수있다. 정서적고독감이높은사람은통해정보를탐색하거나획득하기보다는시간을보내기위해접속한다. 정서적고독감이높은사람들은인터넷활동을통해관계를형성하고유지한다. 인터넷대인관계활동은심리적으로만족스러운대인관계를유지할수있는특징이있기때문에정서적고독감이높은사람들은사회적관계형성을위해인터넷활동에몰두하는것이다 ( 김기범, 김미희, 최상진, 2001). 외로움과개념적으로비슷한소외감을변인으로한연구에서도소외감의수준이높을수록 SNS 중독경향성이높다는결과가나타났으며 ( 조성현, 서경현, 2013), 높은외로움수준은 SNS 중독의유의한예측변인이된다는연구결과도있다 ( 정소영, 김종남, 2014; Kuss & Griffiths, 2011). 종합해서, 외로움이높은사람들은인터넷에서맺는대인관계의편리성과즉시성으로온라인에서의상호작용을더추구한다고예측해볼수있다. 즉, 외로움이높은사람들은타인과의관계의형성및유지가어려워현실에서의대인관계에만족을얻지못하며, 이를해소하기위해서인터넷과 SNS를중독적으로사용하게될것이라고예측해볼수있다. 인터넷중독및 SNS 중독경향성의관련변인이라고알려진자존감과외로움은대인관계적특성과관련된변인이기도하다. 인간은태어나면서부터일생을살아가는동안타인과의정서적유대와지지를필요로한다. 하지만모든사람들이정서적교류를가지고사회적관계에만족을느끼는것은아니다 ( 박선영, 도현심, 1998). 자존감이낮은사람들은사회적상호작용을부정적으로보게되며, - 6 -
타인도자신을부정적으로본다고생각한다. 따라서타인과대인관계를형성하는데위축되고어려움을느끼게된다 (Horowitz, French & Anderson, 1982). 또한, 자존감이낮은사람들은타인이무관심또는배려없는행동을보이는등오해를불러일으킬수있는상황에서자기참조적인생각을더많이하는것으로나타났다 ( 안미영, 1998). 이런특징은개인의사회적상호작용을방해하며이로인해불편과불만족을경험하게된다. 한개인의불만족스러운사회적관계는어디에도소속되지못했다는단절감과소외감을느끼게하고이는자기비하를하게하고상실감에이르게하여사회에부적응하게만들수있다 (Rubenstein & Shaver, 1982). 인간은사회적상호작용에대한욕구를가지고있는데사회적상호작용의욕구가만족되지못할때외로움을느낀다 ( 김옥수, 1997). 자신에대해생각하고판단하는자기평가는외로움의경험을이해하는데중요한요소로서, 낮은자존감은높은외로움의수준과관계가있다는것은여러연구들을통해밝혀져왔다 (Çivitci & Çivitci, 2009; Heinrich & Gullone, 2006; McWhirter, 1997; McWhirter, Besett-Alesch, Horibata & Gat, 2002). 자존감이낮은사람들은자신의가치와능력에대해회의감을가지게되며, 낮은자존감은사회적상호작용을부정적으로바라보게함으로써타인과의관계에적응하기어렵게만든다 (Peplau, Miceli & Morasch, 1982). 한연구에서는자존감이낮은대학생들의외로움의수준이 1년이지난뒤, 더증가했다는결과도있다 (Nurmi, Toivonen, Salmela-aro & Eronen, 1997). 이들을고려해보았을때, 낮은자존감은외로움을경험하게할수있다고예측해볼수있다. 자존감이낮은사람은타인의평가에민감하게반응하며, 다른사람들이자신을부정적으로바라볼것이라고생각을한다. 이것은타인과관계를맺고유지하는것을방해할것이며, 여기서불만족을느낀개인은외로움을느끼게될것이다. 앞의내용들을종합해보면, 낮은자존감을가진개인은성공적이고만족할만한대인관계를맺지못할것이며, 자신이원하던대인관계와현실의대인관계의차이에서오는불만족으로인해외로움을느낄것이다. 외로움이높은사람은자신의외로움을해결하기위해시간적, 공간적제약을받지않고타인과쉽게교류할수있는 SNS 사용에몰두하게될것이고결과적으로 SNS 중독적으로사 - 7 -
용할가능성이높아질것이다. 이를바탕으로외로움이자존감과 SNS 중독경향 성간의관계에서매개효과를보일것이라는변인들간의관계를예측해볼수 있다. 3. 연구목적및가설 본연구에서는인터넷중독이나 SNS 중독경향성과관련된변인을밝히는기존의연구에서더나아가중독과관련된변인들간의관계를밝히고중독으로가는과정에대해연구해보고자한다. 선행연구들에서인터넷중독및 SNS 중독경향성과관련이있다고한자존감과외로움 ( 김종범, 한종철, 2001; 서부덕, 최은희, 2006; 오윤경, 2012; Kuss & Griffiths, 2011) 이 SNS 중독경향성과어떤관계를가지고있는지확인한다음, 자존감과 SNS 중독경향성의관계에서외로움이매개효과를보이는지알아보고자한다. SNS 중독경향성척도의타당화연구 ( 정소영, 김종남, 2014) 에서 SNS 중독경향성은조절실패및일상생활장애, 몰입및내성, 부정정서의회피, 가상세계지향성및금단이라는 4개의하위요인으로구성된다. 일상생활장애및조절실패는 SNS활동과관계되어전반적인생활에곤란이생기는것과절제또는통제시도의실패에대한내용으로구성되어있으며, 몰입및내성은 SNS에많은시간과생각을할애하는몰입과의도한시간보다더오래사용하게되는내성의내용으로구성되어있다. 부정정서의회피는원래기분전환요인으로구성되었는데문항내용이무력감, 우울감, 스트레스등의부정적정서를잊거나줄이기위해 SNS를사용한다는내용으로구성되어부정정서의회피로재명명되었다. 마지막으로가상세계지향성및금단은 SNS에서자신의가치를찾는경향이강할수록 SNS를못하게되는상황에서불쾌감을크게경험하는내용으로구성되었다. 따라서각하위요인별로자존감, 외로움이어떤영향을미치는지알아보고자한다. 자존감과인터넷중독의관계에서우울 ( 노안영, 정민, 2011) 과자기통제력 ( 김진희, 김경신, 2006) 이매개효과를보였다는연구결과를고려해다른매개변인들의영향이있을것으로예상하여완전매개효과가아닌부분매개효과를보일것이라고예상하였다. 이런내용 - 8 -
들을바탕으로한본연구의가설은다음과같다. 가설 1. 자존감은 SNS 중독경향성의하위요인인조절실패및일상생활장애, 몰입및내성, 부정정서의회피, 가상세계지향성및금단과부적상관을보일것이다. 가설 2. 외로움은 SNS 중독경향성의하위요인인조절실패및일상생활장애, 몰입및내성, 부정정서의회피, 가상세계지향성및금단과정적상관을보일것이다. 가설 3. 자존감은외로움과부적상관을보일것이다. 가설 4. 자존감과 SNS 중독경향성의하위요인인조절실패및일상생활장애, 몰입및내성, 부정정서의회피, 가상세계지향성및금단과의관계에서외로움이부분매개효과를보일것이다. 외로움 자존감 SNS 중독경향성 그림 1. 연구모형 - 9 -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SNS를대학 ( 원 ) 생이가장많이사용한다는조사결과 ( 한국인터넷진흥원, 200 9) 에따라 SNS를사용하고있는전국의 4년제대학교의대학 ( 원 ) 생 300명을대상으로설문조사를실시하였다. 온라인패널사이트를통하여총 300부의설문지를실시하였고, 이중 SNS를사용하지않는다고대답한 6명을제외한총 294명의자료를분석하였다. 설문에참여한학생들의평균연령은 23.06세 (SD = 2.48) 였으며, 전체 294명중남자는 146명 (49.7%) 이고, 여자는 148(50.3%) 의분포를보였다. SNS 유형 a 빈도 % 페이스북 253 86.1 카카오스토리 102 34.7 트위터 78 26.5 인스타그램 72 24.5 기타 5 1.7 사용기간 1 개월미만 5 1.7 1 개월이상 6 개월미만 14 4.8 6 개월이상 1 년미만 20 6.8 1 년이상 2 년미만 46 15.6 2년이상 209 71.1 접속률 하루여러번 178 60.5 하루 1 번정도 54 18.4 주 3~4 회 23 7.8 주 1~2 회 11 3.8 월 1 회이상 28 9.5 a 중복응답가능함. - 10 -
참가자들이사용하는 SNS유형과 SNS의사용기간, SNS 접속률의빈도및백분율은표 1에제시하였다. 응답자들이사용하는 SNS의유형은 페이스북 253 명으로가장많았으며, 카카오스토리 102명, 트위터 78명, 인스타그램 72명, 기타 5명순으로나타났다. SNS 사용기간은 1개월미만사용자는 5명, 1개월이상 6개월미만사용자는 14명, 6개월이상 1년미만사용자는 20명, 1년이상 2년미만사용자는 46명, 2년이상사용자는 209명으로나타났다. 이를통해서본연구의응답자들의이용기간은 2년이상이많이분포하고있음을알수있다. SNS 접속률은하루여러번이 178명, 하루 1번정도가 54명이며, 주 3~4 회접속은 23명, 주 1~2회접속은 11명, 월 1회이상은 28명으로나타났다. SNS를사용하는이유로는 친교, 교제에도움이될것같아서 가 176명으로가장많았으며 호기심또는새로운재미나즐거움을위해서 가 174명, 개인의일상생활이나관심사를공유하기위해서 160명, 지식, 정보등을공유하기위해서 가 159명으로나타났다. 사업이나업무, 학업등에도움이될수있어서 라는응답은 19명으로가장낮게나타났다. 2. 측정도구 가. 자존감척도 Rosenberg(1965) 가개발한자존감척도를전병재 (1974) 가번안한척도를사용하였다. 긍정적자존감 5문항과부정적자존감 5문항으로총 10문항으로구성되어있으며 거의그렇지않다 (1점) 부터 항상그렇다 (4점) 까지 4점 Likert식척도로구성된다. 부정적문항에대한응답은채점할때반대로처리하며점수범위는최저 10점에서최고 40점까지이루어져있다. 점수가높을수록자존감이높음을의미한다. 본연구에서 Cronbach's α는.83이다. 나. 한국판 UCLA 외로움척도 Russell, Peplau 와 Cutrona(1980) 가제작한 UCLA 외로움척도 (UCLA - 11 -
Loneliness Scale) 를김교헌과김지환 (1989) 이번안한한국판 UCLA 고독척도를사용하였다. 이척도는자신의사회적관계를긍정적으로본 10개의문항과부정적으로본 10개의문항으로총 20개의문항으로구성되어있다. 각문항은 전혀그렇지않다 (1) 부터 매우그렇다 (4) 까지 4점 Likert식척도로이루어졌다. 점수범위는최저 20점에서최고 80점까지로점수가높을수록외로움이크다. 본연구에서 Cronbach's α는.94이다. 다. 대학생용 SNS 중독경향성척도 정소영과김종남 (2014) 이제작하고타당화한척도를사용하였다. 이척도는총 24문항으로구성되어있으며 전혀그렇지않다 (1점) 부터 매우그렇다 (4점) 까지 4점 Likert식척도로구성된다. 일상생활장애및조절실패, 몰입및내성, 부정정서의회피, 가상세계지향성및금단 의 4요인으로구성되어있다. 하위요인별문항번호와본연구에서나타난 Cronbach's α는표 2에제시하였다. 본연구에서대학생용 SNS 중독경향성척도의전체 Cronbach's α는.96으로나타났다. 요인 1 요인 문항번호 문항수 Cronbach's α 조절실패및 일상생활장애 4, 10, 14, 17, 20, 22, 24 7.92 요인 2 몰입및내성 1, 5, 9, 15, 18, 21, 23 7.89 요인 3 요인 4 부정정서의회피가상세계지향성및금단 3, 8, 11, 16, 19 5.86 2, 6, 7, 12, 13 5.86 전체 24 문항.96-12 -
3. 연구절차및분석방법 본연구는윤리적진행을위해전남대학교생명윤리심의위원회승인을받았다 (1040198-140415-HR-007-02). 자료수집은대학 ( 원 ) 생을대상으로온라인패널사이트를통해실시하였다. 패널들은자료수집계획에적합한포털사이트를선정하여포털회원중성, 연령, 지역을고려후무선추출을통해선정되었다. 무선추출된대상자들에게조사참여를권유하여패널사이트에가입의사를문의하고연구참여에동의한사람에게패널의자격을주어모집되었다. 연구설명문에는연구에참여하는동안불편감을느낀다면언제든지연구참여를중단할수있고개인정보에대한누출은없을것이며, 분석시에는고유번호로부호화되어처리되고, 참여자로부터얻은정보는오직연구를위해서만사용된다는점을명시하였다. 연구참여에동의한사람을대상으로외로움, SNS 중독경향성, 자존감질문지를실시하였으며설문작성시간은 5~10분정도소요되었다. 본연구에서자료분석을위해 SPSS 21.0을사용하여상관분석, 위계적회귀분석및 Sobel 검증을실시하였다. Baron과 Kenny(1986) 의위계적회귀분석을통한매개검증절차는다음과같다. 독립변인이매개변인에영향을미치고, 독립변인이매개변인이없이종속변인에직접적으로영향을주어야한다. 매개변인이독립변인을통제하고난후종속변인에영향을미치면서매개변인이추가되고난후독립변인의종속변인에대한효과가더이상유의하지않을때, 완전매개효과가있다고할수있다. 매개변인이추가되고난후, 독립변인의종속변인에대한설명량이줄어들고여전히독립변인이종속변인에미치는영향이유의하면부분매개효과가있다고할수있다. 앞의내용을요약해서살펴본분석방법은다음과같다. 첫째, 자존감, 외로움및 SNS 중독경향성간의상관을알아보기위해 Pearson 의상관분석을실시하였다. 둘째, 자존감과 SNS 중독경향성의관계에서외로움의매개효과를확인하기위해 Baron과 Kenny(1986) 가제시한매개검증절차에따라위계적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 13 -
셋째, 매개효과의유의미성을직접적으로알아보기위해 Sobel(1982) 이제시한 Sobel 검증방법을사용하였다. 매개변인에대한독립변인의비표준화경로계수가 a, 종속변인에대한매개변인의비표준화경로계수가 b, 표준오차가 s일때, 검증계수인 z값은다음과같이구한다. - 14 -
Ⅲ. 결과 1. 주요변인들의기술통계치 연구의기초자료로서자존감, 외로움, SNS 중독경향성의평균과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또한본연구에서각척도별로측정된점수범위에대한결과를표 3 에제시하였다. 측정변인 평균 표준편차 범위 실제범위 자존감 29.23 5.11 10-40 13-40 외로움 39.92 9.88 20-80 20-66 SNS 중독경향성 43.12 14.57 24-96 24-93 전체응답자에대한분석결과, 자존감의평균은 29.23점으로나타났으며, 최저점은 13점이고최고점은 40점을받은것으로나타났다. 외로움의평균은 39.92 점으로나타났다. 본연구에서외로움의최저점은 20점, 최고점은 66점으로나타났다. SNS 중독경향성의평균은 43.12점으로나타났으며, 최저점은 24점이고최고점은 93점으로나타났다. 2. 주요변인들간의관계분석 자존감과외로움, SNS 중독경향성의하위요인들간의관계를알아보기위해 Pearson의상관계수를산출하였고, 그결과는표 4에제시하였다. 첫째, 자존감과 SNS 중독경향성의하위요인들과상관관계는다음과같다. 자존감은조절실패및일상생활장애 (r = -.19, p <.01), 몰입및내성 (r = -.18, p <.01), 부정정서의회피 (r = -.19, p <.01), 가상세계지향성및금단 (r = -.14, p <.05) 모두유의한부적상관관계를보였다. 즉, 자존감이낮을수록 SNS 중독경향성이 - 15 -
높아짐을의미하며, 가설 1이지지되었다. 둘째, 외로움과 SNS 중독경향성의하위요인들의관계는다음과같다. 외로움은조절실패및일상생활장애 (r =.32, p <.001), 몰입및내성 (r =.29, p <.001), 부정정서의회피 (r =.29, p <.001), 가상세계지향성및금단 (r =.29, p <.001) 모두와유의한정적상관관계를보였다. 즉, 외로움이높을수록 SNS 중독경향성이높아지는것을의미하여가설 2를지지하였다. 셋째, 자존감과외로움은부적상관관계를보였다 (r = -.70, p <.001). 즉, 자존감이낮을수록외로움이높음을의미하며이는가설 3을지지하였다. 구성개념 1 2 3 4 5 6 1. 자존감 - 2. 외로움 -.70 *** - 3. 요인 1 -.19 ***.32 *** - 4. 요인 2 -.18 ***.29 ***.86 *** - 5. 요인 3 -.19 ***.29 ***.79 ***.77 *** - 6. 요인 4 -.14 ***.29 ***.74 ***.76 ***.82 *** - 주 1. 요인 1= 조절실패및일상생활장애, 요인 2= 몰입및내성, 요인 3= 부정정서의회피, 요인 4= 가상세계지향성및금단주 2. 3, 4, 5, 6 은 SNS 중독경향성의하위요인임. * p <.05, ** p <.01, *** p <.001 3. 자존감과 SNS 중독경향성의관계에서외로움의매개효 과검증 자존감과 SNS 중독경향성의관계에서외로움의매개효과를알아보기위해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자존감과외로움의단순회귀분석결과는표 5에제시되었으며, 매개효과를알아보기위한위계적회귀분석결과는표 6와그림 2와같다. - 16 -
독립변인 종속변인 B SE B β t F 자존감 외로움 -1.35.08 -.70-16.76 *** 280.81 *** *** p <.001 표 5 에서제시한단순회귀결과표를보면, 자존감이외로움을부적인방향으로 유의한영향을미치고있다 (β = -.70, p <.001). 종속변인단계독립변인 B SE B β R 2 조절실패및 일상생활장애 1단계자존감 -.18.05 -.19 *** 자존감.06.07.06*** 2단계외로움.18.04.36 ***.07 *** 1 단계자존감 -.16.05 -.18 *** 몰입및내성 2 단계 자존감.04.07.04** 외로움.15.04.32 ***.05 *** 부정정서의회피가상세계지향성및금단 1단계자존감 -.12.04 -.19 *** 자존감.02.05.02*** 2단계외로움.10.03.30 ***.05 *** 1단계자존감 -.09.04 -.14 ** 자존감.07.05.12*** 2단계외로움.12.03 -.37 ***.07 *** * p <.05, ** p <.01, *** p <.001 표 6에서보면, 1단계에서자존감이조절실패및일상생활장애를유의미하게설명하였다 (β = -.19, p <.01). 2단계에서외로움이조절실패및일상생활장애를유의미하게설명하였으나 (β =.36, p <.001), 자존감은조절실패및일상생활장애를유의미하게설명하지않음을알수있으며 (β =.06, ns), 이를통해서외로움이자존감과조절실패및일상생활장애의관계를완전매개하였음을알수있다. SNS 중독경향성의하위요인인몰입및내성의경우도 1단계에서자존감이몰입및내성을유의미하게설명하였으며 (β = -.18, p <.01), 2단계에서는외로움이몰입및내성을유의미하게설명하였다 (β =.36, p <.001). 그러나이 - 17 -
단계에서자존감은몰입및내성을유의미하게설명하지못하였다 (β =.02, ns). 따라서외로움이자존감과몰입및내성의관계를완전매개하였다. 부정정서의회피같은경우, 자존감이부정정서의회피를유의미하게설명하였으며 (β = -.19, p <.01), 2단계에서외로움이부정정서의회피를유의미하게설명하였다 (β =.30, p <.001). 그러나자존감은부정정서의회피를유의미하게설명하지않았으며 (β =.02, ns), 이를통해서외로움이자존감과부정정서의회피를완전매개했음을알수있다. SNS 중독경향성의하위요인인가상세계지향성및금단은 1단계에서자존감이가상세계지향성및금단을유의미하게설명하는것을알수있다 (β = -.14, p <.01). 2단계에서외로움이가상세계지향성및금단을유의미하게설명하였으나 (β =.37, p <.001), 자존감은가상세계지향성및금단을유의미하게설명하지못하였다 (β =.12, ns). 따라서외로움이자존감과가상세계지향성및금단의관계를완전매개하였다. Sobel 검증을통해외로움의매개효과에대한유의도검증을실시한결과간접효과가유의미하였다. 먼저, 조절실패및일상생활장애에서간접효과가유의하였고 (Z = -4.35, p <.001), 몰입및내성도간접효과가유의하였다 (Z = -3.66, p <.001). 부정정서의회피 (Z = -3.27, p <.01) 와가상세계지향성및금단 (Z = -3.89, p <.001) 도간접효과가유의하였다. 따라서외로움이자존감과 SNS 중독경향성의관계를부분매개할것이라는가설 4와달리완전매개하였다. 외로움 -.70 ***.36 *** 자존감 (-.19 ** ).06 조절실패및 일상생활장애 그림 2. 자존감과조절실패및일상생활장애의관계에서외로움의매개효과 주. ( ) 안은매개변인투입전의표준화계수임. - 18 -
외로움 -.70 ***.32 *** 자존감 (-.28 ** ).04 몰입및내성 그림 3. 자존감과몰입및내성의관계에서외로움의매개효과 주. ( ) 안은매개변인투입전의표준화계수임. 외로움 -.70 ***.30 *** 자존감 (-.19 ** ).02 부정정서의회피 그림 4. 자존감과부정정서의회피의관계에서외로움의매개효과 주. ( ) 안은매개변인투입전의표준화계수임. 외로움 -.70 ***.37 *** 자존감 (-.14 * ).12 가상세계지향성 및금단 그림 5. 자존감과가상세계지향성및금단의관계에서외로움의매개효과 주. ( ) 안은매개변인투입전의표준화계수임. - 19 -
Ⅳ. 논의 본연구의목적은자존감, 외로움과 SNS 중독경향성의관계를밝히는데있다. 자존감이낮을수록, 외로움의수준이높을수록 SNS 중독경향성이높아진다고예상하였다. 또한자존감과 SNS 중독경향성의관계를외로움이매개할것이라예측하였다. 가설검증을위해전국 4년제대학에재학중인대학 ( 원 ) 생을대상으로자존감, 외로움, SNS 중독경향성으로구성된설문을실시하여회수된자료를토대로분석을실시하였다. 연구에서도출된결과를중심으로살펴본논의사항은다음과같다. 첫째, 전체응답자에대한분석결과, 자존감의평균은 29.23으로나타났다. 류인균등 (2000) 의연구에서는평균이 33.9이었고, 김종범과한종철 (2001) 의연구에서는평균이 30.04로나타나동일한척도를사용한기존의연구에서나타난평균과유사한결과이다. 외로움의평균은 39.92로나타났으며이는김교헌과김지환 (1989) 의연구에서평균이 40.10로나타난것과유사한결과이다. SNS 중독경향성의평균은 43.12로나타났다. 정소영과김종남 (2014) 의타당화연구에서의평균은남자는 46.53, 여자는 51.02로비교적유사한결과를보여준다. 둘째, 자존감, 외로움, SNS 중독경향성의상관을분석해본결과, 각변인들은유의미한상관을가지고있었다. 자존감은외로움, SNS 중독경향성과부적상관관계가나타냈다. 또한 SNS 중독경향성의하위요인인조절실패및일상생활장애, 몰입및내성, 부정정서의회피, 가상세계지향성및금단과부적상관관계를보였다. 이결과는자존감이낮을수록인터넷중독에빠지기쉽다는연구결과 ( 김진희, 김경신, 2006; 황혜리, 류수정, 2008) 와낮은자존감은외로움의수준과관련있다는연구결과와도일관되게나타난다 (Heinrich, Gullone, 2006; Peplau et al, 1982). 외로움과 SNS 중독경향성은정적상관관계가나타났는데, 이는외로움이인터넷중독및 SNS 중독경향성과관련된변인이라는선행연구와일관되는결과이다 ( 고은영등, 2014; 오윤경, 2012; Kuss & Griffiths, 2011; Morahan-Martin & Schumancher, 2003). 셋째, 자존감과 SNS 중독경향성의관계에서외로움의매개효과를분석한결과 - 20 -
완전매개효과가나타났다. 이는자존감이 SNS 중독경향성에직접적인영향을미치기보다는외로움을통해간접적으로영향을미친다는것을의미한다. 자존감이낮은사람에게서 SNS 중독경향성이높게나타나는이유중하나는자존감이외로움에의해매개됨으로써 SNS 중독경향성이유발될가능성이크다는것을의미한다. 인터넷은현실세계에서의사소통의비효율성, 사회적상호작용의실패를경험하는사람들에게정서적지지를받을수있는공간이자 (Morahan-Martin & Schumacher, 2003), 쉽게다른사람들과접촉하고교류할수있는공간이며 (Clayton et al, 2013), SNS는이런특징들이뚜렷이나타나는공간이다. 따라서낮은자존감으로인한현실세계에서대인관계어려움을호소하는사람들은만족스럽지못한관계로인해외로움이커질것이고이로인해쉽고간편하게관계를맺을수있는온라인상호작용을선호하게되는것이다. 본연구의결과는자존감과 SNS 중독경향성의관계에서외로움이부분매개할것이라는가설과다르게외로움이완전매개효과를보였다. 자존감과인터넷중독과의관계에서완전매개효과를보인우울 ( 노안영, 정민, 2011) 은외로움과도많은관련이있는변인이다. 우울과외로움은서로다른개념으로분류되지만서로간의높은정적상관을가지고있다 (Weeks, Michela, Peplau & Bragg, 1980; West, Kellner & Moore-West, 1986). 따라서외로움과우울이각각따로영향을준다는것보다두변인이하나의기제로생각해볼수있다. 또한본연구에서는 SNS 중독경향성과비슷한개념인인터넷중독연구를참고하였는데, 인터넷중독과 SNS 중독경향성은목적이나사용형태에서차이를보인다고볼수있다. 인터넷중독은인터넷강박증, 사이버섹스중독, 컴퓨터중독, 정보과부하, 사이버관계중독으로유형이나뉘지만 (Young, 1999), SNS 중독경향성은타인과관계를맺고유지하기위한대인관계적특성을갖는다 ( 한국인터넷진흥원, 2013). 이런차이점으로인해본연구의가설과는다르게부분매개효과가아닌완전매개효과가나타났을것이다. 본연구의의의는다음과같다. 첫째, 자존감과외로움이인터넷중독과관련된변인이라는선행연구는많이진행되었지만 SNS 중독과관련된연구는최근에시작되었다. 따라서본연구는 SNS 중독경향성에영향을주는변인을밝히는것에서더나아가자존감과외로움, SNS 중독경향성간의관계를살펴보려 - 21 -
고했던점에서의의가있다. 둘째, 본연구는이전의인터넷중독연구들과는다르게인터넷사용유형을세분화해서연구를했다는점에서의의가있다. 인터넷은사회적상호작용, 정보수집, 게임, 쇼핑등여러가지목적으로사용된다. 선행연구들에서는대략적으로인터넷의사용목적에따라집단을구분하여집단간차이를비교하였지만 ( 강희양, 손정락, 2007; 김종범, 한종철, 2001), 사용형태에따른세분화된분류를하지는않았다. 그렇기때문에본연구는사회적상호작용을위한목적으로인터넷을사용하는사람들의심리적특징을밝혔다는것에서의의가있다. 셋째, 본연구의결과는 SNS 중독을예방하기위한개입방법에시사점을제공할수있다. 낮은자존감과높은외로움은대인관계의형성과유지에목적을두고인터넷을사용하는사람들의심리적특징으로볼수있다. 자존감과 SNS 중독경향성의관계에서외로움의매개효과를확인하였기때문에자존감이 SNS 중독에이르는기제를규명함으로써단순히자존감의향상뿐아니라대인관계어려움을해결하는방향으로개입을고려해볼필요가있다. 본연구가 SNS 중독경향성의주요변인들간의관계에대한이해를확장시켰다는데의의가있으나, 다음과같은제한점및후속연구의필요성을가지고있다. 첫째, 본연구에서는참여자들이대학 ( 원 ) 생으로한정되어있기때문에다른연령에일반화시키는것은주의해야한다. 연령에따른특성이다르게나타날수도있기때문에추후에청소년이나성인집단을대상으로연구가더진행될필요가있다. 둘째, 자존감, 외로움, SNS 중독경향성을측정하기위해사용된측정도구들은자기보고식설문지에편중되어있다. 이로인해반응하는과정에서연구대상자들이자신을좋게보이게하려는시도인사회적바람직성에의한편향에영향을받았을수있다 (Myers & Hansen, 2012/2012; Van de Mortel, 2008). 따라서이를측정할수있는질문 ( 정보라, 2005) 을포함하여사회적바람직성편향이나타난대상자의자료를선별할필요가있다. 셋째, 본연구의결과는한시점을기준으로한번만시행되었기때문에시간의흐름에따른변화를관찰할수없는한계가있다. 즉, 현재의상태만을보고한것이므로상관관계만밝힐수있을뿐인과관계에대한설명을하는데제약 - 22 -
이따른다. 이를보완하기위해시간간격을두고변인간관계를연구하거나실험연구를통해인과적관계를규명할수있을것이다. 넷째, 본연구는온라인패널사이트를통해자료를수집하였다. 온라인과오프라인조사간의데이터품질에대해비교분석한연구결과에서데이터의품질이동등하거나오히려온라인조사가더우수한수준을보인다는결과가있기도하지만 ( 이지영, 김진교, 2006), 다음과같은사항은고려해야한다. 동일한사람들이여러차례조사에응답하거나 (Myers & Hansen, 2012/2012), 인터넷공간에서의익명성으로인해응답의신뢰도가떨어질수도있다. 그리고인터넷이용자들을중심으로연구가진행되기때문에모집단을충분히반영하지못하는표본편향이일어날가능성이있다 ( 최영훈, 명승환, 이강춘, 2008). 따라서온라인조사의한계점을고려해연구목적에맞는대상자의표집과연구절차에주의를기울여야한다. 다섯째, 본연구는 SNS 중독경향성과관련된변인인자존감과외로움과의관계에대해서알아보았지만 SNS 중독경향성과관련해많은다른변인들을종합적으로고려한연구가필요하다. 인터넷중독연구에서관련된변인으로밝혀진자기효능감과자기통제력 ( 김의철, 박영신, 탁수연, 김정희, 오미선, 2013; 신길순, 구자경, 2005; 황혜리, 류수정, 2008) 의역할도고려해볼수있다. SNS 중독경향성이성별에따라차이가있었다 ( 정소영, 김종남, 2014) 는연구를바탕으로성별에따른차이나친구관계, 가족지지, 부모의양육행동등이인터넷중독에영향을미친다는선행연구결과 ( 강희양, 손정락, 2007) 에따라 SNS 중독경향성에영향을미칠수있는상황적변인들에대한연구도필요하다. 이러한제한점에도불구하고본연구는자존감, 외로움과 SNS 중독경향성의관계를확인하여 SNS 중독경향성에대한이해를돕고자하였다. 또한자존감과 SNS 중독경향성의관계에서외로움의매개효과를밝혀중독의예방과치료에대한시사점을제시할수있었다. - 23 -
참고문헌 강희양, 손정락 (2007). 인터넷및게임중독관련변인에대한메타분석., (4), 733-744. 고은영, 최윤영, 최민영, 박성화, 서영석 (2014). 외로움, 대인민감및페이스북중독간의관계., (3), 713-736. 권도경 (2013). 계정끊고세상속으로 SNS를거부하는이들. http://news.hera ldcorp.com/view.php?ud=20131122000320&md=20131125003443_bk. 해럴드경제에서 2014. 6. 5 자료얻음. 김교헌 (2002). 심리학적관점에서본중독., (2), 159-17 9. 김교헌, 김지환 (1989). 한국판 UCLA 고독척도,,, 13-30. 김기범, 김미희, 최상진 (2001). 정서적고독감과인터넷효능감이온라인커뮤니케이션활동에미치는영향 : 남녀대학생을중심으로. (2), 39-57. 김옥수 (1997). 외로움의개념분석., (2), 28-38. 김의철, 박영신, 탁수연, 김정희, 오미선 (2013). 청소년의사이버자기개념, 자기효능감, 친구관계, 주관적안녕감과학업성취도 : 인터넷중독인식집단과비중독집단의비교., (2), 285-318. 김종범, 한종철 (2001). 인터넷중독하위집단의특성연구 : 자존감, 공격성, 외로움, 우울을중심으로., (2), 207-219. 김진희, 김경신 (2006). 대학생의인터넷중독모형분석., (1), 234-268. 노안영, 정민 (2011). 우울을매개로한대학생의인터넷중독예측변인들. (1), 355-371. 류인균, 하지현, 양은주, 김영미, 장창곡, 우종인 (2000). 인터넷중독의정신병리., (1), 16-20. - 24 -
박선영, 도현심 (1998). 가족기능및자아존중감과청소년의외로움간의관계., (1), 229-244. 서부덕, 최은희 (2006). 청소년의인터넷중독, 자아존중감과외로움., (4), 653-659. 신길순, 구자경 (2005). 성인의심리적특성과인터넷중독과의관계., (4), 1151-1162. 안미영 (1998). 대인간오해에서자존감의수준과자기평가기준의효과., (1), 117-135. 오예진 (2013). 내면으로파고드는 SNS 일기에신체변화체크앱도. http://ww w.yonhapnews.co.kr/bulletin/2013/11/15/0200000000akr201311151950 00017.HTML?from=search. 연합뉴스에서 2014. 6. 5 자료얻음오윤경 (2012)..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석사학위논문. 이주영 (2013). 소셜미디어서비스현황및활용 : 소셜네트워크서비스 (SNS) 를중심으로., 25(9), 45-65. 이지영, 김진교 (2006). 온라인패널조사와오프라인대인면접조사간데이터품질비교 : 신뢰도와타당도를중심으로. (4), 209-231. 전병재 (1974). Self-Esteem:A test of its measurability.. 107-130. 정보라 (2005)..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정소영, 김종남 (2014). 대학생용 SNS 중독경향성척도개발및타당화연구. (1), 147-166. 조성현, 서경현 (2013). SNS 중독경향성관련요인탐색 : 내현적자기애, 자기제시동기및소외감을중심으로. (1), 239-250. 최영훈, 명승환, 최영훈 (2008). 인터넷조사방법론의가능성과쟁점 Ⅱ: 2001년과 2006년행정학회회원들에대한설문조사결과비교를토대로. (3), 423-440. 한국인터넷진흥원 (2009).. 서울 : 한국인터넷 - 25 -
진흥원. 한국인터넷진흥원 (2013).. 서울 : 한국인터넷진흥원. 황혜리, 류수정 (2008). 기독대학생의인터넷중독성향과심리사회적특성과의관계., 321-348.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Amichai-Hamburger, Y., & Ben-Artzi, E. (2003). Loneliness and Internet use. Computer in Human Behavior, 19, 71-80. Andreassen, G. S., Torsheim, T., Brunborg, G. S., & Pallesen, S. (2012). Deverlopment of a facebook addiction scale. Psychological Reports, 110(2), 501-517. Armstrong, L., Phillips, J. G., & Saling, L. L. (2000). Potential determinants of heavier internet usage. Human-Computer Studies, 53, 537-550.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Çivitci, N., & Çivitci, A. (2009). Self-esteem as mediator and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life satisfaction in adolescen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7, 954-958. Clayton, R. B., Osborne, R. E., Miller B. K., & Oberle, C. D. (2013). Loneliness, anxiousness, and suvtance use as predictors of Facebook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9, 687-693. Griffiths, M. D. (2005). A 'Component' model of addiction within a biopsychosocial framework. Journal of Substance Use, 10, 191-197. Heinrich, L. M., & Gullone, E. (2006).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loneliness: A literature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26, - 26 -
695-718. Horowitz, L. M., French, R. de S., & Anderson, C. A. (1982). The prototype of a lonely person. In L. A. Peplau & D. Perlman(Eds.), Loneliness: 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pp. 183-205). New York: Wiley. Kuss, D. J., & Griffiths, M. D. (2011).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addition-a review of psychological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8, 3528-3552. Mehdizadeh, S. (2010). Self-presentation 2.0: Narcissism and self-esteem on Facebook.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3(4), 357-365. Morahan-Martin, J., & Schumacher, P. (2003). Loneliness and social uses of the Interne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9, 659-671. McWhirter, B. T. (1997). Loneliness, learned resourcefulness, and self-esteem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75, 460-469. McWhirter,. B. T., Besett-Alesch, T. M., Horibata, J., & Gat, I. (2002). Loneliness in high risk adolescents: The role of coping, self-esteem, and empathy. Journal of Youth Studies, 5, 69-84. Myers, A., & Hansen, C. (2012). [Experimental Psychology]. ( 신현정역 ). 서울 : 박학사. ( 원전은 2012 에출판 ). Nurmi, JE., Toivonen, S., Salmela-aro, K., & Eronen, S. (1997). Social Strategies and Loneliness.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37, 764-777. Peplau, L. A., Miceli, M., & Morasch, B. (1982). Loneliness and self-evaluation. In L. A. Peplau & D. Perlman(Eds.), Loneliness: 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pp. 135-151). New York: Wiley. - 27 -
Peplau, L. A., & Perlman, D. (1982). Perspectives on Loneliness. In L. A. Peplau & D. Perlman(Eds.), Loneliness: 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pp. 1-18). New York: Wiley.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e.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Rubenstein, C. M., & Shaver, P. (1982). The experience of lonliness. In L. A. Peplau & D. Perlman(Eds.), Loneliness: 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pp. 206-223). New York: Wiley. Russell, D., Peplau, L. A., & Cutrona, C. E. (1980).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evid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3), 472-480. Ryan, T., & Xenos, S. (2011). Who uses Facebook? An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g Five, shyness, narcissism, loneliness, and Facebook usag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7, 1658-1664. Skues, J. L., Willianms, B., & Wise, L. (2012). The effects of personality traits, self-esteem, loneliness, and narcissism on Facebook use among university studen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8, 2414-2419. Sobel, M. E.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13, 290-312. Van de Mortel, T. F. (2008). Faking it: social desirability response bias in self-report research. Australia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5(4), 40. Weeks, D. G., Michela, J. L., Peplau, L. A., & Bragg, M. E. (1980). Relation between loneliness and depression: A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6), 1238-1244. Weiss, R. S. (1983). ( 김진홍역 ). 서울 : 전예원. ( 원전은 1980에출판 ). West, D. A., Kellner, R., & Moore-West, M. (1986). The effects of - 28 -
loneliness: A review of the literature. Comprehensive Psychiatry, 27(4), 351-363. Young, K. S. (1999). Internet addi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Student BMJ, 7, 351-352. Young, K. S., & De Abreu, C. N. (2013). ( 신성만, 고육순, 송원영, 이수진, 이형초, 전영민, 정영주역 ). 서울 : 시그마프레스. ( 원전은 2010에출판 ). - 29 -
The mediating effects of loneli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NS addiction tendency Na-Ri Park Department of Psychology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Hyun-Kyun Shi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loneli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NS addiction tendency. Two hundred ninety four college students in Korea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such as the Rogenberg's Self-esteem scale,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and SNS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and reg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self-esteem was negatively related to SNS addiction tendency and loneliness, and loneliness was positively related to SNS addiction tendency. Lonelines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NS addiction tendency. This study provides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of SNS addiction tendency related with self-esteem and loneliness. Keywords : self-esteem, loneliness, SNS addiction tendency, mediating - 30 -
effect - 31 -
부록 부록 1. 연구설명문안녕하십니까? 저 ( 연구자 ) 는전남대학교일반대학원심리학과석사과정에재학중인박나리입니다. 본연구는 SNS 이용에대한심리적특성에관한연구입니다. 귀하가본연구에참여할것인지를결정하기에전에이를신중하게읽어봐주십시오. 그리고궁금하신사항은언제든지질문하셔도됩니다. 본연구는 SNS 이용에대한심리적특성에관한연구로약 10 분내외의시 간이소요됩니다. 귀하의참여결정은자발적인것이며, 연구도중언제라도중도에참여를포 기할수있습니다. 신원을파악할수있는기록은비밀유지가되고공개적으로열람되지않습니다. 수집된자료는익명으로처리되며연구이외의목적으로사용되지않습니다. 연구의결과가출판되더라도귀하의신원은비밀상태로유지될것입니다. 본연구는설문조사의특성상참여하는동안위험이나불편감은없을것으 로기대됩니다. 하지만설문조사시극심한스트레스를경험하였고, 이에대 해연구자에게문의할경우적절한치료를받을수있도록안내하겠습니다. 본연구는전남대학교생명윤리심의위원회가승인하였으며본연구의참여자 로서귀하의권리에대해질문이있으면전남대학교생명윤리심의위원회행 정간사 ( 전화 062-530-5055, 김광수 ) 에게문의하실수있습니다. 연구와관련하여기타문의사항이있으신경우전화혹은이메일을통하여 연구자에게문의하실수있습니다.( 박나리, 010-8584-6454, qkrskfl21@nav er.com) ' 본연구설명서를읽고연구참여에동의하시면다음페이지로넘어가주시기 바랍니다.' - 32 -
부록 2. 자아존중감척도 아래의문항들은 여러분이자신을어떻게보느냐 하는자신에대한생각을나타 내는문항입니다. 여러분의생각을잘나타내주는번호에 V 표를해주시기바 랍니다. 1 문항 내가다른사람들처럼가치있는사람이라고생각한다. 그렇지않다 보통이다 대체로그렇다 항상그렇다 1 2 3 4 2 나는좋은성품을가졌다고생각한다. 1 2 3 4 3 나는대체적으로실패한사람이라는느낌이든다. 1 2 3 4 4 나는대부분의다른사람들과같이일을잘할수가있다. 1 2 3 4 5 나는자랑할것이별로없다. 1 2 3 4 6 나는내자신에대하여긍정적인태도를가지고있다. 1 2 3 4 7 나는내자신에대하여대체로만족한다. 1 2 3 4 8 나는내자신을좀더존경할수있으면좋겠다. 1 2 3 4 9 나는가끔내자신이쓸모없는사람이라는느낌이든다. 1 2 3 4 10 나는때때로내가좋지않은사람이라고생각한다. 1 2 3 4-33 -
부록 3. SNS 중독경향성척도 다음은 SNS 사용에관한질문입니다. 자신과가장비슷하다고생각하는번호에 V 표해주시기바랍니다. 1 2 3 4 SNS 문항 생각하거나어떻게이용할것인가에많은 시간을보낸다. SNS는내가다른사람과항상연결되어있어외 롭거나소외감을덜느끼도록한다. 스트레스받는문제를잊기위해 SNS를사용한 다. SNS 사용때문에피곤해서수업시간또는업무 시간에잔다. 전혀그렇지않다 대체로그렇지않다 대체로그렇다 매우그렇다 1 2 3 4 1 2 3 4 1 2 3 4 1 2 3 4 5 최근 SNS 에서일어난일에대해많이생각한다. 1 2 3 4 6 SNS 를하지못하게되었을때짜증이난다. 1 2 3 4 7 SNS 를하는동안만큼은내자신이인정을받는 다고느낀다. 1 2 3 4 8 무력감또는우울감을줄이기위해 SNS 를한다. 1 2 3 4 9 SNS 사용에많은시간을보내지않는다. 1 2 3 4 10 SNS 사용시간을줄이지못해후회한적이있다. 1 2 3 4 11 초조함또는불안감을줄이기위해 SNS 를한다. 1 2 3 4 12 SNS 를하는동안더욱자신감이생긴다. 1 2 3 4 13 14 15 SNS 를하지못하게되면사는즐거움또는재미 를잃는다. SNS 때문에취미, 여가생활, 운동을덜중요시 한다. SNS 에서타인의댓글을보기위해시간이날때 마다수시로확인한다. 1 2 3 4 1 2 3 4 1 2 3 4 16 개인적문제를잊기위해 SNS 를한다. 1 2 3 4 17 SNS 를너무많이해서그것이나의일또는학 업에부정적인영향을미쳤다. 1 2 3 4 18 하루중대부분의시간을 SNS 를하며보낸다. 1 2 3 4 19 기분을좋게하기위해 SNS 를한다. 1 2 3 4 20 그만해야지 하면서도번번이 SNS 를하게된다. 1 2 3 4-34 -
21 SNS 하고싶은충동을점점더많이느낀다. 1 2 3 4 22 23 24 SNS로인해오프라인에서의다른활동에대한흥미가감소했다. 길을걷거나다른사람들과대화중에도끊임없이 SNS를한다. SNS로인해원하는시간보다더늦게잠들거나잠을이루지못하는일이자주있다. 1 2 3 4 1 2 3 4 1 2 3 4-35 -
부록 4. 한국판 UCLA 외로움척도 다음문항을읽고귀하가일상생활에서그와같이느껴지는정도에따라해당 번호에 V 표해주시길바랍니다. 문항 그렇지않다 대체로그렇지않다 대체로그렇다 매우그렇다 1 내주변의사람들과잘어울린다. 1 2 3 4 2 나는함께해줄친구가없다. 1 2 3 4 3 내가의지할수있는사람이없다. 1 2 3 4 4 나는외롭지않다고느낀다. 1 2 3 4 5 나는친구들집단에소속감을느낀다. 1 2 3 4 6 나는내주변의사람들과공통점이많다. 1 2 3 4 7 나는이제어느누구와도가깝지않다. 1 2 3 4 8 나의관심과생각이주위사람들과같지않다. 1 2 3 4 9 나는외향적인사람이다. 1 2 3 4 10 가깝게느껴지는사람들이내주위에있다. 1 2 3 4 11 나는버려진듯한느낌이다. 1 2 3 4 12 나의대인관계는피상적이다. 1 2 3 4 13 나를진정으로아는사람은아무도없다. 1 2 3 4 14 나는남들로부터소외된느낌이다. 1 2 3 4 15 나는내가원할때함께해줄친구가있다. 1 2 3 4 16 나를진정으로이해해주는사람들이있다. 1 2 3 4 17 나는내자신에만틀어박혀있어불행하다. 1 2 3 4 18 내주위에사람들이있기는한데, 그들이진정으로나와함께해주지는않는다. 1 2 3 4 19 내가대화를나눌수있는사람이있다. 1 2 3 4 20 내가의지할수있는사람이있다. 1 2 3 4-36 -
부록 5. 인구통계학적질문 1. 귀하의성별은? 1 남자 2 여자 2. 귀하의연령은만으로어떻게되십니까? 만 ( ) 세 * 여기서 SNS 는인터넷을통해타인과정보공유를하거나자기표현등을함으 로인간관계를강화하거나타인과새로운인맥을형성할수있는서비스를말하 며본연구에서는카카오톡, 라인과같은채팅서비스를제외합니다. 1. 귀하가현재주로사용하고있는 SNS 는무엇입니까? ( 중복체크가능 ) 1 페이스북 2 트위터 3 인스타그램 4 카카오스토리 5 기타 ( ) 2. SNS를이용하신지얼마나되었습니까? 1 1개월미만 2 1개월이상 6개월미만 3 6개월이상 1년미만 4 1년이상 2년미만 5 2년이상 3. 귀하의평균 SNS 접속률은얼마나됩니까? 1 하루여러번 2 하루 1 번정도 3 주 3-4 회 4 주 1-2 회 5 월 1 회이상 4. 귀하가현재 SNS를사용하는가장큰이유는무엇입니까? ( 둘이상중복체크가능 ) 1 친교 교제에도움이될것같아서 2 지식, 정보등을공유하기위해서 3 개인의일상생활이나관심사를공유하기위해서 4 호기심또는새로운재미나즐거움을위해서 5 사업이나업무, 학업등에도움이될수있어서 - 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