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line ML Comm ORIGINAL ARTIC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4;53(4): Print ISSN On

Similar document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The Mediating Eff


서론 34 2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歯14.양돈규.hwp

:,,.,. 456, 253 ( 89, 164 ), 203 ( 44, 159 ). Cronbach α= ,.,,..,,,.,. :,, ( )


歯5-2-13(전미희외).PDF


. 45 1,258 ( 601, 657; 1,111, 147). Cronbach α=.67.95, 95.1%, Kappa.95.,,,,,,.,...,.,,,,.,,,,,..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Strenghening the Cap

다문화 가정의 부모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Pe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The Effect of Caree


특수교육논총 * ,,,,..,..,, 76.7%.,,,.,,.. * 1. **

DBPIA-NURIMEDIA

A 617

,......


<C0DABBECBFA120C0C7C7D120BBE7B8C12C20C0DABBECC3E6B5BF20B9D720C0DABBECBDC3B5B5C0C720C7F6C8B2B0FA20BAAFC8ADC3DFC0CC5FBCADB5BFBFEC2E687770>

. (2013) % % 2. 1% (,, 2014).. (,,, 2007). 41.3% (, 2013). (,,,,,, 2010)... (2010),,, 4.,.. (2012), (2010),., (,, 2009).... (, 2012).

hwp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The Structural Rel

DBPIA-NURIMEDIA

노인정신의학회보14-1호


상담학연구 : *.,,,,, (N=495)..,.,.. * (2013). (Corresponding Author): / / / Tel: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Relationships a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7;56(3): 에 보급하여 도내 중학교 현장에 적용해 오고 있다 프로그램 내용은 스트레스 우울 자살위험징후 자살위기에 대한 도움 요청 방법 등이며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점검하여 생명사랑 틴틴교실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 A Study 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 The Effect of Paren

노동경제논집 38권 3호 (전체).hwp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The Grounds and Con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4;53(2):61-71 보험회사의 합리적 선택은 무엇이게 되는가 그리고 그 합리 성을 넘어설 수 있는 원리는 무엇이어야 하는가 보험을 유지하는 또 다른 요소는 사회적 연대 - 이다 사회적 연대는 합리성과 대척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 A basic research

,......

Vol.259 C O N T E N T S M O N T H L Y P U B L I C F I N A N C E F O R U M

DBPIA-NURIMEDIA

Lumbar spine

27 2, 1-16, * **,,,,. KS,,,., PC,.,,.,,. :,,, : 2009/08/12 : 2009/09/03 : 2009/09/30 * ** ( :

< FB4EBB1B8BDC320BAB8B0C7BAB9C1F6C5EBB0E8BFACBAB820B9DFB0A320BFACB1B85FBEF6B1E2BAB92E687770>

지난 2009년 11월 애플의 아이폰 출시로 대중화에 접어든 국내 스마트폰의 역사는 4년 만에 ‘1인 1스마트폰 시대’를 눈앞에 두면서 모바일 최강국의 꿈을 실현해 가고 있다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BAB8B0C7B1B3C0B0B0C7B0ADC1F5C1F8C7D0C8B8C1F632392D312E687770>


DBPIA-NURIMEDIA

27 2, * ** 3, 3,. B ,.,,,. 3,.,,,,..,. :,, : 2009/09/03 : 2009/09/21 : 2009/09/30 * ICAD (Institute for Children Ability

54 한국교육문제연구제 27 권 2 호, I. 1.,,,,,,, (, 1998). 14.2% 16.2% (, ), OECD (, ) % (, )., 2, 3. 3

untitled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교육치료연구 SNS : SNS SNS SNS SNS, SNS, SNS. SPSS MACRO SNS., SNS SNS. SNS, SNS,. SNS SNS,. (2016) (Corresponding Author) : / / 608 / Tel:

가족스트레스와 가정생활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DBPIA-NURIMEDIA

상담학연구 * ,. SAS,,, Sobel test., (,, ), (, ), (, ) (,, ).,,,.,.. * (Corresponding Author): / / / Tel: / j

Àå¾Ö¿Í°í¿ë ³»Áö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8;57(4): 하는 데 반해 년 군대 내 사망에서 자살이 차지하는 비율인 이다 이를 통해 일반 인구에서 보다 군인에서 자살이 사망원인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년 등 이 명의

<3132C8ABBCF8C7FD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A Study on the Opti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278 경찰학연구제 12 권제 3 호 ( 통권제 31 호 )

<353420B1C7B9CCB6F52DC1F5B0ADC7F6BDC7C0BB20C0CCBFEBC7D120BEC6B5BFB1B3C0B0C7C1B7CEB1D7B7A52E687770>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A study on the sports educational zeal through the qualitative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mothers of student athletes Byung-Goo Lee & Han-Joo Lee*

차 례... 박영목 **.,... * **.,., ,,,.,,

online ML Comm ORIGINAL ARTIC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4;53(5): Print ISSN On

DBPIA-NURIMEDIA

13.12 ①초점

DBPIA-NURIMEDIA


,....

DBPIA-NURIMEDIA

歯kjmh2004v13n1.PDF


ORIGINAL ARTIC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8;57(1):86-95 Print ISSN Online ISSN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서울도시연구_13권4호.hwp


자살률 감소와 미디어 보도 MH Ahn, et al. 리나라에서 질식에 의한 자살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는데 이 것은 목맴을 이용한 자살 보도에 대중들이 반복적으로 노출 된 영향이 있을 것으로 추론하였다 등 의 연구에서는 모방자살의 양적 지수 모형을 이용해 자살에 대한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 The

DBPIA-NURIMEDIA

<303720C7CFC1A4BCF86F6B2E687770>

歯1.PDF

노인의학 PDF

인권1~2부73p

2 - ABSTRAC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actical effects of Senior Employment Project, implemented by government as a part of sen

ISSN 제 3 호 치안정책연구 The Journal of Police Policies ( 제29권제3호 ) 치안정책연구소 POLICE SCIENCE INSTITUTE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레이아웃 1

139~144 ¿À°ø¾àħ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S

Transcription:

online ML Comm http://dx.doi.org/10.4306/jknpa.2014.53.4.246 ORIGINAL ARTIC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4;53(4):246-253 Print ISSN 1015-4817 Online ISSN 2289-0963 www.jknpa.org 부모애착과또래애착이청소년의자살사고에미치는영향 : 우울과불안의매개효과 예수병원정신건강의학과 전숙향 은헌정 최말례 김병조 김태형 The Influence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 Adolescent s Suicidal Ideation :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Anxiety Sukhyang Jeon, MD, Hunjeong Eun, MD, PhD, Malrye Choi, MD, PhD, Byongjo Kim, MD, PhD, and Taehyung Kim, MD, PhD Department of Psychiatry, Presbyterian Medical Center, Jesus Hospital, Jeonju, Korea ObjectivesZZ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 attachment, peer attachment, depression, anxiety, and suicidal ideation of adolescen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anxiety in these relationships. MethodsZZThis study targeted 916 middle and high schools students in three different cities. They complet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Received March 17, 2014 Revised May 12, 2014 Accepted May 12, 2014 Address for correspondence Taehyung Kim, MD, PhD Department of Psychiatry, Presbyterian Medical Center, Jesus Hospital, 365 Seowon-ro, Wansan-gu, Jeonju 560-750, Korea Tel +82-63-230-1552 Fax +82-63-230-1568 E-mail psynrdr@hanmail.net ResultsZZParental attachment showed a highly positive correlation with peer attachment while parental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showed a highly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and anxiety. In addition, parental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showed a highly negative correlation with suicidal ideation while depression and anxiety showed a high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uicidal ideation. Parental attachment, not only directly, but also indirectly, affects suicidal ideation with mediation of depression and anxiety, indicating that the more secure the level of attachment, the lower the occurrence of depression and anxiety are, which, as a result, can lower suicidal ideation tendency. ConclusionZZParent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have a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with the mediation of depression and anxiety, which plays a crucial role in suicidal ideation of adolescent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4;53(4):246-253 KEY WORDSZZ Parent attachment Peer attachment Depression Anxiety Suicidal ideation. 서론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우리나라의 사망 원인별 순위를 보면 자살은 년 사망 원인 위에서 년 위로 상승하였으며 인구 만 명당 명이 자살로 사망하였다 우리나라의 높은 자살률은 다른 - 국가들의 평균보다 배가 넘는 수준이며 수년 동안 우리나라는 자살 사망률 위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청소년 자살의 경우 더 심각한 실정인데 인구 만 명당 명의 청소년이 목숨을 잃었으며 청소년 전체 사망 원인 중 위를 차지하고 있고 위인 운수 사고 사망률 명보다 이상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청소년 자살이 사고로 처리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종종 공식적인 수치에서 제외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훨씬 더 많은 청소년이 스스로 삶을 포기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유가족이나 친구가 감당해야 하는 정서적 상처와 어린 나이의 사망으로 인한 인적 자원의 상실은 매우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제 청소년 자살은 개인의 문제를 넘어서 사회 국가적인 문제이며 향후 국가 발전에도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 정부에서도 청소년 자살에 대해 국가적 차원에서 관심을 갖고 년부터 청소년 자살 예방 대책 개년 계획을 만들었으나 예산이나 인력상의 문제로 실효를 거두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청소년 자살은 매우 다양한 요인에 의해서 유발되는데 우울 높은 학업 스트레스 학대 경험 교우 관계 실패 등은 청소년 자살의 위험요인인 반면에 높은 자존감 부모와 교사의 지지 등은 자살의 보호요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중 부모와 가족 관계는 청소년 자살을 이해하고 예방하는 데 246 Copyright 2014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애착이청소년자살사고에미치는영향 S Jeon, et al.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자살시도 전에 가지는 자살사고 自殺思考 는 자살예측의 중요한 지표라고 하였으며 경미한 자살사고가 나중에 심각한 수준의 자살사고로 발전될 수 있으며 자살사고의 심각성보다 자살사고 자체가 더 중요하다고 보고되었다 따라서 자살사고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자살에 대한 이해와 예방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된다 청소년기는 스스로 환경을 통제하고 조절하는 상호작용능력이 미발달한 시기로 어느 시기보다 주변 환경의 영향에 민감하며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 또한 청소년기는 급격한 신체성장과 생식기 성숙 등으로 동일성과 연속성에 대한 의문이 생기는 시기로 자아 정체감의 혼란을 겪으면서 친구집단 소속감을 통해 새로운 정체감을 형성하려는 경향을 보이는 시기이다 또한 정서적으로 불안정하며 성취해야 할 발달과업이 많은 시기이므로 그에 따른 심리적 문제들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 우울과 불안은 청소년이 경험하는 전형적인 심리적 부적응 증상들로서 우울은 청소년 자살사고를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요인 중 하나이다 우울할수록 자살사고도 높아지며 우울증이 있는 청소년의 약 가 자살시도 경험이 있고 자살 시도자의 약 에서 우울증 진단을 받는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자살사고를 가진 청소년은 높은 수준의 불안을 가지며 불안장애를 동반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는 경우보다 자살사고는 배 자살시도는 배 증가하였다 한편 충동성 또한 자살과 관련된 중요한 요소로서 특히 청소년기의 자살행위에는 인지적인 요인보다는 우울한 기분이나 분노에 의한 충동적인 요인이 많이 개입되는 특성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자살사고를 하거나 자살시도를 한 청소년들 가운데 가 심한 우울감을 경험했다는 연구결과들은 오랫동안 겪은 심리적인 고통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자살행위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충동성은 자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다른 요인들과 결합되었을 때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자살문제를 단순한 청소년기 특유의 불안정성과 충동성의 결과로 가볍게 인식해왔던 것보다는 좀 더 그들이 느끼는 우울감과 심리적 갈등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초기에 진단하고 적극적으로 중재하는 것이 필요하다 최근 우울증에 대한 대인 관계적 취약성을 찾는 연구자들에게 애착이 유용한 개념으로 등장하고 있다 애착은 삶의 초기에 아동과 주양육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형성된 정서적인 유대감을 의미하며 향후 대인관계의 원형 - 으로서 대인관계 양상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영아기때 양육자와 반복되는 상호작용 경험을 통해 형성된 일정한 애착 양상은 영아의 자기 및 타인에 대한 인지적 표상 즉 내적 작동 모델 을 형성하며 스트레스를 해결하고 극복하는 전략을 형성하는 기초적 신념이 된다 이러한 애착을 통하여 형성된 자아와 세계에 대한 중요한 신념들은 영유아기뿐만 아니라 청소년기와 성인기에도 정서적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때 안정적인 애착 형성은 자기 존중감 정서 조절 능력 대인관계 능력 같은 개인의 사회 정서적인 능력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우울감을 극복하는 요소로도 작용한다 반면 불안정한 애착 형성은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자기표상 또는 자기도식을 형성하게 되고 부정적 생활 사건을 접하게 되면 우울을 생성하게 되는 부정적인 인지도식이 활성화되어 지속적인 우울증상을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애착이 청소년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이 직접적인지 또는 우울이나 불안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의 연구에서 불안정애착이 우울 위험을 증가시켜 간접적으로 자살사고가 증가하였으나 자살사고에 대해 애착의 독자적인 기여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우울을 포함한 정신병리 현상과 애착을 포함한 대인관계 측면 모두를 목표로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자살사고의 여러 변수 가운데 애착을 통한 대인관계의 질적 이해를 높이는 것은 자살사고를 깊이 통찰하고 조기에 중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인자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중점적으로 이루어진 애착에 관한 국내외 연구들은 유아기와 성인기에 편중되어 있었으며 청소년기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자살사고의 심리사회적 위험인자를 파악하거나 부모애착과 우울 부모애착과 자살사고와의 관계를 단편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살사고를 종속변수로 상정하고 독립변수인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직접효과를 분석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으며 매개변수인 불안과 우울이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서 어떠한 간접효과를 가지는지 또한 이들 변수들 간에 서로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그림 과 같이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청소년 자살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중점적인 중재 방안을 모색하여 청소년 자살률을 감소시키는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방법 대상본 연구는 전라북도 지역 남 여 중고등학교 개교 전주시 개교 익산시 개교 김제시 개교 를 대상으로 하였다 www.jknpa.org 247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4;53(4):246-253 Parent attachment 0.418* Depression R 2 =0.285 0.468* 0.268* 0.264* R 2 =0.499 0.387* 0.457* Suicidal ideation 0.207* 0.035 Peer attachment 0.140* Anxiety R 2 =0.121 0.133* Fig. 1. The analysis result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 : p< 0.001. 전체 명 중 검사 문항이 누락되거나 무성의하게 답변한 자료를 제외하고 명이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는 병원 내 임상시험관련 윤리위원회 의 심의를 통과하였다 울 척도 를 이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기 보고형 척도로 방식의 점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의 정도가 심한 것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α 는 이었다 평가도구부모애착부모애착은 과 가 개발한 부모 및 또래애착검사 이하 에서 등 이 개발한 부모애착척도 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신뢰감 의사소통 소외감 영역의 세 가지 하위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점 척도로 되어 있으며 소외감 문항을 제외한 모든 부정적인 문항들을 역채점한 후 사용하였다 총 문항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애착이 높고 안정적인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부모애착의 하위요인 각각의 - α는 신뢰감 의사소통 소외감 로 나타났다 전체 부모애착 α 는 였다 또래애착청소년의 또래의 애착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에서 또래에 대한 애착 척도를 자체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총 문항이며 또래에 대한 신뢰감 의사소통 소외감 문항의 가지 하위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점 척도로 되어 있으며 총점이 높을수록 애착이 높고 안정적인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또래애착의 하위요인 각각의 α는 신뢰감 의사소통 소외감 로 나타났다 전체 또래애착 α 는 이었다 우울우울 증상을 측정하기 위해 가 구성한 아동용 우 불안불안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불안척도 이하 를 과 가 번역한 한국판 를 사용하였다 총 문항의 자기 보고형 검사로서 지난 한 주 동안 각 문항에서 기술하는 증상으로 인해 불편하게 느낀 정도를 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α는 이었다 자살사고자살사고를 평가하기 위해서 등 이 개발한 자살사고 척도 를 등 이 한국 실정에 맞춰 자기 보고식 척도로 변형시킨 것을 사용하였다 식 점 척도로 총 문항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살사고를 많이 하는 것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α 는 였다 통계분석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 이하 과 R R 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치의 유의도는 < 수준에서 검증되었다 부모애착 또래애착 불안 우울과 자살사고 간의 연관성은 상관분석을 이용하였다 부모애착 또래애착 우울 불안과 자살사고 간의 관계를 동시에 설명하고 각 변수들의 관계를 전체적으로 타당하게 설명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 분석을 실시하였다 애착이 자살사고에 미 248

애착이청소년자살사고에미치는영향 S Jeon, et al.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n=917) General characteristics Boys, n=422 46.0% Girls, n=495 53.9% Age years, mean±sd 15.77±1.44 15.93±1.02 Level of education, n % Middle school High school 111 12.1 311 33.9 59 6.4 436 47.5 Income socioeconomic state, n % High Middle Low 27 2.9 340 37.0 55 5.9 19 2.0 414 45.1 62 6.7 School grades, n % Good Fair Poor 69 7.5 235 25.6 118 12.8 67 7.3 309 33.6 119 12.9 Primary caregiver, n % Mother 308 33.5 357 38.9 Grandmother 63 6.8 80 8.7 Father 35 3.8 33 3.5 Others 16 1.7 25 2.7 Values : persons %. SD : Standard deviation 치는 영향에 대한 우울과 불안의 매개효과에 대한 검정은 를 이용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자의일반적특성연구에 참여한 명 중 남학생은 명으로 였고 여학생은 명으로 였다 여학생의 연령분포는 세부터 세까지였으며 평균 연령은 세 - 이하 였으며 이들 중 명이 중학생 명이 고등학생 이었다 남학생의 연령분포는 세부터 세에 이르며 평균 연령은 세 였으며 이들 중 명이 중학생 명이 고등학생 이었다 주 양육자는 대부분의 시간을 같이 보내고 돌보며 정서적인 애착이 형성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사람으로 모인 경우가 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조모 부 순이었다 표 부모애착, 또래애착, 우울, 불안, 자살사고의상관관계애착과 우울 불안 그리고 자살사고의 관계에 대하여 - 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변수들은 모두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표 자살사고와 관련된 요인들 중 우울은 가장 높은 양의 상관 < 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애착의 신뢰감 < 의사소통 < 과 또래애착의 신뢰감 < 의사소통 < 은 모두 자살사고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부모애착의 소외감 < 또래애착의 소외감 < 과 자살사고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부모애착의 소외감이 자살사고와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불안은 자살사고와 유의미한 양의 상관 < 을 보였다 부모애착, 또래애착, 불안, 우울과자살사고간의구조방정식모형구조방정식모형에대한적합도분석 χ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는 기초 부합치 이하 비표준 적합지수 이하 비교 적합지수 이하 근사오차 평균제곱의 제곱근 이하 등으로 평가를 하게 된다 는 이상이어야 하며 는 미만으로 나타나야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판정한다 본 연구 모형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는 는 는 로 모두 이상이고 는 로 미만으로 나타나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모형경로분석결과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이 우울을 설명하는 설명력은 이고 불안을 설명하는 설명력은 이며 애착과 우울 불 www.jknpa.org 249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4;53(4):246-253 안이 자살사고를 설명하는 설명력 은 였다 그림 Table 2. Correlations of variables Suicidal ideation Parent attachment Peer attachment Depression Anxiety Trust Communication Alienation Trust Communication Alienation Parent attachment 1.0 Trust 1.0 0.749* Communication 0.710* 1.0 0.731* Alienation Peer attachment Trust 0.362* 0.294* 0.299* 1.0 Communication 0.301* 0.325* 0.239* 0.775* 1.0 Alienation 0.259* 0.264* 0.384* 0.652* 0.549* 1.0 Depression 0.406* 0.407* 0.477* 0.318* 0.337* 0.334* 1.0 Anxiety 0.262* 0.222* 0.346* 0.220* 0.198* 0.216* 0.548* 1.0 Suicidal ideation 0.435* 0.401* 0.520* 0.235* 0.234* 0.267* 0.659* 0.465* 1.0 * : p<0.001 먼저 애착이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모애착은 우울에 영향을 주며 β < 불안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β < 또래애착 또한 우울에 영향을 주며 β < 불안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β < 즉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이 높을수록 우울과 불안은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애착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모애착은 자살사고에 영향을 주지만 β < 또래애착은 영향을 주지 않았다 β 다음은 우울 및 불안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우울 β < 과 불안 β < 이 높을수록 자살사고는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조방정식모형의매개효과부모애착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우울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으며 < 불안의 매개효과도 유의한 결과 < 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부모애착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우울 및 불안이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래애착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우울의 매개효과 또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 불안의 매개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즉 우울 및 불안은 부모애착과 또래애착 각각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조방정식모형의직접 간접효과부모애착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β 부모애착이 우울과 불안을 매개하는 간접효과는 β 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따라서 부모애착은 자살사고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우울과 불안을 매개하여 자살사고에 영향을 주는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애착은 자살사고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지만 매개효과가 있고 우울과 불안을 매개하는 간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또래애착이 높을수록 우울과 불안이 감소하여 자살사고가 감소하는 β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찰 본 연구는 명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이 불안과 우울을 매개하여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250

애착이청소년자살사고에미치는영향 S Jeon, et al. 을 살펴보고 이들 간에 서로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에서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은 우울과 불안에 영향을 미치고 간접적으로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가 있었으며 부모애착은 청소년 자살사고에 직접효과가 있었으나 또래애착은 자살사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존의 연구를 보면 - 과 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부모와 불안정애착이 또래 집단보다 자살사고에 강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였고 는 부모와 애착 수준은 자살사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부모와 안정적인 애착 형성을 통하여 우울과 소외감을 극복하고 자살사고를 감소시킨다고 보고하였다 이들을 종합해보면 비록 청소년기에 또래관계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자살사고에 있어서 부모애착이 또래애착보다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청소년기에 부모에 대한 애착행동과 상호작용은 줄어들지만 부모는 여전히 안전기지로서 작용하며 부모에 대한 애착은 여전히 중요하다는 의 의견과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부모애착의 하위요인 중 소외감 < 은 우울과 함께 자살사고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자살사고와 소외감에 대한 타 연구들을 살펴보면 등 은 명의 청소년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 청소년용 - 를 이용해서 조사한 결과 자살가능성이 높은 환자들은 소외감 척도가 우울 척도 반사회성 척도 경조증 척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고 보고했다 자살시도 경험이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의 연구에서도 소외감은 다른 하위요인에 비해 자살사고에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자살시도 청소년들은 가족들로부터 심한 소외감과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느낄 때 자살사고와 자살시도의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보고한 결과와 일치한다 따라서 자살사고를 가진 청소년들에게 부모와의 관계에서 소외감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의사소통프로그램이나 가족치료를 통해 가족 내 소외감을 감소하도록 중재하는 것은 자살사고를 감소할 수 있는 중요한 보호요인으로 작용하리라 생각된다 또래애착은 자살사고에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지만 우울과 불안을 매개하여 자살사고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또래애착은 부모애착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부모에 대해 부정적이고 낮은 애착은 또래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불안정한 또래애착은 청소년들의 우울과 불안 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자살사고가 증가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애착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영아기 때 부모와 불안정한 애착을 형성한 청소년이 또래관계에서 소외와 빈약한 지지를 경험하면 아동기 때 내재화된 내적 작동 모델을 통해서 불안과 우울 같은 심리적 부적응상태에 빠지게 되고 결국 자살사고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등 의 연구에서도 친밀한 친구들의 빈약한 지지와 또래로부터 소외가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자살사고의 여러 변수 가운데 부모나 또래애착을 통한 대인관계의 질적 이해를 높이는 것은 자살사고를 깊이 통찰하고 조기에 중재하는 중요한 인자라고 할 수 있으며 특히 부모애착은 자살사고에 직접 효과뿐만 아니라 매개효과를 가지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우울과 불안은 모두 자살사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우울과 불안이 높을수록 자살사고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연구들에서도 우울이 높을수록 자살사고가 증가하며 자살사고를 가진 청소년들은 높은 수준의 불안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분장애가 불안장애를 동반할 때 자살위험은 더욱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우울과 불안이 자살사고에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특히 우울은 청소년 자살사고를 가장 잘 예측해주는 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이 우울을 설명하는 설명력은 불안을 설명하는 설명력은 로서 우울과 불안을 극복하는 데 애착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자살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울과 불안을 초기에 인식해서 중재해야 할 뿐만 아니라 부모 및 또래애착 향상을 통해서 우울과 불안을 해소하면 자살사고 중재에 큰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의 선정과정이 확률표본추출방법에 의하지 않았고 고등학생에 비해 중학생이 상대적으로 매우 부족하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령층과 광범위한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둘째 자료수집방법에서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자기 방어와 같은 여러 오류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반구조화된 면접이나 다양한 정보원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하여 애착을 평가함으로써 자기 기입식 도구의 오류점을 극복해야 된다고 생각된다 셋째 대상자가 일반 중 고등학생이므로 이 결과를 자살 위험이 높은 우울증이나 불안장애가 있는 임상군에게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임상현장에서 자살시도로 입원했거나 www.jknpa.org 251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4;53(4):246-253 자살사고를 가진 우울증 환자 같은 임상집단을 대상으로 하 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자살사고를 우울과 불안 같은 내재화된 정신병리를 통해 자살사고를 설명하였으나 자살에 미치는 요인은 매우 다양하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나 품행장애 같은 외현화장애 와 자살사고에 대한 관련 연구도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이를 통해 내재화장애와 비교연구도 가능하리라 생각한다 다섯째 최근 들어서 전통적인 가정 구조가 해체되고 국제 결혼을 통한 다문화 가정이 늘어나고 재혼 가정이나 입양 가정들이 늘어나면서 가족 형태의 변화가 역동적으로 일어 나고 있다 또한 학교 환경에서는 친구뿐만 아니라 교사의 지 지도 청소년 자살을 낮추는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주양육 대상을 전통적인 부모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에서 양육되는 아동의 애착에 대한 연구가 필요 하리라 생각된다 결 론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과 자살사고 관계에서 우울 불안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부모애착은 자살사고에 직접 영향 을 미칠 뿐만 아니라 우울 불안을 매개로 자살사고에 부분 매개효과가 있으며 또래애착은 우울 불안을 매개로 자살사 고에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애착 과 또래애착이 높고 안정적일수록 우울 불안의 수준이 낮아 지며 따라서 자살사고도 낮아질 것으로 볼 수 있다 부모애착 과 또래애착은 우울 불안을 통해 자살사고에 직접효과와 매 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자살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서는 우울과 불안을 초기에 인식해서 중재함과 동시에 부모 및 또래애착 향상을 통해서 우울과 불안을 해소해야 할 것 으로 사료된다 중심단어 부모애착 또래애착 우울 불안 자살사고 Acknowledgments -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financial conflicts of interest. REFERENCES 1) Statistics Korea. 2010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Daejeon: Statistics Korea;2011. 2)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Health data. Pari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2012. 3) Statistics Korea. 2011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Seoul: Statistics Korea;2012. 4) Yongin Mental Hospital Health Promotion Project Support Group. Model of case management for suicide high risk groups. Yongin: Yongin Mental Hospital;2009. 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5-Year Comprehensive Plan for Suicide Prevention. Sejong: Ministry of Health & Welfare;2005. 6) Fiske H. Hope in action: Solution-Focused Conversations about Suicide. New York: Routledge;2008. 7) Kim SA. Effects of childhood stress,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on middle school adolescent suicidal ideation. Korean J Fam Welf 2009; 14:5-27. 8) Berman AL, Jobes DA. Suicide prevention in adolescents (age 12-18). Suicide Life Threat Behav 1995;25:143-154. 9) Kumar G, Steer RA. Psychosocial correlates of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 psychiatric inpatients. Suicide Life Threat Behav 1995;25: 339-346. 10) Simons RL, Murphy PI. Sex differences in the causes of adolescent suicide ideation. J Youth Adolesc 1985;14:423-434. 11) Chong YJ, Chong YS.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cognitive deconstruction, perceived support from friend and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Korean J Dev Psychol 2007;20:67-88. 12) Lee JS. The influence of mother and peer attachment on adolescent s depression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2006. 13) Lewinsohn PM, Rohde P, Seeley JR. Psychosocial risk factors for future adolescent suicide attempts. J Consult Clin Psychol 1994;62: 297-305. 14) Kwon TY. Identifying latent classes in adolescents suicide ideation changes and testing ecological factors as determinants of classes. Ment Health Soc Work 2012;40:89-118. 15) Andrews JA, Lewinsohn PM. Suicidal attempts among older adolescents: prevalence and co-occurrence with psychiatric disorder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2;31:655-662. 16) Brent DA, Kalas R, Edelbrock C, Costello AJ, Dulcan MK, Conover N. Psychopathology and its relationship to suicidal ideation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J Am Acad Child Psychiatry 1986;25:666-673. 17) Boden JM, Fergusson DM, Horwood LJ. Anxiety disorders and suicidal behaviours in adolescence and young adulthood: findings from a longitudinal study. Psychol Med 2007;37:431-440. 18) Carlson GA, Cantwell DP. Suicidal behavior and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 Am Acad Child Psychiatry 1982;21:361-368. 19) Kim HS. The effects of depression and impulsivity on suicidal ideation [dissertation]. Daegu: Catholic University of Daegu;2011. 20) Bowlby J. The Making & Breaking of Affectional Bonds. London: Tavistock Publications;1979. 21) Bowlby J. Attachment and Loss, Volume I: Attachment. New York: Basic Books;1969. 22) Rothbard JC, Shaver PR. Continuity of attachment across the life span. In: Sperling MB, Berman WH, editors. Attachment in Adults: Clinical and Developmental Perspectives. New York: Guilford;1994. p.31-71. 23) Allen JP, Land D. Attachment in adolescence. In: Cassidy J, Shaver PR, editors. Handbook of Attachment: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s. New York: Guilford Press;1999. p.319-335. 24) Holmes J. John Bowlby and Attachment Theory. London: Routledge; 1993. 25) Hollis C. Depression, family environment, and adolescent suicidal behavior.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6;35:622-630. 26) DiFilippo JM, Overholser JC.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 psychiatric inpatients a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attachment relationships. J Clin Child Psychol 2000;29:155-166. 27) Armsden GC, Greenberg MT.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 252

애착이청소년자살사고에미치는영향 S Jeon, et al. 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 Youth Adolesc 1987;16:427-454. 28) Yoo SK, Park SL, Hwang MH. Validation of Korea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J Korean Elem Couns 2010;9:21-39. 29) Kovacs M. Rating scales to assess depression in school-aged children. Acta Paedopsychiatr 1981;46:305-315. 30) Han EG. Children s and adolescents depression, attributional style and academic achievement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1993. 31) Kwon SM, Oei TPS. Differential causal roles of Dysfunctional Attitudes and Automatic Thoughts in depression. Cogn Ther Res 1992;16: 309-328. 32) Beck AT, Kovacs M, Weissman A.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J Consult Clin Psychol 1979;47:343-352. 33) Shin MS, Park KB, Oh KJ, Kim ZS. A study of suicidal ide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 structural relation among depression, hopelessness, and suicidal ideation. Korean J Clin Psychol 1990;9:1-19. 34) Hong S. The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ir rationales. Korean J Clin Psychol 2000; 19:161-177. 35) Strang SP, Orlofsky JL. Factors underlying suicidal ideation among college students: a test of Teicher and Jacobs model. J Adolesc 1990; 13:39-52. 36) Choi SJ. The parent attachment and suicide ideation: mediating effects of dysfunctional beliefs, depression [dissertaion].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2008. 37) Adams DM, Overholser JC, Lehnert KL. Perceived family functioning and adolescent suicidal behavior.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4;33:498-507. 38) Bowlby J. A secure base: parent-child attachment and healthy human development. New York: Basic Books;1988. 39) Kopper BA, Osman A, Osman JR, Hoffman J. Clinical utility of the MMPI-A content scales and Harris-Lingoes subscales in the assessment of suicidal risk factors in psychiatric adolescents. J Clin Psychol 1998;54:191-200. 40) Fergusson DM, Beautrais AL, Horwood LJ. Vulnerability and resiliency to suicidal behaviours in young people. Psychol Med 2003;33:61-73. 41) Rubenstein JL, Halton A, Kasten L, Rubin C, Stechler G. Suicidal behavior in adolescents: stress and protection in different family contexts. Am J Orthopsychiatry 1998;68:274-284. 42) Prinstein MJ, Boergers J, Spirito A, Little TD, Grapentine WL. Peer functioning, family dysfunction, and psychological symptoms in a risk factor model for adolescent inpatients suicidal ideation severity. J Clin Child Psychol 2000;29:392-405. 43) Kandel DB, Raveis VH, Davies M.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ce: depression, substance use, and other risk factors. J Youth Adolesc 1991;20:289-309. 44) Melhem NM, Brent DA, Ziegler M, Iyengar S, Kolko D, Oquendo M, et al. Familial pathways to early-onset suicidal behavior: familial and individual antecedents of suicidal behavior. Am J Psychiatry 2007; 164:1364-1370. 45) Nrugham L, Larsson B, Sund AM. Predictors of suicidal acts across adolescence: influences of familial, peer and individual factors. J Affect Disord 2008;109:35-45. 46) Goldston DB, Daniel SS, Erkanli A, Reboussin BA, Mayfield A, Frazier PH, et al. Psychiatric diagnoses as contemporaneous risk factors for suicide attempts among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developmental changes. J Consult Clin Psychol 2009;77:281-290. 47) Kwon EH.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suicide ideation of juveniles-focused on psychosocial factors [dissertation]. Iksan: Wonkwang University;2009. www.jknpa.org 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