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보고를통해종단관찰한한국아동의초기문법형태소습득 이희란 * 장유경 ** 최유리 ** 이승복 ***, (* 부산가톨릭대학교언어청각치료학과, ** 한솔교육문화연구원, *** 충북대학교심리학과 ) 이희란 장유경 최유리 이승복. 부모보고를통해종단관찰한한국아동의초기문법형태소습득. 언어청각장애연구, 2008, 제 13 권, 제 2 호, 159-173. 배경및목적 : 본연구는한국아동의초기문법형태소습득의전반적인발달규준을얻기위하여, 아동의조사와연결어미, 종결어미표현을부모를통해종단적으로관찰하여얻은자료를가지고분석하였다. 방법 : MCDI-K ( 배소영, 2003) 에제시된표현어휘목록가운데세가지유형의총 30 개문법형태소 ( 종결어미 15 개, 조사 12 개, 연결어미 3 개 ) 에대해 18 개월부터 36 개월까지총 4 회에걸쳐 323 명아동의부모를통해아동의표현여부를조사하였다. 아동들이 18 개월당시처음조사에참여한아동은모두 323 명이었으나, 최종 36 개월에조사에참여한아동은모두 276 명이었다. 결과 : 관찰조사가시작된 18 개월에는극히소수의아동에게서문법형태소의산출이시작되었으나, 관찰종료된시점인 36 개월에는종결어미평균 12 개, 조사 9.67 개, 연결어미 2.15 개가산출되어이시기문법적형태소의습득이비교적안정적이되었음을알수있었다. 발달적인문법형태소의증가는통계적으로도유의미한차이가있었다. 18 개월부터 36 개월까지평균문법형태소의표현은점차증가하였으나개인차가컸던것으로나타났다. 논의및결론 : 한국아동은두단어조합이시작되는 18 개월시점에문법형태소산출이시작되어 36 개월시기에비교적안정적인산출이이뤄지나이러한발달시점에서개인차를고려해야할것으로보인다. 본연구의문법형태소분석자료는언어발달연구나장애아동의중재에많은의의를지닌다고할수있으며. 특히 4 회기에걸친종단적관찰측정을시도함으로써발달적추이를살펴본점에서도의의가있다. 핵심어 : 종단연구, 종결어미, 조사, 연결어미, 문법형태소, 언어발달 Ⅰ. 서론 단일단어시기를지나면아동은두단어를조합하여말하기시작한다. 초기의두단어조합은두단어가마치하나의단어처럼사용되기도하지만, 점차동사의용법을익혀가면서단어와단어를조합하여기본문장형식을말하게된다. 이처럼단일단어시기에서벗어나하나이상의단어를조합 게재신청일 : 2008년 4월 15일 ; 최종수정일 : 2008년 5월 5일 ; 게재확정일 : 2008년 5월 10일 교신저자 : 이승복, 충북대학교심리학과교수, 충북청주시흥덕구개신동산48번지, e-mail: lsbok@chungbuk.ac.kr, tel.: 043-261-2193 c 2008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http://www.kasa1986.or.kr 159
언어청각장애연구 2008;13;159-173 하여말을할수있게되면서아동은자신의의도를제대로전달할수있는장치, 곧문법을습득한다. 이시기에사용되는초기문장에는명사, 동사등주요문법범주에속하는단어들이포함되지만, 문법형태소는포함되지않는다. 문법적요소들도전달하는의미가있지만명사와동사보다는그전달의미의강도가약하기때문이다 (Brown, 1973). 실제로초기문장에서아동들은여러문법요소들이생략된전보식 (telegraphic) 문장을말하는데, 이러한형식의문장에서는문법형태소 (grammatical morphemes) 가생략되어있다. 초기아동언어, 곧전보식문장방식의두단어조합에서사용되는문법적표현의대표적인것이의미론적관계라면, 발달이계속됨에따라이러한의미론적관계에서좀더자유로울수있게되는것은바로문법형태소의습득때문이다 ( 이승복 이희란, 2006). 문법형태소가풍부한굴절어이든형태소가다양하지않은언어이든문법형태소는각언어의고유한특징을살펴볼수있는중요한지표가되며, 그출현과발달에서우리는인간언어의보편적인특징을발견할수있다. 또한어떤요인때문에문법형태소의습득이어려운지를아동언어자료에서검토, 분석해보는작업으로문법요소를쉽게습득하게해주는일반적인원리를밝히고동시에언어습득의원리로일반화해볼수있을것이다. 따라서이는언어습득연구에서중요한연구주제이다 (Hoff, 2004). 문법형태소의습득은통사발달의중요한지표가된다. 한국어에서예를들어본다면, 문장내에체언으로자리하는명사에격조사를사용하여그문장구성성분으로서의역할을분명히표현할수있게되면, 그단어가문장의어느위치에오든지상관이없어진다. 따라서지금말하려고하는여러단어중에서어떤단어를앞에말하고어떤단어를뒤에말할지어순을지켜야할필요가없어지는것이다 ( 이승복 이희란, 2006). 정상아동과달리언어발달속도가느리거나언어발달에결함이있는아동이라면이러한문법표지의습득은한국어의다른문법특성과비교해무척어려운과제가운데하나이다. 어순이비교적자유로운한국어의특성역시일정한순서짓기원칙이없을수있다는점에서이들언어장애아동에게는혼란스러운요인으로지각될수있어, 문법형태소의습득을어렵게할수도있다. 그러므로이러한문법형태소습득의발달과정을파악하고, 이에따라지도방식을고안하는작업은언어발달연구나장애아동의언어중재에많은의의를지닌다고할수있다. 문법형태소의발달은이처럼언어발달에중요한의의를갖지만, 연구를위한규준의설정이나정상적인발달지표에는현재합의가이뤄지지않고있는실정이다. 한국어에서문법형태소습득과관련된연구들은종단적발화자료의분석을통한관찰연구에서의표현언어분석이주를이루고있으나 ( 이승복 이희란, 2006; 이희란, 2004; 조명한, 1982; Clancy, 2001; Kim, 1990; Kim, 1997; Lee, 2001 등 ), 이해와관련된실험연구들도찾아볼수있다 ( 배소영, 1997; 이순형, 2000; 이승희 황민아, 2002). 한국아동의주격조사및보조사습득과관련된연구로, 조명한 (1982) 은 5명아동의종단연구를통한자발적발화를토대로한국어에서조사는 1세 9개월경부터출현하기시작하며조사의출현순서는접속조사 ( 랑, 하고, 같이 ) 와보조사 ( 도 ), 처소격조사 ( 에, 로, 한테 ), 주격조사 ( 가 ), 보조사 ( 는 ), 목적격조사 ( 을 / 를 ), 도구격조사 ( 로 ) 의순임을밝히고있다. 특히 1 세후반에서 2세초반경에공존의의미를나타내는 도 가출현하고, 도 의획득이후에대조를나타 160
이희란 장유경 최유리 이승복 / 부모보고를통해종단관찰한한국아동의초기문법형태소습득 내는 는 이 2세초반부터 3세이전에출현하며, 만 은대조의 는 이나타난이후에출현한다고보고하였다. 그러나 Lee (2001) 는주격조사와함께대조의의미를갖는보조사 는 이약 1세 8개월에서 2 세사이에서나타나는가장일찍출현하는조사이며, 그다음에처소격조사 에 가약 1세 10개월경, 그리고목적격조사가 1세 11개월에서 2세 8개월사이에출현한다고보고하였다. 또한 만, 도 와같은보조사도 는 과유사한시기에출현한다고보고하였다. 한국어에서보조사 는 의경우, 주격조사보다좀더일찍출현한다고보고되고있는가하면 (Kim, 1990; Lee, 2001), 1;8~2;0세에서주격조사가보조사 는 보다한달가량일찍출현한다고보고되고있기도하다 ( 조명한, 1982; Kim, 1997). 그러나한국아동이초기주어및주제의습득과정에서보조사 은 / 는 을 주제 보다는 대조 의의미로서먼저산출한다는주장에는함께동의하고있다 ( 조명한, 1982; Kim, 1997; Lee, 2000). 아동의문법형태소의이해와관련한실험연구에서배소영 (1997) 은 2세에서 7세에이르는 60명정상아동을대상으로그림카드를이용하여 가, 이, 는, 도, 를 의이해를 [S + V]( 예 : 엄마가그리네 ) 또는 [O + V]( 예 : 엄마를그리네 ) 문장 50개로검사하여정반응율, 반응시간으로결과를보여주었다. 연령별발달변화를살핀결과, 가, 이, 는 이발달한다음 를 이발달하고 도 의발달이가장늦었다고한다. 사실상조사의습득은이해와산출모두에서이뤄져야하므로보조사 도 가목적격조사보다늦게습득된다는이러한결과는기존연구결과들과비교한해석이필요하다. 조사와보조사의습득연구들에비해어미관련연구는매우제한적이다. 서희선 이승환 (1999) 은 2~5세정상아동 160명을대상으로두개의그림카드를제시한후연결어미를사용하여그림을설명하도록하여연결어미에대한산출연구를시도하였다. 그결과, 나열의연결어미 -고 와이유의연결어미 -서 가 2;0~2;5세에출현하였으며, 대립이나동시연결어미들은 2세후반에출현하는것으로나타났다고한다. Kim (1997) 은 1세후반부터 2세까지 4명아동의종단연구를통한발화자료분석을토대로어미산출분석을시도하였다. 한국아동들은 1세후반부터 2세를전후하여 -다 -아 등의종결어미를산출하며, 초기어미산출에서다양한양상 (mood) 을표현할수도있다고한다. 특히이러한양상을포함한초기어미표현에서조차말실수를거의하지않는특징을보인다고한다. 이상에서살펴본바와같이한국아동의문법형태소습득과관련한기존의표현연구들은적은수의아동을대상으로한종단연구를통해얻어진자료들이대표적이며, 단기종단연구가대부분이어서전체아동으로일반화하여문법형태소의발달지도를그리기에는제한적이라고할수있다. 또한실험연구를통한이해연구들이있지만조사대상이된문법형태소역시연구자의연구목적에따라선택적으로구성되어있으므로, 초기언어발달과정에서문법형태소의전반적인발달을추적해가기에는무리가있다. 문법형태소의발달은각언어의고유한문법발달이시작되는지표가된다. 이전시기의두단어조합은언어보편성을보여주는의미관계의표현이다. 문법형태소를습득하기시작하면서비로소모국어로서의한국어의고유한특징들을습득하는것이라는점에서언어습득에서상당히중요한의미를지닌다. 또한언어습득과정에서중요한시점이라는점에서, 문법형태소의습득과정과그발달시기에대한비교로아동의언어발달정도를측정해볼수있는중요한예측치가된다. 특히언어발달 161
언어청각장애연구 2008;13;159-173 장애아동에게서언어적결함의정도를변별적으로진단하게해줄수있는중요한측정치가될수도있다. 이렇게발달적지표로기능하려면, 광범위한조사연구를통한양적자료를통해보다구체적인문법형태소의발달과정을확인하는작업을하여야전반적인발달지도를그릴수있을것이다. 초기문법형태소발달을알아보기위해서는, 아동의말을가장정확하게파악할수있는어머니를통한일상적인환경에서아동의습득언어에대한확인방식이적절할것이다. 또한문법형태소의초기표현뿐만아니라안정적인습득정도를살펴보기위해서는부모를통한종단적인문법형태소사용을확인하여조사하는것이좀더적당한방법일것이다. 본연구에서는초기어휘발달을전반적으로살펴보기위한지표이며부모체크리스트인 MCDI-K ( 배소영, 2003) 에제시된표현어휘목록가운데종결어미와조사, 연결어미세가지유형총 30개어휘에대해 18개월부터 36개월까지총 4회에걸친종단적수집자료의분석을통해초기문법형태소발달을살펴보고자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연구의대상자는서울및경기도신도시에거주하는영아와그어머니들로, 18개월부터 36개월까지한솔종단연구에참여한참여자들이다. 각개월별참여자의수는 18개월 (M = 18.01, SD = 0.32) 323명, 24개월 (M = 24.1, SD = 0.29) 320명, 30개월 (M = 30.1, SD = 0.30) 298명, 그리고 36개월 (M = 36.1, SD = 0.29) 276명이다. 2. 도구 연구대상아동의표현어휘수를측정하기위해 MacArthur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y (MCDI) (Fenson et al., 1993) 를한국어로번안하고, 한국영유아들에게적합하도록일부수정한유아용어휘체크리스트 ( 이하 MCDI-K) ( 배소영, 2003) 를사용하였다. MCDI-K는총 641개의어휘를 24개의하위범주로구분하는데, 그범주는소리, 탈것, 장난감및문구류, 동물, 음식, 옷, 가구및방안, 신체부위, 가정용품, 외부사물, 일상생활, 장소, 양및정도, 사람, 의문사, 동사, 형용사, 종결어, 조사, 연결어, 위치, 시간, 대명사, 돕는말등을포함한다. 이중본연구의목적과관계있는세가지유형의문법형태소 30개즉, 종결어 15개, 조사어 12개, 연결어 3개만을분석에사용하였다. 162
이희란 장유경 최유리 이승복 / 부모보고를통해종단관찰한한국아동의초기문법형태소습득 3. 절차 자료수집을위해아동학또는발달심리학석사인검사자들이직접연구대상아동의가정을방문하여어머니에게 MCDI-K를제공하고직접작성하도록하였다. 이때표현어휘에체크하는경우는참조물없이아동이자발적으로일관되게발화하는경우로만제한하였으며, 다른사람의지시에의해아동이발화를하는경우, 다른사람의말을모방하여발화하는경우, 우연히한번정도발화한경우등은제외하도록하였다. 4. 자료분석및통계처리 아동의 4회에걸친문법형태소의평균산출수에대한일요인분산분석 (One-way ANOVA) 을실시하였으며, 분석의전과정은 SPSS for Windows (ver. 12.0) 통계분석프로그램을사용하여통계처리하였다. Ⅲ. 연구결과 아동들이 18개월당시처음조사에참여한아동은모두 323명이었으나, 최종 36개월에조사에참여한아동은모두 276명이었다. 연구에참여한 18개월 323명, 24개월 320명, 30개월 298명, 36개월 276명의아동들에게서, 세가지범주의문법형태소즉, 조사 12개, 연결어미 3개, 종결어미 15개에대해각각나타난평균산출수를 < 표 -1> 에제시하였다. 18개월에는매우적은수의문법형태소들이산출되고있으며, 세유형가운데그나마종결어미가좀더나타나고있으나출현률은매우미미하다. 전반적으로아동의연령이증가할수록전체문법형태소의산출수는계속증가하는것으로나타났다. 24개월이후문법형태소의세유형모두에서산출수가증가하는것을 < 표 -1> 을통해알수있다. < 표 - 1> 18 36 개월에산출된문법형태소의범주별기술통계 문법형태소 ( 어휘수 ) 18개월 24개월 30개월 36개월 종결어미 (15) 0.41(1.22) a) 3.69(4.26) 9.15(5.10) 12.00(4.04) 조사 (12) 0.17(0.73) 2.77(3.70) 6.97(4.45) 9.67(3.58) 연결어미 (3) 0.009(0.96) 0.46(0.90) 1.38(1.25) 2.15(1.14) a) 평균 ( 표준편차 ) 163
언어청각장애연구 2008;13;159-173 이러한전체문법형태소의산출을조사, 연결어미, 종결어미각각으로나누어발달적추이를검토하면다음과같다. 1. 18 36 개월의종결어미발달 본연구에참여한아동들의 18개월부터 36개월까지네차례에걸친문법형태소발달은 18개월과비교해계속적으로증가한것으로나타났다 (< 표 -2> 참조 ). 18개월에는종결어미의산출이매우제한적인데, 대상아동 323명가운데 8.9% 인 29명아동만이 -요 를산출하고있는것을비롯하여, 매우적은수의아동들에게서만종결어미가보고되고있으며. -네 가 7.1% 의아동에게서, 다 는 5.8% 의아동에게서만이산출이보고되었다. 24개월에는역시 18개월에산출빈도가가장높았던 -요 와함께 -네, -다, -자 등이 30% 이상의아동에게서산출되고있음을알수있다. < 표 - 2> 18 36개월아동의종결어미산출비율 (%) 연령문법형태소 18개월 24개월 30개월 36개월 -구나 1.5(5/323) 16.8(54/320) 50.0(149/298) 76.0(210/276) -께 0.3(1/323) 21.5(69/320) 55.7(166/298) 72.4(200/276) -네 7.1(23/323) 38.7(124/320) 70.8(211/298) 85.8(237/276) -는다 0.3(1/323) 14.3(46/320) 44.2(132/298) 62.6(173/276) -니? 2.1(7/323) 22.1(71/320) 55.7(166/298) 74.2(205/276) -다 5.8(19/323) 33.4(107/320) 65.1(194/298) 85.1(235/276) -대 0.3(1/323) 14.6(47/320) 45.6(136/298) 67.7(187/276) -ㄹ거야/ 테야 0.9(3/323) 23.7(76/320) 57.0(170/298) 80.0(221/276) -ㄹ까 1.2(4/323) 22.8(73/320) 66.7(199/298) 83.3(230/276) -래 0.9(3/323) 17.5(56/320) 58.7(175/298) 81.5(225/276) -어( 아 ) 4.3(14/323) 28.4(91/320) 60.0(179/298) 80.4(222/276) -어야돼 1.5(5/323) 17.8(57/320) 56.0(167/298) 76.4(211/276) -요 8.9(29/323) 47.1(151/320) 87.2(260/298) 95.6(264/276) -자 4.6(15/323) 35.6(114/320) 75.5(225/298) 90.9(251/276) -지 1.2(4/323) 30.0(96/320) 67.1(200/298) 87.6(242/276) 164
이희란 장유경 최유리 이승복 / 부모보고를통해종단관찰한한국아동의초기문법형태소습득 < 그림 - 1> 18 36 개월에산출된종결어미 30개월은비교적종결어미의산출비율이높아지는데, -는다 와 -대 를제외하고는 50% 이상의아동들이대부분의종결어미를산출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으며, 36개월에이르러서는모든종결어미의표현이전체대상아동의 50% 이상에게서산출되고있음을알수있었다 (< 그림 -1> 참조 ). 본연구에참여한아동들의 18개월부터 36개월까지네차례에걸친종결어미발달추이를분석한결과가 < 표 -3> 에제시되었다. 발달이진행됨에따라종결어미산출의증가정도가통계적으로도유의미하게차이가있음을알수있다. 그러나이러한종결어미습득에있어개인차가크게나타남을볼수있는데, 18개월부터 36개월까지도종결어미의사용이관찰되지않은경우도관찰되었다. 이러한개인차는표준편차가 18개월부터 30개월까지점차증가하고있다는사실에서도잘드러난다. 그러나 30개월에최고에이르렀던편차가그다음관찰시기인 36개월에는감소하기시작하며, 평균도전체 15개중에 12개까지증가한다. 이러한사실들로보면, 이시기에이르러종결어미의표현이어느정도안정적이되어가고있다고볼수있겠다. < 표 - 3> 18 36개월에산출된종결어미의기술통계산출된종결어미의수평균표준편차최소값최대값 F 18개월 0.41 1.22 0 13 24 개월 3.69 4.26 0 14 30 개월 9.15 5.10 0 15 36 개월 12.0 4.04 0 15 1142.8*** ***p <.001 165
언어청각장애연구 2008;13;159-173 2. 18 36 개월의조사발달 본연구에참여한아동들의 18개월부터 36개월까지네차례에걸친조사발달과정을 < 표 - 4> 에제시하였다. 종결어미의경우와마찬가지로조사가시작된 18개월과비교해계속적으로증가한것을볼수있다. 선행연구결과와마찬가지로 18개월에비교적먼저산출되는조사는주격조사 -가 였으며 3.7% 정도의아동에게서산출되고있었다. 서술격조사 -야 역시전체대상아동가운데 3.7% 에게서산출되고있는데, 이는용언으로구성되는격조사의형식으로가장먼저산출되는문법형태소에속하는것으로보인다. 24개월에는주격조사 -가 의산출이급증함과동시에 -는, -도 같은보조사들의산출이증가하며그밖에공존격조사들의산출도증가하고있다. 30개월에이르러목적격조사 -를( 을 ) 의산출이 50% 이상의아동에게서관찰되고있으며, 이시기에대부분의조사산출이 50% 가까운아동에게서산출되고있음을알수있었다. 36개월에는도구격조사 로 를제외하고는 75% 이상의아동들에게서 12개조사가산출되고있어, 이시기에이르러많은아동들이한국어의조사사용에비교적숙달되고있는것으로추정된다. < 표 - 4> 18 36개월아동의조사산출비율 (%) 연령문법형태소 18개월 24개월 30개월 36개월 -가( 이 ) 3.7(12/323) 41.2(132/320) 78.1(233/298) 81.5(225/276) -는( 은 ) 1.2(4/323) 22.8(73/320) 62.0(185/298) 82.9(229/276) -도 2.1(7/323) 28.1(90/320) 62.7(187/298) 84.7(234/276) 랑 1.2(4/323) 29.6(95/320) 67.1(209/298) 88.7(245/276) 로 0(0/323) 8.7(28/320) 39.5(118/298) 64.8(179/276) -를( 을 ) 0.3(1/323) 15.6(50/320) 50.0(149/298) 77.5(214/276) 만 0.6(2/323) 18.1(58/320) 47.9(143/298) 76.4(211/276) 야 3.7(12/323) 28.7(92/320) 54.3(162/298) 76.0(210/276) 에 0.9(3/323) 18.7(60/320) 48.6(145/298) 75.7(209/276) 에서 0.6(2/323) 13.7(44/320) 51.3(153/298) 76.4(211/276) -하고 0.9(3/323) 25.0(80/320) 65.7(196/298) 85.1(235/276) -한테/ 에게 1.5(5/323) 26.8(86/320) 67.1(200/298) 86.5(239/276) 산출된조사의기술통계결과를 < 표 -5> 에제시하였는데, 18개월부터 36개월까지평균조사의표현수는발달이진행됨에따라점차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유의미하였으나, 다른문법형태소들의습득경향과마찬가지로개인차가크게나타나고있음을알수있다. 166
이희란 장유경 최유리 이승복 / 부모보고를통해종단관찰한한국아동의초기문법형태소습득 < 표 - 5> 18 36 개월에산출된조사의기술통계 산출된조사의수 평균표준편차최소값최대값 F 18 개월 0.17 0.73 0 7 24 개월 2.77 3.70 0 12 30 개월 6.97 4.45 0 12 36 개월 9.67 3.58 0 12 930.11*** ***p <.001 종결어미의산출에서와마찬가지로조사의산출에서도습득에서의안정적인경향을 36개월에서야관찰할수있는데, 18개월부터 30개월까지조사의산출에서표준편차가점차증가하고있어초기습득에서는많은개인차가있음을알수있다. 그러나 30개월까지계속증가하던편차는 36개월에는감소하기시작하며, 평균도전체 12개중에 9.67개에이르러이시기에는어느정도종결어미의표현이안정적으로되어가고있다고볼수있겠다 (< 그림 -2 > 참조 ). < 그림 - 2> 18 36 개월에산출된조사 3. 18 36 개월연결어미발달 선행연구결과와마찬가지로본연구에서도전체문법형태소가운데연결어미는습득이가장뒤늦은것으로관찰되었다. 18개월시기에연결어미의산출은매우적은데, -고 만이단지 3명의아동에게서관찰된다. 24개월에 -고 의산출이급증하는데이는이시기에어휘의급증과문장표현이증 167
언어청각장애연구 2008;13;159-173 가하는이유로해석할수있는듯하다. 연결어미 -는데 와 -서 역시 24개월과 30개월에이르러산출비율이매우증가하고있다 (< 표 -6> 참조 ). 우리가일상적으로구어와문어모두에서사용하는연결어미자체가그리많지않으며, 실제본연구에서조사대상이되었던연결어미도그수가비교적적었다. 본연구에서관찰한세가지의연결어미의산출은 36개월정도에이르러서야제대로사용되고있음을볼수있다. < 표 - 6> 18 36개월아동의연결어미산출비율 (%) 연령문법형태소 18개월 24개월 30개월 36개월 -고 0.9(3/323) 21.5(69/320) 51.0(152/298) 76.4(211/276) -는데 0(0/323) 12.8(41/320) 43.6(130/298) 72.1(199/276) -서 0(0/323) 11.8(38/320) 44.2(132/298) 66.6(184/276) 이미관찰한다른문법형태소들과마찬가지로, 본연구에서선택관찰한연결어미역시 < 표 -7> 을통해알수있는바와같이, 발달이진행됨에따라평균에서유의미한증가현상을관찰할수있었다. 이러한경향은표준편차의증가에서도관찰할수있는데, 18개월부터 30개월까지점차증가하고있음을알수있다. 그러나 30개월에 1.25이던표준편차는 36개월에 1.14로감소하고평균습득연결어미수도 36개월에는전체 3개가운데 2.15개로나타나고있어, 이를통해이시기에종결어미의습득이비교적 60% 이상의아동들에게서이뤄지고있다고볼수있겠다. < 표 - 7> 18 36개월산출된연결어미의기술통계산출된연결어미의수평균표준편차최소값최대값 F 18개월 0.009 0.96 0 1 24 개월 0.46 0.90 0 3 30 개월 1.38 1.25 0 3 36 개월 2.15 1.14 0 3 486.27*** ***p <.001 168
이희란 장유경 최유리 이승복 / 부모보고를통해종단관찰한한국아동의초기문법형태소습득 Ⅳ. 논의및결론 본연구에서는한국아동의초기문법형태소습득의전반적인발달규준을얻기위하여, 조사와연결어미, 종결어미총 30개의문법형태소의표현을부모를통해종단적으로관찰하여얻은자료를분석하였다. 이러한광범위한조사연구에서얻은양적자료를통해보다구체적인문법형태소의발달지표를제시할수있을것이기때문이다. 이를위하여초기어휘발달을전반적으로살펴보기위한부모체크리스트가운데하나인 MCDI-K ( 배소영, 2003) 에제시된표현어휘목록가운데조사와종결어미, 연결어미의분석을통해초기문법형태소발달을살펴보았으며, 동일한아동을 18개월, 24개월, 30개월, 36개월의 4회에걸쳐종단적으로관찰하여얻어진자료를바탕으로한국아동의초기문법형태소습득의경향을함께분석하였다. 연구결과첫째, 관찰이시작된 18개월부터 323명의관찰대상아동가운데평균종결어미는 15개가운데평균 0.41개, 조사는 12개가운데 0.17개, 연결어미는 3개가운데거의사용되지않고있다. 관찰조사가시작된 18개월에는극히소수의아동에게서문법형태소의산출이시작되었음을알수있었다. 그러나관찰이종료된시점인 36개월에는, 종결어미는평균 12개, 조사는 9.67개, 연결어미는 2.15개가산출되어이시기에이르면관찰대상문법형태소들이비교적안정적으로출현하고있음을알수있었다. 둘째, 연령이증가할수록조사대상이었던종결어미, 조사, 연결어미의전체문법형태소의산출수가계속증가하는것으로나타났으며, 이러한발달적인증가수치는통계적으로도유의미한차이가있었다. 마지막으로, 18개월부터 36개월까지산출된평균문법형태소의수는발달이진행됨에따라점차증가하였으나, 개인차가크게나타나고있음을알수있다. 그러나세유형의문법형태소모두 36개월시기에표준편차가감소하며 70% 가까운아동이이러한세유형의문법형태소에대한표현이가능해지므로이시기를안정적인출현시기로볼수있었다. 비교적어순이자유로운한국어에서습득이까다로운문법형태소의발달추이에대한접근은언어발달연구나장애아동의중재에많은의의를지닌다고할수있다. 실제로문법형태소가언어발달의중요한지표로서의의가있지만, 현재우리나라상황에서연구를위한정확한규준이나발달지표로쓰일정도의문법형태소발달연구는합의가이뤄지지않고있는실정이다. 문법형태소의발달은각언어의고유한문법발달의시작으로서중요한의미를지니며, 초기문법형태소의습득여부와시기는이후아동의언어발달정도에대한중요한예측치로작용한다. 한국어에서문법형태소는문장의구성성분을결정짓는중요한역할을하지만, 한국어의특성상많은문법형태소들이생략된형태로표현된다. 이러한생략은많은경우담화-화용적특성을지니므로여느한국어문법교과서도이러한생략의규칙을정확하게설명해줄수는없다. 이러한담화-화용적인생략이라는한국어의특성과는별개로전세계의어린아동들은보편적으로정상적인발달과정에서문법형태소를생략하여말하기도한다. 이경우에는인지적제한으로충분한길이의발화를말할수없기도하고, 그래서상대적으로중요하지않은듯한문법형태소가생략될수도있다 (Hoff, 2005). 혹은한국어처럼성인언어에서쉽게생략되는입력의영향을그대로반영한것일수도있을것이다. 문제는이러한한국어의특성을 169
언어청각장애연구 2008;13;159-173 반영하더라도일반적으로대부분의아동들은담화-화용적인생략규칙을정확하게적용하여생략과표현의규칙을익히는반면, 언어장애아동들은이러한규칙이더욱더문법형태소의습득을어렵게하는방해요인이된다는것이다. 따라서문법형태소의초기습득정도는언어발달장애아동에게서언어적결함의정도를변별적으로가정하게해줄수있는중요한측정치로기능할수도있을것이다. 본연구는 18개월 323명, 24개월 320명, 30개월 298명, 36개월 276명의아동들에게서나타난세가지범주의 30개문법형태소의발달과정을살펴보는과정에서, 비교적많은수의아동을대상으로분석함으로써분석자료의신뢰도를높이고자노력하였다는점에의의가있다. 또한연구진행과정에서관찰대상아동수가점차감소하기는하였지만, 발달적변화를살펴보고자 4회기에걸친종단적관찰측정을시도함으로써발달적추이를살펴본점에서도의의를둘수있을것이다. 본연구에서는초기언어발달과정에서문법형태소의습득을살펴보기위하여어휘체크리스트의어휘목록을부분적으로이용하였으며, 이과정에서어휘체크리스트에포함된종결어미, 조사, 연결어미만을분석대상으로하였다는제한점이있다. 연구자가선정한어휘목록을토대로어머니들에게아동의표현여부를평가하게하였으므로, 어머니들이자신의아이에대한과잉평가 (overestimate) 가작용할수도있었음을고려해야할것으로보인다. 예를들어, 이순형 (2000) 의연구와비교하여, 24개월에주격조사표현의경우본연구에서는 41%, 이순형 (2000) 의연구에서는 43% 로습득율이비교적차이가없었으나, 목적격조사를 36개월에 77.5% 의아동이산출한본연구와달리이순형 (2000) 의연구에서는 46.6% 만이산출한것으로나타났다. 이러한차이는본연구가어머니의평가에기초한반면, 이순형 (2000) 은구조화된특정그림자료를이용하여아동에게산출하게함으로써얻어진자료라는연구절차의차이가반영된것으로보여진다. 본연구에서는어머니의관찰을통해아동의구어에서표현되는문법형태소의습득만을다루었으므로, 이러한문법형태소가실제로문장표현에서정확하게사용되었는지여부를밝히기는어려웠다. 실제로초기문법형태소사용에서는실수도관찰되고, 잘못사용되는예도적지않기때문이다. 반면아동의발화분석자료나관찰연구들에따르면문법형태소가잘못사용된실수예는빈도가높지않으며, 특히종결어미의경우에는다양한양상에따른비교적정확한사용이관찰된다고한다 ( 이승복 이희란, 2006; Kim, 1997). 그러나실제임상현장에서보고되는문법형태소습득의어려움은이와는판이하므로, 본연구의결과를토대로각장애아동의영역별문법형태소습득에관한광범위한발달연구가이어지고, 이과정에서본연구의문법형태소발달지표가정상발달의규준으로다양하게활용되어지기를기대해본다. 170
이희란 장유경 최유리 이승복 / 부모보고를통해종단관찰한한국아동의초기문법형태소습득 참고문헌 배소영 (1997). 한국아동의문법형태소습득연구 : 조사, 가, 이, 는, 도, 를. 말-언어장애연구, 2, 27-42. 배소영 (2003). 영유아기의의미평가도구 MCDI-K의타당도와신뢰도에관한연구. 언어청각장애연구, 8(2), 1-14. 서희선 이승환 (1999). 2~5세정상아동의연결어미발달. 언어청각장애연구, 4, 167-185. 이순형 (2000). 한국아동이초기에획득한문법적형태소의종류및획득시기. 아동학회지, 21(4), 51-68. 이숭녕 (1966). 조사설정의재검토. 동양문화연구소 ( 편 ). 동양문화 ( 제5집 ). 대구 : 대구대학교. 이승복 이희란 (2006). 아이와함께하는신기한언어발달. 서울 : 정담미디어. 이승희 황민아 (2002). 3~6세한국아동의보조사발달에관한연구 : 은 / 는, 만, 도. 언어청각장애연구, 7(2), 24-45. 이익섭 채완 (1999). 국어문법론강의. 서울 : 학연사. 이희란 (2004). 2세한국아동의주어발달특성. 언어청각장애연구, 9(2), 19-32. 임홍빈 (1998). 국어문법의심층 : 명사구와조사구의문법. 서울 : 태학사. 조명한 (1982). 한국아동의언어획득연구 : 책략모형.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Clancy, P. M. (2001). 한국어의주격, 목적격조사의습득. 조숙환, 김영주, 존휘트만, 유키오오츠, 노경희, 이현진, 최순자, 패트리샤클렌시 ( 공저 ), 인간은언어를어떻게습득하는가. 서울 : 아카넷. Brown, R. (1973). A first language: The early stage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Fenson, L., Dale, P., Reznick, S., Bates, E., Thal, D., Hartung, J., & Reilly, J. (1993). MacArthur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ies: User s guide and technical manual. Baltimore, MA: Paul H. Brookes. Hoff, E. (2004). Language development (3rd ed.). Belmont, CA: Thomson Learning Wadsworth Publishing Co. Kim, S. Y. (1990). The acquisition of Korean morphology: A case study. Unpublished master s thesis. Purdue University, West Lafayette. Kim, Y. J. (1997). The acquisition of Korean. In D. I. Slobin (Ed.), The crosslinguistic study of language acquisition (Vol. 4.) (pp. 335-444).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Lee, C. (2001). Acquisition of topic and subject markers in Korean. In M. Nakayama (series ed.) & T. Kageyama (Vol. Ed.), Issues in East Asian language acquisition: Kurosio linguistics workshop series (Vol. 7). Tokyo: Kurosio Publishers. 171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08;13;159-173 ABSTRACT Acquisition of Grammatical Function Words in Korean Children Hee Ran Lee a,, You-Kyung Chang-Song b, Yu-Li Choi b, Seungbok Lee c a Department of Speech and Hearing Therapy,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Busan, Korea b Hansol Educational Research Center, Seoul, Korea c Department of Psycholog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Korea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developmental norms of Korean children s acquisition of final endings, case particles, and connective endings from longitudinal data gathered from 18 to 36 months. Methods: Mothers of infants completed MCDI-K (Pae, 2003) at 18 (N = 323), 24 (N = 320), 30 (N = 298), and 36 (N = 276) months and the number of words in final endings, case particles, connective endings, and categories were analyzed. Results: At 18 months of age, only a few children produced grammatical function words. However, the average number of grammatical function words was 12.0, 9.67, and 2.15 at 36 months for final endings, case particles, and connective endings categories, respectively. The number of grammatical function words increased with age. By 36 months, most children in the study used grammatical function words. However,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use of grammatical function words.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longitudinal study suggest that Korean children start to produce grammatical function words at 18 months and most children use grammatical function words by 36 month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on language development and on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language deficits are discussed.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08;13;159-173) Key words: longitudinal study, final endings, case particles, connective endings, grammatical function words, language development Received April 15, 2008; final revision received May 5, 2008; accepted May 10, 2008. Correspondence to Prof. Seungbok Lee, PhD, Department of Psycholog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48 Gaeshin-dong, Heungduk-gu, Cheongju, Chungcheogbuk-do, Korea, e-mail: lsbok@chungbuk.ac.kr, tel.: +82 43 261 2193 c 2008 The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http://www.kasa1986.or.kr 172
Lee et al. / Acquisition of Grammatical Function Words in Korean Children References Brown, R. (1973). A first language: The early stage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Cho, M. H. (1982). Language acquisition strategy of Korean childre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Clancy, P. M. (2001). The acquisition of the nominative particles and accusative particles in Korean. In S. H. Cho, Y. J. Kim, J. Whitmman., U. Otz., K. H. Noh., H. J. Lee., S. J. Cho., & P. Clancy (Eds.), How human does acquisite the language? Seoul: Acanet. Fenson, L., Dale, P., Reznick, S., Bates, E., Thal, D., Hartung, J., & Reilly, J. (1993). MacArthur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ies: User s guide and technical manual. Baltimore, MA: Paul H. Brookes. Hoff, E.(2004). Language development (3rd ed.). Belmont, CA: Thomson Learning Wadsworth Publishing Co. Im, H. B. (1998). Korean grammar: Grammar of NP and PP. Seoul: Taehaksa. Kim, S. Y. (1990). The acquisition of Korean morphology: A case study. Unpublished master s thesis. Purdue University, West Lafayette. Kim, Y. J. (1997). The acquisition of Korean. In D. I. Slobin (Ed.), The crosslinguistic study of language acquisition (Vol. 4.) (pp. 335-444).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Lee, C. (2001). Acquisition of topic and subject markers in Korean. In M. Nakayama (series ed.) & T. Kageyama (Vol. Ed.), Issues in East Asian language acquisition: Kurosio linguistics workshop series (Vol. 7). Tokyo: Kurosio Publishers. Lee, H. R. (2004). A study of early subject acquisition in Korean.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9(2), 19-32. Lee, I. S., & Chae, W. (1999). Korean grammar. Seoul: Hakyeonsa. Lee, S. B., & Lee, H. R. (2006). Wonderful development of language with children. Seoul: Jeungdam Media. Lee, S. H., & Hwan, M. A. (1999). The development of three Korean semantic particles - nun, man, do- 3 to 6 years old children.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7(2), 24-45. Lee, S. L. (1966). Reappraisal of the Particles. In Research Center for Oriental Culture (Ed.). Oriental Culture: Vol. 4. Daegu: Daegu University. Pae, S. Y. (1997). The acquisition of grammatical morphemes of Korean children: Particles ka, i, nun, do, lul. Korean Journal of Speech- Language Disorders, 2, 27-42. Pae, S. Y. (2003).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adaptation of MCDI. Korea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8(2), 1-14 Sue, H. S., & Lee, S. H. (1999). The development connective endings of 2-5 years old normal children.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4, 167-185. Yi, S. H. (2000). The acquisition of Korean gram - matical morphemes in early childhood.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21, 51-68. 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