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31호, pp. 201~216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2007, Vol. 31, pp. 201~216 프로배구구단 내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팀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 수 현 원 영 신 (연세대학교)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오늘날 프로스포츠는 하나의 거대산업으로 부각되 며 지속적인 발전을 하고 있다. 팀 스포츠로 대변되는 국내 프로스포츠는 1980년대 초반 프로야구와 프로축 구를 시작으로 1997년에는 프로농구, 최근 2005년에는 프로배구가 공식 출범하면서 외형적 성장과 더불어 막대한 영향력을 갖춘 스포츠조직이 되었다. 프로스포츠는 스포츠 경기라는 상품, 이것을 공급하 는 선수와 구단, 경기를 유지ㆍ관리하는 연맹, 경기를 관람의 형태로 소비하는 관중으로 구성(신영락, 강준 호, 2003)되며, 경기 자체가 목적이 되는 아마추어스포 츠와는 달리 대중의 관심을 끌어내어 이윤을 추구하 는 목적을 지닌 스포츠이다(원영신, 2005). 이러한 맥 락에서 그동안 프로스포츠는 자본의 논리가 강조되는 영역으로 인식되어 왔고, 학문적 관심 역시 산업적인 측면에 집중된 경향을 보여 왔다. 프로스포츠와 관련 된 기존연구들을 살펴보면 주로 스포츠 경영학 분야 에서 관중유입을 위한 마케팅 전략이나 스포츠 소비 자의 구매행동 등과 같은 프로스포츠의 수익성 방안 에 관한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프로스포츠의 존립을 위해 필수적인 조직이라 할 수 있는 프로구단, 특히 프로구단 내의 선수자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간과되어온 실정이다. 프로구단은 스포츠 경기라는 상품을 공급하는 중대 한 역할을 담당하며, 그 핵심요소가 선수자원이라는 점에서 이견이 없을 것이다. 프로구단은 조직의 주체 인 선수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통합함으로써 양질 의 경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선수 들이 그들의 직무에 만족하고 조직에 몰입하는 긍정 적인 태도의 형성이 선행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더 나아가 이러한 태도적 성과를 통해 궁극적인 팀의 성 과가 향상된다면 보다 높은 질의 스포츠 경기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팀성과 향상이라는 것은 각 구단 들이 달성하고자 하는 최대의 목표이기도 하지만, 전 체 프로스포츠의 유지ㆍ발전을 위한 양질의 핵심 상 품을 공급한다는 측면에서 모든 구단들이 경주해야 할 일차적인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스포츠조직으로서 프로구단은 조직 내의 인적자원인 선수들의 긍정적인 태도를 통해 조직의 성과를 달성할 수 있다. 즉 프로 구단의 조직성과는 선수들의 역할에 따라 결정될 수 * phdkim001@hanmail.net
202 김 수 현 원 영 신 있으므로, 이러한 선수들의 긍정적인 태도를 높여 구 단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조직적 차원의 연구가 요구된다 하겠다. 따라서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 구단의 조직성과 제고에 관한 학문적 작업은 중요한 연구과제인 것이다. 최근 조직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는 조직의 성과를 제고하는 사회심리적 요인으로서 커뮤니케이션 만족 (communication satisfaction)이라는 개념에 큰 관심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커뮤니케이션 만족이란 조직 내에서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의 다양한 측면 에 대한 개인들의 만족으로, 조직의 제반 커뮤니케이 션 특징에 관한 포괄적인 정서적 반응이며 매우 다차 원적인 개념(Crino & White, 1981)으로 정의된다. 이 러한 커뮤니케이션 만족은 개인이 인식하는 조직 전 체적 측면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합적인 조직현상으로 파악함으로써 조직구성원들의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커뮤니케이션 만족에 대해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긍 정적으로 인식된 조직 내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이 조직 의 성과 증대에 공헌(Clampitt & Downs, 1993; Pincus, 1986;Walther, 1988)한다고 밝히고 있다. 즉 조직 내에서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높아지면 그만큼 조직구성원 간의 관계가 원활해지며, 결과적으로 직무 에 대한 만족도와 조직에 대한 몰입의 정도가 높아져 서 조직의 성과가 향상된다는 것이다(양영종, 1996; 윤석진, 2005). 따라서 스포츠조직으로서의 프로구단 역시 조직의 성과에 효과적으로 도달하기 위해서는 조직 내에서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효율적 인 관리를 통해 선수들이 만족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 션 풍토를 조성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재고 해 보면, 프로구단 내에서 선수들이 인식하는 커뮤니 케이션 만족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는 팀성과 향상에 긍정적 기제로 작용할 것임을 상정해 볼 수 있다. 국내외적으로 커뮤니케이션 만족에 관한 연구들(강 병준, 2000;박정혜, 2002;양영종, 1996;오영미, 2004;유성식, 1991; 윤석진, 2005;이봉행, 2002;조 영호, 문덕중, 1994;황명호, 2003;Mohr & Sohi, 1995;Mueller & Lee, 2002; Potvin, 1991;Putti, Aryee, & Phua, 1990;Rubin, 1993;Varona, 1996)은 경영학, 언론학, 간호학, 행정학, 관광학, 비서학 등의 여러 학문영역에서 활발히 수행되어 왔다. 선행연구들 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연구에서 커뮤니케이션 만족은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친다는 일관된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체육 학 분야에서도 최근 들어 스포츠 팀을 대상으로 커뮤 니케이션 만족을 다룬 연구들(김상훈, 2005;문태영, 손원일, 2004;최영래, 홍미화, 원영신, 2005)이 수행되 고 있는 데, 선수들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은 집단응집 력, 사기와 같은 팀성과 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다양한 조직적 상황에서 구성원들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조 직의 성과 증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실증적 인 근거를 제시해 준다는 측면에서 이론적 발전에 많 은 기여를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한계점 을 보이고 있다. 첫째,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조직 의 성과를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같은 태도적 측면의 성과만으로 측정하고 이를 조직성과의 최종변수로 간 주함으로서 다소 제한된 연구결과를 보고해 왔다는 점이다. 즉 조직성과를 설정하는 데 있어서 조직의 생 산성, 효율성과 같은 실제적 성과변수는 다루지 않고 있으며, 커뮤니케이션 만족에 의해 형성된 태도적 성 과가 실제적 측면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 이라는 추론과 가정만 제시하고 있을 뿐, 포괄적인 조 직성과와의 직접적인 영향관계는 간과하고 있다. 둘 째,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조직성과와의 인과적 관계를 통합적으로 분석한 실증적인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이 다. 기존의 연구들은 일반화하기 어려운 제한적 수준 의 연구들이 대부분이며, 이론 구축에 유용한 종합적
프로배구구단 내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팀성과에 미치는 영향 203 인 연구모형의 제시는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선 행연구들의 한계점에 주목하여, 조직의 성과를 기존의 태도적 성과는 물론 실제적 측면의 성과까지 포괄적 으로 설정하고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보다 체계적 이고 통합적인 연구모형을 적용함으로써 진일보된 연 구결과를 모색하고자 한다. 한편 프로배구는 프로야구, 프로축구, 프로농구로 재편되어 있는 국내 프로리그에 가장 늦게 진입하여 아직까지는 인기도, 관중 수, 마케팅 전략과 같은 대 분의 성과들이 미흡한 상황이다. 학술적인 측면도 시 작단계로서 최근 마케팅 관점의 프로배구 관중성향과 관람동기(강보식, 2005;조영호, 2005;주영삼, 2007), 스폰서십과 기업마케팅(김재현, 2006;맹이섭, 2006; 안남수, 2007;장윤창, 2006) 등을 분석한 소수의 연구 만이 수행되고 있다. 특히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 팀성 과 제고에 관한 연구는 리더십유형과 조직효과성의 관계를 분석한 정학모(2006)의 연구 이외에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프로배구의 합리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 다양한 학술적 연구들이 활발하게 수행되어야 할 시점이라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논거를 종합하여, 본 연구는 프로배구 구단 내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초점을 두고 선 수들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팀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프로배구 선수들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팀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통합적인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통해 프로 배구구단의 팀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유형을 확인하여 효율적인 구단운영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증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자 한다. 2. 연구모형 및 가설 본 연구에서는 프로배구구단 내의 커뮤니케이션 만 족이 팀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의 이론적 근거와 결과를 토대로 <그림 1>과 같 은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커뮤니케이션 만족은 대인 적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환경적 커뮤니케이션 만족으 로 분류하여 외생변수로, 그리고 직무만족, 조직몰입, 팀성과는 내생변수로 구성하여 변수들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그림 1. 연구모형 1)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직무만족 조직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다룬 연구는 가장 활발히 수행되 어 왔으며,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커뮤니케이션 만족 이 직무만족과 긍정적인 관계에 있다는 것을 입증하 고 있다. Pincus(1986)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커뮤니 케이션 만족과 직무만족, 직무성과와의 관계를 규명한 결과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직무만족은 정적인 상관관 계가 있음을 밝혀냈으며, Rubin(1993)은 그의 연구를 통해 조직구성원들은 조직 내의 커뮤니케이션에 만족 을 느낄 때 보다 효과적인 업무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고 하였다. 비서직의 조직 커뮤니케이션을 연구한 오 영미(2004)에 의하면 커뮤니케이션 만족은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며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을 높이 기 위한 적극적인 관심과 적절한 방안이 요구된다고 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고려하여 볼 때, 커뮤니 케이션 만족은 직무만족과 유의한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204 김 수 현 원 영 신 H1:프로배구선수들의 대인적 커뮤니케이션 만족 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프로배구선수들의 환경적 커뮤니케이션 만족 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조직몰입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조직몰입의 관계는 최근 들어 연구자들에게 큰 관심을 받고 있는 주제이며, 일반적 으로 두 변인들은 정적 관계를 갖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Putti et al(1990)은 싱가포르의 기계회사를 대상 으로 구성원들의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조직몰입은 유 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미국의 3개 조직(소매상, 대형병원, 다국적 기업)을 분 석한 Potvin(1991)의 연구에서도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조직몰입은 정적인 관계에 있음이 입증되었다. 국내 체육학 분야에서 임종동(2001)은 교사들의 스포츠참가 와 커뮤니케이션 만족 및 조직유효성의 관계를 규명하 였는데, 커뮤니케이션 만족은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 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선 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H3:프로배구선수들의 대인적 커뮤니케이션 만족 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H4:프로배구선수들의 환경적 커뮤니케이션 만족 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3)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팀성과 본 연구에서는 프로배구구단의 조직성과라 할 수 있는 팀성과 변수를 기존의 태도적 성과와 함께 실제 적 측면의 성과까지 포괄적으로 설정하여, 커뮤니케이 션 만족이 팀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적으로 검증 하는 데 큰 관심을 두고 있다. Pincus(1986)는 그의 연 구에서 커뮤니케이션 만족은 조직의 성과를 나타내는 구성원의 직무성과에 대한 유의미한 설명변수임을 입 증하였으며, 조영호와 문덕중(1994)에 의하면 조직구 성원들은 조직 내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다고 생각 할수록 조직의 성과를 높게 인식한다고 하였다. 한편 Connelly & Rotella(1991)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스포츠 팀의 운동수행이나 팀성공에 중대한 요소로 작용한다고 하였고, 프로야구 프런트조직을 대상으로 한 장건희(2004)의 연구에서도 구단 내 커뮤니케이션 의 원활성은 조직성과의 하위차원인 성장유연성과 팀 워크동조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고하 였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들의 맥락을 통해 다음과 같 은 가설을 설정할 수 있다. H5:프로배구선수들의 대인적 커뮤니케이션 만족 은 팀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H6:프로배구선수들의 환경적 커뮤니케이션 만족 은 팀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4)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다양한 연구에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 변수의 관계 에 대하여 어느 변수가 선행변수인지에 대해서는 일 치된 견해가 없지만 대체로 많은 연구자들은 직무만 족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다 (양영종, 1996). Morris & Sherman(1981)은 직무만족 이 높은 사람일수록 조직에 대한 몰입의 정도가 높아 진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있으며, Russ & Mc Neilly(1995)는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을 규명한 연구에서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는 선행변수 요인으로 직무만족이 보다 강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그밖에 커뮤니케이션 만족 을 다룬 국내연구들(강병준, 2000;양영종, 1996;황 명호, 2003)에서도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의 선행변수임 이 입증되고 있다. H7:프로배구선수들의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영 향을 미칠 것이다. 5)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팀성과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조직구성원의 행동에 영향
프로배구구단 내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팀성과에 미치는 영향 205 을 미치는 중요한 조직행위적 변수이며, 많은 연구자 들은 이 변수들이 조직의 성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 을 제시해 왔다(유성식, 1991). 프로선수들을 대상으로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팀성 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지 만 기존연구들을 통해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먼저 직무만족과 관련하여, 이학식, 김영, 이용기(1998)는 2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시장지향성과 성과와의 관계를 규명한 결과 구성원들의 직무만족은 기업의 성과를 매개하는 유의한 변수임을 입증하였으 며, 특급 호텔조직을 분석한 윤기열(2003)의 연구에서 도 종사원의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호텔의 운영적 사 업성과와 조직유효성이 높아진다는 결과가 제시되고 있다. 또한 Allen & Meyer (1990)에 의하면 조직몰입은 구성원의 이직을 줄이고 높은 품질과 생산성 향상에 공헌한다는 측면에서 그 유용성을 갖는다고 하였으며, Steers & Porter(1991)는 조직구성원의 몰입이 높을수 록 노동생산성과 재무적 성과와 같은 조직의 성과가 증대된다고 하였다. 국내연구에서 육종술(2002)은 스포츠센터 조직구성 원의 조직몰입이 업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한 바 있으며, 레크리에이션 지도자들을 대 상으로 한 강봉화와 박기주(2005)의 연구에서도 조직 몰입의 하위요인 중 정의적, 근속적 몰입이 조직성과 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기와 같은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 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H8:프로배구선수들의 직무만족은 팀성과에 영향 을 미칠 것이다. H9:프로배구선수들의 조직몰입은 팀성과에 영향 을 미칠 것이다. 1. 연구대상 표 1. 연구대상 구단 및 인원 남자 구단 여자구단 구단명 인원 구단명 인원 대한항공 14 GS칼텍스 9 삼성화재 16 KT&G 15 LIG 13 현대건설 14 현대 13 흥국생명 9 한국전력 11 한국도로공사 12 5개 구단 Ⅱ. 연구방법 현재 국내 프로배구구단은 남자 6개 구단, 여자 5개 구단 등 총 11개 구단이 운영 중이다. 본 연구의 대상 은 국내 프로배구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는 남녀 프로 배구선수들이며, 남자 구단 중 상무 배구단은 구단의 비영리적 특성 때문에 연구대상에서 제외하고 한국배 구연맹(KOVO)에 등록되어 있는 남녀 10개 구단의 선 수들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37명을 표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중 무응답 자료와 불성실 한 응답이라고 판단된 11명의 자료를 제외한 126명(남 자 67명, 여자 59명)의 자료가 실제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대상 구단 및 인원은 <표 1>과 같다. 2. 조사도구 67 (53.2%) 5개 구단 59 (46.8%)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를 조사도구로 사용하였다. 설 문지는 커뮤니케이션 만족 16문항, 직무만족 7문항, 조직몰입 12문항, 팀성과 16문항, 연구대상자의 일반 적 특성(성별, 연령, 학력, 선수경력, 포지션, 경기출전, 소속구단)을 묻는 7문항 등 총 58문항으로 구성하였으 며, 각 문항에 대하여 1점(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5점 (매우 그렇다)까지 응답하도록 하였다. 먼저 커뮤니케이션 만족은 조직 내에서 이루어지는
206 김 수 현 원 영 신 커뮤니케이션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개인들의 포괄적 인 정서적 만족을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는 조직 내에 서의 대인관계 차원을 통해 형성되는 대인적 커뮤니 케이션 만족과 조직 내의 제반 환경요인과 관련되어 형성되는 환경적 커뮤니케이션 만족으로 분류ㆍ정의 하였다. 이를 측정하기 위해서 Downs & Hazen (1977), Pincus(1986)에 의해 개발된 커뮤니케이션 만 족 척도를 유성식(1991)과 여병민(2000)이 번안하여 사용한 수평적ㆍ비공식적 2문항, 상사 2문항, 최고경 영자 2문항, 개인적 피드백 2문항, 미디어의 질 2문항, 조직의 전망 2문항, 조직 통합성 2문항, 커뮤니케이션 분위기 2문항 등을 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직무만족은 한 개인이 자신의 직무나 직무경험 평 가 시에 발생하는 유쾌하고 긍정적인 정서상태를 의 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직무만족을 측정하기 위해 MSQ(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를 기초 로 유성식(1991)이 재구성하여 작성한 내재적 만족 4 문항, 외재적 만족 3문항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조직몰입은 조직의 구성원이 자기가 속한 조직 및 조직목표에 대해 일체감을 느끼며 조직의 구성원으로 계속 남아 있고자 하는 태도를 말한다. 조직몰입 문항 은 Meyer & Allen(1991)이 제시한 3요인 모델을 근거 로 윤석진(2005)과 홍서진(2005)이 개발하여 사용한 정서적 몰입 4문항, 지속적 몰입 4문항, 규범적 몰입 4 문항을 활용하여 구성하였다. 팀성과는 스포츠 팀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개념이며, 본 연구에서는 팀성과를 운동을 통해 얻어진 선수들 의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운동 및 생활태도의 성과를 나타내는 운동수행성과, 팀의 목표달성을 위해 선수들 이 스스로 상호작용하며 원활한 팀워크를 형성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팀워크동조성, 선수들이 인지하는 팀 의 객관적인 운동기능과 전력을 나타내는 경기력, 실 제경기에서 팀이 목표로 한 성적이나 성과의 달성정 도를 나타내는 경기성과 등의 4가지 하위요인으로 정 의하였다. 먼저 운동수행성과와 경기력은 이기철 (1999)과 조병섭(2003)의 연구에서 개발된 운동생활성 과 4문항, 인지된 경기력 5문항을 활용하였으며, 팀워 크동조성과 경기성과는 장건희(2004)의 연구에서 사용 된 팀워크동조성 3문항, 실제성과 4문항을 본 연구의 상황에 적합하도록 수정ㆍ보완하여 구성하였다. 3. 조사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측정한 자료가 실제분석에 적합한지를 판단하는 필 수적 기준은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이다. 본 연구에서 는 일차적으로 조사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체육학 교수 5인으로 구성된 전문가집단의 검토를 통 해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를 확인한 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구성타당도(construct validity) 를 평가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적합도 평가기준은 χ 2 에 대한 p값이.05 이상, GFI, NFI는.90 이상(Bentler & Bon ett, 1980), TLI는.90 이상(Kelloway, 1998), CFI는.90 이상(Bollen, 1989), RMSEA는.08 이하(Browne & Cudeck, 1993)일 경우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 였다. 본 연구의 확인적 요인분석은 단계적 분석방법 을 채택하였으며, 먼저 1단계 분석에서는 5개의 개별 측정모형(대인적 커뮤니케이션 만족, 환경적 커뮤니케 이션 만족, 직무만족, 조직몰입, 팀성과)에 대한 각각 의 적합도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직무만족의 내재 적 만족 1문항, 조직몰입의 지속적 몰입 1문항, 팀성 과의 경기력 1문항에서 수렴타당성(convergent validi ty)이 결여된 낮은 요인부하량(λ<.40)이 나타남으로 써 이 3문항을 제외하고 다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 시하였다. <표 2>에서 개별 측정모형들의 적합지수를 살펴보면, 일부 연구단위에서 NFI와 χ 2 에 대한 p값이 평가기준보다 낮게 나타났지만 GFI, TLI, CFI, RM SEA 등의 적합도 지수가 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현재의 수준에서 개별 측정모형의 구조적 타
프로배구구단 내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팀성과에 미치는 영향 207 표 2. 개별 측정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대인적 커뮤니케이션 만족 환경적 커뮤니케이션 만족 직무만족 조직몰입 팀성과 변 인 초기 최종 χ 2 df p GFI NFI TLI CFI RMSEA 수평적 2 2 상사 2 2 14.27 6.027.965.962.943.977.015 최고경영자 2 2 개인적 피드백 2 2 미디어의 질 2 2 조직의 전망 2 2 69.22 25.000.906.859.929.914.026 조직 통합성 2 2 커뮤니케이션 분위기 2 2 내재적 만족 3 2 외재적 만족 3 3 11.06 8.198.972.960.977.988.055 정서적 몰입 4 4 지속적 몰입 4 3 51.52 40.105.928.950.984.988.048 규범적 몰입 4 4 운동수행성과 4 4 팀워크동조성 3 3 경기력 4 3 113.06 72.001.900.919.957.972.068 경기성과 4 4 당성은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후 2단계 분석에서는 문항묶음(item parceling)을 이용하여 대인적 커뮤니케이션 만족의 3개 요인, 환경 적 커뮤니케이션 만족의 5개 요인, 직무만족의 2개 요 인, 조직몰입의 3개 요인, 팀성과의 4개 요인 각 항목 의 평균값으로 새로운 측정변수를 추출하였으며, 5개 의 잠재변수와 17개의 측정변수로 구성된 전체 측정 모형의 적합도를 평가하였다. 문항묶음의 사용은 자료 의 연속성 및 정상성 확보를 용이하게 하며 다수의 측 정변수 사용에서 발생하는 추정오차를 감소시켜 준다 (Bandalos & Finney, 2001). 전체 측정모형에 대한 확 인적 요인분석 결과는 <표 3>과 같다. 모형의 적합도 를 살펴보면, NFI의 경우.899로 나타났지만 적합기준 치인.90에 근접하고 있으며, χ 2 에 대한 p값, GFI, TLI, CFI, RMSEA 등의 지수에서도 평가기준을 상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체 연구모형에 대한 측정개념들의 적용은 적합하며, 조사도구는 전반적인 타당도를 확보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표 3. 전체 측정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지수 χ 2 df p GFI NFI TLI CFI RMSEA 적합도 109.96 98.193.910.899.984.988.030 다음으로 조사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항 간의 내적일관성을 나타내는 Cronbach's α 값을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대인적 커뮤니케이션 만족은.784~.867, 환경적 커뮤니케이션 만족은.654~.799, 직무만족은.785~.813, 조직몰입은.799~.937, 팀성과는.762~.928의 내적일관성이 나타 났다. 일부 항목의 경우.70 미만의 α 값이 나타났지 만, 모든 연구단위에서 일반적인 신뢰도 수용가능기준 인 α=.60 이상(Nunnally, 1978)을 충족시키고 있어 본 연구의 조사도구는 신뢰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4. 조사절차 및 자료처리 본 연구에서는 실증분석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다. 설문조사는 각 구단관계자에게 사전연락을 하여 설 문조사에 대한 협조를 얻은 후, 연구자를 포함한 보조 조사원 5인이 해당 구단에 직접 방문하여 실시하였다. 문항의 기입은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응답하도록 하고 완 성된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설문조사 기간은 2006년 10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약 2개월이 소요되었다.
208 김 수 현 원 영 신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윈도우용 SPSS 12.0과 AMOS 6.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였으며, 먼저 연구대 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조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 (confirmatory factor analysis)과 Cronbach's α 검증 을 실시하였고 연구모형 및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 조방정식모형 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모든 통계치의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2. 연구가설의 검증 설정한 연구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판명됨에 따라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그림 2>와 같은 경로계 수 추정결과를 제시하였다. Ⅲ. 결 과 1. 연구모형의 적합도 평가 프로배구구단 내의 커뮤니케이션 만족,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팀성과 간의 통합적인 인과관계를 제시 한 본 연구의 이론적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 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전체 모형에 대한 적합 도를 추정하였다. 모형추정 방법은 최대우도법(max imum likelihood method)을 사용하였다. <표 4>의 모 형적합도 결과를 살펴보면, χ 2 =109.41(df=98, p=.202)로 나타나 연구모형이 표본자료에 적합하다는 영 가설이 채택되어 일차적으로 전반적인 모형의 부합도 가 인정되고 있다. NFI=.898로 나타났으나 비교적 양 호한 수준이라 할 수 있고, GFI, TLI, CFI, RMSEA 등의 지수에서도 평가기준을 충족시키는 만족할 만한 수준의 적합도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2개의 외생 변수와 3개의 내생변수로 구성된 본 연구의 모형이 실증자료를 비교적 잘 설명하는 적합한 모형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표 4. 연구모형의 적합도 분석 결과 지수 χ 2 df p GFI NFI TLI CFI RMSEA 적합도 109.41 98.202.909.898.968.977.041 그림 2. 연구모형의 경로계수 추정 각 연구단위들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검증 결과는 <표 5>와 같다. 먼저 프로배구선수들의 환경적 커뮤 니케이션 만족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2(γ=.282, t=3.375), 프로배구선수들의 대인적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는 가설 3(γ=.351, t=2.124), 프로배구선수들의 대인 적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팀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 라는 가설 5(γ=.263, t=1.960), 프로배구선수들의 직 무만족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7 (β=1.314, t=3.201), 프로배구선수들의 조직몰입이 팀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9(β=.232, t= 2.456)는 채택되었으며, 프로배구선수들의 대인적 커 뮤니케이션 만족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1(γ=.104, t=1.482), 프로배구선수들의 환경적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는 가설 4(γ=.075, t=.430), 프로배구선수들의 환경 적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팀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 라는 가설 6(γ=.121, t=.917), 프로배구선수들의 직 무만족이 팀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8(β =.308, t=1.099)은 기각되었다.
프로배구구단 내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팀성과에 미치는 영향 209 표 5.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결과에 의한 가설검증 가설 H1 H2 H3 H4 H5 H6 경로 대인적 커뮤니케이션 직무만족 환경적 커뮤니케이션 직무만족 대인적 커뮤니케이션 조직몰입 환경적 커뮤니케이션 조직몰입 대인적 커뮤니케이션 팀성과 환경적 커뮤니케이션 팀성과 경로 계수 표준 오차 t값 채택 여부.104.070 1.482 기각.282.084 3.375*** 채택.351.165 2.124** 채택.075.175.430 기각.263.137 1.960** 채택.121.132.917 기각 H7 직무만족 조직몰입 1.314.411 3.201*** 채택 H8 직무만족 팀성과.308.280 1.099 기각 H9 조직몰입 팀성과.232.094 2.456*** 채택 **p<.01, ***p<.001 이션 만족이 팀성과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총효과 검증에서 주목되는 결과는 환경적 커 뮤니케이션 만족의 경우, 가설검증 결과에서는 팀성과 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기각되었지만 직무만족 과 조직몰입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가 발생함으로써, 팀성과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채택된 조직몰입 에 비해 총효과 면에서는 보다 큰 영향력이 나타났다 는 점이다. 대인적 커뮤니케이션 만족 역시 팀성과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과 더불어 조직몰입을 매개한 간 접효과로 인해 가장 높은 총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이 와 같은 결과에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커뮤니케이 션 만족과 팀성과의 관계를 심화시켜주는 의미 있는 매개변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3. 최종 내생변수에 대한 총효과 검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은 변수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총효과(total effect)로 파악할 수 있는 데, 한 변수의 다른 변수에 대한 총효과는 직접효과(direct effect)와 간접효과 (indirect effect)를 합한 값으로 산출된다. 즉 변수의 영향력을 직접효과만으로 판단하게 되면 정확한 효과 크기를 파악할 수 없으므로(김계수, 2006), 올바른 해 석을 위해서는 총효과를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부가적으로 최종 내생변수인 프로배 구구단의 팀성과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상대적 비교가 용이한 표준화 경로계수를 산 출한 후 각 변수들의 총효과를 분석하였다. <표 6>의 결과를 살펴보면, 팀성과에 대한 각 변수 들의 영향력 크기는 총효과.463의 대인적 커뮤니케이 션 만족, 총효과.390의 환경적 커뮤니케이션 만족, 총 효과.357의 직무만족, 총효과.356의 조직몰입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총효과의 비교를 통해 외생변수로 설정된 대인적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환경적 커뮤니케 표 6. 최종 내생변수에 대한 총효과 검증 결과변수 팀성과 원인변수 영향력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 대인적 커뮤니케이션.298.164.463 환경적 커뮤니케이션.152.238.390 직무만족.179.178.357 조직몰입.356 -.356 Ⅳ. 논 의 프로배구구단 내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팀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연구모형의 분석 결과를 토대 로 프로배구구단의 효율적인 운영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다음과 같 이 논의하였다. 먼저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분석 한 결과, 프로배구선수들의 대인적 커뮤니케이션 만족 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환경적 커뮤니케이션 만족은 유의한 영향을
210 김 수 현 원 영 신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환경적 차 원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요소가 구성원들의 직무만족 에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 예진영(2000)의 연구에 의해서 지지되며, 프로배구선수들은 구단 내의 환경적 커뮤니케이션에 만족할수록 긍정적인 직무만 족 태도가 높게 형성된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그러나 대인적 커뮤니케이션 만족은 선수들의 직무만족에 직 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전반적인 커뮤니케이션 만족요인이 직무만족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의 연구들(박정혜, 2002;안미헌, 2000;오영미, 2004;유성식, 1991;이 봉행, 2002;임종동, 2001;Jones, 1981;Nicholson, 1980;Pincus, 1986;Rubin, 1993)과는 다소 상이한 것이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인 프로선수들의 독특한 직업적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프로선 수들은 고도로 전문화된 운동능력을 수행해야 하는 특수한 직무를 가지고 있으며, 운동수행 결과의 평가 에 따라 금전적 보상을 받는 직업적 특성을 지닌다. 또한 일반직종과는 달리 활동기간이 짧고 부상, 기량 저하 등 예기치 못한 원인으로 선수생활을 중단해야 할 상황에 늘 직면해 있기 때문에, 선수 개개인은 현 역생활동안 최상의 운동수행이라는 직무를 달성하기 위해 전념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선수들은 구단 내에서 이루어지는 동료선수, 코치 및 감독과의 대인 적 측면의 커뮤니케이션 보다는 직무수행과 직접적으 로 관련된 개인성과의 평가 및 보상에 관한 피드백, 구단 내 정보전달의 명확성, 구단의 방침과 목표에 관 한 전반적인 정보, 운동수행에 필요한 정보제공 등과 같은 구단 내의 환경적 커뮤니케이션에 만족할수록 직무만족을 더 높이 인지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조직몰입의 관계를 분석한 결 과, 프로배구선수들의 대인적 커뮤니케이션 만족은 조 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적 커뮤니케이션 만족은 직무만족을 매개하여 간 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 과는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조직몰입 간의 긍정적인 상 호관련성을 입증한 다수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연구들 (강병준, 2000;안미헌, 2000;양영종, 1996;여병민, 2000;오영미, 2004;유성식, 1991;윤석진, 2005;임 종동, 2001;황명호, 2003;Potvin, 1991;Putti et al., 1990;Vrona, 1996)과 부합되는 것으로서 최근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연구가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조직몰입의 상호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시도되 고 있는 경향에 비추어 볼 때, 프로구단에 이러한 관계 를 적용하여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였다는 점에 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구단 내 에서 대인적 차원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게 형성되 고 동시에 환경적 측면의 커뮤니케이션이 효율적으로 운영된다면 선수들의 구단에 대한 정서적이고 지속적 이며 규범적인 몰입수준이 증대됨으로써 조직의 태도 적 성과가 제고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팀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프로배구선수들의 대인적 커뮤니케이션 만족은 팀성 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 적 커뮤니케이션 만족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매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 배구선수들을 대상으로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팀성과 의 영향관계를 규명한 본 연구에서 특히 부각되는 결 과는 선수들의 대인적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팀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결과는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조직의 성과 증대에 공헌한다고 밝히고 있는 여러 학자들(Clampitt & Downs, 1993;Pincus, 1986;Walther, 1988)의 견 해를 입증하는 것이며, 선수들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을 다룬 체육학 분야의 스포츠 팀 연구들(김상훈, 2005; 문태영, 손원일, 2004;최영래 등, 2004)을 지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앞서 제시한 바와 같이 조직의 성과를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같은 태도적 측면의 성 과만으로 측정한 선행연구들의 한계점에 착안하여, 프 로배구구단의 팀성과를 경기력, 경기성과와 같은 실제
프로배구구단 내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팀성과에 미치는 영향 211 적 측면의 성과까지 포괄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선수들 의 대인적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팀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구단 내에서 이루어지는 동료선수들 간의 협조적인 관계, 코치의 우수한 지도력과 선수들에 대한 관심 및 배려, 팀의 최고경영자라 할 수 있는 감독의 비전 제 시와 탁월한 리더십 등이 조화롭게 형성되고 선수들 이 이러한 대인적 차원의 커뮤니케이션에 만족하게 될 때 궁극적으로 팀의 성과가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프로배 구선수들의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직무만족이 높은 사람일수록 조직에 대한 몰입의 정도가 높다고 제시한 Morris & Sherman(1981)의 연구,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는 선행변수 요인으로 직무만족이 가장 강 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한 Russ & McNeilly(1995) 의 연구에 의해서 지지되며, 프로야구, 프로축구, 프로 농구선수들을 대상으로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유의 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장진(2003)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한편 커뮤니케이션 만족 을 다룬 선행연구들(강병준, 2000;양영종, 1996;황 명호, 2003)에서도 구성원의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본 연 구의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선행연구들과 의 일관된 맥락에서 프로배구선수들의 직무만족은 조 직몰입의 유의미한 선행변수임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 는 운동수행이라는 직무 그 자체에 대한 내재적 만족과 함께 합리적인 임금수준, 만족스러운 운동 환경 및 복 리후생제도 등과 같은 직무의 외재적 측면에 대한 선수 들의 만족이 선행적으로 형성될 때 구단에 대한 몰입의 수준이 높아진다는 실증적 근거를 제시해 준다.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팀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 과, 프로배구선수들의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을 매개로 하여 팀성과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조직몰입은 팀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서 조직몰입이 팀성과 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입증된 것은 기 존의 커뮤니케이션 만족 연구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그동안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조직몰입 을 조직성과의 최종변수로 간주함으로써 다소 제한된 결과를 도출해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조직몰입의 결 과변수로서 프로배구구단의 팀성과를 추가적으로 설 정하여 이들 간의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검증했을 뿐 만 아니라 보다 통합적인 연구모형을 적용함으로써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팀성과 를 연결하는 중요한 매개변수라는 것을 제시할 수 있 었다. 선수들의 조직몰입이 구단의 팀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구성원의 조직에 대한 몰입 수준과 조직성과와의 긍정적인 상호관련성을 주장한 Allen & Meyer(1990), Steers & Porter(1991)의 견해 에 부합되는 것이며, 조직몰입이 조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체육학 분야의 연구들(강봉화, 박기주, 2005;육종술, 2002)과 일치하는 것이다. 한편 골프선수들을 대상으로 선수들의 운동몰입이 높을수 록 운동생활성과, 경기력 등과 같은 팀성과가 높아진 다고 보고한 조병섭(2003)의 연구는 간접적으로 본 연 구를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선수들의 구단에 대한 정 서적, 지속적, 규범적인 조직몰입 수준을 증대시킨다 면 개개인의 운동수행성과가 향상되고 아울러 원활한 팀워크가 형성됨으로써 팀의 경기력 상승 및 실제경 기에서의 성과달성 등과 같은 포괄적인 팀성과가 향 상될 수 있음을 연구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Ⅴ. 결론 및 제언 1. 결 론 본 연구는 프로배구구단 내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212 김 수 현 원 영 신 팀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프로배 구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는 남녀 프로배구선수 126명 을 대상으로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팀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모형을 제시ㆍ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프로배구선수들의 대인적 커뮤니케이션 만족 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환경적 커뮤니케이션 만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프로배구선수들의 대인적 커뮤니케이션 만족 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환경적 커뮤니 케이션 만족은 직무만족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프로배구선수들의 대인적 커뮤니케이션 만족 은 팀성과에 직접적인 영향과 조직몰입을 매개로 간접 적인 영향을 미치며, 환경적 커뮤니케이션 만족은 직 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프로배구선수들의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유 의한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프로배구선수들의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을 매개로 팀성과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조직몰입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통하여 얻은 학문적, 실천적 시사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팀성과의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규명하는 데 큰 관심을 두고 이 들 간의 상호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커뮤니케이션 만 족의 유형 중 대인적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팀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는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조직의 성과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선행연구자들의 추론과 가정을 실증적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인 진일보를 이룬 것이며, 또한 프로배구구단의 팀성 과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만족의 직접적인 효과성을 검증했다는 측면에서 실용적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프로배구구단에서는 본 연구에서 검증된 커뮤니케이션의 효과성을 내부 마케팅(internal mark eting)의 견지에서 비중 있게 검토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프로배구 리그의 활성화를 위해 대외적인 시장 점유를 위한 외부 마케팅(external marketing)도 강조 되어야 할 부분이지만 경기라는 핵심제품(core prod uct)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구단 내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내부적인 인적자원관리 역시 중 요하다고 할 수 있다. 최근 구미 각국에서는 조직 커 뮤니케이션 평가라는 제도를 운영하여 기업의 생산성 제고를 위한 경영기법의 하나로서 커뮤니케이션을 활 용하고 있으며,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을 도입하여 인적 중심 커뮤 니케이션의 시간적ㆍ공간적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 따 라서 프로배구구단의 최고경영자 및 선수단의 지원업 무를 담당하는 프런트는 선수들이 인지하는 구단 내 의 대인적 차원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프로배구구단의 경영환경에 적합한 커뮤니케 이션 수단과 방법을 전략적인 관점에서 강구해야 할 것이며, 아울러 전자 우편, 전자 게시판, 화상 회의, 온 라인 대화 등과 같은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을 적 극 활용하여 선수단 조직과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은 물론 선수 개개인의 커뮤니케이션 언로를 개방하고 수렴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둘째,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팀성과의 인과관계에 있 어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적 역할이 확인되었 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외생변수로 설정된 커뮤니케 이션 만족 유형 모두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매개 하여 팀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는, 프로배구구단이 팀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선수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수준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이는 선수들의 직무에 대한 만족과 구단에 대한 몰입이 조직의 태도적 성과 에 그치지 않고 구단 내의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매개 함으로써 팀 전체의 성과를 높일 수 있음을 실증적으
프로배구구단 내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팀성과에 미치는 영향 213 로 반영해 주는 것이다. 따라서 감독, 코치를 비롯한 구단관계자들은 선수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증 대시킬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 구단 내에서 의 커뮤니케이션 효과가 팀성과에 원활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실무적 차원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사회심리적 요 인을 프로배구구단에 실증적으로 적용시켰다는 점에 서 향후 다양한 스포츠 팀의 효과성 연구에 새로운 관 점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며, 프로구단의 조직 커 뮤니케이션에 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 하나 의 실마리를 제공했다는 측면에서 학문적 의의를 갖 는다고 할 수 있다. 2. 제 언 본 연구의 결론과 시사점을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커뮤니케이션 만족 척도 는 외국의 경영학 분야에서 개발된 설문지를 수정ㆍ 보완하여 사용하였기 때문에 프로구단에 적용하는 데 있어 일부 한계를 지닐 수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 서는 적용가능성을 충분히 검토하여 사용해야 할 것 이며, 아울러 국내 프로구단의 문화, 정서 및 현실에 적합한 새로운 측정도구의 개발과 표준화가 이루어져 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프로구단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규명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모형을 계량적 연 구방법에 한정하여 분석하였다. 하지만 연구모형 내 변수들의 관계에 대한 보다 심층적이고 총체적인 이 해를 위해 향후 연구에서는 인터뷰, 참여관찰과 같은 질적 연구방법이 병행되어 수행될 필요성이 있다. 왜 냐하면 사회심리적 요인인 커뮤니케이션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계량적 접근에 의존하기 보다는 질적 연구 와의 조화로운 결합을 통해 보다 깊이 있는 연구결과 를 도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현재 국내 프로리그의 각 구단에서는 운동수 행 능력이 탁월한 외국인 선수가 영입되어 팀 내의 핵 심적인 선수로서 활동하고 있다. 따라서 외국인 선수 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조직 커 뮤니케이션 현상을 고려하여 연구의 폭을 넓힌다면 프로스포츠 현장에 유용한 실천적인 결과들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참 고 문 헌 강병준(2000).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직무만족에 따른 농촌지 도사의 조직몰입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보식(2005). 프로배구 관중의 재관람 의사 결정요인에 관 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봉화, 박기주(2005). 레크리에이션 지도자의 조직몰입과 조 직시민행동 및 조직성과의 관계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 지, 23, 495-507. 김계수(2006).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서울:한나래. 김상훈(2005). 축구선수의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집단응집력 의 관계. 관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재현(2006). 타이틀 스폰서십이 기업의 브랜드자산에 미치 는 영향:프로배구 2005V-리그를 대상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맹이섭(2006). 프로배구팀이 모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태영, 손원일(2004). 스포츠 집단의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집단 응집력의 관계. 한국스포츠리서치, 15(3), 469-484. 박정혜(2002). 임상간호사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직무 만족과의 관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영락, 강준호(2003). 프로스포츠 비즈니스. 서울:국민체육 진흥공단. 안남수(2007). 한국 프로배구를 활용한 기업 스포츠마케팅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미헌(2000). 서비스 조직내부의 커뮤니케이션 만족도가 서 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양영종(1996). 조직구성원의 커뮤니케이션만족이 조직몰입에 미 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여병민(2000). M&A 이후 타기업 출신 조직 구성원간의 커 뮤니케이션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세대학교
214 김 수 현 원 영 신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예진영(2000). CMC가 조직 구성원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영미(2004). 비서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원영신(2005). 스포츠사회학 플러스. 서울:대경북스. 유성식(1991). 커뮤니케이션만족이 직무만족ㆍ조직몰입에 미 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육종술(2002). 스포츠센터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대한 원 인 및 결과변수의 실증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8, 33 1-341. 윤기열(2003). 호텔내 협력부서의 업무지원활동이 종사원만 족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윤석진(2005). 조직구성원의 커뮤니케이션 관련요인이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기철(1999). 스포츠 집단의 조직문화와 리더십 유형 및 효 과성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이봉행(2002). 경찰조직내 커뮤니케이션이 직무만족에 미치 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학식, 김영, 이용기(1998). 시장지향성과 성과: 사원만족, 고객만족 및 기업이미지의 매개적 역할. 경영학연구, 27(1), 157-184. 임종동(2001). 교사의 스포츠참가와 커뮤니케이션만족 및 학 교조직유효성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건희(2004). 프로야구 구단의 조직구조특성이 커뮤니케이 션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장윤창(2006). 프로배구 관람객에 따른 스폰서기업이미지 및 브랜드 자산요소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 치, 17(5), 1101-1111. 장진(2003). 프로스포츠 선수들의 직업만족도와 조직 몰입도 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정학모(2006). 종목별 프로스포츠의 리더십유형과 조직구조, 조직문화 및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조병섭(2003). 골프지도자의 카리스마 리더십에 따른 리더동 일시 및 신뢰, 운동몰입이 지도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단 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조영호(2005). 프로배구 관중성향과 관람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산업ㆍ경영학회지, 10(3), 101-111. 조영호, 문덕중(1994).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와 조직성과에 대 한 인식. 인사관리연구, 18, 135-150. 주영삼(2007). 프로배구 관중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관람동 기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최영래, 홍미화, 원영신(2004). 고교야구 팀의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선수 사기 및 집단 응집력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지, 44(2), 109-118. 황명호(2003). 호텔 종사자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조직몰입 에 미치는 영향. 문화관광연구, 15(1), 185-205. Allen, N. J., & Meyer, J. P.(1990).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 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63, 1-18. Bandalos, D. L., & Finney, S. J. (2001). Item parceling issu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G. A. Mar coulides & R. E. Schumacker (Eds.), New Development and Techniqu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Hills dale, NJ:Lawrence Erlbaum Associates. Bentler, P. M., & Bonett, D. G.(1980). Significance tests and goodness of 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Psychological Bulletin, 88, 488-606. Bollen, K. A.(1989). Structural Equations with Latent Var iables. NY:Wiley. Browne, M. W., & Cudeck, R.(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Newbury Park:Sage. Clampitt, P., & Downs, C.(1993). Employee perceptions of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nd productivity.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30(1), 5-28. Connelly, D., & Rotella, R. J.(1991). The social psychology of assertive communication:issues in teaching asse rtiveness skills to athletes. The Sport Psychologist, 5, 73-87. Crino, M. D., & White, M. C.(1981). Satisfaction in communication an examination of the Downs-Hazen measure. Psychological Reports, 49, 831-838. Downs, C. W., & Hazen, M. D.(1977). A factor analytic study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Journal of Busi ness Communication, 14, 63-73. Jones, J. W.(1981). Analysis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in four rural school system. Unpublished doctoral
프로배구구단 내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팀성과에 미치는 영향 215 dissertation, Vanderbilt University. Kelloway, K. E.(1998). Using LISREL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ousand Oaks:Sage Publications. Meyer, J. P., & Allen, N. J.(1991). A three-component conceptualiza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1), 61-89. Mohr, J. J., & Sohi, R. S.(1995). Communication flows in distribution channel:impact on assessments of comm unication quality and satisfaction. Journal of Retailing, 71, 393-416. Morris, J., & Sherman, J. D.(1981). Generalization of an organizational commitment model. Academy of Mana gement Journal, 24, 512-526. Mueller, B. H., & Lee, J.(2002). Leader-member exchange and organization communication satisfaction in multiple contexts.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39(2), 220-244. Nicholson, J. H.(1980). Analysis of communication satisf action in an urban school syste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Vanderbilt University. Pincus, J. D.(1986). Communication satisfaction, job sati sfaction, and job performance.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12, 395-416. Potvin, F.(1991). Employe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 examination of its relationship to communication sat isfaction and evaluation of questionnaires designed to measure the construct. Unpublished doctoral disser tation, University of Kansas. Putti, J. M., Aryee, S., & Phua, J.(1990). Communication relation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Gr oup & Organization Studies, 15(1), 44-49. Rubin, R. B.(1993). The effects of locus of control on communication motives, anxiety and satisfaction. Com munication Quarterly, 41, 162-171. Russ, F. A., & McNeilly, K. M.(1995). Links among satisfaction,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s: The moderating effect of experience, gender and performa nc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34, 57-65. Steers, R., & Porter, L.(1991). Motivation and Work Behavior. NY:McGraw-Hill. Varona, F.(1996).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ree guatemalan organization. Journal of Business Commu nication, 33, 111-140. Walther, J. B.(1988). Communication satisfaction in the bank.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25, 79-86.
216 김 수 현 원 영 신 ABSTRACT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to Team Effectiveness among Professional Volleyball Teams Kim, Soo-HyunㆍWon, Young-Sh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communication satisfaction in the professional volleyball teams affected team effectivenes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to, 126 male and female professional volleyball athletes who are taking part in the domestic league were give to questionnaires about that how communication satisfaction might influence th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eam effectiveness to show and verify the research model. The results was as follows: 1. Professional volleyball athlete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did not influence significantly the job satisfaction whereas the environment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did significantly it. 2. Professional volleyball athlete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influenced directly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however the environment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did indirectly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ed by the job satisfaction. 3. Professional volleyball athlete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had a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mediated by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team effectiveness. The environment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had an indirect influence having a mediation by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4. Professional volleyball athletes' job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5. Professional volleyball athletes' job satisfaction influenced indirectly the team effectiveness mediated by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fluenced directly the team effectiveness. Key Words:communication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eam effectiveness 접 수 일: 2007. 8. 25 게재확정일: 2007. 10. 15